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9912B1 - 맨홀개구 커버 구조물 - Google Patents

맨홀개구 커버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9912B1
KR102279912B1 KR1020190059259A KR20190059259A KR102279912B1 KR 102279912 B1 KR102279912 B1 KR 102279912B1 KR 1020190059259 A KR1020190059259 A KR 1020190059259A KR 20190059259 A KR20190059259 A KR 20190059259A KR 102279912 B1 KR102279912 B1 KR 1022799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opening
cover plate
manhole opening
cover plat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92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33943A (ko
Inventor
강영식
이재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재성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재성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재성테크
Priority to KR10201900592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9912B1/ko
Publication of KR202001339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39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99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99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2D29/14Covers for manholes or the like; Frames for covers
    • E02D29/1418Covers for manholes or the like; Frames for covers with implements to assist in lifting, e.g. counterweights, sp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2D29/14Covers for manholes or the like; Frames for covers
    • E02D29/1427Lock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5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including at least a hing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Underground Structures, Protecting, Testing And Restoring Found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단한 공구로 개폐가능한 맨홀개구 커버 구조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맨홀개구 커버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맨홀개구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차폐하는 복수의 커버플레이트와, 상기 커버플레이트들 중 어느 하나를 상기 맨홀개구의 연부에 회동개폐가능하게 연결하는 고정힌지와, 상기 고정힌지의 회동축선에 평행한 축선을 따라 상기 커버플레이트들 사이를 상호 회동가능하게 연결하는 가동힌지를 갖는 플레이트조립체와, 상기 커버플레이트들 사이에 수직방향으로 개재된 스크류축과, 상기 스크류축에 결합되는 암나사부재와, 상기 암나사부재와 상기 각 커버플레이트를 각각 연결하여 상기 스크류축이 회전운동할 때 상기 커버플레이트들이 접힘상태와 펼침상태 간을 동작하도록 하는 적어도 한 쌍의 연결링크부재를 갖는 개폐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맨홀개구 커버 구조물{MANHOLE COVER STRUCTURE}
본 발명은 맨홀개구 커버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지하에 형성된 관로에 특정작업을 하기 위해 지면으로부터 관로를 연결하는 맨홀개구가 형성된다. 이러한 맨홀개구는 커버에 의해 차단된 상태에서 필요 시 커버가 개방된다.
그런데, 맨홀개구의 크기에 따라 커버 또한 커져 대형커버의 경우 들어올리기 위한 별도의 장비가 투입되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한 공구로 개폐가능한 맨홀개구 커버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맨홀개구 커버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맨홀개구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차폐하는 복수의 커버플레이트와, 상기 커버플레이트들 중 어느 하나를 상기 맨홀개구의 연부에 회동개폐가능하게 연결하는 고정힌지와, 상기 고정힌지의 회동축선에 평행한 축선을 따라 상기 커버플레이트들 사이를 상호 회동가능하게 연결하는 가동힌지를 갖는 플레이트조립체와, 상기 커버플레이트들 사이에 수직방향으로 개재된 스크류축과, 상기 스크류축에 결합되는 암나사부재와, 상기 암나사부재와 상기 각 커버플레이트를 각각 연결하여 상기 스크류축이 회전운동할 때 상기 커버플레이트들이 접힘상태와 펼침상태 간을 동작하도록 하는 적어도 한 쌍의 연결링크부재를 갖는 개폐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개구 커버 구조물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커버플레이트들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접힘상태에서 상방 노출되는 경광부재를 더 포함하도록 하여 접힘상태에서 오픈되는 개구에 대한 경고를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경광부재는 상기 커버플레이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발광램프와 상기 발광램프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맨홀개구의 둘레를 따라 설치되는 고정프레임을 더 포함하며, 상기 커버플레이트가 상기 펼침상태에서는 상기 고정프레임에 고정되도록 하고 상기 접힘상태에서는 고정 해제하는 락킹부를 더 포함하도록 하여 개폐구동부를 통한 개폐만이 가능하도록 하여 계획되지 않은 개방에 따른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락킹부는 상기 스크류축을 회전시키기 위한 수공구를 수납하는 포켓수용부와, 상기 포켓수용부를 개폐하는 커버를 더 포함하여 별도의 장비를 가지고 다니지 않아도 맨홀개구 커버 구조물 자체가 가진 수공구를 이용하여 맨홀개구를 개폐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맨홀개구 커버 구조물은 간단한 공구로 개폐가능하다.
도 1의 (a), (b)는 본 발명에 따른 맨홀개구 커버 구조물의 단면도와 평면도이다.
도 2의 (a) 내지 (d)는 커버플레이트가 펼침상태에서 접힘상태로 전환되며 맨홀개구를 개방하는 동작을 나타낸다.
도 3은 커버플레이트가 접힘상태에서 경광등이 노출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맨홀개구(1) 커버 구조물을 상세히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맨홀개구(1)는 지하에 형성된 관로를 청소하거나 유지보수 할 때 지상으로부터 관로에 진입하기 위한 통로를 형성하는 것으로, 지상에는 맨홀개구(1)가 형성되고 맨홀개구(1)로부터 관로까지는 연결통로가 형성된다. 맨홀개구(1)는 사용하지 않을 시 차단되어 개구에 의한 사고나 관로에 기타 물질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맨홀개구(1) 커버 구조물은 맨홀개구(1)의 영역에 설치되어 맨홀개구(1)를 개폐하기 위한 것으로, 크게 고정프레임(100)과 플레이트조립체 및 개폐구동부로 구성된다.
고정프레임(100)은 맨홀개구(1)의 둘레를 따라 고정되어 설치되는 고정구조물이다. 고정프레임(100)은 맨홀개구(1)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통상적으로 지상으로부터 소정의 깊이를 가지고 매설되어 설치된다. 즉, 고정구조물의 최상단은 지면과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어 지면을 이동하는 차량이나 사람의 이동에 간섭되지 않는다.
플레이트조립체는 복수의 커버플레이트와 고정힌지(211) 및 가동힌지(221)를 포함한다.
커버플레이트는 격자를 형성하는 플레이트들의 조합으로 형성될 수 있고, 격자를 형성하는 플레이트들이 보강재가 되고 그들을 덮은 콘크리트나 아스콘 등 건축자재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전자는 플레이트들의 사이공간이 관통되어 있고 후자는 건축자재에 의해 사이공간이 매워진다. 이는 맨홀개구(1)가 배치되는 환경에 따라 선택적으로 적용가능하다.
커버플레이트는 맨홀개구(1)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차폐하며 둘 이상의 개수로 준비된다. 본 발명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커버플레이트를 가지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며, 도면 상 우측에 배치된 커버플레이트를 제1커버플레이트(210)로 하고, 좌측에 배치된 커버플레이트를 제2커버플레이트(220)로 지정한다.
제1커버플레이트(210)는 맨홀개구(1)의 연부에 회동개폐 가능하도록 고정힌지(211)에 의해 결합된다. 만약, 고정프레임(100)이 형성된 상태라면 고정힌지(211)의 일 측은 고정프레임(100)에 결합되고 타 측은 제1커버플레이트(210)에 결합되어 제1커버플레이트(210)는 고정프레임(100)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만약, 고정프레임(100)이 형성되지 않은 경우에는 고정힌지(211)의 일 측은 맨홀개구(1)의 연부에 앵커 등에 의해 결합되고 타 측은 제1커버플레이트(210)에 결합되어 제1커버플레이트(210)는 맨홀개구(1)의 연부에 대해 회동 가능해진다.
제1커버플레이트(210)와 제2커버플레이트(220)는 가동힌지(221)에 의해 상호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가동힌지(221)는 고정힌지(211)의 회동축선에 평행한 축선을 따라 제1커버플레이트(210)와 제2커버플레이트(220)의 사이를 상호 회동가능하게 연결한다.
위와 같은 구조로 인해 도시된 상태에서 제1커버플레이트(210)는 맨홀개구(1)의 연부영역 또는 고정프레임(100)에 대해 회동가능하고, 제2커버플레이트(220)는 제1커버플레이트(210)에 대해 회동가능하다. 그리고, 힌지결합부가 없는 제2커버플레이트(220)의 말단부분은 맨홀개구(1)의 연부 또는 고정프레임(100)에 의해 지지된다.
개폐구동부는 제1커버플레이트(210)와 제2커버플레이트(220)의 사이에 개재되며 상단이 커버플레이트들의 높이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되고 하단이 커버플레이트들로부터 하향 연장되어 맨홀내부에 위치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스크류축(310)과, 스크류축(310)에 결합되는 암나사부재(320)와, 암나사부재(320)와 각각의 커버플레이트들을 연결하여 스크류축(310)이 회전운동할 때 커버플레이트들이 접힘상태와 펼침상태 간을 동작하도록 하는 적어도 한 쌍의 연결링크부재(330)들로 구성된다.
여기서, 스크류축(310)은 상단이 제1커버플레이트(210)와 제2커버플레이트(220)들의 사이공간에 커버플레이트들의 높이보다 낮게 배치되며, 상단영역이 고정되는 부분은 스크류축(310)이 회전하는데 간섭을 발생시키지 않는다. 즉, 상단영역은 스크류축(310)이 스크류축(310)의 축선을 중심으로 자유회전 할 수 있도록 지지된다.
암나사부재(320)는 스크류축(310)에 형성된 숫나사산과 맞물리는 암나사산을 가지고, 스크류축(310)에 맞물린다. 암나사부재(320)는 스크류축(310)이 회전하지 않고 제1커버플레이트(210)와 제2커버플레이트(220)가 상호 평행한 펼침상태에서는 커버플레이트들과 근접한 위치에 위치하고, 스크류축(310)이 회전하며 제1커버플레이트(210)와 제2커버플레이트(220)가 상호 경사진 접힘상태에서는 스크류축(310)의 상단으로부터 이격된다.
연결링크부재(330)는 커버플레이트와 암나사부재(320)에 힌지결합된다. 연결링크부재(330)들은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연결링크부재(330)의 일단은 제1커버플레이트(210)와 힌지결합되고 타단은 암나사부재(320)와 힌지결합된다. 그리고 다른 하나의 연결링크부재(330)의 일단은 제2커버플레이트(220)와 힌지결합되고 타단은 암나사부재(320)와 힌지결합된다.
이와 같은 개폐구동부에 의해 스크류축(310)이 회전하면 암나사부재(320)가 스크류축(310)에 나사결합되어 하향이동하게 되며 이 과정에서 제1커버플레이트(210)와 제2커버플레이트(220)는 상호 경사를 이루며 접혀지게 된다. 이때 제1커버플레이트(210)의 일단은 고정힌지(211)에 의해 맨홀개구(1) 또는 고정프레임(10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므로 도 2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플레이트들이 고정힌지(211)의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 과정에서 맨홀개구(1)는 개방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맨홀개구(1) 커버 구조물은 커버플레이트들이 접힘상태로 전환되어 맨홀개구(1)가 개방되었을 때 개방된 맨홀로 인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경광부재를 더 가질 수 있다.
경광부재는 커버플레이트들 사이에 개재되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힘상태에서 상방으로 노출되는 발광램프(410)와, 발광램프(410)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420)로 구성된다.
발광램프(410)는 커버플레이트들 사이에 개재되고 커버플레이트들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를 가져 커버플레이트들이 펼침상태일때 커버플레이트들보다 상향 돌출되지 않고, 펼침상태에서만 외부로 상향 노출된다.
발광램프(410)는 도 1과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커버플레이트(210)와 제2커버플레이트(220)의 사이에 개재되며 가동힌지(221)의 상측에 위치한다. 이러한 발광램프(410)의 일단에는 내부에 배터리를 수용하고 있는 전원공급부(420)가 설치되어 발광램프(410)에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전원공급부(420)는 별도의 스위치를 가져 수동으로 발광램프(41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고, 가동힌지(221)와 결합되어 가동힌지(221)가 접혀지는 상태 즉, 제1커버플레이트(210)와 제2커버플레이트(220)가 접혀지는 과정에서 전원공급 신호를 받게 되거나, 별도의 스위치가 눌려져 발광램프(410)에 전원을 공급하게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맨홀개구(1) 커버 구조물은 커버플레이트가 펼침상태에서 고정프레임(100)에 고정되도록 하고 접힘상태에서는 고정 해제하는 락킹부를 더 가질 수 있다.
락킹부는 고정프레임(100)에 형성되는 걸림턱(101)과 커버플레이트에 설치되며 걸림턱(101)에 맞물리는 걸림돌기(511)를 가지는 걸림링크(510)로 구성될 수 있다.
걸림턱(101)은 커버플레이트의 하부영역에 위치한 맨홀의 내측벽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다.
걸림링크(510)는 힌지결합부가 없는 제2커버플레이트(220)의 일단영역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걸림돌기(511)는 걸림링크(510)의 하향연장된 부분에서 걸림턱(101)을 향해 돌출되어 형성된다. 이러한 걸림링크(510)는 걸림돌기(511)가 걸림턱(101)을 향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를 가진다. 따라서 외력의 개입이 없다면 커버플레이트의 펼침상태에서 커버플레이트들이 고정힌지(211)를 기준으로 회동할 때 걸림돌기(511)가 걸림턱(101)에 걸려 회동이 제한된다. 만약, 외력을 통해 걸림링크(510)를 회동시켜 걸림돌기(511)가 걸림턱(101)에 걸리지 않게 한다면 커버플레이트들을 펼침상태에서도 고정힌지(211)를 기준으로 회동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걸림턱(101)과 걸림돌기(511)의 형상은 커버플레이트가 펼침상태에서는 고정프레임(100)에 고정되도록 하고, 접힘상태에서는 고정해제 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제1커버플레이트(210)와 제2커버플레이트(220)가 개폐구동부에 의해 상호 경사지며 접힘상태로 전환되는 과정에서 걸림턱(101)과 걸림돌기(511)의 맞물림이 해제된다. 다시말해 도 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커버플레이트(210)와 제2커버플레이트(220)가 상호 펼침상태에서는 고정힌지(211)를 중심으로 회동시키더라도 걸림돌기(511)가 걸림턱(101)에 맞물리지만, 도 2의 (a) 내지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커버플레이트(210)와 제2커버플레이트(220)가 접힘상태로 전환되며 맨홀개구(1)가 개방되는 과정에서는 걸림돌기(511)가 걸림턱(101)에 맞물리지 않아 접힘상태로 전환되는데 간섭을 발생시키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락킹부에는 스크류축(310)을 회전시키기 위한 수공구(520)를 수납하는 포켓수용부(501)와, 포켓수용부(501)를 개폐하는 커버(502)가 설치될 수 있다. 수공구(5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전동드릴과 같이 스크류축(310)을 편리하게 회전시킬 수 있는 도구를 소지하지 못할 때, 현장에서 직접 꺼내어 스크류축(310)을 회전시킬 수 있게 하기 위한 도구이다. 포켓수용부(501)는 이러한 수공구(520)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가지며 이 공간은 커버(502)에 의해서 개폐가능하다.
또한, 포켓수용부(501)는 걸림링크(510)를 수용하여 사용자는 커버(502)를 개방한 후 걸림링크(510)를 수동으로 조작하여 커버플레이트들이 펼침상태에서도 고정힌지(211)를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포켓수용부(501)에는 필요에 따라 경광부재의 전원공급부(420)에 사용될 배터리가 보관될 수 있다.
다음은, 도 2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맨홀개구(1) 커버 구조물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2의 (a)는 도 1의 (a)에 도시된 상태에서 스크류축(310)을 소정간격 회전시켜 암나사부재(320)가 스크류축(310)의 상단으로부터 이격되며 연결링크부재(330)에 의해 제1커버플레이트(210)와 제2커버플레이트(220)가 소정간격 경사지게 회동되고 있는 모습을 나타낸다. 그리고, 도 2의 (b), (c)는 스크류축(310)을 더욱 회전시켜 제1커버플레이트(210)와 제2커버플레이트(220) 간의 각도가 점점 좁아지는 모습을 나타내고, (d)는 커버플레이트들이 접힘상태로 전환되어 맨홀개구(1)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제1커버플레이트(210)와 제2커버플레이트(220)들의 사이에 개재되었던 발광램프(4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발광램프(410)가 커버플레이트들의 상측에서 수평방향으로 길게 외부로 노출된다.
위와 같이, 커버플레이트들이 펼침상태에서 접힘상태로 전환되는 동안 도 2의 (a)와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턱(101)과 걸림돌기(511)는 상호 간섭을 발생시키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커버플레이트는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형상에 국한되지 않는다. 만약, 맨홀개구(1)가 원형일 경우 반원 또는 일부분이 호를 가지는 형상으로 준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커버플레이트들은 다수개로 준비될 수 있다.
만약, 커버플레이트들이 2개의 가동힌지(221)로 연결된 3개의 커버플레이트들로 구성될 경우 하나의 개폐구동부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고정힌지(211)에 근접한 2개의 커버플레이트는 접힘상태로 전환되고 가장 말단의 커버플레이트는 수평한 상태를 유지하며 맨홀개구(1)가 개방될 것이다.
만약, 3개의 가동힌지(221)로 연결된 4개의 커버플레이트들로 구성될 경우 2개의 개폐구동부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며, 맨홀개구(1)의 개방상태에서는 커버플레이트들이 'M(엠)'자의 형상을 가질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커버플레이트들은 부분적으로 원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만약 맨홀개구(1)가 원형의 형상일 경우 반원의 형상을 가지는 커버플레이트들로 준비될 수 있을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고정프레임(100)과 커버플레이트의 사이공간에는 커버플레이트가 고정프레임(100)에 대해 안정적인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슬라이딩부가 설치될 수 있다. 슬라이딩부는 고정프레임(100)에 형성되는 가이드레일과 커버플레이트의 연부에 형성되어 가이드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한 롤러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개폐구동부가 커버플레이트들을 펼침상태에서 접힘상태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롤러부재가 가이드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게 되므로 고정프레임(100)과 커버플레이트 간에 마찰력이 줄어들고, 커버플레이트들이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으므로 고정힌지(211)나 가동힌지(221)에 가해지는 부하가 줄어들며, 커버플레이트들의 뒤틀림이 방지되고, 스크류축(310)을 회전시키기 위한 부하가 줄어들게 된다.
1 : 맨홀개구 100 : 고정프레임
101 : 걸림턱 210 : 제1커버플레이트
220 : 제2커버플레이트 211 : 고정힌지
221 : 가동힌지 310 : 스크류축
320 : 암나사부재 330 : 연결링크부재
410 : 발광램프 420 : 전원공급부
510 : 걸림링크 511 : 걸림돌기
501 : 포켓수용부 502 : 커버
520 : 수공구

Claims (5)

  1. 맨홀개구 커버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맨홀개구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차폐하는 복수의 커버플레이트와, 상기 커버플레이트들 중 어느 하나를 상기 맨홀개구의 연부에 회동개폐가능하게 연결하는 고정힌지와, 상기 고정힌지의 회동축선에 평행한 축선을 따라 상기 커버플레이트들 사이를 상호 회동가능하게 연결하는 가동힌지를 갖는 플레이트조립체와,
    상기 커버플레이트들 사이에 수직방향으로 개재된 스크류축과, 상기 스크류축에 결합되는 암나사부재와, 상기 암나사부재와 상기 각 커버플레이트를 각각 연결하여 상기 스크류축이 회전운동할 때 상기 커버플레이트들이 접힘상태와 펼침상태 간을 동작하도록 하는 적어도 한 쌍의 연결링크부재를 갖는 개폐구동부와,
    상기 커버플레이트들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접힘상태에서 상방 노출되는 경광부재와, 상기 경광부재는 상기 커버플레이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발광램프와 상기 발광램프에 전력을 공급하며 상기 가동힌지와 결합되어 상기 가동힌지가 접혀지는 과정에서 전원공급신호를 받게 되거나, 별도로 눌러져 상기 발광램프에 전원을 공급하게 할 수 있는 스위치를 갖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개구 커버 구조물.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맨홀개구의 둘레를 따라 설치되는 고정프레임을 더 포함하며,
    상기 커버플레이트가 상기 펼침상태에서는 상기 고정프레임에 고정되도록 하고 상기 접힘상태에서는 고정 해제하는 락킹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개구 커버 구조물.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부는 상기 스크류축을 회전시키기 위한 수공구를 수납하는 포켓수용부와, 상기 포켓수용부를 개폐하는 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개구 커버 구조물.
KR1020190059259A 2019-05-21 2019-05-21 맨홀개구 커버 구조물 KR1022799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9259A KR102279912B1 (ko) 2019-05-21 2019-05-21 맨홀개구 커버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9259A KR102279912B1 (ko) 2019-05-21 2019-05-21 맨홀개구 커버 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3943A KR20200133943A (ko) 2020-12-01
KR102279912B1 true KR102279912B1 (ko) 2021-07-21

Family

ID=737908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9259A KR102279912B1 (ko) 2019-05-21 2019-05-21 맨홀개구 커버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991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5524B1 (ko) 2024-01-10 2024-05-13 (주)현대워터텍 접이식 안전 바 부착형 안전 맨홀 덮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64715A (ja) * 1998-08-17 2000-02-29 Takao Hirayama 開口蓋開閉装置
JP2013221247A (ja) * 2012-04-12 2013-10-28 Prime Sangyo Kk マンホール開口部の落下物防止装置
KR101686577B1 (ko) * 2016-04-12 2016-12-15 (주) 디케이금속 맨홀뚜껑 결합체가 힌지식으로 설치되는 밸브실
KR101815976B1 (ko) * 2017-01-20 2018-01-08 주식회사 링콘테크놀로지 안전 맨홀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6030A (ko) * 2015-01-09 2016-07-19 인천도시가스주식회사 밸브핸들 보관함을 구비한 맨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64715A (ja) * 1998-08-17 2000-02-29 Takao Hirayama 開口蓋開閉装置
JP2013221247A (ja) * 2012-04-12 2013-10-28 Prime Sangyo Kk マンホール開口部の落下物防止装置
KR101686577B1 (ko) * 2016-04-12 2016-12-15 (주) 디케이금속 맨홀뚜껑 결합체가 힌지식으로 설치되는 밸브실
KR101815976B1 (ko) * 2017-01-20 2018-01-08 주식회사 링콘테크놀로지 안전 맨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3943A (ko) 2020-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79912B1 (ko) 맨홀개구 커버 구조물
US20170037612A1 (en) Structure
EP3258041B1 (en) Door hinge assembly
JP6777937B2 (ja) ケーブルトラフ
KR101229425B1 (ko) 절첩식 맨홀 뚜껑 장치
KR102263386B1 (ko) 맨홀덮개 잠금을 위한 잠금구
JP2019085695A (ja) 作業用ゴンドラ
KR20090026550A (ko) 맨홀 덮개 및 맨홀 덮개 개폐장치
JPH09256658A (ja) ハッチ安全柵
KR100908458B1 (ko) 터널 공동구 미닫이식 덮개
KR101602660B1 (ko) 미닫이와 여닫이 겸용 문 구조물
KR101810387B1 (ko) 봉안단의 봉안함 여닫이용 다기능 개폐장치
KR102128550B1 (ko) 클립 씰바를 사용하는 스윙 도어
KR102249286B1 (ko) 그레이팅 안전 출입장치
JP2529988Y2 (ja) ガイドレール及び該ガイドレールの溝部閉鎖装置
KR20210042056A (ko) 슬라이드 개폐 기밀형 맨홀 커버
JP2020073767A (ja) 二重床用の蓋構造
JP2009007893A (ja) 鉄蓋開閉装置
CN106337441B (zh) 一种路面检视孔
AU2016100639A4 (en) A Sliding Window Arrangement
KR101569069B1 (ko) 지하공간 침수방지용 방수문
US597457A (en) Half to alva j
JP7326682B2 (ja) 防水構造付き筐体
JP2011037617A (ja) エレベータのかご室
KR101299493B1 (ko) 도어의 보조 잠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