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0867B1 - 데크리드 래치 - Google Patents

데크리드 래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0867B1
KR102290867B1 KR1020190125082A KR20190125082A KR102290867B1 KR 102290867 B1 KR102290867 B1 KR 102290867B1 KR 1020190125082 A KR1020190125082 A KR 1020190125082A KR 20190125082 A KR20190125082 A KR 20190125082A KR 102290867 B1 KR102290867 B1 KR 1022908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latch
base
unit
constra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50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42479A (ko
Inventor
엄현수
박현태
스퍼 나이젤
Original Assignee
피에이치에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피에이치에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피에이치에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250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0867B1/ko
Publication of KR202100424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24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08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08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02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actuators used
    • E05B81/04Electrical
    • E05B81/08Electrical using electromagnets or solenoid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20Bolts or detents
    • E05B85/24Bolts rotating about an axis
    • E05B85/243Bolts rotating about an axis with a bifurcated bol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데크리드 래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데크리드 래치는: 스트라이커의 이동을 안내하는 이동홈부를 구비하며 차체에 고정되는 베이스와, 베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이동홈부를 통해 진입된 스트라이커를 구속하는 래치기어와, 베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래치기어에 맞물리는 동작으로 래치기어의 회전을 구속하는 파울과, 베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파울의 회전을 구속하는 구속기어부 및 구속기어부와 마주하는 위치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외력에 의해 회전되어 구속기어부를 회전시키는 전달회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데크리드 래치{DECKLID LATCH}
본 발명은 데크리드 래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력을 이용하여 스트라이커의 고정과 해제가 자동으로 이루어지므로 장치를 이루는 구성품의 개수가 감소되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데크리드 래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도어를 잠그는 래치장치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차체에 스트라이커가 고정되며, 도어에 파울과 래치기어를 포함한 래치장치가 설치된다. 도어에 설치된 래치장치는 도어와 함께 회전되어 스트라이커에 걸려서 도어의 회전을 구속한다.
도어용 래치장치는 인사이드 핸들, 아웃사이드 핸들 및 인사이드 노브 등의 작동에 따라 동작되며, 래치장치를 작동시키는 리모트 컨트롤러가 추가로 설치될 수도 있다.
종래에는 케이블에 의해 회전되는 이동레버로 전달된 동력이 파울로 전달됨을 차단하는 락 기능과, 이동레버로 전달된 동력을 파울로 전달하는 언락 기능 및 향상된 도난 방지성을 갖는 더블락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구성요소의 개수가 많으며, 구성요소의 중량과 크기가 비교적 크게 형성되어 생산원가가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1-0115873호(2011.10.24 공개, 발명의 명칭: 더블락 기능을 갖는 자동차용 도어래치)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자력을 이용하여 스트라이커의 고정과 해제가 자동으로 이루어지므로 장치를 이루는 구성품의 개수가 감소되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데크리드 래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데크리드 래치는: 스트라이커의 이동을 안내하는 이동홈부를 구비하며 차체에 고정되는 베이스와, 베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이동홈부를 통해 진입된 스트라이커를 구속하는 래치기어와, 베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래치기어에 맞물리는 동작으로 래치기어의 회전을 구속하는 파울과, 베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파울의 회전을 구속하는 구속기어부 및 구속기어부와 마주하는 위치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외력에 의해 회전되어 구속기어부를 회전시키는 전달회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베이스의 후측에 설치되며 자극이 변화되는 고정자부 및 고정자부의 내측에 위치하며 고정자부의 자극 변화에 따라 회전되는 방향이 바뀌며 구속기어부를 회전시키는 회전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고정자부는, 베이스에 고정되며 회전자부의 양측을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는 한 쌍의 플레이트와, 플레이트의 사이에 설치되며 자력을 발생시켜 플레이트를 자화시키는 코일부 및 코일부의 내측을 관통하며 플레이트에 연결되는 코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회전자부는, 플레이트의 사이에 설치되며 플레이트의 자화에 의해 회전되는 마그넷부 및 마그넷부에 결합되어 마그넷부와 함께 회전되며 구속기어부를 회전시키는 돌기를 구비하는 회전몸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회전몸체부는, 베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중심축부재와, 중심축부재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판 형상이며 베이스의 후면과 마주하는 몸체지지부 및 몸체지지부에서 돌출되며 구속기어부의 돌기와 마주하는 위치에 설치되며 몸체지지부와 함께 회전되어 구속기어부를 회전시키는 제어돌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회전몸체부는, 몸체지지부에서 연장되어 마그넷부의 외측을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는 장착연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마그넷부는, 중심축부재가 관통되는 구멍을 구비하는 마그넷코어 및 마그넷코어의 양측으로 연장되는 윙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데크리드 래치는, 고정자부와 회전자부의 자력을 이용하여 스트라이커의 고정과 해제가 자동으로 이루어지므로 장치를 이루는 구성품의 개수가 감소되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크리드 래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에서 케이스부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크리드 래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속기어부와 회전몸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래치기어에 스트라이커가 구속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달회전부가 회전되기 전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달회전부의 회전으로 스트라이커의 잠금이 해제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속기어부와 회전자부의 연결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자부와 회전자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자부와 회전자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속기어부에 걸려서 파울의 회전이 구속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자부와 함께 구속기어부가 회전되어 파울의 구속이 해제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라이커의 구속이 해재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부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부의 동작으로 구속기어부가 회전되는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부의 동작으로 구속기어부가 회전되는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부의 동작으로 스트라이커의 잠금이 해제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크리드 래치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크리드 래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에서 케이스부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크리드 래치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속기어부와 회전몸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래치기어에 스트라이커가 구속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달회전부가 회전되기 전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달회전부의 회전으로 스트라이커의 잠금이 해제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속기어부와 회전자부의 연결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자부와 회전자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자부와 회전자부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속기어부에 걸려서 파울의 회전이 구속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자부와 함께 구속기어부가 회전되어 파울의 구속이 해제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라이커의 구속이 해재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부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부의 동작으로 구속기어부가 회전되는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부의 동작으로 구속기어부가 회전되는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부의 동작으로 스트라이커의 잠금이 해제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크리드 래치(1)는, 스트라이커(3)의 이동을 안내하는 이동홈부(12)를 구비하며 차체에 고정되는 베이스(10)와, 베이스(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이동홈부(12)를 통해 진입된 스트라이커(3)를 구속하는 래치기어(20)와, 베이스(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래치기어(20)에 맞물리는 동작으로 래치기어(20)의 회전을 구속하는 파울(30)과, 베이스(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파울(30)의 회전을 구속하는 구속기어부(40) 및 구속기어부(40)와 마주하는 위치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외력에 의해 회전되어 구속기어부(40)를 회전시키는 전달회전부(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차체에 고정되는 베이스(10)는 스트라이커(3)가 삽입되기 위한 이동홈부(12)를 구비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10)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양측에 케이스부(130)를 구성하는 전면케이스(132)와 후면케이스(134)가 설치된다.
스트라이커(3)는 이동홈부(12)를 따라 이동이 이루어지며, 구속기어부(40)와 마주하는 베이스(10)에는 구속기어부(40)가 회전되는 각도를 설정된 각도 이내로 구속하기 위한 원호 형상의 이동안내홈부(14)가 형성된다.
베이스(10)의 좌측에는 래치기어(2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베이스(10)의 우측에는 파울(30)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래치기어(20)는 베이스(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이동홈부(12)를 통해 진입된 스트라이커(3)를 구속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래치기어(20)는 래치몸체(21), 래치걸림부(22) 및 마운팅홈부(23)를 포함한다.
래치몸체(21)는 베이스(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스트라이커(3)가 삽입되는 마운팅홈부(23)를 구비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래치몸체(21)는 이동홈부(12)의 좌측(도 2기준)에 위치하는 베이스(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래치걸림부(22)는 래치몸체(21)에서 돌출되어 파울(30)에 구비된 걸림홈부(34)에 걸리므로 래치몸체(21)의 회전을 구속한다.
마운팅홈부(23)는 래치몸체(21)의 내측을 향하여 홈부를 형성하며, 스트라이커(3)가 이동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파울(30)은 베이스(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래치기어(20)에 맞물리는 동작으로 래치기어(20)의 회전을 구속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울(30)은, 파울몸체(32), 걸림홈부(34) 및 파울연장몸체(36)를 포함한다.
파울몸체(32)는 이동홈부(12)를 사이에 두고 래치기어(20)와 마주하는 베이스(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걸림홈부(34)는 파울몸체(32)의 내측으로 오목한 형상의 홈부를 형성하므로, 래치기어(20)의 래치걸림부(22)가 걸림홈부(34)에 걸려서 이동이 구속된다.
파울연장몸체(36)는 파울몸체(32)에서 구속기어부(40)를 향한 방향으로 연장되며, 구속기어부(40)의 위치에 따라 파울연장몸체(36)의 회전이 구속되거나 구속이 해제된다.
래치기어(20)는 스프링부재에 의해 가압되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려 하며, 파울(30)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려 한다.
구속기어부(40)는 베이스(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파울(30)의 회전을 구속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이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따른 구속기어부(40)는, 구속기어몸체(42)와 제1돌기(44)와 제2돌기(46)와 락킹돌기(48)를 포함한다.
구속기어몸체(42)는 베이스(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판 형상이며, 구속기어몸체(42)의 후면으로 돌출된 제1돌기(44)와 제2돌기(46)는 베이스(10)에 구비된 이동안내홈부(14)를 통해 회전몸체부(90)의 제어돌기부재(96)와 마주하는 측면에 위치한다.
제1돌기(44)의 하측에 제2돌기(46)가 위치하며, 제1돌기(44)와 제2돌기(46)는 원기둥 형상이다. 구속기어몸체(42)의 상측으로 돌출되는 락킹돌기(48)는 전달회전부(50)의 회전경로에 위치한다. 따라서 전달회전부(50)의 회전에 의해 락킹돌기(48)가 밀려서 회전된다.
구속기어부(40)는 베이스(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스프링부재에 연결되어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탄성 지지된다.
전달회전부(50)는 구속기어부(40)와 마주하는 위치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외력에 의해 회전되어 구속기어부(40)를 회전시키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이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달회전부(50)는, 케이스부(13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와이어(5)에 연결되는 전달기어몸체(52)와, 전달기어몸체(52)에서 돌출되어 락킹돌기(48)와 마주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전달기어돌기(54)를 포함한다.
와이어(5)의 이동에 의해 전달기어몸체(52)는 회전되며, 전달기어몸체(52)와 함께 회전되는 전달기어돌기(54)가 락킹돌기(48)를 가압하여 락킹돌기(48)와 함께 구속기어부(40)를 회전시킬 수 있다.
고정자부(60)는 베이스(10)의 후측에 설치되며, 제어신호에 의해 자극을 변화시키므로 회전자부(70)의 회전을 제어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이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자부(60)는, 베이스(10)에 고정되며 회전자부(70)의 양측을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는 한 쌍의 플레이트(62)와, 플레이트(62)의 사이에 설치되며 자력을 발생시켜 플레이트(62)를 자화시키는 코일부(64) 및 코일부(64)의 내측을 관통하며 플레이트(62)에 연결되는 코어부(66)를 포함한다.
플레이트(62)는 2개가 한 쌍을 이루며 서로 이격된다. 플레이트(62)의 일측은 회전자부(70)의 외측을 감싸며 곡선 형상으로 연장되며, 플레이트(62)의 타측은 직선 방향으로 연장된다.
코어부(66)는 원기둥 형상이며, 플레이트(62)의 타측에 양측이 연결된다. 코일부(64)는 코어부(66)의 외측을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며, 코일부(64)에 전원이 공급되어 코일부(64)가 자화되므로 플레이트(62)도 자화된다.
예를 들어 코일부(64)의 상측이 S극으로 자화되고 하측이 N극으로 자화된 경우, 코일부(64)의 상측에 접하는 플레이트(62)는 S극으로 자화되며, 코일부(64)의 하측에 접하는 플레이트(62)는 N극으로 자화된다.
회전자부(70)는 고정자부(60)의 내측에 위치하며, 고정자부(60)의 자극 변화에 따라 회전되는 방향이 바뀌며 구속기어부(40)를 회전시키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이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자부(70)는, 플레이트(62)의 사이에 설치되며 플레이트(62)의 자화에 의해 회전되는 마그넷부(80) 및 마그넷부(80)에 결합되어 마그넷부(80)와 함께 회전되며 구속기어부(40)를 회전시키는 돌기를 구비하는 회전몸체부(90)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몸체부(90)는, 베이스(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중심축부재(92)와, 중심축부재(92)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판 형상이며 베이스(10)의 후면과 마주하는 몸체지지부(94)와, 몸체지지부(94)에서 돌출되며 구속기어부(40)의 돌기의 측면과 마주하는 위치에 설치되며 몸체지지부(94)와 함께 회전되어 구속기어부(40)를 회전시키는 제어돌기부재(96) 및 몸체지지부(94)에서 연장되어 마그넷부(80)의 외측을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는 장착연장부(98)를 포함한다.
마그넷부(80)는, 중심축부재(92)가 관통되는 구멍을 구비하는 마그넷코어(82) 및 마그넷코어(82)의 양측으로 연장되는 윙부재(84)를 포함한다. 마그넷부(80)는 영구자석을 사용하며, 마그넷부(80)의 양측은 다른 극성을 갖는다.
장착연장부(98)는 마그넷코어(82)의 외측을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며, 장착연장부(98)의 양측은 윙부재(84)에 걸린다.
제어돌기부재(96)는 베이스(10)의 후측에 위치하며, 몸체지지부(94)와 함께 회전되며 구속기어부(40)의 제1돌기(44) 또는 제2돌기(46)의 측면을 가압하므로 구속기어부(40)가 회전된다.
입력부(100)는 베이스(10)의 후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외력에 의해 회전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이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부(100)는, 외력을 입력받는 입력몸체부(102)와, 입력몸체부(102)의 양측으로 돌출되어 베이스(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측면돌기(104)를 포함한다.
직선이동부(110)는 입력부(100)와 마주하는 위치에 설치되며, 베이스(10)를 따라 직선 이동되고, 입력부(100)에 의해 가압되어 구속기어부(40)를 회전시켜 파울(30)의 잠금을 해제시키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이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따른 직선이동부(110)는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직선이동부(110)의 일측은 입력몸체부(102)의 이동경로에 위치하며 타측은 구속기어부(40)의 제1돌기(44)의 측면과 마주하는 위치에 설치된다.
따라서 입력몸체부(102)가 외력에 의해 회전되면, 입력몸체부(102)에 의해 이동되는 직선이동부(110)가 제1돌기(44)의 측면을 가압하므로 구속기어부(40)는 파울(30)과 이격되는 방향으로 회전된다.
가이드부(120)는 직선이동부(110)의 이동을 안내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이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부(120)는, 직선이동부(110)의 측면으로 돌출되는 가이드돌기(122) 및 가이드돌기(122)와 마주하는 베이스(10)에 장공의 홀을 형성하는 가이드홀부(124)를 포함한다.
케이스부(130)는 베이스(10)의 전면과 후면을 감싸는 케이스를 제공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이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부(130)는, 베이스(10)의 전면에 위치하는 전면케이스(132)와, 베이스(10)의 후면에 위치하는 후면케이스(134)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크리드 래치(1)의 작동상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라이커(3)가 래치기어(20)의 마운팅홈부(23)의 내측에 위치하며, 파울(30)에 걸려서 래치기어(20)의 회전이 구속되며, 파울(30)은 구속기어부(40)에 걸려서 이동이 구속된 잠금상태에서 와이어(5)가 당겨지기 시작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5)의 당김으로 전달기어몸체(52)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전달기어몸체(52)와 함께 회전하는 전달기어돌기(54)가 구속기어부(40)의 락킹돌기(48)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락킹돌기(48)의 회전으로 파울(30)의 회전을 구속하는 구속기어부(4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며, 구속기어부(40)의 구속이 해제된 파울(30)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리고 파울(30)에 의해 회전이 구속된 래치기어(20)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스트라이커(3)의 잠금이 해제된다.
도 8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라이커(3)가 래치기어(20)의 마운팅홈부(23)의 내측에 위치하며, 파울(30)에 걸려서 래치기어(20)의 회전이 구속되며, 파울(30)은 구속기어부(40)에 걸려서 이동이 구속된 잠금상태에서 고정자부(60)의 코일부(64)에 전원이 공급된다.
코일부(64)의 자화에 의해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플레이트(62)는 서로 다른 자극을 갖는다. 플레이트(62)의 자화에 의해 플레이트(62)의 내측에 위치하는 마그넷부(80)가 회전되며, 마그넷부(80)에 연결된 회전몸체부(90)도 회전한다.
회전몸체부(90)에 구비된 제어돌기부재(96)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며, 구속기어부(40)의 제2돌기(46)를 반시계 방향으로 가압한다.
도 12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돌기(46)의 회전으로 파울(30)의 회전을 구속하는 구속기어부(4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며, 구속기어부(40)의 구속이 해제된 파울(30)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리고 파울(30)에 의해 회전이 구속된 래치기어(20)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스트라이커(3)의 잠금이 해제된다.
도 14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라이커(3)가 래치기어(20)의 마운팅홈부(23)의 내측에 위치하며, 파울(30)에 걸려서 래치기어(20)의 회전이 구속되며, 파울(30)은 구속기어부(40)에 걸려서 이동이 구속된 잠금상태에서, 외력에 의해 입력몸체부(102)가 회전한다.
도 15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돌기(104)를 중심으로 회전되는 입력몸체부(102)에 의해 직선이동부(110)가 직선방향으로 이동되며, 제1돌기(44)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돌기(44)의 회전으로 파울(30)의 회전을 구속하는 구속기어부(4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며, 구속기어부(40)의 구속이 해제된 파울(30)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리고 파울(30)에 의해 회전이 구속된 래치기어(20)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스트라이커(3)의 잠금이 해제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고정자부(60)와 회전자부(70)의 자력을 이용하여 스트라이커(3)의 고정과 해제가 자동으로 이루어지므로 장치를 이루는 구성품의 개수가 감소되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데크리드 래치 3: 스트라이커
10: 베이스 12: 이동홈부
14: 이동안내홈부 20: 래치기어
21: 래치몸체 22: 래치걸림부
23: 마운팅홈부 30: 파울
32: 파울몸체 34: 걸림홈부
36: 파울연장몸체 40: 구속기어부
42: 구속기어몸체 44: 제1돌기
46: 제2돌기 48: 락킹돌기
50: 전달회전부 52: 전달기어몸체
54: 전달기어돌기 60: 고정자부
62: 플레이트 64: 코일부
66: 코어부 70: 회전자부
80: 마그넷부 82: 마그넷코어
84: 윙부재 90: 회전몸체부
92: 중심축부재 94: 몸체지지부
96: 제어돌기부재 98: 장착연장부
100: 입력부 102: 입력몸체부
104: 측면돌기 110: 직선이동부
120: 가이드부 122: 가이드돌기
124: 가이드홀부 130: 케이스부
132: 전면케이스 134: 후면케이스

Claims (7)

  1. 스트라이커의 이동을 안내하는 이동홈부를 구비하며 차체에 고정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이동홈부를 통해 진입된 상기 스트라이커를 구속하는 래치기어;
    상기 베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래치기어에 맞물리는 동작으로 상기 래치기어의 회전을 구속하는 파울;
    상기 베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파울의 회전을 구속하는 구속기어부;
    상기 구속기어부와 마주하는 위치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외력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구속기어부를 회전시키는 전달회전부;
    상기 베이스의 후측에 설치되며, 자극이 변화되는 고정자부; 및
    상기 고정자부의 내측에 위치하며, 상기 고정자부의 자극 변화에 따라 회전되는 방향이 바뀌며, 상기 구속기어부를 회전시키는 회전자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자부는,
    상기 베이스에 고정되며, 상기 회전자부의 양측을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는 한 쌍의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의 사이에 설치되며, 자력을 발생시켜 상기 플레이트를 자화시키는 코일부; 및
    상기 코일부의 내측을 관통하며 상기 플레이트에 연결되는 코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리드 래치.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자부는,
    상기 플레이트의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플레이트의 자화에 의해 회전되는 마그넷부; 및
    상기 마그넷부에 결합되어 상기 마그넷부와 함께 회전되며, 상기 구속기어부를 회전시키는 돌기를 구비하는 회전몸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리드 래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몸체부는,
    상기 베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중심축부재;
    상기 중심축부재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판 형상이며, 상기 베이스의 후면과 마주하는 몸체지지부; 및
    상기 몸체지지부에서 돌출되며, 상기 구속기어부의 돌기와 마주하는 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몸체지지부와 함께 회전되어 상기 구속기어부를 회전시키는 제어돌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리드 래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몸체부는,
    상기 몸체지지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마그넷부의 외측을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는 장착연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리드 래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넷부는,
    상기 중심축부재가 관통되는 구멍을 구비하는 마그넷코어; 및
    상기 마그넷코어의 양측으로 연장되는 윙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리드 래치.
KR1020190125082A 2019-10-10 2019-10-10 데크리드 래치 KR1022908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5082A KR102290867B1 (ko) 2019-10-10 2019-10-10 데크리드 래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5082A KR102290867B1 (ko) 2019-10-10 2019-10-10 데크리드 래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2479A KR20210042479A (ko) 2021-04-20
KR102290867B1 true KR102290867B1 (ko) 2021-08-20

Family

ID=757433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5082A KR102290867B1 (ko) 2019-10-10 2019-10-10 데크리드 래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0867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79384A (en) * 1987-09-23 1990-12-25 Lectron Products, Inc. Trunk lid lock with remote release
CA2308264A1 (en) * 1999-05-12 2000-11-12 Eaton Corporation Releasing vehicle trunk lid latch from the interior
KR101565683B1 (ko) * 2014-03-13 2015-11-03 평화정공 주식회사 차량용 트렁크 잠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2479A (ko) 2021-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51171B2 (en) Door locking device
KR101968278B1 (ko) 모티스의 양방향 작동구조체
KR102290867B1 (ko) 데크리드 래치
KR101806612B1 (ko) 차량용 잠금 방지 도어래치
KR200452304Y1 (ko) 고정후크가 마련된 도어록 장치
WO2021135027A1 (zh) 格口柜
JP4127712B2 (ja) 扉用ロックハンドル装置
KR101962437B1 (ko) 양방향 해정이 가능한 도어락의 회전 조립체
JP6314424B2 (ja) 車両用ドア開閉装置
KR101732914B1 (ko) 차량용 도어래치
JP4617588B2 (ja) 車両用ドアラッチ操作装置
KR102149694B1 (ko) 차량용 도어 잠금장치
JP6007129B2 (ja) ドアロック装置
KR102365777B1 (ko) 글로브박스용 전자식 개폐장치
KR200437514Y1 (ko) 모티스 록 장치
KR101372590B1 (ko) 도어 레버의 회전 방지장치
KR20180116616A (ko) 디지털도어록의 개폐장치 구조
KR100997889B1 (ko) 이중 잠금기능을 갖는 도어 잠금장치
KR101615823B1 (ko) 측면 충돌시 도어열림 방지형 래치장치
KR101818169B1 (ko) 차량용 도어래치
JP2020176433A (ja) 施錠装置
JP4670167B2 (ja) 車両用ドアラッチ操作装置
KR102172529B1 (ko) 전동식 차일드락 도어래치
KR102237182B1 (ko) 잼 방지용 전동식 차일드락 도어래치
WO2022209139A1 (ja) ドアラッ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