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0387B1 - 봉안단의 봉안함 여닫이용 다기능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봉안단의 봉안함 여닫이용 다기능 개폐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10387B1 KR101810387B1 KR1020170015215A KR20170015215A KR101810387B1 KR 101810387 B1 KR101810387 B1 KR 101810387B1 KR 1020170015215 A KR1020170015215 A KR 1020170015215A KR 20170015215 A KR20170015215 A KR 20170015215A KR 101810387 B1 KR101810387 B1 KR 10181038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opening
- door
- closing
- plate
- door frame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0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5000002918 Fraxinus excelsior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956 ash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575 st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5341 toughened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780 transparent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0906 Bronz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875 Ebonit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99 abra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73 ancho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28 artificial marb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69 artificial st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12 assembl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429 assembl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796 beau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74 bronz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10293 ceramic materi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27 cla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194 climb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KUNSUQLRTQLHQQ-UHFFFAOYSA-N copper tin Chemical compound [Cu].[Sn] KUNSUQLRTQLHQ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60 corr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97 corro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950 defici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030 lamin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296 polysilox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566 seal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10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703 silic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751 slip for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220 stainless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35 stainless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3/00—Monuments; Tombs; Burial vaults; Columbaria
- E04H13/006—Columbaria, mausoleum with frontal access to vault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4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supported on arms movable in vertical plane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6—Rods, li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xtensible Doors And Revolving Do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봉안단의 봉안함 여닫이용 다기능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본발명은 봉안함(100)의 전면 개구면에 체결 조립된 도어프레임(110)과 이 도어프레임(110)을 밀폐하는 개폐도어(140)를 90°수평으로 개폐할 수 있는 봉안단의 봉안함 여닫이용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어프레임(110) 및 개폐도어(140) 사이에는 도어프레임(110)의 전면에 체결 조립된 고정브라켓(210)과, 이 고정브라켓(210)의 일단에 맞접되는 형태로 개폐도어(140) 상에 체결 조립되는 수평지지판(230)이 마련되고, 상기 고정브라켓(210)과 수평지지판(230)에는 수직가이드레일(220), 고정가이드판(205), 다수의 접이식 링크부재들, 슬라이드판(209), 레일고정판(206)을 포함하는 접이식 개폐수단(200)이 설치됨으로써, 서로 유기적으로 결합된 접이식 링크부재들 중 하나의 링크부재에 연결된 슬라이드판(209)이 개폐도어(140)의 수평 회동에 따라 고정브라켓(210)을 중심으로 상하로 이동함과 동시에 링크부재들이 유기적으로 벌어졌다가 오므라졌다 하는 동작을 구현함에 따라 홈바 형태로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봉안단의 봉안함 여닫이용 다기능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봉안함을 개폐하는 도어프레임을 홈바 형태의 90˚개폐가 가능하도록 구성하되, 설치 방향에 따라 상향 및 하향 개폐가 가능하도록 접이식 구조의 개폐수단을 제공함으로써, 봉안단의 최상측 봉안함의 도어프레임에 상향식 개폐방식으로 적용할 수 있어 최상단 봉안함의 개폐 이용이 매우 용이하고, 개폐도어의 닫힘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자석이나 캐치볼 형태의 부재가 필요 없어 개폐가 편리함은 물론, 내구성이 우수하며 호환성이 뛰어나 기존의 봉안단에도 개폐 구조를 용이하게 변경 적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후관리(A/S)가 매우 용이한 봉안단의 봉안함 여닫이용 다기능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우리의 장묘문화에서 화장 후 고인의 유골을 봉안함에 안치하여 보관 및 관리하는 추세가 급증하면서 다수의 봉안함이 적층 구비된 다양한 형태의 봉안단이 개시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 봉안단은 납골함단, 안치단 등의 여러 이름으로 불리어 지고 있는바, 최근에는 봉안단으로 명칭을 통칭하려는 움직임이 있는 관계로, 이하에서는 봉안단으로 기술한다.
상기 봉안단은 고인의 유골을 담은 유골함이나 유품을 수용 보관할 수 있는 사각형상의 수납공간 즉, 봉안함(혹은, 라이너함)이 상하 및 좌우로 층과 열을 이루도록 연속 형성된 구조를 갖고 있는 것이 통상적이다.
이러한 봉안단은 실내형과 실외형으로 구분할 수 있고, 실내형은 전면이 개구된 봉안함(혹은, 라이너함)의 전면 개구부에 유리와 같은 도어로 덮어 내부를 들여들 볼 수 있도록 된 것이 보통이고, 실외형은 유리와 같은 도어를 다시 한번 뚜껑으로 최종 밀폐하여 내부를 들여다 볼 수 없도록 되어 있는 것이 보통이다.
그런데, 상기 봉안함의 전면 개구부를 폐쇄하고 있는 도어(혹은, 뚜껑)는 필요에 따라 개방할 필요가 있는 관계로, 이러한 봉안함 도어의 개폐 방식과 관련하여 다양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1367호(2010.12.14. 공고)에는 "납골함 안치단용 여닫이문 구조"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는바, 상기 문헌에 개시된 납골함 안치단용 여닫이문 구조는 납골함을 수납하는 안치단에 여닫이문을 설치하여 납골함의 삽입, 반출을 용이하게 하면서 여닫이문을 반출한 납골함의 재치대로 사용할 수 있고, 납골함 반출을 위한 여닫이문 오픈시 여닫이문이 2단으로 완충 개폐되어 사용상의 편리함을 도모할 수 있는 것으로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문헌에 개시된 납골함 안치단용 여닫이문 구조의 경우, 도어프레임이 상하측 및 좌우측으로 분리되는 구조를 가짐과 아울러, 도어힌지수단의 구조적 특성에 의해 납골함 보관함체를 상하 좌우로 적층하여 안치단을 구성한다고 할 때, 납골함 보관함체간의 인접 공간이 떨어질 수밖에 없어 안치단의 외관구조가 미려하지 못하다는 단점이 있었고, 여닫이문 구조 자체가 하향식 90°개폐 방식을 가지고 있어 상향식으로는 개폐가 불가능하다는 구조적 단점을 가지고 있었다.
그리고,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184682호(2012.9.24. 공고)에는 봉안단의 라이너함 개폐구조에 관련된 기술이 개시되어 있는바, 상기 문헌에 개시된 봉안단의 라이너함 개폐구조는, 라이너함의 전면 개구면에 홈바도어 형태로 개폐되는 고정도어프레임과 회동도어프레임을 배치함으로써, 상기 회동도어프레임을 통해서 최외곽에 위치한 마감덮개를 일차적으로 홈바도어 형태로 수평 회동시켜 개방할 수 있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즉,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등록특허공보 제1184682호에 개시된 봉안단의 라이너함 개폐구조는, 라이너몸체(11)의 전면 개구면에 홈바도어 형태로 개폐되는 고정도어프레임(21)과 회동도어프레임(22)을 갖추고, 상기 고정도어프레임(21)과 회동도어프레임(22)이 서로 맞닿는 양측면 하단부에는 단차면이 각각 형성되고, 이 단차면 상에 힌지 회동을 위한 힌지회동수단(30)이 마련되어 있다.
이때, 상기 힌지회동수단(30)은 고정도어프레임(21) 및 회동도어프레임(22)의 양측면과 동일 평면을 이루게 되는 판상 구조를 가지며 상하 길게 형성된 장공 구조의 축가이드공(32)이 구비된 힌지판(31)과, 상기 회동도어프레임(22)상에서 돌출 형성되어 힌지판(31)의 축가이드공(32)에 축이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힌지핀축(23)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힌지판(31)은 고정도어프레임(21)에 볼트(33)체결되어 고정되고, 상기 힌지판(31)의 축가이드공(32)에는 힌지핀축(23)이 끼움 삽입됨으로써, 상기 회동도어프레임(22)이 하단부가 고정도어프레임(21)의 하단부에 대해서 힌지 회동 가능하게 조립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고정도어프레임(21) 및 회동도어프레임(22)의 서로 마주보고 밀착되는 상단변에는 돌출 구비된 끼움편(26)과 고정블록(27)이 각각 대향되게 마련되어 캐치볼 형태로 상호 착탈이 가능한 구조로 체결되도록 되어 있다.
즉, 상기 고정도어프레임(21)의 상단변상에는 끼움편(26)이 일정간격을 두고 복수개 돌출 구비되어 있고, 이에 대응되는 회동도어프레임(22)의 상단변상에는 끼움편(26)이 끼워졌을 때 좌우 측에서 탄성적으로 잡아주는 탄성볼(도시안됨)이 배치된 복수개의 고정블록(27)이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회동도어프레임(22)을 고정도어프레임(21) 상에 장착하고자 할 때, 상기 끼움편(26)과 고정블록(27)이 상호 끼움 결합을 통해서 맞물려짐에 따라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게 된다. 이때, 상기 끼움편(26)이 고정블록(27) 사이에 상호 끼움 체결되면, 끼움편(26)이 고정블록(27)에 배치된 탄성볼(도시안됨)에 의해 탄성적으로 견고하게 끼움 고정됨에 따라 용이하게 이탈되지 않고 강제적인 외력이 작용해야만 체결 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회동도어프레임(22)을 통해서 최외곽에 위치한 마감덮개(25)를 일차적으로 홈바도어 형태로 수평 회동시켜 개방하고, 이 상태에서 고정도어프레임(21)에 내주면에 제1잠금수단을 통해 지지 고정된 속뚜껑(24)의 잠금 상태를 별도로 준비된 전용공구를 이용하여 해제한 후에 별도의 흡착장비를 이용하여 유리로 된 속뚜껑(24)을 분리 개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646151호(2016.8.5, 공고)에는 안치단용 라이너함 유리도어 개폐장치에 관련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등록특허공보 제1646151호에 개시된 기술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리도어(42)를 개폐하기 위해 마감덮개(50)를 홈바 형태로 개방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는바, 마감덮개(50)와 도어프레임(41) 사이에는 댐퍼 기능을 갖춘 쇼크업서버(52)가 좌우 대향되게 설치되어 홈바 형태로 마감덮개(50)가 수평 회동되어 개방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때, 상기 쇼크업서버(52)의 양단은 도어프레임(41)과 마감덮개(50)에 각각 형성된 쇼바브라켓(53)에 각각 체결 고정되고, 마감덮개(50)의 양측면 하단 부위는 도어프레임(41)의 양측면 하단 부위에 서로 대향되게 맞물려 각각의 힌지회동판(51)을 통해 힌지 회동 가능하게 조립되어 있으며, 상기 마감덮개(50)의 상단 양측면에는 자석(43)이 삽입 구비되어 도어프레임(41)에 구비된 자석(도시안됨)에 서로 달라붙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상의 종래 개시된 선행 문헌들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기존 봉안단에서 봉안함 개폐도어의 여닫이 구조 중 홈바 형식으로 적용된 경우, 대부분 하향식 90° 개폐방식이 적용될 수밖에 없는 구조적 특징을 가지고 있어, 설치 위치 혹은 설치 방향을 변경한다고 하여도 상향식 개폐가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즉, 봉안단 특성상 최상측의 경우, 봉안함의 개폐도어를 하향식 홈바 방식으로 적용하여 개방하게 되면, 사용상 불편함이 존재하게 되는바, 봉안단의 최상측에 위치한 봉안함의 경우에는 통상적으로 그 설치위치가 매우 높아 사용자가 사다리와 같은 별도의 도구를 타고 올라간 상태에서 이용해야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봉안단 최상단에 위치한 봉안함의 개폐도어를 하향식 홈바 방식에 의해 수평으로 개방하게 되면, 봉안함의 개폐도어가 봉안단의 전면에서 수평방향으로 돌출되어 사다리를 타고 올라가는 사용자의 위치와 간섭이 일어날 우려가 있어 사다리의 설치 위치 혹은 사용자의 작업 위치를 봉안단의 전면에서 개폐도어의 돌출 길이만큼 떨어진 상태에서 개폐작업을 수행하여야 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개폐작업에 따른 작업 위치가 상대적으로 멀어져 작업의 안정성이 떨어지고, 개폐작업 자체가 매우 불편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이와 같이 봉안단 최상단에 위치한 봉안함과 같이 사용자가 사다리 등과 같은 별도의 도구를 타고 올라가 봉안함의 개폐도어를 개폐하는 작업을 수행해야만 하는 경우에는 봉안함의 개폐도어를 상향식 홈바 형식으로 개폐하는 것이 사용자의 개폐작업 및 봉안함 사용에 따른 작업 위치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할 수 있으나, 아직까지 이러한 홈바 형태를 취하면서 상향식 개폐되는 여닫이 구조가 제안되고 있지 않아, 상향식 여닫이 구조의 필요성이 있었다.
또한, 종래 봉안함에 적용된 홈바 형식의 여닫이 구조의 경우, 도어 개폐시 단순히 힌지판(경첩)이나 쇼크업서버와 같은 암대를 사용하는 것이 대부분인 관계로, 도어 개방 시 특정 각도에서의 브레이킹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었고, 이러한 단점으로 인해서 상향식 개폐방식을 구현하는 것이 불가능 하였다.
더불어, 상기한 선행문헌들에 나타난 바와 같이 봉안함의 개폐도어를 견고하게 개폐하기 위하여 자석 또는 캐치볼과 같은 별도의 부재들이 도어프레임 상에 구비되는 경우가 많았는데, 이처럼, 봉안함에서 개폐도어의 견고한 개폐를 위해 사용되는 자석 또는 캐치볼과 같은 별도의 부재들은 사용상에 불량문제가 수시로 발생하고 있어 도어 개폐의 문제점으로 나타나고 있는 실정이었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개폐도어의 여닫이 구조의 경우, 시공이 불편하고 생산원가가 높을 뿐만 아니라 이전설치 및 보수가 불편하고, 봉안단 마감재인 석재, 인조석, 타일과의 붙임이 어려워 별도의 도어프레임이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고, 봉안단 개폐시 봉안단 상하 마감재의 간섭 및 접촉으로 인하여 마감재 훼손 발생하는 등 여러가지 문제점이 노출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봉안함 개폐를 위한 개폐도어(즉, 도어프레임)를 홈바 형식으로 구성할 때, 상향식으로 개폐할 수 없다는 문제점 및 개폐도어를 홈바 형식으로 구성함에 따라 수반하는 다양한 문제점을 보완 개선하기 위해 연구 개발된 것이다.
즉, 본 발명의 목적은 봉안함을 개폐하는 도어프레임에 홈바 형태의 90˚개폐가 가능하도록 구성하되, 설치 방향에 따라 상향 및 하향 개폐가 가능하도록 접이식 구조의 개폐수단을 제공함으로써, 봉안단의 최상측 봉안함의 도어프레임에 상향식 개폐방식으로 적용할 수 있어 최상단 봉안함의 개폐 이용이 매우 용이하고, 개폐도어의 닫힘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자석이나 캐치볼 형태의 부재가 필요 없어 개폐가 편리함은 물론, 내구성이 우수하며 호환성이 뛰어나 기존의 봉안단에도 개폐 구조를 용이하게 변경 적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후관리(A/S)가 매우 용이한 봉안단의 봉안함 여닫이용 다기능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봉안함(100)의 전면 개구면에 체결 조립된 도어프레임(110)과 이 도어프레임(110)을 밀폐하는 개폐도어(140)를 90°수평으로 개폐할 수 있는 봉안단의 봉안함 여닫이용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어프레임(110) 및 개폐도어(140) 사이에는 도어프레임(110)의 전면에 체결 조립된 고정브라켓(210)과, 이 고정브라켓(210)의 일단에 맞접되는 형태로 개폐도어(140) 상에 체결 조립되는 수평지지판(230)이 마련되고, 상기 고정브라켓(210)과 수평지지판(230)에는 수직가이드레일(220), 고정가이드판(205), 다수의 접이식 링크부재들, 슬라이드판(209), 레일고정판(206)을 포함하는 접이식 개폐수단(200)이 설치됨으로써, 서로 유기적으로 결합된 접이식 링크부재들 중 하나의 링크부재에 연결된 슬라이드판(209)이 개폐도어(140)의 수평 회동에 따라 고정브라켓(210)을 중심으로 상하로 이동함과 동시에 링크부재들이 유기적으로 벌어졌다가 오므라졌다 하는 동작을 구현함에 따라 홈바 형태로 개폐되는 봉안단의 봉안함 여닫이용 다기능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특징을 갖는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접이식 개폐수단(200)은, 상기 슬라이드레일면(221)을 갖춘 수직가이드레일(220)이 수직지지판(210)에 설치되고, 상기 레일고정판(206)이 슬라이드레일면(221)의 일측에 체결 고정되며, 슬라이드판(209)은 레일고정판(206)에 맞닿을 수 있으면서 슬라이드레일면(221)을 따라 슬라이드 안내되어 상하로 이동될 수 있게 배치되고, 상기 고정가이드판(205)은 수평지지판(230)에 체결 고정됨과 아울러, 수직가이드레일(220)과의 사이에서 제1,2,3,4링크부재(201,202,203,204)들이 접이식으로 접힐 수 있도록 제1링크부재(201) 및 제4링크부재(204)의 일단(201a,204)을 각각 체결 고정되며, 상기 제1링크부재(201)는 그 일단이 고정가이드판(205)의 제1고정점(201a)에 고정되고, 그 타단이 슬라이드보호편(208)을 매개로 슬라이드판(209)의 제2고정점(201b)에 고정되며, 상기 제2링크부재(202)는 그 양단이 제1링크부재(201)의 중간 부위에 형성된 제1회동점(202a)과 레일고정판(206)의 제2회동점(212b)에 각각 체결되고, 상기 제3링크부재(203)와 제4링크부재(204)는 상호 절곡 회동될 수 있게 회동단(204b)으로 서로 연결됨과 동시에 제3링크부재(203)의 일단은 제2링크부재(202)의 일단과 제2회동점(212b)에서 맞물린 상태로 체결 고정되고, 제4링크부재(204)의 일단은 제1링크부재(201)의 제1고정점(201a)에 비해 상대적으로 고정가이드판(205)의 일측 끝단쪽에 가깝게 위치한 제3고정점(204a)을 통해서 체결 고정되는 구성을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슬라이드판(209)에서는 슬라이드레일면(221)에 대한 슬라이드판(209)의 밀착도를 조절하여 슬라이드판(209)의 이동에 따른 브레이킹 정도를 조절할 수 있는 마찰력조절부(208a)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접이식 개폐수단(200)의 설치 위치를 도어프레임(110)의 하단 및 개폐도어(140)의 하단, 도어프레임(110)의 상단 및 개폐도어(140)의 상단 중 어느 쪽에 설치하느냐에 따라 하향식 개폐방식 및 상향식 개폐방식 중 어느 하나로 선택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봉안함을 개폐하는 도어프레임에 홈바 형태의 90˚개폐가 가능하도록 구성하되, 설치 방향에 따라 상향 및 하향 개폐가 가능하도록 접이식 구조의 개폐수단을 제공함으로써, 봉안단의 최상측 봉안함의 도어프레임에 상향식 개폐방식으로 적용할 수 있어 최상단 봉안함의 개폐 이용이 매우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개폐수단을 설치한 경우, 개폐도어의 개폐 과정에서 슬라이드레일면에 대한 슬라이드판의 마찰강도에 따라 회동 각도의 전체에 대해서 각각의 위치에서 브레이킹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설계 구현되어 있게 때문에, 상향식 홈바 형태의 개폐구조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전 각도에서 브레이킹이 가능하여 상향식 개폐 및 유지 관리가 매우 편리하다는 장점이 갖는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개폐수단(200)을 적용할 경우에는 개폐도어의 밀착력을 높이기 위한 별도의 자석이나 캐치볼 형태의 닫힘 장치가 필요없어 개폐가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고, 스테인레스 재질의 접이식(혹은 여닫이식) 링크부재들 네 개가 바로 연결되는 접이식 구조로 내구성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별도의 암대가 필요없는 단순구조로 간단하면서 설치 및 유지보수가 쉽기 때문에 기존에 설치된 봉안단으로의 이전 설치가 용이하고, 설치 후에는 애프터써비스(A/S)를 실시하기 매우 좋으며, 호환성이 뛰어나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등록특허공보 제1184682호에 개시된 봉안단의 라이너함 개폐구조를 보여주는 라이너함 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라이너함의 개방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A 부분 및 B 부분 확대도.
도 4는 종래 기술에 따른 등록특허공보 제1646151호에 개시된 안치단용 라이너함 유리도어 개폐장치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봉안함 여닫이용 다기능 개폐장치가 적용된 봉안단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봉안함 여닫이용 다기능 개폐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사시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봉안함 여닫이용으로 사용되는 접이식 개폐수단의 구성을 각각 좌우측에서 바라본 상태를 각각 보여주는 결합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봉안함 여닫이용 다기능 개폐장치가 적용된 봉안단에서 개폐수단에 의해 폐쇄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용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봉안함 여닫이용 다기능 개폐장치가 적용된 봉안단에서 개폐수단에 의해 개방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용예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도 10에 도시된 A부분 확대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봉안함 여닫이용 다기능 개폐장치가 적용된 봉안단이 일정각도로 개방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용예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도 12에 도시된 B부분 확대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라이너함의 개방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A 부분 및 B 부분 확대도.
도 4는 종래 기술에 따른 등록특허공보 제1646151호에 개시된 안치단용 라이너함 유리도어 개폐장치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봉안함 여닫이용 다기능 개폐장치가 적용된 봉안단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봉안함 여닫이용 다기능 개폐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사시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봉안함 여닫이용으로 사용되는 접이식 개폐수단의 구성을 각각 좌우측에서 바라본 상태를 각각 보여주는 결합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봉안함 여닫이용 다기능 개폐장치가 적용된 봉안단에서 개폐수단에 의해 폐쇄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용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봉안함 여닫이용 다기능 개폐장치가 적용된 봉안단에서 개폐수단에 의해 개방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용예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도 10에 도시된 A부분 확대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봉안함 여닫이용 다기능 개폐장치가 적용된 봉안단이 일정각도로 개방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용예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도 12에 도시된 B부분 확대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성을 위해 과장되거나 생략될 수 있으며, 도면에 병기된 도면부호에 따라 부여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되는 봉안단은 그 내부에 유골함을 넣을 수 있는 수십 개의 봉안함(100)이 적층되어 단(壇)을 이루고 배치되어 있는 형태를 취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봉안함(100)은 전면이 개방된 개구면을 가지고 후면이 막힌 사각단면을 갖는 라이너몸체와, 상기 라이너몸체의 전면에 조립 결합되는 도어프레임(110)을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
이러한 봉안함(100)은 시공자가 요구하는 규격의 봉안단을 자유자재로 현장에서 직접 조립 시공할 수 있도록 봉안함(100) 간에 서로 맞대어 상하 좌우로 적층 조립할 수 있는 구조를 갖추고 있는 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접한 봉안함(100) 끼리 맞대어 상호 체결 조립함으로써, 상하 좌우로 견고하게 적층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봉안함(100)을 적층하여 봉안단을 구성하는 것은 매우 주지 관용적인 기술로써,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통상의 봉안함(100)을 적층하여 봉안단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봉안함(100)의 개구면을 밀폐하거나 개방할 수 있는 봉안함 여닫이용 다기능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봉안함(100)의 개구면을 완벽하게 밀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 혹은 관리자가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설치하여 봉안함(100)을 상향식 혹은 하향식으로 편리하게 개방하여 이용할 수 있는 접이식 개폐수단(200)을 제공하고자 하는 데 그 특징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봉안함(100)의 개구면을 개폐할 수 있도록 홈바도어 형태의 개폐구조를 갖추고 있다.
이하, 도 6 내지 도 13에 도시된 도면 내용을 토대로 봉안함의 여닫이용 접이식 개폐수단에 대해서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6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봉안함(100)의 전면에 형성된 개구면에는 상단 혹은 하단에 선택적으로 설치된 접이식 개폐수단(200)을 중심으로 개폐도어(140)의 상단 혹은 하단이 회동되어 수평을 이루면서 개방되는 홈바도어 형태의 개폐구조를 구현할 수 있는 도어프레임(110)이 마련된다.
상기 도어프레임(110)은 봉안함(100)의 사방 변 및 모서리에 형성된 다수의 볼트삽입공(도시안됨)에 상호 대응되게 맞물린 상태에서 볼트 체결함으로써, 상기 봉안함(100)의 개구 전면에 밀착 조립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프레임(110)에는 봉안함(100) 내부를 투시할 수 있는 속뚜껑(130)이 실리콘 재질의 가스켓부재(130)에 의해 밀폐된 상태로 다수의 볼트 결합을 통해서 체결 조립된다.
이처럼, 상기 도어프레임(110)은 봉안함(100)의 개구면을 1차로 밀폐하는 속뚜껑(130)이 배치되는 부위이고, 상기 개폐도어(140)는 속뚜껑(130)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막아주면서 봉안함(100)의 전면 전체를 2차로 밀폐하는 마감덮개 역할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도어프레임(110)의 양측면에 판상의 고정브라켓(210)이 서로 대향되게 체결 조립되고, 이 고정브라켓(210)상에는 개폐도어(140)를 개폐할 수 있는 접이식 개폐수단(200)이 조립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속뚜껑(130)은 강화유리와 같은 투명한 재질을 선택 사용함으로써, 후술하는 개폐도어(140)를 지지 고정하는 접이식 개폐수단(200)이 홈바도어 형태로 개방되었을 때, 속뚜껑(130)을 통해 봉안함(100) 내부를 투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처럼 속뚜껑(130)을 투명재질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서는 불투명 재질의 속뚜껑(130)을 사용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그리고, 상기 개폐도어(140)는 마감덮개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써, 세라믹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천연석, 인조 대리석, 브론즈, 강화 유리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마감재를 선택 사용함으로써 봉안단 외관의 미려함을 추구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도어프레임(110)은 알루미늄 재질에 아노다이징 처리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제조자의 선택에 의해 제품 특성에 맞춰 결정할 수 있는 사항이다. 다만, 제조의 용이성, 제품의 고급스러움 및 내구성 등 다양한 조건들을 검토하여 선택되게 됨은 당연하다.
또, 상기 고정브라켓(210)은 스테인레스 재질과 같은 내부식성이 좋은 금속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설치 넓이(혹은 설치 폭) 등과 같은 규격은 제조자의 선택에 의해 제품 특성에 맞춰 결정하게 된다.
즉, 상기 고정브라켓(210)은 후술하는 접이식 개폐수단(200)을 지지 고정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써, 개폐도어(140)가 접이식 개폐수단(200)에 의해 도어프레임(110) 상에서 상향식 혹은 하향식으로 개폐되는 관계로, 도어프레임(110)과 개폐도어(140) 사이의 유격을 고려하여 고정브라켓(210)의 규격은 결정되게 된다.
이와 같이 도어프레임(110)과 개폐도어(140)이 맞닿는 하단부위에는 고정브라켓(210)가 체결 조립되어 마련되고, 이 고정브라켓(210) 상에는 접이식 개폐수단(200)이 장착되는 구조를 갖추고 있다.
여기서, 상기 접이식 개폐수단(200)은 도어프레임(110)에 대해서 개폐도어(140)가 홈바도어 형태로 수평 회동하여 개방될 수 있도록 구현하는 장치로써,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어프레임(110) 및 개폐도어(140) 사이에는 도어프레임(110)의 전면에 체결 조립된 고정브라켓(210)과 이 고정브라켓(210)의 일단에 맞접되는 형태로 개폐도어(140) 상에 체결 조립되는 수평지지판(230)이 마련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개폐수단(200)은 도어프레임(110) 상에 체결된 고정브라켓(210)과 개폐도어(140)상에 체결 조립된 수평지지판(230)을 매개로 도어프레임(110)에 대해서 개폐도어(140)를 홈바 형식으로 회동 가능하게 고정 조립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접이식 개폐수단(200)은 건물 등에서 창문을 수평 회동식으로 개폐하기 위해 사용되는 접이식 금구를 봉안함(100)의 여닫이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적절하게 설계 변경한 다수의 접이식 링크부재를 포함하는 접이식 금구이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이식 개폐수단(200)은, 크게 제1,2,3,4링크부재(201,202, 203,204), 고정가이드판(205), 수직가이드레일(220), 레일고정판(206), 슬라이드판(209)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수직가이드레일(220)은 고정브라켓(210)에 체결 고정되는 부위로써, 슬라이드레일면(221)을 갖추고 있다.
상기 슬라이드레일면(221)에는 레일고정판(206)과 슬라이드판(209)이 각각 삽입 배치되는바, 상기 레일고정판(206)은 슬라이드레일면(221)의 일측에 체결 고정되고, 슬라이드판(209)은 레일고정판(206)에 맞닿을 수 있으면서 슬라이드레일면(221)을 따라 슬라이드 안내되어 상하로 이동될 수 있게 배치되어 있다.
상기 슬라이드판(209)은 내마모성이 우수하면서 마찰력이 우수한 경질의 고무나 실리콘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고정가이드판(205)은 수평지지판(230)에 체결 고정되는 부위로써, 수직가이드레일(220)과의 사이에서 제1,2,3,4링크부재(201,202,203,204)들이 접이식으로 접힐 수 있도록 제1링크부재(201) 및 제4링크부재(204)의 일단(201a,204)을 각각 체결 고정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제1,2,3,4링크부재(201,201,203,204)는 수직가이드레일(220)에 대해서 고정가이드판(205)이 외력에 의해 접이식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매개하는 링크부재들이다.
상기 제1링크부재(201)는 제1,2,3,4링크부재(201,201,203,204) 중 가장 긴 링크부재로써, 제1링크부재(201)는 그 일단이 고정가이드판(205)의 제1고정점(201a)에 고정되고, 그 타단이 슬라이드보호편(208)을 매개로 슬라이드판(209)의 제2고정점(201b)에 고정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제1링크부재(201)는 수직가이드레일(220)에 설치된 슬라이드판(209)과 고정가이드판(205) 사이의 배치 관계로 인한 상호 유격을 고려하여 중앙 부위가 대략 직각 형태로 절곡된 형태를 취하고 있다.
특히, 상기 제1링크부재(201)와 연결된 슬라이드판(209)은 슬라이드레일면(221)에서 강한 마찰력으로 브레이킹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바, 임의의 위치에서 언제든지 브레이킹 될 수 있어 개폐도어(140)의 개폐에 따른 모든 회동 각도에서 브레이킹되어 위치 고정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더불어, 상기 슬라이드판(209)에서는 작업자가 슬라이드레일면(221)에 대한 슬라이드판(209)의 밀착도를 조절하여 마찰강도를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슬라이드판(209)의 이동에 따른 브레이킹 정도를 조절할 수 있는 마찰력조절부(208a)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제2링크부재(202)는 그 양단이 제1링크부재(201)의 중간 부위에 형성된 제1회동점(202a)와 레일고정판(206)의 제2회동점(212b)에 각각 체결됨으로써, 제1링크부재(201)의 회동 상태에 따라 제1,2회동점(202a,202b)을 기준으로 벌어지거나 오므라드는 회동 작용을 통해서 제1링크부재(201)의 회동 상태를 지지할 수 있도록 조립되게 된다.
상기 제2링크부재(202)와 레일고정판(206) 사이의 연결 부위에는 레일고정판보호편(207)이 매개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제2링크부재(202)는 회동 과정에서 제1링크부재(201)와의 간섭이 서로 일어나지 않도록 중앙 부위가 대략 직각 형태로 절곡된 형태를 취하고 있다.
상기 제3링크부재(203)와 제4링크부재(204)는 상호 절곡 회동될 수 있게 회동단(204b)으로 서로 연결됨과 동시에 제3링크부재(203)의 일단은 제2링크부재(202)의 일단과 제2회동점(212b)에서 맞물린 상태로 체결 고정되고, 제4링크부재(204)의 일단은 제1링크부재(201)의 제1고정점(201a)에 비해 상대적으로 고정가이드판(205)의 일측 끝단쪽에 가깝게 위치한 제3고정점(204a)을 통해서 체결 고정되어 있다.
상기 제3링크부재(203)와 제4링크부재(204)는 회동단(204b)를 중심으로 상호 회동됨과 동시에 제2회동점(212b)과 제3고정점(204a)을 중심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체결 고정됨으로써, 제1링크부재(201)의 회동 상태에 따라 제2회동부재(202)와 마찬가지로 제2회동점(212b)과 제3고정점(204a)을 기준으로 제1링크부재(201)에 대해서 벌어지거나 오므라드는 회동 작용을 통해서 제1링크부재(201)의 회동 상태를 지지할 수 있도록 조립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접이식 개폐수단(200)을 이용함으로써, 도어프레임(110)에 대하여 개폐도어(140)를 홈바 형식으로 개폐할 수 있게 체결할 수 있게 된다.
즉, 도 6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폐도어(140)의 내측면 상에 수평지지판(230)이 각각 대향되게 양측면에 나란하게 고정 체결되고, 이 수평지지판(230) 상에 고정가이드판(205)이 볼트(231) 체결되어 고정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도어프레임(110)의 양측면에 고정브라켓(210)이 수직하게 체결 고정되고, 이 고정브라켓(210) 상에 수직가이드레일(220)이 수직하게 체결 고정된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슬라이드판(209)과 레일고정판(206)이 수직가이드레일(220)의 슬라이드레일면(221)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1,2,3,4링크부재(201,202,203,204)가 고정가이드판(205) 사이에서 각각 유기적으로 체결 조립됨으로써, 개폐도어(140)가 도어프레임(110)에 대해서 홈바 형식으로 수평하게 개폐되도록 조립되는 것이다.
즉,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개폐수단(200)을 봉안단의 봉안함(100)에 설치할 때, 도어프레임(110)의 하단 및 개폐도어(140)의 하단 사이에 상호 조립 설치하게 되면, 개폐도어(140)를 하향식으로 개폐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개폐수단(200)을 봉안단의 최상단 봉안함(100)에 설치할 때, 개폐도어(140)를 상향식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도어프레임(110)의 상단 및 개폐도어(140)의 상단 사이에 상호 조립 설치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향식으로 접이식 개폐수단(200)을 설치한 경우에도 개폐도어(140)의 개폐 과정에서 슬라이드레일면(221)에 대한 슬라이드판(209)의 마찰강도에 따라 회동 각도의 전체에 대해서 각각의 위치에서 브레이킹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설계 구현되어 있게 때문에, 상향식 홈바 형태의 개폐구조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개폐수단(200)은 전 각도에서 브레이킹이 가능하여 상향식 개폐 및 유지 관리가 매우 편리하다는 장점이 갖는다.
또, 본 발명과 같은 봉안함(100)의 개폐구조를 통해서 도어프레임(110)에 대해 개폐도어(140)가 홈바도어 형태로 수평 회동하여 개방될 경우, 매우 간결하면서도 매우 안정적인 개폐구조를 제공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개폐수단(200)을 적용할 경우에는 개폐도어의 밀착력을 높이기 위한 별도의 자석이나 캐치볼 형태의 닫힘 장치가 필요없어 개폐가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고, 스테인레스 재질의 접이식(혹은 여닫이식) 링크부재들 네 개가 바로 연결되는 접이식 구조로 내구성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별도의 암대가 필요없는 단순구조로 간단하면서 설치 및 유지보수가 쉽기 때문에 기존에 설치된 봉안단으로의 이전 설치가 용이하고, 설치 후에는 애프터써비스(A/S)를 실시하기 매우 좋으며, 호환성이 뛰어나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에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며,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 봉안함 110 : 도어프레임
120 : 가스켓부재 130 : 속뚜껑
140 : 개폐도어 200 : 접이식 개폐수단
201,202, 203,204 : 제1,2,3,4링크부재
205 : 고정가이드판 206 : 레일고정판
207 : 레일고정판보호편 208 : 슬라이드판보호편
209 : 슬라이드판 210 : 고정브라켓
220 : 수직가이드레일 230 : 수평지지판
208a : 마찰력조절부
120 : 가스켓부재 130 : 속뚜껑
140 : 개폐도어 200 : 접이식 개폐수단
201,202, 203,204 : 제1,2,3,4링크부재
205 : 고정가이드판 206 : 레일고정판
207 : 레일고정판보호편 208 : 슬라이드판보호편
209 : 슬라이드판 210 : 고정브라켓
220 : 수직가이드레일 230 : 수평지지판
208a : 마찰력조절부
Claims (4)
- 봉안함(100)의 전면 개구면에 체결 조립된 도어프레임(110)과 이 도어프레임(110)을 밀폐하는 개폐도어(140)를 90°수평으로 개폐할 수 있는 봉안단의 봉안함 여닫이용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어프레임(110) 및 개폐도어(140) 사이에는 도어프레임(110)의 전면에 체결 조립된 고정브라켓(210)과, 이 고정브라켓(210)의 일단에 맞접되는 형태로 개폐도어(140) 상에 체결 조립되는 수평지지판(230)이 마련되고,
상기 고정브라켓(210)과 수평지지판(230)에는 수직가이드레일(220), 고정가이드판(205), 다수의 접이식 링크부재들, 슬라이드판(209), 레일고정판(206)을 포함하는 접이식 개폐수단(200)이 설치됨으로써, 서로 유기적으로 결합된 접이식 링크부재들 중 하나의 링크부재에 연결된 슬라이드판(209)이 개폐도어(140)의 수평 회동에 따라 고정브라켓(210)을 중심으로 상하로 이동함과 동시에 링크부재들이 유기적으로 벌어졌다가 오므라졌다하는 동작을 구현함에 따라 홈바 형태로 개폐되고,
상기 접이식 개폐수단(200)은, 상기 슬라이드레일면(221)을 갖춘 수직가이드레일(220)이 수직지지판(210)에 설치되고, 상기 레일고정판(206)이 슬라이드레일면(221)의 일측에 체결 고정되며, 슬라이드판(209)은 레일고정판(206)에 맞닿을 수 있으면서 슬라이드레일면(221)을 따라 슬라이드 안내되어 상하로 이동될 수 있게 배치되고, 상기 고정가이드판(205)은 수평지지판(230)에 체결 고정됨과 아울러, 수직가이드레일(220)과의 사이에서 제1,2,3,4링크부재(201,202,203,204)들이 접이식으로 접힐 수 있도록 제1링크부재(201) 및 제4링크부재(204)의 일단(201a,204)을 각각 체결 고정되며, 상기 제1링크부재(201)는 그 일단이 고정가이드판(205)의 제1고정점(201a)에 고정되고, 그 타단이 슬라이드보호편(208)을 매개로 슬라이드판(209)의 제2고정점(201b)에 고정되며, 상기 제2링크부재(202)는 그 양단이 제1링크부재(201)의 중간 부위에 형성된 제1회동점(202a)과 레일고정판(206)의 제2회동점(212b)에 각각 체결되고, 상기 제3링크부재(203)와 제4링크부재(204)는 상호 절곡 회동될 수 있게 회동단(204b)으로 서로 연결됨과 동시에 제3링크부재(203)의 일단은 제2링크부재(202)의 일단과 제2회동점(212b)에서 맞물린 상태로 체결 고정되고, 제4링크부재(204)의 일단은 제1링크부재(201)의 제1고정점(201a)에 비해 상대적으로 고정가이드판(205)의 일측 끝단쪽에 가깝게 위치한 제3고정점(204a)을 통해서 체결 고정되는 구성을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안단의 봉안함 여닫이용 다기능 개폐장치.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판(209)에서는 슬라이드레일면(221)에 대한 슬라이드판(209)의 밀착도를 조절하여 슬라이드판(209)의 이동에 따른 브레이킹 정도를 조절할 수 있는 마찰력조절부(208a)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안단의 봉안함 여닫이용 다기능 개폐장치.
-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접이식 개폐수단(200)의 설치 위치를 도어프레임(110)의 하단 및 개폐도어(140)의 하단, 도어프레임(110)의 상단 및 개폐도어(140)의 상단 중 어느 쪽에 설치하느냐에 따라 하향식 개폐방식 및 상향식 개폐방식 중 어느 하나로 선택 설치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안단의 봉안함 여닫이용 다기능 개폐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15215A KR101810387B1 (ko) | 2017-02-02 | 2017-02-02 | 봉안단의 봉안함 여닫이용 다기능 개폐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15215A KR101810387B1 (ko) | 2017-02-02 | 2017-02-02 | 봉안단의 봉안함 여닫이용 다기능 개폐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810387B1 true KR101810387B1 (ko) | 2017-12-19 |
KR101810387B9 KR101810387B9 (ko) | 2022-08-09 |
Family
ID=609241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15215A KR101810387B1 (ko) | 2017-02-02 | 2017-02-02 | 봉안단의 봉안함 여닫이용 다기능 개폐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10387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3123664A (zh) * | 2021-03-19 | 2021-07-16 | 江西元宗科技有限公司 | 一种透光板照射透光视觉好的存放架 |
KR102447560B1 (ko) * | 2022-06-04 | 2022-09-26 | (주)경안테크 | 납골안치단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46151B1 (ko) * | 2016-07-05 | 2016-08-05 | 오환석 | 안치단용 라이너함 유리도어 개폐장치 |
-
2017
- 2017-02-02 KR KR1020170015215A patent/KR101810387B1/ko active IP Right Review Reques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46151B1 (ko) * | 2016-07-05 | 2016-08-05 | 오환석 | 안치단용 라이너함 유리도어 개폐장치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3123664A (zh) * | 2021-03-19 | 2021-07-16 | 江西元宗科技有限公司 | 一种透光板照射透光视觉好的存放架 |
KR102447560B1 (ko) * | 2022-06-04 | 2022-09-26 | (주)경안테크 | 납골안치단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810387B9 (ko) | 2022-08-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2084357B1 (en) | Hinge for a roof window with a pivot sash | |
BR0013928A (pt) | Porta para cobrir pelo menos parcialmente uma passagem de porta definida por uma parede e uma superfìcie inferior e porta móvel entre uma posição de bloqueio de passagem de porta e uma posição de desbloqueio relativa à passagem de porta | |
KR101810387B1 (ko) | 봉안단의 봉안함 여닫이용 다기능 개폐장치 | |
CA2464637A1 (en) | Impactable door | |
CN107407115B (zh) | 门铰链组件 | |
EP1234940A3 (en) | Not visible slidable hinge | |
US6959972B2 (en) | Tri-action hinge and latching mechanism for a door panel | |
CN1225109C (zh) | 一种用于电视摄像机的壳体 | |
US20130219796A1 (en) | Hidden Interlocking Hinge Assembly | |
CN209761120U (zh) | 一种窗用隐形90°三连杆铰链 | |
KR101760566B1 (ko) | 스톱퍼 기능이 구비된 외함용 힌지 | |
AU2009231340A1 (en) | All-glass door arrangement comprising an anti-finger jamming mechanism | |
CN210444663U (zh) | 一种便于检修和维护的电梯控制柜 | |
JP5385645B2 (ja) | 上げ下げ窓 | |
CN204283102U (zh) | 一种转角门结构 | |
KR101876811B1 (ko) | 외부로 여닫이 개방과 하측 틸팅이 가능한 창호 | |
CN219197098U (zh) | 一种双开安全窗 | |
CN213297597U (zh) | 一种建筑防火疏散门开门装置 | |
US9871354B2 (en) | Enclosure with lid counterweight assembly | |
CN203742343U (zh) | 浴室用关门机构 | |
CN216665426U (zh) | 一种方舱ct机房门防护门 | |
JP4738263B2 (ja) | ドア構造 | |
CN218991432U (zh) | 一种门下口密封装置 | |
KR20090038198A (ko) | 문이 천천히 닫히게 하는 기능이 있는 도어 힌지 | |
GB2386146A (en) | Sash window assemblie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J204 |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 ||
J301 | Trial decision |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0100002342;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200804 Effective date: 20210315 |
|
J302 |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1200002717;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210415 Effective date: 20211130 |
|
J301 | Trial decision |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1130000133;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211221 Effective date: 202204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