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1589B1 - 컨트롤박스용 도어 시건장치 - Google Patents

컨트롤박스용 도어 시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1589B1
KR102291589B1 KR1020190145913A KR20190145913A KR102291589B1 KR 102291589 B1 KR102291589 B1 KR 102291589B1 KR 1020190145913 A KR1020190145913 A KR 1020190145913A KR 20190145913 A KR20190145913 A KR 20190145913A KR 102291589 B1 KR102291589 B1 KR 1022915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main door
fixed
operation bar
control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59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58450A (ko
Inventor
김형준
Original Assignee
김형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형준 filed Critical 김형준
Priority to KR10201901459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1589B1/ko
Publication of KR202100584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84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15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15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0Cabinet-type 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8Hinged covers or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06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covers or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7/00Fasten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two wings
    • E05C7/04Fasten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two wings for wings which abut when closed
    • E05C7/045Sliding bolts mounted on or in the edge of a normally closed wing of a double-door or -window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40Wall-mounted 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44Hinged covers or 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tch 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메인도어와 함께 보조도어가 개폐되도록 함으로서 메인도어가 잠금상태에서 보조도어가 개방되어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원천적으로 배제할 수 있고, 컨트롤박스의 품질을 높일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컨트롤박스의 전방벽 내부 상측에서 도어 방향으로 내려지게 고정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에 작동바가 유지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작동바홀과;
상기 작동바홀에 메인도어와 보조도어에 걸쳐질 수 있는 길이로 결합하는 작동바와;
상기 메인도어 위치의 작동바와 메인도어에 설치하여 작동바을 움직이는 작동수단과;
상기 보조도어 위치의 작동바와 보조도어에 설치하여 메인도어와 함께 시건 및 개방이 연동되게하는 시건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컨트롤박스용 도어 시건장치{DOOR LOCKING DEVICE FOR CONTROL BOX}
본 발명은 컨트롤박스용 도어 시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산업전반에 사용되는 컨트롤박스의 도어 특히 2도어 또는 3도어와 같이 다중도어가 구비되는 컨트롤박스에 적용되어 서킷브레이커가 장착되는 도어의 개폐와 연동되어 다른 도어들도 작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안전을 확보할 수 있도록 개선한 시건장치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컨트롤박스는 다양한 분야에서 다양한 종류가 적용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대체적으로 산업설비, 건축물, 아파트 또는 구조물의 전기적인 제어를 위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으며, 함체 형태의 박스 내부에 배전반과 더불어 전기공급의 절환을 위한 차단기 등이 내장되는 구성이다.
상기 차단기는 메인도어의 외부에서 절환가능하게 서킷브레이커(Circuit Breaker)로 연결되어 도어를 개방하지 않고서도 전기를 공급하고 차단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종래에도 이러한 컨트롤박스는 다양한 구조를 가지도록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특허문헌을 통하여 그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특허문헌 1은, 수/배전반용 자동소화장치에서 화재감지기의 화재 감지에 따라 화재경보기 및 소화기를 자동 및 수동으로 작동시킬 수 있도록 이들을 제어하는 컨트롤박스 유닛에 있어서,
전면이 개방된 용기형태를 갖고, 수/배전반 정면 패널에 매입 설치되는 매설함과; 상기 매설함 전면에 설치되어 전면 개방부위를 덮는 전면패널과; 상기 매설함 내부에 장착되고, 화재감지기, 화재경보기 및 전원과 연결되는 연결단자들을 구비하고 상기 화재감지기, 화재경보기 및 소화기를 제어하는 제어기를 구비한 메인보드를 포함하여 구성이 특징이다.
특허문헌 2는, 전기 제어용 컨트롤러가 설치되는 설치공이 구비된 메인 패널과, 상기 메인 패널의 둘레에 상기 메인 패널과 수직하게 형성된 측면 패널 및, 상기 측면 패널상의 일 지점에 형성되고, 탄력적으로 서로 맞물리는 협지부를 갖는 탄성클립이 수용된 홀더부를 포함하는 박스 본체;
상기 박스 본체와 힌지 결합되어 상기 박스 본체의 전면을 개폐하되, 상기 홀더부와 대응되는 지점에서 상기 홀더부를 향해 연장되는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의 일 지점에서 돌출되며 상기 협지부 사이로 삽입되는 삽입돌기가 형성된 프런트 커버;
상기 박스 본체의 후면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박스 본체로부터 펼쳐지거나 상기 박스 본체의 후면과 중첩되도록 접히되, 적어도 한번 굴절되어 상기 박스 본체의 후면에 전기 케이블의 연결공간을 형성하며, 고정핀이 삽입 고정되기 위해 일측 단부로 개방되는 삽입홈을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백 패널; 및, 상기 박스 본체의 외부에 설치되며, 판 형의 지지프레임 및, 상기 지지프레임 상에 일정 간격 이격된 채 서로 나란히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고정핀을 포함하여, 적어도 하나의 상기 백 패널과 결합되는 고정핀 어셈블리를 포함하되,
상기 프런트 커버와 상기 박스 본체의 접점부위에는 상기 프런트 커버 및 상기 박스 본체 중 적어도 하나가 절개되어 형성된 키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키 삽입홈에 삽입된 채 회전하면서 상기 프런트 커버를 압박하여 상기 프런트 커버를 상기 박스 본체로부터 이탈시키는 레버 키에 의해 개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특허 제 10 - 0648116 - 0000 호 특허 제 10 - 1214481 - 0000 호
없슴.
상기와 같은 특허문헌들은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컨트롤박스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컨트롤박스의 전방에 개폐되는 도어를 가지고, 키어셈블리에 의하여 시건과 해제가 이루어지는 구성으로 이루어저 있다.
그러나, 대형의 컨트롤박스 경우에는 큰 만큼 컨트롤박스 전방에 구비되는 도어가 서킷브레이커(Circuit Breaker)를 연결하여 전원공급과 차단을 선택할 수 있는 메인도어와, 상기 메인도어의 측방에 연동하여 개폐될 수 있는 한 쌍의 보조도어를 구비하여 총 3개로 구성되는 예가 많으며, 더 큰 컨트롤박스의 경우에는 도어의 수가 3개 이상이 되는 경우도 있다.
이와 같이 3개 이상의 도어가 구비되는 컨트롤박스의 경우, 메인도어는 서킷브레이커(Circuit Breaker)가 장착되기 때문에 별도의 시건수단(통상적으로 캐비넷에 구비되어 도어의 상,하단부가 캐비넷 몸체 상,하단부와 결합 및 해제되는 방식)을 가지게 되며, 이러한 시건수단은 서킷브레이커(Circuit Breaker)와 연동되는 형태이다.
메인도어의 측방에 구비되는 한 쌍의 보조도어는 시건수단이 없거나 별도의 시건수단을 장착하는 경우가 있는 데, 이용자들이 사용의 편의를 위하여 시건수단을 사용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컨트롤러에 전원이 인가된 상태에서 보조도어를 개방할 경우 안전에 문제가 발생한다.
즉, 서킷브레이커(Circuit Breaker)가 작동중일 경우에는 컨트롤러에 고압의 전원이 인가되어 작동되고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보조도어를 개방하거나 개방하여 컨트롤러 내부를 확인하는 과정에서 고압의 전원이 이용자들로 전이되어 감전사고를 유발하는 원인이 된다.
또한 고압의 전원이 인가되어 작동중인 컨트롤러를 개방하여 작업도구 등을 이용하거나 외부로부터 이물질 등이 유입될 경우에는 전기적인 충격을 유발하여 컨트롤러가 제어하는 전기적인 장치와 제품의 작동을 멈추게하는 원인이 되고, 의도치 않게 장치 등이 정지됨으로서 막대한 재산상의 피해를 입게되는 등 여러 문제점들이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컨트롤박스(101)의 전방에 서킷브레이커(Circuit Breaker)를 가지는 메인도어(102)와 그 측방에 구비되는 보조도어(103)를 메인도어(102)를 잠그면 잠금상태로 전환하고 개방하면 개방상태로 전환할 수 있게 하는 컨트롤박스용 도어 시건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박스(101)의 전방벽(104) 내부 상측에서 도어 방향으로 내려지게 고정하는 브라켓(105,106)과;
상기 브라켓(105,106)에 작동바(107)가 유지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작동바홀(108)과;
상기 작동바홀(108)에 메인도어(102)와 보조도어(103)에 걸쳐질 수 있는 길이로 결합하는 작동바(107)와;
상기 메인도어(102) 위치의 작동바(107)와 메인도어(102)에 설치하여 작동바(107)을 움직이는 작동수단(110)과;
상기 보조도어(103) 위치의 작동바(107)와 보조도어(103)에 설치하여 메인도어(102)와 함께 시건 및 개방이 연동되게하는 시건수단(130)을 포함하여;
메인도어와 함께 보조도어가 개폐되도록 함으로서 메인도어가 잠금상태에서 보조도어가 개방되어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원천적으로 배제할 수 있고, 컨트롤박스의 품질을 높일 수 있는 목적 달성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서킷브레이커(Circuit Breaker)가 장착되는 메인도어와 연동하여 보조도어가 개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시건장치를 제공하여 의도치 않게 보조도어가 개방되어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의 우려를 배제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메인도어가 시건되면 보조도어도 함께 시건되고 메인도어가 해제되면 보조도어도 함께 해제되도록 함으로서 안전사고의 우려를 배제하여 작업자는 물론 컨트롤러에 의하여 제어되는 장치 등의 안전을 담보할 수 있도록 하면서 컨트롤러의 품질을 높일 수 있는 등 다양한 효과를 가지는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인 시건장치가 적용된 컨트롤박스용 도어를 예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컨트롤박스용 도어 시건장치를 도시한 전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컨트롤박스용 도어 시건장치를 도시한 평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컨트롤박스용 도어 시건장치의 작동수단을발췌한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컨트롤박스용 도어 시건장치의 시건부를 발췌한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컨트롤박스용 도어 시건장치의 작동상태 예시도.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과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인 시건장치가 적용된 컨트롤박스용 도어를 예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컨트롤박스용 도어 시건장치를 도시한 전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컨트롤박스용 도어 시건장치를 도시한 평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컨트롤박스용 도어 시건장치의 작동수단을발췌한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컨트롤박스용 도어 시건장치의 시건부를 발췌한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컨트롤박스용 도어 시건장치의 작동상태 예시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되는 컨트롤박스용 도어 시건장치(100)는, 컨트롤박스(101)의 전방에 서킷브레이커(Circuit Breaker)를 가지는 메인도어(102)와 그 측방에 구비되는 한 쌍의 보조도어(103)를 메인도어(102)를 잠그면 잠금상태로 전환하고 개방하면 개방상태로 전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컨트롤박스(101)의 전방벽(104) 내부 상측에서 도어 방향으로 내려지게 소정의 간격을 유지시켜 브라켓(105,106)을 고정하고, 상기 브라켓(105,106)에는 작동바(107)가 유지될 수 있도록 작동바홀(108)을 형성한다.
상기 작동바홀(108)에는 메인도어(102)와 보조도어(103)에 걸쳐질 수 있는 길이의 작동바(107)를 결합하고, 상기 메인도어(102) 위치의 작동바(107)와 메인도어(102)에는 작동바(107)을 움직이기 위한 작동수단(110)를 설치하고, 보조도어(103) 위치의 작동바(107)와 보조도어(103)에는 메인도어(102)와 함께 시건 및 개방이 연동되도록 하는 시건수단(130)을 설치하여 구성한다.
상기 작동수단(110)은, 메인도어(102) 위치에 구비되는 브라켓(105)의 외측(도 3을 기준으로 우측)으로 노출된 작동바(107)의 끝단에는 이탈방지를 위한 스토퍼(111)를 고정하고, 상기 메인도어(102)에 구비되는 브라켓(105)의 내측위치에는 복귀스프링(112)를 개재하여 스프링유지구(113)로 단속한다.
상기 메인도어(102)의 내측면에는 메인도어(102)를 닫을 때 스프링유지구(113)를 잠금위치(도 3에서 보았을 때 우측방향)으로 밀어 작동바(107)를 움직이기 위한 무버(115)를 고정한다.
상기 무버(115)는, 메인도어(102) 내측에 고정(용접 또는 나사로 고정)되는 판상형태의 무버바디(116)와, 상기 무버바디(116)의 상,하측에서 마주보게 절곡되어 메인도어(102)가 잠금작동시 스프링유지구(113)를 우측으로 밀어줄 수 있도록 작동바(107) 방향으로 돌출시키는 작동브리지(117)와, 상기 작동브리지(117) 사이로 작동바(107)가 진,출입하는 데 지장이 없도록 형성하는 작동슬로트(118)를 포함한다.
상기 시건수단(130)은, 보조도어(103) 내측면에 고정되는 고정시건자(131)와, 보조도어(103) 위치의 브라켓(106)에 유지되는 작동바(107)에 고정되어 작동수단(110)에 의하여 움직이면서 고정시건자(131)와 결합 및 이탈되어 시건과 해제를 선택하는 가동시건자(132)로 구성한다.
상기 고정시건자(131)는, 보조도어(103)의 내측면에 용접 등으로 고정되는 판상형태의 고정시건자바디(133)와, 상기 고정시건자바디(133)의 하단에서 컨트롤박스(101) 내측으로 절곡되는 수평부(134)와, 상기 수평부(134)의 끝단에서 상측으로 절곡되어 형성하는 고정걸림부(135)로 구성한다.
상기 고정시건자(131)의 위치는 개방위치에 있을 때에는 가동시건자(132)가 연접되지 않고, 잠금위치에 있을 때에만 가동시간자(132)와 연접되어 걸림으로 인한 시건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상기 가동시건자(132)는, 개략 육면체 형상의 가동시건자바디(136)의 중앙에 작동바(107)가 결합될 수 있도록 관통되게 형성하는 작동바홀(137)을 형성하고, 고정볼트(138)를 이용하여 작동바(107)와 가동시건자바디(136)가 움직이지 않도록 단속한다.
상기 가동시건자바디(136)에서 고정시건자(131) 방향으로 고정걸림부(135)와 상호걸림되어 시건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가동걸림훅(139)을 일체로 돌출시켜 구성한다.
상기 고정시건자(131)와 가동시건자(132)를 본 발명에서는 보조도어(103) 중 어느 하나에 위치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각각의 보조도어(103)에 형성할 수 있음은 당연할 것이다.
또한, 보조도어(103)의 우측단에는 보조도어(103)로부터 일체로 절곡되어 메인도어(102) 방향으로 돌출되는 가압림(140)을 형성하여 시건되는 메인도어(102)의 좌측단에 의하여 한 번더 시건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컨트롤박스용 도어 시건장치(100)의 사용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메인도어(102)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작동바(107)가 복귀스프링(112)에 의하여 좌측으로 이동한 상태에 있게 되므로 시건수단(130)을 구성하는 고정시건자(131)와 가동시건자(132)가 이격된 상태에 있으므로 보조도어(103)의 개방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메인도어(102)가 잠겨진 상태에서는 작동바(107)가 무버(115)에 의하여 작동바(107)를 우측으로 이동시키게 되고, 이로 인하여 가동시건자(132)가 고정시건자(131) 방향으로 이동하여 서로 걸림되게 되므로 보조도어(103)를 개방할 수 없는 상태가 되는 것이다.
동시에 보조도어(103)의 우측단에 일체로 형성되는 가압림(140)을 메인도어(102)가 잠겨지면서 메인도어(102)의 좌측단에 의하여 눌러져 단속되므로 2차 시건이 이루어져 메인도어(102)가 시건된 상태에서 보조도어(103)가 개방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이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메인도어(102)가 개방되면 브라켓(105,106)으로 유지되는 작동바(107)가 좌측으로 이동하게 되는 데, 이는 메인도어(102) 위치의 브라켓(105) 좌측과 스프링유지구(113) 사이에 개재된 복귀스프링(112)이 작동바(107)를 좌측으로 밀기 때문이다.
이 과정에서 작동바(107)의 우측단에 스토퍼(111)를 고정하고 있기 때문에 작동바(107)가 필요이상 좌측으로 이동하는 것이 제한되며, 보조도어(103)에 구비되는 브라켓(106)에 위치하고 있는 시건수단(130)을 구성하는 고정시건자(131)와 가동시건자(132)가 해제작동할 정도의 거리를 움직이게 된다.
그러므로 메인도어(102)가 개방되면 보조도어(103) 또한 시건상태가 해제되어 개방에 지장이 발생하지 않게 되므로 컨트롤박스(101) 내부를 점검하는 등의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며, 메인도어(102)를 개방하면서 서킷브레이커(Circuit Breaker)를 통하여 전원을 OFF시킨 상태이미로 감전 등과 같은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메인도어(102)를 잠그게 되면, 메인도어(102)의 내측에 고정된 무버(115)가 작동바(107)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작동슬로트(118)로 작동바(107)를 수용하여 작동바(107)의 움직임에 지장이 없도록 하면서 작동브리지(117)가 스프링유지구(113)를 우측으로 미는 형태가 된다.
그러면, 복귀스프링(112)이 수축되면서 우측으로 작동바(107)를 이동시키고, 보조도어(103) 방향의 브라켓(106) 위치의 작동바(107)에 고정된 가동시건자(132)가 작동바(107)와 함께 우측으로 이동하여 보조도어(103) 내측멱에 고정된 고정시건자(131)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와 같이 이동한 가동시건자(132)의 가동걸림훅(139)이 고정시간자(131)의 고정걸림부(135) 위치에 있게 되고, 보조도어(103)의 우측단에 구비되는 가압림(140)이 메인도어(102)의 좌측단에 의하여 단속되는 형태가 되므로 보조도어(103)를 인위적으로 개방하는 것이 불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메인도어와 함께 보조도어가 개폐되도록 함으로서 메인도어가 잠금상태에서 보조도어가 개방되어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원천적으로 배제할 수 있고, 컨트롤박스의 품질을 높일 수 있는 등의 장점을 가지는 발명이다.
100; 컨트롤박스용 도어 시건장치
102; 메인도어 103; 보조도어
105,106; 브라켓 107; 작동바
110; 작동수단 111; 스토퍼
112; 복귀스프링 113; 스프링유지구
115; 무버 130; 시건수단
131; 고정시건자 132; 가동시건자
133; 고정시건자바디 135; 고정걸림부
136; 가동시건자바디 139; 가동걸림훅
140; 가압림

Claims (3)

  1. 컨트롤박스(101)의 전방벽(104) 내부 상측에서 도어 방향으로 내려지게 고정하는 브라켓(105,106)과; 상기 브라켓(105,106)에 작동바(107)가 유지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작동바홀(108)과; 상기 작동바홀(108)에 메인도어(102)와 보조도어(103)에 걸쳐질 수 있는 길이로 결합하는 작동바(107)와; 상기 메인도어(102) 위치의 작동바(107)와 메인도어(102)에 설치하여 작동바(107)을 움직이는 작동수단(110)과; 상기 보조도어(103) 위치의 작동바(107)와 보조도어(103)에 설치하여 메인도어(102)와 함께 시건 및 개방이 연동되게하는 시건수단(130)을 포함하여 컨트롤박스(101)의 전방에 서킷브레이커(Circuit Breaker)를 가지는 메인도어(102)와 그 측방에 구비되는 보조도어(103)를 메인도어(102)를 잠그면 잠금상태로 전환하고 개방하면 개방상태로 전환할 수 있게 하는 컨트롤박스용 도어 시건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작동수단(110)은, 메인도어(102) 위치에 구비되는 브라켓(105)의 외측으로 노출된 작동바(107)의 끝단에 이탈방지를 위하여 고정하는 스토퍼(111)와;
    상기 메인도어(102)에 구비되는 브라켓(105)의 내측위치에 복귀스프링(112)를 개재하여 단속하는 스프링유지구(113)와;
    상기 메인도어(102)의 내측면에 메인도어(102)를 닫을 때 스프링유지구(113)를 잠금위치로 밀어 작동바(107)를 움직이는 무버(115)를 포함하고;
    상기 무버(115)는, 메인도어(102) 내측에 고정되는 판상형태의 무버바디(116)와, 상기 무버바디(116)의 상,하측에서 마주보게 절곡되어 메인도어(102)가 잠금작동시 스프링유지구(113)를 우측으로 밀어줄 수 있도록 작동바(107) 방향으로 돌출시키는 작동브리지(117)와, 상기 작동브리지(117) 사이로 작동바(107)가 진,출입하는 데 지장이 없도록 형성하는 작동슬로트(118)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시건수단(130)은, 보조도어(103) 내측면에 고정되는 고정시건자(131)와;
    상기 보조도어(103) 위치의 브라켓(106)에 유지되는 작동바(107)에 고정되어 작동수단(110)에 의하여 움직이면서 고정시건자(131)와 결합 및 이탈되어 시건과 해제를 선택하는 가동시건자(132)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시건자(131)는, 보조도어(103)의 내측면에 고정되는 판상형태의 고정시건자바디(133)와, 상기 고정시건자바디(133)의 하단에서 컨트롤박스(101) 내측으로 절곡되는 수평부(134)와, 상기 수평부(134)의 끝단에서 상측으로 절곡되어 형성하는 고정걸림부(135)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동시건자(132)는, 중앙에 작동바(107)가 결합될 수 있도록 관통되게 작동바홀(137)을 형성하고 작동바홀(137)에 결합된 작동바(107)와 고정볼트(138)로 고정한 가동시건자바디(136)와, 상기 가동시건자바디(136)에서 고정시건자(131) 방향으로 돌출시켜 고정걸림부(135)와 상호걸림되어 시건상태를 유지하는 가동걸림훅(139)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트롤박스용 도어 시건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190145913A 2019-11-14 2019-11-14 컨트롤박스용 도어 시건장치 KR1022915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5913A KR102291589B1 (ko) 2019-11-14 2019-11-14 컨트롤박스용 도어 시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5913A KR102291589B1 (ko) 2019-11-14 2019-11-14 컨트롤박스용 도어 시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8450A KR20210058450A (ko) 2021-05-24
KR102291589B1 true KR102291589B1 (ko) 2021-08-20

Family

ID=761529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5913A KR102291589B1 (ko) 2019-11-14 2019-11-14 컨트롤박스용 도어 시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158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29183A (ja) 2006-06-23 2008-02-07 Sanmei Electric Co Ltd 制御ボックスの安全扉装置
JP2016140217A (ja) 2015-01-29 2016-08-04 コマツNtc株式会社 扉のインターロック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7576Y2 (ja) * 1990-10-19 1995-11-01 古野電気株式会社 制御盤の扉インタロック装置
JP2595550Y2 (ja) * 1993-05-18 1999-05-31 株式会社明電舎 制御盤のインターロック装置
JP3295820B2 (ja) * 1993-05-18 2002-06-24 三明電機株式会社 扉開閉規制装置
KR100648116B1 (ko) 2005-08-31 2006-12-08 (주)한국소방리더스 수/배전반용 자동소화장치의 컨트롤박스 유닛
KR101214481B1 (ko) 2011-11-30 2012-12-24 조성민 컨트롤 박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29183A (ja) 2006-06-23 2008-02-07 Sanmei Electric Co Ltd 制御ボックスの安全扉装置
JP2016140217A (ja) 2015-01-29 2016-08-04 コマツNtc株式会社 扉のインターロック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8450A (ko) 2021-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9072B1 (ko) 전기 패널용 셔터 도어 조립체
CN108699881B (zh) 滑动式门的开闭装置
CN106170842B (zh) 带锁定装置的安全开关
US7345252B2 (en) Key switch
CA2554411A1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safety covers for electric sockets and the like
KR102291589B1 (ko) 컨트롤박스용 도어 시건장치
JP4887091B2 (ja) 扉一体型安全スイッチ装置
KR20130089013A (ko) 배전반 안전장치
KR101126941B1 (ko) 배전반의 차단기 도어 인터록장치
KR101588255B1 (ko) 아크 방출 시스템과 센서를 이용한 자동 도어 적용 하우스형 배전반
KR101604280B1 (ko) 배전반
KR101756726B1 (ko) 비상 인터록 해제장치가 구비된 배전반의 도어 잠금장치
KR20150096878A (ko) 배전반용 셔터 배리어
CN103107037A (zh) 环网柜的闭锁机构及环网柜
CN202285207U (zh) 环网柜的闭锁机构及环网柜
KR101550404B1 (ko) 3중 연동 도어의 도어 고정장치
EP3453041B1 (en) Combination of a panel for accommodating a draw-out device and the draw-out device
KR102517740B1 (ko) 배전반의 도어 잠금 장치
KR101650698B1 (ko) 배전반 도어의 인터록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배전반
KR100885404B1 (ko) 방화용 도어 릴리즈장치
KR101409957B1 (ko) 도어 오픈스위치가 구비된 도어락 조립체
JP2001345037A (ja) 回路しゃ断器の外部操作ハンドル装置
EP2088610B1 (en) Containment and segregation compartment for switches and switch untis
JP7092704B2 (ja) 安全装置
KR20150101385A (ko) 자동 록킹 기능이 구비된 배전반용 셔터 배리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