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9185B1 - 문틈 차단장치를 이용한 접이식 도어 - Google Patents

문틈 차단장치를 이용한 접이식 도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9185B1
KR101059185B1 KR1020100046823A KR20100046823A KR101059185B1 KR 101059185 B1 KR101059185 B1 KR 101059185B1 KR 1020100046823 A KR1020100046823 A KR 1020100046823A KR 20100046823 A KR20100046823 A KR 20100046823A KR 101059185 B1 KR101059185 B1 KR 1010591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doors
lever
slider
push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68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안
Original Assignee
이종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안 filed Critical 이종안
Priority to KR10201000468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91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91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91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48Wings connected at their edges, e.g. foldable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2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fol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92Doors or windows extensible when set in position
    • E06B3/94Doors of the bellows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7Sp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4Rails;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8Rol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닥과 문짝들 사이의 문틈을 열고 닫을 수 있는 문틈 차단장치를 이용한 접이식 도어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이너레일, 슬라이더, 푸셔, 제1 코일스프링, 레버, 제2 코일스프링, 커버플레이트와 커넥팅스프링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너레일은 문짝들의 하부에 내장되어 있고, 내측에 트랙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단에 트랙과 연결되는 개방단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전면에 수직한 직선형의 제1 가이드슬롯이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더는 트랙을 따라 미끄럼 운동하도록 트랙에 장착되어 있다. 푸셔는 문짝들의 제1 측단으로부터 선단이 출몰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고, 후단이 슬라이더에 결합되어 있다. 제1 코일스프링은 푸셔가 관통구멍을 통하여 돌출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부여하도록 슬라이더와 푸셔 사이에 장착되어 있다. 레버는 제1 말단과 개방단부를 통하여 출몰할 수 있는 제2 말단을 가지며, 제1 말단이 슬라이더의 전면에 피봇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연결되어 있고, 제1 가이드슬롯에 끼워지도록 제1 말단과 근접하는 외면에 제1 가이드핀이 장착되어 있다. 제2 코일스프링은 제1 가이드핀이 제1 가이드슬롯의 상부에 위치되는 방향으로 레버가 회전되도록 레버에 탄성력을 부여한다. 커버플레이트는 이너레일의 하부에 축을 중심으로 바닥과 복수의 문짝들 사이의 문틈을 열어주는 제1 위치와 문틈을 닫아주는 제2 위치 사이를 회전되도록 장착되어 있다. 커넥팅스프링은 레버와 커버플레이트를 연결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출입구의 바닥과 접철에 의하여 출입구를 여닫는 문짝들 사이의 문틈을 여닫아 이물질의 차단, 방풍 및 보온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문짝들의 여닫힘 동작을 원활하게 유지할 수 있으면서도 변형 및 손상이 방지되어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문틈 차단장치를 이용한 접이식 도어{FOLDING DOORS USING APPARATUS FOR BLOCKING CHINK IN DOOR}
본 발명은 접이식 도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바닥과 문짝들 사이의 문틈을 열고 닫을 수 있는 문틈 차단장치를 이용한 접이식 도어에 관한 것이다.
건물, 실내 등의 출입구를 여닫기 위한 도어는 다양한 구조와 형태로 개발되어 있다. 도어는 여닫는 방식에 따라 미닫이, 여닫이와 접이식 등으로 구분되고 있다. 미닫이 도어(Sliding door)는 문짝을 옆으로 밀어서 출입구를 열고 닫는다. 여닫이 도어(Hinged door)는 경첩을 중심으로 문짝을 회전시켜 출입구를 열고 닫는다. 접이식 도어(Folding door)는 복수의 문짝들을 접었다 펴면서 출입구를 열고 닫는다. 접이식 도어는 출입구의 완전 개폐가 가능하여 발코니, 테라스 등에 많이 설치되고 있다. 한편, 접이식 도어와 유사한 홀딩 도어(Holding door)가 개발되어 있다. 홀딩 도어는 실내의 공간을 구획하는 칸막이로 사용되고 있다.
접이식 도어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9-0110620호, 등록실용신안 제20-0183369호 등 많은 특허 문헌들에서 찾아볼 수 있다. 접이식 도어 복수의 문짝들이 경첩들에 의하여 절첩할 수 있도록 연결되어 있다. 복수의 문짝들 중 첫 번째 문짝은 출입구의 일측면에 경첩들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다. 문짝들이 접혀져 있는 상태에서 출입자가 마지막 번째 문짝을 옆으로 당기면, 문짝들이 펴지면서 열리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접이식 도어는 바닥과 문짝들의 하단 사이에 문틈이 존재하게 된다. 문틈의 차단을 위하여 유연성을 갖는 문풍지, 예를 들어 필름(Film), 브러시(Brush) 등을 문짝들의 하단에 부착하고 있다. 그러나 문짝들이 여닫힐 때 문풍지의 하단이 바닥에 접촉되면서 문짝들의 여닫힘 동작이 지장을 받는 문제가 있다. 바닥의 높이에 차이가 존재하는 경우, 바닥과 문풍지의 접촉에 의한 여닫힘 동작이 원활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빗자루로 바닥을 쓰는 듯한 소리가 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유연한 문풍지가 바닥과의 접촉에 의하여 쉽게 변형 및 손상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접이식 도어의 여러 가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바닥과 문짝들의 하단 사이의 문틈을 여닫을 수 있는 문틈 차단장치를 이용한 접이식 도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문짝들의 여닫힘 동작을 원활하게 유지할 수 있으면서도 변형 및 손상이 방지되어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문틈 차단장치를 이용한 접이식 도어에 있다.
이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경첩을 중심으로 절첩되어 출입구를 여닫는 복수의 문짝들을 갖는 접이식 도어에 있어서, 복수의 문짝들의 하부에 내장되어 있고, 내측에 트랙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단에 트랙과 연결되는 개방단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전면에 수직한 직선형의 제1 가이드슬롯이 형성되어 있는 이너레일과; 트랙을 따라 미끄럼 운동하도록 트랙에 장착되어 있는 슬라이더와; 복수의 문짝들의 제1 측단으로부터 선단이 출몰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고, 후단이 슬라이더에 결합되어 있는 푸셔와; 푸셔가 관통구멍을 통하여 돌출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부여하도록 슬라이더와 푸셔 사이에 장착되어 있는 제1 코일스프링과; 제1 말단과 개방단부를 통하여 출몰할 수 있는 제2 말단을 가지며, 제1 말단이 슬라이더의 전면에 피봇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연결되어 있고, 제1 가이드슬롯에 끼워지도록 제1 말단과 근접하는 외면에 제1 가이드핀이 장착되어 있는 레버와; 제1 가이드핀이 제1 가이드슬롯의 상부에 위치되는 방향으로 레버가 회전되도록 레버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제2 코일스프링과; 이너레일의 하부에 축을 중심으로 바닥과 복수의 문짝들 사이의 문틈을 열어주는 제1 위치와 문틈을 닫아주는 제2 위치 사이를 회전되도록 장착되어 있는 커버플레이트와; 레버와 커버플레이트를 연결하도록 장착되어 있는 커넥팅스프링으로 구성되어 있는 문틈 차단장치를 이용한 접이식 도어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문틈 차단장치를 이용한 접이식 도어는 출입구의 바닥과 접철에 의하여 출입구를 여닫는 문짝들 사이의 문틈을 여닫아 이물질의 차단, 방풍 및 보온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문짝들의 여닫힘 동작을 원활하게 유지할 수 있으면서도 변형 및 손상이 방지되어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문틈 차단장치를 이용한 접이식 도어에서 문짝들이 닫혀 있는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문틈 차단장치를 이용한 접이식 도어에서 문짝들이 닫혀 있는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문틈 차단장치를 이용한 접이식 도어에서 문짝들이 열려 있는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문틈 차단장치를 이용한 접이식 도어에서 문짝들이 열려 있는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문틈 차단장치를 이용한 접이식 도어의 구성을 분리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문틈 차단장치를 이용한 접이식 도어의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문틈 차단장치를 이용한 접이식 도어에서 문틈 차단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하여 나타낸 정면도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에 따른 문틈 차단장치를 이용한 접이식 도어에서 문틈 차단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하여 나타낸 단면도들이다.
본 발명의 그 밖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과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문틈 차단장치를 이용한 접이식 도어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들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4에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도어(1)는 건물, 실내 등의 출입구(10)나 실내의 공간 구획하기 위하여 설치된다. 출입구(10)는 천장(11), 바닥(12), 제1 측면(13)과 제2 측면(14)으로 둘러싸여 있다. 도어 프레임(Door frame: 20)이 출입구(10)에 설치되어 있다. 도어프레임(20)은 레일(21), 제1 포스트(Post: 22)와 제2 포스트(23)로 구성되어 있다. 레일(21)은 천장(11)에 출입구(10)를 가로질러 수평하게 설치되어 있다. 제1 포스트(22)는 제1 측면(13)에 수직하게 설치되어 있다. 제2 포스트(23)는 제2 측면(14)에 수직하게 설치되어 있다.
접이식 도어(1)는 출입구(10)를 여닫기 위한 복수의 문짝(30; 30-1, 30-2, …, 30-n)들을 구비한다. 문짝(30)들은 상단(31), 하단(32), 제1 측단(33)과 제2 측단(34)을 갖는 사각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4에 제1 측단(33)은 문짝(30)들의 우단으로 도시되어 있고, 제2 측단(34)은 문짝(30)들의 좌단으로 도시되어 있다. 또한, 문짝(30)들은 제1 측면(13)으로부터 제2 측면(14)을 향하는 가로 방향을 따라 여닫히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4에 문짝(30)들이 여닫히는 제1 방향이 화살표 "X"로 도시되어 있고, 문짝(30)들이 제1 방향(X)에 직교하도록 열려 있는 제2 방향이 화살표 "Y"로 도시되어 있다. 문짝(30)들이 출입구(10)를 닫고 있을 때 문짝(30)들 중 첫 번째 문짝(30-1)은 제1 포스트(22)에 근접되며, 마지막 번째 문짝(30-n)은 제2 포스트(23)에 근접된다. 도 3과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문짝(30)들은 제1 측면(13)과 평행하게 배열되어 출입구(10)를 완전히 열어준다.
도 5,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 문짝(30)들의 하부에 폭 방향을 따라 중공부(35)가 형성되어 있다. 문짝(30)들의 하단(32)에 중공부(35)와 연결되는 개방단부(36)가 형성되어 있다. 제1 측단(33)의 하부에 중공부(35)와 연결되는 관통구멍(37)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중공부(35), 개방단부(36)와 관통구멍(37)은 두 번째 내지 마지막 번째 문짝(30-2, …, 30-n)에만 형성되어 있는 것이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복수의 문짝(30)들 중 인접하는 두 문짝들은 복수의 경첩(40)들에 의하여 절첩할 수 있도록 연결되어 있다. 롤러 조립체(50)가 문짝(30)들 각각의 상단(31) 중앙에 설치되어 있다. 롤러 조립체(50)는 복수의 롤러(51)들을 갖는다. 롤러(51)들은 레일(21)을 따라 구름 운동되어 문짝(30)들의 여닫힘 동작을 원활하게 안내하도록 레일(21) 내에 장착되어 있다.
도 1, 도 2, 도 5 내지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문틈 차단장치(100)는 바닥(11)과 문짝(30)들 중 두 번째 내지 마지막 번째 문짝(30-2, …, 30-n)들의 하단(32) 사이의 문틈를 차단한다. 문틈 차단장치(100)는 이너레일(Inner rail: 110), 슬라이더(Slider: 120), 푸셔(Pusher: 130), 제1 코일스프링(140), 레버(150), 제2 코일스프링(160), 커버플레이트(Cover plate: 170)와 커넥팅스프링(Connecting spring: 180)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2 가이드프레임(80)과 제2 슬라이딩롤러(90)가 삭제되는 경우, 문틈 차단장치(100)는 바닥(11)과 문짝(30)들의 하단(32) 사이의 문틈를 차단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면, 이너레일(110)은 문짝(30)들의 중공부(35)에 폭 방향을 따라 장착되어 있다. 이너레일(110)의 내측에 트랙(Track: 111)형성되어 있으며, 하단에 트랙(111)과 연결되는 개방단부(122)가 형성되어 있다. 이너레일(110)의 하부 일측에 축구멍(113)이 형성되어 있다. 이너레일(110)의 전면에 제1 가이드슬롯(Guide slot: 114)과 제2 가이드슬롯(115)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제1 가이드슬롯(114)은 수직한 직선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2 가이드슬롯(115)은 원호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더(120)는 이너레일(110)의 트랙(111)을 따라 미끄럼 운동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다. 푸셔(130)는 슬라이더(120)의 미끄럼 운동을 위하여 두 번째 내지 마지막 번째 문짝(30-2, …, 30-n)들의 관통구멍(37)을 통하여 출몰할 수 있도록 중공부(35)에 장착되어 있다. 푸셔(130)는 로드(Rod: 131)와 버튼(132)로 구성되어 있다. 로드(131)의 후단은 슬라이더(120)에 결합되어 있다. 버튼(132)은 로드(131)의 선단에 결합되어 있다. 버튼(132)의 선단은 두 번째 내지 마지막 번째 문짝(30-2, …, 30-n)들의 관통구멍(37)을 통하여 출몰된다. 제1 코일스프링(140)은 슬라이더(120)와 푸셔(130) 사이에 장착되어 있고, 버튼(132)의 선단이 관통구멍(37)을 통하여 돌출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부여한다. 제1 코일스프링(140)의 일단은 버튼(132)에 지지되어 있으며, 타단은 중공부(15)에 장착되어 있는 서포터(Supporter: 141)에 지지되어 있다. 서포터(141)는 슬라이더(120)와 버튼(132)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중앙에 로드(131)가 통과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구멍(142)을 갖는다.
레버(150)는 제1 말단(151)과 제2 말단(152)을 갖는다. 레버(150)의 제1 말단(151)은 슬라이더(120)의 전면에 피봇(153)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연결되어 있다. 레버(150)의 제1 말단(151)과 근접하는 외면에 제1 가이드핀(Guide pin: 154)이 장착되어 있다. 제1 가이드핀(154)은 제1 가이드슬롯(114)에 끼워져 제1 가이드슬롯(114)을 따라 상하로 이동된다. 레버(150)의 제2 말단(152)과 근접하는 외면에 제2 가이드핀(155)이 장착되어 있다. 제2 가이드핀(155)은 제2 가이드슬롯(115)에 끼워져 레버(150)의 회전 안내한다. 제2 코일스프링(160)의 일단은 이너레일(110)의 전면에 고정되어 있는 고정핀(161)에 걸려 있고, 타단은 제1 가이드핀(154)에 걸려 있다. 제2 코일스프링(160)은 제1 가이드핀(154)이 제1 가이드슬롯(115)의 상부에 위치되는 방향으로 레버(150)가 회전되도록 레버(150)에 탄성력을 부여한다.
커버플레이트(170)가 바닥(11)과 두 번째 내지 마지막 번째 문짝(30-2, …, 30-n)들 사이의 문틈를 여닫을 수 있도록 이너레일(110)의 하부에 장착되어 있다. 커버플레이트(170)의 일단에 축(171)이 형성되어 있다. 축(171)은 이너레일(110)의 축구멍(113)에 회전할 수 있도록 끼워져 있다. 커버플레이트(170)는 축(171)을 중심으로 문틈를 열어주는 제1 위치(P1)와 문틈를 닫아주는 제2 위치(P2) 사이에서 회전한다. 커버플레이트(170)의 일측에 가이드슬롯(172)이 형성되어 있다.
커넥팅스프링(180)은 레버(150)와 커버플레이트(170)를 연결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커버플레이트(170)는 커넥팅스프링(180)의 연결에 의하여 레버(150)와 연동하여 제1 위치(P1)와 제2 위치(P2) 사이에서 회전된다. 커넥팅스프링(180)은 토션스프링(Torsion spring: 281)으로 구성되어 있다. 토션스프링(181)은 감김부(181a), 감김부(181a)의 일측으로 연장되어 있는 제1 탄성변형부(181b)와 감김부(181a)의 타측으로 연장되어 있는 제2 탄성변형부(181c)로 구성되어 있다. 제1 탄성변형부(181b)의 말단은 제1 가이드핀(154)에 걸려 있고, 타단은 가이드핀(182)에 걸려 있다. 가이드핀(182)은 가이드슬롯(172)을 따라 운동되도록 가이드슬롯(172)에 끼워져 있다.
지금부터는,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문틈 차단장치를 이용한 접이식 도어에 대한 작용을 설명한다.
도 3, 도 4를,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복수의 문짝(30; 30-1, 30-2, …, 30-n)들 중 첫 번째 문짝(30-1)이 제2 방향(Y)을 따라 배열되어 있고, 두 번째 내지 마지막 번째 문짝(30-2, …, 30-n)들이 경첩(40)들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접혀지면, 두 번째 내지 마지막 번째 문짝(30-2, …, 30-n)들은 첫 번째 문짝(30-1)들과 평행하게 배열되어 출입구(10)가 완전히 열려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도 1, 도 2, 도 6과 도 7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문짝(30)들에 의하여 출입구(10)를 닫기 위하여 마지막 번째 문짝(30-n)을 제1 방향(X)을 따라 잡아당기면, 마지막 번째 문짝(30-n)의 롤러(51)들은 레일(21)을 따라 구름 운동되면서 마지막 번째 문짝(30-n)의 닫힘 동작을 원활하게 안내한다. 마지막 번째 문짝(30-n)이 제1 방향(X)을 따라 열려지면, 마지막 번째 문짝(30-n)과 함께 나머지 문짝들의 롤러(51)들이 레일(21)을 따라 구름 운동되면서 나머지 문짝들의 닫힘 동작을 원활하게 안내한다.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문짝(30)들 중 인접하는 두 문짝들은 경첩(40)들의 피봇(43)을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제1 방향(X)을 따라 펼쳐져 열려진다.
도 1 내지 도 4, 도 5 내지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면, 문짝(30)들이 열려 있을 때 버튼(132)의 선단은 관통구멍(37)을 통과하여 두 번째 내지 마지막 번째 문짝(30-2, …, 30-n)들의 제1 측단(33)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도 7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문짝(30)들이 경첩(40)들 중심으로 회전되어 닫힐 때 인접하는 두 문짝들, 예를 들어 첫 번째 문짝(30-1)의 제2 측단(34)과 두 번째 문짝(30-2)의 제1 측단(33)이 근접된다. 두 번째 문짝(30-2)의 제1 측단(33)에 돌출되어 있는 버튼(132)의 선단은 첫 번째 문짝(30-1)의 제2 측단(34)에 접촉된다. 버튼(132)은 제1 코일스프링(140)을 압축시키면서 관통구멍(131) 안으로 몰입되고, 푸셔(130)와 함께 슬라이더(120)가 이너레일(110)의 트랙(111)을 따라 제1 측단(33)으로부터 제2 측단(34)을 향하여 미끄럼 운동된다. 슬라이더(120)의 미끄럼 운동에 의하여 레버(150)가 피봇(153)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제1 및 제2 가이드핀(154, 155)은 제1 및 제2 가이드슬롯(114, 115)을 따라 레버(150)의 회전을 안내한다. 커버플레이트(170)의 제1 위치(P1)에서 제1 가이드핀(154)은 제1 가이드슬롯(114)의 상부에 위치되어 있다가 레버(150)의 회전에 의하여 제1 가이드슬롯(114)의 하부로 이동된다. 제1 가이드핀(154)의 이동에 따라 레버(150)의 제2 말단(152)은 개방단부(122)에 근접된다. 제2 코일스프링(160)은 압축되어 있다가 신장되면서 레버(150)의 회전을 허용한다. 토션스프링(181)의 제1 탄성변형부(181b)는 이너레일(110)의 개방단부(122)를 통하여 돌출된다.
도 1, 도 2, 도 7a와 도 8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토션스프링(181)의 제1 탄성변형부(181b)가 이너레일(110)의 하방으로 뻗어지면서 커버플레이트(170)가 축(171)을 중심으로 제1 위치(P1)에서 제2 위치(P2)로 회전된다. 커버플레이트(170)는 제2 위치(P2)에서 바닥(12)과 열려져 있는 두 번째 내지 마지막 번째 문짝(30-2, …, 30-n)들 사이의 문틈를 차단한다. 닫혀 있는 커버플레이트(170)는 바닥(12)과 문짝(30)들 사이로 유입되는 먼지 등의 이물질을 차단하고, 방풍 및 보온 기능을 보유한다. 한편, 커버플레이트(170)의 하단이 바닥(12)에 접촉되면서 접촉력을 받을 때 제1 및 제2 탄성변형부(181b, 181c)는 탄성변형에 의하여 커버플레이트(170)의 접촉력을 완화시킨다. 따라서 바닥(12)과 커버플레이트(170)의 접촉에 의하여 문짝(30)들의 여닫음 동작이 방해를 받지 않고 원활하게 수행된다.
도 3, 도 4, 도 5a 및 도 5b,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문짝(30)들이 경첩(40)들을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열릴 때 인접하는 두 문짝들의 제1 측단(33)과 제2 측단(34)이 떨어진다. 제1 측단(33)과 제2 측단(34)이 떨어지면, 압축되어 있던 제1 코일스프링(140)의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푸셔(130)가 복귀되고, 버튼(132)의 선단은 관통구멍(131) 밖으로 돌출된다. 푸셔(130)가 복귀되면서 슬라이더(120)가 푸셔(130)와 함께 트랙(111)을 따라 제2 측단(34)으로부터 제1 측단(33)을 향하여 미끄럼 운동된다. 슬라이더(120)의 미끄럼 운동에 의하여 레버(150)가 피봇(153)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복귀된다. 신장되어 있던 제2 코일스프링(160)은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레버(150)의 복귀를 보조한다. 커넥팅스프링(180)에 의하여 레버(150)와 연결되어 있는 커버플레이트(170)는 축(171)을 중심으로 제2 위치(P2)로부터 제1 위치(P1)로 회전된다. 도 7a와 도 8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커버플레이트(170)는 제1 위치(P1)에서 이너레일(110)의 개방단부(112)에 밀착되어 문짝(30)들의 여닫음 동작에 방해를 주지 않는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특허청구범위내에서 이 분야의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경, 변형 또는 치환이 가능할 것이며, 그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출입구 20: 도어프레임
30: 문짝 40: 경첩
50: 롤러 조립체 100: 문틈 차단장치
110: 이너레일 120: 슬라이더
130: 푸셔 140: 제1 코일스프링
150: 레버 160: 제2 코일스프링
170: 커버플레이트 180: 커넥팅스프링

Claims (3)

  1. 경첩을 중심으로 절첩되어 출입구를 여닫는 복수의 문짝들을 갖는 접이식 도어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문짝들의 하부에 내장되어 있고, 내측에 트랙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단에 상기 트랙과 연결되는 개방단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전면에 수직한 직선형의 제1 가이드슬롯이 형성되어 있는 이너레일과;
    상기 트랙을 따라 미끄럼 운동하도록 상기 트랙에 장착되어 있는 슬라이더와;
    상기 복수의 문짝들의 제1 측단으로부터 선단이 출몰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고, 후단이 상기 슬라이더에 결합되어 있는 푸셔와;
    상기 푸셔가 관통구멍을 통하여 돌출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부여하도록 상기 슬라이더와 상기 푸셔 사이에 장착되어 있는 제1 코일스프링과;
    제1 말단과 상기 개방단부를 통하여 출몰할 수 있는 제2 말단을 가지며, 상기 제1 말단이 상기 슬라이더의 전면에 피봇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1 가이드슬롯에 끼워지도록 상기 제1 말단과 근접하는 외면에 제1 가이드핀이 장착되어 있는 레버와;
    상기 제1 가이드핀이 상기 제1 가이드슬롯의 상부에 위치되는 방향으로 상기 레버가 회전되도록 상기 레버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제2 코일스프링과;
    상기 이너레일의 하부에 축을 중심으로 바닥과 상기 복수의 문짝들 사이의 문틈을 열어주는 제1 위치와 상기 문틈을 닫아주는 제2 위치 사이를 회전되도록 장착되어 있는 커버플레이트와;
    상기 레버와 상기 커버플레이트를 연결하도록 장착되어 있는 커넥팅스프링으로 구성되어 있는 문틈 차단장치를 이용한 접이식 도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레일의 전면에 원호형의 제2 가이드슬롯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가이드슬롯에 끼워지도록 상기 레버의 제2 말단과 근접하는 외면에 제2 가이드핀이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커넥팅스프링은 감김부와, 상기 감김부로부터 상기 제1 가이드핀에 걸리도록 연장되어 있는 제1 탄성변형부와, 상기 감김부로부터 상기 커버플레이트의 내면에 걸리도록 연장되어 있는 제2 탄성변형부를 갖는 토션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문틈 차단장치를 이용한 접이식 도어.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푸셔는 상기 슬라이더에 결합되어 있는 로드와 상기 복수의 문짝들의 제1 측단으로부터 선단이 출물되도록 상기 로드의 선단에 결합되어 있는 버튼을 가지며, 상기 제1 코일스프링의 일단은 상기 버튼에 지지되어 있고 타단은 상기 복수의 문짝들의 하부에 내장되어 있는 서포터에 지지되어 있는 문틈 차단장치를 이용한 접이식 도어.
KR1020100046823A 2010-05-19 2010-05-19 문틈 차단장치를 이용한 접이식 도어 KR1010591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6823A KR101059185B1 (ko) 2010-05-19 2010-05-19 문틈 차단장치를 이용한 접이식 도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6823A KR101059185B1 (ko) 2010-05-19 2010-05-19 문틈 차단장치를 이용한 접이식 도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59185B1 true KR101059185B1 (ko) 2011-08-25

Family

ID=449337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6823A KR101059185B1 (ko) 2010-05-19 2010-05-19 문틈 차단장치를 이용한 접이식 도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918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5875B1 (ko) 2013-02-01 2014-06-12 보령제약 주식회사 방풍 슬라이더 및 방풍 슬라이더가 구비된 출입문
BE1028909B1 (nl) * 2021-05-05 2022-07-12 Portapivot Opvouwbare afscheiding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20350A (ja) 1998-10-16 2000-04-25 Shikoku Chem Corp 折畳み式扉
KR200425104Y1 (ko) 2006-06-05 2006-08-29 김동규 접이식 문
KR100750903B1 (ko) 2005-11-30 2007-08-22 한라산업(주) 접이식 방화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20350A (ja) 1998-10-16 2000-04-25 Shikoku Chem Corp 折畳み式扉
KR100750903B1 (ko) 2005-11-30 2007-08-22 한라산업(주) 접이식 방화문
KR200425104Y1 (ko) 2006-06-05 2006-08-29 김동규 접이식 문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5875B1 (ko) 2013-02-01 2014-06-12 보령제약 주식회사 방풍 슬라이더 및 방풍 슬라이더가 구비된 출입문
BE1028909B1 (nl) * 2021-05-05 2022-07-12 Portapivot Opvouwbare afscheiding
WO2022234396A1 (en) * 2021-05-05 2022-11-10 Portapivot Foldable parti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6382B1 (ko) 접이식 도어 시스템
EP0753642B1 (en) Screen apparatus
KR101059185B1 (ko) 문틈 차단장치를 이용한 접이식 도어
KR101303105B1 (ko) 출입공간을 조절할 수 있는 회전식 및 슬라이드 겸용 출입문
KR200396496Y1 (ko) 접이식 도어의 슬라이딩장치
US6220332B1 (en) Door assembly for spanning an entrance of a shower room
JP5529864B2 (ja) ドア組立体
JP4569318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6829335B2 (ja) 建具
KR101049153B1 (ko) 잠금장치를 구비한 도어
JP4266915B2 (ja) 戸障子の開閉構造
JPH0658052A (ja) 横引き戸用レール溝自動開閉装置
CN115807569B (zh) 一种墙角处的双开门折叠式淋浴房
JP2002021435A (ja) 折戸用ローラー装置及びこの折戸用ローラー装置を備えた家具及びクローゼット
KR200341239Y1 (ko) 폴딩 도어
JP2541214Y2 (ja) 可動間仕切
JP3382137B2 (ja) 折り畳み引き違い扉装置
JP3085644B2 (ja) 浴室戸の上部取付構造
KR101817571B1 (ko) 양방향 폴딩도어
JPH0610076Y2 (ja) 2枚折り扉の戸当たりの構造
JP2596344Y2 (ja) 折畳み扉装置
JP2754439B2 (ja) 出窓用雨戸
JPS6146154Y2 (ko)
JP3970569B2 (ja) アコーディオンドア
JPH077789Y2 (ja) 収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6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