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1273B1 - 발효 삼채를 포함하는 반려동물용 식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발효 삼채를 포함하는 반려동물용 식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1273B1
KR102281273B1 KR1020190083133A KR20190083133A KR102281273B1 KR 102281273 B1 KR102281273 B1 KR 102281273B1 KR 1020190083133 A KR1020190083133 A KR 1020190083133A KR 20190083133 A KR20190083133 A KR 20190083133A KR 102281273 B1 KR102281273 B1 KR 1022812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rmented
group
food composition
companion animals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31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7167A (ko
Inventor
이치호
김조천
Original Assignee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831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1273B1/ko
Publication of KR202100071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71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12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12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10Animal feeding-stuffs obtained by microbiological or biochemical processes
    • A23K10/16Addition of microorganisms or extracts thereof, e.g. single-cell proteins, to feeding-stuff compositions
    • A23K10/18Addition of microorganisms or extracts thereof, e.g. single-cell proteins, to feeding-stuff compositions of live microorganis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2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animal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40/00Shaping or working-up of animal feeding-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34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treatment with chemicals
    • A23L3/3454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treatment with chemicals in the form of liquids or solids
    • A23L3/3463Organic compounds; Microorganisms; Enzym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400/00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 A23V2400/31Leuconostoc
    • A23V2400/321Mesenteroides
    • A23Y2260/35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Phys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Biochemistry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효 삼채를 분말형태로 포함하는 반려동물용 식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발효 삼채를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제조 방법은 항산화능 내지 총 페놀함량이 높고 관능적 특성이 개선된 식품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발효 삼채를 포함하는 경우 삼채를 포함하는 경우에 비하여 pH가 낮아지므로 식품 조성물의 저장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발효 삼채를 포함하는 반려동물용 식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et food comprising fermented allium hookeri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발효 삼채(Allium hookeri)를 분말형태로 포함하는 반려동물용 식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대한 것이다.
최근 경제 성장에 따라 반려동물의 숫자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 있다. 국내 농협 경제연구소에 의하면 2015년 반려동물 관련 시장규모가 1조 8천억 정도이며 2020년에는 약 6조원에 이를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국내 반려동물 산업의 증가와 더불어 반려동물의 사료 내지 식품 조성물에 대한 시장이 급성장하고 있다. 특히, 반려동물의 분변에서 발생하는 이취(off flavor)를 감소시키기 위한 반려동물이 섭취하는 사료 내지 식품 조성물에 대한 연구와 더불어 이취를 감소시키기 위한 물품의 수요도 함께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삼채(Allium hookeri)는 히말라야 고산지대의 식물로 주로 미얀마, 중국, 인도 또는 티벳 등의 고산지대에서 재배된다. 삼채는 생명체에 꼭 필요한 식이유황 성분을 포함하고 있으며 암, 혈관질환, 당뇨병, 노화, 피부질환, 탈모, 변비 또는 통풍 등의 예방 내지 치료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6-0150289호는 삼채 발효 성분을 이용한 기능성 돈가스 및 이의 제조방법에 대한 것으로서,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를 이용하여 발효한 삼채 발효액으로 숙성된 돈육을 이용하여 돈가스를 제조하는 관능적 특성이 개선된 돈육 내지 돈가스를 제공할 수 있음을 기재하고 있다.
그러나, 반려동물의 분변에서 발생하는 이취(off flaovr)를 개선하기 위하여 발효 삼채를 포함하는 반려동물용 식품 조성물에 대한 연구 내지 개시는 현재까지 보고된 바 없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반려동물에 유익한 성분들을 다량 포함하면서도 분변에서 발생하는 이취를 감소시킬 수 있는 반려동물용 식품을 제공하고자 예의 노력한 결과, 발효 삼채를 포함하여 돈육 패티 등을 제조하는 경우 이의 항산화능 내지 총 페놀함량이 유의적으로 높고 이를 섭취한 반려동물의 분변에서 발생하는 이취가 효과적으로 감소되는 것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a) 삼채(Allium hookeri) 분말 제조 단계; 및
b) 상기 단계 a)의 삼채 분말 및 원료육을 혼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반려동물용 식품 조성물의 제조 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반려동물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a) 삼채(Allium hookeri) 분말 제조 단계; 및
b) 상기 단계 a)의 삼채 분말 및 원료육을 혼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반려동물용 식품 조성물의 제조 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서, 상기 단계 a)의 삼채는 삼채의 잎, 꽃, 꽃대, 뿌리 및 전장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부위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서, 상기 단계 a)의 삼채는 뉴코로스톡 메센테로이데스 SK 1962(Leuconostoc mesenteriodes SK 1962)로 발효된 삼채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서, 상기 단계 b)의 삼채 분말 및 원료육은 전체 중량대비 0.1~5% 및 50~70% 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서, 상기 단계 b)에 육류 지방, 물 및 소금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추가로 혼합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서, 상기 육류 지방, 물 또는 소금은 전체 중량대비 각각 5~30%, 5~30% 또는 0.1~5% 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서, 상기 반려동물은 포유류, 조류, 어류, 파충류, 양서류 및 갑각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서, 상기 식품 조성물은 반려동물의 분변에서 발생하는 이취를 감소시키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서, 상기 식품 조성물은 에멀젼(emulsion) 유형의 미트볼, 패티, 소시지 또는 육포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발효 삼채를 포함하는 반려동물용 식품 조성물 제조 방법은 항산화능 내지 총 페놀함량이 높고 관능적 특성이 개선된 식품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발효 삼채를 포함하는 경우 발효하지 않은 삼채를 포함하는 경우에 비하여 pH가 낮아지므로 반려동물용 식품 조성물의 저장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발효 삼채를 포함하는 반려동물용 패티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삼채, 특히 발효 삼채를 포함하는 반려동물용 식품 조성물은 이를 포함하지 않는 식품 조성물에 비하여 항산화능(실시예 5) 내지 총 페놀함량(실시예 6)이 유의적으로 높으며, 관능적 특성이 우수(실시예 7)하다. 특히, 상기 식품 조성물을 섭취한 반려동물의 분변에서 발생하는 이취가 유의적으로 감소(실시예 8)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발효삼채는 발효시킨 삼채를 의미하며, 상기 발효는 미생물로 발효한 것일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뉴코로스톡 메센테로이데스 SK 1962(Leuconostoc mesenteroides SK 1962)로 발효한 삼채를 발효삼채로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a) 삼채(Allium hookeri) 분말 제조 단계; 및
b) 상기 단계 a)의 삼채 분말 및 원료육을 혼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반려동물용 식품 조성물의 제조 방법 또는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반려동물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단계 a)의 삼채는 삼채의 잎, 꽃, 꽃대, 뿌리 및 전장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부위인 것이 바람직하나, 더욱 바람직하게는 삼채의 뿌리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상기 단계 a)의 삼채는 뉴코로스톡 메센테로이데스 SK 1962(Leuconostoc mesenteroides SK 1962)로 발효된 삼채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상기 단계 b)의 원료육은 본 발명의 반려동물이 섭취할 수 있는 육류라면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돈육, 우육, 계육 및 오리육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돈육 또는 우육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원료육의 부위는 본 발명의 반려동물이 섭취할 수 있는 육류의 부위라면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으나, 돈육 또는 우육의 경우 바람직하게는 목심, 등심, 안심, 전지(앞다리) 및 후지(뒷다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목심, 등심 또는 안심인 것이 바람직하다. 계육 또는 오리육의 경우 가슴, 날개, 안심 및 다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상기 단계 b)의 삼채 분말 및 원료육은 전체 중량대비 0.1~5% 및 50~70% 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5~3% 및 55~66%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0.7~1% 및 60~62%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삼채의 함량은 1.53% 이상의 유황을 함유한 삼채를 기준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상기 b) 단계에 추가적으로 육류 지방, 물 및 소금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육류 지방은 육류에서 수득할 수 있는 지방이라면 제한없이 사용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등지방, 목지방, 전지지방 및 후지지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등지방 또는 목지방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육류 지방, 물 및 소금은 전체 중량대비 5~30%, 5~30% 및 0.1~5% 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0~25%, 10~25% 및 0.5~3%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15~22%, 15~22% 및 1~2%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상기 반려동물은 인간이 사육하면서 인간과 함께 살아가는 동물을 의미하며, 애완동물이라고도 할 수 있다. 상기 반려동물은 바람직하게 포유류, 조류, 어류, 파충류, 양서류, 및 갑각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포유류일 수 있다. 상기 포유류는 개, 고양이, 족제비, 햄스터 및 다람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식품 조성물은 항산화능이 높고 총 페놀함량이 높아 이를 섭취한 반려동물의 분변에서 발생하는 이취를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식품 조성물은 에멀젼(emulsion) 유형의 미트볼, 패티, 소시지 또는 육포인 것이 바람직하나 보다 바람직하게는 패티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식품 조성물에 반죽, 성형, 건조 내지 숙성 단계가 필요한 경우 이는 당업계에서 공지된 방법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죽은 상기 고기원료 또는 발효삼채분말 등의 재료를 용기에 담고 끈기가 생길 때까지 손으로 충분히 치대거나 반죽기에 투입하여 재료들이 잘 혼합되면서 반죽되도록 할 수 있다. 성형은 상기와 같이 반죽한 혼합물을 손으로 뭉치거나 성형틀에 채워넣어 원하는 형태로 만들 수 있다. 건조 숙성은 성형물을 내부 온도조절이 가능한 숙성창고에 걸어 놓는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하지 않는 것은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한 것이다.
삼채 분말 또는 발효 삼채 분말 제조
삼채(Allium Hookeri)의 뿌리를 건국대학교 미생물 실험실에서 분양받은 뉴코로스톡 메센테로이데스 SK 1962(Leuconostoc mesenteriodes SK 1962) 로 발효하였다. 그 후, 발효된 삼채의 뿌리를 동결 건조기(IlShin Lab. Co., LTD)를 사용하여 -80℃에서 120시간 건조시켰다. 삼채의 뿌리 및 제조된 발효 삼채의 뿌리를 Cutter(Hanil Electro. Co. LTD)를 사용하여 분말화하였다.
패티의 제조
돈육 등심 750g, 등지방 250g, 물 200g 및 소금 15g을 혼합하여 반려동물용 돈육 패티를 제조하였다. 삼채 또는 발효 삼채를 첨가한 패티에는 삼채 또는 발효삼채 10g을 첨가하였다. 돈육 등심원료는 일반 마트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과도한 지방과 연결 조직은 시료표면에서 제거하였다. 대조군(CON), 삼채첨가군(AH) 및 발효삼채첨가군(FAH) 등 3군으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패티의 일반 성분 확인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한 패티 대조군(CON), 삼채첨가군(AH) 및 발효삼채첨가군(FAH)의 일반 성분을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AOAC법(1995)에 따라 수분(moisture) 함량은 105℃에서의 상압 건조법, 조단백(crude protein) 함량은 Kjedahl법, 조지방(crude fat) 함량은 Soxlet법, 조회분(crude ash) 함량은 550℃에서의 직접 회화법(AOAC,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of AOAC international, 17th ed.)으로 분석하였다. 각 수치는 평균±SD(n=3)으로 표시하였다(p<0.05).
그 결과, 하기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삼채 또는 발효삼채를 첨가하는 경우 조회분, 수분 내지 조단백질 함량이 증가하였으며, 특히 발효 삼채를 첨가하는 경우 조지방 함량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성분(중량%) 대조군(CON) AH FAH
조회분 1.98 2.38 2.03
수분 62.07 63.00 63.21
조단백질 17.61 18.38 18.52
조지방 21.49 22.40 20.45
패티의 pH 변화 확인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한 패티 대조군(CON), 삼채첨가군(AH) 및 발효삼채첨가군(FAH)의 저장기간에 따른 pH 변화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4℃에서 21일 동안 보관하면서 각 패티의 pH 변화는, 각 패티 시료를 5g씩 취하여 증류수 20 ㎖을 균질화기(homogenizer, Nissei, Model AM-7, Japan)를 사용하여 8,000 rpm에서 1분 동안 균질화 시킨 다음 유리전극 pH 측정기(Mettler toledo 340, Switzerland)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각 수치는 평균±SD(n=3)으로 표시하였다(p<0.05).
그 결과, 하기 [표 2]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AH 군 또는 FAH 군의 경우 대조군에 비하여 pH가 일시적으로 상승하였으나, 저장기간 21일차에는 대조군 및 AH 군에 비하여 FAH 군의 경우 pH가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저장기간(일) 대조군(CON) AH FAH
1 6.28 6.64 6.31
7 6.26 6.32 6.30
14 6.16 6.28 6.15
21 6.44 6.35 5.38
패티의 항산화능 확인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한 패티 삼채첨가군(AH) 및 발효삼채첨가군(FAH)의 항산화능을 측정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DPPH 라디칼 소거 활성(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은 Blois(1958) 방법으로, ABTS 라디칼 소거 활성(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은 Erel(2004)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각 수치는 평균±SD(n=3)으로 표시하였다(SEM=standard error of the mean, p<0.05).
그 결과, 하기 [표 3]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삼채첨가군(AH)에 비하여 발효삼채첨가군(FAH)의 항산화능이 유의적으로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AH FAH SEM P-value
DPPH 10.39 12.15 0.65 0.012
ABTS 22.07 25.06 0.34 0.002
패티의 총 페놀함량 측정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한 패티 삼채첨가군(AH) 및 발효삼채첨가군(FAH)의 총 페놀함량을 측정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각 패티 추출물 20㎕, 95% 에탄올 20㎕, 증류수(DW) 100㎕, 50% 폴린-시오칼투(Folin-ciocalteu) 시약 10㎕를 혼합하여 혼합액을 제조하였다. 혼합액을 5분간 방치한 후 5% 탄산나트륨 20㎕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암실에서 1시간 방치한 후 ELISA 리더기(reader)로 650nm에서 측정하였다. 각 수치는 평균±SD(n=3)으로 표시하였다(SEM=standard error of the mean, p<0.05).
그 결과, 하기 [표 4]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삼채첨가군(AH)에 비하여 발효삼채첨가군(FAH)의 총 페놀함량이 높아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의 발효삼채를 포함한 패티는 항산화능이 유의적으로 높으므로 이를 반려견이 섭취하는 경우 분변의 이취가 경감되는데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AH FAH SEM P-value
총 페놀 함량 16.63 17.47 0.58 0.130
패티의 관능평가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한 패티 대조군(CON), 삼채첨가군(AH) 및 발효삼채첨가군(FAH)에 대한 관능평가를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 훈련된 관능평가요원 10명을 선발하여 실시하였으며, 색(적색도, color), 향(odor), 다즙성(juiciness), 풍미(flavor), 질감(texture) 및 전체적인 기호도(overall acceptability)를 10점 만점법으로 측정하였다(1점, 매우 나쁘다; 10점, 매우 좋다). 각 수치는 평균±SD(n=3)으로 표시하였다(p<0.05).
그 결과, 하기 [표 5]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대조군에 비하여 삼채첨가군(AH)이, AH에 비하여 발효삼채첨가군(FAH)의 관능평가 점수가 유의적으로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FAH의 경우 돈육 고유의 냄새가 적으며 맛이 좋다는 평이 높았다. 이는 본 발명의 패티를 반려견이 섭취하는 경우에도 분변의 이취를 저감시킬 수 있음을 의미한다.
항목 대조군(CON) AH FAH
4.45 4.64 6.64
5.18 4.82 5.00
다즙성 5.60 5.80 5.27
풍미 4.90 4.60 5.00
질감 5.50 6.30 5.64
전체적인 기호도 4.64 5.55 5.64
반려동물 분변 이취 확인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한 패티 대조군(CON), 삼채첨가군(AH) 및 발효삼채첨가군(FAH)을 반려견에 급여한 후, 반려견의 분변에서 나는 이취의 정도를 확인하였다. 냄새가 가장 많이 나는 것을 10점을 기준으로 낮은 점수일수록 냄새가 적게 발생하는 것을 의미한다. 각 수치는 평균±SD(n=3)으로 표시하였다(p<0.05).
그 결과, 하기 [표 6]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대조군에 비하여 삼채를 첨가한 AH 군 및 FAH 군에서 이취가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발효삼채를 첨가한 FAH 군의 경우 이취가 대조군 및 AH 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대조군(CON) AH FAH
점수 5.55 4.64 3.27

Claims (11)

  1. a) 뉴코로스톡 메센테로이데스 SK 1962(Leuconostoc mesenteroides SK 1962)로 발효된 삼채(Allium hookeri) 분말 제조 단계; 및
    b) 상기 단계 a)의 발효된 삼채 분말 및 원료육을 전체 중량대비 0.7~1% 및 60~62% 로 혼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반려동물의 분변에서 발생하는 이취를 감소시키기 위한 반려동물용 식품 조성물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식품 조성물은 에멀젼(emulsion) 유형의 미트볼, 패티, 소시지 또는 육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의 삼채는 삼채의 잎, 꽃, 꽃대, 뿌리 및 전장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부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에 육류 지방, 물 및 소금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추가로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육류 지방, 물 또는 소금은 전체 중량대비 각각 5~30%, 5~30%, 0.1~5% 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려동물은 포유류, 조류, 어류, 파충류, 양서류 및 갑각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8. 삭제
  9. 삭제
  10. 제1항의 방법으로 제조된 반려동물의 분변에서 발생하는 이취를 감소시키기 위한 반려동물용 식품 조성물.


  11. 삭제
KR1020190083133A 2019-07-10 2019-07-10 발효 삼채를 포함하는 반려동물용 식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2812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3133A KR102281273B1 (ko) 2019-07-10 2019-07-10 발효 삼채를 포함하는 반려동물용 식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3133A KR102281273B1 (ko) 2019-07-10 2019-07-10 발효 삼채를 포함하는 반려동물용 식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7167A KR20210007167A (ko) 2021-01-20
KR102281273B1 true KR102281273B1 (ko) 2021-07-22

Family

ID=743050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3133A KR102281273B1 (ko) 2019-07-10 2019-07-10 발효 삼채를 포함하는 반려동물용 식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127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9744B1 (ko) 2016-08-16 2017-03-24 농업회사법인유일바이오주식회사 밤 부산물을 이용한 가금류 사료첨가제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밤 부산물을 이용한 가금류 사료첨가제
KR102016887B1 (ko) 2019-06-12 2019-08-30 신희승 반려동물용 수제 간식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7539B1 (ko) * 2012-09-07 2014-12-01 김선영 삼채분말이 함유된 가금류용 사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20140033920A (ko) * 2012-09-11 2014-03-19 주식회사 삼채 알리움 후커리를 포함하는 육류 가공품의 제조 방법
KR20150014150A (ko) * 2013-07-29 2015-02-06 주식회사 삼채 알리움 후커리 추출물 또는 이의 발효물을 포함하는 가축용 사료 및 이의 용도
KR101658871B1 (ko) * 2014-03-28 2016-09-26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삼채 첨가 유황돈육 살라미 제조방법
KR20160013389A (ko) * 2014-07-25 2016-02-04 재단법인 강릉과학산업진흥원 발효 삼채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발효 삼채
KR20160131585A (ko) * 2015-05-08 2016-11-16 한국식품연구원 유산균 발효 삼채 추출물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9744B1 (ko) 2016-08-16 2017-03-24 농업회사법인유일바이오주식회사 밤 부산물을 이용한 가금류 사료첨가제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밤 부산물을 이용한 가금류 사료첨가제
KR102016887B1 (ko) 2019-06-12 2019-08-30 신희승 반려동물용 수제 간식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7167A (ko) 2021-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8023B1 (ko) 조릿대추출물을 함유하는 광어포 및 그 제조방법
KR20090086495A (ko) 해삼 가공제품 및 그 제조방법
KR101341684B1 (ko) 허브를 첨가한 기능성 발효햄의 제조방법
KR101160944B1 (ko) 천년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사료첨가제
CN104543379A (zh) 一种具有保健功能的含植物提取物的宠物饲料及其制作方法
KR101128428B1 (ko) 연잎분말을 첨가한 계육 가공제품 및 그 제조방법
JP4282749B1 (ja) ペットフードの製造方法及びペットフード
KR102281273B1 (ko) 발효 삼채를 포함하는 반려동물용 식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30092025A (ko) 조릿대를 포함하는 육류 가공식품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017556B1 (ko) 타히보, 샴피니온 및 뽕잎을 주원료로 한 건강식품 조성물
KR101753350B1 (ko) 게 또는 새우 발효물을 포함하는 기능성 천일염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140014420A (ko) 흑마늘 박 및 흑마늘 엑기스를 포함하는 어류 또는 가축용 사료 및 그의 제조 방법
CN101248840B (zh) 一种添加有木贼的畜禽饲料
KR20120116749A (ko) 조미 황태채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조미 황태채
KR101353119B1 (ko) 허브를 첨가한 기능성 발효소시지의 제조방법
CN111772151A (zh) 一种鲈鱼用腌料及其腌制方法
Adeyemi et al. Effect of Moringa oleifera Marinade on Proximate Composition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Smoke-dried African Catfish (Clarias gariepinus)
CN105146137A (zh) 一种美化皮毛的狗粮及其制作方法
KR100322276B1 (ko) 착색도와 난각질 개선을 위한 산란계용 사료조성물 및 그제조방법과 동 사료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한 특수란
KR20060037949A (ko) 녹차잎성분을 함유하는 조미오징어 및 그 제조방법
RU2566675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комбинированного рыбного фарша
KR101658871B1 (ko) 삼채 첨가 유황돈육 살라미 제조방법
KR101554844B1 (ko) 콩 쥐치포 및 그 생산 방법
KR20060011053A (ko) 토끼 급여용 천연셀레늄 사료 조성물
RU2747232C1 (ru)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изделия колбасного вареного на основе растительных компоненто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