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6364B1 - 롤 사상 연마 장치 - Google Patents

롤 사상 연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6364B1
KR102286364B1 KR1020190171427A KR20190171427A KR102286364B1 KR 102286364 B1 KR102286364 B1 KR 102286364B1 KR 1020190171427 A KR1020190171427 A KR 1020190171427A KR 20190171427 A KR20190171427 A KR 20190171427A KR 102286364 B1 KR102286364 B1 KR 1022863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ishing
frame
roll
unit
straighte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14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79537A (ko
Inventor
한석주
신명철
이영철
박상연
조형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901714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6364B1/ko
Publication of KR202100795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95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63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63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28/00Maintaining rolls or rolling equipment in effective condition
    • B21B28/02Maintaining rolls in effective condition, e.g. reconditioning
    • B21B28/04Maintaining rolls in effective condition, e.g. reconditioning while in use, e.g. polishing or grinding while the rolls are in their sta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29/00Machines or devices for polishing surfaces on work by means of tools made of soft or flexible material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solid or liquid polishing agents
    • B24B29/02Machines or devices for polishing surfaces on work by means of tools made of soft or flexible material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solid or liquid polishing agents designed for particular workpie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47/00Drives or gearings; Equipment therefor
    • B24B47/02Drives or gearings; Equipment therefor for performing a reciprocating movement of carriages or work- t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5/00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surfaces of revolution on work, including those which also grind adjacent plane surfaces; Accessories therefor
    • B24B5/36Single-purpose machines or devices
    • B24B5/37Single-purpose machines or devices for grinding rolls, e.g. barrel-shaped rolls

Abstract

롤 사상 연마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교정기 롤을 사상 연마하기 위한 사상연마부와, 사상연마부가 마련되어 있는 프레임부와, 프레임부를 교정기 내에서 이동시키기 위한 프레임무빙부를 포함하며, 프레임부는 장방형으로 마련되며, 장방형의 일측변에 위치하는 입측프레임과, 입측프레임의 타측변에 위치하는 출측프레임과, 입측프레임과 출측프레임 사이의 양측변에 각각 위치하는 작업프레임을 포함하고, 프레임무빙부는 작업프레임에 각각 마련될 수 있으며, 프레임무빙부는 교정기 내에서 스트립 이송 방향을 따라 프레임부를 주행시키는 이동부와, 이동부에 의해 이송된 프레임부를 교정기의 내에서 상하로 승강시키기 위한 리프트부와, 롤 사상 연마 작업을 위한 롤안착부 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롤 사상 연마 장치{Roll Polishing Apparatus}
본 발명은 롤 사상 연마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후판 압연의 최종 제품 전 단계에서 제품의 평탄화를 작업하는 설비인 교정기 롤의 표면 결함을 사전 제거할 수 있는 롤 사상 연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후판은 가열로에서 고온의 상태로 나와서 조압연기, 중간압연기, 및 사상압연기를 포함하는 일련의 압연 공정을 통과하고, 이후 예비 교정기에서 예비 교정된 후 냉각 장치에서 가속 냉각된다. 그리고, 가속 냉각된 후판은 다시 열간 교정기를 통과하면서 형상 교정되며, 열간 교정기를 통과한 후에는 냉각대에서 냉각된다. 이러한 연속적으로 수행되는 압연-냉각-교정 라인을 통해 후판(압연판)은 평탄도를 확보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예비 교정기 및 열간 교정기는 상부와 하부에 각각 롤러를 포함한다. 압연소재인 후판의 롤러 진입 시 롤러의 표면에 결함이 있으면, 압연소재 표면의 품질 결합 및 고객의 크레임 발생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표면 품질 관리를 위한 공정별 롤러 관리와 연마 사상 작업이 필수적으로 수행된다. 롤러의 표면 결함은 예를 들면, 스크래치, 눌러붙음, 압흔 등이 있으며, 이러한 결함은 롤러에 압연 소재가 이상 접촉하거나 회전 시 이물질이 끼거나 충격 등 기타 여러 요소로부터 기인한다.
종래에는 교정기의 특성 상 롤러가 상하로 배치되기 때문에, 검판반에서 압연판 표면의 이상 마크 확인 시 작업자가 상하 롤러의 사이에 들어가 육안으로 위치를 확인하고, 이후 사상용 그라인더로 롤러를 회전시키면서 롤러 전체를 사상 연마하였다.
이러한 사상 연마 방식은 작업자가 위험에 노출된 상황에서 작업을 해야 하며 작업 여건 또한 협소하기 때문에 결국 작업 시간 지연에 따른 생산성의 저하를 초래할 수 있다.
한국 공개특허 제10-2011-0034466호(2011.04.05)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롤 사상 연마 장치는 롤 표면의 스크래치나 눌러붙은 이물질, 압흔 등의 표면 결함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으며, 나아가 작업자의 안전 확보와 롤 표면의 검사 내용을 외부에서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교정기 롤을 사상 연마하기 위한 사상연마부와, 사상연마부가 마련되어 있는 프레임부와, 프레임부를 교정기 내에서 이동시키기 위한 프레임무빙부를 포함하는 롤 사상 연마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부는 장방형으로 마련되며, 장방형의 일측변에 위치하는 입측프레임과, 입측프레임의 타측변에 위치하는 출측프레임과, 입측프레임과 출측프레임 사이의 양측변에 각각 위치하는 작업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무빙부는 상기 작업프레임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무빙부는 교정기 내에서 스트립 이송 방향을 따라 상기 프레임부를 주행시키는 이동부와, 이동부에 의해 이송된 프레임부를 교정기의 내에서 상하로 승강시키기 위한 리프트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부는 상기 작업프레임과 나란하게 마련되는 판상의 웰패널과, 웰패널에 마련되는 주행모터와, 주행모터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주행벨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프트부는 상기 작업프레임에 고정 마련되는 리프트블록과, 리프트블록에 마련되는 리프트모터와, 리프트블록에 승강 가능하게 마련되는 랙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웰패널은 상기 랙기어에 고정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무빙부는 롤 사상 연마 작업을 위한 롤안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롤안착부는 상기 작업프레임에 마련되는 롤실린더와, 상기 롤실린더에 의해 승강하면서 교정기 롤에 접촉하도록 마련되는 접촉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부는 상기 작업프레임과 나란하게 마련되는 판상의 웰패널과, 웰패널에 마련되는 주행모터와, 주행모터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주행벨트를 포함하고, 상기 롤안착부에 의해 접촉롤러가 상기 교정기 롤에 접촉했을 때, 상기 주행벨트는 상기 리프트부에 의해 승강되어 상기 교정기 롤과 접촉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롤 사상 연마 작업을 위해 상기 사상연마부를 이동시키는 사상주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상주행부는 상기 프레임부를 교정기 롤의 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사상주행부와, 종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사상주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사상주행부는 내부에 하부로 입출되는 고정레그가 마련되어 있는 하우징과, 하우징에 마련되며 피니언기어를 포함하는 구동모터와, 프레임부에 마련되며 구동모터의 피니언기어에 의해 연결 동작하여 프레임부를 하우징에 대해 상대적으로 횡방향 이동시키는 렉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사상주행부는 상기 입측프레임과 출측프레임 사이에 작업프레임과 나란하게 마련되는 LM 가이드와, LM 가이드를 왕복 이동하며 그 위에 사상연마부가 마련되어 있는 LM 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상연마부는 소정 간격을 두고 좌우로 마련되는 한 쌍의 사상블록과, 한 쌍의 사상블록 사이에 승강 가능하게 마련되는 사상플레이트와, 사상플레이트에 마련되는 사상모터와, 사상모터에 의해 구동되어 교정기 롤을 사상 연마하는 사상벨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상모터는 상기 사상플레이트의 일측면에 마련되고, 사상플레이트의 타측면에는 사상모터의 중심축이 관통하여 주롤러가 마련되며, 상기 주롤러는 롤플레이트에 형성되고, 상기 롤플레이트에는 상기 주롤러와 삼각형 형태를 가지도록 두 개의 보조롤러가 더 마련되며, 상기 사상벨트는 상기 주롤러와 두 개의 보조롤러에 의해 무한궤도로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상플레이트는 상기 롤플레이트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롤러와, 링기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교정기 롤을 사상 연마하기 위한 사상벨트를 포함하는 사상연마부와, 사상연마부가 마련되어 있는 프레임부와, 교정기 내에서 스트립 이송 방향을 따라 프레임부를 이동시키기 위한 주행벨트를 갖는 이동부와, 이동부에 의해 이동된 프레임부에 마련된 접촉롤러를 교정기 롤에 접촉시키는 롤안착부와, 롤안착부에 의해 접촉롤러와 교정기 롤이 접촉된 상태에서 프레임부를 교정기 내에서 상하로 승강시키기 위한 리프트부로 이루어지는 프레임무빙부를 포함하는 롤 사상 연마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촉롤러가 상기 교정기 롤에 접촉했을 때, 상기 주행벨트는 상기 교정기 롤과 접촉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롤 사상 연마 장치는 교정기 롤을 사상 연마하기 위한 사상연마부가 마련된 프레임부가 프레임무빙부에 의해 교정기 내에서 이동하고 이동 후 사상연마부가 롤을 사상 연마하기 때문에 작업자의 수작업 없이 자동화가 가능하여 안전 사고를 방지하며 작업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롤 사상 연마 장치는 사상 연마 작업 전후로 롤의 상태를 확인한 후 CCTV 등을 통해 모니터링하고 관련 정보를 외부로 송출할 수 있도록 하는 모니터링부를 더 포함하여 작업자의 안전 확보는 물론 롤 표면의 검사 내용을 외부에서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롤 사상 압연 장치가 거치된 교정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롤 사상 압연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롤 사상 압연 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롤 사상 압연 장치의 프레임무빙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롤 사상 압연 장치의 프레임무빙부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롤 사상 압연 장치의 사상주행부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롤 사상 압연 장치의 사상주행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롤 사상 압연 장치의 사상연마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롤 사상 압연 장치의 교정기 진입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롤 사상 압연 장치가 교정기에 안치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롤 사상 압연 장치의 롤안착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롤 사상 압연 장치의 리프트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롤 사상 압연 장치의 사상연마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6 및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롤 사상 압연 장치의 사상연마부의 회전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롤 사상 압연 장치의 제1사상주행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롤 사상 압연 장치의 제2사상주행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하였으며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롤 사상 연마 장치가 거치되어 있는 후판의 압연-냉각-교정 라인 중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설명에 앞서, 본 실시 예는 에이프론(apron)이 설치되어 있는 열간 교정기(Hot Leveller)를 중심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비 교정기(Pre Leveller)에도 적절하게 변경 및 수정하여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열간 교정기(L)의 스트립(후판) 이송 방향의 전후에는 에이프론(A, A')이 마련되어 있을 수 있으며, 에이프론(A)의 전방과 후방에는 각각 복수의 이송롤러(R, R')가 마련되어 있다. 열간 교정기(L)는 복수의 상부롤(UR)과 하부롤(LR)을 포함한다.
도 2는 본 실시 예에 따른 롤 사상 연마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평면도이다. 도면들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롤 사상 연마 장치(1)는 사상연마부(400)가 마련되어 있는 프레임부(100)와, 프레임부(100)를 이동시키기 위한 프레임무빙부(200)와, 롤을 사상 연마하기 위한 사상주행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부(100)는 장방형의 박스 형태를 가지며, 장방형의 일측변에 위치하는 입측프레임(110)과, 입측프레임(110)의 반대편 즉 장방형의 타측변에 위치하는 출측프레임(120)과, 입측프레임(110)과 출측프레임(120)의 사이 즉 사각형의 다른 양측변에 위치하는 작업프레임(130)을 포함한다. 여기서, 출측프레임(120)은 롤 사상 연마 장치(1)를 열간 교정기에 거치할 때 먼저 진입하는 프레임을 지칭하며, 작업프레임(130)은 좌우측의 작업프레임(130A, 130B)을 통칭한다.
각 프레임들(110 ~ 140)은 'ㅁ'자 형태의 프레임바를 상하좌우로 각각 연결하여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도시한 바와 같이 각 프레임들은 프레임바를 박스 형상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하로 이열 배치하고 각 모서리에 컬럼을 세움으로써 내부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한다.
프레임무빙부(200)는 프레임부(100)를 열간 교정기의 내부에서 스트립 이송 방향을 따라 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스트립 교정 라인을 따라 주행하도록 하는 이동부(210)와, 이동부(210)에 의해 이송된 프레임부(100)를 열간 교정기의 내부에서 상하로 승강시키기 위한 리프트부(230)를 포함한다.
이동부(210)는 프레임부(100)의 좌우측 작업프레임(130A, 130B)에 각각 마련된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도면의 전방측에 위치하는 좌측 작업프레임(130A)을 위주로 설명한다.
이동부(210)는 작업프레임(130)과 나란하게 마련되는 판상의 웰패널(211)과, 웰패널(211)에 마련되는 주행모터(212)와, 주행모터(212)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주행벨트(213)를 포함한다.
웰패널(211)은 작업프레임(130)과 대응하는 유사한 크기로 마련될 수 있으며, 작업프레임(130)으로부터 소정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세워진다. 웰패널(211)과 작업프레임(130)의 사이에는 주행벨트(213)가 배치되어 있다. 웰패널(211)는 후술할 리프트부(230)의 랙기어(233) 하단에 고정된다.
주행모터(212)는 웰패널(211)의 중심측에 위치하여 주행벨트(213)를 회전시킴으로써 프레임부(100)가 위치를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주행벨트(213)는 도시된 바와 같이 띠 형상의 벨트로 마련될 수 있다. 주행벨트(213)는 내부에 설치된 복수의 주롤러(214)와 보조롤러(215)에 의해 무한궤도 형상으로 지지된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주행벨트(213)는 한 쌍의 하부 주롤러(214) 사이에 한 쌍의 상부 보조롤러(215)가 위치하여 전체적으로 사다리꼴 형태를 가질 수 있이며, 두 개의 사다리꼴을 연결하는 중심측에 주행모터(212)가 위치한다.
또한, 주행벨트(213)는 한 쌍의 하부 주롤러(214)의 사이에 복수개가 일렬로 배치되는 주행아이들(21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주행아이들(216)은 이동을 위한 접촉면 즉, 하측에서 접촉하는 이송롤러(R)이나 교정기의 하부롤(LR) 등과 마찰을 높여 주행 성능을 높인다.
상술한 주행벨트(213), 롤러(214, 215), 아이들(216)은 모두 웰패널(211)에 외팔보 형태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즉, 웰패널(211)과 마주하고 있는 작업프레임(130)과는 이격되어 있다.
리프트부(230)는 프레임부(100)가 롤 사상 연마 작업 중 움직이지 않도록 하기 위해 이동부(210), 구체적으로는 주행벨트(213)를 하측에서 접촉하는 롤(R, LR)로부터 이격 승강시키기 위한 것으로, 작업프레임(130)에 고정 마련되는 리프트블록(231)과, 리프트블록(231)에 마련되는 리프트모터(232)와, 리프트블록(231)에 승강 가능하게 마련되는 랙기어(233)와, 리프트바(234)를 포함한다.
리프트블록(231)은 작업프레임(130)의 양측 모서리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 즉, 리프트블록(231)은 좌우 한 쌍으로 마련되며, 각 리프트블록(231)에는 리프트모터(232)가 각각 마련되어 있다.
랙기어(233)는 리프트블록(231)에 승강 가능하도록 작업프레임(130)의 수직방향으로 마련되며, 자세히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리프트모터(232)의 구동축에 마련되어 있는 피니언(미도시)과 치합되어 있다. 따라서, 리프트모터(232)가 구동되면 그 회전력을 이용하여 작업프레임(130)에 고정되어 있는 리프트블록(231)으로부터 랙기어(233)가 승강하고, 이를 통해 랙기어(233)에 고정되어 있는 웰패널(211)이 승강 동작한다. 웰패널(211)이 상승하면, 주행벨트(213)가 하부 접촉면으로부터 상승하여 롤과 비접촉 상태가 된다.
리프트바(234)는 좌우 한 쌍의 리프트블록(231)에서 각각 승강 동작하는 랙기어(233)가 승강 시 비틀리지 않고 일체로 균일 동작할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이동부(210)에 의해 열간 교정기로 진입하고, 리프트부(230)에 의해 진입된 이동부(210)를 승강시키는 프레임무빙부(200)는 롤 사상 연마가 가능하도록 센터 포지셔닝을 준비시키는 롤안착부(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본 실시 예에 따른 롤 사상 연마 장치의 롤안착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롤안착부(250)는 연장 가능하게 마련되는 롤실린더(251)와, 롤실린더(251)에 마련되어 열간 교정기의 롤(HR, UR)에 선택적으로 접촉하는 접촉롤러(253)를 포함한다.
롤실린더(251)는 작업프레임(130)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마련될 수 있다. 도 5에서 롤실린더(251)는 작업프레임(130)의 상단 작업프레임(130)에 설치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하단 작업프레임(130)에 설치될 수도 있으며, 또한 위에 하나 아래에 두 개가 설치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열간 교정기(L)의 상부롤 및 하부롤에 대응하여 적절하게 변형 및 수정하여 설치될 수 있다.
롤실린더(251)는 위쪽으로 실린더 로드가 연장되는 제1 롤실린더(251A)와, 실린더 로드가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제2 롤실린더(251B)를 포함한다. 제1,2 롤실린더(251A, 251B)는 각각 2개가 한 조로 마련될 수 있다.
접촉롤러(253)는 롤실린더(251)의 연장 가능한 실린더 로드의 끝단에 마련되는 롤러마운트(252)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다. 즉, 제1 롤실린더(251A)에 의해 승강하는 롤러마운트(252)는 상승 시 열간 교정기의 상부롤(UR)에 접촉하고, 제2 롤실린더(251B)에 의해 승강하는 롤러마운트(252)는 하강 시 열간 교정기의 하부롤(LR)에 접촉한다.
접촉롤러(253)는 롤러마운트(252)에 두 개가 한 쌍으로 마련되어 열간 교정기(L)의 상부롤(UR) 및 하부롤(LR)에 각각 접촉한다. 접촉롤러(253)는 볼 형태로 마련되어 두 개가 각각 하나의 상부롤(UR)과 하부롤(LR)에 동시 접촉한다. 접촉롤러(253)와 롤(UR, LR)의 접촉 시 주행벨트(213)는 열간 교정기의 하부롤(LR)로부터 이격되어 롤(LR)과 접촉하지 않는 상태이므로, 작업자는 열 사상 연마 장치(1)를 열간 교정기의 폭방향으로 부드럽게 이동시킬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롤 사상 연마 장치의 제1사상주행부를 도시한 결합사시도 및 분해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롤 사상 연마 장치의 제2사상주행부 및 사상연마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들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사상주행부(300)는 프레임부(100)를 열간 교정기 롤의 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사상주행부(310)와, 종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사상주행부(3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사상주행부(310)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측프레임(120)에 마련되어 사상연마부(400)가 마련되어 있는 프레임부(100)를 횡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열간 교정기 롤의 사상 연마를 위한 센터 포지셔닝 및 폭방향 사상 연마 작업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제1사상주행부(310)는 내부에 아래쪽으로 입출 가능한 고정레그(313)가 마련되어 있는 하우징(311)과, 하우징(311)에 마련되는 구동모터(315)와, 구동모터(315)와 연결 동작하여 프레임부(100)를 하우징(311)에 대해 상대적으로 횡방향 왕복 이동시키는 렉기어(322)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311)은 프레임부(100)의 출측프레임(120)에 박스 형태로 마련된다. 하우징(311)의 내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레그플레이트(312)가 고정 마련되어 있으며, 이 고정플레이트(312)의 양측 가장자리에는 고정레그(313)가 설치되어 있다. 고정레그(313)는 레그실린더(314)에 의해 승강 가능하게 마련되며, 레그실린더로부터 연장 시 하우징(311)으로부터 하강 인출되어 에이프론(A)의 홈(도 1의 A1 참조)에 끼워짐으로써 하우징(311)을 에이프론(A)에 고정한다.
구동모터(315)는 하우징(311)에 고정 마련되며 그 회전축에 구동기어(316)를 구비한다. 구동기어(316)는 하우징(311)에 마련되는 종동기어(317)와 치합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종동기어(317)는 하우징(311)의 길이방향으로 이격 마련되는 제1종동기어(317A)와 제2종동기어(317B)를 포함한다. 하나의 구동모터(315)에 의해 제1,2종동기어(317A, 317B)가 동시에 구동될 수 있도록 종동기어(317)의 중심축에는 평기어(318)가 각각 마련되고, 한 쌍의 평기어(318)는 타이밍벨트(319)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술한 평기어(318)가 상부에 마련되어 있는 종동기어(317)의 중심축 하부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니언기어(320)가 각각 마련된다. 피니언기어(320)는 출측프레임(120)에 길이방향으로 고정 마련되어 있는 렉기어(322)에 치합되어 있다.
따라서, 하우징(311)의 구동모터(315)가 회전 구동하면, 종동기어(317)에 마련된 피니언기어(320)가 회전하고, 이에 따라 피니언기어(320)와 치합하고 있는 렉기어(322)에 의해 프레임부(100)는 열간 교정기(L)에 고정되어 있는 하우징(311)에 대해 횡방향으로 상대 이동할 수 있다. 한 쌍의 제1,2종동기어(317A, 317B)는 타이밍벨트(319)에 의해 좌우 균일하게 회전될 수 있다.
제2사상주행부(350)는 사상연마부(400)를 종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LM 가이드(351)와 LM 베이스(352)를 포함한다. LM 가이드(351)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측프레임(110)과 출측프레임(120) 사이에 작업프레임(130)과 나란하게 마련된다. LM 가이드(351)는 좌우 한 쌍으로 마련되는 사상연마부(400)의 양측에 바 형태로 마련된다.
LM 베이스(352)는 LM 가이드(351)를 따라 왕복 이동하며, 그 위에는 사상연마부(400)가 장착되어 있다. LM 베이스(352)의 일측에는 LM 가이드(351)에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여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전환하는 동력전환부(353)가 마련된다. 동력전환부는 LM 모터와, 레일 또는 스크류 방식의 동력전환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열간 교정기의 롤 사이를 이동하며 사상 연마 작업을 하는 사상연마부(40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LM 베이스(352)에 소정 간격을 두고 좌우로 마련되는 사상블록(401)과, 한 쌍의 사상블록(401) 사이에 승강 가능하게 마련되는 사상플레이트(402)와, 사상플레이트(402)에 마련되는 사상모터(404)와, 사상모터(404)에 의해 구동되는 사상벨트(408)를 포함한다.
한 쌍의 사상블록(401)은 상호 대향하는 내측면에 각각 소정의 슬릿을 구비하고, 이 슬릿에 사상플레이트(402)의 양단이 끼워진다. 또한, 사상블록(401)은 내부에 가이드레크(403)를 구비하고, 이 가이드레크(403)를 통해 사상플레이트(402)는 사상블록(401)에 대해 승강할 위치를 세팅할 수 있다. 사상플레이트(402)와 가이드레크(403)는 다단 형성되는 볼트 방식으로 수동 체결되거가 또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별도의 모터를 채용하여 높이 세팅을 자동화할 수도 있다.
사상모터(404)는 사상플레이트(402)의 중심측에 위치한다. 또한, 사상모터(404)는 사상플레이트(402)의 일측면에 마련되고, 사상플레이트(402)의 타측면 즉, 사상모터(404)의 중심축이 관통하고 있는 타측면에는 주롤러(405)가 마련된다. 또한, 사상플레이트(402)의 타측면에는 주롤러(405)와 삼각형 형태를 가지도록 두 개의 보조롤러(406)가 마련되는데, 이 롤러들(405, 406)은 롤플레이트(407) 상에 형성된다. 주롤러(405)와 두 개의 보조롤러(406)는 무한궤도인 사상벨트(408)를 내측에서 지지한다.
또한, 사상플레이트(402)의 일측면에는 사상벨트(408), 구체적으로는 롤플레이트(407)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모터(410)와, 회전모터(410)와 치합하는 링기어(412)가 마련된다. 회전모터(410)는 사상플레이트(402)의 일측에 마련되고, 링기어(412)는 사상플레이트(402)의 일측면에 사상모터(404)의 중심과 동축상에 마련되는 동시에 회전모터(410)에 치합되어 있다.
따라서, 회전모터(410)의 구동 시 주롤러(405)와 보조롤러(406)가 설치된 롤플레이트(407)가 주롤러(405)를 중심으로 회전함으로써, 사상연마부(400)는 열간 교정기의 상부롤(UR) 또는 하부롤(LR)을 선택적으로 사상 연마할 수 있다.
그러면,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롤 사상 연마 장치의 동작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작업자는 본 실시 예의 롤 사상 연마 장치(1)를 열간 교정기(L)로 이동시킨 후, 프레임무빙부(200)를 동작시킨다. 열간 교정기(L)로 진입 시 롤 사상 연마 장치(1)의 프레임부(100)의 입측프레임(110) 또는 출측프레임(120)은 스트립 이송 방향을 향해 배치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무빙부(200)의 주행벨트(213)는 웰패널(211)에 마련되는 주행모터(212)의 구동에 의해 회전을 시작하며, 이송롤(R) 및 교정기의 하부롤(LR)과 접촉하면서 이동한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이프론(A')까지 이동한 롤 사상 연마 장치(1)는 사상주행부(300)로부터 고정레그(313)를 하측으로 연장 인출하여 에이프론(A)에 형성된 홀에 롤 사상 연마 장치(1)를 고정시킨다. 이때, 에이프론 홀과 고정레그(313) 간의 위치 교정은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롤 사상 연마 장치(1)는 사상 연마 작업 준비를 위한 센터 포지셔닝이 완료된다.
롤 사상 연마 장치(1)의 열간 교정기 안치가 종료되면,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무빙부(200)의 롤안착부(250)를 이용하여 접촉롤러(253)를 열간 교정기의 상부롤(UR) 및 하부롤(LR)에 각각 접촉시킨다. 그리고,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프트부(230)를 이용하여 주행벨트(213)를 열간 교정기의 하부롤(LR)로부터 이격시켜 사상 연마를 준비한다. 이와 같이 하는 이유는 사상 연마 작업 시 힘의 반력에 따른 롤 사상 연마 장치의 밀림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사상 연마 작업은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상벨트(408)가 열간 교정기의 상부롤(UR)에 접촉 회전하면서 이루어진다. 상부롤(UR)의 사상 연마가 완료되면,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상벨트(408)가 회전모터(410)에 의해 회전하고, 열간 교정기의 하부롤(LR)에 접촉 회전하면서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롤(LR)의 사상 연마가 이루어진다.
도 18은 사상연마부(400)가 주행부(300)의 제1사상주행부(310)에 의해 열간 교정기 롤의 폭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동작을 나타낸 것이며, 도 19는 사상주행부(300)의 제2사상주행부(350)에 의해 사상연마부(400)가 복수의 상부롤(UR) 사이 또는 복수의 하부롤(LR) 사이를 이동하는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아울러,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본 실시 예에 따른 롤 사상 연마 장치(1)는 사상 연마 작업 전후로 롤의 상태를 확인한 후 CCTV 등을 통해 모니터링하고 관련 정보를 외부로 송출할 수 있도록 하는 모니터링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모니터링부는 사상벨트(408)와 인접한 사상플레이트(402)측에 설치될 수 있다.
1..롤 사상 연마 장치
100..프레임부 110..입측프레임
120..출측프레임 130..작업프레임
200..프레임무빙부 210..이동부
211..웰패널 212..주행모터
213..주행벨트 230..리프트부
231..리프트블록 233..랙기어
250..롤안착부 251..롤실린더
253..접촉롤러 300..사상주행부
310..제1사상주행부 311..하우징
313..고정레그 315..구동모터
319..타이밍벨트 320..피니언기어
322..렉기어 350..제2사상주행부
351..LM 가이드 352..LM 베이스
400..사상연마부 401..사상블록
402..사상플레이트 404..사상모터
408..사상벨트 410..회전모터

Claims (17)

  1. 삭제
  2. 삭제
  3. 교정기 롤을 사상 연마하기 위한 사상연마부와,
    상기 사상연마부가 마련되어 있는 프레임부와,
    상기 프레임부를 교정기 내에서 이동시키기 위한 프레임무빙부를 포함하되,
    상기 프레임부는 장방형으로 마련되며, 장방형의 일측변에 위치하는 입측프레임과, 입측프레임의 타측변에 위치하는 출측프레임과, 입측프레임과 출측프레임 사이의 양측변에 각각 위치하는 작업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무빙부는 상기 작업프레임에 각각 마련되고, 교정기 내에서 스트립 이송 방향을 따라 상기 프레임부를 주행시키는 이동부와 이동부에 의해 이송된 프레임부를 교정기의 내에서 상하로 승강시키기 위한 리프트부를 포함하는 롤 사상 연마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상기 작업프레임과 나란하게 마련되는 판상의 웰패널과, 웰패널에 마련되는 주행모터와, 주행모터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주행벨트를 포함하는 롤 사상 연마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부는 상기 작업프레임에 고정 마련되는 리프트블록과, 리프트블록에 마련되는 리프트모터와, 리프트블록에 승강 가능하게 마련되는 랙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웰패널은 상기 랙기어에 고정 마련되는 롤 사상 연마 장치.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무빙부는 롤 사상 연마 작업을 위한 롤안착부를 더 포함하는 롤 사상 연마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롤안착부는 상기 작업프레임에 마련되는 롤실린더와, 상기 롤실린더에 의해 승강하면서 교정기 롤에 접촉하도록 마련되는 접촉롤러를 포함하는 롤 사상 연마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상기 작업프레임과 나란하게 마련되는 판상의 웰패널과, 웰패널에 마련되는 주행모터와, 주행모터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주행벨트를 포함하고,
    상기 롤안착부에 의해 접촉롤러가 상기 교정기 롤에 접촉했을 때, 상기 주행벨트는 상기 리프트부에 의해 승강되어 상기 교정기 롤과 접촉하지 않는 롤 사상 연마 장치.
  9. 제 3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롤 사상 연마 작업을 위해 상기 사상연마부를 이동시키는 사상주행부를 포함하는 롤 사상 연마 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사상주행부는 상기 프레임부를 교정기 롤의 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사상주행부와, 종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사상주행부를 포함하는 롤 사상 연마 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사상주행부는 내부에 하부로 입출되는 고정레그가 마련되어 있는 하우징과, 하우징에 마련되며 피니언기어를 포함하는 구동모터와, 프레임부에 마련되며 구동모터의 피니언기어에 의해 연결 동작하여 프레임부를 하우징에 대해 상대적으로 횡방향 이동시키는 렉기어를 포함하는 롤 사상 연마 장치.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사상주행부는 상기 입측프레임과 출측프레임 사이에 작업프레임과 나란하게 마련되는 LM 가이드와, LM 가이드를 왕복 이동하며 그 위에 사상연마부가 마련되어 있는 LM 베이스를 포함하는 롤 사상 연마 장치.
  13.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사상연마부는 소정 간격을 두고 좌우로 마련되는 한 쌍의 사상블록과, 한 쌍의 사상블록 사이에 승강 가능하게 마련되는 사상플레이트와, 사상플레이트에 마련되는 사상모터와, 사상모터에 의해 구동되어 교정기 롤을 사상 연마하는 사상벨트를 포함하는 롤 사상 연마 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사상모터는 상기 사상플레이트의 일측면에 마련되고, 사상플레이트의 타측면에는 사상모터의 중심축이 관통하여 주롤러가 마련되며,
    상기 주롤러는 롤플레이트에 형성되고,
    상기 롤플레이트에는 상기 주롤러와 삼각형 형태를 가지도록 두 개의 보조롤러가 더 마련되며,
    상기 사상벨트는 상기 주롤러와 두 개의 보조롤러에 의해 무한궤도로 지지되는 롤 사상 연마 장치.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사상플레이트는 상기 롤플레이트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롤러와, 링기어를 더 포함하는 롤 사상 연마 장치.
  16. 교정기 롤을 사상 연마하기 위한 사상벨트를 포함하는 사상연마부와,
    상기 사상연마부가 마련되어 있는 프레임부와,
    교정기 내에서 스트립 이송 방향을 따라 상기 프레임부를 이동시키기 위한 주행벨트를 갖는 이동부와, 이동부에 의해 이동된 프레임부에 마련된 접촉롤러를 교정기 롤에 접촉시키는 롤안착부와, 롤안착부에 의해 접촉롤러와 교정기 롤이 접촉된 상태에서 프레임부를 교정기 내에서 상하로 승강시키기 위한 리프트부로 이루어지는 프레임무빙부를 포함하는 롤 사상 연마 장치.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롤러가 상기 교정기 롤에 접촉했을 때, 상기 주행벨트는 상기 교정기 롤과 접촉하지 않는 롤 사상 연마 장치.
KR1020190171427A 2019-12-20 2019-12-20 롤 사상 연마 장치 KR1022863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1427A KR102286364B1 (ko) 2019-12-20 2019-12-20 롤 사상 연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1427A KR102286364B1 (ko) 2019-12-20 2019-12-20 롤 사상 연마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9537A KR20210079537A (ko) 2021-06-30
KR102286364B1 true KR102286364B1 (ko) 2021-08-05

Family

ID=766023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1427A KR102286364B1 (ko) 2019-12-20 2019-12-20 롤 사상 연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636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933126B (zh) * 2021-10-15 2024-04-16 南京理工大学 一种用于金相和透射电镜薄膜样品高精密制备的机械研磨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8186Y1 (ko) * 1999-08-31 2000-02-15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연속형 로울러의 자동 연마장치
KR101391609B1 (ko) * 2012-11-26 2014-05-07 주식회사 포스코 열간 교정기의 롤 연마장치
KR101403973B1 (ko) * 2014-01-08 2014-06-10 박원태 슬라이드형 자동 연마기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2117U (ja) * 1992-06-12 1994-06-03 住友金属工業株式会社 硬質材料の加工装置
KR100951261B1 (ko) * 2003-04-08 2010-04-02 주식회사 포스코 레벨러 롤의 표면 이물질 제거장치
KR20060075285A (ko) * 2004-12-28 2006-07-04 주식회사 포스코 아이들롤을 구비한 이동식 연마장치
KR101140928B1 (ko) 2009-09-28 2012-05-03 현대제철 주식회사 교정기용 롤 연마 장치 및 이를 구비한 교정 장치
KR102112550B1 (ko) * 2018-10-22 2020-05-20 주식회사 포스코 테이블 롤러 연마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8186Y1 (ko) * 1999-08-31 2000-02-15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연속형 로울러의 자동 연마장치
KR101391609B1 (ko) * 2012-11-26 2014-05-07 주식회사 포스코 열간 교정기의 롤 연마장치
KR101403973B1 (ko) * 2014-01-08 2014-06-10 박원태 슬라이드형 자동 연마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9537A (ko) 2021-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230599B (zh) 一种冷轧槽钢钢材制造加工工艺
CN210997114U (zh) 一种激光切割机用卷料切割装置
KR102286364B1 (ko) 롤 사상 연마 장치
KR100963790B1 (ko) 스트립 이송 테이블 장치
KR101591260B1 (ko) 정정 설비
CN108274343A (zh) 一种应用于汽车制造中的打磨装置
KR101746981B1 (ko) 소재 이송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압연설비
CN111390714A (zh) 一种经轴清理装置
CN115106405A (zh) 不锈钢制品用可调整曲面顺畅度的连续矫平装置及方法
KR101520371B1 (ko) 베어링블록 이송장치
KR20020001290A (ko) 박판제조시의 시트샘플 이송장치
KR200306414Y1 (ko) 불량스트립회수처리장치
CN110842728A (zh) 一种破鳞辊换辊作业车及其工作方法
CN219238198U (zh) 一种钢坯称重设备
CN216939823U (zh) 一种橡胶打磨设备
CN211103288U (zh) 破鳞辊换辊作业车的承托机构
CN219098647U (zh) 一种防滑落的举升装置
KR20020054410A (ko) 백업롤 초크 조립장치
CN216759099U (zh) 一种板料码放装置
CN212470932U (zh) 经轴清理装置
CN211103286U (zh) 破鳞辊换辊作业车
CN219073971U (zh) 一种用于镀锌板生产的整平机
CN217619811U (zh) 自动矫直辊表面修磨伸缩装置
KR100939372B1 (ko) 수평소둔로의 미네랄롤 연마장치
KR100775273B1 (ko) 빌렛 터닝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