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9934B1 - 자동차용 밴드케이블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밴드케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9934B1
KR102019934B1 KR1020170175954A KR20170175954A KR102019934B1 KR 102019934 B1 KR102019934 B1 KR 102019934B1 KR 1020170175954 A KR1020170175954 A KR 1020170175954A KR 20170175954 A KR20170175954 A KR 20170175954A KR 102019934 B1 KR102019934 B1 KR 1020199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band cable
receiving member
present
automo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59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74528A (ko
Inventor
진정규
Original Assignee
(주)티에이치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티에이치엔 filed Critical (주)티에이치엔
Priority to KR10201701759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9934B1/ko
Publication of KR201900745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45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99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99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07Wire harnesses
    • B60R16/0215Protecting, fastening and routing means therefor
    • B60R16/0222Gromm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16B2/08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using ban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4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with 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mounting or secur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06Detail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자동차용 밴드케이블이 개시된다. 본 발명은 와이어를 수용할 수 있도록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수용부재; 상기 수용부재의 하측에 결합되어 브라켓트의 일측면에 접하며 홀물림공에 삽입될 수 있는 체결부 및 상기 수용부재와 상기 체결부의 사이에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걸림부가 구비되어 안정적으로 와이어를 고정하고 다양한 외경사이즈의 와이어를 고정할 수 있는 자동차용 밴드케이블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밴드케이블{A BAND CABLE FOR AN AUTOMOBI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밴드케이블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체에 고정되어있는 밴드케이블을 와이어하네스의 점검 시나 차량을 정비 시에 차체로부터 탈거시키는 것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자동차용 밴드케이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각종 전장류의 부품들을 탑재하고 있는 바, 이러한 전장류의 부품에는 크게 엔진의 시동계통에 연관되는 동력전달에 관계된 전기 및 전자 시스템의 부품과, 제동계와 조향계에 연관되는 전자제어 시스템의 부품 및 전조등과 방향 지시등 류의 시인성 전기장치의 부품 등 다양한 전장부품으로 구분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전장류의 부품들은 통상 와이어하네스라고 지칭되는 전선을 매개로 배선되어져 연결되는데, 이러한 배선류의 와이어하네스는 차량 내에 복잡하게 연결된 다수개의 전선들 중 유사한 연결부위로 배선되는 다수개의 전선을 한곳으로 묶은 다발형태로 배선되어 있다.
따라서 다수개의 전선이 한곳에 다발형태로 묶기 위해서는 밴드케이블이라고 지칭되는 부품을 사용하여 다발형태로 배선되는 다수개의 전선을 한 묶음으로 결속시키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자동차용 밴드케이블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과 같이, 여기에서 종래 자동차용 밴드케이블은 체결구를 갖는 몸체부(110)와, 상기 몸체부(110)의 일측부에 일체로 형성된 밴드부(120)와, 상기 밴드부(120)가 형성된 몸체부(110)의 타측부에 일체로 형성된 체결부(130)와, 상기 체결부(130)와 몸체부(110) 사이에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걸림부(140)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 자동차용 밴드케이블(100)은 체결부(130)를 차체측에 설치되는 브라켓트의 홀물림공에 관통시켜 밴드케이블(100)을 장착 고정시킨 상태에서 밴드부(120)에 와이어(400)를 밀착시켜 감은 후 상기 밴드부(120)를 몸체부(110)의 체결구로 삽입시켜 주는 것에 의해 와이어(400)가 고정되고 있다.
이때, 상기 걸림부(140)는 외측부는 차체측 브라켓트의 일측면에 접하며, 홀물림공에 삽입이 이루어진 체결부(130)가 유동되지 않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밴드케이블(100)은 몸체부(110)의 높이(H)로 인해 브라켓트와 와이어(400)간의 높이차이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밴드케이블(100)은 밴드부(120)를 와이어(400)에 감아서 체결구를 통과해 잡아당긴 후 와이어(400)의 단부(111)를 별도로 컷팅해야 하는 작업이 필요하므로, 작업량이 늘어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밴드부(120)의 길이가 남게 되어 일일이 잘라주어야 하므로 재료의 손실이 생기고, 커팅 작업을 하지 않았을 경우에는 단부(111)는 길게 빠져나와 외관상 좋지 않으며, 차체 패널에 장착 작업 시 밴드부(120)가 작업자의 손에서 미끄러져 작업의 어려움이 있는 등의 단점이 있었다. 또한 밴드부(120)가 와이어(400)에 느슨하게 묶는 경우가 많아 차체 고정시 자동차의 진동이나 충격에 케이블 및 배선이 유동을 하게 되어 소음이 발생하고 단선의 위험도 배제할 수 없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와이어를 수용할 수 있도록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수용부재; 상기 수용부재의 하측에 결합되어 브라켓트의 일측면에 접하며 홀물림공에 삽입될 수 있는 체결부 및 상기 수용부재와 상기 체결부의 사이에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걸림부가 구비되어 안정적으로 와이어를 고정하고 다양한 외경사이즈의 와이어를 체결 할 수 있는 자동차용 밴드케이블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와이어를 수용할 수 있도록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수용부재; 상기 수용부재의 하측에 결합되어 브라켓트의 일측면에 접하며 홀물림공에 삽입될 수 있는 체결부 및 상기 수용부재와 상기 체결부의 사이에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걸림부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밴드케이블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수용부재는, 상기 와이어가 수용되도록 양쪽으로 벌어져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한 쌍의 플랜지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용부재는, 양 단부에 고무재질의 와이어링이 걸려 고정될 수 있도록 절곡된 걸림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용부재는, 일 축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용부재는, 다양한 직경의 와이어를 수용하도록 상기 걸림부와 맞닿는 선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자동차용 밴드케이블에 의하면, 자동차용 밴드케이블의 높이가 종래의 밴드케이블에 비하여 높지 않으므로, 더욱 안정적으로 와이어를 고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자동차용 밴드케이블은 차체에 고정된 후, 와이어를 고정하기 위해 와이어링을 나중에 거치할 수 있어 작업상에 편리함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자동차용 밴드케이블은 다양한 외경사이즈의 와이어를 고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자동차용 밴드케이블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인 자동차용 밴드케이블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자동차용 밴드케이블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밴드케이블을 브라켓트에 설치하는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용 밴드케이블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 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2는 본 발명인 자동차용 밴드케이블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자동차용 밴드케이블의 측면도이다.
도 2 및 도 3과 같이, 본 발명의 자동차용 밴드케이블(1)은 종래의 밴드케이블과 달리 소정 높이를 갖는 몸체부가 없으며, 탄성 재질의 와이어링(221)으로 와이어(400)를 고정하는 구성으로, 특히 직경이 다른 여러 종류의 와이어(400)를 호환성 있게 고정할 수 있는 것에 특징이 있다.
또한 자동차용 밴드케이블(1)의 높이가 종래의 밴드케이블에 비하여 높지 않으므로, 와이어(400)의 위치를 쉽게 가늠할 수 있고, 아울러 더욱 안정적으로 와이어(400)를 고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자세하게는 자동차용 밴드케이블(1)은 대략 단면이 "U" 또는 "V" 형상으로, 와이어(400)를 수용할 수 있도록 수용공간(S)을 형성하고 걸림부(240)와 맞닿는 선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이 가능한 한 쌍의 수용부재(210)와, 상기 수용부재(210)의 하측에 결합되어 브라켓트(300, 도 4 참조)의 일측면에 접하며 홀물림공(310)에 삽입되는 체결부(230)와, 수용부재(210)와 체결부(230)의 사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걸림부(240)를 포함한다.
상기 수용부재(210)는, 와이어(400)가 수용되도록 양쪽으로 벌어져 수용공간(S)을 형성하는 한 쌍의 꺽인 플랜지로 형성된다. 이러한 한 쌍의 꺽인 플랜지는 수용공간(S)를 중심으로 하여 좌우 대칭의 모양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용부재(210)의 단부에는 탄성 재질의 와이어링(221)이 걸려 고정될 수 있도록 외측방향으로 절곡된 걸림부(222)가 형성되고, 이러한 걸림부(222)에 의해 와이어링(221)의 양쪽 단부가 고정되므로 수용부재(210)의 수용공간(S)에 안착된 와이어(400)를 와이어링(221)이 감싸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와이어링(221)은 탄성 재질로 예를 들면 우레탄, 실리콘으로 제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와이어링(221)은 본 발명의 자동차용 밴드케이블의 제조 시 별도로 제작되는 것으로, 시중에서 쉽게 구할 수 있어, 전체적으로 보아 자동차용 밴드케이블의 공정 감소로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밴드케이블을 브라켓트(300)에 설치하는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와 같이, 본 발명의 자동차용 밴드케이블(1)은 우선 체결부(230)를 차체 측에 설치되는 브라켓트(300)의 홀물림공(310)에 관통시켜 밴드케이블(1)을 장착 고정시킨 상태에서, 추후 수용부재(210)에서 와이어(400)를 안착시킬 수 있다.
이 후 수용부재(210)의 일측 걸림부(222)에 걸려있는 와이어링(221)을 와이어(400)에 감아 반대측 걸림부(222)에 걸리게 하여 와이어(400)를 고정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밴드케이블(1)은 차체에 고정된 후, 와이어(400)를 고정하기 위해 와이어링(221)을 나중에 거치할 수 있어 작업상에 편리함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용 밴드케이블(1)을 도시한 사시도로써, 도 5 (a)는 직경이 큰 와이어(400)를 고정하는 자동차용 밴드케이블(1)을, 도 5 (b)는 직경이 상대적으로 작은 와이어(400)를 고정하는 자동차용 밴드케이블(1)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와 같이, 자동차용 밴드케이블(1)은 한 쌍의 수용부재(210)가 걸림부(240)와 맞닿는 선을 회전축으로하여 이를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직경이 다른 와이어(400)를 고정하는 경우에도 수용부재(210)가 회전하여 와이어(400)을 감싸게되고 이 후 와이어링(221)을 결속하여 와이어(400)을 더욱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다양한 외경사이즈의 와이어를 체결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자세하게는 도 5 (a)의 경우 직경이 큰 와이어(400)가 수용공간(S)에 수용됨에 따라 상기 한 쌍의 수용부재(210)는 서로 벌어지는 방향으로 회전되고, 도 5 (b)의 경우 직경이 작은 와이어(400)가 수용공간(S)에 수용됨에 따라 상기 한 쌍의 수용부재(210)는 상대적으로 서로 좁아지는 방향으로 회전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자동차용 밴드케이블(1)에 의하면, 다양한 외경사이즈를 갖는 와이어(400)를 호환성 높게 고정할 수 있어 작업 시 여러 종류의 밴드케이블을 소지할 필요가 없고, 또한 종래의 밴드케이블이 갖는 소정 높이를 갖는 몸체부가 없어 와이어(400)의 위치를 쉽게 가늠할 수 있으며, 또한 차체에 먼저 고정된 후 추 후에 와이어를 고정할 수 있어 작업상에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자동차용 밴드케이블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 자동차용 밴드케이블 210 : 수용부재
221 : 와이어링 222 : 걸림부
230 : 체결부 240 : 걸림부
300 : 브라켓트 310 : 홀물림공
400 : 와이어 S : 수용공간

Claims (5)

  1. 와이어(400)를 수용할 수 있도록 수용공간(S)을 형성하는 수용부재(210);
    상기 수용부재(210)의 하측에 결합되어 브라켓트의 일측면에 접하며 홀물림공에 삽입될 수 있는 체결부(230) 및
    상기 수용부재(210)와 상기 체결부(230)의 사이에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걸림부(240)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부재는
    상기 와이어가 수용되도록 양쪽으로 벌어져 수용공간을 형성하고, 수용공간을 중심으로 좌우 대칭의 형상을 갖도록 안쪽으로 2회 꺾인 한쌍의 플랜지로 형성되고, 탄성재질의 와이어링이 걸려 고정될 수 있도록 외측방향으로 절곡된 걸림부가 양 단부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걸림부와 맞닿는 선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되는 자동차용 밴드케이블.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70175954A 2017-12-20 2017-12-20 자동차용 밴드케이블 KR1020199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5954A KR102019934B1 (ko) 2017-12-20 2017-12-20 자동차용 밴드케이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5954A KR102019934B1 (ko) 2017-12-20 2017-12-20 자동차용 밴드케이블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8802A Division KR102043747B1 (ko) 2019-09-03 2019-09-03 자동차용 밴드케이블
KR1020190108803A Division KR102043748B1 (ko) 2019-09-03 2019-09-03 자동차용 밴드케이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4528A KR20190074528A (ko) 2019-06-28
KR102019934B1 true KR102019934B1 (ko) 2019-09-11

Family

ID=670658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5954A KR102019934B1 (ko) 2017-12-20 2017-12-20 자동차용 밴드케이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993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2904B1 (ko) * 2019-11-21 2021-09-16 (주)우주일렉트로닉스 결합력이 향상된 차량의 보스 결합용 케이블밴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3167B1 (ko) * 2013-08-07 2014-11-18 주식회사 경신 와이어링 밴드케이블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9647B1 (ko) * 2014-11-05 2020-06-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장착 각도 변경 가능한 밴드 케이블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3167B1 (ko) * 2013-08-07 2014-11-18 주식회사 경신 와이어링 밴드케이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4528A (ko) 2019-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40223B2 (ja) コルゲートチューブの固定構造
US8624114B2 (en) Wiring harness
KR102043747B1 (ko) 자동차용 밴드케이블
US20160121822A1 (en) Harness clip and system for clipping wiring harness
KR102302289B1 (ko) 와이어하네스 차체 고정클립
US20160372907A1 (en) Wire harness having fixing member
KR100638637B1 (ko) 와이어링 간격유지용 밴드케이블
WO2014156590A1 (ja) 自動変速機の配線ユニット及びこれに用いられる保持プレート
KR102019934B1 (ko) 자동차용 밴드케이블
KR102043748B1 (ko) 자동차용 밴드케이블
JP4904217B2 (ja) バンドクランプ、バンドクランプ付きワイヤーハーネス、配索物ユニット、配索物ユニットの製造方法、及び自動車内配索物の固定方法
US20170004903A1 (en) Wire harness having fixing member
JP7491704B2 (ja) 保持部品
CN113135155A (zh) 线束
JP3331975B2 (ja) グロメットホルダー
JP6878105B2 (ja) 電気接続箱およびワイヤハーネス
JP6134195B2 (ja) ワイヤーハーネスの車体仮固定構造
GB2447489A (en) A retaining device using a cable tie having a secondary anchorage
KR20190074529A (ko) 자동차용 밴드케이블
KR200381081Y1 (ko) 와이어 하네스 결속용 밴드 케이블
JP2000331751A (ja) ワイヤハーネスへのコネクタの固定構造
CN113140986B (zh) 线束
KR20190000538A (ko) 착탈형 밴드 케이블
JP7444088B2 (ja) ワイヤハーネス及びワイヤハーネスの製造方法
KR101400470B1 (ko) 차량용 밴드 케이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