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8116B1 - 수/배전반용 자동소화장치의 컨트롤박스 유닛 - Google Patents

수/배전반용 자동소화장치의 컨트롤박스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8116B1
KR100648116B1 KR1020050080773A KR20050080773A KR100648116B1 KR 100648116 B1 KR100648116 B1 KR 100648116B1 KR 1020050080773 A KR1020050080773 A KR 1020050080773A KR 20050080773 A KR20050080773 A KR 20050080773A KR 100648116 B1 KR100648116 B1 KR 1006481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water
panel
control box
fire extinguish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07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연호
Original Assignee
(주)한국소방리더스
주식회사 주은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국소방리더스, 주식회사 주은테크 filed Critical (주)한국소방리더스
Priority to KR10200500807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81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81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81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2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with metal casing
    • H02B13/025Safety arrangements, e.g. in case of excessive pressure or fire due to electrical defect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16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electrical installations, e.g. cablew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 Fire Alar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배전반용 자동소화장치의 자동소화기와 연동되는 컨트롤박스 유닛에 관한 것으로, 별도의 설치공간을 마련할 필요 없이 수/배전반의 정면패널에 설치되되 외부로 돌출되지 않게 매입된 형태로 설치되고, RS-485 규격을 이용한 통신용 라인이 연결되어 원격지에서 중앙 집중식으로 여러 대를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수/배전반용 자동소화장치에서 화재감지기의 화재 감지에 따라 화재경보기 및 소화기를 자동 및 수동으로 작동시킬 수 있도록 이들을 제어하는 컨트롤 박스 유닛에 있어서, 전면이 개방된 용기형태를 갖고 수/배전반 정면 패널에 매입 설치되는 매설함과, 매설함 전면에 설치되어 전면 개방부위를 덮는 전면패널과, 매설함 내부에 장착되고 화재감지기, 화재경보기 및 전원과 연결되는 연결단자들을 구비하고 상기 화재감지기, 화재경보기 및 소화기를 제어하는 제어기를 구비한 메인보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수/배전반, 소화기, 컨트롤박스

Description

수/배전반용 자동소화장치의 컨트롤박스 유닛{control box unit of automatic extinguishing apparatus for a distributer panel}
도 1은 종래의 수/배전반용 자동소화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정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매설함 111A,111B : 걸림편
113 : 지지돌기 120 : 전면패널
130 : 보호패널 131 : 지지프레임
133 : 개폐도어 140 : 메인보드
141 : 소화기 작동스위치 142 : 디스플레이창
143 : 온도 설정스위치 145,146 : 표시램프
147 ; 초기화 스위치 149A 내지 149D : 딥스위치군
본 발명은 자동소화장치의 자동소화기와 연동되는 컨트롤박스 유닛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별도의 설치공간을 마련할 필요 없이 수/배전반의 정면패널에 설치되되 외부로 돌출되지 않게 매입된 형태로 설치되고, RS-485 규격을 이용한 통신용 라인이 연결되어 원격지에서 중앙 집중식으로 여러 대를 제어하는 데 적당하도록 한 수/배전반용 자동소화장치의 컨트롤박스 유닛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체 화재의 약 38%는 전기화재에 의한 것이며, 이 중 약 28%는 수/배전반에서 내부 합선이나 과열로 인해 발생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처럼 화재의 발생 빈도가 높은 수/배전반은 각종의 전기부품과 배선이 서로 복잡하게 얽혀 있고, 한 장소에 여러 개의 수/배전반들이 서로 연결되어 있다. 이같은 설치 환경으로 인해 하나의 수/배전반에 화재가 발생되어 초기진화에 실패하면 대형화재로 이어져 막대한 재산피해를 입을 수밖에 없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전기실 자체에 설치되는 대형의 자동소화장치와는 별도로 각각의 수/배전반 전용으로 사용되는 자동소화장치를 설치하여 특정 수/배전반에 발생하는 화재를 초기에 진화할 수 있도록 하였다.
도 1은 종래의 수/배전반용 자동소화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수/배전반용 자동소화장치는 수/배전반(10) 내부에서 발생되는 화재를 감지할 수 있도록 수/배전반(10) 내부에 설치되는 화재감지기(23)와, 상기 화재감지기(23)의 화재감지에 여부에 따라 수/배전반(10) 내부에 소화액을 분사하도록 분사노즐(27)이 수/배전반(10) 내부에 설치된 소화기(25)와, 제어기에 의해 상기 화재감지기(23) 및 소화기(25)를 자동으로 제어하고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도 관리하고 제어할 수 있도록 설치된 컨트롤박스(21)를 포함하여 구성되었다.
종래의 수/배전반용 자동소화장치는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수/배전반(10) 내부에 화재가 발생하면 상기 화재감지기(23)가 감지하고 이를 알리는 전기신호를 생성하여 제어기를 구비하고 있는 컨트롤박스(21)로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컨트롤박스(21)는 소화기(25)를 작동시켜 수/배전반(10) 내부에 소화액을 분사한다. 이로써 수/배전반(10) 내부에서 발생된 화재가 초기에 진압된다.
하지만, 종래의 수/배전반용 자동소화장치는 상기 컨트롤박스(21)를 설치할 공간을 마련하기가 상당히 곤란하였다. 즉, 통상적으로 전기실에는 많은 수의 수/배전반(10)이 설치되기 때문에 이들을 담당하는 컨트롤박스(21)의 수 또한 적지 않아 전기실 한 곳에 컨트롤박스(21)를 위한 별도의 설치공간을 마련하기가 쉽지 않았다.
뿐만 아니라, 이렇게 수/배전반(10)으로부터 떨어져 설치된 컨트롤박스(21)의 경우, 담당하고 있는 특정 수/배전반(10)의 내부에서 화재가 발생하는 긴급 상황에서 해당 컨트롤박스(21)임을 직관적으로 식별하는 데 곤란성이 있었다. 이는 실제 화재가 발생하면 이를 직면한 사람들은 패닉현상을 겪는 등 판단력이나 인지능력이 현저하게 떨어지는 현상을 경험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화재 발생시 특정 수/배전반(10)을 담당하고 있는 컨트롤박스(21)를 찾아 신속하게 대응하여 화재를 초기에 진압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 아울러 평상시에도 수/배전반(10)에서 떨어져 있는 해당 컨트롤박스(21)를 구별하여 조작하는 데 불편함이 따르는 것은 물론이다.
또한, 수/배전반(10)은 설치된 장소에 따라 그 내부 온도가 차이가 나는 등 다양한 변수들이 존재하는 관계로 화재감지기(23)가 오작동하여 화재경보기(미도시 됨)나 소화기(25)를 불필요하게 작동시킬 우려가 있었다. 그러나 종래의 자동소화장치는 이같은 다양한 환경변수들에 맞도록 적절하게 조절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수/배전반용 자동소화장치는 원격지에서 제어할 수 없었기 때문에 관리자 혹은 사용자가 수/배전반(10) 인근에 상주하지 않는 경우 수동조작을 하기 위해서는 그때마다 자동소화장치의 컨트롤박스(21)가 설치된 장소로 번번이 이동해야만 하였다. 따라서 불편함은 물론 화재시 오작동 등의 문제가 있을 때 신속한 대응이 곤란해지는 심각한 상황이 야기되곤 하였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별도의 설치공간을 마련할 필요 없이 수/배전반의 정면패널에 매입된 형태로 설치되는 수/배전반용 자동소화장치의 컨트롤박스 유닛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원격지에서도 제어할 수 있는 수/배전반용 자동소화장치의 컨트롤박스 유닛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수/배전반용 자동소화장치의 컨트롤박스 유닛은, 수/배전반용 자동소화장치에서 자동소화기와 연동되어 화재감지기의 화재 감지에 따라 화재경보기 및 소화기를 자동 및 수동으로 작동시킬 수 있도록 이들을 제어하는 컨트롤 박스 유닛에 있어서,
전면이 개방된 용기형태를 갖고, 수/배전반 정면 패널에 매입 설치되는 매설함과, 상기 매설함 전면에 설치되어 전면 개방부위를 덮는 전면패널과, 상기 매설함 내부에 장착되고, 화재감지기, 화재경보기 및 전원과 연결되는 연결단자들을 구비하고 상기 화재감지기, 화재경보기 및 소화기를 제어하는 제어기를 구비한 메인보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매설함 전면 언저리를 따라 부착되되 상기 전면패널을 전방으로 노출시키는 절개부를 구비한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에 여닫이 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되어 상기 지지프레임의 절개부를 개폐하는 투명 재질의 개폐도어로 이루어진 보호패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설함은 내부 후측벽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되 상기 전면패널의 두께 차를 두고 전면 개방부위까지 연장된 복수의 지지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전면패널은 상기 매설함의 전면 개방부위에 부합되게 끼워진 후 상기 지지돌기들에 지지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설함의 전면 상단변과 하단변에서 각각 상측과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매설함의 매입시 수/배전반의 정면 패널에 걸쳐지는 걸림편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보드에는 상기 소화기를 작동시키는 소화기 작동스위치, 상기 수/배전반의 내부온도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창, 소화기가 작동하는 온도를 설정하는 온도 설정스위치, 상기 화재감지기의 화재 감지 여부를 표시하는 화재감지 표시램프, 상기 화재경보기의 작동 여부를 표시하는 화재경보 표시램프, 상기 화재감지기 및 화재경보기의 오작동시 이를 초기화시키는 초기화 스위치가 더 설치되고, 이들 모두는 상기 전면패널 전면에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보드는 통신용 라인이 연결되는 통신단자를 더 구비하여, 원격지에서도 상기 메인보드를 통해 상기 화재감지기, 화재경보기 및 소화기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보드와 원격지간 통신은 RS-485 규격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보드는 소화기 작동을 위해 소화기의 봉인을 가열하는 시간을 설정하는 제 1딥스위치군과, 설치된 화재감지기의 종류별 화재감지에 따라 소화기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작동모드를 설정하는 제 2딥스위치군과, 자체 식별번호를 설정하는 제 3딥스위치군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보드는 수/배전반 내의 실제온도와 측정되는 측정온도 차를 보정하기 위한 제 4딥스위치군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일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컨트롤박스 유닛(100)은 화재감지기(161,162,167 두개의 연기감지기 및 한개의 서미스터(thermistor), 혹은 불꽃 감지기도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서미스터의 경우 수/배전반 내부 온도를 측정하는 역할과 화재를 감지하는 역할을 병행한다.), 화재경보기(164), 소화기(165)와 함께 수/배전반용 자동소화장치를 이루게 된다. 이같은 자동소화장치에서 본 발명의 컨트롤박스 유닛(100)은 화재감지기(161,162,163)의 화재 감지에 따라 화재경보기(164) 및 소화기(165)를 자동 및 수동으로 작동시킬 수 있도록 이들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방화대상이 되는 수/배전반(10)의 정면패널에 설치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처럼 본 발명의 컨트롤박스 유닛(100)이 수/배전반(10)의 정면패널에 설치되면 별도의 설치공간을 확보해야 하는 곤란함이 전혀 없게 된다. 그리고 화재시 특정 수/배전반(10)을 담당하고 있는 해당 컨트롤박스 유닛(100)을 직관적으로 쉽게 찾을 수 있고, 수/배전반(10) 내부에 함께 설치된 화재감지기(161,163,167) 및 소화기(165)와 함께 관리하기가 편리해진다.
더욱이 본 발명의 컨트롤박스 유닛(100)은 조작을 위해 외부 노출이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부분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수/배전반(10)에 매입된 형태로 설치되기 때문에 본 발명의 설치로 인한 어떠한 공간상의 제약이나 불편함 혹은 미관상의 문제를 초래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컨트롤박스 유닛(100)은 관리자가 상주하고 있는 원격지에서 PC를 통해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조작을 위해 관리자가 일일이 이동해야 하는 불편함이 없고, 화재시 오작동 등의 문제가 있을 때에도 원격지에서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수/배전반용 자동소화장치의 컨트롤박스 유닛(100)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정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매설함(110), 전면패널(120), 보호패널(130) 및 메인보드(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매설함(110)은 전면이 개방된 개방부위를 갖는 사각의 용기형태를 하고 있고, 수/배전반 정면패널에 매입 설치된다. 상기 매설함(110)을 수/배전반에 매입하기 위해서는 수/배전반 정면패널 중 일부를 매설함(110)과 같은 크기의 사각형태로 절개하고 그 절개부위에 상기 매설함(110)을 삽입하여 끼워 넣으면 된다. 이때 매설함(110)이 완전히 삽입되지 않고 상기 걸림편(111A,111B)에 의해 걸쳐진 상태로 고정 가능하게 된다. 상기 걸림편(111A,111B)은 매설함(110)의 전면 상단변과 하단변에서 각각 상측과 하측으로 연장 형성된 형태로 구비된다. 한편 상기 매설함(110)에는 상기 전면패널(120)을 지지 및 고정하기 위한 복수의 지지돌기(113)가 구비된다. 상기 지지돌기(113)는 매설함(110)의 내부 후측벽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되 상기 전면패널(120)의 두께 차를 두고 전면 개방부위까지 연장된다. 이같은 지지돌기(113)가 구비되면 상기 전면패널(120)이 매설함(110)의 전면 개방부위에 부합되게 끼워진 상태로 고정 가능하게 된다. 상기 지지돌기(113)의 선단부에는 나사공(113A)이 형성된다. 이로써 나사들을 사용하여 상기 전면패널(120)을 상기 지지돌기(113)에 고정할 수 있다. 상기 매설함(110)의 내부 후측벽에는 메인보드(140)를 후측벽에서 약간 이격된 상태로 지지 및 고정하기 위하여 짧게 돌출된 지지편(115)이 구비된다. 한편, 상기 매설함(110)의 저면에는 복수개의 라인관통용 통공(117)이 형성되어 외부로부터 상기 메인보드(140)의 연결단자들(148A,148B)에 연결되는 각종의 라인들이 편리하게 관통된다. 이같은 라인들에는 상기 메인보드(14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라인은 물론, 화재감지기, 화재경보기와 연결되는 라인들을 포함하여 원격지 통신실과 연결되는 통신라인도 포함된다. 또한, 소화기를 제어하기 위해 연결되는 라인도 포함된다.
상기 전면패널(120)은 매설함(110)의 전면 개방부위에 부합되어 끼워질 수 있는 사각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매설함(110)의 지지돌기(113)에 지지된 상태로 고정된다. 상기 전면패널(120)은 매설함(110)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지 않고 삽입된 상태로 고정되어 상기 매설함(110)의 전면 개방부위를 덮는다. 상기 전면패널(120)에는 메인보드(140)에 설치된 디스플레이창(142), 각종 스위치(143,144,147,141) 및 표시램프들(145,146)을 전방으로 노출시키기 위한 각종의 통구들이 형성된다.
상기 보호패널(130)은 상기 매설함(110) 전면 언저리를 따라 부착되는 지지프레임(131)과, 상기 지지프레임(131)에 힌지결합되는 개폐도어(133)를 포함한다. 이 중 지지프레임(131)은 상기 전면패널(120)을 전방으로 노출시키는 사각의 절개부(131A)를 구비한다. 상기 개폐도어(133)는 상기 지지프레임(131)에 여닫이 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되어 회동하면서 상기 지지프레임의 절개부(131A)를 개폐한다. 상기 개폐도어(133)는 투명재질로 이루어져 개폐 여부에 상관없이 상기 전면패널(120) 전면으로 노출되어 수/배전반 및 자동소화장치의 상태를 표시하고 있는 디스플레이창(142) 및 각종 표시램프(145,146)이 상시 보여지도록 한다. 이같은 구성을 갖는 상기 보호패널(130)은 평상시에는 개폐도어(133)가 닫힌 상태로 각종 작동 관련 스위치들(141,143,144,147) 즉, 소화기 작동스위치(141), 온도 설정스위치(143), 전원스위치(144) 및 초기화 스위치(147)이 불필요하게 접촉되어 오작동하지 않도록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조작이 필요한 경우 개폐도어(133)가 열려진 상태에서 각종 작동 관련 스위치들(141,143,144,147)로의 접근을 허용한다.
상기 메인보드(140)는 상기 화재감지기(161,162,163 도 3 참조), 화재경보기(164 도 3 참조 ) 및 소화기(165 도 3 참조)를 포함하여 자동소화장치 전반을 제어하는 것은 물론 그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메인보드(140)는 기본적으로 제어기(미도시 됨)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제어기와 연동된 각종의 작동 관련 스위치들(141,143,144,147) 즉, 소화기 작동스위치(141), 온도 설정스위치(143), 전원스위치(144) 및 초기화 스위치(147)들이 설치된다. 또한, 수/배전반 내부의 온도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창(142), 화재감지기의 화재감지 여부를 표시하는 표시램프(145)와 화재경보기의 작동 여부를 표시하는 표시램프(146)가 설치된다. 각종 연결단자(148A,148B 통신단자 포함) 및 딥스위치들(149A 내지 149D)이 설치된다.
상기 메인보드(140)에 설치되는 소화기 작동스위치(141)는 사용자가 소화기를 수동으로 직접 작동시키기 위한 스위치이다. 상기 초기화 스위치(147)은 화재감지기 및 화재경보기의 오작동시 이를 초기화시키는 스위치이다. 상기 온도 설정스위치(1430은 소화기가 작동하는 온도를 설정하는 스위치이다. 상기 온도 설정스위치는 3개 구비되어 하나는 상기 작동온도를 변경시키기 위한 설정모드로 변경하기 위한 스위치, 다른 하나는 작동온도를 높이기 위한 스위치, 나머지 하나는 작동온도를 낮추기 위한 스위치로 구성되면 좋다.
상기 메인보드(140)에 설치되는 연결단자(148A,148B)들로는 전원공급원과 연결되는 단자, 상기 화재감지기, 화재경보기 및 소화기와 연결되는 단자들을 포함한다. 또한 원격지에 있는 통신실의 PC와 통신용 라인을 통해 연결되는 최소 두개의 통신단자(148B)를 더 포함한다. 이처럼 상기 통신단자(148B)가 구비되면 원격지에 있는 통신실의 PC에서도 화재감지기, 화재경보기 및 소화기를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수/배전반 인근에 관리자 또는 사용자가 상주하지 않더라도 원격지에 위치한 통신실에서 PC를 통해 수/배전반 및 자동소화장치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면서 자동소화장치를 조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연결단자(148A) 및 통신단자(148B)를 마련하기 위해 28핀(Pin) 단자대를 사용할 수 있으며, 각 단자들의 내역은 아래 표 1과 같이 정할 수 있다.
Pin No 단자 내역
2 24V 전원 입력단자
3,4 & 5,6 연기감지센서 A, B와 연결된 입력단자
7,8 온도감지센서 입력단자 / PT-100 전용
9,10 릴레이 제어단자로 A접점출력 Max 3A
11,12 외부 비상키 입력
13,14 & 15,16 24V 출력을 연결해주는 릴레이 제어단자 Max 1A
17,18 24V 출력을 연결해주는 릴레이 제어단자 Max 3A
19,20 경광등(화재경보기) 출력 24V
21,22 불꽃감지센서 입력단자
23,25 RS-485 통신단자(148B)로 RS-485-T
24,26 RS-485 통신단자(148B)로 RS-485-R
27,28 외부센서용 전원단자 / Reset시 off
상기 표 1에 따르면 23 내지 26번 단자들은 통신단자(148B)로 할당되었으며 나머지 단자들은 전원을 포함하여 화재감지가. 화재경보기 및 전원 등과 연결되는 연결단자(148A)로 할당되었음을 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메인보드(140)의 제어기와 원격지간 통신은 RS-485 규격을 이용한다. 이는 RS-485 규격이 다른 규격에 비하여 보다 원기리 통신이 가능하고 다자간 통신이 가능하여 하나의 원격지 PC에서 여러 개의 콘트롤 박스 유닛과 통신하면서 각각의 자동소화장치를 중앙집중식으로 제어할 수 있는 등 장점이 많기 때문이다. 다음은 본 발명에 이용된 RS-485 규격의 특징을 간단히 정리한 것이다.
1. HALF DUPLEX 방식으로 통신이 이루어 진다 : RS-232C, RS-422 규격의 경우에는 송신과 수신이 서로 분리 되어 있어서 양방향 동시 통신(FULL DUPLEX)이 가능 하다, 하지만 RS-485의 경우에는 송신과 수신이 같은 회선을 사용한다. 따라서 양자간 연결되는 회선은 단 두가닥으로서 한쪽이 송신을 하면 다른쪽은 수신을 해야 한다. 그래서 단방향 통신(HALF DUPLEX) 방식으로 통신이 이루어져야 한다.
2. 멀티드롭(MULTI DROP)에 의한 다자간 통신이 가능하다 : 요즈음 새로 나온 RS-485 트랜시버(tranceiver) IC중에는 심지어 256 개소(points)와의 연결을 지원해주는 것도 있다.
3. 최고 1.2 Km(4,000 feet)까지 통신이 가능하다 : 다자간의 총 연장 거리로 따졌을 때 최고 1.2 Km까지 통신이 가능하다. 단, 거리에 반비례하여 통신 속도가 떨어진다는 점에 유념해야 한다. 통신 속도는 현장에 맞추면 된다.
4. 모뎀 등과 같은 전화 회선과는 달라서 두가닥의 회선이 서로 바뀌면 안된다. 그러므로 A 회선은 A 회선끼리, B 회선은 B 회선끼리 연결 되어야 한다. 만일 회선이 바뀌면 통신도 안되고 과부하로 인해 컨트롤박스 유닛이 망가질 수 있다.
RS-485 규격은 하드웨어적인 규격이다. 하지만 RS-232나 RS-422과 같은 양방향 동시 통신(FULL DUPLEX)이 아니고 단방향 통신(HALF DUPLEX) 방식이므로 그에 따른 소프트웨어적인 기법이 사용되어야 한다. 보통은 여러 대의 컨트롤박스 유닛 중 하나를 호스트(HOST)로 삼고 나머지는 슬레이브(SLAVE)로 정해놓고서 호스트가 폴링해서 각 슬레이브와 교신하는 방식을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호스트가 되는 컨트롤박스 유닛의 식별번호, 각 슬레이브가 되는 컨트롤박스 유닛의 식별번호를 서로 고유하게 보유하고 있어야 원활한 통신망을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제 3딥스위치군(149C)을 이용하여 고유의 식별번호를 갖도록 설정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차후 딥스위치군을 설명할 때 설명하기로 한다.
예를 들어, RS-485 규격에 따라 메인보드(140)와 원격지 PC간 통신모드를 다음과 같이 세팅할 수 있다. 단 이같은 세팅은 단지 하나의 예만을 보여주는 것으로 실제 현장 상황에 따라 적절히 변경하여 세팅할 수 있다.
PC에서 메인보드(140)로 보내지는 명령어는 8바이트(byte)로 이루어지며 그 구성은 아래 표 2 및 표 3과 같이 이루어질 수 있다.
Station Address Function Starting Address Word Count Error Check(CRC)
High- byte Low- byte High- byte Low- byte High- byte Low- byte
1byte 1byte 1byte 1byte 1byte 1byte 1byte 1byte
Station Address 0×00 ∼ 0×0f 식별번호(ID)
Function 0×03
Starting Address High-byte 0×00 주의 기울이지 않음
Starting Address Low-byte 0×00 제어기 상태요구
0×01 온도 데이터 요구
0×02 동작모드 요구
0×03 연기감지기1 상태요구
0×04 연기감지기2 상태요구
0×05 불꽃감지기 상태요구
0×06 사용안함
0×07 사용안함
0×08 사용안함
0×09 사용안함
0×0A 사용안함
0×0B 사용안함
0×0C 사용안함
0×0D 사용안함
0×0E 사용안함
0×0F 사용안함
0×10 소화기 분사 명령
Word Count 요청 data word count
상기 표 2 및 표 3의 구성과 대응되게 메인보드(140) 제어기에서 PC로 보내지는 데이터는 최대 21(byte)로 이루어지며 그 구성은 아래 표 4 내지 표 10과 같이 이루어질 수 있다.
Station Address Function Byte Count Data Word 0 Data Word 7 Error Check(CRC)
High- byte Low- byte High- byte Low- byte High- byte Low- byte
1byte 1byte 1byte 1byte 1byte 1byte 1byte 1byte 1byte
제어기 상태 데이터 내 용
0×00, 0×00 정상
0×00, 0×01 감지기 중 1개 이상 감지 혹은 온도 위험
0×00, 0×10 감지기1에 의한 소화기 분사중
0×00, 0×20 감지기2에 의한 소화기 분사중
0×00, 0×30 온도이상에 의한 소화기 분사중
0×00, 0×40 감지기1, 온도이상에 의한 소화기 분사중
0×00, 0×50 감지기2, 온도이상에 의한 소화기 분사중
0×00, 0×60 감지기1, 감지기2에 의한 소화기 분사중
0×00, 0×70 감지기1, 감지기2, 온도이상에 의한 소화기 분사중
0×00, 0×A0 작동스위치에 의한 소화기 분사중
0×00, 0×F0 PC 명령에 의한 소화기 분사중
0×00, 0×1F 감지기1에 의한 소화기 분사후 Reset
0×00, 0×2F 감지기2에 의한 소화기 분사후 Reset
0×00, 0×3F 온도이상에 의한 소화기 분사후 Reset
0×00, 0×4F 감지기1, 온도이상에 의한 소화기 분사후 Reset
0×00, 0×5F 감지기2, 온도이상에 의한 소화기 분사후 Reset
0×00, 0×6F 감지기1, 감지기2에 의한 소화기 분사후 Reset
0×00, 0×7F 감지기1, 감지기2, 온도이상에 의한 소화기 분사후 Reset
0×00, 0×AF 작동스위치에 의한 소화기 분사후 Reset
0×00, 0×FF PC 명령에 의한 소화기 분사후 Reset
온도 데이터 내 용
0×01, 0×00 단단위 데이터
0×01, 0×01 십단위 데이터
0×01, 0×10 백단위 데이터
0×01, 0×20 영상/영하 데이터(0×00:영상, 0×01:영하)
소화기 작동모드 데이터 내 용
0×02, 0×00 감지기1, 감지기2, 온도 중 하나 이상시
0×02, 0×01 (감지기1 & 감지기2), 온도 이상시
0×02, 0×02 감지기1, (감지기2 & 온도) 이상시
0×02, 0×03 감지기2, (감지기1 & 온도) 이상시
0×02, 0×04 (감지기1 & 감지기2 & 온도) 이상시
연기감지기1 데이터 내 용
0×03, 0×00 정상
0×03, 0×01 화재감지
연기감지기2 데이터 내 용
0×04, 0×00 정상
0×04, 0×01 화재감지
불꽃감지기 데이터 내 용
0×05, 0×00 정상
0×05, 0×01 화재감지
한편, 상기 메인보드(140)에는 네 개의 딥스위치군 즉, 제 1딥스위치군(149A), 제 2딥스위치군(149B), 제 3딥스위치군(149C), 제 4딥스위치군(149D)으로 이루어진 다수의 딥스위치들이 설치된다. 상기 딥스위치군들(149A,149B,149C,149D)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제 1딥스위치군(149A)은 소화기 작동을 위해 소화기의 봉인을 가열하는 시간을 설정하는 데 사용된다. 본 발명은 일정 온도(약 72℃)가 되면 봉인이 녹거나 해제되면서 소화액을 분사하는 소화기를 대상으로 염두하고 있다. 상기 제 1딥스위치군(149A)은 2개의 딥스위치로 이루어지고, 세팅은 아래 표 11과 같이 이루어진다.
No.1 Dip No.2 Dip 설정시간
ON ON 0 10sec
OFF ON 1 30sec
ON OFF 2 미정
OFF OFF 3 Continue
상기 제 2딥스위치군(149B)은 설치된 화재감지기의 종류별 작동 여부에 따라 소화기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작동모드를 설정하는 데 사용된다. 본 발명은 화재감지기로서 두개의 연기감지기와 서미스터(Thermistor)를 염두하고 있다(물론 불꽃감지기를 포함 더욱 많은 수의 화재감지기가 설치될 수도 있다).상기 제 2딥스위치군(149B)은 3개의 딥스위치로 이루어지고, 세팅은 아래 표 12과 같이 이루어진다.
No.1 Dip No.2 Dip No.3 Dip 작동모드
ON ON ON 0 A or B or Thermistor
OFF ON ON 1 (A & B) or Thermistor
ON OFF ON 2 A or (B & Thermistor)
OFF OFF ON 3 B or (A & Thermistor)
ON ON OFF 4 A & B & Thermistor
OFF ON OFF 5 A & B & Thermistor
ON OFF OFF 6 A & B & Thermistor
OFF OFF OFF 7 A & B & Thermistor
상기 표 12에서 살펴보면 딥스위치의 설정 값을 0으로 한 경우 2개의 연기감지기와 서미스터 중 어느 하나에만 화재가 감지되면 소화기가 작동된다. 설정 값을 1로 한 경우 두개 연기감지기 모두에 화재가 감지되거나 서미스터에 화재가 감지되면 소화기가 작동된다.
상기 제 3딥스위치군(149C)은 자체 식별번호를 설정하는 데 사용된다. 본 발명은 전술된 바와 같이 RS-485 규격을 이용하기 때문에 원격지에 위치한 통신실의 PC에서 다수의 컨트롤박스 유닛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컨트롤박스 유닛 각각은 자체적으로 식별번호를 소유하고 있어야 하며 이같은 필요를 제 3딥스위치군(149C)이 충족시킨다. 상기 제 3딥스위치군(149C)은 4개의 딥스위치로 이루어지고 세팅은 아래 표 13과 같이 이루어진다(물론 상기 딥스위치의 개수는 설치되는 컨트롤박스 유닛의 개수가 16개 이하인 경우를 염두한 것이지만 컨트롤박스 유닛의 개수에 따라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No.1 Dip No.2 Dip No.3 Dip No.4 Dip ID 값
ON ON ON ON 0
OFF ON ON ON 1
ON OFF ON ON 2
OFF OFF ON ON 3
ON ON OFF ON 4
OFF ON OFF ON 5
ON OFF OFF ON 6
OFF OFF OFF ON 7
ON ON ON OFF 8
OFF ON ON OFF 9
ON OFF ON OFF 10
OFF OFF ON OFF 11
ON ON OFF OFF 12
OFF ON OFF OFF 13
ON OFF OFF OFF 14
OFF OFF OFF OFF 15
상기 제 4딥스위치군(149D)은 수/배전반 내의 실제온도와 측정되는 측정온도 차를 보정하는 데 사용된다. 이는 수/배전반 내에서 온도를 측정하는 서미스터의 오차를 보정하여 화재시 보다 정확히 작동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 4딥스위치군(149D)은 3개의 딥스위치로 이루어지고 세팅은 아래 표 14와 같이 이루어진다.
No.1 Dip No.2 Dip No.3 Dip 보정온도
ON ON ON 0 -0℃
OFF ON ON 1 -1℃
ON OFF ON 2 -2℃
OFF OFF ON 3 -3℃
ON ON OFF 4 +3℃
OFF ON OFF 5 +2℃
ON OFF OFF 6 +1℃
OFF OFF OFF 7 +0℃
이처럼 본 발명은 상기 딥스위치군에 의해 배전반용 자동소화장치가 최상의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수/배전반용 자동소화장치의 컨트롤박스 유닛의 설치방법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을 설치하고자 하는 수/배전반(10 도 2 참조)의 정면패널을 매설함의 크기에 맞추어 사각의 형태로 절개한다.
이후, 상기 매설함(110)을 수/배전반(10)의 절개부위에 매입시켜 끼워 넣는다. 이때 매설함(110)의 걸림편(111A,111B)이 수/배전반(10)의 절개부위 상하측 주변에 걸쳐지면서 상기 매설함(110)이 수/배전반(10) 정면패널에 완전히 삽입되지 않고 걸쳐지게 된다.
이후, 상기 걸림편(111A,111B)을 고정나사 혹은 볼트들(112)을 사용하여 수/배전반의 정면패널에 체결하여 고정한다. 이로써, 상기 매설함(110)이 수/배전반에 정면패널에 매입된 상태로 안정되게 고정된다.
이후, 메인보드(140)에 연결을 필요로 하는 각종 라인들(통신라인 포함, 미도시 됨)을 라인관통용 통공(117)에 관통시킨 후 메인보드(140)의 연결단자(148A) 및 통신단자(148B)에 하나씩 연결한다. 그리고 상기 메인보드(140)를 매설함(110)의 지지편(115)에 지지시킨 후 고정한다. 여기서 각종 라인들의 다른 끝단은 이미 그 대상이 되는 전원, 화재감지기, 화재경보기 및 소화기 등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통신라인은 원격지에 있는 통신실의 PC와 컨버터를 거쳐 연결된 것으로 한다.
이후, 상기 메인보드(140)에 설치된 딥스위치군들(149A 내지 149D)을 세팅하여 적절한 설정 값으로 맞춘다. 여기에는 소화기(165)의 봉인을 가열하는 시간, 설치된 화재감지기(161,162,163)의 종류별 화재감지에 따라 소화기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한 작동모드, 자체 식별번호, 수/배전반(10) 내의 실제온도와 측정온도 차의 보정 등을 설정하는 것이 포함된다.
상기 딥스위치군들(149A 내지 149D)의 세팅이 마쳐지면 전면패널(120)을 매설함(110) 전면에 설치하여 개방부위를 덮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전면패널(120)을 매설함(110)의 전면 개방부위에 부합되게 끼우고 지지돌기(113)들에 지지되게 한 채로 전면패널 고정용 나사를 사용하여 상기 지지돌기(113)에 체결한다. 이로써 상기 전면패널(120)이 매설함(110)에 고정됨과 동시에 상기 메인보드(140)에 설치된 소화기 작동스위치(141), 디스플레이창(142), 온도 설정스위치(143), 전원 스위치(144), 화재감지 표시램프(145), 화재경보 표시램프(146) 및 초기화 스위치(147) 등이 전면패널(120) 등이 전면으로 노출된다.
이후, 상기 보호패널(130)을 상기 매설함(110) 및 전면패널(120)을 덮은 상태로 보호패널용 체결볼트(135)로 고정한다. 이때 상기 보호패널용 체결볼트(135)는 매설함(110)의 걸림편(111A,111B)을 관통하여 수/배전반 정면패널에 체결되어 상기 보호패널(130)을 고정시킨다. 이로써, 본 발명에 의한 컨트롤박스 유닛의 설치가 완료된다.
이같이 설치된 본 발명의 컨트롤박스 유닛은 화재시 화재감지기(16,162,163)로부터 신호를 받아 화재경보기(164) 및 소화기(165)를 자동으로 작동시키게 된다. 아울러 관리자 혹은 사용자가 수/배전반(10) 정면에서 상기 개폐도어(133)를 열고 직접 조작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원격지에 위치한 통신실 PC를 통해서도 원격제어가 가능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등록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수/배전반용 자동소화장치의 컨트롤박스 유닛은, 수/배전반의 정면패널에 별도의 설치공간을 마련할 필요가 없고 화재시 혹은 다른 종류의 비상시 각 수/배전반에 해당하는 컨트롤박스를 식별하기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은 정면패널에 매입된 작은 형태로 설치되기 때문에 그 모양이 미려하다.
또한, 본 발명은 개폐도어를 구비한 보호패널이 설치되어 평상시 작동스위치에 대한 불필요한 접촉으로 인한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RS-485 규격에 의해 원격지 PC에서 중앙집중식으로 여러 대를 모니터링하고 제어할 수 있다.

Claims (10)

  1. 수/배전반용 자동소화장치에서 화재감지기의 화재 감지에 따라 화재경보기 및 소화기를 자동 및 수동으로 작동시킬 수 있도록 이들을 제어하는 컨트롤박스 유닛에 있어서,
    전면이 개방된 용기형태를 갖고, 수/배전반 정면 패널에 매입 설치되는 매설함과;
    상기 매설함 전면에 설치되어 전면 개방부위를 덮는 전면패널과;
    상기 매설함 내부에 장착되고, 화재감지기, 화재경보기 및 전원과 연결되는 연결단자들을 구비하고 상기 화재감지기, 화재경보기 및 소화기를 제어하는 제어기를 구비한 메인보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수/배전반용 자동소화장치의 컨트롤박스 유닛.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매설함 전면 언저리를 따라 부착되되 상기 전면패널을 전방으로 노출시키는 절개부를 구비한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에 여닫이 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되어 상기 지지프레임의 절개부를 개폐하는 투명 재질의 개폐도어로 이루어진 보호패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배전반용 자동소화장치의 컨트롤박스 유닛.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매설함은 내부 후측벽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되 상기 전면패널의 두께 차를 두고 전면 개방부위까지 연장된 복수의 지지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전면패널은 상기 매설함의 전면 개방부위에 부합되게 끼워진 후 상기 지지돌기들에 지지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배전반용 자동소화장치의 컨트롤박스 유닛.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매설함의 전면 상단변과 하단변에서 각각 상측과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매설함의 매입시 수/배전반의 정면 패널에 걸쳐지는 걸림편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배전반용 자동소화장치의 컨트롤박스 유닛.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보드에는 상기 소화기를 작동시키는 소화기 작동스위치, 상기 수/배전반의 내부온도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창, 소화기가 작동하는 온도를 설정하는 온도 설정스위치, 상기 화재감지기의 화재 감지 여부를 표시하는 화재감지 표시램프, 상기 화재경보기의 작동 여부를 표시하는 화재경보 표시램프, 상기 화재감지기 및 화재경보기의 오작동시 이를 초기화시키는 초기화 스위치가 더 설치되고, 이들 모두는 상기 전면패널 전면에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배전반용 자동소화장치의 컨트롤박스 유닛.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보드는 통신용 라인이 연결되는 통신단자를 더 구비하여, 원격지에서도 상기 메인보드를 통해 상기 화재감지기, 화재경보기 및 소화기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배전반용 자동소화장치의 컨트롤박스 유닛.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보드와 원격지간 통신은 RS-485 규격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배전반용 자동소화장치의 컨트롤박스 유닛.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보드는 소화기 작동을 위해 소화기의 봉인을 가열하는 시간을 설정하는 제 1딥스위치군과, 설치된 화재감지기의 종류별 화재감지에 따라 소화기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작동모드를 설정하는 제 2딥스위치군과, 자체 식별번호를 설정하는 제 3딥스위치군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배전반용 자동소화장치의 컨트롤박스 유닛.
  9. 제 8에 있어서,
    상기 메인보드는 수/배전반 내의 실제온도와 측정되는 측정온도 차를 보정하기 위한 제 4딥스위치군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배전반용 자동소화장치의 컨트롤박스 유닛.
  10. 수/배전반용 자동소화장치에서 화재감지기의 화재 감지에 따라 화재경보기 및 소화기를 자동 및 수동으로 작동시킬 수 있도록 이들을 제어하는 컨트롤박스 유닛에 있어서,
    전면이 개방된 용기형태를 갖고 수/배전반 정면 패널에 매입 설치되며, 내부 후측벽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는 지지돌기와, 전면 상단변과 하단변에서 각각 상측과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매입시 수/배전반의 정면 패널에 걸쳐지는 걸림편이 구비된 매설함과;
    상기 매설함 전면 개방부위에 부합되게 끼워진 후 상기 지지돌기들에 지지되어 결합되어 상기 매설함 전면 개방부위를 덮는 전면패널과;
    상기 매설함 전면 언저리를 따라 부착되되 상기 전면패널을 전방으로 노출시키는 절개부를 구비한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에 여닫이 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되어 상기 지지프레임의 절개부를 개폐하는 투명 재질의 개폐도어로 이루어진 보호패널과;
    상기 매설함 내부에 장착되며, 화재감지기, 화재경보기 및 전원과 연결되는 연결단자들을 구비하고, 원격지에서도 제어 가능하도록 통신용 라인이 연결되는 통신단자를 더 구비하며, 상기 화재감지기, 화재경보기 및 소화기를 제어하는 제어기를 구비하며, 상기 소화기를 작동시키는 소화기 작동스위치, 상기 수/배전반의 내부온도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창, 소화기가 작동하는 온도를 설정하는 온도 설정스위치, 상기 화재감지기의 화재 감지 여부를 표시하는 화재감지 표시램프, 상기 화재경보기의 작동 여부를 표시하는 화재경보 표시램프, 상기 화재감지기 및 화재경보기의 오작동시 이를 초기화시키는 초기화 스위치가 상기 전면패널 전면에 노출되도록 설치되며, 소화기 작동을 위해 소화기의 봉인을 가열하는 시간을 설정하는 제 1딥스위치군과, 설치된 화재감지기의 종류별 화재감지에 따라 소화기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작동모드를 설정하는 제 2딥스위치군과, 자체 식별번호를 설정하는 제 3딥스위치군과, 수/배전반 내의 실제온도와 측정되는 측정온도 차를 보정하기 위한 제 4딥스위치군을 구비하는 메인보드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메인보드와 원격지간 통신은 RS-485 규격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배전반용 자동소화장치의 컨트롤박스 유닛.
KR1020050080773A 2005-08-31 2005-08-31 수/배전반용 자동소화장치의 컨트롤박스 유닛 KR1006481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0773A KR100648116B1 (ko) 2005-08-31 2005-08-31 수/배전반용 자동소화장치의 컨트롤박스 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0773A KR100648116B1 (ko) 2005-08-31 2005-08-31 수/배전반용 자동소화장치의 컨트롤박스 유닛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5287U Division KR200401202Y1 (ko) 2005-09-01 2005-09-01 수/배전반용 자동소화장치의 컨트롤박스 유닛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48116B1 true KR100648116B1 (ko) 2006-12-08

Family

ID=377313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0773A KR100648116B1 (ko) 2005-08-31 2005-08-31 수/배전반용 자동소화장치의 컨트롤박스 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8116B1 (ko)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6984B1 (ko) 2007-02-26 2008-03-26 손석환 배전반 화재감시제어기
WO2010083839A1 (en) * 2009-01-22 2010-07-29 Keld Gade Andersen Fire alarm
KR101089240B1 (ko) * 2010-01-26 2011-12-05 태광전기공업 주식회사 자동확산 소화기가 설치된 배전반
KR101159483B1 (ko) 2011-03-24 2012-06-25 이해룡 선박용 전기/통신 네트워크 통합 분배상자
KR101249310B1 (ko) * 2012-11-15 2013-04-02 손석환 배전반 화재감시제어기
KR101293604B1 (ko) * 2011-12-09 2013-08-13 김동현 화재 시 소화기 자동 작동장치
CN103845832A (zh) * 2012-11-30 2014-06-11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灭火装置及其控制方法、电气盒、开关柜和电器设备
KR101538456B1 (ko) * 2014-12-01 2015-07-23 태광전기공업 주식회사 배전반 자동 확산 소화 장치 및 그 운용방법
KR101556948B1 (ko) 2015-04-24 2015-10-05 (주)케이제이종합엔지니어링 공동주택 변전실용 과열방지 및 무인 온도감지설비
CN105356335A (zh) * 2015-11-24 2016-02-24 国家电网公司 一种智能电力控制箱
RU159464U8 (ru) * 2015-07-29 2016-06-27 Закрыт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Группа компаний "Электрощит" - ТМ Самара" Шкаф комплектного распределитель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с видимой меткой выгорания контактов вакуумного выключателя
KR20210058450A (ko) 2019-11-14 2021-05-24 김형준 컨트롤박스용 도어 시건장치
CN113498302A (zh) * 2021-06-22 2021-10-12 深圳市精致网络设备有限公司 一种内外空气循环均匀降温自启动密闭灭火机柜
CN115604955A (zh) * 2022-10-24 2023-01-13 江苏联成开拓集团有限公司(Cn) 一种自动驾驶用控制器
KR20230142295A (ko) 2022-04-01 2023-10-11 주식회사 엠오디텍 배전반 내부 자동소화 장치

Cited B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6984B1 (ko) 2007-02-26 2008-03-26 손석환 배전반 화재감시제어기
WO2010083839A1 (en) * 2009-01-22 2010-07-29 Keld Gade Andersen Fire alarm
KR101089240B1 (ko) * 2010-01-26 2011-12-05 태광전기공업 주식회사 자동확산 소화기가 설치된 배전반
KR101159483B1 (ko) 2011-03-24 2012-06-25 이해룡 선박용 전기/통신 네트워크 통합 분배상자
KR101293604B1 (ko) * 2011-12-09 2013-08-13 김동현 화재 시 소화기 자동 작동장치
KR101249310B1 (ko) * 2012-11-15 2013-04-02 손석환 배전반 화재감시제어기
CN103845832A (zh) * 2012-11-30 2014-06-11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灭火装置及其控制方法、电气盒、开关柜和电器设备
KR101538456B1 (ko) * 2014-12-01 2015-07-23 태광전기공업 주식회사 배전반 자동 확산 소화 장치 및 그 운용방법
KR101556948B1 (ko) 2015-04-24 2015-10-05 (주)케이제이종합엔지니어링 공동주택 변전실용 과열방지 및 무인 온도감지설비
RU159464U8 (ru) * 2015-07-29 2016-06-27 Закрыт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Группа компаний "Электрощит" - ТМ Самара" Шкаф комплектного распределитель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с видимой меткой выгорания контактов вакуумного выключателя
CN105356335A (zh) * 2015-11-24 2016-02-24 国家电网公司 一种智能电力控制箱
KR20210058450A (ko) 2019-11-14 2021-05-24 김형준 컨트롤박스용 도어 시건장치
CN113498302A (zh) * 2021-06-22 2021-10-12 深圳市精致网络设备有限公司 一种内外空气循环均匀降温自启动密闭灭火机柜
CN113498302B (zh) * 2021-06-22 2024-04-09 深圳市精致网络设备有限公司 一种内外空气循环均匀降温自启动密闭灭火机柜
KR20230142295A (ko) 2022-04-01 2023-10-11 주식회사 엠오디텍 배전반 내부 자동소화 장치
CN115604955A (zh) * 2022-10-24 2023-01-13 江苏联成开拓集团有限公司(Cn) 一种自动驾驶用控制器
CN115604955B (zh) * 2022-10-24 2023-12-22 江苏联成开拓集团有限公司 一种自动驾驶用控制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48116B1 (ko) 수/배전반용 자동소화장치의 컨트롤박스 유닛
KR101064867B1 (ko) 안전관리 및 인공지능형 음성경보장치와 2차원 온도센싱 장치를 구비하는 수.배전반 및 mcc,분전반
AU741673B2 (en) Switch cabinet with a fire extinguishing system
EP1750810B1 (en) Device and method for protecting an object against fire
KR101170083B1 (ko) 분배전반 자동 소화 장치
JP5087560B2 (ja) 収納ラック管理システム及び方法
KR102169181B1 (ko) 공동주택 소방관리 시스템
KR200401202Y1 (ko) 수/배전반용 자동소화장치의 컨트롤박스 유닛
US20110291843A1 (en) Fire alarm
JP5027642B2 (ja) 照明制御システム
CN108493807A (zh) 一种具有防火警报功能的远程监控配电柜
KR102026969B1 (ko) 자동으로 작동되는 소화기
KR20090056822A (ko) 통합형 자동 방화셔터 장치
CA2283179A1 (en) Switch cabinet with a fire extinguishing system
KR200399329Y1 (ko) 수·배전반 자동 소화장치
US20100138054A1 (en) Microprocessor based jockey pump controller
US20100201529A1 (en) Method of facilitating access to operator functions of hazardous condition alarm
KR102436651B1 (ko) 전기 화재 초기 소화 기능과 절연상태 감시가 가능한 배전반(고압반, 저압반, 전동기제어반, 분전반)
KR102439182B1 (ko) 전기화재 초기 소화장치가 구비된 배전반(고압반, 저압반, 전동기제어반, 분전반)
KR101538456B1 (ko) 배전반 자동 확산 소화 장치 및 그 운용방법
KR100261632B1 (ko) 자동소화장치
CN219739611U (zh) 一种配电箱防火装置
KR20150038890A (ko) Mcc내의 외기 도입 장치
KR102624477B1 (ko) 자체 화재 소화기능을 갖춘 제어함
CN220754044U (zh) 一种分布式io电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