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6456B1 - 내비게이션 지시사항들을 디스플레이하는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내비게이션 지시사항들을 디스플레이하는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6456B1
KR102286456B1 KR1020167012426A KR20167012426A KR102286456B1 KR 102286456 B1 KR102286456 B1 KR 102286456B1 KR 1020167012426 A KR1020167012426 A KR 1020167012426A KR 20167012426 A KR20167012426 A KR 20167012426A KR 102286456 B1 KR102286456 B1 KR 1022864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avigation device
route
portable navigation
instructions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124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68941A (ko
Inventor
시모너 프란시너 테르톨런
독 코르넬리스 클라스 판
Original Assignee
톰톰 네비게이션 비.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톰톰 네비게이션 비.브이. filed Critical 톰톰 네비게이션 비.브이.
Publication of KR201600689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89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64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64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26Details of the output of route guidance instructions
    • G01C21/3658Lane guidanc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26Details of the output of route guidance instructions
    • G01C21/3635Guidance using 3D or perspective road map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26Details of the output of route guidance instructions
    • G01C21/3647Guidance involving output of stored or live camera images or video strea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26Details of the output of route guidance instructions
    • G01C21/3655Timing of guidance instruc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67Display of a road map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67Display of a road map
    • G01C21/367Details, e.g. road map scale, orientation, zooming, illumination, level of detail, scrolling of road map or positioning of current position mark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67Display of a road map
    • G01C21/3676Overview of the route on the road map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38Determining a navigation solution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a 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
    • G01S19/39Determining a navigation solution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a 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 the 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42Determining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50Context or environment of the image
    • G06V20/56Context or environment of the image exterior to a vehicle by using sensors mounted on the vehicle
    • G06V20/588Recognition of the road, e.g. of lane markings; Recognition of the vehicle driving pattern in relation to the ro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Navigation (AREA)
  • Instructional Device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휴대용 내비게이션 기기의 디스플레이 기기상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내비게이션 지시사항들을 생성하는 기기가 개시되어 있으며, 상기 내비게이션 지시사항들을 생성하는 기기는, 상기 휴대용 내비게이션 기기가 주행할 수 있게 하는 내비게이트 가능한 네트워크에 관련된 디지털 맵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소(repository)에 액세스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디지털 맵 데이터는 상기 내비게이트 가능한 네트워크의 이용 가능한 차선들에 관련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수단; 상기 휴대용 내비게이션 기기가 계획된 경로를 주행함에 따라 상기 휴대용 내비게이션 기기를 따르도록 업데이트되는, 상기 휴대용 내비게이션 기기의 현재 위치를 배후로 하여 고도 및 피치 각으로 배치되어 있는 카메라에서 보이는 대로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상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상기 디지털 맵 데이터를 나타내는 모델의 3차원 투시 뷰를 생성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3차원 투시 뷰는 상기 내비게이트 가능한 네트워크의 이용 가능한 차선들을 보여주고, 다음에 나오게 되는 계획된 경로는 노선으로서 상기 뷰에 보이게 되고, 상기 노선은 상기 휴대용 내비게이션 기기가 주행하고 있는 결정된 현재 차선을 통과함에 따라 다음에 나오게 되는 경로를 보여주는, 수단; 및 상기 휴대용 내비게이션 기기가 주행하고 있는 결정된 현재 차선이 상기 계획된 경로를 따르도록 다가오고 있는 의사결정 지점에서 취해지게 되는 동작(manoeuvre)에 연관된 차선 또는 차선들과 다른 것으로 검출함에 응답하여 상기 생성된 뷰를, 다음에 나오게 되는 경로를 보여주는 노선이 사용자에게 차선 변경 지시사항을 알려주도록 적응시키는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내비게이션 지시사항들을 생성하는 기기의 동작 방법, 및 관련 컴퓨터 소프트웨어가 또한 개시되어 있다.

Description

내비게이션 지시사항들을 디스플레이하는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s of displaying navigation instructions}
본 발명은 내비게이션 지시사항들, 바람직하게는 목적지에 이르기까지 계산된 경로에 대한 내비게이션 지시사항들을 생성하여 이들을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 예들은 휴대용 내비게이션 기기(portable navigation device)들(소위 PND들), 특히 PND들의 현재 위치를 결정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PND들에 관한 것이다.
글로벌 내비게이션 위성 시스템(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s; GNSS), 예컨대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신호 수신 및 프로세싱 기능을 포함하는 휴대용 내비게이션 기기(PND)들은 공지되어 있으며 차량 내 또는 다른 차량 내비게이션 시스템들로서 널리 채용되고 있다. 당업자라면 휴대용 내비게이션 기기들이 모바일 원격통신, 평면형 비컨 따위를 사용하는 것과 같은 휴대용 내비게이션 기기들의 위치를 결정하는 다른 수단을 이용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일반적인 측면에서, 최신 PND는 프로세서, (휘발성 및 비-휘발성 중 적어도 하나, 및 일반적으로는 양자 모두인)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 내에 저장된 맵 데이터를 포함한다. 상기 프로세서 및 메모리는 소프트웨어 운영 체제가 확립될 수 있게 하는 실행 환경을 제공하도록 협동하며, 추가로 상기 PND의 기능이 제어될 수 있게 하고 다른 여러 기능을 제공하도록 하나 이상의 추가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이 제공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전형적으로, 이러한 기기들은 사용자로 하여금 기기와 상호작용하여 상기 기기를 제어할 수 있게 하는 하나 이상의 입력 인터페이스들, 및 정보가 사용자에게 릴레이될 수 있게 하는 하나 이상의 출력 인터페이스들을 부가적으로 포함한다. 출력 인터페이스들의 대표적인 예들은 시각 디스플레이 및 청각 출력을 위한 스피커를 포함한다. 입력 인터페이스들의 대표적인 예들은 기기의 온/오프 동작 또는 다른 특징들을 제어하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물리적 버튼들(이러한 버튼들은 반드시 기기 자체 상에 있을 필요가 없으며 기기가 차량에 내장되는 경우에 스티어링 휘일 상에 있을 수 있음), 및 사용자 음성을 검출하기 위한 마이크로폰을 포함한다. 특히 바람직한 구성에서, 출력 인터페이스 디스플레이는 사용자가 터치 방식으로 기기를 동작시킬 수 있게 하는 입력 인터페이스를 추가로 제공하도록 (터치 감응 오버레이를 통해 또는 이와는 다른 방식으로) 터치 감응 디스플레이로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타입의 기기들은 또한 종종, 전력 및 선택적으로는 데이터 신호들이 기기로 전송될 수 있고 기기로부터 수신될 수 있게 하는 하나 이상의 물리적 커넥터 인터페이스들, 및 선택적으로는 셀룰러 원격통신 및 다른 신호 및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들, 예를 들면 Wi-Fi, Wi-Max, GSM 등등을 통해 통신할 수 있게 하는 하나 이상의 무선 송신기들/수신기들을 포함하게 된다.
이러한 타입의 PND 기기들은 또한 위치 데이터를 포함하는, 위성-방송 신호들이 수신된 다음에, 기기의 현재 위치를 결정하도록 프로세싱될 수 있게 하는 GPS 안테나를 포함한다.
상기 PND 기기는 또한, 현재의 각도 및 선형 가속도를 결정하도록 프로세싱될 수 있는 신호들, 그리고 또한 기기, 결과적으로는 상기 기기가 장착된 차량의 GPS 신호, 속도 및 상대적인 변위로부터 유도되는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전자 자이로스코프들 및 가속도계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전형적으로는, 그러한 특징들이 차량 내의 내비게이션 시스템들에 가장 일반적으로 제공되는 것들이지만, 만약 그렇게 하는 것이 유용하다면 PND 기기들 내에 또한 제공될 수도 있다.
그러한 PND들의 유용성은 상기 PND들이 (출발 또는 현재 위치인 것이 전형적인) 제1 위치 및 (목적지인 것이 전형적인) 제2 위치 간에 경로(route)를 결정할 수 있는 능력에서 주로 나타나게 된다. 이러한 위치들은, 다양한 여러 다른 방법들 중 어느 한 방법으로, 예를 들면 우편번호, 거리 이름 및 집의 번지, (유명한 위치들, (스포츠 경기장들 또는 수영장들과 같은) 지방자치의 위치들 또는 다른 관심 지점들과 같은) 사전에 저장된 "공지된" 목적지들, 및 즐겨 찾거나 최근에 방문한 목적지들로, 기기의 사용자에 의해 입력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 상기 PND는 출발지 및 목적지 주소 위치들 간의 "최상" 또는 "최적"의 경로를 맵 데이터로부터 계산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에 의해 작동된다. "최상" 또는 "최적"의 경로는 사전에 결정된 기준을 기반으로 하여 결정되고 반드시 가장 빠르거나 가장 짧은 경로일 필요는 없다. 운전자를 안내해야 하는 경로의 선택은 매우 복잡할 수 있고, 선택된 경로는 이력적(historical)인, 기존에 있는, 그리고/또는 예상된 교통 및 도로 정보를고려할 수 있다.
그 외에도, 기기는 계속해서 도로 및 교통 조건들을 모니터링하고, 변경된 조건들로 인해 나머지 여정이 이루어져야 하는 경로를 변경하도록 제공하거나 또는 변경된 조건들로 인해 나머지 여정이 이루어져야 하는 경로를 변경하도록 선택할 수 있다. 여러 기술(예컨대, 모바일 전화 데이터 교환들, 고정식 카메라들, GPS 차량 트래킹)에 기반을 두고 이루어진 실시간 교통 모니터링 시스템들은 교통 정체(traffic delay)들을 식별하고 그 정보를 알림 시스템들에 보내는데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타입의 PND들은 차량의 계기반 또는 윈드스크린상에 장착되는 것이 전형적일 수 있지만, 또한 차량 라디오의 온-보드(on-board) 컴퓨터의 일부로서 또는 실제로는 차량 자체의 제어 시스템의 일부로서 형성될 수 있다. 내비게이션 기기는 또한 PDA(Portable Digital Assistant; 휴대 정보 단말기), 미디어 플레이어, 모바일 전화 따위와 같은 핸드-헬드 시스템의 일부일 수 있고, 이 경우에, 상기 핸드-헬드 시스템의 전형적인 기능은 경로 계산 및 계산된 경로를 따른 내비게이션을 수행하도록 상기 기기상의 소프트웨어의 설치를 통해 확장된다.
경로 계획 및 내비게이션 기능은 또한 적합한 소프트웨어를 실행하는 데스크톱 또는 모바일 컴퓨팅 자원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온라인 경로 계획 및 내비게이션 시설은 routes.tomtom.com에서 제공되며, 이러한 온라인 경로 계획 및 내비게이션 시설은 사용자로 하여금 출발지 및 목적지를 입력하는 것을 허용하고, 그 결과 사용자의 PC에 접속되어 있는 서버는 경로(사용자에 의해 특정될 수 있는 경로의 실시 형태들)를 계산하며, 맵을 생성하고, 선택된 출발지로부터 선택된 목적지로 사용자를 안내하기 위한 한 세트의 완전한 내비게이션 명령어들을 생성한다. 상기 온라인 경로 계획 및 내비게이션 시설은 또한 계산된 경로의 의사(擬似) 3차원 렌더링, 및 사용자가 상기 경로를 주행하는 것을 시뮬레이트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상기 계산된 경로의 미리보기(preview)를 제공하는 경로 미리보기 기능을 제공한다.
PND와 관련하여, 일단 경로가 계산된 경우에, 사용자는 선택적으로는 제안된 경로들의 리스트로부터 원하는 계산된 경로를 선택하도록 상기 내비게이션 기기와 상호작용한다. 선택적으로는, 사용자는 예를 들면 특정 경로들, 도로들, 위치들 또는 기준들이 회피되어야 하거나 특정 여정에 대해 필수적인 것을 지정함으로써 경로 선택 프로세스에 개입하거나 경로 선택 프로세스를 안내할 수 있다. 상기 PND의 경로 계산 실시 형태는 하나의 주요 기능을 형성하고, 그러한 경로를 따른 내비게이션은 다른 하나의 주요 기능이다.
상기 기기에 의해 제공되는 더 중요한 기능은, 사용자가 내비게이션 동안 이전에 계산된 경로로부터 (우연히 또는 의도적으로) 벗어날 경우에, 우회 경로가 더 유리할 것이라고 실-시간 교통 조건들이 지시하고 상기 기기가 그러한 조건들을 자동으로 인지하도록 적합하게 작동될 수 있는 경우에, 또는 사용자가 능동적으로 상기 기기로 하여금 어떤 이유로 경로의 재-계산을 수행하게 하는 경우에 자동으로 경로를 재-계산하는 것이다.
비록 상기 경로 계산 및 내비게이션 기능들이 PND들의 전반적인 유용성에 기초한 것이지만, 단순히 정보 디스플레이, 또는 "자유-주행(free-driving)"을 위해서만 상기 기기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데, 이 경우에는 현재의 기기 위치에 관한 맵 정보만이 디스플레이되며, 어떠한 경로도 계산되지 않으며 어떠한 내비게이션도 현재 상기 내비게이션 기기에 의해 실행되고 있지 않다. 그러한 동작 모드는, 내비게이션의 지원을 필요로 하지 않고 주행하는 것이 바람직한 경로를 사용자가 이미 알고 있을 때 종종 적용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타입의 기기들은 사용자로 하여금 한 위치로부터 다른 한 위치로 내비게이트할 수 있게 하는 신뢰 가능한 수단을 제공한다.
계산된 경로를 따른 내비게이션 동안, 그러한 PND들이 시각적 및/또는 청각적 지시사항들을 제공하여 선택된 경로를 따라 그러한 경로의 종착지, 다시 말하면 원하는 목적지로 사용자를 안내하는 것이 통상적이다. 또한, PND들은 내비게이션 동안 온-스크린에서 맵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이 통상적이며, 그러한 정보는 온-스크린에서 정기적으로 업데이트되며, 그럼으로써 디스플레이되는 맵 정보가 상기 기기의 현재 위치, 결과적으로는 상기 기기가 차량 내 내비게이션용으로 사용되고 있는 경우에 사용자 또는 사용자의 차량의 현재 위치를 나타내게 된다.
온-스크린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아이콘은 현재 기기 위치를 나타내는 것이 전형적이며, 현재 기기 위치 부근에 있는 현재 도로 및 주변 도로들의 맵 정보 및 또한 디스플레이되는 다른 맵 특징들 가운데에 놓이게 된다. 그 외에도, 내비게이션 정보는 선택적으로는 디스플레이된 맵 정보의 상측, 하측 또는 한 측면에 있는 상태 바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으며, 내비게이션 정보의 예들에는 사용자에 의해 취해질 필요가 있는 현재 도로로부터의 다음 항로변경에 이르기까지의 거리를 포함하며, 그러한 항로변경의 특징은 아마도 특정 타입의 항로변경, 예를 들면 좌회전 또는 우회전의 항로변경을 연상시키는 부가적인 아이콘으로 표현된다. 또한, 내비게이션 기능은 사용자가 경로를 따라 안내될 수 있게 하는 청각적 지시사항들의 콘텐츠, 지속기간 및 타이밍을 결정한다. 이해될 수 있겠지만, "100m에서 좌회전"과 같은 간단한 지시사항은 상당한 프로세싱 및 분석을 필요로 한다.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상기 기기와의 사용자 상호작용은 터치 스크린에 의한 것일 수도 있고, 추가적으로나 변형적으로는 스티어링 칼럼(steering column)에 장착된 원격 제어에 의한 것일 수도 있으며, 음성 활성화에 의한 것일 수도 있고 기타 적합한 방법에 의한 것일 수도 있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내비게이션 지시사항들을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사전에 결정된 경로를 따라가는 것을 허용하는 전형적인 방식이 다수 존재하는데, 여기서 그러한 내비게이션 지시사항들은 일반적으로 턴-바이-턴(turn-by-turn) 지시사항들로 지칭된다. 대부분은 사용자 및/또는 상기 휴대용 내비게이션 기기의 현재 위치 주변에 세계, 전형적으로는 도로망의 표현과 아울러, 다음에 나오게 되는 경로 및 사용자 및/또는 상기 휴대용 내비게이션 기기의 현재 위치를 알려주는 그래픽 아이콘들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에 의존한다. 상기 세계의 표현은 특정한 시점으로부터의 컴퓨터 생성 이미지인 것이 전형적일 것이다.
예를 들면, 한 가지 일반적인 표현은 상기 휴대용 내비게이션 기기의 현재 위치 주변에 있는 지역의 조감 뷰를 보여주도록 고도 위치에서, z-방향으로, 그리고 0°피치 각을 가지고 배치되어 있는 카메라(도 4c 참조)에서 보이는 대로 이미지가 생성되는 2차원(2D) 뷰이다. 그러한 뷰의 일 예는 도 4a에 도시되어 있으며 도 4a에는 상기 휴대용 내비게이션 기기의 현재 위치가 아이콘(401)으로 나타나 있으며 다음에 나오게 되는 사전에 결정된 경로는 노선(403)으로 나타나 있다. 이러한 뷰에서는, 상기 카메라가 상기 경로를 따라 상기 휴대용 내비게이션 기기의 이동을 추적하도록 x-y 평면(다시 말하면, z-축에 수직인 결과적으로는 상기 휴대용 내비게이션 기기가 이동하고 있는 표면과 나란한 평면)으로 이동 가능하다.
다른 한 가지 일반적인 표현은 상기 휴대용 내비게이션 기기의 현재 위치 주변에 있는 지역의 투시 뷰를 보여주도록 고도 위치에 배치되어 있지만 예를 들면 30° 피치 각(90°피치 각은 카메라가 지표면의 평면과 나란히 향하게 되도록 이루어지는 각임)을 지니는 카메라에서 보이는 대로 이미지가 생성되게 하는 3차원(3D) 뷰이다. 그러한 뷰의 일 예는 도 4b에 도시되어 있으며, 당업자라면 상기 카메라가 상기 휴대용 내비게이션 기기의 주행 방향에 기반을 두고 상기 휴대용 내비게이션 기기의 현재 위치를 배후로 하여 사전에 결정된 위치에, 다시 말하면 x-y 평면에 있음으로써, 상기 휴대용 내비게이션 기기의 현재 위치를 나타내는 아이콘(405)이 상기 뷰에서 보일 수 있게 됨을 이해할 것이다. 이러한 뷰에서는, 상기 카메라가 사전에 결정된 경로(407)를 따라 상기 휴대용 내비게이션 기기의 이동을 추적하는 것이 전형적일 것이며, 상기 카메라의 시각 중심은 결과적으로 상기 휴대용 내비게이션 기기의 주행 방향을 따라서(또는 상기 사전에 결정된 경로의 도로를 따라서) 표시된다.
몇몇 복잡한 분기점들에 대하여는, 접근하고 있는 분기점의 개략적인 뷰와 함께 3D 안내 뷰의 결합을 보여주고 더 구체적으로 취해지게 되는 동작을 사용자에게 보여주는 것이 또한 공지되어 있다. 그러한 뷰의 일 예가 도 5에 도시되어 있는데, 여기에서는 상기 안내 뷰(500)가 화면 좌측면 상에 나타나게 되고 분기점 뷰(501)가 화면 우측면 상에서 나타나게 된다. 더 구체적으로 기술하면, 상기 안내 뷰(500)는 다음에 노선(502)이 나오게 되는 경로, 아이콘(503)에 의한 상기 휴대용 내비게이션 기기의 현재 위치, 및 화살표(404)에 의해 다음 분기점에서 취해지게 되는 동작을 디스플레이한다. 한편, 상기 분기점 뷰(501)에서는, 원하는 동작을 완료하는데 어느 도로 차선에 사용자가 있어야 하는 지를 알려준다. 그러나 예컨대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일반 안내 모드들에 대한 이러한 개선들에도 불구하고, 본원 출원인은 2개의 화면(501, 502)이 동작을 수행하는데 충분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여야 하고 사용자가 각각의 화면과는 다른 정보를 취해야 하기 때문에, 이는 혼란을 초래할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내비게이션(또는 안내) 지시사항들을 제공하는 다른 한 가지 방법은 "현실 증강(augment reality)"을 위해 상기 휴대용 내비게이션 기기 앞에 있는 지역을 보여주는 카메라로부터의 이미지들 상에 상기 지시사항들을 중첩하는 것이다. 그러한 기기들에 대한 추가적인 세부들은 예를 들면 2006년 12월 14일 공개된 WO 2006/132522 A1에서 찾아 볼 수 있는데, WO 2006/132522 A1의 전체 내용은 본원 명세서에 참조 병합된다. 마찬가지로, 그리고 카메라 이미지상에 상기 지시사항들을 중첩하여 디스플레이 화면상에 그 결과로 획득된 결합을 디스플레이하기보다는 오히려, 사용자가 자신의 시야에서 상기 지시사항들을 볼 수 있도록 헤드-업 디스플레이(heads-up display; HUD)의 일부로서 상기 지시사항들을 예컨대 표면상에 투영하는 것이 또한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이해하겠지만, 그리고 특히 복잡한 분기점들 및 교차점들의 경우에, 이러한 방식으로 지시사항들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은 접근하고 있는 분기점의 조성 또는 상기 분기점에서 취해져야 하는 동작들에 대해 충분한 통찰을 사용자에게 항상 제공하지 못한다.
그러므로 본원 출원인은 내비게이션 지시사항들을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는 개선된 방법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의하면, 휴대용 내비게이션 기기의 디스플레이 기기상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내비게이션 지시사항들을 생성하는 방법이 제공되며, 상기 내비게이션 지시사항들을 생성하는 방법은,
상기 휴대용 내비게이션 기기가 주행할 수 있게 하는 내비게이트 가능한 네트워크에 관련된 디지털 맵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소(repository)에 액세스하는 단계;
상기 휴대용 내비게이션 기기가 상기 내비게이트 가능한 네트워크를 통해 계획된 경로를 주행함에 따라 상기 휴대용 내비게이션 기기를 따르도록 업데이트되는, 상기 휴대용 내비게이션 기기의 현재 위치를 배후로 하여 고도 및 피치 각으로 배치되어 있는 카메라에서 보이는 대로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상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상기 디지털 맵 데이터를 나타내는 모델의 3차원 투시 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휴대용 내비게이션 기기의 현재 위치가 상기 계획된 경로에서의 의사결정 지점(decision point)에 이르기까지 사전에 결정된 거리보다 가까운 것으로 검출함에 응답하여, 상기 휴대용 내비게이션 기기의 현재 위치의 주행 속도보다 빠른 속도로 상기 계획된 경로를 따른 3차원 투시 뷰를 위해 상기 카메라의 위치를 전진함으로써 다가오고 있는 의사결정 지점의 빨리감기 미리보기(fast forward preview)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본원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들 또는 실시 예들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기기, 바람직하게는 내비게이션 기기에 이르기까지 확장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의하면, 휴대용 내비게이션 기기의 디스플레이 기기상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내비게이션 지시사항들을 생성하는 기기가 제공되며, 상기 내비게이션 지시사항들을 생성하는 기기는,
상기 휴대용 내비게이션 기기가 주행할 수 있게 하는 내비게이트 가능한 네트워크에 관련된 디지털 맵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소(repository)에 액세스하는 수단;
상기 휴대용 내비게이션 기기가 상기 내비게이트 가능한 네트워크를 통해 계획된 경로를 주행함에 따라 상기 휴대용 내비게이션 기기를 따르도록 업데이트되는, 상기 휴대용 내비게이션 기기의 현재 위치를 배후로 하여 고도 및 피치 각으로 배치되어 있는 카메라에서 보이는 대로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상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상기 디지털 맵 데이터를 나타내는 모델의 3차원 투시 뷰를 생성하는 수단; 및
상기 휴대용 내비게이션 기기의 현재 위치가 상기 계획된 경로에서의 의사결정 지점(decision point)에 이르기까지 사전에 결정된 거리보다 가까운 것으로 검출함에 응답하여, 상기 휴대용 내비게이션 기기의 현재 위치의 주행 속도보다 빠른 속도로 상기 계획된 경로를 따른 3차원 투시 뷰를 위해 상기 카메라의 위치를 전진함으로써 다가오고 있는 의사결정 지점의 빨리감기 미리보기(fast forward preview)를 생성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당업자라면 이해하겠지만 본 발명의 이러한 부가적인 실시 형태는 적절한 때에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들 중 어느 한 실시 형태에 대해 본원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하고 선택적인 특징들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특징들 또는 모든 특징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적절한 때에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들 중 어느 한 실시 형태에 대해 본원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하고 선택적인 특징들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특징들 또는 모든 특징들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는 경우에는, 본원 명세서에서 본 발명의 상기 내비게이션 지시사항들을 생성하는 기기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들 또는 실시 예들 중 어느 하나에서 본 발명의 방법과 관련하여 기재한 임의의 단계를 수행하는 수단을 포함할 수 있으며 그의 역도 성립한다.
본 발명은 컴퓨터 구현 발명이며, 본 발명의 실시 형태들 또는 실시 예들 중 어느 하나와 관련하여 기재한 단계들 중 어느 하나는 한 세트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의 제어하에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시스템과 관련하여 기재한 단계들 중 어느 한 단계를 수행하는 수단은 한 세트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어느 한 실시 예에서 본 발명의 상기 내비게이션 지시사항들을 생성하는 기기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싱 기기일 수 있다. 상기 프로세싱 기기 또는 소정의 프로세싱 기기는 휴대용 내비게이션 기기(portable navigation device; PND)이든 통합된 기기이든 내비게이션 기기일 수도 있고 서버일 수도 있다.
상기 내비게이션 지시사항들을 생성하는 방법이 내비게이션 기기상에서 구현되는 실시 예들에서는, 상기 내비게이션 지시사항들을 생성하는 기기가 상기 내비게이션 기기의 위치를 결정하는 위치 검출 수단, 예컨대, 글로벌 내비게이션 위성 시스템(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s; GNSS), 예컨대 GPS 또는 GLONASS 수신기를 포함한다. 당업자라면 이해하겠지만 상기 내비게이션 지시사항들을 생성하는 기기는 원하는 경우 자신의 현재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다른 수단, 예컨대, 지상파 비컨, 모바일 원격통신 네트워크 등등을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한 실시 예에서는, 휴대용 내비게이션 기기가 제공되며,
상기 휴대용 내비게이션 기기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상기 휴대용 내비게이션 기기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위치 검출 수단;
디스플레이 기기;
상기 휴대용 내비게이션 기기가 주행할 수 있게 하는 내비게이트 가능한 네트워크에 관련된 디지털 맵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소(repository); 및
상기 프로세서들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휴대용 내비게이션 기기로 하여금,
상기 휴대용 내비게이션 기기가 상기 내비게이트 가능한 네트워크를 통해 계획된 경로를 주행함에 따라 상기 휴대용 내비게이션 기기를 따르도록 업데이트되는, 상기 휴대용 내비게이션 기기의 현재 검출된 위치를 배후로 하여 고도 및 피치 각으로 배치되어 있는 카메라에서 보이는 대로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상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상기 디지털 맵 데이터를 나타내는 모델의 3차원 투시 뷰를 생성하게 하고; 그리고
상기 휴대용 내비게이션 기기의 현재 위치가 상기 계획된 경로에서의 의사결정 지점(decision point)에 이르기까지 사전에 결정된 거리보다 가까운 것으로 검출함에 응답하여, 상기 휴대용 내비게이션 기기의 현재 위치의 주행 속도보다 빠른 속도로 상기 계획된 경로를 따른 3차원 투시 뷰를 위해 상기 카메라의 위치를 전진함으로써 다가오고 있는 의사결정 지점의 빨리감기 미리보기(fast forward preview)를 생성하게 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메모리;를 포함한다.
상기 내비게이션 지시사항들을 생성하는 방법이 서버상에서 구현되는 실시 예들에서는, 상기 서버가 내비게이션 기기의 현재 위치를 주기적으로 수신하고, 상기 내비게이션 기기의 디스플레이 기기상의 디스플레이를 위해 상기 생성된 내비게이션 지시사항들을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 예들에서는, 상기 카메라의 피치 각 및/또는 상기 카메라의 고도가 상기 빨리감기 미리보기 동안 변경된다. 상기 피치 각은 상기 빨리감기 미리보기 동안 20°- 40°로부터 50°- 70°로 증가하게 될 수 있다. 상기 고도는 상기 빨리감기 미리보기 동안 감소하게 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 예들에서는, 상기 카메라가 상기 빨리감기 미리보기 동안 겉보기 줌인 뷰(apparent zoomed in view)를 제공하도록 바뀌게 된다. 실시 예들에서는, 상기 빨리감기 미리보기는 상기 휴대용 내비게이션 기기의 현재 위치가 상기 빨리감기 미리보기에서 더 보이지 않도록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카메라의 피치 각 및 고도는 일단 상기 카메라가 상기 휴대용 내비게이션 기기의 현재 위치 추적을 재개하면 다시 원래 상태로 변경된다.
그러므로 당업자라면 상기 빨리감기 미리보기 동안 상기 카메라의 위치가 상기 휴대용 내비게이션 기기보다 빠른 의사결정 지점으로 전진되고 상기 카메라가 상기 의사결정 지점의 미리보기를 제공하려고 정지하게 되는 것이 바람직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한 실시 예들에서는, 상기 휴대용 내비게이션 기기의 현재 위치가 상기 의사결정 지점에서 상기 카메라를 따라잡을 때 상기 카메라가 상기 휴대용 내비게이션 기기의 현재 위치 추적을 재개한다.
실시 예들에서는, 지시사항들은 부가적으로 상기 휴대용 내비게이션 기기의 위치의 느린 진전 또는 계획된 경로로부터의 항로변경에 응답하여 상기 카메라가 사용자 입력의 수신시 상기 휴대용 내비게이션 기기의 현재 위치를 수동으로 또는 자동으로 추적하는 기능으로 되돌아가게 되도록 상기의사결정 지점의 빨리감기 미리보기가 사용되지 않게 한다. 실시 예들에서는, 상기 내비게이션 지시사항들을 생성하는 기기는 부가적으로 상기 휴대용 내비게이션 기기의 주행 속도로 재개된 진전 및/또는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의사결정 지점의 사전에 사용하지 않게 된 빨리감기 미리보기가 재개되게 하도록 동작 가능하다.
실시 예들에서는, 상기 내비게이트 가능한 네트워크는 도로망이며 상기 사전에 결정된 거리는 상기 디지털 맵 데이터로 저장되어 있을 때 상기 휴대용 내비게이션 기기가 현재 주행하고 있는 도로의 기능에 따른 도로 등급에 의존한다.
실시 예들에서는, 상기 디지털 맵에서의 의사결정 지점은 상기 계획된 경로를 포함한, 상기 내비게이트 가능한 네트워크의 다수의 이용 가능한 경로 중 하나를 따라 상기 휴대용 내비게이션 기기의 사용자가 내비게이트하기로 선택할 수 있는 상기 디지털 맵 내의 위치, 분기점 또는 교차로이다.
실시 예들에서는, 상기 내비게이션 지시사항들을 생성하는 방법은 부가적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상의 디스플레이를 위해 상기 계획된 경로를 나타내는 다음에 나오게 되는 노선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3차원 투시 뷰는 상기 내비게이트 가능한 네트워크의 이용 가능한 노선들을 보여주고 상기 노선은 상기 휴대용 내비게이션 기기가 주행하고 있는 결정된 현재 차선을 통과함에 따라 다음에 나오게 되는 경로를 보여준다. 상기 휴대용 내비게이션 기기가 주행하고 있는 결정된 현재 차선이 상기 계획된 경로를 따르도록 다가오고 있는 의사결정 지점, 예컨대 접근하고 있는 분기점에서 취해지게 되는 동작(manoeuvre)에 연관된 차선 또는 차선들과 다른 것으로 검출함에 응답하여, 상기 생성된 뷰는, 다음에 나오게 되는 경로를 보여주는 노선이 사용자에게 차선 변경 지시사항을 알려주도록 적응된다.
여기서 고려할 점은 사용자가 차선 변경을 필요로 함을 알려주는 내비게이션 지시사항들의 생성이 그 자체로 신규하고 진보성을 갖는다는 점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한 실시 형태에 의하면, 휴대용 내비게이션 기기의 디스플레이 기기상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내비게이션 지시사항들을 생성하는 방법이 제공되며, 상기 내비게이션 지시사항들을 생성하는 방법은,
상기 휴대용 내비게이션 기기가 주행할 수 있게 하는 내비게이트 가능한 네트워크에 관련된 디지털 맵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소(repository)에 액세스하는 단계로서, 상기 디지털 맵 데이터는 상기 내비게이트 가능한 네트워크의 이용 가능한 차선들에 관련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단계;
상기 휴대용 내비게이션 기기가 계획된 경로를 주행함에 따라 상기 휴대용 내비게이션 기기를 따르도록 업데이트되는, 상기 휴대용 내비게이션 기기의 현재 위치를 배후로 하여 고도 및 피치 각으로 배치되어 있는 카메라에서 보이는 대로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상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상기 디지털 맵 데이터를 나타내는 모델의 3차원 투시 뷰를 생성하는 단계로서, 상기 3차원 투시 뷰는 상기 내비게이트 가능한 네트워크의 이용 가능한 차선들을 보여주고, 다음에 나오게 되는 계획된 경로는 노선으로서 상기 뷰에 보이게 되고, 상기 노선은 상기 휴대용 내비게이션 기기가 주행하고 있는 결정된 현재 차선을 통과함에 따라 다음에 나오게 되는 경로를 보여주는, 단계; 및
상기 휴대용 내비게이션 기기가 주행하고 있는 결정된 현재 차선이 상기 계획된 경로를 따르도록 다가오고 있는 의사결정 지점에서 취해지게 되는 동작(manoeuvre)에 연관된 차선 또는 차선들과 다른 것으로 검출함에 응답하여 상기 생성된 뷰를, 다음에 나오게 되는 경로를 보여주는 노선이 사용자에게 차선 변경 지시사항을 알려주도록 적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본원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들 또는 실시 예들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기기, 바람직하게는 내비게이션 기기에 이르기까지 확장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부가적인 실시 형태에 의하면, 휴대용 내비게이션 기기의 디스플레이 기기상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내비게이션 지시사항들을 생성하는 기기가 제공되며, 상기 내비게이션 지시사항들을 생성하는 기기는,
상기 휴대용 내비게이션 기기가 주행할 수 있게 하는 내비게이트 가능한 네트워크에 관련된 디지털 맵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소(repository)에 액세스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디지털 맵 데이터는 상기 내비게이트 가능한 네트워크의 이용 가능한 차선들에 관련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수단;
상기 휴대용 내비게이션 기기가 계획된 경로를 주행함에 따라 상기 휴대용 내비게이션 기기를 따르도록 업데이트되는, 상기 휴대용 내비게이션 기기의 현재 위치를 배후로 하여 고도 및 피치 각으로 배치되어 있는 카메라에서 보이는 대로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상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상기 디지털 맵 데이터를 나타내는 모델의 3차원 투시 뷰를 생성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3차원 투시 뷰는 상기 내비게이트 가능한 네트워크의 이용 가능한 차선들을 보여주고, 다음에 나오게 되는 계획된 경로는 노선으로서 상기 뷰에 보이게 되고, 상기 노선은 상기 휴대용 내비게이션 기기가 주행하고 있는 결정된 현재 차선을 통과함에 따라 다음에 나오게 되는 경로를 보여주는, 수단; 및
상기 휴대용 내비게이션 기기가 주행하고 있는 결정된 현재 차선이 상기 계획된 경로를 따르도록 다가오고 있는 의사결정 지점에서 취해지게 되는 동작(manoeuvre)에 연관된 차선 또는 차선들과 다른 것으로 검출함에 응답하여 상기 생성된 뷰를, 다음에 나오게 되는 경로를 보여주는 노선이 사용자에게 차선 변경 지시사항을 알려주도록 적응시키는 수단;을 포함한다.
당업자라면 이해하겠지만 본 발명의 이러한 부가적인 실시 형태는 적절한 때에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들 중 어느 한 실시 형태에 대해 본원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하고 선택적인 특징들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특징들 또는 모든 특징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적절한 때에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들 중 어느 한 실시 형태에 대해 본원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하고 선택적인 특징들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특징들 또는 모든 특징들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는 경우에는, 본원 명세서에서 본 발명의 상기 내비게이션 지시사항들을 생성하는 기기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들 또는 실시 예들 중 어느 하나에서 본 발명의 방법과 관련하여 기재한 임의의 단계를 수행하는 수단을 포함할 수 있으며 그의 역도 성립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부가적인 실시 형태들에 의하면 컴퓨터 구현 발명이며, 본 발명의 실시 형태들 또는 실시 예들 중 어느 하나와 관련하여 기재한 단계들 중 어느 하나는 한 세트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의 제어하에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시스템과 관련하여 기재한 단계들 중 어느 한 단계를 수행하는 수단은 한 세트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어느 한 실시 예에서 본 발명의 상기 내비게이션 지시사항들을 생성하는 기기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싱 기기일 수 있다. 상기 프로세싱 기기 또는 소정의 프로세싱 기기는 휴대용 내비게이션 기기(portable navigation device; PND)이든 통합된 기기이든 내비게이션 기기일 수도 있고 서버일 수도 있다.
따라서, 한 실시 예에서는, 휴대용 내비게이션 기기가 제공되며,
상기 휴대용 내비게이션 기기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상기 휴대용 내비게이션 기기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위치 검출 수단;
디스플레이 기기;
상기 휴대용 내비게이션 기기가 주행할 수 있게 하는 내비게이트 가능한 네트워크에 관련된 디지털 맵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소(repository)로서, 상기 디지털 맵 데이터는 상기 내비게이트 가능한 네트워크의 이용 가능한 차선들에 관련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저장소; 및
상기 프로세서들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휴대용 내비게이션 기기로 하여금,
상기 휴대용 내비게이션 기기가 계획된 경로를 주행함에 따라 상기 휴대용 내비게이션 기기를 따르도록 업데이트되는, 상기 휴대용 내비게이션 기기의 현재 위치를 배후로 하여 고도 및 피치 각으로 배치되어 있는 카메라에서 보이는 대로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상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상기 디지털 맵 데이터를 나타내는 모델의 3차원 투시 뷰를 생성하게 하는 명령어를 포함하고, 상기 3차원 투시 뷰는 상기 내비게이트 가능한 네트워크의 이용 가능한 차선들을 보여주고, 다음에 나오게 되는 계획된 경로는 노선으로서 상기 뷰에 보이게 되고, 상기 노선은 상기 휴대용 내비게이션 기기가 주행하고 있는 결정된 현재 차선을 통과함에 따라 다음에 나오게 되는 경로를 보여주는, 메모리로서,
상기 프로세서들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휴대용 내비게이션 기기로 하여금,
상기 휴대용 내비게이션 기기가 주행하고 있는 결정된 현재 차선이 상기 계획된 경로를 따르도록 다가오고 있는 의사결정 지점에서 취해지게 되는 동작(manoeuvre)에 연관된 차선 또는 차선들과 다른 것으로 검출함에 응답하여 상기 생성된 뷰를, 다음에 나오게 되는 경로를 보여주는 노선이 사용자에게 차선 변경 지시사항을 알려주도록 적응시키게 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메모리;를 포함한다.
실시 예들에서는, 상기 차선 변경 지시사항이 상기 계획된 경로를 따르도록 상기 다가오고 있는 의사결정 지점, 예컨대, 접근하고 있는 분기점에서 취해지게 되는 동작에 연관된다.
실시 예들에서는, 상기 지시사항은 상기 현재 차선이 다가오고 있는 의사결정 지점, 예컨대 접근하고 있는 분기점 전에 변경되어야 함을 사용자에게 알려주도록 형상화되는 다음에 나오게 되는 경로를 보여주는 노선에 의해 제공된다.
상기 지시사항은 상기 분기점으로부터 사전에 결정된 거리 또는 시간으로 나타나게 될 수 있다. 변형적으로는, 상기 지시사항은 다가오고 있는 의사결정 지점, 예컨대 접근하고 있는 분기점에 대해 차선을 변경하도록 첫 번째 기회로 배치될 수 있다.
실시 예들에서는, 상기 휴대용 내비게이션 기기의 현재 차선이 상기 지시사항에 따라 변경되는 것으로 결정함에 응답하여, 상기 생성된 뷰는 다음에 나오게 되는 경로를 보여주는 노선이 사용자에게 차선 변경 지시사항을 더 보여주지 않도록 적응된다.
실시 예들에서는, 다음에 나오게 되는 경로를 보여주는 노선은 상기 휴대용 내비게이션 기기의 현재 차선이 상기 지시사항에 따라 변경되는 것으로 결정이 이루어질 때까지 상기 휴대용 내비게이션 기기의 이동이 다음에 이어지게 함에 따라 사용자에게 차선 변경 지시사항을 계속해서 알려준다. 계속된 알림은 상기 휴대용 내비게이션 기기의 현재 차선이 상기 지시사항에 따라 변경되는 것으로 결정이 이루어질 때까지 상기 휴대용 내비게이션 기기의 위치와 동시에 이동하도록 하는 지시사항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실시 예들에서는, 일단 상기 휴대용 내비게이션 기기의 현재 위치가 상기 지시사항 전에 사전에 결정된 거리에 있는 위치이면, 상기 지시사항은 상기 휴대용 내비게이션 기기의 위치와 동시에 이동하게 하여, 상기 휴대용 내비게이션 기기의 현재 차선이 상기 지시사항에 따라 변경되는 것으로 결정이 이루어질 때까지 상기 휴대용 내비게이션 기기의 위치 및 상기 지시사항 간에 사전에 결정된 거리를 유지하게 한다.
실시 예들에서는, 상기 내비게이트 가능한 네트워크의 이용 가능한 차선들은 도로 표시들, 선택적으로는 디지털 맵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에 기반을 두고 생성된 가상 도로 표시들에 의해 상기 3차원 투시 뷰에서 보이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도로 표시들은 단지 상기 계획된 경로에 관련된 내비게이트 가능한 네트워크의 부분들을 통해 렌더링된 뷰에서 보이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도로 표시들은 단지 상기 검출된 휴대용 내비게이션 기기의 위치에 국부적인 내비게이트 가능한 네트워크의 부분들을 통해 렌더링된 뷰에서 보이게 된다.
실시 예들에서는, 상기 디지털 맵 데이터는 적어도 상기 내비게이트 가능한 네트워크의 한 섹션에서 이용 가능한 다수의 차선에 관련된 데이터를 포함하며, 선택적으로는 분기점들에서 취해지게 되는 동작들에 대한 차선 알림들에 관련된 데이터를 부가적으로 포함한다.
실시 예들에서는, 다음에 나오게 되는 경로를 보여주는 노선은 상기 계획된 경로를 따르도록 접근하고 있는 분기점에서 취해지게 되는 동작을 성공적으로 완료하도록 점유될 수 있는 가능한 모든 차선들을 커버한다.
실시 예들에서는, 상기 휴대용 내비게이션 기기가 주행하고 있는 상기 내비게이트 가능한 네트워크의 현재 차선은 차선 결정 수단으로부터 수신된 데이터 피드로부터 결정되며, 상기 차선 결정 수단은 선택적으로 상기 휴대용 내비게이션 기기(비록 상기 휴대용 내비게이션 기기에 동작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하더라도)와 분리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휴대용 내비게이션 기기의 현재 차선은 카메라, 라이더 센서(lidar sensor), 레이더, GNSS 수신기, 및 관성 측량기(inertial measurement unit)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으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에 기반을 두고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들 중 어느 한 방법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소프트웨어, 예컨대 컴퓨터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들 또는 실시 예들 중 어느 하나를 따른 방법을 수행하거나 기기, 예컨대 휴대용 내비게이션 기기 및/또는 서버로 하여금 본 발명의 실시 형태들 또는 실시 예들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게 하도록 실행 가능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에 이르기까지 확장된다.
이에 상응하여, 본 발명은 컴퓨터 소프트웨어 캐리어에 이르기까지 확장되며 상기 컴퓨터 소프트웨어 캐리어는 데이터 프로세싱 수단을 포함하는 시스템 또는 장치를 동작시키도록 사용될 경우에 상기 데이터 프로세싱 수단과 함께 상기 장치 또는 시스템으로 하여금 본 발명의 방법들의 단계들을 수행하게 하는 그러한 소프트웨어를 포함한다. 이러한 컴퓨터 소프트웨어 캐리어는 ROM 칩, CD ROM 또는 디스크와 같은 비 일시적인 물리적 저장 매체일 수도 있으며, 유선을 통한 전기 신호, 광 신호 또는 위성 따위와 같은 무선 신호와 같은 신호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은 기계에 의해 판독될 경우에 상기 기기로 하여금 본 발명의 실시 형태들 또는 실시 예들 중 어느 한 실시 형태 또는 실시 예의 방법에 따라 동작하게 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기계 판독가능 매체를 제공한다.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는 경우에는, 당업자라면 본 발명이 본 발명의 실시 형태들 중 어느 하나에서 상호 배타적이지 않는 정도에 이르기까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들 또는 실시 예들에 대해 기재되어 있는 특징들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지금까지는 본 방법에서 그리고 본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는 여러 동작 실시 예가 설명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동작들 중 임의의 하나 또는 그 이상 또는 모두가 본 방법에서 그리고 본 장치에 의해, 임의의 결합으로, 필요에 따라, 그리고 적절한 때에 수행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당업자라면 상기 다가오고 있는 의사결정 지점의 빨리감기 미리보기의 제공이 지금까지 상기 내비게이트 가능한 네트워크를 통한 계획된 경로와 관련하여 논의되었지만, 그러한 기능은 소정의 경로가 사전에 계획되었든 계획되지 않았든 상관없이 상기 내비게이트 가능한 네트워크의 횡단시 직면하게 될 수 있는 임의의 의사결정 지점과 관련하여 제공될 수 있는 것으로도 예상된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면, 상기 사용자가 "자유-주행(free-driving)", 다시 말하면 다음에 나오게 되는 경로를 먼저 계산하지 않고 주행하는 경우에, 각각의 다가오고 있는 의사결정 지점(또는 단지 몇몇의 사전에 결정된 기준들을 충족하고 있는 지점들만)에 대해 빨리감기 미리보기가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 예들의 이점들은 이하에 기재되어 있으며, 이러한 실시 예들 각각의 부가적인 세부들 및 특징들이 첨부된 종속 청구항들에서 그리고 이하 구체적인 내용의 다른 부분에서 정의된다.
지금부터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이 단지 예로서 첨부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내비게이션 기기에 의해 사용 가능한 위성 위치 확인 시스템(Global Positioning System; GPS)의 전형적인 부분을 개략적으로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전형적인 내비게이션 기기의 전자 구성요소들을 개략적으로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전형적인 내비게이션 기기를 장착 및/또는 도킹하는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a는 종래의 내비게이션 기기들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은 전형적인 2D 안내 뷰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4b는 (도 4c에 도시되어 있는 속성들을 갖는 카메라를 사용하여 생성되는) 종래의 내비게이션 기기들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은 전형적인 3D 안내 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종래의 내비게이션 기기들에서 복잡한 분기점들 용으로 사용 가능한 접근하고 있는 분기점의 개략적인 뷰와 함께 3D 안내 뷰의 결합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a는 내비게이션 기기의 디스플레이 기기상에 디스플레이되는 분기점의 전형적인 뷰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6b는 운전자 차량의 윈드스크린을 통해 운전자가 보았을 때 동일한 분기점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3D 안내 뷰를 생성하는데 사용되는 다양한 구성요소의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a - 도 8j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접근하고 있는 분기점의 빨리감기 미리보기(fast forward preview)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9는 도 8a - 도 8j의 빨리감기 미리보기를 수행할 때 카메라의 속도, 고도 및 피치 각의 변화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그래픽 아이콘들이 빨리감기 미리보기를 개시하거나 취소하도록 선택될 수 있는 안내 뷰의 실시 예들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1은 다소 관련 있는 도로들 간에 구분이 이루어지게 되는 안내 뷰의 실시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는 따라가게 되어 있는 디스플레이되는 계산된 경로의 투명성이 변하게 되는 안내 뷰의 실시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3은 사용자가 주행할 수 있는 임의의 차선을 디스플레이되는 경로가 포함하고 있는 안내 뷰의 실시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4a 및 도 14b는 안내 뷰에 추가 정보가 보충되는 안내 뷰의 실시 예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5a 및 도 15b, 및 도 16a - 도 16f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차선 안내를 제공하는 전형적인 방식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주목되고 간단한 방식으로 사용자가 필요한 모든 정보를 제공하는 내비게이션 뷰로서, 단지 사방을 둘러봄으로써 운전자가 볼 수 있는 것의 반복 이상인 내비게이션 뷰를 제공하고자 하는 소망이 존재함을 인식하게 되었다. 이는 예를 들면 사용자 주변 및 전방에 있는 지역, 예컨대, 도로, 건물 등등의 현실적인 뷰를 생성하고, 특정 차선 표시들, 다음에 나오게 되는 경로의 알림, 사용될 차선들의 알림, 도로 표지들, 교통 신호등의 위상 중 하나 또는 그 이상과 같은 추가적인 정보를 이러한 뷰에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그러한 뷰의 일 예는 도 6a에 도시되어 있으며 여기에서는 사용자가 다수의 교차로를 갖는 복잡한 분기점(600)에 접근하고 있다. 다음에 사용자가 따라가야 하는 도로는 노선(601)으로 나타나 있으며 사용자의 현재 위치는 아이콘(602)으로 나타나 있다. 적어도 현재 도로상의 차선들의 수가 차선 운전자들(604)의 사용을 통해 나타나 있으며, 화살표들(606)은 상기 접근하고 있는 분기점(600)에서 각각의 차선에 대해 취해질 수 있는 가능한 동작들을 보여준다. 상기 뷰는 또한 횡단 보도(608) 및 "공공 통행로(right of way)" 표시자들과 같은 특징들을 현재 도로 상에 보여주고 부가적인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그에 비해 운전자 차량의 윈드스크린을 통해 운전자가 보았을 때 동일한 분기점(600)의 뷰가 도 6b에 도시되어 있다.
지금부터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이 특별히 휴대용 내비게이션 기기(Portable Navigation Device; PND)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그러나 여기서 기억해 두어야 할 점은 본 발명의 교시들이 PND들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그 대신에 경로 계획 및 내비게이션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휴대 가능한 방식으로 내비게이션 소프트웨어를 실행하도록 구성되는 임의 타입의 프로세싱 기기에 보편적으로 적용 가능하다는 점이다. 그러므로 본원과 관련하여, 내비게이션 기기가 PND, 자동차와 같은 차량, 또는 실제로는 경로 계획 및 내비게이션 소프트웨어를 실행하는 휴대용 컴퓨팅 자원, 예를 들면 휴대 가능한 개인용 컴퓨터(PC; personal computer), 모바일 전화,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DA; portable digital assistant)로서 구체화되든 상관없이, 임의 타입의 경로 계획 및 내비게이션 기기를 (제한 없이) 포함하도록 의도된 것으로 추정된다.
더욱이,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도로망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여기서 이해하여야 할 점은 본 발명이 또한 보행자 도로, 강, 운하, 자전거 도로 따위와 같은 다른 내비게이트 가능한 네트워크들에 적용 가능할 수 있다는 점이다.
위의 단서들을 고려하여, 도 1의 위성 위치 확인 시스템(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따위가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GPS는 무제한의 사용자들을 위한 지속적인 위치, 속도, 시간 및 어떤 경우에는 방향 정보를 결정하는 것이 가능한 위성-무선 기반 내비게이션 시스템이다. 이전에 NAVSTAR로서 알려진, GPS는 매우 정확한 궤도들을 그리면서 지구를 도는 복수의 위성들을 통합한다. 이러한 정확한 궤도들에 기반을 두고, GPS 위성들은 임의 개수의 수신 유닛들에 대해 GPS 데이터로서 자신들의 위치를 릴레이할 수 있다. 그러나 여기서 이해할 점은 GLOSNASS, 유럽 갈릴레오 위치 확인 시스템, COMPASS 위치 확인 시스템 또는 IRNSS(Indian Regional Navigational Satellite System)와 같은 위성 위치 확인 시스템이 사용될 수 있다는 점이다.
GPS 시스템은 특히 GPS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장착된 기기가 GPS 위성 신호들에 대한 무선 주파수들을 스캐닝하기 시작할 때 구현된다. 한 GPS 위성으로부터 무선 신호를 수신할 경우에, 상기 기기는 복수의 다른 기존의 방법들 중 하나의 방법을 통해 그러한 위성의 정확한 위치를 결정한다. 상기 기기는, 대부분의 경우에, 상기 기기가 적어도 3개의 다른 위성 신호들을 획득할 때까지 신호들의 스캐닝을 계속하게 된다(여기서 유념할 점은 위치가 일반적이지는 않지만 다른 삼각 기법들을 사용하여 단지 2개의 신호만을 가지고 결정될 수 있다는 점이다). 기하학적인 삼각 측량(geometric triangulation)을 구현할 경우에, 수신기는 3개의 알려진 위치들을 이용하여 상기 위성들에 대해 자기 자신의 2-차원 위치를 결정한다. 이는 공지의 방법으로 행해질 수 있다. 그 외에도, 제4의 위성 신호의 획득은 수신 기기가 공지의 방법으로 동일한 기하학적인 계산을 통해 자신의 3-차원 위치를 계산하는 것을 허용한다. 상기 위치 및 속도 데이터는 무제한의 사용자들에 의해 지속적으로 실시간 업데이트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GPS 시스템(100)은 지구(104)를 중심으로 궤도를 돌고 있는 복수의 위성들(102)을 포함한다. GPS 수신기(106)는 상기 복수의 위성들(102)의 개수로부터 GPS 데이터를 확산 스펙트럼 GPS 위성 데이터 신호들(108)로서 수신한다. 상기 확산 스펙트럼 데이터 신호들(108)은 각각의 위성(102)으로부터 지속적으로 전송되며, 상기 전송되는 확산 스펙트럼 데이터 신호들(108) 각각은 데이터 스트림이 발생하게 되는 특정 위성(102)을 식별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스트림을 포함한다. 상기 GPS 수신기(106)는 2-차원 위치를 계산할 수 있도록 적어도 3개의 위성(102)으로부터의 확산 스펙트럼 데이터 신호들(108)을 필요로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제4 확산 스펙트럼 데이터 신호의 수신은 상기 GPS 수신기(106)가 공지의 기법인, 3-차원 위치를 사용하여 계산하는 것을 허용한다.
도 2에는 전형적인 내비게이션 기기(200), 예컨대, PND가 도시되어 있는데, 여기서 유념해야 할 점은 상기 내비게이션 기기(200)의 블록도가 상기 내비게이션 기기의 모든 구성요소들을 포함하고 있는 것이 아니고, 단지 여러 대표적인 구성요소들을 나타내고 있는 것뿐이다는 점이다. 상기 내비게이션 기기(200)는 하우징(도시되지 않음) 내에 위치해 있다. 상기 내비게이션 기기(200)는 예를 들면 위에서 언급된 프로세서(202)로서, 입력 기기(204) 및 디스플레이 기기,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스크린(206)에 연결된 프로세서(202)를 포함하는 프로세싱 회로를 포함한다. 비록 본 도면에서 상기 입력 기기(204)가 단일 형태로 언급되어 있지만, 당업자라면 상기 입력 기기(204)가 키보드 기기, 음성 입력 기기, 터치 패널 및/또는 정보의 입력에 이용되는 기타 공지된 입력 기기를 포함하는 임의 개수의 입력 기기들을 나타낸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마찬가지로,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206)은 예를 들면 액정 디스플레이(LCD; Liquid Crystal Display)와 같은 임의 타입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다.
한가지 구성에서는, 상기 입력 기기(204) 및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206)은, 사용자가 단지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206)의 일부분만을 터치하여 복수의 디스플레이 선택들 중 하나를 선택하거나 복수의 가상 또는 "소프트(soft)" 버튼들을 중 하나를 활성화시키도록 (직접 입력, 메뉴 선택 등등을 통해) 정보를 입력할 수 있게 하고 터치 패널 스크린을 통해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게 하기 위해 터치패드 또는 터치스크린 입력(250; 도 3 참조)을 포함하는, 통합된 입력 및 디스플레이 기기를 제공하도록 통합된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프로세서(202)는 상기 터치스크린과 관련하여 동작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Graphical User Interface)를 지원한다.
상기 내비게이션 기기(200)에서는, 프로세서(202)는 접속부(210)를 통해 입력 기기(204)에 동작 가능하게 접속되어 상기 접속부(210)를 통해 상기 입력 기기(204)로부터 입력 정보를 수신하는 것이 가능하며, 개별 출력 접속부(212)들을 통해, 디스플레이 스크린(206) 및 출력 기기(208) 중 적어도 하나에 동작 가능하게 접속되어 디스플레이 스크린(206) 및 출력 기기(208) 중 적어도 하나에 정보를 출력하게 된다. 상기 내비게이션 기기(200)는 출력 기기(208), 예를 들면 청각 출력 기기(예컨대, 라우드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 기기(208)가 상기 내비게이션 기기(200)의 사용자에 대한 청각 정보를 생성할 수 있기 때문에, 마찬가지로 여기서 이해하여야 할 점은 입력 기기(204)가 또한 입력 음성 커맨드들을 수신하기 위한 마이크로폰 및 소프트웨어를 포함할 수 있다는 점이다. 더욱이, 상기 내비게이션 기기(200)는 또한 예를 들면 오디오 입력/출력 기기들과 같은 임의의 추가적인 입력 기기(204) 및/또는 임의의 추가적인 출력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202)는 접속부(216)를 통해 메모리(214)에 동작 가능하게 연결되며 접속부(220)를 통해 입력/출력(I/O) 포트들(218)로부터/로 정보를 수신/전송하는데 또한 적합하며, 이 경우에 상기 I/O 포트(218)는 상기 내비게이션 기기(200)의 외부에 있는 I/O 기기(222)에 접속 가능하다. 상기 외부의 I/O 기기(222)는 예를 들면 이어피스와 같은 외부 청취 기기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I/O 기기(222)에 대한 접속은 부가적으로 핸즈-프리(hands-free) 동작을 위한 그리고/또는 음성 활성화 동작을 위한, 예를 들면 이어피스 또는 헤드폰들에 대한 접속을 위한, 그리고/또는 예를 들면 모바일 전화에 대한 접속을 위한 카 스테레오 유닛과 같은 기타 외부 기기에 대한 유선 또는 무선 접속일 수 있으며, 이 경우에 상기 모바일 전화에 대한 접속은 예를 들면 상기 내비게이션 기기(200) 및 인터넷 또는 기타 네트워크 간의 데이터 접속을 확립하고 그리고/또는 예를 들면 인터넷 또는 기타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에 대한 접속을 확립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내비게이션 기기(200)의 메모리(214)는 (예를 들면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하도록 하는) 비-휘발성 메모리 부분 및 (예를 들면 상기 프로그램 코드가 실행됨에 따라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하는) 휘발성 메모리 부분을 포함한다. 상기 내비게이션 기기는 또한 (일반적으로 카드로서 언급되는) 착탈식 메모리 카드가 상기 기기(200)에 추가되는 것을 허용하도록 하는, 접속부(230)를 통해 상기 프로세서(202)와 통신하는 포트(228)를 포함한다.
도 2에는 접속부(226)를 통해 상기 프로세서(202) 및 안테나/수신기(224) 간의 동작 가능한 접속이 부가적으로 예시되어 있으며, 이 경우에 상기 안테나/수신기(224)는 예를 들면 GPS 안테나/수신기일 수 있기 때문에, 도 1의 GPS 수신기(106)로서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여기서 이해하여야 할 점은 참조번호(224)로 지정된 안테나 및 수신기가 예시를 위해 개략적으로 결합되어 있지만, 상기 안테나 및 수신기가 개별적으로 배치된 구성요소들일 수 있으며 상기 안테나가 예를 들면 GPS 패치 안테나 또는 헬리컬 안테나(helical antenna)일 수 있다는 점이다.
물론, 당업자라면 도 2에 도시된 전자 구성요소들이 종래의 방식으로 하나 이상의 전원들(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전력을 공급받는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한 전원들은 내부 배터리 및/또는 저 전압 DC 공급원 또는 다른 어떤 적합한 구성에 대한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당업자라면 도 2에 도시된 전자 구성요소들의 다른 구성들이 예측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된 전자 구성요소들이 유선 및/또는 무선 접속들 등등을 통해 서로 통신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도면에서 언급된 내비게이션 기기(200)는 휴대용 또는 핸드헬드 내비게이션 기기(200)일 수 있다.
그 외에도, 도 2의 휴대용 또는 핸드헬드 내비게이션 기기(200)는 예를 들면 자전거, 소형 오토바이, 자동차 또는 보트와 같은 차량에 공지의 방식으로 접속 또는 "도킹(docking)"될 수 있다. 그러한 내비게이션 기기(200)는 이때 휴대용 또는 핸드헬드 내비게이션 용도로 상기 도킹된 위치로부터 탈부착될 수 있다. 실제로, 다른 실시 예들에서는, 상기 기기(200)가 사용자의 내비게이션을 허용하게 핸드헬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내비게이션 기기(200)는 도 2의 통합된 입력 및 디스플레이 기기(206) 및 (내부 GPS 수신기(224), 프로세서(202), 전력 공급원(도시되지 않음), 메모리 시스템들(214) 등등을 포함하지만 이들에 국한되지 않는) 다른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는 유닛일 수 있다. 상기 내비게이션 기기(200)는 아암(arm; 252) 상에 안착될 수 있으며, 이 자체는 흡입 컵(suction cup; 254)을 사용하여 차량 계기반/앞유리/등등에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아암(252)은 상기 내비게이션 기기(200)가 도킹될 수 있는 도킹 스테이션의 일례이다. 상기 내비게이션 기기(200)는, 예를 들면 상기 내비게이션 기기(200)를 상기 아암(252)에 연결시켜 주는 스냅(snap)에 의해 상기 도킹 스테이션의 아암(252)에 도킹되거나 다른 방식으로 접속될 수 있다. 상기 내비게이션 기기(200)는 이때 상기 아암(252) 상에서 회전 가능하게 될 수 있다. 상기 내비게이션 기기(200) 및 상기 도킹 스테이션 간의 접속을 해제하기 위해, 상기 내비게이션 기기(200) 상의 버튼(도시되지 않음)이 예를 들면 눌려질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내비게이션 기기(200)를 도킹 스테이션에 결합시키고 상기 도킹 스테이션으로부터 상기 내비게이션 기기(200)를 결합해제시키기 위한 기타 적합한 구성들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다.
본 발명의 새로운 안내 뷰의 다양한 실시 예들이 도 7 - 도 15를 참조하여 지금부터 설명될 것이다.
도 7에는 3D 안내 뷰를 생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다양한 구성요소들, 예컨대, 도로들(700, 702), 건물들 및 랜드마크들(704), 나무들 및 다른 녹지(706)의 일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로들(700, 702)에 대한 위치, 기하학적 구조, 고도 및 차선 수와 같은 다른 정보 등등은 상기 휴대용 내비게이션 기기상에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한 맵 데이터로부터 취해진다. 마찬가지로, 건물들 및 랜드마크들(704)의 외관 및 위치는 또한 상기 휴대용 내비게이션 기기상에 저장되는 것이 또 바람직한 맵 데이터로부터 취해진다. 나무들 및 다른 녹지들(706)의 외관은 상기 휴대용 내비게이션 기기상에 저장되는 것이 또 바람직한 모델들로부터 생성된다. 그러한 대상들은 상기 맵 데이터에 의해 나타나게 되는 적합한 지역들, 예컨대 지방 또는 비-도심 지역들에 자리잡고 있다. 그러한 대상들의 위치는 실제로 그러한 대상들의 실제 위치를 반영하기보다는 오히려 임의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에서는, 사전에 결정된 경로를 따라 전진하는 카메라의 위치에 의한 접근하고 있는 분기점의 미리보기가 사용자에게 보이게 된다. 당업자라면 이해하겠지만, 상기 카메라의 전진은 상기 휴대용 내비게이션 기기의 현재 위치가 상기 내비게이션 뷰에서 더 보이지 않게 될 수 있도록 수행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카메라는 다가오고 있는 의사결정 지점, 예컨대 분기점, 교차점 등등을 미리보기하도록 주행되는 도로를 따라 빨리감기를 수행한다. 실시 예들에서는 상기 카메라의 고도 및/또는 피치 각이 또한 변경되고,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서는 상기 카메라가 통상적인 안내용으로 사용되는 것보다 낮은 고도 및 큰 피치 각으로 이동하게 된다.
도 8a - 도 8j에는 이러한 기능의 일 예가 예시되어 있다. 이러한 도면들에서는, (내비게이션 기기를 구비한) 차량이 출발지(800)로부터 개략적인 도로(803)를 따라 목적지(802)로 주행하고 있다. 상기 도로(803)를 따른 상기 차량의 현재 위치는 마커(804)로 나타나 있으며 상기 안내 뷰(805)에서는 아이콘(806)으로 나타나 있다.
도 8a에서는, 상기 차량이 사전에 결정된 도로(807)를 따라 도로 외측 차선으로 주행하는 것으로 나타나 있다. 도 8a에는 카메라의 통상적인 안내 위치에 있는 카메라가 도시되어 있으며, 상기 카메라는 제1 고도 및 피치 각으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 피치 각은 본 예에서는 30°이지만, 당업자라면 20°- 40°와 같은 임의의 각도가 필요에 따라 사용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도 8b에는 상기 도로(807)를 따라 "분기점 1(junction 1)" 전방에서 사전에 결정된 거리에 있는 지점으로 전진한 차량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사전에 결정된 거리는 현재 주행되고 있는 도로의 타입, 예컨대, 고속도로, 간선 도로, 생활 도로 등등, 환경 요인들, 운전자의 프로파일 따위에 기반을 두고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휴대용 내비게이션 기기(결과적으로는 차량)가 이러한 지점에 이르게 되면, 상기 카메라는 상기 차량의 움직임과 동시에 이루어지는 상기 카메라의 이동(다시 말하면 상기 휴대용 내비게이션 기기의 현재 위치 추적)을 정지하고, 적어도 x-y 평면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사전에 결정된 도로를 따라 상기 분기점을 향해 전진하기 시작하게 된다. 상기 카메라는 또한 상기 분기점을 향해 전진함에 따라 피치 각을 증가시킬 수 있고 그리고/또는 고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러한 이동은 도 8b(전환 개시) 및 도 8c(전환 중간) 및 도 8d(전환 종료) 간의 뷰 변경에 의해 가장 잘 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접근하고 있는 분기점을 사용자에게 경고하는 가청 메시지는 예컨대 상기 카메라의 전진과 동시에 발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시된 실시 예에서는, 상기 가청 메시지는 상기 휴대용 내비게이션 기기가 도로(803) 상에서 "음성 메시지 개시(start voice message)"로 나타낸 지점에 이를 때 사용자에게 전달된다.
도 8d에서는, 상기 카메라가 상기 분기점에 연관되어 있는 사전에 결정된 위치에 이르게 되고, 그럼으로써 사용자는 다가오고 있는 분기점에 대한 세부를 볼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사전에 결정된 위치는 개략적인 도로(803) 상에서 지점 "줌 1(zoom 1)"로 나타나 있다. 알 수 있겠지만, 사용자는 지금 상기 분기점의 기하학적 구조, 상기 분기점에서 취해지게 되는 동작 및 원하는 차선 선택을 명확하게 볼 수 있다. 도 8d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카메라는 이러한 위치에 있을 때 큰 피치 각, 바람직하게는 50°- 70° 피치 각, 가장 바람직하게는 60° 피치 각을 지닌다.
상기 카메라는 이러한 위치에 체류하게 되는데, 상기 카메라는 (상기 카메라의 체류 동안 상기 분기점을 향해 계속해서 이동한) 휴대용 내비게이션 기기의 현재 위치가 상기 분기점의 출발선에 이르게 될 때까지 상기 위치에 체류하게 된다. 이는 도 8e에 도시되어 있는데, 여기서는 상기 휴대용 내비게이션 기기의 현재 위치를 나타내는 아이콘(806)이 이제 막 화면상의 시야 내로 돌아와 있다. 일단 상기 휴대용 내비게이션 기기가 상기 분기점에 이르게 되면, 상기 카메라는 예컨대 고도를 높이고 피치 각을 감소시킴으로써 상기 휴대용 내비게이션 기기의 이동을 추적하는 카메라의 통상적인 위치로 다시 전환하기 시작한다. 이러한 이동은 도 8f 및 도 8g 간의 뷰 변경에 의해 가장 잘 보일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서는, 이러한 전환이 (원래의 고도로의) 카메라 위치의 고도 증가 및 (원래의 피치 각으로의) 피치 각의 감소를 포함한다.
도 8g - 도 8j에는 "분기점 2(junction 2)"에 대한 유사한 한 세트의 카메라 전환들이 도시되어 있으며 상기 카메라는 개략적인 도로(803) 상에서 "start voice message" 및 "줌 2(zoom 2)"로 나타낸 지점들 간의 분기점을 미리보기하도록 빨리감기를 수행하고 상기 차량이 상기 개략적인 도로(803) 상에서 "junction 2"로 나타낸 분기점의 출발선을 통과한 후에 상기 통상적인 안내 위치로 원래대로 되돌아간다.
도 9에는 상기 휴대용 내비게이션 기기(및 관련 차량)가 도로(803)를 주행함에 따라 (i) 계산된 경로를 따른 카메라의 속도, (ii) 카메라 고도, 및 (iii) 카메라의 피치 각이 어떻게 시간조절될 것인지가 도시되어 있다.
예를 들면, 여기서 볼 수 있는 점은 상기 분기점에 접근이 이루어짐에 따라 피치 각이 예컨대 약 30°로부터 60°로 증가한다는 점이다. 상기 카메라는 이러한 피치 각에서 체류하는데, 상기 카메라는 상기 휴대용 내비게이션 기기가 상기 분기점에 이를 때까지 상기 피치 각에 체류하며, 이때 상기 피치 각은 상기 피치 각의 원래 값, 예컨대 30°로 신속하게 원래대로 감소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피치 각의 증가가 피치 각의 원래의 값으로 되돌아가는 것보다 긴 시간 주기에 걸쳐 이루어지는데, 이는 상기 카메라의 빨리감기 이동을 강조한다. 피치 각의 변경이 시간에 따라 선형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당업자라면 상기 변경이 비-선형적인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마찬가지로, 여기서 볼 수 있는 점은 상기 분기점에 접근이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카메라의 고도가 감소한다는 점이다. 상기 카메라는 상기 휴대용 내비게이션 기기가 상기 분기점에 이르게 될 때까지 이러한 고도에 체류하고, 이때 상기 카메라는 카메라의 원래의 높이로 복귀하도록 고도를 증가한다. 바람직하게는 고도의 감소는 고도의 원래의 값으로 고도를 증가하는 것보다 긴 시간 주기에 걸쳐 이루어지는데, 이는 상기 카메라의 빨리감기 이동을 강조한다. 고도의 감소가 비-선형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나게 되고 이후의 고도 증가가 선형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나게 되지만, 당업자라면 어느 한 전환이 임의의 원하는 방식으로, 예컨대 선형적으로 또는 비-선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도 9에서 볼 수 있겠지만 도로(803)를 따른 상기 카메라의 속도가 상기 휴대용 내비게이션 기기 전방에서 상기 카메라를 "빨리감기"하고, 그럼으로써 (상기 휴대용 내비게이션 기기가 따라잡는 것을 허용하도록) 현재 차량 속도보다 느린 속도로 떨어지기 전에 접근하고 있는 분기점을 미리보기하도록 신속하게 증가한다. 당업자라면 이해하겠지만, 상기 카메라의 "줌(zoomed)"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카메라의 속도가 상기 휴대용 내비게이션 기기의 현재 속도보다 낮다면 상기 카메라의 속도는 (예컨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로(zero) 또는 비-제로(non-zero) 값일 수 있다. 이러한 속도는 사전에 결정된 속도일 수도 있고, 상기 속도는 상기 휴대용 내비게이션 기기의 현재 속도에 기반을 두고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카메라의 속도 변경들은 필요에 따라 원하는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도록 선택될 수 있고, 그럼으로써 당업자라면 도 9에 도시된 변경들이 단지 전형적인 것들임을 이해할 것이다.
전형적으로는, 상기 카메라는 상기 휴대용 내비게이션 기기가 상기 분기점에 이를 때까지 상기 줌 위치에 체류하게 된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예를 들면 교통 정체 때문에 상기 휴대용 내비게이션 기기가 상기 분기점에 이르는데 지체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카메라는 차량 속도가 특정 속도보다 아래로 떨어지거나 상기 카메라가 사전에 결정된 시간 주기보다 긴 시간 주기 동안 줌 위치에 있는 경우에 상기 휴대용 내비게이션 기기의 현재 위치(그리고 상기 휴대용 내비게이션 기기의 이동을 추적하는데 사용되는 원래의 카메라 설정값들)로 되돌아가는 동작 또는 다른 타입의 변환을 수행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몇몇 실시 예들에서는, 상기 카메라가 상기 휴대용 내비게이션 기기의 현재 위치를 보여주도록 자동으로 원래 상태로 되돌아갈 수 있다.
도 10a 및 도 10b에는 상기 카메라가 사용자 입력에 기반을 두고 상기 휴대용 내비게이션 기기의 현재 위치를 보여주도록 원래 상태로 되돌아가는 부가적인 실시 예가 예시되어 있다. 도 10a에서는, 선택 가능한 옵션, 예컨대 선택 가능한 아이콘(900)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으며, 이는 상기 선택 가능한 아이콘(900)이 선택될 경우에 예컨대 도 10b(상기 휴대용 내비게이션 기기의 현재 위치가 아이콘(904)으로 도시됨)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기 자신의 위치를 다시 보기 위해 상기 카메라를 되돌아가게 한다. 부가적인 선택 가능한 옵션, 예컨대 도 10b의 선택 가능한 아이콘(902)이 또한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으며, 이는 상기 카메라로 하여금 다시 상기 분기점에 대한 빨리감기 기능을 수행하게 할 것이다. 그러므로 실시 예들에서는, 상기 카메라는 사용자 입력에 기반을 두고 접근하고 있는 의사결정 지점을 미리보기하기 위해 빨리감기 기능을 수행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지금부터 위에서 언급한 빨리감기 카메라 기능과는 별개로, 또는 위에서 언급한 빨리감기 카메라 기능과 함께 사용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들이 지금부터 설명될 것이다. 이하의 실시 형태들 각각은 또한 필요에 따라 별개로, 또는 임의로 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도 11에는 다소 관련 있는 도로들 간에 구분이 이루어지게 되는 안내 뷰의 실시 예가 예시되어 있다. 현재 주행되고 있는 도로에 주목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또한, 화면상에서의 다른 도로들에 의한 사용자의 주의 산만은 제한된다. 예를 들면, 도로 표시들은 사용자가 사용자의 현재 도로(910)로부터 예컨대 도로(911)에 진입할 수 없는 도로들 상에 나타나 있지 않다. 사용자가 사용자의 현재 위치로부터 예컨대 도로(916)에 진입할 수 있는 도로들에 대하여는, 도로 표시들이 상기 분기점으로부터 사전에 결정된 거리에 대해 나타나게 되고 그리고나서 서서히 사라지게 된다. 도로 표시들은 차선 분리대들(913), 횡단 보도들(914), 화살표들(912), 정지선들(917) 등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들에서는, 도 11에 도시된 화살표들(912)과 같은 몇몇 도로 표시들이 이들의 실세계(real-world) 위치를 예시하는 위치에 나타나 있지 않다. 예를 들면, 상기 화살표들(912)이 항상 분기점 미리보기에서 보이도록 상기 화살표들(912)이 항상 상기 분기점 바로 전에 나타나게 된다. 상기 화살표들은 또한 상기 화살표들이 도로상에 여러 번 나타나 있는 것이 전형적인 현실과는 달리 도로상에 단지 한번만 나타나 있다.
도 12에는 사용자가 따라가게 되어 있는 디스플레이되는 계산된 경로의 투명성이 변하게 되는 본 발명의 안내 뷰의 실시 예가 예시되어 있다. 예를 들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휴대용 내비게이션 기기의 현재 위치 주변(다시 말하면, 화면 아래)에 있는 경로(920)의 부분은 반-투명한 방식으로 나타나 있고, 그럼으로써 예컨대 도로 표시들이 가시화되게 한다. 이러한 경로 부분은 상기 현재 위치 전방에서 그리고 상기 현재 위치 후방에서 사전에 결정된 거리일 수 있다. 이와는 반대로, 상기 현재 위치 전방에서 사전에 결정된 거리, 또는 상기 접근하고 있는 분기점 다음에 사전에 결정된 거리보다 더 긴 경로의 부분은 불투명한 방식으로 나타나 있다.
실시 예들에서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된 경로는 사용자가 주행하고 있는 단지 현재의 차선보다는 오히려 사용자가 상기 계산된 경로를 주행할 수 있는 임의의 차선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들에서는, 도 14a 및 도 1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내 뷰에는 추가 정보, 예컨대 접근하고 있는 교통 신호등의 위상을 나타내는 아이콘(930), 도로 표지(932) 등등이 보충될 수 있다.
실시 예들에서는, 상기 안내 뷰가 차선을 변경할 것을 사용자에게 알려주는데 사용될 수 있다. 당업자라면 이해하겠지만, 적어도 이러한 실시 예들에서는, 어느 차선으로 사용자가 현재 주행하고 있는지를 알아내는 것이 중요하다. 이는 단지 글로벌 내비게이션 위성 시스템(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GNSS) 수신기로부터 획득된 정보를 사용하여서만 결정될 수 있지만, 상기 휴대용 내비게이션 기기에 연관된 카메라, 레이저 또는 다른 이미징 센서로부터의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휴대용 내비게이션 기기의 위치를 더 정확하게 결정함으로써 보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최근 몇 년 동안 차량이 주행하고 있는 차선을 검출 및 추적하도록 차량 내에 장착된 하나 이상의 비디오 카메라들로부터의 이미지 데이터가 예컨대 다양한 이미지 프로세싱 기법을 사용하여 분석되는 실질적인 연구가 수행되었다.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서는, 상기 GNSS 수신기, 및 선택적으로는 하나 이상의 이미지 센서들로부터 획득된 위치결정 정보는 차선 안내 정보를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도록 차선수, 지리적 위치 및 기하학적 구조를 나타내는 맵 데이터와 함께 사용된다. 예를 들면, 차량이 다-차선 차도에서 주행하고 있는 현재 차선은 예를 들면 「the proceedings of the Intelligent Vehicles Symposium, page 1297-1302. IEEE, (2013)」에 발표된 Junhwa Hur, Seung-Nam Kang, 및 Seung-Woo Seo.가 저술한 논문 "Multi-lane detection in urban driving environments using conditional random fields"에 기재되어 있는 방법을 사용하여 결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휴대용 내비게이션 기기에는 비디오 카메라, 레이더 및/또는 라이더 센서로부터의 데이터 피드가 제공될 수 있으며 적합한 알고리즘은 상기 휴대용 내비게이션 기기 또는 상기 휴대용 내비게이션 기기가 주행하고 있는 차량의 현재 차선을 결정하도록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프로세싱하는데 사용된다. 변형적으로는, Mobileye N.V.로부터 입수 가능한 모빌아이 시스템(Mobileye system)과 같은, 상기 휴대용 내비게이션 기기와는 별개인 다른 한 기기 또는 장치가 이러한 데이터 피드들을 기반으로 한 상기 차량의 현재 차선의 결정을 제공한 다음에, 예를 들면 유선 접속 또는 블루투스 접속에 의해 상기 휴대용 내비게이션 기기에 현재 차선의 결정을 보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된 경로에서의 변환, 예컨대 굴곡 부분(942)에 의해 현재 차선(940)으로부터 다른 한 차선(941)으로 변경하도록 하는 알림을 받을 수 있다. 사용자가 이러한 차선 변경 지시사항을 따르지 않는 경우에, 전환, 예컨대 굴곡 부분은 (예컨대, 아이콘(944)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현재 도로를 따라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향해 전진한다. 이는 예를 들면 도 15b에 나타나 있다.
지금부터 사용자에게 차선 안내를 제공하는 다른 한 가지 예가 도 16a - 도 16f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16a에서는, 아이콘(1006)으로 나타나 있는 사용자는 분기점(1009) 다음에 차선(1004)으로부터 차선(1002)으로 차선을 변경하도록 하는 지시사항(1000)을 포함하는, 사전에 결정된 경로(1005)를 따라 나타나 있다. 바람직하게는, 차선 변경 지시사항은 아이콘(1007)으로 나타나 있는 접근하고 있는 분기점에서 취해지게 되는 동작에 연관되어 있다. 상기 지시사항(1000)은 상기 분기점으로부터 사전에 결정된 거리 또는 시간으로 나타나 있을 수도 있고, 예를 들면 접근하고 있는 분기점, 이 경우에 분기점(1009) 다음에 접근하고 있는 분기점에 대해 차선을 변경하도록 첫 번째 기회로 배치될 수도 있다.
도 16b에서는, 사용자가 상기 경로(1005)를 따라 진행한 것으로 나타나 있으며 곧이어 차선 변경 지시사항(1000)이 연관되어 있는 경로를 따른 위치에 이르게 된다. 사용자는 지시받은 즉시 차선들을 변경할 수 있지만, 많은 경우에, 사용자는 지시받았을 때 차선을 변경하도록 선택하지 않거나 (예컨대 도로상의 교통 때문에) 지시받았을 때 차선을 변경할 수 없게 된다. 그 경우에, 상기 지시사항(1000)은 예컨대 도 1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경로를 따라 사용자와 동시에 이동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현재 위치 아이콘(1006) 및 상기 차선 변경 지시사항(1000)의 동시적인 이동은 사용자가 상기 지시사항(1000) 전에 사전에 결정된 거리에 있는 경우에 개시되고, 그럼으로써 상기 동시적인 이동은 상기 위치 아이콘(1006) 및 상기 지시사항(1000) 간에 사전에 결정된 거리를 유지하게 해준다. 상기 디스플레이상에서의 현재 위치 아이콘(1006) 및 차선 변경 지시사항(1000)의 결합된 이동은 사용자가 차선을 변경할 때까지(또는 예를 들면 상기 카메라가 상기 접근하고 있는 분기점을 미리보기하도록 이동할 때까지) 계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6d에서는, 상기 카메라가 상기 접근하고 있는 분기점에서 취해지게 되는 동작(1007)을 미리보기하도록 상기 카메라의 빨리감기 이동을 개시하였다. 사용자의 현재 위치는 아이콘(1008)으로 나타나 있으며, 상기 아이콘(1008)은 차선(1004)에 유지해 있음으로써 사용자가 여전히 차선을 변경해야 함을 알려준다.
도 16e에는 여전히 사용자가 상기 접근하고 있는 분기점에 이르게 되기 전이지만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알려주는 아이콘(1008)이 이제 차선(1002)에 나타나 있는 차후 시간이 도시되어 있다. 사용자는 결과적으로 분기점에서 취해지게 되는 동작(1007)에 대해 필요한 경우 상기 지시사항(1000)에 따라 이제 차선을 변경했다.
마지막으로, 도 16f에는 상기 분기점에서 취해지게 되는 동작(1007)을 수행하는 프로세스에서의 사용자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들 중 어느 한 방법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소프트웨어, 예컨대 컴퓨터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들 또는 실시 예들 중 어느 하나를 따른 방법을 수행하거나 내비게이션 기기로 하여금 본 발명의 실시 형태들 또는 실시 예들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게 하도록 실행 가능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에 이르기까지 확장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될 경우에,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로 하여금 디스플레이 스크린상에 디스플레이하기에 적합한 이미지들(또는 다른 그래픽 정보)을 생성하게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포함한다. 이에 상응하여, 본 발명은 컴퓨터 소프트웨어 캐리어에 이르기까지 확장되며 상기 컴퓨터 소프트웨어 캐리어는 데이터 프로세싱 수단을 포함하는 시스템 또는 장치를 동작시키도록 사용될 경우에 상기 데이터 프로세싱 수단과 함께 상기 장치 또는 시스템으로 하여금 본 발명의 방법들의 단계들을 수행하게 하는 그러한 소프트웨어를 포함한다. 이러한 컴퓨터 소프트웨어 캐리어는 ROM 칩, CD ROM 또는 디스크와 같은 비 일시적인 물리적 저장 매체일 수도 있으며, 유선을 통한 전기 신호, 광 신호 또는 위성 따위와 같은 무선 신호와 같은 신호일 수 있다. 본 발명은 기계에 의해 판독될 경우에 상기 기기로 하여금 본 발명의 실시 형태들 또는 실시 예들 중 어느 한 실시 형태 또는 실시 예의 방법에 따라 동작하게 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기계 판독가능 매체를 제공한다.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는 경우에는, 당업자라면 본 발명이 본 발명의 실시 형태들 중 어느 하나에서 상호 배타적이지 않는 정도에 이르기까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들 또는 실시 예들에 대해 기재되어 있는 특징들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지금까지는 본 방법에서 그리고 본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는 여러 동작 실시 예가 설명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동작들 중 임의의 하나 또는 그 이상 또는 모두가 본 방법에서 그리고 본 장치에 의해, 임의의 결합으로, 필요에 따라, 그리고 적절한 때에 수행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5)

  1. 휴대용 내비게이션 기기(200)의 디스플레이 기기(206)상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내비게이션 지시사항들을 생성하는 기기에 있어서,
    상기 내비게이션 지시사항들을 생성하는 기기는,
    상기 휴대용 내비게이션 기기(200)가 주행할 수 있게 하는 내비게이트 가능한 네트워크에 관련된 디지털 맵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소(repository)(214)에 액세스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디지털 맵 데이터는 상기 내비게이트 가능한 네트워크의 이용 가능한 차선들에 관련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수단;
    상기 휴대용 내비게이션 기기(200)가 계획된 경로(1005)를 주행함에 따라 상기 휴대용 내비게이션 기기(200)를 따르도록 업데이트되는, 상기 휴대용 내비게이션 기기(200)의 현재 위치(1006)를 배후로 하여 고도(z) 및 피치 각으로 배치되어 있는 카메라에서 보이는 대로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상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상기 디지털 맵 데이터를 나타내는 모델의 3차원 투시 뷰를 생성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3차원 투시 뷰는 상기 내비게이트 가능한 네트워크의 이용 가능한 차선들을 보여주고, 다음에 나오게 되는 계획된 경로는 노선으로서 상기 뷰에 보이게 되고, 상기 노선은 상기 휴대용 내비게이션 기기(200)가 주행하고 있는 결정된 현재 차선(1004)을 통과함에 따라 다음에 나오게 되는 경로를 보여주는, 수단;
    상기 휴대용 내비게이션 기기(200)가 주행하고 있는 결정된 현재 차선이 상기 계획된 경로를 따르도록 다가오고 있는 의사결정 지점에서 취해지게 되는 동작(manoeuvre)(1007)에 연관된 차선 또는 차선들(1002)과 다른 것으로 검출함에 응답하여 상기 생성된 뷰를, 다음에 나오게 되는 경로를 보여주는 노선이 사용자에게 차선 변경 지시사항(1000)을 알려주게 형상화되도록 적응시키는 수단 - 상기 지시사항(1000)은 상기 다가오고 있는 의사결정 지점으로부터 사전에 결정된 거리 또는 시간으로나 상기 다가오고 있는 의사결정 지점에 대해 차선들을 변경하기 위한 첫 번째 기회로 초기에 배치되고 상기 지시사항(1000)은 상기 휴대용 내비게이션 기기(200)의 현재 위치(1006)의 전방에서 초기 거리로 초기에 배치됨 -; 및
    상기 휴대용 내비게이션 기기(200)의 현재 차선이 상기 지시사항(1000)에 따라 변경되는 것으로 결정이 이루어질 때까지, 다음에 나오게 되는 경로를 보여주는 노선이 상기 휴대용 내비게이션 기기(200)의 위치와 동시에 이동하도록 하는 지시사항으로 상기 지시사항(1000)을 계속 알려주도록 상기 생성된 뷰를 적응시키는 수단 - 상기 휴대용 내비게이션 기기(200)의 현재 위치(1006)와 상기 지시사항(1000)의 동시적인 이동은 상기 휴대용 내비게이션 기기(200)의 현재 위치(1006)가 상기 지시사항(1000) 전에 사전에 결정된 거리에 있는 경우에 개시되고, 그럼으로써 상기 휴대용 내비게이션 기기(200)의 현재 위치(1006)와 상기 지시사항(1000) 간에 상기 사전에 결정된 거리가 유지되며, 상기 지시사항(1000) 전 사전에 결정된 거리는 상기 초기 거리보다 짧음 -;
    을 포함하는, 휴대용 내비게이션 기기의 디스플레이 기기상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내비게이션 지시사항들을 생성하는 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사항(1000)은 상기 계획된 경로(1005)를 따르도록 상기 다가오고 있는 의사결정 지점에서 취해지게 되는 동작(1007)에 연관되는, 휴대용 내비게이션 기기의 디스플레이 기기상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내비게이션 지시사항들을 생성하는 기기.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비게이션 지시사항들을 생성하는 기기는,
    상기 휴대용 내비게이션 기기(200)의 현재 차선이 상기 지시사항(1000)에 따라 변경되는 것으로 결정함에 응답하여, 상기 생성된 뷰를, 다음에 나오게 되는 경로를 보여주는 노선이 사용자에게 차선 변경 지시사항을 더 보여주지 않도록 적응시키는 수단;
    을 포함하는, 휴대용 내비게이션 기기의 디스플레이 기기상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내비게이션 지시사항들을 생성하는 기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 투시 뷰의 이용시, 상기 3차원 투시 뷰는 도로 표시들, 선택적으로는 상기 디지털 맵 데이터에 기반을 두고 생성된 가상 도로 표시들을 통해 상기 내비게이트 가능한 네트워크의 이용 가능한 차선들을 보여주는, 휴대용 내비게이션 기기의 디스플레이 기기상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내비게이션 지시사항들을 생성하는 기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도로 표시들은 상기 계획된 경로에 관련된 내비게이트 가능한 네트워크의 부분들을 통해 렌더링된 뷰에서만 보이게 되는, 휴대용 내비게이션 기기의 디스플레이 기기상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내비게이션 지시사항들을 생성하는 기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도로 표시들은 상기 검출된 휴대용 내비게이션 기기(200)의 위치에 국부적인 내비게이트 가능한 네트워크의 부분들을 통해 렌더링된 뷰에서만 보이게 되는, 휴대용 내비게이션 기기의 디스플레이 기기상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내비게이션 지시사항들을 생성하는 기기.
  9. 제1항에 있어서,
    다음에 나오게 되는 경로를 보여주는 노선은 상기 계획된 경로를 따르도록 접근하고 있는 분기점에서 취해지게 되는 동작을 성공적으로 완료하도록 점유될 수 있는 가능한 모든 차선들을 커버하는, 휴대용 내비게이션 기기의 디스플레이 기기상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내비게이션 지시사항들을 생성하는 기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비게이션 지시사항들을 생성하는 기기는,
    상기 휴대용 내비게이션 기기(200)가 주행하고 있는 상기 내비게이트 가능한 네트워크의 현재 차선(1004)을, 카메라, 라이더 센서(lidar sensor), 레이더, 글로벌 내비게이션 위성 시스템(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GNSS) 수신기, 및 관성 측량기(inertial measurement unit)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으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에 기반을 두고 결정하는 수단;
    을 포함하는, 휴대용 내비게이션 기기의 디스플레이 기기상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내비게이션 지시사항들을 생성하는 기기.
  11. 삭제
  12. 휴대용 내비게이션 기기(200)의 디스플레이 기기(206)상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내비게이션 지시사항들을 생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내비게이션 지시사항들을 생성하는 방법은,
    상기 휴대용 내비게이션 기기(200)가 주행할 수 있게 하는 내비게이트 가능한 네트워크에 관련된 디지털 맵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소(repository)(214)에 액세스하는 단계로서, 상기 디지털 맵 데이터는 상기 내비게이트 가능한 네트워크의 이용 가능한 차선들에 관련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단계;
    상기 휴대용 내비게이션 기기(200)가 계획된 경로(1005)를 주행함에 따라 상기 휴대용 내비게이션 기기(200)를 따르도록 업데이트되는, 상기 휴대용 내비게이션 기기(200)의 현재 위치(1006)를 배후로 하여 고도(z) 및 피치 각으로 배치되어 있는 카메라에서 보이는 대로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상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상기 디지털 맵 데이터를 나타내는 모델의 3차원 투시 뷰를 생성하는 단계로서, 상기 3차원 투시 뷰는 상기 내비게이트 가능한 네트워크의 이용 가능한 차선들을 보여주고, 다음에 나오게 되는 계획된 경로는 노선으로서 상기 뷰에 보이게 되고, 상기 노선은 상기 휴대용 내비게이션 기기(200)가 주행하고 있는 결정된 현재 차선(1004)을 통과함에 따라 다음에 나오게 되는 경로를 보여주는, 단계; 및
    상기 휴대용 내비게이션 기기(200)가 주행하고 있는 결정된 현재 차선이 상기 계획된 경로를 따르도록 다가오고 있는 의사결정 지점에서 취해지게 되는 동작(manoeuvre)(1007)에 연관된 차선 또는 차선들(1002)과 다른 것으로 검출함에 응답하여 상기 생성된 뷰를, 다음에 나오게 되는 경로를 보여주는 노선이 사용자에게 차선 변경 지시사항(1000)을 알려주게 형상화되도록 적응시키는 단계 - 상기 지시사항(1000)은 상기 다가오고 있는 의사결정 지점으로부터 사전에 결정된 거리 또는 시간으로나 상기 다가오고 있는 의사결정 지점에 대해 차선들을 변경하기 위한 첫 번째 기회로 초기에 배치되고 상기 지시사항(1000)은 상기 휴대용 내비게이션 기기(200)의 현재 위치(1006)의 전방에서 초기 거리로 초기에 배치됨 -; 및
    상기 휴대용 내비게이션 기기(200)의 현재 차선이 상기 지시사항(1000)에 따라 변경되는 것으로 결정이 이루어질 때까지, 다음에 나오게 되는 경로를 보여주는 노선이 상기 휴대용 내비게이션 기기(200)의 위치와 동시에 상기 경로를 따라 이동하도록 하는 지시사항으로 상기 지시사항(1000)을 계속 알려주도록 상기 생성된 뷰를 적응시키는 단계 - 상기 휴대용 내비게이션 기기(200)의 현재 위치(1006)와 상기 지시사항(1000)의 동시적인 이동은 상기 휴대용 내비게이션 기기(200)의 현재 위치(1006)가 상기 지시사항(1000) 전에 사전에 결정된 거리에 있는 경우에 개시되고, 그럼으로써 상기 휴대용 내비게이션 기기(200)의 현재 위치(1006)와 상기 지시사항(1000) 간에 상기 사전에 결정된 거리가 유지되며, 상기 지시사항(1000) 전 사전에 결정된 거리는 상기 초기 거리보다 짧음 -;
    를 포함하는, 휴대용 내비게이션 기기의 디스플레이 기기상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내비게이션 지시사항들을 생성하는 방법.
  13. 삭제
  14. 제12항에 있어서,
    다음에 나오게 되는 경로(1005)를 보여주는 노선은 상기 계획된 경로를 따르도록 접근하고 있는 분기점에서 취해지게 되는 동작(1007)을 성공적으로 완료하도록 점유될 수 있는 가능한 모든 차선들을 커버하는, 휴대용 내비게이션 기기의 디스플레이 기기상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내비게이션 지시사항들을 생성하는 방법.
  15.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기기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될 경우에 상기 기기로 하여금 제12항 또는 제14항의 방법을 수행하게 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167012426A 2013-10-11 2014-10-10 내비게이션 지시사항들을 디스플레이하는 장치 및 방법 KR1022864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201318049A GB201318049D0 (en) 2013-10-11 2013-10-11 Apparatus and methods of displaying navigation instructions
GB1318049.2 2013-10-11
GB1320360.9 2013-11-18
GB201320360A GB201320360D0 (en) 2013-10-11 2013-11-18 Apparatus and methods of displaying navigation instructions
GB201400161A GB201400161D0 (en) 2013-10-11 2014-01-06 Apparatus and methods of displaying navigation instructions
GB1400161.4 2014-01-06
PCT/EP2014/071756 WO2015052313A1 (en) 2013-10-11 2014-10-10 Apparatus and methods of displaying navigation instruction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8941A KR20160068941A (ko) 2016-06-15
KR102286456B1 true KR102286456B1 (ko) 2021-08-06

Family

ID=4967993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12426A KR102286456B1 (ko) 2013-10-11 2014-10-10 내비게이션 지시사항들을 디스플레이하는 장치 및 방법
KR1020167012423A KR102280671B1 (ko) 2013-10-11 2014-10-10 내비게이션 지시사항들을 디스플레이하는 장치 및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12423A KR102280671B1 (ko) 2013-10-11 2014-10-10 내비게이션 지시사항들을 디스플레이하는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3) US10527445B2 (ko)
EP (2) EP3055652B1 (ko)
JP (2) JP6606494B2 (ko)
KR (2) KR102286456B1 (ko)
CN (3) CN113532470A (ko)
GB (4) GB201318049D0 (ko)
WO (2) WO201505231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536340B2 (ja) 2014-12-01 2019-07-03 株式会社デンソー 画像処理装置
US10025996B2 (en) * 2014-12-22 2018-07-17 Volkswagen Ag Early detection of exit only and shared lanes using perception technology
WO2016188547A1 (en) * 2015-05-22 2016-12-01 Here Global B.V. An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s for providing turn guidance
KR101750876B1 (ko) * 2015-05-28 2017-06-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및 차량
US9631932B2 (en) * 2015-06-05 2017-04-25 Nokia Technologies Oy Crowd sourced interaction of browsing behavior in a 3D map
CN105069842A (zh) * 2015-08-03 2015-11-18 百度在线网络技术(北京)有限公司 道路三维模型的建模方法和装置
CN108139223A (zh) 2015-09-30 2018-06-08 日产自动车株式会社 车辆用显示装置
DE102016207991B4 (de) * 2016-05-10 2022-09-15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r fahrsituationsabhängigen Wiedergabe einer Kartendarstellung in einem Fahrzeug
JP6387369B2 (ja) * 2016-05-23 2018-09-0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走行制御装置
CA3029124A1 (en) * 2016-07-21 2018-01-25 Mobileye Vision Technologies Ltd. Crowdsourcing and distributing a sparse map, and lane measurements for autonomous vehicle navigation
KR102581359B1 (ko) * 2016-09-02 2023-09-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및 차량
CN106248095A (zh) * 2016-09-21 2016-12-21 珠海市魅族科技有限公司 一种导航方法及装置
USD841671S1 (en) * 2016-10-12 2019-02-26 Tomtom International B.V. Display panel or portion thereof of an electronic navigation device with a computer generated icon
DE102016222782A1 (de) * 2016-11-18 2018-05-24 Audi Ag Autonomes Steuern eines Kraftfahrzeugs anhand von Spurdaten; Kraftfahrzeug
JP7213809B2 (ja) * 2016-12-09 2023-01-27 トムトム グローバル コンテント ベスローテン フエンノートシャップ ビデオベースの位置決め及びマッピングの方法及びシステム
US20180300326A1 (en) * 2017-04-17 2018-10-18 The Boeing Company Three-Dimensional Massive Model Visualization Database System
WO2018211591A1 (ja) * 2017-05-16 2018-11-22 三菱電機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および表示制御方法
US10094679B1 (en) * 2017-06-02 2018-10-0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Generating a navigation route referencing digital signage
WO2019016931A1 (ja) * 2017-07-21 2019-01-24 三菱電機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および表示制御方法
CN110019576B (zh) * 2017-08-08 2021-11-02 北京亿阳信通科技有限公司 导航区域建模方法和装置
JP6758516B2 (ja) * 2017-09-08 2020-09-23 三菱電機株式会社 運転支援装置および運転支援方法
US10580299B2 (en) 2017-10-13 2020-03-03 Waymo Llc Lane change notification
CN107894237A (zh) * 2017-11-16 2018-04-10 百度在线网络技术(北京)有限公司 用于显示导航信息的方法和装置
US10365652B2 (en) * 2017-11-22 2019-07-30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Feasible lane routing
DE102018203560A1 (de) * 2018-03-08 2019-09-12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und Steuereinheit zur Erkennung einer Fahrspurbegrenzung
CN110388929B (zh) * 2018-04-20 2022-04-15 比亚迪股份有限公司 导航地图更新方法、装置及系统
US11567632B2 (en) 2018-07-03 2023-01-31 Appl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exploring a geographic region
KR20200069542A (ko) * 2018-12-07 2020-06-17 팅크웨어(주) 차선 내 안내 정보 추출을 통한 경로 안내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기기
US11022458B2 (en) * 2019-01-04 2021-06-01 Telenav, Inc. Navigation system with roadway lane guidance mechanism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US11532132B2 (en) * 2019-03-08 2022-12-20 Mubayiwa Cornelious MUSARA Adaptive interactive medical training program with virtual patients
CN110440815A (zh) * 2019-08-16 2019-11-12 南京邮电大学 一种基于增强现实的导航方法
USD933081S1 (en) * 2019-10-11 2021-10-12 Igt Gaming machine computer display screen with changeable award indicator
DE102019133613B3 (de) * 2019-12-10 2020-12-31 Audi Ag Verfahren zum Bereitstellen einer dreidimensionalen Landkarte in einem Kraftfahrzeug
JPWO2021132553A1 (ko) * 2019-12-27 2021-07-01
US11796334B2 (en) 2020-05-15 2023-10-24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providing navigation directions
US11846515B2 (en) 2020-06-11 2023-12-19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customized navigation routes
CN113188554B (zh) * 2021-04-16 2023-04-11 杭州易现先进科技有限公司 一种3dar导航的路径规划方法和系统
US20220390248A1 (en) * 2021-06-07 2022-12-08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maps and navigation
US11748696B2 (en) 2021-08-12 2023-09-05 Airspace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s for alternate path generation
US11348064B1 (en) * 2021-08-12 2022-05-31 Airspace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s for alternate path generation
USD1002649S1 (en) 2021-10-13 2023-10-24 Waymo Ll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1002647S1 (en) 2021-10-13 2023-10-24 Waymo Ll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1002648S1 (en) 2021-10-13 2023-10-24 Waymo Ll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11978265B2 (en) * 2022-03-11 2024-05-07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lane identification on an augmented reality display
CN114895819B (zh) * 2022-07-13 2022-09-13 麒砺创新技术(深圳)有限公司 一种三维模型智能化展示优化方法及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17515A (ja) * 2011-11-02 2013-06-13 Aisin Aw Co Ltd レーン案内表示システム、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4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802516B1 (en) 1996-04-16 2004-08-18 Xanavi Informatics Corporation Map display device, navigation device and map display method
JP3375258B2 (ja) 1996-11-07 2003-02-1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地図表示方法及び装置並びにその装置を備えた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H10281795A (ja) * 1997-04-07 1998-10-23 Toyota Motor Corp 車両用案内表示装置
US6710774B1 (en) 1999-05-12 2004-03-23 Denso Corporation Map display device
JP3455153B2 (ja) * 2000-02-16 2003-10-1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交差点における車線誘導案内表示方法およびそのナビゲーション装置並びに記録媒体
DE10018276A1 (de) * 2000-04-13 2001-10-25 Saint Gobain Sekurit D Gmbh Verbundscheibe
JP3842522B2 (ja) 2000-05-17 2006-11-08 アルパイン株式会社 地図表示方法及び装置
US6728634B2 (en) 2001-01-29 2004-04-27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Destination route guiding method
JP3745235B2 (ja) * 2001-03-02 2006-02-15 三菱電機株式会社 経路案内装置及び経路案内方法
US6892135B1 (en) 2001-12-21 2005-05-10 Garmin Ltd. Navigation system, method and device with automatic next turn page
GB0304358D0 (en) 2003-02-26 2003-04-02 Palmtop Software B V Navigator 2.0 features
JP2004340825A (ja) 2003-05-16 2004-12-02 Xanavi Informatics Corp 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2005321370A (ja) * 2004-04-05 2005-11-17 Sony Corp ナビゲーション装置、およびデータ処理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4529080B2 (ja) 2004-09-30 2010-08-25 アイシン・エィ・ダブリュ株式会社 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2007127419A (ja) 2005-10-31 2007-05-24 Aisin Aw Co Ltd 経路案内システム及び経路案内方法
JP4946368B2 (ja) * 2006-11-09 2012-06-06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ナビゲーション装置
CN101573589B (zh) 2007-01-10 2015-12-16 通腾科技股份有限公司 导航装置及用于强化的地图显示的方法
JP4420034B2 (ja) * 2007-02-01 2010-02-24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地図表示装置
US8260543B2 (en) 2007-03-29 2012-09-04 Alpine Electronics, Inc. Hidden point detection and warning method and apparatus for navigation system
JP4577327B2 (ja) 2007-04-09 2010-11-10 株式会社デンソー 地図表示制御装置および地図表示制御装置用のプログラム
JP2008286671A (ja) * 2007-05-18 2008-11-27 Alpine Electronics Inc 車載用ナビゲーション装置
KR20090020387A (ko) * 2007-08-23 2009-02-26 삼성전자주식회사 네비게이션 장치에서 이동체의 최적경로를 표시하는 방법및 장치
JPWO2009028085A1 (ja) 2007-08-31 2010-11-25 パイオニア株式会社 地図表示装置、地図表示方法、及び地図表示プログラム
US8244454B2 (en) 2008-01-07 2012-08-14 Tomtom International B.V. Navigation device and method
JP4994256B2 (ja) 2008-01-28 2012-08-08 株式会社ジオ技術研究所 経路案内データベースのデータ構造
WO2009118911A1 (ja) 2008-03-28 2009-10-01 パイオニア株式会社 地図表示装置、ナビゲーション装置、生成方法、地図画像生成プログラム、およびコンピュータに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DE102008025122A1 (de) * 2008-05-26 2009-12-03 Volkswagen Ag Anzeigeverfahren für ein Anzeigesystem, Anzeigesystem und Bedienverfahren für ein Navigationssystem eines Fahrzeugs
AU2008359283A1 (en) 2008-07-11 2010-01-14 Tele Atlas B.V. Apparatus for and method of junction view display
JP5356770B2 (ja) * 2008-10-20 2013-12-04 アルパイン株式会社 ナビゲーション装置および割り込み情報表示方法
JP2010230551A (ja) * 2009-03-27 2010-10-14 Sony Corp ナビゲーション装置及びナビゲーション方法
JP2010237178A (ja) 2009-03-31 2010-10-21 Hitachi Software Eng Co Ltd エキスパートルート生成サーバ及びナビゲーション装置
EP2244242A1 (en) 2009-04-23 2010-10-27 Wayfinder Systems AB Method and device for improved navigation
US8831876B2 (en) * 2009-12-28 2014-09-09 Clarion Co., Ltd. Navigation device, route guidance method, and program
JP2011154003A (ja) * 2010-01-28 2011-08-11 Sony Corp ナビゲーション装置、ナビゲーション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5136671B2 (ja) 2010-05-13 2013-02-06 株式会社デンソー 地図表示装置
EP2453208A1 (en) 2010-11-15 2012-05-16 Harman Becker Automotive Systems GmbH Navigation system
JP5724864B2 (ja) 2011-12-13 2015-05-27 アイシン・エィ・ダブリュ株式会社 表示システム、表示方法、及び表示プログラム
US20140021850A1 (en) * 2012-07-20 2014-01-23 Tai-Her Yang Cup-shaped heat dissipater having heat conductive rib therein and applied in electric luminous body
CN103234546B (zh) 2013-04-18 2016-02-24 易图通科技(北京)有限公司 真三维导航中变道诱导的方法和装置
US9009805B1 (en) * 2014-09-30 2015-04-14 Google Inc. Method and system for provisioning an electronic device
US9417087B1 (en) 2015-02-06 2016-08-16 Volkswagen Ag Interactive 3D navigation syste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17515A (ja) * 2011-11-02 2013-06-13 Aisin Aw Co Ltd レーン案内表示システム、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6540284A (ja) 2016-12-22
JP6717742B2 (ja) 2020-07-01
US20230029160A1 (en) 2023-01-26
GB201400161D0 (en) 2014-02-19
WO2015052313A1 (en) 2015-04-16
KR20160068941A (ko) 2016-06-15
GB201318049D0 (en) 2013-11-27
CN105765345B (zh) 2020-02-28
EP3055652B1 (en) 2020-09-02
JP6606494B2 (ja) 2019-11-13
GB201320360D0 (en) 2014-01-01
US20160252363A1 (en) 2016-09-01
KR20160068939A (ko) 2016-06-15
EP3055652A1 (en) 2016-08-17
CN105765345A (zh) 2016-07-13
JP2016535252A (ja) 2016-11-10
EP3055651B1 (en) 2020-09-02
US11493358B2 (en) 2022-11-08
US20160252362A1 (en) 2016-09-01
CN105765344A (zh) 2016-07-13
GB201400158D0 (en) 2014-02-19
US10527445B2 (en) 2020-01-07
CN113532470A (zh) 2021-10-22
EP3055651A1 (en) 2016-08-17
WO2015052312A1 (en) 2015-04-16
KR102280671B1 (ko) 2021-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86456B1 (ko) 내비게이션 지시사항들을 디스플레이하는 장치 및 방법
KR102570574B1 (ko) 네비게이션 장치를 사용하여 차선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EP3341687B1 (en) Methods and systems for generating routes
EP2909586B1 (en) Methods and systems of providing information using a navigation apparatus
EP2909585B1 (en) Methods and systems of providing information using a navigation apparatus
JP2020518824A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を使用して情報を提供する方法およびシステム
US20160054137A1 (en) Navigation device with enhanced widgets and applications
JP2010515891A (ja) ナビゲーション情報を表示するナビゲーション装置及び方法
WO2011095235A2 (en) Navigation device & method
JP2006153468A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および迂回経路探索時の制御方法
WO2010075876A1 (en) Navigation system with means for indicating the lateral posi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