KR102304555B1 - 약물 유도 백혈구 감소증 발병 위험 예측용 crim1 유전자 단일염기다형성 마커 및 이를 이용한 백혈구 감소증 발병 위험 예측 방법 - Google Patents

약물 유도 백혈구 감소증 발병 위험 예측용 crim1 유전자 단일염기다형성 마커 및 이를 이용한 백혈구 감소증 발병 위험 예측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4555B1
KR102304555B1 KR1020190175437A KR20190175437A KR102304555B1 KR 102304555 B1 KR102304555 B1 KR 102304555B1 KR 1020190175437 A KR1020190175437 A KR 1020190175437A KR 20190175437 A KR20190175437 A KR 20190175437A KR 102304555 B1 KR102304555 B1 KR 1023045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ukopenia
risk
thiopurine
predicting
develo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54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83300A (ko
Inventor
김주한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서울대학교병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서울대학교병원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2000833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33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45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45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68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nucleic acids
    • C12Q1/6876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 C12Q1/6883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for diseases caused by alterations of genetic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2600/00Oligonucleotides characterized by their use
    • C12Q2600/156Polymorphic or mutational marker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2600/00Oligonucleotides characterized by their use
    • C12Q2600/158Expression mark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athology (AREA)
  • Immu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asuring Or Testing Involving Enzyme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CRIM1 유전자 내의 단일염기다형성 마커를 포함하는 약물 유도 백혈구 감소증 발병 위험 예측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약물 유도 백혈구 감소증 발병 위험 예측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CRIM1 유전자 내의 단일염기다형성 마커는 약물, 특히 치오퓨린 계열 약물에 의해 유도되는 백혈구 감소증의 발병 위험과 높은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는바, 이를 이용하여 백혈병, 크론병, 궤양성 대장염, 또는 장기이식 등 치오퓨린 계열 약물 치료 중 발생하는 백혈구 감소증에 대해 감수성이 높은 환자를 조기에 효과적으로 예측 또는 진단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환자에게 적합한 약물을 투여하여 최적의 치료 효과를 달성할 수 있는 환자 맞춤형 치료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단일염기다형성 마커를 약물 유도 백혈구 감소증의 치료를 위한 약물 개발 연구에 활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약물 유도 백혈구 감소증 발병 위험 예측용 CRIM1 유전자 단일염기다형성 마커 및 이를 이용한 백혈구 감소증 발병 위험 예측 방법 {CRIM1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marker in gene for predicting risk of drug induced leukopenia and method for predicting risk of drug induced leukopenia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CRIM1 유전자 내의 단일염기다형성 마커를 포함하는 약물 유도 백혈구 감소증 발병 위험 예측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약물 유도 백혈구 감소증 발병 위험 예측 방법에 관한 것이다.
치오퓨린(thiopurine) 계열 약물인 6-머캅토퓨린(6-mercaptopurine), 아자치오퓨린(azathiopurine), 치오구아닌(thioguanine) 등은 백혈병, 크론병, 궤양성 대장염과 같은 환자의 치료에 널리 사용되는 면역 억제성(immunosuppressive) 약물이다. 치오퓨린 계열 약물 사용에 있어서 주요 문제점은 BSA에 따라 계산된 예정된 용량의 약물을 복용하기 시작하더라도 약 6%의 환자에서 백혈구 감소증이나 간독성 등의 부작용이 나타난다는 것이다. 치오퓨린 계열 약물의 활성은 S-메틸트랜스퍼라제(thiopurine S-methyltransferase; TPMT)와 연관되어 있는데, 이와 관련하여 TPMT 유전자에 돌연변이를 가지고 있는 경우 TPMT 효소 활성이 감소하고 TGN 대사물질(metabolite)이 증가하여 심각한 골수억제가 발생할 수 있다는 결과가 보고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위험을 줄이기 위해 미국 식품 의약안전청은 치오퓨린 계열 약물을 사용하기 전에 TPMT 효소 활성을 측정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 하지만 아시아인에서 TPMT 돌연변이 발생 빈도는 2 내지 3%로 백인에서(10%) 보다 현저히 낮은 빈도로 발견되는 것을 고려해 볼 때, 아시아인에서 TPMT의 효소 활성을 미리 측정하는 것이 유용성이 있을 지는 의문이다. 또한 이전의 연구에 의하면, 치오퓨린에 의해 유도되는 백혈구 감소증의 유전적 원인으로 보고되었던 NUDT15 돌연변이의 경우 한국인 백혈구 감소증 환자의 42.5%에서 비교적 높은 빈도로 관찰되긴 하나, NUDT15 돌연변이로 설명되지 않는 나머지 환자를 고려해 볼 때, 아시아인에서 발병하는 백혈구 감소증의 유전적 원인에 대한 이해는 여전히 부족하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치오퓨린 계열 약물에 의해 발생하는 부작용 중 하나인 백혈구 감소증의 발병 위험성을 예측할 수 있는 마커를 개발하고자 연구를 수행한 결과, CRIM1 유전자 내의 특정 단일염기다형성 부위와 백혈구 감소증 발병과의 유의성 있는 상관관계를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1704143호
본 발명의 목적은 CRIM1 유전자 내의 단일염기다형성 마커를 포함하는 백혈구 감소증 발병 위험 예측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단일염기다형성 마커 부위를 포함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에 특이적으로 혼성화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백혈구 감소증 발병 위험 예측 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단일염기다형성 마커의 유전자형을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백혈구 감소증 발병 위험 예측에 대한 정보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서열번호 1의 101번째 뉴클레오티드의 단일염기다형성(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SNP) 부위를 포함하는, 10 내지 100개의 연속적인 DNA 서열로 구성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또는 이의 상보적인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백혈구 감소증 발병 위험 예측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서열번호 1의 101번째 뉴클레오티드의 단일염기다형성 부위를 포함하는, 10 내지 100개의 연속적인 DNA 서열로 구성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또는 이의 상보적인 폴리뉴클레오티드와 특이적으로 혼성화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백혈구 감소증 발병 위험 예측 키트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시료 DNA로부터 서열번호 1의 101번째 뉴클레오티드의 유전자형을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백혈구 감소증 발병 위험 예측에 대한 정보제공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CRIM1 유전자 내의 단일염기다형성 마커는 약물, 특히 치오퓨린 계열 약물에 의해 유도되는 백혈구 감소증의 발병 위험과 높은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는바, 이를 이용하여 백혈병, 크론병, 궤양성 대장염, 또는 장기이식 등에서 치오퓨린 계열 약물 치료 중 발생하는 백혈구 감소증에 대해 감수성이 높은 환자를 조기에 효과적으로 예측 또는 진단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환자에게 적합한 약물을 투여하여 최적의 치료 효과를 달성할 수 있는바 환자 맞춤형 치료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단일염기다형성 마커를 약물 유도 백혈구 감소증의 치료를 위한 약물 개발 연구에 활용할 수 있다.
도 1은 6-머캅토퓨린을 사용한 119명의 백혈병 환자들 중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기 위한 과정을 나타낸 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일 양태로, 본 발명은 서열번호 1의 101번째 뉴클레오티드의 단일염기다형성(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SNP) 부위를 포함하는, 10 내지 100개의 연속적인 DNA 서열로 구성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또는 이의 상보적인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백혈구 감소증 발병 위험 예측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다형성(polymorphism)'은 단일 유전자 좌위에 두 가지 이상의 대립 유전자가 존재하는 경우를 의미하며, '다형성 부위(polymorphic site)'란 상기 대립 유전자가 존재하는 유전자 좌위를 의미한다. 다형성 부위 중에서, 사람에 따라 단일 염기만이 상이한 것을 '단일염기다형성', 즉 SNP(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라고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대립유전자(allele)'는 상동염색체의 동일한 유전자좌위에 존재하는 한 유전자의 여러 타입을 말한다. 대립유전자는 다형성을 나타내는데 사용되기도 하며, 예컨대, SNP은 두 종류의 대립인자(biallele)를 갖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서열번호 1"은 다형성 부위를 포함하는 다형성 서열(polymorphic sequence)이다. 다형성 서열이란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 중에 SNP를 포함하는 다형성 부위(polymorphic site)를 포함하는 서열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서열번호 1의 101번째 뉴클레오티드는 2p22.2 상의 CRIM1 유전자 좌에 존재하는 것으로, rs3821169로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서열번호 1의 101번째 뉴클레오티드, 즉 rs3821169의 대립유전자형은 T이다. 따라서 서열번호 1의 101 번째 뉴클레오티드는 G 또는 T 일 수 있으므로 다중염기 기재 방식에 따라 "k"라고 기재하였다.
CRIM1(cysteine rich transmembrane BMP regulator 1) 단백질(NCBI accession no. NP_057525.1)은 서열번호 2로 표시되는 67개의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졌다. 서열번호 1의 101번째 뉴클레오티드가 G인 경우 야생형의 CRIM1 단백질 서열로서 서열번호 2의 CRIM1 단백질의 34번째 아미노산은 글리신(G)이며, 서열번호 1의 101번째 뉴클레오티드가 T인 경우 서열번호 2의 CRIM1 단백질의 34번째 아미노산은 발린(V)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폴리뉴클레오티드 또는 그의 상보적 폴리뉴클레오티드는 10개 이상,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00개,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80개,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60개의 연속 염기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백혈구 감소증은 치오퓨린(thiopurine) 계열 약물에 의해 유도되는 것을 포함하며, 예를 들어, 백혈병, 크론병, 궤양성 대장염, 또는 장기이식 환자에서 치오퓨린(thiopurine) 계열 약물 치료시 유도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치오퓨린 계열 약물에는 6-머캅토퓨린 (6-mercaptopurine), 아자치오프린(azathioprine) 또는 치오구아닌(thioguanine) 등이 포함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상기 두 개의 단일염기다형성 마커가 백혈구 감소증 발병 위험 예측에 이용될 수 있다는 것은, 약물 투여에 따라 발생하는 부작용인 백혈구 감소증이 발병된 군의 유전자 분석 결과 단일염기다형성 부위에서 특정 염기가 존재할 확률이 높다는 것에 근거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CRIM1 유전자 내의 단일염기다형성 마커는 약물, 특히 치오퓨린 계열 약물에 의해 유도되는 백혈구 감소증의 발병 위험과 높은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는바, 이를 이용하여 백혈병, 크론병, 궤양성 대장염, 또는 장기이식 등 치오퓨린 계열 약물 치료 중 발생하는 백혈구 감소증에 대해 감수성이 높은 환자를 조기에 효과적으로 예측 또는 진단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환자에게 적합한 약물을 투여하여 최적의 치료 효과를 달성할 수 있는 환자 맞춤형 치료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단일염기다형성 마커를 약물 유도 백혈구 감소증의 치료를 위한 약물 개발 연구에 활용할 수 있다.
다른 양태로, 본 발명은 서열번호 1의 101번째 뉴클레오티드의 단일염기다형성(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SNP) 부위를 포함하는, 10 내지 100개의 연속적인 DNA 서열로 구성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또는 이의 상보적인 폴리뉴클레오티드와 특이적으로 혼성화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백혈구 감소증 발병 위험 예측 키트를 제공한다.
상기 폴리뉴클레오티드 또는 이의 상보적인 폴리뉴클레오티드와 특이적으로 혼성화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는 대립형질 특이적(allele-specific) 폴리뉴클레오티드이다. 대립형질 특이적 폴리뉴클레오티드는 각 대립형질에 특이적으로 혼성화하는 것을 의미한다. 즉, 다형성 서열 중에 존재하는 다형성 부위의 염기를 특이적으로 구별할 수 있도록 혼성화하는 것을 말한다.
상기 폴리뉴클레오티드 또는 이의 상보적인 폴리뉴클레오티드와 특이적으로 혼성화하는 프로브 또는 프라이머일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프로브"는 mRNA외 특이적으로 결합을 이룰 수 있는 짧게는 수 염기 내지 길게는 수백 염기에 해당하는RNA 또는 DNA 등의 핵산 단편을 의미하며 라벨링되어 있어서 특정 mRNA의 존재 유무, 발현양을 확인할 수 있다. 프로브는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oligonucleotide) 프로브, 단쇄 DNA(single strand DNA) 프로브, 이중쇄DNA(double strand DNA) 프로브, RNA 프로브 등의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적절한 프로브의 선택 및 혼성화 조건은 당해 기술 분야에 공지된 기술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상기 "프라이머"는 짧은 자유 3-말단 수산화기(free 3' hydroxyl group)를 가지는 핵산 서열로 상보적인 템플레이트(template)와 염기쌍을 형성할 수 있고 템플레이트 가닥 복사를 위한 시작 지점으로서 작용하는 짧은 핵산서열을 말한다. 프라이머는 적절한 완충용액 및 온도에서 중합반응을 위한 시약(즉, DNA 폴리머라제 또는 역전사효소) 및 상이한 4 가지의 뉴클레오사이드 트리포스페이트의 존재 하에서 DNA 합성을 개시할 수 있다. PCR 조건, 센스 및 안티센스 프라이머의 길이는 당업계에 공지된 기술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상기 키트는 상기 폴리뉴클레오티드를 사용하는 방법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키트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PCR 키트, DNA 칩 키트, 마이크로어레이 등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 다른 양태로, 본 발명은 시료 DNA로부터 서열번호 1의 101번째 뉴클레오티드의 유전자형을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백혈구 감소증 발병 위험 예측에 대한 정보제공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백혈구 감소증은 치오퓨린(thiopurine) 계열 약물에 의해 유도되는 것을 포함하며, 예를 들어, 백혈병, 크론병, 궤양성 대장염, 또는 장기이식 환자에서 치오퓨린(thiopurine) 계열 약물 치료시 유도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치오퓨린 계열 약물에는 6-머캅토퓨린 (6-mercaptopurine), 아자치오프린(azathioprine) 또는 치오구아닌(thioguanine) 등이 포함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때 상기 서열번호 1의 101번째 뉴클레오티드의 유전자형이 T 인 경우, 백혈구 감소증 발병 위험이 높은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서열번호 1의 101번째 뉴클레오티드의 대립유전자형이 GT 또는 TT인 경우, 대립유전자형이 GG인 경우에 비해 백혈구 감소증 발병 위험이 높은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열번호 1의 101번째 뉴클레오티드의 대립유전자형이 TT인 경우 대립유전자형이 GT 또는 GG인 경우에 비해 백혈구 감소증 발병 위험이 높은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 즉, 서열번호 1의 101번째 뉴클레오티드의 대립유전자형이 TT일 경우 다른 대립유전자형을 가지는 경우에 비해 백혈구 감소증 발병 위험이 현저하게 높다고 예측할 수 있으며, 서열번호 1의 101번째 뉴클레오티드의 대립유전자형이 GT일 경우 대립유전자형이 GG인 경우에 비해 백혈구 감소증 발병 위험이 상대적으로 높다고 예측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정보제공방법은 시료 DNA를 수득하기 위하여, 생물학적 시료로부터 DNA를 분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DNA 분리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페놀/클로로포름 추출법, SDS 추출법, CTAB 분리법(Cetyl Trimethyl AmmoniumBromide; Murray et al., Nuc. Res., 4321-4325, 1980)등을 이용하거나, 상업적으로 판매되는 DNA 추출 키트를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생물학적 시료에는 대상의 혈액, 타액, 뇨, 피부세포, 점막 세포 및 모발 등 모든 조직이 포함되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유전자형을 확인하는 단계를 수행하기 위하여 유전자 서열 분석이 수행될 수 있다. 서열 분석은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을 모두 이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자동염기서열분석기를 사용하거나, 파이로시 퀀싱(pyrosequencing), PCR-RELP법(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PCR-SSCP법(single strand conformation polymorphism), PCR-SSO법(specific sequence oligonucleotide), PCR-SSO법과 도트 하이브리드화 법을 조합한 ASO(allele specific oligonucleotide) 하이브리드화법, TaqMan-PCR법, MALDI-TOF/MS법, RCA법 (rolling circle amplification), HRM(high resolution melting)법, 프라이머 신장법, 서던 블롯 하이브리드화 법 및 도트 하이브리드화법 등의 공지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고,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실험 대상의 선정
서울아산병원에서 치오퓨린 계열 약물인 6-머캅토퓨린을 사용하여 유지요법을 진행한 119명의 환자들을 1차 선별하였다. 이 중 재발, 버킷림프종, 임상 데이터 부재 등의 이유로 33명을 본 실험에서 제외하고 86명의 환자를 최종 선별하였다. 본 실험에 참가한 모든 참가자는 한국인이었으며, 구체적인 실험 대상의 선정 과정을 도 1에 나타내었다.
소아 암 그룹(Children's Cancer Group; CCG)의 치료요법(treatment protocols)에 의하면, 6-머캅토퓨린의 초기 권장 용량은 75mg/m2이다. 하지만 서울아산병원에서 해당 용량으로 치료를 진행한 상당수의 환자에서 심각한 약물 독성을 보여 화학요법을 중단하는 결과를 보이는 바, 초기 투여 용량을 75mg/m2에서 50mg/m2으로 조정하였다. 치료를 위한 프로토콜은 이상반응(adverse events)에 따른 약물 용량 수정 또는 중단에 대해서는 책임 있는 의사가 케이스 별로 결정하였다. 각 환자에 대한 과거의 의료기록을 검토하였으며, 용량, 치료기간 및 백혈구 감소증의 발병 시기 및 정도를 포함하는 6-머캅토퓨린에 대한 정보는 유전자형 분석 결과를 알지 못하는 의사에 의해 독립적으로 평가되었다.
6-머캅토퓨린은 총 12주 동안 지속되는 한 싸이클(cycle)의 동일 항암 치료를 6-10회 반복하는 스케줄로 처방되었다. 첫 싸이클에서는 체표면적(Body Surface Area; BSA)에 기초한 예정된 용량의 약물 복용을 시작하였고, 백혈구 감소증이나 간독성 등의 이상반응(adverse events)에 따라 6-머캅토퓨린 용량을 계속적으로 감량하면서 싸이클을 지속하였다.
본 발명에서 백혈구 감소증을 보이는 군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뉘는데, 소아 암 그룹(CCG)의 이상반응 평가 기준에 의하면, 백혈구 수(leukocyte count)가 50x109/L이하이고 진단 시 나이가 1-9살인 경우 중간위험군으로 분류되며 나머지 환자는 고위험군으로 분류된다. 서울아산병원에서 측정된 ANC(Absolute Neutropil count)의 정상 범위는 500 이상이었다. 500-1000의 ANC 수는 백혈구 감소증으로 판단하지 않았으나, 백혈구 감소증의 경계라고 판단하였다. 또한 유지요법 중 ANC가 500보다 작은 수치로 5회 이상 측정되면 Grade 4 백혈구 감소증(Grade 4 Neutropenia)으로 판단하였다. 백혈구 감소증이 여러 차례 발병한 환자는 반복 횟수를 측정하여 기록하였으며, 백혈구 감소증의 정도에 따라 6-머캅토퓨린 용량을 조정하였다.
실시예 2. 전체 엑솜 시퀀싱(Whole Exome Sequencing)을 통한 유전자 분석
실시예 1에서 선별한 86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골수에서 DNA를 추출한 후 전체 엑솜 시퀀싱을 진행하였다. 전체 엑솜 시퀀싱을 수행한 86명 중 52명에게서 grade 4 백혈구 감소증이 발병하였는바, 상기 52명의 백혈구 감소증 환자를 실험군으로, 나머지 33명을 대조군으로 구분하였다. 각 환자에서 유전자 점수(personalized gene score, PGS07)를 구하고 student t-test를 진행하여 통계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때 유전자 점수(gene score)는 변이의 독성(deleteriousness)을 나타내는 지표인 SIFT 점수 중 0.7 미만인 SIFT 점수들의 geometric mean을 의미한다. 또한, Fisher's exact test(variant 측면)를 이용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Fisher's exact test에 있어서, 특정 단일염기다형성 부위와 백혈구 감소증 발병 상태 및 위험률(odds ratio, OR)은 95% 신뢰구간(confidence intervals, CI)으로 산출하였으며, 통계학적 유의성은 p<0.05로 판정하였다.
그 결과, grade 4 백혈구 감소증이 발병한 환자군에서 CRIM1 유전자상의 단일염기다형성 부위(rs3821169, 서열번호 1의 101번째 염기에 해당)가 백혈구 감소증과 유의한 연관성을 보임을 확인하였다. rs3821169와 백혈구 감소증과의 상관관계를 확인한 구체적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데이터는 빈도로 나타내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는 p값을 밑줄로 표시하였다.
[표 1]
Figure 112019134275567-pat00001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grade 4 백혈구 감소증이 발병하지 않은 34명의 환자를 대조군으로 설정한 경우, CRIM1 유전자상의 단일염기다형성 부위(rs3821169)에 대한 대립 유전자 빈도(Allelic Frequency)는 초기 백혈구 감소증 (Early Grade 4 Neutropenia) 발병과 높은 상관을 보였다(p=0.003, OR 3.30).
또한, 선행 연구 (Yang SK, Hong M, Baek J, et al: A common missense variant in NUDT15 confers susceptibility to thiopurine-induced leukopenia. Nat Genet 46: 1017-1020, 2014)에서 백혈구 감소증과 돌연변이 간의 유의성이 입증되었던 NUDT15 유전자의 rs116855232 변이와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해당 변이를 보유하는 군과 그렇지 않은 군으로 나누어 분석을 수행한 결과, NUDT15 유전자의 rs116855232 변이를 보유하고 있지 않은 군에서 백혈구 감소증과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발견하였다(p=0.004, OR 3.32).
이를 통해, CRIM1 유전자상의 101번째 뉴클레오티드의 유전자형이 T 인 경우, 백혈구 감소증 발병 위험이 높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특히, 기존에 알려진 SNP 마커인 NUDT15 유전자의 rs116855232 변이의 존재로는 확인할 수 없었던 백혈구 감소증 발병 위험군이라도 본 발명의 CRIM1 유전자상의 단일염기다형성 부위(rs3821169)의 확인을 통해 보다 정확하게 분류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3. 지노타이핑(Genotyping)을 통한 유전자 분석
실시예 2의 결과를 추가적으로 검증하기 위하여, 실시예 1에서 선별된 86명 중 73명에 대해 지노타이핑(Genotyping)을 수행하여 단일염기다형성 부위(rs3821169)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표 2]
Figure 112019134275567-pat00002
상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grade 4 백혈구 감소증이 발병한 42명의 환자를 실험군으로 두고 그렇지 않은 31명의 환자를 대조군으로 설정한 경우, 실시예 2의 결과와 마찬가지로 CRIM1 유전자상의 단일염기다형성 부위(rs3821169)에 대한 대립 유전자 빈도가 grade 4 백혈구 감소증 발병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며(p=0.0007, OR =4.11), 우성모형(AG+GG)에서의 유전자형 빈도도 4등급 백혈구 감소증 환자에서 증가하였다(p=0.0001).
이상의 실험 결과를 통해, CRIM1 유전자상의 단일염기다형성 부위(rs3821169, 서열번호 1의 101번째 염기에 해당)가 백혈구 감소증에 대한 민감도에 영향을 주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한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예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110> Seoul National University R&DB Found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120> CRIM1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marker in gene for predicting risk of drug induced leukopenia and method for predicting risk of drug induced leukopenia using the same <130> 1-153P-1 <150> KR 10-2018-0172185 <151> 2018-12-28 <160> 2 <170> KoPatentIn 3.0 <210> 1 <211> 20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RIM1 polymorphic sequence <220> <221> misc_feature <222> (101) <223> k being T or G <400> 1 gtgccccgcg caggggaggg cgcccgcccc gctcccggcc cggctgcgag gaggaggcgg 60 cggcggcgca ggaggatgta cttggtggcg ggggacaggg kgttggccgg ctgcgggcac 120 ctcctggtct cgctgctggg gctgctgctg ctgctggcgc gctccggcac ccgggcgctg 180 gtctgcctgc cctgtgacga g 201 <210> 2 <211> 6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RIM1 protein <400> 2 Val Pro Arg Ala Gly Glu Gly Ala Arg Pro Ala Pro Gly Pro Ala Ala 1 5 10 15 Arg Arg Arg Arg Arg Arg Arg Arg Arg Met Tyr Leu Val Ala Gly Asp 20 25 30 Arg Gly Leu Ala Gly Cys Gly His Leu Leu Val Ser Leu Leu Gly Leu 35 40 45 Leu Leu Leu Leu Ala Arg Ser Gly Thr Arg Ala Leu Val Cys Leu Pro 50 55 60 Cys Asp Glu 65

Claims (11)

  1. 서열번호 1의 101번째 뉴클레오티드의 단일염기다형성(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SNP) 부위를 포함하는, 10 내지 100개의 연속적인 DNA 서열로 구성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또는 이의 상보적인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치오퓨린(thiopurine) 계열 약물에 의해 유도되는 백혈구 감소증 발병 위험 예측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열번호 1의 101번째 뉴클레오티드는 CRIM1 유전자 좌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오퓨린(thiopurine) 계열 약물에 의해 유도되는 백혈구 감소증 발병 위험 예측용 조성물.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치오퓨린 계열 약물은 6-머캅토퓨린 (6-mercaptopurine), 아자치오프린(azathioprine) 및 치오구아닌(thioguanine)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오퓨린(thiopurine) 계열 약물에 의해 유도되는 백혈구 감소증 발병 위험 예측용 조성물.
  5. 서열번호 1의 101번째 뉴클레오티드의 단일염기다형성(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SNP) 부위를 포함하는, 10 내지 100개의 연속적인 DNA 서열로 구성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또는 이의 상보적인 폴리뉴클레오티드와 특이적으로 혼성화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치오퓨린(thiopurine) 계열 약물에 의해 유도되는 백혈구 감소증 발병 위험 예측 키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특이적으로 혼성화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는 프로브 또는 프라이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오퓨린(thiopurine) 계열 약물에 의해 유도되는 백혈구 감소증 발병 위험 예측 키트.
  7. 시료 DNA로부터 서열번호 1의 101번째 뉴클레오티드의 유전자형을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치오퓨린(thiopurine) 계열 약물에 의해 유도되는 백혈구 감소증 발병 위험 예측에 대한 정보제공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서열번호 1의 101번째 뉴클레오티드의 유전자형이 T 인 경우, 백혈구 감소증 발병 위험이 높은 것으로 예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오퓨린(thiopurine) 계열 약물에 의해 유도되는 백혈구 감소증 발병 위험 예측에 대한 정보제공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서열번호 1의 101번째 뉴클레오티드의 대립유전자형이 GT 또는 TT인 경우, 백혈구 감소증 발병 위험이 높은 것으로 예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오퓨린(thiopurine) 계열 약물에 의해 유도되는 백혈구 감소증 발병 위험 예측에 대한 정보제공방법.
  10. 삭제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치오퓨린 계열 약물은 6-머캅토퓨린 (6-mercaptopurine), 아자치오프린(azathioprine) 및 치오구아닌(thioguanine)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오퓨린(thiopurine) 계열 약물에 의해 유도되는 백혈구 감소증 발병 위험 예측에 대한 정보제공방법.
KR1020190175437A 2018-12-28 2019-12-26 약물 유도 백혈구 감소증 발병 위험 예측용 crim1 유전자 단일염기다형성 마커 및 이를 이용한 백혈구 감소증 발병 위험 예측 방법 KR1023045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2185 2018-12-28
KR20180172185 2018-12-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3300A KR20200083300A (ko) 2020-07-08
KR102304555B1 true KR102304555B1 (ko) 2021-09-27

Family

ID=716014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5437A KR102304555B1 (ko) 2018-12-28 2019-12-26 약물 유도 백혈구 감소증 발병 위험 예측용 crim1 유전자 단일염기다형성 마커 및 이를 이용한 백혈구 감소증 발병 위험 예측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4555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536749B (zh) * 2014-01-22 2020-02-14 蔚山大学校产学协力团 用于预测硫代嘌呤诱导的白细胞减少症风险的组合物,所述组合物含有nudt15基因中的单核苷酸多态性标记
KR101840843B1 (ko) * 2016-02-29 2018-03-21 주식회사 싸이퍼롬 약물 유도 백혈구 감소증 발병 위험 예측용 유전자 단일염기다형성 마커 및 이를 이용한 백혈구 감소증 발병 위험 예측 방법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Genetics in Medicine (2019) 21:2145-2150
Haematologica (2018.03.08.) 103(7):e293-e295
Journal of Translational Medicine (2020) 18:265
박유미, "유전자 수준 변이 부담을 적용한 약물유전자와 질병유전자의 특성 분석",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0)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3300A (ko) 2020-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3546B1 (ko) 유전자 다형성을 이용한 소라페닙 치료에 대한 반응성 예측방법
KR101823368B1 (ko) 돈육내 다가 불포화지방산 함량 조절용 snp 마커 및 그의 용도
KR102009838B1 (ko) 뇌동맥류의 발병 위험 예측 또는 진단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KR101582723B1 (ko) 대장암 발병 위험도 예측을 위한 유전 마커와 이의 이용
KR101536213B1 (ko) 복부비만 예측용 snp 마커 및 이의 용도
KR101840843B1 (ko) 약물 유도 백혈구 감소증 발병 위험 예측용 유전자 단일염기다형성 마커 및 이를 이용한 백혈구 감소증 발병 위험 예측 방법
KR101761801B1 (ko) 코 표현형 판단용 조성물
KR102304555B1 (ko) 약물 유도 백혈구 감소증 발병 위험 예측용 crim1 유전자 단일염기다형성 마커 및 이를 이용한 백혈구 감소증 발병 위험 예측 방법
KR101532308B1 (ko) 복부비만 예측용 snp 마커 및 이의 용도
EP1848821B1 (en) Polynucleotide associated with breast cancer comprising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microarray and diagnostic kit comprising the same and method for diagnosing breast cancer using the same
KR20090037212A (ko) Dna-메틸전이효소-3b를 이용한 류마티스 관절염 예후진단용 마커 및 이를 이용한 류마티스 관절염 중증도 예측및 판단 방법
KR101676089B1 (ko) 폐암환자의 예후진단용 다형성 마커 및 이를 이용한 폐암 예후 예측방법
EP2584039A1 (en) Snp for predicting the sensitivity to anticancer targeted therapeutic formulation
KR102304562B1 (ko) 약물 유도 백혈구 감소증 발병 위험 예측용 il6 유전자 단일염기다형성 마커 및 이를 이용한 백혈구 감소증 발병 위험 예측 방법
KR20170142461A (ko) 치주질환 위험도 평가용 유전자 마커
CN113166810A (zh) 包括gba基因单碱基多态性的脑动脉瘤诊断用snp标志物
KR101806025B1 (ko) 비소세포폐암 환자의 항암제 치료 반응성 및 예후 예측용 snp 마커 및 이의 용도
KR101141546B1 (ko) Ankrd15, hpd, psmd9, wdr66, gpc6, pax9, lrrc28, tns4, axl, 및 hnrpul1 유전자로부터 유래된 단일염기다형을 포함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이를 포함하는 마이크로어레이 및 진단키트, 및 이를 이용한 분석방법
KR101972355B1 (ko) 한국인의 비만 또는 비만 관련 질환의 위험 예측용 다형성 마커, 이를 이용한 한국인의 비만 또는 비만 관련 질환의 위험 예측 방법
KR102158719B1 (ko) Loc102724084 유전자의 단일염기다형성을 포함하는 뇌동맥류 진단용 snp 마커
KR102158723B1 (ko) Spcs3 유전자의 단일염기다형성을 포함하는 뇌동맥류 진단용 snp 마커
KR101860997B1 (ko) 폐암 환자의 생존 예측용 egfr 다형성 마커 및 이를 이용한 폐암 생존 예후의 예측 방법
KR101795920B1 (ko) 폐암 환자의 생존 예측용 slc5a10 다형성 마커 및 이를 이용한 폐암 생존 예후의 예측 방법
KR101977351B1 (ko) 항암제 저항성 또는 민감성 예측용 조성물
KR101772448B1 (ko) 성격 특성 판단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