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8460B1 - 부품 분리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부품 분리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8460B1
KR102288460B1 KR1020170030525A KR20170030525A KR102288460B1 KR 102288460 B1 KR102288460 B1 KR 102288460B1 KR 1020170030525 A KR1020170030525 A KR 1020170030525A KR 20170030525 A KR20170030525 A KR 20170030525A KR 102288460 B1 KR102288460 B1 KR 1022884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support rib
recess
housing
solv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05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03498A (ko
Inventor
조성건
박대형
최종민
김재희
이현종
정의현
황다움
황승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305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8460B1/ko
Priority to US15/914,648 priority patent/US10709051B2/en
Priority to CN201810196379.6A priority patent/CN108574069B/zh
Priority to EP18160852.2A priority patent/EP3373363B1/en
Priority to ES18160852T priority patent/ES2753761T3/es
Publication of KR201801034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34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84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84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49Details of the mechanical connection between the housing parts or relating to the method of assembly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4Mounting of components, e.g. of leadless components
    • H05K13/0486Replacement and removal of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9/00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 B23P19/04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6Interconnection of layers permitting easy separ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5Details related to the integration of battery packs and other power supplies such as fuel cells or integrated AC adap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G06F1/1658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related to the mounting of internal components, e.g. disc drive or any other functional modu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88Arrangements for carrying or protecting trans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2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battery compart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면 및 상기 제1면과 대향되는 제2면을 갖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상기 제2면 방향으로 적어도 일부가 수용된 디스플레이 및 상기 하우징에 상기 제1면 방향으로 적어도 일부가 수용된 배터리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1면에 리세스가 형성된 배터리 안착부를 포함하고, 및 상기 배터리는 접착 부재에 의해 상기 배터리 안착부에 부착된 전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그 밖에 다양한 실시예들이 가능하다.

Description

부품 분리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ELECTRONIC DEVICE INCLUDING COMPONENT SEPARATION STRUCTURE}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부품(component) 분리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 장치는 각 제조사마다 기능적 격차가 현저히 줄어듦에 따라 소비자의 구매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점차 슬림화되어가고 있으며, 전자 장치의 강성을 증가시키고, 디자인적 측면을 강화시킴과 동시에 그 기능적 요소를 차별화시키기 위하여 개선되고 있다.
전자 장치의 내부에 배치되는 전자 부품들은 전자 장치의 낙하 등의 외부 충격에도 견딜 수 있는 강건 구조를 갖도록 설계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전자 부품들 중 전자 장치 내부에 배치되는 배터리(예: 배터리 팩, 배터리 셀 등)는 외부 충격에 의해 견딜 수 있는 내충격성이 향상된 구조를 갖는 것이 중요하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 팩은 내충격성 및 접착 성능이 우수한 접착 부재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의 하우징에 부착되는 바, 차후 유지 보수를 위하여 배터리교체시 원활한 배터리의 분리 구조 역시 고려되어야 한다.
전자 장치는 내부에 복수의 전자 부품들(electronic function group)이 배치될 수 있으며, 해당 부품들을 이용하여 전자 장치의 다양한 기능을 발현시킬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술한 전자 부품들은 전자 장치의 피착물(예: 전자 장치의 하우징 또는 브라켓 등)에 본딩, 테이핑, 스크류 결합 또는 기구적 구조 결합 등에 의해 고정될 수 있으며, 외부의 충격에 견딜 수 있는 우수한 내충격 물성을 갖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사용 중 유지 보수를 위하여 내부에 고정 배치된 전자 부품을 분리할 필요가 있으며, 분리 작업 시 주변 타 부품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용이한 분리 구조가 제공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술한 전자 부품 중 배터리는 전자 장치의 하우징에 접착 부재(예: 접착 테이프, 기능성 접착 부재 등)를 이용하여 부착되는 바, 기존에는 다양한 방식으로 하우징에서 분리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는 하우징과의 경계 영역 중 적어도 일부 영역에 투입된 분리형 용제(예: 박리액)에 의해 접착 부재에 포함된 점착 물질의 점착력이 저하(예: 접착 부재의 접착력이 저하)됨으로써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분리 방법은 비교적 넓은 접착 영역을 갖는 배터리 부착 구조에서 용제의 확산에 한계가 존재하기 때문에 배터리가 하우징에서 잘 분리되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는 배터리의 접착 방향과 수직한 전단 방향으로 인장력이 발생하면 접착 영역이 축소되는 기능성 접착 부재에 의해 분리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분리 방법은 최근 배터리의 강성 보강을 위하여 하우징에 배치되는 배터리 지지용 리브들에 의해 기능성 접착 부재는 전단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인장력을 발생시킬 수 밖에 없으며, 이로 인한 배터리 또는 리브와의 마찰력 증가로 배터리 분리 전에 기능성 접착 부재가 파단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는 하우징에 구조적 결합 부재(예: 스크류, 부싱 등)에 의해 결합되고 이를 분리함으로써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분리 방법은 상술한 구조적 결합 부재가 하우징의 배터리 장착부 주변에 별도로 마련된 공간에 배치되어야 하는 바, 전자 장치의 점차 소형화 및 슬림화되어 가는 추세에 역행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부품 분리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유지 보수 시 주변 부품들의 파손을 방지하고 빠른 분리 및 조립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부품 분리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부품 분리 구조를 가지면서도 이를 위한 별도 공간이 필요치 않아 전자 장치의 슬림화에 기여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부품 분리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면 및 상기 제1면과 대향되는 제2면을 갖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상기 제2면 방향으로 적어도 일부가 수용된 디스플레이 및 상기 하우징에 상기 제1면 방향으로 적어도 일부가 수용된 배터리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1면에 리세스가 형성된 배터리 안착부를 포함하고, 및 상기 배터리는 접착 부재에 의해 상기 배터리 안착부에 부착된 전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피착 부재와, 접착 부재에 의해 상기 제1피착 부재에 부착된 제2피착 부재 및 상기 제1피착 부재의 일면 중 상기 제2피착 부재와 중첩되는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 상기 접착 부재의 접착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용제의 흐름을 유도하기 위한 리세스가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피착물(예: 하우징)의 자체 구조만으로 그곳에 부착된 부품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기 때문에 빠른 유지 보수가 가능하며, 주변 부품의 훼손을 방지할 수 있고, 전자 장치의 슬림화에 기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전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가 적용되는 전자 장치의 하우징을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가 하우징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의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a 내지 도 6d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도 5의 A 영역을 나타낸 리세스의 다양한 단면 형상을 도시한 요부 사시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도 5의 B1 영역을 나타낸 용제 투입홈의 구성도이다.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도 5의 C1 영역을 나타낸 리세스의 다양한 형상을 도시한 요부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에 투입된 용제가 확산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a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접착 부재가 적용된 하우징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도 13a의 기능성 접착 부재를 이용한 배터리 분리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문서의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s), 균등물(equivalents),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s)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예: 수치, 기능, 동작, 또는 부품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또는/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및 B 중 하나 또는 그 이상"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는, (1) 적어도 하나의 A를 포함, (2) 적어도 하나의 B를 포함, 또는 (3) 적어도 하나의 A 및 적어도 하나의 B 모두를 포함하는 경우를 모두 지칭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제 1", "제 2", "첫째" 또는 "둘째" 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 1 사용자 기기와 제 2 사용자 기기는, 순서 또는 중요도와 무관하게, 서로 다른 사용자 기기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문서에 기재된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operatively or communicatively) coupled with/to)" 있다거나 "접속되어(connected to)"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 2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예: 제 3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표현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에 적합한(suitable for)", "~하는 능력을 가지는(having the capacity to)", "~하도록 설계된(designed to)", "~하도록 변경된(adapted to)", "~하도록 만들어진(made to)" 또는 "~를 할 수 있는(capable of)"과 바꾸어 사용될 수 있다. 용어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은 하드웨어(hardware)적으로 "특별히 설계된(specifically designed to)" 것만을 반드시 의미하지 않을 수 있다. 대신, 어떤 상황에서는,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구 "A, B, 및 C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 프로세서"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예: 임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프로세서(generic-purpose processor)(예: CPU(central processing unit) 또는 AP(application processor))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 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문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문서의 실시 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스마트폰(smartphone),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이동 전화기(mobile phone), 영상 전화기, 전자책 리더기(e-book reader), 데스크탑 PC(desktop personal computer), 랩탑 PC(laptop personal computer), 넷북 컴퓨터(netbook computer), 워크스테이션(workstation), 서버,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 모바일 의료기기, 카메라(camera), 또는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웨어러블 장치는 액세서리형(예: 시계, 반지, 팔찌, 발찌, 목걸이, 안경, 콘택트 렌즈, 또는 머리 착용형 장치(head-mounted-device(HMD) 등), 직물 또는 의류 일체형(예: 전자 의복), 신체 부착형(예: 스킨 패드(skin pad) 또는 문신), 또는 생체 이식형(예: implantable circui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들에서, 전자 장치는 가전 제품(home appliance)일 수 있다. 가전 제품은, 예를 들면, 텔레비전, DVD(digital video disk) 플레이어, 오디오, 냉장고, 에어컨, 청소기, 오븐, 전자레인지, 세탁기, 공기 청정기, 셋톱 박스(set-top box), 홈 오토매이션 컨트롤 패널(home automation control panel), 보안 컨트롤 패널(security control panel), TV 박스(예: 삼성 HomeSyncTM, 애플TVTM, 또는 구글 TVTM), 게임 콘솔(예: XboxTM, PlayStationTM), 전자 사전, 전자 키, 캠코더(camcorder), 또는 전자 액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는, 각종 의료기기(예: 각종 휴대용 의료측정기기(혈당 측정기, 심박 측정기, 혈압 측정기, 또는 체온 측정기 등), MRA(magnetic resonance angiography), MRI(magnetic resonance imaging), CT(computed tomography), 촬영기, 또는 초음파기 등), 네비게이션(navigation) 장치, 위성 항법 시스템(GNSS,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EDR(event data recorder), FDR(flight data recorder), 자동차 인포테인먼트(infotainment) 장치, 선박용 전자 장비(예: 선박용 항법 장치, 자이로 콤파스 등), 항공 전자기기(avionics), 보안 기기, 차량용 헤드 유닛(head unit), 산업용 또는 가정용 로봇, 금융 기관의 ATM(automatic teller's machine), 상점의 POS(point of sales), 또는 사물 인터넷 장치(internet of things)(예: 전구, 각종 센서, 전기 또는 가스 미터기, 스프링클러 장치, 화재경보기, 온도조절기(thermostat), 가로등, 토스터(toaster), 운동기구, 온수탱크, 히터, 보일러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가구(furniture) 또는 건물/구조물의 일부, 전자 보드(electronic board), 전자 사인 수신 장치(electronic signature receiving device), 프로젝터(projector), 또는 각종 계측 기기(예: 수도, 전기, 가스, 또는 전파 계측 기기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전자 장치는 전술한 다양한 장치들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플렉서블 전자 장치일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기술 발전에 따른 새로운 전자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가 설명된다. 본 문서에서, 사용자라는 용어는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사람 또는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장치(예: 인공지능 전자 장치)를 지칭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전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전자 장치(100)는 하우징(110)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하우징의 제2면 방향(1002)(예: 전면 방향)으로 배치되는 디스플레이(101)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101)는 터치 센서를 포함하여 터치 스크린 장치로 동작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101)는 압력 센서를 포함하여 압력 반응형 터치 스크린 장치로 동작할 수도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상대방의 음성을 출력하기 위하여 배치되는 리시버(102)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상대방에게 사용자의 음성을 송신하기 위하여 배치되는 마이크로폰 장치(103)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리시버(102)가 설치되는 주변에 전자 장치(100)의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부품(component)들이 배치될 수 있다. 부품들은 적어도 하나의 센서 모듈(104)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센서 모듈(104)은, 예컨대, 조도 센서(예: 광센서), 근접 센서(예: 광센서), 적외선 센서, 초음파 센서, 지문 인식 센서 또는 홍채 인식 센서 중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부품은 제1카메라 장치(105)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부품은 전자 장치의 상태 정보를 사용자에게 인지시켜주기 위한 인디케이터(106)(예: LED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마이크로폰 장치(103)의 일측으로 배치되는 스피커 장치(108)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마이크로폰 장치(103)의 타측으로 배치되며, 외부 장치에 의한 데이터 송수신 기능 및 외부 전원을 인가받아 전자 장치(100)를 충전시키기 위한 인터페이스 컨넥터 포트(107)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인터페이스 컨넥터 포트(107)의 일측에 배치되는 이어잭 홀(109)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110)은 도전성 부재 및 비도전성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110)은 전자 장치(100)의 테두리를 따라 배치되며, 전자 장치(100)의 제1면 방향(1001)(예: 제1면이 있는 방향, 후면 방향이 될 수 있음)의 일부 또는 제1면 방향(1001)과 대향되는 제2면 방향(1002)(예: 제2면이 있는 방향, 전면 방향이 될 수 있음)의 적어도 일부 영역까지 확장되는 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110)은 전자 장치(100)의 테두리를 따라 전자 장치(100)의 두께의 적어도 일부로 정의될 수 있으며, 폐루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하우징(110)은 전자 장치(100)의 두께 중 적어도 일부에 기여하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110)은 적어도 일부가 전자 장치(100)의 내부에 내장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1면 방향(1001)은 제1면으로 향하는 방향 또는 제1면이 있는 방향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2면 방향(1002)은 제2면으로 향하는 방향 또는 제2면이 있는 방향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제2면 방향(1002)과 대향되는 제1면 방향(1001)(예: 후면 방향)으로 배치되는 커버(111)(예: 후면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커버(111)를 통하여 배치되는 제2카메라 장치(112)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제2카메라 장치(112)의 일측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전자 부품(113)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부품(113)은 조도 센서(예: 광 센서), 근접 센서(예: 광 센서), 적외선 센서, 초음파 센서, 심박 센서, 플래시 장치 또는 지문 인식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전원 공급 수단으로 전자 장치(100)의 내부에서 하우징(110)에 고정되는 배터리(미도시 됨)(예: 강체 타입 배터리 팩 또는 파우치형 배터리 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의 전자 장치(300)는 도 1 및 도 2의 전자 장치(100)와 유사하거나 전자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참고하면, 전자 장치(300)는 하우징(320)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320)은 제1면(3201)과 제1면(3201)과 대향되는 제2면(3202)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300)는 하우징(320)의 제2면(3202)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키입력 장치(330), 적어도 하나의 시일 부재(350) 및 디스플레이 모듈(3012)과 윈도우(3011)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301)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1면 방향은 제1면(3201)으로 향하는 방향 또는 제1면(3201)이 있는 방향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2면 방향은 제2면(3202)으로 향하는 방향 또는 제2면(3202)이 있는 방향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300)는 하우징(320)의 제1면(3201)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기판(360)(예: PCB, FPC 또는 메인 보드 등), 배터리(370), 무선 전력 송수신 부재(380), 후면 시일 부재(390) 및 후면 커버(311)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37)는 하우징(320)에 형성된 스웰링 홀(321)을 포함하는 수용 공간에 수용되며, 기판(360)을 회피하여 배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370)와 기판(360)은 중첩되지 않고 병렬 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배터리 (370)의 적어도 일부 영역은 인쇄회로기판(360)과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플레이트 타입 하우징(320)이 단독으로 사용되었으나, 하우징(320)과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플레이트(예: 중간 플레이트, 브라켓, 리어 플레이트 또는, 분리 가능한 배터리 커버 등)가 함께 사용될 수도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320)은 도전성 부재(예: 금속 부재 등) 및 비도전성 부재(예: 수지 등)가 함께 사용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320)은 도전성 부재 및 비도전성 부재에 의해 인서트 사출 공정 또는 이중 사출 공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301)는 윈도우(3011)의 배면에 디스플레이 모듈(3012)이 부착된 후, 하우징(320)에 적용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윈도우(3011)는 글라스 또는 수지 등의 투명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모듈(3012)은 터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모듈(3012)은 터치 센서 및 압력 감지 센서(force sensor)를 포함할 수도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300)는 하우징(320)과 디스플레이(301) 사이에 개재되며 방수를 목적으로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시일 부재(seal member)(350)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300)는 하우징(320)의 후면 커버(311) 사이에서 그 테두리를 따라 방수를 목적으로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시일 부재(390)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후면 커버(311)는 유리, 플라스틱, 복합 수지 또는 금속 중 적어도 하나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시일 부재(350) 및 제2시일 부재(390)는 테이프, 접착제, 방수 디스펜싱, 실리콘, 방수 러버 또는 우레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기판(360)은 메모리, 프로세서, 각종 센서, 입출력 단자 등을 포함하며, 배터리(370)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이용하여, 전자 장치의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기판(360)은 배터리(370)와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기판(360)은 그 일면이 배터리(370)의 일면과 맞닿아 배터리(370)과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는 형태로 배치되거나, 배터리(370)의 배치 공간을 도피하는 'ㄱ', 'ㄷ'형태로 구성되어 동일 평면을 배터리 팩(370)과 분할하여 점유하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370)는 디스플레이(301), 인쇄회로기판 (360)등 주요 부품에 전력을 공급하고, 무선 전력 송수신 부재(380) 또는 각종 시트형(sheet type) 센서 등의 안착 평면을 제공할 수 있다. 배터리(370)는 부피와 무게에 의해 안정적인 조립과 사용간의 유동 방지를 위해 하우징(320)의 일부 영역에 마련되는 안착 공간(cavity) 또는 지지 리브 등으로 일정 공간이 확보된 배터리 팩 장착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 팩(370)은 전자 장치(300)에 내장되는 내장형 배터리 팩(built-in battery pack)으로 사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370)는 하우징(320)의 배터리 수용 공간내에 적어도 하나의 접착 부재(371)에 의해 부착 고정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접착 부재(371)는 접착 성능 및 내충격성이 우수한 재질을 사용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접착 부재(371)는 하우징(320)과 배터리(370) 사이에 개재되며, 배터리 장착 방향과 수직한 전단 방향으로 인장력이 작용하면 접착 면적이 축소되는 기능성 접착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320)은 유지 보수를 위하여 배터리(370)를 하우징(320)으로부터 분리할 경우 용이한 분리를 유도하기 위한 분리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한 시예에 따르면, 하우징(320)은 접착 부재(371)의 접착 물성을 저하시키는 용제(예: 박리액)를 용이하게 투입하고, 투입된 용제가 용이하게 접착 영역으로 확산되기 위한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하우징의 구조 및 용제 투입 및 확산 구조가 상세히 기술될 수 있다.
도 4a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가 적용되는 전자 장치의 하우징을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가 하우징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a 및 도 4b의 전자 장치(400)는 도 1 및 도 2의 전자 장치(110) 또는 도 3의 전자 장치(320)과 유사하거나, 전자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를 참고하면, 전자 장치(400)는 하우징(420)(예: 도 3의 하우징(320))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420)은 제1면(4201)(예: 도 3의 제1면(3201))과 제1면(4201)과 대향되는 제2면(4202)(예: 도 3의 제2면(3202))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하우징(420)의 제1면(4201)에 형성되는 배터리 안착부(421)에 배치되는 배터리(440) 및 배터리(440)를 배터리 안착부(421)에 부착 고정시키는 접착 부재(430)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420)은 도전성 부재 및 비도전성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420)은 도전성 부재와 비도전성 부재로 형성될 경우, 이중 사출 공정, 인서트 사출 공정 또는 CNC(computer numericla control)를 통한 공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420)은 제1면(4201)에 형성되는 배터리(440)를 수용하기 위한 배터리 안착부(421)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 안착부(421)는 대체적으로 배터리(440)가 안착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 안착부(421)는 하우징(420)의 제1면(4201)에서 외측 방향으로 일정 높이로 신장된 지지 리브(422)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 리브(422)는 제1방향으로 연장되고 제1길이를 갖는 제1지지 리브(4221), 제1방향과 수직한 제2방향으로 연장되고 제1길이 보다 더 긴 제2길이를 갖는 제2지지 리브(4222), 제1지지 리브와 대체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고 제1길이를 갖는 제3지지 리브(4223) 및 제2지지 리브(4222)와 평행하게 연장되고 제2길이를 갖는 제4지지 리브(4224)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 안착부(421)에는 일정 면적을 가지며 배터리(440)의 스웰링 현상(swelling; 배터리의 일부 영역(대체적으로 중앙 부분)이 부풀어 오르는 현상)을 수용할 수 있는 스웰링 홀(4211)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 리브(422)는 장방형 배터리(440)를 수용하기 위한 형상으로 배터리 안착부(421)를 정의되고 있으나, 지지 리브(422)는 적용되는 배터리(440) 형상에 의해 다양한 방식으로 변경 가능하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 리브(422)의 높이는 배터리(440)의 두께와 동일하거나 배터리(440)의 두께보다 낮거나 배터리(440)의 두께보다 높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 리브(422)는 배터리 안착부(421)에 안착된 배터리(440)의 유동을 방지하고 전자 장치의 강성 보강에 일조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 안착부(421)와 배터리(440) 사이에는 접착 부재(430)가 배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접착 부재(430)는 배터리 장착 방향과 수직한 전단 방향으로 인장력이 작용하면 접착 면적이 축소되고, 접착 물성을 저하시키는 기능성 접착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 안착부(421)는 배터리 안착부(421)보다 낮게 형성되는 리세스(recess)(426)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리세스(426)는 배터리 안착부(421)의 전반적인 영역에 걸쳐 고르게 분포될 수 있으며, 서로 연결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 4b와 같이, 유지 보수를 위하여 배터리 안착부(421)에 안착된 배터리(440)를 분리할 목적으로 하우징(420)의 적어도 일부분에는 접착 부재 분리용 용제(예: 박리액)가 도포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접착 부재 분리용 용제는 알코올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접착 부재 분리용 용제는 환경에 무해하고 실제 다른 기타 부품에 접촉되어도 해당 부품에 데미지가 없어야 하며, 적용 후에 성분이 잔존하지 않거나 재사용에 따른 제거가 용이한 물질을 사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포된 용제는 배터리 안착부(421)에 배치된 리세스(426)를 따라 이동되면서 접착 부재(430)에 고르게 접촉 후 주변으로 확산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리세스(426)(예: 도 5의 리세스(523))는 배터리 안착부(421)의 전반적인 영역에 고르게 배치될 수 있으며, 배터리 안착부(421)의 크기 및 형상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의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의 하우징(520)은 도 1의 하우징(110), 도 3의 하우징(320) 또는 도 4의 하우징(420)과 유사하거나, 하우징의 다른 실시예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를 참고하면, 하우징(520)(예: 도 3의 하우징(320))은 제1면(5201)(예: 도 3의 제1면(3201))과, 제1면(5201)과 대향되는 제2면(5202)(예; 도 3의 제2면(3202))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520)은 제1면(5201)에 배터리(예: 도 4a의 배터리(440))를 수용하기 위한 배터리 안착부(521)(예: 도 4a의 배터리 안착부(4211))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 안착부(521)는 대체적으로 배터리가 안착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 안착부(521)는 하우징(520)의 제1면(5201)에서 외측 방향으로 일정 높이로 신장된 지지 리브(522)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 리브(522)는 제1방향으로 연장되고 제1길이를 갖는 제1지지 리브(5221), 제1방향과 수직한 제2방향으로 연장되고 제1길이보다 더 긴 제2길이를 갖는 제2지지 리브(5222), 제1지지 리브(5221)와 대체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고 제1길이를 갖는 제3지지 리브(5223) 및 제2지지 리브(5222)와 평행하게 연장되고 제2길이를 갖는 제4지지 리브(5224)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 안착부(521)에는 일정 개방 면적을 가지며 배터리의 스웰링 현상을 수용할 수 있는 스웰링 홀(5211)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 안착부(521)에는 안착면 보다 낮게 형성되고 일정 깊이 및 폭을 갖는 리세스(523)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리세스(523)는 배터리 안착부(521)의 대체적으로 전반적인 영역에 고르게 분포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서로 연결되는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리세스(523)는 하우징(520)이 형성될 때 함께 성형될 수 있으며, 레이저 가공, 에칭, 헤어라인 가공 등의 표면 처리를 통하여 그루브(groove) 형태로 형성될 수 있기 때문에 비교적 작은 폭(예: 0.3mm 이하)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리세스(523)의 폭 또는 깊이는 규칙적이거나 불규칙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 안착부(521)는 폐루프 방식으로 형성된 지지 리브(522)에 의해 주변의 기판 장착부(524)와 격리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520)은 배터리가 배터리 안착부(521)에 안착된 후에 용제가 용이하게 투입되고 리세스(523)를 통하여 효과적으로 확산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용제 투입 영역(B1, B2, B3, B4, C1, C2, C3, C4, C5, C6)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용제 투입 영역(B1, B2, B3, B4, C1, C2, C3, C4, C5, C6)은 리세스(523)와 구조적 형상에 의해 연결될 수 있으며, 지지 리브(522)를 따라 균일하거나 불균일한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용제 투입 영역(B1, B2, B3, B4)은 지지 리브(522)의 각 모서리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용제 투입 영역(C1, C2, C3, C4, C5, C6)은 각 리브(5221, 5222, 5223, 5224)의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서 규칙적인 간격 또는 불규칙적인 간격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각 모서리 영역에는 배터리가 배터리 안착부(521)에 장착된 후에도 노출되는 용제 투입홈(5225)이 형성될 수 있으며, 각 리브의 대응 영역(C1, C2, C3, C4, C5, C6) 역시 투입된 용제가 용이하게 리세스(523)로 확산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용제 투입을 위한 영역은 지지 리브(522)의 상술한 영역(예: C1, C2, C3, C4, C5 또는 C6 영역) 이외에도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서 리브 벽면을 통하여 리세스(523)와 연장되며, 최종적으로 외부로 노출되는 방식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해당 용제 투입 영역으로 적용되는 리브의 대응 영역(C1, C2, C3, C4, C5, C6) 역시 용제가 리브 벽면을 따라 리세스로 용이하게 전달될 수 있도록 상술한 용제 투입홈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방식으로 형성되는 용제 투입홈을 포함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리세스(523)는 배터리 안착부(521)에서 폐루프 형상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확산 경로(5231)와 용제 투입 영역(B1, B2, B3, B4, C1, C2, C3, C4, C5, C6)에서부터 확산 경로(5231)까지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투입 경로(5232, 5233)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경로(5231, 5232, 5233)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각각의 투입 경로(5232, 5233)는 확산 경로(5231)를 통하여 서로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6d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도 5의 A 영역을 나타낸 리세스의 다양한 단면 형상을 도시한 요부 사시도이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 5의 A 영역은 리세스(예: 도 5의 리세스(523))의 확산 경로(예: 도 5의 확산 경로(5231))를 나타내고 있으나, 확산 경로뿐만 아니라 리세스의 투입 경로(예: 도 5의 투입 경로(5232, 5233)) 역시 동일한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6a를 참고하면, 하우징(520)(예: 도 3의 하우징(320))은 접착 부재(610)에 의해 배터리가 부착되는 배터리 안착부(521)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 안착부(521)는 일정 폭을 가지며 일정 깊이로 단부가 첨예한 역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된 리세스(523-1)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b를 참고하면, 하우징(520)은 배터리 안착부(521)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 안착부(521)는 일정 폭을 가지며 일정 깊이로 단부가 만곡진 곡형으로 형성된 리세스(523-2)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 6c를 참고하면, 하우징(520)은 배터리 안착부(521)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 안착부(521)는 일정 폭을 가지며 일정 깊이로 사각형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는 리세스(523-3)를 포함할 수도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리세스(523-3)는 단면이 사각형인 형상에서 하측으로 향할수록 그 폭이 점점 좁아지거나 넓어지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6d를 참고하면, 하우징(520)은 배터리 안착부(521)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 안착부(521)는 일정 폭을 가지며 일정 깊이로 연이어 형성되는 한 쌍의 리세스(523-4, 523-5)를 포함할 수도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 안착부(521)는 연이어 형성되는 세 개 이상의 리세스를 포함할 수도 있다. 각 리세스(523-4, 523-5)의 단면 형상은 도 6a의 리세스(523-1)의 형상과 유사하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예컨대, 도 6b, 도 6c에 도시된 리세스(523-2, 523-3)의 단면 형상 또는 여타 다양한 형상으로 대체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리세스는 배터리 안착부 주변과 표면 조도(예: 거칠기 정도)가 다른 패턴(예: 부식 패턴 등)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도 5의 B1 영역을 나타낸 용제 투입홈의 구성도이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 5의 B2, B3 또는 B4 영역 역시 B1 영역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7a를 참고하면, 배터리 안착부(521)를 정의하는 하우징(520)의 지지 리브(522) 중에는 용제 투입홈(5225)이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용제 투입홈(5225)은 제1지지 리브(5221)와 제4지지 리브(5224)가 만나는 모서리 부분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용제 투입홈은 제1지지 리브(5221), 제2지지 리브(5222), 제3지지 리브(5223) 또는 제4지지 리브(5224) 중 적어도 하나의 리브 중에 형성될 수도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용제 투입홈(5225)은 하측에서 상측 방향으로 진행될수록 폭이 넓어지는 깔대기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용제 투입홈(5225)은 배터리 안착부(521)에 형성되는 리세스(523)의 용제 투입 경로(5232)와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7b를 참고하면, 배터리 안착부(521)에 소정의 접착 부재에 의해 배터리(710)가 안착 고정되면, 용제 투입홈(5225)은 지지 리브(522)에서 연장되는 위치에 노출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유지 보수를 위하여 배터리(710)를 하우징(520)에서 분리시킬 경우, 작업자는 용제 투입홈(5225)을 통하여 용제를 투입하게 되고, 투입된 용제는 용제 투입홈을 통하여 리세스(도 5의 리세스(523))로 확산됨으로써 접착 부재의 접착력이 약화될 수 있다.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도 5의 C1 영역을 나타낸 리세스의 다양한 형상을 도시한 요부 사시도이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 5의 C2, C3, C4, C5 또는 C6 영역 역시 C1 영역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8a를 참고하면, 하우징(520)의 배터리 안착부(521)는 외부에서 투입된 접착 부재 분리용 용제를 접착 영역에 전반적으로 확산시키기 위하여 형성되는 리세스(523)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리세스(523)는 배터리 안착부(521) 중에 형성되는 확산 경로(5231)와, 확산 경로(5231)와 연결되며 제1지지 리브(5221)까지 연장 형성되는 제1투입 경로(5233) 및 제1투입 경로(5233)와 연결되며 제1지지 리브(5221)의 내측벽(52211)을 따라 상면(52212)까지 연장 형성되는 제2투입 경로(523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배터리가 제1지지 리브(5221)의 내측벽(52211)과 타이트하게 접촉하는 방식으로 장착되더라도 용제는 제1지지 리브(5221)의 상면(52212)에 형성된 제2투입 경로(5234)를 통해 투입될 수 있으며, 제1투입 경로(5233) 및 확산 경로(5231)를 타고 용이하게 확산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부(523)의 제1투입 경로(5233)에서 제1지지 리브(5221)의 내측벽(52211)으로 연장된 제2투입 경로(5234-1)는 T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싱예에 따르면, 제2투입 경로(5234-2)는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가 넓어지는 깔대기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투입된 용제는 도 8b에 도시된 제2투입 경로(5234-1)의 T자 형상 또는 도 8c에 도시된 제2투입 경로(5234-2)의 깔대기 형상에 의해 제1지지 리브(5221)의 외부로 흘러넘치지 않고 제1투입 경로(5233) 방향으로 유도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에 투입된 용제가 확산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의 하우징(920)은 도 1의 하우징(110), 도 3의 하우징(320), 도 4의 하우징(420) 또는 도 5의 하우징(520)과 유사하거나, 하우징의 다른 실시예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9를 참고하면, 하우징(920)은 배터리(예: 도 4a의 배터리(440))를 수용하기 위한 배터리 안착부(921)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 안착부(921)는 하우징(920)에서 상방으로 일정 높이로 신장된 지지 리브(922)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 리브(922)는 제1방향으로 연장되고 제1길이를 갖는 제1지지 리브(9221), 제1방향과 수직한 제2방향으로 연장되고 제1길이보다 더 긴 제2길이를 갖는 제2지지 리브(9222), 제1지지 리브(9221)와 대체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고 제1길이를 갖는 제3지지 리브(9223) 및 제2지지 리브(9222)와 평행하게 연장되고 제2길이를 갖는 제4지지 리브(9224)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 안착부(521)에는 일정 면적을 가지며 배터리의 스웰링 현상을 수용할 수 있는 스웰링 홀(9211)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 안착부(921)에는 안착면 보다 낮게 형성되는 일정 깊이 및 폭을 갖는 리세스(923)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리세스(923)는 배터리 안착부(921)의 대체적으로 전반적인 영역에 고르게 분포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서로 연결되는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 안착부(921)는 폐루프 방식으로 형성된 지지 리브(922)에 의해 주변의 영역과 격리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920)은 배터리가 배터리 안착부(921)에 안착된 후에 용제가 용이하게 투입되고 리세스(923)를 통하여 효과적으로 확산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용제 투입 영역(B1, B2, B3, B4, C1, C2, C3, C4, C5, C6)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용제 투입 영역(B1, B2, B3, B4, C1, C2, C3, C4, C5, C6)은 리세스(923)와 구조적 형상에 의해 연결될 수 있으며, 지리 리브(922)를 따라 균일하거나 불균일한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용제 투입 영역(B1, B2, B3, B4, C1, C2, C3, C4, C5, C6)은 전술한 도 6a 내지 도 8c의 용제 투입 구조와 유사하게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용제 투입 영역(B1, B2, B3, B4)은 지지 리브(923)의 각 모서리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용제 투입 영역(C1, C2, C3, C4, C5, C6)은 각 리브(9221, 9222, 9223, 9224)의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서 규칙적인 간격 또는 불규칙적인 간격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리세스(923)는 배터리 안착부(921)에서 폐루프 형상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확산 경로(9231)와 용제 투입 영역(B1, B2, B3, B4, C1, C2, C3, C4, C5, C6)에서부터 확산 경로(9231)까지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투입 경로(9232, 9233)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경로(9231, 9232, 9233)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각각의 투입 경로(9232, 9233)는 확산 경로(9231)를 통하여 서로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용제 투입 영역(B1, B2, B3, B4, C1, C2, C3, C4, C5, C6)을 통해 접착 부재 분리용 용제가 투입되면, 용제는 복수의 투입 경로(9232, 9233)을 통해 확산 경로(9231)의 대응 위치로 확산됨으로써 접착 부재의 빠른 접착력 약화를 달성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의 하우징(1020)은 도 1의 하우징(110), 도 3의 하우징(320), 도 4의 하우징(420), 도 5의 하우징(520) 또는 도 9의 하우징(920)과 유사하거나, 하우징의 다른 실시예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0을 참고하면, 하우징(1020)은 배터리(예: 도 4a의 배터리(440))를 수용하기 위한 배터리 안착부(1021)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 안착부(1021)는 하우징(1020)에서 상방으로 일정 높이로 신장된 지지 리브(1022)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 리브(1022)는 제1방향으로 연장되고 제1길이를 갖는 제1지지 리브(10221), 제1방향과 수직한 제2방향으로 연장되고 제1길이보다 더 긴 제2길이를 갖는 제2지지 리브(10222), 제1지지 리브(10221)와 대체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고 제1길이를 갖는 제3지지 리브(10223) 및 제2지지 리브(10222)와 평행하게 연장되고 제2길이를 갖는 제4지지 리브(10224)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 안착부(1021)에는 일정 면적을 가지며 배터리의 스웰링 현상을 수용할 수 있는 스웰링 홀(10211)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 안착부(1021)에는 안착면 보다 낮게 형성되는 일정 깊이 및 폭을 갖는 리세스(1023)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리세스(1023)는 배터리 안착부(1021)의 대체적으로 전반적인 영역에 고르게 분포되도록 형성되는 확산 경로(10231)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리세스(1023)의 확산 경로(10231)는 스웰링 홀(10211)을 감싸는 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확산 경로(10231)는 지지 리브(1022)의 내측으로부터 스웰링 홀(10211)까지의 거리의 절반을 중심으로 스웰링 홀에 가깝게 형성되나, 스웰링 홀과 연결되지 않도록 이격 거리 d를 두고 이격 배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이격 거리 d는 스웰링 홀(10211)로부터 0 이상 ~ 배터리 안착부(1021)의 거리(예: 폭 방향의 거리)의 1/2 이내로 정의될 수도 있다. 이는 용제의 과다 투입에 의해 리세스(1023)의 확산 경로(10231)를 통하여 스웰링 홀(10211)로 넘치게 되면 주변 전자 부품(예: 디스플레이 등)이 손상되는 문제를 미연에 방지하고자 하는 것에 기인한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리세스(1023)의 확산 경로(10231)와 스웰링 홀(10211) 사이에서 스웰링 홀(10211)의 테두리를 따라 확산 경로와 연결되지 않는 폐곡선 형태의 음각 라인 또는 일정 두께(예: 2.0 mm 이상)의 양각 라인(예: 리브)이 추가로 형성됨으로써 용제의 흘러 넘침을 미연에 방지할 수도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의 하우징(1120)은 도 1의 하우징(110), 도 3의 하우징(320), 도 4의 하우징(420), 도 5의 하우징(520) 또는 도 9의 하우징(920)과 유사하거나, 하우징의 다른 실시예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1을 참고하면, 하우징(1120)은 배터리(예: 도 4a의 배터리(440))를 수용하기 위한 배터리 안착부(1121)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 안착부(1121)는 하우징(1120)에서 상방으로 일정 높이로 신장된 지지 리브(1122)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 리브(1122)는 제1방향으로 연장되고 제1길이를 갖는 제1지지 리브(11221), 제1방향과 수직한 제2방향으로 연장되고 제1길이보다 더 긴 제2길이를 갖는 제2지지 리브(11222), 제1지지 리브(11221)와 대체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고 제1길이를 갖는 제3지지 리브(11223) 및 제2지지 리브(11222)와 평행하게 연장되고 제2길이를 갖는 제4지지 리브(11224)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 안착부(1121)에는 일정 면적을 가지며 배터리의 스웰링 현상을 수용할 수 있는 스웰링 홀(11211)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 안착부(1021)에는 안착면 보다 낮게 형성되는 일정 깊이 및 폭을 갖는 리세스(1123)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리세스(1123)는 배터리 안착부(1121)의 대체적으로 전반적인 영역에 고르게 분포되도록 형성되는 확산 경로(11231)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리세스(1123)의 확산 경로(11231)는 스웰링 홀(11211)을 감싸는 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확산 경로(11231)는 지지 리브(1122)의 내측으로부터 스웰링 홀(11211)까지의 거리의 절반을 중심으로 스웰링 홀에 가깝게 형성되나, 스웰링 홀과 연결되지 않도록 거리를 두고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리세스(1123)의 확산 경로(11231)와 스웰링 홀(11211) 사이에서 스웰링 홀(11211)의 테두리를 따라 일정 두께를 갖는 테이프 부재(1124)가 부착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테이프 부재(1124)는 접착 물성을 약화시키는 용제에 반응하지 않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테이프 부재(1124)는 배터리 안착부에 적용되는 접착 부재보다 접착력을 약하게함으로써 기능성 부재가 용제에 의해 분리 반응 후에 배터리의 분리가 용이하도록 얇게 부착될 수 있다. 테이프 부재(1124)는 두께 편차로 인한 단차로 기능성 접착 부재의 점착 물성이 떨어지지 않도록 소프트한 물성을 가진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테이프 부재(1124)는 거리가 0.8 mm 이상으로 적용되는 스웰링 홀의 테두리에서부터 리세스까지의 이격 거리를 커버하도록 적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테이프 부재(1124)는 하우징(1120)의 배터리 안착부(1121)에 부착되거나 배터리 안착부(1121)와 대향되는 하우징(1120)의 대응 외면에 부착되거나 하우징(1120)의 양면에 모두 부착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1120)의 대응 외면에 부착되는 테이브 부재는 대응 외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전자 부품으로 용제가 흘러 넘침으로써 발생될 수 있는 전자 부품을 위한 접착 부재의 접착력 저하 또는 전자 부품의 직접적인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부품은 디스플레이, 무선 충전 부재(예: 무선 전력 수신 코일) 또는 안테나 부재(예: NFC 안테나 부재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테이프 부재(1124) 대신 해당 영역에 친수성 또는 발수성 코팅층이 도포될 수도 있다. 또는 접착 부재 대신 배터리 안착부 또는 대응 외면에 일정 높이로 신장되는 넘침 방지용 리브가 적용될 수도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의 하우징(1220)은 도 1의 하우징(110)과 유사하거나, 하우징의 다른 실시예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2를 참고하면, 하우징(1220)은 배터리(예: 도 4a의 배터리(440))를 수용하기 위한 배터리 안착부(1221)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 안착부(1221)는 하우징(1220)에서 상방으로 일정 높이로 신장된 지지 리브(1222)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 리브(1222)는 제1방향으로 연장되고 제1길이를 갖는 제1지지 리브(12221), 제1방향과 수직한 제2방향으로 연장되고 제1길이보다 더 긴 제2길이를 갖는 제2지지 리브(12222), 제1지지 리브(12221)와 대체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고 제1길이를 갖는 제3지지 리브(12223) 및 제2지지 리브(12222)와 평행하게 연장되고 제2길이를 갖는 제4지지 리브(12224)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 안착부(1221)는 별도의 개구(예: 스웰링 홀)가 존재하지 않는 막힌 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 안착부(1221)에는 안착면 보다 낮게 형성되는 일정 깊이 및 폭을 갖는 리세스(1223)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리세스(1223)는 배터리 안착부(1221)의 대체적으로 중심 영역에서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확산 경로(12231)와, 제1확산 경로(12231)를 둘러싸는 방식으로 일정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는 루프 타입 제2확산 경로(12232)와, 제2확산 경로(12232)를 둘러싸는 방식으로 일정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는 루프 타입 제3확산 경로(12233) 및 제1, 2, 3 확산 경로(12231, 12232, 12233)와 동시에 연결되며 단부가 지지 리브(1222)까지 연장 형성되어 투입된 용제를 수용하는 복수의 투입 경로(12234, 12235)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리세스(1223)의 확산 경로는 배터리 안착부(1221)의 크기 및 형상에 따라 4개 이상 형성될 수 있으며, 투입 경로 역시 다양한 방식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도 13a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접착 부재가 적용된 하우징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a 및 도 13b를 참고하면, 하우징(1320)은 배터리(1340)를 수용하기 위한 배터리 안착부(1321)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 안착부(1321)는 하우징(1320)에서 상방으로 일정 높이로 신장된 지지 리브(1322)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 리브(1322)는 제1방향으로 연장되고 제1길이를 갖는 제1지지 리브(13221), 제1방향과 수직한 제2방향으로 연장되고 제1길이보다 더 긴 제2길이를 갖는 제2지지 리브(13222), 제1지지 리브(13221)와 대체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고 제1길이를 갖는 제3지지 리브(13223) 및 제2지지 리브(13222)와 평행하게 연장되고 제2길이를 갖는 제4지지 리브(13224)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 안착부(1321)에는 일정 면적을 가지며 배터리의 스웰링 현상을 수용할 수 있는 스웰링 홀(13211)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 안착부(1321)에는 기능성 접착 부재(1330)가 부착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기능성 접착 부재(1330)은 배터리 안착부(1321)에 배치되는 접착부(1331)와, 접착부(1331)의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서 연장되는 연결부(1332) 및 연결부(1332)에서 연장되고 배터리 안착부(1321)의 외부로 노출되는 탭(1333)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기능성 접착 부재(1330)는 배터리 장착 방향(예: - Z축 방향)과 수직한 전단 방향(예: Y축 방향)으로 인장력이 작용하면 접착 면적이 축소되고, 접착 물성을 저하시키는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기능성 접착 부재(1330)는 지지 리브(1322)의 연결부(1332)를 통하여 제4지지 리브(13224)를 타고 넘어 일정 길이만큼 인출된 한 쌍의 탭(1333)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1340)는 탭(1333)을 Y축 방향으로 잡아당김으로써 배터리(1340)와 하우징(1320)의 접착 면적을 점차 축소시켜 하우징(1320)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과정 중에 탭(1333)은 강성 보강 및 배터리의 보호를 목적으로 형성된 일정 높이의 제4지지 리브(13224)에 의해 전단 방향(예: Y축 방향)으로 당겨지지 못하기 때문에 배터리의 모서리 부분(도 13b의 점선 부분)에서 마찰력이 발생하고 이러한 마찰력에 의해 기능성 접착 부재(1330)는 파단되어 제기능을 수행하지 못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1320)은 기능성 접착 부재(1330)가 제4지지 리브(13224)를 회피하여 도시된 Y축 방향으로 당겨지기 전에 배터리(1340)와 제4지지 리브(13224) 사이의 공간(13212)에서 연결부(1332)로 투입되는 용제(예: 알코올)를 수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제는 배터리(1340)의 모서리(도 13b의 도시된 점선 부분)에서 탭(1333)이 당겨질 때, 배터리(1340)와 연결부(1332) 사이에서 발생될 수 있는 마찰력을 감쇄시킴으로써 기능성 접착 부재(1330)의 파단 없이 배터리(1340)의 용이한 분리를 유도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면 및 상기 제1면과 대향되는 제2면을 갖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상기 제2면 방향으로 적어도 일부가 수용된 디스플레이 및 상기 하우징에 상기 제1면 방향으로 적어도 일부가 수용된 배터리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1면에 리세스가 형성된 배터리 안착부를 포함하고, 및 상기 배터리는 접착 부재에 의해 상기 배터리 안착부에 부착된 전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리세스는, 상기 배터리 안착부의 대체적으로(substantially) 둘러싸는 적어도 하나의 확산 경로 및 제1단부(first ending portion)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확산 경로와 연결되며, 제2단부(second ending portion)가 상기 배터리 안착부의 테두리까지 연장된 적어도 하나의 용제 투입 경로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확산 경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용제 투입 경로를 통해 투입된 용제를 확산시켜 상기 배터리 안착부의 해당 영역으로부터 상기 접착 부재를 분리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리세스는 상기 배터리 안착부의 안착면 보다 낮게 일정 깊이 및 폭을 가지며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리세스의 단면은 상측에서 하측으로 점점 폭이 좁아지는 역삼각형 형상의 그루브(groove)로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리세스의 단면은 저면이 곡형 또는 평면 형상의 그루브로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리세스는 적어도 두 개의 경로가 폭방향으로 연이어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배터리 안착부에는, 상기 리세스에 의해 대체적으로 둘러싸인 적어도 하나의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리세스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구의 테두리 사이에는 상기 접착 부재의 접착력 저하를 위해 사용되는 용제의 흘러 넘침을 방지하기 위한 넘침 방지 부재가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넘침 방지 부재는 상기 용제에 반응하지 않는 재질의 테이프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테이프 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상기 제1면에 부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넘침 방지 부재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리세스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구의의 상기 테두리 사이에 음각 라인 또는 양각 형상의 리브를 형성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넘침 방지 부재는 상기 리세스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구의 상기 테두리 사이에 배치되는 발수성 코팅층 또는 친수성 코팅층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하우징은 상기 배터리 장착부의 테두리를 따라 일정 높이로 신장되는 지지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리브는, 제1방향으로 연장되고 제1길이를 갖는 제1지지 리브와, 상기 제1방향과 수직한 제2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길이보다 더 긴 제2길이를 갖는 제2지지 리브와, 상기 제1지지 리브와 대체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고 상기 제1길이를 갖는 제3지지 리브 및 상기 제2지지 리브와 평행하게 연장되고 상기 제2길이를 갖는 제4지지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지지 리브, 상기 제2지지 리브, 상기 제2지지 리브 또는 상기 제4지지 리브에는 상기 접착 부재의 접착력을 저하시키기 위하여 투입되는 용제를 상기 리세스로 안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용제 투입홈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용제 투입홈은 상기 리세스와 연결되며, 하측에서 상측으로 향할수록 투입 공간이 넓어지는 깔대기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용제 투입홈은 상기 리세스와 연결되며, 상기 지지 리브의 내측벽에 형성되는 투입 경로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용제 투입홈은 상기 리세스와 연결되며 상기 지지 리브의 내측벽에 상기 지지 리브보다 낮은 일정 높이로 형성된 단차부까지 연장 형성되는 투입 경로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피착 부재와, 접착 부재에 의해 상기 제1피착 부재에 부착된 제2피착 부재 및 상기 제1피착 부재의 일면 중 상기 제2피착 부재와 중첩되는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 상기 접착 부재의 접착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용제의 흐름을 유도하기 위한 리세스가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피착 부재는 배터리를 포함하고, 상기 제2피착 부재는 상기 배터리가 안착되는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의 범위는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520: 하우징 521: 배터리 안착부
522: 지지 리브 523: 리세스(recess)
5231: 확산 경로 5232, 5233: 투입 경로

Claims (20)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제1면 및 상기 제1면과 대향되는 제2면을 갖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상기 제2면 방향으로 적어도 일부가 수용된 디스플레이; 및
    상기 하우징에 상기 제1면 방향으로 적어도 일부가 수용된 배터리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1면에 리세스가 형성된 배터리 안착부를 포함하고, 및
    상기 배터리는 접착 부재에 의해 상기 배터리 안착부에 부착되며,
    상기 하우징은 상기 배터리 안착부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된 지지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리브는 적어도 하나의 용제 투입홈을 포함하며,
    상기 리세스는 상기 접착 부재의 접착력을 저하시키기 위하여 투입된 용제가 상기 리세스로 안내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용제 투입홈에 연결된 전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는,
    상기 배터리 안착부의 대체적으로(substantially) 둘러싸는 적어도 하나의 확산 경로; 및
    제1단부(first ending portion)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확산 경로와 연결되며, 제2단부(second ending portion)가 상기 배터리 안착부의 테두리까지 연장된 적어도 하나의 용제 투입 경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확산 경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용제 투입 경로를 통해 투입된 용제를 확산시켜 상기 배터리 안착부의 해당 영역으로부터 상기 접착 부재를 분리하는데 사용되기 위한 전자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는 상기 배터리 안착부의 안착면 보다 낮게 일정 깊이 및 폭을 가지며 형성되는 전자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의 단면은 상측에서 하측으로 점점 폭이 좁아지는 역삼각형 형상의 그루브(groove)로 형성되는 전자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의 단면은 저면이 곡형 또는 평면 형상의 그루브로 형성되는 전자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는 적어도 두 개의 경로가 상기 전자 장치의 폭방향으로 연이어 형성되는 전자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안착부에는, 상기 리세스에 의해 대체적으로 둘러싸인 적어도 하나의 개구가 형성된 전자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구의 테두리 사이에는 상기 접착 부재의 접착력 저하를 위해 사용되는 용제의 흘러 넘침을 방지하기 위한 넘침 방지 부재가 형성된 전자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넘침 방지 부재는 상기 용제에 반응하지 않는 재질의 테이프 부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 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상기 제1면에 부착된 전자 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넘침 방지 부재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리세스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구의의 상기 테두리 사이에 음각 라인 또는 양각 형상의 리브를 형성하는 전자 장치.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넘침 방지 부재는 상기 리세스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구의 상기 테두리 사이에 배치되는 발수성 코팅층 또는 친수성 코팅층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배터리 안착부의 테두리를 따라 일정 높이로 신장된 상기 지지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리브는,
    제1방향으로 연장되고 제1길이를 갖는 제1지지 리브;
    상기 제1방향과 수직한 제2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길이보다 더 긴 제2길이를 갖는 제2지지 리브;
    상기 제1지지 리브와 대체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고 상기 제1길이를 갖는 제3지지 리브; 및
    상기 제2지지 리브와 평행하게 연장되고 상기 제2길이를 갖는 제4지지 리브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 리브, 상기 제2지지 리브, 상기 제2지지 리브 또는 상기 제4지지 리브에는 상기 접착 부재의 접착력을 저하시키기 위하여 투입되는 용제를 상기 리세스로 안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용제 투입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용제 투입홈은 상기 리세스와 연결되며, 하측에서 상측으로 향할수록 투입 공간이 넓어지는 깔대기 형상으로 형성되는 전자 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용제 투입홈은 상기 리세스와 연결되며, 상기 지지 리브의 내측벽에 형성되는 투입 경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용제 투입홈은 상기 리세스와 연결되며 상기 지지 리브의 내측벽에 상기 지지 리브보다 낮은 일정 높이로 형성된 단차부까지 연장 형성되는 투입 경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19. 전자 장치에 있어서,
    제1피착 부재;
    접착 부재에 의해 상기 제1피착 부재에 부착된 제2피착 부재; 및
    상기 제1피착 부재의 일면 중 상기 제2피착 부재와 중첩되는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 상기 접착 부재의 접착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용제의 흐름을 유도하기 위한 리세스를 포함하고,
    상기 영역은 지지 리브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지지 리브는 적어도 하나의 용제 투입홈을 포함하며,
    상기 리세스는 상기 접착 부재의 접착력을 저하시키기 위하여 투입된 용제가 상기 리세스로 안내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용제 투입홈에 연결된 전자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피착 부재는 배터리를 포함하고, 상기 제2피착 부재는 상기 배터리가 안착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0170030525A 2017-03-10 2017-03-10 부품 분리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2884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0525A KR102288460B1 (ko) 2017-03-10 2017-03-10 부품 분리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5/914,648 US10709051B2 (en) 2017-03-10 2018-03-07 Electronic device including component separation structure
CN201810196379.6A CN108574069B (zh) 2017-03-10 2018-03-09 包括组件分离结构的电子设备
EP18160852.2A EP3373363B1 (en) 2017-03-10 2018-03-09 Electronic device including component separation structure
ES18160852T ES2753761T3 (es) 2017-03-10 2018-03-09 Dispositivo electrónico que incluye una estructura de separación de component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0525A KR102288460B1 (ko) 2017-03-10 2017-03-10 부품 분리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3498A KR20180103498A (ko) 2018-09-19
KR102288460B1 true KR102288460B1 (ko) 2021-08-10

Family

ID=616168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0525A KR102288460B1 (ko) 2017-03-10 2017-03-10 부품 분리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709051B2 (ko)
EP (1) EP3373363B1 (ko)
KR (1) KR102288460B1 (ko)
CN (1) CN108574069B (ko)
ES (1) ES2753761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50723B (zh) * 2018-04-12 2021-03-23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及其电池的拆卸方法
KR102613138B1 (ko) * 2019-02-18 2023-12-13 삼성전자주식회사 센서 키 조립체의 방수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20210389795A1 (en) * 2020-06-11 2021-12-16 Apple Inc. Electronic device
EP4184712A4 (en) 2020-09-15 2024-01-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HAVING AN ANTENNA STRUCTURE
CN115472994A (zh) * 2022-09-09 2022-12-13 东莞新能德科技有限公司 一种电子设备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0662B1 (ko) * 2006-10-02 2008-02-01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 커버 장치
US20140160712A1 (en) * 2012-12-07 2014-06-12 Hon Hai Precision Industry Co., Ltd. Electronic device having detachable battery
CN104576990A (zh) * 2014-12-03 2015-04-29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电池固定装置、电池可拆卸结构及终端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164A (en) * 1868-11-17 Improved extension-spoke
US20020100165A1 (en) * 2000-02-14 2002-08-01 Amkor Technology, Inc. Method of forming an integrated circuit device package using a temporary substrate
US7802359B2 (en) * 2007-12-27 2010-09-28 Freescale Semiconductor, Inc. Electronic assembly manufacturing method
US7871720B2 (en) * 2008-04-30 2011-01-18 Apple Inc. Battery assembly for use in an electronic device
JP2011042739A (ja) 2009-08-21 2011-03-03 Panasonic Corp 外装用筐体に貼付された貼り付け物の剥離方法および外装用筐体
CN102105026A (zh) * 2009-12-22 2011-06-22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电子设备
EP2369655B1 (en) * 2010-03-15 2013-10-30 BlackBerry Limited Power pack removal device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8918990B2 (en) * 2011-06-01 2014-12-30 Lockheed Martin Corporation Method of forming a solderless printed wiring board
KR101376623B1 (ko) * 2012-02-17 2014-03-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US20150228944A1 (en) * 2012-05-10 2015-08-13 Htc Corporation Fixing tube and electronic apparatus
US9310847B2 (en) 2012-11-02 2016-04-12 Apple Inc. Component removal systems for portable computers
US9023511B1 (en) * 2012-12-18 2015-05-05 Amazon Technolog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removably attaching a battery to a user device
US9680187B2 (en) * 2013-05-28 2017-06-13 Apple Inc. Battery removal apparatus
US9333706B2 (en) * 2013-09-04 2016-05-10 Apple Inc. Pull tab design for stretch release adhesive
US9680975B2 (en) * 2013-09-17 2017-06-13 Apple Inc. Electronic device with reworkable midplate attachment structures
KR101537994B1 (ko) 2013-11-04 2015-07-22 설희석 스마트폰 분해 방법
US9448591B2 (en) * 2014-02-21 2016-09-20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ompliant battery supports for device testing
JP6691748B2 (ja) 2014-09-24 2020-05-13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シート
KR101770952B1 (ko) 2016-08-08 2017-08-29 주식회사 이엔에프테크놀로지 박리액 및 박리방법
US10084165B2 (en) * 2016-12-06 2018-09-25 Casio Computer Co., Ltd. Detachable structure of battery to be attached to case, and electronic devi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0662B1 (ko) * 2006-10-02 2008-02-01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 커버 장치
US20140160712A1 (en) * 2012-12-07 2014-06-12 Hon Hai Precision Industry Co., Ltd. Electronic device having detachable battery
CN104576990A (zh) * 2014-12-03 2015-04-29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电池固定装置、电池可拆卸结构及终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709051B2 (en) 2020-07-07
ES2753761T3 (es) 2020-04-14
EP3373363A1 (en) 2018-09-12
CN108574069A (zh) 2018-09-25
KR20180103498A (ko) 2018-09-19
CN108574069B (zh) 2022-05-31
US20180263151A1 (en) 2018-09-13
EP3373363B1 (en) 2019-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88460B1 (ko) 부품 분리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495207B1 (ko) 굽은 영역을 갖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1098959B2 (en) Electronic device having heat collection/diffusion structure
KR102308940B1 (ko) 방수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1665845B2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waterproof structure
EP4020949B1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waterproof structure
KR102381276B1 (ko) 박형 하우징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514770B1 (ko) 방수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EP2993872B1 (en) Curved display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2591568B1 (ko)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444053B1 (ko) 차폐 구조를 구비하는 전자 장치
EP2993874B1 (en) Curved display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2342269B1 (ko) 관통 홀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0109946B2 (en) Sealed circuit board connectors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same
US20170142823A1 (en) Shield can structure
KR20170099626A (ko) 사이드 키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20230305594A1 (en) Strap structure connected to housing, and wearable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same
US20190326567A1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battery
CN107250926B (zh) 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