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2161B1 - 드럼세탁기의 도어 록 장치 - Google Patents

드럼세탁기의 도어 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2161B1
KR100892161B1 KR1020080129518A KR20080129518A KR100892161B1 KR 100892161 B1 KR100892161 B1 KR 100892161B1 KR 1020080129518 A KR1020080129518 A KR 1020080129518A KR 20080129518 A KR20080129518 A KR 20080129518A KR 100892161 B1 KR100892161 B1 KR 1008921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er
lever
latch
slider
washing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95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상원
Original Assignee
두얼메카닉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얼메카닉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얼메카닉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295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21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21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21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04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D06F37/10Doors; Securing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8Doors; Security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06F39/14Doors or covers; Securing mea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06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covers or panel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42Safety arrangements, e.g. for stopping rotation of the receptacle upon opening of the casing do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3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 E05Y2900/312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for washing machines or laundry dry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드럼세탁기용 도어 록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락커레일(31)이 구비되고 솔레노이드의 작동에 의해 이동되는 슬라이더(30); 래치(10)를 교지하는 걸림턱(330)과 락커부 삽입홈(350)이 구비되고, 토션스프링(310)에 의해서 회동지지되는 레버(300); 락커 삽입홈(150)이 구비되고 상기 레버(300)가 삽입되며, 상기 레버(300)의 이탈을 방지하는 락커하우징 커버(400)가 결합되는 락커하우징(100); 상기 락커하우징(100)의 락커 삽입홈(150)에 삽입 설치되며, 상기 슬라이더(30)의 락커레일(31)에 삽입되어 상기 슬라이더(30)의 슬라이드 동작에 의해 작동되는 레일돌기(510)가 구비되고, 상기 레버(300)의 락커부 삽입홈(350)에 삽입되어 상기 레버(300)를 구속하는 락커부(520)가 구비된 락커(500);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르면, 래치를 교지하는 레버의 회동으로 도어를 자연스럽게 개폐할 수 있는 있으며, 슬라이더의 작동에 따라서 레버의 회동을 제한하여 드럼세탁기가 안전한 상태에서만 구동될 수 있으며, 도어를 닫는 과정에서 텐션스프링의 탄성력을 전달받아 소정의 반발력을 느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드럼세탁기, 도어 록, 솔레노이드

Description

드럼세탁기의 도어 록 장치{Door lock apparatus for drum-washer}
본 발명은 드럼세탁기용 도어 록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드럼세탁기의 작동 전에는 도어의 개방이 자유로울 수 있도록 설정되고, 그 작동이 개시된 이후에는 상기 도어가 강제 잠김 상태로 설정됨으로써, 그 사용상의 편의성과 세탁상의 안전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도어 록 장치에 관한 것이다.
가전제품에 사용되는 도어 록 장치는 푸쉬-풀 도어방식, 푸쉬-푸쉬 도어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여기서, 푸쉬-풀(push-pull)도어방식은 통상적인 출입문에 해당되는 것으로, 도어가 닫히는 방향으로 도어를 닫고 반대되는 방향, 즉 개방되는 방향으로 도어를 당겨서 개방하는 방식을 지칭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의 푸쉬-풀 도어방식은 돌출 구조를 가지는 손잡이 또는 도어의 홈을 마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라 할 수 있다.
푸쉬-푸쉬(push-push) 도어는 도어가 닫히는 방향으로 도어를 닫고 상기 도 어가 닫히는 방향으로 도어를 더 밀어서 도어를 개방하는 것으로, 가전제품 등 주로 상당한 힘을 필요로 하지 않는 도어에 주로 사용된다. 즉, 한 번의 밀기동작(push)으로 도어가 닫히고, 또 한 번의 밀기 동작(push)으로 도어가 개방된다.
일반적인 드럼세탁기에서의 도어 록 장치는 푸쉬-풀 방식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특히, 드럼세탁기는 동작중일 경우에 도어가 개방된다면 세탁물과 함께 물이 배출되어 사용자가 감전의 위험에 노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드럼세탁기에서는 도어의 닫힘 상태를 감지하여 대기 상태로 전환하고,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드럼세탁기가 동작되면 도어는 개방되지 않는 상태로 유지하여야 하며, 만약 외부 압력에 의해 강제적으로 도어가 개방된다면 드럼세탁기는 즉시 동작을 중지해야 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드럼세탁기의 작동 전에는 도어의 개폐가 자유로울 수 있도록 설정되고, 그 작동이 개시될 때에는 완전 잠금 상태가 되는 도어 록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래치가 삽입되기 전에는 슬라이더가 동작을 하지 못하도록 구속하여 드럼세탁기가 안전한 상태에서 구동될 수 있는 도어 록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도어 록 장치에 있어서, 락커레일(31)이 구비되고 솔레노이드의 작동에 의해 이동되는 슬라이더(30); 래치(10)를 교지하는 걸림턱(330)과 락커부 삽입홈(350)이 구비되고, 토션스프링(310)에 의해서 회동지지되는 레버(300); 락커 삽입홈(150)이 구비되고 상기 레버(300)가 삽입되며, 상기 레버(300)의 이탈을 방지하는 락커하우징 커버(400)가 결합되는 락커하우징(100); 상기 락커하우징(100)의 락커 삽입홈(150)에 삽입 설치되며, 상기 슬라이더(30)의 락커레일(310)에 삽입되어 상기 슬라이더(30)의 슬라이드 동작에 의해 작동되는 레일돌기(510)가 구비되고, 상기 레버(300)의 락커부 삽입홈(350)에 삽입되어 상기 레버(300)를 구속하는 락커부(520)가 구비된 락커(500); 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락커하우징(100)에는 안전고리 삽입부(120)와 텐션스프링(210)이 삽입되는 텐션스프링 지지부(110)가 구비되고, 상기 텐션스프링(210)을 지지하는 텐션스프링 접촉부(220)와, 래치 접촉부(230)가 구비되어 상기 안전고리 삽입부(120)에 삽입 설치되는 안전고리(200): 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래치를 교지하는 레버의 회동으로 도어를 자연스럽게 개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슬라이더의 작동에 따라서 레버의 회동을 제한하여 드럼세탁기가 안전한 상태에서만 구동될 수 있으며, 도어를 닫는 과정에서 텐션스프링의 탄성력을 전달받아 소정의 반발력을 느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슬라이더의 작동에 따라서 레버의 회동을 제한하여 드럼세탁기가 안전한 상태에서만 구동될 수 있도록 하여 그 사용상의 편의성과 세탁상의 안전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도어 록 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래치와 베이스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어에 설치된 래치(10)의 삽입 또는 이탈을 안내하며, 전원을 공급하는 스위치 단자를 포함하는 베이스(20)는 그 내부에 솔레노이드(도면에 미도시)의 작동에 의해 이동되는 슬라이더(30)와 상기 슬라이더(30)의 통개부(32)에 설치되어 래치(10)를 구속 또는 석방하는 락커하우징(100)으로 구성된다.
첨부된 도면에 따르면, 상기 락커하우징(100)은 안전고리(200), 레버(300), 락커하우징 커버(400) 및 락커(500)로 이루어진다.
솔레노이드(도면에 미표시)는 전류의 흐름에 의해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보빈과 상기 보빈의 내부에서 자기장에 의해 작동되는 로드(도면에 미표시)로 구성된다.
슬라이더(30)는 락커레일(31)이 구비되고 솔레노이드의 작동에 의해 슬라이드 되는 것으로, 솔레노이드의 로드와 결합되어 상기 로드의 동작에 따라 슬라이드 되는데, 이때 슬라이드 동작에 의해 접점단자(도면에 미표시)를 도통 한다.
레버(300)는 래치(10)를 교지하는 걸림턱(330)과 락커부 삽입홈(350)이 구비되고, 토션스프링(310)에 의해서 회동지지 된다.
락커하우징(100)은 락커 삽입홈(150)이 구비되고 그 내부에는 레버(300)가 삽입되며, 상기 레버(300)의 이탈을 방지하는 락커하우징 커버(400)와 결합된다.
락커(500)는 상기 락커하우징(100)의 락커 삽입홈(150)에 삽입 설치된다. 또한, 측면 부에는 상기 슬라이더(30)의 락커레일(310)에 삽입되어 상기 슬라이더(30)의 슬라이드 동작에 의해 작동되는 레일돌기(510)와, 상기 레버(300)의 락커부 삽입홈(350)에 삽입되어 상기 레버(300)를 구속하는 락커부(520)가 구비된다.
도 2는 안전고리, 락커하우징 및 레버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3은 안전고리, 락커하우징 및 레버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락커하우징(100)에는 텐션스프링(210)이 지지되는 텐션스프링 지지부(110)와 안전고리 삽입부(120)가 구비된다.
안전고리(200)는 래치(10)가 인입되는 경우 래치(10)를 밀어내는 방향으로 작동하여 도어가 부드럽게 닫히도록 하는 것으로, 텐션스프링(210)을 지지하는 텐션스프링 접촉부(220)와 래치 접촉부(230)가 구비된다. 이 안전고리(200)는 베이스(20)의 원통형 돌출부(21, 22)에 각각 삽입되는 원형 통개부(201, 202)가 구비되며, 상기 원통형 돌출부(21, 22)에는 상기 텐션스프링(210)도 삽입 설치된다.
즉, 베이스(20)의 원통형 돌출부(21, 22)에는 안전고리(200)의 원형 통개부(201, 202)가 삽입 설치되고, 다음으로 텐션스프링(210)이 각각 삽입 설치된다.
상기의 텐션스프링(210)의 타단은 락커하우징(100)의 텐션스프링 지지부(110)에 의해서 지지된다.
상기 베이스(20)에는 결합되어 조립된 락커하우징(100) 등이 설치되고, 베이 스(20)와 결합되는 베이스커버(도면에 미표시)가 더 구성되나, 상기 베이스커버는 공지된 구성요소로 상세한 설명 및 도면에 표시는 생략한다.
안전고리(200)는 래치(10)의 인입 전에는 슬라이더(30)의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슬라이더(30)의 슬라이드 동작을 구속하는 것으로, 래치(10)의 인입으로만 상기 슬라이더(30)의 내부에서 벗어나 락커하우징(100)의 내부 측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래치(10)의 인입이 없으면 안전고리(200)는 슬라이더(30)를 구속하여 드럼세탁기는 동작을 하지 못하는 상태가 되고, 래치(10)가 인입된 안전한 상태에서만 드럼세탁기가 동작할 수 있다.
래치(10)를 교지하는 레버(300)에는 토션스프링 삽입부(320)가 구비되어 토션스프링(310)이 삽입된다. 상기 토션스프링(310)의 일측 바(bar)는 레버(300)와 당접되고 타측 바(bar)는 락커하우징(100)의 상부에 설치된 토션스프링 걸림부(311)에 결합된다. 따라서 래치(10)의 인입으로 회동된 레버(300)는 토션스프링(310)의 탄성력으로 초기상태로 전환되려는 힘을 받는다.
도 4는 래치, 안전고리 및 레버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5는 안전고리와 래치가 결합된 상태에서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안전고리(200)에는 래치(10)와 당접되는 래치 접촉부(230)가 구비된다. 또한, 안전고리(200)와 레버(300)의 결합시 래치 접촉부(230) 사이에는 레버(300)의 걸림턱(330)이 위치한다. 래치(10)의 인입으로 상기 안전고리(200)는 텐션스프링(210)에 의해서 탄성지지된다. 이때, 레버(300)는 걸림턱(330)에 의해서 회동하는데 이에 대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도 6은 레버와 락커하우징 커버(400)와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토션스프링(310)은 레버(300)의 토션스프링 삽입부(320)에 삽입 설치되되, 토션스프링(310)의 일측 바는 레버(300)의 일면에 지지되고, 타측 바는 토션스프링 걸림부(311, 도 3참조)에 삽입 지지되어 첨부된 도 6에서는 레버(300)가 반시계방향으로 탄성 되도록 지지된다.
이때, 레버(300)가 토션스프링(300)에 의해서 일정각도 이상으로 회전된 상태가 되면, 래치(10)가 인입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락커하우징 커버(400)에는 상기 토션스프링(310)에 의해서 레버(300)의 회동을 일정각도로 제한하는 지지턱(410)이 구비될 수 있다.
도 7은 락커의 사시도(a)와 측면도(b)를 나타낸 것이다.
락커(500)는 "ㄷ"자 형태로 락커하우징(100)의 락커 삽입홈(150)에 삽입 설치되어 슬라이더(30)의 슬라이드 동작에 의해 작동하는 것으로, 락커(50)의 레일돌기(510)는 슬라이더(30)의 락커레일(31)에 삽입 설치된다.
따라서 락커레일(31)에 삽입된 레일돌기(510)에 의해서 락커(500)는 슬라이더(30)의 슬라이드 동작에 따라 변위 된다.
이를, 첨부된 도 1의 방향에 따라 설명하면, 슬라이더(30)가 상부 측으로 작동(상승)하면 락커(500)는 좌측(후방)으로 작동 변위 되고, 슬라이더(30)가 하부 측으로 작동(하강)하면 락커(500)는 우측(전방)으로 작동 변위 된다.
이를 레버(300)와 관련하여 설명하면, 락커(500)의 내부에는 레버(300)의 동작을 록킹하는 락커부(520)가 구비된다. 상기 락커부(520)는 락커(500)의 작동변위이에 따라 레버(300)의 락커부 삽입홈(350)에 인입과 인출을 반복한다.
즉, 락커부(520)가 락커부 삽입홈(350)에 인입된 상태에서는 레버(300)의 회동을 구속하여 래치(10)가 인출되지 못하도록 하고, 락커부(520)가 락커부 삽입홈(350)에서 인출된 상태에서는 레버(300)의 회동이 가능하여 래치(10)의 인입 인출이 가능하다.
여기서, 락커부(520)가 락커부 삽입홈(350)에서 인출(이탈)된 상태에서는 레버(300)의 회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상기 락커부(520)에는 레버(300)의 경사부(521)가 구비될 수 있다. 즉 경사부(521)는 레버(300)의 회동을 원활하도록 하는 것으로, 락커(500)가 소정의 작동으로 최대의 효과를 얻기 위함이다.
도 8은 래치가 삽입되기 전의 래치, 레버 및 락커의 측면도(a)와 정면도(b)를 나타낸 것이다.
안전고리(200)의 원형 통개부(201, 202)는 각각 베이스(20)의 원통형 돌출부(21, 22)에 삽입 설치(도 3 참조)되며, 래치 접촉부(230) 사이에는 레버(300)의 걸림턱(330)이 위치한다. 이 상태에서 안전고리(200)는 슬라이더(30)의 통개부(32) 에 위치하여 슬라이더(30)의 슬라이드 동작을 하지 못하도록 구속한다.
래치 접촉부(230)의 직 하방에는 래치(10)가 위치한다.
도 8 및 이하에서 설명될 도 9 내지 도 12는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레버, 락커, 안전고리 및 래치의 위치를 상하로 도시한 수직관계로 도시하였으나 실제 사용에서는 레버, 락커, 안전고리 및 래치는 수평관계로 작동 및 설치된다.
도 9는 래치가 삽입되는 과정의 래치, 레버 및 락커의 측면도(a)와 정면도(b)를 나타낸 것이다.
첨부된 도면에서는 래치(10)가 삽입되면서 안전고리(200)의 래치 접촉부(230)에 접촉되어 상부 측으로 이동되고 레버(300)는 시계방향으로 일정각도 회동하여 래치(10)가 인입될 수 있도록 한다.
도 10은 래치가 삽입된 후의 래치, 레버 및 락커의 측면도(a)와 정면도(b)를 나타낸 것이다.
이 상태는 드럼세탁기가 구동을 하기 전의 상태로 슬라이더(30)의 슬라이드 동작에 변위 되는 락커(500)는 레버(300)의 회동을 구속하지 않는다.
래치(10)가 완전히 삽입된 상태에서는 레버(300)의 걸림턱(330)이 래치(10)를 교지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레버(300)는 회동이 가능하여 래치(10)가 인출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즉, 도어의 열고 닫힘이 자유롭다.
또한, 상기의 도어의 열고 닫힘을 더욱 자연스럽게 하기 위해서는 걸림 턱(330)과 래치(10)에는 소정의 각도를 갖는 빗각부가 구비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에 대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도 11은 슬라이드의 작동으로 락커가 하강하여 레버가 구속된 상태의 측면도(a)와 정면도(b)를 나타낸 도면이다.
사용자의 조작으로 드럼 세탁기가 작동되면, 솔레노이드에 전원이 인가되고, 이 전원의 인가로 슬라이더(30)는 슬라이드 동작된다. 상기 슬라이더(30)의 슬라이드 동작으로 첨부된 도면에서 락커(500)는 하강하게 된다. 락커(500)의 하강으로 락커(500)의 락커부(520)는 레버(300)의 락커부 삽입홈(350)에 삽입된다. 따라서 락커(500)는 레버(300)의 회동을 구속하여 상기 레버(300)가 회동하지 못하게 되고, 결국 래치(10)가 인출되지 못하게 된다.
래치(10)의 인출은 사용자의 조작 또는 드럼세탁기의 작업 종료로 슬라이더(30)가 슬라이드 작동되어 락커(500)를 상승시킨 후에 가능하다.
도어의 열고 닫힘을 더욱 자연스럽게 하기 위해서는 걸림턱(330)과 래치(10)에는 소정의 각도를 갖는 빗각부가 구비되어야 하는 것으로, 도 12 및 도 12a는 각각 슬라이드의 작동으로 락커가 하강하여 레버를 구속한 상태에서의 락커와 레버의 측면도와 래치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레버(300)의 걸림턱(330)에는 소정의 각도로 형성된 걸림턱 빗각부(331)가 구비된다. 이 걸림턱 빗각부(331)는 래치(10)가 인출될 수 있는 방향으 로 소정의 기울기를 가진다.
또한, 래치(10)의 통개부에는 상기 걸림턱 빗각부(331)에 대응되어 소정의 각도로 형성된 래치 빗각부(11)가 구비된다. 마찬가지로 이 래치 빗각부(11)는 래치(10)가 인출될 수 있는 방향으로 소정의 기울기를 가진다.
래치(10)의 인입으로 레버(300)는 회동된다. 이때, 안전고리(200)는 래치(10)에 의해서 상부 측으로 이동하면서 텐션스프링(210)에 의해 탄성지지된다.
그런데 래치(10)가 완전히 인입된 상태(도 11 참조)에 안전고리(200)는 텐션스프링(210)에 의해서 탄성 지지가 될 필요성이 상실된다. 래치(10)가 완전히 인입된 상태에서 텐션스프링(210)에 의해 지속적인 탄성력을 받는다면 드럼세탁기의 진동 또는 기타 요인에 의해 래치(10)가 인출될 수 있다.
따라서 래치(10)가 완전한 인입으로 안전고리(200)가 고정되어 텐션스프링(210)의 탄성력을 상기 래치(10)에 전달하지 않는 구성을 살펴본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고리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14는 안전고리의 고정부가 레버의 고정턱에 고정된 상태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안전고리(200)에는 돌출 형성된 고정부(240)가 구비되며, 레버(300)에는 상기 고정부(240)가 고정되는 고정턱(340)이 구비된다.
래치(10)의 인입되는 과정에서 레버(300)는 회동하고, 래치(10)가 완전히 인 입되면, 상기 레버(300)는 토션스프링(310)에 의해서 탄성지지되어 초기 상태로 회동한다. 이때, 상기 회동으로 레버(300)의 고정턱(340)은 상기 안전고리(200)의 고정부(240)를 고정시킨다. 이 상태에서 텐션스프링(210)에 의해 탄성지지되는 안전고리(200)는 래치(10)에 탄성력을 전달하지 않는 상태가 된다.
래치(10)가 인출되면, 레버(300)는 소정으로 회동하게 되고, 이 회동으로 안전고리(200)의 고정부(240)는 상기 레버(300)의 고정턱(340)에서 이탈되어 초기의 상태(도 8)로 전환된다.
도 15는 락커(500)와 레버(300)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락커(500)의 내측부에는 락커부(520)가 구비되며, 상기 락커부(520)는 레버(300)의 락커부 삽입홈(350)에 인입되어 레버(300)의 회동을 구속한다.
락커(500)는 슬라이더(30)의 슬라이드 동작에 구동된다.
또한, 상기의 락커부(520)는 소정의 각도를 이루는 경사부(521)가 마련되어 슬라이더(30)의 작동 전에는 레버(300)의 회동을 원활하게 한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청구항 및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의 작성된 범위 내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래치와 도어록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안전고리, 락커하우징 및 레버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안전고리, 락커하우징 및 레버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래치, 안전고리 및 레버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안전고리와 래치가 결합된 상태에서의 사시도.
도 6은 레버와 락커하우징 커버(400)와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측면도.
도 7은 락커의 사시도(a)와 측면도(b).
도 8은 래치가 삽입되기 전의 래치, 레버 및 락커의 측면도(a)와 정면도(b).
도 9는 래치가 삽입되는 과정의 래치, 레버 및 락커의 측면도(a)와 정면도(b).
도 10은 래치가 삽입된 후의 래치, 레버 및 락커의 측면도(a)와 정면도(b).
도 11은 슬라이드의 작동으로 락커가 하강하여 레버를 구속한 상태의 측면도(a)와 정면도(b).
도 12는 슬라이드의 작동으로 락커가 하강하여 레버를 구속한 상태에서의 락커와 레버의 측면도.
도 12a는 래치의 단면도
도 13은 안전고리의 사시도.
도 14는 안전고리의 고정부가 레버의 고정턱에 고정된 상태의 사시도.
도 15는 락커(500)와 레버(300)의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래치 11...래치 빗각부
20...베이스 21, 22...원통형 돌출부
30...슬라이더 31...락커레일
100...락커하우징 110...텐션스프링 지지부
120...안전고리 삽입부 150...락커 삽입홈
200...안전고리 210...텐션스프링
220...텐션스프링 접촉부 230...래치 접촉부
240...고정부
300...레버 310...토션스프링
320...토션스프링 삽입부 330...걸림턱
331...걸림턱 빗각부 340...고정턱
400...락커하우징 커버 410...지지턱
500...락커 510...레일돌기
520...락커부 521...경사부

Claims (6)

  1. 드럼세탁기의 도어 록 장치에 있어서,
    락커레일(31)이 구비되고 솔레노이드의 작동에 의해 이동되는 슬라이더(30);
    래치(10)를 교지하는 걸림턱(330)과 락커부 삽입홈(350)이 구비되고, 토션스프링(310)에 의해서 회동지지되는 레버(300);
    락커 삽입홈(150)이 구비되고 상기 레버(300)가 삽입되며, 상기 레버(300)의 이탈을 방지하는 락커하우징 커버(400)가 결합되는 락커하우징(100);
    상기 락커하우징(100)의 락커 삽입홈(150)에 삽입 설치되며, 상기 슬라이더(30)의 락커레일(310)에 삽입되어 상기 슬라이더(30)의 슬라이드 동작에 의해 작동되는 레일돌기(510)가 구비되고, 상기 레버(300)의 락커부 삽입홈(350)에 삽입되어 상기 레버(300)를 구속하는 락커부(520)가 구비된 락커(5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세탁기의 도어 록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락커하우징(100)에는 텐션스프링(210)이 지지되는 텐션스프링 지지부(110)와 안전고리 삽입부(120)가 구비되고,
    상기 텐션스프링(210)을 탄성 지지하는 텐션스프링 접촉부(220)와 래치 접촉부(230)가 구비되어, 상기 안전고리 삽입부(120)에 삽입 설치되는 안전고리(200)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세탁기의 도어 록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안전고리(200)에는 돌출 형성된 고정부(240)가 구비되며,
    상기 레버(300)에는 상기 고정부(240)가 고정되는 고정턱(340)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세탁기의 도어 록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락커(500)의 락커부(520)에는 레버(300)의 회동이 원활하도록 경사부(521)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세탁기의 도어 록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락커하우징 커버(400)에는 상기 토션스프링(310)에 의해서 레버(300)의 회동을 일정 각도로 제한하는 지지턱(410)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록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레버(300)의 걸림턱(330)에는 소정의 각도로 형성된 걸림턱 빗각부(331)가 구비되고,
    상기 래치(10)의 통개부에는 상기 걸림턱 빗각부(331)에 대응되어 소정의 각도로 형성된 래치 빗각부(11)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록 장치.
KR1020080129518A 2008-12-18 2008-12-18 드럼세탁기의 도어 록 장치 KR1008921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9518A KR100892161B1 (ko) 2008-12-18 2008-12-18 드럼세탁기의 도어 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9518A KR100892161B1 (ko) 2008-12-18 2008-12-18 드럼세탁기의 도어 록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92161B1 true KR100892161B1 (ko) 2009-04-10

Family

ID=407573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9518A KR100892161B1 (ko) 2008-12-18 2008-12-18 드럼세탁기의 도어 록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216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6927B1 (ko) 2012-09-21 2014-05-20 두얼메카닉스 주식회사 세탁기용 도어락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3926Y1 (ko) 2006-05-30 2006-08-11 두얼메카닉스 주식회사 도어안전잠금장치의 로킹방법
KR100653913B1 (ko) 2005-08-08 2006-12-08 두얼메카닉스 주식회사 드럼세탁기 도어의 안전락장치
JP2008063807A (ja) 2006-09-07 2008-03-21 Nidec Sankyo Corp 開閉ロック機構
KR100856683B1 (ko) 2008-05-28 2008-09-04 두얼메카닉스 주식회사 도어 잠금장치의 이중 안전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3913B1 (ko) 2005-08-08 2006-12-08 두얼메카닉스 주식회사 드럼세탁기 도어의 안전락장치
KR200423926Y1 (ko) 2006-05-30 2006-08-11 두얼메카닉스 주식회사 도어안전잠금장치의 로킹방법
JP2008063807A (ja) 2006-09-07 2008-03-21 Nidec Sankyo Corp 開閉ロック機構
KR100856683B1 (ko) 2008-05-28 2008-09-04 두얼메카닉스 주식회사 도어 잠금장치의 이중 안전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6927B1 (ko) 2012-09-21 2014-05-20 두얼메카닉스 주식회사 세탁기용 도어락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76331B2 (en) Appliance door lock
JP5184580B2 (ja) ドアロック装置
EP2141277B1 (en) Machine for treating textile items, in particular a washing machine
KR20070048333A (ko) 도어 힌지
KR101463514B1 (ko) 푸시 앤 푸시 도어락 장치
CN101324019B (zh) 洗衣机用洗涤槽门的锁定装置
JP2002004652A (ja) ハンドル装置
KR100892161B1 (ko) 드럼세탁기의 도어 록 장치
KR200452304Y1 (ko) 고정후크가 마련된 도어록 장치
KR100823022B1 (ko) 미닫이문의 잠금 및 잠금 해제장치
KR100803906B1 (ko) 손잡이 당김용 미닫이문의 잠금 해제장치
KR101310179B1 (ko) 도어락 장치
KR100954076B1 (ko) 잠금해제 버튼을 구비한 도어락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드럼세탁기
KR101409957B1 (ko) 도어 오픈스위치가 구비된 도어락 조립체
KR100898801B1 (ko) 드럼세탁기의 도어 록 장치
KR100407480B1 (ko) 금고문 개폐장치
KR20100024649A (ko) 창호용 잠금장치
KR100749697B1 (ko) 디지털 도어록
KR101958223B1 (ko) 사물함 도어 개폐장치
KR101404431B1 (ko) 2단 출몰 구조를 갖는 튜블러형 래치
KR101708678B1 (ko) 세탁물 처리장치
KR101130655B1 (ko) 도어용 드로와 래치의 오토락 장치
KR100856683B1 (ko) 도어 잠금장치의 이중 안전장치
KR100535766B1 (ko) 글로브 박스의 록킹 장치
KR101068187B1 (ko) 도어 고정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4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