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9917B1 - 차량용 루프탑텐트 - Google Patents

차량용 루프탑텐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9917B1
KR102299917B1 KR1020210023704A KR20210023704A KR102299917B1 KR 102299917 B1 KR102299917 B1 KR 102299917B1 KR 1020210023704 A KR1020210023704 A KR 1020210023704A KR 20210023704 A KR20210023704 A KR 20210023704A KR 102299917 B1 KR102299917 B1 KR 1022999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nt
lower case
rooftop
extension plate
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37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현일
Original Assignee
고현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현일 filed Critical 고현일
Priority to KR10202100237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9917B1/ko
Priority to PCT/KR2021/011797 priority patent/WO2022177086A1/ko
Priority to DE112021007152.1T priority patent/DE112021007152T5/de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99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9917B1/ko
Priority to US18/449,399 priority patent/US20230383565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2Tents combined or specially associated with other devices
    • E04H15/06Tents at least partially supported by veh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convertible, e.g. from one type tent to another type tent, from tent to canopy or from tent cover into diverse art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34Supporting means, e.g. fram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34Supporting means, e.g. frames
    • E04H15/44Supporting means, e.g. frames collapsible, e.g. breakdown type
    • E04H15/48Supporting means, e.g. frames collapsible, e.g. breakdown type foldable, i.e. having pivoted or hinged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54Covers of tents or canop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20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56Flo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텐트(1200), 상부케이스(1300), 링크구조(1400), 하부케이스(1500) 및 확장판(1510)을 포함하는 차량용 루프탑텐트(1000)를 제공하고, 상기 차량용 루프탑텐트(1000)에서, 상기 텐트(1200)는, 열림과 닫힘을 원터치로 동작하도록, 상단은 상기 상부케이스(1300)의 주변에 연결되고, 하단은 상기 하부케이스(1500) 및 상기 확장판(1510)의 주변에 연결되며, 상기 상부케이스(1300)는, 변형을 최소화하고 강도 향상과 경량 구조를 구현하도록, 하드쉘커버를 포함하고, 코너부와 직선구간의 체결은 압출구조 리벳팅(1320)으로 구성되며, 상기 링크구조(1400)는, 상기 텐트(1200)가 열림과 닫힘을 원터치로 동작하도록, 상기 하부케이스(1500)의 각 코너에 배치되고, 상기 텐트(1200)의 열림과 닫힘에 연동되어 상기 확장판(1510)을 자동으로 펼치고 접을 수 있게 구성되며, 상기 하부케이스(1500)는, 강도 향상과 경량 구조를 구현하도록, 허니컴 구조로 구성되고, 상기 확장판(1510)은, 상기 텐트(1200)가 열린 상태일 때는 바닥 면적을 확장하도록, 자동으로 펼쳐져서 상기 하부케이스(1500)의 양측부에 연장되게 구성되고, 상기 텐트(1200)가 닫힌 상태일 때는 바닥면적을 축소하도록 자동으로 접혀서 상기 하부케이스(1500)의 상부에 보관되게 구성된다.

Description

차량용 루프탑텐트{ROOF TOP TENT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루프탑텐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간단한 구성으로 설치의 편리성, 확장의 용이성 및 텐트 품질의 우수성이 실현되는 차량용 루프탑텐트에 관한 것이다.
최근 차량을 이용한 캠핑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자동차의 지붕에 텐트를 설치하는, 소위 루프탑텐트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루프탑텐트는 차동차의 지붕, 즉 루프에 설치하는 텐트를 말하며, 이러한 루프탑텐트는 자동차 루프에 장착한 상태로 이동과 설치가 가능하고 별도의 주차 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가격이 저렴하여 최근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루프탑텐트는 차동차의 지붕에 바닥면을 고정 설치한 상태에서 상부로 펼쳐지도록 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지면에 설치하게 된 텐트에 비해 장애물 또는 장소에 구애됨이 없이 간편하게 설치와 철거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루프탑텐트는 차동차의 루프 랙에 고정 설치되어 텐트의 바닥을 형성하는 하부케이스와, 설치 시 측면을 가리는 천과 함께 상부로 전개되면서 휴식 공간을 형성하는 상부케이스로 구성되어 차량에 탑재한 상태에서 이동하고, 캠핑 장소에서 상부케이스를 상부로 전개하고 가리는 천을 주위로 둘러싸게 하여 텐트가 형성되게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루프탑텐트에 관한 종래 기술의 일 예(도 1)로는 ‘자동개폐 루프탑텐트’(등록번호10-1318392, 등록일자 2013년10월08일)가 알려져 있는 데, 이 기술은 “자동개폐 루프탑텐트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는 “차량의 루프에 고정되는 고정판과 구동장치에 의해 고정판에 포개지는 회동판으로 되는 바닥판을 포함하되, 바닥판 상면에 텐트가 설치되어 회동판의 회동에 따라 자동으로 텐트를 설치하고 해체할 수 있게 함으로써, 텐트의 설치와 해체가 가능한 자동개폐 루프탑텐트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기술은 자동개폐 루프탑텐트 기술을 제공할 뿐, 회동판을 펼쳤을 때 텐트가 차량의 중심부에 위치하지 않아서 텐트의 안정성 문제가 있을 뿐만 아니라, 구동장치가 조잡하여 텐트의 설치와 해체 및 이용에 불편한 문제가 있었다.
루프탑텐트에 관한 종래 기술의 다른 예(도 2)로는, ‘차량용 공간확장형 하드쉘 루프탑텐트’(등록번호 10-1420589, 등록일자 2014년07월10일)가 알려져 있는 데, 이 기술은 “차량 루프에 장착된 하부케이스로부터 확장 플레이트의 인출과 함께 텐트 천에 의해 지지폴이 들어 올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루프탑텐트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차량의 루프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되는 하부케이스와, 개폐 수단에 의해 하부케이스를 폐쇄하거나 개방하는 상부케이스를 포함하는 차량용 루프탑텐트에 있어서, 하부케이스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연결되는 확장 플레이트; 양단부가 확장 플레이트의 후미 양 측부에 각각 피봇 가능하게 연결되는 지지폴; 및 적어도 상부케이스, 지지폴 및 확장 플레이트에 연결되는 텐트 천을 포함하고, 확장 플레이트는 하부케이스와 중첩되도록 위치하는 제1 위치와, 하부케이스로부터 최대로 인출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고, 지지폴은 확장 플레이트가 제1 위치에 위치할 경우에는 확장 플레이트와 인접하도록 위치되고, 제2 위치에 위치할 경우에는 텐트 천에 의해 상측으로 들어올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이러한 기술도 차량용 루프탑텐트 기술을 제공할 뿐, 하부케이스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연결되는 확장 플레이트를 펼쳤을 때 텐트가 차량의 중심부에 위치하지 않아서 텐트의 안정성 문제가 있을 뿐만 아니라, 텐트의 구성이 조잡하여 텐트의 설치와 해체 및 이용에 불편한 문제가 있었다.
루프탑텐트에 관한 종래 기술의 또 다른 예(도 3)로는, ‘차량용 루프탑텐트’(등록번호 10-1516916, 등록일자 2015년04월24일)가 알려져 있는 데, 이 기술도 “차량용 루프탑텐트에 관한 것이고, 확장텐트와 언액스 및 탑텐트로 구성되는 차량용 루프탑텐트에서 탑텐트의 상부와 탑텐트 및 확장텐트의 연결부를 덮어서 방수역할을 하는 커버부에 가변연결부를 구비하여 가변연결부가 확장텐트의 형상에 따라 능동적으로 변형되면서 루프탑텐트 및 연결부를 안 정적으로 차폐할 수 있는 차량용 루프탑텐트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차량의 지붕에 설치되는 탑텐트와 탑텐트의 하부에 구비되는 보조텐트와 보조텐트의 측면에 연결되는 확장텐트 및 탑텐트의 상부에 구비되는 커버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차량용 루프탑텐트에 있어서, 커버부는 확장텐트가 연결되는 위치에 대응되는 면에 가변연결부를 더 구비하되, 가변연결부는 양측 가장자리에는 상하방향으로 각각 하나씩 두 개의 개폐부가 구비하고, 개폐부의 내측에는 하부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도록 구성된 내피가 구비될 수 있게 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기술은 보조텐트와 확장텐트 설치에 관한 기술로서 차량용 루프탑텐트로서는 구조가 복잡하고 설치와 해체에 불편한 문제가 있었다.
루프탑텐트에 관한 종래 기술의 또 다른 예(도 4)로는, ‘접철식 확장형 루프탑텐트’(등록번호 10-1748407, 등록일자 2017년06월12일)가 알려져 있는 데, 이 기술은 “접철식 확장형 루프탑텐트로서, 차량의 루프에 설치되는 텐트체와 텐트체로부터 확장되는 확장체를 포함하는 루프탑텐트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텐트체가, 하드재질로 이루어지고 내측에 서로 마주보는 제1구동부와 제2구동부가 각각 구비되며 제1힌지체가 구비되는 하부커버와, 하드재질로 이루어지고 하부 커버의 상부측에 대응되게 위치되고 제1구동부 및 제2구동부에 각각 대응되는 제1가이드봉과 제2가이드봉이 각각 구비되는 상부커버와, 하부커버의 제1구동부와 상부커버의 제1가이드봉 및 하부커버의 제2구동부와 상부커버의 제2가이드봉을 각각 연결하여 상부커버가 하부커버에 대해 승하강 가능하도록 하는 제1승하강부 및 제2 승하강부로 구비되어 이루어지고, 확장체가, 하부커버의 제1힌지체와 힌지결합되는 제2힌지체와, 제1힌지체와 제2힌지체의 힌지 회전에 의해 하부커버와 상부커버 사이로 넣어져 포개어지거나 하부커버 와 상부커버 사이로부터 펼쳐지는 확장플레이트와, 확장플레이트의 끝단에 구비되는 지지프레임과, 확장플레이트의 하면에 상단이 연결되는 접이식 사다리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이러한 기술도 차량용 루프탑텐트 기술을 제공할 뿐, 접철식 확장 플레이트를 펼쳤을 때 텐트가 차량의 중심부에 위치하지 않아서 텐트의 안정성 문제가 있을 뿐만 아니라, 텐트의 구성이 조잡하여 텐트의 설치와 해체 및 이용에 불편한 문제가 있었다.
루프탑텐트에 관한 종래 기술의 또 다른 예(도 5)로는, ‘루프탑텐트의 개폐장치’(등록번호 10-1771155, 등록일자 2017년08월18일)가 알려져 있는 데, 이 기술은 “차량의 지붕 위에 설치하여 여행도중 간편하게 수면 또는 휴식을 할 수 있도록 상, 하로 개폐되는 케이스를 구비한 루프탑텐트에서 댐퍼의 팽창동작에 의해 상부케이스를 개방되게 하여 텐트를 전개하게 되고, 사용 후 접을 때에는 상부케이스에 연결된 와이어를 하부케이스에 설치된 축에 감겨지도록 하여 상부케이스를 개방 되게 지지하는 댐퍼를 수축시키면서 하부케이스에 밀폐되게 한 루프탑텐트의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즉, 차량의 루프 랙에 고정 설치되는 하부케이스와 이에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케이스의 내부에 내구력과 보강력을 발휘하는 다수의 보강대를 구비한 프레임을 상호 대향하게 각각 설치하되 그 사이에 댐퍼의 압력에 의해 굴절 및 전개되는 링크를 설치하고, 하부측 보강대의 외측에 구동수단에 의해 회전되는 축을 설치하여 이에 링크를 강제로 굴절되게 하여 개방상태의 상부케이스를 닫혀지게 하는 와이어를 감기도록 하며, 상기 축에 래칫휠이 접합되어 구동수단의 회전력이 가해지는 과정에 역회전을 방지되게 하부케이스의 외부로 노출 설치된 레버의 조작에 의해 동작되는 폴이 설치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기술도 루프탑텐트의 상부케이스를 상하로 개폐하는 기술을 제공할 뿐, 하부케이스를 확장하는 기술을 제공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루프탑 개폐장치가 복잡하고 조잡하여 루프탑텐트의 설치와 해체가 불편한 문제가 있었다.
본원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전술한 문제들을 해결하고자 안출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들을 해소할 수 있도록 더욱 개선시킨 것으로, 본 발명의 제1 과제는 차량용 루프탑텐트에서, 루프탑텐트가 원터치로 펼쳐져서 가족이 함께 즐길 수 있을 만한 충분한 공간을 제공하고, 온 가족이 함께 안전하게 캠핑을 즐길 수 있는 차량용 루프탑텐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2 과제는 차량용 루프탑텐트에서, 원터치 작동으로 쉽게 루프탑텐트를 설치할 수 있고, 사용 후 루프탑텐트를 접기 위해 닫을 때 원터치로 닫을 수 있는 차량용 루프탑텐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3 과제는 차량용 루프탑텐트에서, 텐트 설치 후 텐트의 열린 상태에 변함이 없게 하여, 텐트 세팅의 안정성이 높은 차량용 루프탑텐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4 과제는 차량용 루프탑텐트에서, 여러 번 사용하여도 내구성이 높은 차량용 루프탑텐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5과제는 차량용 루프탑텐트에서, 강도가 향상되고 경량 구조이고 변형이 최소화되는 차량용 루프탑텐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6과제는 차량용 루프탑텐트에서, 텐트 내부 및 외부의 온도차에 의해 텐트 내부에 발생하는 결로를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루프탑텐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양한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서, 텐트(1200), 상부케이스(1300), 링크구조(1400), 하부케이스(1500) 및 확장판(1510)을 포함하는 차량용 루프탑텐트(1000)를 제공하고, 상기 차량용 루프탑텐트(1000)는, 상기 텐트(1200)는, 열림과 닫힘을 원터치로 동작하도록, 상단은 상기 상부케이스(1300)의 주변에 연결되고, 하단은 상기 하부케이스(1500) 및 상기 확장판(1510)의 주변에 연결되며, 상기 상부케이스(1300)는, 변형을 최소화하고 강도 향상과 경량 구조를 구현하도록, 하드쉘커버를 포함하고, 코너부와 직선구간의 체결은 압출구조 리벳팅(1320)으로 구성되며, 상기 링크구조(1400)는, 상기 텐트(1200)가 열림과 닫힘을 원터치로 동작하도록, 상기 하부케이스(1500)의 각 코너에 배치되고, 상기 텐트(1200)의 열림과 닫힘에 연동되어 상기 확장판(1510)을 자동으로 펼치고 접을 수 있게 구성되며, 상기 하부케이스(1500)는, 강도 향상과 경량 구조를 구현하도록, 허니컴 구조로 구성되고, 상기 확장판(1510)은, 상기 텐트(1200)가 열린 상태일 때는 바닥 면적을 확장하도록, 자동으로 펼쳐져서 상기 하부케이스(1500)의 양측부에 연장되게 구성되고, 상기 텐트(1200)가 닫힌 상태일 때는 바닥면적을 축소하도록 자동으로 접혀서 상기 하부케이스(1500)의 상부에 보관되게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 상기 링크구조(1400) 각각은, 상기 텐트(1200)가 원터치로 열림과 닫힘 동작하도록 구성된 링크(1410), 쇽업쇼버(1420) 및 힌지(1430)를 포함하고, 상기 텐트(1200)가 원터치로 열림과 닫힘 동작을 하는 것에 연동하여 상기 확장판(1510)이 자동으로 펼쳐짐과 접힘 동작을 하도록 구성된 상부연결구(1485) 및 하부연결구(1495)를 포함하며, 상기 확장판(1510)을 접을 때 상기 하부케이스(1500)의 내부로 상기 확장판(1510)을 끌어당겨주는 연결구스프링(148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서, 상기 링크 구조(1400) 각각은, 상기 텐트(1200)가 열린 상태를 유지하여 텐트 세팅의 안정성이 확보되도록, 상기 상부연결구(1485) 및 상기 하부연결구(1495)를 움직이지 못하게 고정시키는 연결구고정핀(149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서, 상기 링크구조(1400) 각각은 상기 텐트(1200)가 열린 상태에서, 상기 하부케이스(1500)의 양측부에 연결된 확장판(1510)을 지지하도록 적어도 한 쌍의 고강성와이어(19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서, 상기 루프탑텐트(1000)는, 폴대(1520)를 더 포함하고, 상기 폴대(1520)는, 양 단이 상기 링크구조(1400)에 연결되며, 상기 텐트(1200)가 닫혀 있을 때에는 상기 하부케이스(1500) 상단에 보관되고, 상기 텐트(1200)이 열릴 때는, 상기 확장판(1510)과 연동하여 펼쳐지되, 상기 확장판(1510)과는 소정의 각도를 유지하여, 상기 텐트(1200)의 실내 공간 확장과 상기 텐트(1200)의 텐션 유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서, 상기 루프탑텐트(1000)는 사용 후 닫을 때, 원터치 작동으로 닫을 수 있게 상기 상부케이스(1300)를 균일하게 아래 방향으로 당기기 위한 닫음웨빙스트랩(18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서, 상기 힌지(1430)는 상기 텐트(1200)가 열린 상태가 되었을 때 상기 상부케이스(1300)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는 힌지고정장치(1440)를 더 포함하고, 상기 힌지고정장치(1440)에 의해서 실수로 상기 링크(1410)를 밀치거나, 상기 상부케이스(1300)를 눌러도, 상기 텐트(1200)는 열린 상태를 유지하여, 텐트 세팅의 안정성이 확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서, 상기 상부케이스(1300)는 상기 링크(1410)를 연결하는 부위에, 축홀이 구비된 구면 조인트(1450)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면 조인트(1450)는 2중 조인트 또는 3축 자유도가 가능한 편측 볼트 조인트가 될 수 있으며, 상기 구면 조인트(1450)는 상기 힌지(1430)의 자유도를 높혀, 상기 상부케이스(1300)를 앞뒤로 순차적으로 열거나 닫을 때, 상기 링크(1410)의 뒤틀림으로 인하여 상기 링크(1410)에 변형이 발생하는 것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서, 상기 하부케이스(1500)는 상부에 소정의 단열층(1540)을 포함하는 이중 레이어 구조로 구성함으로써, 상기 텐트(1200)의 내부 및 외부의 온도 차에 의해 상기 텐트(1200)의 내부에 발생하는 결로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서, 상기 링크구조(1400)는, 상기 텐트(1200)의 하단을 고정하도록, 소정의 홈(1470)을 더 포함하고, 상기 텐트(1200) 설치 시 텐트 심지의 끊어짐에도 상기 텐트(1200)의 하단을 상기 하부케이스(1500)에 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서, 상기 루프탑텐트(1000)는, 상기 하부케이스(1500)의 측면에 태양전지(16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텐트(1200)를 사용할 때에 필요한 전력을 생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서, 상기 루프탑텐트(1000)는 열림 상태에서, 확장판(1510)을 지지하는 사다리(156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다리(1560)는 하단부의 확장형 다리와 탈착 가능한 패브릭을 구비하며, 애완동물이 루프탑텐트 내부까지 오르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매우 뛰어난 장점을 갖는다.
1. 하부케이스 양쪽에 각각의 확장판을 구성하되, 루프탑텐트가 닫힌 상태에서는 하부케이스 위에 중첩되어 보관되고, 루프탑텐트를 사용하기 위해 열 때는, 하부케이스에 중첩 보관된 양쪽 확장판이 텐트와 함께 자동으로 펼쳐지는 링크 구조를 도입하고, 링크 구조를 중심으로 적어도 한 쌍의 고강도 강선으로 확장판을 지지하도록 함으로써, 루프탑텐트가 원터치로 펼쳐져서 4인가족이 함께 즐길 수 있을 만한 충분한 공간을 제공하고, 온가족이 함께 안전하게 즐길 수 있다.
2. 상부케이스(하드쉘 커버)를 텐트를 위쪽으로 펼치기 위한 압축가스 쇽업쇼버를 도입함으로써, 루프탑텐트를 사용하기 위해 열 때(설치할 때), 원터치 작동으로 쉽게 루프탑텐트를 설치할 수 있고, 사용 후 루프탑텐트를 접기 위해 닫을 때(접을 때), 닫음웨빙스트랩을 이용하여 원터치로 닫을 수 있다.
3. 루프탑텐트를 위쪽으로 펼쳐서 열었을 때(세팅하였을 때) 상부케이스가 움직이지 않고 고정되도록 양쪽 링크들의 힌지들을 고정시켜주는 막대모양의 힌지고정장치를 도입하거나 또는 확장판을 하부케이스에 연결하는 상부연결구와 하부연결구가 루프탑텐트가 연린 상태에서 고정결합하는 고정핀을 도입함으로써, 텐트 설치 후 링크를 실수로 밀치거나, 상부케이스를 눌러도, 텐트의 열린 상태에 변함이 없게 하여, 텐트 세팅의 안정성이 높다.
4. 상부케이스와 링크를 연결하는 부위에 축홀이 구비된 구면 조인트를 적용(2중 조인트 적용 또는 3축 자유도가 가능한 편측볼트 조인트 적용)함으로써 힌지의 자유도를 높혀, 루프탑텐트의 상부케이스를 앞뒤로 순차적으로 열거나 닫을 때, 링크들의 뒤틀림으로 인하여 링크들에 변형이 발생하는 것 방지하여, 루프탑텐트의 내구성이 높다.
5. 상부케이스의 강도 향상과 경량 구조를 위해 하드쉘커버 구조를 채택하고, 코너부와 직선구간의 체결에 알루미늄 압출구조 리벳팅을 도입함으로써, 상부케이스의 변형을 최소화한다.
6. 하부케이스와 연결된 확장판과 연동하여 펼쳐지는, 스프링이 구비된 푸쉬핀을 갖는, "U" 자형 텔레스코픽 폴대를 도입함으로써, 루프탑텐트를 열었을 때, 텐트의 실내 공간 확장과 텐트의 텐션 유지가 가능하다.
7. 루프탑텐트를 사용하지 않을 때, 원터치로 텐트를 닫을 수 있도록 닫음웨빙스트랩을 도입함으로써, 루프탑텐트의 열림과 닫힘을 원터치로 가능할 수 있다.
8. 하부케이스에는 허니컴을 적용함으로써, 하부케이스의 강도 향상과 경량 구조를 달성하였고, 하부케이스 상부에는 단열층을 추가하여 이중 레이어 구조를 적용함으로써, 텐트 내부 및 외부의 온도차에 의해 텐트 내부에 발생하는 결로를 방지할 수 있다.
9. 하부케이스의 링크구조 일부에 텐트의 하단의 고정을 위한 소정의 홈을 도입함으로써, 확장판이 구비된 하부케이스를 갖는 루프탑텐트에서 텐트 설치 시 텐트 심지의 끊어짐이 있어도 텐트의 하단을 하부케이스에 고정할 수 있다.
10. 텐트 진입을 위한 사다리는 그 위에 별도의 패브릭(Fabric)을 쉽게 탈착하게 만들어 사람이 아닌 애완동물까지 텐트에 오를 수 있다.
11. 하부케이스의 바닥판의 측면에 태양전지를 설치하여 텐트(1200) 사용 중에 텐트 내에서 필요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다양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 충분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 2, 3, 4, 및 5는 종래 기술의 루프탑텐트에 관한 실시 예들을 도시한다.
도 6(a)는 본 발명의 루프탑텐트(1000)가 차량 위에서 열린(설치된) 상태에서 탑재된 모양을 도시한 것이고, 도 6(b)는 본 발명의 루프탑텐트(1000)가 차량 위에서 닫힌(접힌)) 상태에서 탑재된 모양을 도시한다.
도 7(a, b, c)은 본 발명의 루프탑텐트(1000)를 사용하기 위해 여는 동작의 각 단계와 상기 여는 동작의 각 단계에 연동하여 확장판(1510) 및 폴대(1520)가 자동으로 펼쳐지는 과정을 도시한다.
도 8(a, b, c, d)은 도 7(a, b, c)에서 확장판(1510) 및 폴대(1520)가 자동으로 펼쳐지는 과정의 각 단계들을 확대하여 도시한다.
도 9(a)는 본 발명의 루프탑텐트(1000)가 열린 상태에서, 확장판(1510) 및 폴대(1520)가 펼쳐진 모습과 웨빙 스트랩(1530)이 폴대(1520)를 확장판(1510)의 단부에 고정시키는 모습을 도시하고, 도 9(b)는 도 9(a)에서 링크구조(1400)을 별도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9(c)는 도 9(b)의 링크구조(1400)의 일부를 도시한다.
도 10(a)는 본 발명의 루프탑텐트(1000)가 열린 상태의 모습을 도시하고, 도 10(b)는 한 쌍의 힌지(1430)에 힌지고정장치(1440)를 설치한 모습을 도시하며, 도 10(c)는 상부케이스(1300)와 링크(1410)를 결합하는 구면 조인트(1450)를 확대한 모습을 도시하고, 도 10(d)는 하부케이스(1500)와 링크(1410)를 결합하는 링크구조(1400)의 일부를 확대한 모습을 도시한다.
도 11(a)는 경량이고 견고한 알루미늄 재료의, 압출구조 리벳팅(1320) 및 하드쉘커버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상부케이스(1300)을 도시하고, 도 11(b)와 상기 압출구조 리벳팅(1320)을 확대한 모습을 도시한다.
도 12는 경량이고 견고한 허니컴 구조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하부케이스(1500)의 상부에 텐트(1200) 내의 결로를 방지하기 위해 단열층(1540), 예를 들어, 목재를 추가하고 그 위에 쿠션(1700)을 설치한 모습을 도시한다.
도 13(a)는 하부케이스 코너에 설치된 링크 구조(1400)의 일부를 도시한 것이고, 도 13(b, c)는 도 13(a)를 확대하여 상기 링크 구조 일부 내의 소정의 홈(1470)을 도시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텐트를 사용할 때, 확장판을 지지하는 사다리를 도시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텐트를 사용할 때 사용할 전기를 생산하는 태양전지를 도시한다.
도 16(a, b, c)는 루프탑텐트(1000)을 사용하지 않을 때, 닫음웨빙스트랩(1800)에 의해서 원터치로 닫는 과정의 단계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표기하고,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됨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루프탑텐트(1000)는 상부케이스(1300)의 열림과 동시에 하부케이스(1500)에 연결된 양쪽 확장판(1510)의 자동 펼쳐지는 기능을 구비한 차량용 루프탑텐트(1000)이고, 원터치 작동으로 남녀노소 쉽게 설치와 사용 후 닫는 것이 가능하며, 대부분의 차량에 설치할 수 있고, 텐트 입구의 방향도 차량에 따라 선택 가능하며 디자인적으로도 이질감이 적다.
또한 프리미엄 재료와 인체공학적 설계를 적용하여, 종래 기술의 루프탑텐트의 단점들을 보완한 완성형 루프탑텐트로서, 온 가족이 함께 즐길 수 있을만한 충분하고 여유 있는 공간 확장성과, 모든 방향으로 창이 있어 개방감이 풍부함이 특징이다.
또한, 본 발명의 루프탑텐트(1000)은 종래 기술의 루프탑텐트에서 발생되는 결로, 높이, 매트리스와 같은 문제들을 모두 해결한 완성형 루프탑텐트라고 할 수 있다. 하부케이스 양측에 연결되는 확장판(1510)이 루프탑텐트(1000)의 열림에 연동하여 원터치로 펼쳐지므로,일 실시 예에서, 4인가족이 함께 즐길 수 있을만한 충분한 공간을 제공하며, 온 가족이 함께 쉽고 안전하게 즐길 수 있게끔 도와준다.
또한 본 발명의 루프탑텐트(1000)은 차량의 운전석 방향에 따라 루프탑텐트(1000) 입구 방향 설정이 가능하고, 낮은 높이로 주차장 진입과 같은 주차 문제도 해결되며, 에어로 다이나믹한 디자인으로 차량 지붕에 탑재한 상태로 이동 시 차량의 연비 저하와 소음 발생을 최소화 할 수 있고, 루프탑텐트의 닫힌 상태에서의 제품의 폭을 최소화함으로써, 소형차부터 대형차까지 다양하게 잘 어울리는 디자인을 갖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확장성이 우수한 장점을 갖는다.
또한 종래 기술에서 해결하지 못한 루프탑텐트의 결로 발생 문제도 열유동 시뮬레이션 통한 온도저항 안정성을 향상시킨 열안정복합패널을 적용함으로써, 종래 기술의 루프탑텐트에서의 고질적인 바닥 결로현상을 원천적으로 해결하였다.
또한 외관 디자인이 조개껍데기(Clam shell)와 같은 유선형 형태로 심리적 안정감을 주는 디자인으로 구성하여 바람의 저항을 최소화함으로써 태풍과 같은 강풍에도 높은 사용자 안정성을 확보하였다.
또한 상부케이스(1300)는, 일 실시 예에서, 고강도의 메탈 프레임과 재생 가능한 재질(ABS)을 채택함으로써, 구조적으로 안정적이고 친환경적인 소비사이클 구현 가능한 제품(100% 회수/재생 사이클링 시스템 구축)으로 구성하였고, 텐트(1200)은, 일 실시 예에서, 고밀도 캔바스(Canvas)원단 적용으로 통기성을 극대화하여 자연에서 숨쉬는 듯한 쾌적하고 안락한 사용자 환경을 제공하였다.
또한, 텐트(1200)의 플라이 재질은, 일 실시 예에서, UV 지수가 높은 지역에서도 UV를 차단하여 사용자의 안전저해 요소를 차단하며 방수 성능을 극대화하여 통기성 높은 캔버스 스킨과 상호 보완 기능을 갖추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폴대(1520)는 항공기날개에 적용하는 A70xx계열(Duralumin)의 두랄루민 폴(Duralumin Pole)과 같은 고강성 재질을 채용함으로써, 악천후에서도 큰 저항성을 유지하며 사용자의 안전을 확보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루프탑텐트에는 원액션 오프닝 기능이 구현되어 한번의 동작으로 루프탑텐트가 팝업이 가능하므로 사용자에게 상당한 편리함을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루프탑텐트(1000)에는, 일 실시 예에서, 균일하중 1.4 ton 의 무게에도 변형이 되지 않는 고강도의 100% 재생 가능한 알루미늄을 채용하고, 최대 70Kgf의 힘을 지지 할 수 있는 쇽업쇼버(Shock Absorber)(1420)의 적용으로 텐트 설치시 자연스럽게 설치가 가능하며, 이와 더불어, 일 실시 예에서, 우천 시를 대비한 다양한 수납함(Accessary)을 제공하고, 애완동물을 위한 출입 통로를 별도의 액서서리로 제공함으로써, 자연과 인간 그리고 동물의 조화로움을 극대화하였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의 루프탑텐트(1000)가 차량 위에서 열린(설치된) 상태에서 탑재된 모양(a)과, 차량 위에서 닫힌(접힌)) 상태에서 탑재된 모양(b)를 도시한다. 루프탑텐트(1000)은 상부케이스(1300)를 위로 밀면 링크(1410)과 쇽업쇼버(1420)가 확장되면서 펼쳐지고, 이와 동시에, 하부케이스(1500)의 코너에 위치한 링크구조(1400)에 의해서 루프탑텐트(1000)의 열림 동작과 연동하여 확장판(1510)과 폴대(1520)이 자연스럽게 펼쳐져서 루프탑텐트(1000)의 열린 상태가 된다. 루프탑텐트(1000)가 열린 상태에서, 링크(1410)의 중앙에 위치한 힌지(1430)에 힌지고정장치(1440)을 고정하고, 또한 웨빙 스트랩(1530)으로 폴대(1520)을 확장판(1510)의 단부에 고정시킴으로써, 루프탑텐트(1000)의 열린 상태는 완성된다. 물론 이 때 입구에는 사다리(1560), 반대편에는 지지대(1570)을 확장판(1510)을 지지하도록 하여 루프탑텐트(1000)를 사용자가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게 한다.
도 7(a, b, c)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의 루프탑텐트(1000)를 사용하기 위해 열 때 여는 동작의 각 단계와 상기 여는 동작의 각 단계에 연동하여 확장판(1510) 및 폴대(1520)가 자동으로 펼쳐지는 과정을 도시한다. 도 7(a)에서 상부케이스(1300)를 상방향으로 밀면, 링크(1410)와 쇽업쇼버(1420)가 링크구조(1400)를 중심축으로 하여 상방향으로 확장되기 시작한다. 도 7(b)는 상부케이스(1300)가 상방향으로 움직일 때, 링크구조(1400)에 의하여, 하부케이스(1500)의 상부에 접혀 있던, 확장판(1510)과 폴대(1520)가 상부케이스(1300)의 열림 동작과 연동하여 펼쳐지는 모습을 도시한다. 도 7(c)는 상부케이스(1300)가 완전히 열린 상태에서, 이 때 확장판(1510) 및 폴대(1520)가 완전히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다. 확장판(1510)과 폴대(1520)는 루프탑텐트(1000)이 닫힌 상태에서는 함께 하부케이스(1500)의 상부에 보관되며, 루프탑텐트(1000)가 완전히 열린 상태에서는 확장판(1510)은 하부케이스(1500)와 일직선으로 펼쳐진 상태이지만, 상기 폴대(1520)은 완전하게 펼쳐진 상태가 아니고, 확장판(1510)과 소정의 각도(대략 45도)를 유지하는 위치에서 펼쳐짐이 멈춘다. 폴대(1520)가 이 위치에 멈추게 되는 것은 폴대(1520)에 걸리는 텐트(1200)의 장력 때문이다. 이 상태에서, 폴대(1520)는 웨빙 스트랩(1530)에 의해서 확장판(1510)의 단부에 고정된다.
도 8(a, b, c, d)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의 루프탑텐트(1000)를 여는 과정에서 도 7의 확장판(1510) 및 폴대(1520)가 자동 펼쳐지는 과정의 각 단계들을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8(a, b, c, d)을 살펴 보면, 루프탑텐트(1000)가 펼쳐질 때, 링크구조(1400)에 의해서 확장판(1510)과 폴대(1520)가 연동하여 자동으로 펼쳐짐을 알 수 있다. 확장판(1510)과 폴대(1520)는 링크구조(1400)에 연결되어 있고, 링크 구조(1400)는 링크(1410)에 연결되어 링크(1410)가 상방향으로 움직일 때, 이와 연동하여 연결된 확장판(1510)과 폴대(1520)를 자연스럽게 펼치는 기능을 수행함을 알 수 있다.
도 9(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의 루프탑텐트(1000)가 열린 상태에서, 확장판(1510) 및 폴대(1520)가 펼쳐진 모습과 웨빙 스트랩(1530)이 폴대(1520)를 확장판(1510)의 단부에 고정시키는 모습을 도시한다. 웨빙 스트랩(1530)은 폴대(1520)를 안정적으로 확장판(1510)의 단부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폴대(1520)는, 양 단이 상기 링크구조(1400)에 연결되며, 상기 텐트(1200)가 닫혀 있을 때에는 상기 하부케이스(1500) 상단에 보관되고, 상기 텐트(1200)이 열릴 때는, 상기 확장판(1510)과 연동하여 펼쳐지되, 상기 확장판(1510)과는 소정의 각도를 유지하여, 상기 텐트(1200)의 실내 공간 확장과 상기 텐트(1200)의 텐션 유지 기능을 수행한다.
도 9(b)는 링크구조(1400)만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링크구조(14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의 루프탑텐트(1000)에서 상부케이스(1300) 및 하부케이스(1500)각각의 코너에 배치되고, 힌지(1430)에 의해 연결되는 상단링크 및 하단링크로 구성되며, 상기 텐트(1200)가 원터치로 열림과 닫힘 동작하도록 구성된 링크(1410)를 포함하고, 이와 함께 상기 링크의 열림과 닫힘을 제어하는 쇽업쇼버(1420)를 포함하며, 상기 텐트(1200)가 원터치로 열림과 닫힘 동작을 하는 것에 연동하여 상기 확장판(1510)이 자동으로 펼쳐짐과 접힘 동작을 하도록 구성된 상부연결구(1485) 및 하부연결구(1495)를 포함하고, 상기 확장판(1510)을 접을 때 상기 하부케이스(1500)의 내부로 상기 확장판(1510)을 끌어당겨주는 연결구스프링(1480)을 포함한다.
또한, 도 9(c)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링크구조(1400)는, 상기 텐트(1200)가 열린 상태를 유지하여 텐트 세팅의 안정성이 확보되도록, 상기 상부연결구(1485) 및 상기 하부연결구(1495)를 움직이지 못하게 고정시키는 연결구고정핀(149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0(a)는 상기 링크구조(1400)가 상기 텐트(1200)가 열린 상태에서, 상기 하부케이스(1500)의 양측부에 연결된 확장판(1510)을 지지하도록 적어도 한 쌍의 고강성와이어(1900)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도시한다. 또한, 도 10(a)으로부터, 링크(1410)는 힌지(1430)를 중심으로 2개의 기둥이 상하에 연결되어 열림과 닫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이러한 링크(1410)의 열림과 닫힘 동작을 안정적으로 수행하도록 하는 기능은 쇽업쇼버(1420)가 담당함을 알 수 있다.
도 10(b)는 한 쌍의 힌지(1430)에 힌지고정장치(1440)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하며,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루프탑텐트(1000)가 연린 상태로 고정하기 위해서는 도 10(b)에서와 같이, 한 쌍의 힌지(1430)에 힌지고정장치(1440)를 결합하거나, 도 9(c)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링크구조(1400)의 상기 상부연결구(1485) 및 상기 하부연결구(1495)를 움직이지 못하게 고정시키는 연결구고정핀(1490)에 의해서 상기 텐트(1200)가 열린 상태를 유지하게 할 수 있다.
도 10(c)는 상부케이스(1300)와 링크(1410)를 연결하는 구면 조인트(1450)를 확대한 상태를 도시하고, 도 10(c)로부터, 상기 구면 조인트(1450)는 축홀이 구비된 2중 조인트 또는 3축 자유도가 가능한 편측 볼트 조인트가 될 수 있으며, 상기 구면 조인트(1450)는 상기 힌지(1430)의 자유도를 높혀, 상기 상부케이스(1300)를 앞뒤로 순차적으로 열거나 닫을 때, 상기 링크(1410)의 뒤틀림으로 인하여 상기 링크(1410)에 변형이 발생하는 것 방지할 수 있다.
도 10(d)는 하부케이스(1500)와 링크(1410)를 결합하는 링크구조(1400)의 일부를 확대한 상태를 도시한다.
도 11 (a)는, 예를 들어, 경량의 알루미늄 재료의 압출구조 리벳팅(1320)을 포함하는 상부케이스(1300)를 도시하고, 도 11(b)는 상기 압출구조 리벳팅(1320)을 확대한 모습을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루프탑텐트(1000)는 가볍고 견고해야 하므로, 이를 위해 상부케이스(1300)는 하드쉘커버를 채용하고, 모서리는 압출구조 리베팅(1320)을 채용하여 상부케이스(1300)의 변형을 막고 견고성을 확보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루프탑텐트(1000)는 가볍고 견고해야 하므로, 이를 위해 하부케이스(1500)는 허니컴 구조를 채용하고, 텐트(1200) 내의 결로를 방지하기 위해 하부케이스(1500)에 단열층(1540), 예를 들어, 목재를 추가하고 그 위에 쿠션(1700)을 설치한 모습을 도시한다. 이러한 단열층(1540)은 열전도율이 매우 높은 하부케이스(1500)에 텐트(1200) 내의 열 전달을 차단하여 텐트(1200) 내의 결로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3(a)는 하부케이스 코너에 설치된 링크 구조(1400)의 일부를 도시한 것이고, 도 13(b)는 도 13(a)에서 텐트(1200)의 하단을 고정하는 소정의 홈(1310)을 도시한 것이며, 도 13(c)는 상기 도 13(b)에서 상기 소정의 홈(1310)의 부분을 더욱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의 루프탑텐트(1000)에서, 텐트(1200)의 하단을 하부케이스(1500)에 연결할 때, 확장판(1500)을 연결하는 상부연결구(1485) 및 하부연결구(1495) 때문에 텐트 심지의 끊어짐 현상이 발생한다. 링크구조(1400)의 일부에 설치된 상기 소정의 홈(1320)은 텐트(1200)의 심지가 끊어져도 텐트(1200) 하단을 하부케이스(1500)에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하므로, 텐트(1200)의 심지 끊어짐으로 인하여, 텐트 하단이 하부케이스(1500)에 고정되지 못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의 루프탑텐트(1000)를 열었을 때, 확장판을 지지하는 사다리(1560)를 도시한다. 이 사다리(1560)는 루프탑텐트(1000)의 안전을 위해 확장판(1510)을 지지하고, 이용자나 애완동물이 텐트에 오를게 할 때 사용한다. 사다리(1560)는 사다리 연결부(1550)에 의해서 확장판(1510)과 결합한다. 사다리(1560) 반대편에는 지지대(1570)가 반대편 확장판(1510)을 지지한다. 사다리(1560)은 사용하지 않을 때 접어서 확장판(1510)의 배면에 보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사다리(1560)은 평상시에는 사람이 이용할 수 있게 하단부에 확장형 다리를 별도 구비하여 평상시에는 안쪽으로 들어가 있다가 나오는 구조로 구성하고, 그 위에 별도의 패브릭(Fabric)을 쉽게 탈착하게 만들어 사람이 아닌 애완동물을 텐트까지 오르게 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의 루프탑텐트(1000)를 사용할 때 사용할 전기를 생산하는 태양전지(1600)를 도시한다. 하부케이스(1500)의 바닥판의 측면에 설치되어 텐트(1200)를 열었을 때에 태양전지(1600)에 빛이 공급되어 전력을 생산할 수 있고, 텐트(1200) 사용 중에 텐트 내에서 휴대폰 충전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의 루프탑텐트(1000)의 열림(설치)과 닫힘(접음)을 실시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잠금장치들(도시하지 않음)을 해제하고 상부케이스(1300)를 어느 방향에서든지 가볍게 상부로 올려준다.
2. 텐트(1200)이 완전히 열린 상태가 되면, 링크구조(1400)의 힌지(1430)에 힌지고정장치(1440)를 장착하여 텐트(1200)의 우발적 닫힘을 방지하고, 입구 방향에는 사다리(1560)를, 반대 쪽에는 지지대(1570)를 설치한다. 이와 함께 텐트(1200)의 안정적 열린 상태 유지를 위해, 상부연결구(1485) 및 하부연결구(1495)를 연결구고정핀(1490)으로 고정결합시켜서, 링크구조(1400)가 더 이상 상태변경을 할 수 없게 함으로써, 텐트(1200)의 우발적 닫힘을 방지한다.
3. 사용 후에 닫을 경우에는 힌지고정장치(1440), 연결구 고정핀(1490), 사다리(1560), 및 지지대(1570)를 제거한 후, 닫음웨빙스트랩(1800)을 당겨서, 텐트(1200)를 닫는다.
4. 완전히 닫은 후는 주변의 잠금장치들을 채워서, 텐트(1200)가 열리지 않게 한다.
상기 설명은 본 발명에서 하나의 예를 설명한 것이고,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구체적인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으나, 실시 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치환, 부가 및 변형된 실시 형태들 역시 아래에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하여지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1000 본 발명의 차량용 루프탑텐트, 1100 차량, 1200 텐트, 1300 상부케이스(하드쉘 커버), 1320 압축구조 리베팅, 1400 링크구조, 1410 링크, 1420 쇽업쇼버, 1430 힌지, 1440 힌지고정장치, 1450 구면조인트, 1470 소정의 홈, 1480 연결구스프링, 1485 상부연결구, 1490 연결구고정핀, 1495 하부연결구, 1500 하부케이스(허니컴 구조), 1510 확장판, 1520 폴대, 1530 열림웨빙스트랩, 1540 단열층, 1550 사다리 연결부, 1560 사다리, 1570 지지대, 1600 태양전지, 1700 쿠션, 1800 닫음웨빙스트랩, 1900 고강성와이어

Claims (12)

  1. 텐트(1200), 상부케이스(1300), 링크구조(1400), 하부케이스(1500) 및 확장판(1510)을 포함하는 차량용 루프탑텐트(1000)에 있어서,
    상기 텐트(1200)는, 열림과 닫힘을 원터치로 동작하도록, 상단은 상기 상부케이스(1300)의 주변에 연결되고, 하단은 상기 하부케이스(1500) 및 상기 확장판(1510)의 주변에 연결되며,
    상기 상부케이스(1300)는, 변형을 최소화하고 강도 향상과 경량 구조를 구현하도록, 하드쉘커버를 포함하고, 코너부와 직선구간의 체결은 압출구조 리벳팅(1320)으로 구성되며,
    상기 링크구조(1400)는, 상기 텐트(1200)가 열림과 닫힘을 원터치로 동작하도록, 상기 하부케이스(1500)의 각 코너에 배치되고, 상기 텐트(1200)의 열림과 닫힘에 연동되어 상기 확장판(1510)을 자동으로 펼치고 접을 수 있게 구성되며,
    상기 하부케이스(1500)는, 강도 향상과 경량 구조를 구현하도록, 허니컴 구조로 구성되고,
    상기 확장판(1510)은, 상기 텐트(1200)가 열린 상태일 때는 바닥 면적을 확장하도록, 자동으로 펼쳐져서 상기 하부케이스(1500)의 양측부에 연장되게 구성되고, 상기 텐트(1200)가 닫힌 상태일 때는 바닥면적을 축소하도록 자동으로 접혀서 상기 하부케이스(1500)의 상부에 보관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루프탑텐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구조(1400) 각각은, 상기 텐트(1200)가 원터치로 열림과 닫힘 동작하도록 구성된 링크(1410), 쇽업쇼버(1420) 및 힌지(1430)를 포함하고, 상기 텐트(1200)가 원터치로 열림과 닫힘 동작을 하는 것에 연동하여 상기 확장판(1510)이 자동으로 펼쳐짐과 접힘 동작을 하도록 구성된 상부연결구(1485) 및 하부연결구(1495)를 포함하며, 상기 확장판(1510)을 접을 때 상기 하부케이스(1500)의 내부로 상기 확장판(1510)을 끌어당겨주는 연결구스프링(148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루프탑텐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구조(1400) 각각은, 상기 텐트(1200)가 열린 상태를 유지하여 텐트 세팅의 안정성이 확보되도록, 상기 상부연결구(1485) 및 상기 하부연결구(1495)를 움직이지 못하게 고정시키는 연결구고정핀(149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루프탑텐트.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구조(1400) 각각은 상기 텐트(1200)가 열린 상태에서, 상기 하부케이스(1500)의 양측부에 연결된 확장판(1510)을 지지하도록 적어도 한 쌍의 고강성와이어(19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루프탑텐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루프탑텐트(1000)는, 폴대(1520)를 더 포함하고, 상기 폴대(1520)는, 양 단이 상기 링크구조(1400)에 연결되며, 상기 텐트(1200)가 닫혀 있을 때에는 상기 하부케이스(1500) 상단에 보관되고, 상기 텐트(1200)이 열릴 때는, 상기 확장판(1510)과 연동하여 펼쳐지되, 상기 확장판(1510)과는 소정의 각도를 유지하여, 상기 텐트(1200)의 실내 공간 확장과 상기 텐트(1200)의 텐션 유지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루프탑텐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루프탑텐트(1000)는 사용 후 닫을 때, 원터치 작동으로 닫을 수 있게 상기 상부케이스(1300)를 균일하게 아래 방향으로 당기기 위한 닫음웨빙스트랩(180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루프탑텐트.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1430)는 상기 텐트(1200)가 열린 상태가 되었을 때 상기 상부케이스(1300)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는 힌지고정장치(1440)를 더 포함하고, 상기 힌지고정장치(1440)에 의해서 실수로 상기 링크(1410)를 밀치거나, 상기 상부케이스(1300)를 눌러도, 상기 텐트(1200)는 열린 상태를 유지하여, 텐트 세팅의 안정성이 확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루프탑텐트.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케이스(1300)는 상기 링크(1410)를 연결하는 부위에, 축홀이 구비된 구면 조인트(1450)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면 조인트(1450)는 2중 조인트 또는 3축 자유도가 가능한 편측 볼트 조인트가 될 수 있으며, 상기 구면 조인트(1450)는 상기 힌지(1430)의 자유도를 높혀, 상기 상부케이스(1300)를 앞뒤로 순차적으로 열거나 닫을 때, 상기 링크(1410)의 뒤틀림으로 인하여 상기 링크(1410)에 변형이 발생하는 것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루프탑텐트.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케이스(1500)는 상부에 소정의 단열층(1540)을 포함하는 이중 레이어 구조로 구성함으로써, 상기 텐트(1200)의 내부 및 외부의 온도 차에 의해 상기 텐트(1200)의 내부에 발생하는 결로를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루프탑텐트.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구조(1400)는, 상기 텐트(1200)의 하단을 고정하도록, 소정의 홈(1470)을 더 포함하고, 상기 텐트(1200) 설치 시 텐트 심지의 끊어짐에도 상기 텐트(1200)의 하단을 상기 하부케이스(1500)에 고정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루프탑텐트.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루프탑텐트(1000)는, 상기 하부케이스(1500)의 측면에 태양전지(16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텐트(1200)를 사용할 때에 필요한 전력을 생산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루프탑텐트.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루프탑텐트(1000)는 열림 상태에서, 확장판(1510)을 지지하는 사다리(156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다리(1560)는 하단부의 확장형 다리와 탈착 가능한 패브릭을 구비하며, 애완동물이 루프탑텐트 내부까지 오르게 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루프탑텐트.
KR1020210023704A 2021-02-22 2021-02-22 차량용 루프탑텐트 KR1022999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3704A KR102299917B1 (ko) 2021-02-22 2021-02-22 차량용 루프탑텐트
PCT/KR2021/011797 WO2022177086A1 (ko) 2021-02-22 2021-09-01 차량용 루프탑텐트
DE112021007152.1T DE112021007152T5 (de) 2021-02-22 2021-09-01 Fahrzeug-dachzelt
US18/449,399 US20230383565A1 (en) 2021-02-22 2023-08-14 Vehicle rooftop t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3704A KR102299917B1 (ko) 2021-02-22 2021-02-22 차량용 루프탑텐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9917B1 true KR102299917B1 (ko) 2021-09-09

Family

ID=777775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3704A KR102299917B1 (ko) 2021-02-22 2021-02-22 차량용 루프탑텐트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30383565A1 (ko)
KR (1) KR102299917B1 (ko)
DE (1) DE112021007152T5 (ko)
WO (1) WO202217708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150926A (zh) * 2021-12-03 2022-03-08 秋野地(厦门)户外装备科技有限公司 自动收合式车顶帐篷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82095B1 (en) 2023-02-28 2024-05-14 Rivian Ip Holdings, Llc Canopy with deployable structur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5135B1 (ko) * 2004-06-25 2006-02-24 주식회사 버팔로 차량용 절첩 텐트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11325B2 (ja) * 1993-06-14 1998-02-10 一彦 香味 ポップアップルーフを有する自動車
KR101318392B1 (ko) 2013-06-19 2013-10-15 한광진 자동개폐 루프탑 텐트
KR101516916B1 (ko) 2014-03-12 2015-05-04 이창영 차량용 루프탑텐트
KR101420589B1 (ko) 2014-04-11 2014-07-17 박순규 차량용 공간확장형 하드쉘 루프탑 텐트
KR20150142480A (ko) * 2014-06-12 2015-12-22 고광기 원터치식 차량용 텐트의 바닥면 세팅장치
KR101748407B1 (ko) * 2015-07-21 2017-06-16 박병섭 접철식 확장형 루프탑 텐트
KR101771155B1 (ko) 2016-03-31 2017-08-24 오린태 루프탑 텐트의 개폐장치
CN208564146U (zh) * 2018-03-20 2019-03-01 远古(厦门)户外科技有限公司 一种改进型车顶帐篷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5135B1 (ko) * 2004-06-25 2006-02-24 주식회사 버팔로 차량용 절첩 텐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150926A (zh) * 2021-12-03 2022-03-08 秋野地(厦门)户外装备科技有限公司 自动收合式车顶帐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12021007152T5 (de) 2024-01-04
WO2022177086A1 (ko) 2022-08-25
US20230383565A1 (en) 2023-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383565A1 (en) Vehicle rooftop tent
US9243423B2 (en) Foldable tent
KR101384696B1 (ko) 차량 장착용 텐트
CN113374333A (zh) 一种车顶行李箱帐篷
KR20170011132A (ko) 접철식 확장형 루프탑 텐트
US20240084617A1 (en) Hard rooftop tent
CA2784162C (en) Foldable tent
CN205768559U (zh) 一种车辆改装套件
CN108005464B (zh) 一种便携可移动式充气房屋及搭建方法
CN208106053U (zh) 一种侧开型双舱体多层帐车顶帐篷
KR101241369B1 (ko) 캠핑하우스
CN213573311U (zh) 一种交通工具用折叠式帐篷
CN214996572U (zh) 一种具有自动开合中心小顶结构的折叠帐篷
CN214833483U (zh) 一种方舱扩展帐篷
CN211422044U (zh) 一种u型杆支撑车顶帐篷
CN205239104U (zh) 多功能折叠伸缩式汽车遮阳罩
CN220203569U (zh) 车顶帐篷和车辆
KR101838521B1 (ko) 선루프를 활용한 차량용 루프탑 텐트
CN115822359A (zh) 一种汽车顶置可折叠小屋
CN218991056U (zh) 一种车顶帐篷
CN217602288U (zh) 一种侧翻式车顶帐篷
CN215055941U (zh) 手动展开带车边篷的折叠车顶帐篷
CN210460150U (zh) 一种车顶帐篷
CN218150155U (zh) 一种自动车顶帐篷
CN220849054U (zh) 一体化伸缩帐篷行李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