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9957B1 - 도어 오픈스위치가 구비된 도어락 조립체 - Google Patents

도어 오픈스위치가 구비된 도어락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9957B1
KR101409957B1 KR1020130011446A KR20130011446A KR101409957B1 KR 101409957 B1 KR101409957 B1 KR 101409957B1 KR 1020130011446 A KR1020130011446 A KR 1020130011446A KR 20130011446 A KR20130011446 A KR 20130011446A KR 101409957 B1 KR101409957 B1 KR 1014099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locker
door lock
sliding block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14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상원
Original Assignee
두얼메카닉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얼메카닉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얼메카닉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114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99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99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99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8Doors; Security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06F39/14Doors or covers; Securing mea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8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3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 E05Y2900/312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for washing machines or laundry dry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 오픈스위치가 구비된 도어락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이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마련된 함체형 본체(11)와; 본체(11)의 내부에 설치되어 후크(3)를 고정하는 락커조립체(12)와; 락커조립체(12)를 솔레노이드(SV)의 동작에 의해 선택적으로 구속하는 슬라이딩바(13)를 포함하는 도어락(10)에 있어서, 도어락(10)에는 락커조립체(12)를 잠금 상태를 슬라이딩 동작에 의해 선택적으로 해제하는 슬라이딩블록(14)이 구비되고, 슬라이딩블록(14)에 일단이 연결되는 와이어(20)와; 와이어(20)의 타단이 연결되며 세탁기 본체에 고정 설치되어 와이어(20)를 당겨 슬라이딩블록(14)을 슬라이딩 동작시키는 스위치(30)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인해 본 발명은 사용자가 세탁기 본체에 설치된 스위치를 조작함으로써 도어가 개방되고, 그 결과 사용자가 도어를 무리하게 개방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도어락의 파손이 방지된다.

Description

도어 오픈스위치가 구비된 도어락 조립체{Door Lock Assembly with Door Open Switch}
본 발명은 도어 오픈스위치가 구비된 도어락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드럼 세탁기의 작동 중에 도어가 개방되지 않도록 잠그고, 작동이 완료되면 도어의 잠금이 해제되어 도어를 개방할 수 있도록 하는 도어 오픈스위치가 구비된 도어락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세탁통이 수평으로 설치되어 세탁물의 낙차력과 마찰력에 의해 세탁물을 세탁하는 드럼세탁기는, 세탁 중에 도어가 개방되면 수평으로 설치된 세탁통에 의해 세탁수와 세탁물이 밖으로 쏟아져 나와 세탁이 중단되는 문제가 있고, 이와 동시에 도어를 개방한 사용자가 다칠 수 있는 안전사고 발생의 위험도 있어 세탁 중에 도어가 개방되지 않도록 도어락에 의해 잠긴 상태로 유지된다.
이와 같은 목적의 드럼세탁기용 도어락의 예로는 본 발명자 등에 의해 출원된 등록특허 제980441호(도어락 장치)를 들 수 있는데, 이 특허문헌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락커(120)가 구비되어 있어 이 락커(120)에 의해 도어에 설치된 후크(110)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도어락(100)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문헌의 도어락(100)은 세탁물을 투입하거나 세탁이 종료되었을 때마다 사용자가 도어를 직접 여닫음으로써 도어가 개페되도록 한 것으로, 도어가 닫히면, 후크(110)에 의해 락커(120)가 회전되면서 후크(110)를 걸어 도어를 홀딩하였다가, 다시 사용자가 도어를 당기면 락커(120)가 역방향으로 회전되면서 후크(110)의 걸림이 해제되면서 도어가 개방된다.
그리고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세탁기가 동작되면, 세탁기의 제어기에 의해 도어락(100) 내부에 설치된 솔레노이드(130)가 작동되어 슬라이딩블록(140)이 슬라이딩되어 락커(120)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되고, 이에 의해 사용자가 도어를 당기더라도 락커(120)가 회전되지 못하여 도어가 개방되지 않고 닫힌 상태로 유지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도어락 장치는 사용자가 직접 도어를 여닫아야 하기 때문에 도어락에 의해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사용자가 무리한 힘을 가함으로써 도어락의 락커가 파손되어 도어락의 기능을 상실하는 문제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이처럼 도어락의 락커가 파손되면 일정 수리비용을 지불하고 도어락을 즉시 수리하여야 함에도, 사용자들은 도어락이 파손된 상태로 사용을 지속하게 되고, 그 결과 세탁기의 동작 중에도 사용자가 도어를 개방할 수 있어 세탁이 중단됨과 동시에 안전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드럼세탁기의 도어를 여닫기 위해 사용자가 도어를 직접 개폐하지 않는 도어 오픈스위치가 구비된 도어락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내부에 수용공간이 마련된 함체형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후크를 고정하는 락커조립체와, 상기 락커조립체를 솔레노이드의 동작에 의해 선택적으로 구속하는 슬라이딩바를 포함하는 도어락에 있어서, 상기 도어락에는 락커조립체를 잠금 상태를 슬라이딩 동작에 의해 선택적으로 해제하는 슬라이딩블록이 구비되고, 상기 슬라이딩블록에 일단이 연결되는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의 타단이 연결되며 세탁기 본체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와이어를 당겨 상기 슬라이딩블록을 슬라이딩 동작시키는 스위치로 구성하여 달성된다.
이때 상기 본체의 양측면에는 각각 "L"자 형상의 가이드홀이 형성되고, 상기 락커조립체는 탄성 스프링에 의해 탄성 지지되며 측면에 호 형상의 장공이 형성된 승강블록과; 상기 승강블록에 힌지로 결합되며 토션스프링에 의해 탄성 지지되는 락커와; 상기 락커에 결합되며 상기 락커의 회전동작에 의해 상기 장공을 따라 이동되는 가이드핀으로 구성되며 상기 가이드핀은 상기 가이드홀에 양단이 각각 삽입되어 돌출되고, 상기 슬라이딩블록에는 상기 가이드핀과 접촉되는 경사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블록의 슬라이딩 동작에 의해 상기 가이드핀이 상기 가이드홀에 구속된 상태가 해제되는 것으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에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락커조립체에는 상기 관통공에 의해 외부로 경사지게 돌출되는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딩블록은 상기 돌출부의 경사면과 접촉되며, 슬라이딩 동작에 의해 상기 락커조립체를 상기 본체 내부로 가압하는 것으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드럼세탁기의 도어를 개방하기 위해 사용자가 직접 도어를 여닫을 필요 없이 세탁기 본체에 설치된 스위치를 누름으로써 도어가 자동으로 개방되고, 이에 의해 사용자가 도어가 잠긴 상태에서 무리하게 도어를 개방함으로써 발생하는 도어락의 파손이 방지된다.
도 1은 종래의 드럼 세탁기용 도어락의 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오픈스위치가 구비된 도어락 조립체의 예를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락의 예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분리 사시도,
도 5와 도 6(a, b)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락의 잠금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사용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락의 잠금 해제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사용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블록과 슬라이딩블록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실시예를 도시한 첨부도면을 통해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드럼세탁기에 설치되어 도어를 제어기의 제어 신호에 따라 잠금 또는 해제하는 도어락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이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도어락(10), 와이어(20), 스위치(30)로 구성된다.
도어락(10)은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수용공간이 마련된 함체형 본체(11)와, 본체(11) 내부에 설치되어 후크(3)를 고정하는 락커조립체(12) 및 락커조립체(12)를 솔레노이드(SV)의 동작에 의해 선택적으로 구속하는 슬라이딩바(13)로 이루어진다.
이때 본체(11)는 후크(3)가 삽입될 수 있도록 일측이 내부로 연통되도록 개방된 삽입구(11A)가 형성되고, 양측면에는 각각 수평공과 수직공이 "L"자 형상으로 연결된 가이드홀(11B)이 형성되어 후술하는 락커조립체(12)의 가이드핀(12C)이 삽입 설치된다.
또한 슬라이딩바(13)는 본체(11) 내부에 스프링(13A)에 의해 탄성 고정되고, 제어기(도시되지 않음)의 제어에 의해 솔레노이드(SV)에 전원이 인가되면 슬라이딩바(13)가 당겨지면서 락커조립체(12)의 저면을 지지하게 되어 락커조립체(12)가 구속되고, 솔레노이드(SV)에 전원이 차단되면 스프링(13A)에 의해 슬라이딩바(13)가 복귀되어 락커조립체(12)의 구속이 해제되는 것으로 실시된다.
이때 솔레노이드(SV)와 결합되지 않는 슬라이딩바(13)의 반대측 단은 본체(11)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것으로 실시됨이 더욱 바람직한데, 이러한 구조로 인해 솔레노이드(SV)의 오작동이나 고장 등에 의해 도어가 잠긴 상태로 유지되더라도 외부로 노출된 슬라이딩바(13)를 작업자가 수동으로 잡아당김으로써 슬라이딩바(13)에 의한 락커조립체(12)의 구속을 해제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도어락(10)에는 락커조립체(12)가 후크(3)에 의해 잠금 상태로 전환되었을 때에 이를 슬라이딩 동작에 의해 해제하는 슬라이딩블록(14)이 구비되는데, 이러한 슬라이딩블록(14)은 본체(11)의 외측에 설치되며 후술하는 와이어(20)의 일단이 결합 고정되어 와이어(20)에 의해 슬라이딩 동작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락커조립체(12)에 대해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 내부에 설치되어 한 쌍의 탄성 스프링(S1)에 의해 탄성 지지되고 측면에는 호 형상의 장공(H)이 형성되는 승강블록(12A)과, 승강블록(12A)에 힌지(P)로 결합되며 토션스프링(S2)에 의해 탄성 지지되는 락커(12B)와, 락커(12B)에 결합되며 락커(12B)의 회전동작에 의해 장공(H)을 따라 이동되는 가이드핀(12C)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가이드핀(12C)은 가이드홀(11B)에 양단이 각각 삽입되어 돌출되고, 슬라이딩블록(14)에는 가이드핀(12C)과 접촉되는 경사돌기(14A)가 형성되어 슬라이딩블록(14)의 슬라이딩 동작에 의해 가이드핀(12C)이 가이드홀(11B)에 구속된 상태가 해제되는 구조로 실시된다.
또한 락커(12B)는 토션스프링(S2)에 의해 후크(3)를 구속하지 않는 위치로 유지되는 탄성력이 작용하고, 후크(3)에 의해 락커(12B)가 회전 동작되면, 이와 함께 이동하는 가이드핀(12C)이 가이드홀(11B)을 따라 위치 이동하면서 걸림 고정되어 락커(12B)가 후크(3)를 걸어 고정하는 상태가 유지되는 구조로 실시된다.
와이어(20)는 본체(11)의 외측에 설치된 슬라이딩블록(14)에 일단이 고정되고, 후술하는 스위치(30)에 타단이 결합되는 구조로 실시되며, 이러한 와이어(20)는 내부 와이어(도면부호 없음)와 외부 와이어(도면부호 없음)로 구성되고, 내부 와이어는 여러 가닥의 강선을 로프처럼 꼬아서 만든 것이 사용되어 쉽게 단선되지 않도록 실시된다.
스위치(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탁기본체(1)에 설치되어 내부에 설치된 도어락(10)의 슬라이딩블록(14)과 와이어(20)에 의해 연결되며, 사용자가 스위치(30)를 조작하는 것에 의해 연결된 와이어(20)가 당겨지면서 슬라이딩블록(14)이 당겨지고, 슬라이딩블록(14)의 이동에 의해 도어락조립체(12)의 가이드핀(12C)이 가이드홀(11B)의 수직공 부분에서 수직공과 수평공이 연결되는 코너부로 위치 이동된다.
그 결과 락커(12B)가 회전되면서 후크(3)의 구속이 해제되고, 락커(12B)가 토션스프링(S2)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력에 의해 후크(3)를 삽입공(11A)의 외측으로 밀려 나가면서 도어(2)가 개방된다.
이상과 같은 구조의 도어락 조립체를 이하의 실시예를 통해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
본 발명에 따른 도어락(10)은 본체(11)에 형성된 삽입구(11A)를 통해 후크(3)가 삽입되면서 그 내부에 설치된 도어락조립체(12)의 락커(12B)를 회전시킴으로써 동작되는데, 이를 위해 도어락(1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3)가 삽입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후크(3)에 의해 락커(12B)가 회전 동작되면서 락커(12B)가 후크(3)를 걸어 구속시킬 수 있는 위치에서 유지된다.
그리고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2)가 닫히면서 후크(3)가 삽입구(11A) 내부로 삽입되면서 락커(12B)의 일측을 누르면서 힌지(P)를 중심으로 락커(12B)를 회전시키게 되면, 락커(12B)에 설치된 가이드핀(12C)이 장공(H)을 따라 오른편에서 왼편으로 위치 이동하게 되고, 이에 의해 가이드핀(12C)의 위치가 가이드홀(11B)의 수평공 부분에서 수직공과 만나는 코너 부분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의해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블록(12A)이 탄성스프링(S1)의 탄성력에 의해 상승하면서 가이드핀(12C)이 가이드홀(11B)의 수직공 위치로 이동하게 되고, 그 결과 락커(12B)는 토션스프링(S2)이 압축된 상태에서도 그대로 유지되면서 후크(3)가 락커(12B)에 걸린 상태로 유지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도어(2)를 직접 당겨 개방하게 되면, 승강블록(12A)이 도어(2)가 당기는 힘에 의해 탄성스프링(S1)을 누르면서 하강하게 되고, 그 결과 가이드핀(12C)이 가이드홀(11B)의 수직공과 수평공이 만나는 코너 부분까지 하강하게 되면서 토션스프링(S2)의 복원력에 의해 락커(12B)가 회전되고, 이에 의해 후크(3)의 구속이 해제된다.
또한 후크(3)가 락커(12B)에 의해 구속된 상태에서 슬라이딩바(13)가 슬라이딩 이동하여 승강블록(12A)의 저면을 지지하게 되면, 사용자가 도어(2)를 직접 당기더라도 승강블록(12A)이 하강되지 못하기 때문에 도어(2)가 개방되지 않고 닫힌 상태로 유지된다.
한편, 도어가 잠기지 않고 닫힌 상태에서 사용자가 도어(2)를 개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30)를 눌러 도어(2)를 개방하게 되는데, 이와 같이 사용자가 스위치(30)를 누르게 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블록(14)이 위치 이동되면 슬라이딩블록(14)에 구비된 경사돌기(14A)가 가이드핀(12C)을 눌러 가이드홀(11B)의 수직공과 수평공이 만나는 코너부로 이동시키게 되고, 이렇게 가이드핀(12C)이 가이드홀(11B)의 코너부로 이동되면 토션스프링(S2)의 복원력에 의해 락커(12B)가 회전되면서 가이드핀(12C)이 장공(H)을 따라 왼편에서 오른편으로 위치 이동되고, 이에 의해 가이드핀(12C)이 가이드홀(11B)의 수평공 부분으로 위치 이동되면서 후크(3)의 구속이 해제되어 도어(2)가 개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블록(14)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 내부에 구비된 승강블록(12A)을 가압하여 누르는 구조로 실시될 수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본체(11)에는 관통공(11C)이 형성되고, 락커조립체(12)에는 관통공(11C)에 의해 외부로 경사지게 돌출되는 돌출부(12D)가 형성되며, 슬라이딩블록(14)은 돌출부(12D)의 경사면과 접촉되며 슬라이딩 동작에 의해 락커조립체(12)를 본체(11) 내부로 가압하는 구조로 실시된다.
이는 와이어(20)가 당겨지면 슬라이딩블록(14')이 슬라이딩되면서 슬라이딩블록(14')의 경사진 접촉부(14A')가 승강블록(12A)의 돌출부(12D)에 접촉되고, 이에 의해 돌출부(12D)가 슬라이딩블록(14')에 의해 눌리면서 승강블록(12A)이 하강되어 가이드핀(12C)이 가이드홀(11B)의 수직공 부분에 구속된 상태가 해제되어 락커(12B)에 의한 후크(3)의 구속이 해제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도어를 개방하기 위해 사용자가 직접 도어를 여닫을 필요가 없기 때문에 도어가 잠긴 상태에서 사용자가 도어를 무리하게 개방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도어락의 파손이 방지된다.
1: 세탁기 본체 2: 도어
3: 후크 10: 도어락
11: 본체 11A: 삽입구
11B: 가이드홀 11C: 관통공
12: 락커조립체 12A: 승강블록
12B: 락커 12C: 가이드핀
12D: 돌출부 13: 슬라이딩바
13A: 스프링 14, 14': 슬라이딩블록
14A: 경사돌기 14A': 접촉부
20: 와이어 30: 스위치
H: 장공 S1: 탄성스프링
S2: 토션스프링 SV: 솔레노이드
P: 힌지

Claims (3)

  1. 내부에 수용공간이 마련된 함체형 본체(11)와; 상기 본체(11)의 내부에 설치되어 후크(3)를 고정하는 락커조립체(12)와; 상기 락커조립체(12)를 솔레노이드(SV)의 동작에 의해 선택적으로 구속하는 슬라이딩바(13)를 포함하는 도어락(10)에 있어서,
    상기 도어락(10)에는 상기 락커조립체(12)를 잠금 상태를 슬라이딩 동작에 의해 선택적으로 해제하는 슬라이딩블록(14)이 구비되고,
    상기 슬라이딩블록(14)에 일단이 연결되는 와이어(20)와;
    상기 와이어(20)의 타단이 연결되며 세탁기 본체(1)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와이어(20)를 당겨 상기 슬라이딩블록(14)을 슬라이딩 동작시키는 스위치(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오픈스위치가 구비된 도어락 조립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11)의 양측면에는 각각 "L"자 형상의 가이드홀(11B)이 형성되고,
    상기 락커조립체(12)는 탄성 스프링(S1)에 의해 탄성 지지되며, 측면에 호 형상의 장공(H)이 형성된 승강블록(12A)과; 상기 승강블록(12A)에 힌지(P)로 결합되며 토션스프링(S2)에 의해 탄성 지지되는 락커(12B)와; 상기 락커(12B)에 결합되며 상기 락커(12B)의 회전동작에 의해 상기 장공(H)을 따라 이동되는 가이드핀(12C)으로 구성되며,
    상기 가이드핀(12C)은 상기 가이드홀(11B)에 양단이 각각 삽입되어 돌출되고,
    상기 슬라이딩블록(14)에는 상기 가이드핀(12C)과 접촉되는 경사돌기(14A)가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블록(14)의 슬라이딩 동작에 의해 상기 가이드핀(12C)이 상기 가이드홀(11B)에 구속된 상태가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오픈스위치가 구비된 도어락 조립체.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11)에는 관통공(11C)이 형성되고,
    상기 락커조립체(12)에는 상기 관통공(11C)에 의해 외부로 경사지게 돌출되는 돌출부(12D)가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딩블록(14)은 상기 돌출부(12D)의 경사면과 접촉되며, 슬라이딩 동작에 의해 상기 락커조립체(12)를 상기 본체(11) 내부로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오픈스위치가 구비된 도어락 조립체.
KR1020130011446A 2013-01-31 2013-01-31 도어 오픈스위치가 구비된 도어락 조립체 KR1014099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1446A KR101409957B1 (ko) 2013-01-31 2013-01-31 도어 오픈스위치가 구비된 도어락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1446A KR101409957B1 (ko) 2013-01-31 2013-01-31 도어 오픈스위치가 구비된 도어락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09957B1 true KR101409957B1 (ko) 2014-06-20

Family

ID=511335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1446A KR101409957B1 (ko) 2013-01-31 2013-01-31 도어 오픈스위치가 구비된 도어락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995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0869A (ko) * 2014-11-20 2016-05-31 두얼메카닉스 주식회사 세탁기용 도어락 장치
KR20200009929A (ko) * 2018-07-20 2020-01-30 삼성전자주식회사 오븐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93539B2 (ja) 1987-01-27 1997-03-26 オノフリオ ロキテッリ 洗浄機械用ドアラッチ
JP2006181019A (ja) 2004-12-27 2006-07-13 Toshiba Corp 洗濯機
KR20090115018A (ko) * 2008-04-30 2009-1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의 도어스위치어셈블리
KR100980441B1 (ko) 2010-02-25 2010-09-07 두얼메카닉스 주식회사 도어락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93539B2 (ja) 1987-01-27 1997-03-26 オノフリオ ロキテッリ 洗浄機械用ドアラッチ
JP2006181019A (ja) 2004-12-27 2006-07-13 Toshiba Corp 洗濯機
KR20090115018A (ko) * 2008-04-30 2009-1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의 도어스위치어셈블리
KR100980441B1 (ko) 2010-02-25 2010-09-07 두얼메카닉스 주식회사 도어락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0869A (ko) * 2014-11-20 2016-05-31 두얼메카닉스 주식회사 세탁기용 도어락 장치
KR101649853B1 (ko) * 2014-11-20 2016-08-23 두얼메카닉스 주식회사 세탁기용 도어락 장치
KR20200009929A (ko) * 2018-07-20 2020-01-30 삼성전자주식회사 오븐
KR102573765B1 (ko) * 2018-07-20 2023-09-04 삼성전자주식회사 오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0441B1 (ko) 도어락 장치
KR101467778B1 (ko) 의류처리장치의 도어스위치어셈블리
KR101463514B1 (ko) 푸시 앤 푸시 도어락 장치
KR101409957B1 (ko) 도어 오픈스위치가 구비된 도어락 조립체
EP2808434B1 (en) Laundry treatment device with door assembly
CN101694049B (zh) 具有门关闭防止装置的衣物处理装置
KR101649853B1 (ko) 세탁기용 도어락 장치
KR100883413B1 (ko) 세탁기용 도어 록 및 도어 록 스위치
KR101310179B1 (ko) 도어락 장치
CN208792902U (zh) 门锁
KR100960245B1 (ko) 드럼세탁기의 도어 잠금장치
KR100749697B1 (ko) 디지털 도어록
KR101130655B1 (ko) 도어용 드로와 래치의 오토락 장치
KR100809357B1 (ko) 가전제품의 도어락 장치
KR100856683B1 (ko) 도어 잠금장치의 이중 안전장치
KR101771592B1 (ko) 세탁기
KR100892161B1 (ko) 드럼세탁기의 도어 록 장치
KR101404431B1 (ko) 2단 출몰 구조를 갖는 튜블러형 래치
KR200336823Y1 (ko) 도어잠금장치를 가지는 유아보호용 안전도어
CN212249613U (zh) 防误器
CN113700383B (zh) 门锁及洗衣机
KR100697223B1 (ko) 드럼세탁기의 도어로커장치
KR200480524Y1 (ko) 모티스의 자동 잠금 구조체
KR101909173B1 (ko) 도어용 래치유닛
KR200438186Y1 (ko) 차단기의 키 록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