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2804B1 - 송이버섯을 포함하는 갈비양념소스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송이버섯을 포함하는 갈비양념소스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2804B1
KR102302804B1 KR1020200120456A KR20200120456A KR102302804B1 KR 102302804 B1 KR102302804 B1 KR 102302804B1 KR 1020200120456 A KR1020200120456 A KR 1020200120456A KR 20200120456 A KR20200120456 A KR 20200120456A KR 102302804 B1 KR102302804 B1 KR 1023028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matsutake
distillate
mushroom extract
astragal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04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상민
Original Assignee
송상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상민 filed Critical 송상민
Priority to KR10202001204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2804B1/ko
Priority to KR1020210082931A priority patent/KR1023513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28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28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3/00Soups; Sauc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3/00Meat products; Meat meal;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3/06Meat products; Meat meal;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with gravy or sauc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10Natural 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Extra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30Artificial sweetening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50Soya sauc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4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drying or kiln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23L3/44Freeze-dry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1/00Edible extracts or preparations of fungi;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1/10Yeasts or derivatives thereof
    • A23L31/15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31Mechanical treatmen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Seasonings (AREA)

Abstract

이 발명은 육류용 양념에 송이버섯 추출액을 첨가함으로써 고기의 누린내를 제거해 육류 고유의 고소한 맛과 유효성분을 통한 숙성 효과로 육질을 향상시켜줄 수 있으며, 식이섬유 함량을 높인 양념을 제조하여 균형있는 식품을 제공할 수 있는, 송이버섯을 포함하는 갈비양념소스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송이버섯을 포함하는 갈비양념소스 및 그의 제조방법{Sauce for rib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이 발명은 식이섬유 함량을 높인 양념을 제조하여 균형있는 식품을 제공할 수 있으며, 육류용 양념에 송이버섯 추출액을 첨가함으로써 고기의 누린내를 제거해 육류 고유의 고소한 맛과 유효성분을 통한 숙성 효과로 육질을 향상시켜줄 수 있는, 송이버섯을 포함하는 갈비양념소스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산업의 발달 및 경제성장과 더불어 우리나라의 식생활은 육류가 주재료인 서구식으로 변화해 가고 있고, 이에 따라 채소류 및 식이섬유의 섭취량은 상대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이러한 전통적인 식생활의 붕괴로 인하여 단백질, 지방, 열량의 섭취는 증가하고 잇다. 그러나, 음식의 과섭취와 육체적 운동 부족 및 스트레스로 인해 체력은 오히려 저하되었으며, 이에 따라 몸에 쌓이는 에너지의 양도 증가하게 되어 비만 환자가 급속히 증가되고 있는 추세에 있다.
식이섬유는 물을 흡수하면 부풀어지는 팽윤특성이 있기 때문에 포만감을 주어 과량의 음식물 섭취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물을 흡수한 식이섬유가 팽윤되어 젤의 형성 작용으로 인해 소화 기관을 자극하고, 음식물의 소화기관 통과시간을 단축하여 소화할동을 촉진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배설량을 증가시킨다. 특히, 콜레스테롤은 체내에서 만들어낼 수 있으나 스스로 배출할 능력이 없으며 섬유소가 콜레스테롤을 흡착해야만 배출이 가능하기 때문에 체내 노폐물의 배설도 촉진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장내 유산균의 증식 작용을 활성화할 수 있다.
이러한 식이섬유가 부족한 식사를 하는 경우 소장에서 영양분이 일시에 흡수되어 혈당치를 급격하게 상승시켜 당뇨를 유발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식이섬유 함량을 높인 양념을 제조하여 균형있는 식품을 제공할 수 있는, 송이버섯을 포함하는 갈비양념소스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육류용 양념에 송이버섯 추출액을 첨가함으로써 고기의 누린내를 제거해 육류 고유의 고소한 맛과 유효성분을 통한 숙성 효과로 육질을 향상시켜줄 수 있는, 송이버섯을 포함하는 갈비양념소스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이 발명의 구성에 있어, 정제수 25.2 중량%, 설탕 14.44 중량%, 양조간장 14.37 중량%, 송이버섯 추출액 12.05 중량%, 배쥬스 9.48 중량%, 파인애플 4.78 중량%, 마늘 4.74 중량%, 물엿 2.87 중량%, 주정 1.64 중량%, 당귀 1.01 중량%, 생강 5.6 중량%, 글루탐산나트륨 0.86 중량%, 참기름 0.72 중량%, 다시마 0.57 중량%, 캬라멜색소 0.50 중량%, 황기 증류액 0.43 중량%, 정제소금 0.37 중량%, 후추 0.22 중량%, 닭고기분말 0.1 중량%, 바이오핵산 0.04 중량%, 파라옥시안식향산에틸 0.01 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 발명의 구성에 있어, 상기 황기 증류액은, 정제수 1L당 황기 50~100g을 첨가하여 100~130℃로 2~3시간 동안 유효성분을 추출하는 단계; 유효성분이 추출된 추출액 1L당 정제수 2~4L를 가하여 증류기에서 가열하여 증류액을 얻는 단계; 증류액 1L를 기준으로 산화칼슘 10~100g을 가하여 교반하는 단계; 상기 교반 후 증류액을 5~15℃에서 12~24시간 방치하여 상등액을 여과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된 것을 사용한다.
이 발명의 구성에 있어, 상기 송이버섯 추출액을 포함하는 갈비양념소스는, 송이버섯 추출액을 수득하는 단계에서 얻어지는 고형분을 가공하여 얻은 송이버섯 유래 불용성 식이섬유를 더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이 발명의 제조방법의 구성에 있어, 송이버섯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황기 증류액을 제조하는 단계; 정제수 25.2 중량%, 설탕 14.44 중량%, 양조간장 14.37 중량%, 송이버섯 추출액 12.05 중량%, 배쥬스 9.48 중량%, 파인애플 4.78 중량%, 마늘 4.74 중량%, 물엿 2.87 중량%, 주정 1.64 중량%, 당귀 1.01 중량%, 생강 5.6 중량%, 글루탐산나트륨 0.86 중량%, 참기름 0.72 중량%, 다시마 0.57 중량%, 캬라멜색소 0.50 중량%, 황기 증류액 0.43 중량%, 정제소금 0.37 중량%, 후추 0.22 중량%, 닭고기분말 0.1 중량%, 바이오핵산 0.04 중량%, 파라옥시안식향산에틸 0.01 중량%를 혼합하는 단계; 상기 혼합하는 단계에서의 혼합물을 숙성하는 단계; 상기 숙성된 혼합물을 포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 발명의 제조방법의 구성에 있어, 상기 송이버섯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는, 송이버섯를 세척하는 단계; 상기 세척한 송이버섯을 절단하는 단계; 상기 절단된 송이버섯을 -50℃에서 6시간 동결 건조하는 단계; 상기 동결 건조된 송이버섯을 분쇄하는 단계; 상기 분쇄된 송이버섯 100g당 90% 에탄올 3L를 가하여 2~4시간 동안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이 완료되면 감압여과하여 송이버섯 추출액을 수득하는 단계; 상기 수득된 송이버섯 추출액을 농축하는 단계; 상기 농축하는 단계에서의 농축액을 물 중량의 20%가 되도록 희석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면 바람직하다.
이 발명의 제조방법의 구성에 있어, 상기 희석하는 단계는, 상기 송이버섯 추출액을 수득하는 단계에서 얻어지는 고형분을 가공하여 얻은 송이버섯 유래 불용성 식이섬유를 더 포함한다.
이 발명의 제조방법의 구성에 있어, 상기 황기 증류액을 제조하는 단계는, 정제수 1L당 황기 50~100g을 첨가하여 100~130℃로 2~3시간 동안 유효성분을 추출하는 단계; 유효성분이 추출된 추출액 1L당 정제수 2~4L를 가하여 증류기에서 가열하여 증류액을 얻는 단계; 증류액 1L를 기준으로 산화칼슘 10~100g을 가하여 교반하는 단계; 상기 교반 후 증류액을 5~15℃에서 12~24시간 방치하여 상등액을 여과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 발명은 식이섬유 함량을 높인 양념을 제조하여 균형있는 식품을 제공할 수 있으며, 육류용 양념에 송이버섯 추출액을 첨가함으로써 고기의 누린내를 제거해 육류 고유의 고소한 맛과 유효성분을 통한 숙성 효과로 육질을 향상시켜줄 수 있다.
도 1은 이 발명에 따른 송이버섯 추출액을 포함하는 갈비양념소스 제조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는 이 발명에 따른 송이버섯 추출액 제조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은 이 발명에 따른 황기 증류액 제조방법의 흐름도이다.
이하, 이 발명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이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이 발명의 바람직한 시릿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살명하기로 한다. 이 발명의 목적, 작용, 효과를 포함하여 다른 목적들, 특징점들, 그리고 동작상의 이점들이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에 의하여 보다 명확하여질 것이다.
참고로, 여기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는 여러가지 실시 가능한 예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일 뿐, 이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제시된 실시예에만 의해서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이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부가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 균등한 타의 실시예가 가능함을 밝혀 둔다.
또한,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의 표현은,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만 한정하여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이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일례로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도 1은 이 발명에 따른 송이버섯 추출액을 포함하는 갈비양념소스 제조방법의 흐름도이고, 도 2는 이 발명에 따른 송이버섯 추출액 제조방법의 흐름도이며, 도 3은 이 발명에 따른 황기 증류액 제조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이 발명에 따른 송이버섯 추출액을 포함하는 갈비양념소스 제조방법의 구성에 있어, 송이버섯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S10); 황기 증류액을 제조하는 단계(S20); 정제수 25.2 중량%, 설탕 14.44 중량%, 양조간장 14.37 중량%, 송이버섯 추출액 12.05 중량%, 배쥬스 9.48 중량%, 파인애플 4.78 중량%, 마늘 4.74 중량%, 물엿 2.87 중량%, 주정 1.64 중량%, 당귀 1.01 중량%, 생강 5.6 중량%, 글루탐산나트륨 0.86 중량%, 참기름 0.72 중량%, 다시마 0.57 중량%, 캬라멜색소 0.50 중량%, 황기 증류액 0.43 중량%, 정제소금 0.37 중량%, 후추 0.22 중량%, 닭고기분말 0.1 중량%, 바이오핵산 0.04 중량%, 파라옥시안식향산에틸 0.01 중량%를 혼합하는 단계(S30); 상기 혼합하는 단계에서의 혼합물을 숙성하는 단계(S40); 상기 숙성된 혼합물을 포장하는 단계(S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송이버섯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S10)는, 송이버섯를 세척하는 단계(S100); 상기 세척한 송이버섯을 절단하는 단계(S101); 상기 절단된 송이버섯을 -50℃에서 6시간 동결 건조하는 단계(S102); 상기 동결 건조된 송이버섯을 분쇄하는 단계(S103); 상기 분쇄된 송이버섯 100g당 90% 에탄올 3L를 가하여 2~4시간 동안 추출하는 단계(S104); 상기 추출이 완료되면 감압여과하여 송이버섯 추출액을 수득하는 단계(S105); 상기 수득된 송이버섯 추출액을 농축하는 단계(S106); 상기 농축하는 단계에서의 농축액을 물 중량의 20%가 되도록 희석하는 단계(S107);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희석하는 단계(S107)는, 상기 송이버섯 추출액을 수득하는 단계(S105)에서 얻어지는 고형분을 가공하여 얻은 송이버섯 유래 불용성 식이섬유를 더 포함한다.
상기 고형분의 가공은 pH 9.5~10의 염기성 수용액을 가하여 2~4시간 동안 초음파를 처리하여 불순물을 제거한 후 중화하는 방법을 이용한다.
상기 황기 증류액을 제조하는 단계(S20)는, 정제수 1L당 황기 50~100g을 첨가하여 100~130℃로 2~3시간 동안 유효성분을 추출하는 단계(S200); 유효성분이 추출된 추출액 1L당 정제수 2~4L를 가하여 증류기에서 가열하여 증류액을 얻는 단계(S201); 증류액 1L를 기준으로 산화칼슘 10~100g을 가하여 교반하는 단계(S202); 상기 교반 후 증류액을 5~15℃에서 12~24시간 방치하여 상등액을 여과처리하는 단계(S20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황기(Astragalus membranaceus)는 전통적으로 다양한 질병에 대한 개선효과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건강을 증진시키는 효과가 보고되고 있어 대체의학으로서의 활용도가 매우 높다. 주요 이용부위인 뿌리에는 간장보호작용, 면역촉진작용, 항암작용, 강장작용, 이뇨작용 등의 효능이 있고, 항균활성, 항산화능, 다량의 폴리페놀물질 및 이소플라보노이드(Isoflavonoid) 함유 등의 생리활성이 보고되었다.
상기 생리활성을 나타내는 성분으로서 플라보노이드(flavonoid), 사포닌(saponin), 다당체(polysaccharide)로 분류되는 다양한 화합물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들 중에서도 아스트라갈로시드(astragaloside), 폴모노네틴(formononetin), 칼리코신(calycosin) 등이 대표적인 활성물질로서 보고되고 있다.
상기 증류액을 얻는 단계(S201)를 통하여 유효성분이 추출된 추출액은 그대로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 체내에 흡수되기 용이한 작은 분자크기의 성분들을 포집할 수 있다.
상기 증류액을 얻는 단계(S201)는, 증류기를 먼저 350~450℃로 가열한 후, 가열된 증류기에서 증류액이 한방울씩 떨어지기 시작하면 온도를 250℃로 낮추어 증류 과정을 8~12시간 동안 계속하여 최종적으로 2~4L의 증류액을 얻는다.
상기 교반하는 단계(S202)에서 산화칼슘 처리는 증류액의 항균력을 향상시키고 냄새를 제거하는 데에 효과적이다.
상기 숙성하는 단계(S40)는, 항온항습기에서 온도 10℃, 습도 40% 조건으로 8시간 동안 숙성하면 바람직하다.
이 발명에 따른 송이버섯 추출액, 황기 증류액 및 기타 보조성분들을 사용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난 조성비로 갈비양념소스를 제조하였다.
실시예1 실시예2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송이버섯 추출액 12.05 10.0 - 12.05 -
황기 증류액 0.43 0.43 - - 0.43
송이버섯유래 불용성 식이섬유 - 2.05 - - -
정제수 25.2 25.2 37.68 25.63 37.25
설탕 14.44 14.44 14.44 14.44 14.44
양조간장 14.37 14.37 14.37 14.37 14.37
배쥬스 9.48 9.48 9.48 9.48 9.48
파인애플 4.78 4.78 4.78 4.78 4.78
마늘 4.74 4.74 4.74 4.74 4.74
물엿 2.87 2.87 2.87 2.87 2.87
주정 1.64 1.64 1.64 1.64 1.64
당귀 1.01 1.01 1.01 1.01 1.01
생강 5.6 5.6 5.6 5.6 5.6
글루탐산나트륨 0.86 0.86 0.86 0.86 0.86
참기름 0.72 0.72 0.72 0.72 0.72
다시마 0.57 0.57 0.57 0.57 0.57
캬라멜색소 0.50 0.50 0.50 0.50 0.50
정제소금 0.37 0.37 0.37 0.37 0.37
후추 0.22 0.22 0.22 0.22 0.22
닭고기분말 0.1 0.1 0.1 0.1 0.1
바이오핵산 0.04 0.04 0.04 0.04 0.04
파라옥시안식향산에틸 0.01 0.01 0.01 0.01 0.01
합계 100 100 100 100 100
(실험예 1)
상기한 제조방법으로 제조한 갈비양념소스(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을 준비한 후, 이를 소화불량 증상이 있는 20 내지 55세 연령 총 12명을 대상으로 소화불량 개선 효과 평가실험을 수행하였다. 대상자는 다섯 그룹으로 나누었으며, 그룹 1은 실시예 1, 그룹 2는 실시예 2, 그룹 3은 비교예 1, 그룹 4는 비교예 2, 그룹 5는 비교예 3의 갈비양념소스를 제공하여 4주 동안 때에 상관없이 하루에 100g씩 섭취하도록 하였다. 제공되는 갈비양념소스의 종류는 비공개로 하여 블라인드 테스트로 진행하였다. 매주 소화불량 개선 정도를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그룹1(실시예1) 그룹2(실시예2) 그룹3(비교예1) 그룹4(비교예2) 그룹5(비교예3)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주 + + ++ + ++ + ± ± ± ± ± ± ± ± ±
2주 ++ + ++ + ++ ++ ± ± ± + ± ± + + ±
3주 ++ ++ +++ ++ +++ ++ - ± - + ± + + ± +
4주 ++ ++ +++ +++ +++ +++ - - - + ± + + ± +
+++: 매우 양호한 개선 효과가 있음
++: 상당한 개선 효과가 있음
+: 약간의 개선 효과가 있음
±: 개선 효과는 없으나 악화되지도 않음
-: 개선 효과가 없고 오히려 악화됨
상기한 결과와 같이, 그룹 1과 2의 경우 피험자 모두가 평가실험 전후를 비교했을때 배변활동이 눈에 띄게 활발해졌다고 평가하였다. 반면에 송이버섯 추출액 및 황기 증류액이 포함되어 있지 않은 비교예 1을 섭취한 그룹 3의 경우 평가실험 전후를 비교했을때 소화불량 개선효과가 전혀 없었으며 오히려 속이 더부룩한 시간이 장시간 지속되었다고 평가하였다. 그룹 4와 5의 경우 소화불량 증상에 변화가 없거나 약간 개선되었다고 평가하였다. 따라서 이 발명의 제조방법으로 제조한 갈비양념소스는 소화불량 개선에 효과를 나타낸다.

Claims (7)

  1. 송이버섯을 세척하는 과정; 상기 세척한 송이버섯을 절단하는 과정; 상기 절단된 송이버섯을 -50℃에서 6시간 동결 건조하는 과정; 상기 동결 건조된 송이버섯을 분쇄하는 과정; 상기 분쇄된 송이버섯 100g당 90% 에탄올 3L를 가하여 2~4시간 동안 추출하는 과정; 상기 추출이 완료되면 감압여과하여 송이버섯 추출액을 수득하는 과정; 상기 수득된 송이버섯 추출액을 농축하는 과정; 상기 농축하는 과정에서 농축액을 물 중량의 20%가 되도록 희석함으로써 송이버섯 추출액을 제조하는 과정; 황기 증류액을 제조하는 과정; 정제수 25.2 중량%, 설탕 14.44 중량%, 양조간장 14.37 중량%, 송이버섯 추출액 12.05 중량%, 배쥬스 9.48 중량%, 파인애플 4.78 중량%, 마늘 4.74 중량%, 물엿 2.87 중량%, 주정 1.64 중량%, 당귀 1.01 중량%, 생강 5.6 중량%, 글루탐산나트륨 0.86 중량%, 참기름 0.72 중량%, 다시마 0.57 중량%, 캬라멜색소 0.50 중량%, 황기 증류액 0.43 중량%, 정제소금 0.37 중량%, 후추 0.22 중량%, 닭고기분말 0.1 중량%, 바이오핵산 0.04 중량%, 파라옥시안식향산에틸 0.01 중량%를 혼합하는 과정; 상기 혼합하는 단계에서의 혼합물을 숙성하는 과정; 상기 숙성된 혼합물을 포장하는 과정을 통하여 제조되며,
    정제수 25.2 중량%, 설탕 14.44 중량%, 양조간장 14.37 중량%, 송이버섯 추출액 12.05 중량%, 배쥬스 9.48 중량%, 파인애플 4.78 중량%, 마늘 4.74 중량%, 물엿 2.87 중량%, 주정 1.64 중량%, 당귀 1.01 중량%, 생강 5.6 중량%, 글루탐산나트륨 0.86 중량%, 참기름 0.72 중량%, 다시마 0.57 중량%, 캬라멜색소 0.50 중량%, 황기 증류액 0.43 중량%, 정제소금 0.37 중량%, 후추 0.22 중량%, 닭고기분말 0.1 중량%, 바이오핵산 0.04 중량%, 파라옥시안식향산에틸 0.01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갈비양념소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황기 증류액은,
    정제수 1L당 황기 50~100g을 첨가하여 100~130℃로 2~3시간 동안 유효성분을 추출하는 단계;
    유효성분이 추출된 추출액 1L당 정제수 2~4L를 가하여 증류기에서 가열하여 증류액을 얻는 단계;
    증류액 1L를 기준으로 산화칼슘 10~100g을 가하여 교반하는 단계;
    상기 교반 후 증류액을 5~15℃에서 12~24시간 방치하여 상등액을 여과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된 것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갈비양념소스.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송이버섯 추출액을 포함하는 갈비양념소스는,
    송이버섯 추출액을 수득하는 단계에서 얻어지는 고형분을 가공하여 얻은 송이버섯 불용성 식이섬유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갈비양념소스.
  4. ◈청구항 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송이버섯을 세척하는 단계;
    상기 세척한 송이버섯을 절단하는 단계;
    상기 절단된 송이버섯을 -50℃에서 6시간 동결 건조하는 단계;
    상기 동결 건조된 송이버섯을 분쇄하는 단계;
    상기 분쇄된 송이버섯 100g당 90% 에탄올 3L를 가하여 2~4시간 동안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이 완료되면 감압여과하여 송이버섯 추출액을 수득하는 단계;
    상기 수득된 송이버섯 추출액을 농축하는 단계;
    상기 농축하는 단계에서 농축액을 물 중량의 20%가 되도록 희석함으로써 송이버섯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황기 증류액을 제조하는 단계;
    정제수 25.2 중량%, 설탕 14.44 중량%, 양조간장 14.37 중량%, 송이버섯 추출액 12.05 중량%, 배쥬스 9.48 중량%, 파인애플 4.78 중량%, 마늘 4.74 중량%, 물엿 2.87 중량%, 주정 1.64 중량%, 당귀 1.01 중량%, 생강 5.6 중량%, 글루탐산나트륨 0.86 중량%, 참기름 0.72 중량%, 다시마 0.57 중량%, 캬라멜색소 0.50 중량%, 황기 증류액 0.43 중량%, 정제소금 0.37 중량%, 후추 0.22 중량%, 닭고기분말 0.1 중량%, 바이오핵산 0.04 중량%, 파라옥시안식향산에틸 0.01 중량%를 혼합하는 단계;
    상기 혼합하는 단계에서의 혼합물을 숙성하는 단계;
    상기 숙성된 혼합물을 포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갈비양념소스 제조방법.
  5. 삭제
  6. ◈청구항 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희석하는 단계는, 상기 송이버섯 추출액을 수득하는 단계에서 얻어지는 고형분을 가공하여 얻은 송이버섯 불용성 식이섬유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갈비양념소스 제조방법.
  7. ◈청구항 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황기 증류액을 제조하는 단계는,
    정제수 1L당 황기 50~100g을 첨가하여 100~130℃로 2~3시간 동안 유효성분을 추출하는 단계;
    유효성분이 추출된 추출액 1L당 정제수 2~4L를 가하여 증류기에서 가열하여 증류액을 얻는 단계;
    증류액 1L를 기준으로 산화칼슘 10~100g을 가하여 교반하는 단계;
    상기 교반 후 증류액을 5~15℃에서 12~24시간 방치하여 상등액을 여과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갈비양념소스 제조방법.
KR1020200120456A 2020-09-18 2020-09-18 송이버섯을 포함하는 갈비양념소스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3028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0456A KR102302804B1 (ko) 2020-09-18 2020-09-18 송이버섯을 포함하는 갈비양념소스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0210082931A KR102351371B1 (ko) 2020-09-18 2021-06-25 갈비양념소스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0456A KR102302804B1 (ko) 2020-09-18 2020-09-18 송이버섯을 포함하는 갈비양념소스 및 그의 제조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2931A Division KR102351371B1 (ko) 2020-09-18 2021-06-25 갈비양념소스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2804B1 true KR102302804B1 (ko) 2021-09-24

Family

ID=7791457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0456A KR102302804B1 (ko) 2020-09-18 2020-09-18 송이버섯을 포함하는 갈비양념소스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0210082931A KR102351371B1 (ko) 2020-09-18 2021-06-25 갈비양념소스의 제조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2931A KR102351371B1 (ko) 2020-09-18 2021-06-25 갈비양념소스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30280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57791A (ko) 2022-05-10 2023-11-17 주식회사 만주 잡내가 없고 우수한 기호도를 나타내는 양념갈비의 제조방법
KR102623587B1 (ko) 2023-07-27 2024-01-11 주식회사 유성갈비 갈비 양념소스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갈비양념소스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5915A (ko) * 1999-02-11 1999-06-25 진상근 엘.씨.에프프로그램을활용한고품질의육제품생산방법및그이용
KR20050003781A (ko) * 2003-07-04 2005-01-12 박상일 불고기용 고기 양념 및 그 제조방법
KR20080063456A (ko) * 2008-06-16 2008-07-04 농업회사법인 하나바이오텍(주) 꽃송이버섯을 첨가한 기능성 빵의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33447B1 (ko) * 2020-01-28 2020-07-14 주식회사 다나을 수면장애 개선 및 수면유도 효과를 가지는 음료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5915A (ko) * 1999-02-11 1999-06-25 진상근 엘.씨.에프프로그램을활용한고품질의육제품생산방법및그이용
KR20050003781A (ko) * 2003-07-04 2005-01-12 박상일 불고기용 고기 양념 및 그 제조방법
KR20080063456A (ko) * 2008-06-16 2008-07-04 농업회사법인 하나바이오텍(주) 꽃송이버섯을 첨가한 기능성 빵의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33447B1 (ko) * 2020-01-28 2020-07-14 주식회사 다나을 수면장애 개선 및 수면유도 효과를 가지는 음료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1371B1 (ko) 2022-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51371B1 (ko) 갈비양념소스의 제조방법
CN107495282B (zh) 火锅底料及其制作方法
KR101128899B1 (ko) 효소 약초 기능성 장아찌의 제조방법
KR20150134018A (ko) 황칠 잎 열수 추출물을 함유하는 김치의 제조방법
KR100872552B1 (ko) 한약재를 이용한 국밥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국밥
KR101598395B1 (ko) 어성초, 삼백초 및 여주가 함유된 산야초 김치의 제조방법
KR20100035746A (ko) Ggi-100 emx를 이용한 저당미의 제조 방법
CN105077189A (zh) 辣椒酱的制作方法
KR102092787B1 (ko) 흰점박이 꽃무지 유충 추출물을 함유하는 건강보조식품용 환 및 이의 제조방법
CN110236077A (zh) 一种具有保健功效的蛋白营养棒及其制备方法
KR101913347B1 (ko) 생강 메주를 이용한 간장, 된장, 고추장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046766B1 (ko) 효소 약초 장아찌의 제조방법
KR20070047396A (ko) 노루궁뎅이버섯 추출물을 이용한 기능성 음료 및 그제조방법
CN103393082A (zh) 一种风味果蔬营养酱的制备方法及此方法制备的风味果蔬营养酱
KR102202065B1 (ko) 항균식물 복합 발효액을 이용한 고추장 제조방법
KR102190491B1 (ko) 천연 벌꿀 분말을 포함하는 육류용 양념의 제조방법
JP4323128B2 (ja) 生理活性組成物
KR970005233B1 (ko) 기호성이 좋은 녹차 혼합차를 제조하는 방법
CN111972656A (zh) 一种香菇酱及其制备方法
KR102539641B1 (ko) 천연 산야초를 이용한 칼국수와 그의 제조방법
KR102313184B1 (ko) 새싹인삼을 함유하는 굼벵이 환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새싹인삼 함유 굼벵이 환
KR102482120B1 (ko) 솔잎과 한방소재를 이용한 청국장의 제조방법
CN107836616A (zh) 一种降三高保健饮料配方及其制备方法
KR102193462B1 (ko) 오미자 양념 소스 및 이를 이용한 돼지갈비, 삼겹살 및 불고기의 조리방법
KR20180026428A (ko) 검정콩 메주, 개똥쑥 또는 녹차 및 죽염을 포함하는 된장, 된장분말, 된장환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