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8589B1 - 엘리베이터 비상운전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비상운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8589B1
KR102298589B1 KR1020190114276A KR20190114276A KR102298589B1 KR 102298589 B1 KR102298589 B1 KR 102298589B1 KR 1020190114276 A KR1020190114276 A KR 1020190114276A KR 20190114276 A KR20190114276 A KR 20190114276A KR 102298589 B1 KR102298589 B1 KR 1022985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ergency
power
elevator
operation devic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42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32806A (ko
Inventor
김운기
김현준
Original Assignee
김운기
김현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운기, 김현준 filed Critical 김운기
Priority to KR10201901142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8589B1/ko
Publication of KR202100328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28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85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85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021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the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being independent of the system
    • B66B5/024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the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being independent of the system where the abnormal operating condition is caused by an accident, e.g. fi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4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027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to permit passengers to leave an elevator car in case of failure, e.g. moving the car to a reference floor or unlocking the door

Abstract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승강기(110)와, 상기 승강기(110)를 승강 및 하강시키는 구동부(120)와, 상기 구동부(120)에 전원을 공급하여 승강기(110)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제어하는 메인 제어반(130)과, 외부로부터 메인전원을 공급받는 상용전원(1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엘리베이터장치(100)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장치(100)에는 상기 상용전원(140)과 메인 제어반(130)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비상운전장치(200)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비상운전장치(200)는, 메인전원 단전 시 상기 메인 제어반(130)에 비상전원을 공급하여 상기 구동부(120)를 작동시킴으로써 상기 승강기(110)를 가장 가까운 층으로 이동시켜 엘리베이터에 탑승한 승객을 구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운전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비상운전장치{The elevator emergency driving device}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비상운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용전원이 단전된 경우, 엘리베이터의 각종 장치에 비상 전원을 공급하여 작동시켜 엘리베이터에 탑승한 승객을 구조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비상운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는 건축물 내부의 수직통로 안쪽에 설치된 한 쌍의 안내레일을 따라 사람이나 화물을 상하로 옮기는 장치를 말한다.
또한, 엘리베이터는 승강기를 승강구에서 이동시키기 위하여 건물 상부에 구동부(50)를 설치한다.
구동부(50)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 승강기를 승강구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풀리가 설치된다.
그리고 풀리에는 와이어가 감겨져 엘리베이터의 상부에 설치되고, 승강기가 승강구에서 이동이 원활하도록 승강기의 무게보다 무겁게 설치된 추가 와이어의 타측에 설치된다.
이러한 엘리베이터는 상용전원(10)을 통해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며, 전원 공급이 중단되거나 기타 제어장치의 이상 등으로 승강기가 층 사이에 정지되고, 인터폰 및 실내등과 같은 각종 엘리베이터 장치들을 사용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러한 상황을 방지하기 위해서 종래에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구출운전장치(ARD; Automatic Rescue Device)(30)와 비상전원공급장치(40)가 설치되어 단전 시 엘리베이터의 각 장치에 비상전원을 공급할 수 있었다.
상기 자동구출운전장치(30)는 엘리베이터가 운행 중 승강기가 층 사이에 정지될 경우 구동부(50)에 전원을 공급하여 승강기를 가장 가까운 층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별도의 동력 공급 장치이다.
또한, 상기 비상전원공급장치(D/A Converter)(40)는 단전 시 비상 전원용 배터리 전압을 AC220V 전압으로 변환하여 비상 브레이크를 작동하고 DC12V 전원으로 인터폰 및 비상등을 작동한다.
즉, 상기 자동구출운전장치(30)와 비상전원공급장치(40)는 상용전원(10) 단전 시 엘리베이터의 각 장치에 비상전원을 공급하는 장치로써 설치된다.
그러나 상기 자동구출운전장치(30)와 비상전원공급장치(40)는 기능적으로 중복되고 엘리베이터장치에 설치할 경우 따로 분류되어 각각 설치되기 때문에 작업성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가 있다.
또한, 비상운전 시 메인제어반(20)에 공급되는 비상전원은 자동구출운전장치(30)에서 제공되고 비상 브레이크, 비상등 및 인터폰 등과 같은 장치를 작동하기 위한 비상전원은 비상전원공급장치(40)에서 제공됨으로 인버터 출력 회로가 두 개로 나뉘어 사용하고 있어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05-0097204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특허 제10-1839993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278469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860725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용전원 공급이 단전된 경우, 비상 전원을 공급하여 엘리베이터 승강기를 근접한 층으로 이동시켜 탑승자를 안전하게 구출하며, 비상 브레이크와 실내등 및 인터폰과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들을 작동시킬 수 있는 엘리베이터 비상운전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승강기(110)와, 상기 승강기(110)를 승강 및 하강시키는 구동부(120)와, 상기 구동부(120)에 전원을 공급하여 승강기(110)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제어하는 메인 제어반(130)과, 외부로부터 메인전원을 공급받는 상용전원(1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엘리베이터장치(100)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장치(100)에는 상기 상용전원(140)과 메인 제어반(130)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비상운전장치(200)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비상운전장치(200)는, 메인전원 단전 시 상기 메인 제어반(130)에 비상전원을 공급하여 상기 구동부(120)를 작동시킴으로써 상기 승강기(110)를 가장 가까운 층으로 이동시켜 엘리베이터에 탑승한 승객을 구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운전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비상운전장치(200)는, 상기 상용전원(14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입력단자부(210)와, 상기 메인 제어반(13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출력단자부(220)와, 상기 입력단자부(210)를 통해 입력되는 메인전원에 따라 상기 메인 제어반(130)에 비상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신호를 인가하는 제어부(230)와, 상기 제어부(230)의 신호에 의해 상기 메인 제어반(130)에 비상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구비된 배터리(240)와, 상기 입력단자부(210)와 상기 출력단자부(220)를 연결하는 제1 마그네틱커넥터(250)와, 상기 배터리(240)와 상기 출력단자부(220)를 연결하는 제2 마그네틱커넥터(2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어부(230)는, 상기 입력단자부(210)를 통해 인가되는 메인전원에 단전이 발생하였는지를 파악하는 결상검출회로(231)와, 상기 결상검출회로(231)를 통해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제1 마그네틱커넥터(250)와 제2 마그네틱커넥터(260)의 ON, OFF를 제어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MC 컨트롤러(232)와, 상기 MC 컨트롤러(232)의 신호를 인가받아 상기 메인전원의 단전을 판단하며, 단전 시 상기 배터리(240)로 비상 전원 공급 명령 신호를 출력하는 비상 전원 제어기(23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MC 컨트롤러(232)는 상기 메인전원이 인가된 경우, 상기 제1 마그네틱커넥터(250)를 연결(ON)하고, 제2 마그네틱커넥터(260)를 차단(OFF)하며, 상기 메인전원이 단전된 경우, 상기 제1 마그네틱커넥터(250)를 차단(OFF)하고, 제2 마그네틱커넥터(260)를 연결(ON)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230)는 상기 상용전원(140)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상기 배터리(240)를 충전시키는 배터리 충전 제어부(charger control)(234)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엘리베이터장치(100)에는 상기 구동부(120)와 연결되어 상기 승강기(110)를 정지시키는 비상용 브레이크 장치(1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메인 제어반(130)은 상기 비상 전원 제어기(233)에서 출력되는 비상 전원 공급 명령 신호를 통해 상기 비상용 브레이크 장치(150)를 작동시킨다.
또한, 상기 엘리베이터장치(100)에는 인터폰(1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인터폰(160)은 상기 배터리(240)로부터 항시 사용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된다.
또한, 상기 엘리베이터장치(100)에는 상기 승강기(110) 내에 설치되는 비상등(17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비상등(170)은 상기 비상 전원 제어기(233)에서 출력되는 비상 전원 공급 명령 신호를 통해 상기 배터리(240)로부터 사용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된다.
한편, 엘리베이터에 비상상황이 발생한 경우, 상기 비상운전장치(200)를 통해 비상 상황을 송신 받아 해당 엘리베이터를 이용하는 각 가구의 사용자들에게 비상 상황을 알리는 통합관리시스템(300)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비상운전장치(200)는 상기 제어부(230)에서 메인전원의 단전이 감지되면, 단전이 발생된 비상운전장치(200)의 고유 ID와 문제 상황을 상기 통합관리시스템(300)으로 송신하는 송수신장치(27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통합관리시스템(300)은, 상기 사용자의 데이터가 정장된 DB 저장부(310)와, 상기 송수신장치(270)를 통해 송신된 비상운전장치(200)의 고유 ID를 식별하고, 상기 DB 저장부(310)의 데이터를 통해 해당되는 사용자들에게 사용불가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하는 비상연락 제어부(320)와, 상기 비상연락 제어부(320)에 연결되어 전송하고자하는 비상 메시지를 전송하는 비상연락 통신부(3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DB 저장부(310)에 저장되는 사용자 데이터는 이름, 주소, 연락처, 비상 연락처를 포함하되, 상기 통합관리시스템(300)은 앱(APP)을 통해 상기 사용자 데이터를 수집하여 상기 DB 저장부(310)에 저장한다.
또한, 상기 송수신장치(270)는 상기 비상상황 발생 시, 엘리베이터에 갇힌 탑승자의 휴대폰과 통신하여 상기 통합관리시스템(300)으로 송신하고, 상기 비상연락 제어부(320)는 상기 DB 저장부(310)에서 탑승자 명단을 확인한 후, 비상 연락처로 비상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의 자동구출운전장치와 비상전원공급장치를 하나의 장치로 제공할 수 있어 설치비용 및 제품 단가를 절감하고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자동구출운전장치와 비상전원공급장치의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종래의 자동구출운전장치와 비상전원공급장치의 작동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장치와 비상운전장치의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비상전원공급장치의 작동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비상전원공급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비상전원공급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결상검출회로, MC 컨트롤러 및 비상 전원 제어기의 작동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비상전원공급장치의 전장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송수신장치가 더 구비된 비상전원공급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비상운전장치와 통합관리시스템의 작동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통합관리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아울러,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사상에 포함되고 청구범위의 구성요소에서 균등물로서 치환 가능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첨부된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장치와 비상운전장치의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비상전원공급장치의 작동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비상전원공급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비상전원공급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결상검출회로, MC 컨트롤러 및 비상 전원 제어기의 작동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비상전원공급장치의 전장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송수신장치가 더 구비된 비상전원공급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비상운전장치와 통합관리시스템의 작동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통합관리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첨부된 도 3 이하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장치(100)는 승강기(110)와, 상기 승강기(110)를 승강 및 하강시키는 구동부(120)와, 상기 구동부(120)에 전원을 공급하여 승강기(110)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제어하는 메인 제어반(130)과, 외부로부터 메인전원을 공급받는 상용전원(1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구동부(120)는 일측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모터는 풀리가 일체로 설치된다.
또한, 상기 풀리에는 와이어가 감겨지고, 상기 와이어의 일단에는 상기 승강기(110)가 설치되고 타단에는 추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엘리베이터장치(100)에는 상기 구동부(120)와 연결되어 상기 승강기(110)를 정지시키는 비상용 브레이크 장치(150)와, 상기 승강기(110) 내, 외부에 설치되는 인터폰(160) 및 승강기(110) 내에 설치되어 조명을 제공하는 비상등(17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엘리베이터장치(100)에는 상기 상용전원(140)과 메인 제어반(130)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비상운전장치(20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비상운전장치(200)는 메인전원 단전 시 상기 메인 제어반(130)에 비상전원을 공급하여 상기 구동부(120)를 작동시킴으로써 상기 승강기(110)를 가장 가까운 층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비상운전장치(200)는 정전에 따른 비상전원을 공급하여 상기 구동부(120)의 모터를 구동시키며, 상기 비상용 브레이크 장치(150)를 작동시킨다.
또한, 상기 비상운전장치(200)는 상기 인터폰(160)에 항시 사용 전원을 공급하며, 정전 시 상기 비상등(170)에 비상 전원을 공급하여 작동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비상운전장치(200)는 입력단자부(210), 출력단자부(220), 제어부(230), 배터리(240), 제1마그네틱커넥터(250) 및 제2마그네틱커넥터(2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와 같은 비상운전장치(200)의 구성품들은 하나의 케이스(case) 내, 외부에 장착되어 상기 엘리베이터장치(100)가 설치되는 건물의 소정위치에 설치된다.
상기 입력단자부(210)는 상기 상용전원(14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출력단자부(220)는 상기 메인 제어반(13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230)는 상기 입력단자부(210)를 통해 입력되는 메인전원에 따라 상기 메인 제어반(130)에 비상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신호를 인가한다.
또한, 상기 배터리(240)는 상기 제어부(230)의 신호에 의해 상기 메인 제어반(130)에 비상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또한, 제1 마그네틱커넥터(250)는 상기 입력단자부(210)와 상기 출력단자부(220)를 연결하고, 제2 마그네틱커넥터(260)는 상기 배터리(240)와 상기 출력단자부(220)를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어부(230)는 결상검출회로(231), MC 컨트롤러(232), 비상 전원 제어기(233) 및 배터리 충전 제어부(charger control)(23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결상검출회로(231)는 상기 입력단자부(210)를 통해 인가되는 메인전원에 단전이 발생하였는지를 파악한다.
또한, 상기 MC 컨트롤러(232)는 상기 결상검출회로(231)를 통해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제1 마그네틱커넥터(250)와 제2 마그네틱커넥터(260)의 ON, OFF를 제어하도록 구비된다.
즉, 상기 MC 컨트롤러(232)는 상기 메인전원이 인가된 경우, 상기 제1 마그네틱커넥터(250)를 연결(ON)하고, 제2 마그네틱커넥터(260)를 차단(OFF) 하도록 작동시킨다.
그리고 상기 메인전원이 단전된 경우, 상기 제1 마그네틱커넥터(250)를 차단(OFF)하고, 제2 마그네틱커넥터(260)를 연결(ON) 하도록 작동시킨다.
또한, 상기 전원 제어기(233)는 상기 MC 컨트롤러(232)의 신호를 인가받아 상기 메인전원의 단전을 판단하며, 단전 시 상기 배터리(240)로 비상 전원 공급 명령 신호를 출력한다.
즉, 상기 메인전원이 단전되어 정전이 일어난 경우, 상기 전원 제어기(233)는 단전을 판단하며, 비상 전원 공급 명령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메인 제어반(130)은 상기 비상 전원 제어기(233)에서 출력되는 비상 전원 공급 명령 신호를 통해 상기 비상용 브레이크 장치(150)를 작동시킨다.
또한, 상기 전원 제어기(233)에서 출력되는 비상 전원 공급 명령 신호는 제2 마그네틱커넥터(260)를 통해 출력된다.
또한, 상기 비상등(170)은 상기 비상 전원 제어기(233)에서 출력되는 비상 전원 공급 명령 신호를 통해 상기 배터리(240)로부터 사용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된다.
또한, 상기 인터폰(160)은 상기 배터리(240)로부터 항시 사용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된다.
이에 상기 인터폰(160) 및 비상등(170)은 상기 배터리(240)의 비상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각각의 전원 공급 입력 라인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배터리 충전 제어부(234)는 상기 상용전원(140)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상기 배터리(240)를 충전시키도록 구비된다.
이때, 상기 배터리 충전 제어부(234)는 배터리(240)의 과충전 및 방전을 제어하도록 과충전 방지회로 및 과방전 방지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배터리 충전 제어부(234)는 상기 배터리(240)의 기준 용량 이상으로 충전되지 않도록 방지하고, 배터리(240)의 전압이 기준치 이하로 떨어져서 방전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엘리베이터에 비상상황이 발생한 경우, 상기 비상운전장치(200)를 통해 비상 상황을 송신 받아 해당 엘리베이터를 이용하는 각 가구의 사용자들에게 비상 상황을 알리는 통합관리시스템(300)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비상운전장치(200)는 상기 제어부(230)에서 메인전원의 단전이 감지되면, 단전이 발생된 비상운전장치(200)의 고유 ID와 문제 상황을 상기 통합관리시스템(300)으로 송신하는 송수신장치(27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통합관리시스템(300)은, 상기 사용자의 데이터가 정장된 DB 저장부(310)와, 상기 송수신장치(270)를 통해 송신된 비상운전장치(200)의 고유 ID를 식별하고, 상기 DB 저장부(310)의 데이터를 통해 해당되는 사용자들에게 사용불가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하는 비상연락 제어부(320)와, 상기 비상연락 제어부(320)에 연결되어 전송하고자하는 비상 메시지를 전송하는 비상연락 통신부(3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DB 저장부(310)에 저장되는 사용자 데이터는 이름, 주소, 연락처, 비상 연락처를 포함하되, 상기 통합관리시스템(300)은 앱(APP)을 통해 상기 사용자 데이터를 수집하여 상기 DB 저장부(310)에 저장한다.
또한, 상기 송수신장치(270)는 상기 비상상황 발생 시, 엘리베이터에 갇힌 탑승자의 휴대폰과 통신하여 상기 통합관리시스템(300)으로 송신하고, 상기 비상연락 제어부(320)는 상기 DB 저장부(310)에서 탑승자 명단을 확인한 후, 비상 연락처로 비상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각각의 비상운전장치(200)에는 고유의 ID를 보유하며, 송수신장치(270)가 구비되어 통합관리시스템(300)으로 문제 상황을 송신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통합관리시스템(300)은 해당 엘리베이터를 이용하는 각 가구의 사용자들에게 비상상황 알림 메시지를 전송한다.
또한, 상기 통합관리시스템(300)은 엘리베이터에 비상상황 발생 시, 내부에 갇힌 탑승자의 휴대폰과 통신하여 탑승자 명단을 확인하고 상기 DB 저장부(310)에 저장된 비상 연락처에 비상 메시지를 전송한다.
또한, 상기 DB 저장부(310)에는 엘리베이터를 정비하는 정비 업체와 119 긴급출동의 연락처 및 관리실 연락처가 더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합관리시스템(300)은 비상 상황 발생 시, 엘리베이터 사용자 뿐 아니라 관리실 연락처로 비상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으며, 관리실의 응답이 없을 경우, 정비 업체나 119 긴급출동의 연락처로 비상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
100 : 엘리베이터장치 110 : 승강기
120 : 구동부 130 : 메인 제어반
140 : 상용전원 150 : 비상 브레이크
200 : 비상운전장치 210 : 입력단자부
220 : 출력단자부 230 : 제어부
231 :결상검출회로 232 : MC 컨트롤러
233 : 비상 전원 제어기 234 : 배터리 충전 제어부
240 : 배터리 250 : 제1 마그네틱커넥터
260 : 제2 마그네틱커넥터 270 : 송수신장치
300 : 통합관리시스템 310 : DB 저장부
320 : 비상연락 제어부 330 : 비상연락 통신부

Claims (8)

  1. 승강기(110)와, 상기 승강기(110)를 승강 및 하강시키는 구동부(120)와, 상기 구동부(120)에 전원을 공급하여 승강기(110)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제어하는 메인 제어반(130)과, 외부로부터 메인전원을 공급받는 상용전원(1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엘리베이터장치(100)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장치(100)에는 상기 상용전원(140)과 메인 제어반(130)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비상운전장치(200)가 구비되되,
    상기 비상운전장치(200)는, 메인전원 단전 시 상기 메인 제어반(130)에 비상전원을 공급하여 상기 구동부(120)를 작동시킴으로써 상기 승강기(110)를 가장 가까운 층으로 이동시켜 엘리베이터에 탑승한 승객을 구출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엘리베이터에 비상상황이 발생한 경우, 상기 비상운전장치(200)를 통해 비상 상황을 송신 받아 해당 엘리베이터를 이용하는 각 가구의 사용자들에게 비상 상황을 알리는 통합관리시스템(300)이 구비되고,
    상기 비상운전장치(200)는 제어부(230)에서 메인전원의 단전이 감지되면, 단전이 발생된 비상운전장치(200)의 고유 ID와 문제 상황을 상기 통합관리시스템(300)으로 송신하는 송수신장치(270)를 더 포함하며,
    상기 통합관리시스템(300)은, 상기 사용자의 데이터가 정장된 DB 저장부(310)와, 상기 송수신장치(270)를 통해 송신된 비상운전장치(200)의 고유 ID를 식별하고, 상기 DB 저장부(310)의 데이터를 통해 해당되는 사용자들에게 사용불가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하는 비상연락 제어부(320)와, 상기 비상연락 제어부(320)에 연결되어 전송하고자하는 비상 메시지를 전송하는 비상연락 통신부(330)를 포함하고,
    또한, 상기 DB 저장부(310)에 저장되는 사용자 데이터는 이름, 주소, 연락처, 비상 연락처를 포함하되, 상기 통합관리시스템(300)은 앱(APP)을 통해 상기 사용자 데이터를 수집하여 상기 DB 저장부(310)에 저장하며, 상기 송수신장치(270)는 상기 비상상황 발생 시, 엘리베이터에 갇힌 탑승자의 휴대폰과 통신하여 상기 통합관리시스템(300)으로 송신하고, 상기 비상연락 제어부(320)는 상기 DB 저장부(310)에서 탑승자 명단을 확인한 후, 비상 연락처로 비상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운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운전장치(200)는,
    상기 상용전원(14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입력단자부(210)와,
    상기 메인 제어반(13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출력단자부(220)와,
    상기 입력단자부(210)를 통해 입력되는 메인전원에 따라 상기 메인 제어반(130)에 비상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신호를 인가하는 제어부(230)와,
    상기 제어부(230)의 신호에 의해 상기 메인 제어반(130)에 비상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구비된 배터리(240)와,
    상기 입력단자부(210)와 상기 출력단자부(220)를 연결하는 제1 마그네틱커넥터(250)와,
    상기 배터리(240)와 상기 출력단자부(220)를 연결하는 제2 마그네틱커넥터(2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운전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230)는,
    상기 입력단자부(210)를 통해 인가되는 메인전원에 단전이 발생하였는지를 파악하는 결상검출회로(231)와,
    상기 결상검출회로(231)를 통해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제1 마그네틱커넥터(250)와 제2 마그네틱커넥터(260)의 ON, OFF를 제어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MC 컨트롤러(232)와,
    상기 MC 컨트롤러(232)의 신호를 인가받아 상기 메인전원의 단전을 판단하며, 단전 시 상기 배터리(240)로 비상 전원 공급 명령 신호를 출력하는 비상 전원 제어기(23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운전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MC 컨트롤러(232)는,
    상기 메인전원이 인가된 경우, 상기 제1 마그네틱커넥터(250)를 연결(ON)하고, 제2 마그네틱커넥터(260)를 차단(OFF)하며,
    상기 메인전원이 단전된 경우, 상기 제1 마그네틱커넥터(250)를 차단(OFF)하고, 제2 마그네틱커넥터(260)를 연결(ON)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운전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230)는,
    상기 상용전원(140)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상기 배터리(240)를 충전시키는 배터리 충전 제어부(charger control)(234)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운전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장치(100)에는 상기 구동부(120)와 연결되어 상기 승강기(110)를 정지시키는 비상용 브레이크 장치(1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메인 제어반(130)은 상기 비상 전원 제어기(233)에서 출력되는 비상 전원 공급 명령 신호를 통해 상기 비상용 브레이크 장치(150)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운전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장치(100)에는 인터폰(1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인터폰(160)은 상기 배터리(240)로부터 항시 사용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운전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장치(100)에는 상기 승강기(110) 내에 설치되는 비상등(17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비상등(170)은 상기 비상 전원 제어기(233)에서 출력되는 비상 전원 공급 명령 신호를 통해 상기 배터리(240)로부터 사용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운전장치.







KR1020190114276A 2019-09-17 2019-09-17 엘리베이터 비상운전장치 KR1022985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4276A KR102298589B1 (ko) 2019-09-17 2019-09-17 엘리베이터 비상운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4276A KR102298589B1 (ko) 2019-09-17 2019-09-17 엘리베이터 비상운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2806A KR20210032806A (ko) 2021-03-25
KR102298589B1 true KR102298589B1 (ko) 2021-09-08

Family

ID=752227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4276A KR102298589B1 (ko) 2019-09-17 2019-09-17 엘리베이터 비상운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858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67885A (ko) 2022-06-03 2023-12-12 박명현 승강기 비상용 배터리 보관 함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5037B1 (ko) * 2021-12-27 2022-06-30 성광엘리베이터 주식회사 조명 기능을 구비한 엘리베이터 자동 구출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37753A (ja) * 2006-11-30 2008-06-19 Hitachi Building Systems Co Ltd 非常電源供給装置
KR101877181B1 (ko) * 2017-09-20 2018-07-10 이용규 승강기제어반의 변압기를 정전비상구출용으로 겸용하는 비상구출장치가 구비된 승강기운전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6840B1 (ko) 2004-03-31 2006-05-10 주식회사 해성산전 엘리베이터 비상운전장치
KR100860725B1 (ko) 2008-01-31 2008-09-29 주식회사 쏠라파워 비상 탈출용 엘리베이터
KR101278469B1 (ko) 2012-11-20 2013-07-02 주식회사 리퓨터 엘리베이터 비상 운전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839993B1 (ko) 2017-10-30 2018-03-19 정철호 엘리베이터의 비상 전원 공급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37753A (ja) * 2006-11-30 2008-06-19 Hitachi Building Systems Co Ltd 非常電源供給装置
KR101877181B1 (ko) * 2017-09-20 2018-07-10 이용규 승강기제어반의 변압기를 정전비상구출용으로 겸용하는 비상구출장치가 구비된 승강기운전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제어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67885A (ko) 2022-06-03 2023-12-12 박명현 승강기 비상용 배터리 보관 함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2806A (ko) 2021-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84003C2 (ru) Способ эксплуатации лифта в аварийном режиме
JP6751012B2 (ja) エレベーター
KR102298589B1 (ko) 엘리베이터 비상운전장치
EP3191393A1 (en) Elevator system
CN103508275B (zh) 电梯控制装置
US9496753B2 (en) Control arrangement and method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in an elevator system
JP2009035408A (ja) エレベータ
US20210016993A1 (en) Elevator system
CN103482439B (zh) 电梯系统和电梯控制方法
KR101877181B1 (ko) 승강기제어반의 변압기를 정전비상구출용으로 겸용하는 비상구출장치가 구비된 승강기운전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제어방법
JP2006264855A (ja) エレベータの給電補助装置
KR102034016B1 (ko) 승객 구출 운전장치
JP2019011141A (ja) 非接触給電システム
JP4866637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JP2001302120A (ja) エレベータ装置
JP6129061B2 (ja) エレベータ制御システム、及びエレベータ制御方法
JP5995820B2 (ja) エレベータの電源制御装置
JP4429686B2 (ja) エレベータ装置
CN113677612B (zh) 无尾缆电梯装置以及无尾缆电梯装置的控制方法
KR20200081182A (ko) 승강기 비상통화 제어 시스템 및 방법
JP2019052042A (ja) エレベータの制御システム
JP7120431B1 (ja) エレベータの停電時運転システム
JP2012254871A (ja) エレベータ装置およびエレベータ装置の制御方法
KR101443875B1 (ko) 에너지 저장 장치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전원 공급 시스템
JPS63282076A (ja) エレベ−タの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