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7955B1 - 사일렌서 - Google Patents
사일렌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77955B1 KR102277955B1 KR1020197033752A KR20197033752A KR102277955B1 KR 102277955 B1 KR102277955 B1 KR 102277955B1 KR 1020197033752 A KR1020197033752 A KR 1020197033752A KR 20197033752 A KR20197033752 A KR 20197033752A KR 102277955 B1 KR102277955 B1 KR 10227795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rain
- steam
- outlet
- silencer
- vapo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1/00—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in 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6—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61—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in systems with fluid flow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04—Devices damping pulsations or vibrations in fluids
- F16L55/045—Devices damping pulsations or vibrations in fluids specially adapted to prevent or minimise the effects of water hamme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T—STEAM TRAPS OR LIKE APPARATUS FOR DRAINING-OFF LIQUIDS FROM ENCLOSURES PREDOMINANTLY CONTAINING GASES OR VAPOURS
- F16T1/00—Steam traps or like apparatus for draining-off liquids from enclosures predominantly containing gases or vapours, e.g. gas lines, steam lines, contain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T—STEAM TRAPS OR LIKE APPARATUS FOR DRAINING-OFF LIQUIDS FROM ENCLOSURES PREDOMINANTLY CONTAINING GASES OR VAPOURS
- F16T1/00—Steam traps or like apparatus for draining-off liquids from enclosures predominantly containing gases or vapours, e.g. gas lines, steam lines, containers
- F16T1/38—Component parts; Accessori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D—PREHEATING, OR ACCUMULATING PREHEATED, FEED-WATER FOR STEAM GENERATION; FEED-WATER SUPPLY FOR STEAM GENERATION; CONTROLLING WATER LEVEL FOR STEAM GENERATION; AUXILIARY DEVICES FOR PROMOTING WATER CIRCULATION WITHIN STEAM BOILERS
- F22D11/00—Feed-water supply not provided for in other main groups
- F22D11/02—Arrangements of feed-water pumps
- F22D11/06—Arrangements of feed-water pumps for returning condensate to boile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B—STEAM OR VAPOUR CONDENSERS
- F28B9/00—Auxiliary systems, arrangements, or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Fluid Mechan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Pipe Accessories (AREA)
- Exhaust Silencers (AREA)
- Compressor (AREA)
Abstract
사일렌서(20)는, 증기의 유입구(25) 및 유출구(28)를 갖는 유로(24)가 형성되는 한편, 유출구(28)가 드레인에 잠기고, 증기가 유로(24)에 있어서 유출구(28)로부터 유입하여 개재하는 드레인과 접촉하는 잠수부(23b)를 갖는 본체(21)와, 유출구(28)를 덮는 다공형 부재(30)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본원은 증기를 드레인과 접촉시키는 사일렌서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1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증기사용기기 등에서 발생한 드레인이 회수관에 회수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 특허문헌1에 개시된 것에서는, 증기사용기기에서 증기의 응축에 의해 발생한 고온의 드레인이 분기관의 스팀트랩 등을 통해 회수관으로 흐르고, 회수관의 드레인과 합류하여 회수된다.
그런데, 전술한 바와 같은 회수관에서는 충격(워터햄머:Water Hammer)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스팀트랩에서 배출된 고온의 드레인은 일부가 재증발하여 증기(플래시 증기:Flash Steam)가 되는 경우가 있다. 그 증기가 회수관에 유입하면 회수관에서는 비교적 큰 증기의 덩어리(공간)가 형성된다. 이 증기의 덩어리는 저온의 드레인과 접촉하여 급격하게 응축되고. 이로 인해 증기가 존재하던 공간은 순식간에 진공상태가 된다. 이 진공상태의 공간에 드레인이 순식간에 몰려들어, 드레인간의 충돌이 일어나거나 드레인이 관벽에 충돌하거나 함으로써 워터햄머가 발생한다.
본원에 개시하는 기술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워터햄머의 발생을 억제하는 데 있다.
본원의 사일렌서는, 본체와 다공형 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본체에는 증기의 유입구 및 유출구를 갖는 유로가 형성된다. 또 상기 본체는 잠수부를 갖는다. 상기 잠수부는, 상기 유출구가 드레인에 잠기고, 상기 증기가 상기 유로에 있어서 상기 유출구로부터 유입하여 개재하는 상기 드레인과 접촉한다. 상기 다공형 부재는 상기 유출구를 덮는 것이다.
본원의 사일렌서에 의하면, 워터햄머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형태에 관한 드레인회수 시스템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배관계통도이다.
도 2는 실시형태에 관한 사일렌서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실시형태에 관한 사일렌서의 개략 구성을 다공형 부재를 생략하여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는 실시형태에 관한 사일렌서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실시형태에 관한 사일렌서의 개략 구성을 다공형 부재를 생략하여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이하, 본원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 이하의 실시형태는 본질적으로 바람직한 예시이며, 본원에 개시된 기술, 그 적용물 또는 그 용도의 범위의 제한을 의도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형태의 드레인회수 시스템(1)은 증기에 의해 대상물을 가열함과 동시에, 이에 따라 발생하는 드레인을 회수하는 것이다. 도1에 나타내듯이 드레인회수 시스템(1)은 증기공급관(11)과, 증기사용기기(13)와, 드레인회수관(14)과, 복수의 드레인배출관(16)과 본원의 청구항에 관한 사일렌서(20)를 구비한다.
증기공급관(11)은 증기사용기기(13)에 접속된다. 증기공급관(11)은, 예를 들면 보일러 설비(도시 생략)에 접속되며, 보일러 설비에서 생성된 증기가 증기사용기기(13)로 공급된다. 증기공급관(11)에는 증기의 압력을 조절하는 감압밸브(12)가 설치된다. 증기사용기기(13)는 예를 들면 열교환기이고, 증기공급관(11)으로부터 공급된 증기가 대상물로 방열하고 응축되어 대상물이 가열된다. 증기는 응축함으로써 드레인(복수)이 된다. 즉, 증기사용기기(13)에서는 증기의 응축 잠열이 대상물에 부여되어 대상물이 잠열 가열된다.
드레인회수관(14)은 증기사용기기(13)에 접속된다. 드레인회수관(14)에서는 증기사용기기(13)에서 증기의 응축에 의해 발생한 드레인이 회수된다. 드레인회수관(14)에는 액체압송장치(15)가 설치된다. 액체압송장치(15)는 증기사용기기(13)에서 발생한 드레인을 드레인회수관(14)을 통해 하류측으로 압송하는 펌프이다. 예를 들면, 액체압송장치(15)에서는 증기사용기기(13)의 드레인이 드레인회수관(14)을 통해 유입되고 일시적으로 체류된다. 드레인의 체류량이 소정 양이 되면, 액제압송장치(15)에 고압의 작동기체가 도입되고, 체류되어 있던 드레인이 작동기체의 압력에 의해 하류측으로 압송된다. 드레인이 압송되면, 다시 증기사용기기(13)로부터 드레인이 액체압송장치(14)로 유입되고 체류된다. 이와 같이 액체압송장치(15)에서는 드레인의 유입과 드레인의 압송(배출)이 번갈아 이루어진다.
복수의 드레인배출관(16)은 증기공급관(11)과 드레인회수관(14) 사이에 접속된다. 구체적으로, 드레인배출관(16)은 상류단이 증기공급관(11)에 접속되고, 하류단이 사일렌서(20)를 사이에 두고 드레인회수관(14)에 접속된다. 복수의 드레인배출관(16)은 서로 간격(예를 들면, 20~30m)을 두고 배치된다. 드레인배출관(16)은 증기공급관(11)에서 발생한 드레인을 드레인회수관(14)으로 흐르게 하기 위한 것이다. 즉, 증기공급관(11)에서 증기의 일부가 응축되어 드레인이 되는 경우가 있고, 그 드레인은 드레인배출관(16) 및 사일렌서(20)를 통해 드레인회수관(14)에 회수된다.
드레인배출관(16)의 도중에는 스팀트랩(17)이 설치된다. 스팀트랩(17)에는, 증기공급관(11)에서 발생한 드레인이 드레인배출관(16)을 통해 유입한다. 스팀트랩(17)은, 그 상하류의 압력차(상류측 압력과 하류측 압력의 차)에 의해, 유입된 드레인만을 하류측으로 자동적으로 배출하는 것이다. 여기서, 실제로 스팀트랩(15)에는 증기가 섞인 드레인이 유입한다. 이와 같이, 증기공급관(11)에서 발생한 드레인은, 드레인회수관(14)에서 증기사용기기(13)에서 발생한 드레인과 합류하여 하류측으로 압송된다. 여기서, 드레인회수관(14)은 증기공급관(11)보다 하측에 위치하며, 드레인배출관(16)은 상하로 이어지고 드레인회수관(14)의 상부에 접속된다.
<사일렌서의 구성>
사일렌서(20)는 드레인회수관(14)과 드레인배출관(16)의 접속부에 설치된다. 사일렌서(20)는 그 내부에서 증기를 드레인과 접촉시키는 것이다. 도2 및 도3에 나타내듯이, 사일렌서(20)는 본체(21)와, 다공형 부재(30)를 구비한다. 도2 및 도3에서는 왼쪽이 상류측이고, 오른쪽이 하류측이다.
본체(21)는 머리부(22)와 축부(23)를 갖는다. 머리부(22)는 편평한 거의 육각기둥 형상으로 형성된다. 축부(23)는 머리부(22)의 하류측에 연속되어 형성되며, 상하류 방향으로 이어진다. 축부(23)는 머리부(22)와 동축인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된다. 축부(23) 상류측의 바깥둘레 면에는 드레인회수관(14)과 나사결합되는 나사부(23a)가 형성된다. 축부(23)의 나사부(23a)가 드레인회수관(14)에 나사결합 됨으로써 본체(21)가 드레인회수관(14)에 접속된다. 또 축부(23)에 있어서 나사부(23a)보다 하류측 부분은 잠수부(23b)로 구성된다. 잠수부(23b)는, 본체(21)가 드레인회수관(14)에 접속될 때, 드레인회수관(14)을 흐르는 드레인에 잠기는 부분이다.
본체(21)에는 드레인 및 증기의 유로(24)가 형성된다. 유로(24)는 유입구(25)와, 혼합부(26)와, 연통로(27)와, 유출구(28)를 갖는다. 유입구(25)는 머리부(22)의 상류측 면에 개구하며, 축부(23)의 축 방향(즉, 상하류 방향)으로 이어진다. 유입구(25)는 머리부(22)와 축부(23)에 걸쳐 형성된다. 즉, 유입구(25)는 본체(21)에 있어서 잠수부(23b) 이외의 부분에 형성된다. 유입구(25)에는 드레인배출관(16)이 접속된다. 유입구(25)에는 증기를 혼합부(26)로 분사하는 노즐부(25a)가 설치된다. 유입구(25)에서 노즐부(25a)의 안지름은 다른 부분의 안지름보다 작다.
혼합부(26), 연통로(27) 및 유출구(28)는 축부(23)의 잠수부(23b)에 형성된다. 혼합부(26)는, 잠수부(23b)의 지름 방향 중앙에 배치되며, 축부(23(잠수부(23b))와 동축인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된다. 혼합부(26)는 유입구(25)의 노즐부(25a)와 연통된다. 유출구(28)는 잠수부(23b)의 바깥둘레 면에 개구하며, 잠수부(23b)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 복수(본 실시형태에서는 4개) 형성된다. 유출구(28)는 축부(23(잠수부(23b))의 축 방향으로 이어지는 세로로 긴 거의 사각형으로 형성된다. 유출구(28)의 축 방향 단부(도3에서 좌우의 단부)는 원호형으로 형성된다. 유출구(28)의 축 방향 길이는 혼합부(26)의 축 방향 길이보다 길다.
연통로(27)는 유출구(28)와 동일 수(4개) 형성된다. 연통로(27)는 혼합부(26)와 유출구(28)를 연통시키는 것이다. 연통로(27)는 혼합부(26)로부터 잠수부(23b)의 지름 방향으로 이어져 유출구(28)에 접속된다. 연통로(27)는 유출구(28)의 축 방향 단부인 상류측 단부에 접속된다. 또 잠수부(23b)에는 혼합부(26)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연통로(29)가 형성된다. 연통로(29)는 축부(23)의 축 방향으로 이어지는 직선형의 유로이며, 잠수부(23b)에 있어서 지름 방향 중앙에 형성된다. 즉, 연통로(29)는 혼합부(26)로부터 하류 방향으로 이어져 잠수부(23b(축부(23))의 하류측 단면에 개구한다. 연통로(29)는 혼합부(26)보다 안지름이 약간 크다.
잠수부(23b)는 드레인회수관(14)의 드레인에 잠겨 있으므로, 잠수부(23b)에 형성된 혼합부(26), 연통로(27), 유출구(28) 및 연통로(29)에는 드레인회수관(14)의 드레인이 유출구(28)로부터 유입한다. 또 연통로(29)에는 드레인회수관(14)의 드레인이 직접 유입한다. 유로(24)에서, 혼합부(26), 연통로(27), 유출구(28) 및 연통로(29)는 드레인회수관(14)의 드레인이 개재하는 드레인 개재부를 구성한다. 드레인 개재부는, 유입구(25)로부터 유입한 증기가 드레인회수관(14)의 드레인과 접촉하는 부분이다.
다공형 부재(30)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축부(23)에 있어서 잠수부(23b)의 바깥둘레에 설치된다. 다공형 부재(30)는 유출구(28)를 덮는다. 다공형 부재(30)는 유출구(28)로부터의 드레인 및 증기의 유출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또 다공형 부재(30)는 외부의 드레인, 즉 드레인회수관(14)의 드레인이 유출구(28)로 유입 가능하게 구성된다. 잠수부(23b)에는 다공형 부재(30)가 잠수부(23b)에서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핀(31)이 설치된다. 핀(31)은 잠수부(23b)의 바깥둘레에 복수(본 실시형태에서는 4개) 설치되며, 잠수부(23b)의 바깥둘레 면에 형성된 삽입공(32)에 압입된다.
다공형 부재(30)는 드레인 및 증기가 유통 가능한 작은 구멍을 다수 갖는 부재이다. 다공형 부재(30)로는, 예를 들면 금속 메쉬, 펀칭 메탈, 익스팬드 메탈, 세선 소결체 등이 이용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사일렌서(20)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스팀트랩(17)에서 배출된 고온 드레인은 유입구(25)로부터 유입하고 혼합부(26)에서 드레인회수관(14)의 저온 드레인과 혼합된다. 혼합된 드레인은 연통로(27)를 통해 유출구(28)로 흐르고 다공형 부재(30)를 통과하여 드레인회수관(14)으로 유출된다. 이와 같이, 증기공급관(11)에서 발생한 드레인이 드레인회수관(14)에 회수된다.
스팀트랩(17)에서 배출된 드레인의 일부는 재증발하여 증기(플래시 증기)가 되는 경우가 있다. 이는 증기공급관(11)으로부터 스팀트랩(17)으로 유입하는 드레인이 고온인 점, 그 고온 드레인이 스팀트랩(17)에서 배출되어 압력이 저하되는 점에 기인한다. 재증발한 증기는 사일렌서(20)로 유입한다.
사일렌서(20)에서, 유입구(25)로 유입한 증기는 노즐부(25a)로부터 혼합부(26)로 분사된다. 분사된 증기는, 혼합부(26)에 있어서 개재하는 저온 드레인과 접촉하여 응축된다. 드레인배출관(16)으로부터 사일렌서(20)로 유입하는 증기량이 적은 경우에는, 혼합부(26)에서 전부 내지 대부분의 증기가 응축된다. 또 증기는 노즐부(25a)로부터 분사됨으로써 분산된다. 이에 따라, 혼합부(26)에서 증기와 저온 드레인과의 접촉면적이 증대하므로, 증기의 응축작용이 촉진된다. 증기의 응축에 의해 발생한 드레인은 연통로(27)를 통해 유출구(28)로 흐르며, 다공형 부재(30)를 통과하여 드레인회수관(14)으로 유출된다.
드레인배출관(16)으로부터 사일렌서(20)로 유입하는 증기량이 많아지면, 혼합부(26)에서 증기의 일부는 완전히 응축하지 못하게 된다. 혼합부(26)에서 완전히 응축하지 못한 증기는, 연통로(27)를 통해 유출구(28)로 흐른다. 유출구(28)는 길이가 혼합부(26)에 비해 길기 때문에, 또 유출구(28)는 혼합부(26)에 비해 드레인회수관(14)의 저온 드레인이 아주 가까운 곳에 존재하므로, 증기와 저온 드레인의 접촉 면적이 많아진다. 이로써, 완전히 응축되지 못하고 유출구(28)로 흐른 증기를 응축시킬 수 있다. 또한 혼합부(26)로부터 유출구(28)로 흐르는 과정에서도 증기는 저온 드레인과 접촉하므로, 이에 의해서도 증기는 응축된다.
또 혼합부(26)의 증기는 복수의 유출구(28)로 흐르므로, 증기는 분산되어 유출구(28)로 흐른다. 이에 따라 각 유출구(28)에서 증기량이 적어지므로, 증기의 응축작용이 보다 촉진된다.
여기서, 복수의 연통로(27)의 총 유로 단면적은 연통로(29)의 유로 단면적보다 크다. 이에 따라, 혼합부(24)로 유입한 드레인이나 증기는 우선적으로 연통로(27)로 흐르며, 나머지 드레인이나 증기는 연통로(29)로 흐른다.
유출구(28)에서도 완전히 응축하지 못하는 증기가 발생한 경우, 그 증기는 다공형 부재(30)를 통과하여 드레인회수관(14)으로 유출된다. 증기는 다공형 부재(30)를 통과할 때 미세하게 분산된다. 증기가 미세하게 분산됨에 따라 증기와 저온 드레인의 접촉면적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증기의 응축작용이 촉진된다. 더구나 다공형 부재(30)의 외측에는 저온 드레인이 존재하므로, 다공형부재(30)에 의해 미세하게 분산된 증기는 바로 저온 드레인과 접촉하고 응축한다. 즉, 증기는 다공형부재(30)를 통과함과 거의 동시에 응축하여 드레인이 된다. 따라서 사일렌서(20)로부터 드레인회수관(14)으로 유출하는 증기는 적다.
또 증기는 다공형 부재(30)를 통과할 때에 완전히 응축하지 못했다 하더라도, 미세하게 분산되어 드레인회수관(14)으로 흐른다. 이와 같이, 증기가 사일렌서(20)에 의해 미세하게 분산되어 드레인회수관(14)으로 흐름으로써, 드레인회수관(14)에서 발생하는 충격(워터햄머)이 억제된다.
가령 증기가 분산되지 않고 드레인회수관(14)으로 흐른 경우, 드레인회수관(14)에서는 증기의 유입에 수반하여 비교적 큰 증기의 덩어리(공간)가 형성된다. 이 증기의 덩어리는, 그 주위의 저온 드레인에 의해 냉각되어 급격하게 응축되고, 이에 따라 증기가 존재하던 공간은 순식간에 진공상태가 된다. 이 진공상태의 공간에 주위의 드레인이 순식간에 몰려 들어, 드레인간의 충돌이 일어나거나, 드레인이 드레인회수관(14)의 관벽에 충돌하거나 함으로써 충격(워터햄머)이 발생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증기가 사일렌서(20)에 의해 미세하게 분산되어 드레인회수관(14)으로 유입하므로, 드레인회수관(14)에서 큰 증기의 덩어리(공간)가 형성되기 어려워진다. 이에 따라 증기의 급격한 응축에 의해 발생하는 진공 공간은 작은 것이 된다. 따라서 소음이나 관의 손상을 일으키는 큰 워터햄머의 발생이 억제된다. 즉, 워터햄머의 크기가 작아진다.
이상과 같이, 상기 실시형태의 사일렌서(20)는 증기의 유입구(25) 및 유출구(28)를 갖는 유로(24)가 형성된 본체(21)를 구비한다. 본체(21)는, 유출구(28)가 드레인에 잠기고, 증기가, 유로(24)에 있어서 유출구(28)로부터 유입하여 개재하는 드레인과 접촉하는 잠수부(23b)를 갖는다. 그리고 사일렌서(20)는 유출구(28)를 덮는 다공형 부재(30)를 구비한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잠수부(23b)에 형성된 유로(24)에서 증기를 드레인과 접촉시킴으로써 응축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증기가 감소한다. 또 완전히 응축하지 못하는 증기가 발생한 경우, 그 증기를 다공형 부재(30)로 미세하게 분산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저온 드레인이 흐르는 드레인회수관(14)에 증기를 분산시켜 유출시킬 수 있다. 이로써, 드레인회수관(14)에서 큰 증기의 덩어리(공간)가 형성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드레인회수관(14)에서, 증기의 덩어리가 급격하게 응축함에 기인하는 워터햄머의 발생을 억제 또는 워터햄머의 크기를 작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워터햄머에 의해 일으켜지는 소음이나 관의 손상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상기 실시형태의 사일렌서(20)에서, 유출구(28)는 잠수부(23b)에 복수 형성된다. 그리고 유로(24)는 혼합부(26)와 복수의 연통로(27)를 갖는다. 혼합부(26)는 잠수부(23b)에 형성되고 또 유입구(25)로 연통되며, 증기가 드레인과 혼합된다. 연통로(27)는 잠수부(23b)에 형성되고, 혼합부(26)와 복수의 유출구(28)를 연통시킨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유입구(25)로부터 혼합부(26)로 흐른 증기는 복수의 연통로(27)를 통해 복수의 유출구(28)로 흐른다. 이에 따라 혼합부(26)로부터 증기를 분산시켜 유출구(28)로 흐르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 유출구(28)에서 증기량이 적어지므로, 증기의 응축작용을 촉진시킬 수 있다. 이로써, 사일렌서(20)로부터 드레인회수관(14)으로 유출하는 증기량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상기 실시형태의 사일렌서(20)에서, 잠수부(23b)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복수의 유출구(28)는 잠수부(23b)의 둘레 방향으로 배치되고, 잠수부(23b)의 바깥둘레 면에 개구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유출구(28)에서 증기를 잠수부(23b) 외부의 저온 드레인과 골고루 접촉시킬 수 있다. 이로써, 증기의 응축작용을 촉진시킬 수 있다.
또 상기 실시형태의 사일렌서(20)에서는, 유출구(28)가 잠수부(28b)의 축 방향으로 이어지는 세로로 긴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원기둥 형상의 잠수부(23b)에서 유출구(28)의 개구면적을 확보할 수 있다. 이로써, 증기와 저온 드레인이 접촉하는 영역, 즉 증기의 응축영역을 증대시킬 수 있으므로, 증기의 응축작용을 촉진시킬 수 있다.
또 상기 실시형태의 사일렌서(20)에서, 혼합부(26)는 잠수부(23b)의 지름 방향 중앙에 배치되고, 연통로(27)는 혼합부(26)와 유출구(28)의 축 방향 단부에 접속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잠수부(23b)에 있어서 증기의 유로 길이를 확보할 수 있다. 이로써, 증기와 저온 드레인이 접촉하는 영역을 증대시킬 수 있으므로, 증기의 응축작용을 촉진시킬 수 있다.
또 상기 실시형태의 사일렌서(20)에서는, 유입구(25)는 본체(21)의 잠수부(23b) 이외의 부분에 배치되며, 증기를 혼합부(26)로 분사하는 노즐부(25a)를 갖는다. 이 구성에 의하면, 증기는 노즐부(25a)에서 분사됨으로써 분산된다. 이로써, 혼합부(26)에서 증기와 저온 드레인과의 접촉면적을 증대시킬 수 있어, 증기의 응축작용을 촉진시킬 수 있다.
(그 밖의 실시형태)
본원에 개시된 기술은 상기 실시형태에서 이하와 같은 구성으로 해도 된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형태에서 유출구(28) 및 연통로(27)는 각각 1개라도 된다.
또 유입구(25)에서 노즐부(25a)는 생략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본원에 개시된 기술은, 증기를 드레인과 접촉시키는 사일렌서에 대하여 유용하다.
20 : 사일렌서 21 : 본체
23b : 잠수부 24 : 유로
25 : 유입구 25a : 노즐부
26 : 혼합부 27 : 연통로
28 : 유출구 30 : 다공형 부재
23b : 잠수부 24 : 유로
25 : 유입구 25a : 노즐부
26 : 혼합부 27 : 연통로
28 : 유출구 30 : 다공형 부재
Claims (6)
- 증기의 유입구 및 유출구를 갖는 유로가 형성되는 한편, 상기 유출구가 드레인에 잠기고, 상기 증기가 상기 유로에 있어서 상기 유출구로부터 유입하여 개재하는 상기 드레인과 접촉하는 잠수부를 갖는 본체와,
상기 유출구를 덮는 다공형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유출구는, 상기 잠수부에 복수 형성되며,
상기 유로는,
상기 잠수부에 형성되고 또 상기 유입구로 연통되며, 상기 증기가 상기 드레인과 혼합하는 혼합부와,
상기 잠수부에 형성되고, 상기 혼합부와 상기 복수의 유출구를 연통시키는 복수의 연통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일렌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잠수부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유출구는, 상기 잠수부의 둘레 방향으로 각각 배치되고, 상기 잠수부의 바깥둘레 면에 개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일렌서.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유출구는, 상기 잠수부의 축 방향으로 이어지는 세로로 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일렌서.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혼합부는, 상기 잠수부의 지름 방향 중앙에 형성되며,
상기 연통로는, 상기 혼합부와 상기 유출구의 축 방향 단부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일렌서. -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는, 상기 본체에 있어서 상기 잠수부 이외의 부분에 형성되며, 상기 증기를 상기 혼합부로 분사하는 노즐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일렌서. - 삭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17095490 | 2017-05-12 | ||
JPJP-P-2017-095490 | 2017-05-12 | ||
PCT/JP2018/016960 WO2018207637A1 (ja) | 2017-05-12 | 2018-04-26 | サイレンサ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137887A KR20190137887A (ko) | 2019-12-11 |
KR102277955B1 true KR102277955B1 (ko) | 2021-07-16 |
Family
ID=641055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7033752A KR102277955B1 (ko) | 2017-05-12 | 2018-04-26 | 사일렌서 |
Country Status (7)
Country | Link |
---|---|
US (1) | US11315537B2 (ko) |
EP (1) | EP3623683B1 (ko) |
JP (1) | JP6531223B2 (ko) |
KR (1) | KR102277955B1 (ko) |
CN (1) | CN110603402B (ko) |
MY (1) | MY196785A (ko) |
WO (1) | WO2018207637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7458072B2 (ja) | 2020-09-10 | 2024-03-29 | 株式会社テイエルブイ | サイレンサ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304204A (ja) * | 1999-04-23 | 2000-11-02 | Babcock Hitachi Kk | ボイラのドレン排出装置 |
JP2004190822A (ja) | 2002-12-13 | 2004-07-08 | Tlv Co Ltd | 液体圧送装置 |
JP2005036900A (ja) | 2003-07-15 | 2005-02-10 | Tlv Co Ltd | 液体圧送装置 |
JP2017531139A (ja) | 2014-09-17 | 2017-10-19 | スピラックス‐サルコ リミテッド | 凝縮液ドレイン |
Family Cites Families (1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GB385599A (en) * | 1930-03-26 | 1932-12-29 | Harburger Metallgiesserei Und |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devices for drawing off water from containers or pipes which are under pressure |
JPS5527241B2 (ko) | 1973-09-20 | 1980-07-19 | ||
JPS5075121U (ko) * | 1973-11-13 | 1975-07-01 | ||
JPS55168793U (ko) * | 1979-05-24 | 1980-12-04 | ||
JPS6222721Y2 (ko) * | 1981-04-01 | 1987-06-10 | ||
JPH04126098U (ja) * | 1991-05-01 | 1992-11-17 | 三菱重工業株式会社 | ドレントラツプ |
US5304748A (en) * | 1992-01-06 | 1994-04-19 | Destec Engineering, Inc. | Methods and apparatuses for muffling power plant steam exhaust |
JPH0760089A (ja) * | 1993-08-20 | 1995-03-07 | Yunisun:Kk | 蒸気と水の混合器 |
CN2229818Y (zh) * | 1995-08-24 | 1996-06-26 | 付汉权 | 车用消烟消声防火防爆装置 |
CN2784589Y (zh) * | 2005-03-03 | 2006-05-31 | 李志强 | 蒸汽、空气消音器 |
KR101097773B1 (ko) * | 2010-06-29 | 2011-12-22 | 유춘희 | 전자 전극봉식 가습기 |
US9404365B2 (en) * | 2013-02-13 | 2016-08-02 | Taylor's Industrial Coatings, Inc. | Steam diffusing apparatus and related methods |
KR101339668B1 (ko) * | 2013-07-22 | 2013-12-10 | 황장선 | 응축수 회수 장치 |
CN204704538U (zh) * | 2015-06-23 | 2015-10-14 | 胡晟玮 | 用于石油炼化工艺的冷凝回水水击消除器 |
JP6899255B2 (ja) * | 2017-05-12 | 2021-07-07 | 株式会社テイエルブイ | ドレン回収システム及び配管継手 |
JP6894788B2 (ja) * | 2017-07-20 | 2021-06-30 | 株式会社テイエルブイ | サイレンサ |
CN108895423B (zh) * | 2018-07-11 | 2019-08-27 | 河南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 一种卷烟厂用蒸汽供应系统 |
-
2018
- 2018-04-26 WO PCT/JP2018/016960 patent/WO2018207637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8-04-26 KR KR1020197033752A patent/KR102277955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8-04-26 MY MYPI2019006541A patent/MY196785A/en unknown
- 2018-04-26 CN CN201880029922.1A patent/CN110603402B/zh active Active
- 2018-04-26 EP EP18797908.3A patent/EP3623683B1/en active Active
- 2018-04-26 JP JP2018537885A patent/JP6531223B2/ja active Active
-
2019
- 2019-10-30 US US16/668,013 patent/US11315537B2/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304204A (ja) * | 1999-04-23 | 2000-11-02 | Babcock Hitachi Kk | ボイラのドレン排出装置 |
JP2004190822A (ja) | 2002-12-13 | 2004-07-08 | Tlv Co Ltd | 液体圧送装置 |
JP2005036900A (ja) | 2003-07-15 | 2005-02-10 | Tlv Co Ltd | 液体圧送装置 |
JP2017531139A (ja) | 2014-09-17 | 2017-10-19 | スピラックス‐サルコ リミテッド | 凝縮液ドレイン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6531223B2 (ja) | 2019-06-12 |
CN110603402A (zh) | 2019-12-20 |
CN110603402B (zh) | 2021-05-28 |
EP3623683A4 (en) | 2020-06-17 |
KR20190137887A (ko) | 2019-12-11 |
EP3623683A1 (en) | 2020-03-18 |
US20200066244A1 (en) | 2020-02-27 |
US11315537B2 (en) | 2022-04-26 |
EP3623683B1 (en) | 2021-09-29 |
MY196785A (en) | 2023-05-03 |
JPWO2018207637A1 (ja) | 2019-06-27 |
WO2018207637A1 (ja) | 2018-11-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6351131B2 (ja) | 流体ライン | |
KR102277955B1 (ko) | 사일렌서 | |
JP6894788B2 (ja) | サイレンサ | |
JP7273607B2 (ja) | サイレンサ | |
EP2796669A1 (en) | Steam valve apparatus | |
EP2133631B1 (en) | Hot water generator | |
US20170162280A1 (en) | Piping enhancement for backflow prevention in a multiple loop, metal cooled nuclear reactor system | |
JP6836455B2 (ja) | 逆止弁 | |
JP6899255B2 (ja) | ドレン回収システム及び配管継手 | |
KR101376727B1 (ko) | 스팀트랩 | |
JPWO2008065888A1 (ja) | 蓄圧注水タンク及びフローダンパの製造方法 | |
KR101350489B1 (ko) | 엔지니어링 노즐을 적용한 연속분사식 응축수 배출기 | |
JP7458072B2 (ja) | サイレンサ | |
CN106246250B (zh) | 用于核电厂的蒸汽倾卸装置 | |
RU56940U1 (ru) | Клапан обратный | |
JP2018194185A (ja) | ドレン回収システム | |
JP5214325B2 (ja) | 復水回収装置 | |
JP2019039585A (ja) | サイレンサ | |
KR20140031827A (ko) | 엔지니어링 노즐을 적용한 연속분사식 응축수 배출기 | |
KR102004853B1 (ko) | 스팀분배장치가 설치된 스팀응축장치 | |
KR102505758B1 (ko) | 응축수 배관의 수격 방지 장치 | |
KR101350488B1 (ko) | 엔지니어링 노즐을 적용한 연속분사식 응축수 배출기 | |
JP6899256B2 (ja) | ドレン回収システム及び配管継手 | |
RU2325587C2 (ru) | Теплообме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прямого смешивания воды и пара | |
JP2013190166A (ja) | アンモニアアタック防止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