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76657A - 전동식 3륜 지게차의 카운터웨이트 구조 - Google Patents
전동식 3륜 지게차의 카운터웨이트 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076657A KR20160076657A KR1020140186942A KR20140186942A KR20160076657A KR 20160076657 A KR20160076657 A KR 20160076657A KR 1020140186942 A KR1020140186942 A KR 1020140186942A KR 20140186942 A KR20140186942 A KR 20140186942A KR 20160076657 A KR20160076657 A KR 2016007665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unterweight
- body frame
- vehicle
- controller
- vehicle body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07504—Accessories, e.g. for towing, charging, lock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07509—Bra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3륜식 전동 지게차의 카운터웨이트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프레임과 카운터웨이트 사이에 구비되던 각종 부품을 차체 프레임이 아닌 카운터웨이트에 직접 장착하도록 함으로써, 차체 프레임의 구조를 단순화하고 카운터웨이트의 구조를 최적화하여 재료비를 절감하며, 차량의 무게중심을 뒤쪽으로 이동시켜 차량의 안정성을 증대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차체 프레임(1)과, 상기 차체 프레임(1)의 전방에 구비되는 마스트(Mast)조립체(2)와, 수직방향으로 배치된 마스트 레일(Mast Rail)(3)과, 상기 마스트 레일(3)을 따라 상하로 승강 가능한 캐리지(Carriage)(4)와, 상기 캐리지(4)의 전방에 구비되어 그 폭이 조절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한 쌍의 포크(Fork)(6)와, 차체 프레임(1)의 상부에 구비되는 운전석(7)과, 상기 운전석의 상부에 구비되는 오버헤드 가드(Overhead Guard)(8)와, 차량의 후방에 구비되는 카운터웨이트(Counterweight)(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전동식 3륜 지게차에 있어서, 상기 카운터웨이트(20)는, 몸체부(20a)의 일측에 구비되는 작동유 탱크 장착부(21)와, 몸체부(20b)의 타측에 구비되는 컨트롤러 장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작동유 탱크 및 컨트롤러 등의 부품이 카운터웨이트(20)와 일체로 모듈화되어 조립된 후, 차체 프레임(30)과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차체 프레임(1)과, 상기 차체 프레임(1)의 전방에 구비되는 마스트(Mast)조립체(2)와, 수직방향으로 배치된 마스트 레일(Mast Rail)(3)과, 상기 마스트 레일(3)을 따라 상하로 승강 가능한 캐리지(Carriage)(4)와, 상기 캐리지(4)의 전방에 구비되어 그 폭이 조절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한 쌍의 포크(Fork)(6)와, 차체 프레임(1)의 상부에 구비되는 운전석(7)과, 상기 운전석의 상부에 구비되는 오버헤드 가드(Overhead Guard)(8)와, 차량의 후방에 구비되는 카운터웨이트(Counterweight)(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전동식 3륜 지게차에 있어서, 상기 카운터웨이트(20)는, 몸체부(20a)의 일측에 구비되는 작동유 탱크 장착부(21)와, 몸체부(20b)의 타측에 구비되는 컨트롤러 장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작동유 탱크 및 컨트롤러 등의 부품이 카운터웨이트(20)와 일체로 모듈화되어 조립된 후, 차체 프레임(30)과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동식 3륜 지게차의 카운터웨이트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지게차의 차체 프레임에 조립되던 스티어 액슬, 작동유 탱크, 컨트롤러, 전장품 등을 카운터웨이트에 직접 장착함으로써, 차량 프레임의 구조를 최적화하고 카운터웨이트의 모듈화를 통해 조립공정을 단순화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며, 각종 부품들의 무게 중심을 차량의 후방으로 배치하여 차량의 안정성을 증대시키고, 각 부품들 간의 공간 확보로 유지보수의 편의성을 향상시킨 전동식 3륜 지게차의 카운터웨이트 구조에 관한 것이다.
지게차는 고중량의 하물(荷物)을 들어올리거나 운반하는데 사용되는 산업차량으로서, 실내/실외 작업장이나 건설현장 등에서 하물을 근거리로 이동시키거나, 하물을 차량에 적재하거나 하차시킬 때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지게차는, 동력원에 따라 엔진식 지게차와 전동식 지게차로 구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동식 지게차는, 마스트 조립체가 승/하강 작용만 하는 카운터밸런스 타입 (Counterbalance Type)의 표준형 지게차와, 마스트 조립체가 전, 후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리치 타입(Reach Type) 지게차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도 1은 카운터밸런스 타입의 3륜식 전동 지게차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한 카운터밸런스 타입의 3륜식 전동 지게차는, 모터 등의 차량 구동원이 장착되는 차체 프레임(1)과, 상기 차체 프레임(1)의 전방에 구비되는 마스트(Mast)조립체(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마스트 조립체(2)는, 수직방향으로 배치된 마스트 레일(Mast Rail)(3)과, 상기 마스트 레일(3)을 따라 상하로 승강 가능한 캐리지(Carriage)(4)를 구비한다.
상기 캐리지(4)는 리프트 체인(Lift Chain)(5)에 의해 상하로 승강하며, 캐리지(4)의 전방에는 하물을 들어올리는 한 쌍의 포크(Fork)(6)가 그 폭이 조절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차체 프레임(1)의 상부에는 운전석(7)이 구비되어 있으며, 그 상부에는 운전자를 보호하기 위한 오버헤드 가드(Overhead Guard)(8)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지게차의 전방에는 전륜(10)이 후방에는 후륜(11)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카운터밸런스 타입의 표준형 지게차는, 차량의 후방에 카운터웨이트(Counterweight)(9)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카운터웨이트(9)는 차체의 전방에 집중되는 하물의 무게중심을 후방으로 이동시켜 하물을 안정적으로 운송 및 승하강시키기 위한 것이다.
도 2는 전동식 3륜 지게차에 구비되는 종래의 카운터웨이트(9)를 도시한 것이다.
종래의 카운터웨이트(9)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9a)와, 상기 몸체부(9a)의 상부에 구비되는 상부 밀폐부(9b)와, 상기 상부 밀폐부(9b)에 구비되는 견인핀(9c) 및 인양부(9d)와, 상기 몸체부(9a)의 하부 중앙에 구비되어 후륜이 장착되도록 하기 위한 개방부(9e)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한편, 카운터밸런스 타입의 표준형 지게차는 일반적으로 전륜 구동, 후륜 조향 방식을 채용하고 있다.
즉, 차량의 전방에는 구동륜인 전륜(10)이 구비되고, 후방의 카운터웨이트(9) 하부 중앙에는 차량의 선회를 위한 조향륜인 후륜(11)이 구비된다.
상기 후륜(11)은 스티어 액슬(Steer Axle)이 조립된 차체 프레임(1)의 하부에 조립된다.
이에 따라 구동륜인 전륜(10)이 구동되면 후륜(11)은 전륜(10)과 같이 움직이게 된다.
상기한 구조에서 운전자가 핸들을 조작하면, 유압에 의해 스티어 액슬(15)이 작동하여 후륜(11)을 선회시킴으로써 차량의 운행방향을 변경시킨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전동식 3륜 지게차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티어 액슬(15)과 그 주변의 각종 부품, 예컨대, 작동유 탱크(12), 컨트롤러(13), 전장품(14) 등이 모두 차체 프레임(1)에 장착된 후, 카운터웨이트(9)와 조립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작동유 탱크(12)는 차체 프레임(1)의 중앙 수직프레임(1c)과 후방 수직프레임(1d)의 사이에 장착된다.
또한 컨트롤러(13)는 차체 프레임(1)의 중앙 수직프레임(1c)의 후면에 설치되고, 전장품(14)은 후방 수직 프레임(1d)의 전면에 설치되며, 스티어 액슬(15)(도 3b 참조)은 차체 프레임(1)의 하부에 설치된다.
즉, 스티어 액슬(15), 작동유 탱크(12), 컨트롤러(13), 전장품(14)이 모두 차체 프레임(1)에 장착된 후, 카운터웨이트(9)와 조립된다.
이에 따라 차체 프레임(1)의 크기가 커지게 되고 그 구조가 복잡해지며, 재료비가 상승하고 제작이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차체 프레임(1)의 크기가 커짐에 따라 차량의 제원(차량의 전/후 길이, 선회 반경 등)을 변경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차체 프레임(1) 내부에 각종 부품을 조립하기 위한 구조가 복잡해지고, 설치공간이 협소하게 되어 유지보수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각종 부품의 모듈화 작업이 어려워 부품의 조립에 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카운터웨이트 구조는 상부 밀폐부에 의해 방열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1) : 한국 공개특허 제10-2011-0110192호(2011. 10. 06. 공개)
(특허문헌 2) : 한국 공개특허 제10-2012-0084872호(2012. 7. 31. 공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차체 프레임과 카운터웨이트 사이에 구비되던 각종 부품을 차체 프레임이 아닌 카운터웨이트에 직접 장착하도록 함으로써, 차체 프레임의 구조를 단순화하고 차체 프레임 및 카운터웨이트의 구조를 최적화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각종 부품 특히 중량체인 스티어 액슬을 차량 후방의 카운터웨이트에 직접 장착하여, 차량의 무게중심을 뒤쪽으로 이동시키는 동시에 카운터웨이트의 무게중심을 아래쪽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차량의 전후 및 상하 안정성을 증대시키고, 카운터웨이트의 재료비를 절감하며 차량의 무게를 감소시켜 제조원가를 절감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중량물인 카운터웨이트의 후방 형상을 차량의 선회반경을 고려하여 구성하여, 차량의 선회반경을 축소시켜 콤팩트한 제원을 확보함으로써, 선회시 주변 물체와의 충돌을 피할 수 있고 협소한 공간에서도 운행이 가능하도록 하여 작업의 효율성을 증대시키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각종 부품들을 카운터웨이트에 모듈화 한 후 차체 프레임과 조립함으로써, 조립공수를 절감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스티어 액슬을 카운터웨이트의 하부에 직접 장착함으로써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카운터웨이트에 장착되는 부품들 간의 설치 공간을 확대하여 유지보수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카운터웨이트의 상부 공간을 통해 차량에서 발생하는 열이 효율적으로 방출되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차량을 용이하게 견인할 수 있고, 카운터웨이트를 용이하게 인양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차체 프레임과, 상기 차체 프레임의 전방에 구비되는 마스트조립체와, 수직방향으로 배치된 마스트 레일과, 상기 마스트 레일을 따라 상하로 승강 가능한 캐리지와, 상기 캐리지의 전방에 구비되어 그 폭이 조절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한 쌍의 포크와, 차체 프레임의 상부에 구비되는 운전석과, 상기 운전석의 상부에 구비되는 오버헤드 가드와, 차량의 후방에 구비되는 카운터웨이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전동식 3륜 지게차에 있어서, 상기 카운터웨이트는, 몸체부의 일측에 구비되는 작동유 탱크 장착부와, 몸체부의 타측에 구비되는 컨트롤러 장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작동유 탱크 및 컨트롤러 등의 부품이 카운터웨이트와 일체로 모듈화되어 조립된 후, 차체 프레임과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카운터웨이트의 개방부 하부 중앙에 스티어 액슬이 직접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 장착부는, 카운터웨이트 몸체부의 내측 수직면에 구비되는 제2 컨트롤러 장착부와, 차체 프레임의 후방 수직프레임의 후면에 구비되는 제1 컨트롤러 장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작동유 탱크 장착부에 장착되는 작동유 탱크의 상부에 전장품이 직접 또는 모듈화되어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카운터웨이트의 몸체부는 상부가 트인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카운터웨이트의 몸체부의 상부 양쪽 단부에 단품 및 모듈 조립시 카운터웨이트를 인양하기 위한 인양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인양부는 카운터웨이트의 커버 결합부의 역할을 겸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카운터웨이트 몸체부 하부 양측에 하부돌기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차체 프레임과 카운터웨이트 사이에 구비되던 각종 부품을 차체 프레임이 아닌 카운터웨이트에 직접 장착함으로써, 차체 프레임의 구조를 단순화하고 차체 프레임 및 카운터웨이트의 구조를 최적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각종 부품 특히 중량체인 스티어 액슬을 차량 후방의 카운터웨이트에 직접 장착함으로써, 차량의 무게중심을 뒤쪽으로 이동시키는 동시에 카운터웨이트의 무게중심을 아래쪽으로 이동시켜, 차량의 전후 및 상하 안정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카운터웨이트의 후방 형상을 차량의 선회반경을 고려하여 구성하고, 차량의 선회반경을 축소시켜 콤팩트한 제원을 확보함으로써, 선회시 주변 물체와의 충돌을 피할 수 있고 협소한 공간에서도 운행이 가능하도록 하여 작업의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각종 부품들을 카운터웨이트에 모듈화 한 후 차체 프레임과 조립함으로써, 조립성을 개선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스티어 액슬이 차체 프레임이 아닌 카운터웨이트의 하부에 직접 장착되므로, 차체 프레임 및 카운터웨이트의 구조 최적화를 통해, 프레임 및 카운터웨이트의 재료비를 절감하고 차량의 무게를 감소시켜 차량의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카운터웨이트에 장착되는 부품들 간의 설치 공간이 확대되어 유지보수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카운터웨이트의 상부 공간을 통해 차량에서 발생하는 열이 효과적으로 방출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차량을 용이하게 견인할 수 있고, 카운터웨이트를 용이하게 인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전동식 3륜 지게차의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전동식 3륜 지게차의 카운터웨이트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종래의 전동식 3륜 지게차에서 차체 프레임과 카운터웨이트가 조립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3a는 측면사시도이고 도 3b는 배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3륜 지게차의 카운터웨이트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3륜 지게차에서 차체 프레임과 카운터웨이트가 조립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5a는 측면사시도이고 도 5b는 배면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전동식 3륜 지게차의 카운터웨이트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종래의 전동식 3륜 지게차에서 차체 프레임과 카운터웨이트가 조립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3a는 측면사시도이고 도 3b는 배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3륜 지게차의 카운터웨이트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3륜 지게차에서 차체 프레임과 카운터웨이트가 조립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5a는 측면사시도이고 도 5b는 배면 사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3륜 지게차의 카운터웨이트 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전동식 3륜 지게차의 구조에 대하여 간략히 설명한다.
전동식 3륜 지게차는, 차체 프레임(1)과, 상기 차체 프레임(1)의 전방에 구비되는 마스트(Mast)조립체(2)와, 수직방향으로 배치된 마스트 레일(Mast Rail)(3)과, 상기 마스트 레일(3)을 따라 상하로 승강 가능한 캐리지(Carriage)(4)와, 상기 캐리지(4)의 전방에 구비되어 그 폭이 조절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한 쌍의 포크(Fork)(6)와, 차체 프레임(1)의 상부에 구비되는 운전석(7)과, 상기 운전석의 상부에 구비되는 오버헤드 가드(Overhead Guard)(8)와, 차량의 후방에 구비되는 카운터웨이트(Counterweight)(20)와, 전륜(10) 및 후륜(11)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한 전동식 3륜 지게차의 구조에 대해서는 종래 기술에서 설명한 바 있으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3륜 지게차의 카운터웨이트 구조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20a)의 일측에 구비되는 작동유 탱크 장착부(21)와, 몸체부(20a)의 타측에 구비되는 제2 컨트롤러 장착부(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한 구조에 의해, 작동유 탱크 및 컨트롤러 등의 부품이 카운터웨이트(20)와 일체로 모듈화되어 조립된 후, 차체 프레임(30)과 조립될 수 있다.
종래의 카운터웨이트 구조에 의하면,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유 탱크(12), 컨트롤러(13), 전장품(14), 스티어 액슬(15) 등의 부품이 모두 차체 프레임(1)에 장착된 후, 카운터웨이트(9)에 조립되었다.
즉, 종래의 컨트롤러(13)는 중앙 수직프레임(1c)의 후면에 장착되고, 전장품(14)은 후방 수직프레임(1d)의 전면에 장착되며, 작동유 탱크(12)는 중앙 수직프레임(1c)과 후방 수직프레임(1d)의 사이에 장착되었다.
이에 따라, 차체 프레임(1)의 크기가 커지게 되고 그 구조가 복잡해져, 재료비가 상승하고 프레임의 제작이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가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하면,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운터웨이트(20) 자체에 작동유 탱크(12), 전장품(14), 제1 컨트롤러(13a), 제2 컨트롤러(13b) 및 스티어 액슬(15)을 모듈화하여 직접 장착할 수 있기 때문에, 차체 프레임의 구조가 간단해지고, 차체 프레임과 카운터웨이트의 조립구조를 최적화하여 제작할 수가 있다.
또한, 동일한 제원에서 카운터웨이트(20)의 중량을 감소시킬 수가 있다.
상기 컨트롤러 장착부는, 카운터웨이트 몸체부(20a)의 내측 수직면에 구비되는 제2 컨트롤러 장착부(22)와, 차체 프레임(30)의 후방 수직프레임(30c)의 후면에 구비되는 제1 컨트롤러 장착부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제1 컨트롤러 장착부와 제2 컨트롤러 장착부(22)가 모두 카운터웨이트(9)에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컨트롤러를 제1 컨트롤러(13a)와 제2 컨트롤러(13b)로 구분하지 않고 하나로 구성하여 카운터웨이트에 직접 장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작동유 탱크 장착부(21)에 장착되는 작동유 탱크(12)의 상부에 전장품(14)을 직접 또는 모듈화하여 조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카운터웨이트(20)의 개방부(20d)의 하부 중앙에는 스티어 액슬(15)이 직접 장착된다.
종래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티어 액슬(15)이 차체 프레임(1)의 하부에 조립되는 구조로 되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하면,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티어 액슬(15)을 카운터웨이트(20)의 중앙 하부에 직접 조립한다.
이에 따라 차체 프레임(30)과 카운터웨이트(20)의 조립 및 유지보수가 간편해지고, 스티어 액슬(15)을 카운터웨이트(20)에 직접 조립하게 되므로 차량의 강성을 증대시킬 수가 있다.
또한, 상기 카운터웨이트의 몸체부(20a)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가 트인 구조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차량에서 발생되는 열을 효과적으로 방출시킬 수가 있다.
또한, 상기 카운터웨이트의 몸체부(20a)의 상부 양쪽 단부에는 카운터웨이트를 인양하기 위한 인양부(23)가 구비된다.
상기 인양부(23)의 위치는 카운터웨이트(20) 상에 장착되는 스티어 액슬(15)을 비롯한 각종 부품들의 중량에 따른 무게중심을 고려한 것이다.
또한, 상기 인양부(23)는 카운터웨이트(20)의 커버(도시 생략) 결합부의 역할을 겸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카운터웨이트(20)의 상부에 별도의 커버를 구비할 경우, 상기 커버를 인양부(23)에 조립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운터웨이트(20)의 몸체부(20a) 하부 양측에는 하부돌기(24)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3륜식 지게차에 있어서 차량의 안정성을 고려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체 프레임(30)과 카운터웨이트(20)의 조립 과정을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카운터웨이트(20)의 중앙에 스티어 액슬(15)을 직접 조립한다.
이어서 작동유 탱크(12)를 카운터웨이트의 작동유 탱크 장착부(21)에 조립하고, 상기 작동유 탱크(12) 상부에 전장품(14)을 직접 또는 모듈화하여 조립한다.
그리고 제2 컨트롤러(13b)를 제2 컨트롤러 장착부(22)에 장착한다.
한편, 차체 프레임(30)의 후방 수직 프레임(30c)의 후면에 제1 컨트롤러(13a)를 장착한다.
마지막으로 차체 프레임(30)과 카운터웨이트(20)를 조립하면, 차체 프레임(30)과 카운터웨이트(20)의 조립이 완료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스티어 액슬(15), 작동유 탱크(12), 전장품(14) 및 제2 컨트롤러(13b)를 모두 카운터웨이트(20)에 모듈화하여 장착한 후, 차체 프레임(30)과 조립할 수가 있다.
이에 따라 각종 부품을 차체 프레임 상에 장착하던 종래의 방식에 비해, 차체 프레임의 구조가 간단해지고, 카운터웨이트의 모듈화 작업이 가능해지므로 조립과정을 단순화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단순히 균형을 맞추기 위해 장착하던 카운터웨이트에 각종 부품들을 조립하여 모듈화한 후 차체 프레임과 조립한다는데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카운터웨이트에 각종 부품을 직접 장착함으로써 차량의 무게중심을 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동일한 제원 하에서 카운터웨이트 자체의 중량을 감소시킬 수가 있다.
또한, 카운터웨이트의 하부에 스티어 액슬이 직접 장착되므로, 차량의 무게중심을 하부로 이동시켜 차량의 안정성을 증대시킬 수가 있다.
또한, 작동유 탱크, 전장품 및 컨트롤러를 차체 프레임이 아닌 카운터웨이트에 직접 장착함으로써 각 부품간의 공간이 확보되어 유지보수가 간편해진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차체 프레임(Frame) 1a: 측면 프레임
1b: 전방 수직프레임 1c: 중앙 수직프레임
1d: 후방 수직프레임 2: 마스트(Mast) 조립체
3: 마스트 레일(Mast Rail) 4: 캐리지(Carriage)
5: 리프트 체인(Lift Chain) 6: 포크(Fork)
7: 운전석 8: 오버헤드 가드(Overhead Guard)
9: 카운터웨이트(Counterweight) 9a: 몸체부
9b: 상부 밀폐부 9c: 견인핀
9d: 인양부 9e: 개방부
10: 전륜 11: 후륜
12: 작동유 탱크 13: 컨트롤러
13a: 제1 컨트롤러 13b: 제2 컨트롤러
14: 전장품 15: 스티어 액슬(Steer Axle)
20: 카운터웨이트 20a: 몸체부
20b: 개방부 21: 작동유 탱크 장착부
22: 제2 컨트롤러 장착부 23: 인양부
24: 하부돌기 30: 차체 프레임
30a: 측면 프레임 30b: 전방 수직프레임
30c: 후방 수직프레임
1b: 전방 수직프레임 1c: 중앙 수직프레임
1d: 후방 수직프레임 2: 마스트(Mast) 조립체
3: 마스트 레일(Mast Rail) 4: 캐리지(Carriage)
5: 리프트 체인(Lift Chain) 6: 포크(Fork)
7: 운전석 8: 오버헤드 가드(Overhead Guard)
9: 카운터웨이트(Counterweight) 9a: 몸체부
9b: 상부 밀폐부 9c: 견인핀
9d: 인양부 9e: 개방부
10: 전륜 11: 후륜
12: 작동유 탱크 13: 컨트롤러
13a: 제1 컨트롤러 13b: 제2 컨트롤러
14: 전장품 15: 스티어 액슬(Steer Axle)
20: 카운터웨이트 20a: 몸체부
20b: 개방부 21: 작동유 탱크 장착부
22: 제2 컨트롤러 장착부 23: 인양부
24: 하부돌기 30: 차체 프레임
30a: 측면 프레임 30b: 전방 수직프레임
30c: 후방 수직프레임
Claims (8)
- 차체 프레임(1)과, 상기 차체 프레임(1)의 전방에 구비되는 마스트(Mast)조립체(2)와, 수직방향으로 배치된 마스트 레일(Mast Rail)(3)과, 상기 마스트 레일(3)을 따라 상하로 승강 가능한 캐리지(Carriage)(4)와, 상기 캐리지(4)의 전방에 구비되어 그 폭이 조절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한 쌍의 포크(Fork)(6)와, 차체 프레임(1)의 상부에 구비되는 운전석(7)과, 상기 운전석의 상부에 구비되는 오버헤드 가드(Overhead Guard)(8)와, 차량의 후방에 구비되는 카운터웨이트(Counterweight)(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전동식 3륜 지게차에 있어서,
상기 카운터웨이트(20)는,
몸체부(20a)의 일측에 구비되는 작동유 탱크 장착부(21)와,
몸체부(20b)의 타측에 구비되는 컨트롤러 장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작동유 탱크(12), 전장품(14) 및 컨트롤러 등의 부품이 카운터웨이트(20)와 일체로 모듈화되어 조립된 후, 차체 프레임(30)과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3륜 지게차의 카운터웨이트 구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운터웨이트(20)의 개방부(20d) 하부 중앙에 스티어 액슬(15)이 직접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3륜 지게차의 카운터웨이트 구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 장착부는,
카운터웨이트 몸체부(20a)의 내측 수직면에 구비되는 제2 컨트롤러 장착부(22)와,
차체 프레임(30)의 후방 수직프레임(30c)의 후면에 구비되는 제1 컨트롤러 장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3륜 지게차의 카운터웨이트 구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유 탱크 장착부(21)에 장착되는 작동유 탱크(12)의 상부에 전장품(14)이 직접 또는 모듈화되어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3륜 지게차의 카운터웨이트 구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운터웨이트의 몸체부(20a)는 상부가 트인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3륜 지게차의 카운터웨이트 구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운터웨이트의 몸체부(20a)의 상부 양쪽 단부에 카운터웨이트 단품 또는 카운터웨이트 모듈을 인양하기 위한 인양부(23)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3륜 지게차의 카운터웨이트 구조.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인양부(23)는 카운터웨이트(20)의 커버 결합부의 역할을 겸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3륜 지게차의 카운터웨이트 구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운터웨이트(20) 몸체부(20a) 하부 양측에 하부돌기(24)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3륜 지게차의 카운터웨이트 구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86942A KR20160076657A (ko) | 2014-12-23 | 2014-12-23 | 전동식 3륜 지게차의 카운터웨이트 구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86942A KR20160076657A (ko) | 2014-12-23 | 2014-12-23 | 전동식 3륜 지게차의 카운터웨이트 구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76657A true KR20160076657A (ko) | 2016-07-01 |
Family
ID=565002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86942A KR20160076657A (ko) | 2014-12-23 | 2014-12-23 | 전동식 3륜 지게차의 카운터웨이트 구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60076657A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76201A (ko) * | 2018-12-19 | 2020-06-29 | 주식회사 두산 | 산업차량의 프레임 구조 |
KR20210014889A (ko) * | 2019-07-31 | 2021-02-10 | 한국생산기술연구원 | 조향식 듀얼 드라이브 유닛을 구비한 3륜 전동 지게차 및, 그 구동방법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1110192A (ja) | 2009-11-26 | 2011-06-09 | Kpe Inc | 遊技機 |
JP2012084872A (ja) | 2010-09-15 | 2012-04-26 | Tokyo Electron Ltd | プラズマエッチング処理装置、プラズマエッチング処理方法、および半導体素子製造方法 |
-
2014
- 2014-12-23 KR KR1020140186942A patent/KR20160076657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1110192A (ja) | 2009-11-26 | 2011-06-09 | Kpe Inc | 遊技機 |
JP2012084872A (ja) | 2010-09-15 | 2012-04-26 | Tokyo Electron Ltd | プラズマエッチング処理装置、プラズマエッチング処理方法、および半導体素子製造方法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76201A (ko) * | 2018-12-19 | 2020-06-29 | 주식회사 두산 | 산업차량의 프레임 구조 |
KR20210014889A (ko) * | 2019-07-31 | 2021-02-10 | 한국생산기술연구원 | 조향식 듀얼 드라이브 유닛을 구비한 3륜 전동 지게차 및, 그 구동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5152036A (zh) | 一种玻璃自动安装电动搬运小车 | |
MX2020008872A (es) | Vehiculo de guiado automatico (agv). | |
US20090067969A1 (en) | Rider Lift Truck | |
WO2020019646A1 (zh) | 一种适用于工业车辆的顶升立柱 | |
KR20160076657A (ko) | 전동식 3륜 지게차의 카운터웨이트 구조 | |
KR101353295B1 (ko) | 농업용 고소작업차 | |
CN102275848A (zh) | 一种电转向四向电动叉车车身结构 | |
CN105819371A (zh) | 一种步行式堆垛车 | |
CN103601104A (zh) | 一种稳定运货叉车的制造方法 | |
CN103288009B (zh) | 一种小型电动叉车 | |
CN112124004B (zh) | 叉车轮距调节装置及叉车 | |
CN109319695B (zh) | 一种适用于工业车辆的顶升立柱 | |
RU2012157416A (ru) | Малогабаритный электропогрузчик | |
KR20140145756A (ko) | 리치 타입 지게차의 레그 구조 | |
KR20160076661A (ko) | 전동식 4륜 지게차의 카운터웨이트 구조 | |
KR102299054B1 (ko) | 전동식 4륜 지게차의 차체 프레임 구조 | |
CN213446054U (zh) | 一种新型多功能双向叉车 | |
KR200473493Y1 (ko) | 전도방지용 핸드파레트 트럭 | |
CN213011819U (zh) | 一种经济型全电动搬运车 | |
KR20160076667A (ko) | 전동식 3륜 지게차의 차체 프레임 구조 | |
KR20160076669A (ko) | 4륜식 지게차의 스티어 액슬 구조 | |
CN214828807U (zh) | 一种站驾堆高车结构 | |
CN209815591U (zh) | 一种小转弯半径工业车辆车体的布置机构 | |
JP5858448B1 (ja) | 昇降装置および荷役車両 | |
KR200322579Y1 (ko) | 크레인 리프트 트럭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