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7401B1 - 순환식 피톤치드 휘산장치 - Google Patents

순환식 피톤치드 휘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7401B1
KR101147401B1 KR1020090134662A KR20090134662A KR101147401B1 KR 101147401 B1 KR101147401 B1 KR 101147401B1 KR 1020090134662 A KR1020090134662 A KR 1020090134662A KR 20090134662 A KR20090134662 A KR 20090134662A KR 101147401 B1 KR101147401 B1 KR 1011474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ytoncide
cartridge
pipe
supply
cond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346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77960A (ko
Inventor
김영귀
Original Assignee
케이와이케이김영귀환원수(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이와이케이김영귀환원수(주) filed Critical 케이와이케이김영귀환원수(주)
Priority to KR10200901346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7401B1/ko
Publication of KR201100779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79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74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74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61L9/013Deodorant compositions containing animal or plant extracts, or vegetabl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A61L9/12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 A61L9/122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comprising a fa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1Apparatus for controlling air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3Dispensing or storing means for active compounds
    • A61L2209/134Distributing means, e.g. baffles, valves, manifolds, nozz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otany (AREA)
  • Zoology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순환식 피톤치드 휘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본체 내부에 형성된 나선형 관로, 본체 내부에 형성된 피톤치드가 보관되는 카트리지, 카트리지 일측에 형성된 피톤치드 보관통, 카트리지에서 관로의 상부 끝단에 연결형성된 피톤치드를 공급하는 공급관, 공급관 상에 형성된 펌프, 관로 하단에 형성된 피톤치드를 집수하는 집수부, 집수부 하단에서 카트리지 일측에 연결형성된 배출관, 집수부 하부로 형성된 송풍기 및 펌프 및 송풍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어부가 포함된 순환식 피톤치드 휘산장치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한정된 공간을 갖는 피톤치드 휘산장치 내부에서 피톤치드의 휘산면적을 증감하여 피톤치드 휘산량을 조절할 수 있는 순환식 피톤치드 휘산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순환식, 피톤치드, 휘산장치, 관로, 나선형태

Description

순환식 피톤치드 휘산장치{Apparatus for gasifing phytoncide of circulation}
본 발명은 순환식 피톤치드 휘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본체 내부에 형성된 나선형 관로, 본체 내부에 형성된 피톤치드가 보관되는 카트리지, 카트리지 일측에 형성된 피톤치드 보관통, 카트리지에서 관로의 상부 끝단에 연결형성된 피톤치드를 공급하는 공급관, 공급관 상에 형성된 펌프, 관로 하단에 형성된 피톤치드를 집수하는 집수부, 집수부 하단에서 카트리지 일측에 연결형성된 배출관, 집수부 하부로 형성된 송풍기 및 펌프 및 송풍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어부가 포함된 순환식 피톤치드 휘산장치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한정된 공간을 갖는 피톤치드 휘산장치 내부에서 피톤치드의 휘산면적을 증감하여 피톤치드 휘산량을 조절할 수 있는 순환식 피톤치드 휘산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피톤치드란 1943년 러시아 태생의 미국 세균학자 왁스먼이 처음으로 발표한 말인데, 식물이 병원균?해충?곰팡이에 저항하려고 내뿜거나 분비하는 물질로, 삼림욕을 통해 피톤치드를 마시면 스트레스가 해소되고 장과 심폐기능이 강화되며 살균작용도 이루어진다. 이러한 피톤치드는 피톤치드의 구성물질이 테르펜을 비롯한 페놀 화합물, 알칼로이드 성분, 글리코시드 등이다.
이러한, 피톤치드 휘산장치는 단순히 피톤치드 원액만을 공기 중으로 휘산시키는 형태의 것으로 휘산되는 피톤치드의 제어가 어렵고 피톤치드가 휘산되는 실내의 크기에 맞도록 용량을 효과적으로 제어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선등록특허 제 771212호의 피톤치드 휘산장치는 건강에 이로운 피톤치드를 숲 속에서 발생하는 환경과 유사하게 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물을 강제분사시켜 물 주위에 발생하는 순수한 음이온과 편백나무로부터 추출한 천연 피톤치드를 2~3%의 농도로 물과 희석하여 함께 실내로 휘산시킨다.
전술한 바와 같이, 휘산된 피톤치드에 의해 실내에 있는 사람들에게 마치 숲에 들어온 것과 같은 쾌적하고 상쾌한 느낌을 제공하고, 실내의 세균을 살균하고 진드기류를 해충의 증식을 억제하여 건강에 도움을 주는 피톤치드 휘산장치를 제공하였다. 그러나 물에 피톤치드를 희석시키는 양에 따라 피톤치드의 농도를 조절하기 위한 구성이 복잡하고, 피톤치드가 물과 함께 분사되기 때문에 물 입자에 의해 멀리 휘산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물에 희석된 피톤치드의 농도가 높게 형성되었다가 피톤치드를 낮은 농도로 전환할 때에는 희석된 피톤치드를 배수하고 다시 낮은 농도의 피톤치드를 재공급해야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함께, 카트리지를 이용한 피톤치드 휘산장치는, 전술한 분사방식을 이용하는 피톤치드 휘산장치에 비해 구성이 단순하고 제작이 용이한 장점은 있으나, 통상적으로 카트리지에 피톤치드 원액 또는 미리 일정한 농도로 물과 함께 희석된 피톤치드를 공급통을 이용하여 공급받게 된다. 이에 카트리지를 이용한 피톤치드 휘산장치는 피톤치드의 휘산 범위가 카트리지의 넓이에 한정됨에 따라 피톤치드가 휘산되는 면적이 일정하다. 따라서 피톤치드 농도를 조절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함께, 피톤치드가 자연적으로 휘산되는 것을 송풍기를 통해 제공하기 때문에 카트리지에 제공되는 피톤치드가 떨어지는 것을 감지하기 위해 카트리지 바닥면에 전극을 형성한다. 이러한, 전극에 의해 피톤치드가 소진될 시 전극에 의해 피톤치드 교환시기를 사용자에 알려왔다. 그러나 피톤치드를 장시간 사용할 경우 휘산됨에 따라 피톤치드의 점성이 높아져 카트리지 바닥면의 전극에 눌러 붙어 피톤치드가 소진된 것을 전극이 감지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상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한정된 공간을 갖는 피톤치드 휘산장치 내부에서 피톤치드의 휘산면적을 증감하여 피톤치드 휘산량을 조절할 수 있는 순환식 피톤치드 휘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수단은 다음과 같다.
본체 내부에 형성되어 피톤치드가 흐르면서 휘산하는 나선형 관로; 본체 내부에 형성되어 관로에 공급되는 피톤치드가 보관되는 카트리지; 카트리지 일측에 형성되어 피톤치드를 카트리지에 공급하는 피톤치드 보관통; 카트리지에서 관로의 상부 끝단에 연결형성되어 피톤치드를 공급하는 공급관; 공급관 상에 형성되어 피톤치드의 공급 유무에 따라 작동하는 펌프; 관로 하단에 형성되어 관로를 흘허 내려오는 피톤치드를 집수하는 집수부; 집수부 하단에서 카트리지 일측에 연결형성되어 집수한 피톤치드를 배출하는 배출관; 집수부 하부로 형성되어 관로 및 집수부에서 휘산된 피톤치드를 본체의 외부로 배출하도록 바람을 제공하는 송풍기; 펌프 및 송풍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펌프 및 송풍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관로는 수평선상으로 이격되게 복수로 형성되거나, 또는 수직선상으로 이격되게 복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각각의 관로 일측에 피톤치드의 공급을 제어하는 제어밸브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공급관 및 배출관 상에 피톤치드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집수부 상단부에 집수된 피톤치드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센서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발명은 나선형 관로를 이용함으로써, 한정된 공간에서 넓은 피톤치드 휘산면적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둘째, 본 발명은 복수의 관로를 형성함으로써, 휘산되는 피톤치드의 휘산량을 조절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 실시예에 따른 구성>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순환식 피톤치드 휘산장치는 본체(1) 내부에 관로(2)를 형성한다. 이때, 관로(2)는 피톤치드를 휘산하기 위해 도 1에는 단면이 상부가 개구된 "U"형의 관로(2)를 이용하였으나, 관로(2)는 단면이 상부가 개구된 "C"형 및 "V"형 등의 나선형태로 형성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관 로(2)를 나선형태로 형성한 이유는 피톤치드를 휘산하는 장치를 한정된 공간 내에서 더욱 많은 휘산면적을 갖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피톤치드가 휘산되는 면적은 나선형 관로(2)가 길어질수록 피톤치드의 휘산면적은 넓어지고 피톤치드의 휘산량 또한 증대될 것이다.
전술한 관로(2)는 수평선상으로 이격되게 복수로 형성되거나, 또는 수직선상으로 이격되게 복수로 형성할 수 있다. 이는, 피톤치드의 휘산량의 증감을 위함이다. 즉, 관로(2)가 복수로 형성될 경우에는 관로(2)의 상부 끝단에 후술할 제어부(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어밸브(11)를 각각 형성하여 제어부(10)가 복수의 관로(2)에 피톤치드의 공급을 제어한다.
카트리지(3)는 본체(1) 내부 일측에 형성된다. 이때, 카트리지(3)는 관로(2)에 공급되는 피톤치드를 보관한다. 이러한, 카트리지(3)는 피톤치드의 휘산을 방지하기 위해 밀폐형 박스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피톤치드 보관통(4)은 카트리지(3) 상부 일측에 형성된다. 이때, 피톤치드 보관통(4)은 카트리지(3)에 피톤치드를 공급하는 것으로 피톤치드 원액 또는 물에 소정농도로 희석된 피톤치드를 보관한다, 이러한 피톤치드 보관통(4)은 관로(2)에서 휘산되는 피톤치드에 따라 주기적으로 카트리지(3)에 피톤치드를 공급한다. 또한, 피톤치드의 원활한 공급을 위해 피톤치드 보관통(4)은 카트리지(3)에서 탈착이 용이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공급관(5)은 카트리지(3)에서 관로(2)의 상부 끝단에 연결형성된다. 이때, 공급관(5)은 피톤치드를 카트리지(3)에서 관로(2)로 공급하는 것으로 내부 청소 및 교체를 위해 카트리지(3)와 관로에 탈착이 용이하게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공급관(5)은 카트리지(3)에 보관된 피톤치드를 활용하기 위해 공급관(5)의 끝단을 카트리지(3) 하부 바닥면에 인접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펌프(6)는 공급관(5) 상에 형성된다, 펌프(6)는 피톤치드의 공급 유무에 따라 작동하는 것으로 후술할 제어부(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작동한다.
집수부(7)는 관로(2)의 하단에 형성된다. 이때, 집수부(7)는 관로(2)에서 휘산이 끝난 피톤치드를 집수하는 것으로, 상부가 개구된 원뿔형태로 형성된다.
배출관(8)은 집수부(7) 하단에서 카트리지(3) 일측에 연결형성된다. 이때, 배출관(8)은 집수부(7)에서 집수한 피톤치드를 카트리지(3)로 배출한다. 여기서, 배출관(8)은 전술한 공급관(5)과 같이 청소가 용이하도록 탈착이 용이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송풍기(9)는 집수부(7) 하부로 형성된다. 이때, 송풍기(9)는 관로(2) 및 집수부(7)에서 휘산된 피톤치드를 본체(1) 상측부 외부로 배출하도록 바람을 제공한다. 이렇게 송풍기(9)를 하부에 형성한 이유는 관로(2)에서 휘산된 피톤치드를 본체(1) 하부의 유입구(15)에서 본체(1) 상부의 배출구(16)로 배출되도록 하여 더욱 넓은 범위로 휘산하기 위한 것이다.
제어부(10)는 펌프(6) 및 송풍기(9)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본체(1) 내부에 형성된다. 이때, 제어부(10)는 본체(1) 외부의 디스플레이부(14)에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펌프(6) 및 송풍기(9)의 작동을 제어한다. 이와 함께, 제어부(10)는 전 술한 제어밸브(11) 및 후술할 센서(12) 및 수위감지센서(1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피톤치드 공급을 제어한다.
공급관(5) 및 배출관(8) 상에는 피톤치드의 이동을 감지하는 센서(12)를 더 구비한다. 이때, 센서(12)는 제어부(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펌프(6)에 의해 공급되는 피톤치드가 공급관(5)에서 배출관(8)으로 순환이 이루어지는가를 감지하여 피톤치드의 보충시기 또는 고장 유무를 확인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센서(12)는 피톤치드의 유동을 감지하는 유속감지센서를 이용할 수 있다.
집수부(7)는 상단부에 수위감지센서(13)를 더 구비한다, 이때, 수위감지센서(13)는 제어부(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집수부(7) 상단부에 집수된 피톤치드의 수위를 감지한다. 이는, 관로(2)에 공급되는 피톤치드에 비해 배출되는 피톤치드가 적을 경우 집수부(7)에 저수되는 피톤치드가 넘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전술한 배출관(8) 상에는 제어밸브(11)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는 집수부(7)에서도 피톤치드를 휘산하기 위해 일정량의 피톤치드를 저수하여 더욱 넓은 피톤치드 휘산면적을 갖기 위함이다.
< 실시예에 다른 방법>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4)를 통해 사용자가 피톤치드의 사용모드 또는 피톤치드가 휘산되는 강약을 조절하면, 제어부(10)에서 펌프(6)를 작동하여 카트리지(3)에 보관된 피톤치드를 공급관(5)을 통해 관로(2)에 공급한다. 공급된 피톤치드는 나선형 관로(2)를 타고 내려가면서 휘산된다. 이렇게 휘산된 피톤치드는 제어부(10)에 의해 작동된 송풍기(9)에 의해 하부에서 상부로 피톤치드를 본체(1) 외부로 배출하여 사용자게 휘산된 피톤치드를 공급한다. 이와 같이, 휘산되고 남은 피톤치드는 집수부(7)를 통해 집수되어 배출관(8)을 타고 다시 카트리지(3)로 재보관된다. 즉, 본 발명은 관로(2)에서 휘산되고 남은 피톤치드가 카트리지(3)로 순환하는 순환식 피톤치드 휘산장치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휘산되는 피톤치드의 휘산량을 증감하기 위해, 관로(2)를 복수로 형성할 경우 제어부(10)는 사용자가 입력한 휘산량에 따라 제어밸브(11)를 제어하여 선택적으로 관로(2)에 공급되는 피톤치드를 제어한다. 또한, 제어밸브(11)를 연속 또는 비연속적으로 개방하여 관로(2)에 공급되는 피톤치드를 제어할 수고 있다.
전술한 센서(12)는 공급관(5) 및 배출관(8)에 형성되어 공급관(5) 및 배출관(8)에 피톤치드가 원활히 공급되는 것을 감지하여 피톤치드의 보충시기 및 고장 유무를 확인할 수 있다. 일예로 공급관(5)에 형성된 센서(12)가 피톤치드의 공급을 감지하였으나, 배출관(8)의 센서(12)에서 배출되는 피톤치드를 감지못할 경우 피톤치드의 공급을 중지하고 고장을 사용자에게 제어부(10)를 통해 소리 또는 디스플레이(14)의 빛을 통해 알릴 수 있다. 이와 같이, 공급관(5) 또는 배출관(8)의 어느 하나의 센서(12)에 피톤치드가 감지되지 않으면 그 이상을 사용자에게 알리는 자기 진단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 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순환식 피톤치드 휘산장치를 도시한 개략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본체 2: 관로
3: 카트리지 4: 피톤치드 보관통
5: 공급관 6: 펌프
7: 집수부 8: 배출관
9: 송풍기 10: 제어부
11: 제어밸브 12: 센서
13: 수위감지센서 14: 디스플레이부

Claims (5)

  1. 본체(1) 내부에 형성되어 피톤치드가 흐르면서 휘산하는 나선형 관로(2);
    상기 본체(1)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관로(2)에 공급되는 상기 피톤치드가 보관되는 카트리지(3);
    상기 카트리지(3)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피톤치드를 상기 카트리지(3)에 공급하는 피톤치드 보관통(4);
    상기 카트리지(3)에서 상기 관로(2)의 상부 끝단에 연결형성되어 상기 피톤치드를 공급하는 공급관(5);
    상기 공급관(5) 상에 형성되어 상기 피톤치드의 공급 유무에 따라 작동하는 펌프(6);
    상기 관로(2) 하단에 형성되어 상기 관로(2)를 흘러 내려오는 상기 피톤치드를 집수하는 집수부(7);
    상기 집수부(7) 하단에서 상기 카트리지(3) 일측에 연결형성되어 상기 집수한 피톤치드를 배출하는 배출관(8);
    상기 집수부(7) 하부로 형성되어 상기 관로(2) 및 상기 집수부(7)에서 휘산된 피톤치드를 상기 본체(1)의 외부로 배출하도록 바람을 제공하는 송풍기(9); 및
    상기 펌프(6) 및 상기 송풍기(9)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펌프(6) 및 상기 송풍기(9)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10);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식 피톤치드 휘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관로(2)는 수평선상으로 이격되게 복수로 형성되거나, 또는 수직선상으로 이격되게 복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식 피톤치드 휘산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각각의 관로(2) 일측에 상기 피톤치드의 공급을 제어하는 제어밸브(11)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식 피톤치드 휘산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공급관(5) 및 상기 배출관(8) 상에 상기 피톤치드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12)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식 피톤치드 휘산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집수부(7) 상단부에 상기 집수된 피톤치드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센서(13)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식 피톤치드 휘산장치.
KR1020090134662A 2009-12-30 2009-12-30 순환식 피톤치드 휘산장치 KR1011474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4662A KR101147401B1 (ko) 2009-12-30 2009-12-30 순환식 피톤치드 휘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4662A KR101147401B1 (ko) 2009-12-30 2009-12-30 순환식 피톤치드 휘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7960A KR20110077960A (ko) 2011-07-07
KR101147401B1 true KR101147401B1 (ko) 2012-05-22

Family

ID=449174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34662A KR101147401B1 (ko) 2009-12-30 2009-12-30 순환식 피톤치드 휘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740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2862B1 (ko) * 2017-10-13 2020-10-07 농업회사법인 나폴리농원 주식회사 피톤치드 공급장치
KR102054515B1 (ko) * 2018-09-17 2019-12-10 조이덕 피톤치드 순환 시스템
KR102305929B1 (ko) * 2020-02-11 2021-09-27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피톤치드 방출벽 구조체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61290A (ja) 2005-08-30 2007-03-15 Yoshino Kogyosho Co Ltd 揮散用容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61290A (ja) 2005-08-30 2007-03-15 Yoshino Kogyosho Co Ltd 揮散用容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7960A (ko) 2011-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65126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JP2021520846A (ja) 空気浄化のための生物学的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101147401B1 (ko) 순환식 피톤치드 휘산장치
US11561016B2 (en) Humidifier
RU2605060C2 (ru) Система стерилизации водозаборного пальца и воздушной полости бутылки для водного диспенсера
KR101147400B1 (ko) 피톤치드 잔여량을 표시하는 수위표시기가 구비된 피톤치드 휘산장치
CN205991575U (zh) 一种水洗式空气净化新风装置
CN111802302A (zh) 一种用于水生生物的无菌培养系统
WO2011105533A1 (ja) 空気浄化機能を有する空気清浄装置及びその運転制御方法
US20110232775A1 (en) Flow through humidifier recirculating pump
JP2013192497A (ja) 吸い殻処理装置
JP2017534041A (ja) 空気加湿のための水滴を生成する装置およびこの種の装置を有する加湿システム
KR100923424B1 (ko) 태양 광 에너지모듈을 구비한 급수장치
KR101444786B1 (ko) 수처리장치 및 수처리방법
JP5289215B2 (ja) 空気除菌装置
JP6598566B2 (ja) 空気清浄装置
KR102082938B1 (ko) 탈취효율이 향상된 바이오 탈취장치
CN103945874A (zh) 空气清洁装置
KR20160069565A (ko) 가습형 공기청정기
JP6594089B2 (ja) 空気清浄装置
KR200423012Y1 (ko) 농축산용 공기정화장치
KR101580920B1 (ko) 기화식 냉각 및 가습 장치용 급수 시스템
CN208678844U (zh) 一种臭氧水制备装置
CN108812489B (zh) 一种鱼缸
KR102258718B1 (ko) 에어워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