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2398B1 - 전자 레인지용 보존 용기 - Google Patents

전자 레인지용 보존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2398B1
KR102302398B1 KR1020150029628A KR20150029628A KR102302398B1 KR 102302398 B1 KR102302398 B1 KR 102302398B1 KR 1020150029628 A KR1020150029628 A KR 1020150029628A KR 20150029628 A KR20150029628 A KR 20150029628A KR 102302398 B1 KR102302398 B1 KR 1023023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inner container
flange portion
microwave oven
cover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96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13823A (ko
Inventor
코지 미나미타니
타다시 나에무라
Original Assignee
쇼와 덴코 패키징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쇼와 덴코 패키징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쇼와 덴코 패키징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1138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38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23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23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foodstuffs or other articles intended to be cooked or heated within the package
    • B65D81/3446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foodstuffs or other articles intended to be cooked or heated within the package specially adapted to be heated by microwa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22Boxes or like containers with side walls of substantial depth for enclosing cont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W90/10Bio-packaging, e.g. packing containers made from renewable resources or bio-plastics

Abstract

본 발명은 취급이 간단하고 편리성이 높은 전자 레인지용 보존 용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전자 레인지용 보존 용기는, 금속박(25)의 양면에 수지층(26, 27)이 적층된 적층체에 의해 구성되고, 또한 상단에 개구부를 갖는 내측 용기(2)와, 내측 용기(2)의 외측에 맞겹쳐져서 일체화되고, 또한 상단에 개구부를 갖는 수지제의 외측 용기(1)를 구비한다. 외측 용기(1)의 상단 개구부의 주연에, 외측을 향하여 돌출하는 장대 플랜지부(12)가 형성된다. 내측 용기(2)의 상단 개구부의 주연에, 외측을 향하여 돌출하고, 또한 상기 장대 플랜지부(12)의 상면에 맞겹쳐져서 일체화되는 단소 플랜지부(22)가 형성된다. 단소 플랜지부(22)의 외주 단연이, 장대 플랜지부(12)의 외주 단연보다도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Description

전자 레인지용 보존 용기{STORAGE CONTAINER FOR MICROWAVE OVEN}
본 발명은, 카레나 스튜, 그라탱 등의 조리완료 식품을 수용하기 위한 전자 레인지용 보존 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식품을 상온에서 장기간의 보존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가열 가압 살균이 가능하고, 산소나 수증기 등의 배리어성을 가지며, 전자 레인지에 의해 가열, 조리할 때에 스파크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전자 레인지용 보존 용기에 관한 것이다.
상온 유통에서 보존 기간이 3개월 이상의 식품 보존용의 용기로서는, 가열 가압 살균이 가능한 통조림과 같은 금속 용기나, 또는 가스 배리어성을 부여한 플라스틱제의 트레이 용기 등이 일반적이다.
전자의 금속 용기에서는 전자 레인지에 의해 가열, 조리한 때에, 용기를 구성하는 금속 내부에 전하가 축적되기 때문에, 금속 부위의 선단이 뾰족하다는 용기 형상이나 용기끼리가 서로 인접하고 있다는 위치 관계 등이 원인으로 스파크가 발생하고, 용기 파괴나, 최악의 경우에는, 전자 레인지의 손상이 생길 우려가 있다.
또한 후자의 플라스틱제의 트레이 용기에서는 배리어성이 높은 수지재에 의해 제작하였다고 하여도, 금속 캔과 같이 수증기나 산소를 거의 완전히 차단하는 것은 매우 곤란하기 때문에 보존 기간에 한계가 있다.
이와 같은 상황하에서, 소정의 가스 배리어성을 가지며, 또한 전자 레인지에 의한 가열, 조리에도 대응한 전자 레인지용 용기에 관해, 하기 특허 문헌 1,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선행례가 제안되어 있다.
특허 문헌 1에 도시하는 전자 레인지용 용기는, 종이제의 함(函)과, 그 함 내에 수용된 금속 용기로 이루어지고, 금속 용기의 덮개재를 벗기고 나서 상자에 되돌려서 전자 레인지로 가열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특허 문헌 2에 도시하는 전자 레인지용 용기는, 금속재와 플라스틱재(수지재)를 조합한 적층체(복합 재료)에 의해 구성됨과 함께, 저부 하면 중앙에, 특유한 구성의 스파크 방지 부재가 마련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 일본 특개소63-191779호 공보 특허 문헌 2 : 일본 특개2006-131270호 공보
그러나, 상기 특허 문헌 1에 도시하는 종래의 전자 레인지용 용기에서는, 종이제의 함으로부터 취출한 금속 용기의 덮개재를 열고 나서 재차 종이제의 함에 되돌린다는 번잡한 작업이 필요하고, 취급이 번잡하다는 과제가 있다. 또한 상기 특허 문헌 1, 2의 어느 전자 레인지용 용기에서도, 전자 레인지로 가열할 때에, 용기끼리가 서로 인접하여 있는 경우나, 고(庫) 내의 벽면에 근접하고 있는 경우 등, 위치 관계에 따라서는, 스파크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그 때문에, 스파크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용기가 고 내의 내벽에 접합하지 않도록 배치하거나, 용기끼리가 접촉하지 않도록 배치하는 등의 배려나 궁리가 필요하고, 이 점에서도, 취급성에 뒤떨어진다는 과제가 남아 있다.
또한 상기 특허 문헌 1, 2 등의 종래의 전자 레인지용 용기에서는, 전자 레인지 내에서의 스파크 발생을 방지하는 것에 중점이 놓여져 있어서, 금속 캔 등의 금속 용기와 같이, 식품을 장기 보존하기 위한 가스 배리어성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에는, 충분히 배려되어 있지 않다는 것이 현재의 상태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높은 가스 배리어성을 구비하여 내용물의 장기 보존을 가능하게 하고, 또한 전자 레인지의 가열, 조리에 의해서도 스파크 발생을 방지할 수 있으면서 또한, 취급이 간단하여 편리성이 높은 전자 레인지용 보존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그 밖의 목적 및 이점은,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로부터 분명할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이하의 수단을 구비하는 것이다.
[1] 금속박의 양면에 수지층이 적층된 적층체에 의해 구성되고, 또한 상단에 개구부를 갖는 내측 용기와, 상기 내측 용기의 외측에 맞겹쳐져서 일체화되고, 또한 상단에 개구부를 갖는 수지제의 외측 용기를 구비하고,
상기 외측 용기의 상단 개구부의 주연(周緣)에, 외측을 향하여 돌출하는 장대(長大) 플랜지부가 형성됨과 함께,
상기 내측 용기의 상단 개구부의 주연에, 외측을 향하여 돌출하고, 또한 상기 장대 플랜지부의 상면에 맞겹쳐져서 일체화된 단소(短小) 플랜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단소 플랜지부의 외주 단연(端緣)이, 상기 장대 플랜지부의 외주 단연보다도 내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레인지용 보존 용기.
[2] 상기 단소 플랜지부의 외주 단연이, 상기 장대 플랜지부의 외주 단연보다도 0.15㎜ 이상 내측에 배치되어 있는 전항 1에 기재된 전자 레인지용 보존 용기.
[3] 금속박의 양면에 수지층이 적층된 적층체에 의해 구성되고, 또한 상단에 개구부를 갖는 내측 용기와, 상기 내측 용기의 외측에 맞겹쳐져서 일체화되고, 또한 상단에 개구부를 갖는 수지제의 외측 용기를 구비하고,
상기 외측 용기의 주위벽의 상단부가, 외측으로 확경(擴徑)됨에 의해 스태킹용 단차부가 형성되고,
상기 내측 용기의 상단 개구부에, 외측을 향하여 돌출하고, 또한 상기 스태킹용 단차부의 상면에 맞겹쳐져서 일체화되는 단소 플랜지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레인지용 보존 용기.
[4] 상기 외측 용기의 상단 개구부의 주연에, 외측을 향하여 돌출하는 장대 플랜지부가 형성되어 있는 전항 3에 기재된 전자 레인지용 보존 용기.
[5] 금속박의 양면에 수지층이 적층된 시트형상 적층체가, 디프드로잉 성형 또는 장출 성형에 의해 가공되어, 상기 내측 용기가 형성되어 있는 전항 1 내지 4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전자 레인지용 보존 용기.
[6] 사출 성형 금형 내에 설치된 상기 내측 용기의 하면측에 수지 재료가 사출되어 상기 내측 용기의 외측에 밀착 일체화되어, 상기 외측 용기가 형성되어 있는 전항 1 내지 5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전자 레인지용 보존 용기.
[7] 상기 내측 용기의 하면측부터 수지제 시트가 진공 성형, 압공(壓空) 성형, 및 진공압공 성형의 어느 하나에 의해 상기 내측 용기의 외측에 밀착 일체화되어, 상기 외측 용기가 형성되어 있는 전항 1 내지 5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전자 레인지용 보존 용기.
[8] 금속박의 양면에 수지층이 적층된 적층체에 의해 구성된 덮개재가 상기 내측 용기의 상단 개구부를 폐색한 상태로, 상기 덮개재의 외주부가 상기 내측 용기의 단소 플랜지부의 상면에 히트 실에 의해 용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항 1 내지 7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전자 레인지용 보존 용기.
[9] 상기 덮개재와 상기 단소 플랜지부와의 히트 실부의 폭이 0.5㎜ 이상으로 설정되어 있는 전항 8에 기재된 전자 레인지용 보존 용기.
[10] 히트 실부가 상기 단소 플랜지부의 외주 단면을 포함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덮개재를 상기 내측 용기의 상기 단소 플랜지부로부터 박리한 때에, 히트 실에 의해 용융한 수지가, 상기 단소 플랜지부의 외주 단면(端面)을 덮는 양태로 잔류되도록 되어 있는 전항 8 또는 9에 기재된 전자 레인지용 보존 용기.
[11] 금속박의 양면에 수지층이 적층된 적층체에 의해 구성되고, 또한 중간부에 요함부(凹陷部)를 갖는 덮개재를 구비하고,
상기 덮개재의 요함부가 상기 외측 용기에서의 상기 스태킹용 단차부에 둘러싸여지는 부분에 들어맞는(適合) 상태로, 상기 덮개재의 요함부 하면 외주부가 상기 내측 용기의 단소 플랜지부에 히트 실에 의해 용착됨과 함께, 상기 덮개재의 외주연부가 상기 외측 용기의 장대 플랜지부에 히트 실에 의해 용착되어 있는 전항 4에 기재된 전자 레인지용 보존 용기.
발명 [1]의 전자 레인지용 보존 용기에 의하면, 내측 용기가, 금속박에 수지층을 적층한 적층체에 의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가스 배리어성을 향상할 수 있어서, 내용물의 장기 보존에도 대응할 수 있음과 함께, 양호한 열전도성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내측 용기에 수지제의 외측 용기가 일체화되어 있기 때문에, 우수한 보형성(保形性)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금속박을 포함하는 내측 용기의 단소 플랜지부가 수지제의 외측 용기의 장대 플랜지부보다도 작기 때문에, 용기의 위치 관계에 관계없이, 내측 용기의 금속박은, 전자 레인지의 내벽이나 다른 용기의 금속박 등의 금속 부위로부터 충분한 거리를 확보할 수 있어서, 스파크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발명 [2]의 전자 레인지용 보존 용기에 의하면, 스파크의 발생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발명 [3] [4]의 전자 레인지용 보존 용기에 의하면, 복수의 전자 레인지용 보존 용기를 적층할 때에, 상측의 보존 용기의 저부를 하측의 보존 용기의 스태킹용 단차부에 감입함에 의해, 안정된 상태로 적층할 수 있다.
발명 [5]의 전자 레인지용 보존 용기에 의하면, 내측 용기를, 그 단소 플랜지부에 주름이 없는 고품질로 마무리할 수 있다.
발명 [6] [7]의 전자 레인지용 보존 용기에 의하면, 내측 용기에 확실하게 밀착한 고품질의 외측 용기를 형성할 수 있다.
발명 [8] [9]의 전자 레인지용 보존 용기에 의하면, 용기 내를 확실하게 밀폐할 수 있어서, 식료품 등의 내용물을 장기간에 걸쳐서 이상 없이 보존할 수 있다.
발명 [10]의 전자 레인지용 보존 용기에 의하면, 개봉 후에서도, 내측 용기의 금속박이 노출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어서, 스파크의 발생을 보다 한층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발명 [11]의 전자 레인지용 보존 용기에 의하면, 용기 내를 확실하게 밀폐할 수 있어서, 식료품 등의 내용물을 장기간에 걸쳐서 이상 없이 보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인 전자 레인지용 보존 용기를 모식화하여 도시하는 단면도.
도 2는 제1 실시 형태의 전자 레인지용 보존 용기를 덮개재를 벗긴 상태를 모식화하여 도시하는 단면도.
도 3은 제1 실시 형태의 전자 레인지용 보존 용기에서의 내측 용기를 구성하고 있는 적층체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4는 제1 실시 형태의 전자 레인지용 보존 용기에서의 덮개재를 구성하고 있는 적층체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5는 도 1의 전자 레인지용 보존 용기에서의 히트 실부 주변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단면도.
도 6은 도 2의 전자 레인지용 보존 용기에서의 히트 실부 주변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인 전자 레인지용 보존 용기를 모식화하여 도시하는 단면도.
도 8은 제1 실시 형태의 전자 레인지용 보존 용기를 덮개재를 벗긴 상태를 모식화하여 도시하는 단면도.
도 9는 도 7의 전자 레인지용 보존 용기에서의 히트 실부 주변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단면도.
도 10은 도 8의 전자 레인지용 보존 용기에서의 히트 실부 주변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단면도.
<제1 실시 형태>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인 전자 레인지용 보존 용기를 모식화하여 도시하는 단면도, 도 2는 덮개재를 잡아뗀 상태를 모식화하여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양 도면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제1 실시 형태의 전자 레인지용 보존 용기는, 내용물(F)로서 수용된 카레나 스튜 등의 조리완료 식품을 장기간 보존할 수 있는 용기이고, 또한 필요시에, 전자 레인지에 의해 이상 없이 가열, 조리할 수 있는 전자 레인지 대응형의 용기이다.
본 실시 형태의 전자 레인지용 보존 용기는, 외측 용기(1) 및 내측 용기(2)로 이루어지는 이중용기와, 그 이중용기의 상단 개구부를 폐색하는 덮개재(3)를 구비하고 있다.
외측 용기(1) 및 내측 용기(2)는 함께, 상단에 개구부를 각각 갖고 있고, 외측 용기(1)가, 내측 용기(2)의 외측(하측)에 맞겹쳐져서 밀착 일체화되어 있다.
외측 용기(1)의 상단 개구부의 주연에는, 외측을 향하여 수평 방향으로 돌출하는 플랜지부(장대 플랜지부)(12)가 전둘레에 걸쳐서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내측 용기(2)의 상단 개구부의 주연에는, 외측을 향하여 수평 방향으로 돌출하고, 또한 외측 용기(1)의 장대 플랜지부(12)의 상면에 밀착 일체화된 플랜지부(단소 플랜지부)(22)가 전둘레에 걸쳐서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후에 상세히 기술하는 바와 같이, 단소 플랜지부(22)는, 장대 플랜지부(12)에 대해 외측으로의 돌출량이 적게 되어 있다.
덮개재(3)는, 외측 용기(1) 및 내측 용기(2)의 상단 개구부의 개구면적보다도 크게 형성되어 있고, 덮개재(3)에 의해 양 용기(1, 2)의 상단 개구부를 폐색한 상태로, 덮개재(3)의 주연부와, 장대 플랜지부(12) 및 단소 플랜지부(22)가 히트 실부(41)에서 전둘레에 걸쳐서 히트 실에 의해 용착 일체화되어, 용기(1, 2)의 내부가 밀봉(봉지)되어 있다.
또한 덮개재(3)의 외주연부의 일부는, 수평 방향(측방)으로 연설되어, 벗김용 손잡이부(31)가 형성되어 있고, 덮개재(3)를 이중용기(1, 2)로부터 잡아뗄 때에, 벗김용 손잡이부(31)를 손가락으로 쥐고서 당겨올림에 의해, 덮개재(3)를 이중용기(1, 2)로부터 용이하게 잡아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 외측 용기(1)는, 수지 성형품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금속박 등의 금속재가 포함되지 않았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내측 용기(2)는, 금속박(25)과, 금속박(25)의 상면에 접착제(251)를 통하여 적층 일체화된 수지층(수지 필름)(26)과, 금속박(25)의 하면에 접착제(252)를 통하여 적층 일체화된 수지층(27)을 구비한 적층체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덮개재(3)는, 금속박(35)과, 금속박(35)의 상면에 접착제(351)를 통하여 적층 일체화된 수지층(수지 필름)(36)과, 금속박(35)의 하면에 접착제(52)를 통하여 적층 일체화된 수지층(37)을 구비한 적층체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전자 레인지용 보존 용기는, 수지제의 외측 용기(1)와, 금속박(25) 및 수지층(26, 27)의 적층체의 내측 용기(2)로 구성된 이중용기로 되어 있고, 또한 덮개재(3)도 금속박(35) 및 수지층(36, 37)의 적층체에 의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레토르트 살균에 견딜수 있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본 실시 형태의 전자 레인지용 보존 용기에서는 통상, 내용물(F)이 들어간 상태로 밀봉되어 가열 가압 살균된 후는 상온에서 6개월 이상의 보존 기간을 갖고서 유통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금속 캔 수준의 보존성을 갖게 하기 위해서는, 식품(내용물(F))이 닿는 부분에 가스 배리어층이 필요하게 되기 때문에, 이중용기(1, 2)와 덮개재(3)의 히트 실부(41)는, 금속박(25)을 포함하는 내측 용기(2)의 단소 플랜지부(22)에 0.5㎜ 이상 겹쳐지도록 한다. 또한, 0.5㎜ 미만에서는 내측 용기(2)와 덮개재(3)와의 사이에 충분한 밀착 면적이 확보할 수가 없고, 경우에 따라서는 히트 실부(41)를 통하여 내용물(F)가 외측 용기(1)까지 침식하기 때문에, 금속 캔 수준의 가스 배리어성을 확보하는 것이 곤란하게 되어 버린다.
또한, 외측 용기(1)의 장대 플랜지부(12)로부터, 금속박(25)을 포함하는 내측 용기(2)의 단소 플랜지부(22)가 외측으로 삐져나오지 않도록, 내측 용기(2)의가 단소 플랜지부(22)의 외주 단연은 외측 용기(1)의 장대 플랜지부(12)의 외주 단연보다도 0.15㎜ 이상 내측에 배치한다. 즉 내측 용기(2)의 단소 플랜지부(22)를 외측 용기(1)의 장대 플랜지부(12)보다도 작게 형성한다. 이에 의해 전자 레인지에 의한 가열, 조리시에 고 내에 배치된 복수의 보존 용기에서 서로 금속박(25)을 포함하는 단소 플랜지부(22, 22)끼리가 맞겹쳐지거나, 단소 플랜지부(22)가 고 내의 벽에 닿게 되는 일이 없어서, 스파크의 발생을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외측 용기(1)의 재료로서 사용한 수지는 특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범용성이나 수지의 비용을 고려하면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PE) 등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나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라는 열가소성 수지가 바람직하다.
외측 용기(1)의 제작 방법도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미리 프레스 성형된 내측 용기(2)에, 사출 성형이나, 진공 성형, 압공 성형, 진공압공 성형 등을 이용하여, 외측 용기(1)를 밀착 일체화시키는 방법 등을 알맞게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미리 프레스 성형된 내측 용기(2)를 사출 성형기의 금형 내에 세트하고, 내측 용기(2)의 외부 저면부터 열가소성 수지를 용융 사출하여 외측 용기(1)를 성형하면서 내측 용기(2)에 일체화시키는 방법이나, 미리 프레스 성형된 내측 용기(2)의 하면측(외측)에, 수지 시트를 가열하여 진공 성형, 압공 성형, 진공압공 성형 등에 의해 눌러붙여서 밀착 일체화시키는 방법 등을 채용할 수 있다.
어떻든 외측 용기(1)를 구성하는 수지층의 두께는 0.15㎜ 내지 3㎜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0.15㎜ 미만에서는, 내측 용기(2)에 포함되는 금속박(25)과, 다른 금속과의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질 가능성이 높아져서, 스파크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역으로 외측 용기(1)의 수지 두께가 3㎜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성형의 난이도가 올라가고, 비용이 높고, 용기 형상이 커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가 않다.
내측 용기(2)는 이미 기술한 바와 같이, 금속박(25)의 양면에 접착제(251, 252)를 통하여 수지층(26, 27)으로서의 열용해성 필름 등을 맞붙인 것을 사용하는데(도 3 참조), 열용해성 필름의 재질은 외측 용기(1)의 재질과 동일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외측 용기(1)가 폴리프로필렌제라면, 내측 용기(2)의 수지층을 열용해성 필름의 소재를 무연신의 폴리프로필렌 필름으로 하고, 외측 용기(1)가 폴리에틸렌제라면, 열용해성 필름의 소재를 무연신의 폴리에틸렌 필름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측 용기(2)의 금속박(25)은 알루미늄, 구리, 철 등의 단체 또는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박(箔)을 사용할 수 있는데, 그 중에서도 경제성이나 프레스 성형에 적합한 기계 강도를 갖는 알루미늄 합금박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연질의 JISH4000으로 분류되는 A8079, 8021, 3003, 3004 중의 어느 하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두께를 20㎛ 내지 150㎛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금속박(25)의 두께가 20㎛ 미만이면 핀 홀의 발생률이 높아지고, 내측 용기(2)의 성형시의 프레스 성형에서 깨짐도 나오기 쉽고, 150㎛를 초과하는 경우, 수지제의 외측 용기(1)와 일체화할 때에 열이 전하여지기 어려운 외에, 비용도 높아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가 않다.
내측 용기(2)의 수지층(26, 27)으로서의 열용해성 필름에 대해서도 열전도성이나 비용을 고려하여, 20㎛ 내지 100㎛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접착제(251, 252)에 관해서는, 가열 가압 살균에 견디는 폴리에스테르폴리우레탄계, 또는 폴리에테르폴리우레탄계의 2액경화형 접착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도포량을 1 내지 3g/㎡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측 용기(2)는, 디프드로잉 성형이나 장출 성형을 이용하여 제작된다. 예를 들면 상기 도 3에 도시하는 시트형상의 적층체에 대해, 디프드로잉 성형이나 장출 성형에 의해, 오목부가 있는 적층체(성형 시트)를 제작하고, 그 시트의 외주연부(플랜지부)를 알맞은 크기에 트리밍하여, 단소 플랜지부(22)를 형성함에 의해, 내측 용기(2)를 제작하는 것이다.
또한 내측 용기(2)를 디프드로잉 성형이나 장출 성형 등의 프레스 가공에 의해 제작하는 경우, 프레스 가공시에 플랜지부가 금형에 의해 상하로부터 구속되기 때문에, 플랜지부에 주름이 발생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내측 용기(2)의 단소 플랜지부(22)에 주름이 생기지 않기 때문에, 플랜지부(22)에 포함된 금속박(25)에 겹침이 없어져서, 전자 레인지에 의한 가열, 요리시에 스파크의 발생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덮개재(3)는, 살균 후에 상온 유통되는 것을 상정하여, 금속박(35)에 대해 용기의 외측(상측)이 되는 면에 접착제(351)를 통하여 수지층(36)으로서의 내열 필름을 맞붙임과 함께, 금속박(35)에 대해 용기의 내측(하측)이 되는 면에 접착제(52)를 통하여 수지층(37)으로서의 열융착 필름을 맞붙인 구성으로 되어 있다. 금속박(35)은 알루미늄, 구리, 철 등의 단체 또는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박을 알맞게 사용할 수 있는데, 경제성이나 프레스 성형에 적합한 기계 강도를 갖는 알루미늄박이 바람직하다. 금속박(35)으로서의 알루미늄박은, 연질의 JISH4000 또는 JISH4160로 분류되는 A1N30 합금이나 1100 등의 1000계가 순(純)알루미늄이라도, 3000계, 8000계의 합금박이라도 상관없지만, 두께는 20㎛ 내지 100㎛로 한다. 20㎛ 미만에서는 핀 홀 발생률이 높아져서, 바람직하지가 않다. 역으로 금속박의 두께가 100㎛를 초과한 경우, 히트 실할 때에 열이 전하여지기 어렵게 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가 않다. 또한 수지층(36)으로서의 내열 필름은 범용성이 높은 폴리에스테르 필름이나 폴리아미드 필름이 바람직하고, 모두 9㎛ 내지 25㎛의 두께로 한다. 또한 수지층(37)으로서 열용해성 필름은 가열 가압 살균이 가능하고, 개봉시에 이지·필 할 수 있도록 폴리에틸렌과 폴리프로필렌 수지가 혼합한 개봉성이 용이한 실런트 등 범용의 필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지층(37)으로서의 열용해성 필름의 두께는 20㎛ 내지 100㎛라고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범용성과 비용을 고려하면 30㎛ 내지 50㎛로 하는 것이 한층 바람직하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덮개재(3)의 이중용기(1, 2)에 대한 히트 실부(41)를, 내측 용기(2)의 단소 플랜지부(22)의 외주 단면(端面)을 포함하는 위치에 배치함에 의해, 히트 실시에 용융한 수지층(37)에 의해 단소 플랜지부(22)의 외주 단면이 피복되도록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해, 덮개재(3)를 이중용기(1, 2)로부터 벗긴 때에,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덮개재(3)의 수지층(37)이 히트 실시에 용융하여 생긴 수지(411)가, 단소 플랜지부(22)의 외주 단면을 덮도록 잔류 배치된다. 이 때문에, 내측 용기(2)에 포함되는 금속박(25)이 단소 플랜지부(22)의 외주 단면에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어서, 전자 레인지에 의한 가열, 요리시에 스파크가 발생하는 것을 보다 한층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인 전자 레인지용 보존 용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양 도면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제2 실시 형태의 전자 레인지용 보존 용기는, 외측 용기(1)의 주위벽의 상단부에, 스태킹용 단차부(15)가 형성되어 있어서, 복수의 전자 레인지용 보존 용기를 안정 상태로 적층하여 배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이 제2 실시 형태의 전자 레인지용 보존 용기에서는, 외측 용기(1)의 주위벽의 상단부에, 그 상단부의 전둘레가 외측으로 밀어 벌어지도록 확경됨에 의해, 스태킹용 단차부(15)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내측 용기(2)는, 그 단소 플랜지부(22)가 외측 용기(1)의 스태킹용 단차부(15)의 수평부 상면에 맞겹쳐져서 밀착 일체화되어 있다.
또한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덮개재(3)는, 그 외주연부를 제외한 중간부에, 외측 용기(1)의 단차부(15)에 의해 둘러싸여지는 부분에 들어맞음(適合) 가능한 요함부(凹陷部)(30)가 형성되어 있다. 이 덮개재(3)의 요함부(30)가, 상기 이중용기(1, 2)에서의 외측 용기(1)의 스태킹용 단차부(15)에 의해 둘러싸여지는 부분에 들어맞아서, 덮개재(3)의 요단부(凹段部)(덮개재 오목부)(30)의 하면 외주연부가 내측 용기(2)의 단소 플랜지부(22)의 상면에 설치됨과 함께, 덮개재(3)의 외주연부가 외측 용기(1)의 장대 플랜지부(12)의 상면에 설치된다.
그리고 덮개재(3)의 요함부(30)의 외주연부와 내측 용기(2)의 단소 플랜지부(22)가 맞겹치는 영역(히트 실부(42))가 히트 실되어 용착됨과 함께, 덮개재(3)의 외주연부와 외측 용기(1)의 장대 플랜지부(22)가 맞겹치는 영역(히트 실부(43))가 히트 실되어 용착되어 있다.
또한 덮개재(3)는, 디프드로잉 성형이나 장출 성형을 이용하여 제작된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실시 형태의 덮개재(3)와 같은 시트형상의 적층체(도 4 등 참조)에 대해, 디프드로잉 성형이나 장출 성형에 의해, 외측 용기(1)의 스태킹용 단차부(15)에 둘러싸여지는 부분에 들어맞음 가능한 요함부(30)를 형성한다. 그리고 그 요함부가 있는 적층체(성형 시트)의 외주연부를 트리밍하여, 소정의 크기로 형성하여, 요함부가 있는 덮개재(3)를 제작하는 것이다.
이 제2 실시 형태의 전자 레인지용 보존 용기에서, 덮개재(3)를 잡아뗀 때에는, 도 8 및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히트 실시에 용융한 수지층(37)이, 단소 플랜지부(22)의 외주 단면을 덮도록 히트 실부(42)에 잔류 배치된다. 이 때문에, 상기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내측 용기(2)에 포함되는 금속박(25)이 잔류 수지(421)에 의해 단소 플랜지부(22)의 외주 단면에서 노출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이 제2 실시 형태의 전자 레인지용 보존 용기에서, 다른 구성은, 상기 제1 실시 형태의 전자 레인지용 보존 용기와 실질적으로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동일 또는 상당 부분에 동일 부호를 붙이고,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이 제2 실시 형태의 전자 레인지용 보존 용기에서도, 상기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같은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외측 용기(1)의 스태킹용 단차부(15)에 내측 용기(2)의 단소 플랜지부(22)를 겹치고 있기 때문에, 외측 용기(1)의 장대 플랜지부(12)에 금속박을 포함하는 내측 용기(2)가 존재하지 않아서, 덮개재(3)를 벗긴 후, 이중용기(1, 2)를 전자 레인지 고 내에 복수 겹쳐도 스파크가 발생하는 일은 없다. 단, 덮개재(3)는 단차(段差)를 갖고서 내측 용기(2)의 단소 플랜지부(22)까지도 히트 실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이 단차 부분에 실할 수 있도록, 이미 기술한 바와 같이 미리 프레스 성형한 덮개재(3)를 사용하고, 히트 실부(42), 43의 개소에서 히트 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외측 용기(1)의 스태킹용 단차부(15)와 내측 용기(2)의 단소 플랜지부(22)의 실 폭은 상기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0.5㎜ 이상으로 함으로써, 금속 용기 수준의 가스 배리어성을 유지시킬 수 있다.
[실시례]
다음에,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례에 관해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례의 것으로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Figure 112015020915760-pat00001
<실시례 1>
두께 100㎛의 JISH4000로 분류되는 A8079의 소둔이 끝난 알루미늄 합금박의 양면에 도포량 3g/㎡의 2액경화형의 폴리에스테르폴리우레탄계 접착제를 통하여 두께 30㎛의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맞붙이고, 40℃하에서 3일간 양생하고, 그 양면에 윤활 성형용의 실리콘유를 극히 얇게 도포함에 의해, 내측 용기(2)용의 적층체를 얻었다.
표 1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그 적층체를 구경 120㎜φ이고 플랜지 폭 2㎜, 용량 200㎖의 치수의 환형(원통형) 용기가 되도록 웅형(雄型)과 자형(雌型)으로 이루어지는 금형을 이용하여, 플랜지 부분에 주름이 들어가지 않도록 디프드로잉 성형하여, 내측 용기(2)를 제작하였다.
다음에 상기 내측 용기(2)의 내부 형상에 맞춘 사출 성형기의 웅형에 상기 내측 용기(2)를 설치하고, 자형을 맞겹쳐서 금형을 닫고, 자형 부분(내측 용기(2)의 하면측)부터, 1%탈크를 함유한 MFR이 15g/10분(JIS K7210의 온도 230℃, 하중 2.16㎏으로 측정)의 랜덤형의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금형 내에 용융 사출하여, 평균 두께가 1㎜의 폴리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지는 외측 용기(1)를 내측 용기(2)의 외측에 밀착시키도록 성형하여, 제1 실시 형태에 대응하는 전자 레인지용 보존 용기의 이중용기를 제작하여, 실시례 1의 시작(試作) 용기로 하였다. 또한 이 사출 성형에서는, 외측 용기(1)에서의 장대 플랜지부(12)의 플랜지 폭이 5㎜로 형성되도록 하였다.
<실시례 2>
표 1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실시례 1과 마찬가지로 얻어진 내측 용기(2)의 단소 플랜지부(22)를 그 폭이 0.5㎜가 되도록 트리밍하였다. 다음에 상기 제2 실시 형태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태킹용 단차부(15)를 갖는 외측 용기(1)를, 사출 성형에 의해 상기한 내측 용기(2)에 밀착하도록 성형하였다. 즉, 사출 성형기의 웅형에 상기 내측 용기(2)를 설치하고, 자형을 맞겹쳐서 금형을 닫고, 자형 부분(내측 용기(2)의 하면측)으로부터, 1%탈크를 함유한 MFR이 15g/10분(JIS K7210의 온도 230℃, 하중 2.16㎏로 측정)의 랜덤형의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금형 내에 용융 사출하여, 평균 두께가 1㎜의 폴리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지는 외측 용기(1)를 내측 용기(2)의 외측에 밀착시키도록 성형하여, 제2 실시 형태에 대응하는 전자 레인지용 보존 용기의 이중용기를 제작하고, 실시례 2의 시작 용기로 하였다. 또한 이 사출 성형에서는 외측 용기(1)에서의 장대 플랜지부(12)의 플랜지 폭이 5㎜이고, 외측 용기(1)의 주위벽에서의 상단 개구보다 하측에 5㎜의 위치에 전둘레에 걸쳐서 수평부의 폭이 0.5㎜의 스태킹용 단차부(15)가 형성되도록 하였다.
<실시례3>
표 1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실시례 1과 마찬가지로 얻어진 내측 용기(2)의 내측 형상에 맞춘 진공 성형용의 플러그 금형에 상기 내측 용기(2)를 설치하고, 160℃로 가열한 두께 0.3㎜의 랜덤형의 폴리프로필렌 시트를 플러그로 밀어 넣으면서 진공 성형하여, 내측 용기(2)의 외측에 밀착 일체화시켜서 외측 용기(1)를 형성하였다. 이 외측 용기(1)에서의 장대 플랜지부(12)의 폭이 5㎜가 되도록 트리밍하여, 제1 실시 형태에 대응하는 전자 레인지용 보존 용기의 이중용기를 제작하고, 실시례3의 시작 용기로 하였다.
<비교례 1>
표 1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실시례 1과 마찬가지로 얻어진 내측 용기만을 비교례 1의 시작 용기로서 준비하였다.
<비교례 2>
표 1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내측 용기의 플랜지부(단소 플랜지부에 상당)의 폭 치수를 5㎜로 하고, 그 플랜지부의 외주 단연(端緣)이 외측 용기의 플랜지부(장대 플랜지부에 상당)의 외주 단연에 일치시키도록 하고, 그 이외는 상기 실시례 1과 마찬가지로 하여, 비교례 2의 시작 용기를 제작하였다.
<전자 레인지 적성(適性)의 평가방법>
Figure 112015020915760-pat00002
표 2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실시례 1 내지 3 및 비교례 1, 2의 각 시작 용기에 대해, 출력 600W의 전자 레인지 고 내에 스파크가 발생하기 쉬운 이하의 상태 (1) 내지 (4)로 하여, 10분간 마이크로파를 각각 조사(照射)하였다.
(1) 전자 레인지에서의 수지제의 턴테이블상에 2개의 시작 용기의 플랜지 부분이 서로 맞접촉하도록 배치하였다.
(2) 수지제의 턴테이블상에 2개의 시작 용기의 서로의 플랜지부를 겹처서 배치하였다.
(3) 수지제의 턴테이블상에 법랑제의 접시를 싣고, 그 위에 시작 용기를 배치하였다.
(4) 수지제의 턴테이블의 전면에 가정용 알루미늄박을 부설하고, 그 위에 시작 용기를 배치하였다.
계속해서, 시작 용기에 수돗물 200㎖를 충전하고, 수지제의 턴테이블의 중앙에 배치하여 수돗물이 비등할 때까지의 시간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표 2에 아울러서 표시한다.
표 2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실시례 1 내지 3의 시작 용기에서는 고의로 스파크가 발생하기 쉬운 상태 (1) 내지 (4)로 하여 마이크로파를 조사하여도 스파크가 발생하는 일은 없었지만, 비교례 1의 내측 용기(알루미늄 가공 박(箔))만의 시작 용기에서는, 플랜지 단부를 접촉시켜도 플랜지를 겹쳐도 곧바로 스파크가 발생하고, 법랑 접시나 알루미늄박의 위에 둔 상태에서도 용기 저부에서 스파크가 발생하였다. 또한, 비교례 2와 같이 플랜지 단부가 노출하고 있는 상태의 시작 용기는, 플랜지를 겹친 뿐이면 스파크를 발생하지 않았지만, 노출하고 있는 알루미늄끼리를 접촉시키면 신속하게 스파크가 발생하였다.
<용기의 보존성능>
용기의 보존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이하의 밀봉용의 덮개재(A, B)를 제작하였다.
<덮개재(A)>
두께 60㎛의 JISH4000로 분류되는 1N30의 연질 알루미늄의 편면에 2액경화형의 폴리에스테르폴리우레탄 수지로 이루어지는 가열 가압 살균 대응의 접착제를 3g/㎡가 되도록 도포하고, 두께 12㎛의 폴리에스테르 필름(도요방적주식회사제「E5100」)을 맞붙였다. 또한 알루미늄박의 반대면에 같은 접착제를 같은 도포량으로 도포하고, 두께 50㎛의 폴리프로필렌과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지는 이지·필 실런트 필름(오카모토주식회사제「아로마TP6」)을 맞붙이고, 40℃의 항온조에 3일간 양생하고, 시작 용기의 플랜지부보다도 한층 크게 트리밍하여, 가열 가압 살균이 가능한 덮개재(A)를 제작하였다.
<덮개재(B)>
전술한 덮개재(A)와 같은 원재료(元材料)를, 디프드로잉 성형에 의해 깊이 5㎜로 요함(凹陷) 형성하고, 실시례 2의 시작 용기에서 스태킹용 단차부에 들어맞음 가능한 요함부로 함과 함께, 그 디프드로잉 성형품의 외주연부를, 실시례 2의 시작 용기의 플랜지부보다도 한층 크게 트리밍하여, 가열 가압 살균이 가능한 덮개형상의 덮개재(요함부가 있는 덮개재)(B)를 제작하였다.
<충전물(내용물)>
덮개재(A, B)에 의해 밀봉된 시작 용기의 가스 배리어성을 평가하기 위해 산소에 의해 변색하기 쉬운 안토시아닌이나 타닌을 많이 포함하는 양갱을 충전물(내용물)로서 선정하고, 다음의 요령으로 제작하였다.
법랑 냄비에 넣은 순수 400㎖에 대해, 시판의 통조림에 들어갔던 껍질없는 팥소(가당(加糖)) 500g와 한천 파우더 4g를 가하고, 약한 불에 10분간 조렸다.
<밀봉 조건>
Figure 112015020915760-pat00003
다음에 각종 용기에 충전물을 넣고, 이하의 조건 1 내지 4로 밀봉 실하여, 실시례 11, 12 및 비교례 11, 12의 밀봉형 시작 용기를 제작하였다.
<조건 1(실시례 11)>
표 3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실시례 1과 같은 개방형 시작 용기에 충전물을 200㎖ 가하고, 덮개재(A)를 덮어 플랜지부의 전폭(5㎜ 폭)에서 받도록 가공한 실용 버킷에 설치하고, 상부부터 200℃로 가열한 알루미늄제의 실 금형으로 플랜지 부분에 0.3MPa가 압력을 가하여 2초간 플랜지 전체에 히트 실을 행하여, 실시례 11의 밀봉형의 시작 용기로 하였다.
<조건 2(비교례 11)>
표 3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조건 1(실시례 11)과 같은 요령으로, 실용 버킷에 설치하고, 외측 용기의 플랜지부만이 실되도록 가공한(내측 용기가 실되지 않도록 가공한 전둘레 실 폭 2㎜의) 알루미늄제의 금형으로 200℃, 0.3MPa, 2초간의 조건으로 히트 실을 행하여, 비교례 11의 밀봉형 시작 용기로 하였다.
<조건 3(실시례 12)>
표 3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실시례 2와 같은 개방형 시작 용기에 내용물을 170㎖ 가하고, 그 시작 용기의 상단에 덮개재(B)를 설치하였다. 이 때, 덮개재(B)의 요함부를 개방형 시작 용기에서의 스태킹용 단차부에 둘러싸여지는 부분에 들어맞는 상태로 감입함과 함께, 덮개재(B)의 외주연부를 시작 용기의 플랜지부에 재치하였다. 그리고 요함부가 있는 덮개재(B)의 형상으로 가공한 알루미늄제의 실 금형을 이용하여, 200℃, 0.3MPa, 2초간의 조건으로, 개방형 시작 용기에서의 플랜지부와 스태킹용 단차부와의 부분에서, 히트 실을 행하여, 실시례 12의 밀봉형 시작 용기로 하였다.
<조건 4(비교례 12)>
표 3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조건 3과 같은 요령으로, 실시례 2와 같은 개방형 시작 용기에 내용물을 170㎖ 가하고 덮개재(B)를 덮고, 스태킹 단차부가 실되지 않도록, 외측 용기의 장대 플랜지부만을 알루미늄제의 금형으로 200℃, 0.3MPa, 2초간의 조건으로 히트 실을 행하고, 비교례 12의 밀봉형 시작 용기로 하였다.
<보존 시험 방법>
Figure 112015020915760-pat00004
조건 1 내지 4로 충전 밀봉한 실시례 11, 12 및 비교례 11, 12의 각 밀봉형 시작 용기를 40℃의 항온조에 넣고, 3개월간 경과 후에 덮개재를 개봉하여 충전물의 변색을 관찰하였다. 그 결과를 표 4에 표시한다.
표 4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40℃의 온도 환경에서 3개월의 보존 기간을 경유하면 덮개재의 실의 위치에 배리어층이 되는 알루미늄박을 갖는 내측 용기의 플랜지부가 없는 비교례 11, 12의 밀봉 용기에서는, 충전물 중의 팥(小豆)의 안토시아닌이나 타닌 등의 산화에 의한다고 생각되는 흑변이 보여졌다. 한편, 실 위치에 알루미늄박을 갖는 내측 용기의 플랜지부가 있는 실시례 11, 12에서는, 흑변이 보여지지 않아, 알루미늄박에 의한 가스 배리어성의 효과가 확인되었다.
또한, 본 시험에서 사용한 조건 1, 3(실시례 11, 12)의 밀봉 용기는 덮개재 개봉 후, 플랜지 단부에 알루미늄박이 노출하지 않기 때문에, 전자 레인지 조리에서 스파크 발생의 우려는 없다.
본원은, 2014년 3월 31일자로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의 특원2014-73402호의 우선권 주장을 수반하는 것이고, 그 개시 내용은, 그대로 본원의 일부를 구성하는 것이다. 여기에 사용되는 용어 및 표현은, 설명을 위해 사용된 것이고 한정적으로 해석하기 위해 사용된 것이 아니고, 여기에 나타나고 또한 진술된 특징 사항의 어떤 균등물도 배제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클레임된 범위 내에서의 각종 변형도 허용하는 것이라고 인식되어야 한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의 전자 레인지용 보존 용기는, 카레나 스튜, 그라탱 등의 조리완료 식품 등의 내용물을 장기간 보존하면서, 필요시에 전자 레인지로 내용물을 가열 조리할 수 있는 전자 레인지 대응형의 보존 용기로서 이용할 수 있다.
1 : 외측 용기 12 : 장대 플랜지부
15 : 스태킹용 단차부 2 : 내측 용기
22 : 단소 플랜지부 25 : 금속박
26 : 수지층 27 : 수지층
3 : 덮개재 30 : 요함부(덮개재 오목부)
35 : 금속박 36 : 수지층
37 : 수지층 41 : 히트 실부
411 : 잔류 수지 42 : 히트 실부
421 : 잔류 수지

Claims (11)

  1. 금속박의 양면에 수지층이 적층된 적층체에 의해 구성되고, 또한 상단에 개구부를 갖는 내측 용기와, 상기 내측 용기의 외측에 맞겹쳐져서 일체화되고, 또한 상단에 개구부를 갖는 수지제의 외측 용기를 구비하고,
    상기 외측 용기의 주위벽의 상단부가, 외측으로 확경됨에 의해 스태킹용 단차부가 형성되고,
    상기 내측 용기의 상단 개구부에, 외측을 향하여 돌출하고, 또한 상기 스태킹용 단차부의 상면에 맞겹쳐져서 일체화되는 단소 플랜지부가 형성되며,
    상기 외측 용기의 상단 개구부의 주연에, 외측을 향하여 돌출하는 장대 플랜지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금속박의 양면에 수지층이 적층된 적층체에 의해 구성되고, 중간부에 요함부를 갖는 덮개재를 구비하며, 상기 덮개재가 상기 내측 용기의 상단 개구부를 폐색한 상태로, 상기 덮개재의 외주부가 상기 내측 용기의 단소 플랜지부의 상면에 히트 실에 의해 용착되어 있으며,
    상기 덮개재의 요함부가 상기 외측 용기에서의 상기 스태킹용 단차부에 둘러싸여지는 부분에 들어맞는 상태로, 상기 덮개재의 요함부 하면 외주부가 상기 내측 용기의 단소 플랜지부에 히트 실에 의해 용착됨과 함께, 상기 덮개재의 외주연부가 상기 외측 용기의 장대 플랜지부에 히트 실에 의해 용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레인지용 보존 용기.
  2. 금속박의 양면에 수지층이 적층된 적층체에 의해 구성되고, 또한 상단에 개구부를 갖는 내측 용기와, 상기 내측 용기의 외측에 맞겹쳐져서 일체화되고, 또한 상단에 개구부를 갖는 수지제의 외측 용기를 구비하고,
    상기 외측 용기의 상단 개구부의 주연에, 외측을 향하여 돌출하는 장대 플랜지부가 형성됨과 함께,
    상기 내측 용기의 상단 개구부의 주연에, 외측을 향하여 돌출하고, 또한 상기 장대 플랜지부의 상면에 맞겹쳐져서 일체화되는 단소 플랜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단소 플랜지부의 외주 단연이, 상기 장대 플랜지부의 외주 단연보다도 내측에 배치되며,
    금속박의 양면에 수지층이 적층된 적층체에 의해 구성된 덮개재가 상기 내측 용기의 상단 개구부를 폐색한 상태로, 상기 덮개재의 외주부가 상기 내측 용기의 단소 플랜지부의 상면에 히트 실에 의해 용착되어 있으며,
    히트 실부가 상기 단소 플랜지부의 외주 단면을 포함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덮개재를 상기 내측 용기의 상기 단소 플랜지부로부터 박리한 때에, 히트 실에 의해 용융한 수지가, 상기 단소 플랜지부의 외주 단면을 덮는 양태로 잔류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레인지용 보존 용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단소 플랜지부의 외주 단연이, 상기 장대 플랜지부의 외주 단연보다도 0.15㎜ 이상 내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레인지용 보존 용기.
  4. 금속박의 양면에 수지층이 적층된 적층체에 의해 구성되고, 또한 상단에 개구부를 갖는 내측 용기와, 상기 내측 용기의 외측에 맞겹쳐져서 일체화되고, 또한 상단에 개구부를 갖는 수지제의 외측 용기를 구비하고,
    상기 외측 용기의 주위벽의 상단부가, 외측으로 확경됨에 의해 스태킹용 단차부가 형성되고,
    상기 내측 용기의 상단 개구부에, 외측을 향하여 돌출하고, 또한 상기 스태킹용 단차부의 상면에 맞겹쳐져서 일체화되는 단소 플랜지부가 형성되며,
    금속박의 양면에 수지층이 적층된 적층체에 의해 구성된 덮개재가 상기 내측 용기의 상단 개구부를 폐색한 상태로, 상기 덮개재의 외주부가 상기 내측 용기의 단소 플랜지부의 상면에 히트 실에 의해 용착되어 있으며,
    히트 실부가 상기 단소 플랜지부의 외주 단면을 포함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덮개재를 상기 내측 용기의 상기 단소 플랜지부로부터 박리한 때에, 히트 실에 의해 용융한 수지가, 상기 단소 플랜지부의 외주 단면을 덮는 양태로 잔류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레인지용 보존 용기.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금속박의 양면에 수지층이 적층된 시트형상 적층체가, 디프드로잉 성형 또는 장출 성형에 의해 가공되어, 상기 내측 용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레인지용 보존 용기.
  6.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사출 성형 금형 내에 설치된 상기 내측 용기의 하면측에 수지 재료가 사출되어 상기 내측 용기의 외측에 밀착 일체화되어, 상기 외측 용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레인지용 보존 용기.
  7.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용기의 하면측부터 수지제 시트가 진공 성형, 압공 성형, 및 진공압공 성형의 어느 하나에 의해 상기 내측 용기의 외측에 밀착 일체화되어, 상기 외측 용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레인지용 보존 용기.
  8.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재와 상기 단소 플랜지부와의 히트 실부의 폭이 0.5㎜ 이상으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레인지용 보존 용기.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150029628A 2014-03-31 2015-03-03 전자 레인지용 보존 용기 KR1023023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073402A JP6324168B2 (ja) 2014-03-31 2014-03-31 電子レンジ用保存容器
JPJP-P-2014-073402 2014-03-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3823A KR20150113823A (ko) 2015-10-08
KR102302398B1 true KR102302398B1 (ko) 2021-09-14

Family

ID=541591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9628A KR102302398B1 (ko) 2014-03-31 2015-03-03 전자 레인지용 보존 용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324168B2 (ko)
KR (1) KR102302398B1 (ko)
CN (2) CN204713747U (ko)
TW (1) TWI64154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324168B2 (ja) * 2014-03-31 2018-05-16 昭和電工パッケージング株式会社 電子レンジ用保存容器
JP6706486B2 (ja) * 2015-11-17 2020-06-10 昭和電工パッケージング株式会社 電子レンジ加熱用容器
CN108124333A (zh) * 2018-01-30 2018-06-05 浏阳市中洲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微波加热装置
CN110089949B (zh) * 2018-01-31 2024-02-20 宁波方太厨具有限公司 一种烤箱内胆及其制造方法
CN114011960A (zh) * 2021-09-27 2022-02-08 深圳市信维通信股份有限公司 一种l形外形薄料金属壳体深拉伸冲压成形工艺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20539Y2 (ja) * 1976-12-28 1983-04-28 大日本印刷株式会社 蓋材
JPH0784226B2 (ja) 1986-09-19 1995-09-13 アヲハタ株式会社 電子レンジ用容器
JPH01164117U (ko) * 1988-05-06 1989-11-16
JPH0329780A (ja) * 1989-06-27 1991-02-07 Showa Denko Kk マイクロ波加熱可能な複合容器とその加熱方法
JPH03254932A (ja) * 1990-03-05 1991-11-13 Yooken Syst:Kk 複合容器
JPH03275475A (ja) * 1990-03-16 1991-12-06 Yooken Syst:Kk 複合容器及びその使用方法
US5266763A (en) * 1991-04-16 1993-11-30 Mobil Oil Corporation Recyclable microwavable container with a removable outer shell
JPH11115966A (ja) * 1997-10-14 1999-04-27 Shuichi Komatsu 液状食品用密封式成形容器
JPH11124119A (ja) * 1997-10-17 1999-05-11 Toppan Printing Co Ltd トレー状容器
JP2000085853A (ja) * 1998-06-03 2000-03-28 Jienna Internatl:Kk 即席食品容器
JP2000142746A (ja) * 1998-11-04 2000-05-23 Lining Container Kk 容器の内蓋およびこの内蓋の製造方法
JP4561979B2 (ja) 2004-11-08 2010-10-13 東洋製罐株式会社 電子レンジ用容器
US20070084859A1 (en) * 2005-09-30 2007-04-19 Min-Ching Chen Utensil for conventional heating and microwave heating
JP2009196699A (ja) * 2008-02-21 2009-09-03 Bespack Kk 易開封性多層包装体および、易開封性多層包装体の製造方法
CN202480482U (zh) * 2012-03-15 2012-10-10 昭和电工包装株式会社 食品包装容器用层叠片及使用了该片的食品包装容器
CN202499328U (zh) * 2012-03-15 2012-10-24 昭和电工包装株式会社 食品包装用容器
CN203268649U (zh) * 2013-05-24 2013-11-06 昭和电工包装株式会社 能够目视内容物的包装容器用盖部件及包装容器
JP6324168B2 (ja) * 2014-03-31 2018-05-16 昭和電工パッケージング株式会社 電子レンジ用保存容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5193412A (ja) 2015-11-05
TWI641542B (zh) 2018-11-21
CN104943994A (zh) 2015-09-30
KR20150113823A (ko) 2015-10-08
CN204713747U (zh) 2015-10-21
TW201536645A (zh) 2015-10-01
CN104943994B (zh) 2019-03-29
JP6324168B2 (ja) 2018-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02398B1 (ko) 전자 레인지용 보존 용기
US11008146B2 (en) Easy-peel laminated food can
JP6267899B2 (ja) 食品用容器
DK2782837T3 (en) PROCEDURE FOR SEALING METAL BOXES WITH PREVENTIVE LIDS AND DEVICE THEREOF
US20150298871A1 (en) Container and lid assembly
JP6389076B2 (ja) 食品用容器の製造方法
JP6463058B2 (ja) 再封可能な密封容器
CN206358618U (zh) 覆膜食品易撕罐
JP6386771B2 (ja) 恒温容器
JP2013163280A (ja) 容器入り食品の製造方法及び容器入り食品
JP2004315032A (ja) カップ型断熱容器
KR101053869B1 (ko) 육가공 식품 포장용기
JP6407637B2 (ja) 食品用容器
JP6706486B2 (ja) 電子レンジ加熱用容器
JP2015160631A (ja) 電子レンジ加熱用包装容器
JP5781557B2 (ja) 電子レンジ用複合容器
JP2016033028A (ja) 円筒形飲料用紙容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623045B2 (ja) 電子レンジ加熱用容器
JP6056311B2 (ja) カップ型紙容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23060619A (ja) 電子レンジ調理用容器
JP2013237480A (ja) カップ型紙容器
JP2019085123A (ja) 包装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90039543A (ko) 리드 링
JP2017190151A (ja) 容器
CA2888872A1 (en) Container and lid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