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5404B1 - 방화용 도어 릴리즈장치 - Google Patents

방화용 도어 릴리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5404B1
KR100885404B1 KR1020080010402A KR20080010402A KR100885404B1 KR 100885404 B1 KR100885404 B1 KR 100885404B1 KR 1020080010402 A KR1020080010402 A KR 1020080010402A KR 20080010402 A KR20080010402 A KR 20080010402A KR 100885404 B1 KR100885404 B1 KR 1008854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operation plate
inner space
fire door
releas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04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쓰리에스도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쓰리에스도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쓰리에스도어
Priority to KR10200800104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5404B1/ko
Priority to PCT/KR2009/000482 priority patent/WO2009096749A2/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54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54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7/0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 E05C17/0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 E05C17/46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in which the wing or a member fixed thereon is engaged by a movable fastening member in a fixed position; in which a movable fastening member mounted on the wing engages a stationary member
    • E05C17/5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in which the wing or a member fixed thereon is engaged by a movable fastening member in a fixed position; in which a movable fastening member mounted on the wing engages a stationary member comprising a single pivoted securing membe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6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swing doors or windows, i.e. opening inwards and outward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5/00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 E05B15/02Striking-plates; Keepers; Bolt staples; Escutche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5/00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 E05B15/02Striking-plates; Keepers; Bolt staples; Escutcheons
    • E05B15/0205Striking-plates, keepers, staples
    • E05B15/0295Striking-plates, keepers, staples specially adapted for forked or bifurcated bol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0065Operating modes; Transformable to different operating mod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6Fireproof doors or similar closures; Adaptations of fixed construction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화문 상면에 설치되는 고리형 걸림뭉치와 벽체면에 설치되며 상기 고리형 걸림뭉치의 걸림고리를 걸림 및 걸림해제하는 래치박스로 구성된 방화용 도어릴리즈장치에 있어서, 고리형 걸림뭉치(10)는 전방돌출된 걸림고리(32)를 갖는 작동플레이트(30)가 베이스(20)의 내부공간부(22)에서 전후 및 상하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하고, 베이스(20)상에는 걸림고리(32)가 상하이동 가능케 하는 상하안내로(42)를 갖는 체결판(40)을 결합 구성하며, 베이스(20)의 내부공간부(22) 바닥면과 작동플레이트(30)간에는 착탈부재를 형성하되 작동플레이트(30)가 내부공간부(22)내의 전방으로 위치이동함에 따라 탈리되게 형성한다.
도어 릴리즈, 고리형 걸림뭉치, 걸림고리, 작동플레이트

Description

방화용 도어 릴리즈장치{FIRE-DO0R RELEASE APPARATUS}
본 발명은 방화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화재시 방화문을 자동 해정시키는 방화용 도어 릴리즈장치(fire-door release)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에서의 화재확산을 방지하기 위해서 특별 피난계단이나 비상용 승강기 승강장 제연구역 등의 문은 방화문으로 설치하도록 소방 관련법에 의해서 규정되어 있다. 방화문에는 화재시 연기 및 유독가스의 확산을 방지하거나 불길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 도어클로저(door closer)나 오토힌지(auto hinge)와 같은 도어 자동닫힘장치가 설치되며, 아울러 방화문 및 방화문 측벽에는 실내에 연기나 유독가스 발생시 개방된 방화문의 걸림을 자동으로 해제시켜주는 방화문 자동해정장치가 구비된다.
도어 자동닫힘장치와 방화문 자동해정장치가 구비된 방화문은 평상시에는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연기 발생이나 유독가스 발생과 같은 화재발생 감지시 방화문 자동해정장치가 작동되어 방화문의 도어걸림상태를 해지시켜준다. 그에 따라 도어 자동닫힘장치의 닫힘력에 의해 방화문이 닫혀지게 됨으로써 화재로 인한 연기 및 유독성 가스의 확산이 방지되고 불길의 확산도 방지되어진다.
화재발생시 방화문은 닫혀 걸림상태는 유지하되 잠금이 이루어지지는 않도록 구현되어야 하며, 또 피난시 방화문 자동해정장치로의 재걸림 방지기능도 함께 구현되어야 한다. 그렇게 해야만 화재시 대피자들은 방화문을 밀쳐 열고선 안전하게 비상탈출구를 통해 외부로 대피할 수 있고, 대피자가 별도의 문단속을 하지 않아도 방화문이 자동으로 닫혀지게 되어 연기나 유독가스의 확산을 막을 수 있다. 또 불길의 확산도 막을 수 있다.
방화문 자동해정장치는 다양한 종류가 있으나 크게 기계식과 전기식으로 구분되며, 전기식에는 작동방식에 따라 자석식, 솔레노이드식 등이 있다.
그중 솔레노이드식 자동해정장치는 솔레노이드 작동으로 후크를 놓아주게 하는 구성으로서, 방화문의 크기 및 자동닫힘장치의 닫힘력에 따라 보장력 조절을 해주는 보장력조절 수단이 구비되며, 재잠김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이 구비되어야 한다. 또한 잡고있는 후크를 걸림해제시키기 위해 수백 mA정도의 작동전류가 소요된다.
하지만 이러한 솔레노이드식의 방화문 자동해정장치가 모든 필요조건을 충족하도록 하기 위해선 제조단가가 높아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제조단가가 낮고 신뢰성은 우수하며 피난시 재걸림방지도 가능한 방화용 도어릴리즈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존 설치된 도어릴리즈에서 호환가능한 방화용 도어릴리즈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방화문 상면에 설치되는 고리형 걸림뭉치와 벽체면에 설치되며 상기 고리형 걸림뭉치의 걸림고리를 걸림 및 걸림해제하는 래치박스로 구성된 방화용 도어 릴리즈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리형 걸림뭉치(10)는 전방돌출된 걸림고리(32)를 갖는 작동플레이트(30)가 베이스(20)의 내부공간부(22)에서 전후 및 상하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하고, 베이스(20)상에는 걸림고리(32)가 상하이동 가능케 하는 상하안내로(42)를 갖는 체결판(40)을 결합 구성하며, 베이스(20)의 내부공간부(22) 바닥면과 작동플레이트(30)간에는 착탈부재를 형성하되 작동플레이트(30)가 내부공간부(22)내의 전방으로 위치이동함에 따라 탈리되게 형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화재시 방화문을 자동 해정시키는 방화용 도어 릴리즈장치를 구현 하되 제조단가가 낮고 신뢰성은 우수하며 피난시 재걸림방지도 가능하게 해주는 장점이 있으며, 기존 도어릴리즈 제품에도 호환가능한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화용 도어릴리즈장치를 설치한 상태도로서, 도 1은 외관도이고, 도 2는 평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어릴리즈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는 쌍문 구조의 방화문에 도어릴리즈장치를 장치한 것을 일 예를 도시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여기에 국한되지 않으며 단문이나 3개 이상의 복문들로 된 방화문에도 적용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쌍문구조의 방화문(2a)(2b)은 소방 관련법에 따라 내부에서 외부로 열리도록 장치되며, 그 각각에는 도어클로저나 오토힌지와 같은 도어 자동닫힘장치(4)가 설치된다. 도 1 및 도 2에서는 도어 자동닫힘장치(4)의 일예로서 도어클로저를 들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화용 도어 릴리즈장치(A)는, 도 3에서와 같이, 크게 방화문(2a)(2b)에 각각 설치되는 고리형 걸림뭉치(10)와, 방화문(2a)(2b)의 측벽(6a)(6b)에 각각 설치되는 래치박스(12)로 구성한다. 래치박스(12)는 통상 매립형 래치박스이며 소방관련 규격에 의해서 측벽(6a)(6b)에 미리 형성된 사각홈내 에 설치되어진다.
래치박스(12)는 고리형 걸림뭉치(10)의 걸림고리(32)를 걸림 및 걸림해제하기 위한 래치편(도 12의 60)과 그 래치편(60)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부를 함께 내장한다. 구동부는 솔레노이드와 같은 전기적 구동장치나 외부 동력에 의해서 작동하는 기계적 구동장치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방화용 도어 릴리즈장치(A)에서 고리형 걸림뭉치(10)는 설치자가 래치박스(12)를 설치한 다음에 설치된다. 설치자는 측벽(6a)(6b)에 장착된 래치박스(12)의 삽입홈에 맞게 고리형 걸림뭉치(10)의 걸림고리(32)를 방화문(2a)(2b)상에서 위치정렬되게 한후 고리형 걸림뭉치(10)를 최종 체결고정시킴으로써 설치 완료되게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고리형 걸림뭉치(10)는 그 설치시 위치정렬이 아주 용이하도록 된 구조를 가지며 또 화재발생시 대피자의 피난으로 방화문(2a)(2b)이 확 열리더라도 래치박스(12)에 다시 걸리지 않도록 해주는 재걸림방지 기능이 포함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고리형 걸림뭉치(10)는 기존 도어릴리즈장치의 래치박스(12)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는 호환구조로 되어있다. 즉, 설치자가 기존 고리형 걸림뭉치만을 교체하여도 본 발명의 특징적 구성 및 기능을 갖는 방화용 도어 릴리즈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도 3의 고리형 걸림뭉치(10)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3의 고리형 걸림뭉치(1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고리형 걸림뭉치(10)는 크게, 내부공간부(22)를 갖는 베이스(20)와, 걸림고리(32)를 갖는 작동플레이트(30)와, 상하안내로(42)를 갖는 체결판(40)으로 구성한다.
베이스(20)는 그 저면이 방화문(2a)(2b)과 면접하는 부품으로서, 전방으로 돌출된 걸림고리(32)를 갖는 작동플레이트(30)가 전후이동과 상하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내부공간부(22)가 그 내부에 형성된다. 또 내부 공간부(22)는 약간의 좌우이동도 가능하도록 좌우방향으로도 확장 형성되어있다. 상기 내부공간부(22)는 베이스(20)의 좌우양측에 융기돌부가 형성됨에 따라 그 가운데 홈형태로 형성된다. 다른 일예로서, 베이스(20)의 상하길이가 작동플레이트(30)의 상하길이를 충분히 수납할 만큼 길게 형성된다면 베이스(20)의 외곽테두리를 따라서 융기돌부가 형성되게 구현하여 그 가운데 홈형태를 제공함으로써 내부공간부(22)를 형성할 수도 있다.
내부공간부(22)의 바닥면에는 작동플레이트(30)의 초기위치를 부착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착탈부재의 하나의 수단으로서 걸림돌봉(24)이 베이스(20)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내부공간부(22)의 바닥면 상에 형성된 걸림돌봉(24)의 전방돌출 높이는 베이스(20)의 내부공간부(22)에 마련된 작동플레이트(30)의 전후이동 이격갭(space gap)의 높이보다 훨씬 낮다.
베이스(20)의 내부공간부(22)에는 전방 돌출된 걸림고리(32)를 갖는 작동플레이트(30)가 삽입된다. 내부공간부(22)에서는 작동플레이트(30)가 전후이동 및 상하이동되고 좌우이동까지도 가능하다. 작동플레이트(30)의 전후 이동은 내부공간부(22)에 미리 마련된 전후이동 이격갭만큼 허용되고, 작동플레이트(30)의 상하 이 동은 작동플레이트(30)가 외부 힘에 의해 견인되어서 내부공간부(22)내의 전방으로 위치이동된 이후에야 이루어진다. 그리고, 작동플레이트(30)의 좌우이동은 베이스(20)의 내부공간부(22)의 바닥면에 형성된 걸림돌봉(24)에 끼워진 작동플레이트(30)의 걸림공(38)의 장공 좌우길이만큼 허용된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일예에서, 베이스(20)의 걸림돌봉(24)과 작동플레이트(30)에 형성된 걸림공(38)은 작동플레이트(30)의 초기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착탈부재의 하나의 수단이다. 도 4 내지 도 6에서, 작동플레이트(30)내 걸림공(38)의 장공 좌우길이만큼 허용된 작동플레이트(30)의 좌우이동은 측벽(6a)(6b)에 설치된 래치박스(12)의 삽입홈에 맞는 작동플레이트(30)내 걸림고리(32)의 초기위치를 선정해주는데 도움을 준다.
작동플레이트(30)의 초기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는 다른 일예로는 도 7 및 도 8의 일예가 있다.
도 7에서는 착탈부재의 다른 수단으로서, 베이스(20)의 내부공간부(22) 바닥면과 작동플레이트(30)의 후면에 벨크로테이프(50)(52)를 부착 형성하고 있으며, 도 8에서는 착탈부재의 또 다른 수단으로서, 베이스(20)의 내부공간부(22) 바닥면 및 작동플레이트(30)의 후면중 하나에 자석(54)을 고정하고 나머지 하나를 자성체 재질로 구성한 것을 일예로 보여주고 있다. 도 8의 예시에는 베이스(20)의 내부공간부(22)의 바닥면에 자석(54)을 고정하고 작동플레이트(30)를 금속재와 같은 자성체로 구성하고 있다.
도 7 및 도 8의 착탈부재를 사용하게되면 래치박스(12)의 삽입홈에 맞는 작 동플레이트(30)의 걸림고리(32)의 초기위치를 선정하는 것이 도 4 내지 도 6의 착탈부재를 사용하는 것보다 더 유리하게 된다. 이는 도 7 및 도 8의 착탈부재는 도 4 내지 도 6의 착탈부재와 같이 좌우위치 조절이 가능할 뿐 아니라 도 4 내지 도 6의 착탈부재가 하지 못하는 상하위치조절까지도 가능하게 해주기 때문이다.
상기한 일예와 같은 착탈부재는 외부에서의 견인력이 작용하면 작동플레이트(30)가 탈리되어 전방으로 이동될 수 있을 만큼의 부착력을 갖도록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착탈부재의 부착력은 작동플레이트(30)의 베이스(2)의 내부공간부(22)에 초기고정될 수 있을 정도는 최소한 가져야 하며 동시에 외부의 견인력보다는 적어야 한다.
베이스(20)의 내부공간부(22)에 삽입된 작동 플레이트(30)는 전방돌출된 걸림고리(32)가 래치박스(12)의 래치편(60)에 재걸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만큼의 충분한 상하이동이 이루어지도록 그 길이가 형성된다.
도 4 내지 도 6의 일 예에서는 베이스(20)는 그 면적을 가능한 한 적게하고 베이스(20)의 내부공간부(22)에서 상하 이동통로의 상하단이 개방형성되게 구성하여서 작동플레이트(30)의 상하부가 상기 개방된 상하 이동통로를 통해 외부로 돌출되게 한다. 이때 작동플레이트(30)의 상부 선단에는 걸림턱(34)이 형성되게 하여서 작동플레이트(30)가 자유낙하시 작동플레이트(30)의 걸림턱(34)이 베이스(20)의 상측외면에 턱걸림되도록 해준다. 또한 작동플레이트(30)의 하부 선단에도 걸림턱(36)을 형성하여서 작동플레이트(30) 승강시 외부로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베이스(20)의 하측외면에 턱걸림되도록 해준다.
베이스(20)의 내부공간부(22)에 작동플레이트(30)를 삽입후 베이스(20)상에는 걸림고리(32)가 상하이동 가능케 하는 상하안내로(42)를 갖는 체결판(40)을 체결결합함으로써 본 발명의 고리형 걸림뭉치(10)가 조립완성된다. 체결판(40)의 상하안내로(42)는 걸림고리(32)를 갖는 작동플레이트(30)가 재걸림방지될 수 있을 만큼 충분히 자유낙하될 수 있도록 하방 개방된 구조로 형성된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고리형 걸림뭉치(10)를 방화문(2a)(2b)에 체결고정시켰을 경우, 그 작동과정을 도 9 내지 도 12를 함께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도 9 내지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화용 도어 릴리즈장치(A)의 작동 상태도이고, 도 12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고리형 걸림뭉치(10)를 방화문(2a)(2b)에 설치한 본 발명의 방화용 도어릴리즈장치(A)의 평단면도이다.
방화문(2a)(2b)는 평소에는 항시 개방된 상태로 유지되어야 하므로 관리자는 방화문(2a)(2b)을 개방시켜서 방화문(2a)(2b)에 설치된 고리형 걸림뭉치(10)의 걸림고리(32)를 측벽(6a)(6b)에 설치된 래치박스(12)의 래치편(60)에 걸림고정되게 한다(도 9 및 도 12 참조).
관리자가 방화문(2a)(2b)을 개방시켜 놓을 때 고리형 걸림뭉치(10)는 착탈부재에 의해서 그 작동플레이트(30)가 베이스(20)의 내부공간부(22)의 바닥면에 부착된 상태에 있으며, 래치박스(12)의 래치편(60)에 걸림고리(32)가 걸림고정이 되자마자 방화문(2a)(2b)에 설치된 도어 자동닫힘장치(4)의 닫힘력에 의해서 고리형 걸림뭉치(10)의 베이스(20)는 후방으로 견인되어진다. 그에 따라 착탈부재에 의해서 베이스(20)의 내부공간부(22)의 바닥면에 부착되어 있던 작동플레이트(30)는 래치박스(12)내 래치편(60)이 걸림고리(32)를 잡아 당기는 힘과 도어 자동닫힘장치(4)의 닫힘력이 상호 반대방향으로 작용하면서 베이스(20)의 바닥면으로부터 탈리되어진다(도 10 참조).
이렇게 베이스(20)가 후방으로 견인되고 작동플레이트(30)로부터 탈리됨에 따라 상기 작동플레이트(30)는 베이스(20)의 내부공간부(22)의 전방으로 이동한 형태가 되어지고, 이 상태로 방화문(2a)(2b)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게된다.
도 10에서와 같이 래치박스(12)에 걸림되어 방화문(2a)(2b)이 개방된 상태에 있다가 실내 연기감지와 같은 화재발생을 감지하게 되면 래치박스(12)의 래치편(60)은 걸림해제상태로 전환된다. 래치박스(12)의 래치편(60)이 고리형 걸림뭉치(10)의 걸림고리(32)를 놓아주게 되면 방화문(2a)(2b)은 도어 자동닫힘장치(4)에 의해서 닫혀지는데, 이때 고리형 걸림뭉치(10)의 작동플레이트(30)는 베이스(20)의 내부공간부(22)의 바닥면에서 탈리되어 전방측에 위치한 관계로 하방으로 자유낙하를 하게 된다(도 11 참조).
그에 따라 고리형 걸림뭉치(10)의 걸림고리(32)가 낙하된 위치는 래치박스(12)의 삽입홈 하방에 있게 되는 바, 이후 대피자들이 방화문(2a)(2b)을 힘차게 밀쳐 열어 젖힘으로써 방화문(6a)(6b)의 고리형 걸림뭉치(10)가 측벽(6a)(6b)에 닿는다 할지라도 고리형 걸림뭉치(10)의 걸림고리(32)는 래치박스(12)의 삽입홈에 삽입되지 않게 된다. 즉 방화문(6a)(6b)이 개방상태로 걸림되는 재걸림이 방지된다.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고리형 걸림뭉치(10)의 다른 실시 예이다.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고리형 걸림뭉치(10)는 베이스(20)의 내부공간부(22)에서의 상하 이동통로가 상단은 폐쇄되고 하단만이 개방형성된 구조이다. 그리고, 작동플레이트(30)의 상부 선단에는 걸림턱(34)을 형성하되 베이스(20)의 내부공간부(22)내에 위치되며 자유 낙하시 내부공간부(22)의 하부에서 턱걸림이 이루어지게 형성한다.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작동플레이트(30)의 하부는 베이스(20)의 내부공간부(22)내 상하 이동통로의 개방된 하단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어지며, 작동플레이트(30)가 자유낙하된 상태에서는 그 하부가 고리형 걸림뭉치(10)의 하방으로 더 많이 돌출하여 노출되어진다.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구조와 같은 고리형 걸림뭉치(10)는 작동플레이트(30)가 고리형 걸림뭉치(10)의 상방으로 돌출되지 않으므로 깔끔한 형태를 유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3 및 도 14와 같은 구조의 고리형 걸림뭉치(10)에서도 착탈부재의 수단으로서 도 7에 도시된 벨크로테이프(50)(52)나 도 8에 도시된 자석(54)을 채용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고리형 걸림뭉치(10)의 베이스(20)를 상하가 좌우보다 더 큰 직사각형 형태로 구현한다면 베이스(20)의 작동플레이트(30)의 충분한 상하 이동통로 형성을 위해 베이스(20)내 내부공간부(22)의 상단 및 하단을 개방할 필요가 없다. 그러므로 작동플레이트(30)가 베이스(30)내의 내부공간부(22)에서만 상하 이동통로가 형성되어 작동되게 제작할 수도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 져야 한다.
본 발명은 특별피난계단 및 부속실의 제연설비의 부속품으로서 이용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화용 도어릴리즈장치를 설치한 전체 상태도로서, 도 1은 외관도, 도 2는 평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화용 도어 릴리즈장치의 사시도.
도 4 및 도 5는 도 3의 고리형 걸림뭉치 사시도.
도 6은 도 3의 고리형 걸림뭉치 분해 사시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고리형 걸림뭉치의 변형 예시도.
도 9 내지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화용 도어 릴리즈장치의 작동 상태도.
도 12는 본 발명의 방화용 도어릴리즈장치의 평단면도.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고리형 걸림뭉치의 다른 실시예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고리형 걸림뭉치 (12)-- 래치박스
(20)-- 베이스 (22)-- 내부공간부
(24)-- 돌봉 (30)-- 작동플레이트
(32)-- 걸림고리 (34)(36)-- 걸림턱
(38)-- 걸림공 (40)-- 체결판
(42)-- 상하안내로 (50)(52)-- 벨크로테이프
(54)-- 자석 (60)-- 래치편

Claims (9)

  1. 방화문 상면에 설치되는 고리형 걸림뭉치와 벽체면에 설치되며 상기 고리형 걸림뭉치의 걸림고리를 걸림 및 걸림해제하는 래치박스로 구성된 도어릴리즈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리형 걸림뭉치(10)는, 내부공간부(22)를 갖는 베이스(20)와, 내부공간부(22)에 위치하며 전방돌출된 걸림고리(32)를 갖는 작동플레이트(30)와, 베이스(20)상에 체결되며 걸림고리(32)가 상하이동 가능케 하는 상하안내로(42)를 갖는 체결판(40)으로 구성하며, 베이스(20)의 내부공간부(22) 바닥면과 작동플레이트(30)간에는 착탈부재를 형성하되 작동플레이트(30)가 내부공간부(22)내의 전방으로 위치이동함에 따라 작동플레이트(30)가 상기 착탈부재로부터 탈리되게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용 도어 릴리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부재는 베이스(20)의 내부공간부(22)바닥면상에 형성된 걸림돌봉(24)이 작동플레이트(30)의 걸림공(38)에 걸림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용 도어 릴리즈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부재는 베이스(20)의 내부공간부(22) 바닥면과 작동플레이트(30)의 후면에 벨크로테이프(50)(52)를 부착 형성하여서 구성함을 특징 으로 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용 도어 릴리즈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부재는 베이스(20)의 내부공간부(22) 바닥면 및 작동플레이트(30)의 후면중 하나에 자석(54)을 부착형성하고 나머지 하나를 자성체 재질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용 도어 릴리즈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베이스(20)에는 내부공간부(22)의 상하단으로 개방된 작동플레이트(30)용 상하 이동통로가 형성되어서 작동플레이트(30)의 상하부가 상기 개방된 상하 이동통로를 통해 외부로 돌출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용 도어 릴리즈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작동플레이트(30)의 상부 선단에는 걸림턱(34)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용 도어 릴리즈장치.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체결판(4)의 상하안내로(42)는 체결판(4)의 하방으로 개방된 구조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용 도어 릴리즈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베이스(20)에는 내부공간부(22)의 상단이 폐쇄되고 하단으로 개방된 작동플레이트(30)용 상하 이동통로가 형성되어서, 작동플레이트(30)의 하부가 상기 상하 이동통로의 개방된 하단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용 도어 릴리즈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베이스(20)의 내부공간부(22)에 위치한 작동플레이트(30)의 상부 선단에는 걸림턱(34)을 형성하되, 베이스(20)의 내부공간부(22)의 하부에서 걸림턱(34)이 턱걸림 이루어지게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용 도어 릴리즈장치.
KR1020080010402A 2008-01-31 2008-01-31 방화용 도어 릴리즈장치 KR1008854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0402A KR100885404B1 (ko) 2008-01-31 2008-01-31 방화용 도어 릴리즈장치
PCT/KR2009/000482 WO2009096749A2 (ko) 2008-01-31 2009-01-30 방화용 도어 릴리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0402A KR100885404B1 (ko) 2008-01-31 2008-01-31 방화용 도어 릴리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85404B1 true KR100885404B1 (ko) 2009-02-24

Family

ID=406820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0402A KR100885404B1 (ko) 2008-01-31 2008-01-31 방화용 도어 릴리즈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885404B1 (ko)
WO (1) WO2009096749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6745B1 (ko) * 2019-11-29 2020-03-09 (주)피씨엠글로벌기술사건축사사무소 화재발생시 막다른 복도 진입 방지장치 운용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86089B (zh) * 2018-04-28 2023-10-03 广州地铁设计研究院股份有限公司 用于立转式防淹防护门的门体导向及锁定装置
DE202018106887U1 (de) * 2018-12-04 2019-01-23 Sphinx Electronics Gmbh & Co. Kg Selbstjustierendes Schließstück für eine Schließeinhei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50001247Y1 (ko) * 1982-11-16 1985-06-19 임동현 자석식 자동폐쇄장치
KR100491383B1 (ko) 2004-11-24 2005-05-24 최창원 방화문 자동해정장치
JP2006247118A (ja) 2005-03-10 2006-09-21 Ryobi Ltd 防火戸閉鎖装置
KR20070056722A (ko) * 2005-11-30 2007-06-04 한라산업(주) 접이식 방화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50001247Y1 (ko) * 1982-11-16 1985-06-19 임동현 자석식 자동폐쇄장치
KR100491383B1 (ko) 2004-11-24 2005-05-24 최창원 방화문 자동해정장치
JP2006247118A (ja) 2005-03-10 2006-09-21 Ryobi Ltd 防火戸閉鎖装置
KR20070056722A (ko) * 2005-11-30 2007-06-04 한라산업(주) 접이식 방화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6745B1 (ko) * 2019-11-29 2020-03-09 (주)피씨엠글로벌기술사건축사사무소 화재발생시 막다른 복도 진입 방지장치 운용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9096749A2 (ko) 2009-08-06
WO2009096749A3 (ko) 2009-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03435B2 (en) Gate latch
US8936064B1 (en) Trolley lock for a garage door opener
KR100885404B1 (ko) 방화용 도어 릴리즈장치
KR20220130661A (ko) 이중 밀폐방식 방화장치
KR100681395B1 (ko) 화재 확산 방지를 위한 방화문의 설치구조
KR102071073B1 (ko) 방화 셔터 연동형 피난문 프레임의 잠금장치
CN110709569A (zh) 磁触发锁机构
KR200407042Y1 (ko) 방화셔터용 차폐부재
US9091103B2 (en) Sliding glass door safety latch
KR100571700B1 (ko) 문구조의 내부 해정장치
JP4643170B2 (ja) エレベータのドア装置
JPH0325806Y2 (ko)
KR101920779B1 (ko) 금고 및 수장고용 도어
JP2017048589A (ja) 扉装置
KR101024221B1 (ko) 해정수단을 갖는 비상문
KR920001163Y1 (ko) 건물용 배연창(排涅窓)
KR200176972Y1 (ko) 비상구 일체형의 방화 셔터
KR102291589B1 (ko) 컨트롤박스용 도어 시건장치
KR20210128678A (ko) 방화기능이 향상된 방화셔터장치
KR101738295B1 (ko) 방화셔터의 비상문 개폐장치
JP3936605B2 (ja) 自動閉鎖窓
JP4792911B2 (ja) エレベータの乗場出入口装置
KR200388127Y1 (ko) 화재 확산 방지를 위한 방화문의 설치구조
KR200397160Y1 (ko) 출입문용 권취식 방충망의 열림방지구조
KR20160001124A (ko) 도어 잠금 해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