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6623B1 - 이동 단말기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76623B1 KR101376623B1 KR1020120016511A KR20120016511A KR101376623B1 KR 101376623 B1 KR101376623 B1 KR 101376623B1 KR 1020120016511 A KR1020120016511 A KR 1020120016511A KR 20120016511 A KR20120016511 A KR 20120016511A KR 101376623 B1 KR101376623 B1 KR 10137662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rame
- battery
- disposed
- sheet
- hollow por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5—Details related to the integration of battery packs and other power supplies such as fuel cells or integrated AC adapter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49—Details of the mechanical connection between the housing parts or relating to the method of assembly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2—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battery compar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말기 본체의 일면에 배치되는 윈도우와, 적어도 하나의 부품이 장착되도록 공간을 형성하고 제1중공부를 구비하는 제1프레임과, 상기 윈도우의 배면에 결합되어 상기 제1중공부에 수용되며 상기 윈도우를 통해 시각 정보를 출력하도록 이루어지는 디스플레이와, 상기 단말기 본체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형성되는 배터리, 및 상기 제1중공부를 덮도록 상기 제1프레임에 결합되고 상기 디스플레이가 배치되는 제1영역과 상기 배터리가 배치되는 제2영역을 분할하도록 배치되는 분할 시트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슬림화 구조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이동 단말기는 휴대가 가능하면서 음성 및 영상 통화 기능, 정보를 입·출력하는 기능,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기능 등을 하나 이상 갖춘 휴대용 전자기기이다.
이동 단말기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 수신 등의 복잡한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이동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이동 단말기의 하드웨어적인 부분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에서 다양한 시도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쉽고 편리하게 기능을 검색하거나 선택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환경이 제공되고 있다.
상기 시도들에 더하여, 상기 하드웨어적인 부분에서 개선을 도모하는 방안이 고려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적 개선 방안에는 보다 슬림화된 이동 단말기를 제공하기 위한 구조적인 변화 및 개량이 포함되며, 기구 구조 영역에서 슬림화를 이룰 수 있는 새로운 구조에 대해 고려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13692호(2008.03.14.)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13692호(2008.03.14.)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기구 구조 영역의 두께 감소를 통해 보다 슬림화된 이동 단말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이동 단말기는 단말기 본체의 일면에 배치되는 윈도우와, 적어도 하나의 부품이 장착되도록 공간을 형성하고 제1중공부를 구비하는 제1프레임과, 상기 윈도우의 배면에 결합되어 상기 제1중공부에 수용되며 상기 윈도우를 통해 시각 정보를 출력하도록 이루어지는 디스플레이와, 상기 단말기 본체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형성되는 배터리, 및 상기 제1중공부를 덮도록 상기 제1프레임에 결합되고 상기 디스플레이가 배치되는 제1영역과 상기 배터리가 배치되는 제2영역을 분할하도록 배치되는 분할 시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분할 시트의 일면으로부터 제1갭을 두고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배터리는 상기 분할 시트의 타면으로부터 제2갭을 두고 이격되게 배치된다.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배터리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중공부에 수용되도록 배치된다.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이동 단말기는 복수 개로 구비되며 상기 분할 시트의 가장자리 영역을 따라 기설정된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형성되는 체결홀, 및 상기 분할 시트를 상기 제1프레임에 고정하도록 상기 체결홀을 관통하여 상기 제1프레임에 결합되는 체결부재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분할 시트는 상기 제1프레임을 덮도록 상기 가장자리 영역에 중첩되게 배치되는 중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첩부는 상기 분할 시트의 단부가 접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이동 단말기는 복수 개로 구비되고 상기 분할 시트의 가장자리 영역을 따라 기설정된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형성되는 관통홀, 및 상기 제1프레임으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어 상기 분할 시트를 상기 제1프레임의 기설정된 위치에 고정하도록 이루어지는 보스를 더 포함한다. 상기 보스는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어 융착됨으로써 상기 관통홀을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분할 시트의 코너에 각각 형성되는 체결홀, 및 상기 분할 시트를 상기 제1프레임에 고정하도록 상기 체결홀을 관통하여 상기 제1프레임에 결합되는 체결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1프레임은 상기 단말기 본체의 측면 외관을 이룬다. 상기 제1프레임은 일면에서 리세스되게 형성되고 상기 윈도우가 장착되도록 공간을 이루는 제1장착부, 및 상기 제1장착부의 배면에 형성되며 상기 분할 시트가 장착되도록 공간을 이루는 제2장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할 시트는 상기 제1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제2장착부를 덮도록 배치되는 체결부, 및 상기 체결부에 의해 둘러싸이며 상기 제1영역을 향하도록 돌출되게 형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1 및 제2장착부를 이루는 가상의 평면들 사이에 수용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배터리는 상기 돌출부의 배면에 형성되는 상대적으로 리세스된 부분에 수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배터리는 상기 체결부가 이루는 가상의 평면보다 돌출되게 배치될 수도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배터리를 수용하도록 공간을 형성하는 제2중공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프레임과 결합되는 제2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2중공부에서 돌출되어 상기 제1중공부에 수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중공부에는 상기 배터리가 상기 분할 시트와 이격 배치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제2프레임의 내측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배터리를 지지하는 걸림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는 화학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시키도록 형성되는 배터리 본체, 및 상기 배터리 본체를 감싸도록 배치되고 상기 걸림돌기에 걸림되는 걸림홈을 구비하는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2프레임에는 상기 배터리의 상단부를 덮도록 배치되어 상기 배터리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디스플레이는 윈도우의 배면에 결합되어 제1중공부에 수용되므로 디스플레이를 지지하는 별도의 지지부재가 불필요하며, 분할 시트를 기준으로 일면상(제1영역)에 디스플레이가 수용되고 타면상(제2영역)에 배터리가 배치되는바, 기존의 기구 구조 영역의 두께 감소를 통해 보다 슬림화된 이동 단말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배터리는 제2프레임의 걸림돌기에 의해 지지되므로 배터리를 지지하는 별도의 안착면이 불필요하며, 상기 구조를 통해 디스플레이와의 최소 갭을 유지함으로써 외부 충격시에도 디스플레이와의 상호 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바, 슬림화에 수반될 수 있는 신뢰성 이슈가 해결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이동 단말기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라인 Ⅳ-Ⅳ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 5a는 도 4의 A부분의 일 예로서, 분할 시트가 체결 부재를 통해 프론트 케이스에 결합된 것을 보인 개념도.
도 5b는 도 5a에 도시된 분할 시트를 보인 개념도.
도 6a는 도 4의 A부분의 다른 일 예로서, 분할 시트의 체결 부분에 중첩부가 형성된 것을 보인 개념도.
도 6b는 도 6a에 도시된 분할 시트를 보인 개념도.
도 7a는 도 4의 A부분의 또 다른 일 예로서, 분할 시트에 돌출부가 형성된 것을 보인 개념도.
도 7b는 도 7a에 도시된 분할 시트를 보인 개념도.
도 8a는 도 4의 A부분의 또 다른 일 예로서, 분할 시트에 돌출부가 형성되고, 체결 부분에 중첩부가 형성된 것을 보인 개념도.
도 8b는 도 8a에 도시된 분할 시트를 보인 개념도.
도 9a는 도 4의 A부분의 또 다른 일 예로서, 프론트 케이스의 보스가 관통홀에 삽입된 것을 보인 개념도.
도 9b는 도 9a에 도시된 분할 시트를 보인 개념도.
도 10a는 도 4의 A부분의 또 다른 일 예로서, 프론트 케이스의 보스가 관통홀에 삽입되고, 분할 시트가 체결 부재를 통해 프론트 케이스에 결합된 것을 보인 개념도.
도 10b는 도 10a에 도시된 분할 시트를 보인 개념도.
도 11a 및 11b는 도 4의 B 부분의 일 예로서, 리어 케이스 및 제2중공부에 수용되는 배터리를 보인 개념도.
도 12a 및 12b는 도 4의 B 부분의 다른 일 예로서, 리어 케이스 및 제2중공부에 수용되는 배터리를 보인 개념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이동 단말기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라인 Ⅳ-Ⅳ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 5a는 도 4의 A부분의 일 예로서, 분할 시트가 체결 부재를 통해 프론트 케이스에 결합된 것을 보인 개념도.
도 5b는 도 5a에 도시된 분할 시트를 보인 개념도.
도 6a는 도 4의 A부분의 다른 일 예로서, 분할 시트의 체결 부분에 중첩부가 형성된 것을 보인 개념도.
도 6b는 도 6a에 도시된 분할 시트를 보인 개념도.
도 7a는 도 4의 A부분의 또 다른 일 예로서, 분할 시트에 돌출부가 형성된 것을 보인 개념도.
도 7b는 도 7a에 도시된 분할 시트를 보인 개념도.
도 8a는 도 4의 A부분의 또 다른 일 예로서, 분할 시트에 돌출부가 형성되고, 체결 부분에 중첩부가 형성된 것을 보인 개념도.
도 8b는 도 8a에 도시된 분할 시트를 보인 개념도.
도 9a는 도 4의 A부분의 또 다른 일 예로서, 프론트 케이스의 보스가 관통홀에 삽입된 것을 보인 개념도.
도 9b는 도 9a에 도시된 분할 시트를 보인 개념도.
도 10a는 도 4의 A부분의 또 다른 일 예로서, 프론트 케이스의 보스가 관통홀에 삽입되고, 분할 시트가 체결 부재를 통해 프론트 케이스에 결합된 것을 보인 개념도.
도 10b는 도 10a에 도시된 분할 시트를 보인 개념도.
도 11a 및 11b는 도 4의 B 부분의 일 예로서, 리어 케이스 및 제2중공부에 수용되는 배터리를 보인 개념도.
도 12a 및 12b는 도 4의 B 부분의 다른 일 예로서, 리어 케이스 및 제2중공부에 수용되는 배터리를 보인 개념도.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전자책(E-book), 내비게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100)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바 형태의 단말기 본체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2 이상의 바디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 타입, 폴더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구조에 적용이 가능하다.
단말기 본체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프레임 등으로 불릴 수 있다)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는 프론트 케이스(101) 및 상기 프론트 케이스(101)와 반대되는 면을 덮는 리어 케이스(102)로 구분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으며, 전원공급부(190)를 덮는 배터리 커버(103)가 리어 케이스(102)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 부품들이 내장된다.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 스틸(STS), 티타늄(Ti), 알루미늄(Al) 등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단말기 본체의 전면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제1음향출력부(152), 제1카메라부(121) 및 신호입력부(130) 등이 형성되며, 측면에는 음향입력부(122) 및 인터페이스부(170) 등이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모듈,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모듈, 이-페이퍼(e-paper) 등을 포함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방식에 의하여 입력할 수 있게 터치감지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 상의 어느 한 곳에 대하여 터치가 있으면 그 터치된 위치에 대응하는 내용이 입력된다. 터치방식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문자 또는 숫자이거나, 각종 모드에서의 지시 또는 지정 가능한 메뉴항목 등일 수 있다.
터치감지수단은 디스플레이부(151)가 보일 수 있도록 투광성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밝은 곳에서 터치스크린의 시인성(visibility)을 높이기 위한 구조가 포함될 수 있다. 도 1에 의하면, 디스플레이부(151)는 프론트 케이스(101)의 전면(front surface)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디스플레이부(151)의 양단부 중 일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제1음향출력부(152)와 제1카메라부(121)가 배치되고, 다른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신호입력부(131)와 음향입력부(122)가 배치된다. 신호입력부(132), 인터페이스(170) 등은 단말기 본체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음향출력부(152)는 통화음을 사용자의 귀에 전달시키는 리시버(receiver) 또는 각종 알람음이나 멀티미디어의 재생음을 출력하는 라우드 스피커(loud speaker)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제1카메라부(121)는 화상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신호입력부(130)는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복수의 조작유닛들(131, 132)을 포함할 수 있다. 조작유닛들(131, 132)은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제1 및/또는 제2조작유닛들(131, 132)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조작유닛(131)은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고, 제2조작유닛(132)은 제1음향출력부(152)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음향입력부(213)는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 받기 위해, 예를 들어 마이크로폰(microphone)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가 외부기기와 데이터 교환 등을 할 수 있게 하는 통로가 된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부(17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이어폰과 연결하기 위한 접속단자, 근거리 통신을 위한 포트{예를 들어 적외선 포트(IrDA Port), 블루투스 포트(Bluetooth Port), 무선 랜 포트(Wireless LAN Port)등}, 또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 단자들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70)는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또는 UIM(User Identity Module), 정보 저장을 위한 메모리 카드 등의 외장형 카드를 수용하는 소켓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100)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단말기 본체의 후면에는 제2카메라부(121')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제2카메라부(121')는 제1카메라부(121, 도 1 참조)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제1카메라부(121)와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지는 카메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카메라부(121)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화소를 가지며, 제2카메라부(121')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기에 고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및 제2카메라부(121, 121')는 단말기 본체에 회전 또는 팝업(pop-up)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제2카메라부(121')에 인접하게는 플래쉬(123)와 거울(124)이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플래쉬(123)는 제2카메라부(121')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거울(124)은 사용자가 제2카메라부(121')를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
단말기 본체의 후면에는 제2음향출력부(152')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제2음향출력부(152')는 제1음향출력부(152, 도 1 참조)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통화시 스피커폰 모드의 구현을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단말기 본체의 측면에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미도시)가 추가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방송수신모듈의 일부를 이루는 안테나는 단말기 본체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단말기 본체에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190)가 장착된다. 전원공급부(190)는 화학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배터리로 구현될 수 있으며, 배터리는 단말기 본체에 내장되거나, 단말기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에는 휴대 용이성을 위해 슬림화에 대한 요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두께는 부품 및 이를 지지, 수용하는 기구 구조에 의해 결정된다. 이하에서는 보다 슬림한 이동 단말기(100)를 구현할 수 있는 새로운 기구 구조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도 1의 이동 단말기(100)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라인 Ⅳ-Ⅳ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3 및 4를 참조하면, 단말기 본체의 내부에는 회로기판(180)이 배치된다. 회로기판(180)은 도시된 바와 같이 리어 케이스(102)에 장착되거나, 별도의 내부 구조물에 설치될 수 있다. 회로기판(180)은 이동 단말기(100)의 각종 기능을 동작시키기 위한 제어부의 일 예로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단말기 본체의 내부에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이동 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 모듈(11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리어 케이스(102)의 길이 방향 양측에 제2중공부(102c)를 사이에 두고 회로기판(180)과 안테나 모듈(110)이 각각 배치된 것을 보이고 있다.
이동 단말기(100)에는 적어도 하나의 부품이 장착되도록 공간을 형성하고, 제1중공부(101c)를 구비하는 제1프레임이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프레임이 단말기 본체의 외관을 이루는 프론트 케이스(101)로 형성된 것을 보이고 있다. 본 도면과 달리, 제1프레임은 프론트 케이스(101)와는 다른 별도의 내부 구조물로 형성될 수도 있다.
프론트 케이스(101)에는 제1 및 제2장착부(101a, 101b)가 형성될 수 있다. 제1장착부(101a)는 프론트 케이스(101)의 일면에서 리세스되게 형성되고, 윈도우(151a)가 장착되도록 공간을 이룬다. 제2장착부(101b)는 제1장착부(101a)의 배면에 형성되며, 분할 시트(104)가 장착되도록 공간을 이룬다. 제2장착부(101b)는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론트 케이스(101)의 타면을 이루거나, 프론트 케이스(101)의 타면에서 리세스되게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1중공부(101c)는 프론트 케이스(101)의 내부 공간, 즉, 프론트 케이스(101)의 일면과 타면 사이의 공간을 의미한다. 따라서, 제1중공부(101c)는 제1 및 제2장착부(101a, 101b)를 이루는 가상의 평면들 사이의 공간보다 큰 공간의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제1 및 제2장착부(101a, 101b)에는 제1카메라부(121)에 대응되는 홀(121a)과 제1음향출력부(152)에 대응되는 음향홀(152a)이 형성된다. 음향홀(152a)은 프론트 케이스(101)의 측벽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단말기 본체의 일면에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51)가 배치된다. 디스플레이부(151)는 단말기 본체의 전면 대부분을 차지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윈도우(151a) 및 디스플레이(151b)를 포함한다.
윈도우(151a)는 제1장착부(101a)에 장착된다. 윈도우(151a)는 빛이 투과할 수 있는 소재, 예를 들어, 광투과성 합성수지, 강화 유리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윈도우(151a)는 빛이 투과할 수 없는 부분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윈도우(151a)에서 빛이 투과되는 부분은 디스플레이(151b)에 대응되는 면적을 가질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는 디스플레이(151b)에서 출력되는 시각 정보를 외부에서 인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프론트 케이스(101)의 측벽과 마주보게 배치되어 조립틈을 형성하는 윈도우(151a)의 측면에는 홈(152b)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조에 의하면, 제1음향출력부(152)로부터 발생되는 사운드는 프론트 케이스(101)와 윈도우(151b) 간의 조립틈을 따라 방출되므로, 외관상 음향 출력을 위하여 독립적으로 형성되는 홀이 보이지 않아 이동 단말기(100)의 외관이 보다 심플해질 수 있다.
디스플레이(151b)는 윈도우(151a)의 배면에 결합되어 모듈화되며, 제1중공부(101c)에 수용된다. 디스플레이(151b)는 회로기판(18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시각 정보를 출력하도록 이루어진다. 디스플레이(151b)는 윈도우(151a)의 빛이 투과되는 부분에 대응되는 면적을 가질 수 있다.
윈도우(151a)와 디스플레이(151b) 사이에는 터치 입력을 감지하도록 이루어지는 터치센서(151c)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터치센서(151c)는 특정 부분에 발생하는 전하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 신호로 변환하도록 이루어진다. 터치센서(151c)는 디스플레이(151b)에서 형성되는 화상이 투과할 수 있도록 투광성으로 이루어진다. 터치센서(151c)에서 윈도우(151a)의 빛이 투과되는 부분에 대응되는 영역은 입력 영역을 형성한다.
윈도우(151a)와 터치센서(151c) 및 터치센서(151c)와 디스플레이(151b) 사이에는 이들 간을 결합하는 접착층(151d, 151e)이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접착층(151d, 151e)으로 OCA(Optical Clear Adhesive), SVR(Super View Resin)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에는 앞서 설명한 제1프레임에 결합되고, 배터리(190)를 수용하도록 공간을 형성하는 제2프레임이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프레임이 단말기 본체의 외관을 이루는 리어 케이스(102)로 형성된 것을 보이고 있다. 본 도면과 달리, 제2프레임은 리어 케이스(102)와는 다른 별도의 내부 구조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리어 케이스(102)는 프론트 케이스(101)에 결합되어 제2장착부(101b)를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리어 케이스(102)는 적어도 일부가 제1중공부(101c)에 수용되도록 제2장착부(101b)를 향해 돌출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배터리(190)는 리어 케이스(102)에 수용되어 단말기 본체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이루어진다. 배터리(190)는 적어도 일부가 프론트 케이스(101)의 제1중공부(101c)에 수용되게 배치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01)에는 분할 시트(104)가 제1중공부(101c)를 덮도록 배치된다. 분할 시트(104)는 디스플레이(151b)가 배치되는 제1영역과 배터리(190)가 배치되는 제2영역을 분할하도록 이루어진다. 제1 및 제2영역은 각각 분할 시트(104)의 상면 및 하면 상의 영역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때, 분할 시트(104)는 공간을 분할하고 순간적으로 외부로부터 충격을 받았을 때 디스플레이(151b)와 배터리(190) 간의 직접적인 물리적 접촉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지만, 항상 디스플레이(151b) 및/또는 배터리(19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은 아니다. 분할 시트(104)는 얇은 두께(예를 들어, 0.1mm내지 0.2mm)를 갖는 시트로서, 높은 강성과 낮은 표면 조도를 갖는 금속 시트(예를 들어, 스테인리스강)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조에 의하면, 디스플레이(151b)는 분할 시트(104)의 일면으로부터 제1갭(g1)을 두고 이격되게 배치되고, 배터리(190)는 분할 시트(104)의 타면으로부터 제2갭(g2)을 두고 이격되게 배치된다. 제1 및 제2갭(g1, g2)은 외부 충격으로 인해 디스플레이(151b)와 배터리(190)가 두께 방향으로 변형되어도 서로 간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이들 사이를 이격시킨다.
이하에서는, 분할 시트(104)가 제1중공부(101c)를 덮도록 프론트 케이스(101)에 결합되는 구조에 대하여 다양한 실시예를 바탕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에서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도 5a는 도 4의 A부분의 일 예로서, 분할 시트(104)가 체결부재(105)를 통해 프론트 케이스(101)에 결합된 것을 보인 개념도이고, 도 5b는 도 5a에 도시된 분할 시트(104)를 보인 개념도이다.
도 5a 및 5b를 참조하면, 제2장착부(101b)는 프론트 케이스(101)의 타면에서 리세스되게 형성된다. 제2장착부(101b)는 프론트 케이스(101)의 둘레를 따라 감기는 루프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분할 시트(104)는 제2장착부(101b)에 장착되어 제1중공부(101c)를 덮도록 배치된다.
분할 시트(104)에는 체결부재(105)가 관통하는 체결홀(104a)이 형성된다. 체결홀(104a)은 복수 개로 구비되어 분할 시트(104)의 가장자리 영역을 따라 기설정된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배치된다. 상기 가장자리 영역은 제2장착부(101b)를 덮도록 배치되는 부분으로서, 제2장착부(101b)에 대응되는 루프 형태로 이루어진다.
체결부재(105)는 체결홀(104a)을 관통하여 프론트 케이스(101)에 결합됨으로써, 분할 시트(104)를 프론트 케이스(101)에 고정한다. 체결부재(105)는, 예를 들어, 프론트 케이스(101)에 나사 결합되는 스크루가 될 수 있다. 상기 구조에 의하면, 분할 시트(104)가 프론트 케이스(101)에 견고하게 고정되므로, 분할 시트(104)의 강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6a는 도 4의 A부분의 다른 일 예로서, 분할 시트(204)의 체결 부분에 중첩부(204c)가 형성된 것을 보인 개념도이며, 도 6b는 도 6a에 도시된 분할 시트(204)를 보인 개념도이다.
도 6a 및 6b를 참조하면, 분할 시트(204)는 제2장착부(201b)를 덮도록 가장자리 영역에 중첩되게 배치되는 중첩부(204c)를 포함한다. 중첩부(204c)는 도시된 바와 같이 분할 시트(204)의 단부가 접혀(hemming) 형성되거나 가장자리 영역에 별도의 시트가 추가로 부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중첩부(204c)에는 체결홀(204a)이 형성되고, 체결부재(205)는 체결홀(204a)을 관통하여 프론트 케이스(201)에 결합된다. 상기 구조에 의하면, 중첩부(204c)를 통해 분할 시트(204)의 체결을 위한 일정 두께가 확보되어 보다 견고한 체결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결과 분할 시트(204)의 강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7a는 도 4의 A부분의 또 다른 일 예로서, 분할 시트(304)에 돌출부(304e)가 형성된 것을 보인 개념도이고, 도 7b는 도 7a에 도시된 분할 시트(304)를 보인 개념도이다.
도 7a 및 7b를 참조하면, 분할 시트(304)는 체결부(304d) 및 돌출부(304e)를 포함한다. 체결부(304d)는 제2장착부(301b)를 덮도록 프론트 케이스(301)에 결합된다. 돌출부(304e)는 체결부(304d)에 의해 둘러싸이며, 디스플레이(351b)가 배치되는 제1영역을 향하도록 돌출되게 형성된다.
돌출부(304e)는 포밍(forming)에 의해 형성됨으로써 분할 시트(304)의 강성이 확보될 수 있다. 돌출부(304e)는 제1장착부(301a)와 제2장착부(301b)를 이루는 가상의 평면들 사이에 수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배터리(390)는 돌출부(304e)의 배면에 형성되는 상대적으로 리세스된 부분(304e')에 수용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나아가 배터리(390)는 체결부(304d)가 이루는 가상의 평면보다 돌출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구조에 의하면, 배터리(390)의 수용 공간이 보다 확보될 수 있다.
도 8a는 도 4의 A부분의 또 다른 일 예로서, 분할 시트(404)에 돌출부(404e)가 형성되고 체결 부분에 중첩부(404c)가 형성된 것을 보인 개념도이며, 도 8b는 도 8a에 도시된 분할 시트(404)를 보인 개념도이다.
도 8a 및8b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제안하는 구조는 도 6a, 6b에 제시된 중첩부(204c) 및 도 7a, 7b에 개시된 돌출부(304e)의 조합으로 이해될 수 있다. 즉, 이는 체결력 강화와 강성 향상을 위한 분할 시트(404)의 중첩 구조 및 배터리(490)의 수용 공간 확보를 위한 돌출 구조가 모두 적용된 구조이다.
도 9a는 도 4의 A부분의 또 다른 일 예로서, 프론트 케이스(501)의 보스(501d)가 관통홀(504b)에 삽입된 것을 보인 개념도이고, 도 9b는 도 9a에 도시된 분할 시트(504)를 보인 개념도이다.
도 9a 및 9b를 참조하면, 프론트 케이스(501)에는 보스(501d)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보스(501d)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장착부(501b)에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제2장착부(501b)의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분할 시트(504)에는 보스(501d)가 삽입되는 관통홀(504b)이 형성된다. 관통홀(504b)은 복수 개로 구비되어 분할 시트(504)의 가장자리 영역을 따라 기설정된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배치된다. 상기 가장자리 영역은 제2장착부(501b)를 덮도록 배치되는 부분으로서, 제2장착부(501b)에 대응되는 루프 형태로 이루어진다.
보스(501d)는 관통홀(504b)에 삽입되어 분할 시트(504)를 프론트 케이스(501)의 기설정된 위치에 고정하도록 이루어진다. 관통홀(504b)에 삽입된 보스(501d)의 단부는 고온 및/또는 고압에 의해 용융 후 응고되어 관통홀(504b)을 덮는 융착부(501d')를 형성함으로써, 분할 시트(504)를 프론트 케이스(501)에 결합하는 체결부재(505)로서 기능할 수도 있다.
도 10a는 도 4의 A부분의 또 다른 일 예로서, 프론트 케이스(601)의 보스(601d)가 관통홀(604b)에 삽입되고 분할 시트(604)가 체결부재(605)를 통해 프론트 케이스(601)에 결합된 것을 보인 개념도이며, 도 10b는 도 10a에 도시된 분할 시트(604)를 보인 개념도이다.
도 10a 및 10b를 참조하면, 관통홀(604b)은 분할 시트(604)의 측면에서 내부로 리세스된 형상으로 이루어져 분할 시트(604)의 테두리의 일부를 형성한다. 또한, 분할 시트(604)의 코너에는 체결홀(604a)이 각각 형성되고, 체결부재(605)는 체결홀(604a)을 관통하여 프론트 케이스(601)에 결합됨으로써 분할 시트(604)를 프론트 케이스(601)에 고정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구조에 의하면, 관통홀(604b)에 삽입되는 보스(601d)에 의해 분할 시트(604)는 제2장착부(601b)의 기설정된 위치에 고정되고, 체결홀(604a)에 삽입되는 체결부재(605)에 의해 분할 시트(604)는 프론트 케이스(601)에 견고하게 결합되게 된다.
이하에서는, 배터리(190)가 리어 케이스(102)에 안착되는 구조에 대하여 다양한 실시예를 바탕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에서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도 11a 및 11b는 도 4의 B 부분의 일 예로서, 리어 케이스(102) 및 이에 수용되는 배터리(190)를 보인 개념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리어 케이스(102)에는 배터리(190)가 수용되는 제2중공부(102c)가 형성된다. 제2중공부(102c)를 형성하는 리어 케이스(102)의 내측면에는 걸림돌기(102a)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걸림돌기(102a)는 배터리(190)를 지지함으로써 배터리(190)가 분할 시트(104)와 이격되게 배치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본 도면에서는 리어 케이스(102)의 각 내측면 하단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림돌기(102a)가 형성된 것을 보이고 있다.
제2중공부(102c)에 수용된 배터리(190)의 일부는 제2중공부(102c)에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앞서 도 7a 및 7b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돌출부(104e)의 배면에 형성되는 상대적으로 리세스된 부분(104e')에 배터리(190)가 수용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배터리(190)의 수용 공간이 확보된 구조에 적용될 수 있다.
배터리(190)는 배터리 본체(191) 및 이를 감싸는 프레임(192)을 포함한다. 배터리 본체(191)는 화학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시키도록 형성되고, 회로기판(18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단말기 본체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이루어진다. 프레임(192)은 배터리 본체(191)를 수용하고, 걸림돌기(102a)에 걸림되는 걸림홈(192a)을 구비한다. 본 도면에서는 프레임(192)의 바닥면에 걸림돌기(102a)에 대응되는 걸림홈(192a)이 형성된 것을 보이고 있다.
리어 케이스(102)에는 프레임(192)의 상단부를 덮도록 배치되어 배터리(190)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돌기(102b)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이탈방지돌기(102b)는 리어 케이스(102)의 일측면 상단부에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192)에는 이탈방지돌기(102b)에 대응되는 이탈방지홈(192b)이 형성된다.
도 12a 및 12b는 도 4의 B 부분의 일 예로서, 리어 케이스(702) 및 이에 수용되는 배터리(790)를 보인 개념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걸림돌기(702a)는 제2중공부(702c)를 형성하는 리어 케이스(702)의 양내측면에서 돌출되어 일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일방향은 단말기 본체의 길이방향 또는 폭방향이 될 수 있다. 상기 구조에 의하면, 배터리(790)는 제2중공부(702c)에 슬라이드 이동에 의한 착탈이 가능하게 되며, 배터리(790)가 보다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이동 단말기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Claims (20)
- 단말기 본체의 일면에 배치되는 윈도우;
상기 단말기 본체의 측면 외관을 이루고, 제1중공부를 구비하는 제1프레임;
상기 윈도우의 배면 상에 배치되어 상기 제1중공부에 수용되며, 상기 윈도우를 통해 시각 정보를 출력하도록 이루어지는 디스플레이;
상기 단말기 본체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형성되는 배터리;
상기 제1프레임과 결합되고, 상기 배터리를 수용하도록 공간을 형성하는 제2중공부를 구비하는 제2프레임; 및
상기 제1중공부를 덮도록 상기 제1프레임에 결합되고, 상기 디스플레이가 배치되는 제1영역과 상기 배터리가 배치되는 제2영역을 분할하도록 배치되는 분할 시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1프레임은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분할 시트는 금속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분할 시트는, 각 사이드의 단부가 접혀 상기 제1프레임을 덮도록 가장자리 영역에 중첩되게 배치되고 전체로서 루프 형태를 이루는 중첩부를 구비하며,
상기 중첩부에는 복수의 체결홀이 형성되고, 복수의 체결부재는 상기 복수의 체결홀을 각각 관통하여 상기 제1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분할 시트를 상기 제1프레임에 결합시키며,
상기 분할 시트는, 상기 중첩부에 의해 둘러싸이며 상기 제1영역을 향하여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배터리의 적어도 일부가 상대적으로 리세스된 부분에 수용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돌출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배터리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2중공부에서 돌출되어 상기 제1중공부에 수용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디스플레이는 접착층에 의해 상기 윈도우에 결합되어 상기 분할 시트의 일면으로부터 제1갭을 두고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배터리는 상기 제2프레임의 내측면에서 돌출되는 걸림돌기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분할 시트의 타면으로부터 제2갭을 두고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기 제2프레임은 상기 제1프레임과 결합시 상기 복수의 체결부재를 덮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중공부에 수용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삭제
- 삭제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
복수 개로 구비되고, 상기 분할 시트의 가장자리 영역을 따라 기설정된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형성되는 관통홀; 및
상기 제1프레임으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어 상기 분할 시트를 상기 제1프레임의 기설정된 위치에 고정하도록 이루어지는 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보스는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어 융착됨으로써 상기 관통홀을 덮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삭제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프레임은,
일면에서 리세스되게 형성되고, 상기 윈도우가 장착되도록 공간을 이루는 제1장착부; 및
상기 제1장착부의 배면에 형성되며, 상기 분할 시트가 장착되도록 공간을 이루는 제2장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삭제
-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1 및 제2장착부를 이루는 가상의 평면들 사이에 수용되도록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는,
화학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시키도록 형성되는 배터리 본체; 및
상기 배터리 본체를 감싸도록 배치되고, 상기 걸림돌기에 걸림되는 걸림홈을 구비하는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프레임에는 상기 배터리의 상단부를 덮도록 배치되어 상기 배터리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16511A KR101376623B1 (ko) | 2012-02-17 | 2012-02-17 | 이동 단말기 |
EP13152608.9A EP2629496B1 (en) | 2012-02-17 | 2013-01-24 | Mobile terminal |
US13/758,682 US8880129B2 (en) | 2012-02-17 | 2013-02-04 | Mobile terminal |
CN201310052069.4A CN103259888B (zh) | 2012-02-17 | 2013-02-17 | 移动终端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16511A KR101376623B1 (ko) | 2012-02-17 | 2012-02-17 | 이동 단말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95084A KR20130095084A (ko) | 2013-08-27 |
KR101376623B1 true KR101376623B1 (ko) | 2014-03-20 |
Family
ID=477138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16511A KR101376623B1 (ko) | 2012-02-17 | 2012-02-17 | 이동 단말기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US (1) | US8880129B2 (ko) |
EP (1) | EP2629496B1 (ko) |
KR (1) | KR101376623B1 (ko) |
CN (1) | CN103259888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D721667S1 (en) | 2012-09-18 | 2015-01-27 | Htc Corporation | Portable electronic device |
US9137918B2 (en) | 2012-09-28 | 2015-09-15 | Htc Corporation |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
US9282668B2 (en) * | 2012-09-28 | 2016-03-08 | Htc Corporation |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
CN103823539A (zh) * | 2012-11-19 | 2014-05-28 |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 断电方法及使用该断电方法的电子装置 |
KR102044471B1 (ko) * | 2013-01-14 | 2019-11-12 | 삼성전자주식회사 | 변형 방지를 위한 프레임 조립 구조 및 이것을 갖는 전자 장치 |
KR102108118B1 (ko) * | 2013-05-13 | 2020-05-11 | 삼성전자주식회사 | 커버장치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
USD758986S1 (en) * | 2013-05-16 | 2016-06-14 | Shenzhen Sugar Mobile Communication Co., Ltd. | Mobile telephone |
CN103747641A (zh) * | 2014-01-26 | 2014-04-23 |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 移动终端 |
US9733675B2 (en) * | 2014-02-17 | 2017-08-15 | Htc Corporation | Elastic body and electronic device |
USD754092S1 (en) * | 2014-07-11 | 2016-04-19 | Harman International Industries, Incorporated | Portable loudspeaker |
CN105592648A (zh) * | 2014-10-22 | 2016-05-18 | 富泰华精密电子(郑州)有限公司 | 耦接式框体及其制造方法 |
KR102256049B1 (ko) * | 2014-12-12 | 2021-05-25 | 삼성전자주식회사 | 전자 장치의 버튼 장치 |
CN105246276B (zh) * | 2015-09-28 | 2018-09-18 |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 一种电子设备外壳结构及电子设备 |
EP3255963B1 (en) | 2015-10-10 | 2019-05-29 | Huawei Technologies Co., Ltd. | Electronic apparatus |
US9762709B1 (en) * | 2016-03-10 | 2017-09-12 | Cisco Technology, Inc. | Unibody desk telephone |
CN105933477B (zh) * | 2016-06-15 | 2019-03-05 | 东莞市蓝光塑胶模具有限公司 | 一种手机电池盖板与支架精准定位粘贴工艺 |
KR102288460B1 (ko) * | 2017-03-10 | 2021-08-10 | 삼성전자주식회사 | 부품 분리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KR102562818B1 (ko) * | 2018-09-12 | 2023-08-02 | 삼성전자주식회사 | 밀폐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JP1643425S (ko) * | 2019-03-25 | 2019-10-15 | ||
CN210327650U (zh) * | 2019-05-23 | 2020-04-14 |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 屏组件、中框和终端设备 |
US11140789B2 (en) * | 2019-05-24 | 2021-10-05 |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 Integrated frame assembly for mobile devices |
CN111405098B (zh) * | 2020-03-27 | 2022-03-18 |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 电子设备 |
US11824220B2 (en) * | 2020-09-03 | 2023-11-21 | Apple Inc. | Electronic device having a vented battery barrier |
CN112736360A (zh) * | 2020-12-28 | 2021-04-30 | 无锡睿勤科技有限公司 | 一种电池结构及电子设备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13692B1 (ko) * | 2006-07-27 | 2008-03-1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휴대 단말기 |
Family Cites Families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30083019A1 (en) * | 2001-10-31 | 2003-05-01 | Wong John Patrick | Lightweight mobile station |
US20080094787A1 (en) * | 2004-03-15 | 2008-04-24 | Olympus Technologies Pte Ltd. | Portable Electronic Device |
KR100757448B1 (ko) * | 2006-07-14 | 2007-09-1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휴대 단말기 |
US7620175B2 (en) * | 2006-07-24 | 2009-11-17 | Motorola, Inc. | Handset device with audio porting |
JP4821592B2 (ja) * | 2006-12-08 | 2011-11-24 | 日本電気株式会社 | 枠体の補強構造及び該構造を備えた電子機器 |
JP4694517B2 (ja) * | 2007-02-26 | 2011-06-08 | 京セラ株式会社 | 携帯電子機器 |
CN101321195B (zh) * | 2007-06-08 | 2011-11-16 |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 便携式电子装置 |
US8270158B2 (en) * | 2007-08-30 | 2012-09-18 |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 Housing construction for mobile computing device |
US8537543B2 (en) * | 2008-04-11 | 2013-09-17 | Apple Inc. | Portable electronic device housing structures |
KR101025794B1 (ko) * | 2009-07-14 | 2011-04-04 | (주)블루버드 소프트 | 모바일 단말기 |
US8872997B2 (en) * | 2010-08-31 | 2014-10-28 | Apple Inc. | Display assembly |
-
2012
- 2012-02-17 KR KR1020120016511A patent/KR101376623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3
- 2013-01-24 EP EP13152608.9A patent/EP2629496B1/en active Active
- 2013-02-04 US US13/758,682 patent/US8880129B2/en active Active
- 2013-02-17 CN CN201310052069.4A patent/CN103259888B/zh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13692B1 (ko) * | 2006-07-27 | 2008-03-1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휴대 단말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130217444A1 (en) | 2013-08-22 |
CN103259888A (zh) | 2013-08-21 |
EP2629496A3 (en) | 2017-03-22 |
EP2629496B1 (en) | 2018-10-03 |
KR20130095084A (ko) | 2013-08-27 |
EP2629496A2 (en) | 2013-08-21 |
CN103259888B (zh) | 2015-11-25 |
US8880129B2 (en) | 2014-11-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76623B1 (ko) | 이동 단말기 | |
KR102415651B1 (ko) | 이동 단말기 | |
KR102209513B1 (ko) | 근접조도센서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이동 단말기 | |
KR102149780B1 (ko) | 이동 단말기 | |
KR102206242B1 (ko) | 이동 단말기 | |
KR101969801B1 (ko) | 이동 단말기 | |
US20140078708A1 (en) | Mobile terminal | |
KR20140099006A (ko) | 이동 단말기 | |
KR101951416B1 (ko) | 이동 단말기 | |
KR20150136934A (ko) | 이동 단말기 | |
KR101909603B1 (ko) | 이동 단말기 | |
CN110785890A (zh) | 电子装置 | |
KR20160122514A (ko) | 이동 단말기 | |
KR102255710B1 (ko) | 이동단말기 | |
KR20160018164A (ko) | 이동 단말기 | |
KR102643355B1 (ko) | 접착 테이프 및 이동 단말기 | |
KR102166834B1 (ko) | 이동 단말기 | |
KR101918987B1 (ko) | 이동 단말기 | |
KR101529933B1 (ko) | 이동 단말기 | |
KR101929811B1 (ko) | 이동 단말기 | |
KR20170017081A (ko) | 이동 단말기 및 그 조립방법 | |
KR101721876B1 (ko) | 휴대용 단말기 | |
KR101984089B1 (ko) | 이동 단말기 | |
KR20150104506A (ko) |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조 방법 | |
KR20140060845A (ko) |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조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X091 | Application refused [patent] | ||
AMND | Amendme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224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223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224 Year of fee payment: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