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5135B1 - 차량용 절첩 텐트 - Google Patents

차량용 절첩 텐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5135B1
KR100555135B1 KR1020040048220A KR20040048220A KR100555135B1 KR 100555135 B1 KR100555135 B1 KR 100555135B1 KR 1020040048220 A KR1020040048220 A KR 1020040048220A KR 20040048220 A KR20040048220 A KR 20040048220A KR 100555135 B1 KR100555135 B1 KR 1005551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nt
coupled
frame
main frame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82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63880A (ko
Inventor
곽종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버팔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버팔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버팔로
Priority to KR10200400482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5135B1/ko
Publication of KR200400638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38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51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51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32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comprising living accommodation for people, e.g. caravans, camping, or like vehicles
    • B60P3/34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comprising living accommodation for people, e.g. caravans, camping, or like vehicles the living accommodation being expansible, collapsible or capable of rearrang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32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comprising living accommodation for people, e.g. caravans, camping, or like vehicles
    • B60P3/34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comprising living accommodation for people, e.g. caravans, camping, or like vehicles the living accommodation being expansible, collapsible or capable of rearrangement
    • B60P3/341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comprising living accommodation for people, e.g. caravans, camping, or like vehicles the living accommodation being expansible, collapsible or capable of rearrangement comprising flexibl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9/00Supplementary fittings on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e.g. luggage, sports gear or the like
    • B60R9/04Carriers associated with vehicle roof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2Tents combined or specially associated with other devices
    • E04H15/06Tents at least partially supported by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에 일정한 공간이 형성되도록 일체로 봉제 형성된 천막과 상호 절첩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천막을 지지하기 위한 다수개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절첩 텐트에 있어서, 일정 길이를 갖으며 그 양측에는 각각 하부 브라켓트가 회전 가능하도록 축 결합되고, 그 외측에는 또 다른 상부 브라켓트가 결합 고정된 상태에서 전·후 방향으로 일정간격 수평 배열 형성되어 바닥면을 형성하는 메인 프레임; 상측으로 절곡된 양 끝단과 중앙 간살이 상기 메인 프레임의 양측 각 하부 브라켓트에 고정 결합되어 상기 하부 브라켓트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메인 프레임을 일정높이 지지하며, 그 하단이 자동차의 캐리어에 결합 고정되도록 형성된 받침다리; 절곡된 양 끝단과 중앙 간살이 상기 메인 프레임의 양측 각 상부 브라켓트에 축 결합되어 상기 상부 브라켓트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펼친 상태에서 누운 사람의 머리와 다리를 받치며, 상기 천막의 바닥 양측 수용주머니와 결합되어 천막의 바닥이 펼쳐지도록 형성된 보조 프레임; 절곡된 양 끝단이 상기 보조 프레임의 외측에 동축 결합되어 기립된 상태에서 천막의 지붕과 결합되어 천막의 지붕을 일정높이 지지하도록 형성된 지지 프레임; 일정 넓이의 직물천으로 형성되며 상기 메인 프레임과 보조 프레임의 내측에 결합 고정되어 천막의 바닥이 처지는 것을 방지하고 사람을 편안하게 지지하도록 형성된 매트; 및 상기 받침다리를 차량의 상판에 형성된 캐리어와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 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서, 승합차 등의 상판에 형성된 캐리어에 간편하게 고정 설치함 과 아울러, 설치된 텐트가 처지는 현상이 방지되고 절첩된 골조가 안전하게 고정되도록 한 차량용 절첩 텐트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절첩 텐트{TENT FOR AUTOMOBIL}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차량용 절첩 텐트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차량용 절첩 텐트의 사용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차량용 절첩 텐트의 결합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된 매트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요부도.
도 5는 본 발명이 적용된 메인 프레임과 보조 프레임의 걸림 상태를 도시한 요부도.
도 6은 본 발명이 적용된 차량용 절첩 텐트의 절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00: 절첩 텐트 110: 천막
112: 수용주머니 114: 부착고정천
120: 메인 프레임 122: 하부 브라켓트
124: 상부 브라켓트 126: 걸이공
130: 받침다리 132: 간살
140: 보조 프레임 142: 간살
144: 걸고리 146: 걸이공
150: 지지 프레임 160: 매트
162: 결합공 164: 결합끈
170: 고정수단 172: U형상 결합부재
174: 지지편 176: 너트
본 발명은 차량용 절첩 텐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승합차 등의 상판에 형성된 캐리어에 간편하게 고정 설치하도록 형성됨과 아울러, 설치된 텐트가 처지는 현상이 방지되고 절첩된 골조가 안전하게 고정되도록 한 차량용 절첩 텐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텐트는 야외에 설치하여 수면과 휴식을 취할 뿐만 아니라, 비·바람과 햇빛으로부터 피할 수 있는 은신처를 제공하도록 형성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의 텐트가 제공되고 있으며, 특히 이와 같은 텐트는 절첩에 의해 간편하게 설치하거나 휴대가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있음은 주지된 사실이다.
즉, 절첩 텐트는 내부에 일정한 공간이 형성되도록 봉제 형성된 천막과 상기 천막을 지지하기 위한 다수개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바, 상기 각 프레임을 연결하여 펼친 상태에서 각 요소에 천막을 걸어 고정함으로서 간편하게 설치하게 되고, 상기 프레임과 천막을 분리한 상태에서 각 프레임을 분리하여 절첩함으로서 간편하게 휴대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텐트를 펼치거나 접는 작업이 간편하긴 하나, 텐트를 펼치기 위한 장소나 공간의 제약이 많은 문제점이 있다. 즉, 야외에서 텐트를 펼치기 위한 평평한 공간이 충분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다소 평평하다 하더라도 울퉁불퉁한 지면과 돌출된 자갈 등에 의해 매우 큰 불편함이 발생되고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텐트의 바닥이 지면으로부터 일정높이 이격된 상태로 프레임에 설치되는 절첩 텐트가 제공되었으나, 이 경우 텐트의 바닥이 지면으로부터 이격되면서 사람의 하중을 충분히 지지하지 못하고 쉽게 처지는 문제점과 아울러, 천막의 바닥이 처지면서 양측에 펼쳐진 프레임이 들썩거리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특히, 이와 같은 절첩 텐트는 바닥의 지지력이 취약하여 2인 이상이 사용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함에 있어 많은 제약이 발생될 뿐만 아니라, 바람과 같은 외압에 의해 양측으로 펼쳐진 프레임이 접혀지거나 요동하는 문제점이 발생됨에 따라 그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종래 문제점 및 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주된 목적으로는 내부에 일정한 휴식공간이 형성된 천막과 상기 천막을 지지하기 위한 프레임 및 매트로 이루어져 차량의 상판 캐리어에 간편하게 고정 설치 가능하도록 형성된 차량용 절첩 텐트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으로는 매트가 프레임에 직접 견고하게 고정 설치되어 프레임과 함께 간편하게 절첩되도록 함과 동시에, 매트가 처지거나 늘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차량용 절첩 텐트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으로는 텐트를 설치한 후 바람 등과 같은 외압이나 사람의 움직임에 따른 무게의 편중에 의해 프레임이 접혀지거나 들썩거리는 현상을 방지하도록 한 차량용 절첩 텐트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에 일정한 공간이 형성되도록 일체로 봉제 형성된 천막과 상호 절첩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천막을 지지하기 위한 다수개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절첩 텐트에 있어서,
일정 길이를 갖으며 그 양측에는 각각 하부 브라켓트가 회전 가능하도록 축 결합되고, 그 외측에는 또 다른 상부 브라켓트가 결합 고정된 상태에서 전·후 방향으로 일정간격 수평 배열 형성되어 바닥면을 형성하는 메인 프레임;
상측으로 절곡된 양 끝단과 중앙 간살이 상기 메인 프레임의 양측 각 하부 브라켓트에 고정 결합되어 상기 하부 브라켓트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메인 프레임을 일정높이 지지하며, 그 하단이 자동차의 캐리어에 결합 고정되도록 형성된 받침다리;
절곡된 양 끝단과 중앙 간살이 상기 메인 프레임의 양측 각 상부 브라켓트에 축 결합되어 상기 상부 브라켓트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펼친 상태에서 누운 사람의 머리와 다리를 받치며, 상기 천막의 바닥 양측 수용주머니와 결합되어 천막의 바닥이 펼쳐지도록 형성된 보조 프레임;
절곡된 양 끝단이 상기 보조 프레임의 외측에 동축 결합되어 기립된 상태에서 천막의 지붕과 결합되어 천막의 지붕을 일정높이 지지하도록 형성된 지지 프레임;
일정 넓이의 직물천으로 형성되며 상기 메인 프레임과 보조 프레임의 내측에 결합 고정되어 천막의 바닥이 처지는 것을 방지하고 사람을 편안하게 지지하도록 형성된 매트; 및
상기 받침다리를 차량의 상판에 형성된 캐리어와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메인 프레임과 보조 프레임의 내주연에는 일정간격의 걸이공이 다수개 돌출 형성되며, 상기 매트의 외주연에는 걸이공에 대응되는 결합공이 다수개 천공 형성되어 일정길이의 결합끈으로 상기 메인 프레임 및 보조 프레임의 걸이공과 매트의 결합공을 교차로 얽어 결합 고정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보조 프레임은 축 결합된 상부 브라켓트를 중심으로 펼친 상태에서 그 하단이 외측으로 일정길이 연장된 메인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어지되, 상기 연장된 메인 프레임의 끝단으로부터 상측으로 일정각도의 상향 기울기를 갖도록 절곡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보조 프레임이 펼쳐진 상태에서 외압에 의해 들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보조 프레임의 양측에 형성된 상향 절곡부에 걸고리가 각각 축 결합되어 메인 프레임의 각 끝단을 걸어 고정하도록 형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보다 구체적으로 살 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차량용 절첩 텐트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차량용 절첩 텐트의 사용상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차량용 절첩 텐트의 결합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된 매트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요부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이 적용된 메인 프레임과 보조 프레임의 걸림 상태를 도시한 요부도이다.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일정한 내부 공간이 형성된 천막, 상기 천막를 지지하기 위한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 결합되며 천막의 바닥을 지지하기 위한 매트 및 상기 받침다리를 차량의 상판에 형성된 캐리어와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으로 이루어지는 바, 상기 프레임은 메인 프레임, 받침다리, 보조 프레임 및 지지 프레임으로 이루어져 간편하게 절첩되도록 형성된다.
이에, 상기 천막(110)은 사람이 들어가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내부에 일정한 공간이 형성되는 것으로서, 바닥과 지붕 및 사방 측면으로 이루어지며, 사방 측면에는 일정크기의 출입구(116)와 통풍창(118)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천막(110)의 바닥 양측에는 상기 보조 프레임(140)이 결합되도록 수용주머니(112)가 각각 형성되고, 지붕 양측에는 상기 기립된 지지 프레임(150)의 외면을 감싼 상태로 상호 벨크로 테이프(114a) 면에 의해 부착 고정되는 부착고정천(114)이 일체로 봉제 형성된다.
상기 메인 프레임(120)은 일정길이의 봉 형상으로 형성된 것으로서, 전·후 방향으로 일정간격 수평 배열되는 바, 바람직하게는 3개의 메인 프레임(120)이 전방, 중간, 후방으로 등 간격 이격 형성된다. 이때, 상기 각각의 메인 프레임(120)의 이격 거리는 후술되는 매트(160)와 관련되어 사용시 매트(160)가 처지는 것이 효율적으로 방지되는 간격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각각의 메인 프레임(120)의 양측에는 상기 받침다리(130)가 고정 결합되는 하브 브라켓트(122)가 축결합되고, 그 외측으로 상기 보조 프레임(140)이 축 결합되는 상부 브라켓트(124)가 각각 결합 고정된다.
또한, 상기 배열된 메인 프레임(120)의 대향되는 내주연에는 후술되는 매트(160)를 결합 고정하기 위한 다수개의 걸이공(126)이 돌출 형성되는 바, 그 구체적인 설명은 다음에서 한다.
상기 받침다리(130)는 양 끝단이 절곡 형성되고 그 중간에 동일한 높이로 간살(132)이 형성되어 각 끝단이 상기 메인 프레임(120)의 하부 브라켓트(122)와 각각 결합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받침다리(130)는 하부 브라켓트(122)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양측으로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메인 프레임(120)을 일정높이 지지하게 되며, 내측으로 절첩된 상태에서 메인 프레임(120)의 하단과 밀착되어 휴대 공간을 줄이게 된다.
또한, 상기 받침다리(130)는 고정수단(170)에 의해 승합차의 상판에 형성된 캐리어(C)에 안착된 상태로 견고하게 고정된다.
상기 보조 프레임(140)은 양 끝단이 절곡 형성되고 그 중간에 동일한 높이로 간살(142)이 형성되어 각 끝단이 상기 메인 프레임(120)의 상부 브라켓트(124)와 각각 축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보조 프레임(140)은 회전축을 중심으로 외측으로 펼쳐진 상태에서 그 하단이 메인 프레임(120)의 연장된 끝단과 밀착 지지되어 누운 사람의 머리와 다리를 받치게 된다. 한편, 상기 보조 프레임(140)은 천막(110)의 바닥 양측에 형성된 수용주머니(112)에 수납된 상태에서 외측으로 회전되어 천막(110)의 바닥이 펼쳐지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보조 프레임(140)은 그 하측을 지지하고 있는 메인 프레임(120)의 끝단으로부터 일정각도 상향 기울기를 갖도록 절곡 형성되는바, 상기 절곡된 각도는 머리와 발을 편안하게 받쳐주는 각도로 절곡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보조 프레임(140)의 양측에 형성된 상향 절곡부에는 메인 프레임(120)의 각 끝단과 밀착된 상태에서 걸어 고정하기 위한 걸고리(144)가 각각 축 결합된다. 즉, 상기 메인 프레임(120)의 끝단과 밀착되는 보조 프레임(140)의 양측에 고리 형상의 걸고리(144)가 축 결합됨으로서, 메인 프레임(120)과 보조 프레임(140)이 상호 밀착된 상태에서 걸고리(144)를 회전시켜 걸림 고정되며, 보조 프레임(140)을 절첩시 이를 간편하게 회전시켜 걸림 상태가 풀려지게 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보조 프레임(140)의 내주연과 그 중앙에 형성된 간살(142)의 양측 내주연에는 상술된 메인 프레임(120)의 걸이공(126)과 같은 형상의 걸이공(146)이 다수개 형성되는 바, 그 구체적인 설명은 다음에서 한다.
상기 지지 프레임(150)은 양 끝단이 절곡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보조 프레임(140)의 외측에 동축 결합된다. 즉, 상기 상부 브라켓트(124)의 외측에 동축 결합되어 회전에 의해 기립된 상태에서 천막(110)의 지붕과 결합되는 바, 상기 지 지 프레임(150)은 천막(110)의 지붕 외측으로 위치되어 상기 지붕 양측에 형성된 고정부착천(114)에 의해 감싸진 상태로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지지 프레임(150)의 중간에는 간살이 형성되지 않으며, 천막(110)의 외측으로 회전된다.
상기 매트(160)는 일정 넓이의 직물천으로 직조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메인 프레임(120)과 보조 프레임(140)의 내측에 결합 고정된 상태에서 천막(110)의 바닥과 그 내부의 사람이나 물건의 하중을 지지하게 되는바, 특히 사람이나 물건의 하중에 의해 처지거나 늘어나지 않는 재질로 견고히 직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메인 프레임(120)의 간격과도 연관이 있는 것으로서, 상기 메인 프레임(120)의 간격이 크면 매트(160)의 처짐 현상이 크며, 메인 프레임(120)의 간격이 작으면 매트(160)의 처짐 현상 또한 작게 된다. 그러나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매트(160)가 고강성 및 고 탄력성의 직물로 직조됨으로서 일정한 하중에 대하여 충분한 지지가 이루어지도록 형성된다.
한편, 상기 매트(160)의 외주연에는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메인 프레임(120)의 걸이공(126)과 보조 프레임(140)의 걸이공(146)에 대응되는 결합공(162)이 다수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각 걸이공(126, 146)과 결합공(162)을 연결하여 고정하기 위한 일정길이의 결합끈(164)이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일정길이의 결합끈(164)이 메인 프레임(120) 및 보조 프레임(140)의 각 걸이공(126, 146)과 매트(160)의 결합공(162)을 관통하여 단단하게 얽어 고정하게 됨으로서 매트(160)의 이탈 및 처짐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고정수단(170)은 상기 받침다리(130)를 차량의 상판에 형성된 캐리어(C)와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어떠한 수단이나 구성으로도 가능하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는 교차된 캐리어와 받침다리(130)를 동시에 고정하기 위한 U형상 결합부재(172)와 상기 U형상 결합부재의 양측 끝단과 대응되는 양측에 통공이 형성된 지지편(174) 및 상기 U형상 결합부재의 양측 끝단을 조이기 위한 너트(176)로 형성된다. 즉, 상기 U형상 결합부재(172)의 양측 끝단에는 소정의 나사부가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편(174)을 결합하여 교차된 캐리어와 받침다리(130)를 밀착시킨 후 상기 U형상 결합부재(172)의 양측 끝단에 너트(176)를 결합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우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첩된 상태로 간편하게 휴대 및 보관하게 된다. 이때, 상기 매트(160)는 결합끈(164)에 의해 메인 프레임(120)과 보조 프레임(140)의 걸이공(126, 146)에 각각 고정 결합된 상태로서 절첩하거나 펼쳐서 사용하게 된다.
이어, 상기 텐트(100)의 프레임을 차량의 상판에 올려놓은 후, 메인 프레임(120)의 양측 하부에 축 결합된 받침다리(130)를 펼쳐 메인 프레임(120)이 일정높이 지지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고정수단(170)을 통해 캐리어(C)와 받침다리(130)가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결합한다.
이때, 상기 천막(110)은 프레임을 차량의 캐리어(C)와 결합하기 이전이나 이후에 선택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천막(110)의 설치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우선 천막(110)을 펼친 상태에서 그 바닥의 수용주머니(112) 내부로 절 첩된 양측 보조 프레임(140)을 각각 삽입하여 결합한 후, 상기 보조 프레임(140)을 양측으로 펼치면 천막(110)의 바닥이 양측으로 펼쳐지면서 매트(160) 상에 안착된다. 이어 상기 천막(110)의 지붕 일측을 들어 올리고 그에 대응되는 상기 지지 프레임(150)을 세운 후 지붕의 일측에 형성된 부착고정천(114)으로서 지지 프레임(150)을 감싼 상태로 부착하여 고정한다. 이때, 반대 측의 지붕도 동일한 방법으로 지지 프레임(150)과 부착 고정함으로서 천막(110)의 설치가 완료된다.
한편, 상기 양측 보조 프레임(140)이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걸고리(144)를 통해 메인 프레임(120)의 끝단과 상호 결합함으로서 바람과 같은 외압 또는 사람이나 물건의 하중에 의해 양측 보조 프레임(140)이 들리거나 들썩거리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매트(160)가 결합끈(164)에 의해 프레임의 내주연에 견고하게 고정 결합됨으로서 사람이 눕거나 앉은 상태에서 처지거나 늘어지는 현상을 방지하여 편안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차량용 절첩 텐트는 내부에 일정한 휴식공 간이 형성된 천막과 상기 천막을 지지하기 위한 프레임 및 매트로 이루어져 차량의 상판 캐리어에 간편하게 고정 설치하도록 형성됨으로서, 야외에서 편안하고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와 아울러,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발휘된다.
또한, 매트가 프레임에 직접 견고하게 고정 설치되어 프레임과 함께 간편하게 절첩되도록 함과 동시에, 매트가 처지거나 늘어나는 것이 방지되도록 형성함으로서, 취급이 간편하고 편안하게 사용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발휘된다.
또한, 텐트를 설치한 후 바람 등과 같은 외압이나 사람의 움직임에 따른 무게의 편중에 의해 프레임이 접혀지거나 들썩거리는 현상이 방지되도록 형성함으로서, 보다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발휘된다.

Claims (4)

  1. 내부에 일정한 공간이 형성되도록 일체로 봉제 형성된 천막과 상호 절첩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천막을 지지하기 위한 다수개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절첩 텐트에 있어서,
    일정 길이를 갖으며 그 양측에는 각각 하부 브라켓트가 회전 가능하도록 축 결합되고, 그 외측에는 또 다른 상부 브라켓트가 결합 고정된 상태에서 전·후 방향으로 일정간격 수평 배열 형성되어 바닥면을 형성하는 메인 프레임;
    상측으로 절곡된 양 끝단과 중앙 간살이 상기 메인 프레임의 양측 각 하부 브라켓트에 고정 결합되어 상기 하부 브라켓트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메인 프레임을 일정높이 지지하며, 그 하단이 자동차의 캐리어에 결합 고정되도록 형성된 받침다리;
    절곡된 양 끝단과 중앙 간살이 상기 메인 프레임의 양측 각 상부 브라켓트에 축 결합되어 상기 상부 브라켓트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펼친 상태에서 누운 사람의 머리와 다리를 받치며, 상기 천막의 바닥 양측 수용주머니와 결합되어 천막의 바닥이 펼쳐지도록 형성된 보조 프레임;
    절곡된 양 끝단이 상기 보조 프레임의 외측에 동축 결합되어 기립된 상태에서 천막의 지붕과 결합되어 천막의 지붕을 일정높이 지지하도록 형성된 지지 프레임;
    일정 넓이의 직물천으로 형성되며 상기 메인 프레임과 보조 프레임의 내측에 결합 고정되어 천막의 바닥이 처지는 것을 방지하고 사람을 편안하게 지지하도록 형성된 매트; 및
    상기 받침다리를 차량의 상판에 형성된 캐리어와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절첩 텐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과 보조 프레임의 내주연에는 일정간격의 걸이공이 다수개 돌출 형성되며, 상기 매트의 외주연에는 걸이공에 대응되는 결합공이 다수개 천공 형성되어 일정길이의 결합끈으로 상기 메인 프레임 및 보조 프레임의 걸이공과 매트의 결합공을 교차로 얽어 결합 고정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절첩 텐트.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프레임은 축 결합된 상부 브라켓트를 중심으로 펼친 상태에서 그 하단이 외측으로 일정길이 연장된 메인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어지되, 상기 연장된 메인 프레임의 끝단으로부터 상측으로 일정각도의 상향 기울기를 갖도록 절곡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절첩 텐트.
  4. 제 1 항 또는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프레임이 펼쳐진 상태에서 외압에 의해 들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보조 프레임의 양측에 형성된 상향 절곡부에 걸고리가 각각 축 결합되어 메인 프레임의 각 끝단을 걸어 고정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절첩 텐트.
KR1020040048220A 2004-06-25 2004-06-25 차량용 절첩 텐트 KR1005551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8220A KR100555135B1 (ko) 2004-06-25 2004-06-25 차량용 절첩 텐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8220A KR100555135B1 (ko) 2004-06-25 2004-06-25 차량용 절첩 텐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3880A KR20040063880A (ko) 2004-07-14
KR100555135B1 true KR100555135B1 (ko) 2006-02-24

Family

ID=373546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8220A KR100555135B1 (ko) 2004-06-25 2004-06-25 차량용 절첩 텐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55135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56800A2 (en) * 2010-06-12 2011-12-15 Brain Box Concepts, Inc. A vehicle snow & ice removal system/cover
KR200471694Y1 (ko) 2013-02-20 2014-03-11 임헌무 어린이 침대용 놀이 텐트
KR101424104B1 (ko) 2014-04-08 2014-08-01 구은애 루프탑 텐트용 리프트
KR20190046127A (ko) 2017-10-25 2019-05-07 김병주 차량용 구조물 설치대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구조물 설치구조
KR102299917B1 (ko) * 2021-02-22 2021-09-09 고현일 차량용 루프탑텐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4007A (ko) * 2018-08-27 2020-03-06 주식회사 아이캠퍼 루프탑 텐트의 고정 장치
CN110259261A (zh) * 2019-05-27 2019-09-20 北京柏拉途户外用品有限公司 电动折叠三折车顶帐篷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56800A2 (en) * 2010-06-12 2011-12-15 Brain Box Concepts, Inc. A vehicle snow & ice removal system/cover
WO2011156800A3 (en) * 2010-06-12 2012-04-19 Brain Box Concepts, Inc. A vehicle snow & ice removal system/cover
KR200471694Y1 (ko) 2013-02-20 2014-03-11 임헌무 어린이 침대용 놀이 텐트
KR101424104B1 (ko) 2014-04-08 2014-08-01 구은애 루프탑 텐트용 리프트
KR20190046127A (ko) 2017-10-25 2019-05-07 김병주 차량용 구조물 설치대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구조물 설치구조
KR102299917B1 (ko) * 2021-02-22 2021-09-09 고현일 차량용 루프탑텐트
WO2022177086A1 (ko) * 2021-02-22 2022-08-25 고현일 차량용 루프탑텐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3880A (ko) 2004-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78038B1 (en) Collapsible shade for a towel mat
CA2152900C (en) Self-erecting portable fabric structure
US4914768A (en) Portable shelter
US6192909B1 (en) Collapsible all-terrain shelter and frame
US8701688B2 (en) Vent for a tent or shelter
US5833310A (en) Cover assembly for a deck chair
US5066063A (en) Removable cover for a truck cargo box
RU2770772C1 (ru) Складная самоустанавливающаяся рама для гамака с укороченным гамаком и способ подвешивания укороченного гамака на раме
KR100555135B1 (ko) 차량용 절첩 텐트
US5816417A (en) Mini clothes line
KR20200000596U (ko) 차량용 텐트
US20070022530A1 (en) Screened cot enclosure
KR20200001322U (ko) 텐트가 구비된 절첩식 침대
KR101999192B1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야전침대용 캐노피
US12004636B2 (en) Portable self-standing hammock frame with shortened hammock and method for suspending shortened hammock on a frame
CN216429207U (zh) 反装快撑帐篷
KR200489408Y1 (ko) 텐트가 구비된 절첩식 침대
KR200491483Y1 (ko) 텐트가 구비된 절첩식 침대
KR0131336Y1 (ko) 텐트용 푸라이
KR20100010872U (ko) 접이식 평상 겸용 원두막
KR200189925Y1 (ko) 파라솔겸용 텐트
KR950009918Y1 (ko) 침대겸용 간이텐트
JP2001070041A (ja) ハンモック式携帯ベッド
KR940000447Y1 (ko) 공기 주입식 텐트
JP2515062Y2 (ja) ベッド式携帯テン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0

Year of fee payment: 10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6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