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7605B1 - 어린이 안전 장치를 갖는 차량 도어 래치 - Google Patents

어린이 안전 장치를 갖는 차량 도어 래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7605B1
KR102287605B1 KR1020167028205A KR20167028205A KR102287605B1 KR 102287605 B1 KR102287605 B1 KR 102287605B1 KR 1020167028205 A KR1020167028205 A KR 1020167028205A KR 20167028205 A KR20167028205 A KR 20167028205A KR 102287605 B1 KR102287605 B1 KR 1022876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door
switch confirmation
latch
light
chi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82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32945A (ko
Inventor
토르스텐 벤델
Original Assignee
키커트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키커트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키커트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1601329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29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76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76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7/00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 E05B77/22Functions related to actuation of locks from the passenger compartment of the vehicle
    • E05B77/24Functions related to actuation of locks from the passenger compartment of the vehicle preventing use of an inner door handle, sill button, lock knob or the like
    • E05B77/26Functions related to actuation of locks from the passenger compartment of the vehicle preventing use of an inner door handle, sill button, lock knob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child safet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10Illuminating devices on or for locks or keys; Transparent or translucent lock parts; Indicator ligh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1/00Locks with visible indication as to whether the lock is locked or unlock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Abstract

어린이 안전 장치(6)의 작동 버튼(8)이 스위치 확인 조명부(16)를 구비할 때 어둠 속에서도 어린이 안전 장치(6)의 록킹 또는 언록킹 위치가 용이하게 인식될 수 있다. 이 스위치 확인 조명부(16)는 발광 다이오드(16, 17)를 포함하며, 좋지 않은 조명 조건에서도 발광 다이오드는 어린이 안전 장치(6) 주변의 전체 영역을 비춘다. 차량 도어(1)의 중요한 요소는 안전하게 작동될 수 있으며 그리고 스위칭 위치가 확인될 수 있다.

Description

어린이 안전 장치를 갖는 차량 도어 래치{MOTOR VEHICLE DOOR LOCK WITH CHILD LOCK}
본 발명은 차량 도어 내에서 내부 작동 레버 및 할당된 어린이 안전 장치와 함께 래치 하우징에 수용된 래치를 가지며, 차량 도어가 열릴 때, 차량 도어의 앞쪽에서 또는 운전석 도어에서 다루어져야 하는 어린이 안전 장치 레버 또는 작동 샤프트와 작동 버튼으로 작동될 수 있고 그리고 자유단에 내부 작동 레버를 위한 안전 캐치를 가질 수 있는 차량 도어 래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 내의 어린이 안전 장치가 안에서의 후방 차량 도어의 열림을 방지하는 록킹 장치로서 설명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어린이 안전 장치는 차량 도어가 닫힐 때 작동될 수 없는, 도어의 에지 상의 또는 차량 도어의 앞쪽의 소형 스위치로 이루어진다. 이 소형 스위치가 작동되면, 차량 도어는 외부에서만 열릴 수 있다. 후방 전기 윈도우 리프팅 기구에 연결된 차량 내의 어린이 안전 장치가 또한 알려져 있다. 어린이 안전 장치를 갖는 차량 도어의 일반적인 실행이 DE 88 09 256.9 GM에서 찾을 수 있다. 이 공지된 어린이 안전 장치에서는, 차량 도어의 앞쪽에서 키 종류로 작동 버튼이 작동되어야 한다. 결과적으로, 자유단에 위치된 안전 래치가 내부 작동 레버 상으로 밀려질 수 있다. 결과적으로, 내부에서 차량 도어가 더 이상 열려질 수 없다. 그러나, 후방 차량 도어를 열므로써 운전자 또는 다른 성인 탑승자만이 어린이 안전 장치에 의하여 취해진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그러나 좋지 않은 조명 상황의 경우에, 예를 들어 야간에 또는 차고에서 어린이 안전 장치의 위치를 쉽게 발견할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좋지 않은 조명 조건일지라도 변화하는 스위칭 상태가 운전자 또는 성인 탑승자를 위하여 용이하게 그리고 안전하게 인식될 수 있는 어린이 안전 장치를 갖는 차량 도어 래치를 창작하는 과제를 기초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 과제는 래치에 통합된 스위치 확인 조명부를 보여주는 어린이 안전 장치에 의하여 해결되며, 여기서 고정 위치 및/또는 자유 위치는 스위치 확인 조명부를 통하여 조명에 의하여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어린이 안전 장치의 이러한 실행으로, 차량의 운전자 또는 다른 성인 또는 어린이 자신은 어린이 안전 장치가 작동하고 있는지 여부를 쉽게 감지할 수 있다. 스위치 확인 조명부가 차량 도어의 앞쪽의 실제 어린이 안전 장치 아주 가까이에 편리하게 부착된다는 점이 유리하다. 결과적으로 어린이 안전 장치가 스위치 온되었는지 여부를 작동 중에도 안전 캐치를 작동하는 사람은 즉각 인식한다. 동시에, 좋지 않은 조명 조건 하에서도 작동 확인이 가능하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해결책으로 이러한 전체적인 차량의 작동 안정성의 현저한 증가가 얻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편리한 실행에 따르면, 스위치 확인 조명부가 광 다이오드로서 설계되고 그리고 래치의 캐치의 인피드 부분(infeed section)에 통합되는 구조가 제공된다. 래치의 캐치의 인피드 부분은 대체적으로 차량 도어 약 중간까지 올라간 곳에 제공된다. 결과적으로, 이 위치는 어린이 안전 장치의 위치의 용이한 그리고 안전한 인식을 보장한다. 인피드 부분의 영역 내의 스위치 확인 조명부의 일체화 또는 배치에 의하여, 요구되는 케이블이 놓여지거나 또는 놓여질 수 있는 차량 도어의 내부가 배치로부터 용이하게 접근될 수 있기 때문에 어린이 안전 장치의 일체화 및 배치에 더하여 케이블 그리고 유사 요소와 같은 부재를 위하여 필요한 시간 소모적인 작업이 더 이상 요구되지 않는다.
측면 도어 래치 내의 광원 또는 스위치 확인 조명부의 직접적인 배치로부터 이점이 얻어진다. 즉, 전원 공급부가 래치 내에 이미 존재한다.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측면 도어 내로의 통합이 불필요하다. 스위치 확인 조명부는 측면 도어 래치의 직접적인 요소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이점이 이로부터 생긴다. 작동 또는 정지를 위한 스위칭 장치 또한 측면 도어 래치 내에 존재할 수 있다. 어린이 안전 장치의 단지 하나의 위치가 요구될 또는 발견될 필요가 있음에 따라 이는 특히 실행하기 용이하다. 작동 버튼 자체가 또한 스위칭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광 다이오드 또는 또한 2개 또는 다수의 광 다이오드가 저에너지 소비를 특징으로 한다. 더욱이, 선택 가능한 설계도에 따라 이러한 고성능 LED가 배치될 수 있고 그리고 따라서 어떤 설명과 함께 편의에 따라 위치될 수 있다는 점이 유리하다. 본 경우에, 어린이 안전 장치가 스위치 온되었는지 여부가 디스플레이되어야 한다. 따라서 고성능 LED를, 예를 들어 점형 방식(punctiform manner) 또는 포인트를 야기하는 방식으로 배치하는 것이 편리하다.
다른 편리한 설계는 일반적으로 스위치 확인 조명부 또는 광 센서에 할당되고 그리고 회로에 의하여 스위치 확인 조명부에 연결된 래치를 제공한다. 이러한 센서가 존재할 때, 색상, 예를 들어 안전한 또는 안전하지 않은 상태를 위하여 적색 및 녹색이 편리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그로 인하여 자연스럽게 대응하는 색상의 LED 사용 가능성이 있다.
광 다이오드는 편리하게 작동 버튼에 할당되어야 하며, 이에 의하여 반투명 재료로 이루어진 부착 가능한 커버가 작동 버튼에 할당될 가능성이 있으며, 광 다이오드를 고정하기 위하여 광 다이오드는 작동 버튼 내에 또는 상에 분산된다. 그러면 작동 슬롯이 또한 커버 내에 형성되고 그리고 해당되는 경우 도전성 측면 바(bar)를 갖출 수도 있기 때문에 이는 동시에 작동 버튼 내의 작동 슬롯에 손이 미치기 쉽다는 이점을 갖는다.
더욱이, 광 다이오드들이 함께 포인트를 형성하는 방식으로 광 다이오드들이 편리하게 배치된다는 점이 지적되었다. 다른 편리한 설계에 따르면, 광 다이오드들이 작동 버튼 상의 스위칭 요소를 중심으로 원을 형성하는 방식으로 광 다이오드들이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작동 버튼을 다음의 그리고 원하는 위치로 안전하게 이동시키기 위하여 조작자가 키 또는 작동 장치를 작동 슬롯 내로 삽입할 필요가 있는 경우 어둠 속에서 조작자가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기 때문에 이 특별한 배치는 또한 조작자가 작동 버튼을 작동시키고 싶을 때 조작자를 돕는다.
또한, 인피드 부분의 영역 내 또는 인피드 부분 내에 작동 버튼이 편리하게 위치될 수 있다는 점이 지적된다. 작동 버튼에 대한 손상 또는 작동 버튼의 장애를 방지하기 위하여 어린이 안전 장치의 작동 버튼이 인피드 부분의 벽과 맞물리는 것이 예상된다. 따라서 돌출부가 방지되며, 그리고 차량 도어가 닫히고 그리고 래치 브라켓트가 인피드 부분을 통과할지라도, 작동 버튼 그리고 따라서 어린이 안전 장치에 손상이 발생할 수 없다.
센서가 존재하지 않거나 또는 센서가 필요없다면 그리고 광 다이오드의 스위칭이 바람직하지 않다면, 광 다이오드가 배치되어 녹색의 원 및 적색의 제2 원을 형성하고 그리고 전원 공급 관점에서 개별적으로 다루어질 수 있다면 유리하다. 따라서, 작동 버튼이 관련 위치로 이동 또는 회전된다면 녹색의 원과 적색의 제2 원은 회로에 의하여 다루어질(addressed) 수 있다.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스위치 확인 조명부 또는 그의 광 다이오드는 또한 일반적으로 어린이 안전 장치를 비추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광 다이오드가 백색 광으로 전환된다면, 즉 어린이 안전 장치가 전혀 작동되지 않는다면 유리하다. 따라서, 어린이 안전 장치를 갖는 래치 영역 그리고 또한 래치의 다른 부분, 즉 예를 들어 비상 록킹부는 비추어진다.
전기 공급 및 절연에 더하여, 어둠 속에서도 어린이 안전 장치가 설치된 스위칭 위치에서 쉽게 감지될 수 있는 방식으로 차량 도어 래치 또는 어린이 안전 장치가 외부 전원 없이도 비추어질 수 있기 때문에 자기 조명 요소 또는 외부 광 반사 요소로 스위치 확인 조명부를 형성하는 옵션이 있다.
자연적으로, 볼 수 있는 경우, 어린이 안전 장치 레버를 비출 가능성 또한 있다. 이를 위하여, 스위치 확인 조명부는 어린이 안전 장치 레버의 자유 부분을 덮는 구조가 제공된다. 여기서 또한 전원 공급이 쉽게 보장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예를 들어 작동 플러그 또는 적절한 스위치가 존재하지 않을지라도, 이 요소가 단지 취하는 위치가 실제 어린이 안전 장치 레버를 근거로 하여 확인될 수 있다.
어린이 안전 장치가 차량 도어, 즉 후방 차량 도어 내에 수용되는 경우, 조명 관점에서 어린이 안전 장치가 개별적으로 공급된다면 이는 대체로 충분하다. 그러나, 운전시 어린이 안전 장치가 위치하는 위치를 감지하는 것이 운전자에게 편리할 수 있다. 회로 및 조명 관점에서 스위치 확인 조명부가 운전석 도어, 대시보드 및/또는 후방 차량 도어 상의 디스플레이부와 연결될 때 이는 가능하다. 따라서 어린이 안전 장치가 작동되는지 여부가 차량 내의 다양한 지점에서 디스플레이된다. 결과적으로, 필요하다면, 운전자는 충분한 속도에 반응을 보일 수 있으며 그리고 그의 차량을 멈추어 어린이 안전 장치를 작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좋지 않은 조명 조건에서도 필요하다면 작동되거나 또는 확인될 수 있는 것에 의하여 공지된 어린이 안전 장치를 최적화하는 가능성을 특징으로 한다. 결과적으로, 차량 내의 이 중요한 요소를 위하여 최적의 안전이 보장된다. 어린이 안전 장치에 할당된 스위치 확인 조명부는 예를 들어, 작동 샤프트에 할당된 작동 버튼을 비춘다. 결과적으로, 취급의 동시 개선과 함께 좋지 않은 조명 조건에서도 이 위치는 정확하게 확인될 수 있다. 스위치 확인 조명부의 결과로서, 작동 버튼 상의 작동 슬롯 영역은 용이하게 보이며, 그리고 특별한 조명 또는 램프를 필요로 하지 않고 작동자는 안전하게 스위칭 요소를 삽입하고 그리고 또한 이를 다시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작동 안전성 및 편리함이 증가한다. 결과적으로, 이 중요한 요소는 이제 최적화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 목적의 다른 세부 사항 및 이점은 필요한 세부 사항 및 개별적인 요소와 함께 바람직한 실행 예가 도시된 첨부된 도면의 다음 설명으로부터 발생한다.
도 1은 열린 차량 도어, 즉 후방 차량 도어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인피드 부분을 갖는 차량 도어 래치의 평면도.
도 3은 편심 캐치 및 내부 작동 레버의 단면도.
도 4는 작동 샤프트와 작동 버튼을 갖는 어린이 안전 장치의 측면도.
도 1에 차량 도어(1), 즉 열린 상태의 차량 도어가 도시되며, 여기서 차량 도어는 후방 차량 도어(1)이다. 이 차량 도어(1)에 통합되고 그리고 래치(3)를 포함하는 래치 하우징(2)이 인식될 수 있다. 이 도면으로부터, 인피드 부분(4)의 영역만이 보이며, 인피드 부분이 차량 도어(1)의 전방부를 포함하고 있다는 것 또한 이 도면으로부터 명백하다. 어린이 안전 장치(6)는 이 래치 하우징(2) 또는 래치(3)에 통합되며, 그러나, 여기서 어린이 안전 장치(6)의 작동 버튼(8)에 할당된 스위치 확인 조명부(15)만이 인식될 수 있다.
도면 부호 24 및 25는 유지 스크류를 설명하며, 래치 하우징(2)은 유지 스크류로 차량 도어(1)에 고정된다. 도면 부호 18 및 16은 스위치 확인 조명부(15)의 광선을 설명하며, 어린이 안전 장치(6)의 스위치 위치가 스위치 확인 조명부(15)를 통하여 용이하게 보여질 수 있다는 것이 이 광선을 통하여 분명해진다. 각 스위치 위치는 또한 디스플레이부(29)에 의하여 확인되며, 본 명세서에서는 단지 부가적으로 제공된 차량 도어(1)의 상부 영역에 디스플레이부가 있다. 이하에서 다시 설명되는 인피드 부분이 어린이 안전 장치(6)가 현재 위치하고 있는 스위칭 위치의 좋지 않은 조명 조건에서도 어린이 안전 장치가 용이하게 인식되는 것을 허용하기 때문에 래치(3)의 인피드 부분(4)의 영역 내의 스위치 확인 조명부(15)는 중요하다.
도 2는 인피드 부분(4)의 확대된 영역을 도시하며, 이로 인하여 래치(3)의 다른 요소로부터의 손상이 우려될 필요가 없는 방식으로 어린이 안전 장치(6) 또는 그의 작동 버튼(8)이 인피드 부분(4)의 벽(12)에 통합된 또는 수용된 것이 인식될 수 있다. -여기서 인식될 수 있는- 스위치 확인 조명부(15)는 작동 버튼에 수용된다. 이 스위치 확인 조명부(15)는 전체 세트의 발광 다이오드(16)로 이루어지며, 여기서 발광 다이오드는 작동 버튼(8) 상에 제1 원(22) 그리고 제2 원(23)을 형성하도록 배치된다. 어린이 안전 장치(6)가 작동 위치에 있을 때 그리고 예들 들어 녹색 상태일 때 하나의 원(22)이 다루어지는 반면에, 어린이 안전 장치(6)가 비작동적일 때 다루어지는 제2 원은 적색으로 어린이 안전 장치(6)가 작동되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준다.
작동 슬롯(14)이 작동 버튼(8)의 중심에 배치된다는 것을 인식하는 것은 약간 쉬우며, 어린이 안전 장치(6)를 예를 들어 비작동 위치에서 작동 위치로 또는 작동 위치에서 비작동 위치로 선회시키기 위하여 작동 요소가 작동 슬롯 내로 삽입될 필요가 있다.
도 3은 어린이 안전 장치(6)의 다른 종단, 즉 편심 형상을 갖는 자유단(9)에서 작동 샤프트(7) 상에 배치된 안전 캐치 요소(11)를 도시한다. 내부 작동 레버(10)가 이 편심부 또는 안전 캐치(11)를 통하여 차단될 수 있다는 것이 인식될 수 있다. 차량 도어(1)가 차량 도어(1)의 내부로부터 열려져야 된다면, 내부 작동 레버(10)는 선회축(28)을 중심으로 이동될 수 있다. 만일, 어린이 안전 장치(6) 또는 안전 캐치(11)가 작동된다면, 즉 편심부(11)가 내부 작동 레버(10)의 종단에 얹혀있다면, 내부 작동 레버(10)는 효과적으로 차단되며 그리고 차량 도어(1)는 단지 외부에서 열릴 수 있다.
도 4로부터, 도시된 실행 형태의 어린이 안전 장치(6)가 작동 샤프트(7) 그리고 작동 버튼(8)으로 이루어지며 그로 인하여 작동 샤프트(7)의 자유단(9)이 위에서 언급된 편심부 또는 안전 캐치(11)를 갖는다는 것이 인식될 수 있다.
한 세트의 광 다이오드(16, 17)가 작동 버튼(8) 상에 배치되며, 도시된 광선(18, 19)에 의하여 광 다이오드는 또한 명확하게 다시 인식될 수 있다. 작동 버튼(8) 자체는 커버(21)를 통하여 고정되며 따라서 슬라이딩하는 래치(3)의 요소는 손상을 입힐 수 없다.
작동자는 원형 형상으로 배치된 광 다이오드(16, 17)에 의하여 좋지 않은 조명 조건 하에서도 작동 버튼(8) 내의 작동 슬롯(14)을 항상 쉽게 인식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작동 버튼은 본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스위칭 요소로 안전하게 도달되거나 작동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은 스위칭 요소를 통한 작동 버튼(8)의 회전으로, 열악한 조명 상태에서도 언급된 바와 같이 어린이 안전 장치는 용이하게 그리고 안전하게 작동될 수 있으며, 그로 인하여 디스플레이부(29)에 의하여 그리고 차량의 내에 배치된 다른 디스플레이 의하여 그의 위치는 부가적으로 확인될 수 있다.
도면에서만 발견될 수 있는 특징을 포함한 모든 설명된 특징은 본 발명에 있어서 공동으로 그리고 단독으로 매우 중요한 것으로 보여진다.

Claims (12)

  1. 차량의 도어를 위한 차량 도어 래치로서,
    상기 차량 도어 래치는,
    상기 도어에 수용되어 상기 래치를 수용하는 래치 하우징;
    내부 작동 레버; 및
    차량 도어가 열릴 때 작동될 수 있고, 차량 내부에서 도어가 열리지 않는 고정 위치와 차량 내부에서 도어가 열리는 자유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는, 어린이 안전 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어린이 안전 장치는,
    어린이 안전 장치 레버;
    상기 차량 도어의 전면에서 조작되는 작동 버튼으로서, 상기 어린이 안전 장치의 작동 버튼은 인피드 부분의 벽 내로 매립되는, 작동 버튼;
    어린이 안전 장치 레버의 자유 단부에 배치되고 내부 작동 레버와 결합할 수 있는 안전 캐치;
    안전 캐치가 배치되는 래치 하우징의 인피드 부분; 및
    인피드 부분을 정의하는 영역에서 상기 래치 하우징 내부에 배치됨으로써 래치의 인피드 부분에 통합되는 스위치 확인 조명부로서, 상기 스위치 확인 조명부는 상기 작동 버튼에 직접 장착되고, 상기 스위치 확인 조명부는 조명을 사용하여 위치를 표시함으로써 어린이 안전 장치가 고정 위치에 있는지 자유 위치에 있는지를 나타내도록 구성되는, 스위치 확인 조명부;
    를 포함하며,
    상기 스위치 확인 조명부는 외부 광 반사 요소로 설계되고, 작동 슬롯이 작동 버튼의 중앙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 래치.
  2. 제1항에 있어서, 스위치 확인 조명부(15)는 광 다이오드(16, 17)로서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 래치.
  3. 제2항에 있어서, 스위치 확인 조명부(15)는 LED로 설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 래치.
  4. 제1항에 있어서, 광 센서(20)는 스위치 확인 조명부(15) 또는 래치(3)에 할당되며 그리고 회로에 의하여 스위치 확인 조명부(15)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 래치.
  5. 제2항에 있어서, 광 다이오드(16, 17)가 분산된 작동 버튼(8)은 반투명 재료로 이루어진 부착 가능한 커버(21)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 래치.
  6. 제5항에 있어서, 광 다이오드(16, 17)는 작동 버튼(8) 상의 스위칭 요소를 중심으로 원형 형상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 래치.
  7. 삭제
  8. 제6항에 있어서, 광 다이오드(16, 17)는 녹색 원(22)과 적색의 제2 원(23)을 형성하도록 배치되며 그리고 전원 공급 관점에서 개별적으로 다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 래치.
  9. 제6항에 있어서, 광 다이오드(16, 17)는 백색광으로 전환되도록 설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 래치.
  10. 삭제
  11. 제1항에 있어서, 스위치 확인 조명부(15)는 어린이 안전 장치 레버의 자유 부분을 덮도록 설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 래치.
  12. 제1항에 있어서, 회로 및 조명 관점에서 스위치 확인 조명부(15)는 운전석 도어 상의 디스플레이부(29), 대쉬보드 또는 후방 차량 도어(1)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 래치.
KR1020167028205A 2014-03-14 2015-03-09 어린이 안전 장치를 갖는 차량 도어 래치 KR1022876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4003505.0A DE102014003505A1 (de) 2014-03-14 2014-03-14 Kraftfahrzeugtürschloss mit Kindersicherung
DE102014003505.0 2014-03-14
PCT/DE2015/100092 WO2015135530A1 (de) 2014-03-14 2015-03-09 Kraftfahrzeugtürschloss mit kindersicheru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2945A KR20160132945A (ko) 2016-11-21
KR102287605B1 true KR102287605B1 (ko) 2021-08-10

Family

ID=528138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8205A KR102287605B1 (ko) 2014-03-14 2015-03-09 어린이 안전 장치를 갖는 차량 도어 래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70089101A1 (ko)
EP (1) EP3117058B1 (ko)
KR (1) KR102287605B1 (ko)
CN (1) CN106536841B (ko)
DE (1) DE102014003505A1 (ko)
WO (1) WO201513553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6101226A1 (de) 2016-01-25 2017-07-27 Kiekert Ag Kraftfahrzeugschließeinrichtung
DE102016103423A1 (de) * 2016-02-26 2017-08-31 Kiekert Ag Kraftfahrzeugschloss
DE102016112509A1 (de) 2016-07-07 2018-01-11 Kiekert Ag Schloss für ein Kraftfahrzeug
DE102016015444A1 (de) * 2016-12-23 2018-06-28 Kiekert Aktiengesellschaft Fahrzeugschloss nebst Verfahren für ein zugangskontrolliertes Beladen und/oder Entladen
DE102017128132A1 (de) * 2017-11-28 2019-05-29 Kiekert Ag Kraftfahrzeugschlossanordnung
US11145178B1 (en) * 2020-04-21 2021-10-12 Linda Marie Jones Passenger reminder system
DE102021101228A1 (de) 2021-01-21 2022-07-21 Kiekert Aktiengesellschaft Kraftfahrzeug mit einem Kraftfahrzeugschloss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7262Y1 (ko) * 2000-10-02 2001-03-15 진규민 도어록 장치
US20040113469A1 (en) * 2002-12-17 2004-06-17 Chuan-Ming Yeh Latch indication apparatus for strollers and car seats
US20050216133A1 (en) * 2004-03-25 2005-09-29 Macdougall Lonny Child lock indicator
US20110233374A1 (en) * 2010-03-24 2011-09-29 Skjp Holdings, Llc Coupling device for securing a child car seat to a vehicle
JP2013195663A (ja) * 2012-03-19 2013-09-30 Denso Corp 制御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4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273570A (en) * 1940-09-11 1942-02-17 Edward E Greenlees Illuminating attachment for vehicle door locks
US3501189A (en) * 1968-02-08 1970-03-17 Dempco Safety rear door lock for automobiles
JPS5738528Y2 (ko) * 1977-08-24 1982-08-25
IT1131405B (it) * 1979-03-24 1986-06-25 Kiekert Soehne Arn Dispositivo di chiusura a comando centralizzato per porte di veicoli a motore
US4559796A (en) * 1984-02-10 1985-12-24 Forrest Sr William De Door lock status indicator
DE8809256U1 (ko) * 1988-07-20 1988-09-22 Kiekert Gmbh & Co Kg, 5628 Heiligenhaus, De
US5092638B1 (en) * 1989-06-20 1995-04-04 Mitsui Mining & Smelting Co Child-lock mechanism for locking apparatus for vehicle
JP2585354Y2 (ja) * 1989-08-07 1998-11-18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ドアロツク装置のチヤイルドプロテクター機構
US4969673A (en) * 1989-10-16 1990-11-13 General Motors Corporation Door latch with block-out type child safety feature
DE4023822A1 (de) * 1990-07-27 1992-01-30 Bayerische Motoren Werke Ag Schloss mit kindersicherung fuer kraftfahrzeugtueren
JPH0581473U (ja) * 1992-03-31 1993-11-05 ナイルス部品株式会社 ドアロックモニタ装置
US5332273A (en) * 1992-07-29 1994-07-26 Harada Kogyo Kabushiki Kaisha Actuator for door lock mechanism
DE4343339C2 (de) * 1993-01-15 1996-12-19 Kiekert Ag Kraftfahrzeugtürverschluß mit Kindersicherungseinrichtung
DE4432799C2 (de) * 1994-09-15 1996-09-05 Kiekert Ag Antrieb für eine Kindersicherungseinrichtung in einem Kraftfahrzeugtürverschluß
DE19530726C5 (de) * 1995-08-18 2009-07-02 Kiekert Ag Zentralverriegelungsanlage mit baugleichen Kraftfahrzeugtürverschlüssen
US5894906A (en) * 1996-11-08 1999-04-20 Weber; Harold J. Accident responsive safety release for a motor vehicle's rear door child-lock device
US5738394A (en) * 1996-11-26 1998-04-14 General Motors Corporation Child-proof door latch
US5896768A (en) * 1997-05-15 1999-04-27 Ut Automotive Dearborn, Inc. Electronic child security door lock system
US6755449B2 (en) * 1999-10-28 2004-06-29 The Eastern Company Locking system and components thereof
GB0117446D0 (en) * 2001-07-18 2001-09-12 Meritor Light Vehicle Sys Ltd Child safety feature for a vehicle latch
GB0122634D0 (en) * 2001-09-20 2001-11-14 Meritor Light Vehicle Sys Ltd Door release and engagement mechanism
US7057124B2 (en) * 2003-04-22 2006-06-06 Aisin Seiki Kabushiki Kaisha Push switch apparatus
WO2004113654A1 (en) * 2003-06-20 2004-12-29 Intier Automotive Closures Inc. Side door latch safety warning
KR20050024648A (ko) * 2003-09-01 2005-03-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의 위치를 표시하는 발광 장치
US20050093305A1 (en) * 2003-10-29 2005-05-05 Jackson Gerald L. Power child safety locking system
JP4240307B2 (ja) * 2004-06-22 2009-03-18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用ドア開閉装置
US20060220823A1 (en) * 2005-04-01 2006-10-05 Armstrong James W Safety switch for motor vehicle
GB2427434B (en) * 2005-06-23 2007-08-01 Mitsui Mining & Smelting Co Automotive childproof safety lock control apparatus
JP2007040021A (ja) * 2005-08-04 2007-02-15 Sharp Corp 錠前装置および鍵
KR20070096332A (ko) * 2006-03-23 2007-10-02 김완욱 센서를 이용한 선택형 메시지 표시장치
DE202008005174U1 (de) * 2008-04-14 2009-08-27 BROSE SCHLIEßSYSTEME GMBH & CO. KG Kraftfahrzeugschloßanordnung und Kraftfahrzeugtüranordnung
US8224532B2 (en) * 2008-09-12 2012-07-17 Honda Motor Company, Ltd. Vehicles including master control device for control of power door
US8248265B2 (en) * 2009-09-17 2012-08-21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Vehicle console display buttons and vehicle consoles incorporating the same
DE202010009995U1 (de) * 2010-07-07 2010-09-30 Pazen Fenster + Technik Gmbh Bauelement eines Fensters oder einer Tür, Fenster oder Tür damit, und System mit einem solchen Fenster oder einer solchen Tür
CN102535992B (zh) * 2010-12-09 2014-03-12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用儿童锁
CN202064734U (zh) * 2011-05-12 2011-12-07 安徽长丰扬子汽车制造有限责任公司 汽车电动儿童锁
US9080354B2 (en) * 2011-06-15 2015-07-1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Logic-based sliding door interlock
US8607502B2 (en) * 2011-12-27 2013-12-17 Carlson Pet Products, Inc. Gate apparatus with springless automatic return gate
KR101896711B1 (ko) * 2012-09-17 2018-09-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능동형 도어락 시스템
US10017963B2 (en) * 2013-03-15 2018-07-10 August Home, Inc. Intelligent door lock system with manual operation and push notification
US9758990B2 (en) * 2013-05-30 2017-09-12 Spectrum Brands, Inc. Deadbolt with status indicator light
US8947530B1 (en) * 2013-07-26 2015-02-03 Joseph Frank Scalisi Smart lock systems and methods
US10672238B2 (en) * 2015-06-23 2020-06-02 SkyBell Technologies, Inc. Doorbell communities
US9546502B2 (en) * 2013-12-19 2017-01-17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Door lock switch with lock state indicator
US10687029B2 (en) * 2015-09-22 2020-06-16 SkyBell Technologies, Inc. Doorbell communication systems and methods
US9888216B2 (en) * 2015-09-22 2018-02-06 SkyBell Technologies, Inc. Doorbell communication systems and method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7262Y1 (ko) * 2000-10-02 2001-03-15 진규민 도어록 장치
US20040113469A1 (en) * 2002-12-17 2004-06-17 Chuan-Ming Yeh Latch indication apparatus for strollers and car seats
US20050216133A1 (en) * 2004-03-25 2005-09-29 Macdougall Lonny Child lock indicator
US20110233374A1 (en) * 2010-03-24 2011-09-29 Skjp Holdings, Llc Coupling device for securing a child car seat to a vehicle
JP2013195663A (ja) * 2012-03-19 2013-09-30 Denso Corp 制御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117058A1 (de) 2017-01-18
WO2015135530A1 (de) 2015-09-17
EP3117058B1 (de) 2018-06-13
US20170089101A1 (en) 2017-03-30
CN106536841A (zh) 2017-03-22
KR20160132945A (ko) 2016-11-21
DE102014003505A1 (de) 2015-09-17
CN106536841B (zh) 2019-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87605B1 (ko) 어린이 안전 장치를 갖는 차량 도어 래치
KR20040101010A (ko) 자동차 도어핸들 모듈
JP2005076446A (ja) ドアアウトサイドハンドルの位置を表示する発光装置
CN106163869B (zh) 用于打开或解锁车辆的设备的操作元件和车辆
US10234082B1 (en) IR-VIS-flashlight
US20160079015A1 (en) Toggle switch for a plurality of switching positions
US10597911B2 (en) Motor vehicle locking mechanism
US9103538B2 (en) Portable electric lamp with a compact casing housing a lighting module controlled by a rotary actuator
US10976047B2 (en) Illumination for storage units
US11813976B2 (en) Door handle for a vehicle door
CN108884693B (zh) 机动车锁
KR20170001051U (ko) 차량용 스위치 장치
EP1592580B1 (en) Vehicle alarm device
BR112016013971B1 (pt) Veículo
US20190153748A1 (en) Motor vehicle lock
KR200421686Y1 (ko) 후방등을 겸비한 측면 깜박이
CN108138523A (zh) 用于机动车的锁扣
JP2006052562A (ja) 自動回転式ドア装置
JPH0544983Y2 (ko)
KR101211340B1 (ko) 차량용 스위치 장치
JP3112500U (ja) 自転車用錠及び自転車用錠に用いるキー
YU60804A (sh) Univerzalna seckalica sa sigurnosnim prekidačem
JP2021172103A (ja) 照明装置付サービスホールカバー
JP2004206944A (ja) 操作パネル装置の照光機構
GB2590348A (en) Fasteners for security devi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