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56722A - 접이식 방화문 - Google Patents

접이식 방화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56722A
KR20070056722A KR1020050115736A KR20050115736A KR20070056722A KR 20070056722 A KR20070056722 A KR 20070056722A KR 1020050115736 A KR1020050115736 A KR 1020050115736A KR 20050115736 A KR20050115736 A KR 20050115736A KR 20070056722 A KR20070056722 A KR 200700567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fire
emergency
doors
h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57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50903B1 (ko
Inventor
윤택중
Original Assignee
한라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라산업(주) filed Critical 한라산업(주)
Priority to KR10200501157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0903B1/ko
Publication of KR200700567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67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09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09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2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fol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emergency conditions, e.g. fir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48Wings connected at their edges, e.g. foldable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6Fireproof doors or similar closures; Adaptations of fixed constructio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6Fireproof doors or similar closures; Adaptations of fixed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64Sealing arrangements between the door or window and its frame, e.g. intumescent seal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10Additional functions
    • E05Y2800/12Seal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 E05Y2900/134Fire 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화문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학교나 관공서 또는 백화점이나 대형창고와 같은 비교적 대형 건물의 넓은 출입구에 설치되어 좌우 접철식으로 동작됨으로써, 상기 건물의 계단 측면에 설치된 핸드레일이나 기타 다른 조형물 등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으며, 비상문의 추가 구성으로 인해 인명피해를 줄일 수 있는 접이식 방화문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갖는 본 발명의 접이식 방화문은, 건물의 통로를 이루는 좌우측 벽체 측에 각각 설치되어, 오토힌지 및 도어 릴리즈의 작용에 의하여 회동되어 화재 발생 시 상기 건물의 통로를 폐쇄하는 제1 도어 및 제3 도어에 있어서, 제1 도어 및 제3 도어에는 경첩을 통해 절첩 가능한 동시에 좌우측 벽체 상단의 안내레일에 결합된 구름롤러를 통해 회동 가능한, 제2 도어 및 제4 도어가 각각 더 결합 구성되고, 상기 제1 내지 제4 도어 중 적어도 하나의 도어에는 비상문이 더 설치되되어 구성되며, 상기 비상문은 항상 폐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스프링 경첩 및 사람이 눌러 개방시킬 수 있는 비상용 개방장치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접이식 방화문, 비상문, 접철식 도어, 스프링 경첩, 비상용 개방장치, 도어 릴리즈, 오토 힌지, 틈새 방지편

Description

접이식 방화문{Folding Type Fireproof Door}
도 1은 본 발명의 접이식 방화문이 폐쇄된 상태를 나타내는 전체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접이식 방화문 중 일측은 폐쇄되어 있고 타측은 폐쇄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전체 개략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접이식 방화문 중 안내레일 및 구름롤러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확대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접이식 방화문에 결합된 구성요소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일부 확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접이식 방화문에 적용된 일 예의 오토힌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접이식 방화문 비상문에 적용된 일 예의 스프링 경첩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접이식 방화문에 구성된 비상문의 비상용 개방장치를 나타내는 전체 결합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비상용 개방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비상용 개방장치가 비상문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 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접이식 방화문의 개방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접이식 방화문의 폐쇄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접이식 방화문의 폐쇄 시 비상문을 개방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3a는 도 9의 A-A' 선에 따른 비상문에 설치된 비상용 개방장치의 잠금상태를 나타내는 잠금 상태도
도 13b는 도 9의 A-A' 선에 따른 비상문에 설치된 비상용 개방장치의 해제상태를 나타내는 해제 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30 : 건물 출입구측 벽체 13, 33 : 도어 릴리즈
100 : 제1 도어 120, 320 : 고리
110, 310 : 오토힌지 130, 330 : 보조 잠금장치
200 : 제2 도어 250, 450 : 구름롤러
300 : 제3 도어 400 : 제4 도어
500 : 안내레일 600 : 비상문
610 : 스프링 경첩 630 : 비상용 개방장치
본 발명은 화재 발생 시 화재의 확산을 방지하거나 또는 지연시키기 위해 출입구를 차단하여 화기나 유독성 가스의 확산 및 누출을 방지함으로써 인명이나 재산피해를 줄일 수 있도록 하는 방화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학교나 관공서 또는 백화점이나 대형창고와 같은 비교적 대형 건물의 넓은 출입구에 설치되어 좌우 접철식으로 동작됨으로써, 상기 건물의 계단 측면에 설치된 핸드레일이나 기타 다른 조형물 등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는 접이식 방화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학교나 관공서 또는 백화점이나 대형창고와 같은 비교적 대형 건물은 인원의 출입이 많거나 또는 대형의 물품을 다루어야 함에 따라 그 출입구가 크게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한 대형 건물들은 화재 발생 시 인명이나 재산 피해가 커질 수 있어 방화시스템의 구축은 매우 중요한 요소가 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각 나라에서는 방화시스템에 대한 설비를 엄격히 규정하고 있다.
상기한 방화시스템 구축에는 방화문에 대한 규정이 포함되어 있는 바, 방화문은 언제나 닫힌 상태를 유지하거나 화재로 인한 연기의 발생 또는 온도 상승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닫히는 구조가 되도록 관련법에서 규정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방화문이 항상 닫힌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방화문을 잠가 놓아야 하는데 이는 사용자들에게 불편을 주게 된다.
따라서 상기한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통상적으로 대형 건물들의 출입구에는 화재로 인한 연기의 발생이나 온도의 상승이 있을 때 자동으로 폐쇄되는 방화문이 설치되어 있다.
즉, 상기 방화문은 평상 시에는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여 사람이나 물품의 출입이 가능토록 하고, 화재의 발생 시 자동으로 폐쇄되는 것이다.
학교나 관공서 또는 백화점이나 대형창고와 같은 비교적 대형 건물의 출입구에 설치되어 상기와 같이 작동되는 방화문은 통상 상하 작동되는 셔터식 방화문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한 셔터식 방화문의 설치 이유는, 상기 건물의 계단 측면에 설치되어 보행자의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핸드레일이나 다른 조형물 등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즉, 상기와 같이 대형 건물의 출입구에는 그를 폐쇄할 수 있는 크기의 여닫이 방화문이 좌우 한쌍으로 설치되어야 하고, 그의 여닫이 동작 시 크기에 따른 개폐반경이 커짐에 따라 그의 동작범위 내에는 다른 장애물이 설치되어 있지 않아야 한다.
그러나, 통상의 건물 계단 측면에는 핸드레일이나 다른 조형물 등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여닫이 방화문이 설치되지 못하고 셔터식 방화문이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한 셔터식 방화문은 상하 동작되어야 함에 따라 여닫이 방화문에 비하여 그 소재나 두께 등을 마음대로 할 수 없어 여닫이 방화문에 비하여 그 강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고, 건물의 출입구 상부에 매립 설치됨에 따라 매립부의 틈새 처리가 어려워 화재 발생 시 상기 틈새를 통한 유독 가스의 유출위험이 상존해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학교나 관공서 또는 백화점이나 대형창고와 같은 비교적 대형 건물의 넓은 출입구에 설치되어 좌우 접철식으로 동작됨으로써, 상기 건물의 계단 일측에 설치된 핸드레일이나 기타 다른 조형물 등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는 접이식 방화문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화재의 발생으로 방화문이 자동으로 닫혀져 출입구가 폐쇄되었을 때, 안전한 곳으로 미처 대피하지 못한 사람이 상기 방화문의 일측에 설치된 별도의 비상문을 쉽게 개방하여 나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인명의 피해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접이식 방화문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접이식 방화문은, 건물의 통로를 이루는 좌우측 벽체 측에 각각 설치되어, 오토힌지 및 도어 릴리즈의 작용에 의하여 회동되어 화재 발생 시 상기 건물의 통로를 폐쇄하는 제1 도어 및 제3 도어에 있어서, 제1 도어 및 제3 도어에는 경첩을 통해 절첩 가능한 동시에 좌우측 벽체 상단의 안내레일에 결합된 구름롤러를 통해 회동 가능한, 제2 도어 및 제4 도 어가 각각 더 결합 구성되어, 학교나 관공서 또는 백화점이나 대형창고와 같은 비교적 대형 건물의 넓은 출입구에 설치되어 좌우 접철식으로 동작됨으로써, 건물의 계단 일측에 설치된 핸드레일이나 기타 다른 조형물 등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 상기 구성에 있어서, 제1 내지 제4 도어 중 적어도 하나의 도어에는 비상문이 더 설치되되, 비상문은 항상 폐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스프링 경첩을 통해 해당 도어에 결합 설치되고, 비상문에는 사람이 눌러 개방시킬 수 있는 비상용 개방장치가 설치되어, 화재의 발생으로 본 발명의 방화문이 자동으로 닫혀져 출입구가 폐쇄되었을 때, 안전한 곳으로 미처 대피하지 못한 사람이 상기 방화문의 일측에 설치된 별도의 비상문을 쉽게 개방하여 나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인명의 피해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 상기 구성에 있어서, 제1 도어 및 제3 도어의 상단 일측에는 보조 잠금장치가 각각 더 설치되고, 제1 도어 및 제3 도어의 폐쇄 시 상기 보조 잠금장치들이 위치하는 안내레일에는 보조 잠금장치의 잠금작용을 위한 잠금장치 수용홈이 각각 형성되어, 화재 발생 시 그 화력에 의한 변형으로 발생할 수 있는 상기 도어들의 개방을 저지함으로써, 화재의 확산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 상기 구성에 있어서, 제1 내지 제4 도어들의 서로 맞닿는 부분에는, 인접한 도어의 틈새를 방지하기 위하여, 해당 도어의 절첩 시 간섭이 일어나지 않는 방향으로 해당 도어의 외측 철편이 일체로 연장되어 이루어진, 틈새 방지편이 각각 더 형성되어, 화재 발생 시 본 발명의 방화문 틈새를 통한 유독가스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접이식 방화문이 폐쇄된 상태를 나타내는 전체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접이식 방화문 중 일측은 폐쇄되어 있고 타측은 폐쇄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전체 개략도이며,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접이식 방화문 중 안내레일 및 구름롤러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확대 사시도이다.
상기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접이식 방화문은 매립형 방화문으로서, 건물의 좌측 벽체(10) 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여닫이 형태로 설치되는 제1 도어(100)와, 경첩(150a)에 의해 상기 제1 도어(100)와 결합되어 절첩 및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도어(200)와, 건물의 우측 벽체(30) 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여닫이 형태로 설치되는 제3 도어(300)와, 경첩(150b)에 의해 상기 제3 도어(300)와 결합되어 절첩 및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4 도어(400) 및, 서로 대향하여 설치된 상기 제2 도어(200)와 제4 도어(400)를 안내하는 안내레일(50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접이식 방화문에 대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건물의 통로를 이루는 좌측 벽체(10)와 우측 벽체(30)의 상단에 형성된 상측 벽체(미도시)에는 안내레일(500)이 설치되고, 상기 건물의 좌측 벽체(10) 말단에는 경첩(20a)을 통하여 회동(접힘이나 펼침) 가능하도록 제1 도어(100)가 설치되며, 상기 제1 도어(100)의 말단에는 경첩(150a)을 통하여 회동 가능하도록 제2 도어(200)가 결합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건물의 우측 벽체(30) 말단에는 경첩(20b)을 통하여 회동 가능하도록 제3 도어(300)가 설치되고, 상기 제3 도어(300)의 말단에는 경첩(150b)을 통하여 회동 가능하도록 제4 도어(400)가 결합 설치된다.
상기 구성에서 좌측 벽체(10)와 우측 벽체(30)의 경첩(20a, 20b) 고정부에는 각각 홈(12, 32)이 형성된다. 상기 홈(12, 32)은 제1 도어(100)와 제3 도어(300)가 개방되어 각각의 해당 벽체(10, 30)에 밀착되었을 때 돌출된 상기 경첩(20a, 20b)들이 상기 홈(12, 32) 내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제1 도어(100)와 제3 도어(300)가 각각의 해당 벽체(10, 30)에 완전하게 밀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1 도어(100) 및 제3 도어(300)의 하단에는 상기 도어(100, 300)들의 자동 폐쇄를 위한 오토힌지(Auto Hinge)(110, 310)가 각각 결합되어 설치되고, 상기 제1 도어(100) 및 제3 도어(300)의 면에는 고리(120, 320)가 각각 고정 설치된다.
상기 좌측 벽체(10)와 우측 벽체(30)에는, 상기 제1 도어(100) 및 제3 도어 (300)의 고리(120, 320)를 잡아 평상 시에는 상기 도어(100, 300)들의 회동을 저지함으로써, 상기 도어(100, 300)들의 개방 상태를 유지시키는 통상의 도어 릴리즈(Door Release)(13, 33)가 각각 설치된다.
즉, 상기 도어 릴리즈(13, 33)에는 상기 고리(120, 320)를 잡아 주는 솔레노이드 방식의 래치(13a, 33a)(도 10 및 도 11에 도시)와 화재 발생 시 주위 분위기 온도가 상승되면 기계적으로 용단되는 열감지 퓨즈(미도시)가 각각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화재 발생 시 주위 온도의 상승으로 상기 열감지 퓨즈가 용단되면 고리(120, 320)가 각 래치(13a, 33a)로 부터 해제되고, 이때 오토힌지(110, 310)의 작용에 의하여 도어(100, 300)가 회동되어 닫히게 된다.
도 2 내지 도 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어의 폐쇄 시 서로 대향하여 위치되는 제2 도어(200)와 제4 도어(400)의 상단 일측에는 각각 안내레일(500)을 따라 이동하는 구름롤러(250, 450)가 고정 설치된다.
상기 제1 도어(100) 및 제3 도어(300)의 상단 일측에는, 화재 발생 시 화력에 의한 변형으로 발생할 수 있는 상기 도어(100, 300)들의 개방을 저지하기 위하여, 별도의 보조 잠금장치(130, 330)가 각각 더 설치되고, 상기 제1 도어(100) 및 제3 도어(300)의 폐쇄 시 상기 보조 잠금장치(130, 330)들이 위치하는 안내레일(500)의 하단에는 상기 보조 잠금장치(130, 330)와 상호 작용하는 잠금장치 수용홈(520)(도 4에 도시)이 각각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1 도어(100)에는 비상문(600)이 더 설치되어, 화재의 발생으로 상기 본 발명의 접이식 방화문이 폐쇄되어 출입구가 차단되었을 때, 안전한 곳으로 미처 대피하지 못한 사람이 상기 비상문(600)을 손쉽게 개방하여 나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인명의 피해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한 비상문(600)은 항상 폐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스프링 경첩(610)을 통해 상기 제1 도어(100)에 결합되고, 상기 비상문(600)의 일측에는 사람이 눌러 개방시킬 수 있는 비상용 개방장치(630)가 설치되며, 상기 제1 도어(100)가 개방되어 좌측 벽체(10)에 밀착되었을 때 돌출되어 설치된 상기 비상용 개방장치(630)의 간섭이 방지되도록 상기 좌측 벽체(10)에는 상기 비상용 개방장치(630)를 수용하는 수용홈(15)이 더 형성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접이식 방화문에 결합된 구성요소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일부 확대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접이식 방화문에 적용된 일 예의 오토힌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접이식 방화문 비상문에 적용된 일 예의 스프링 경첩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상기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접이식 방화문에 결합 적용된 구성요소의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제1 도어(100) 및 제3 도어(300)의 하단에 각각 설치된 오토힌지(110, 310)는 화재 발생 시 화재의 확산을 방지 또는 지연시키기 위하여 방화문에 설치되는 장치로서, 화재 발생 시 상기 방화문을 자동으로 서서히 닫도록 동작되고, 상기 방화문의 개방 시에는 적은 힘으로도 쉽게 개방시킬 수 있는 통상의 장치이다.
상기한 오토힌지(110, 310)의 일 예에 대한 개략적인 구조는 다음과 같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통형 케이스(112, 312)의 내부에 회전축(114, 314)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회전축(114, 314)의 둘레에는 스프링(116, 316)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스프링(116, 316)의 하부에는 외주면에 일정 간격으로 텐션조절공(117, 317)이 형성된 텐션조절구(115, 315)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텐션조절구(115, 315)와 대응되는 원통형 케이스(112, 312)의 일측에는 텐션조절공(117, 317)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텐션조절공(117, 317)에 고정핀(118, 318)을 끼워 상기 개구부의 일단에 걸리도록 하여 텐션을 유지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부에는 상기 회전축(114, 314)의 회전속도를 조절하는 유압조절장치(미도시)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구조를 갖는 오토힌지(110, 310)에 있어서, 제1 도어(100) 및 제3 도어(300)가 각각의 벽면에 밀착되어 개방되어 있을 때에는 회전축(114, 314)의 회전에 의하여 스프링(116, 316)이 감겨져 압축된 상태에 있고, 상기 제1 도어(100) 및 제3 도어(300)의 폐쇄 시에는 상기 압축 상태에 있던 스프링(116, 316)이 원위치 복원되면서 상기 제1 도어(100) 및 제3 도어(300)를 회전시켜 닫히도록 하게 되며, 이때 도시되지 않은 유압조절장치에 의하여 급격한 속도의 닫힘이 저지되면서 서서히 닫히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구조 및 작용효과를 갖는 오토힌지(110, 310)는 통상의 장치임을 밝혀 둔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1 도어(100) 및 제3 도어(300)의 상단 일측에 설치된 보조 잠금장치(130, 330)는 안내레일(500)의 하단에 형성된 잠금장치 수용홈(520)에 삽입되어, 화재 발생 시 그 화력에 의한 변형으로 발생할 수 있는 상기 도어(100, 300)들의 개방을 저지하는 것이다.
상기한 보조 잠금장치(130, 330)는 통상의 장치로서, 도시되지 않은 스프링에 의하여 돌출되어 있는 스토퍼(333)와, 상기 스토퍼(333)를 해제시킬 수 있는 회전 손잡이(335)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보조 잠금장치(130, 330)는 다음과 같은 작용효과를 이룬다.
즉, 상기 오토힌지(110, 310)에 의하여 제1 도어(100) 및 제3 도어(300)가 회전하여 폐쇄될 때 상기 스토퍼(333)는 안내레일(500)의 하단에 닿으면서 스프링(미도시)의 힘을 이기고 압축되고, 상기 안내레일(500)의 하단에 형성된 잠금장치 수용홈(520)에 일치 시 스프링의 힘에 의하여 다시 돌출되어 스토퍼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는 통상의 도어 손잡이 등에 적용되는 장치이다.
상기 제1 도어(100)에 설치된 비상문(600)을 항상 폐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스프링 경첩(610)의 일 예는 도 6에 나타내었다.
상기 스프링 경첩(610)의 종류는 매우 다양하나, 그 중 하나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스프링 경첩(610)은 통상의 경첩에 있어서, 회전축(612)의 중앙에 코일스프링(615)이 결합 설치되어, 상기 코일스프링(615)이 그 탄성에 의하여 제1 도어(100) 및 비상문(600)에 고정된 각각의 날개편(도면번호 미부여)을 밀고 있음에 따라 상기 비상문(600)을 항상 폐쇄 상태를 유지시키게 되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접이식 방화문에 구성된 비상문의 비상용 개방장치를 나타내는 전체 결합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비상용 개방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비상용 개방장치가 비상문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비상문(600)에 설치된 비상용 개방장치(630)는, 일측 개방부(631a)를 갖는 장방형 박스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비상문(600)에 고정되는 하우징(631)과, 상기 하우징(631)의 전방에 설치되어 상기 비상문(600)에 고정되는 베이스(632)와, 상기 베이스(632)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외측으로 돌출되어 제1 도어(100)의 측면에 형성된 홈(100a)(도 12 내지 도 13b에 도시)에 삽입되는 래치(633)와, 상기 래치(633)의 돌출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해 이를 탄력적으로 잡아당기는 탄성부재(634)와, 상기 베이스(632)에 축 결합되어 푸시바(637)에 의한 지렛대 작용으로 상기 래치(633)를 들어올림으로써 상기 래치(633)가 상기 제1 도어(100)의 측면 홈(100a)으로부터 빠져 나오도록 하는 작동레버(635)와, 상기 작동레버(635)에 의해 래치(633)가 동작되어 상기 제1 도어(100)의 측면 홈(100a)으로부터 빠져 나올 때 상기 래치(633)의 이동거리를 제한하는 스토퍼(636)와, 상기 하우징(631)의 개방부(631a)를 통해 하우징(631)에 결합되고 선단부에 상기 작동레버(635)를 수용하여 이를 동작시키는 푸시바(637)와, 상기 하우징(631)과 푸시바(637)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푸시바(637)의 원위치 상태를 신속히 유지시키는 푸시바 원위치 탄성체(638) 및, 상기 베이스(632)에 결합되어 상기 베이스 구성품들을 보호하는 베이스 커버(639)로 구성된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비상용 개방장치(630) 또한 공지된 장치임에 따라 그의 상세한 결합관계는 생략하기로 하고, 그의 동작은 이하의 작용효과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접이식 방화문에 대한 작동관계에 대해 도 4 및 아래의 도면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접이식 방화문의 개방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접이식 방화문의 폐쇄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먼저,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평상 시 건물의 통로(P)를 통하여 출입이 가능하도록 본 발명의 접이식 방화문이 개방된 상태를 이루고 있다.
즉, 건물의 통로(P)를 이루는 좌측 벽체(10)와 우측 벽체(30) 측에 각각 제1 도어(100) 및 제3 도어(300)가 밀착되어 있는 바, 이는 상기 좌측 벽체(10)와 우측 벽체(30)에 각각 설치된 도어 릴리즈(13, 33)에 구성된 솔레노이드 방식의 래치(13a, 33a)가 상기 제1 도어(100) 및 제3 도어(300)에 설치된 고리(120, 320)를 각각 잡고 있어 상기 도어(100, 300)들의 개방 상태가 저지되고, 각각의 벽체(10, 30)에 밀착되어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 도어(100) 및 제3 도어(300)에 각각의 경첩(150a, 150b)을 통하여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된 제2 도어(200) 및 제4 도어(400)는 상기 제1 도어(100) 및 제3 도어(300)에 각각 밀착되어 위치되어 있으며, 이때 상기 제2 도어(200) 및 제4 도어(400)의 상단 일측에 고정된 구름롤러(250, 450)들은 각각 도 4에 도시된 안내레일(500)에 결합된 상태로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접이식 방화문이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이로 인하여 통로(P)를 통한 출입이 자유로워 진다.
상기한 상태에서 화재가 발생되어 주위 분위기 온도가 상승되면 상기 도어 릴리즈(13, 33)에 각각 구성된 열감지 퓨즈(미도시)가 용단되고, 이로 인하여 상기 제1 도어(100) 및 제3 도어(300)에 고정된 고리(120, 320)를 각각 잡고 있던 래치(13a, 33a)가 해제되어 상기 고리(120, 320)를 놓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제1 도어(100) 및 제3 도어(300)에 결합되어 항상 폐쇄상태를 유지하려는 오토힌지(110, 310)의 동작에 의하여 해당 도어(100, 300)가 각각 회동되어 통로(P)를 폐쇄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은 제1 도어(100) 및 제3 도어(300)의 회동과 함께 해당 도어(100, 300)에 각각 밀착되어 있던 제2 도어(200) 및 제4 도어(400)가 동시에 폐쇄된다.
즉, 상기 제2 도어(200) 및 제4 도어(400)의 상단에 고정된 구름롤러(250, 450)는 각각 안내레일(500)에 위치해 있음에 따라 오토힌지(110, 310)의 동작에 의한 해당 도어(100, 300)들의 회동력에 의하여 상기 제2 도어(200) 및 제4 도어(400)의 상단에 고정된 구름롤러(250, 450)가 안내레일(500)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2 도어(200) 및 제4 도어(400)가 도 11에서와 같이 폐쇄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오토힌지(110, 310)의 동작에 의하여 폐쇄되는 제1 도어(100) 및 제3 도어(300)의 상단 일측에 각각 형성된 보조 잠금장치(130, 330)가 안내레일(500)에 형성된 잠금장치 수용홈(520)에 삽입되어 상기 제1 도어(100) 및 제3 도어(300)의 잠금상태를 유지시키게 된다.
따라서, 화재의 발생 시 본 발명의 접이식 방화문이 도 11에 도시된 것처럼 통로를 폐쇄하여 화기나 유독성 가스의 확산 및 누출을 방지하게 된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것처럼, 제1 도어(100)와 제2 도어(200)의 맞닿는 부분과, 제3 도어(300)와 제4 도어(400)의 맞닿는 부분 및, 제2 도어(200)와 제4 도어(400)의 맞닿는 부분의 틈새를 통한 유독가스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도어들의 맞닿는 부분에는 상기 틈새를 막을 수 있는 틈새 방지편(201a, 401a, 401b)이 각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틈새 방지편(201a, 401a, 401b)은 해당 도어의 절첩 시 간섭이 일어나지 않는 방향으로 해당 도어의 외측 철편이 일체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접이식 방화문에 구성된 비상문의 작동관계에 대해 도 9 및 아래의 도면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접이식 방화문의 폐쇄 시 비상문을 개방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3a는 도 9의 A-A' 선에 따른 비상문에 설치된 비상용 개방장치의 잠금상태를 나타내는 잠금 상태도이며, 도 13b는 도 9의 A-A' 선에 따른 비상문에 설치된 비상용 개방장치의 해제상태를 나타내는 해제 상태도이다.
먼저, 도 13a를 참고로 하여 최초 비상문(600)이 잠겨 있는 상태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비상문(600)에 설치된 비상용 개방장치(630)에 있어서, 탄성부재(634)의 압축력(끌어 당김)에 의하여 래치(633)의 선단(633a)이 베이스(632)의 외측으로 돌출되고, 이것이 제1 도어(100)의 측면 홈(100a)에 삽입되어 걸림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비상문(600)은 임의로 열리지 않게 된다.
상기한 상태에서, 화재의 발생으로 인한 본 발명의 접이식 방화문의 폐쇄에 의하여 안전한 곳으로 미처 대피하지 못한 사람이, 도 12 및 도 13b에 도시된 비상용 개방장치(630)의 푸시바(637)를 누르면 작동레버(635)의 후방부가 눌려지고, 반면에 그 선단부는 탄성부재(634)의 압축력을 이기면서 래치(633)의 후단(633b)을 들어 올린다.
이에 따라 래치(633)의 선단(633a)이 제1 도어(100)의 측면 홈(100a)으로부터 빠져 나와 베이스(632)의 내부로 들어 옴에 따라 비상문(600)의 잠금상태가 해제되고, 계속하여 비상문(600)을 밀면 손쉽게 개방된다.
즉, 푸시바(637)를 통해 비상문(600)을 밀면, 비상용 개방장치(630)의 래치(633)가 해제되면서 상기 비상문(600)이 제1 도어(100)로 부터 손쉽게 개방된다.
상기와 같이 개방된 비상문(600)을 통해 대피하고, 상기 개방된 비상문(600)에 아무런 외력이 작용하지 않게 되면 스프링 경첩(610)의 작용에 의하여 상기 비상문은 자동으로 닫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자동으로 닫힌 비상문(600)의 비상용 개방장치(630)에 구성된 탄성부재(634)의 인장력에 의해 래치(633)의 선단(633a)이 도 13a에 도시된 것처럼 다시 돌출되기 때문에, 상기 비상문(600)은 초기 상태의 잠금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 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접이식 방화문은, 학교나 관공서 또는 백화점이나 대형창고와 같은 비교적 대형 건물의 넓은 출입구에 설치되어 좌우 접철식으로 동작됨으로써, 상기 건물의 계단 일측에 설치된 핸드레일이나 기타 다른 조형물 등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접이식 방화문은, 화재의 발생으로 방화문이 자동으로 닫혀져 출입구가 폐쇄되었을 때, 안전한 곳으로 미처 대피하지 못한 사람이 상기 방화문의 일측에 설치된 별도의 비상문을 쉽게 개방하여 나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인명의 피해를 감소시킬 수 있다.

Claims (4)

  1. 건물의 통로를 이루는 좌우측 벽체 측에 각각 설치되어, 오토힌지 및 도어 릴리즈의 작용에 의하여 화재 발생 시 상기 건물의 통로를 폐쇄하는 제1 도어 및 제3 도어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어 및 제3 도어에는, 경첩을 통해 절첩 가능한 동시에 상기 좌우측 벽체 상단의 안내레일에 결합된 구름롤러를 통해 회동 가능한, 제2 도어 및 제4 도어가 각각 더 결합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방화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4 도어 중 적어도 하나의 도어에는 비상문이 더 설치되되, 상기 비상문은 항상 폐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스프링 경첩을 통해 해당 도어에 결합 설치되고, 상기 비상문에는 사람이 눌러 개방시킬 수 있는 비상용 개방장치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방화문.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어 및 제3 도어의 상단 일측에는 보조 잠금장치가 각각 더 설치되고, 상기 제1 도어 및 제3 도어의 폐쇄 시 상기 보조 잠금장치들이 위치하는 안내레일에는 상기 보조 잠금장치의 잠금작용을 위한 잠금장치 수용홈이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방화문.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에 있어서, 제1 내지 제4 도어들의 서로 맞닿는 부분 에는, 인접한 도어의 틈새를 방지하기 위하여, 해당 도어의 절첩 시 간섭이 일어나지 않는 방향으로 해당 도어의 외측 철편이 일체로 연장되어 이루어진, 틈새 방지편이 각각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방화문.
KR1020050115736A 2005-11-30 2005-11-30 접이식 방화문 KR1007509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5736A KR100750903B1 (ko) 2005-11-30 2005-11-30 접이식 방화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5736A KR100750903B1 (ko) 2005-11-30 2005-11-30 접이식 방화문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3840U Division KR200411440Y1 (ko) 2005-11-30 2005-11-30 접이식 방화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6722A true KR20070056722A (ko) 2007-06-04
KR100750903B1 KR100750903B1 (ko) 2007-08-22

Family

ID=383544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5736A KR100750903B1 (ko) 2005-11-30 2005-11-30 접이식 방화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0903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5404B1 (ko) * 2008-01-31 2009-02-24 주식회사 쓰리에스도어 방화용 도어 릴리즈장치
KR20170012846A (ko) 2015-07-25 2017-02-03 (주) 벽두도어 매립형 양여닫이 방화문
KR101998568B1 (ko) * 2019-01-14 2019-07-10 (주)동광명품도어 접이식 방화문
US11351874B2 (en) 2014-01-30 2022-06-07 General Electric Company Vehicle propulsion system with multi-channel DC b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KR20230171355A (ko) * 2022-06-13 2023-12-20 주식회사 한라에프에스디 접이식 방화문
FR3137937A1 (fr) * 2022-07-12 2024-01-19 Societe Metallurgique Du Forez Bloc-porte résistant au feu, notamment bloc-porte pare-flam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9185B1 (ko) 2010-05-19 2011-08-25 이종안 문틈 차단장치를 이용한 접이식 도어
KR102072072B1 (ko) 2019-06-28 2020-01-31 (주)동광명품도어 순차 접이식 방화문
KR102329685B1 (ko) 2021-03-12 2021-11-22 (주)동광명품도어 다중 접이식 방화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68436B2 (ja) * 1995-04-30 2000-07-24 オーリス株式会社 折れ戸装置
KR200149744Y1 (ko) 1997-03-15 1999-06-15 박갑일 방화셔터의 비상문 완충구조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5404B1 (ko) * 2008-01-31 2009-02-24 주식회사 쓰리에스도어 방화용 도어 릴리즈장치
WO2009096749A2 (ko) * 2008-01-31 2009-08-06 Three.S.Door Co., Ltd 방화용 도어 릴리즈장치
WO2009096749A3 (ko) * 2008-01-31 2009-10-22 주식회사 쓰리에스도어 방화용 도어 릴리즈장치
US11351874B2 (en) 2014-01-30 2022-06-07 General Electric Company Vehicle propulsion system with multi-channel DC b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KR20170012846A (ko) 2015-07-25 2017-02-03 (주) 벽두도어 매립형 양여닫이 방화문
KR101998568B1 (ko) * 2019-01-14 2019-07-10 (주)동광명품도어 접이식 방화문
KR20230171355A (ko) * 2022-06-13 2023-12-20 주식회사 한라에프에스디 접이식 방화문
FR3137937A1 (fr) * 2022-07-12 2024-01-19 Societe Metallurgique Du Forez Bloc-porte résistant au feu, notamment bloc-porte pare-flam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50903B1 (ko) 2007-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0903B1 (ko) 접이식 방화문
US6070640A (en) Walk-through type waterproof screen apparatus
KR200410054Y1 (ko) 방화문
US6615544B1 (en) Fire-resistant door
KR101163079B1 (ko) 비상탈출용 방화문
ITMI20062019A1 (it) Grembiule pieghevole di cabina per un impianto di ascensore
KR200411440Y1 (ko) 접이식 방화문
JP6262485B2 (ja) 差圧用ドア装置
GB2538520B (en) Anti-barricade fire door
KR20170138948A (ko) 화재 대피장치
US9556645B2 (en) Apparatus for opening and closing front entrance
US11193314B2 (en) Emergency escape apparatus for a building
KR101081626B1 (ko) 방화셔터의 비상도어용 힌지구조
KR20110064803A (ko) 방화스크린셔터의 비상문 고정장치
KR200355950Y1 (ko) 방충장치와 잠금구조를 구비한 안전창
KR102396909B1 (ko) 개폐 방향이 하나인 불투명한 전자식 문
KR200232795Y1 (ko) 별도의 비상문을 구비한 방화용 셔터
JP3785605B2 (ja) 建築用シャッター
JP2020109249A (ja) 避難扉
KR102089988B1 (ko) 안전도어 개폐장치
JP3975216B2 (ja) 非常用開放機構付き開き戸
KR200206367Y1 (ko) 비상문이 형성된 방화샷다에 방범기능을 갖는 장치
KR101588125B1 (ko) 도어 잠금 해제장치
KR970004548Y1 (ko) 방화 및 방범용 셔터
EP1588004B1 (en) Door and an assembly provided with a do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1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6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