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7773B1 - 전자 전극봉식 가습기 - Google Patents

전자 전극봉식 가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7773B1
KR101097773B1 KR1020100061696A KR20100061696A KR101097773B1 KR 101097773 B1 KR101097773 B1 KR 101097773B1 KR 1020100061696 A KR1020100061696 A KR 1020100061696A KR 20100061696 A KR20100061696 A KR 20100061696A KR 101097773 B1 KR101097773 B1 KR 1010977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ter supply
cylinder
humidifier
ste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16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춘희
Original Assignee
유춘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춘희 filed Critical 유춘희
Priority to KR10201000616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77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77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77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18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injection of steam into the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13/2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4Means for preventing or suppressing noi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0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 F24F6/08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heated wet elements
    • F24F6/1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heated wet elements heated electrical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 전극봉식 가습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가습기의 실린더 내에 급수되는 물의 양을 조절할 수 있는 수위감지센서가 오작동을 일으켜 급수가 지속적으로 진행될 경우 급수되는 물을 직접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스팀이 배출되는 노즐로 급수가 범람(overflow)하지 않도록 하고, 스팀 배출시 스팀호스 내에 생성되는 결로로 인해 가습기 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소음을 저감할 수 있도록 한 전자 전극봉식 가습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자 전극봉식 가습기{A electrode type humidifier}
본 발명은 가습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가습기의 실린더 내에 급수되는 물의 양을 조절할 수 있는 수위감지센서가 오작동을 일으켜 급수가 지속적으로 진행될 경우 급수되는 물을 직접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스팀이 배출되는 노즐로 급수가 범람(overflow)하지 않도록 하고, 스팀 배출시 스팀호스 내에 생성되는 결로로 인해 가습기 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소음을 저감할 수 있도록 한 전자 전극봉식 가습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습기는 전극이 내장된 실린더(수조) 내에 전기를 공급하여 물을 완전히 끊여서 무균상태의 청정증기를 발생시키는 것을 말한다.
즉, 가습기는 병균 발생이나 악취발생이 없는 제품으로서 일반 사무실이나 병원 등의 사람이 거주하는 주거 공간의 습도 유지 및 특별히 위생적으로 고습도를 필요로 하는 산업공정에 두루 사용되고 있다.
상술한 가습기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에 고정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 내에 설치되어 물의 수위를 감지할 수 있는 수위감지센서, 상기 실린더의 일측에 설치되는 급수밸브, 그리고 상기 실린더의 하부에 설치되는 배수펌프로 구성되고, 상기 실린더 내에는 전기에 의해 물을 가열시키고 이때 발생된 증기를 이용하여 습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다수개의 전극봉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가습기는 전원을 공급하면 급수밸브에 의해 실린더 내에 물이 공급되고, 이에 따라 실린더 내에 설치된 전극봉이 물에 잠기면 전압을 가하여 전극봉에 전류가 흐르도록 함으로써, 내부의 물을 가열 증발시켜 발생하는 수증기를 실내로 공급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수위감지센서는 실린더 내로 급수되는 물의 수위를 감지하며, 급수밸브는 상기 수위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된 물의 수위에 따라 온/오프되어 자동으로 물을 공급하고, 배수펌프는 실린더 내로 급수된 물의 전도도가 높아지거나 높아지거나 실린더 내의 물을 교체할 경우 온/오프되어 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것이다.
즉, 상기 실린더 내에 설치된 수위감지센서가 급수되는 물의 수위를 측정하는 상태에서 설정치보다 많은 양의 물이 공급될 경우 오버 플로우 센싱을 하게 되면, 급수밸브가 차단됨으로써 물의 급수가 멈추게 된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가습기는 실린더 내에 설치된 수위감지센서가 오작동하여 급수되는 물의 수위를 감지하지 못하면 실린더 내에 물이 꽉 차게 되면서 스팀노즐을 통해 실내로 급수물이 범람(overflow)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급수 후에도 급수연결관이 급수밸브측에 직접 연결되어 있으므로, 사람이 상기 급수밸브를 만질 경우 실린더 내의 전극봉에 흐르는 전류가 상기 급수연결관 내의 물을 통해 감전 위험이 있다.
또한, 상술한 종래의 가습기는 실린더 내에 물이 꽉 차게 되어도 수위감지센서 오작동시 상기 실린더 내로 물을 지속적으로 급수함으로써, 급수되는 물에 의해 가습기가 손상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상술한 종래의 가습기는 대합실, 공연장 등 면적이 넓은 장소에 수증기를 공급할 경우 상기 가습기에 스팀호스를 연결한 후 스팀호스를 통해 수증기를 공급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스팀호스에 물방울이 맺히는 등 결로가 발생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스팀호스 내벽을 통해 가습기 내로 물방울이 떨어지면서 상승하는 증기(스팀)과 부딪혀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결로가 발생된 스팀호스로 스팀을 지속적으로 유동시킬 경우에는 물방울과 상기 유동되는 스팀이 접촉됨으로써, 풍절음이 최고조에 달하는 등 사용자가 듣기에 거북할 정도의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실린더 내에 마련된 수위감지센서가 오작동을 일으켜도 급수밸브를 통해 공급되는 물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하고, 전류가 흐르는 실린더 내의 물과 급수연결관 내의 물이 서로 연결되지 않도록 한 전자 전극봉식 가습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스팀호스 내벽에 발생되는 물방울을 외부로 배출하여 가습기 내로 물방울이 떨어지지 않도록 함으로써, 스팀의 유동중 발생할 수 있는 풍절음 및 물방울이 가습기 내로 떨어지면서 발생하던 소음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전자 전극봉식 가습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스팀을 발생시키는 전자 전극봉식 가습기의 일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급수밸브와 연결되어 물을 유동시킬 수 있는 급수공급구 및 상기 급수공급구를 통해 유입된 물을 상기 가습기의 실린더 내로 공급할 수 있는 실린더급수구가 형성된 급수부; 상기 실린더 내에 유입된 물을 배수할 수 있는 실린더배수구 및 상기 실린더배수구를 통해 유동된 물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외부배출구가 형성된 배수부; 및 상기 급수부와 상기 배부수를 구획하며 선택적으로 상기 급수부를 통해 유동된 물을 상기 배수부 측으로 유동될 수 있도록 한 통공이 형성된 격벽을 포함하는 급배수조를 구비하고, 상기 가습기의 스팀배출구와, 상기 스팀배출구에서 배출되는 스팀이 유동 되도록 한 스팀호스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하부가 개방되며 개방된 일단이 상기 스팀배출구와 결합되고 측면 일측에 드레인공이 형성된 바디; 및 상기 바디와 결합되는 삽입부와 상기 스팀호스가 끼움결합되는 호스연결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호스연결부보다 삽입부의 내부 직경이 더 넓게 형성된 어댑터;를 포함하는 전자 전극봉식 가습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급수공급구 및 상기 실린더배수구는 갈고리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급수공급구는 상기 실린더배수구 보다 상측에 위치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급배수조의 일측에는 스팀(증기)의 유동시 발생되는 응축수가 배출될 수 있도록 한 응축수배수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공에는 연결구가 나사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바디와 상기 가습기의 스팀배출구가 결합되는 부분에 오링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바디와 어댑터가 결합되는 부분에 오링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전극봉식 가습기는 실린더 내에 마련된 수위감지센서가 오작동을 일으켜도 급수밸브를 통해 공급되는 물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스팀 노즐로 급수가 범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전류가 흐르는 실린더 내의 물과 급수연결관 내의 물이 서로 연결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물을 통해 전류가 급수밸브측으로 흐르는 것을 방지하여 사람이 감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스팀호스에 발생되는 물방울이 가습기 내로 낙하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가습기 내로 물방울이 떨어지면서 발생하는 소음을 방지하고, 또한 스팀호스로 수증기의 유동중 물방울과 접촉되어 발생할 수 있는 풍절음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습기에 급배수조 및 소음기가 설치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가습기의 구조도;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습기에 사용되는 급배수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3 은 도 2 의 급배수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4 및 5 는 급배수조에 의해 물이 유동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6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습기에 사용되는 소음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7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습기의 소음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8 은 소음기에 의해 물방울이 유동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및
도 9 는 소음기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전극봉식 가습기를 바람직한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전극봉식 가습기는 실린더 내에 설치되는 수위감지센서의 오작동시에도 급수되는 물이 스팀노즐을 통해 실내로 범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가장 큰 특징으로 한다.
또한, 수증기(스팀)를 발생시키는 가습기와, 상기 가습기와 연결되는 스팀호스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수증기(스팀)가 상기 스팀호스 내를 유동함에 따라 발생되는 물방울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풍절음 등과 같은 소음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가습기(1)는 전술한 종래의 가습기와 마찬가지로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0)와, 상기 케이스(10) 내에 위치되어 물을 저장하는 실린더(20)와, 상기 실린더(20) 내에 설치되어 물의 수위를 감지할 수 있는 수위감지센서(30), 상기 실린더(20) 내에 설치되며 전기에 의해 물을 가열시킬 수 있는 다수개의 전극봉(40), 상기 다수개의 전극봉(40)을 통해 발생되는 수증기를 실내로 공급할 수 있도록 연결된 스팀호스(50) 및 스팀노즐(60) 및 상기 실린더(20) 내로 물을 급수 또는 배수할 수 있도록 마련된 급수밸브(70) 및 배수펌프(80)로 구성된다.
상기, 가습기(1)는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해 기재한 것으로, 상기 가습기(1)의 구성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는 가습기(1)의 일측에 설치되는 급배수조(100) 및 스팀배출구(12)에 설치는 소음기(200)이므로, 급배수조의 구조 및 소음기에 대해 중점적으로 알아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전극봉식 가습기의 급배수조(100)는 상기 가습기(1)의 일측에 설치되되, 물을 저장하는 실린더(20)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설치되며, 전체가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어 외부에서 물이 유동되는 모습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급배수조(100)는 내부에 수용공간을 갖도록 형성되며, 도 1 내지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가습기(1)의 실린더(20) 내로 공급할 수 있는 동시에 실린더(20) 내에 보관된 물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유로 역할을 하는 것으로 급수공급구(110)와 실린더급수구(120)가 형성되는 급수부(100a)와, 실린더배수구(130) 및 외부배출구(140)가 형성되는 배수부(100b)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급수부(100a)와 배수부(100b)는 격벽(150)에 의해 구획되어 실린더(20) 내로 물을 급수하거나, 실린더(20) 내의 물을 배수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급수부(100a) 측에 형성되는 급수공급구(110)는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급수관(112)을 통해 급수밸브(70)와 연결되며, 상기 급수밸브(70)의 작동에 따라 선택적으로 물이 유동되어 상기 급배수조(100) 내로 물이 공급된다.
이때, 상기 급수공급구(110)는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이 상기 급배수조(100)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상기 제1급수관(112)과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급배수조(100) 내측에 위치되되, 하방향으로 구부러지는 갈고리 형상으로 형성된다.
실린더급수구(120)는 상기 급수공급구(110)의 하방향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된 끝단이 위치되는 부분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급수공급구(110)를 통해 유입된 물이 가습기(1)의 실린더(20) 내로 물이 공급될 수 있도록 제2급수관(122)이 연결된다.
즉, 상기 제1급수관(112)을 통해 급수공급구(110)의 일단으로 물이 유입되면 유입된 물이 상기 갈고리 형상으로 형성된 급수공급구(110)의 타단으로 배수되되, 물이 배수되는 급수공급구(110)의 타단이 하방향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배수되는 물이 분산되지 않고 하중에 의해 실린더급수구(120)로 향하게 된다.
또한, 상기 배수부(100b) 측에 형성되는 실린더배수구(130)는 실린더(20) 내에 저장되어 있는 물의 교체시 또는 실린더(20) 내에 물이 꽉 차게 되었을 경우 상기 실린더(20) 내의 물이 외부로 배수되도록 형성된 것으로, 제1배수관(132)을 통해 상기 실린더(20)와 연결된다.
이때, 상기 실린더배수구(130)는 상기 급수공급구(110)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일단이 외측으로 노출되어 상기 제1배수관(132)과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급배수조(100) 내측에 위치되되, 하방향으로 구부러지는 갈고리 형상으로 형성된다.
외부배출구(140)는, 상기 실린더배수구(130)를 통해 급배수조(100)로 유입된 물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실린더배수구(130)의 하방향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된 끝단이 위치되는 부분에 형성되며, 제2배수관(142)과 연결된다.
즉, 상기 외부배출구(140)는 상기 제1배수관(132)을 통해 실린더배수구(130)의 일단으로 물이 유입되면 유입된 물이 상기 갈고리 형상으로 형성된 실린더배수구(130)의 타단으로 배수되며 상기 외부배출구(140)를 통해 배수된 물은 제2배수관(142)에 의해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급배수조(100)의 급수부(100a)와 배수부(100b)는 상기 급수밸브(70)에서 공급되는 물이 급수공급구(110)를 통해 급배수조(100) 내로 유입되면 갈고리 형상으로 기울어진 급수공급구(110)의 타단을 통해 실린더급수구(120)로 향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실린더급수구(120)로 유입된 물은 제2급수관(122)을 통해 실린더(20) 내로 유입되어 실린더(20)를 채우게 된다.
그리고, 상기 실린더(20) 내에 저장된 물을 외부로 배출할 경우에는 실린더(20)와 급배수조(100)의 실린더배수구(130)를 연결하는 제1배수관(132)을 통해 물이 유동되도록 한다. 이후 상기 실린더배수구(130)를 통해 유입된 물은 외부배출구(140)와 연결된 제2배수관(142)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한편, 상기 급수부(100a)와 배수부(100b)를 구획하고 있는 격벽(150)에는 실린더(20)에 물이 꽉 차게 되었을 경우 배수부(100b) 측으로 오버 플로우(overflow)될 수 있도록 통공(152)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통공은 실린더(20) 내에 설치되는 수위감지센서의 오작동으로 인해 물이 상기 실린더(20)를 꽉 채우게 될 경우 실린더(20) 내의 물 높이와 제2급수관(122)의 물 높이가 동일해진다.
따라서,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급수공급구(110)를 통해 유입된 물이 통공(152)으로 범람하여 외부배출구(140)를 통해 제2배수관(142)으로 향하게 되어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이때, 상기 통공(152)은 상기 급수공급구(110)의 구부러진 부분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급수공급구(110)로 물이 역류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덧붙여, 상기 급배수조(100)의 급수부(100a)와 배수부(100b)의 일측에는 각각 응축수배수구(160a,160b)가 형성된다.
상기 응축수배수구(160a,160b)는 스팀호스(50)와 응축수배수호스(170)를 통해 연결되어 실린더(20)에서 발생된 스팀이 유동함에 따라 발생되는 응축수가 배출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상기 2개의 응축수배수구(160a,160b)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결합된다.
즉, 응축수배수호스(170)가 상기 급수부(100a) 측에 형성된 응축수배수구(160a)와 결합될 경우에는 상기 실린더급수구(120)를 통해 실린더(20) 내로 공급되어 재활용되고, 배수부(100b) 측에 형성된 응축수배수구(160b)와 결합될 경우에는 외부배출구(14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응축수배수구(160a,160b) 중 어느 하나에 응축수배수호스(170)가 연결되면 다른 하나는 외부의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공기흡입구 역할을 하게 된다.
즉, 상기 실린더(20) 내에 저장되어 있는 물의 일부를 상기 급배수조(100)를 이용하여 외부로 배출시 모세관 현상에 의해 실린더(20) 내의 물이 모두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데, 이때,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모세관 현상을 없애 실린더(20) 내의 물이 모두 배출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습기의 급배수조 구조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급수밸브(70)가 오픈되어 제1급수관(112)을 통하여 급배수조의 급수공급관으로 물이 유입된다. 이후 유입된 물은 실린더급수구(120)를 통해 제2급수관(122)을 거쳐 실린더(20) 내에 공급되게 된다.
이때, 상기 급수되는 물은 상기 실린더(20) 내에 마련되는 수위감지센서(30)가 감지하여 이를 급수밸브(70)에 센싱하여 급수밸브(70)가 차단되도록 함으로써, 급수되는 물의 양을 조절하게 된다.
또한, 상기 실린더(20) 내의 물을 외부로 배출할 경우에는 실린더(20)의 일측에 마련되는 펌프(미도시)가 구동되어 실린더(20) 내의 물이 제1배수관(112)를 통해 실린더배수구(130)를 거쳐 외부배출구(140)와 연결된 제2배수관(142)으로 배출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수위감지센서(30)가 고장나 오작동을 일으킬 경우에는 급수밸브(70)의 온/오프를 제어할 수 없어 상기 급수공급구(110)로 물이 지속적으로 공급되게 된다.
이에 따라, 실린더(20) 내부에 물이 꽉 차게 되고 이후 상기 급배수조(100)가 설치된 위치까지 물이 차게 되면, 급수되는 물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벽(150)에 형성된 통공(152)을 통해 배수부(100b) 측으로 범람하여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따라서, 기존 스팀노즐(60)을 통해 실내로 물이 범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실린더(20) 내의 전극봉(140)에 전류를 흘려 증기를 발생시킬 경우 전류에 의해 압력이 발생되고 상기 압력에 의해 실린더(20) 내의 물이 제1배수관(132) 및 제2급수관(122)을 따라 상승하게 된다.
이때, 상기 물을 공급하는 급수공급구(110)의 높이보다 실린더배수구(130)의 높이가 더 낮기 때문에 실린더(20) 내의 물이 상기 실린더배수구(13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되며,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수공급구(110)를 통해 공급되는 물과 실린더(20) 내의 물이 접촉되지 않음으로써, 전기가 수도(급수밸브) 측으로 흐르지 않게 된다.
따라서, 감전위험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스팀의 유동 중 스팀호스(50)에 발생되는 응축수를 응축수배수호스(170)를 통해 급수배수조(100)로 유동 되도록 함으로써, 재활용하거나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음기(200)는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습기(1)의 수증기(스팀)이 배출되는 스팀배출구(12)와 스팀호스(40) 사이에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소음기(200)는 상기 가습기(1)의 스팀배출구(12)와 일단이 결합되는 바디(210)와, 상기 바디(210)와 일단이 결합되며 타단이 수증기(스팀)이 유동되도록 한 스팀호스(40)와 결합되는 어댑터(120) 및 상기 바디(110)의 측면 일측에 결합되는 연결구(130)를 포함한다.
바디(210)는 도 6 및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이 가습기(1)의 스팀배출구(12)에 결합되며 타단이 어댑터(220)와 결합되는 것으로,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측면 일측에 드레인공(212)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바디(210)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되, 하단이 내측으로 확장되게 형성되어 상기 스팀배출구(12)를 감싸게 형성되며, 하부에는 바닥부(214)가 형성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스팀배출구(12)와 결합시 상기 스팀배출구(12)과 바닥부(214) 사이로 스팀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상기 스팀배출구(12)와 접촉되는 바닥부(214)에는 오링홈(214a)이 형성되고, 상기 오링홈(214a)에 끼움결합될 수 있도록 오링(240)이 구비된다.
한편, 상단은 개방되게 형성되며, 어댑터(220)가 상기 바디(210) 내로 끼움결합될 수 있도록 단턱부(216)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바디(210)의 측면에는 바닥과 동일한 선상으로 일측에 드레인공(212)이 형성된다.
어댑터(220)는 상기 바디(210)에 일단이 삽입되게 결합되며, 타단이 스팀호스(40)와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바디(210)에 삽입되는 삽입부(222)와, 스팀호스(40)가 끼움결합될 수 있도록 한 호스연결부(224)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어댑터(220)의 삽입부(222)에는 상기 바디(210)의 상단 내측에 형성되는 단턱부(216)와 대응되는 걸림턱(222a)이 형성되며, 상기 단턱부(216)와 걸림턱(222a) 사이에는 수증기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오링(240)이 설치된다.
아울러, 상기 어댑터(220)의 삽입부(222)는 상기 호스연결부(224) 보다 넓은 직경을 갖도록 형성하여 상기 스팀호스(40)에 결로의 발생시 물방울이 상기 가습기(1)의 스팀배출구(12)측으로 낙하되지 않도록 한다.
즉,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어댑터(220)의 호스연결부(224)를 통해 물방울이 흘러내릴 경우, 표면장력에 의해 상기 호스연결부(224) 보다 직경이 넓은 삽입부(222) 내측 표면으로 흘러가도록 함으로써, 스팀호스(40)에 발생된 물방울이 가습기(1) 내부로 낙하되지 않도록 한다.
연결구(230)는 상기 바디(210)의 일측에 형성된 드레인공(212)에 삽입결합되어 상기 삽입부(222)의 내측 표면을 통해 흘러온 물방울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상기 드레인공(212)에 일단이 나사결합된다.
이때, 상기 연결구(230)는 물방울이 배출되도록 한 배출호스(250)와 연결시 결합이 쉽고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마련된 것으로, 상기 드레인공(212)에 배출호스(250)를 직접연결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습기(1)에 사용되는 소음기(200)는 가습기(1) 내의 실린더(20)에서 수증기가 발생되면 스팀배출구(12)를 통해 스팀호스(40)를 경유하여 실내로 공급되게 된다.
이때, 상기 스팀호스(40) 내에 수증기가 유동하면서 결로가 발생되고, 물방울은 상기 스팀호스(40)와 스팀배출구(12)를 연결하는 소음기(200) 내로 유입되게 된다.
이후, 유입된 물방울은 표면장력에 의해 확장되게 형성된 삽입부(222)의 내측면을 따라 하부로 낙하되고, 낙하된 물방울은 드레인공(212)에 결합된 연결구(230)를 통해 소음기(200)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이후, 상기 연결구(230)를 통해 배출된 물은 배출호스(250)에 의해 가습기(1)의 실린더(20) 내로 재공급되거나,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습기에 사용되는 소음기(200)는 상기 스팀호스(40)에 발생되는 결로로 인해 물방울이 가습기(1) 내로 낙하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가습기(1) 내로 물방울이 떨어지면서 발생하는 소음을 방지하고, 또한 스팀호스(40)로 수증기의 유동중 물방울과 접촉되어 발생할 수 있는 풍절음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 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210)의 바닥부(214)를 측면에 대해 직각을 이루도록 하였으나, 경우에 따라 물방울이 드레인공(212)측으로 원활히 배출될 수 있도록 경사지게 형성할 수도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실시예를 기준으로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와 실질적인 균등범위까지 포함된다 할 것이다.
1 : 전자 전극봉식 가습기 10 : 케이스
20 : 실린더 30 : 수위감지센서
40 : 전극봉 50 : 스팀호스
60 : 스팀노즐 70 : 급수밸브
80 : 배수펌프 100 : 급배수조
100a : 급수부 100b : 배수부
110 : 급수공급구 112 : 제1급수관
120 : 실린더급수구 122 : 제2급수관
130 : 실린더배수구 132 : 제1배수관
140 : 외부배출구 142 : 제2배수관
150 : 격벽 152 : 통공
160a,160b : 응축수배수구 170 : 응축수배수호스
200 : 소음기 210 : 바디
212 : 드레인공 214 : 바닥부
214a : 오링홈 216 : 단턱부
220 : 어댑터 222 : 삽입부
222a : 걸림턱 224 : 호스연결부
230 : 연결구 240 : 오링
250 : 배출호스

Claims (7)

  1. 스팀을 발생시키는 가습기의 일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급수밸브와 연결되어 물을 유동시킬 수 있는 급수공급구 및 상기 급수공급구를 통해 유입된 물을 상기 가습기의 실린더 내로 공급할 수 있는 실린더급수구가 형성된 급수부;
    상기 실린더 내에 유입된 물을 배수할 수 있는 실린더배수구 및 상기 실린더배수구를 통해 유동된 물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외부배출구가 형성된 배수부; 및
    상기 급수부와 상기 배부수를 구획하며 선택적으로 상기 급수부를 통해 유동된 물을 상기 배수부 측으로 유동될 수 있도록 한 통공이 형성된 격벽을 포함하는 급배수조를 구비하고,
    상기 가습기의 스팀배출구와, 상기 스팀배출구에서 배출되는 스팀이 유동 되도록 한 스팀호스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하부가 개방되며 개방된 일단이 상기 스팀배출구와 결합되고 측면 일측에 드레인공이 형성된 바디; 및
    상기 바디와 결합되는 삽입부와 상기 스팀호스가 끼움결합되는 호스연결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호스연결부보다 삽입부의 내부 직경이 더 넓게 형성된 어댑터;를 포함하는 전자 전극봉식 가습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급수공급구 및 상기 실린더배수구는 갈고리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전극봉식 가습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급수공급구는 상기 실린더배수구 보다 상측에 위치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전극봉식 가습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급배수조의 일측에는 스팀(증기)의 유동시 발생되는 응축수가 배출될 수 있도록 한 응축수배수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공에는 연결구가 나사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전극봉식 가습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디와 상기 가습기의 스팀배출구가 결합되는 부분에 오링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전극봉식 가습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디와 어댑터가 결합되는 부분에 오링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전극봉식 가습기.
KR1020100061696A 2010-06-29 2010-06-29 전자 전극봉식 가습기 KR1010977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1696A KR101097773B1 (ko) 2010-06-29 2010-06-29 전자 전극봉식 가습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1696A KR101097773B1 (ko) 2010-06-29 2010-06-29 전자 전극봉식 가습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97773B1 true KR101097773B1 (ko) 2011-12-22

Family

ID=455068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1696A KR101097773B1 (ko) 2010-06-29 2010-06-29 전자 전극봉식 가습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7773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1742B1 (ko) 2012-07-03 2013-10-28 주식회사 에스아이테크 전극봉식 가습기
CN106403119A (zh) * 2016-10-26 2017-02-15 吴江市晓昱喷气织造有限公司 一种纺织车间用加湿装置
CN109974107A (zh) * 2019-04-08 2019-07-05 广东美的暖通设备有限公司 加湿喷管组件及具有其的空气处理装置
KR20200001515U (ko) 2018-12-28 2020-07-08 주식회사 나노켐 가습기용 급배수조
US11315537B2 (en) * 2017-05-12 2022-04-26 Tlv Co., Ltd. Silence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3918B1 (ko) 2009-06-10 2009-09-02 유춘희 컴팩트형 전자전극봉식 가습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3918B1 (ko) 2009-06-10 2009-09-02 유춘희 컴팩트형 전자전극봉식 가습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1742B1 (ko) 2012-07-03 2013-10-28 주식회사 에스아이테크 전극봉식 가습기
CN106403119A (zh) * 2016-10-26 2017-02-15 吴江市晓昱喷气织造有限公司 一种纺织车间用加湿装置
US11315537B2 (en) * 2017-05-12 2022-04-26 Tlv Co., Ltd. Silencer
KR20200001515U (ko) 2018-12-28 2020-07-08 주식회사 나노켐 가습기용 급배수조
KR200492655Y1 (ko) * 2018-12-28 2020-11-17 주식회사 나노켐 가습기용 급배수조
CN109974107A (zh) * 2019-04-08 2019-07-05 广东美的暖通设备有限公司 加湿喷管组件及具有其的空气处理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7773B1 (ko) 전자 전극봉식 가습기
US20150238064A1 (en) System for liquid leak contral and/or air flotation system
KR101433289B1 (ko) 세척기능을 갖는 천장 매립 형 기화식가습기
KR20140115491A (ko) 가습기
JP6974817B2 (ja) 蒸気滅菌器
ITMI20132113A1 (it) Tubo di scarico per macchine lavatrici quali lavastoviglie e lavabiancheria.
KR101415220B1 (ko) 벽걸이형 기화식가습기
CN207597522U (zh) 免治洗净系统
JP6222600B2 (ja) 加湿機の漏水防止装置
BR112019010423A2 (pt) arranjo para acumulação e escoamento de água de descongelamento e condensação de unidades de refrigeração e arrefecimento
JP7450084B2 (ja) 加湿装置
KR20190069202A (ko) 천장 매립형 기화식 가습기
KR101728056B1 (ko) 상부급수형 가습기
KR101728057B1 (ko) 상부급수형 물탱크를 구비하는 가습기
KR101147401B1 (ko) 순환식 피톤치드 휘산장치
JP5604319B2 (ja) 加湿器
KR101321742B1 (ko) 전극봉식 가습기
KR200492655Y1 (ko) 가습기용 급배수조
JP5935741B2 (ja) 開放循環冷却設備
KR20080075654A (ko) 빌트인 가습기
KR100322809B1 (ko) 액자형 가습기
CN112678898B (zh) 净水设备
CN216844968U (zh) 加湿器
CN209857219U (zh) 空气处理装置
JP7133143B2 (ja) 漏油検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6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