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4481B1 - 컨트롤 박스 - Google Patents

컨트롤 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4481B1
KR101214481B1 KR1020110127294A KR20110127294A KR101214481B1 KR 101214481 B1 KR101214481 B1 KR 101214481B1 KR 1020110127294 A KR1020110127294 A KR 1020110127294A KR 20110127294 A KR20110127294 A KR 20110127294A KR 101214481 B1 KR101214481 B1 KR 1012144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x body
front cover
control box
key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72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성민
Original Assignee
조성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성민 filed Critical 조성민
Priority to KR10201101272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44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44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44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H05K5/0221Locks; Latch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06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covers or pane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6Assembled box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컨트롤 박스가 제공된다. 컨트롤 박스는, 전기 제어용 컨트롤러가 설치되는 설치 공이 구비된 메인 패널과, 메인 패널의 둘레에 메인 패널과 수직하게 형성된 측면 패널 및, 탄력적으로 서로 맞물리는 협지부를 갖는 탄성클립이 수용된 홀더부를 포함하는 박스 본체, 박스 본체와 힌지 결합되어 박스 본체의 전면을 개폐하되, 홀더부와 대응되는 지점에서 홀더부를 향해 연장되는 연장부와, 연장부의 일 지점에서 돌출되며 협지부 사이로 삽입되는 삽입돌기가 형성된 프런트 커버, 박스 본체의 후면에 힌지 결합되고, 적어도 한번 굴절되어 박스 본체의 후면에 전기 케이블의 연결공간을 형성하며, 고정핀이 삽입 고정되기 위한 삽입홈을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백 패널 및, 박스 본체의 외부에 설치되며, 판 형의 지지프레임과, 지지프레임 상에 나란히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핀을 포함하여, 백 패널과 결합되는 고정핀 어셈블리를 포함하되, 프런트 커버와 박스 본체의 접점부위에는 키 삽입홈이 형성되고, 키 삽입홈에 삽입된 채 회전하면서 프런트 커버를 압박하여 박스 본체로부터 이탈시키는 레버 키에 의해 개방된다.

Description

컨트롤 박스 {Control box}
본 발명은 전기 제어용 컨트롤러 및 스위치가 수용되는 컨트롤 박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안 효과를 높이고 관리상의 효율성을 향상시킨 컨트롤 박스에 관한 것이다.
건물 내부에는 다양한 종류의 전기 설비가 되어 있다. 이러한 전기 설비들은 대부분 옥내의 사용자가 직접 조작하여 사용하게 되지만, 전기 설비에 문제가 생기는 경우와 같이 특별한 경우에는 전문적인 설비 관리자의 관리가 필요하게 된다. 또한, 일반적인 전기 설비가 아닌 특정한 목적을 갖는 전기 설비의 경우에는 권한 있는 특별한 관리자만이 배타적으로 해당 전기 설비를 관리하게 된다. 전문적인 보안 업체에 의해 설치 및, 관리되는 보안 시스템 설비는 이러한 특정한 목적을 갖는 전기 설비의 주요한 예가 된다.
따라서, 관리자가 효율적으로 전기 설비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하고, 문제가 생기는 경우에는 빠르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전기 설비의 일부 또는 전부를 제어할 수 있는 전기 제어용 컨트롤러와, 이에 해당하는 스위치들이 한데 모여 내부에 수용되는 컨트롤 박스(Control box/ Switch box)가 설치된다. 전기 설비의 관리자는 컨트롤 박스에 접근하여 내부의 컨트롤러를 제어하거나 검사함으로써 건물전체의 전기 설비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컨트롤 박스는 주로 옥외, 건물 외벽에 설치되며, 동종의 전기 설비인 경우, 각각의 컨트롤 박스들을 서로 인접한 위치에 설치하면 관리 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다.
하지만, 종래 사용되는 컨트롤 박스에는 잠금 장치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가 많았으며, 이에 따라 권한 없는 외부인이라 하여도 손쉽게 접근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보안 설비와 관련된 컨트롤 박스의 경우, 이러한 문제점은 더욱 심각할 수 있다. 반면에 자물쇠와 같은 잠금 장치가 되어 있는 경우에는 열고 닫는 작업이 번거롭게 되어 관리자의 관리 효율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하나 이상의 컨트롤 박스를 동시에 검사해야 하는 상황이나, 또는 서로 다른 건물에 설치된 여러 개의 컨트롤 박스를 수시로 점검해야 하는 상황이 자주 발생하는 관리자에게는 이러한 점이 또 다른 문제점이 되었다.
또한, 종래 사용되는 컨트롤 박스는, 주로 건물의 외벽에 부착된 상태로 직접 고정되었다. 따라서, 컨트롤 박스 내부의 전기 배선을 새로 바꿔야 하거나, 새로운 컨트롤러 또는 스위치를 설치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컨트롤 박스를 다시 해체하여야만 하였으며, 이에 따라 관리자의 관리 작업이 역시 효율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보안 효과를 높이면서도 관리자의 접근은 용이한 잠금 구조를 갖는 컨트롤 박스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설치가 쉽고 설치 후에도 관리 작업이 용이한 컨트롤 박스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컨트롤 박스는, 전기 제어용 컨트롤러가 설치되는 설치 공이 구비된 메인 패널과, 상기 메인 패널의 둘레에 상기 메인 패널과 수직하게 형성된 측면 패널 및, 상기 측면 패널상의 일 지점에 형성되고, 탄력적으로 서로 맞물리는 협지부를 갖는 탄성클립이 수용된 홀더부를 포함하는 박스 본체, 상기 박스 본체와 힌지 결합되어 상기 박스 본체의 전면을 개폐하되, 상기 홀더부와 대응되는 지점에서 상기 홀더부를 향해 연장되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의 일 지점에서 돌출되며 상기 협지부 사이로 삽입되는 삽입돌기가 형성된 프런트 커버, 상기 박스 본체의 후면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박스 본체로부터 펼쳐지거나 상기 박스 본체의 후면과 중첩되도록 접히되, 적어도 한번 굴절되어 상기 박스 본체의 후면에 전기 케이블의 연결공간을 형성하며, 고정핀이 삽입 고정되기 위해 일측 단부로 개방되는 삽입홈을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백 패널 및, 상기 박스 본체의 외부에 설치되며, 판 형의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 상에 일정 간격 이격된 채 서로 나란히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고정핀을 포함하여, 적어도 하나의 상기 백 패널과 결합되는 고정핀 어셈블리를 포함하되, 상기 프런트 커버와 상기 박스 본체의 접점부위에는 상기 프런트 커버 및 상기 박스 본체 중 적어도 하나가 절개되어 형성된 키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키 삽입홈에 삽입된 채 회전하면서 상기 프런트 커버를 압박하여 상기 프런트 커버를 상기 박스 본체로부터 이탈시키는 레버 키에 의해 개방된다.
상기 키 삽입홈은, 상기 측면 패널의 단부를 따라 상기 프런트 커버와 평행하게 연장되되, 상기 프런트 커버를 향해 개방되어 삽입된 상기 레버 키의 일부를 상기 프런트 커버와 밀착시키는 선형의 개방부 및, 상기 개방부로부터 상기 프런트 커버의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어, 회전하는 상기 레버 키를 받쳐 지지하는 지지홈부를 포함하고, 상기 레버 키는, 상기 개방부에 삽입되는 판상의 삽입부, 상기 삽입부와 수직으로 연결되어 회전력을 제공하는 레버 및, 상기 삽입부의 저면에서 상기 지지홈부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돌출되어 상기 지지홈부에 접속되는 접속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지지홈부는, 한 쌍이 상기 개방부의 서로 다른 양 단부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키 삽입홈은 상기 측면 패널의 단부가 절개되어 오목하게 형성되되, 절개된 부분에 상기 프런트 커버를 향해 나란히 돌출되어, 회전하는 상기 레버 키를 받쳐 지지하는 복수의 톱니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키 삽입홈은 상기 측면 패널의 단부가 원호 형상으로 절개되어 상기레버 키의 회전운동을 가이드하는 곡면부 및, 상기 곡면부를 향해 비스듬히 절개되어 상기 곡면부와 연결되는 경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협지부는, 상기 연장부를 향해 노출되고 서로 평행한 상기 탄성클립의 양 단부가 각각 서로를 향해 적어도 한번 굴절되어 서로 밀착되는 부분을 갖도록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상기 협지부는, 상기 탄성클립의 양 단부가 상기 밀착된 부분으로부터 각각 서로 반대방향으로 굴절되어 상기 삽입돌기를 향해 벌어지도록 형성된 안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삽입돌기는, 모서리 부분이 상기 협지부를 향하도록 배치되는 세모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홈은, 상기 백 패널의 단부로 개방되어 상기 고정핀이 유입되는 직선상의 유입구 및, 상기 유입구의 내측으로 연장되되 상기 유입구와 수직한 방향으로 굴절되어 유입된 상기 고정핀이 걸려 고정되는 굴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컨트롤 박스는 매끈하게 밀폐되는 외형상의 특징을 이용해 권한 없는 외부자의 접근을 사전에 차단할 수 있는 보안상의 이점을 가지는 동시에, 적합한 키를 사용하여 손쉽게 개폐가 가능한 기능상의 장점을 갖는다.
또한, 설치가 간편하고, 한정된 공간을 효과적으로 이용하여 복수의 컨트롤 박스를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며, 설치가 끝난 후에도 가변적으로 후면부를 개방하는 것이 가능하여 관리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컨트롤 박스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컨트롤 박스가 펼쳐진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컨트롤 박스의 메인 패널의 후면부 및 백 패널을 함께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백 패널과 결합되는 고정핀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도 1의 컨트롤 박스의 잠금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6은 도 레버 키의 확대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의 컨트롤 박스의 개폐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a 내지 도 8c는 도 1의 컨트롤 박스의 키 삽입홈의 변형례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9a 내지 도 10은 도 1의 컨트롤 박스의 사용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본 발명의 이점과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한 것이 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단지 청구항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컨트롤 박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컨트롤 박스의 사시도이다.
우선,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컨트롤 박스(1)는 크게 박스 본체(100), 프런트 커버(200) 및 백 패널(300)로 구성되며, 백 패널(300)은 박스 본체(100)와 별도로 외부에 설치되는 고정핀 어셈블리(도 4의 400 참조)에 결합된다.
박스 본체(100)에는 다양한 종류의 컨트롤러 및 스위치들이 수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컨트롤러 및 스위치들을 서로 연결시키기 위한 전기 배선이 함께 설치될 수 있다. 박스 본체(100)의 내부에 수용되는 컨트롤러는 건물의 전기 설비의 일부 또는 전부를 제어하기 위한 전기 제어용 컨트롤러일 수 있으며, 스위치 역시 이러한 전기 설비의 일부 또는 전부를 개폐할 수 있는 제어용 스위치일 수 있다.
따라서, 건물의 전기 설비를 관리하는 권한 있는 관리자는 이러한 컨트롤 박스(1)에 접근하여 건물의 전기 설비를 손쉽게 점검하고,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하지만, 권한 없는 외부인이 임의로 컨트롤 박스(1)를 개방하여 피해를 주는 경우가 생길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컨트롤 박스(1)는 박스 본체(100)의 전면에 프런트 커버(200)가 결합되어 있다. 하지만, 이를 열고 닫는 데 필요한 외부 핸들은 제거된다. 따라서, 도시된 바와 같이 프런트 커버(200)가 닫히면, 외관상 컨트롤 박스(1)는 매끈하게 밀폐되고, 쉽게 개방될 수 없는 상태가 된다. 또한, 외부 핸들이 제거된 채 매끈하게 밀폐되는 이러한 외관상의 특징이, 악의 있는 외부인의 접근 의지를 사전에 차단하여 컨트롤 박스(1)의 보안 효과를 더욱 높여줄 수 있다.
반면에, 권한 있는 관리자는 레버 키(도 6 참조)를 사용하여 프런트 커버(200)를 쉽게 열 수 있다. 프런트 커버(200)와 박스 본체(100)가 서로 접하는 접점부위에는 이러한 레버 키(2)가 삽입될 수 있는 키 삽입홈(130)이 형성된다. 키 삽입홈(130)은 프런트 커버(200)와 평행하게 연장되되, 프런트 커버(200)를 향해 개방되는 직선 형상의 개방부(131)와, 개방부(131)로부터 프런트 커버(200)의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홈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레버 키(2)는 이러한 키 삽입홈(130)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되어 키 삽입홈(130)에 삽입될 수 있으며, 키 삽입홈(130)에 삽입된 채 회전하면서 프런트 커버(200)를 손쉽게 개방할 수 있다. 레버 키(2) 및 컨트롤 박스(1)의 개폐과정에 대해서는 후술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박스 본체(100)의 후면에는 백 패널(300)이 결합된다. 백 패널(300)은 박스 본체(100)의 후면에 힌지 결합되어 박스 본체(100)로부터 자유롭게 펼쳐질 수 있으며, 반대로 다시 접혀 박스 본체(100)의 후면과 중첩될 수 있다. 따라서, 백 패널(300)이 고정되는 경우, 박스 본체(100)를 회전시켜 박스 본체(100)의 후면부를 개방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박스 본체(100)의 내부에 수용된 컨트롤러 및 스위치의 교체, 검사, 수리 등 유지 보수 작업이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백 패널(300)은 적어도 한 번 굴절되어 박스 본체(100)의 후면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된 연결공간(350)을 형성한다. 컨트롤러 및 스위치와 건물 내부의 전기 설비를 연결하는 연결 케이블은 연결공간(350)을 통해 박스 본체(100)의 내부로 인입될 수 있다. 굴절된 백 패널(300)의 측단부는 박스 본체(100)의 후면과 밀착되는 밀착부(320)를 형성하며, 밀착부(320)에 형성된 고정구(321)에 고정나사가 결합되면, 백 패널(300)은 박스 본체(100)와 안정적으로 결합된다. 이 때, 고정나사는 박스 본체(100)의 내측을 통해서 결합될 수 있다.
이하,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이러한 특징을 갖는 컨트롤 박스(1)의 각 구성부에 대해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의 컨트롤 박스가 펼쳐진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컨트롤 박스의 메인 패널의 후면부 및 백 패널을 함께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우선 박스 본체(100)는 전술한 전기 제어용 컨트롤러 및 스위치가 설치되는 설치공(111)이 구비된 메인 패널(110)과, 메인 패널(110)의 둘레에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어 박스 본체(100)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측면 패널(120)로 이루어져 전체적으로 방형의 함이 된다. 측면 패널(120)의 일 측에는 탄성클립(140)이 설치되며, 탄성클립(140)은 측면 패널(120)의 내측에 형성된 홀더부(도 5a의 21 참조)에 수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설치공(111)은 하나 이상이 형성될 수 있으며,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설치공(111)의 주변에는 컨트롤러 및 스위치가 결합되기 위한 결합홀들이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컨트롤러 및 스위치는 설치공(111)에 중첩된 상태로 결합될 수 있으며, 컨트롤러 및 스위치에 연결된 전기 배선이나 케이블들은 설치공(111)을 통해 박스 본체(100)의 후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설치공(111)들의 형상은 컨트롤러 및 스위치의 형상에 따라서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탄성클립(140)은 프런트 커버(200)에 형성된 삽입돌기(211)와 함께 컨트롤 박스(1)의 잠금 구조를 형성한다. 탄성클립(140)은 탄력적으로 서로 맞물리는 한 쌍의 협지부(141)와, 협지부(141)에서 연장되어 삽입돌기(211)를 가이드하는 안내부(142)와, 협지부(141) 및 안내부(142)를 지지하고 복원력을 제공하는 클립몸체(144)를 포함한다.
협지부(141)는 연장부(210)를 향해 노출된 탄성클립(140)의 서로 다른 단부가 각각 서로를 향해 굴절되어 집게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협지부(141)의 굴절된 부분은 서로 탄력적으로 밀착되며, 굴절되기 직전에 두 개의 단부는 서로 평행하게 형성된다. 협지부(141)는 서로 맞물려 고정될 수 있으며, 반대로 탄력적으로 서로 이격될 수도 있다. 따라서, 협지부(141) 사이로 삽입되는 삽입돌기(211)는 협지부(141)에 삽입된 채 고정될 수 있으며, 협지부(141)가 이격되면 협지부(141)로부터 빠져나올 수 있다.
한편, 상기한 탄성클립(140)의 단부는 협지부(141)를 이룬 후 다시 서로 반대방향으로 굴절되어 멀어진다. 이 때 각각의 단부는 프런트 커버(200)를 향해 비스듬히 굴절되어 안내부(142)를 형성한다. 안내부(142)는 프런트 커버(200)에 위치한 삽입돌기(211)를 향해 벌어진 형태가 되며, 따라서, 삽입돌기(211)는 안내부(142)를 따라 협지부(141) 사이로 손쉽게 진입할 수 있다.
클립몸체(144)는 사다리꼴 형태로 형성되며, 협지부(141) 및 안내부(142)가 위치한 방향으로 점점 좁아져 협지부(141) 및 안내부(142)에 탄성력 및 복원력을 제공한다. 이 때, 클립몸체(144)와 협지부(141)의 사이에는 키 삽입홈(130)을 향해 연장되는 한 쌍의 스토퍼(143)가 형성될 수 있다. 스토퍼(143)는 레버 키(도 6의 2 참조)의 단부가 키 삽입홈(130)에 삽입될 때, 탄성클립(140)의 내부에 걸리는 일이 없도록 레버 키(2)의 진행 경로를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한 협지부(141), 안내부(142), 클립몸체(144) 및 스토퍼(143)는 서로 일체로 형성되어 상호간에 탄성력을 전달할 수 있다.
프런트 커버(200)는 박스 본체(100)에 대응하는 방형의 판 형태로 형성된다. 박스 본체(100)의 일 측과 프런트 커버(200)의 일 측은 제1 힌지부(230)에 의해 서로 힌지결합되며, 이에 따라 프런트 커버(200)는 박스 본체(100)의 전면을 개폐할 수 있다. 프런트 커버(200)에는 측단부를 따라 테두리부(220)가 형성되며, 테두리부(220)는 프런트 커버(200)가 닫힌 때 측면 패널(120)과 맞접한다. 테두리부(220)의 일 측에는 쐐기 형상의 걸림부(221)가 형성되어 프런트 커버(200)가 닫힌 때 측면 패널(120)에 걸릴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프런트 커버(200)가 닫힌 상태를 유지하도록 도움을 줄 수 있다. 컨트롤 박스(1) 내부에 수용된 컨트롤러 및 스위치들의 동작 상태를 간이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프런트 커버(200)에는 투광부(240)가 형성될 수 있다.
연장부(210)는 굴절된 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연장부(210)는 탄성클립(140)이 수용된 홀더부(121)를 향해 연장되며, 서로 마주볼 수 있도록, 연장부(210)와 홀더부(121)는 서로 대응되는 지점에 형성된다. 연장부(210)는 프런트 커버(200)의 내측 면과 일체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연장부(210)위의 일 지점에서는 삽입돌기(211)가 돌출된다. 삽입돌기(211)는 세모꼴 형상으로 형성되되, 모서리 부분은 협지부(141)를 향하도록 배치되고 모서리 사이의 평면 부분은 협지부(141)의 반대편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삽입돌기(211)는 이러한 세모꼴 형상으로 형성되어야만 하는 것은 아니며, 협지부(141) 사이로 삽입되기 쉽되, 협지부(141)로부터 빠지기는 어려운 형상, 예를 들면, 'T'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밖에도 정형화 되지 않은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도 3은 도 1의 컨트롤 박스의 메인 패널의 후면부 및 백 패널을 함께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백 패널과 결합되는 고정핀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이어서 도 3 및 도 4를 함께 참조하면, 백 패널(300) 역시 박스 본체(100)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방형의 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백 패널(300)은 박스 본체(100)의 후면부와 백 패널(300)의 측면부를 서로 연결하는 제2 힌지부(340)에 의해 박스 본체(100)와 힌지결합되며, 따라서 접히거나 펼쳐질 수 있다. 이 때, 백 패널(300)의 전체 길이는 박스 본체(100)의 길이 보다는 약간 짧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백 패널(300)은 박스 본체(100)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박스 본체(100)의 후면부에 중첩될 수 있다.
백 패널(300)은 박스 본체(100)의 외부에 독립적으로 설치되는 고정핀 어셈블리(400)와 결합되어 고정된다. 고정핀 어셈블리(4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 형의 지지프레임(420)과 지지프레임(420) 위에 서로 나란히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고정핀(410)을 포함한다. 고정핀(410)은 일반적인 핀의 형상을 갖되 단부에는 평평한 머리부분이 형성된다. 이러한 고정핀(410)과 결합되기 위해서, 박스 본체(100)는 적어도 하나의 삽입홈(310)을 포함한다.
삽입홈(310)은 백 패널(300)의 측단부에 형성된다. 삽입홈(310)의 일 측은 백 패널(300)의 측단부로 개방되어 고정핀(410)이 유입되기 위한 유입구(311)를 형성한다. 반면에 삽입홈(310)의 타 측은 유입구(311)의 내측으로 연장되되, 유입구(311)와는 수직한 방향으로 굴절되어 굴절부(312)를 형성한다. 따라서, 고정핀(410)은 유입구(311)를 통해 삽입된 후, 굴절부(312)에 걸려 고정될 수 있다. 이 때,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구(311)의 너비는 굴절부(312)의 너비보다는 약간 더 넓을 수 있다.
삽입홈(310)은 수용부(313) 위에 형성된다. 수용부(313)는 고정핀 어셈블리(400)와 결합될 때 지지프레임(420)을 수용하기 위한 것이며, 지지프레임(420)의 두께에 대응하여 백 패널(300)의 단부가 평면 형태로 약간 돌출된 것일 수 있다. 삽입 과정에서, 고정핀(410)은 유입구(311)로 진입된 후 굴절부(312)로 다시 방향을 바꾸어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고정핀(410)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420) 역시 삽입 과정에서 움직일 수 있는 공간이 필요하다. 이러한 유동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서, 수용부(313)의 너비는 지지프레임(420)의 너비보다는 약간 더 넓게 형성된다.
백 패널(300)에는 결합공(330)이 더 포함될 수 있다. 결합공(330)은 나사 결합을 통해 백 패널(300)의 고정 상태를 공고히 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유사시에는 건물 외벽에 매설된 지지편에 고정되어 백 패널(300)이 건물 외벽에 직접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지지편은 못이나 나사못 등이 될 수 있다.
이하, 도 5a 내지 도 8c를 참조하여, 컨트롤 박스(1)의 잠금 구조 및 개폐과정에 대해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5a 및 도 5b는 도 1의 컨트롤 박스의 잠금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박스 본체(100)에 위치한 탄성클립(140)과 프런트 커버(200)에 위치한 삽입돌기(211)가 서로 결합되어 컨트롤 박스(1)의 잠금 구조를 형성한다.
우선, 도 5a와 같이 프런트 커버(200)가 박스 본체(100)로부터 이탈되어 있는 상태에서 삽입돌기(211) 및 탄성클립(140)은 각각 프런트 커버(200) 및 박스 본체(100)의 단부로부터 노출된 상태가 된다. 이 때, 삽입돌기(211)는 전부가 다 노출될 수 있으며, 탄성클립(140)은 키 삽입홈(130)의 사이로 협지부(141) 및 안내부(142)만이 노출될 수 있다.
프런트 커버(200) 및 박스 본체(100) 중 적어도 하나에 힘을 가하여 압박하면 (화살표 방향 참조), 삽입돌기(211)는 안내부(142)를 지나 협지부(141) 사이로 삽입된다. 이 때, 안내부(142)는 삽입돌기(211)를 향해 펼쳐진 형태가 되어 삽입돌기(211)의 모서리부분과 접촉하면서 탄력적으로 벌어지게 되며, 안내부(142)가 서로 벌어지면 협지부(141) 역시 서로 이격된다. 따라서, 삽입돌기(211)는 손쉽게 협지부(141) 사이를 통과하여 탄성클립(140)과 결합된다.
도 5b를 참조하면, 삽입돌기(211)와 탄성클립(140)이 서로 결합되면 프런트 커버(200)와 박스 본체(1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밀착된다. 서로 결합된 삽입돌기(211)와 탄성클립(140)은 프런트 커버(200) 및 박스 본체(100)의 내측에 가려 보이지 않게 된다. 따라서, 컨트롤 박스(1)가 닫히게 되면, 잠금 구조는 은닉되고 컨트롤 박스(1)는 외관상으로 매끈하게 밀폐된 상태가 된다. 또한, 프런트 커버(200) 또는 박스 본체(100)의 어느 측에도 프런트 커버(200)를 열기 위한 핸들 장치가 되어있지 않으므로, 키를 가지고 있지 않은 외부인은 컨트롤 박스(1)를 열 수 없게 된다.
도 6은 레버 키의 확대사시도이고, 도 7은 도 1의 컨트롤 박스의 개폐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8a 내지 도 8c는 도 1의 컨트롤 박스의 키 삽입홈의 변형례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과 도 6을 함께 참조하면, 관리자는 키 삽입홈(130)에 레버 키(2)를 삽입한 후 회전시켜 이러한 컨트롤 박스(1)의 잠금 상태를 손쉽게 해제할 수 있다.
우선 키 삽입홈(130)은 전술한 바와 같이 개방부(131)와 지지홈부(132)를 포함한다. 지지홈부(132)는 개방부(131)의 중앙부분에 형성되어 키 삽입홈(130)은 전체적으로'T'자 형태가 된다. 이러한 형태의 키 삽입홈(130)에 삽입되기 위해서, 레버 키(2)의 단부 역시 단면이'T'자 형태가 되도록 형성된다. 하지만, 레버 키(2)의 형상은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며, 키 삽입홈(130)의 형상이 변형되는 경우, 그에 맞도록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되어 형성될 수 있다.
레버 키(2)는 개방부(131)에 삽입 또는 수용되는 판 형상의 삽입부(21)와, 삽입부와 수직으로 연결되는 레버(22) 및, 판상의 삽입부(21)의 저면에서 돌출되는 접속부(23)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개방부(131)가 프런트 커버(200)를 향해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삽입부(21)는 개방부(131)에 삽입되면 프런트 커버(200)의 단부와 밀착된다. 이 때 레버(22)를 회전시키면, 삽입부(21)는 프런트 커버(200)와 밀착된 채 회전하여 프런트 커버(200)를 압박하게 되고, 프런트 커버(200)와 박스 본체(100)는 서로 분리된다.
이 때 접속부(23)는 키 삽입홈(130)의 지지홈부(132)에 수용되어 지지홈부(132)와 접속되며, 지지홈부(132)는 레버 키(2)의 회전 동작이 이루어지는 동안 접속부(23)를 통해 레버 키(2) 전체를 받쳐 지지하게 된다. 접속부(23)는 레버 키(2)가 일정 정도 회전되고 난 후에 지지홈부(132)로부터 이탈되어 접속이 해제될 수 있다. 이 때, 회전하는 레버 키(2)는 지지효과가 커지거나 지지되는 시간이 늘어나는 경우 더욱 효과적으로 작동할 수 있다. 따라서, 접속부(23) 및 지지홈부(132)의 접촉시간이 증가될 수 있도록, 접속부(23)와 지지홈부(132)의 크기는 적절히 조정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레버 키(2)는 키 삽입홈(130)에 삽입된 채 회전되어(화살표 방향 참조) 프런트 커버(200)를 개방한다. 이러한 과정이 이루어지는 동안 레버 키(2)는 지지홈부(도 1의 132 참조)를 받침점으로 하는 지레 작용을 수행하게 되며, 이로 인해 관리자는 상대적으로 적은 힘 만으로도 손쉽게 프런트 커버(200)를 열 수 있다. 따라서, 레버 키(2)를 가진 관리자는 여러 개의 컨트롤 박스(1)를 동시에 관리하거나, 서로 다른 건물에 분산 배치된 복수의 컨트롤 박스(1)들을 수시로 점검하는 것과 같은 관리 작업을 좀 더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8a 내지 도 8c는 도 1의 컨트롤 박스의 키 삽입홈의 변형례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한편, 키 삽입홈(130)은 레버 키(2)를 좀 더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서로 다른 형상으로 변형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8a를 참조하면, 키 삽입홈(130)은 하나가 아닌 두개의 지지홈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각각의 지지홈부(132)는 개방부(131)의 양 단부에 각각 형성된다. 따라서, 레버 키(2)는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으며, 회전시에 회전 방향과 가까운 지지홈부(132)에 의해 좀 더 효과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도 8b를 참조하면, 키 삽입홈(130)은 지지홈부(132) 대신에 복수의 톱니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키 삽입홈(130)은 측면 패널(120)의 일측 단부가 오목하게 절개되어 일종의 아치 형상을 이룰 수 있으며, 톱니부(133)는 프런트 커버(200)를 향해 돌출되되, 절개된 부분을 따라서 병렬로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톱니부(133)와 접촉되는 레버 키(2)의 단부 역시 톱니 형상으로 형성되며, 레버 키(2)의 단부는 회전시 톱니부(133)와 맞물려 지지효과가 증가될 수 있다.
도 8c를 참조하면, 키 삽입홈(130)은 측면 패널(120)의 일측 단부가 원호형상으로 절개되어 형성되는 곡면부(134)와, 곡면부(134)를 향해 비스듬히 절개되어 곡면부(134)와 연결되는 경사부(135)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곡면부(134)는 곡면부(134)의 원호 부분을 이용하여 레버 키(2)의 회전 운동을 가이드 할 수 있다. 또한, 경사부(135)의 형상에 대응하여 역시 경사진 형태로 형성되는 레버 키(2)의 단부는 곡면부(134)를 축으로 하여 회전하면서 프런트 커버(도 2의 200 참조)를 좀 더 효과적으로 압박할 수 있다.
도 9a 내지 도 10은 도 1의 컨트롤 박스의 사용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9a 및 도 9b를 참조하면, 컨트롤 박스(1)는 옥외의 벽면(W)에 설치되어 고정된다. 이 때, 컨트롤 박스(1)는 전체가 벽면(W)에 완전히 고정되는 것은 아니고, 전술한 바와 같이 백 패널(300)만이 고정된 채 컨트롤 박스(1)의 나머지 부분은 유연하게 움직일 수 있다.
우선, 컨트롤 박스(1)는 건물 벽면(W)에 단독으로 설치될 수 있다. 이 때, 컨트롤 박스(1)는 전술한 바와 같이 백 패널(300)과 고정핀 어셈블리(400)가 서로 결합된 상태로 고정되며, 백 패널(300)과 힌지결합된 박스 본체(100)는 백 패널(300)의 전면으로 펼쳐져 후면부를 노출할 수 있다. 따라서, 박스 본체(100)의 후면부로 인입되는 케이블(C)이나 전기 배선 등을 교체하거나, 수리해야 할 필요가 있는 경우, 도 9b와 같은 상태로 박스 본체(100)의 후면부를 노출할 수 있으며, 이러한 상태에서 교체 및 관리 작업이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때, 고정핀 어셈블리(400)는 건물의 벽면(W)에 직접 부착된다. 고정핀 어셈블리(400)는 수용부(313)의 개수에 맞추어 하나 이상이 설치될 수 있으며, 각각의 백 패널(300)은 동시에 하나 이상의 고정핀 어셈블리(400)와 결합되어 좀 더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이어서, 도 10을 참조하면, 컨트롤 박스(1)는 하나 이상이 설치될 수 있다. 이 때, 서로 다른 컨트롤 박스(1)들은 동일한 하나의 고정핀 어셈블리(400)를 매개로 하여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다. 이는 백 패널(300)에 형성된 삽입홈(310)이 백 패널(300)의 각각의 단부를 따라 서로 다른 방향으로 정렬되어 있기 때문이며, 이러한 삽입홈(310)들을 이용하면, 도시된 바와 같이, 한정된 공간을 좌우 상하로 효과적으로 사용하여 컨트롤 박스(1)를 배치할 수 있는 것이다. 관리자는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컨트롤 박스(1)에 손쉽게 접근할 수 있으며, 서로 다른 컨트롤 박스(1)를 동시에 점검할 수 있어, 전기 설비의 관리가 좀 더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컨트롤 박스 2: 레버 키
21: 삽입부 22: 레버
23: 접속부 100: 박스 본체
110: 메인 패널 111: 설치공
112: 고정 브라켓 120: 측면 패널
121: 홀더부 130: 키 삽입홈
131: 개방부 132: 지지홈부
133: 톱니부 134: 곡면부
135: 경사부 140: 탄성클립
141: 협지부 142: 안내부
143: 스토퍼 144: 클립몸체
200: 프런트 커버 210: 연장부
211: 삽입돌기 220: 테두리부
221: 걸림부 230: 제1 힌지부
240: 투광부 300: 백 패널
310: 삽입홈 311: 유입구
312: 굴절부 313: 수용부
320: 밀착부 321: 고정구
330: 결합공 340: 제2 힌지부
350: 연결공간 400: 고정핀 어셈블리
410: 고정핀 420: 지지프레임
C: 케이블 W: 벽면

Claims (9)

  1. 전기 제어용 컨트롤러가 설치되는 설치공이 구비된 메인 패널과, 상기 메인 패널의 둘레에 상기 메인 패널과 수직하게 형성된 측면 패널 및, 상기 측면 패널상의 일 지점에 형성되고, 탄력적으로 서로 맞물리는 협지부를 갖는 탄성클립이 수용된 홀더부를 포함하는 박스 본체;
    상기 박스 본체와 힌지 결합되어 상기 박스 본체의 전면을 개폐하되, 상기 홀더부와 대응되는 지점에서 상기 홀더부를 향해 연장되는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의 일 지점에서 돌출되며 상기 협지부 사이로 삽입되는 삽입돌기가 형성된 프런트 커버;
    상기 박스 본체의 후면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박스 본체로부터 펼쳐지거나 상기 박스 본체의 후면과 중첩되도록 접히되, 적어도 한번 굴절되어 상기 박스 본체의 후면에 전기 케이블의 연결공간을 형성하며, 고정핀이 삽입 고정되기 위해 일측 단부로 개방되는 삽입홈을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백 패널; 및,
    상기 박스 본체의 외부에 설치되며, 판 형의 지지프레임 및, 상기 지지프레임 상에 일정 간격 이격된 채 서로 나란히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고정핀을 포함하여, 적어도 하나의 상기 백 패널과 결합되는 고정핀 어셈블리를 포함하되,
    상기 프런트 커버와 상기 박스 본체의 접점부위에는 상기 프런트 커버 및 상기 박스 본체 중 적어도 하나가 절개되어 형성된 키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키 삽입홈에 삽입된 채 회전하면서 상기 프런트 커버를 압박하여 상기 프런트 커버를 상기 박스 본체로부터 이탈시키는 레버 키에 의해 개방되는 컨트롤 박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키 삽입홈은, 상기 측면 패널의 단부를 따라 상기 프런트 커버와 평행하게 연장되되, 상기 프런트 커버를 향해 개방되어 삽입된 상기 레버 키의 일부를 상기 프런트 커버와 밀착시키는 선형의 개방부 및, 상기 개방부로부터 상기 프런트 커버의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어, 회전하는 상기 레버 키를 받쳐 지지하는 지지홈부를 포함하고,
    상기 레버 키는, 상기 개방부에 삽입되는 판상의 삽입부, 상기 삽입부와 수직으로 연결되어 회전력을 제공하는 레버 및, 상기 삽입부의 저면에서 상기 지지홈부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돌출되어 상기 지지홈부에 접속되는 접속부를 포함하는 것인 컨트롤 박스.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홈부는, 한 쌍이 상기 개방부의 서로 다른 양 단부에 각각 형성되는 것인 컨트롤 박스.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키 삽입홈은 상기 측면 패널의 단부가 절개되어 오목하게 형성되되, 절개된 부분에 상기 프런트 커버를 향해 나란히 돌출되어, 회전하는 상기 레버 키를 받쳐 지지하는 복수의 톱니를 포함하는 것인 컨트롤 박스.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키 삽입홈은 상기 측면 패널의 단부가 원호 형상으로 절개되어 상기레버 키의 회전운동을 가이드하는 곡면부 및, 상기 곡면부를 향해 비스듬히 절개되어 상기 곡면부와 연결되는 경사부를 포함하는 것인 컨트롤 박스.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협지부는, 상기 연장부를 향해 노출되고 서로 평행한 상기 탄성클립의 양 단부가 각각 서로를 향해 적어도 한번 굴절되어 서로 밀착되는 부분을 갖도록 형성된 것인 컨트롤 박스.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협지부는, 상기 탄성클립의 양 단부가 상기 밀착된 부분으로부터 각각 서로 반대방향으로 굴절되어 상기 삽입돌기를 향해 벌어지도록 형성된 안내부를 포함하는 것인 컨트롤 박스.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돌기는, 모서리 부분이 상기 협지부를 향하도록 배치되는 세모꼴 형상으로 형성된 것인 컨트롤 박스.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홈은, 상기 백 패널의 단부로 개방되어 상기 고정핀이 유입되는 직선상의 유입구 및, 상기 유입구의 내측으로 연장되되 상기 유입구와 수직한 방향으로 굴절되어 유입된 상기 고정핀이 걸려 고정되는 굴절부를 포함하는 컨트롤 박스.
KR1020110127294A 2011-11-30 2011-11-30 컨트롤 박스 KR1012144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7294A KR101214481B1 (ko) 2011-11-30 2011-11-30 컨트롤 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7294A KR101214481B1 (ko) 2011-11-30 2011-11-30 컨트롤 박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14481B1 true KR101214481B1 (ko) 2012-12-24

Family

ID=479080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7294A KR101214481B1 (ko) 2011-11-30 2011-11-30 컨트롤 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448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88689A (zh) * 2019-03-01 2019-05-21 丹阳市长江汽车部件有限公司 一种多功能组合控制箱
KR20210058450A (ko) 2019-11-14 2021-05-24 김형준 컨트롤박스용 도어 시건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68362A (en) 1992-09-25 1996-10-22 Atlas Copco Tools Ab Cabinet for housing electronic equipment connectable to machines or power tools for performing operations
KR200274611Y1 (ko) 2001-12-15 2002-05-08 장용운 차량 외부장착용 재떨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68362A (en) 1992-09-25 1996-10-22 Atlas Copco Tools Ab Cabinet for housing electronic equipment connectable to machines or power tools for performing operations
KR200274611Y1 (ko) 2001-12-15 2002-05-08 장용운 차량 외부장착용 재떨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88689A (zh) * 2019-03-01 2019-05-21 丹阳市长江汽车部件有限公司 一种多功能组合控制箱
KR20210058450A (ko) 2019-11-14 2021-05-24 김형준 컨트롤박스용 도어 시건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90418A (en) Access panel assembly with door and multi-functional frame
US20140290975A1 (en) Service cable box
EP2715919B1 (en) Secure raised access floor service box and system
US20070077800A1 (en) Secure cable system
KR101214481B1 (ko) 컨트롤 박스
TW200527791A (en) Wall outlet box
CA2709434A1 (en) Electrical component enclosure
US8769890B2 (en) Device for feeding one or more lines through an opening in a wall or a floor
RU2006106917A (ru) Стиральная/сушильная машина
TWI459646B (zh) 地板插座裝置
JP2007287492A (ja) 埋込型電気配線接続装置
EP3331797B1 (en) Elevator operation device
KR101522326B1 (ko) 랙 설치용 케이블 정리장치
US11427383B2 (en) Plastic enclosure for enclosing industrial components
CN208548502U (zh) 一种面板组装结构
CN216692734U (zh) 一种设备以及安装组件
JP7468264B2 (ja) ケーブル接続ユニット
JP2012041735A (ja) 玄関ドアのロック装置
KR200497803Y1 (ko) 조명 설비용 배선 덕트
KR20120131025A (ko) 잠금장치
JP6772668B2 (ja) コントローラ
CN2804464Y (zh) 枢接装置
JP4933872B2 (ja) 光コネクタケース
JP4575311B2 (ja) 配線ボックス
JP2006269230A (ja) 情報コンセント施錠装置および情報コンセン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