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9045B1 - 지게차의 파워 팩 구동장치 - Google Patents

지게차의 파워 팩 구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9045B1
KR102299045B1 KR1020140181810A KR20140181810A KR102299045B1 KR 102299045 B1 KR102299045 B1 KR 102299045B1 KR 1020140181810 A KR1020140181810 A KR 1020140181810A KR 20140181810 A KR20140181810 A KR 20140181810A KR 102299045 B1 KR102299045 B1 KR 1022990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pack
forklift
cabin
driving device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18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73246A (ko
Inventor
류용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두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두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두산
Priority to KR10201401818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9045B1/ko
Publication of KR201600732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32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90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90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12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 B66F9/14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laterally movable, e.g. swingable, for slewing or transverse mov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07504Accessories, e.g. for towing, charging, loc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게차의 파워 팩 구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유지 보수를 위해 캐빈을 틸팅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 적은 힘으로 간편하게 캐빈을 들어올릴 수 있고, 캐빈을 틸팅시키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함으로써 유지보수에 걸리는 시간을 단축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파워 팩(Power Pack) 본체(21)와, 상기 파워 팩 본체(21)의 일측면에 구비되는 파워 팩 구동부(22)와, 지게차 캐빈(7)의 캐빈 플로어(7a) 하부에 연결되어 캐빈을 틸팅(Tilting)시키기 위한 유압 실린더(30)와, 상기 파워 팩 본체(21)에 구비되어 상기 유압 실린더(30)에 유압을 공급하기 위한 A포트(24) 및 B포트(25)와, 상기 A포트(24) 및 B포트(25)와 유압 실린더(30)를 연결하는 제1 호스(24a) 및 제2 호스(25a)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지게차의 캐빈(7)을 틸팅시키기 위한 지게차의 파워 팩 구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파워 팩 구동장치는, 상기 파워 팩 구동부(22)에 연결되는 연결 링크(53)와, 상기 연결 링크(53)와 조립되는 실린더(50)와, 상기 실린더(50)에 연결되는 연결 호스(41)와, 상기 연결 호스(41)와 조립되는 페달(40)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페달(40)의 답력에 의해 상기 파워 팩 구동부(22)를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캐빈(7)을 틸팅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지게차의 파워 팩 구동장치{Power Pack Operating Apparatus of Forklift}
본 발명은 지게차의 파워 팩 구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지게차의 유지 보수를 유해 파워 팩을 사용하여 캐빈을 들어올릴 때, 작은 힘으로 편리하게 캐빈을 틸팅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캐빈 틸팅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지게차의 파워 팩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지게차는 고중량의 하물(荷物)을 들어올려 운반하는데 사용되는 산업차량으로서, 건설현장 등에서 하물을 근거리로 이동시키거나, 실내 작업장에서 하물을 적재할 때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인 지게차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엔진이 설치되는 차체 프레임(1)을 구비하며, 상기 차체 프레임(1)의 전방에는 마스트(Mast) 조립체(2)가 설치된다.
상기 마스트 조립체(2)는, 수직방향으로 배치된 마스트 레일(Mast Rail)(3) 과, 상기 마스트 레일(3)을 따라 상, 하로 승강 가능한 캐리지(Carriage)(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마스트 조립체(2)는, 틸트 실린더(Tilt Cylinder)에 의해 운전석 쪽을 향해 약간 기울어질 수 있도록 구비된다.
상기 캐리지(4)는 리프트 체인(Lift Chain)(5)에 의해 상하로 승강하며, 캐리지(4)의 전방에는 하물을 들어올리는 한 쌍의 포크(Fork)(6)가 좌우로 폭을 조절할 수 있도록 장착된다.
상기 차체 프레임(1)의 상부에는 운전실 구조물인 캐빈(Cabin)(7)이 구비되고, 상기 캐빈(7)의 상부에는 운전자를 보호하기 위한 오버헤드 가드(Overhead Guard)(8)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지게차는 한 쌍의 전륜(10)과 후륜(11)을 구비하고 있고, 차체 프레임(1)의 후방에는 작업시 균형을 맞추기 위한 카운터웨이트(Counterweight)(9)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지게차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지 보수를 위해 캐빈(7)을 틸팅(Tilting)시키기 위한 파워 팩(Power Pack)(20)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도 3은 이러한 파워 팩 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종래의 파워 팩(20) 구동장치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워 팩 본체(21)와, 상기 파워 팩(20)의 일측면에 구비되는 파워 팩 구동부(22)를 구비한다.
상기 파워 팩 구동부(22)에는 레버(26)를 삽입하여 회전시키기 위한 관통공(22a)이 형성되어 있다.
즉 캐빈(7)을 틸팅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관통공(22a)에 레버(26)를 삽입한 후, 손으로 레버(26)를 회전시켜 파워 팩 구동부(22)를 회전시킨다.
상기 파워 팩 본체(21)에는, 캐빈(7)과 연결된 유압 실린더(30)(도 4a 및 도 4b 참조)에 유압을 공급하여 이를 신장 또는 수축시키기 위한 A포트(24) 및 B포트(25)가 조립된다.
상기 A포트(24)는 제1 호스(24a)에 의해 유압 실린더(30)의 일단과 연결되고, 상기 B포트(25)는 제2 호스(25a)에 의해 유압 실린더(30)의 타단과 연결된다.
상기한 구조에 의해, 상기 제1 호스(24a) 및 제2 호스(25a)에 유압을 선택적으로 공급하여 유압 실린더(30)를 신장 또는 수축시킴으로써, 유압 실린더(30)와 연결된 캐빈 플로어(7a)를 틸팅시킬 수가 있다.
이하 종래의 파워 팩 구동장치에 의해 캐빈을 틸팅시키는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캐빈(7)을 들어올릴 경우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26)를 파워 팩 구동부(22)의 관통공(22a)에 조립한 후, 레버(26)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러면 파워 팩 구동부(22)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유압이 A포트(24) 및 제1 호스(24a)를 통해 유압 실린더(30)의 일단으로 공급된다.
이에 따라 유압 실린더(30)가 신장되면서 이와 연결된 캐빈 플로어(7a)를 들어올릴 수 있다.
유지 보수 작업이 완료된 후 캐빈(7)을 다시 하강시킬 경우에는, 파워 팩(20)에 구비된 유로 전환스위치(도시 생략)를 조작하여, 유압이 B포트(25) 및 제2 호스(25a)를 통해 공급되도록 한다.
그러면 유압 실린더(30)가 수축되면서 캐빈 플로어(7a)를 하강시키게 된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파워 팩 구동장치에 의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워 팩 구동부(22)의 관통공(22a)에 별도의 레버(26)를 삽입한 후, 손으로 파워 팩 구동부(22)를 회전시키는 구조이므로, 힘이 많이 들고 작업이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의 파워 팩 구동장치는 손의 힘으로 레버(26)를 회전시켜 캐빈(7)을 틸팅시키는 구조이므로, 틸팅 작업이 용이하지 않고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파워 팩 구동장치에 의하면, 평상시에는 사용하지 않는 기다란 레버(26)를 보관하기가 불편하다는 문제점도 있다.
특허문헌 1: KR 10-2007-0068522 A (2007. 7. 2. 공개) 특허문헌 2: KR 10-2009-0068717 A (2009. 6. 29. 공개) 특허문헌 3: KR 10-20108-0037768 A (2010. 4. 12. 공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하는 것으로서, 지게차의 유지 보수를 위해 캐빈을 틸팅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 작은 힘으로 편리하게 캐빈을 들어올릴 수 있도록 하여 캐빈 틸팅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캐빈을 틸팅시키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함으로써 유지보수에 걸리는 시간을 단축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파워 팩(Power Pack) 본체와, 상기 파워 팩 본체의 일측면에 구비되는 파워 팩 구동부와, 지게차 캐빈의 캐빈 플로어 하부에 연결되어 캐빈을 틸팅(Tilting)시키기 위한 유압 실린더와, 상기 파워 팩 본체에 구비되어 상기 유압 실린더에 유압을 공급하기 위한 A포트 및 B포트와, 상기 A포트 및 B포트와 유압 실린더를 연결하는 제1 호스 및 제2 호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지게차의 캐빈을 틸팅시키기 위한 지게차의 파워 팩 구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파워 팩 구동장치는, 상기 파워 팩 구동부에 연결되는 연결 링크와, 상기 연결 링크와 조립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에 연결되는 연결 호스와, 상기 연결 호스와 조립되는 페달을 더 포함하고, 상기 페달의 답력에 의해 상기 파워 팩 구동부를 회전시켜 상기 캐빈을 틸팅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실린더는 플런저((Plunger)를 구비한 공압실린더로서, 상기 플런저의 상부에는 상기 연결 링크가 조립되기 위한 연결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플런저의 외주에는 상승된 플런저를 원래의 상태로 복귀시키기 위한 스프링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프링은 플런저의 외주에 구비되는 코일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 링크는 "L"자형 부재로서, 일단이 파워 팩 구동부의 관통공에 조립되고, 타단이 상기 플런저의 상부에 형성된 연결공에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파워 팩 본체에 체크 밸브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파워 팩 본체 내부에 진공펌프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진공펌프는 로터를 구비한 베인(Vane) 타입의 진공펌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유지 보수를 위해 지게차의 캐빈을 들어올릴 경우, 손의 힘이 아닌 발의 힘을 사용하여 캐빈을 들어올림으로써, 적은 힘으로도 간편하게 캐빈을 틸팅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가 선 상태에서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틸팅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작업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종래 지게차의 사시도.
도 2는 지게차에서 캐빈을 틸팅시킨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지게차의 파워 팩 구동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지게차의 파워 팩 구동장치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전체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펌프를 도시한 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지게차의 파워 팩 구동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일반적인 지게차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엔진이 설치되는 차체 프레임(1)과, 상기 차체 프레임(1)의 전방에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는 마스트 레일(Mast Rail)(3)과, 상기 마스트 레일(3)을 따라 상, 하로 승강하는 캐리지(Carriage)(4)와, 상기 캐리지(4)를 승강시키기 위한 리프트 체인(Lift Chain)(5)과, 상기 캐리지(4)의 전방에 구비되어 하물을 승강시키는 한 쌍의 포크(Fork)(6)와, 차체 프레임(1)의 전후방에 각각 구비되는 한 쌍의 전륜(10)및 후륜(11)과, 상기 후륜(11)의 상부에 구비되는 카운터웨이트(Counterweight)(9)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지게차는, 유지 보수를 위해 상기 캐빈(7)을 틸팅(Tilting)시키기 위한 파워 팩(Power Pack) 구동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파워 팩 구동장치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워 팩(Power Pack) 본체(21)와, 상기 파워 팩 본체(21)의 일측면에 구비되는 파워 팩 구동부(22)와, 지게차 캐빈(7)의 캐빈 플로어(7a) 하부에 연결되어 캐빈을 틸팅(Tilting)시키기 위한 유압 실린더(30)와, 상기 파워 팩 본체(21)에 구비되어 상기 유압 실린더(30)에 유압을 공급하기 위한 A포트(24) 및 B포트(25)와, 상기 A포트(24) 및 B포트(25)와 유압 실린더(30)를 연결하기 위한 제1 호스(24a) 및 제2 호스(25a)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파워 팩 구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파워 팩 구동장치는, 상기 파워 팩 구동부(22)에 연결되는 연결 링크(53)와, 상기 연결 링크(53)와 조립되는 실린더(50)와, 상기 실린더(50)에 연결되는 연결 호스(41)와, 상기 연결 호스(41)와 조립되는 페달(40)을 더 포함한다. .
즉, 본 발명은 종래와 같이 손으로 레버(26)(도 3 참조)를 회전시켜 파워 팩 구동부(22)를 회전시키는 것이 아니라, 페달(40)에 의한 답력으로 파워 팩 구동부(22)를 회전시킨다는데 그 특징이 있다.
상기 실린더(50)는 플런저((Plunger)(51)를 구비한 공압실린더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실린더(50)의 상부에는 파워 팩 구동부(22)와 연결되는 연결 링크(53)가 조립되기 위한 연결공(51a)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플런저(51)의 외주에는, 답력에 의해 상승된 플런저(51)를 복원력에 의해 원래의 상태로 복귀시키기 위한 스프링(52)이 더 구비된다.
상기 스프링(52)은 플런저(51)의 외주에 구비되는 코일 스프링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연결 링크(53)는 "L"자형의 부재로서, 일단이 파워 팩 구동부(22)의 관통공(22a)에 조립되고, 타단이 상기 플런저(51)의 상부에 형성된 연결공(51a)에 조립된다.
상기 연결 링크(53)는, 플런저(51)의 상승운동을 파워 팩 구동부(22)의 회전운동으로 변환시킨다.
또한, 상기 파워 팩 본체(21)에는 체크 밸브(23)가 더 구비된다.
상기 체크 밸브(23)는, 파워 팩 본체(21) 내에서 A포트(24) 또는 B포트(25)를 통해 유압을 선택적으로 공급할 때 유체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한다. 즉, 파워 팩 구동부(22)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 후 다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더라도 유체가 역류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상기 파워 팩 본체(21) 내부에는 진공펌프(60)가 더 구비된다.
상기 진공펌프(6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터(Rotor)(61)를 구비한 베인(Vane) 타입의 진공펌프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파워 팩 구동장치의 작용 효과를 설명한다.
평상시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워 팩 구동장치를 캐빈(7)의 후방또는 다른 장소에 보관하고 있다가, 필요 시 파워 팩 구동장치를 외부로 인출하여 페달(40)을 바닥에 위치시킨다.
이어서 사용자가 페달(40)을 밟으면,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공기압에 의해 실린더(50) 내부의 플런저(51)가 상방향(화살표 방향)으로 신장하게 된다.
상기 플런저(51)가 상방향으로 신장되면, 플런저(51)와 연결된 연결 링크(53)에 의해 파워 팩 구동부(22)가 반시계 방향(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즉, 상기 연결 링크(53)는 플런저(51)의 신장운동을 파워 팩 구동부(22)의 회전운동으로 변환시킨다.
상기 파워 팩 구동부(22)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파워 팩 본체(21) 내부에 구비된 진공펌프(60)가 진공상태가 되면서 유압이 형성된다.
이렇게 형성된 유압에 의해 A포트(24) 및 제1 호스(24a)를 통해 유압 실린더(30)의 A포트에 유압을 공급하게 되면, 유압 실린더(30)가 신장되면서 이와 연결된 캐빈(7)을 틸팅시키게 된다.
한편, 페달(40)의 답력에 의해 신장되었던 플런저(51)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외주에 구비된 스프링(52)의 복원력에 의해 다시 수축된다.
즉, 사용자가 페달(40)을 끝까지 밟은 후 발을 떼면, 플런저(51)가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자동적으로 하강하면서 1 행정이 완료된다.
이러한 과정을 계속 반복하면 캐빈(7)을 원하는 높이까지 틸팅시킬 수 있다.
지게차의 유지 보수 작업이 완료되면, 파워 팩 본체(21)에 구비된 전환 스위치(도시 생략)를 조작하여 B포트(25) 및 제2 호스(25a)를 통해 유압이 공급되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페달(40)을 밟으면, 유압은 B포트(25) 및 제2 호스(25a)를 통해 유압 실린더(30)의 B포트에 공급된다.
이에 따라 유압 실린더(30)가 수축되면서 이와 연결된 캐빈 플로어(7a)를 하강시키게 된다.
종래의 파워 팩 구동장치에 의하면, 파워 팩 구동부(22)에 별도의 레버(26)를 끼워 손의 힘으로 레버를 회전시키고 있다.
이에 따라 허리를 숙인 상태에서 작업을 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이 매우 불편할 뿐만 아니라, 힘이 많이 들고 작업 시간도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하면, 페달(40)을 지상에 내려놓은 후 작업자가 선 상태에서 발로 밟아 파워 팩 구동부(22)를 회전시키므로, 캐빈 틸팅 작업이 매우 간편하고 용이해진다.
또한 손으로 레버를 회전시키는 종래의 경우에 비하여 힘이 적게 들고 작업시간도 단축할 수가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차체 프레임(Frame) 2: 마스트(Mast) 조립체
3: 마스트 레일(Mast Rail) 4: 캐리지(Carriage)
5: 리프트 체인(Lift Chain) 6: 포크(Fork)
7: 캐빈(Cabin) 7a: 캐빈 플로어(Cabin Floor)
7b: 운전석 8: 오버헤드 가드(Overhead Guard)
9: 카운터웨이트(Counterweight) 10: 전륜
11: 후륜
20: 파워 팩(Power Pack) 21: 파워 팩 본체
22: 파워 팩 구동부 22a: 관통공
23: 체크 밸브(Check Valve) 24: A포트(Port)
24a: 제1 호스(Hose) 25: B포트
25a: 제2 호스 26: 레버(Lever)
30: 유압 실린더(Cylinder) 40: 페달(Pedal)
41: 연결 호스 50: 실린더
51: 플런저(Plunger) 51a: 연결공
52: 스프링 53: 연결 링크(Link)
60: 진공 펌프(Pump) 61: 로터(Rotor)

Claims (8)

  1. 파워 팩(Power Pack) 본체(21)와, 상기 파워 팩 본체(21)의 일측면에 구비되는 파워 팩 구동부(22)와, 지게차 캐빈(7)의 캐빈 플로어(7a) 하부에 연결되어 캐빈을 틸팅(Tilting)시키기 위한 유압 실린더(30)와, 상기 파워 팩 본체(21)에 구비되어 상기 유압 실린더(30)에 유압을 공급하기 위한 A포트(24) 및 B포트(25)와, 상기 A포트(24) 및 B포트(25)와 유압 실린더(30)를 연결하는 제1 호스(24a) 및 제2 호스(25a)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지게차의 캐빈(7)을 틸팅시키기 위한 지게차의 파워 팩 구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파워 팩 구동장치는,
    상기 파워 팩 구동부(22)에 연결되는 연결 링크(53)와,
    상기 연결 링크(53)와 조립되는 실린더(50)와,
    상기 실린더(50)에 연결되는 연결 호스(41)와,
    상기 연결 호스(41)와 조립되는 페달(40)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페달(40)의 답력에 의해 상기 파워 팩 구동부(22)를 회전시켜 상기 캐빈(7)을 틸팅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게차의 파워 팩 구동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50)는 플런저((Plunger)(51)를 구비한 공압실린더로서, 상기 플런저(51)의 상부에는 상기 연결 링크(53)가 조립되기 위한 연결공(51a)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게차의 파워 팩 구동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51)의 외주에는 상승된 플런저(51)를 원래의 상태로 복귀시키기 위한 스프링(52)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게차의 파워 팩 구동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52)은 플런저(51)의 외주에 구비되는 코일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게차의 파워 팩 구동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링크(53)는 "L"자형 부재로서, 일단이 파워 팩 구동부(22)의 관통공(22a)에 조립되고, 타단이 플런저(51)의 상부에 형성된 연결공(51a)에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게차의 파워 팩 구동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워 팩 본체(21)에 체크 밸브(23)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게차의 파워 팩 구동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워 팩 본체(21) 내부에 진공펌프(6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게차의 파워 팩 구동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펌프(60)는 로터(61)를 구비한 베인(Vane) 타입의 진공펌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게차의 파워 팩 구동장치.
KR1020140181810A 2014-12-16 2014-12-16 지게차의 파워 팩 구동장치 KR1022990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1810A KR102299045B1 (ko) 2014-12-16 2014-12-16 지게차의 파워 팩 구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1810A KR102299045B1 (ko) 2014-12-16 2014-12-16 지게차의 파워 팩 구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3246A KR20160073246A (ko) 2016-06-24
KR102299045B1 true KR102299045B1 (ko) 2021-09-06

Family

ID=563434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1810A KR102299045B1 (ko) 2014-12-16 2014-12-16 지게차의 파워 팩 구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9045B1 (ko)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1002460C2 (nl) * 1996-02-27 1997-08-28 Applied Power Inc Elektro-hydraulische kantelinrichting voor een voertuig met een kantelbare cabine.
KR100383982B1 (ko) * 2000-12-23 2003-05-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화물차의 캐빈 틸팅장치
KR101266982B1 (ko) 2005-12-27 2013-05-30 두산산업차량 주식회사 지게차의 캐빈
KR101414869B1 (ko) 2007-12-24 2014-07-03 주식회사 두산 산업차량의 캐빈 회전장치
KR101293009B1 (ko) * 2008-10-02 2013-08-12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지게차의 캐빈 틸팅 시스템
KR101690081B1 (ko) * 2014-12-12 2016-12-27 주식회사 에이피에스 무선으로 선박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자동 조타 장치
KR101876973B1 (ko) 2016-10-05 2018-07-10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용 연료 가스 공급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3246A (ko) 2016-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4217B1 (ko) 변속장치가 구비된 유체 펌핑용 실린더 장치
JP4919869B2 (ja) 作業車両
US3920096A (en) Vertical hydraulic ram system for scissors assembly scaffold
US3188107A (en) Lift truck
JP2004224458A (ja) 自走式作業機械
CN110562884B (zh) 叉车门架前倾角度控制系统及控制方法
US11401145B2 (en) Integrated drive and hydraulic actuator unit
JP4462633B2 (ja) パレットトラック
KR102299045B1 (ko) 지게차의 파워 팩 구동장치
US3735958A (en) High rise transmission jack
KR20140145756A (ko) 리치 타입 지게차의 레그 구조
CN105819371A (zh) 一种步行式堆垛车
JP2014105079A (ja) 高所作業台
KR102219166B1 (ko) 지게차의 파워 팩 구동장치
CN104355273B (zh) 一种叉车货叉架结构及前移式叉车
CN107188085A (zh) 一种高空作业设备大臂拆装液压升降机
CN208378332U (zh) 堆高车
KR20110037527A (ko) 지게차의 시야 확보 장치
KR101144311B1 (ko) 수동 리프트용 가변식 유압전달 장치
KR20110037525A (ko) 지게차의 포크
JP3140094U (ja) 油圧回路及びそれを用いた車両用リフタ装置
KR101738810B1 (ko) 오더피커로 용도 전환이 가능한 스태커
KR20160076657A (ko) 전동식 3륜 지게차의 카운터웨이트 구조
JP2006335530A (ja) 作業用リフト装置
JP2021038089A (ja) リフト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