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0179B1 - 도어락 장치 - Google Patents

도어락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0179B1
KR101310179B1 KR1020120096542A KR20120096542A KR101310179B1 KR 101310179 B1 KR101310179 B1 KR 101310179B1 KR 1020120096542 A KR1020120096542 A KR 1020120096542A KR 20120096542 A KR20120096542 A KR 20120096542A KR 101310179 B1 KR101310179 B1 KR 1013101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ing pin
door lock
holding
door
h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65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상원
Original Assignee
두얼메카닉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얼메카닉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얼메카닉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965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01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01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01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5/00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 E05B15/10Bolts of locks or night latches
    • E05B15/102Bolts having movable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6Controlling mechanically-operated bolts by electro-magnetically-operated det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5/00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 E05B15/04Spring arrangements in locks
    • E05B2015/0403Wound springs

Landscapes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제품의 도어에 부착된 후크를 홀딩하거나 구속하는 도어락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는 힌지(11)와 "L"자형 이동경로(12)를 따라 이동하는 슬라이딩핀(13)이 구비된 베이스부(10)와; 힌지(11)에 결합되어 회전 동작되며, 코일스프링(S1)에 의해 상시 개방되도록 탄성 지지되고, 슬라이딩핀(13)이 삽입되어 슬라이딩핀(13)을 이송시키는 캠홀(25)이 형성된 락킹부(20)와; 베이스부(10)에 설치되며, 슬라이딩핀(13)의 동작을 선택적으로 제한하는 구속부(30)와; 베이스부(10)에 설치되며, 슬라이딩핀(13)을 선택적으로 하강 이송시키는 개방부(40) 및; 베이스부(10) 또는 베이스부(10)의 외부에 설치되어 구속부(3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인해 본 발명은 전자제품이 동작하지 않을 때에는 홀딩 동작만을 수행하며, 전자제품이 작동될 때에는 잠겨 도어가 임의로 개방되지 않도록 잠금 동작 되고, 동작이 완료되면 도어를 자동으로 개방하여 전자제품의 작동 완료 상태를 더욱 쉽게 확인할 수 있다.

Description

도어락 장치{Door lock apparatus}
본 발명은 도어락 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세탁기 등과 같은 전자제품의 도어를 사용자가 임의로 개방하지 않도록 잠그거나 도어가 닫힌 상태가 유지되도록 도어를 홀딩하는 도어락 장치에 관한 것이다.
세탁기와 같은 가전제품은 작동 중에 사용자가 임의로 도어를 개방하게 되면, 안전사고 등의 위험이 있어 임의로 도어가 개방되지 못하도록 도어를 잠그는 도어락 장치가 설치된다.
이러한 도어락 장치의 동작은 크게 홀딩(holding), 잠금(locking), 오픈(open)로 구분되는데, 이를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홀딩 상태는 도어가 잠기지 않은 상태로 세탁기 등이 동작하지 않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도어를 쉽게 열고 닫을 수 있는 상태이고, 잠금 상태는 도어가 홀딩된 상태에서 임의로 개방되지 않도록 전자 신호에 의해 락커가 작동되어 도어를 잠근 상태로 이 상태에서는 사용자가 도어를 개방할 수 없는 상태이며, 오픈 상태는 가전제품의 동작이 완료되었을 때에 도어의 잠금을 해제한 후, 홀딩 상태로 전환되지 않고 바로 도어가 개방되는 상태이다.
이와 같은 동작으로 구분되는 종래의 도어락 장치는 3가지의 동작을 하나의 도어락 장치에서 모두 행하는 것이 아니라 이 중에서 선택된 2개의 동작 즉, 홀딩과 록킹 또는 록킹과 오픈의 2개의 동작만을 행하도록 구성되고 있다.
이렇게 2가지의 동작만으로 도어락 장치가 구성되는 데에는 홀딩과 오픈의 동작이 서로 반대 성향의 동작이기 때문에 이를 하나의 도어락 장치에 구현하기 위해서는 홀딩 또는 오픈을 위한 구성이 추가로 설치되어야 하며, 이들을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제어구조가 포함되어야 하므로 도어락 장치의 내부 구조가 매우 복잡해지고, 또한 각각의 동작 간에 간섭이 발생하여 도어락 장치의 기본 동작의 성능까지 저하될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도어락이 일반적으로 행할 수 있는 3가지 동작(홀딩, 잠금, 오픈)을 하나의 도어락 내에서 간단하게 구현할 수 있는 도어락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도어락 장치를, 힌지와 "L"자형 이동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슬라이딩핀이 구비된 베이스부와; 상기 힌지에 결합되어 회전 동작되며, 코일스프링에 의해 상시 개방되도록 탄성 지지되고, 상기 슬라이딩핀이 삽입되어 상기 슬라이딩핀을 이송시키는 캠홀이 형성된 락킹부와; 상기 베이스부에 설치되며, 상기 슬라이딩핀의 동작을 선택적으로 제한하는 구속부와; 상기 베이스부에 설치되며, 상기 슬라이딩핀을 선택적으로 하강 이송시키는 개방부 및; 상기 베이스부 또는 상기 베이스부의 외부에 설치되며, 상기 구속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하여 달성된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속부에 의해 상기 슬라이딩핀이 구속된 후 해제될 때에 상기 개방부에 의해 상기 슬라이딩핀을 하강시켜 상기 락킹부가 상기 코일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후크의 구속이 해제되면서 도어가 개방되도록 제어하는 것으로 실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L"자형 이동경로는 수직으로 길이를 가지는 수직경로부와, 상기 수직경로부의 하단과 연결되어 수평으로 길이를 가지는 수평경로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캠홀은 상기 수평경로부에 위치된 상기 슬라이딩핀을 홀딩하는 제1홀딩부와; 상기 제1홀딩부에 홀딩된 상기 슬라이딩핀을 상기 락킹부의 회전 동작에 의해 상기 수직경로부로 이송하는 직선부와; 상기 직선부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수직경로부의 상단에 상기 슬라이딩핀을 홀딩하는 제2홀딩부 및; 상기 제2홀딩부와 상기 제1홀딩부를 연결하며, 상기 제2홀딩부에 홀딩된 상기 슬라이딩핀을 상기 락킹부의 회전 동작에 의해 상기 수직경로부의 상기 슬라이딩핀을 가압하여 상기 수평경로부로 이송하는 완만한 곡면을 가지는 곡면부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속부와 상기 개방부는 각각 솔레노이드, 모터, 왁스 모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실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슬라이딩핀에는 상기 슬라이딩핀의 양측으로 각각 돌출되는 수평의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양단을 각각 탄성 지지하는 탄성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으로 실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락킹부에는 상기 후크가 개방될 때에 상기 후크와 접촉되어 상기 코일스프링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기 후크를 배출하여 도어를 개방하는 푸싱돌기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세탁기와 같이 가정용 전자제품에 있어서, 동작 중 사용자가 임의로 도어를 개방하지 못하도록 도어를 잠글 수 있고, 작동이 완료된 후에는 도어의 잠금이 해제됨과 동시에 도어가 개방되어 사용자가 작동이 완료된 상태를 육안으로 쉽게 인지할 수 있다.
그리고 도어락에 있어서 상시 개폐 가능하도록 홀딩하는 기능과 필요시 전자적으로 구속하는 잠금 기능 및 작동이 완료된 후 구속을 해제하고 도어를 개방하는 오픈 기능으로 구분되는 3가지의 동작을 캠홀과 슬라이딩핀의 조합에 의해 구조적으로 간단하게 구현할 수 있고, 각각의 동작의 간섭 없이 홀딩, 잠금, 오픈의 동작을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락 장치의 예를 보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L"자형 이동경로를 보인 확대도,
도 3(a, b)은 본 발명에 따른 락킹부의 예를 보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락킹부의 캠홀을 따라 이동하는 슬라이딩핀을 보인 상태도,
도 5(a, b)는 본 발명에 따른 홀딩 동작의 예를 보인 사용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잠금동작의 예를 보인 사용상태도,
도 7(a, b)은 본 발명에 따른 오픈동작의 예를 보인 사용상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첨부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세탁기 등과 같이 가정에서 사용되는 전자제품 중에서 작동 중에 사용자가 임의로 도어를 개방하지 못하도록 전자적으로 도어를 잠그는 도어락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베이스부(10), 락킹부(20), 구속부(30), 개방부(40) 및 제어부를 포함한다.
베이스부(10)는 도어락 장치의 일측 케이싱의 내부면으로 구현될 수도 있고, 폭과 길이를 가지는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이러한 베이스부(10)에는 후술하는 락킹부(20)와 결합되는 힌지(11)와 "L"자형 이동경로(12)가 각각 형성되고, 이 이동경로(12)에는 한 쌍의 탄성스프링(S2)에 의해 상기 이동경로(12)의 상부 방향으로 탄성 지지되는 슬라이딩핀(13)이 구비된다.
이때 슬라이딩핀(13)에는 슬라이딩핀(13)의 양측으로 각각 돌출되는 수평의 지지판(14)이 구비되어, 이 지지판(14)의 양단에 각각 탄성스프링(S2)이 접촉되게 설치됨으로써 슬라이딩핀(13)이 탄성 지지되는 것으로 실시될 수 있다.
한편, "L"자형 이동경로(1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수직으로 길이를 가지는 수직경로부(12A)와, 수직경로부(12A)의 하단과 연결되어 수평으로 길이를 가지는 수평경로부(12B)로 이루어지는데, 이중 수직경로부(12A)에 슬라이딩핀(13)이 위치될 경우에는 락킹부(20)가 회전 동작되어 후크(1)를 고정하는 잠금 상태이고, 슬라이딩핀(13)이 수평경로부(12B)에 위치될 때에는 후크(1)가 삽입되기 전 또는 후크(1)의 구속이 해제되고 오픈 동작 상태이다.
베이스부(10)의 힌지(1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코일스프링(S1)에 의해 상시 개방되려는 탄성력이 작용하는 락킹부(20)는, 도 3(a,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11)가 삽입되는 삽입공(21)이 대략 중앙에 형성되고, 삽입공(21)을 중심으로 하부에는 후크(1)의 상부가 위치될 수 있도록 절개된 오목부(22)를 중심으로 그 양측 방향으로 각각 걸림돌기(23)와 푸싱돌기(24)가 돌출되는 것으로 실시된다.
이때 걸림돌기(23)와 푸싱돌기(24)는 각각 호 형상으로 만곡지게 실시되어 락킹부(20)가 삽입공(21)을 중심으로 회전 동작 될 때에 걸림돌기(23)가 후크(1)의 측면에 형성된 삽입공(1A)으로 자연스럽게 삽입되어 후크(1)를 고정하는 것으로 실시된다.
그리고 푸싱돌기(24)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락 장치가 오픈 동작될 때에 후크(1)의 상단을 탄성력에 의해 외측으로 밀어 후크(1)를 배출함으로써 도어를 개방하기 위한 것으로, 이를 위해 푸싱돌기(24)는 후크(1)의 상단에 접촉되고, 회전 동작에 의해 후크(1)의 상단을 외측으로 가압할 수 있는 형상으로 실시된다.
또한 락킹부(20)의 상부에는 슬라이딩핀(13)이 삽입되는 캠홀(25)이 형성되는데, 이는 도 2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경로부(12B)에 위치된 슬라이딩핀(13)을 홀딩하는 제1홀딩부(25A)와, 제1홀딩부(25A)에 홀딩된 슬라이딩핀(13)을 락킹부(20)의 회전 동작에 의해 수직경로부(12A)로 이송하는 직선부(25B)와, 직선부(25B)의 상부에 형성되어 수직경로부(12A)의 상단에 슬라이딩핀(13)을 홀딩하는 제2홀딩부(25C) 및; 제2홀딩부(25C)와 제1홀딩부(25A)를 연결하며 제2홀딩부(25C)에 홀딩된 슬라이딩핀(13)을 락킹부(20)의 회전 동작에 의해 수직경로부(12A)의 슬라이딩핀(13)을 가압하여 수평경로부(12B)로 이송하는 완만한 곡면을 가지는 곡면부(25D)로 이루어진다.
도 4에 있어서 ④는 수평경로부(12B)에 위치되어 제1홀딩부(25A)에 홀딩된 슬라이딩핀(13)의 위치이고, ①은 락킹부(20)의 회전 동작에 의해 직선부(25B)를 따라 수직경로부(12B)로 이동하는 슬라이딩핀(13)의 이동 경로이며, ②는 수직경로부(12B)의 상부에 위치되며 제2홀딩부(25C)에 홀딩되는 슬라이딩핀(13)의 위치이며, ③은 제2홀딩부(25C)에 홀딩된 슬라이딩핀(13)이 곡면부(25D)의 곡면을 따라 하향 이동되어 수평경로부(12B)로 이동하는 경로를 나타낸 것으로, 이러한 슬라이딩핀(13)의 동작은 모두 "L"자형 이동경로(12) 내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①, ②, ③, ④ 각각의 동작을 정상적으로 행하기 위해서는 락킹부(20)가 삽입공(21) 즉, 힌지(11)를 중심으로 회전 동작되어야 함을 알 수 있다.
그 결과 본 발명은 슬라이딩핀(13)을 수직경로부(12A)와 수평경로부(12B)로 선택적으로 이동시키거나 구속하는 것에 락킹부(20)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 동작되어 필요에 따라 홀딩, 잠금, 오픈 동작된다. 이러한 각각의 동작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사용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베이스부(10)에 설치되며 슬라이딩핀(13)의 동작을 선택적으로 제한하는 구속부(30)는, 후술하는 제어부의 전자신호에 의해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딩 동작되어 락커(31)가 인입출되는 구성으로, 락커(31)가 인출될 때에는 슬라이딩핀(13)이 수직경로부(12A)의 상부 즉, 캠홀(25)의 제2홀딩부(25C)에 홀딩된 상태에서 하향 이동을 제한하며, 그 결과 락킹부(20)의 회전 동작을 제한되어 후크(1)가 구속된다.
후크(1)의 구속을 해제할 때에는 인출된 락커(31)가 인입되는 것으로 간단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속부(30)는 제어의 용이성과 설치공간의 제약 등을 고려하여 적정 크기의 솔레노이드, 모터, 왁스 모터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실시됨이 바람직하다.
베이스부(10)에 설치되며 후술하는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슬라이딩핀(13)을 하강 이송하는 개방부(40)는, 슬라이딩핀(13)을 강제로 하강하여 수평경로부(12B)로 이동시킴으로써 후크(1)의 구속이 해제되고 오픈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본 발명은 슬라이딩핀(13)이 한 쌍의 탄성스프링(S2)에 의해 수직경로부(12A)의 상부를 향하여 탄성 지지되도록 설치되어 있어 슬라이딩핀(13)을 탄성 지지하는 탄성력을 상쇄시키면서 강제로 수평경로부(12B)로 이동시키지 않으면 락커(31)에 의한 구속이 해제되더라도 후크(1)를 홀딩하고 있는 상태가 되며, 그 결과 후크(1)를 홀딩 또는 잠그는 2가지 형태의 동작만을 행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오픈의 동작을 위해서는 락커(31)에 의해 구속이 해제되는 경우에 한해 제어부가 개방부(40)를 작동하여 후크(1)를 홀딩하지 않고 외측으로 밀어내도록 하는데, 이를 위해 개방부(40)는 인입출되는 이송핀(41)과 이송핀(41)에 의해 회전 동작되어 슬라이딩핀(13)을 하향 가압하는 누름판(42)을 포함하는 구조로 실시된다.
제어부는 구속부(30)와 개방부(40)에 전자신호를 제공하여 동작을 제어하며, 이러한 제어부는 특히 구속부(30)에 의해 슬라이딩핀(13)이 구속된 후 해제될 때에 개방부(40)에 의해 슬라이딩핀(13)을 탄성 지지하는 탄성 스프링(S1)의 탄성력을 상쇄시킴과 동시에 하강시켜 락킹부(20)가 코일스프링(S1)의 탄성력에 의해 회전 동작되며, 이에 의해 후크(1)의 구속이 해제됨과 동시에 도어가 외측으로 밀려 개방되도록 제어한다.
이러한 제어부는 베이스부(10)의 일측에 PCB(제어 회로기판)가 설치되는 것으로 실시될 수 있고, 이와 다르게는 베이스부(10)의 외부 즉, 전자제품의 메인 제어부에 의해 통합 제어되는 것으로 실시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작동 상태에 대해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홀딩 동작시>
도 5(a, b)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락 장치가 홀딩 동작되는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이 상태에서는 사용자가 도어를 닫거나 개방하는 힘에 의해 슬라이딩핀(13)이 수직경로부(12A)와 수평경로부(12B) 사이를 이동하게 되고, 이에 의해 후크(1)는 락킹부(20)의 걸림돌기(23)에 의해 후크(1)가 걸려 홀딩되거나 도어를 개방하려는 힘에 의해 락킹부(20)가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어 쉽게 개방된다.
<잠금 동작시>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락 장치가 잠금 동작되는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후크(1)가 삽입되어 슬라이딩핀(13)이 수직경로부(12A)의 상부로 이동된 상태에서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구속부(30)의 락커(31)가 수평 인출되어 슬라이딩핀(13)이 하강하지 못하도록 이동을 제한하고, 이에 의해 락킹부(20)의 회전 동작이 제한되어 걸림돌기(23)에 의해 구속된 후크(1)가 해제되지 못하며, 그 결과 도어가 잠긴 상태가 된다.
그리고 잠금 동작 시 사용자가 언제든지 도어의 잠김을 해제하고 사용자가 도어를 수동으로 개방할 수 있도록 제어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제어부에서는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구속부(30)의 구속을 해제할 수 있도록 제어된다.
<오픈 동작시>
도 7(a, b)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락 장치가 오픈 동작되는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도 7(a)에서와 같이 ①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개방부(40)의 이송핀(41)이 인출 동작되면, ②누름판(42)이 회전 동작되어 슬라이딩핀(13)을 하향 가압하고, ③-④누름판(42)의 힘에 의해 수직경로부(12A)에 위치된 슬라이딩핀(13)이 하강하여 수평경로부(12B)로 이동하며, 이에 의해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락킹부(20)의 코일스프링(S1)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빠르게 회전 동작되며, 그 결과 후크(1)가 락킹부(20)가 빠르게 회전되는 힘에 의해 외부로 밀려 도어가 개방된다.
이때 본 발명은 락킹부(20)가 코일스프링(S1)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빠르게 회전되는 것에 의해 후크(1)가 강하게 외측으로 밀려 도어가 개방되는 것으로 명시되어 있으나, 도어가 보다 확실하게 개방되도록 구현하기 위해 도어에 탄성 스프링을 더 설치하여 도어가 상시 개방되려는 탄성력을 받는 것으로 실시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전자제품이 동작하지 않을 때에는 홀딩 동작만을 수행하며, 전자제품이 작동될 때에는 잠겨 도어가 임의로 개방되지 않도록 잠금 동작되고, 동작이 완료되면 도어를 자동으로 개방하여 전자제품의 작동 완료 상태를 더욱 쉽게 확인할 수 있다.
1: 후크 1A: 삽입공
10: 베이스부 11: 힌지
12: 이동경로 12A: 수직경로부
12B: 수평경로부 13: 슬라이딩핀
14: 지지판 20: 락킹부
21: 삽입공 22: 오목부
23: 걸림돌기 24: 푸싱돌기
25: 캠홀 25A: 제1홀딩부
25B: 직선부 25C: 제2홀딩부
25D: 곡면부 30: 구속부
31: 락커 40: 개방부
41: 이송핀 42: 누름판
S1: 코일스프링 S2: 탄성스프링

Claims (6)

  1. 전자제품의 도어에 부착된 후크(1)를 홀딩하거나 구속하는 도어락 장치에 있어서,
    힌지(11)와 "L"자형 이동경로(12)를 따라 이동하는 슬라이딩핀(13)이 구비된 베이스부(10)와;
    상기 힌지(11)에 결합되어 회전 동작되며, 코일스프링(S1)에 의해 상시 개방되도록 탄성 지지되고, 상기 슬라이딩핀(13)이 삽입되어 상기 슬라이딩핀(13)을 이송시키는 캠홀(25)이 형성된 락킹부(20)와;
    상기 베이스부(10)에 설치되며, 상기 슬라이딩핀(13)의 동작을 선택적으로 제한하는 구속부(30)와;
    상기 베이스부(10)에 설치되며, 상기 슬라이딩핀(13)을 선택적으로 하강 이송시키는 개방부(40) 및;
    상기 베이스부(10) 또는 상기 베이스부(10)의 외부에 설치되어 상기 구속부(3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속부(30)에 의해 상기 슬라이딩핀(13)이 구속된 후 해제될 때에 상기 개방부(40)에 의해 상기 슬라이딩핀(13)을 하강시켜 상기 락킹부(20)가 상기 코일스프링(S1)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후크(1)의 구속이 해제되면서 도어가 개방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L"자형 이동경로(12)는 수직으로 길이를 가지는 수직경로부(12A)와, 상기 수직경로부(12A)의 하단과 연결되어 수평으로 길이를 가지는 수평경로부(12B)로 이루어지고,
    상기 캠홀(25)은 상기 수평경로부(12B)에 위치된 상기 슬라이딩핀(13)을 홀딩하는 제1홀딩부(25A)와;
    상기 제1홀딩부(25A)에 홀딩된 상기 슬라이딩핀(13)을 상기 락킹부(20)의 회전 동작에 의해 상기 수직경로부(12A)로 이송하는 직선부(25B)와;
    상기 직선부(25B)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수직경로부(12A)의 상단에 상기 슬라이딩핀(13)을 홀딩하는 제2홀딩부(25C) 및;
    상기 제2홀딩부(25C)와 상기 제1홀딩부(25A)를 연결하며, 상기 제2홀딩부(25C)에 홀딩된 상기 슬라이딩핀(13)을 상기 락킹부(20)의 회전 동작에 의해 상기 수직경로부(12A)의 상기 슬라이딩핀(13)을 가압하여 상기 수평경로부(12B)로 이송하는 완만한 곡면을 가지는 곡면부(25D)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 장치.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구속부(30)와 상기 개방부(40)는 각각 솔레노이드, 모터, 왁스 모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 장치.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선택된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핀(13)에는 상기 슬라이딩핀(13)의 양측으로 각각 돌출되는 수평의 지지판(14)과, 상기 지지판(14)의 양단을 각각 탄성 지지하는 탄성스프링(S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 장치.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선택된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부(20)에는 상기 후크(1)가 개방될 때에 상기 후크(1)와 접촉되어 상기 코일스프링(S1)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기 후크(1)를 배출하여 도어를 개방하는 푸싱돌기(24)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 장치.
KR1020120096542A 2012-08-31 2012-08-31 도어락 장치 KR1013101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6542A KR101310179B1 (ko) 2012-08-31 2012-08-31 도어락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6542A KR101310179B1 (ko) 2012-08-31 2012-08-31 도어락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10179B1 true KR101310179B1 (ko) 2013-09-23

Family

ID=494564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6542A KR101310179B1 (ko) 2012-08-31 2012-08-31 도어락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0179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61454A (zh) * 2017-03-29 2018-10-16 青岛海尔洗碗机有限公司 一种洗碗机自动门锁及洗碗机
KR101975814B1 (ko) * 2018-06-12 2019-05-08 두얼메카닉스 주식회사 도어 자동 오픈을 위한 도어락 장치
KR101959753B1 (ko) * 2018-03-07 2019-07-04 두얼메카닉스 주식회사 소형화된 도어락 장치
WO2022250289A1 (ko) * 2021-05-27 2022-12-01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및 그 제어 방법
US12000617B2 (en) 2018-11-26 2024-06-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Air cleane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3913B1 (ko) 2005-08-08 2006-12-08 두얼메카닉스 주식회사 드럼세탁기 도어의 안전락장치
KR101009906B1 (ko) 2009-06-02 2011-01-20 두얼메카닉스 주식회사 가전제품용 도어락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3913B1 (ko) 2005-08-08 2006-12-08 두얼메카닉스 주식회사 드럼세탁기 도어의 안전락장치
KR101009906B1 (ko) 2009-06-02 2011-01-20 두얼메카닉스 주식회사 가전제품용 도어락 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61454A (zh) * 2017-03-29 2018-10-16 青岛海尔洗碗机有限公司 一种洗碗机自动门锁及洗碗机
CN108661454B (zh) * 2017-03-29 2021-04-13 青岛海尔洗碗机有限公司 一种洗碗机自动门锁及洗碗机
KR101959753B1 (ko) * 2018-03-07 2019-07-04 두얼메카닉스 주식회사 소형화된 도어락 장치
KR101975814B1 (ko) * 2018-06-12 2019-05-08 두얼메카닉스 주식회사 도어 자동 오픈을 위한 도어락 장치
US12000617B2 (en) 2018-11-26 2024-06-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Air cleaner
WO2022250289A1 (ko) * 2021-05-27 2022-12-01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및 그 제어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0179B1 (ko) 도어락 장치
US10876331B2 (en) Appliance door lock
JP3568040B2 (ja) モジュール支持体におけるプリント板の前面着脱システム
US10704305B2 (en) Door opening/closing device
CN106263698A (zh) 一种柜抽屉
EP2141277A1 (en) Machine for treating textile items, in particular a washing machine
KR20140098956A (ko) 푸시 앤 푸시 도어락 장치
KR20190094218A (ko) 안전 시스템을 갖춘 도어 잠금 장치
JP2013530801A (ja) 排出装置及び引出し装置
US3698781A (en) Cabinet door mounting
US20150042105A1 (en) Door-lock device for a door of a household appliance
JP2002004652A (ja) ハンドル装置
KR101056813B1 (ko) 도어용 래치 어셈블리
JP6297510B2 (ja) 扉のインターロック装置
KR100852436B1 (ko) 진공차단기의 도어 및 투입 인터록장치
JP3437543B2 (ja) パチンコ機の錠装置
KR101409957B1 (ko) 도어 오픈스위치가 구비된 도어락 조립체
KR100809357B1 (ko) 가전제품의 도어락 장치
JP2000000201A (ja) 食器洗い機
US3040732A (en) Oven door mounting means
JP2018007725A (ja) ベッド用脚部構造体
JP2001342763A (ja) パチンコ機の錠装置
JP2018051221A (ja) 遊技機
KR100892161B1 (ko) 드럼세탁기의 도어 록 장치
JP6059174B2 (ja) ゲーム機の施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