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22809B1 - 액자형 가습기 - Google Patents

액자형 가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2809B1
KR100322809B1 KR1020000016668A KR20000016668A KR100322809B1 KR 100322809 B1 KR100322809 B1 KR 100322809B1 KR 1020000016668 A KR1020000016668 A KR 1020000016668A KR 20000016668 A KR20000016668 A KR 20000016668A KR 100322809 B1 KR100322809 B1 KR 1003228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canvas
frame
frame body
humidif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166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94435A (ko
Inventor
김진
Original Assignee
김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 filed Critical 김진
Priority to KR10200000166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22809B1/ko
Priority to KR2020000009415U priority patent/KR200193380Y1/ko
Publication of KR200100944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44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28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2809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1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forming water dispersions in the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17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unted in a wal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26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mproving the aesthetic appearance

Abstract

본 발명은 액자형 몸체(10)의 내부공간(A)에 그림(20a)이 그려진 화포(20)를 구비하며 액자형 몸체(10)의 하단부에 담수부(15)를 형성하고 이 담수부(15)에 설치되는 수중펌프(30)의 작동에 의하여 담수부(15)의 물이 연결파이프(31)와 배수파이프(32)를 통하여 상기 화포(20)의 상단부에서부터 흘러내려서 다시 담수부(15)로 회수되어 순환하는 과정에서 물이 자연적으로 증발하여 실내를 가습시키는 액자형태의 가습기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수분을 자연증발시켜 실내습도를 적절하게 유지시킬 수 있으며, 액자형태로서 벽에 설치하여 실내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면서 아름다운 그림(20a)도 감상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액자형 가습기{photo frame type humidifier}
본 발명은 자연증발식으로써 실내의 적정 습도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가습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실내공기의 대류현상에 의하여 빨래가 건조되는 방식으로 미려한 그림이 인쇄된 화포(畵布)에 물을 흘러내리게 함으로써 실내의 습도유지는 물론 벽에 걸어 놓고 인테리어로 사용할 수 있는 액자형 가습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가습기 중에서 초음파 가습기는 강제로 물을 분사하는 방식으로서 분사되는 물이 실내온도를 빼앗아 실내 온도를 하강시키는 역할을 하게 되며, 적정 온도의 자동유지가 곤란할 뿐만 아니라 특히 물 속의 유해물질까지도 강제분사함으로써 인체의 호흡기 계통에 이상을 초래하게 된다.
그리고 종래에 물을 끓여서 수증기를 발산하는 가열식 가습기가 있지만 이것은 많은 량의 전기에너지를 소모하게 됨으로 경제적이지 못하고 실내온도를 상승시켜 불쾌지수가 높아지고 실내습도를 일정하게 유지시켜주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에 보조 가습기로써 어항, 분수대 등이 있으나, 습기의 발생량이매우 적어 가습기로서의 역할을 제대로 수행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사용이 불편하고 설치공간을 많이 차지하며 이동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법정대리인이 선출원한 액자형 가습기로는 대한민국 실용신안공보 제 95-1066호로 개시된 바가 있다.
선 출원된 액자형 가습기의 구성을 살펴보면,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같이, 가습기 몸체(1) 내부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담수용기(2)와 낙수용기(3)가 형성되고, 전면에 물흐름판(5)이 설치되며, 담수용기(2)에는 수중모타(6)가 설치되어 이 수중모타(6)에는 물이 낙수용기(3)에 채워질 수 있도록 호스(7), 연결관(s) 및 유자관(9)이 연결되고, 몸체(1)의 한쪽 측벽 내부에 보조호스(10)가 담수용기(2)와 낙수용기(3)에 연통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몸체(1)는 액자형으로 되어 있고, 몸체(1)의 상단면 양쪽에는 실내벽등에 설치할 수 있도록 걸이구(12)가 부착되고, 물흐름판(5)의 표면에는 그림인쇄부(5a)가 형성되어지는 한편, 낙수용기(3)의 측벽에는 길이방향으로 따라 다수개의 물내림구멍(13)이 형성되며, 담수용기(2)에는 간막이(15)가 형성된 것이다.
따라서, 종래의 가습기는, 수중모타(6)를 작동시키면 이 수중모타(6)에 의하여 담수용기(2)에 물이 끌어올려져 낙수용기(3)에 채워지게 되고, 이때 물이 낙수용기(3)에 일정수위 이상으로 채워지면서 낙수용기(3)의 측벽에 형성된 물내림구멍(13)과 물넘침홈(14)을 통해 측벽에 연결된 물흐름판(5)의 표면을 따라 흘러내리는 과정에서 실내습도가 조절 유지되는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액자형 가습기는, 몸체의 수평을 정확하게 맞추어 설치하지 못하면 한쪽으로 흘러 넘치게 되며 물내림도 균일하지 않게되는 단점이 있으며, 그림이 인쇄된 물흐름판이 몸체 내부의 후방에 위치되어 있어 전방에서 보았을 때 내부가 훤히 들여다 보여 외관이 불량해 보이고 그 만큼 잘 표구된 액자로서의 상품가치를 제대로 살리지 못하였다. 또한, 그림이 싫증나거나 퇴색하였을 때 그림이 인쇄된 물흐름판을 쉽게 교체할 수 없는 단점이 있으며, 물을 보충할 시기를 알리는 경보수단이 구비되어 있지 않으므로 적절한 시기에 물을 보충하여 주지 못하는 등의 단점이 있었다.
이와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주요 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배수파이프의 길이방향으로 절개부를 형성하고 이 절개부에 화포를 끼워 고정하여 몸체의 수평이 정확하지 않더라도 화포의 물내림이 일정하게 균일한 분포로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둘째, 액자형 몸체의 내부공간에 보조판을 설치하여 화포가 표구된 것과 같이 평탄하게 유지되도록 하면서 화포를 액자형 몸체의 앞쪽에 근접설치함으로써 외관을 미려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셋째, 물이 화포를 적시면서 흘러내리는 도중에서 화포를 벗어나지 않도록 물막이 구조를 구성하는데 있다.
넷째, 액자형 몸체가 벽에 걸려 있는 상태에서도 화포를 쉽게 교체할 수 있도록 상부커버를 액자형 몸체로부터 착탈 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그리고, 다섯째로는 담수부에 물이 부족하면 수중펌프의 작동을 멈추게 함과 동시에 경보를 함으로써 담수부에 물을 보충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종래의 액자형 가습기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부절개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배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구비되는 보조판의 배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구비되는 수위감지수단과 경보수단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액자형 몸체 10a; 끼움홈 11; 상부커버 11a; 끼움돌기
12; 뒷판 12a; 구멍 13; 홀더 15; 담수부 20; 화포
20a; 그림 21; 심선 30; 수중펌프 31; 연결파이프
32; 배수파이프 33; 절개부 34; 앤드캡 40; 보조판
41; 물막이부 50; 수위감지수단 51; 플로트 51a; 부체
52; 광센서 53; 제어부 60; 경보수단 61; 스피커
62; 램프
본 발명의 구성상 특징은, 액자형 몸체(10)의 내부공간(A)에 그림(20a)이 그려진 화포(20)를 구비하며 액자형 몸체(10)의 하단부에 담수부(15)를 형성하고 이 담수부(15)에 설치되는 수중펌프(30)의 작동에 의하여 담수부(15)의 물이 연결파이프(31)와 배수파이프(32)를 통하여 상기 화포(20)의 상단부에서부터 흘러내려서 다시 담수부(15)로 회수되어 순환하는 과정에서 물이 자연적으로 증발하여 실내를 가습시키는 액자형태의 가습기에 있어서, 상기 배수파이프(32)의 하단부에 길이방향으로 절개부(33)를 형성하여 상기 액자형 몸체(10)의 상측에 설치하고, 상기 액자형 몸체(10)의 앞쪽에 근접되도록 상기 내부공간(A)에 수직으로 보조판(40)을 설치하며, 상기 화포(20)가 상기 보조판(40)의 전면에 접촉되도록 상기 화포(20)의 상단을 상기 배수파이프(32)의 절개부(33)에 끼워 고정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특징은, 상기 담수부(15)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수단(50)과 경보수단(60)을 상기 액자형 몸체(10)에 설치하여 담수부(15)의 수위가 적정수위 이하일 때 제어부(53)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상기 수중펌프(30)의 구동을 정시킴과 동시에 상기 경보수단(60)을 구동시킬 수 있도록 회로를 구성한 것에 특징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같이, 액자형 몸체(10)는 일반적인 액자와 마찬가지로 사각형으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마름모꼴 또는 타원형으로도 제작할 수 있으며, 재질은 플라스틱재와 같은 가볍고 방수성이 있는 것이면 좋다.
도 7에서, 예시한 액자형 몸체(10)는 후방에 일체로 결합된 뒷판(12)에 의하여 일정한 내부공간(A)을 형성하고 있다.
액자형 몸체(10)의 하단부에 있는 담수부(15)는 물을 저장하기 위한 것으로, 액자형 몸체(10)의 하단부는 채널(chanel)형태로 되어 있으므로 일정량의 물을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담수부(15)의 왼쪽편에는 수중펌프(30)가 설치되며, 이 수중펌프(30)의 토출측에 연결된 연결파이프(31)는 수직방향으로 연장되고, 배수파이프(32)는 연결파이프(31)와 직각을 이루도록 연결되고 연결파이프(31)의 타단은 앤드캡(34)으로 막혀진다.
이 배수파이프(32)는 플라스틱재로서 액자형 몸체(10)의 상측 저면에 고정된 홀더(13)에 외주면이 분리가능하게 끼워져 있으며, 배수파이프(32)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절개부(33)에는 화포(20)의 상단이 고정되며, 이때 화포(20)의 하단은 담수부(15)에까지 늘어뜨려진다. 그리고 화포(20)의 상단부에는 심선(21)이 감싸여져있으므로 화포(20)를 배수파이프(32)의 일단부에서부터 끼워 고정하거나 빼낼 수는 있으나 배수파이프(32)의 하방으로는 빠지지 않게된다. 여기서 심선(21)은 굵은실, 철사, 또는 플라스틱 선재를 사용하면 된다.
보조판(40)은 대략 배수파이프(32)의 수직하방에 위치하며 내부공간(A)의 앞쪽에 근접되도록 뒷판(12)에 고정된다. 즉,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같이, 보조판(40)의 배면에는 복수개의 돌기(42)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 이 돌기(42)를 액자형 몸체(10)의 뒷판(12)에 맞대어 놓고 그 후방에서 돌기(42)에 나사를 체결하게 된다. 이 보조판(40)은 나무판으로도 사용할 수 있으나 불투수성 재료인 플라스틱판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배수파이프(32)에 고정되어 있는 화포(20)의 배면이 보조판(40)의 전면에 밀착된 상태로 자연스럽게 늘어뜨려지게 되는데, 보조판(40)의 양측단에 각각 단면이 T자형으로 된 물막이부(41)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화포(20)를 따라 흘러내리는 물이 외부로 튀거나 흘러 넘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액자형 몸체(10)의 상부로부터 상부커버(11)를 분해 또는 결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부커버(11)의 후단에는 복수개의 끼움돌기를 형성하고 액자형 몸체(10)에는 복수개의 끼움홈(10a)을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액자형 몸체(10)의 상측에 고정된 배수파이프(32)나 이 배수파이프(32)에 끼워진 화포(20)를 용이하게 분해 또는 교체할 수 있다.
도 1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담수부(15)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수단(50)과 경보수단(60)을 액자형 몸체(10)의 하부에 설치하여담수부(15)의 수위가 적정수위 이하일 때 제어부(53)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상기 수중펌프(30)의 구동을 정시킴과 동시에 경보수단(60)을 구동시킬 수 있도록 회로를 구성하고 있다. 예컨데 수위감지수단(50)은 플로트(51; float)와 광센서(52)와 제어부(53)로 구성된 것으로, 도 7에 도시한 바와같이 막대형 부체(51a; floating body)를 갖는 플로트(51)는 담수부(15)와 연통되도록 액자형 몸체(10)의 뒷판(12)에 고정되며, 부체(51a)의 위상을 검출하는 광센서(52)는 부체(51a)의 승강위치에 있도록 액자형 몸체(10)의 뒷판(12)에 고정시켰으며, 제어부(53)는 마이콤이나 직접회로를 사용하여 회로기판에 장착되어 있다. 부언하여, 상기한 부체(51a)는 불투명플라스틱을 사용하였으며 광센서(52)는 투과형으로써 수광부와 발광부를 한쌍으로 구비하고 있는 것이다.
경보수단(60)은 스피커(61)와 램프(62)를 구비하여 액자형 몸체(10)의 하부 일측에 설치되어 있다.
미설명 부호 31a는 배수파이프(32)와 연결파이프(31)를 연결하는 '엘보우형 파이프'이고, 미설명 부호 12a는 본 발명에 따른 액자형 가습기를 벽에 걸어 놓기 위하여 뒷판(12)에 형성된 '구멍' 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된 본 발명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뒷판(12)에 형성된 구멍(12a)을 이용하여 실내벽에 박아 놓은 못에 걸어서 설치하고 액자형 몸체(10)의 담수부(15)에 물을 채워 사용하면 된다.
이와같이 설치된 본 발명은 전원공급을 하여 수중펌프(30)를 작동시키면 담수부(15)의 물이 펌핑되어 연결파이프(31)를 통하여 배수파이프(32)로 공급되고, 배수파이프(32)로 공급된 물은 절개부(33)를 통하여 배출됨과 동시에 화포(20)의 상단을 적시면서 흐르게 된다. 이 과정에서 실내의 건조한 정도에 따라 적정량의 수분이 자연 증발됨에 따라 실내습도가 조절된다. 즉, 실내습도가 높은 경우에는 수분증발량이 적어지게 되고 실내습도가 낮을 경우에는 수분증발량이 많아지게 되어 적정한 실내습도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물이 적셔진 화포(20)는 보조판(40)과 상호 부착력이 생겨서 평평해지고 화포(20)의 좌우측단부를 벗어난 물방울이나 물줄기는 물막이부(41)의 전면을 따라 흘러내려 담수부(15)로 회수되고, 또한 보조판(40)의 배면으로 흘러내린 물도 유실됨 없이 담수부(15)로 회수된다. 따라서 물방울이 보조판(40)을 벗어나서 자유낙하 되지 않게 되고 담수부(15)에 물방울 떨어질 때의 신경을 거스르는 소리도 방지할 수 있다.
이와같이 사용중에 담수부(15)의 물이 줄어들게 되면서 플로트(51)의 부체(51a)가 일정한도 이상 하강하게 되면 물을 보충할 시기가 되고, 이때 광센서(52)가 감지하여 제어부(53)로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이때 제어부(53)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수중펌프(30)가 정지되고 이와 동시에 스피커(61)는 경보음을 발생하고 램프(62)는 점등 또는 점멸하게 됨으로 담수부(15)에 물을 보충하면 된다. 부언하여 물을 보충할 때에는 본 발명을 벽에 걸어 놓은 상태에서 화포(20)와 액자형 몸체(10)의 하측 틈새를 통하여 보충하면 된다.
한편, 새로운 그림(20a)을 감상하고자 할 경우에는 펌프(30)의 작동을 정지시키고 액자형 몸체(10)의 상측 전면에 결합된 상부커버(11)를 분리시킨 다음, 배수파이프(32)를 연결파이프(31) 및 홀더(13)에서 잡아 빼내고 말단에 결합된 앤드캡(34)도 빼낸 상태에서 기존의 화포(20)를 배수파이프(32)의 절개부(33)로부터 빼내고 새로운 그림(20a)이 인쇄된 화포(20)를 끼워 넣으면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수분을 자연증발시켜 실내습도를 적절하게 유지시킬 수 있으며, 액자형태로서 벽에 설치하여 실내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면서 아름다운 그림(20a)도 감상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특히, 본 발명은 배수파이프(32)의 절개부(33)에 화포(20)를 끼워 고정하였으므로 액자형 몸체(10)의 수평이 정확하지 않더라도 화포(20)를 적시는 유량이 일정하고 균일한 분포로 이루어지게 되며, 화포(20)에 물이 적셔지면 보조판(40)에 밀착되어 화포(20)가 표구된 것과 같이 평탄하게 유지되고, 화포(20)를 내부공간(A)의 앞쪽에 근접 설치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액자기능으로서의 외관을 미려하게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보조판(40)의 양단에 물막이부(41)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물이 흘러내리는 도중에서 화포(20)를 벗어나서 낙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액자형 몸체(10)의 일부를 구성하는 상부커버(11)를 분리할 수 있으므로 액자형 몸체(10)가 벽에 걸려 있는 상태에서도 화포(20)를 쉽게 교체할 수 있고, 담수부(15)에 물이 부족하면 수중펌프(30)의 작동을 멈추게 함과 동시에 경보를 함으로써 물의 보충시기를 정확하게 인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정당한 시기에 물을 보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8)

  1. 액자형 몸체(10)의 내부공간(A)에 그림(20a)이 그려진 화포(20)를 구비하며 액자형 몸체(10) 하단부에 담수부(15)를 형성하고 이 담수부(15)에 설치되는 수중펌프(30)의 작동에 의하여 담수부(15)의 물이 연결파이프(31)와 배수파이프(32)를 통하여 상기 화포(20)의 상단부에서부터 흘러내려서 다시 담수부(15)로 회수되어 순환하는 과정에서 물이 자연적으로 증발하여 실내를 가습시키는 액자형태의 가습기에 있어서,
    상기 배수파이프(32)의 하단부에 길이방향으로 절개부(33)를 형성하여 상기 액자형 몸체(10)의 상측에 설치하고, 상기 내부공간(A)의 앞쪽에 수직으로 보조판(40)을 설치하며, 상기 화포(20)가 상기 보조판(40)의 전면에 접촉되도록 상기 화포(20)의 상단을 상기 배수파이프(32)의 절개부(33)에 끼워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자형 가습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자형 몸체(10)의 상측 내부공간(A)에 복수개의 홀더(13)를 설치하여 상기 배수파이프(32)를 착탈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자형 가습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판(40)의 양측단에 각각 단면이 T자형으로 된 물막이부(41)를 형성하여 상기 화포(20)를 따라 흘러내리는 물이 외부로 튀거나 흘러넘치지 않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자형 가습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포(20)의 상단부를 따라 심선(21)을 고정하여 화포(20)의 상단부를 상기 배수파이프(32)의 일단부에서 절개부(33)를 따라 끼워 고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자형 가습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자형 몸체(10)의 일부를 구성하는 상부커버(11)를 별도로 구비함과 동시에 이 상부커버(11)의 후단에 복수개의 끼움돌기(11a)를 형성하고, 상기 액자형 몸체(10)의 상측에는 상기 끼움돌기(11a)를 끼우기 위한 복수개의 끼움홈(10a)을 형성하여, 상기 상부커버(11)를 상기 액자형 몸체(10)의 상측 전면에 착탈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자형 가습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담수부(15)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수단(50)과 경보수단(60)을 상기 액자형 몸체(10)에 설치하여 담수부(15)의 수위가 적정수위 이하일 때 제어부(53)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상기 수중펌프(30)의 구동을 정시킴과 동시에 상기 경보수단(60)을 구동시킬 수 있도록 회로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자형 가습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위감지수단(50)은 막대형 부체(51a)를 갖으며 상기 담수부(15)와 연통되도록 상기 액자형 몸체(10)의 배면에 설치되는 플로트(51)와상기 부체(51a)의 위상을 검출하여 상기 제어부(53)로 검출신호를 출력하는 광센서(52)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자형 가습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경보수단(60)은 스피커(61)와 램프(62)를 구비하여 액자형 몸체(10)의 임의 위치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자형 가습기.
KR1020000016668A 2000-03-30 2000-03-30 액자형 가습기 KR1003228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6668A KR100322809B1 (ko) 2000-03-30 2000-03-30 액자형 가습기
KR2020000009415U KR200193380Y1 (ko) 2000-03-30 2000-04-03 액자형가습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6668A KR100322809B1 (ko) 2000-03-30 2000-03-30 액자형 가습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9415U Division KR200193380Y1 (ko) 2000-03-30 2000-04-03 액자형가습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4435A KR20010094435A (ko) 2001-11-01
KR100322809B1 true KR100322809B1 (ko) 2002-02-09

Family

ID=196603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6668A KR100322809B1 (ko) 2000-03-30 2000-03-30 액자형 가습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2280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5320B1 (ko) * 2010-02-22 2010-08-12 (주) 지에스이엔지 가습 장치
KR101424216B1 (ko) * 2013-02-22 2014-07-28 동희오토주식회사 공기 중 부유분진 정화장치
US10473352B2 (en) 2016-10-06 2019-11-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Air condition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3805B1 (ko) * 2008-09-18 2011-02-15 이희인 가습기능이 구비된 화장대.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60255U (ko) * 1976-05-29 1977-12-05
JPS5682329A (en) * 1979-12-11 1981-07-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Humidifying device
JPS61169317U (ko) * 1985-04-08 1986-10-21
KR930018477U (ko) * 1992-01-14 1993-08-21 김만호 가습기
KR20000004826U (ko) * 1998-08-17 2000-03-15 김만호 자연증발식 액자형 가습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60255U (ko) * 1976-05-29 1977-12-05
JPS5682329A (en) * 1979-12-11 1981-07-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Humidifying device
JPS61169317U (ko) * 1985-04-08 1986-10-21
KR930018477U (ko) * 1992-01-14 1993-08-21 김만호 가습기
KR20000004826U (ko) * 1998-08-17 2000-03-15 김만호 자연증발식 액자형 가습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5320B1 (ko) * 2010-02-22 2010-08-12 (주) 지에스이엔지 가습 장치
KR101424216B1 (ko) * 2013-02-22 2014-07-28 동희오토주식회사 공기 중 부유분진 정화장치
US10473352B2 (en) 2016-10-06 2019-11-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Air condition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4435A (ko) 2001-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22809B1 (ko) 액자형 가습기
WO2014185613A1 (ko) 세척기능을 갖는 천장 매립 형 기화식가습기
US4226174A (en) Humidifier
KR101415220B1 (ko) 벽걸이형 기화식가습기
KR200193380Y1 (ko) 액자형가습기
JP7450084B2 (ja) 加湿装置
KR200233151Y1 (ko) 자연증발식액자형가습기
CN210463288U (zh) 加湿装置和具有其的空调器
CN107366965A (zh) 加湿装置及立式空调
KR101142870B1 (ko) 한지를 이용한 가습기
JP5289215B2 (ja) 空気除菌装置
JP6633015B2 (ja) 加湿装置
KR950001066Y1 (ko) 가습기
US6431118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humidified air to a terrarium
KR20030041118A (ko) 자동 급수/배수기능을 갖는 화분받침대와 그 제어방법
JP6868764B2 (ja) 加湿装置
JP2005147644A (ja) 気化加湿器
KR200297972Y1 (ko) 액자형 가습기
KR100420258B1 (ko) 자동 급배수 시스템을 구비하는 수조장치
KR20170011425A (ko) 벽분수기
KR20060021783A (ko) 폭포수 음이온 발생 가습기 겸용 선풍기
KR20040027002A (ko) 액자형 가습기
JPH09318108A (ja) 通風気化式加湿器の通風部構造
KR920000602Y1 (ko) 자연증발 가습기
KR102478597B1 (ko) 부유형 초음파 가습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11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