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0279B1 - 원예용 결속기 - Google Patents

원예용 결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0279B1
KR102300279B1 KR1020170075695A KR20170075695A KR102300279B1 KR 102300279 B1 KR102300279 B1 KR 102300279B1 KR 1020170075695 A KR1020170075695 A KR 1020170075695A KR 20170075695 A KR20170075695 A KR 20170075695A KR 102300279 B1 KR102300279 B1 KR 1023002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pe
binder
lever member
reel
magaz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56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41618A (ko
KR102300279B9 (ko
Inventor
타케무라 하지메
오카와 히로유시
Original Assignee
마크스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크스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마크스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1416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416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02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0279B1/ko
Publication of KR102300279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0279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2Supports for plants; Trellis for strawberries or the like
    • A01G9/128Fixing of plants to supports, e.g. by means of cl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3/00Bundling articles
    • B65B13/02Applying and securing binding material around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e.g. using strings, wires, strips, bands or tapes
    • B65B13/16Applying and securing binding material around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e.g. using strings, wires, strips, bands or tapes with means for severing the binding material from supply and then applying it around the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7/00Cultivation of hops, vines, fruit trees, or like trees
    • A01G17/04Supports for hops, vines, or trees
    • A01G17/06Trellis-work
    • A01G17/08Tools e.g. clips for attaching hops, vines, or boughs to trellis-work; Tying devices
    • A01G17/085Espalier machines; Tying mach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7/00Cultivation of hops, vines, fruit trees, or like trees
    • A01G17/04Supports for hops, vines, or trees
    • A01G17/06Trellis-work
    • A01G17/08Tools e.g. clips for attaching hops, vines, or boughs to trellis-work; Ty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9/00Independent binders, e.g. for hay; Binders attachable to mow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2/00Cultivation of specific crops or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3/00Bundling articles
    • B65B13/02Applying and securing binding material around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e.g. using strings, wires, strips, bands or ta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3/00Bundling articles
    • B65B13/02Applying and securing binding material around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e.g. using strings, wires, strips, bands or tapes
    • B65B13/025Hand-held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3/00Bundling articles
    • B65B13/18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used in, bundling machines or bundling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3/00Bundling articles
    • B65B13/18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used in, bundling machines or bundling tools
    • B65B13/24Securing ends of binding material
    • B65B13/34Securing ends of binding material by applying separate securing members, e.g. deformable clips
    • B65B13/345Hand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5/00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 B65H35/04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from or with transverse cutters or perfo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7/00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devices for performing specified auxiliary operations
    • B65H37/04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devices for performing specified auxiliary operations for securing together articles or webs, e.g. by adhesive, stitching or stapling

Abstract

<과제>
테이프 릴의 내경 치수가 상이한 테이프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테이프의 리턴을 확실하게 방지한다.
<해결 수단>
원예용 결속기는, 테이프 매거진부(80)를 구비한다. 테이프 매거진부(80)는, 보스(84)의 축부(85)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한편, 비틀림 코일 스프링(87)에 의해 테이프 롤의 역회전 방향(D2)으로 바이어싱된다. 지름이 작은 테이프 릴이 테이프 매거진 본체(82)에 장착되는 경우, 테이프 릴의 내주면이 레버 부재(86)에 당접하여 레버 부재(86)가 테이프 롤의 정회전 방향(D1)으로 가압된다. 레버 부재(86)는, 축부(85)를 지지점으로 하여 테이프 롤의 정회전 방향(D1)으로 회동하여 보스(84)의 중심측으로 기울어져 대피하고, 테이프 매거진 본체(82) 내에 테이프 롤이 장전된다. 테이프 릴의 내주면은, 레버 부재(86)에 의해 외측으로 바이어싱된다. 이에 의해, 테이프 릴의 리턴이 방지된다.

Description

원예용 결속기{BINDING MACHINE FOR GARDENING}
본 발명은, 원예용 결속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과수나 야채 등의 가지나 넝쿨을 지주에 결속하거나, 야채끼리나 포대끼리를 묶거나 할 때 원예용 결속기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원예용 결속기에서는, 클린처 아암의 개폐 동작에 의해 테이프를 결속기 본체로부터 인출하여 클린처 아암과 결속기 본체의 선단부 사이에 테이프를 펼친 상태로 하고, 이 상태에서 결속기 본체를 전방으로 밀어 피결속물을 테이프에 의해 권취한 후, 클린처 아암을 다시 닫는 것에 의해 테이프를 스테이플에 의해 철하는 동시에 절단날에 의해 테이프를 절단하는 바와 같은 일련의 공정에 의해 결속 처리를 하고 있다.
그러나, 상술한 원예용 결속기를 사용하여 결속 작업을 하는 경우, 원예용 결속기의 자세 변화나 진동에 의해 테이프 매거진 내의 테이프 롤이 역회전하여, 테이프의 선단이 리턴해버리는 경우가 있었다. 이와 같은 경우에, 드라이버 핸들과 클린처 아암을 닫으면, 클린처 아암측의 테이프 파지 장치가 드라이버 핸들측의 테이프의 선단을 포착하지 못하여, 작업을 중단하고 테이프를 다지 세팅해야만 했다. 그 결과, 작업 능률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었다.
이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보스에 마련한 탄성 부재에 의해 테이프 릴을 유지하도록 한 원예용 결속기가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원예용 결속기의 테이프 매거진 내의 테이프 허브 지지 보스에 C형의 덜컹거림 방지 스프링을 장착하고, 덜컹거림 방지 스프링의 자유단 근방에 형성한 U형 돌출부를 외측으로 돌출시켜, 테이프 허브 지지 보스에 장착되는 테이프 롤의 내주면을 U형 돌출부에 의해 외측으로 가압하는 것에 의해, 테이프 롤의 역회전을 방지한 원예용 결속기가 기재되어 있다.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2005-224197호 공보
하지만,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원예용 결속기 등 에서는 이하와 같은 문제가 있다. 즉, 종래의 원예용 결속기에서는, 테이프 릴의 내경이 큰 테이프 롤을 사용하는 경우, U형 돌출부의 부품이 테이프 릴의 내경에 접하지 않기 때문에, 테이프 릴에 대해 브레이크가 작동하지 않아, 테이프가 리턴해버리는 문제가 있다. 이에 대해, U형 돌출부의 부품의 스트로크를 크게 하면, 종래부터 사용되고 있는 지름이 작은 테이프 릴의 테이프 롤을 사용할 수 없게 되는 문제가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테이프 릴의 내경 치수가 상이한 테이프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테이프의 리턴을 확실하게 방지 가능한 원예용 결속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원예용 결속기는, 결속기 본체와, 상기 결속기 본체에 장착되어, 테이프가 장전되는 매거진부와, 상기 결속기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매거진부로부터 테이프를 인출하는 한편 해당 테이프에 의해 권취된 피결속물을 결속 처리하는 클린처 아암을 구비하고, 상기 매거진부는, 상기 테이프가 장전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의 중앙부에 마련되고, 상기 테이프가 권취되는 릴을 지지하는 보스부와, 상기 보스부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릴의 내주면에 당접하는 당접 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당접 부재의 선단부는, 상기 당접 부재의 베이스부에 대해 상기 테이프의 송출 방향의 하류측에 마련된다.
상기 당접 부재는, 정상면에서 상기 테이프의 송출 방향과는 반대측의 단부를 향해 경사지는 경사면을 구비한다.
상기 당접 부재는, 상기 테이프의 송출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바이어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당접 부재를 회동 가능하게 구성하는 한편, 릴의 내주면에 당접하도록 했기 때문에, 내경 치수가 상이한 다양한 릴에 대해서도 테이프의 리턴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예용 결속기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원예용 결속기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은 원예용 결속기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원예용 결속기의 테이프 인출시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원예용 결속기의 테이프 절단시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테이프 매거진부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등이다.
도 7은 테이프 매거진부의 이면측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8은 테이프 매거진부의 개폐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레버 부재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테이프 매거진부에 테이프 롤을 장전하지 않은 경우의 레버 부재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등이다.
도 11은 테이프 매거진부에 테이프 롤을 장전한 경우의 레버 부재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등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원예용 결속기(100)의 구성예]
도 1은 제1의 실시예에 따른 원예용 결속기(100)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그 정면도이고, 도 3은 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있어서, 지면의 우측을 원예용 결속기(100)의 앞측이라 하고, 지면의 좌측을 원예용 결속기(100)의 후측으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휴대용 공구로서의 원예용 결속기(100)는, 클린처 아암(10)과, 결속기 본체(40)와, 핸들(12)과, 테이프 인출부(20)와, 테이프 반송부(42)와, 테이프 절단부(50)와, 스테이플 매거진부(60)와, 테이프 매거진부(80)를 구비하고 있다.
클린처 아암(10)은, 그 후단부가 결속기 본체(40)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한편, 인장 스프링(16)에 의해 후방측으로 바이어싱되어 있다. 핸들(12)은, 사용자가 파지하는 부위이고, 그 대략 중간부가 클린처 아암(10)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그 전단부가 결속기 본체(40)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핸들(12)의 개폐 동작에 따라, 핸들(12)의 지렛대의 원리에 의해 클린처 아암(10)이 결속기 본체(40)에 대해 상대적으로 개폐 동작하게 되고 있다.
테이프 인출부(20)는, 결속기 본체(40)로부터 테이프(TP)를 인출하기 위한 기구이고, 클린처 아암(10)의 선단부에 마련되어 있다. 테이프 인출부(20)는, 록 플레이트(22)와, 테이프 캐치(24)와, 테이프 플레이트(26)를 구비하고 있다.
록 플레이트(22)는, 일단측에 마련된 축부(22a)를 지지점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한편, 타단측이 코일 스프링(23)에 의해 테이프 캐치(24)측으로 바이어싱되어 있다. 록 플레이트(22)는, 코일 스프링(23)의 바이어싱에 의해, 테이프 캐치(24)에 체결되는 것에 의해 테이프 캐치(24)를 록하고, 테이프 캐치(24)를 테이프 플레이트(26)로부터 이격한 위치에서 고정한다.
테이프 캐치(24)는, 축부(24a)를 지지점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한편, 비틀림 코일 스프링(25)에 의해 테이프 플레이트(26)측으로 바이어싱되어 있다. 테이프 캐치(24)는, 테이프의 인출시에 록 플레이트(22)에 의한 록이 해제되면, 비틀림 코일 스프링(25)의 바이어싱에 의해, 끝이 가늘어지는 형상을 갖는 선단부(24b)가 테이프 플레이트(26)측으로 이동한다.
테이프 플레이트(26)는, 테이프 캐치(24)에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그 선단부가 록 플레이트(22)로부터 결속기 본체(40)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테이프 플레이트(26)는, 연장된 부위와 테이프 캐치(24)로 테이프(TP)를 협지하고, 클린처 아암(10)의 리턴(개방) 동작에 따라 테이프(TP)를 테이프 가이드(46)로부터 상방측으로 인출한다.
테이프 반송부(42)는, 테이프 홀더(44)와, 테이프 가이드(46)를 구비하고 있다. 테이프 홀더(44)는, 테이프 매거진부(80)로부터 테이프 가이드(46)까지 테이프를 반송하기 위한 경로이고, 결속기 본체(4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부설되어 있다. 또한, 테이프 홀더(44)는, 길이 방향의 1변측을 지지점으로 하여 개폐 가능하게 구성되고, 테이프(TP)의 세팅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테이프 가이드(46)는, 결속기 본체(40)(테이프 홀더(44))의 전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고, 테이프의 선단부를 테이프 가이드(46)로부터 상방측으로 인출한 상태로 유지한다.
테이프 절단부(50)는, 테이프(TP)를 절단하는 절단날(51)과, 절단날(51)을 록 및 록을 해제하기 위한 록 기구(52)를 구비하고 있다. 절단날(51)은, 록 기구(52)에 의해 테이프 가이드(46)의 소정 위치에 고정되는 한편, 록 기구(52)의 해제에 의해 테이프 가이드(46)로부터 뽑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스테이플 매거진부(60)는, 결속기 본체(40)의 상면측에 장착되고, 스테이플 매거진 본체(62)와 푸셔 유닛(64)을 구비하고 있다. 스테이플 매거진부(60)에는, 접착 연결된 스테이플이 장전된다. 푸셔 유닛(64)은, 스테이플 매거진부(60)의 상면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되어 그 상면부를 개폐하는 한편, 스테이플 매거진부(60) 내의 스테이플을 사출구까지 밀어낸다.
테이프 매거진부(80)는, 결속기 본체(40)의 후단부에 장착되어, 테이프(TP)가 권취된 테이프 롤을 수용한다. 테이프 매거진부(80)는, 클린처 아암(10)의 개폐 동작에 따른 테이프(TP)의 인출 동작에 의해 정회전하여, 테이프(TP)를 테이프 반송부(42)로 송출한다. 한편, 테이프 매거진부(80)의 구성이나 기능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원예용 결속기(100)의 동작예]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원예용 결속기(100)의 결속 처리시에 있어서의 동작의 일례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원예용 결속기(100)에 있어서의 테이프(TP)의 인출시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원예용 결속기(100)에 있어서의 테이프(TP)의 절단시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에 의해 핸들(12)이 움켜쥐어지면, 클린처 아암(10)이 결속기 본체(40)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강하)한다. 이에 의해, 록 플레이트(22)가 결속기 본체(40)측의 테이프 가이드(46)에 당접하여 록 플레이트(22)가 밀어 올려지는 것에 의해, 록 플레이트(22)에 의한 테이프 캐치(24)의 록이 해제된다.
테이프 캐치(24)의 록이 해제되면, 테이프 캐치(24)가 테이프 플레이트(26)측으로 회동하여, 테이프(TP)가 테이프 캐치(24)의 선단부(24b)에 의해 테이프 가이드(46)에 가압된다.
이어서, 사용자에 의해 핸들(12)의 움켜쥠이 해제되면, 클린처 아암(10)이 결속기 본체(40)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상승)한다. 이에 따라,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테이프 캐치(24)가 테이프 가이드(46)로부터 테이프 플레이트(26)에 갈아타고, 테이프 플레이트(26)와 테이프 캐치(24)로 테이프(TP)가 협지된 상태로 테이프 가이드(46)로부터 상방측으로 인출된다. 또한, 클린처 아암(10)의 상승에 따라, 록 플레이트(22)와 테이프 캐치(24)가 체결 상태가 된다.
이어서, 결속기 본체(40)의 전방으로의 내밀기에 의해 야채 등의 가지나 지주(이하, 가지 및 지주를 통틀어 결속물(300)이라 한다)에 테이프(TP)가 가압되어 클린처 아암(10) 내에 결속물(300)이 수용된다.
이어서, 사용자에 의해 핸들(12)이 다시 강하게 움켜쥐어지면, 클린처 아암(10)이 결속기 본체(40)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강하)하여, 결속물(300)에 테이프(TP)가 권취된다.
클린처 아암(10)의 강하에 따라, 테이프 가이드(46)가 테이프 캐치(24)의 대향하는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고, 이동이 규제되는 위치까지 도달하면, 테이프 캐치(24)가 테이프 플레이트(26)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앞측)으로 회동한다. 이에 따라, 테이프 가이드(46)도 앞측으로 회동한다.
테이프 가이드(46)의 회동에 따라,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절단날(51)도 회동하여 그 선단측에 마련된 날이 테이프(TP)에 찔리는 것에 의해 테이프(TP)가 절단된다. 또한, 클린처(30)가 스테이플 매거진 본체(62)를 가압하여, 스테이플 매거진 본체(62)가 후단부를 지지점으로 하여 틸팅되는 것에 의해, 드라이버(78)에 의해 사출구로부터 스테이플이 타출되어, 테이프(TP)의 겹쳐진 부분이 스테이플에 의해 철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와 같은 일련의 공정에 의해, 결속물(300)의 결속 작업이 진행된다.
[테이프 매거진부(80)의 구성예]
도 6(A)는 테이프 매거진부(80)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6(B)는 그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7은 테이프 매거진부(80)의 이면측의 구성에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도 8은 테이프 매거진부(80)를 벌린 상태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도 9(A) 내지 도 9(F)는 레버 부재(86)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도 6(A), 도 6(B), 도 7,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테이프 매거진부(80)는, 결속기 본체(40)의 후단부에 장착되어, 테이프 릴에 테이프가 권취된 테이프 롤을 수용한다. 테이프 매거진부(80)는, 테이프 매거진 본체(82)와, 보스(84)와, 레버 부재(86)를 구비하고 있다. 한편, 레버 부재(86)는, 당접 부재의 일례에 상당한다.
테이프 매거진 본체(82)는, 도 8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용부(82a)와, 덮개(82b)와, 체결 구멍(82c)을 구비하고 있다. 수용부(82a)는, 저면부를 구비하는 원통체이고, 장전되는 최대 지름의 테이프 롤을 수용 가능한 크기로 선정된다. 덮개(82b)는, 수용부(82a)의 상단 에지를 지지점으로 하여 개폐 가능하게 결속기 본체(40)에 장착되어, 수용부(82a)에 형성되는 개구를 개폐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체결 구멍(82c)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보스(84)는, 도 6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용부(82a) 내에 장전되는 테이프 롤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부재이다. 보스(84)는, 장전되는 테이프 롤의 최소 지름의 테이프 릴의 내경보다 작은 지름을 구비하는 원통체이고, 수용부(82a)의 저면부의 대략 중앙부에 마련되어 있다. 보스(84)를 구성하는 벽면의 일부에는, 노치부(84a)가 형성되어 있다. 노치부(84a)는, 레버 부재(86)의 가동 영역에 대응한 범위로 형성되고, 레버 부재(86)가 원활하게 회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보스(84)의 중심부에서 벗어난 위치(편심 위치), 즉, 보스(84)의 중심부에서 장전되는 테이프 릴측에 치우친 위치에는, 레버 부재(86)를 장착하기 위한 축부(85)가 마련되어 있다.
레버 부재(86)는, 도 9(A) 내지 도 9(F)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레버 부재 본체(88)와, 축장착부(90)와, 경사면(92)과, 체결부(94)를 구비하고 있다. 레버 부재 본체(88)는, 평면적으로 보아 선단측이 끝이 가는 가늘고 긴 부재이고, 장전되는 테이프 릴의 내주면에 당접 가능한 길이로 선정된다. 축장착부(90)는, 레버 부재 본체(88)의 베이스측에 마련되고, 보스(84)의 축부(85)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즉, 레버 부재 본체(88)는, 보스(84)의 중심부에서 약간 벗어난 테이프 릴측에 가까운 위치에 장착되어, 가장 효율적인 설계로 충분한 스트로크를 확보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레버 부재 본체(88)는, 보스(84)의 축부(85)에 장착된 비틀림 코일 스프링(87)에 의해, 테이프 롤의 정회전 방향(테이프 송출 방향)(D1)과는 반대 방향(이하, 역회전 방향(D2)이라 한다)으로 바이어싱되어 있다.
또한, 레버 부재(86)는, 도 6(B) 및 후술하는 도 10(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트레일링 브레이크형의 배치로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테이프 릴이 장전되기 전의 상태에 있어서는, 레버 부재(86)의 선단부(86a)가, 레버 부재(86)의 베이스부(86b)에 대해 테이프 롤의 정회전 방향(D1)의 하류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테이프 롤의 정회전시에 있어서는, 레버 부재(86)의 선단부(86a)와 테이프 릴의 내주면의 마찰에 의해, 레버 부재(86)가 테이프 릴에 의해 정회전 방향(D1)으로 가압되고, 보스(84)의 중심측으로 무너지도록 회동하여, 테이프 롤에 대해 거의 회전 저항을 주지 않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한편, 테이프 롤의 역회전시에 있어서는, 레버 부재(86)를 트레일링 브레이크형의 배치로 하고 있기 때문에, 레버 부재(86)의 선단부(86a)가 테이프 릴의 내주면에 당접하는 것에 의해 레버 부재(86)의 역회전 방향(D2)의 회동이 규제되어, 테이프 릴에 대해 강한 제동력을 부여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테이프 매거진 본체(82)에 형성되는 체결 구멍(82c)은,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레버 부재(86)를 회동시킬 때의 레일로서 기능하고, 수용부(82a)의 저면부에 레버 부재(86)의 가동 범위에 상응한 길이로 거의 원호 형상으로 형성된다. 체결 구멍(82c)의 연장 방향에 있어서의 양단부는, 스토퍼로서 기능하여, 체결부(94)(레버 부재(86))의 이동 범위를 규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체결부(94)는, 도 6(B) 및 도 9(B)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훅 형상으로부터 이루어지고, 레버 부재 본체(88)의 이면측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체결부(94)는, 그 훅부가 수용부(82a)의 체결 구멍(82c)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이에 의해, 레버 부재(86)는, 체결 구멍(82c)의 연장 방향의 길이 범위 내에서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즉, 체결 구멍(82c)의 연장 방향의 길이에 상응하여, 레버 부재(86)의 가동 범위가 규정된다.
경사면(92)은, 도 9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테이프 릴을 보스(84)의 외주 위치로 원활하게 유도하기 위한 부재이고, 레버 부재 본체(88)의 정상면부(88a)에서 테이프 릴의 역회전 방향(D2)측(외측)의 에지부(88b)를 향해 경사되어 있다. 경사면(92)의 경사 각도는, 예를 들면 30도~60도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테이프 매거진부(80)의 동작예]
도 10(A)는 테이프 매거진 본체(82)에 테이프 롤을 장전하지 않은 경우의 레버 부재(86)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0(B)는 그 평면도이다. 도 11(A)는 테이프 매거진 본체(82)에 테이프 롤을 장전한 경우의 레버 부재(86)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1(B)는 그 평면도이다. 한편, 도 11(B)에 있어서, 테이프 릴(210) 및 이에 권취되는 테이프 롤(200)을 2점 쇄선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10(A) 및 도 10(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테이프 매거진 본체(82)에 테이프 롤이 장착되어 있지 않은 경우, 레버 부재(86)가 비틀림 코일 스프링(87)에 의해 테이프 롤의 역회전 방향(D2)으로 바이어싱되어 있기 때문에, 레버 부재(86)가 보스(84)로부터 지름 방향(외측)으로 돌출된 상태로 정지한다.
도 11(A) 및 도 1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지름이 작은 테이프 릴(210)이 테이프 매거진 본체(82)에 장착되는 경우, 테이프 릴(210)의 내주면(210a)이 레버 부재(86)의 경사면(92)에 당접하여 레버 부재(86)가 테이프 롤(200)의 정회전 방향(D1)으로 가압된다. 이에 의해, 레버 부재(86)가 축부(85)를 지지점으로 하여 테이프 롤(200)의 정회전 방향(D1)으로 회동하여, 보스(84)의 중심측으로 기울어져 대피하고, 테이프 매거진 본체(82) 내에 테이프 롤(200)이 장전된다. 이 때, 테이프 릴(210)의 내주면(210a)은, 레버 부재(86)에 의해 외측으로 바이어싱되기 때문에, 테이프 릴(210)이 테이프 매거진 본체(82) 내의 소정 위치에서 유지된다.
이상으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레버 부재(86)를 회동 가능한 구성으로 했기 때문에, 내경 치수가 상이한, 예를 들면 소경, 대경의 모든 테이프 릴에 대해서도 레버 부재(86)를 당접시켜 바이어싱력을 부여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내경 치수가 상이한 테이프 릴에 대해 적절한 브레이크력을 부여할 수 있어, 원예용 결속기(10)0의 진동 등에 의해 발생하는 테이프(TP)의 리턴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레버 부재(86)에, 테이프 릴의 장전시에 레버 부재(86)를 정회전 방향(D1)으로 회전시키는 경사면(92)을 마련했기 때문에, 내경 치수가 상이한 모든 테이프 릴에 대해서도, 테이프 매거진 본체(82) 내에 원활하게 유도하여 장전할 수 있다.
또한, 레버 부재(86)를 트레일링 브레이크형의 배치로 했기 때문에, 테이프 릴의 역회전 방향(D2)(리턴 방향)의 브레이크력에 대해, 테이프(TP)의 정회전 방향(D1)(인출 방향)의 브레이크력(테이프 인출 저항)을 낮출 수 있다. 이에 의해, 내경 치수가 상이한 모든 테이프 릴에 대해서도 테이프(TP)의 리턴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테이프(TP)의 인출시의 저항을 증대시키지 않기 때문에, 조작 하중이 무거워지거나 하지 않는다.
더욱이, 레버 부재(86)를 테이프 매거진 본체(82) 내의 테이프의 출구(83)의 정회전 방향(D1)의 상류측 근방에 배치했기 때문에, 테이프 릴을 테이프의 출구(83)측으로 바이어싱하여 지지할 수 있어, 안정된 상태로 테이프(TP)를 송출할 수 있으면서, 테이프(TP)의 반송시에 있어서의 다른 부품과의 접촉 저항도 저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실시예로서 이하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1) 결속기 본체와,
상기 결속기 본체에 장착되어, 테이프가 장전되는 매거진부와,
상기 결속기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매거진부로부터 테이프를 인출하는 한편 해당 테이프에 의해 권취된 피결속물을 결속 처리하는 클린처 아암을 구비하고,
상기 매거진부는,
상기 테이프가 장전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의 중앙부에 마련되고, 상기 테이프가 권취되는 릴을 지지하는 보스부와, 상기 보스부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릴의 내주면에 당접하는 당접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예용 결속기.
(2) 상기 당접 부재의 선단부는, 상기 당접 부재의 베이스부에 대해 상기 테이프의 송출 방향의 하류측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에 기재된 원예용 결속기.
(3) 상기 당접 부재는, 정상면에서 상기 테이프의 송출 방향과는 반대측의 단부를 향해 경사지는 경사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에 기재된 원예용 결속기.
(4) 상기 당접 부재는, 상기 테이프의 송출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바이어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원예용 결속기.
10: 클린처 아암
40: 결속기 본체
80: 테이프 매거진부(매거진부)
82: 테이프 매거진 본체(수용부)
84: 보스(보스부)
86: 레버 부재(당접 부재)
92: 경사면
100: 원예용 결속기
300: 결속물(피결속물)
TP: 테이프

Claims (5)

  1. 결속기 본체와,
    상기 결속기 본체에 장착되어, 테이프가 권취된 테이프 릴을 수용하는 매거진부와,
    상기 결속기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매거진부로부터 상기 테이프를 인출하는 한편 상기 테이프에 의해 권취된 피결속물을 결속 처리하는 클린처 아암을 구비하고,
    상기 매거진부는,
    상기 테이프 릴이 장전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의 중앙부에 마련되고, 상기 테이프 릴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보스부와,
    상기 보스부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에 대해 상기 테이프의 송출 방향의 하류측에 위치하는 선단부를 갖는 당접 부재와,
    상기 선단부를 상기 테이프의 송출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바이어싱하는 스프링을 구비하고,
    상기 선단부는 상기 테이프 릴이 상기 수용부에 장전될 때, 상기 스프링의 바이어싱력에 의해 외측으로 회동하여 상기 테이프 릴의 내주면에 당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예용 결속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당접 부재는, 상기 수용부의 테이프 출구에 대해 상기 테이프의 송출 방향의 상류측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예용 결속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당접 부재는, 정상면부에서 상기 테이프의 송출 방향과는 반대측의 단부를 향해 경사지는 경사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예용 결속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당접 부재는, 정상면부에서 상기 테이프의 송출 방향과는 반대측의 단부를 향해 경사지는 경사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예용 결속기.
  5. 삭제
KR1020170075695A 2016-06-15 2017-06-15 원예용 결속기 KR1023002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119413A JP6638569B2 (ja) 2016-06-15 2016-06-15 園芸用結束機
JPJP-P-2016-119413 2016-06-15

Publications (3)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41618A KR20170141618A (ko) 2017-12-26
KR102300279B1 true KR102300279B1 (ko) 2021-09-09
KR102300279B9 KR102300279B9 (ko) 2022-04-14

Family

ID=590913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5695A KR102300279B1 (ko) 2016-06-15 2017-06-15 원예용 결속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336485B2 (ko)
EP (1) EP3257362B1 (ko)
JP (1) JP6638569B2 (ko)
KR (1) KR102300279B1 (ko)
CN (1) CN107517771B (ko)
ES (1) ES2927056T3 (ko)
TW (2) TWI67000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1572313S (ko) * 2016-06-15 2017-03-27
JP7288606B2 (ja) 2019-08-23 2023-06-08 マックス株式会社 結束機
JP7324401B2 (ja) 2019-08-23 2023-08-10 マックス株式会社 結束機
JP7342521B2 (ja) 2019-08-23 2023-09-12 マックス株式会社 結束機
CN111567313B (zh) * 2020-05-12 2022-07-01 湖南尹垅农业科技有限公司 一种葡萄枝捆绑装置
CN112616506A (zh) * 2021-01-04 2021-04-09 广州访柔电子商务有限公司 一种现代农业大棚番茄生长捆扎设备
CA3225028A1 (en) * 2021-07-15 2023-01-19 Max Co., Ltd. Tying machine and method for tying
DE102021127462A1 (de) * 2021-10-22 2023-04-27 Isaberg Rapid Ab Drahtbindemaschine
FR3133971B1 (fr) * 2022-03-30 2024-02-23 Floreale Holding Dispositif portatif de bottelag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237805A1 (en) * 2001-07-11 2004-12-02 Susumu Hayashi Binding machine for gardening
JP2005224197A (ja) * 2004-02-13 2005-08-25 Max Co Ltd 園芸用結束機
US20150266692A1 (en) * 2015-06-05 2015-09-24 Larry E. Tiedemann Integral Anti-Rollback for Injection Molded Tape Dispensers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642394A (en) * 1948-08-13 1950-08-30 Ofrex Ltd Improvements in devices for holding and fixing adhesive tape
US3191741A (en) * 1963-07-10 1965-06-29 Walter D Landgraf Adding machine spool
BE755085A (fr) * 1969-08-28 1971-02-01 Tapeler Corp Dispositif pour delivrer et appliquer des longueurs de ruban adhesif sur des surfaces
US3725182A (en) * 1971-08-17 1973-04-03 J Regan Tape dispenser
JPH0298511A (ja) * 1988-09-28 1990-04-10 Kubota Ltd 紐供給装置
JP2585199Y2 (ja) * 1992-07-24 1998-11-11 株式会社クボタ 結束装置の巻紐収納構造
JPH1059316A (ja) * 1996-08-19 1998-03-03 Toumei Eng:Kk 自動結束装置
US5752670A (en) * 1997-04-02 1998-05-19 Lasecki; Marie Ricca Wire dispenser with retractor
JP2000247305A (ja) * 1998-12-30 2000-09-12 Yoshikoo:Kk テープ巻き機の巻付力調節機構
JP3753030B2 (ja) * 2001-07-31 2006-03-08 榮 漆崎 粘着テープ貼着装置
CN2765468Y (zh) * 2005-01-13 2006-03-22 张逸平 园艺捆扎机
JP4857661B2 (ja) 2005-08-25 2012-01-18 マックス株式会社 園芸用結束機の荷重軽減機構
JP2007117055A (ja) 2005-10-31 2007-05-17 Max Co Ltd 園芸用結束機における結束テープのたるみ戻し機構
KR100856397B1 (ko) * 2008-02-27 2008-09-04 (주)코마스 필름롤 장착장치
KR101347857B1 (ko) * 2011-12-30 2014-01-07 서해영 테이프 풀림 방지형 원예용 결속기
CN204047417U (zh) 2014-08-18 2014-12-31 池昭瑞 一种果蔬专用绑枝机
CN204047416U (zh) 2014-08-18 2014-12-31 池昭瑞 一种新型果蔬绑枝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237805A1 (en) * 2001-07-11 2004-12-02 Susumu Hayashi Binding machine for gardening
JP2005224197A (ja) * 2004-02-13 2005-08-25 Max Co Ltd 園芸用結束機
US20150266692A1 (en) * 2015-06-05 2015-09-24 Larry E. Tiedemann Integral Anti-Rollback for Injection Molded Tape Dispens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257362B1 (en) 2022-08-17
JP2017221149A (ja) 2017-12-21
TWI697274B (zh) 2020-07-01
TWI670002B (zh) 2019-09-01
EP3257362A1 (en) 2017-12-20
US20170361957A1 (en) 2017-12-21
CN107517771B (zh) 2021-02-23
TW201940060A (zh) 2019-10-16
KR20170141618A (ko) 2017-12-26
CN107517771A (zh) 2017-12-29
TW201811168A (zh) 2018-04-01
ES2927056T3 (es) 2022-11-02
JP6638569B2 (ja) 2020-01-29
KR102300279B9 (ko) 2022-04-14
US10336485B2 (en) 2019-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00279B1 (ko) 원예용 결속기
CN107399447B (zh) 钢筋捆扎机
CN107912184B (zh) 罩以及罩单元
CN107517774B (zh) 园艺用捆扎机
JP6702008B2 (ja) 園芸用結束機
CN107517773B (zh) 园艺用捆扎机
TWI672093B (zh) 園藝用綑紮機
JP2017222400A (ja) 園芸用結束機
US11485527B2 (en) Binding machine
EP3424300B1 (en) Binding machine for gardening
JP2005224197A (ja) 園芸用結束機
CN112400550B (zh) 捆扎机及带盘
CN112400550A (zh) 捆扎机及带盘
JP2000190917A (ja) 閉止具取付け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