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0440B1 - 차체로부터 분리가 용이한 자동차용 밴드케이블 - Google Patents

차체로부터 분리가 용이한 자동차용 밴드케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0440B1
KR102290440B1 KR1020200057295A KR20200057295A KR102290440B1 KR 102290440 B1 KR102290440 B1 KR 102290440B1 KR 1020200057295 A KR1020200057295 A KR 1020200057295A KR 20200057295 A KR20200057295 A KR 20200057295A KR 102290440 B1 KR102290440 B1 KR 1022904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body
elastic
insertion protrusion
fastening hole
locking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72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경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신
Priority to KR10202000572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04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04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04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07Wire harnesses
    • B60R16/0215Protecting, fastening and routing mean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16B2/08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using band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0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 H02G3/32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using mounting cla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체로부터 분리가 용이한 자동차용 밴드케이블에 관한 것으로, 몸체에서 연장되어 차체의 체결홀에 삽입되는 삽입돌기, 차체에 삽입된 삽입돌기의 단부에서 복수 개가 점차적으로 벌어지도록 상향 연장되고 차체의 하측면에 접하며 탄성 변형 가능한 탄성걸림편, 몸체 또는 삽입돌기에 구비되어 삽입돌기가 차체에 삽입시 차체의 표면에 접하는 커버패드, 및 탄성걸림편의 탄성 변형성을 이용하여 몸체의 수평 방향 이동을 통해 탄성걸림편이 체결홀에서 이탈 가능하도록 허용하는 이탈안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과 달리 차체에 고정되어있는 밴드케이블을 와이어하네스의 점검시나 차량을 정비시에 차체로부터 탈거시키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체로부터 분리가 용이한 자동차용 밴드케이블{BAND-CABLE FOR A CAR CAPABLE OF FACILITATING SEPARATION FROM THE CAR}
본 발명은 차체로부터 분리가 용이한 자동차용 밴드케이블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체에 삽입된 밴드케이블의 몸체를 일측과 타측 방향으로 순서대로 강제 이동시, 걸림바가 걸림돌기에 걸림으로써, 탄성걸림편이 탄성 변형되며 모여짐에 따라, 차체에 고정되어있는 밴드케이블을 와이어하네스의 점검시나 차량을 정비시에 차체의 체결홀로부터 용이하게 탈거시킬 수 있도록 한 차체로부터 분리가 용이한 자동차용 밴드케이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각종 전장류의 부품들을 탑재하고 있는 바, 이 전장류의 부품에는 크게 엔진의 시동계통에 연관되는 동력전달에 관계된 전기 및 전자 시스템의 부품과, 제동계와 조향계에 연관되는 전자제어 시스템의 부품 및 전조등과 방향지시등류의 시인성 전기장치의 부품 등 다양한 전장부품으로 구분된다.
또한, 이와 같은 전장류의 부품들은 통상 와이어하네스라고 지칭되는 전선을 매개로 배선되어져 연결되는데, 이러한 배선류의 와이어하네스는 차량 내에 복잡하게 연결된 다수개의 전선들 중 유사한 연결부위로 배선되는 다수개의 전선을 한 곳으로 묶은 다발형태로 배선되어 있다.
따라서, 다수개의 전선이 한곳에 다발형태로 묶기 위해서는 밴드케이블이라고 지칭되는 부품을 사용하여 다발형태로 배선되는 다수개의 전선을 한 묶음으로 결속시키고 있다.
여기에서 종래 자동차용 밴드케이블은 체결구를 갖는 몸체부와, 몸체부의 일측부에 일체로 형성된 밴드부와, 몸체부의 타측부에 일체로 형성된 체결부와, 체결부와 몸체부 사이에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걸림부로 구성되어 있다.
관련 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68705호(공개일: 2008.07.15. 발명의 명칭: 밴드케이블)가 제안된 바 있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기존의 밴드케이블은 차체측 브라켓의 고정홀에 관통되게 삽입된 체결돌기를 차량 등을 수리하기 위해 탈거해야하는 경우, 체결돌기가 고정홀의 내경보다 외경이 작아지도록 니퍼등과 작업도구를 이용해 축소시킨 상태에서 고정홀로부터 체결돌기를 탈거시켜야 함으로써, 밴드케이블의 탈거 작업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차체에 삽입된 밴드케이블의 몸체를 일측과 타측 방향으로 순서대로 강제 이동시, 걸림바가 걸림돌기에 걸림으로써, 탄성걸림편이 탄성 변형되며 모여짐에 따라, 차체에 고정되어있는 밴드케이블을 와이어하네스의 점검시나 차량을 정비시에 차체의 체결홀로부터 용이하게 탈거시킬 수 있도록 한 차체로부터 분리가 용이한 자동차용 밴드케이블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체로부터 분리가 용이한 자동차용 밴드케이블은: 몸체; 상기 몸체에서 연장되어, 차체의 체결홀에 삽입되는 삽입돌기; 상기 차체에 삽입된 상기 삽입돌기의 단부에서 복수 개가 점차적으로 벌어지도록 상향 연장되고, 상기 차체의 하측면에 접하며, 탄성 변형 가능한 탄성걸림편; 상기 몸체 또는 상기 삽입돌기에 구비되어, 상기 삽입돌기가 상기 차체에 삽입시, 상기 차체의 표면에 접하는 커버패드; 및 상기 탄성걸림편의 탄성 변형성을 이용하여, 상기 몸체의 수평 방향 이동을 통해, 상기 탄성걸림편이 상기 체결홀에서 이탈 가능하도록 허용하는 이탈안내부를 포함한다.
상기 이탈안내부는, 상기 삽입돌기의 일측으로 연장되는 탄성걸림편에서 연장되어, 상기 탄성걸림편이 상기 차체의 하부에 완전히 삽입되며 탄성 복원시, 상기 체결홀의 내측면에 걸리는 일측걸림바; 및 상기 커버패드에서 연장되어, 상기 커버패드를 일측으로 강제 이동시, 일측의 상기 탄성걸림편의 탄성 변형에 의해 상기 일측걸림바를 걸어 고정하는 일측걸림돌기를 포함한다.
상기 이탈안내부는, 상기 삽입돌기의 타측으로 연장되는 탄성걸림편에서 연장되어, 상기 탄성걸림편이 상기 차체의 하부에 완전히 삽입되며 탄성 복원시, 상기 체결홀의 내측면에 걸리는 타측걸림바; 및 상기 커버패드에서 연장되어, 상기 커버패드를 타측으로 강제 이동시, 타측의 상기 탄성걸림편의 탄성 병형에 의해 상기 타측걸림바를 걸어 고정하는 타측걸림돌기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체로부터 분리가 용이한 자동차용 밴드케이블은 종래 기술과 달리 차체에 삽입된 밴드케이블의 몸체를 일측과 타측 방향으로 순서대로 강제 이동시, 걸림바가 걸림돌기에 걸림으로써, 탄성걸림편이 탄성 변형되며 모여짐에 따라, 차체에 고정되어있는 밴드케이블을 와이어하네스의 점검시나 차량을 정비시에 차체의 체결홀로부터 용이하게 탈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체로부터 분리가 용이한 자동차용 밴드케이블의 설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체로부터 분리가 용이한 자동차용 밴드케이블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체로부터 분리가 용이한 자동차용 밴드케이블의 설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체로부터 분리가 용이한 자동차용 밴드케이블의 분리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체로부터 분리가 용이한 자동차용 밴드케이블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체로부터 분리가 용이한 자동차용 밴드케이블의 설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체로부터 분리가 용이한 자동차용 밴드케이블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체로부터 분리가 용이한 자동차용 밴드케이블의 설치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체로부터 분리가 용이한 자동차용 밴드케이블의 분리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체(10)로부터 분리가 용이한 자동차용 밴드케이블(100)은 몸체(110), 삽입돌기(120), 일측탄성걸림편(130), 타측탄성걸림편(140), 커버패드(150) 및 이탈안내부(160)를 포함한다.
몸체(110)는 일측 특히 상측으로 밴드부(114)를 연장 형성한다. 밴드부(114)는 가요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져 몸체(110)에 접하여 지지되는 와이어하네스를 감싸서 정렬하는 역할을 한다. 몸체(110)는 와이어하네스를 감싼 밴드부(114)를 고정하기 위해 삽입할 수 있도록 삽입홀(112)을 통공한다. 밴드부(114)가 삽입홀(112)에 삽입 후 고정되는 구성은 공지의 기술인 것으로 한다. 물론, 몸체(110)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삽입돌기(120)는 몸체(110)의 타측 특히 하측으로 연장된다. 그리고, 삽입돌기(120)는 차체(10)의 체결홀(20)에 삽입된다. 즉, 삽입돌기(120)는 체결홀(20)을 통해 차체(10)의 하측의 공간으로 삽입된다.
물론, 삽입돌기(120)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일측탄성걸림편(130)은 체결홀(20)을 통해 차체(10)의 하측 공간으로 삽입된 삽입돌기(120)의 단부에서 일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그리고, 타측탄성걸림편(140)은 체결홀(20)을 통해 차체(10)의 하측 공간으로 삽입된 삽입돌기(120)의 단부에서 타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이때, 일측탄성걸림편(130)과 타측탄성걸림편(140)은 각각 1개 이상 구비되는데, 편의상 삽입돌기(120)에 각각 1개씩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한다.
아울러, 일측탄성걸림편(130)과 타측탄성걸림편(140)은 삽입돌기(120)의 축 방향을 따라 점차적으로 벌어지게 구비되며, 탄성 변형 가능하게 된다. 특히, 최대한 벌어진 상태에서, 일측탄성걸림편(130)의 상측에서 타측탄성걸림편(140)의 상측까지의 거리는 체결홀(20)의 직경보다 크게 된다.
그래서, 삽입돌기(120)가 체결홀(20)에 삽입시, 일측탄성걸림편(130)과 타측탄성걸림편(140)은 삽입돌기(120) 방향으로 모인 상태가 된다.
삽입돌기(120)가 체결홀(20)에 최대한 삽입시, 일측탄성걸림편(130)과 타측탄성걸림편(140)은 탄성 복원된다. 이로써, 일측탄성걸림편(130)과 타측탄성걸림편(140)이 차체(10)의 하측면에 접함으로써, 삽입돌기(120)는 삽입되는 반대 방향으로 차체(10)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물론, 일측탄성걸림편(130)과 타측탄성걸림편(140)은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커버패드(150)는 몸체(110) 또는 삽입돌기(120)에 구비되어, 삽입돌기(120)가 차체(10)에 삽입시, 차체(10)의 상측면(표면)에 접한다. 커버패드(150)가 차체(10)에 안정적으로 접한 상태임에 따라, 몸체(110)가 흔들리지 않게 된다. 그리고, 커버패드(150)가 체결홀(20)을 완전히 덮음으로써, 체결홀(20)이 노출되지 않게 됨에 따라, 외부 소음의 유입이 방지된다. 물론, 커버패드(150)는 다양한 형상 및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다.
한편, 이탈안내부(160)는 일측탄성걸림편(130)과 타측탄성걸림편(140)의 탄성 변형성을 이용하여, 차체(10)의 표면에 대해 몸체(110)의 수평 방향 이동을 통해, 일측탄성걸림편(130)과 타측탄성걸림편(140)이 체결홀(20)에서 이탈 가능하도록 허용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이탈안내부(160)는 일측걸림바(162), 일측걸림돌기(164), 타측걸림바(166) 및 타측걸림돌기(168)를 포함한다.
일측걸림바(162)는 삽입돌기(120)의 일측으로 연장되는 일측탄성걸림편(130)에서 커버패드(150) 측으로 연장된다. 그리고, 일측걸림바(162)는, 일측탄성걸림편(130)이 차체(10)의 하부에 완전히 삽입되며 탄성 복원시, 체결홀(20)의 내측면에 접하여 걸린 상태가 된다.
그래서, 일측걸림바(162)는 일측탄성걸림편(130)과 함께 탄성 변형 가능하게 된다. 즉, 작업자가 커버패드(150)와 몸체(110)를 몸체(110)의 일측 방향으로 강제로 밀어 이동시, 일측걸림바(162)가 삽입돌기(120) 측으로 탄성적으로 휘어지면서, 일측탄성걸림편(130)이 삽입돌기(120) 측으로 탄성적으로 휘어지면서 타측탄성걸림편(140)과 모이게 된다.
그리고, 일측걸림돌기(164)는 커버패드(150)에서 연장되어, 커버패드(150)를 일측으로 강제 이동시, 일측탄성걸림편(130)의 탄성 변형과 함께 휘어지는 일측걸림바(162)를 걸어 고정한다. 이를 위해, 일측걸림돌기(164)는 소정 탄성 변형되며 일측걸림바(162)를 걸어 고정한다. 특히, 일측걸림바(162)는 일측걸림돌기(164)에 걸린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타측걸림바(166)는 삽입돌기(120)의 타측으로 연장되는 타측탄성걸림편(140)에서 커버패드(150) 측으로 연장된다. 그리고, 타측걸림바(166)는, 타측탄성걸림편(140)이 차체(10)의 하부에 완전히 삽입되며 탄성 복원시, 체결홀(20)의 내측면에 접하여 걸린 상태가 된다.
그래서, 타측걸림바(166)는 타측탄성걸림편(140)과 함께 탄성 변형 가능하게 된다. 즉, 작업자가 커버패드(150)와 몸체(110)를 몸체(110)의 타측 방향으로 강제로 밀어 이동시, 타측걸림바(166)가 삽입돌기(120) 측으로 탄성적으로 휘어지면서, 타측탄성걸림편(140)이 삽입돌기(120) 측으로 탄성적으로 휘어지면서 일측탄성걸림편(130)과 모이게 된다.
그리고, 타측걸림돌기(168)는 커버패드(150)에서 연장되어, 커버패드(150)를 타측으로 강제 이동시, 타측탄성걸림편(140)의 탄성 변형과 함께 휘어지는 타측걸림바(166)를 걸어 고정한다. 이를 위해, 타측걸림돌기(168)는 소정 탄성 변형되며 타측걸림바(166)를 걸어 고정한다. 특히, 타측걸림바(166)는 타측걸림돌기(168)에 걸린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로써, 일측탄성걸림편(130)과 타측탄성걸림편(140)이 삽입돌기(120) 측으로 모인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모인 상태의 일측탄성걸림편(130)과 타측탄성걸림편(140)에 의해 이루어지는 외경은 체결홀(20)의 직경보다 작게 된다. 그래서, 삽입돌기(120)는 체결홀(20)에서 용이하게 이탈 가능하게 된다.
물론, 체결홀(20)의 직경에 따라서는, 일측탄성걸림편(130)과 타측탄성걸림편(140) 중 어느 하나만 삽입돌기(120) 측으로 휘어지면서 모이게 될 수도 있다.
아울러, 일측걸림바(162), 일측걸림돌기(164), 타측걸림바(166) 및 타측걸림돌기(168)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차체 20: 체결홀
100: 밴드케이블 110: 몸체
120: 삽입돌기 130: 일측탄성걸림편
140: 타측탄성걸림편 150: 커버패드
160: 이탈안내부 162: 일측걸림바
164: 일측걸림돌기 166: 타측걸림바
168: 타측걸림돌기

Claims (3)

  1. 몸체; 상기 몸체에서 연장되어, 차체의 체결홀에 삽입되는 삽입돌기; 상기 차체에 삽입된 상기 삽입돌기의 단부에서 복수 개가 점차적으로 벌어지도록 상향 연장되고, 상기 차체의 하측면에 접하며, 탄성 변형 가능한 탄성걸림편; 상기 몸체 또는 상기 삽입돌기에 구비되어, 상기 삽입돌기가 상기 차체에 삽입시, 상기 차체의 표면에 접하는 커버패드; 및 상기 탄성걸림편의 탄성 변형성을 이용하여, 상기 몸체의 수평 방향 이동을 통해, 상기 탄성걸림편이 상기 체결홀에서 이탈 가능하도록 허용하는 이탈안내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탈안내부는, 상기 삽입돌기의 일측으로 연장되는 탄성걸림편에서 연장되어, 상기 탄성걸림편이 상기 차체의 하부에 완전히 삽입되며 탄성 복원시, 상기 체결홀의 내측면에 걸리는 일측걸림바; 및
    상기 커버패드에서 연장되어, 상기 커버패드를 일측으로 강제 이동시, 일측의 상기 탄성걸림편의 탄성 변형에 의해 상기 일측걸림바를 걸어 고정하는 일측걸림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체로부터 분리가 용이한 자동차용 밴드케이블.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안내부는,
    상기 삽입돌기의 타측으로 연장되는 탄성걸림편에서 연장되어, 상기 탄성걸림편이 상기 차체의 하부에 완전히 삽입되며 탄성 복원시, 상기 체결홀의 내측면에 걸리는 타측걸림바; 및
    상기 커버패드에서 연장되어, 상기 커버패드를 타측으로 강제 이동시, 타측의 상기 탄성걸림편의 탄성 병형에 의해 상기 타측걸림바를 걸어 고정하는 타측걸림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체로부터 분리가 용이한 자동차용 밴드케이블.
KR1020200057295A 2020-05-13 2020-05-13 차체로부터 분리가 용이한 자동차용 밴드케이블 KR1022904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7295A KR102290440B1 (ko) 2020-05-13 2020-05-13 차체로부터 분리가 용이한 자동차용 밴드케이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7295A KR102290440B1 (ko) 2020-05-13 2020-05-13 차체로부터 분리가 용이한 자동차용 밴드케이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0440B1 true KR102290440B1 (ko) 2021-08-13

Family

ID=773138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7295A KR102290440B1 (ko) 2020-05-13 2020-05-13 차체로부터 분리가 용이한 자동차용 밴드케이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044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57651A (ja) * 1997-03-11 1998-09-25 Sumitomo Wiring Syst Ltd クランプ
JP2002247738A (ja) * 2001-02-15 2002-08-30 Araco Corp クランプ
JP2007143274A (ja) * 2005-11-17 2007-06-07 Daiwa Kasei Ind Co Ltd クランプ
KR20090063727A (ko) * 2007-12-14 2009-06-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탈거가 용이한 와이어 하네스 고정클립
KR101806438B1 (ko) * 2016-10-11 2017-12-08 주식회사 서연이화 차량 내장재용 고정클립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57651A (ja) * 1997-03-11 1998-09-25 Sumitomo Wiring Syst Ltd クランプ
JP2002247738A (ja) * 2001-02-15 2002-08-30 Araco Corp クランプ
JP2007143274A (ja) * 2005-11-17 2007-06-07 Daiwa Kasei Ind Co Ltd クランプ
KR20090063727A (ko) * 2007-12-14 2009-06-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탈거가 용이한 와이어 하네스 고정클립
KR101806438B1 (ko) * 2016-10-11 2017-12-08 주식회사 서연이화 차량 내장재용 고정클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6311785A (ja) プロテクタ
US6045394A (en) Electrical connection box assembly with tapered projection
KR102290440B1 (ko) 차체로부터 분리가 용이한 자동차용 밴드케이블
KR20080043490A (ko) 자동차용 와이어하네스 고정클립
KR102043747B1 (ko) 자동차용 밴드케이블
JP2009095218A (ja) 物品保持具
KR102507032B1 (ko) 차체로부터 분리가 용이한 자동차용 배선클립
JP6414418B2 (ja) ケーブルの固定構造
KR101824401B1 (ko) 자동차의 와이어 고정용 클립
KR20100122256A (ko) 차량용 박스 어셈블리
KR102019934B1 (ko) 자동차용 밴드케이블
KR20120088164A (ko) 자동차용 밴드 케이블
KR101169933B1 (ko) 케이블 안내유닛
KR100823343B1 (ko) 정션박스의 케이블 엔트리장치
KR20090043338A (ko) 커넥터의 리어커버 장착구조
KR100461117B1 (ko) 자동차용 밴드 케이블
KR200381081Y1 (ko) 와이어 하네스 결속용 밴드 케이블
KR200391766Y1 (ko) 고정용 클립
KR200426812Y1 (ko) 와이어 하네스 고정클립
KR100205013B1 (ko) 자동차의 와이어 하니스 고정용 클립
KR102043748B1 (ko) 자동차용 밴드케이블
CN210122097U (zh) 高压电缆保护构件
KR200431362Y1 (ko) 와이어 하네스 프로텍터
JP2006325283A (ja) ワイヤハーネス固定用クリップ
KR200435064Y1 (ko)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 클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