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1448B1 - 국소적 댑손 및 댑손/아다팔렌 조성물 및 이의 사용 방법 - Google Patents

국소적 댑손 및 댑손/아다팔렌 조성물 및 이의 사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1448B1
KR102291448B1 KR1020217012602A KR20217012602A KR102291448B1 KR 102291448 B1 KR102291448 B1 KR 102291448B1 KR 1020217012602 A KR1020217012602 A KR 1020217012602A KR 20217012602 A KR20217012602 A KR 20217012602A KR 102291448 B1 KR102291448 B1 KR 1022914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dapsone
acne
concentration
s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126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49968A (ko
Inventor
케빈 에스. 워너
어제이 피. 파라샤르
비자야 스와미나탄
바르샤 바트
Original Assignee
알레간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9667632&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2291448(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알레간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알레간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2100499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99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14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14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3Amines
    • A61K31/135Amines having aromatic rings, e.g. ketamine, nortriptyline
    • A61K31/136Amines having aromatic rings, e.g. ketamine, nortriptyline having the amino group directly attached to the aromatic ring, e.g. benzeneam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3Amines
    • A61K31/145Amines having sulfur, e.g. thiurams (>N—C(S)—S—C(S)—N< and >N—C(S)—S—S—C(S)—N<), Sulfinylamines (—N=SO), Sulfonylamines (—N=SO2)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 A61K31/192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romatic groups, e.g. sulindac, 2-aryl-propionic acids, ethacryn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08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oxygen, e.g. ethers, acetals, ketones, quinones, aldehydes, peroxides
    • A61K47/10Alcohols; Phenols; Salts thereof, e.g. glycerol; Polyethylene glycols [PEG]; Poloxamers; PEG/POE alkyl eth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08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oxygen, e.g. ethers, acetals, ketones, quinones, aldehydes, peroxides
    • A61K47/14Esters of carboxylic acids, e.g. fatty acid monoglycerides, medium-chain triglycerides, parabens or PEG fatty acid es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1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nitrogen, e.g. nitro-, nitroso-, azo-compounds, nitriles, cyanates
    • A61K47/18Amines; Amides; Ureas; 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Amino acids; Oligopeptides having up to five amino acids
    • A61K47/183Amino acids, e.g. glycine, EDTA or aspartam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carbomers, poly(meth)acrylates, or polyvinyl pyrrolid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4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esters, polyamino acids, polysiloxanes, polyphosphazines, copolymers of polyalkylene glycol or poloxa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4Skin, i.e. galenical aspects of topical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02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for treating wounds, ulcers, burns, scars, keloid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04Antipruri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08Antiseborrhe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10Anti-acne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12Keratolytics, e.g. wart or anti-corn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8Antiallerg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Abstract

댑손 및 댑손/아다팔렌 조성물은 다양한 피부 상태를 치료하는데 유용할 수 있다. 이 개시내용의 조성물은 중합체성 점도 증진제 내에 댑손 및/또는 아다팔렌을 포함한다 대상 조성물은 피부 상태를 효과적으로 치료하고 피부에 도포되는 약제학적 제품의 효율을 개선하기 위해 댑손의 피부 전달 프로파일을 최적화하도록 조절될 수 있다. 중합체성 점도 증진제의 사용은 중합체성 점도 증진제가 없는 조성물과 비교하여 디에틸렌 글리콜 모노에틸 에테르의 증가된 농도를 갖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국소적 댑손 및 댑손/아다팔렌 조성물 및 이의 사용 방법{TOPICAL DAPSONE AND DAPSONE/ADAPALENE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USE THEREOF}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 참조
본 출원은 미국 가출원 제61/728,403호(2012년 11월 20일에 출원) 및 미국 가출원 제61/770,768호(2013년 2월 28일에 출원)의 이익을 주장하며, 이들 모두는 그 전체가 참조로써 본원에 포함되어 있다.
기술분야
본 구현예는 일반적으로 다양한 피부 상태를 치료하는데 유용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특히, 일부 구현예는 댑손 및 댑손/아다팔렌 조성물 및 이의 사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여드름은 일명 "여드름모양" 또는 여드름-유사 피부 발진을 특징으로 하는 흔한 피부 상태의 하나의 군이며, 이는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와 같은 박테리아로 오염될 수 있고, 염증에 의해서도 자국이 생길 수 있다. 여드름은 얼굴과 같이 피지샘이 가장 활발한 피부의 부위에서 일어나기 쉽다. 여드름은 정신적 충격과 연관되며, 만약 치료되지 않은 상태로 방치하면 흉터 및 외모 손상을 야기할 수 있다.
다양한 여드름 상태의 분류 및 진단은 복잡하고 심지어 모순될 수 있다. 이러한 복잡성 및 예측불가능을 고려해 볼 때, 특정한 환자에게 가장 효과적인 치료 과정을 결정하기 위해 약 및 다른 요법은 종종 시행오차에 근거하여 개발된다. 어떤 특정한 여드름 치료요법의 결과는 환자마다 뿐만 아니라 특정 환자의 치료 동안 크게 달라진다. 여드름 상태의 복잡성 및 다양성 외에도, 치료 효능은 치료 요법에 대한 환자의 수용상태에 의해 크게 달라질 수 있다. 여드름 치료 동안 환자 수용상태는 부작용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으며, 이는 국소 약물의 경우, 통상 홍조, 가려움, 및 피부 벗겨짐을 포함한다. 약물 요법의 복잡성은 또한 특히 둘 이상의 상이한 국소 약물이 동시에 처방되는 경우 환자의 수용상태에 부정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환자의 수용상태에 부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또 다른 인자는 약물 요법의 비용이며, 이는 다수의 약물이 처방될 때 상당히 더 높다. 일부 국가에서, 여드름은 미용 문제로 간주되며, 여드름 치료는 보험 설계에 의해 커버되지 않으므로 환자의 치료 비용을 더 증가시킨다. 일부 여드름 치료용 조성물이 이용가능하다. 이용가능한 조성물은 항-여드름 활성을 갖는 것으로 공지된 하나의 활성제를 포함한다. 다수의 항여드름제를 갖는 조성물의 안정성은 문제될 수 있다. 또한, 이들 조성물은 제조하기 어려울 수 있다.
전술한 문제들은 여드름의 치료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비제한적으로 분류하거나 진단하기 어려운 복잡하거나 알려지지 않은 병인론을 갖는 상태 또는 상태의 계열을 포함하는 다양한 다른 피부 상태에 또한 적용가능하며, 여기서 그럼에도 불구하고, 제제의 국소 적용이 적어도 일부 경우에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한 상태 또는 상태의 계열의 예는 건선, 주사비 및 어린선을 포함한다.
따라서, 국소 적용이 잠재적으로 효과적인, 여드름과 같은 다양한 피부 상태의 치료에 사용되는 조성물 및 방법이 여전히 요구된다. 본원에 제공된 조성물 및 방법은 본 기술분야에서의 이들 및 다른 요구를 다룬다.
요약
댑손(4,4'-디아미노디페닐 설폰)은 몇 가지 유익한 약리 활성을 갖는 약물이다. 댑손은 나병의 치료에 사용되는 약물 중 하나로서 전형적으로 투여된다. 댑손 및 그의 유도체는 또한 박테리아 감염, 말라리아와 같은 원생동물 감염, 폐포자충, 및 톡소플라스마증과 같은 플라스모닉 감염의 치료에 또한 효과적이다.
댑손은 또한 항-염증제로서 유용하다. 그것은 포진성 피부염, 선상 IgA 피부종, 농포성 건선, 괴저성 농피증, 심상성 여드름, 및 스위트 증후군과 같은 중성구의 비정상적 침입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질환을 치료하는데 사용되어 왔다.
댑손의 국소 조성물의 이용은 문제될 수 있다 국소 조성물은 피부를 위한 건조제로서 작용할 수 있다. 이들은 피부로부터 에센셜 오일 및 천연 피부 연화제를 제거하여 그것을 건조하고, 가렵고, 갈라지게 한다. 하지만, 외부 피부 진정제, 오일 등의 포함은 댑손의 상 분리 및 침전을 야기한다. 전형적인 유화제의 사용은 낮은 댑손 용해도 및 얻어지는 조성물의 상의 상충하는 물리적 특징으로 인해 댑손 침전을 해결하지 못한다. 특히, 예를 들면, 피부 상태를 갖는 특정한 환자에서 사용될 때 개선된 효과, 감소된 부작용, 또는 이 둘 모두를 나타낼 댑손을 포함하는 국소 조성물 및 방법들이 요구된다. 댑손을 포함하는 그러한 개선된 국소 조성물 및 이들의 사용 방법은 또한 여드름 또는 의심되는 여드름을 갖는 환자의 치료를 개선하는데 필요하다. 본 발명의 댑손 및 댑손/아다팔렌 조성물은 다양한 피부 상태를 치료하는데 유용할 수 있다. 일부 유용한 조성물은 중합체성 점도 증진제 중의 댑손 및/또는 아다팔렌을 포함한다. 일부 조성물은 피부 질환을 효과적으로 치료하고 피부에 적용될 약제학적 생성물의 효능을 개선하기 위해 댑손의 피부 전달 프로파일을 최적화하도록 조절될 수 있다. 디에틸렌 글리콜 모노에틸 에테르는 댑손에 대한 용해제이며, 이로써 증가된 용해된 농도의 댑손을 이용하여 조성물이 제조되게 한다. 그 결과, 본원에 기재된 조성물은 이를 필요로 하는 대상에서 피부 상태를 치료하는데 효과적이다.
더욱이, 중합체성 점도 증진제의 사용은 디에틸렌 글리콜 모노에틸 에테르에서의 댑손의 증가된 용해도로 인해 야기되는 조성물의 황화의 강도를 최소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중합체성 점도 증진제는 댑손 결정화에 영향을 미친다. 이것은, 결국 개선된 미학 (즉, 적용시 "모래같은" 느낌을 최소화하는 입자 크기의 감소)을 갖는 조성물을 야기한다.
하나의 구현예에서, 댑손, 디에틸렌 글리콜 모노에틸 에테르인 제1 용해제, 선택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제2 용해제, 중합체성 점도 증진제, 및 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이 제공되며, 여기서 댑손은 약 5% w/w 내지 약 10% w/w의 농도로 존재한다.
하나의 구현예에서, 댑손, 디에틸렌 글리콜 모노에틸 에테르인 제1 용해제, 선택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제2 용해제, 중합체성 점도 증진제, 및 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이 제공되며, 여기서 댑손은 약 3% w/w 내지 약 8% w/w의 농도로 존재한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피부 상태를 치료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그러한 방법은 예를 들면 치료적으로 효과적인 양의 전술한 약제학적 조성물을 이를 필요로 하는 대상에게 투여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도 1은 색상 변화에 대한 아크릴아마이드/나트륨 아크로일디메틸타우레이트의 영향을 제시한다.
도 2는 댑손 결정 성장에 대한 아크릴아마이드/나트륨 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레이트 공중합체 유화 점도 증진제의 영향을 제시한다.
도 3은 색상 변화에 대한 항산화제 및 킬레이트화제의 영향을 제시한다.
상세한 설명
전술한 일반적인 설명 및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 모두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고 설명적인 것이며 청구항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형의 사용은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을 포함한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또는"은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및/또는"을 의미한다. 더욱이, 용어 "포함하는" 뿐만 아니라 "포함하다," 및 "포함된"과 같은 다른 형태들의 사용은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본원에 사용된 섹션 제목은 단지 구조적 목적을 위한 것이며 기술된 주제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일부 구현예는 피부 상태의 치료를 위한 조성물 및 제품 및 피부 상태를 치료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피부 상태"는 피부에 영향을 미치는 인간 및 동물의 상태, 장애, 또는 질환을 포함한다. 그러한 피부 상태는 비제한적으로 피부 염증과 관련된 상태, 피지샘 및 모낭과 관련된 상태, 여드름모양 증상을 특징으로 하는 상태, 및 피부 건조, 피부 비후, 피부 스케일링 또는 피부 벗겨짐과 관련된 상태를 포함한다. 본원에 기술된 일부 조성물 및 방법을 이용하여 치료될 수 있는 피부 상태는 비제한적으로 여드름, 주사비, 모낭염, 구위 피부염, 광손상, 피부 노화, 건선, 어린선, 아토피성 피부염, 만성 창상의 치료, 욕창, 모공성 각화증, 수술 및 여드름 흉터를 포함하는 흉터, 피지낭포, 염증성 피부병, 염증후 색소침착, 습진, 건조증, 소양증, 편평태선, 결절성 양진, 습진, 및 땀띠를 포함한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여드름"은 여드름모양 또는 여드름-유사 증상을 수반하는 피부 상태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여드름과 유사한 구진 및 농포와 같은 모낭 발진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상태는 여드름으로서 분류될 수 있다. 용어 "여드름"은 구진 및 농포를 특징으로 하는 질환 및 상태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증상을 특징으로 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여드름을 갖는 특정한 환자는 차도 중일 수 있거나, 환자의 여드름은 지속적인 치료에 의해 제어될 수 있고, 따라서 환자는 감소된 증상을 나타내거나 무증상일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드름의 지속적인 치료는 여드름 증상의 회귀 가능성을 낮추기 위해 그러한 환자에게 권고될 수 있다.
여드름 또는 여드름-유사 상태의 증상은 비제한적으로 다양한 피부 병변의 외관을 포함한다. 용어 "병변"은 감염되거나 질환에 걸린 피부의 부분을 가리키기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병변은 감염된 피지샘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병변은 다른 것보다 더 중증이다. 피부 병변의 예는 면포, 반점, 구진, 농포, 결절 및 낭포이다. 용어 "면포(comedo)" (복수형 "comedones")는 먼지, 다른 세포, 작은 머리카락, 또는 박테리아로 채워진 피지 소포를 기술하기 위해 사용된다. 면포는 소위 "흑여드름"을 포함하며, 이는 점 또는 검정색으로 보이는 표면을 갖는 "개방(open) 면포"로도 지칭될 수 있다. 면포는 또한 약간 염증성의, 피부 색상의 혹 뿐만 아니라 점 또는 흰색으로 보이는 표면을 갖는 "패립종"을 포함한다. 용어 "반점"은 일반적으로 편평점 또는 변화된 색상을 갖는 피부의 영역, 예컨대 적색 반점을 지칭한다. 용어 "농포"는 염증성의 고름이 채워진 병변, 또는 고름이 채워진 피부의 작은 염증성 상승을 지칭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용어 "구진"은 고름을 함유하지 않는 피부의 작은, 고체의, 일반적으로 염증성 상승을 지칭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용어 "결절"은 구진과 유사하나 희고 돔 모양인 피부의 상승을 지칭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구어적으로, 구진, 농포 또는 결절은 "뾰루지" 또는 "여드름(zit)"으로서 지칭될 수 있다. 용어 "낭포"는 백혈구 세포, 죽은 세포, 및 박테리아를 함유하는 액체 또는 반-액체 성분을 함유하는 비정상적인 막을 형성하는 주머니를 일반적으로 지칭한다. 낭포는 해로울 수 있고 피부의 더 깊은 층으로 확장할 수 있다.
피부 과학 및 피부 및 미용 실습에서, 여드름은 주로 관찰된 증상의 유형, 상태의 중증도 또는 주된 위치와 같은 하나 이상의 범주 체계에 따라, 하나 이상의 유형 또는 카테고리로 분류될 수 있다. 여드름을 하위유형 중 하나로 분류하는 것은 상기 분류된 상태의 특징이 특정 유형과 관련된 증상에 제한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면포성 여드름은 흑여드름 및 패립종과 같은, 비염증성 병변의 외관을 특징으로 한다. 국한된 낭포성 여드름은 얼굴, 가슴 및 등에서의 약간의 낭포의 외관을 특징으로 한다. 확산성 낭포성 여드름은 얼굴, 가슴 및 등의 광범위한 영역에서의 낭포의 외관을 특징으로 한다. 결절성 여드름은 결절의 외관을 특징으로 한다. 결절성낭포는 결절 및 낭포의 외관을 특징으로 한다. 심상성 여드름은 함께 또는 별개로 나타날 수 있는, 몇 가지 유형의 병변의 외관을 특징으로 하는 여드름의 흔한 형태이다. 개별적인 여드름 병변은 일반적으로 2주 미만으로 지속되지만 더 깊은 구진 및 결절은 수개월 동안 지속될 수 있다. 심상성 여드름은 통상적으로 사춘기에 영향을 미치지만, 그것은 또한 성인기에 나타나거나, 지속되거나, 더 심각해질 수 있다. 심상성 여드름은 얼굴, 가슴, 등, 및 때때로 심지어 광범위하게 발생할 수 있다.
중증도에 따라, 여드름은 경증, 보통 또는 중증일 수 있다. 경증 여드름은 일반적으로 흑여드름 및 패립종의 외관을 특징으로 하나, 구진 및 농포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보통의 여드름은 일반적으로 더 고통스러운, 뿌리깊은, 염증이 생긴 병변의 외관을 특징으로 하며, 이는 흉터를 야기할 수 있다. 중증 여드름은 고통스럽고 흉터를 생성할 수 있는 낭포 및 결절을 포함하는, 뿌리깊은 염증성 병변의 외관을 특징으로 한다. 집족성 여드름은 피부 아래서 종기와 천공 공동관과 통하는 고도의 염증성 낭포를 특징으로 하는 여드름의 카테고리이다.
본원에 기술된 조성물 및 방법에 의해 치료될 수 있는 여드름-유사 증상을 나타내는 일부 다른 피부 상태가 하기에 논의된다. 주사비로도 알려진 안면 농피증(Pyoderma faciale)은 여성에서 나타나는 상태이고 얼굴 위에 국소화된 염증이 생긴 낭포 및 결절의 갑작스런 출현을 특징으로 한다. 주사 여드름 (acne rosacea)으로 지칭될 수 있는 주사비는 피부 및 눈 모두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상태이며, 홍조, 혹, 뾰루지, 및 진전된 단계에서는 코에서의 비후된 피부를 특징으로 한다. 일부 분류 체계에서, 주사비 및 여드름은 별개의 상태로서 간주된다. 주사비는 목과 흉부 상부가 또한 때때로 관여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일반적으로 얼굴에서 발생한다. 경미한 정도의 눈(안구) 관여가 주사비를 가진 사람 중 50%가 넘는 사람에게서 발생한다. 구위 피부염은 작은 구진, 농포, 붉은 혹 및 강한 가려움을 갖는 벗겨짐의 외관을 특징으로 한다. 그것은 입 주변 부위 및 턱에 일반적으로 국한되거나, 눈꺼풀과 이마를 포함하여 확장된다. 그람-음성 모낭염은 아마도 심상성 여드름의 장기간 항생제 치료로부터 비롯되는 합병증으로서 발생하는, 농포 및 낭포의 외관을 특징으로 하는 박테리아 감염이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피부 상태와 관련된 용어 "치료" 또는 "치료하는"은 일반적으로 "피부 상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의미하며 피부 상태의 적어도 하나의 증상의 경감, 피부 상태의 중증도의 감소, 또는 피부 상태의 진행의 지연, 예방, 또는 억제를 포함한다. 치료는 상기 상태가 완전히 치유되는 것을 의미할 필요는 없다. 피부 상태의 치료에 유용한 조성물 또는 제품, 또는 피부 상태를 치료하는 방법은 피부 상태의 중증도를 감소시키거나, 이와 관련된 증상의 중증도를 감소시키거나, 환자의 삶의 질을 개선하거나, 피부 상태의 증상의 개시를 지연시키거나, 예방하거나, 또는 억제만 하면 된다.
하나의 구현예에서, 댑손, 디에틸렌 글리콜 모노에틸 에테르인 제1 용해제, 선택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제2 용해제, 중합체성 점도 증진제, 및 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이 제공되며, 여기서 댑손은 약 5% w/w 내지 약 10% w/w, 약 1% w/w 내지 약 10% w/w, 약 3% w/w 내지 약 10% w/w, 약 3% w/w 내지 약 8% w/w, 약 4% w/w 내지 약 6% w/w, 또는 약 5%의 농도로 존재한다. 어떤 구현예에서, 댑손은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10.0% w/w로 조성물 내에 존재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중합체성 점도 증진제는 아크릴아마이드/나트륨 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레이트 공중합체이며, 이소헥사데칸, 소르비탄 올레에이트, 물, 및 폴리소르베이트 80을 추가로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중합체성 점도 증진제는 약 2% w/w 내지 약 6% w/w의 농도로 존재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중합체성 점도 증진제는 약 3% w/w 내지 약 5% w/w의 농도로 존재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중합체성 점도 증진제는 약 4% w/w의 농도로 존재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디에틸렌 글리콜 모노에틸 에테르는 약 25% w/w 내지 약 40% w/w의 농도로 존재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디에틸렌 글리콜 모노에틸 에테르는 약 30% w/w 내지 약 40% w/w의 농도로 존재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디에틸렌 글리콜 모노에틸 에테르는 약 35% w/w 내지 약 40% w/w의 농도로 존재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디에틸렌 글리콜 모노에틸 에테르는 약 10% w/w 내지 약 40% w/w, 약 20% w/w 내지 약 30% w/w, 또는 약 25%의 농도로 존재한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아다팔렌을 추가로 포함하는 조성물이 제공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아다팔렌은 약 0.1% w/w 내지 약 0.3% w/w의 농도로 존재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제2 용해제는 알코올, 글리콜, 에스테르, 에테르 또는 실리콘으로부터 선택된다. 그러한 제2 용해제는 비제한적으로 PEG 400, 젖산, 디메틸 이소소르바이드,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프로필렌 카보네이트, 헥실렌 글리콜, 이소스테아릴 알콜, 벤질 알콜, 디에틸 세바케이트, 및 에탄올을 포함한다.
어떤 구현예에서, 제2 용해제는 프로필렌 글리콜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프로필렌 글리콜은 약 2% w/w 내지 8% w/w의 농도로 존재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프로필렌 글리콜은 약 3% w/w 내지 7% w/w의 농도로 존재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프로필렌 글리콜은 약 5% w/w의 농도로 존재한다.
어떤 구현예에서, 제2 용해제는 프로필렌 카보네이트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프로필렌 카보네이트는 약 2% w/w 내지 8% w/w의 농도로 존재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프로필렌 카보네이트는 약 3% w/w 내지 7% w/w의 농도로 존재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프로필렌 카보네이트는 약 5% w/w의 농도로 존재한다.
어떤 구현예에서, 제2 용해제는 에탄올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에탄올은 약 1% w/w 내지 약 5% w/w의 농도로 존재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에탄올은 약 2% w/w 내지 약 4% w/w의 농도로 존재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에탄올은 약 3% w/w의 농도로 존재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메틸 파라벤을 추가로 포함한다.
다른 구현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카보머 동종중합체 유형 C를 추가로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카보머 동종중합체 유형 C는 약 0.7% w/w 내지 약 1.5% w/w의 농도로 존재한다. 다른 구현예에서, 카보머 동종중합체 유형 C는 약 0.85% w/w 내지 약 1.0% w/w의 농도로 존재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중화제를 추가로 포함한다. 어떤 구현예에서, 상기 중화제는 이온성 또는 아민 버퍼이다. 어떤 구현예에서, 상기 중화제는 수산화나트륨 또는 트리에탄올 아민이다. 중화제의 사용은 통상적으로 5.5 내지 6.5의 pH를 갖는 조성물을 야기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킬레이트화제를 추가로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상기 킬레이트화제는 에틸렌 디아민 테트라아세트산 (EDTA)이다. EDTA는 전형적으로 약 0.02% w/w 내지 약 0.04% w/w로 조성물 내에 존재한다. 어떤 구현예에서, EDTA는 약 0.03% w/w로 조성물 내에 존재한다.
본원에 기술된 조성물들은 전형적으로 겔, 유화액, 크림, 액체, 페이스트, 로션, 나노유화액, 마이크로유화액, 역 유화액, 또는 리포좀 크림의 형태이다.
구현예
하기 구현예들이 본원에서 구체적으로 고려된다.
구현예 1. 댑손, 디에틸렌 글리콜 모노에틸 에테르인 제1 용해제, 선택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제2 용해제, 중합체성 점도 증진제, 및 물을 포함하며, 여기서 댑손이 조성물 내에 약 3% w/w 내지 약 10% w/w의 농도로 존재하는 조성물.
구현예 2. 디에틸렌 글리콜 모노에틸렌 에테르가 약 10% w/w 내지 약 40% w/w의 농도로 존재하는 구현예 1의 조성물.
구현예 3. 디에틸렌 글리콜 모노에틸 에테르가 약 20% w/w 내지 약 30% w/w의 농도로 존재하는 구현예 1의 조성물.
구현예 4. 디에틸렌 글리콜 모노에틸 에테르가 약 25% w/w의 농도로 조성물 내에 존재하는 구현예 1의 조성물.
구현예 5. 아다팔렌을 추가로 포함하는, 구현예 1의 조성물.
구현예 6. 아다팔렌이 약 0.1% w/w 내지 약 0.3% w/w의 농도로 존재하는 구현예 5의 조성물.
구현예 7. 제2 용해제가 알코올, 글리콜, 에스테르, 또는 에테르로부터 선택되는 구현예 1의 조성물.
구현예 8. 제2 용해제가 PEG 400, 젖산, 디메틸 이소소르바이드, 프로필렌 글리콜, 프로필렌 카보네이트, 헥실 글리콜, 이소스테아릴 알콜, 디에틸 세바케이트, 또는 에탄올인 구현예 1의 조성물.
구현예 9. 제2 용해제가 프로필렌 글리콜인 구현예 8의 조성물.
구현예 10. 프로필렌 글리콜이 약 5% w/w의 농도로 조성물 내에 존재하는 구현예 9의 조성물.
구현예 11. 제2 용해제가 프로필 카보네이트인 구현예 8의 조성물.
구현예 12. 프로필렌 카보네이트가 약 5% w/w의 농도로 조성물 내에 존재하는 구현예 11의 조성물.
구현예 13. 제2 용해제가 에탄올인 구현예 8의 조성물.
구현예 14. 에탄올이 약 3% w/w의 농도로 조성물 내에 존재하는 구현예 13의 조성물.
구현예 15. 중합체성 점도 증진제가 아크릴아마이드/나트륨 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레이트 공중합체인 구현예 1의 조성물.
구현예 16. 중합체성 점도 증진제가 약 2% w/w 내지 약 6% w/w의 농도로 존재하는 구현예 1의 조성물.
구현예 17. 중합체성 점도 증진제가 약 4% w/w의 농도로 존재하는 구현예 1의 조성물.
구현예 18. 메틸 파라벤을 추가로 포함하는 구현예 1의 조성물.
구현예 19. 카보머 인터중합체 유형 A, 카보머 인터중합체 유형 B, 또는 카보머 동종중합체 유형 C를 추가로 포함하는, 구현예 1의 조성물.
구현예 20. 카보머 동종중합체 유형 C가 약 0.7% w/w 내지 약 1.5% w/w의 농도로 존재하는 구현예 19의 조성물.
구현예 21. 카보머 동종중합체 유형 C가 약 0.85% w/w 내지 약 1.5% w/w의 농도로 존재하는 구현예 19의 조성물.
구현예 22. 카보머 인터중합체 유형 A가 약 1% w/w 내지 약 2% w/w의 농도로 존재하는 구현예 19의 조성물.
구현예 23. 카보머 인터중합체 유형 B가 약 0.1% w/w 내지 약 0.5% w/w의 농도로 존재하는 구현예 19의 조성물.
구현예 24. 중화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구현예 1의 조성물.
구현예 25. 중화제가 NaOH 또는 트리에탄올아민인 구현예 24의 조성물.
구현예 26. 킬레이트화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구현예 1의 조성물.
구현예 27. 킬레이트화제가 에틸렌 디아민 테트라아세트산인 구현예 26의 조성물.
구현예 28. 에틸렌 디아민 테트라아세트산이 약 0.02% w/w 내지 약 0.04% w/w의 농도로 존재하는 구현예 27의 조성물.
구현예 29. 에틸렌 디아민 테트라아세트산이 약 0.03% w/w의 농도로 존재하는 구현예 27의 조성물.
구현예 30. 상기 조성물이 겔, 유화액, 크림, 액체, 페이스트, 로션, 나노유화액, 마이크로유화액, 역 유화액, 또는 리포좀 크림의 형태인 구현예 1의 조성물.
구현예 31. 치료적으로 효과적인 양의 구현예 1의 조성물을 이를 필요로 하는 대상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피부상태를 치료하는 방법.
구현예 32. 상기 상태가 심상성 여드름, 주사비, 아토피성 피부염, 만성 창상의 치료, 욕창, 모공성 각화증, 피지낭포, 염증성 피부병, 염증후 색소침착, 습진, 건조증, 소양증, 편평태선, 결절성 양진, 습진, 또는 땀띠인, 구현예 31의 방법.
구현예 33. 상기 상태가 여드름인 구현예 32의 방법.
구현예 34. 아다팔렌을 추가로 포함하는, 구현예 1, 2, 3, 또는 4의 조성물.
구현예 35. 아다팔렌이 약 0.01% w/w 내지 약 0.3% w/w의 농도로 존재하는 구현예 34의 조성물.
구현예 36. 제2 용해제가 알코올, 글리콜, 에스테르, 또는 에테르로부터 선택되는, 구현예 1, 2, 3, 4, 34, 또는 35의 조성물.
구현예 37. 제2 용해제가 비제한적으로 PEG 400, 젖산, 디메틸 이소소르바이드,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프로필렌 카보네이트, 헥실렌 글리콜, 이소스테아릴 알콜, 벤질 알콜, 디에틸 세바케이트, 또는 에탄올인 구현예 1, 2, 3, 4, 34, 35, 또는 36의 조성물.
구현예 38. 제2 용해제가 프로필렌 글리콜인 구현예 37의 조성물.
구현예 39. 프로필렌 글리콜이 약 5% w/w의 농도로 조성물 내에 존재하는 구현예 38의 조성물.
구현예 40. 제2 용해제가 프로필렌 카보네이트인, 구현예 37의 조성물.
구현예 41. 프로필렌 카보네이트가 약 5% w/w의 농도로 조성물 내에 존재하는 구현예 40의 조성물.
구현예 42. 제2 용해제가 에탄올인 구현예 37의 조성물.
구현예 43. 상기 에탄올이 약 3% w/w의 농도로 조성물 내에 존재하는, 구현예 42의 조성물.
구현예 44. 중합체성 고분자 증진제가 아크릴아마이드/나트륨 아크릴로디메틸타우레이트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구현예 1, 2, 3, 4, 34, 35, 36, 37, 38, 39, 40, 41, 42, 또는 43의 조성물.
구현예 45. 중합체성 점도 증진제가 약 2% w/w 내지 약 6% w/w의 농도로 존재하는 구현예 1, 2, 3, 4,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또는 44의 조성물.
구현예 46. 중합체성 점도 증진제가 약 4% w/w의 농도로 존재하는 구현예 45의 조성물.
구현예 47. 메틸 파라벤을 추가로 포함하는, 구현예 1, 2, 3, 4,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또는 46의 조성물.
구현예 48. 카보머 인터중합체 유형 A, 카보머 인터중합체 유형 B, 또는 카보머 동종중합체 유형 C를 추가로 포함하는, 구현예 1, 2, 3, 4,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또는 47의 조성물.
구현예 49. 카보머 동종중합체 유형 C가 약 0.7% w/w 내지 약 1.5% w/w의 농도로 존재하는 구현예 48의 조성물.
구현예 50. 카보머 동종중합체 유형 C가 약 0.85% w/w 내지 약 1.5% w/w의 농도로 존재하는 구현예 48의 조성물.
구현예 51. 카보머 인터중합체 유형 A가 약 1% w/w 내지 2% w/w의 농도로 존재하는 구현예 48의 조성물.
구현예 52. 카보머 인터중합체 유형 B가 약 0.1% w/w 내지 약 0.5% w/w의 농도로 존재하는 구현예 48의 조성물.
구현예 53. 중화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구현예 1, 2, 3, 4,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또는 52의 조성물.
구현예 54. 상기 중화제가 NaOH 또는 트리에탄올아민인 구현예 53의 조성물.
구현예 55. 킬레이트화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구현예 1, 2, 3, 4,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또는 54의 조성물.
구현예 56. 킬레이트화제가 에틸렌 디아민 테트라아세트산인 구현예 55의 조성물.
구현예 57. 에틸렌 디아민 테트라아세트산이 약 0.02% w/w 내지 약 0.04% w/w의 농도로 존재하는 구현예 56의 조성물.
구현예 58. 에틸렌 디아민 테트라아세트산이 약 0.03% w/w의 농도로 존재하는 구현예 56의 조성물.
구현예 59. 조성물이 겔, 유화액, 크림, 액체, 페이스트, 로션, 나노유화액, 마이크로유화액, 역 유화액, 또는 리포좀 크림의 형태인 구현예 1, 2, 3, 4,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또는 58의 조성물.
구현예 60. 치료적으로 유효한 양의 구현예 1, 2, 3, 4,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또는 59의 조성물을 이를 필요로 하는 대상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피부 상태를 치료하는 방법.
구현예 61. 여드름, 주사비, 아토피성 피부염, 만성 창상의 치료, 욕창, 모공성 각화증, 피지낭포, 염증성 피부병, 염증후 색소침착, 습진, 건조증, 소양증, 편평태선, 결절성 양진, 습진, 또는 땀띠인 구현예 60의 방법.
구현예 62. 상기 상태가 심상성 여드름인 구현예 60의 방법.
하기 실시예는 일부 구현예를 단지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 어떤 식으로든 청구항을 한정하는 것으로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실시예
실시예 1
표 1은 댑손 입자 크기에 대한 아크릴아마이드/나트륨 아크릴로디메틸타우레이트 공중합체 기반의 증점제의 영향을 보여주는 두 제형 (동등한 수준의 디에틸렌 글리콜 모노에틸 에테르를 함유함)을 열거한다. 도 2는 댑손 결정 성장에 대한 아크릴아마이드/나트륨 아크릴로디메틸타우레이트 공중합체 기반의 증점제의 영향을 보여준다. ENC (30% 디에틸렌 글리콜 모노에틸 에테르, 1% Carbopol 980)와 비교하여 ENA (30% 디에틸렌 글리콜 모노에틸 에테르, 4% 아크릴아마이드/나트륨 아크릴로디메틸타우레이트 공중합체 기반의 증점제)의 현미경 영상은 댑손의 입자 크기에서의 명확한 차이를 보여준다. 더 큰 결정들이 카보머 동종중합체 유형 C (ENC vs. ENA)를 갖는 샘플에서 관찰되었다.
표 1 댑손 결정 크기를 위해 시험된 제형들
Figure 112021048995383-pat00001
실시예 2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은 용도를 위해 고려되는 실시예 조성물들이 하기 표 2에 제시되어 있다.
표 2
Figure 112021048995383-pat00002
실시예 3
어떤 불순물 형성을 지연시키거나 완전히 중지시키는 것을 돕기 위해 나트륨 메타바이설파이트, 시트르산 및 EDTA와 같은 항산화제 및 킬레이트화제를 제형에 첨가하였다. 표 3은 시험된 제형의 조성을 제시한다. 나트륨 메타바이설파이트를 갖는 제형 A7은 디에틸렌 글리콜 모노에틸 에테르에서 댑손의 증가된 용해도에 의해 야기된 황색의 강도를 최소화하였고 가속화된 조건 (40℃)에서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낮은 색상 강도를 유지하였다. 4주간 제형의 외관에 대해 도 3을 참조한다. 표 4는 킬레이트화제 및 항산화제를 갖는 다른 제형 옵션을 요약하는 제형 패널을 제시한다.
표 3. 항산화제 또는 킬레이트화제를 함유하는 시험된 조성물
Figure 112021048995383-pat00003
표 4. 다른 제형 옵션을 요약하는 제형 패널
Figure 112021048995383-pat00004
실시예 4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은 용도를 위해 고려된 부가적인 실시예 조성물들이 하기 표 5에 제시되어 있다.
표 5 대안적인 중화제를 함유하는 부가적인 실시예
Figure 112021048995383-pat00005
실시예 4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은 용도를 위해 고려된 부가적인 실시예 조성물들이 하기 표 6에 제시되어 있다.
표 6 부가적인 실시예 (공-용매, 안정화제 및 대안적인 증점제를 함유함)
Figure 112021048995383-pat00006
실시예 5
또 다른 유용한 조성물이 표 7에 나타나 있다.
표 7
Figure 112021048995383-pat00007
실시예 6
또 다른 유용한 조성물이 표 8에 나타나 있다.
표 8
Figure 112021048995383-pat00008
이 일부 구현예들이 이들 특정 실시예와 관련하여 기술되어 왔음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변형 및 변화가 가능한 것으로 이해된다. 본원에서 확인된 각각 및 모든 문헌은 그 전체가 참조로써 편입된다.

Claims (13)

  1. 댑손, 디에틸렌 글리콜 모노에틸 에테르인 제1 용해제, 적어도 하나의 제2 용해제, 중합체성 점도 증진제, 및 물을 포함하며, 상기 댑손이 조성물 내에 3% w/w 내지 10% w/w의 농도로 존재하며, 상기 중합체성 점도 증진제가 아크릴아마이드/나트륨 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레이트 공중합체인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에틸렌 글리콜 모노에틸 에테르가 20% w/w 내지 30% w/w의 농도, 또는 25% w/w의 농도로 존재하는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0.1% w/w 내지 0.3% w/w의 농도의 아다팔렌을 추가로 포함하는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용해제가 PEG 400, 젖산, 디메틸 이소소르바이드, 프로필렌 글리콜, 프로필렌 카보네이트, 헥실렌 글리콜, 이소스테아릴 알콜, 디에틸 세바케이트, 또는 에탄올인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용해제가 프로필렌 글리콜인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용해제가 프로필렌 카보네이트인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용해제가 에탄올인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성 점도 증진제가 2% w/w 내지 6% w/w의 농도, 또는 4% w/w의 농도로 존재하는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메틸 파라벤을 추가로 포함하는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중화제를 추가로 포함하며, 여기서 중화제는 NaOH 또는 트리에탄올아민인 조성물.
  11. 제1항에 있어서, 에틸렌 디아민 테트라아세트산을 추가로 포함하는 조성물.
  12. 제1항에 있어서, 치료적으로 효과적인 양의 조성물을 피부 상태 치료를 필요로 하는 대상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피부 상태를 치료하는 방법에서 사용하기 위한 조성물.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가 여드름, 주사비, 아토피성 피부염, 만성 창상의 치료, 욕창, 모공성 각화증, 피지낭포, 염증성 피부병, 염증후 색소침착, 습진, 건조증, 소양증, 편평태선, 결절성 양진, 피부염, 습진, 또는 땀띠이거나, 또는 상기 상태가 여드름인 조성물.
KR1020217012602A 2012-11-20 2013-11-18 국소적 댑손 및 댑손/아다팔렌 조성물 및 이의 사용 방법 KR1022914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261728403P 2012-11-20 2012-11-20
US61/728,403 2012-11-20
US201361770768P 2013-02-28 2013-02-28
US61/770,768 2013-02-28
PCT/US2013/070613 WO2014081674A1 (en) 2012-11-20 2013-11-18 Topical dapsone and dapsone/adapalene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use thereof
KR1020157016127A KR20150085069A (ko) 2012-11-20 2013-11-18 국소적 댑손 및 댑손/아다팔렌 조성물 및 이의 사용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16127A Division KR20150085069A (ko) 2012-11-20 2013-11-18 국소적 댑손 및 댑손/아다팔렌 조성물 및 이의 사용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9968A KR20210049968A (ko) 2021-05-06
KR102291448B1 true KR102291448B1 (ko) 2021-08-18

Family

ID=4966763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16127A KR20150085069A (ko) 2012-11-20 2013-11-18 국소적 댑손 및 댑손/아다팔렌 조성물 및 이의 사용 방법
KR1020217012602A KR102291448B1 (ko) 2012-11-20 2013-11-18 국소적 댑손 및 댑손/아다팔렌 조성물 및 이의 사용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16127A KR20150085069A (ko) 2012-11-20 2013-11-18 국소적 댑손 및 댑손/아다팔렌 조성물 및 이의 사용 방법

Country Status (16)

Country Link
US (9) US9161926B2 (ko)
EP (1) EP2922528B1 (ko)
JP (2) JP6285946B2 (ko)
KR (2) KR20150085069A (ko)
CN (1) CN105246457B (ko)
AU (2) AU2013348247A1 (ko)
BR (1) BR112015011673B1 (ko)
CA (1) CA2890224C (ko)
DK (1) DK2922528T3 (ko)
ES (1) ES2644342T3 (ko)
HK (1) HK1214516A1 (ko)
HU (1) HUE035940T2 (ko)
MX (1) MX362520B (ko)
PL (1) PL2922528T3 (ko)
RU (1) RU2638815C2 (ko)
WO (1) WO201408167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246457B (zh) * 2012-11-20 2019-06-07 阿勒根公司 局部氨苯砜和氨苯砜/阿达帕林组合物及其使用方法
EP3370711A1 (en) * 2015-11-04 2018-09-12 Allergan, Inc. Methods of treatment of acne vulgaris using topical dapsone compositions
CN105769892A (zh) * 2016-04-21 2016-07-20 蔡敏 一种治疗水痘的皮肤护理液及其制备方法
JP2020508993A (ja) * 2017-02-15 2020-03-26 ボタニクス ファーマシューティカルズ リミテッド ざ瘡を処置するための組成物
US20180360917A1 (en) * 2017-06-15 2018-12-20 Apicore Llc Sincalide formulations and methods of use
KR101959524B1 (ko) * 2018-09-19 2019-03-18 주식회사 우신라보타치 리도카인을 포함한 이온토포레시스용 점착성 카타플라스마 시스템
CN116723864A (zh) * 2020-11-23 2023-09-08 德玛万科学有限责任公司 Tapinarof的凝胶、软膏和泡沫配制剂及使用方法
US20240108609A1 (en) 2022-09-15 2024-04-04 Arcutis Biotherapeutics, Inc. Pharmaceutical compositions of roflumilast and solvents capable of dissolving high amounts of the drug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14627A1 (en) 2009-07-30 2011-02-03 Allergan, Inc. Combination of dapsone with adapalene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419009A1 (de) 1984-05-22 1985-11-28 Dr. Karl Thomae Gmbh, 7950 Biberach Neue substituierte bis(4-aminophenyl)sulfone, ihre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als arzneimittel
US5532219A (en) * 1991-04-23 1996-07-02 The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Dapsone and promin for the treatment of dementia
US20030157036A1 (en) 2002-02-20 2003-08-21 Osborne David W. Topical dapsone for the treatment of acne
US5863560A (en) 1996-09-11 1999-01-26 Virotex Corporatio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opical application of therapeutic agents
US5989571A (en) * 1997-07-23 1999-11-23 Millenium Pharmaceutical Technologies, Inc. Contact dermatitis pharmaceutical preparation with anti-histamine and anti-inflammatory
US7820186B2 (en) 2001-12-21 2010-10-26 Galderma Research & Development Gel composition for once-daily treatment of common acne comprising a combination of benzoyl peroxide and adapalene and/or adapalene salt
WO2005000241A2 (en) 2003-06-23 2005-01-06 Macrochem Corporation Compositons and methods for topical administration
US20060204526A1 (en) 2003-08-13 2006-09-14 Lathrop Robert W Emulsive composition containing Dapsone
JP2007533606A (ja) * 2003-08-13 2007-11-22 キューエルティー・ユーエスエイ・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ダプソンを含む乳化組成物
WO2006002690A1 (en) * 2004-07-07 2006-01-12 Lundbeck Pharmaceuticals Italy S.P.A. Process for synthesis of 4-4'-diamino-diphenyl-sulfone
FR2903603B1 (fr) * 2006-07-13 2009-03-20 Galderma Res & Dev S N C Snc Combinaison d'adapalene et de peroxyde de benzole dans le traitement de l'acne
EP2097075A1 (fr) * 2006-11-20 2009-09-09 Galderma Research & Development, S.N.C. Utilisation d'adapalène pour moduler l'expression de cd1d ou il-10.
WO2009009796A1 (en) 2007-07-12 2009-01-15 Amcol International Corporation High-foaming cleanser composition with a skin care agent
CA2704859A1 (en) * 2007-11-07 2009-05-14 Allergan, Inc. Topical treatment with dapsone in g6pd-deficient patients
MX2010005516A (es) 2007-11-30 2010-06-02 Galderma Res & Dev Composiciones que comprenden al menos un derivado del acido naftoico, de peroxido de benzoilo y al menos un agente filmogeno.
FR2926218B1 (fr) 2008-01-10 2010-08-13 Galderma Res & Dev Composition comprenant un retinoide et du peroxyde de benzoyle disperse.
AU2008351422A1 (en) * 2008-02-27 2009-09-03 Allergan, Inc. Dapsone to treat rosascea
US20100029781A1 (en) * 2008-06-04 2010-02-04 Morris Jerome A Methods for preparation of anti-acne formulation and compositions prepared thereby
US20120004200A1 (en) 2008-12-23 2012-01-05 Galderma S.A. Topical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a water-sensitive active principle
WO2010105052A1 (en) * 2009-03-11 2010-09-16 Isp Investments Inc. Topical personal care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and uses thereof
WO2010103116A2 (en) * 2009-03-13 2010-09-16 Dbv Technologies Method of treating eczema
US20110117182A1 (en) 2009-07-30 2011-05-19 Allergan, Inc. Combination of dapsone with other anti-acne agents
CN105246457B (zh) * 2012-11-20 2019-06-07 阿勒根公司 局部氨苯砜和氨苯砜/阿达帕林组合物及其使用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14627A1 (en) 2009-07-30 2011-02-03 Allergan, Inc. Combination of dapsone with adapale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081674A1 (en) 2014-05-30
AU2018214139A1 (en) 2018-08-30
DK2922528T3 (en) 2017-09-18
US20180263931A1 (en) 2018-09-20
US20170087102A1 (en) 2017-03-30
AU2018214139B2 (en) 2020-03-05
RU2015123207A (ru) 2017-01-10
JP6285946B2 (ja) 2018-02-28
MX2015006396A (es) 2015-08-05
US20160030580A1 (en) 2016-02-04
US11273132B2 (en) 2022-03-15
JP2018083847A (ja) 2018-05-31
US20180243240A1 (en) 2018-08-30
EP2922528B1 (en) 2017-05-31
KR20150085069A (ko) 2015-07-22
JP2016500072A (ja) 2016-01-07
ES2644342T3 (es) 2017-11-28
BR112015011673B1 (pt) 2021-03-09
US20160243065A1 (en) 2016-08-25
US20140142184A1 (en) 2014-05-22
EP2922528A1 (en) 2015-09-30
US9517219B2 (en) 2016-12-13
KR20210049968A (ko) 2021-05-06
CA2890224A1 (en) 2014-05-30
US20170360729A1 (en) 2017-12-21
MX362520B (es) 2019-01-21
JP6644817B2 (ja) 2020-02-12
RU2638815C2 (ru) 2017-12-15
HUE035940T2 (en) 2018-05-28
US11116733B2 (en) 2021-09-14
CN105246457A (zh) 2016-01-13
CN105246457B (zh) 2019-06-07
CA2890224C (en) 2021-03-09
BR112015011673A2 (pt) 2017-07-11
US9161926B2 (en) 2015-10-20
HK1214516A1 (zh) 2016-07-29
US20170367999A1 (en) 2017-12-28
PL2922528T3 (pl) 2017-12-29
US20220184002A1 (en) 2022-06-16
AU2013348247A1 (en) 2015-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91448B1 (ko) 국소적 댑손 및 댑손/아다팔렌 조성물 및 이의 사용 방법
US20210162049A1 (en) Retinoid topical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skin conditions
US20170119703A1 (en) Methods of treatment of acne vulgaris using topical dapsone composi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