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2938B1 - 탈취효율이 향상된 바이오 탈취장치 - Google Patents

탈취효율이 향상된 바이오 탈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2938B1
KR102082938B1 KR1020170181770A KR20170181770A KR102082938B1 KR 102082938 B1 KR102082938 B1 KR 102082938B1 KR 1020170181770 A KR1020170181770 A KR 1020170181770A KR 20170181770 A KR20170181770 A KR 20170181770A KR 102082938 B1 KR102082938 B1 KR 1020829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emical liquid
storage tank
housing
guide plate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817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79797A (ko
Inventor
강신기
고정희
Original Assignee
고정희
강신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정희, 강신기 filed Critical 고정희
Priority to KR10201701817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2938B1/ko
Publication of KR201900797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97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29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29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including air-liquid contact proces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1Apparatus for controlling air treatment
    • A61L2209/111Sensor means, e.g. motion, brightness, scent, contaminant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3Dispensing or storing means for active compounds
    • A61L2209/134Distributing means, e.g. baffles, valves, manifolds, nozz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4Filter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20Method-related aspects
    • A61L2209/21Use of chemical compounds for treating air or the lik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탈취효율이 향상된 바이오 탈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약액이 내부에 저장되며, 약액의 ph농도를 측정하는 pH 센서와, 약액의 최고 수위를 감지하는 제1 레벨센서와, 하단에 설치된 드레인 밸브와, 약액의 최저 수위를 감지하는 제2 레벨센서를 구비한 제1 저장탱크와, 제1 저장탱크의 상면에 설치되고, 공기가 유입되는 흡입구가 하측에 구비됨과 아울러 유입된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상측에 구비되는 사이클론과, 사이클론의 상면을 통해 끝부분이 사이클론 내부에 삽입됨과 아울러 삽입된 부분에 상하로 배치되는 복수의 분사노즐이 방사상으로 설치되어, 공기펌프의 압력에 의해 제1 저장탱크에 저장된 약액을 사이클론 내부에 분사하는 분사 파이프와, 제1 저장탱크의 상면에 설치되어 제1 저장탱크에 저장된 약액이 내부 하측에 채워지고, 사이클론의 배출구와 연결되며, 배출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수면 아래위로 유동되도록 하는 공기유도부재가 설치된 하우징과, 하우징에 연결된 배출배관을 통해 하우징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팬 및 바이오 케미컬이 저장된 제2 저장탱크와, 제2 저장탱크에 저장된 바이오 케미컬이 이송되어 제1 저장탱크로 바이오 케미컬이 공급되며, 유로 상에 제1 개폐밸브가 구비된 제1 공급배관과, 제1 저장탱크로 청정수가 공급되되, 제1 공급배관에 합류되며, 유로 상에 제2 개폐밸브가 구비된 제2 공급배관을 구비한 약액 공급부를 포함하는 탈취효율이 향상된 바이오 탈취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분사 노즐을 통해 분사되는 약액에 의해 공기 중에 포함된 먼지 및 하수처리장, 음식물 쓰레기처리장 및 축분뇨 처리시설 등의 호기성·혐기성 유기물에서 발생하는 악취가 포집되고, 유로형성판의 벽면을 타고 흘러내리는 약액에 의해 다시 한 번 먼지 및 악취가 포집되며, 하우징에 수용된 약액에 의해 또 다시 먼지 및 악취가 포집되는 구조를 갖고 있기 때문에 집진 및 탈취효율이 매우 높은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탈취효율이 향상된 바이오 탈취장치{Bio deodorization equipment}
본 발명은 탈취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공기 중에 포함된 먼지 및 악취를 포집하여 공기를 깨끗이 정화할 수 있는 탈취효율이 향상된 바이오 탈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집진장치는 미세 분진과 같은 다양한 오염물질이 포함된 공기를 정화시켜 청정한 공기를 배출하는 장치로써, 공기 정화는 물론 각종 냄새 및 진드기나 꽃가루, 애완동물 털과 같은 미세 입자의 제거 등을 통해 쾌적하고 건강한 환경을 제공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집진장치는 크게 건식과 습식 두 종류로 구분되며, 건식집진장치는 다시 전기 집진식과 필터 여과식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습식집진장치는 흡입된 공기를 물 등에 접촉시킴으로써 이 과정에서 먼지나 가스 등의 오염 물질을 침전 또는 용해시켜 정화시키는 것으로서, 필터를 교환할 필요가 없고 소음이 적다는 등의 장점이 있어 근래에 들어서 그 사용이 증가되는 추세에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제시된 대부분의 습식집진장치는 단순히 물을 위에서 아래로 낙하시켜 이 낙하되는 물에 분진이 흡착되도록 하는 구조를 취하다 보니 공기에 포함된 악취에 대한 정화능력이 기대만큼 높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56512호(2013년 04월 22일 공고)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과제는, 청정수와 바이오 케미컬이 혼합된 약액을 이용하여 호기성·혐기성 유기물에 의해 발생되는 악취를 흡입하여 수차례에 걸쳐 순차적으로 탈취할 수 있는 탈취효율이 향상된 바이오 탈취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부수적인 과제는, 액체를 이용하여 공기 중에 포함된 먼지를 수차례에 걸쳐 순차적으로 포집할 수 있는 탈취효율이 향상된 바이오 탈취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은, 약액이 내부에 저장되며, 약액의 ph농도를 측정하는 pH 센서와, 약액의 최고 수위를 감지하는 제1 레벨센서와, 하단에 설치된 드레인 밸브와, 약액의 최저 수위를 감지하는 제2 레벨센서를 구비한 제1 저장탱크, 상기 제1 저장탱크의 상면에 설치되고, 공기가 유입되는 흡입구가 하측에 구비됨과 아울러 유입된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상측에 구비되는 사이클론, 상기 사이클론의 상면을 통해 끝부분이 사이클론 내부에 삽입됨과 아울러 삽입된 부분에 상하로 배치되는 복수의 분사노즐이 방사상으로 설치되어, 공기펌프의 압력에 의해 상기 제1 저장탱크에 저장된 약액을 사이클론 내부에 분사하는 분사 파이프, 상기 제1 저장탱크의 상면에 설치되어 제1 저장탱크에 저장된 약액이 내부 하측에 채워지고, 상기 사이클론의 배출구와 연결되며, 상기 배출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수면 아래위로 유동되도록 하는 공기유도부재가 설치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연결된 배출배관을 통해 하우징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팬 및 바이오 케미컬이 저장된 제2 저장탱크와, 상기 제2 저장탱크에 저장된 바이오 케미컬이 이송되어 상기 제1 저장탱크로 바이오 케미컬이 공급되며, 유로 상에 제1 개폐밸브가 구비된 제1 공급배관과, 상기 제1 저장탱크로 청정수가 공급되되, 상기 제1 공급배관에 합류되며, 유로 상에 제2 개폐밸브가 구비된 제2 공급배관을 구비한 약액 공급부를 포함한다.
상기 pH 센서, 제1 레벨센서, 드레인 밸브, 제2 레벨센서, 공기펌프, 흡입팬, 제1 개폐밸브 및 제2 개폐밸브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 내부에는 유로형성판이 설치되어, 상기 사이클론의 배출구를 통해 하우징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상기 공기유도부재 쪽으로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기유도부재는, 일측 끝단이 상기 유로형성판에 연결되고, 상기 하우징 내에서 하향 경사지게 설치된 제1 유도판, 상기 유로형성판의 좌측에 일정거리 이격설치되고, 전체 길이 중 절반은 상기 하우징에 저장된 약액의 상측으로 노출되며, 나머지 절반정도는 약액에 잠긴 상태로 유지되는 제2 유도판, 상기 제2 유도판의 좌측에 일정거리 이격설치되고, 상단이 상기 제1 유도판에 연결되며, 하단부분이 상기 하우징에 저장된 약액에 잠긴 상태로 유지되는 제3 유도판, 상기 하우징에 저장된 약액속에 잠긴 상태로 유지되며, 상단이 상기 제3 유도판의 하단과 일정거리 이격설치된 제4 유도판, 상기 제3 유도판과 제4 유도판의 좌측에 일정거리 이격설치되고, 전체 길이 중 절반은 상기 하우징에 저장된 약액의 상측으로 노출되며 나머지 절반정도는 약액속에 잠긴 상태로 유지되는 제5 유도판 및 상기 제1 유도판의 상측에 위치되며, 일측 끝단이 하우징의 내벽면에 연결되고, 하우징 내에서 하향 경사지게 설치된 제6 유도판을 포함한다.
상기 제3 유도판에는 충돌편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유도판과 제5 유도판은 높이가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우징의 내부 상측에는 상기 유로형성판의 상단부분에 의해 한쪽 벽이 형성되는 수조가 구비되고, 상기 수조에 저장된 약액은 유로형성판의 상단부분을 월류하여 유로형성판의 벽면을 타고 흘러내리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저장탱크에 저장된 약액을 펌핑하여 상기 수조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출구는 상기 하우징에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우징 내부에는 데미스터 필터가 설치되어 상기 공기유도부재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데미스터 필터를 거쳐 상기 배출배관으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분사 노즐을 통해 분사되는 약액에 의해 공기 중에 포함된 먼지 및 하수처리장, 음식물 쓰레기처리장 및 축분뇨 처리시설 등의 호기성·혐기성 유기물에서 발생하는 악취가 포집되고, 유로형성판의 벽면을 타고 흘러내리는 약액에 의해 다시 한 번 먼지 및 악취가 포집되며, 하우징에 수용된 약액에 의해 또 다시 먼지 및 악취가 포집되는 구조를 갖고 있기 때문에 집진 및 탈취효율이 매우 높은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면 위아래에 걸쳐 설치되는 공기유도부재가 공기를 수면 아래와 수면 위로 반복하여 유동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먼지 및 악취의 포집 효율이 더욱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공기형성판의 벽면을 따라 약액이 흘러내리기 때문에 공기형성판에 먼지나 이물질이 부착되는 것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탈취효율이 향상된 바이오 탈취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탈취효율이 향상된 바이오 탈취장치를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탈취효율이 향상된 바이오 탈취장치에서 제어부와 구성요소 간의 연결관계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탈취효율이 향상된 바이오 탈취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탈취효율이 향상된 바이오 탈취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는 상기 도 1의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탈취효율이 향상된 바이오 탈취장치는, 제1 저장탱크(10), 사이클론(20), 분사 파이프(30), 하우징(40), 흡입팬(50) 및 약액 공급부(60)를 포함하는 구성요소로 이루어지며,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 저장탱크(10)는, pH 센서(11), 제1 레벨센서(12), 드레인 밸브(13) 및 제2 레벨센서(14)를 구비한다. 제1 저장탱크(10)는, 하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고, 내부공간에 물 또는 약액이 저장된다. 이때, 약액은 후술하는 약액 공급부(60)에서 청정수와, 이 청정수에 일부 혼합되어 이루어진 혼합 액체를 의미한다.
pH 센서(11)는, 제1 저장탱크(10)의 내부에 저장된 약액의 ph농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역할을 한다.
제1 레벨센서(12)는, 제1 저장탱크(10)의 일측에 구비되어 제1 저장탱크(10)에 저류되는 약액의 최고수위를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드레인 밸브(13)는, 제1 저장탱크(10)에 저장된 약액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제1 저장탱크(10)의 하단에 구비된다.
제2 레벨센서(14)는, 드레인 밸브(13)의 상측에 위치하여 제1 저장탱크(10)에 저장된 약액의 최저 수위를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사이클론(20)은, 제1 저장탱크(10)의 상면에 제1 저장탱크(10)와 연통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하측 부분은 뾰족한 형태로 형성되고, 하단이 개방되어 제1 저장탱크(10)의 내부공간과 연결된다. 이러한 사이클론(20)에는 흡입구(21)와 배출구(22)가 각각 구비된다.
흡입구(21)는, 사이클론(20)의 하측 벽면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먼지 및 악취가 포함된 공기가 유입된다.
배출구(22)는, 사이클론(20)의 상측 벽면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사이클론(20)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배출된다.
부연하면, 흡입구(21)를 통해 사이클론(20)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사이클론(20)의 내측 벽면을 타고 회오리 형태로 상승한 후, 배출구(22)를 통해 사이클론(20) 외부로 배출된다.
분사 파이프(30)는, 일측이 제1 저장탱크(10)에 연결되고, 타측이 사이클론(20)에 연결되며, 관로상에는 공기펌프(31)가 설치되어 이 공기펌프(31)의 흡입력에 의해 제1 저장탱크(10) 내부에 저장된 약액이 분사 파이프(30)로 유입된 후 사이클론(20)으로 안내된다.
이러한 분사 파이프(30)는, 사이클론(20)의 상면을 통해 상측 끝부분이 사이클론(20) 내부에 삽입된다. 사이클론(20) 내부에 삽입된 부분에는 상하로 배치되는 복수의 분사노즐(32)이 방사상으로 설치된다. 따라서, 분사 파이프(30) 내부로 유입된 제1 저장탱크(10)의 약액은 공기펌프(31)의 압력에 의해 분사노즐(32)을 통해 사이클론(20) 내부로 분사된다.
이렇게 사이클론(20) 내부로 약액이 분사됨으로써 사이클론(20) 내부에서 회오리 형태로 회전을 하면서 상측으로 유동하는 공기에 약액이 뿌려지게 되고, 따라서 공기에 포함된 먼지 및 악취분자는 분사되는 물에 흡착된다. 먼지 및 악취분자를 흡착한 약액은 개방된 사이클론(20)의 하측을 통하여 제1 저장탱크(10) 내부로 낙하한다.
하우징(40)은, 제1 저장탱크(10) 상면에 설치되어 제1 저장탱크(10)에 저장된 약액이 내부 하측에 일정높이로 채워지고, 상부 측면이 사이클론(20)의 배출구(22)와 연결된다.
이러한 하우징(40) 내부에는 유로형성판(41)이 설치됨과 아울러 공기유도부재(42)가 설치되고, 수조(43)가 구비되며, 데미스터 필터(44)가 설치된다.
유로형성판(41)은, 사이클론(20)의 배출구(22)를 통해 하우징(40)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공기유도부재(42)로 안내한다. 부연하면 유로형성판(41)은 하우징(40) 내부에 설치되되 배출구(22)가 설치된 하우징(40)의 일측면으로 부터 일정거리 떨어진 지점에 상하방향으로 길게 설치된다.
이러한 유로형성판(41)은 상단이 하우징(40)의 상면에서 조금 떨어져 있고, 하단부분이 하우징(40)의 아랫부분에 채워진 약액에 잠긴다. 따라서, 사이클론(20)의 배출구(22)를 통해 하우징(40)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는 유로형성판(41)에 부딪히면서 하측으로 유동하여 하우징(40)의 아랫부분에 채워진 약액과 충돌한다.
한편, 사이클론(20)의 배출구(22)는, 하우징(40)에 연결될 때 하우징(40)에 하향 경사지게 설치된다. 따라서 사이클론(20)에서 하우징(40)으로 공기가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도록 도움을 준다.
공기유도부재(42)는, 사이클론(20)의 배출구(22)를 통해 하우징(40)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수면 아래위로 유동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제1 유도판(42a), 제2 유도판(42b), 제3 유도판(42c), 제4 유도판(42d), 제5 유도판(42e) 및 제6 유도판(42f)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 유도판(42a)은, 일측 끝단이 유로형성판(41)에 연결되고, 표면에 접촉된 약액이 잘 흘러내리도록 하우징(40) 내에서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며, 타측 끝단이 아래쪽을 향해 절곡된 형태를 취한다.
제2 유도판(42b)은, 유로형성판(41)의 좌측에 일정거리 이격되게 설치되고, 전체 길이 중 절반은 하우징(40)에 저장된 약액의 상측으로 노출되며, 나머지 절반정도는 약액에 잠긴 상태를 유지한다. 이로써 유로형성판(41)에 부딪히면서 하측으로 유동하는 공기는 약액속으로 유동한 후, 제2 유도판(42b)에 부딪혀 상측으로 유동한다.
제3 유도판(42c)은, 제2 유도판(42b)의 좌측에 일정거리 이격되게 설치되고, 상단이 제1 유도판(42a)에 연결되며, 하단부분이 하우징(40)에 저장된 약액에 잠긴 상태를 유지한다. 이로써 제2 유도판(42b)을 따라 상승하던 공기는 제1 유도판(42a)에 부딪힌 후, 제3 유도판(42c)을 따라 하측으로 유동하여 약액속으로 유동한다. 여기서, 제3 유도판(42c)에는 약액이 유동되면서 접촉력을 극대화하기 위한 충돌편(42g)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제4 유도판(42d)은, 하우징(40)에 저장된 약액속에 잠겨 있는 것으로서, 상단이 제3 유도판(42c)의 하단과 일정거리 이격된다. 이러한 제3 유도판(42c)의 하단과 제4 유도판(42d)의 상단 틈으로 약액속으로 유동한 공기가 유입된다.
제5 유도판(42e)은, 제3 유도판(42c)과 제4 유도판(42d)의 좌측에 일정거리 이격되게 설치되고, 전체 길이 중 절반은 하우징(40)에 저장된 약액의 상측으로 노출되며 나머지 절반정도는 약액속에 잠긴 상태를 유지한다. 이로써 제3 유도판(42c)의 하단과 제4 유도판(42d)의 상단 틈으로 유입된 공기는 제5 유도판(42e)에 부딪힌 후 상측으로 유동한다. 그런 다음, 제1 유도판(42a)의 끝단에 부딪혀 하측으로 유동을 한다.
한편, 공기의 원활한 흐름 유도를 위하여 제2 유도판(42b)과 제5 유도판(42e)에서 약액속에 잠긴 부분은 부드러운 곡면 형태로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흡입팬(50)의 압력차에 의해 약액이 원활하게 유동칠 수 있도록 제2 유도판(42b)과 제5 유도판(42e)의 높이가 서로 달리 조절될 수 있다.
제6 유도판(42f)은, 제1 유도판(42a)의 상측에 위치되는 것으로서, 일측 끝단이 하우징(40)의 내벽면에 연결된다. 이때, 제6 유도판(42f)은, 약액이 상방으로 튀는 것을 방지하면서 표면에 접촉된 약액이 잘 흘러내리도록 하우징(40) 내에서 하향 경사지게 설치된다. 이로써 제1 유도판(42a)과 제5 유도판(42e) 사이를 지난 후 상승하던 공기는 제6 유도판(42f)에 부딪힌 다음 계속 상승을 하게 된다.
수조(43)는 하우징(40)의 내부 상측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한쪽 벽이 유로형성판(41)의 상단부분에 의해 형성된다. 이러한 수조(43)에 제1 저장탱크(10)에 저장된 약액을 펌핑하여 공급함으로써 수조(43) 내부에 약액이 저장되도록 하거나, 별도로 약액을 공급받아 수조(43) 내에 약액이 저장되도록 할 수 있다.
이렇게 수조(43) 내에 저장된 약액은 유로형성판(41)의 상단 부분을 월류하여 유로형성판(41)의 벽면을 타고 흘러내린다. 유로형성판(41)은 배출구(22)와 마주보고 있을 뿐만 아니라 배출구(22)를 통해 배출된 공기가 벽면을 따라 유동하기 때문에, 시간이 흐르면 벽면에 많은 양의 먼지와 이물질이 부착되어 점점 공기의 유동통로가 좁아지게 되고 이로 인하여 집진 및 탈취효율이 떨어질 수 밖에 없다.
그러나, 본 발명은 수조(43)에 저장된 약액이 유로형성판(41)의 벽면을 따라 흘러내리기 때문에 벽면에 먼지와 이물질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데미스터 필터(44)는, 공기유도부재(42)의 제6 유도판(42f)과 수조(43) 사이에 설치되어, 제6 유도판(42f)을 통과한 공기를 필터링한다. 이렇게 공기유도부재(42)의 제6 유도판(42f)을 통과한 공기는 데미스터 필터(44)를 거친 후, 후술할 배출배관(51)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흡입팬(50)은 하우징(40)에 연결된 배출배관(51)을 통해 하우징(40) 내부의 공기를 흡입한다. 즉, 흡입팬(50)의 작동에 의해 하우징(40) 내에 강한 흡입력이 작용하고, 이 흡입력에 의해 하우징(40) 내부의 공기는 배출배관(51) 쪽으로 강하게 빨려 나간다.
약액 공급부(60)는, 제2 저장탱크(61), 제1 공급배관(62) 및 제2 공급배관(63)을 구비한다.
제2 저장탱크(61)는, 흡입구(21)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 중에 포함된 하수처리장, 음식물 쓰레기처리장 및 축분뇨 처리시설 등의 호기성·혐기성 유기물에서 발생하는 악취의 제거 효율을 더욱 높이기 위한 바이오 케미컬이 저장된다.
제1 공급배관(62)은, 제2 저장탱크(61)에 저장된 바이오 케미컬을 제1 저장탱크(10)로 공급하기 위해 바이오 케미컬을 이송한다. 그리고, 제1 공급배관(62)에는 제1 개폐밸브(62a)가 구비된다.
제2 공급배관(63)은, 제1 저장탱크(10)로 청정수를 공급하는데, 제1 공급배관(62)과 마찬가지로 제2 개폐밸브(63a)가 구비된다. 이때, 제2 공급배관(63)은 제1 공급배관(62)에 연결된다. 즉, 제1 공급배관(62)을 통해 이송되는 바이오 케미컬과 제2 공급배관(63)을 통해 이송되는 청정수가 합류됨으로써, 이렇게 혼합된 약액이 제1 저장탱크(10)로 공급되어 제1 저장태크(10) 내에 저장되는 것이다.
한편, pH 센서(11), 제1 레벨센서(12), 드레인 밸브(13), 제2 레벨센서(14), 공기펌프(31), 흡입팬(50), 제1 개폐밸브(62a) 및 제2 개폐밸브(63a)를 제어하는 제어부(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70)를 통해 본 발명의 바이오 탈취장치의 작동 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바이오 탈취장치의 운전 중, pH 센서(11)에 의해 제1 저장탱크(10)에 저장된 약액의 ph농도가 기 설정값을 벗어나면, 흡입팬(50)과 공기펌프(31)의 동작이 정지되고, 드레인 밸브(13)가 개방되어 제1 저장탱크(10) 내에 저장된 약액이 외부로 배출된다.
이렇게 드레인 밸브(13)를 통해 약액이 배출되는데, 드레인 밸브(13)의 상측에 위치한 제2 레벨센서(14)에 의해 제1 저장탱크(10) 내에 저장된 약액의 수위가 최저 수위로 감지되면, 드레인 밸브(13)가 폐쇄된다.
그러면, 제2 공급배관(63)의 제2 개폐밸브(63a)가 개방되어 제1 저장탱크(10)로 청정수가 공급되는 동시에 제1 공급배관(62)의 제1 개폐밸브(62a)가 개방되어 적정량의 바이오 케미컬이 청정수와 합류하게 된다.
이렇게 혼합된 약액이 제1 저장탱크(10) 내로 공급되는데, 제1 저장탱크(10)에 구비된 제1 레벨센서(12)에 의해 제1 저장탱크(10) 내에 저장되는 약액의 수위가 최고 수위로 감지되면, 제1 및 제2 개폐밸브(62a, 63a)가 폐쇄되고, 흡입팬(50)과 공기펌프(31)가 재 가동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흡입구(21)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 중에 포함된 악취를 정화시키는 방법으로 반복운전이 진행되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청구항에 기재된 범위 내에서 변형이나 변경 실시가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그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0: 제1 저장탱크 11: pH 센서
12: 제1 레벨센서 13: 드레인 밸브
14: 제2 레벨센서 20: 사이클론
21: 흡입구 22: 배출구
30: 분사 파이프 31: 공기펌프
32: 분사노즐 40: 하우징
41: 유로형성판 42: 공기유도부재
42a: 제1 유도판 42b: 제2 유도판
42c: 제3 유도판 42d: 제4 유도판
42e: 제5 유도판 42f: 제6 유도판
42g: 충돌편 43: 수조
44: 데미스터 필터 50: 흡입팬
51: 배출배관 60: 약액 공급부
61: 제2 저장탱크 62: 제1 공급배관
62a: 제1 개폐밸브 63: 제2 공급배관
63a: 제2 개폐밸브 70: 제어부

Claims (10)

  1. 약액이 내부에 저장되며, 약액의 ph농도를 측정하는 pH 센서(11)와, 약액의 최고 수위를 감지하는 제1 레벨센서(12)와, 하단에 설치된 드레인 밸브(13)와, 약액의 최저 수위를 감지하는 제2 레벨센서(14)를 구비한 제1 저장탱크(10); 상기 제1 저장탱크(10)의 상면에 설치되고, 공기가 유입되는 흡입구(21)가 하측에 구비됨과 아울러 유입된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22)가 상측에 구비되는 사이클론(20); 상기 사이클론(20)의 상면을 통해 끝부분이 사이클론(20) 내부에 삽입됨과 아울러 삽입된 부분에 상하로 배치되는 복수의 분사노즐(32)이 방사상으로 설치되어, 공기펌프(31)의 압력에 의해 상기 제1 저장탱크(10)에 저장된 약액을 사이클론(20) 내부에 분사하는 분사 파이프(30); 상기 제1 저장탱크(10)의 상면에 설치되어 제1 저장탱크(10)에 저장된 약액이 내부 하측에 채워지고, 상기 사이클론(20)의 배출구(22)와 연결되며, 상기 배출구(22)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수면 아래위로 유동되도록 하는 공기유도부재(42)가 설치된 하우징(40); 상기 하우징(40)에 연결된 배출배관(51)을 통해 하우징(40)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팬(50); 및 바이오 케미컬이 저장된 제2 저장탱크(61)와, 상기 제2 저장탱크(61)에 저장된 바이오 케미컬이 이송되어 상기 제1 저장탱크(10)로 바이오 케미컬이 공급되며, 유로 상에 제1 개폐밸브(62a)가 구비된 제1 공급배관(62)과, 상기 제1 저장탱크(10)로 청정수가 공급되되, 상기 제1 공급배관(62)에 합류되며, 유로 상에 제2 개폐밸브(63a)가 구비된 제2 공급배관(63)을 구비한 약액 공급부(60);를 포함하되,
    상기 하우징(40) 내부에는 유로형성판(41)이 설치되어, 상기 사이클론(20)의 배출구(22)를 통해 하우징(40)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상기 공기유도부재(42) 쪽으로 안내하며,
    상기 하우징(40)의 내부 상측에는 상기 유로형성판(41)의 상단부분에 의해 한쪽 벽이 형성되는 수조(43)가 구비되고, 상기 수조(43)에 저장된 약액은 유로형성판(41)의 상단부분을 월류하여 유로형성판(41)의 벽면을 타고 흘러내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취효율이 향상된 바이오 탈취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pH 센서(11), 제1 레벨센서(12), 드레인 밸브(13), 제2 레벨센서(14), 공기펌프(31), 흡입팬(50), 제1 개폐밸브(62a) 및 제2 개폐밸브(63a)를 제어하는 제어부(70);
    를 포함하는 탈취효율이 향상된 바이오 탈취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유도부재(42)는,
    일측 끝단이 상기 유로형성판(41)에 연결되고, 상기 하우징(40) 내에서 하향 경사지게 설치된 제1 유도판(42a);
    상기 유로형성판(41)의 좌측에 일정거리 이격설치되고, 전체 길이 중 절반은 상기 하우징(40)에 저장된 약액의 상측으로 노출되며, 나머지 절반정도는 약액에 잠긴 상태로 유지되는 제2 유도판(42b);
    상기 제2 유도판(42b)의 좌측에 일정거리 이격설치되고, 상단이 상기 제1 유도판(42a)에 연결되며, 하단부분이 상기 하우징(40)에 저장된 약액에 잠긴 상태로 유지되는 제3 유도판(42c);
    상기 하우징(40)에 저장된 약액속에 잠긴 상태로 유지되며, 상단이 상기 제3 유도판(42c)의 하단과 일정거리 이격설치된 제4 유도판(42d);
    상기 제3 유도판(42c)과 제4 유도판(42d)의 좌측에 일정거리 이격설치되고, 전체 길이 중 절반은 상기 하우징(40)에 저장된 약액의 상측으로 노출되며 나머지 절반정도는 약액속에 잠긴 상태로 유지되는 제5 유도판(42e); 및
    상기 제1 유도판(42a)의 상측에 위치되며, 일측 끝단이 하우징(40)의 내벽면에 연결되고, 하우징(40) 내에서 하향 경사지게 설치된 제6 유도판(42f);
    을 포함하는 탈취효율이 향상된 바이오 탈취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유도판(42c)에는 충돌편(42g); 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취효율이 향상된 바이오 탈취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유도판(42b)과 제5 유도판(42e)은 높이가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취효율이 향상된 바이오 탈취장치.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저장탱크(10)에 저장된 약액을 펌핑하여 상기 수조(43)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취효율이 향상된 바이오 탈취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22)는 상기 하우징(40)에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취효율이 향상된 바이오 탈취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40) 내부에는 데미스터 필터(44)가 설치되어 상기 공기유도부재(42)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데미스터 필터(44)를 거쳐 상기 배출배관(51)으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취효율이 향상된 바이오 탈취장치.
KR1020170181770A 2017-12-28 2017-12-28 탈취효율이 향상된 바이오 탈취장치 KR1020829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1770A KR102082938B1 (ko) 2017-12-28 2017-12-28 탈취효율이 향상된 바이오 탈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1770A KR102082938B1 (ko) 2017-12-28 2017-12-28 탈취효율이 향상된 바이오 탈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9797A KR20190079797A (ko) 2019-07-08
KR102082938B1 true KR102082938B1 (ko) 2020-02-28

Family

ID=672558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1770A KR102082938B1 (ko) 2017-12-28 2017-12-28 탈취효율이 향상된 바이오 탈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293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26169A (ko) * 2021-08-17 2023-02-24 한국화학연구원 액상 탈취제를 이용한 가축 악취 제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7580B1 (ko) * 2022-08-31 2023-02-09 우광산업(주) 가축 분뇨 퇴비화 시설의 세정 탈취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8052B1 (ko) * 2009-08-31 2010-03-19 녹색과푸름 주식회사 저탄소 악취 저감장치
KR101765189B1 (ko) 2017-01-13 2017-08-04 그란프리메로(주) 악취가스 탈취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8453B1 (ko) * 2000-02-28 2002-08-09 박석호 수처리 방식의 싸이클론 집진장치
KR101256512B1 (ko) 2010-08-06 2013-04-22 주식회사 포스코 정화성능이 개선된 습식집진장치
KR102173575B1 (ko) * 2014-07-17 2020-11-03 정재억 악취제거용 습식 스크러빙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악취제거용 습식 스크러빙 설비
KR101857441B1 (ko) * 2016-05-16 2018-06-29 주식회사 태성환경연구소 혼합기 및 이를 이용한 탈취 세정 집진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8052B1 (ko) * 2009-08-31 2010-03-19 녹색과푸름 주식회사 저탄소 악취 저감장치
KR101765189B1 (ko) 2017-01-13 2017-08-04 그란프리메로(주) 악취가스 탈취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26169A (ko) * 2021-08-17 2023-02-24 한국화학연구원 액상 탈취제를 이용한 가축 악취 제거장치
KR102626880B1 (ko) * 2021-08-17 2024-01-17 한국화학연구원 액상 탈취제를 이용한 가축 악취 제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9797A (ko) 2019-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8711B1 (ko) 집진효율이 향상된 습식집진장치
KR101396537B1 (ko) 악취가스 액적 분리시스템
KR100972921B1 (ko) 회전 격판식 선회류 세정 및 탈취장치
KR101653368B1 (ko) 약액세정 탈취장치
KR100663635B1 (ko) 가압 탈취용액운회전식 탈취장치
KR100794208B1 (ko) 악취 탈취장치
KR100989563B1 (ko) 탈취탑 및 이를 이용한 악취 가스 탈취 방법
KR101601246B1 (ko) 공기 정화장치
KR101918005B1 (ko) 다단 탈취 필터를 구비한 하이브리드형 2단 세정 탈취 장치
KR20110068658A (ko) 축사용 분진 및 악취 제거 장치
KR101055592B1 (ko) 수벽 회전식 오염공기 정화장치
KR102069379B1 (ko) 오염공기 탈취장치
KR20150116793A (ko) 가축 축사의 배기 정화를 위한 배기 정화 장치 및 방법
KR102082938B1 (ko) 탈취효율이 향상된 바이오 탈취장치
KR100962711B1 (ko) 음향 공진형 탈취장치
KR101628712B1 (ko) 복합 다단 탈취 장치
KR101066985B1 (ko) 탈취장치
KR102409348B1 (ko) 공기청정 기능 및 바이러스 사멸 기능을 포함하는 워터 분사방식의 공기정화장치
KR101037214B1 (ko) 음향공진형 미생물 탈취장치
KR100948652B1 (ko) 탈취 효율이 높은 와류 회절 믹서 탈취기
KR20180131723A (ko) 오염 가스 집진장치
KR100691729B1 (ko) 원수를 이용한 공기정화장치
KR101675148B1 (ko) 습식 사이클론 탈취장치
KR20120051887A (ko) 공기청정기
KR101611538B1 (ko) 가스 처리용 와류 발생 분사 구조의 집진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