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56822A - 통합형 자동 방화셔터 장치 - Google Patents

통합형 자동 방화셔터 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56822A
KR20090056822A KR1020080111605A KR20080111605A KR20090056822A KR 20090056822 A KR20090056822 A KR 20090056822A KR 1020080111605 A KR1020080111605 A KR 1020080111605A KR 20080111605 A KR20080111605 A KR 20080111605A KR 20090056822 A KR20090056822 A KR 200900568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integrated
fire
microcomputer
shut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16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재웅
강우정
Original Assignee
박재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재웅 filed Critical 박재웅
Publication of KR200900568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682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62C2/10Fire-proof curtai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36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6Fireproof doors or similar closures; Adaptations of fixed constructio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8Roll-type closur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Abstract

통합형 자동방화셔터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장치는 제연 및 방화 구역에 설치되고 열린 상태에서는 실내 천정인근에 모터에 의해 감겨진 상태로 대기하고 화재 발생시 자중에 의해 자중 강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화 셔터와, 각 방화셔터의 모터 인근에 각각 설치되고, 대응하는 방화셔터의 상승 또는 하강을 구동하고 연감지시에는 제동을 풀어서 방화셔터를 자중 강하시키되 자중 강하에 의한 모터 회전축의 회전수를 카운트하여 제연위치에서 자중 강하를 제동하고 정지시키고 , 열감지시에는 방화셔터를 완전폐쇄위치까지 자중 강하시켜서 화염이 전파되는 것을 차단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합형 전동개폐기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동제어기들과 무극성 2선 케이블로 공통 연결되어 양방향으로 서로 교신하고, 연감지기와 열감지기에 응답하여 연결된 모든 방화셔터들을 제연위치와 완전폐쇄위치로 제어하는 통합형 연동제어기를 포함한다. 따라서 배선수 및 부품수를 대폭 줄일 수 있으므로 시공이 간편하고 비용을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통합형 자동 방화셔터 장치{Unification type Automatic Fireproofing Shutter }
본 발명은 통합형 자동 방화셔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특히 빌딩 등의 건물 화재시 연기나 불꽃이 번지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2단 강하형 통합형 자동방화셔터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은 특허출원 제2007-123931호(통합형 방화셔터 시스템)를 원출원으로 하는 우선권 주장 출원이다.
일반적으로 백화점, 호텔, 금융기관, 상가 등 사람의 출입이 많은 건물이나 지하철역 구내 등에 설치되는 방범 및 방화용셔터(이하, 간단히 "셔터"라고도 한다)는 화재시에 폐쇄되어 화재가 일어난 구역을 봉쇄함으로써 화염이나 유독 가스가 다른 구역으로 전이되는 것을 방지하는데 사용된다.
그러나 화재가 감지된 즉시 셔터를 완전 폐쇄시키는 경우에는 화재 구역에 위치한 사람이 대피할 수 있는 시간적인 여유가 확보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반면에 전술한 대피 시간이 경과한 후에야 비로소 셔터를 폐쇄시키는 경우에는 이 시간 동안 화염이나 유독 가스가 다른 구역으로 전이되어 다른 구역에 있는 사 람이나 물건이 손상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러므로 최근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종합적으로 감안하여 화재가 발생한 즉시, 구체적으로 연감지기가 작동한 즉시 셔터를 천정으로부터 60 내지 80cm 하강시켜서 연기가 천정을 타고 확산되는 것을 차단시킨다. 즉 1차로 연기만 차단시키고 통행은 가능하도록 하여 화재 구역에 있는 사람들이 대피할 수 있도록 하고 2차로 열감지기가 작동한 즉시 방화셔터를 2차 하강시켜서 완전 폐쇄시켜서 화염을 차단시킨다.
도 1은 종래의 방화셔터 시스템으로 하나의 연동제어기(5)에 복수의 전동개폐기들(1)이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다. 복수의 전동개폐기들(1a, 2a, 3a), 복수의 폐쇄기(2a, 2b, 2c), 복수의 전동개폐기 조작기(4a, 4b, 4c) 등이 하나의 연동제어기(5)에 의해 제어된다. 각 전동개폐기들(1a, 2a, 3a)은 수동조작을 위하여 각각 전동개폐기 조작기(4a, 4b, 4c)이 연결된다. 도 2는 도1의 전동개폐기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다. 전동개폐기(1)는 제동브레이크(6), 모터(7), 상하한 리미트 스위치(8)를 포함한다. 폐쇄기(2)는 상하한 리미트 스위치(8)와 부분폐쇄 위치센서(9)로부터 감지신호를 받아서 제동브레이크(6)를 제어한다.
이와 같은 종래의 방화셔터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들이 있었다.
통상적으로 연동제어기(5)는 작업자의 눈높이 위치에 설치되나 전동개폐기와 폐쇄기는 시설물 내부의 천정에 설치된다. 그리고 연동제어기(5)의 화재감지신호에 응답하여 폐쇄기(2)가 작동하고 부분폐쇄위치센서(9) 또는 상하한 리미트 스위치(8)에 응답하여 폐쇄기(2)의 작동이 복귀되는 구조이므로 종래의 시스템은 연동 제어기(5)를 통해서만 세팅이 가능하므로 시공시 한명은 사다리를 놓고 천정의 전동개폐기에 위치하고 다른 한명은 연동제어기를 조작하여야 하므로 2명 이상의 작업자가 필요하므로 설치가 불편하고 설치시간이 오래 걸리며 비용 상승의 원인이 되었다. 마찬가지로 점검이나 유지 보수시에도 2명 이상의 작업자가 요구되므로 유지보수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연동제어기(5)에서 모터구동신호, 제동브레이크 구동신호, 폐쇄기 제어신호 등을 제공하여야 하기 때문에 배선수가 많이 소요되므로 설치가 복잡하고 비용을 상승시키는 원인으로 제공되고 있다.
또한 부분폐쇄위치센서(9)를 방화셔터(3)가 떨어지는 경로 상의 부분폐쇄위치에 설치하기 때문에 별도의 배선이 필요하고 센서를 부착시키는 작업이 요구된다. 이러한 구조는 배선단락이나 접점불량 등의 발생우려가 증가되므로 부분폐쇄위치센서(9)가 오동작될 경우에는 부분 폐쇄 없이 곧바로 완전 폐쇄될 우려가 있다.
또한 수동조작을 위한 전동 개폐기 조작기(4)는 모터(7)를 직접 정역 회전시켜서 방화셔터의 승하강을 구동하는 방식이므로 고전압의 교류가 조작기에 인가되므로 누전이나 감전 등의 위험이 존재하고 정전시에는 전동개폐기를 동작시킬 수 없었다.
화재발생시 화재의 확산을 방지하며 화재로부터 고귀한 인명을 구하고 재산을 보호하기 위한 방화셔터시스템에서 시스템은 보다 효율적이고 간편해야 할 것이며 하자 발생시에 즉각적인 보수가 가능해야 할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방식에서는 복잡한 시스템의 구조와 기기 간의 배선으로 인하 여 문제의 원인을 파악하고 대처하는데 필요 이상의 시간이 소요됨으로서 상기의 요구에 부합하지 못해 온 것도 사실이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설치 및 유지보수가 간편하여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통합형 자동방화셔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연동제어기와 복수의 전동개폐기들 사이의 배선을 대폭적으로 줄임으로서 오동작이나 고장발생비율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는 통합형 자동방화셔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부분폐쇄위치센서를 제거하여 오동작이나 고장발생비율을 줄이고 소프트웨어적으로 부분폐쇄위치를 정확하고 간편하게 설정할 수 있는 통합형 자동방화셔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저전압을 사용하는 제어회로부와 고전압 및 교류를 사용하는 구동회로부 사이를 전기적으로 아이솔레이션시켜서 전기적 충격으로부터 보호함으로써 고장발생비율을 줄여 신뢰도를 높일 수 있는 통합형 자동방화셔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연동제어기와 독립적으로 전동개폐기에서 화재발생점검이 가능한 통합형 자동방화셔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시각적으로 동작상태 및 이상상태를 표시할 수 있는 통합형 전동개폐기를 가진 통합형 자동방화셔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시공 및 점검을 편리하게 하기 위하여 원격 리모콘 제어가 가능한 통합형 전동개폐기를 가진 통합형 자동방화셔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누전 및 감전사고를 방지하기 저전압 직류방식으로 스위치신호를 발생하는 개별 조작 스위치를 가진 통합형 자동방화셔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개별조작 스위치를 사용하여 연동제어기와 독립적으로 전동개폐기에서 화재발생점검이 가능한 통합형 자동방화셔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교류전압의 변동에 관계없이 제동브레이크를 효율적으로 구동시킬 수 있는 통합형 자동방화셔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정전 대비 연동제어기와 독립적으로 비상전원을 구비한 전동개폐기를 가진 통합형 자동방화셔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3상 교류의 위상에 관계없이 모터의 정역회전 설정이 간편한 전동개폐기를 가진 통합형 자동방화셔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복수의 전동개폐기들을 간평하고 체계적으로 설정할 수 있는 통합형 연동제어기를 가진 통합형 자동방화셔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기존 방화셔터 시스템을 통합형 방화셔터장치로 간편하게 리모델링이 가능한 통합형 자동방화셔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통합형 자동방화셔터장치는 제연 및 방화 구역에 설치되고 열린 상태에서는 실내 천정인근에 모터에 의해 감겨진 상태로 대기하고 화재 발생시 자중에 의해 자중 강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화 셔터와, 각 방화셔터의 모터 인근에 각각 설치되고, 대응하는 방화셔터의 상승 또는 하강을 구동하고 연감지시에는 제동을 풀어서 방화셔터를 자중 강하시키되 자중 강하에 의한 모터 회전축의 회전수를 카운트하여 제연위치에서 자중 강하를 제동하고 정지시키고 , 열감지시에는 방화셔터를 완전폐쇄위치까지 자중 강하시켜서 화염이 전파되는 것을 차단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합형 전동개폐기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동제어기들과 무극성 2선 케이블로 공통 연결되어 양방향으로 서로 교신하고, 연감지기와 열감지기에 응답하여 연결된 모든 방화셔터들을 제연위치와 완전폐쇄위치로 제어하는 통합형 연동제어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통합형 전동개폐기는 방화셔터를 열고 닫기 위한 회전력을 발생하는 모터와, 모터의 회전수를 검출하여 펄스신호를 생성하는 엔코더와, 모터의 회전력을 제동하기 위한 제동 브레이크와, 열기 키, 닫기 키, 상한 키, 부분폐쇄위치 키 및 하한 키를 가진 조작패널과, 열기 키를 조작하여 상기 방화셔터가 완전 열림상태의 상사점 위치에 있을 때 상한 키를 눌러서 현재 입력되는 엔코더의 펄스신호 카운트 값을 상한 값으로 인식하고, 닫기 키를 조작하여 방화셔터가 부분폐쇄위치에 있을 때 부분폐쇄위치 키를 눌러서 현재 입력되는 엔코더의 펄스신호 카운트 값을 부분폐쇄위치 값으로 인식하고, 닫기 키를 조작하여 방화셔터가 완전폐쇄위치에 있을 때 부분폐쇄위치 키를 눌러서 현재 입력되는 엔코더의 펄스신호 카운트 값을 부분폐쇄위치 값으로 인식하고, 연감지시 제동브레이크를 풀어서 방 화셔터가 하강하는 것을 엔코더로 감시하여 현재 입력되는 엔코더의 펄스 카운트 값이 인식된 부분폐쇄위치에 도달하면 제동브레이크로 방화셔터의 하강을 제동시켜서 정지시키는 마이크로컴퓨터를 포함한다.
통합형 전동개폐기는 조작패널에 정역 키를 더 구비하고 마이크로컴퓨터는 열기 키 또는 닫기 키를 사용하여 모터를 회전시켰을 경우 키입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면 정역 키를 사용하여 모터에 인가되는 교류의 입력위상을 모터가 키 입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스위칭 제어한다. 이는 모터에 교류 연결을 용이하게 하여 작업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통합형 전동개폐기의 마이크로컴퓨터는 모터의 구동력에 비례하여 제동브레이크의 구동력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제동브레이크에 인가되는 제어신호의 펄스폭을 제어한다. 이는 인가되는 모터 구동력에 적응적으로 제동력을 발휘할 수 있으므로 시스템의 고장발생을 억제하고 부품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또한 통합형 전동개폐기는 정전 대비 비상용 배터리를 포함하고 정전 발생 중에 화재가 감지되면 비상용 배터리로부터 제공되는 직류로 제동 브레이크를 구동하여 방화셔터의 폐쇄동작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한다.
통합형 전동개폐기는 개별조작 스위치 패널을 더 포함하고 마이크로컴퓨터는 개별조작 스위치 패널의 스위치 조작에 의해 상기 방화셔터의 상한 값, 하한 값 및 부분폐쇄위치 값 등을 설정할 수도 있다. 이는 설치 작업시 작업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통합형 전동개폐기는 연동제어기와 무극성 2선 케이블로 연결하기 위하여 통신회로를 포함하고 통신회로는 무극성 2선 케이블이 입력단에 연결되는 브리지회로와, 브리지 회로의 하이레벨 출력단자와 로우레벨 출력단자 사이에 출력측이 연결되고 입력측이 마이크로컴퓨터의 송신출력단자에 연결된 송신용 포토커플러와, 브리지 회로의 하이레벨 출력단자와 로우레벨 출력단자 사이에 입력측이 연결되고 마이크로컴퓨터의 수신입력단자에 연결된 수신용 포토커플러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광 아이솔레이터 구조는 마이크로컴퓨터를 외부의 전기적 충격으로부터 보호한다.
또한, 통합형 전동개폐기는 조작패널에 세븐세그먼트 표시기를 더 구비하고 마이크로컴퓨터는 모터과열상태, 상한 및 하한 미설정 상태 또는 엔코더 고장상태 등을 감지할 때 세븐세그먼트 표시기에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시스템의 이상상황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으므로 점검 및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한다.
통합형 전동개폐기는 조작패널에 상한 값 설정 표시용 발광 다이오드, 하한 값 설정 표시용 발광 다이오드 및 부분폐쇄위치 값 표시용 발광 다이오드들을 더 구비하고 마이크로컴퓨터는 상기 상한 값, 부분폐쇄위치 값, 하한값들이 설정될 때 상기 대응하는 발광다이오드를 점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설정여부를 시각적으로 표시함으로써 설정시 오동작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통합형 연동제어기는 제연 및 방화 구역의 연기 발생을 감지하기 위한 연감지기와, 제연 및 방화 구역의 화염 발생을 감지하기 위한 열감지기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합형 전동개폐기들과 2극성 2선 케이블로 공통 연결하기 위한 통신회로와, 기동키 및 복귀키를 가진 조작패널과, 연감지기로부터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연결된 모든 전동개폐기들에 방화셔터를 부분폐쇄위치인 제연위치까지 부 분 폐쇄시키라는 명령을 무극성 2선 케이블을 통해 하달하고, 열감지기로부터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연결된 모든 전동개폐기들에 방화셔터를 완전 폐쇄시키라는 명령을 무극성 2선 케이블을 통해 하달하고, 기동키 1회 입력시에는 연감지와 동일한 명령을 하달하고, 2회 입력시에는 열감지와 동일한 명령을 하달하는 마이크로컴퓨터를 포함한다.
통합형 연동제어기는 조작패널에 선택키, 열기 키, 닫기 키, 상한 키, 부분폐쇄위치 키 및 하한 키를 더 구비하고, 마이크로컴퓨터는 선택키를 사용하여 통합형 전동개폐기들 중 하나를 선택하고 선택된 통합형 전동개폐기의 상한 값, 부분폐쇄위치 값 및 하한 값을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통합형 연동제어기는 조작패널에 세븐세그먼트 표시기를 더 구비하고, 마이크로컴퓨터는 선택키를 사용하여 통합형 전동개폐기들이 선택되면 선택된 통합형 전동개폐기의 번호를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통합형 연동제어기는 조작패널에 상한 값 설정 표시용 발광 다이오드, 하한 값 설정 표시용 발광 다이오드 및 부분폐쇄위치 값 표시용 발광 다이오드들을 더 구비하고, 마이크로컴퓨터는 상한 값, 부분폐쇄위치 값, 하한값들이 설정될 때 대응하는 발광다이오드를 점등시킨다.
또한 통합형 연동제어기는 조작패널에 정역 키를 더 구비하고, 마이크로컴퓨터는 열기 키 또는 닫기 키를 사용하여 선택된 통합형 전동개폐기의 모터를 회전시켰을 경우 키입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정역 키를 사용하여 모터에 인가되는 교류의 입력위상을 모터가 키 입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회전방향전 환명령을 하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통합형 연동제어기의 통신회로는 마이크로컴퓨터의 송신출력단자가 베이스에 연결되고 콜렉터에 동작전압이 인가되고, 에미터에 상기 무극성 2선 케이블의 한 라인이 연결된 제1트랜지스터; 및 무극성 2선 케이블의 다른 한 라인이 베이스에 연결되고 콜렉터에 마이크로컴퓨터의 수신입력단자가 연결된 에미터 접지 제2트랜지스터를 포함한다.
통합형 연동제어기는 중계기를 통하여 방재센터로부터 하달된 연감지신호 및 열감지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원격기동 입력회로와, 연감지신호와 열감지신호에 의한 방화셔터 부분폐쇄위치 하강 및 완전폐쇄위치 하강상태를 알리는 기동확인신호를 상기 중계기를 통하여 상기 방재센터로 출력하는 기동확인 출력회로를 포함한다.
여기서 원격기동 입력회로는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전기적 충격으로부터 내부 회로를 보호하기 위하여 광 아이솔레이터를 통하여 마이크로컴퓨터와 결합되고 기동확인 출력회로는 기동확인 출력신호를 릴레이 접점신호로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방화셔터시스템을 구성함에 있어서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각의 장치들을 그 기능과 특성에 따라 서로 통합하여 시스템의 구조와 배선을 대폭적으로 단순화시킴으로서 시스템의 제조와 설치비용이 경감되도록 한다.
또한 화재발생시 화재감지신호와 평상시 방화셔터의 조작신호를 직류전원(보 조전원)에 혼합하여 통합형 연동제어기로부터 무극성 2선의 단일선로를 통하여 통합형 전동개폐기로 전송 또는 공급되게 함으로서 배선의 간결성을 확보하는 동시에 시스템 설치시 오배선으로 인한 안전사고의 위험을 줄일 수 있다.
특히 통합형 전동개폐기와 통합형 연동제어기에 표시부를 채용하여 시스템관리자로 하여금 시스템의 전반적인 상태를 시각적으로 보다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여 시스템의 운용과 유지보수의 편리성을 증대시킨다.
그리고 본 발명의 통합형방화셔터시스템은 종래의 전동모터 메커니즘을 그대로 수용하면서 2단 강하형 방화셔터시스템을 완벽하게 구현함으로써 전동모터 메커니즘의 중복 개발을 피하게 하는 한편 자원의 재사용성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통합형 방화셔터 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하기의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한 다른 형태로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통합형 자동 방화셔터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3을 참조하면, 통합형 자동 방화셔터 장치는 연동제어기(100)가 다수의 방화셔터 전동개폐기들(200)과 무극성 2선 케이블(CA1)을 통해 공통 연결되고 연감지기(300), 열감지기(400)가 케이블(CA2)을 통해 각각 연결된다. 그리고 케이블(CA3)을 통해 중계기(500)에 연결되고 중계기(500)는 방재센터(600)에 케이 블(CA5)을 통해 연결된다. 또한 연동제어기(100)는 전원케이블(CA6)을 통하여 상용교류를 공급받는다.
그러므로 하나의 연동제어기(100)는 무극성 2선 케이블(시리얼 통신 케이블)(CA1)을 통하여 4개의 전동개폐기들(200)과 공통으로 연결되어 통상의 시리얼 통신방식으로 데이터를 교신한다.
또한 연동제어기(100)는 중계기(500)를 통하여 방재센터(600)와 연결되어 화재점검시 방재센터로부터 연감지 점검신호 및 열감지 점검신호를 받아서 전동개폐기를 구동시켜서 시스템의 정상상태여부를 점검할 수 있다. 통상시에는 연감지기(300) 및 열감지기(400)의 감지상태를 중계기(500)를 통하여 방재센터에 제공하고 화재발생시에는 연감지신호 및 열감지신호를 방재센터(600)에 제공하여 화재발생을 알린다.
기존 방화셔터 시스템에서 중계기와 방재센터의 연결이 필요한 경우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연동 제어기(100)를 중계기(500)에 연결하여 사용이 가능하며 중계기가 필요없는 방재센터의 경우에는 중계기(500)를 제거하고 직접 연동제어기(100)를 방재센터(600)와 연결할 수 있다. 교신거리는 대략 2km 이내까지 가능하다. 중계기를 제거할 경우 중계기 연결을 위한 배선수를 대폭적으로 줄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설치되는 현장의 방재센터의 성능에 따라 시공자가 적절하게 시공할 수 있다.
1. 통합형 연동제어기의 구성
본 발명의 통합형 연동제어기(100)는 복수의 전동 개폐기들(200)들을 동시에 제어하고 각 전동개폐기들(200)의 상한, 하한 부분 폐쇄 위치 등의 설정과 점검이 가능하며 기존 중계기를 통한 방재센터의 연결이 가능하고 새로이 중계기 기능까지 통합하여 중계기 없이도 방재센터와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연동제어기(100)의 박스 도어를 오픈한 상태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연동제어기(100)는 박스(110) 내부에 배터리(120), 케이블 연결기판(130), 제어기판(140)이 장착된다. 박스(110)의 전면에는 도어(112)가 설치되고 도어(112)에는 도어가 닫친 상태에서 제어기판(140) 상에 설치된 기동 버튼과 상태 표시램프들이 외부에서 조작하거나 볼 수 있도록 통공들이 형성되어 있다.
배터리(120)는 박스면과 기판들 사이에 마련된 공간부에 장착되어 기판에 가려져서 전면에서 보이지 않게 장착된다. 케이블 연결기판(130) 및 제어기판(140)은 각각 박스 내부에 나사결합으로 고정된다. 케이블 연결기판(130)에는 다수의 케이블들이 케이블 커넥터에 각각 나사결합으로 연결된다. 여기서 케이블들은 배터리 케이블 2선, 상용교류 케이블 2선, 연감지기 및 열감지기 연결용 케이블 3선(연감지신호선, 열감지 신호선, 공통선), 중계기 직류전원선 2선, 전동개폐기 연결용 무극성 케이블 2선, 방재센터 기동용 케이블 3선(연감지 명령제어선, 열감지 명령제어선, 공통선), 무전압 출력 케이블 3선(연감지 출력선, 열감지 출력선, 공통선) 등 총 17개선들을 포함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분리형 케이블 연결기판(130) 및 제어기판(140)의 분 리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5를 참조하면, 케이블 연결기판(130) 및 제어기판(140)은 소켓과 멀티 핀 커넥터 결합에 의해 분리 또는 결합되는 구조를 가진다.
케이블 연결 기판(130)은 제1회로기판(132) 상측 에지에 일렬로 다수의 케이블들이 각각 연결되는 다수의 케이블 커넥터들(134)을 설치시키고 하측 에지에 신호용 소켓(136)과 전원용 소켓(137)을 설치시킨다. 그리고 케이블 커넥터들(134)와 소켓들(136, 137) 사이에 전원 스위치(138, 139)를 설치한다. 전원 스위치(138)는 배터리용 전원 스위치이고 전원 스위치(139)는 상용교류용 전원 스위치이다. 케이블 연결기판(130)은 양측에 나사결합 통공(131)이 각각 형성되어 박스(110)에 나사결합으로 고정된다.
케이블 연결기판(130)에 전원 스위치(138, 139)를 설치함으로서 제어기판(140)을 케이블 연결기판(130)으로부터 분리시에 미리 전원 스위치(138, 139)를 오프상태로 하여 전원 연결을 차단한 상태에 기판들을 서로 분리시키기 위한 것이다. 그러므로 소켓과 멀티 핀 커넥터를 분리하거나 결합할 경우에 발생될 수 있는 서지 전압 등과 같은 전기적 충격으로부터 제어기판에 장착된 전자부품들을 보호할 수 있다. 제1회로기판(132)의 케이블 커넥터들의 하단에는 각 커넥터의 연결 케이블의 명칭(133)을 표시함으로서 시공시 케이블 연결의 오류를 방지하고 비전문가일지라도 케이블 연결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
제어기판(140)은 제2회로기판(142)과 제3회로기판(144)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3회로기판은 표시기판 또는 인터페이스 기판 등으로 표시될 수 있다.
제2회로기판(142)에는 멀티 핀 커넥터들(142a, 142b)과 전원회로부(142c), 제어회로부(142d), 수직 멀티 핀 커넥터(142e)를 포함한다. 제2회로기판(142)은 4모서리에 나사결합 통공(142f)이 각각 형성되어 박스(110)에 나사결합으로 고정된다.
멀티 핀 커넥터(142a)는 2열 7핀 구조로 신호용 소켓(136)에 끼워져 결합된다. 멀티 핀 커넥터(142b)는 2열 5핀 구조로 전원용 소켓(136)에 끼워져 결합된다. 전원회로부(142c)는 멀티 핀 커넥터(142b)를 통해 공급된 전기에너지로부터 동작전원전압을 발생하고 배터리 충전 및 방전패스를 구성한다. 제어회로부(142d)는 전원회로부(142c)로부터 동작전원전압을 공급받고, 멀티 핀 커넥터(142a)를 통해 연결된 외부 피제어기기들, 즉 연감지기, 열감지기, 중계기 및 전동개폐기들을 제어한다. 수직 멀티 핀 커넥터(142e)는 제2회로기판(142)과 제3회로기판(144)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제3회로기판(144)을 나타낸다.
도 6을 참조하면 제3회로기판(144)은 제2회로기판(142) 상부에 일정 간격으로 오버랩되게 설치되고 수직 멀티 핀 커넥터(142e)와 결합되는 소켓이 기판 배면에 설치되어 제2회로기판(142)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3회로기판(144)은 조작패널(144a), 표시램프들(144b), 기동키(144c), 스피커(144d)를 포함한다. 제3회로기판(144)은 양측에 나사결합 통공(144e)이 형성되어 박스(110)에 나사결합으로 고정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제어기판에 케이블들이 직접 연결되지 않기 때 문에 기판의 네모서리를 고정하는 4개의 나사만을 풀면 제어기판이 쉽게 분리되므로 고장시 교체를 신속하게 할 수 있다. 특히 종래 방식과 달리 케이블을 분리하지 않고 제어기판만을 분리할 수 있으므로 전문 엔지니어가 현장에 출동하지 않더라도 일반 관리자가 예비 제어기판으로 손쉽게 교체할 수 있으므로 유지보수가 용이하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통합형 연동제어기(100)의 회로 구성도를 나타낸다.
연동제어기(100)의 회로구성은 크게 제어 회로부(142d) 및 전원 회로부(142c)를 구비한다.
제어 회로부(142d)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마이크로컴퓨터(MCU1)와, 메모리(EEPROM1), 통신회로(SC1C), 원격기동 입력회로(MIC), 기동확인 출력회로(MOC), 화재감지 입력회로(FSC)를 포함한다.
메모리(EEPROM1)는 불휘발성 반도체 메모리로 복수의 전동개폐기들(200)의 번호와 대응하는 상하한 리미트 값 및 부분폐쇄 위치 값 등을 저장한다.
통신회로(SCC1)는 마이크로컴퓨터(MCU)로부터 출력되는 송신용 데이터(TX)에 응답하여 케이블(CA1)의 일측 라인을 구동하여 송신데이터를 출력하고 케이블(CA1)의 타측 라인을 통하여 제공되는 수신데이터에 응답하여 수신용 데이터(RX)를 마이크로컴퓨터(MCU)에 입력시킨다.
원격기동 입력회로(MIC)는 중계기(500)를 통해 제공된 방재센터의 화재점검신호(SIS, FIS, ICS)를 받아서 연감지 입력신호(SI)와 열감지 입력신호(FI)를 마이크로컴퓨터(MCU)에 입력시킨다. 원격기동 입력회로(MIC)는 마이크로컴퓨터(MCU)의 입력측은 광 아이솔레이터(포터 커플러방식)(PC1,PC2)로 결합된다.
기동확인 출력회로(MOC)는 마이크로컴퓨터(MCU)로부터 연감지 출력신호(SO)와 열감지 출력신호(FO)로 릴레이 접점들(RY1, RY2) 각각 스위칭시켜서 중계기(500)에 기동확인 출력신호(SOS, FOS, OCS)를 제공한다.
원격기동 입력회로(MIC)와 기동확인 출력회로(MOC)는 광 아이솔레이터 및 릴레이 접점 제어방식으로 마이크로컴퓨터와 중계기를 연결함으로써 사용 전압 레벨차이로 인한 전기적 충격으로부터 마이크로컴퓨터(MCU)를 보호한다. 통상적으로 마이크로 컴퓨터(MCU)는 DC5V 이하의 저전압을 사용하지만 중계기(500)는 DC24V 내지 35V의 고전압을 사용한다.
화재감지 입력회로(FSC)는 마이크로 컴퓨터(MCU)로부터 제공되는 센서 온신호(SC)를 연감지기(300) 및 연감지기(400)의 공통 신호선으로 사용하고, 연감지기(300) 및 연감지기(400)로부터 제공된 연감지신호(SS) 및 열감지신호(FS)를 마이크로컴퓨터(MCU)에 센서감지신호로 입력시킨다. 화재감지 입력회로(FSC)는 DC24V 의 연감지신호(SS) 및 열감지신호(FS)를 DC 5V 레벨로 레벨 쉬프팅시켜서 마이크로컴퓨터(MCU)에 제공한다.
전원 회로부(142c)는 상용교류를 교류전원스위치(139)를 통해 입력받아 브리지 정류회로(REF)에서 전류하여 평활된 직류를 얻고 얻어진 직류를 스위칭 모드 전원장치(SMPS)를 거쳐서 안정된 직류전압(+P)을 생성한다.
생성된 직류전압(+P)은 SMPS 검출회로(VS1)를 통해 SMPS 온신호(PV)로 검출되고 검출된 신호(PV)는 마이크로컴퓨터(MCU)에 입력된다.
또한, 직류전압(+P)은 다이오드(D2)를 통해 DC24V의 구동전압(+VP)으로 출력된다. 커패시터(C1)는 고주파 전원 노이즈를 바이패스 시키기 위한 것이다. 또한, 직류전압(+P)은 다이오드(D1) 및 저항(R1)을 통해 배터리(120)에 제공되어 배터리(120)를 충전시킨다. 배터리(120)와 저항(R1) 사이에는 배터리 전원스위치(138)가 연결된다. 배터리 출력전압(+B)은 다이오드(D3)를 통하여 DC24V의 구동전압(+VP)으로 출력된다. 그러므로 구동전압(+VP)은 통상시에는 교류전압에 의해 제공되고 정전시에는 배터리(120)의 출력전압(+B)으로 제공된다. 레귤레이터(REG)는 구동전압(+VP)를 입력하여 마이크로컴퓨터(MCU1)의 동작전압(+VCC)을 생성한다.
또한 연동제어기(100)는 조작패널(144a), 표시램프들(144b), 기동키(144c), 스피커(144d) 등을 포함한다.
조작패널(144a)에는 선택 키, 정역 키, 복귀 키, 상한 키, 부분 폐쇄 위치키, 하한 키, 열기 키, 닫기 키, 설정 키 등의 키패드들을 포함한다. 선택키는 복수의 전동개폐기를 선택할 때 사용한다. 정역키는 전동모터의 정역회전을 선택할 때 사용한다. 열기키를 눌렀을 때 방화셔터가 열리면 전동모터의 정역회전이 정상이지만 열리지 않고 닫치면 정역키를 눌러서 모터의 회전방향을 바꾸고 나서 다시 열기키를 눌러서 방화셔터가 열리는 방향으로 회전방향을 선택한다. 복귀키는 방화셔터의 기동 동작 후에 방화셔터들을 원래 위치로 복귀시킬 때 사용한다. 상한 키, 부분 폐쇄 위치키, 하한 키, 설정 키들은 방화셔터의 상한 리미트, 부분폐쇄위치, 하한 리미트 등을 설정하기 위한 키들이다. 상하한 리미트 및 부분폐쇄위치 설정의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한다.
또한 조작패널(144a)에는 전동개폐기 번호를 표시하는 세븐 세그먼트 표시기(SEG1), 방화셔터 리미트 위치를 표시하는 표시램프(LED1~LED3) 등을 포함한다. 세븐 세그먼트 표시기(SEG1)는 연동제어기(100)에 복수의 전동개폐기(200)들이 연결될 경우에는 각 전동개폐기(200)들의 번호를 표시한다. 그러므로 개발 및 시공시에 작업자가 현재 연결 작동 중인 전동개폐기의 번호를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으므로 점검이나 테스트 등의 작업을 편리하게 한다.
표시램프들(144b)은 전원표시램프(LED4), 배터리 표시램프(LED5), 연감지 표시램프(LED6), 열감지 표시램프(LED7) 등을 포함하고 전원이상, 배터리 이상, 연감지기 이상, 열감지기 등의 정상상태 또는 이상상태를 표시한다.
조작패널(114a, 114b)에는 마이크로컴퓨터(MCU1)로부터 표시제어신호(DIS)를 제공받고 키 스캔신호(KEY)를 마이크로컴퓨터(MCU1)로 제공한다.
기동 스위치(144c)는 연동 제어기(100)에 공통 연결된 모든 방화셔터들을 동시에 자중 강하방식으로 하강시키는 명령스위치로 1회 누르면 연감지와 동일하게 1단 위치(부분 폐쇄 위치)로 하강하고 1회 더 누르면 열감지와 동일하게 완전 폐쇄위치(하한 위치)로 하강시키는 명령신호를 발생한다. 기동 스위치(144c)는 설치시 작동 테스트나 점검 및 유비 보수시 방화셔터의 동작여부를 테스트할 때 사용한다. 기동 후에는 조작패널의 복귀키를 사용하여 원래 위치로 복귀시킨다.
스피커(144d)는 경보음 발생 스피커로 화재감지시 화재경고음을 발생한다.
2. 통합형 전동개폐기의 구성
본 발명의 통합형 전동개폐기(200)는 기존의 솔레노이드 방식의 기구식 폐쇄 기와 기계식 또는 센서방식의 상한 및 하한 리미트 스위치와 부분 폐쇄 위치 센서 등을 모두 제거하고 전자식 제동브레이크(B)와 엔코더(E)를 모터(M)에 결합하고 연동 제어기(100)와는 독립된 전원구성과 제어구성을 가지고 개발, 시공 및 점검 유지보수가 용이하게 설계된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통합형 전동 개폐기의 설치 상태를 나타내고 도 9는 통합형 전동 개폐기 박스 외관을 나타낸다.
도면을 참조하면, 전동개폐기(200)는 방화셔터(3)의 근처에 실내 천정에 인접하여 설치된다. 방화셔터(3)의 회전축에 설치된 기어가 전동모터(M)의 기어박스(G)에 체인으로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받는다. 전동모터(M)에는 엔코더(E)와 전자식 제동브레이크(B)가 연결된다. 개별 조작 스위치 패널(202)은 눈높이로 벽체에 고정된다. 개별 조작 스위치 패널(202)에는 상승 스위치, 정지 스위치, 하강스위치를 포함한다.
전동개폐기(200)는 박스(210) 내부에 제어회로부, 구동회로부, 전원회로부 및 배터리가 내장된다. 내부 커버(210)에는 조작패널(220)과 전원스위치(216)가 설치된다. 조작패널(220)에는 선택 키, 정역 키, 상한 키, 부분 폐쇄 위치키, 하한 키, 열기 키, 닫기 키, 설정 키 등의 키패드들을 포함한다. 또한 조작패널(220)에는 전동개폐기 번호를 표시하는 세븐 세그먼트 표시기(SEG2), 방화셔터 리미트 위치를 표시하는 표시램프(LED1~LED3) 등을 포함한다.
외부 커버(214)에는 조작패널(220)의 키패드, 표시램프, 수광창(222), 세븐 세그먼트 표시기(SEG2) 및 전원스위치(216)에 대응하는 통공들(214a)이 형성된다.
설치시에는 리모콘(240)에서 발사된 적외선 광이 수광창(222)에 수광되도록 외부커버(214)가 바닥을 향하도록 박스(210)를 설치한다.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통합형 전동 개폐기(200)의 회로 구성도를 나타낸다.
전동 개폐기(200)의 회로구성은 크게 제어 회로부(230), 구동 회로부(240) 및 전원 회로부(250)로 구성된다.
제어 회로부(230)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마이크로컴퓨터(MCU2)와, 메모리(EEPROM2), 펄스입력회로(EPI), 모터과열감지회로(MFI), 개별스위치 입력회로(SWI)를 포함한다.
메모리(EEPROM2)는 불휘발성 반도체 메모리로 자신의 번호와 대응하는 상하한 리미트 값 및 부분폐쇄 위치 값 등을 저장한다.
통신회로(SCC2)는 마이크로컴퓨터(MCU2)로부터 포토커플러(PT5)를 통하여 출력되는 송신용 데이터(TX)에 응답하여 케이블(CA1)의 일측 라인을 구동하여 송신데이터를 출력하고 케이블(CA1)의 타측 라인을 통하여 제공되는 수신데이터에 응답하여 포토커플러(PT6)를 통하여 수신용 데이터(RX)를 마이크로컴퓨터(MCU2)에 입력시킨다.
펄스입력회로(EPI)는 엔코더(E)로부터 발생된 펄스신호(PA, PB)를 제공받아 마이크로컴퓨터(MCU2)에 입력시킨다. 마이크로컴퓨터(MCU2)에서는 입력된 펄스신호를 카운트하여 상사점으로부터 부분폐쇄위치까지의 방화셔터 하강거리를 연산하고 연산된 하강거리를 추적하여 제동브레이크(M)를 제어하여 원하는 위치에서 방화셔터를 정지시킨다.
모터과열감지회로(MTI)는 모터(M) 내부에 장착된 퓨즈온도센서로부터 제공된 감지신호를 포토커플러(PT3)를 통해 제공받아 적분하고 적분된 신호를 모터과열 감지신호(TM)로 마이크로컴퓨터(MCU2)에 입력시킨다. 마이크로컴퓨터(MCU2)에서는 적분된 신호를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시켜서 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현재 모터에 가해지는 상용교류전압의 크기를 판단한다. 이에 응답하여 마이크로컴퓨터에서는 모터에 인가되는 모터구동전압에 비례하여 제동브레이크의 제동력을 제어하기 위하여 펄스폭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적응적으로 제동브레이크에 제공한다.
개별스위치 입력회로(SWI)는 열림 스위치(SW1), 정지 스위치(SW2), 닫침스위치(SW3)가 병렬로 연결되고 이들 스위치들(SW1~SW3)에 각각 직렬로 저항들(R3, R4, R5)이 각각 연결된다. 저항들(R3, R4, R5)은 서로 다른 저항값을 가진다. 기준전압(VR)과 공통접점(CP) 사이에 저항(R6)이 연결되고 이 공통접점(CP)에 스위치들(SW1~SW3)들이 병렬로 연결된다. 그러므로 저항(R6)과 턴온된 스위치를 통해 연결된 저항(R3~R5 중 어느 하나) 사이의 전압분배에 의해 서로 다른 전압신호가 스위치신호(SW)로 마이크로컴퓨터(MCU2)에 입력된다. 그러므로 마이크로컴퓨터(MCU2)에서는 입력되는 전압레벨을 감지하여 어느 스위치가 턴온 되었는지를 인식하게 된다.
구동 회로부(240)는 모터 구동회로(MDC), 제동 브레이크 구동회로(BDC)를 포함한다.
모터구동회로(MDC)는 릴레이 접점들(R3, R4)을 가진 제1릴레이와 릴레이 접점들(R5, R6)을 가진 제2릴레이로 구성된다. 제1릴레이는 마이크로컴퓨터(MCU2)의 릴레이 제어신호(MR2)에 의해 스위칭 제어되고 제2릴레이는 마이크로컴퓨터(MCU2)의 릴레이 제어신호(MR1)에 의해 스위칭 제어된다.
3상교류 R상은 모터 U상 단자에 직접 연결되고, 3상교류 T상은 릴레이 접점(RY6)을 거쳐서 모터 V상 단자에 연결되고, 3상교류 S상은 릴레이 접점(RY5)을 거쳐서 모터 W상 단자에 연결된다. 또한, 3상교류 T상은 릴레이 접점(RY4)을 거쳐서 모터 W상 단자에 연결되고, 3상교류 S상은 릴레이 접점(RY3)을 거쳐서 모터 V상 단자에 연결된다. 그러므로 모터(M)는 릴레이 제어신호(MR1, MR2)의 조합에 의해 정역회전이 제어되므로 모터(M)의 교류입력단자의 극성에 관계없이 3상교류를 연결할 수 있다. 그러므로 모터에 교류를 연결할 경우에 극성을 고려하지 않아도 되므로 시공이 간편하다.
제동 브레이크 구동회로(BDC)는 상용교류 인가시와 정전시를 구분하여 제동 브레이크를 구동시키기 위하여 릴레이 접점(RY7, RY8)을 가진 제3릴레이와 펄스폭변조구동회로(PWM)를 포함한다.
제3릴레이는 마이크로컴퓨터(MCU2)의 제동브레이크 릴레이 제어신호(BR)에 응답하여 스위칭된다. 제동 브레이크 제1단자는 릴레이 접점(RY7)의 공통단자에 연결되고 제2단자는 릴레이 접점(RY8)의 공통단자에 연결된다. 릴레이 접점(RY7)의 제1단자에는 제동 브레이크 구동신호(BK)가 증폭기(AMP)를 거쳐서 연결되고, 릴레이 접점(RY7)의 제2단자에는 펄스폭변조 구동회로(PWM)의 출력단자가 연결된다. 릴 레이 접점(RY8)의 제1단자에는 구동전압(+VP)이 인가되고, 릴레이 접점(RY8)의 제2단자에는 고전압(+HV)이 인가된다. 펄스폭변조 구동회로(PWM)는 제2구동전압(+G)를 공급받아 제동 브레이크 구동신호(BK)에 응답하여 출력신호를 생성한다.
제동 브레이크 구동신호(BK)는 교류전압의 크기 및 정전 등의 조건에 따라서 펄스폭이 가변되는 신호이고 펄스폭변조 구동회로(PWM)는 입력되는 펄스폭 변조신호에 응답하여 전압레벨이 변동되는 출력신호를 발생한다. 그러므로 AC 220V이 인가될 경우와 AC 380V가 인가될 경우에는 모터의 구동력이 달라지므로 제동력 역시 상응하는 크기로 동작시키기 위하여 제동 브레이크에 인가되는 구동신호의 크기도 대응하여 달리 인가되도록 구성된다. 그러므로 기존 모터를 사용할 경우 모터의 구동능력이나 사용되는 교류전압의 크기에 적응적으로 시스템이 동작되므로 부품의 호환성이 크게 증가시킬 수 있다.
전원 회로부(250)는 상용교류를 입력받아 브리지 정류회로(REF2)에서 전류하여 평활된 직류를 얻고 얻어진 직류를 스위칭 모드 전원장치(SMPS2)를 거쳐서 안정된 직류전압(+P)을 생성한다.
생성된 직류전압(+P)은 SMPS 검출회로(VS3)를 통해 SMPS 온신호(SMPSON)로 검출되고 검출된 신호(SMPSON)는 마이크로컴퓨터(MCU2)에 입력된다.
또한, 직류전압(+P)은 다이오드(D5)를 통해 DC24V의 구동전압(+VP)으로 출력된다. 커패시터(C2)는 고주파 전원 노이즈를 바이패스 시키기 위한 것이다. 또한, 직류전압(+P)은 다이오드(D4) 및 저항(R2)을 통해 배터리(BTY)에 제공되어 배터리(BTY)를 충전시킨다. 배터리(BTY)와 저항(R2) 사이에는 배터리 전원스위치(216) 가 연결된다. 생성된 배터리 출력전압(+B)은 배터리 검출회로(VS5)를 통해 배터리 출력전압 검출신호(BTV)로 검출되고 검출된 신호(BTV)는 마이크로컴퓨터(MCU2)에 입력된다. 배터리 출력전압(+B)은 다이오드(D3)를 통하여 DC24V의 구동전압(+VP)으로 출력된다. 그러므로 구동전압(+VP)은 통상시에는 교류전압에 의해 제공되고 정전시에는 배터리(120)의 출력전압(+B)으로 제공된다. 생성된 구동전압(+VP)은 구동전압 검출회로(VS4)를 통해 구동전압 검출신호(DCV)로 검출되고 검출된 신호(DCV)는 마이크로컴퓨터(MCU2)에 입력된다.
레귤레이터(REG)는 구동전압(+VP)를 입력하여 마이크로컴퓨터(MCU2)의 동작전압(+VCC)을 생성한다.
또한 전동개폐기(200)는 조작패널(220)을 포함한다. 조작패널(220)에는 선택 키, 정역 키, 상한 키, 부분 폐쇄 위치키, 하한 키, 열기 키, 닫기 키, 설정 키 등의 키패드들을 포함한다. 또한 조작패널(220)에는 이상상태를 표시하는 세븐 세그먼트 표시기(SEG2), 방화셔터 리미트 위치를 표시하는 표시램프(LED8~LED10), 리모콘 수신창(222) 등을 포함한다. 세븐 세그먼트 표시기(SEG2)는 전동개폐기(200)의 번호 및 이상발생시 발생원인을 표시한다. 즉, "T"는 모터과열로 인한 에러를 표시하고, "E"는 엔코더 고장을 표시하고, "L"은 상하한리미트가 설정되지 않을 경우를 표시한다. 그러므로 개발 및 시공시 작업자의 설치검검을 용이하게 한다.
조작패널(220)에는 마이크로컴퓨터(MCU2)로부터 표시제어신호(DIS)를 제공받고 키 스캔신호(KEY) 및 리모콘 입력신호(IRIN)를 마이크로컴퓨터(MCU2)로 제공한다.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무극성 2선 케이블(CA1)을 구동하는 통신회로(SCC1 및 SCC2)의 구체적인 회로구성을 나타낸다.
도 11을 참조하면 연동제어기(100)에 구성되는 통신회로(SCC1)는 마이크로컴퓨터(MCU1)로부터 제공된 송신신호(TX)를 저항(R8)을 통해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인가하면 트랜지스터(Q1)의 에미터를 통해 송신데이터가 전동개폐기(200)로 송신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통신회로(SCC1)는 전동개폐기(200)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로 인가받아 트랜지스터(Q2)의 콜렉터를 통해 마이크로컴퓨터(MCU1)의 수신신호(RX)로 입력시킨다.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는 저항(R9)를 통해 그라운드(GND)에 연결된다.
전동개폐기(200)에 구성되는 통신회로(SCC2)는 마이크로컴퓨터(MCU2)로부터 제공된 송신신호(TX)를 저항(R11)을 통해 포토커플러(PT5)에 인가시키면 포토커플러(PT5)의 출력신호가 브리지회로(BR)를 통해 연동제어기(100)로 송신된다. 통신회로(SCC2)는 브리지회로(BR)를 통해 연동제어기(100)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는 저항(R10)을 통해 포토커플러(PT6)에 인가되고 포토커플러(PT6)의 출력신호가 저항(R12)을 통해 전압신호 변환되어 마이크로컴퓨터(MCU2)의 수신신호(RX)로 입력된다.
본 발명의 무극성 2선 케이블은 통신회로(SCC2)의 브리지회로(BR)에 의해 케이블의 어느 라인이 연결되더라도 상관없이 송수신이 된다. 즉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된 경우에는 트랜지스터(Q1) - 다이오드(D8) - 저항(R10) - 포토커플러(PT6) - 저항(R12)으로 연결된 패스를 통해 연동제어기(100)의 송신신호(TX)가 전동개폐기(200)에 수신된다. 반대로 전동개폐기(200)의 송신신호(TX)는 저항(R11) - 포토커플러(PT5) - 다이오드(D9) - 트랜지스터(Q2)로 연결된 패스를 통해 연동제어기(100)에 수신된다. 케이블(CA1)의 연결이 도시된 것과 반대로 연결된 경우에는 이번에는 브리지회로(BR)의 다이오드(D7) 및 다이오드(D10)를 통해 상술한 경우와 동일한 방법으로 패스가 형성되므로 양방향 송수신이 이루어진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서는 시공시 케이블(CA1) 설치 작업시 극성이 관계없이 아무렇게나 연결커넥터에 케이블을 연결하면 되므로 시공시 케이블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상하한 리미트 및 부분폐쇄 위치를 소프트웨어적으로 설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위한 흐름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연동제어기(100) 및 전동개폐기(200)의 조작패널이나 리모콘(240)을 통하여 선택키를 입력한다(S100). 선택키가 입력되면 세븐 세그먼트 표시기(SEG1, SEG2)에 표시된 전동개폐기(200)의 번호를 보면서 원하는 전동개폐기를 선택한다(S102). 리모콘이나 전동개폐기의 조작패널을 사용할 경우에는 해당 전당 개폐기의 번호가 표시된다. 연동제어기(100)에서는 선택키로 번호를 스캔하여 원하는 번호를 선택한다.
원하는 전동개폐기가 선택되면 열기 키나 닫기 키를 눌러서 방화셔터를 회전시켜 본 후 열기 키나 닫기 키와 대응되게 회전되면 3상 교류 전원선의 연결이 정상임을 확인할 수 있다. 만약 키입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면 3상교류 전원선의 연결에서 상 연결이 바뀐 상태로 연결된 것이므로 정역 키를 눌러서 모터구동회로의 릴레이를 작동시켜서 모터의 회전이 키입력과 일치되게 방화셔터의 회전방향을 설정한다(S104).
회전방향이 설정되면 열기 키를 눌러서 방화셔터를 상사점 위치까지 올린다(S106). 원하는 상사점 위치에서 모터를 정지시키고 상한 키를 입력시킨다(S108). 상한 키가 입력되면 마이크로컴퓨터에서는 현재 엔코더의 값을 상한 리미트 값으로 메모리의 버퍼영역에 저장시킨다. 그리고 녹색 LED를 점등시켜서 상한 값을 인식하였다고 표시하여 상한 리미트 설정을 완료한다(S110).
이어서 닫기 키를 눌러서 방화셔터를 부분폐쇄위치까지 내린다(S112). 원하는 부분폐쇄위치에서 모터를 정지시키고 부분폐쇄위치 키를 입력시킨다(S114). 부분폐쇄위치 키가 입력되면 마이크로컴퓨터에서는 현재 엔코더의 값을 부분폐쇄 위치 값으로 메모리의 버퍼영역에 저장시킨다. 그리고 황색 LED를 점등시켜서 부분폐쇄위치 값을 인식하였다고 표시하여 1단 하강 설정을 완료한다(S116).
이어서 1단 하강 위치가 설정되면 닫기 키를 눌러서 방화셔터를 완전폐쇄위치인 하사점까지 내린다(S118). 원하는 하사점 위치에서 모터를 정지시키고 하한 키를 입력시킨다(S120). 하한 키가 입력되면 마이크로컴퓨터에서는 현재 엔코더의 값을 하한 리미트 값으로 메모리의 버퍼영역에 저장시킨다. 그리고 적색 LED를 점등시켜서 하한 값을 인식하였다고 표시하여 완전 폐쇄 설정을 완료한다(S122).
모든 리미트 값들의 설정이 완료되면 설정 키를 입력하여 버퍼영역에 저장된 설정값들을 해당 전동개폐기의 상한 리미트 값, 부분 폐쇄 위치 값, 하한 리미트 값으로 이식을 완료하고(S124) 설정을 종료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서는 모터 회전축에 설치된 엔코더만으로 상하한 리미트 및 부분폐쇄위치까지 모터의 위치제어가 가능하므로 별도로 설치되는 리미트 스위치 등을 제거할 수 있으므로 리미트 스위치의 배선 및 부품 설치 등의 번거로운 작업을 생략할 수 있다. 실제로 종래에는 리미트 스위치를 사용할 경우에는 기계적 접점방식이나 광학적 감지 방식이나 모두 방화셔터와의 상대적 위치 관계를 물리적으로 설치하여야 하므로 반복 시행착오를 거쳐야 하므로 여간 번거롭고 불편하여 2명 이상이 공동으로 작업을 하지 않으면 아니 되었고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한 원인이 되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이를 모두 해결한 것이다.
즉 시공시 작업자 한명이 물리적인 설치가 완료되면 리모콘이나 연동제어기 등을 통하여 매우 간편하게 소프트웨어적으로 설정할 수 있으므로 작업성이 크게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개별조작 스위치 패널(202)을 통하여 마이크로컴퓨터에 입력이 가능하므로 이를 통하여 점검이나 테스트, 상하한 및 부분폐쇄 위치 설정 등이 가능하다. 개별조작 스위치 패널(202)은 열림 버튼, 정지 버튼, 닫침 버튼의 3개 버튼 조작의 조합을 통하여 이루어진다. 예컨대 정지버튼을 10초간 눌러주면 방화셔터가 조금 움직이면 정지버튼을 해제한다. 그러면 마이크로컴퓨터에서는 이를 설정모드로 인식한다. 설정모드에서 열림버튼을 눌러서 방화셔터의 회전방향을 살펴본다.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면 정지버튼을 1초간 누르면 마이크로컴퓨터에서 이를 모터의 정역방향 전환으로 인식하고 모터구동회로의 릴레이를 제어하여 모터에 인가되는 교류위상을 바꾸어 방향을 전환시킨다. 열림버튼을 눌러서 방화셔터를 상사점 위치에 위치시킨 다음에 정지버튼을 1초간 누르면 현재 엔코더 값이 상한 값 으로 인식되고 녹색LED가 점등된다. 닫침버튼을 눌러서 방화셔터를 부분폐쇄위치에 위치시킨 다음에 정지버튼을 1초간 누르면 현재 엔코더 값이 부분폐쇄위치 값으로 인식되고 황색LED가 점등된다. 닫침버튼을 눌러서 방화셔터를 하사점 위치에 위치시킨 다음에 정지버튼을 1초간 누르면 현재 엔코더 값이 하한 값으로 인식되고 적색LED가 점등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연동제어기의 조작패널, 전동개폐기의 조작패널, 리모콘, 개별조작 스위치 패널 등에서 각각 모터의 정역회전 전환, 상한 값, 하한값, 부분폐쇄위치 값 등을 설정할 수 있으므로 개발, 점검, 시공 테스트, 유지 보수 등의 각 단계에서 유용하게 시스템을 설정하고 테스트할 수 있으므로 작업성이 크게 향상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효과는 다음과 같다.
화재발생시 시스템의 작용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화재발생 초기 연기/열감지기를 통하여 연기가 먼저 감지되고 이 신호는 통합형 연동제어기(100)로 제공되며 통합형 연동제어기(100)는 감지된 연기감지신호를 건물의 방재센터(600)로 송출함과 동시에 화재발생을 표시하고 경고음을 발생시키며 무극성 2선 케이블(CA1)로 연결된 통합형 전동개폐기(200)로 신호를 송출하게 된다. 이때 통합형 전동개폐기(200)는 통합형 연동제어기(100)로부터 수신한 화재신호를 식별하고 방화셔터의 부분폐쇄(제연동작)를 실행하게 된다.
그 실행 순서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통합형 전동개폐기(200)는 방화셔터의 부분폐쇄를 위하여 먼저 제동브레이크(B)를 개방시키고 이때 방화셔터는 자중에 의하여 낙하하게 되며 방화셔터의 롤 축과 체인과 감속기어로 연결된 모터(M)가 회전하게 되고 모터(M)에서는 모터 회전수와 비례하는 주파수를 가진 펄스가 발생되는데 이를 마이크로컴퓨터에서 입력하여 입력된 펄스신호를 연산하여 방화셔터(3)의 하강위치를 정확하게 판독한다.
판독결과 방화셔터가 부분폐쇄위치(1단 강하 위치, 제연 위치)에 도달함과 동시에 제동브레이크(B)를 작용시켜 방화셔터가 부분폐쇄위치에서 정지되도록 한다. 이로써 초기 화재발생시 연기감지신호에 따른 부분폐쇄동작(1단강하동작, 제연동작)의 실행이 종결되게 된다. 이때 방화셔터는 일반사람의 통행에 지장을 주지 않는 높이 정도를 남기고 폐쇄된 상태이며 화재로 인한 연기의 확산은 방지함과 동시에 미 대피 인원의 탈출을 도모하게 된다.
화재가 계속 진행되어 열감지기(400)가 열을 감지하게 되면 시스템은 방화셔터의 완전폐쇄동작을 실행하며 통합형 전동개폐기(200)의 상/하한 리미트 값으로부터 위치신호를 제공받아 완전폐쇄위치를 판독하고 장치 내의 제반회로를 통제함으로써 방화셔터의 완전폐쇄를 실행한다.
시스템의 통상운영 또는 점검을 위하여 방화셔터의 수동조작이 필요할 경우에 통합형 연동제어기(100)에 실장 된 조작패널의 승강 또는 하강 키를 작동하면 통합형 연동제어기는(100) 각 키입력의 지정된 기능에 따른 신호를 생성하여 케이블(CA1)을 통하여 통합형 전동개폐기(200)로 송출하며 통합형 전동개폐기(200)는 수신된 신호를 식별하여 방화셔터의 승/하강를 실행하게 된다.
원격 리모콘(적외선 리모콘)(240)의 조작에 의하여 각각의 통합형 전동개폐 기(200)는 고유인식번호를 부여 받게 되며 부여받은 고유인식번호는 각각의 세븐 세그번트 표시부(SEG1)를 통하여 시각적으로 표현된다. 화재발생시 케이블(CA1)를 통하여 전송된 공통인식번호가 포함된 화재신호에 대하여 통합형전동개폐기(10a,10b,10c, ...)는 신호식별(연기 또는 열)에 따른 반응을 일제히 하게 되며 시스템 점검 또는 통상적인 시스템 운영시 케이블(CA1)를 통하여 전송된 고유인식번호가 포함된 승/하강 조작신호에 대하여 통합형 전동개폐기(200)는 자신의 고유인식번호와 일치할 경우에만 반응함으로써 방화셔터의 개별 점검 또는 운영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자동 방화셔터 시스템을 구성함에 있어서 개별 장치들의 기능적 특성과 상호연관성에 따라 각 장치들이 가진 기능들을 수용하는 복합기능의 통합장치를 구현하여 시스템의 단순화와 소형화에 기여하며 시스템의 배선 수를 현저하게 감소시켜 오 배선과 오동작으로 인한 안전사고예방에 기여하며 부품의 수를 줄여 재료비용을 절감시킨다.
한편 종래의 전동모터의 기구적인 변경 및 수정 없이 기본구조를 그대로 수용하면서 전기/전자적인 제어장치의 교체와 보완만으로 본 발명의 통합형 방화셔터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건물에 설치된 방화셔터시스템의 리모델링시 부품의 재사용성을 높이고 건물주로 하여금 그 비용을 경감시킬 수 있다.
또한 신규 2단 강하형 제품개발에 있어서도 제조사로 하여금 개발 비용 부담을 최소화하게 함으로서 보다 신뢰성 있는 제품개발이 촉진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시스템의 운영과 관리에 있어서도 시스템의 전반적인 상태를 시각적으로 표현함과 함께 제어장치의 장/탈착도 간편하게 하여 시스템관리자로 하여금 쉽게 시스템을 점검하고 시스템 이상에 대한 정확하고 신속한 처리가 가능토록 하여 화재로부터의 방재 공백을 최소화하게 하는 등 제반 기술을 이룸으로 소중한 인명과 재산을 보호하고 자원을 절약하는 동시에 제품의 제조 및 시스템의 유지보수에 있어서 그 비용절감을 극대화할 수 있다.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자동 방화셔터 시스템의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도 1의 전동개폐기의 상세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통합형 방화셔터 장치의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연동제어기(100)의 박스 도어를 오픈한 상태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분리형 케이블 연결기판(130) 및 제어기판(140)의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제3회로기판(144)을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통합형 연동제어기(100)의 회로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통합형 전동 개폐기의 설치 상태를 나타내고
도 9는 통합형 전동 개폐기 박스 외관을 나타낸다.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통합형 전동 개폐기(200)의 회로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무극성 2선 케이블(CA1)을 구동하는 통신회로(SCC1 및 SCC2)의 구체적인 회로구성을 나타낸다.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상하한 리미트 및 부분폐쇄 위치를 소프트웨어적으로 설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위한 흐름도이다.

Claims (18)

  1. 제연 및 방화 구역에 설치되고 열린 상태에서는 실내 천정인근에 모터에 의해 감겨진 상태로 대기하고 화재 발생시 자중에 의해 자중 강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화 셔터;
    상기 각 방화셔터의 모터 인근에 각각 설치되고, 대응하는 방화셔터의 상승 또는 하강을 구동하고 연감지시에는 제동을 풀어서 상기 방화셔터를 자중 강하시키되 자중 강하에 의한 모터 회전축의 회전수를 카운트하여 제연위치에서 자중 강하를 제동하고 정지시키고 , 열감지시에는 방화셔터를 완전폐쇄위치까지 자중 강하시켜서 화염이 전파되는 것을 차단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합형 전동개폐기; 및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동제어기들과 무극성 2선 케이블로 공통 연결되어 양방향으로 서로 교신하고, 연감지기와 열감지기에 응답하여 연결된 모든 방화셔터들을 제연위치와 완전폐쇄위치로 제어하는 통합형 연동제어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형 자동방화셔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형 전동개폐기는
    상기 방화셔터를 열고 닫기 위한 회전력을 발생하는 모터;
    상기 모터의 회전수를 검출하여 펄스신호를 생성하는 엔코더;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제동하기 위한 제동 브레이크;
    열기 키, 닫기 키, 상한 키, 부분폐쇄위치 키 및 하한 키를 가진 조작패널;
    상기 열기 키를 조작하여 상기 방화셔터가 완전 열림상태의 상사점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상한 키를 눌러서 현재 입력되는 상기 엔코더의 펄스신호 카운트 값을 상한 값으로 인식하고, 상기 닫기 키를 조작하여 상기 방화셔터가 부분폐쇄위치에 있을 때 상기 부분폐쇄위치 키를 눌러서 현재 입력되는 상기 엔코더의 펄스신호 카운트 값을 부분폐쇄위치 값으로 인식하고, 상기 닫기 키를 조작하여 상기 방화셔터가 완전폐쇄위치에 있을 때 상기 부분폐쇄위치 키를 눌러서 현재 입력되는 상기 엔코더의 펄스신호 카운트 값을 부분폐쇄위치 값으로 인식하고, 연감지시 상기 제동브레이크를 풀어서 방화셔터가 하강하는 것을 상기 엔코더로 감시하여 현재 입력되는 엔코더의 펄스 카운트 값이 상기 인식된 부분폐쇄위치에 도달하면 상기 제동브레이크로 상기 방화셔터의 하강을 제동시켜서 정지시키는 마이크로컴퓨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형 자동방화셔터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형 전동개폐기는
    상기 조작패널에 정역 키를 더 구비하고
    상기 마이크로컴퓨터는 상기 열기 키 또는 닫기 키를 사용하여 상기 모터를 회전시켰을 경우 키입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정역 키를 사용하여 상기 모터에 인가되는 교류의 입력위상을 모터가 키 입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스위칭 제어하는 것을 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형 자동방화셔터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형 전동개폐기는
    상기 마이크로컴퓨터는 상기 모터의 구동력에 비례하여 상기 제동브레이크의 구동력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제동브레이크에 인가되는 제어신호의 펄스폭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형 자동방화셔터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형 전동개폐기는
    상기 정전 대비 비상용 배터리를 포함하고
    정전 발생 중에 화재가 감지되면 상기 비상용 배터리로부터 제공되는 직류로 상기 제동 브레이크를 구동하여 상기 방화셔터의 폐쇄동작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형 자동방화셔터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형 전동개폐기는
    개별조작 스위치 패널을 더 포함하고
    상기 마이크로컴퓨터는 상기 개별조작 스위치 패널의 스위치 조작에 의해 상기 방화셔터의 상한 값, 하한 값 및 부분폐쇄위치 값 등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형 자동방화셔터 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형 전동개폐기는
    상기 연동제어기와 무극성 2선 케이블로 연결하기 위하여 통신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회로는
    상기 무극성 2선 케이블이 입력단에 연결되는 브리지회로;
    상기 브리지 회로의 하이레벨 출력단자와 로우레벨 출력단자 사이에 출력측이 연결되고 입력측이 상기 마이크로컴퓨터의 송신출력단자에 연결된 송신용 포토커플러; 및
    상기 브리지 회로의 하이레벨 출력단자와 로우레벨 출력단자 사이에 입력측이 연결되고 상기 마이크로컴퓨터의 수신입력단자에 연결된 수신용 포토커플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형 자동방화셔터 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형 전동개폐기는
    상기 조작패널에 세븐세그먼트 표시기를 더 구비하고
    상기 마이크로컴퓨터는 상기 모터과열상태, 상한 및 하한 미설정 상태 또는 엔코더 고장상태 등을 감지할 때 상기 세븐세그먼트 표시기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형 자동방화셔터 장치.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형 전동개폐기는
    상기 조작패널에 상한 값 설정 표시용 발광 다이오드, 하한 값 설정 표시용 발광 다이오드 및 부분폐쇄위치 값 표시용 발광 다이오드들을 더 구비하고
    상기 마이크로컴퓨터는 상기 상한 값, 부분폐쇄위치 값, 하한값들이 설정될 때 상기 대응하는 발광다이오드를 점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형 자동방화 셔터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형 연동제어기는
    제연 및 방화 구역의 연기 발생을 감지하기 위한 연감지기;
    상기 제연 및 방화 구역의 화염 발생을 감지하기 위한 열감지기;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합형 전동개폐기들과 2극성 2선 케이블로 공통 연결하기 위한 통신회로;
    기동키 및 복귀키를 가진 조작패널; 및
    상기 연감지기로부터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연결된 모든 전동개폐기들에 방화셔터를 부분폐쇄위치인 제연위치까지 부분 폐쇄시키라는 명령을 상기 무극성 2선 케이블을 통해 하달하고, 상기 열감지기로부터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연결된 모든 전동개폐기들에 방화셔터를 완전 폐쇄시키라는 명령을 상기 무극성 2선 케이블을 통해 하달하고, 상기 기동키 1회 입력시에는 상기 연감지와 동일한 명령을 하달하고, 2회 입력시에는 상기 열감지와 동일한 명령을 하달하는 마이크로컴퓨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형 자동방화셔터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형 연동제어기는
    상기 조작패널에 선택키, 열기 키, 닫기 키, 상한 키, 부분폐쇄위치 키 및 하한 키를 더 구비하고
    상기 마이크로컴퓨터는 상기 선택키를 사용하여 상기 통합형 전동개폐기들 중 하나를 선택하고 선택된 통합형 전동개폐기의 상한 값, 부분폐쇄위치 값 및 하한 값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형 자동방화셔터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형 연동제어기는
    상기 조작패널에 세븐세그먼트 표시기를 더 구비하고
    상기 마이크로컴퓨터는 상기 선택키를 사용하여 상기 통합형 전동개폐기들이 선택되면 선택된 통합형 전동개폐기의 번호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형 자동방화셔터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형 연동제어기는
    상기 조작패널에 상한 값 설정 표시용 발광 다이오드, 하한 값 설정 표시용 발광 다이오드 및 부분폐쇄위치 값 표시용 발광 다이오드들을 더 구비하고
    상기 마이크로컴퓨터는 상기 상한 값, 부분폐쇄위치 값, 하한값들이 설정될 때 상기 대응하는 발광다이오드를 점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형 자동방화셔터 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형 연동제어기는
    상기 조작패널에 정역 키를 더 구비하고
    상기 마이크로컴퓨터는 상기 열기 키 또는 닫기 키를 사용하여 선택된 통합형 전동개폐기의 모터를 회전시켰을 경우 키입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정역 키를 사용하여 상기 모터에 인가되는 교류의 입력위상을 모터가 키 입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회전방향전환명령을 하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형 자동방화셔터 장치.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형 연동제어기의 통신회로는
    상기 마이크로컴퓨터의 송신출력단자가 베이스에 연결되고 콜렉터에 동작전압이 인가되고, 에미터에 상기 무극성 2선 케이블의 한 라인이 연결된 제1트랜지스터; 및
    상기 무극성 2선 케이블의 다른 한 라인이 베이스에 연결되고 콜렉터에 상기 마이크로컴퓨터의 수신입력단자가 연결된 에미터 접지 제2트랜지스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형 자동방화셔터 장치.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형 연동제어기는
    중계기를 통하여 방재센터로부터 하달된 연감지신호 및 열감지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원격기동 입력회로; 및
    상기 연감지신호와 열감지신호에 의한 방화셔터 부분폐쇄위치 하강 및 완전폐쇄위치 하강상태를 알리는 기동확인신호를 상기 중계기를 통하여 상기 방재센터로 출력하는 기동확인 출력회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형 자동방화셔터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기동 입력회로는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전기적 충격으로부터 내부 회로를 보호하기 위하여 광 아이솔레이터를 통하여 상기 마이크로컴퓨터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형 자동방화셔터 장치.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기동확인 출력회로는
    기동확인 출력신호를 릴레이 접점신호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형 자동방화셔터 장치.
KR1020080111605A 2007-11-30 2008-11-11 통합형 자동 방화셔터 장치 KR2009005682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123931 2007-11-30
KR1020070123931 2007-11-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6822A true KR20090056822A (ko) 2009-06-03

Family

ID=409881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1605A KR20090056822A (ko) 2007-11-30 2008-11-11 통합형 자동 방화셔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56822A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3300B1 (ko) * 2009-07-15 2012-03-20 정근영 배연창 개폐장치
KR101327683B1 (ko) * 2012-11-12 2013-11-08 최주옥 동작상태 표시기능이 구비된 소방방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소방방재 통합시스템
KR101379068B1 (ko) * 2012-10-05 2014-03-28 김동선 셔터 전동개폐기
GB2471140B (en) * 2009-06-19 2015-02-11 Door Maintenance Group Ltd Fire shutter motor and apparatus comprising fire shutter motor
KR101540387B1 (ko) * 2013-09-13 2015-07-3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화재 대피소를 구비한 헬리데크
KR101876727B1 (ko) * 2017-09-26 2018-07-13 주식회사 미가이엔지 자동차압 과압조절형 급기 댐퍼와 복합풍량조절 댐퍼 제어 시스템
CN109403780A (zh) * 2018-12-24 2019-03-01 昆明理工大学津桥学院 自动提款机shutter门继电器驱动电路
KR20190119848A (ko) * 2018-04-13 2019-10-23 세메스 주식회사 방화 셔터
KR20200012493A (ko) * 2018-07-27 2020-02-05 세메스 주식회사 방화 셔터
US10954714B2 (en) 2017-08-23 2021-03-23 Semes Co., Ltd. Fireproof shutter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471140B (en) * 2009-06-19 2015-02-11 Door Maintenance Group Ltd Fire shutter motor and apparatus comprising fire shutter motor
KR101123300B1 (ko) * 2009-07-15 2012-03-20 정근영 배연창 개폐장치
KR101379068B1 (ko) * 2012-10-05 2014-03-28 김동선 셔터 전동개폐기
KR101327683B1 (ko) * 2012-11-12 2013-11-08 최주옥 동작상태 표시기능이 구비된 소방방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소방방재 통합시스템
KR101540387B1 (ko) * 2013-09-13 2015-07-3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화재 대피소를 구비한 헬리데크
US10954714B2 (en) 2017-08-23 2021-03-23 Semes Co., Ltd. Fireproof shutter
KR101876727B1 (ko) * 2017-09-26 2018-07-13 주식회사 미가이엔지 자동차압 과압조절형 급기 댐퍼와 복합풍량조절 댐퍼 제어 시스템
KR20190119848A (ko) * 2018-04-13 2019-10-23 세메스 주식회사 방화 셔터
KR20200012493A (ko) * 2018-07-27 2020-02-05 세메스 주식회사 방화 셔터
CN109403780A (zh) * 2018-12-24 2019-03-01 昆明理工大学津桥学院 自动提款机shutter门继电器驱动电路
CN109403780B (zh) * 2018-12-24 2024-03-19 昆明理工大学津桥学院 自动提款机shutter门继电器驱动电路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56822A (ko) 통합형 자동 방화셔터 장치
US20210372645A1 (en) Multipurpose multifunction device
US8340787B2 (en) Monitoring and control device
KR101064867B1 (ko) 안전관리 및 인공지능형 음성경보장치와 2차원 온도센싱 장치를 구비하는 수.배전반 및 mcc,분전반
KR200460015Y1 (ko) 밸브 개폐 감지 일체형 기어박스
KR101249310B1 (ko) 배전반 화재감시제어기
JP2009525023A (ja) アースの無いエネルギ制限バリヤーを用いた耐炎性の装置
WO2008072023A1 (en) Portable emergency and inspection interface for elevators
KR20160005480A (ko) 수배전반의 도어 개폐장치
KR20050031396A (ko) 리프트 샤프트용 제어 장치를 갖춘 샤프트 도어의 도어프레임과 제어 유닛에 접근하는 방법
WO2017099341A1 (ko) 스마트 온도측정기
KR101622677B1 (ko) 화재 또는 정전 시에 비상등 전원 공급장치
US20120025972A1 (en) Temperature alarm system outlet module
JPH06123479A (ja) 空気調和機
JP3653994B2 (ja) セキュリティインターホン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警報監視システム
JPH09133575A (ja) 感震装置
CN102156458B (zh) 电气设施的控制和保护设备
JP4366025B2 (ja) 防災監視設備及び複合型警報器
KR100783254B1 (ko) 방화셔터통합시스템
CN210466693U (zh) 一种报警装置
US3882969A (en) Safety system for controlling the start-up of elevators
JP2007077720A (ja) 電動シャッター
JP2004103524A (ja) 警告表示安全コンセント
CN111354167A (zh) 一种工业用分析小屋防爆型连锁报警系统
KR20100005350A (ko) 분리형 방화셔터 연동 제어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