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9993B1 - 엘리베이터의 비상 전원 공급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비상 전원 공급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9993B1
KR101839993B1 KR1020170142809A KR20170142809A KR101839993B1 KR 101839993 B1 KR101839993 B1 KR 101839993B1 KR 1020170142809 A KR1020170142809 A KR 1020170142809A KR 20170142809 A KR20170142809 A KR 20170142809A KR 101839993 B1 KR101839993 B1 KR 1018399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unit
lighting
remaining amount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28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철호
Original Assignee
정철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철호 filed Critical 정철호
Priority to KR10201701428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99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99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99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021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the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being independent of the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3/00Applications of devices for indicating or signalling operating conditions of elev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vator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비상 전원 공급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배터리의 제 1 잔량을 측정하는 모니터링부, 미리 설정된 배터리의 기준 잔량과 제 1 잔량을 비교하여 배터리의 충전 여부를 결정하는 제 1 제어부, 제 1 잔량이 기준 잔량보다 작은 경우, 상용전원을 이용하여 배터리를 충전시키는 충전부, 제 1 잔량이 기준 잔량보다 큰 경우, 엘리베이터의 제 1 상태 값을 측정하는 센서부, 미리 설정된 엘리베이터의 기준 상태 값과 제 1 상태 값을 비교하여 점등부로 점등 신호를 전송하는 제 2 제어부, 점등 신호를 수신하면 점등 장치에 전력을 공급하는 점등부, 제 1 상태 값을 저장하는 저장부 및 점등 장치의 점등 시, 저장부에 저장된 제 1 상태 값을 외부 기기에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모니터링부 및 제 1 제어부를 통해, 배터리의 잔량을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고, 배터리가 과도하게 충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센서가 구비됨으로써, 엘리베이터의 현재 하강 속도, 진동수 및 조도를 보다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제 2 점등 장치의 점등 방식에 따라 엘리베이터 내부의 승객은 엘리베이터의 이상 원인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통신부가 구비됨으로써, 엘리베이터에 이상이 생긴 경우, 경비실 또는 엘리베이터를 관리하는 관리실로 제 1 상태 값이 전송됨에 따라, 엘리베이터 내부에 갇힌 사람을 보다 빨리 발견하여 구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층수 버튼 기능 변환부가 구비됨으로써, 휴대 전화의 배터리의 잔량이 부족해 음성 통화를 할 수 없는 경우, 엘리베이터 내 구비되는 인터폰을 사용할 수 없는 경우에도 엘리베이터의 외부에 있는 사람에게 구조 요청을 할 수 있어 엘리베이터 사고 발견 및 구조 활동이 보다 빨라질 수 있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비상 전원 공급 장치 및 방법{EMERGENCY POWER SOURCE APPARATUS AND DEVICE FOR ELEVATOR}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비상 전원 공급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평상시에는 배터리를 충전하고, 비상 상황에는 배터리를 이용하여 점등 장치를 점등시키는 전원 공급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아파트 및 빌딩 등에 설치되는 엘리베이터는 상승 및 하강하여 사람 및 사물을 원하는 위치로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장치이다. 엘리베이터를 통해, 계단을 걷지 않아도 편하게 목적지로 이동할 수 있어 대부분의 아파트 및 빌딩에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화재 및 지진과 같은 재해가 발생하거나, 엘리베이터가 고장나게 되면, 엘리베이터의 내부에 있는 사람은 엘리베이터 내부의 조명이 꺼진 상태에서 구조를 기다려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선행문헌 1(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10-1996-0010249호)에서는 승강기운행이 정지되면, 승강기 내의 승객과 관리실에 승강기의 운행 정지 상태를 알려주는 이상발생알림장치를 개시하였다. 하지만, 선행문헌 1의 경우, 비상등을 점등하는 것 만으로는 승강기 내의 승객의 불안감을 해소하기 힘들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선행문헌 1의 경우, 비상등에 전력이 공급되지 못한다면, 비상등을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선행문헌 2(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43875호)에서는 에너지 저장 장치(ESS : Energy Storage System)을 이용하여 비상 시 엘리베이터에 전력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전원 공급 시스템을 개시하였다. 하지만, 선행문헌 1의 경우, 비상 상황이 발생한 원인을 알 수 없어 엘리베이터 내부에 있는 사람이 불안감을 느낄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선행문헌 1의 경우, 에너지 저장 장치를 이용하여 엘리베이터를 구동하는데, 엘리베이터가 구동할 수 없는 상황에 도달하면, 에너지 저장 장치의 필요성이 줄어든다는 문제점이 있다.
선행문헌 1 :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10-1996-0010249호 (1996.12.04. 등록) 선행문헌 2 :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43875호 (2014.09.17. 등록)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엘리베이터에 유입되는 상용전원이 차단될 때, 엘리베이터 내부의 점등 장치를 점등시킬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비상 전원 공급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비상 상황이 발생한 원인을 알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비상 전원 공급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휴대 전화를 사용할 수 없는 승객이 엘리베이터 내에서 경비실 외의 외부 기기와 연결되어 음성 통화를 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비상 전원 공급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배터리의 제 1 잔량을 측정하는 모니터링부, 미리 설정된 배터리의 기준 잔량과 제 1 잔량을 비교하여 배터리의 충전 여부를 결정하는 제 1 제어부, 제 1 잔량이 기준 잔량보다 작은 경우, 상용전원을 이용하여 배터리를 충전시키는 충전부, 제 1 잔량이 기준 잔량보다 큰 경우, 엘리베이터의 제 1 상태 값을 측정하는 센서부, 미리 설정된 엘리베이터의 기준 상태 값과 제 1 상태 값을 비교하여 점등부로 점등 신호를 전송하는 제 2 제어부, 점등 신호를 수신하면 점등 장치에 전력을 공급하는 점등부, 제 1 상태 값을 저장하는 저장부 및 점등 장치의 점등 시, 저장부에 저장된 제 1 상태 값을 외부 기기에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모니터링부 및 제 1 제어부를 통해, 배터리의 잔량을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고, 배터리가 과도하게 충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센서가 구비됨으로써, 엘리베이터의 현재 하강 속도, 진동수 및 조도를 보다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제 2 점등 장치의 점등 방식에 따라 엘리베이터 내부의 승객은 엘리베이터의 이상 원인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통신부가 구비됨으로써, 엘리베이터에 이상이 생긴 경우, 경비실 또는 엘리베이터를 관리하는 관리실로 제 1 상태 값이 전송됨에 따라, 엘리베이터 내부에 갇힌 사람을 보다 빨리 발견하여 구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층수 버튼 기능 변환부가 구비됨으로써, 휴대 전화의 배터리의 잔량이 부족해 음성 통화를 할 수 없는 경우, 엘리베이터 내 구비되는 인터폰을 사용할 수 없는 경우에도 엘리베이터의 외부에 있는 사람에게 구조 요청을 할 수 있어 엘리베이터 사고 발견 및 구조 활동이 보다 빨라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비상 전원 공급 장치에 대한 전체적인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부, 제 1 제어부 및 충전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센서부, 제 2 제어부 및 점등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점등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저장부 및 통신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층수 버튼 기능 변환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층수 기능 버튼 변환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비상 전원 공급 방법을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잔량 측정 단계, 제 1 결정 단계 및 충전 단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제 1 상태 값 측정 단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제 2 결정 단계, 저장 단계 및 점등 단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점등 단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음성 통화 단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음성 통신 단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개시하기 위해서 본 발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호들은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는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자연스럽게 이해되거나 보다 분명해질 수 있으며, 하기의 기재만으로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제부터,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비상 전원 공급 장치 및 방법에 대해 설명하겠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비상 전원 공급 장치에 대한 전체적인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엘리베이터(1)의 비상 전원 공급 장치는 상용전원(10)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배터리(20) 및 배터리(2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점등 장치(40)를 구비하는 엘리베이터(1)의 비상 전원 공급 장치로서, 배터리(20)의 제 1 잔량(r1)을 측정하는 모니터링부(110), 미리 설정된 배터리(20)의 기준 잔량(r0)과 제 1 잔량(r1)을 비교하여 배터리(20)의 충전 여부를 결정하는 제 1 제어부(121), 제 1 잔량(r1)이 기준 잔량(r0)보다 작은 경우, 상용전원(10)을 이용하여 배터리(20)를 충전시키는 충전부(130), 제 1 잔량(r1)이 기준 잔량(r0)보다 큰 경우, 엘리베이터(1)의 제 1 상태 값(s1)을 측정하는 센서부(140), 미리 설정된 엘리베이터(1)의 기준 상태 값(s0)과 제 1 상태 값(s1)을 비교하여 점등부(160)로 점등 신호(m4)를 전송하는 제 2 제어부(122), 점등 신호(m4)를 수신하여 점등 장치(40)에 전력을 공급하는 점등부(160), 제 1 상태 값(s1)을 저장하는 저장부(150), 점등 장치(40)의 점등 시 저장부(150)에 저장된 제 1 상태 값(s1)을 외부 기기(30)에 전송하는 통신부(170) 및 엘리베이터(1)의 층수 버튼(2)을 외부 기기(30)와의 통신을 위한 다이얼 번호로서 사용하는 층수 버튼 기능 변환부(18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엘리베이터(1)는 엘리베이터(1)를 원하는 층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층수 버튼(2) 및 층수 버튼(2)을 다이얼 번호로 변환하는 변환 버튼(3)을 구비한다. 상용전원(10)은 아파트 및 빌딩에서 사용되는 전원으로 구비될 수 있다. 외부 기기(30)는 정보를 수신 받을 수 있는 엘리베이터(1) 외부의 기기를 뜻하고, 휴대전화, 휴대전화 이외의 휴대 단말기, 경비실에 구비되는 단말기, 엘리베이터(1)를 원격으로 조종하는 상황실 내부에 구비된 단말기 등이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부(110), 제 1 제어부(121) 및 충전부(13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배터리(20)는 비상 전원 공급 장치가 원활하게 작동하도록 전력을 공급한다. 이를 위해, 배터리(20)는 평상 시에 상용전원(10)을 통해 전력을 공급받는다. 이를 위해, 배터리는 2차 전지, 재생 전지 등의 재충전이 가능한 전지로 구비될 수 있다.
모니터링부(110)는 배터리(20)의 잔량(Residual quantity)을 측정한다. 이제부터, 배터리(20)의 잔량은 후술할 기준 잔량(r0)과 구별하기 위해 제 1 잔량(r1)으로 명명하여 설명하겠다. 모니터링부(110)는 감지한 제 1 잔량(r1)에 대한 정보를 제 1 제어부(121)로 송신한다. 이 때, 모니터링부(110)는 배터리(20)의 전압을 감지하고 이에 대해 제 1 잔량(r1)을 측정한다. 또한, 모니터링부(110)는 측정한 제 1 잔량(r1)에 대한 정보를 제 1 제어부(121)로 송신한다. 모니터링부(110)를 통해, 배터리(20)의 잔량을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충전부(130)는 배터리(20)를 충전시키는 구성이다. 후술하겠지만, 배터리(20)의 제 1 잔량(r1)이 기준 잔량(r0)보다 작은 경우, 충전부(130)는 제 1 제어부(121)의 지시에 따라, 상용전원(10)을 이용하여 제 1 잔량(r1)이 기준 잔량(r0)보다 클 때까지 충전을 진행한다.
제 1 제어부(121)는 모니터링부(110)로부터 수신 받은 제 1 잔량(r1)과 미리 설정된 배터리(20)의 기준 잔량(r0)을 비교하여 배터리(20)의 충전 여부를 결정한다. 제 1 잔량(r1)이 기준 잔량(r0)보다 작은 경우(case 1)와 제 1 잔량(r1)이 기준 잔량(r0)보다 큰 경우(case 2)가 있는데, case 1의 경우, 제 1 제어부(121)는 충전부(130)에 배터리(20)의 충전을 지시한다. 이에 따라, 충전부(130)는 상용전원(10)을 이용하여 배터리(20)를 충전한다. Case 2의 경우, 배터리(20)를 충전하지 않아도 현재의 제 1 잔량(r1)으로 비상 전원 공급 장치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기 때문에, 제 1 제어부(121)는 배터리(20)의 충전을 중단하고, 센서부(140)에 제 1 상태 값 측정 지시 신호(m1)를 보낸다. 제 1 제어부(121)가 구비됨에 따라, 배터리(20)가 과도하게 충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센서부(140)에 대한 보다 자세한 설명은 도 3에서 언급하겠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센서부(140), 제 2 제어부(122) 및 점등부(16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센서부(140)는 제 1 잔량(r1)이 기준 잔량(r0)보다 큰 경우, 제 1 제어부(121)로부터 제 1 상태 값 측정 지시 신호(m1)를 받아 역할을 수행한다. 센서부(140)는 엘리베이터(1)의 상태를 감지하고, 이에 대한 결과를 제 2 제어부(122)에 전송한다. 상세하게, 센서부(140)는 엘리베이터(1)의 제 1 상태 값(s1)을 측정한다. 보다 상세하게, 센서부(140)는 엘리베이터(1)의 현재 하강 속도(v1), 진동수(f1) 및 엘리베이터 내부의 조도(b1)를 측정한다. 이를 위해, 센서부(140)는 제 1 센서(141), 제 2 센서(142) 및 제 3 센서(143)를 구비한다. 제 1 센서(141)는 엘리베이터(1)의 하강 속도(v1)를 측정하고, 제 2 센서(142)는 엘리베이터(1)의 진동수(f1)를 측정하며, 제 3 센서(143)는 엘리베이터(1)의 내부의 조도(b1)를 측정한다. 제 1 상태 값(s1)을 측정하기 위해 복수의 센서가 구비되는 것은 엘리베이터(1)의 현재 하강 속도, 진동수 및 조도를 각각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함이다. 센서부(140)는 제 1 센서(141), 제 2 센서(142) 및 제 3 센서(143)이 측정한 하강 속도(v1), 진동수(f1) 및 조도(b1)를 제 1 상태 값(s1)으로 취합하여 제 2 제어부(122)로 송신한다. 제 1 센서(141)를 통해 엘리베이터(1)가 외력에 의해 지면으로 추락하는 경우를 감지할 수 있고, 제 2 센서(142)를 통해 지진으로 인한 흔들림을 감지할 수 있으며, 제 3 센서(143)를 통해 엘리베이터(1) 내부가 정전되는 상황을 실시간으로 감지할 수 있다.
제 2 제어부(122)는 센서부(140)로부터 제 1 상태 값(s1)을 수신 받아 점등부(160)에 점등 신호(m4)를 전송할 것인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이를 위해 제 2 제어부(122)에는 기준 상태 값(s0)이 구비된다. 상세하게, 제 2 제어부(122)는 기준 속도 값(v0), 기준 진동수 값(f0) 및 기준 조도 값(b0)을 구비한다. 제 2 제어부(122)는 미리 설정된 기준 상태 값(s0)과 제 1 상태 값(s1)을 비교한다. 상세하게, 제 2 제어부(122)는 기준 속도 값(v0)과 엘리베이터(1)의 현재 하강 속도(v1), 기준 진동수 값(f0)과 엘리베이터(1)의 현재 진동수(f1), 기준 조도 값(b0)과 엘리베이터(1)의 현재 조도(b1)를 각각 비교하고, 결과에 따라 case 3, case 4로 구분하여 센서부(140)에 제 1 상태 값(s1) 재측정 지시 신호(m2)를 보내거나 점등부(160)에 점등 신호(m4)를 전송한다.
Case 3은 엘리베이터(1)의 현재 하강 속도(v1)가 기준 속도 값(v0)보다 작고, 엘리베이터(1)의 현재 진동수(f1)가 기준 속도 값(f0)보다 작으며, 엘리베이터(1)의 현재 조도(b1)가 기준 조도 값(b0)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로서, 엘리베이터(1)가 정상적으로 구동할 수 있는 상황을 뜻한다. 따라서, 제 2 제어부(122)는 센서부(140)에게 엘리베이터(1)의 제 1 상태 값(s1)을 다시 측정하도록 지시하는 제 1 상태 값 재측정 지시 신호(m2)를 전송한다.
이에 반하여, case 4는 엘리베이터(1)의 현재 하강 속도(v1)가 기준 속도 값(v0)보다 크거나, 엘리베이터(1)의 현재 진동수(f1)가 기준 진동수 값(f0)보다 크거나, 엘리베이터(1)의 현재 조도(b1)가 기준 조도 값(b0)보다 작은 경우이다. 즉, 엘리베이터(1)가 추락하거나, 지진으로 인해 엘리베이터(1)가 흔들리거나, 엘리베이터(1)의 내부가 정전된 상태를 뜻한다. 따라서, 제 2 제어부(122)는 점등부(160)에게 점등 신호(m4)를 전송한다.
점등부(160)는 제 2 제어부(122)로부터 점등 신호(m4)를 수신 받고, 이를 토대로 점등 장치(40)에 전력을 공급한다. 점등부(160)는 점등 장치(40)에 전력을 공급할 때, 기준 상태 값(s0) 및 제 1 상태 값(s1)의 비교 결과에 따라 각각 미리 설정된 점등 방식을 이용하여 점등 장치(40)를 점등한다. 이에 대한 보다 자세한 설명은 도 4에서 설명하겠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점등 장치(4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서, 점등 장치(40)는 복수의 LED가 원형의 배열로 구비되는 제 1 점등 장치(41) 및 제 2 점등 장치(42)를 포함한다. 상세하게, 제 1 점등 장치(41)는 복수의 LED가 원형의 배열로 구비되고, 제 2 점등 장치(42)는 복수의 LED가 구비되되, 제 1 점등 장치(41)의 내측 방향에 원형의 배열로 배치된다. 제 1 점등 장치(41)의 복수의 LED는 제 2 점등 장치(42)의 복수의 LED보다 크거나 같도록 구비된다. 이는 점등 장치(40)의 점등 방식에 있어서, 제 1 점등 장치(41)는 일정한 조도로 엘리베이터(1)의 내부를 조사해야 하기 때문이다. 제 2 점등 장치(42)의 점등 방식에 따라 엘리베이터(1) 내부의 승객은 엘리베이터(1)의 이상 원인을 파악할 수 있다.
엘리베이터(1)의 현재 하강 속도(v1)가 기준 속도 값(v0)보다 큰 경우, 점등부(160)는 제 2 점등 장치(42)가 점멸하도록 전력을 공급한다. 또한, 엘리베이터(1)의 현재 진동수(f1)가 기준 진동수 값(f0)보다 큰 경우, 점등부(160)는 3초, 5초, 10초와 같은 일정한 주기로 제 2 점등 장치(42)의 조도가 변화하도록 점등 장치(40)에 전력을 공급한다. 마지막으로, 엘리베이터(1)의 현재 조도(b1)가 기준 조도 값(b0)보다 작은 경우, 점등부(160)는 제 1 점등 장치(41) 및 제 2 점등 장치(42)에 동일한 전력을 공급하여, 제 1 점등 장치(41) 및 제 2 점등 장치(42)는 일정한 조도로 엘리베이터(1)의 내부를 조사하게 된다. 엘리베이터의 현재 상황에 따라, 점등부(160)가 각각 다른 점등 방식으로 점등 장치(40)에 전력을 공급함에 따라, 엘리베이터(1) 내부의 승객은 엘리베이터(1)의 가동이 중단된 원인을 알 수 있고, 이에 따라 심적 안정감을 찾아 신속하게 구조 요청을 보낼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저장부(150) 및 통신부(170)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3의 case 4에 해당되는 경우이다.
제 2 제어부(122)는 점등부(160)에 점등 신호(m4)를 전송하는 동시에, 저장부(150) 및 통신부(170)에 제 1 상태 값(s1)과 저장 신호(m3) 및 통신 개시 신호(m5)를 각각 전송한다.
저장부(150)는 저장 신호(m3)를 통해, 제 1 상태 값(s1)을 제 2 제어부(122)로부터 수신 받아 저장한다. 이를 위해, 저장부(150)는 자기디스크, 광디스크, 기억소자(Memory elemenet), ROM 및 RAM(Random access memory)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50)는 제 1 상태 값(s1)을 저장함과 동시에, 제 1 상태 값(s1)을 통신부(170)로 전송한다.
통신부(170)는 저장부(150)에게 제 1 상태 값(s1)을 수신 받는 동시에, 제 2 제어부(122)로부터 통신 개시 신호(m5)를 수신하여 제 1 상태 값(s1)을 외부기기로 전송한다. 통신부(170)는 제 1 상태 값(s1)을 수신하고 나서, 통신 개시 신호(m5)를 수신하기 전까지 제 1 상태 값(s1)을 저장하기 위해 별도의 저장 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통신부(170)는 외부기기와의 통신을 위해 RF무선통신모듈 및 와이파이 모듈 등의 무선통신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통신부(170)가 구비됨으로써, 엘리베이터(1)에 이상이 생긴 경우, 경비실 또는 엘리베이터(1)를 관리하는 관리실로 제 1 상태 값(s1)이 전송됨에 따라, 엘리베이터(1) 내부에 갇힌 사람을 보다 빨리 발견하여 구조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층수 버튼 기능 변환부(18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설명하기에 앞서, 엘리베이터(1)는 복수의 층수 버튼(2)을 구비하고, 복수의 층수 버튼(2)은 외부 기기(30)와의 통신을 위해 10개 이상 구비된다. 이는 경비실 또는 관리실과의 통신이 아니라, 일반적으로 휴대하는 휴대 전화와의 통신을 하기 위해 다이얼을 눌러야 하기 때문이다.
제 2 제어부(122)는 case 4의 경우, 층수 버튼 기능 변환부(180)에게 층수 버튼 기능 변환 신호(m6)를 보낸다. 즉, 제 2 제어부(122)는 점등부(160)에 점등 신호(m4)를 전송하는 동시에, 층수 버튼 기능 변환부(180)에 층수 버튼 기능 변환 신호(m6)를 송신한다.
층수 버튼 기능 변환부(180)는 배터리(20)의 전력을 공급받아 구동한다. 또한, 층수 버튼 기능 변환부(180)는 제 2 제어부(122)로부터 층수 버튼 기능 변환 신호(m6)를 수신 받은 직후부터 층수 버튼(2)을 외부 기기(30)와의 통신을 위한 다이얼 번호로서 사용한다. 예를 들어, 층수 버튼 1~9는 다이얼 번호 1~9로 사용하고, 층수 버튼 10은 다이얼 번호 0으로 사용되며, 엘리베이터 문의 열림 버튼 및 닫힘 버튼은 각각 *와 #으로 사용될 수 있다. 층수 버튼(2)을 눌러 외부 기기(30)와의 통신을 위한 다이얼 번호의 입력이 완료되면, 층수 버튼 기능 변환부(180)는 입력된 다이얼 번호를 통신부(170)로 송신하고, 통신부(170)는 수신받은 다이얼 번호를 토대로 엘리베이터(1) 내부와 외부 기기(30)를 연결하여 음성 통신을 수행한다.
층수 버튼 기능 변환부(180)가 구비됨으로써, 엘리베이터(1) 내부의 승객은 휴대 전화의 배터리의 잔량이 부족해 음성 통화를 할 수 없는 경우 또는 엘리베이터(1) 내 구비되는 인터폰을 사용할 수 없는 경우에 엘리베이터(1)의 외부에 있는 사람에게 구조 요청을 할 수 있어 엘리베이터(1)의 사고 발견 및 구조 활동이 보다 빨라질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엘리베이터(1) 내의 승객은 엘리베이터(1)의 외부에 있는 사람에게 구조 요청을 보낼 수 있기 때문에 심적 안정감을 얻을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추가적으로, 아파트 및 빌딩의 관리실 또는 경비실과의 통신이 두절되었을 때에도 구조 요청을 진행할 수 있어 구조 지연으로 인한 인명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층수 기능 버튼 변환부(18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와 비교하여, 엘리베이터(1)는 층수 버튼(2)을 다이얼 번호로 변환되는 다이얼 모드로 변경하는 변환 버튼(3)을 더 포함한다. 변환 버튼(3)은 엘리베이터(1) 내의 승객이 용이하게 찾을 수 있도록 복수의 층수 버튼(2)의 상측 또는 하측 방향에 구비되고, 복수의 층수 버튼(2)과 구분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층수 버튼(2)이 원형 형상으로 구비되면, 변환 버튼(3)은 사각형 형상으로 구비된다.
변환 버튼(3)은 층수 버튼 기능 변환부(18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엘리베이터(1) 내부의 승객이 변환 버튼(3)을 누르면, 층수 버튼 기능 변환부(180’)는 이에 반응하여 제 2 제어부(122)로 다이얼 모드 신호(m7)를 송신한다. 다이얼 모드 신호(m7)를 수신 받은 제 2 제어부(122)는 층수 버튼 기능 변환부(180’)로 층수 버튼 기능 변환 신호(m6)를 송신하고, 층수 버튼 기능 변환부(180’)는 층수 버튼 기능 변환 신호(m6)를 받은 직후부터 엘리베이터(1)가 정상적으로 구동될 때까지 층수 버튼(2)을 외부 기기(30)와의 통신을 위한 다이얼 번호로서 사용한다.
변환 버튼(3)이 구비됨으로써, 엘리베이터(1) 내부의 승객은 엘리베이터(1)의 상태에 문제를 느낀 즉시 변환 버튼(3)을 눌러, 층수 버튼(2)을 다이얼 번호로 사용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엘리베이터(1)에 더 큰 문제가 생기기 전에 엘리베이터(1)의 외부에 있는 사람에게 엘리베이터(1)의 상태를 알릴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1)의 비상 전원 공급 방법을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엘리베이터(1)의 비상 전원 공급 방법은 배터리(20)의 제 1 잔량(r1)을 측정하는 잔량 측정 단계(S100), 제 1 잔량(r1) 및 미리 설정된 기준 잔량(r0)을 비교하여 배터리(20)의 충전 여부를 결정하는 제 1 결정 단계(S200), 제 1 잔량(r1)이 기준 잔량(r0)보다 작은 경우 배터리(20)를 충전하는 충전 단계(S300), 제1 잔량이 기준 잔량(r0)보다 큰 경우 제 1 상태 값(s1)을 측정하는 제 1 상태 값(s1) 측정 단계(S400), 제 1 상태 값(s1) 및 미리 설정된 기준 상태 값(s0)을 비교하는 제 2 결정 단계(S500), 미리 설정된 시간(t1) 동안 점등 장치(40)를 점등하는 점등 단계(S700) 및 점등 장치(40)의 점등 시 제 1 상태 값(s1)을 외부 기기(30)로 전송하는 통신 단계(S800)를 포함한다.
도 9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잔량 측정 단계(S100), 제 1 결정 단계(S200) 및 충전 단계(S30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잔량 측정 단계(S100), 제 1 결정 단계(S200) 및 충전 단계(S300)를 일체로 설명하는 것은 도 9에 도시된 단계들이 종속 관계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잔량 측정 단계(S100)는 모니터링부(110)가 배터리(20)의 잔량을 감지하는 단계이다. 도 2에서 서술한 바와 같이, 모니터링부(110)는 배터리(20)의 전압을 감지하고, 이에 대한 제 1 잔량(r1)을 감지하여, 제 1 잔량(r1)에 대한 정보를 제 1 제어부(121)로 송신한다.
제 1 결정 단계(S200)는 배터리(20)의 충전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로서, 제 1 잔량(r1) 정보 수신 단계(S210)와 배터리(20) 충전 여부 결정 단계(S220), 충전 지시 단계(S230) 및 제 1 상태 값 측정 지시 단계(S240)를 포함한다.
제 1 잔량 정보 수신 단계(S210)에서, 제 1 제어부(121)는 모니터링부(110)로부터 제 1 잔량 정보를 수신한다.
충전 여부 결정 단계(S220)에서, 제 1 제어부(121)는 제 1 잔량(r1)과 미리 설정된 기준 잔량(r0)을 비교하고, 이에 따라 배터리(20)의 충전 여부를 결정한다. 여기서, 제 1 잔량(r1)이 기준 잔량(r0)보다 작은 경우, 제 1 제어부(121)가 충전부(130)에게 배터리(20)의 충전을 지시하는 충전 지시 단계(S230)로 진행된다. 또한, 제 1 잔량(r1)이 기준 잔량(r0)보다 큰 경우, 제 1 제어부(121)가 센서부(140)에 제 1 상태 값(s1)을 측정하도록 지시하는 제 1 상태 값 측정 지시 단계(S240)로 진행된다. 이에 따라 충전 지시 단계(S230)에서, 제 1 제어부(121)는 충전부(130)에게 배터리(20)의 충전을 지시하고, 제 1 상태 값 측정 지시 단계(S240)에서, 제 1 제어부(121)는 센서부(140)에게 제 1 상태 값 측정 지시 신호(m1)를 송신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제 1 상태 값 측정 단계(S40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 1 상태 값 측정 단계(S400)는, 속도 측정 단계(S410), 진동수 측정 단계(S420), 조도 측정 단계(S430) 및 제 1 상태 값 전송 단계(S440)를 포함한다. 속도 측정 단계(S410), 진동수 측정 단계(S420) 및 조도 측정 단계(S430)는 순서가 변동될 수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엘리베이터(1)의 추락에 의한 하강 속도 상승이 엘리베이터(1) 및 엘리베이터(1)의 내부에 구비된 승객에게 가장 큰 피해를 줄 수 있으므로, 속도 측정 단계(S410)를 가장 최우선시하여 제 1 상태 값 측정 단계(S400)의 첫 번째 단계로 설정하였다.
속도 측정 단계(S410)에서, 센서부(140)에 구비된 제 1 센서(141)는 엘리베이터(1)의 현재 하강 속도(v1)를 측정한다. 진동수 측정 단계(S420)에서는 지진과 같은 외력에 의해 엘리베이터(1)가 흔들리는 것을 감지하기 위해 엘리베이터(1)의 진동수(f1)를 측정하고, 이를 위해 제 2 센서(142)가 센서부(140)에 구비되어 사용된다. 조도 측정 단계(S430)에서, 센서부(140)는 제 3 센서(143)를 구비하고, 제 3 센서(143)는 엘리베이터(1)의 천장에 구비되어 엘리베이터(1) 내 조명의 조도(b1)를 측정한다.
제 1 상태 값 전송 단계(S440)에서, 센서부(140)는 제 1 센서(141), 제 2 센서(142) 및 제 3 센서(143)에서 각각 측정한 엘리베이터(1)의 현재 하강 속도(v1), 진동수(f1) 및 조도(b1)를 토대로 한 제 1 상태 값(s1)을 제 2 제어부(122)로 송신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제 2 결정 단계(S500), 저장 단계(S600) 및 점등 단계(S70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저장 단계(S600) 및 점등 단계(S700)는 각각의 단계가 세분화된 단계를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제 2 결정 단계(S500)와 같이 설명하도록 하겠다.
제 2 결정 단계(S500)는 제 1 상태 값(s1) 수신 단계(S510), 비교 단계(S520), 저장 지시 단계(S530), 점등 지시 단계(S540) 및 통신 지시 단계(S550)를 포함한다.
제 1 상태 값(s1) 수신 단계(S510)에서, 제 2 제어부(122)는 센서부(140)로부터 제 1 상태 측정 값을 수신 받는다.
비교 단계(S520)에서, 제 2 제어부(122)는 제 1 상태 값(s1) 및 미리 설정된 기준 상태 값(s0)을 비교한다. 여기서, 엘리베이터(1)의 현재 하강 속도(v1)가 기준 속도 값(v0)보다 작고, 엘리베이터(1)의 현재 진동수(f1)가 기준 진동수 값(f0)보다 작으며, 엘리베이터(1)의 현재 조도(b1)가 기준 조도 값(b0)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도 3의 case 3), 비교 단계(S520)는 종료되고, 도 8에서 설명한 잔량 측정 단계(S100)를 다시 진행하게 된다. 반면, 엘리베이터(1)의 현재 하강 속도(v1)가 기준 속도 값(v0)보다 크거나, 엘리베이터(1)의 현재 진동수(f1)가 기준 진동수 값(f0)보다 크거나, 엘리베이터(1)의 현재 조도(b1)가 기준 조도 값(b0)보다 작은 경우(도 3의 case 4), 저장 지시 단계(S530), 점등 지시 단계(S540) 및 통신 지시 단계(S550)가 진행된다.
저장 지시 단계(S530)에서, 제 2 제어부(122)는 제 1 상태 값(s1)을 저장부(150)로 전송하며, 저장부(150)로 하여금 제 1 상태 값(s1)을 저장하도록 지시하는 저장 신호(m3)를 전송한다. 이에 따라, 저장부(150)는 제 1 상태 값(s1)을 저장하는 저장 단계(S600)를 수행한다.
점등 지시 단계(S540)에서, 제 2 제어부(122)는 점등부(160)에게 점등 장치(40)의 점등을 지시하는 점등 신호(m4)를 송신한다. 이에 따라, 점등부(160)는 점등 신호(m4)를 수신하여 점등 장치(40)를 점등하는 점등 단계(S700)를 진행한다.
통신 지시 단계(S550)에서, 제 2 제어부(122)는 통신부(170)에게 제 1 상태 값(s1)을 외부 기기(30)에 전송하도록 하는 통신 개시 신호(m5)를 송신하고, 통신부(170)는 통신 제 1 상태 값(s1)을 외부 기기(30)로 전송한다.
저장 단계(S600)는 제 1 상태 값(s1)을 저장하는 단계로서, 저장부(150)는 제 2 제어부(122)로부터 저장 신호(m3)를 수신하고, 제 1 상태 값(s1)을 수신하여 저장한다. 또한, 저장부(150)는 저장한 제 1 상태 값(s1)을 통신부(170)로 전송한다.
통신 단계(S800)는 제 1 상태 값(s1)을 외부 기기(30)에 전송하는 단계로서, 통신부(170)는 점등 단계(S700)에 의한 점등 장치(40)의 점등 시, 저장부(150)로부터 제 1 상태 값(s1)을 수신 받고, 제 2 제어부(122)로부터 통신 개시 신호(m5)를 수신하여 제 1 상태 값(s1)을 외부 기기(30)로 전송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점등 단계(S70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점등 단계(S700)에서, 점등부(160)는 제 2 제어부(122)로부터 점등 신호(m4)를 수신하여 미리 설정된 시간(t1) 동안 점등 장치(40)에 전력을 공급한다. 그 이유는 엘리베이터(1)의 상태를 다시 파악하고, 점등 장치(40)가 점등하는 시간을 줄여 배터리(20)의 잔량 감소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점등 단계(S700)는 점등부(160)가 미리 설정된 시간(t1) 동안 점등 장치(40)를 점등한 후 종료되고, 이와 동시에 도 8에서 선술한 잔량 측정 단계(S100)가 재시작하면서 엘리베이터(1)의 상태를 다시 파악하여 점등 장치(40)를 다시 점등할 지 결정하는 제 2 결정 단계(S500)까지 도달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음성 통화 단계(S90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비상 전원 공급 방법은 음성 통화 단계(S900)을 더 포함한다. 음성 통화 단계(S900)는 층수 버튼 기능 변환 신호 수신 단계(S910), 다이얼 번호 변환 단계(S920) 및 외부 기기 연결 단계(S930)를 포함한다.
층수 버튼 기능 변환 신호 수신 단계(S910)에서, 제 2 제어부(122)는 층수 버튼 기능 변환부(180)로 층수 버튼 기능 변환 신호(m6)를 송신하고, 이에 반응하여 층수 버튼 기능 변환부(180)는 층수 버튼 기능 변환 신호(m6)를 수신한다.
다이얼 번호 변환 단계(S920)에서, 층수 버튼 기능 변환 신호(m6)를 수신 받은 층수 버튼 기능 변환부(180)는 엘리베이터(1) 내부의 승객이 층수 버튼(2)을 누르면, 이를 다이얼 번호로 변환하여 인식한다.
외부 기기 연결 단계(S930)에서, 다이얼 번호의 인식이 완료되면, 층수 버튼 기능 변환부(180)는 입력된 다이얼 번호를 통신부(170)로 송신하고, 통신부(170)는 해당 다이얼 번호를 구비하는 외부 기기(30)를 연결하여 음성 통신을 진행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음성 통신 단계(S90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음성 통신 단계(S900’)는 제 1 실시예와 비교하여 다이얼 모드 신호 송신 단계(S910’)를 더 포함한다.
다이얼 모드 신호 송신 단계(S910’)에서, 엘리베이터(1) 내 승객은 엘리베이터(1)의 내부에 구비되는 변환 버튼(3)을 누르게 되고, 변환 버튼(3)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층수 버튼 기능 변환부(180)는 제 2 제어부(122)로 다이얼 모드 신호(m7)를 송신한다. 이에 제 2 제어부(122)는 층수 버튼 기능 변환부(180)에게 층수 버튼 기능 변환 신호(m6)를 송신하는 층수 버튼 기능 변환 신호 송신 단계(S820)를 수행하고, 그 이후에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음성 통신 단계(S900)과 동일하게 진행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는 예시의 목적으로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상기의 특허청구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술한 예시적인 시스템에서, 방법들은 일련의 단계 또는 블록으로써 순서도를 기초로 설명되고 있지만, 본 발명은 단계들의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어떤 단계는 상술한 바와 다른 단계와 다른 순서로 또는 동시에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당업자라면 순서도에 나타낸 단계들이 배타적이지 않고, 다른 단계가 포함되거나 순서도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단계가 본 발명의 범위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삭제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8)

  1. 상용전원(10)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배터리(20) 및 상기 배터리(2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점등 장치(40)를 구비하는 엘리베이터(1)의 비상 전원 공급 장치로서,
    상기 배터리(20)의 제 1 잔량(r1)을 측정하는 모니터링부(110);
    미리 설정된 배터리(20)의 기준 잔량(r0)과 상기 제 1 잔량(r1)을 비교하여 상기 배터리(20)의 충전 여부를 결정하는 제 1 제어부(121);
    상기 제 1 잔량(r1)이 상기 기준 잔량(r0)보다 작은 경우, 상기 상용전원(10)을 이용하여 상기 배터리(20)를 충전시키는 충전부(130);
    상기 제 1 잔량(r1)이 상기 기준 잔량(r0)보다 큰 경우, 상기 엘리베이터(1)의 제 1 상태 값(s1)을 측정하는 센서부(140);
    미리 설정된 엘리베이터(1)의 기준 상태 값(s0)과 상기 제 1 상태 값(s1)을 비교하여 점등부(160)로 점등 신호(m4)를 전송하는 제 2 제어부(122);
    상기 제 1 상태 값(s1)을 저장하는 저장부(150); 및
    상기 점등 신호(m4)를 수신하면 점등 장치(40)에 전력을 공급하는 점등부(160);
    상기 점등 장치(40)의 점등 시, 상기 저장부(150)에 저장된 상기 제 1 상태 값(s1)을 외부 기기(30)에 전송하는 통신부(170);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140)는,
    상기 엘리베이터(1)의 하강 속도를 측정하는 제 1 센서(141);
    상기 엘리베이터(1)의 진동수를 측정하는 제 2 센서(142); 및
    상기 엘리베이터(1)의 내부의 조도를 측정하는 제 3 센서(143);를 포함하고,
    상기 기준 상태 값(s0)은 기준 속도 값(v0), 기준 진동수 값(f0) 및 기준 조도 값(b0)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상태 값(s1)은 엘리베이터(1)의 현재 하강 속도(v1), 진동수 (f1)및 조도(b1)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제어부(122)는,
    상기 하강 속도(v1)가 상기 기준 속도 값(v0)보다 크거나, 상기 진동수(f1)가 상기 기준 진동수 값(f0)보다 크거나, 상기 조도(b1)가 상기 기준 조도 값(b0)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점등부(160)를 통해 상기 점등 장치(40)를 점등시키고,
    상기 점등 장치(40)는 제 1 점등 장치(41) 및 제 2 점등 장치(42)로 구분되고,
    상기 제 1 점등 장치(41)는 일정한 조도로 상기 엘리베이터(1)의 내부를 조사하고,
    상기 제 2 점등 장치(42)는,
    상기 하강 속도(v1)가 상기 기준 속도 값(v0)보다 큰 경우 점멸하고,
    상기 진동수(f1)가 상기 기준 진동수 값(f0)보다 큰 경우 일정 주기로 조도가 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비상 전원 공급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점등 장치(40)의 점등 시, 엘리베이터(1)의 층수 버튼(2)을 상기 외부 기기(30)와의 통신을 위한 다이얼 번호로서 사용하는 층수 버튼 기능 변환부(180)를 더 포함하는 엘리베이터의 비상 전원 공급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1) 층수 버튼(2)은 상기 외부 기기(30)와의 통신을 위해 10개 이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비상 전원 공급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1)는 엘리베이터 층수 버튼(2)을 다이얼 번호로 변환하는 변환 버튼(3)을 구비하고,
    상기 변환 버튼(3)을 누를 때, 엘리베이터(1)의 층수 버튼(2)을 상기 외부 기기(30)와의 통신을 위한 다이얼 번호로서 사용하는 층수 버튼 기능 변환부(18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비상 전원 공급 장치.
  8. 삭제
KR1020170142809A 2017-10-30 2017-10-30 엘리베이터의 비상 전원 공급 장치 및 방법 KR1018399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2809A KR101839993B1 (ko) 2017-10-30 2017-10-30 엘리베이터의 비상 전원 공급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2809A KR101839993B1 (ko) 2017-10-30 2017-10-30 엘리베이터의 비상 전원 공급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9993B1 true KR101839993B1 (ko) 2018-03-19

Family

ID=619110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2809A KR101839993B1 (ko) 2017-10-30 2017-10-30 엘리베이터의 비상 전원 공급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999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2806A (ko) 2019-09-17 2021-03-25 김운기 엘리베이터 비상운전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7198B1 (ko) * 2005-12-29 2007-06-13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 장치
KR100836564B1 (ko) * 2007-01-30 2008-06-10 앤앤텍영상주식회사 엘리베이터용 비상조광장치
JP4675544B2 (ja) * 2000-08-23 2011-04-27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の操作盤
JP2014015296A (ja) * 2012-07-09 2014-01-30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の電力システム
JP2017171466A (ja) * 2016-03-24 2017-09-28 株式会社日立ビルシステム エレベーターの停電時バッテリ診断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75544B2 (ja) * 2000-08-23 2011-04-27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の操作盤
KR100727198B1 (ko) * 2005-12-29 2007-06-13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 장치
KR100836564B1 (ko) * 2007-01-30 2008-06-10 앤앤텍영상주식회사 엘리베이터용 비상조광장치
JP2014015296A (ja) * 2012-07-09 2014-01-30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の電力システム
JP2017171466A (ja) * 2016-03-24 2017-09-28 株式会社日立ビルシステム エレベーターの停電時バッテリ診断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2806A (ko) 2019-09-17 2021-03-25 김운기 엘리베이터 비상운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75890B2 (ja) エレベータの火災管制装置
JP2013009033A (ja) 機器制御装置、機器制御システム、プログラム
JP6715219B2 (ja) エレベーター報知制御システム及びエレベーター報知制御方法
JP7294988B2 (ja) エレベーターの遠隔制御システム
KR101839993B1 (ko) 엘리베이터의 비상 전원 공급 장치 및 방법
EP3122676B1 (en) Jolt-free elevator power transition
JP7226666B2 (ja) エレベーターの制御システム
JP2009215023A (ja) 非常電源用バッテリーの寿命判定システム
US20180237259A1 (en) Method for detecting trapped passengers in elevator car
JP2022010178A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
US20170064495A1 (en) Method for controlling information terminal and information terminal
JP5717301B2 (ja) エレベータ群管理制御装置
KR101221975B1 (ko) 엘리베이터 관리 시스템
JP2016016976A (ja) エレベーターシステム
JP2002211855A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JP2008167543A (ja) 充電制御装置、携帯端末装置、および充電制御方法
JP5847066B2 (ja) 昇降機を備えた建物の電力システム
JP7260068B2 (ja) エレベーターの非常連絡システム
CN110697527B (zh) 退出轿顶检修模式的控制方法、装置、控制器和存储介质
KR101263368B1 (ko) 엘리베이터 관리 시스템
JPH10225002A (ja) 携帯電話装置
KR100546655B1 (ko) 엘리베이터의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1542868B1 (ko) 엘리베이터 장치
JP7403607B2 (ja) 充放電制御方法および充放電装置
JP7404495B1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およびエレベータの運転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