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9744B1 - 밤 부산물을 이용한 가금류 사료첨가제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밤 부산물을 이용한 가금류 사료첨가제 - Google Patents

밤 부산물을 이용한 가금류 사료첨가제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밤 부산물을 이용한 가금류 사료첨가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9744B1
KR101719744B1 KR1020160103575A KR20160103575A KR101719744B1 KR 101719744 B1 KR101719744 B1 KR 101719744B1 KR 1020160103575 A KR1020160103575 A KR 1020160103575A KR 20160103575 A KR20160103575 A KR 20160103575A KR 101719744 B1 KR101719744 B1 KR 1017197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estnut
product
weight
fermented
fermen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35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태운
이강훈
권율
정찬영
Original Assignee
농업회사법인유일바이오주식회사
손태운
이강훈
권율
정찬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업회사법인유일바이오주식회사, 손태운, 이강훈, 권율, 정찬영 filed Critical 농업회사법인유일바이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035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97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97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97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10Animal feeding-stuffs obtained by microbiological or biochemical processes
    • A23K10/12Animal feeding-stuffs obtained by microbiological or biochemical processes by fermentation of natural products, e.g. of vegetable material, animal waste material or biomas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10Animal feeding-stuffs obtained by microbiological or biochemical processes
    • A23K10/16Addition of microorganisms or extracts thereof, e.g. single-cell proteins, to feeding-stuff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A23K10/33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from molass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40/00Shaping or working-up of animal feeding-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 A23K50/7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birds
    • A23K50/75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birds for poultry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80Food processing, e.g. use of renewable energies or variable speed drives in handling, conveying or stacking
    • Y02P60/87Re-use of by-products of food processing for fodder produc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Zo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Phys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rd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ir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밤 부산물을 이용한 가금류 사료첨가제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밤 부산물을 이용한 가금류 사료첨가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밤 부산물을 이용한 가금류 사료첨가제의 제조방법은 삼채를 준비하여 1 내지 3cm의 길이로 분쇄한 후 정제수를 첨가하여 열수 추출함으로써 추출액을 제조하는 삼채 추출액 제조 단계(S100); 상기 삼채 열수 추출액을 냉각한 후, 숙성 발효시켜 삼채 발효액을 제조하는 삼채 숙성 발효 단계(S200); 상기 숙성 발효된 삼채 발효액에 미생물 균주를 혼합한 후 배양하여 미생물 균주가 포함된 삼채 발효액을 제조하는 삼채 미생물 배양 단계(S300); 밤 부산물과 혼합되어 사료첨가제로 제조되는 조성물들을 혼합하여 밤 부산물을 포함하는 혼합물을 제조하는 밤 부산물을 포함하는 혼합물 제조 단계(S400); 상기 밤 부산물을 포함하는 혼합물에 상기 미생물 균주가 포함된 삼채 발효액을 분무하여 혼합한 후, 18 내지 25℃의 온도에서 18 내지 21일 동안 발효시킴으로써 발효 산물을 제조하는 미생물 배양 및 발효 단계(S500); 및 상기 발효 산물을 건조시키는 건조 단계(S600)를 포함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은 대량 생산되어 폐기되는 밤의 농업 부산물을 활용하여 닭이나 오리 등과 같은 가금류의 사료첨가제를 제조함으로써, 밤 부산물의 영양학적 및 사료적 가치를 제고할 수 있고 농가의 축산물 품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으며 대량으로 생산되는 밤 부산물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밤 부산물을 이용한 가금류 사료첨가제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밤 부산물을 이용한 가금류 사료첨가제{METHOD FOR MANUFACTURING FEED ADDITIVES FOR POULTRY USING CHESTNUT BY-PRODUCT AND FEED ADDITIVES FOR POULTRY USING CHESTNUT BY-PRODUCT MANUFACTURED BY THE SAME}
본 발명은 밤 부산물을 이용한 가금류 사료첨가제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밤 부산물을 이용한 가금류 사료첨가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대량 생산되어 폐기되는 밤의 농업 부산물을 활용하여 닭이나 오리 등과 같은 가금류의 사료첨가제를 제조함으로써, 밤 부산물의 영양학적 및 사료적 가치를 제고할 수 있고 농가의 축산물 품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으며 대량으로 생산되는 밤 부산물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밤 부산물을 이용한 가금류 사료첨가제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밤 부산물을 이용한 가금류 사료첨가제에 관한 것이다.
인간이 가축을 사육하기 시작함과 더불어 소, 닭, 돼지 등의 가축에게 곡물 등의 사료를 공급하기 시작하였고 이렇게 사육된 가축으로부터 인간은 단백질의 대부분을 공급받고 생체 내에서 합성할 수 없는 영양소를 가축을 통해 얻고 있다.
그러나 전 세계 인구의 급격한 증가로 인하여 가축의 수요도 급증하여 사료의 양이 상대적으로 부족해지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가축에의 사료 공급에 있어서 단순 사료의 증산뿐만 아니라 보다 적은 비용과 노력으로 가축의 증체 효과는 물론 다양한 기능성 효과도 함께 가지는 사료첨가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연구도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또한, 가축의 비육과 소화를 촉진시키고 기능성 축산물을 생산할 수 있는 사료첨가제의 개발은 수입대체에 따른 외화의 낭비를 막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품격 기능성 축산물을 생산하여 농가의 소득수준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한편, 국내 가금(양계, 오리 등) 산업의 전망을 어둡게 하는 주된 요인은 대외 경쟁력 부족에 있다. 가금 산업과 관련하여 국내 사료업계에 의해 생산되는 사료의 질은 선진국과 대등한 수준이며, 가금농장의 규모도 90년대 이후 연간 3만 수 이상의 대형농장도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국내 가금산업의 양적, 질적인 팽창에도 불구하고 출하체중, 출하 연령에 있어서는 미국, 일본 등과 같은 선진국에 비하여 크게 못 미치는 수준에 있다. 국내 육계 출하체중이 1.5kg 전후에 불과하여 일본 2.2kg, 미국 2.0kg, 대만 2.3kg에 비하여 매우 낮은 실정이다.
이는 동일한 양의 사료, 인건비, 연료비 등으로 사양관리상 제한요인에 의해 선진국 수준의 출하체중으로까지 키울 수 없기 때문이다. 사양관리상 제한요인은 위생관리가 적절치 못해 전염성 질병이 빈발하고, 부화장에서는 부화율과 병아리의 생존율이 떨어지고, 육계사육장에서는 질병과 항생제의 과다투여로 인해 체중증가의 둔화로 이어지는 악순환이 발생하여 생산성이 떨어진다는데 있다.
따라서 국내 가금산업의 대외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혁신적인 질병예방기술을 개발함으로써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혁신적인 기술이 요구된다.
미국, 유럽 및 일본에서는 비항생제적 생물학적 방법인 유용미생물을 활용한 제제를 이용하여 양계장의 사양관리에서 항생제 사용을 줄여가면서 생산성을 높이고 계육의 안전성을 확보하는 기술을 실용화하고 있는데, 국내에서도 유용미생물과 천연 물질을 활용한 기술을 시급히 확보하여 양계의 생산성을 향상시킴으로써 국제 경쟁력을 확보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현재 날로 강화되는 위생에 대한 인류의 요구, 각국의 항생제 사용규제 강화, 세계화의 가속화로 축산물의 국제교류가 활발해지는 현시점에서 친환경적인 기술의 개발 및 도입은 국내 양계산업이 생존할 수 있는 기술적 대안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국내공개특허 제10-2005-0017865호(2005년 02월 23일 공개) 국내등록특허 제10-1333732호(2013년 11월 21일 등록) 국내등록특허 제10-1354460호(2014년 01월 16일 등록)
본 발명은 대량 생산되어 폐기되는 밤의 농업 부산물을 활용하여 닭이나 오리 등과 같은 가금류의 사료첨가제를 제조함으로써, 밤 부산물의 영양학적 및 사료적 가치를 제고할 수 있고 농가의 축산물 품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으며 대량으로 생산되는 밤 부산물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밤 부산물을 이용한 가금류 사료첨가제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밤 부산물을 이용한 가금류 사료첨가제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금류의 난각, 난황 및 난백의 품질개선 효과가 우수하고 난각의 윤기 개선, 강건성 증가 및 점박이 현상이 개선되며 난황의 색도 증가, 탄력성이 개선될 수 있는 밤 부산물을 이용한 가금류 사료첨가제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밤 부산물을 이용한 가금류 사료첨가제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양한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밤 부산물을 이용한 가금류 사료첨가제의 제조방법은 삼채를 준비하여 1 내지 3cm의 길이로 분쇄한 후 정제수를 첨가하여 열수 추출함으로써 추출액을 제조하는 삼채 추출액 제조 단계(S100); 상기 삼채 열수 추출액을 냉각한 후, 숙성 발효시켜 삼채 발효액을 제조하는 삼채 숙성 발효 단계(S200); 상기 숙성 발효된 삼채 발효액에 미생물 균주를 혼합한 후 배양하여 미생물 균주가 포함된 삼채 발효액을 제조하는 삼채 미생물 배양 단계(S300); 밤 부산물과 혼합되어 사료첨가제로 제조되는 조성물들을 혼합하여 밤 부산물을 포함하는 혼합물을 제조하는 밤 부산물을 포함하는 혼합물 제조 단계(S400); 상기 밤 부산물을 포함하는 혼합물에 상기 미생물 균주가 포함된 삼채 발효액을 분무하여 혼합한 후, 18 내지 25℃의 온도에서 18 내지 21일 동안 발효시킴으로써 발효 산물을 제조하는 미생물 배양 및 발효 단계(S500); 및 상기 발효 산물을 건조시키는 건조 단계(S600)를 포함한다.
상기 삼채 추출액 제조 단계(S100)에서 상기 삼채의 열수 추출은 정제수 100 중량부에 분쇄된 삼채 2 내지 10 중량부를 혼합한 후 100 내지 120℃의 온도에서 1 내지 3시간 동안 가열하여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삼채 숙성 발효 단계(S200)에서 상기 삼채 발효액은 상기 삼채 열수 추출액을 20 내지 25℃의 온도 범위로 냉각하여 5 내지 10시간 동안 숙성시킨 후, 상기 냉각 숙성된 삼채 열수 추출액 100 중량부에 대하여 배지 조성물로 사용되는 영양 성분인 효모 추출물(Yeast extract) 0.1 내지 0.5 중량부, 맥아 추출물(Malt extract) 0.1 내지 0.5 중량부 및 글루코스(Glucose) 1.0 내지 1.5 중량부를 각각 첨가하여 20 내지 30℃에서 5 내지 10일 동안 발효시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삼채 미생물 배양 단계(S300)에서 상기 삼채 발효액에 혼합되는 미생물 균주로는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루스(Lactobacillus acidophilus), 스트렙토코쿠스 테르모필루스(Streptococcus thermophilus) 및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데스(Leuconostoc mesenteroides)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균주가 포함되고, 상기 미생물 균주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균주를 상기 삼채 발효액과 혼합한 후 25 내지 35℃의 온도에서 5 내지 10일 동안 배양할 수 있다.
상기 밤 부산물을 포함하는 혼합물 제조 단계(S400)에서 상기 밤 부산물을 포함하는 혼합물은 밤 부산물 5 내지 10 중량%, 미강 10 내지 15 중량%, 당밀 2 내지 5 중량%, 황설탕 1 내지 3 중량% 및 잔량의 정제수를 혼합하여 밤 부산물을 포함하는 혼합물 100 중량%가 되도록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미생물 배양 및 발효 단계(S500)에서는 밤 부산물을 포함하는 혼합물 100 중량부에 상기 미생물 균주가 포함된 삼채 발효액 2 내지 5 중량부를 분무하여 혼합할 수 있다.
상기 건조 단계(S600)에서는 상기 발효 산물을 50 내지 60℃ 온도의 열풍으로 5 내지 10시간 동안 건조하되, 상기 건조된 발효 산물에 함유되어 있는 수분 함량이 10 내지 15%가 되도록 건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밤 부산물을 이용한 가금류 사료첨가제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 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밤 부산물을 이용한 가금류 사료첨가제의 제조방법은 대량 생산되어 폐기되는 밤의 농업 부산물을 활용하여 닭이나 오리 등과 같은 가금류의 사료첨가제를 제조함으로써, 밤 부산물의 영양학적 및 사료적 가치를 제고할 수 있고 농가의 축산물 품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으며 대량으로 생산되는 밤 부산물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밤 부산물을 이용한 가금류 사료첨가제의 제조방법은 가금류의 난각, 난황 및 난백의 품질개선 효과가 우수하고 난각의 윤기 개선, 강건성 증가 및 점박이 현상이 개선되며 난황의 색도 증가, 탄력성이 개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는,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다양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 충분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밤 부산물을 이용한 가금류 사료첨가제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험예에서 난각의 윤기 및 표면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시험예에서 난각의 강건성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시험예에서 난각의 색도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시험예에서 난황의 색도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시험예에서 난황의 탄력도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시험예에서 난백의 탄력도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시험예에서 일반 시중 계란과 비교하기 위한 사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밤 부산물을 이용한 가금류 사료첨가제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밤 부산물을 이용한 가금류 사료첨가제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밤 부산물을 이용한 가금류 사료첨가제의 제조방법은 삼채 추출액 제조 단계(S100), 삼채 숙성 발효 단계(S200), 삼채 미생물 배양 단계(S300), 밤 부산물을 포함하는 혼합물 제조 단계(S400), 미생물 배양 및 발효 단계(S500), 및 건조 단계(S600)를 포함한다.
1. 삼채 추출액 제조 단계(S100)
상기 삼채 추출액 제조 단계(S100)는 삼채를 준비하여 1 내지 3cm의 길이로 분쇄한 후 정제수 100 중량부에 상기 분쇄된 삼채 2 내지 10 중량부를 첨가하여 열수 추출함으로써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로, 본 발명에서 삼채 추출액을 제조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부분은 잎, 꽃, 뿌리, 줄기 등 다양한 기관 또는 부분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삼채 열수 추출액을 제조하기 위하여 상기 삼채는 정제수 100 중량부에 2 내지 10 중량부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삼채가 2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에는 상기 삼채의 첨가량이 적어 삼채의 유효성분이 충분히 추출되기 어려운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상기 삼채가 10 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되는 경우에는 상기 삼채로부터 유효 성분을 추출하기 위한 정제수의 양이 상대적 부족하여 상기 삼채의 유효성분을 충분하게 추출하지 못해 비경제적인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삼채는 일반적으로 단맛, 쓴맛, 매운맛이 난다고 하여 삼채(三菜)라고 부르기도 하며, 인삼맛이 난다고 하여 삼채(蔘菜)라고 부르기도 하는데, 이러한 삼채는 마늘처럼 영양 번식하는 작물로, 종근 가격이 고가로 형성되어 농가 경영비 상승요인이 되고 있다.
상기 삼채의 주성분인 식이 유황은 산삼보다 60배 많은 사포닌이 함유되어 있고, 칼슘, 철, 아연, 망간 등 미네랄 성분과 함께 질소 및 섬유질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어 골격과 치아형성, 혈액생성 및 정혈작용, 정력증강, 신체균형조절, 고혈압, 동맥경화, 변비예방 및 배변촉진 등 다양한 효능을 가진다.
상기 식이 유황의 역할은 알파 및 감마-향정신성 진환(치매, 정신 박약), 베타-암 또는 만성질환(당뇨, 고혈압, 저혈압), 델타-피부질환(고엽제, 건선피부, 아토피 알레르기), 람다 및 뮤황-면역체계 강화 등 간기능개선 및 해독 작용과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인삼, 홍삼, 산삼, 선삼에는 베타황의 성분만 포함되어 있는 반면, 삼채에는 6가지 성분 모두 들어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삼채의 열수 추출은 정제수 100 중량부에 분쇄된 삼채 2 내지 10 중량부를 혼합한 후 100 내지 120℃의 온도에서 1 내지 3시간 동안 가열하여 추출할 수 있는데, 상기 열수 추출 조건이 상기에서 한정한 범위 미만으로 진행되는 경우에는 삼채에 포함되어 있는 유효성분들이 충분하게 추출되지 않을 우려가 있고, 열수 추출 조건이 상기에서 한정한 범위를 초과하여 진행되는 경우에는 상기 삼채에 포함되어 있는 유효성분들이 파괴되어 그 효능들이 상실될 우려가 있다.
2. 삼채 숙성 발효 단계(S200)
상기 삼채 숙성 발효 단계(S200)는 상기 가열되어 제조된 삼채 열수 추출액을 냉각한 후, 숙성 발효시켜 삼채 발효액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상기 삼채 발효액은 상기 가열되어 제조된 삼채 열수 추출액을 20 내지 25℃의 온도 범위로 냉각하여 5 내지 10시간 동안 숙성시킨 후, 상기 냉각 숙성된 삼채 열수 추출액 100 중량부에 대하여 배지 조성물로 사용되는 영양 성분인 효모 추출물(Yeast extract) 0.1 내지 0.5 중량부, 맥아 추출물(Malt extract) 0.1 내지 0.5 중량부 및 글루코스(Glucose) 1.0 내지 1.5 중량부를 각각 첨가하여 20 내지 30℃에서 5 내지 10일 동안 발효시킬 수 있다. 상기 영양 성분들로 사용되는 조성물들은 추후 공정에서 미생물이 활발하게 발효작용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첨가될 수 있다.
3. 삼채 미생물 배양 단계(S300)
상기 삼채 미생물 배양 단계(S300)는 상기 삼채 숙성 발효 단계(S200)에서 숙성 발효된 삼채 발효액에 미생물 균주를 혼합한 후 배양하여 미생물 균주가 포함된 삼채 발효액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상기 삼채 미생물 배양 단계(S300)에서 상기 삼채 발효액에 혼합되는 미생물 균주로는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루스(Lactobacillus acidophilus), 스트렙토코쿠스 테르모필루스(Streptococcus thermophilus) 및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데스(Leuconostoc mesenteroides)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균주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미생물 균주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균주를 상기 삼채 발효액과 혼합한 후 25 내지 35℃의 온도에서 5 내지 10일 동안 배양시킬 수 있는데, 본 발명은 상기 미생물 균주에 의해 발효됨으로써 가금류의 장내에서 장내 산성화에 의한 유해 세균의 억제와 함께 기능성 향상, 면역력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4. 밤 부산물을 포함하는 혼합물 제조 단계(S400)
상기 밤 부산물을 포함하는 혼합물 제조 단계(S400)는 밤 부산물과 혼합되어 사료첨가제로 제조되는 조성물들을 혼합하여 밤 부산물을 포함하는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로, 상기 밤 부산물을 포함하는 혼합물은 밤 부산물, 미강, 당밀, 황설탕 및 정제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밤 부산물을 포함하는 혼합물은 밤 부산물 5 내지 10 중량%, 미강 10 내지 15 중량%, 당밀 2 내지 5 중량%, 황설탕 1 내지 3 중량% 및 잔량의 정제수를 혼합하여 밤 부산물을 포함하는 혼합물 100 중량%가 되도록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밤 부산물은 밤의 외피, 내피 또는 규격 외의 과육을 포함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국내 밤 생산량은 연간 6만 톤에 달하며, 이중 밤의 외피, 내피 또는 규격 외의 과육 등 불가식의 부산물을 처리하는데 국내 밤 가공업체에서는 후처리상의 문제점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대량 생산되어 폐기되는 밤의 농업 부산물(밤의 외피, 내피 또는 규격 외의 과육 등)을 활용함으로써 밤 부산물의 영양학적 또는 사료적 가치를 제고하고 축산농가의 축산물 품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상기 밤에는 당지질 성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는데, 이는 동물의 신경계 조직에서 많이 발견되는 중요한 지용성 물질일 뿐만 아니라 대식세포를 활성화시켜 매우 좋은 면역 증강 기능을 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밤에는 쿠마린, 갈릭산, 카테친 등의 항산화 성분이 내피 및 과육에 함유되어 있는데, 구체적으로 쿠마린과 카테친은 밤의 내피 부분에 다량 함유되어 있고, 갈릭산은 과육에도 다량 함유되어 있으며, 상기 갈릭산에 의한 항산화 효과는 매우 좋은 것으로 밝혀졌다. 그리고 밤에는 항산화 영양소인 비타민 A와 C가 다량 함유되어 있는데 과육에 다량 함유되어 있는 갈릭산과 더불어 항산화 효과가 매우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밤 부산물은 혼합물 전체 함량 중에서 5 내지 10 중량%가 포함될 수 있는데, 상기 밤 부산물이 5 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에는 밤 부산물을 혼합한 효과가 충분히 발휘되기 어렵고, 10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되는 경우에는 밤 부산물 이외의 조성물 함량이 상대적으로 적게 되어 미생물에 의한 발효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강은 혼합물 전체 함량 중에서 10 내지 15 중량%가 포함될 수 있는데, 상기 미강이 10 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에는 사료첨가제로서의 효율성이 떨어지게 되고, 15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되는 경우에는 점성이 높아지고 엉켜서 붙게 되어 첨가되는 사료와의 혼합이 잘 이루어지지 않아 가금류에 대한 급여가 용이하지 못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당밀은 혼합물 전체 함량 중에서 2 내지 5 중량%가 포함될 수 있는데, 상기 당밀이 2 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에는 당분 부족으로 유용 미생물이 충분히 발육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5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되는 경우에는 당분의 과다로 인하여 미생물의 과다 증식이 발생할 수 있다.
5. 미생물 배양 및 발효 단계(S500)
상기 미생물 배양 및 발효 단계(S500)는 상기 밤 부산물을 포함하는 혼합물에 상기 미생물 균주가 포함된 삼채 발효액을 분무하여 혼합한 후, 18 내지 25℃의 온도에서 18 내지 21일 동안 발효시킴으로써 발효 산물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상기 미생물 배양 및 발효 단계(S500)에서는 밤 부산물을 포함하는 혼합물 100 중량부에 상기 미생물 균주가 포함된 삼채 발효액 2 내지 5 중량부를 분무하여 혼합할 수 있는데, 상기 미생물 균주가 포함된 삼채 발효액이 2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에는 미생물이 충분히 증식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고, 5 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되는 경우에는 미생물이 과도하게 증식하여 부패가 진행될 수 있다.
6. 건조 단계(S600)
상기 건조 단계(S600)는 상기 발효 산물을 건조시키는 단계로, 상기 건조 단계(S600)에서는 상기 발효 산물을 50 내지 60℃ 온도의 열풍으로 5 내지 10시간 동안 건조하되, 상기 건조된 발효 산물에 함유되어 있는 수분 함량이 10 내지 15%가 되도록 건조할 수 있다.
상기 건조된 발효 산물의 수분 함량이 15%를 초과하여 포함되는 경우에는 포장하여 보관하는 경우 쉽게 변질될 우려가 있고 유통기한이 짧아지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고, 수분 함량이 10%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에는 발효 산물의 물성이 약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밤 부산물을 이용한 가금류 사료첨가제에 대한 실시예를 들어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 실시예 >
먼저, 삼채를 준비하여 1 내지 3cm의 길이로 분쇄한 후 정제수 100 중량부에 상기 분쇄된 삼채 5 중량부를 첨가하였고, 110℃의 온도에서 2시간 동안 가열하여 열수 추출하여 삼채 열수 추출액을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삼채 열수 추출액을 22 내지 23℃의 온도로 냉각하여 7시간 동안 숙성시킨 후, 상기 냉각 숙성된 삼채 열수 추출액 100 중량부에 대하여 배지 조성물로 사용되는 영양 성분인 효모 추출물(Yeast extract) 0.3 중량부, 맥아 추출물(Malt extract) 0.3 중량부 및 글루코스(Glucose) 1.2 중량부를 각각 첨가하여 25℃에서 8일 동안 발효하였다.
그 다음으로,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루스(Lactobacillus acidophilus), 스트렙토코쿠스 테르모필루스(Streptococcus thermophilus) 및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데스(Leuconostoc mesenteroides)로 이루어진 혼합 균주를 상기 삼채 발효액과 혼합한 후 30℃의 온도에서 7일 동안 발효하였다.
이어서, 밤 부산물 7 중량%, 미강 12 중량%, 당밀 3 중량%, 황설탕 2 중량% 및 잔량의 정제수를 혼합하여 밤 부산물을 포함하는 혼합물 100 중량%를 제조하였고, 상기 밤 부산물을 포함하는 혼합물 100 중량부에 상기 미생물 균주가 포함된 삼채 발효액 3 중량부를 분무하여 혼합한 후, 20℃의 온도에서 20일 동안 발효시킴으로써 발효 산물을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발효 산물을 건조하였는데, 상기 발효 산물을 55℃ 온도의 열풍으로 7시간 동안 건조하여 상기 건조된 발효 산물에 함유되어 있는 수분 함량이 13%가 되도록 건조함으로써, 밤 부산물을 이용한 가금류 사료첨가제를 제조하였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밤 부산물을 이용한 가금류 사료첨가제의 실시예를 들어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 실험예 >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와 같이 제조된 밤 부산물을 이용한 가금류 사료첨가제가 계란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시험하기 위하여, 시험농장 2곳을 선정해 산란계 사료에 혼합하여 급여한 후 계란 난각(Eggshell; 윤기, 강건성, 난각색도), 난황(Eggyolk; 난황색도, 탄력도), 난백(Eggwhite; 높이, 크기, 모양)의 변화를 급여전과 후로 나누어 비교함으로써 계란의 품질 개선, 신선도 증가에 대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1. 재료 및 방법
가. 시험대상
* 시험 B농장 : 경기도 김포시 월곶면 군하리 소재 봉룡농장 75주령 14,000수
* 시험 O농장 : 충북 진천군 덕산면 화상리 소재 오란다농장 35주령 250,000수
나. 시험기간
* 시험 B농장: 2016년 5월 12일 ~ 5월 27일(15일)
* 시험 O농장: 2016년 6월 15일 ~ 6월 30일(15일)
다. 시험방법
1) 닭의 1일 사료섭취량에 사료첨가제를 0.5% 함량으로 배합 첨가
2) 사료섭취 개시일로부터 15일간 매일 동일 계군의 계란 30구씩 채취
3) 채취된 계란의 난각, 난황의 색도 체크, 강건성(찝어서 올림), 탄력도(요지) 시험
2. 시험 결과
* 난각 (Egg shell)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험예에서 난각의 윤기 및 표면을 보여주는 사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시험예에서 난각의 강건성을 보여주는 사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시험예에서 난각의 색도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난각의 윤기 및 표면은 본 발명에 따른 사료첨가제를 급여하기 전에는 표면상 탁한 윤기와 점박이가 다수였으나, 사료첨가제를 급여한 후에는 표면상 윤기가 회복되고 점박이가 감소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도 3을 참조하면, 난각의 강건성은 본 발명에 따른 사료첨가제를 급여하기 전에는 난각이 얇고 구멍이 많았으나, 사료첨가제를 급여한 후에는 난각이 두껍고 구멍이 촘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도 4를 참조하면, 난각의 색도는 본 발명에 따른 사료첨가제를 급여하기 전에는 난각 표면이 탁하고 색도가 낮았으나, 사료첨가제를 급여한 후에는 난각 표면이 윤기가 나고 색도가 높아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2 내지 도 4에 나타난 시험 결과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사료첨가제를 급여한 후 난각의 윤기가 회복되고, 점박이가 감소되며, 색도가 증가(짙어짐)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밤 부산물을 이용한 가금류 사료첨가제를 급여하여 난각의 강건성이 좋아지면 유통과정에서 깨짐이나 부패로 인한 손실을 줄일 수 있고, 이로 인해 등급 판정 계란 평가기준치에 적합한 수준까지 개선됨을 알 수 있다.
* 난황(Egg yolk)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시험예에서 난황의 색도를 보여주는 사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시험예에서 난황의 탄력도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난황의 색도는 본 발명에 따른 사료첨가제를 급여하기 전에는 일반계란 수준의 색도를 보였으나, 사료첨가제를 급여한 후에는 등급란 수준의 색도를 보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도 6을 참조하면, 난황의 탄력도는 본 발명에 따른 사료첨가제를 급여하기 전에는 탄력이 떨어졌으나, 사료첨가제를 급여한 후에는 탄력이 매우 우수해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5 및 도 6에 나타난 시험 결과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사료첨가제를 급여한 후 난황의 색도가 증가(짙어짐)하고, 탄력도 증가도 뚜렷한 효과를 보였으며, 등급판정계란 평가기준치에 적합한 수준까지 개선됨을 알 수 있었다.
* 난백(Egg white)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시험예에서 난백의 탄력도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난백의 탄력도는 본 발명에 따른 사료첨가제를 급여하기 전에는 타원형으로 얇게 퍼져 있으나, 사료첨가제를 급여한 후에는 난백이 둥근 원형으로 두껍고 단단해졌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7에 나타난 시험 결과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사료첨가제를 급여한 후 수양난백의 높이(그림자가 선명할수록 신선도가 높음), 둥근모양(원형에 가까울수록 신선도가 높음)이 뚜렷이 개선된 효과를 보였으며, 등급판정계란 평가기준치에 적합한 수준까지 개선됨을 알 수 있었다.
* 일반 시중 계란과의 비교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시험예에서 일반 시중 계란과 비교하기 위한 사진으로, 도 8의 뒷부분에 위치한 계란(3개)은 일반 시중 계란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8의 앞부분에 위치한 계란(3개)은 본 발명에 따른 사료첨가제를 급여한 후에 산란된 계란을 보여주는 것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마트에서 판매되는 일반 시중 계란을 구입하여 비교한 결과 난각 색도와 계란 크기, 계란 표면의 윤기가 현저한 차이를 보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일반 시중에 시판되는 계란을 생산하는 농가의 계란품질 향상과 소득 증대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일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8)

  1. 삼채를 준비하여 1 내지 3cm의 길이로 분쇄한 후 정제수를 첨가하여 열수 추출함으로써 추출액을 제조하는 삼채 추출액 제조 단계(S100);
    상기 삼채 열수 추출액을 냉각한 후, 숙성 발효시켜 삼채 발효액을 제조하는 삼채 숙성 발효 단계(S200);
    상기 숙성 발효된 삼채 발효액에 미생물 균주를 혼합한 후 배양하여 미생물 균주가 포함된 삼채 발효액을 제조하는 삼채 미생물 배양 단계(S300);
    밤 부산물과 혼합되어 사료첨가제로 제조되는 조성물들을 혼합하여 밤 부산물을 포함하는 혼합물을 제조하는 밤 부산물을 포함하는 혼합물 제조 단계(S400);
    상기 밤 부산물을 포함하는 혼합물에 상기 미생물 균주가 포함된 삼채 발효액을 분무하여 혼합한 후, 18 내지 25℃의 온도에서 18 내지 21일 동안 발효시킴으로써 발효 산물을 제조하는 미생물 배양 및 발효 단계(S500); 및
    상기 발효 산물을 건조시키는 건조 단계(S600)를 포함하고,
    상기 밤 부산물을 포함하는 혼합물 제조 단계(S400)에서 상기 밤 부산물을 포함하는 혼합물은 밤 부산물 5 내지 10 중량%, 미강 10 내지 15 중량%, 당밀 2 내지 5 중량%, 황설탕 1 내지 3 중량% 및 잔량의 정제수를 혼합하여 밤 부산물을 포함하는 혼합물 100 중량%가 되도록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밤 부산물을 이용한 가금류 사료첨가제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삼채 추출액 제조 단계(S100)에서 상기 삼채의 열수 추출은 정제수 100 중량부에 분쇄된 삼채 2 내지 10 중량부를 혼합한 후 100 내지 120℃의 온도에서 1 내지 3시간 동안 가열하여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밤 부산물을 이용한 가금류 사료첨가제의 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삼채 숙성 발효 단계(S200)에서 상기 삼채 발효액은 상기 삼채 열수 추출액을 20 내지 25℃의 온도 범위로 냉각하여 5 내지 10시간 동안 숙성시킨 후, 상기 냉각 숙성된 삼채 열수 추출액 100 중량부에 대하여 배지 조성물로 사용되는 영양 성분인 효모 추출물(Yeast extract) 0.1 내지 0.5 중량부, 맥아 추출물(Malt extract) 0.1 내지 0.5 중량부 및 글루코스(Glucose) 1.0 내지 1.5 중량부를 각각 첨가하여 20 내지 30℃에서 5 내지 10일 동안 발효시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밤 부산물을 이용한 가금류 사료첨가제의 제조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삼채 미생물 배양 단계(S300)에서 상기 삼채 발효액에 혼합되는 미생물 균주로는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루스(Lactobacillus acidophilus), 스트렙토코쿠스 테르모필루스(Streptococcus thermophilus) 및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데스(Leuconostoc mesenteroides)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균주가 포함되고,
    상기 미생물 균주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균주를 상기 삼채 발효액과 혼합한 후 25 내지 35℃의 온도에서 5 내지 10일 동안 배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밤 부산물을 이용한 가금류 사료첨가제의 제조방법.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미생물 배양 및 발효 단계(S500)에서는 밤 부산물을 포함하는 혼합물 100 중량부에 상기 미생물 균주가 포함된 삼채 발효액 2 내지 5 중량부를 분무하여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밤 부산물을 이용한 가금류 사료첨가제의 제조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 단계(S600)에서는 상기 발효 산물을 50 내지 60℃ 온도의 열풍으로 5 내지 10시간 동안 건조하되, 상기 건조된 발효 산물에 함유되어 있는 수분 함량이 10 내지 15%가 되도록 건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밤 부산물을 이용한 가금류 사료첨가제의 제조방법.
  8. 제 1항 내지 제4항, 제6항 및 제 7항 중 어느 하나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밤 부산물을 이용한 가금류 사료첨가제.
KR1020160103575A 2016-08-16 2016-08-16 밤 부산물을 이용한 가금류 사료첨가제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밤 부산물을 이용한 가금류 사료첨가제 KR1017197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3575A KR101719744B1 (ko) 2016-08-16 2016-08-16 밤 부산물을 이용한 가금류 사료첨가제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밤 부산물을 이용한 가금류 사료첨가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3575A KR101719744B1 (ko) 2016-08-16 2016-08-16 밤 부산물을 이용한 가금류 사료첨가제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밤 부산물을 이용한 가금류 사료첨가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9744B1 true KR101719744B1 (ko) 2017-03-24

Family

ID=585004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3575A KR101719744B1 (ko) 2016-08-16 2016-08-16 밤 부산물을 이용한 가금류 사료첨가제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밤 부산물을 이용한 가금류 사료첨가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974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91873A (zh) * 2017-11-15 2018-02-16 湖南耶啰耶兔业发展有限公司 一种生物火鸡饲料及其制备方法
KR20200056586A (ko) 2018-11-15 2020-05-25 주식회사 에스씨아이 밤 내피 추출물이 함유된 가축용 사료 첨가제의 제조방법, 이에 따라 제조된 가축용 사료 첨가제 및 이를 포함하는 가축용 사료
KR20200087388A (ko) 2019-01-10 2020-07-21 정채규 농업 폐기물을 이용한 사료 첨가제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210007167A (ko) * 2019-07-10 2021-01-20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발효 삼채를 포함하는 반려동물용 식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7865A (ko) 2003-08-11 2005-02-23 주식회사 이노바이오 육계용 사료첨가제 및 이에 의해 생산된 철분함량이 높은닭고기
KR100913906B1 (ko) * 2008-12-05 2009-08-26 유희민 천연 식물성분과 유용미생물을 이용한 기능성 및 무항생제 축산물 생산을 위한 가금용사료 및 그 제조방법
KR101333732B1 (ko) 2010-11-02 2013-11-27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항산화효과가 우수한 양파발효액을 이용한 삼계닭 항생제 대체 사료첨가제 및 삼계닭 계육 품질유지제의 제조 방법과 그 용도
KR101354460B1 (ko) 2011-11-03 2014-01-29 맥섬석 지.엠. 주식회사 맥섬석과 한방제재를 혼합한 가축용 사료첨가제 생산방법, 이 방법으로 생산되는 혼합 사료첨가제 및 이의 첨가제를 급여하여 가축을 사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사양방법
KR101467539B1 (ko) * 2012-09-07 2014-12-01 김선영 삼채분말이 함유된 가금류용 사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20150014150A (ko) * 2013-07-29 2015-02-06 주식회사 삼채 알리움 후커리 추출물 또는 이의 발효물을 포함하는 가축용 사료 및 이의 용도
KR101628995B1 (ko) * 2015-10-23 2016-06-09 이종두 고농축 식물성 소마티드 천연 겔 엑기스를 이용한 천연 파우더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다기능 원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7865A (ko) 2003-08-11 2005-02-23 주식회사 이노바이오 육계용 사료첨가제 및 이에 의해 생산된 철분함량이 높은닭고기
KR100913906B1 (ko) * 2008-12-05 2009-08-26 유희민 천연 식물성분과 유용미생물을 이용한 기능성 및 무항생제 축산물 생산을 위한 가금용사료 및 그 제조방법
KR101333732B1 (ko) 2010-11-02 2013-11-27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항산화효과가 우수한 양파발효액을 이용한 삼계닭 항생제 대체 사료첨가제 및 삼계닭 계육 품질유지제의 제조 방법과 그 용도
KR101354460B1 (ko) 2011-11-03 2014-01-29 맥섬석 지.엠. 주식회사 맥섬석과 한방제재를 혼합한 가축용 사료첨가제 생산방법, 이 방법으로 생산되는 혼합 사료첨가제 및 이의 첨가제를 급여하여 가축을 사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사양방법
KR101467539B1 (ko) * 2012-09-07 2014-12-01 김선영 삼채분말이 함유된 가금류용 사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20150014150A (ko) * 2013-07-29 2015-02-06 주식회사 삼채 알리움 후커리 추출물 또는 이의 발효물을 포함하는 가축용 사료 및 이의 용도
KR101628995B1 (ko) * 2015-10-23 2016-06-09 이종두 고농축 식물성 소마티드 천연 겔 엑기스를 이용한 천연 파우더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다기능 원료 조성물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91873A (zh) * 2017-11-15 2018-02-16 湖南耶啰耶兔业发展有限公司 一种生物火鸡饲料及其制备方法
KR20200056586A (ko) 2018-11-15 2020-05-25 주식회사 에스씨아이 밤 내피 추출물이 함유된 가축용 사료 첨가제의 제조방법, 이에 따라 제조된 가축용 사료 첨가제 및 이를 포함하는 가축용 사료
KR20200087388A (ko) 2019-01-10 2020-07-21 정채규 농업 폐기물을 이용한 사료 첨가제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210007167A (ko) * 2019-07-10 2021-01-20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발효 삼채를 포함하는 반려동물용 식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281273B1 (ko) 2019-07-10 2021-07-22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발효 삼채를 포함하는 반려동물용 식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5851B1 (ko) 뽕잎과 유용 미생물을 이용한 뽕잎발효사료첨가제 및 그제조방법과 그것으로 사육하여 얻어진 오리고기와 닭고기
CN107494911B (zh) 含黄芪茎叶花减抗饲料、不使用抗生素养殖动物的方法
KR101782110B1 (ko) 오메가-3 지방산 강화 사료첨가제와 이의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가축사육방법
KR101719744B1 (ko) 밤 부산물을 이용한 가금류 사료첨가제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밤 부산물을 이용한 가금류 사료첨가제
CN107535724B (zh) 金针菇菇脚发酵物及其用途
CN104206835A (zh) 一种提高肉羊品质的有机羊饲料
CN102524522A (zh) 一种含松针粉的绿色畜禽饲料及其制备方法
KR101984646B1 (ko) 굼벵이의 분변물을 이용한 반추동물용 사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4222660A (zh) 一种具有提高猪免疫力的猪用饲料添加剂
KR101115306B1 (ko) 대추를 이용한 가축용 고체발효 생균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89659B1 (ko) 육질개선용 염소사료 조성물 및 그 사료를 급여한 염소로부터 얻어지는 사포닌, 유황, 불포화지방산 함량이 높은 염소육
CN107348222A (zh) 一种禽畜养殖饲料的制备方法
CN111713612A (zh) 实现抗热应激和改善蛋品质的鸡饲料及其应用
KR102289532B1 (ko) 기능성 가축보조사료의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7712386A (zh) 产蛋鸵鸟饲料及其制备方法
CN107772126A (zh) 鸵鸟幼龄饲料及其制备方法
CN104222552A (zh) 一种高蛋白黄颡鱼饲料及其制备方法
CN107744054A (zh) 野鸡专用饲料及其制备方法
CN108157614A (zh) 饲料添加剂在制备提高鳖肉品质及鳖生长性能的鳖用饲料中的应用
CN107080045A (zh) 一种含有小球藻的养殖健康猪饲料及制备方法
CN105360640A (zh) 一种饲养仔猪的有机发酵生态饲料
KR20170003288A (ko) 면역 증강용 기능성 사료첨가제
KR100691557B1 (ko) 폐유기물을 이용한 사료 첨가제와 가금용 혼합사료, 이를이용하여 풍미가 우수하고 아미노산 함량이 높은 알의생산방법
CN104187043A (zh) 一种改善肠胃仔猪饲料及其制备方法
CN104222497A (zh) 一种生物饲料的生产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