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21783A - 폭포수 음이온 발생 가습기 겸용 선풍기 - Google Patents

폭포수 음이온 발생 가습기 겸용 선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21783A
KR20060021783A KR1020040070925A KR20040070925A KR20060021783A KR 20060021783 A KR20060021783 A KR 20060021783A KR 1020040070925 A KR1020040070925 A KR 1020040070925A KR 20040070925 A KR20040070925 A KR 20040070925A KR 20060021783 A KR20060021783 A KR 200600217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water
pipe
fan
out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09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98942B1 (ko
Inventor
박배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아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아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아이티
Priority to KR10200400709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8942B1/ko
Publication of KR200600217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17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89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89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Landscapes

  • Special Spray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조 내에 물을 자동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제안하여 물을 수시로 보충하여야 하는 불편함으로 없애고, 또한 수조를 받치고 있는 다리부분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실내의 상황에 맞게 적절한 가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미처 증발하지 못한 물안개에 의한 바닥면 적심을 해결하는 폭포수 음이온 발생 가습기 겸용 선풍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은, 초음파 발생부를 무개수조형 가습기 수조의 바닥에 설치하고, 외부로부터 물을 공급하는 유입관이 상기 수조의 내부에 설치되어 물을 공급하며, 상기 수조내의 수위가 소정 높이로 상승하면 다시 수조의 외부로 물을 유출시키는 회수관이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유입관과 회수관은 외부에 별도로 설치된 외부수조에 연결되어 그 외부수조로부터 상기 수조로 물을 공급하거나 회수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수조의 하부에는 수조를 지지하는 지지다리가 입설되어 구비되어 그 내부로 상기 유입관과 회수관이 배관되고, 상기 지지다리는 고정체와 이동체로 구비되어 고정체의 내부에서 이동체가 이동하게 되고, 잠금수단에 의하여 이동체의 위치가 고정되도독 구성됨으로써 달성된다.

Description

폭포수 음이온 발생 가습기 겸용 선풍기{Waterfall type humidifier-fan having anion generation function}
도 1 은 종래의 뚜껑이 없는 수조 상에 분무통제부를 갖는 초음파 가습기를 나타낸 도.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한 폭포수 음이온 발생 가습기 겸용 선풍기의 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외관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0 : 고정 다리 310 : 이동 다리
320 : 수조 330 : 초음파 발생부
340,350 : 분무 통제부 360 : 유입관
370 : 회수관 380 : 외부 수조
390 : 펌프 400 : 지지대
410 : 팬
본 발명은 폭포수 음이온 발생 가습기 겸용 선풍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뚜껑이 없는(무개) 수조 형태의 본체를 갖는 초음파 가습기에 있어서, 자동으로 물을 보충하여 연속적인 가습의 효과를 가질 수 있도록 하는 폭포수 음이온 발생 가습기 겸용 선풍기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인은 2003년 11월 18일자로 출원한 특허출원번호 2003-81746 호에서 "뚜껑이 없는 수조상에 분무통제부를 갖는 초음파 가습기"를 제안하였다.
즉, 도 1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뚜껑이 없는 수조상에 분무통제부를 갖는 초음파 가습기는 초음파 발생부(150)를 무개수조형 가습기의 수조(100) 바닥의 매입부에 매입하고, 매입부의 둘레의 소정 개소에 고정된 다리부(214)에 중앙부(212)가 개구된 분화구 형태의 제 1 분무 통제부(210)가 지지되도록 하여 초음파 진동자(152)로부터 상방으로 튀어 오르는 물방울을 통제하고, 중앙부의 개구부를 통해 솟아오르는 물안개(분무)는 제 1 분무 통제부(210)의 표면(216)을 따라서 흐르게 되어 물방울과 함께 물 표면으로 가라앉지 않고 수조를 넘어가도록 하여 가습량을 증대시킨다.
상기 제 1 분무 통제부(210)의 외표면상의 소정 개소에 고정된 다리부(224)에 상기 제 1 분무 통제부(210)의 중앙 개구부(212)를 통해 튀어 오르는 물방울을 2차로 통제하는 제 2 분무 통제부(220)를 두어 물튀김을 2차로 방지할 뿐만 아니라 물튀김에 따른 낙수 소음을 더욱 줄이며, 상하 개구부를 갖는 원통형 제 3 분무 통 제부(230)를 두어 상기 매입부에 고정된 초음파 진동부(152)로부터 발생하는 물방울 및 물안개가 안내되는 구조로 상기 매입부의 상방으로 연장고정되되 상기 제 3 분무 통제부(230)의 하단을 통하여 수조 바닥에서 매입부로 물이 흐르도록 구성된다.
그런데, 이러한 초음파 가습기는 수조(100)내에 물의 수위가 시간이 갈수록 줄어들게 됨에 따라 분무되는 안개의 양이 일정치 않은 단점이 있고, 사용자가 매번 수조에 물을 채워주어야 하는 불편함이 뒤따른다.
또한. 수조의 높이가 고정되어 있으므로 실내의 상황에 따라 높낮이를 적절히 조절하지 못함과 아울러, 수조의 높이가 낮은 경우 분무되는 안개가 미처 증발하지 못하고 바닥으로 떨어져 바닥면을 적시는 경우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 및 결함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수조 내에 물을 자동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제안하여 물을 수시로 보충하여야 하는 불편함으로 없애고, 또한 수조를 받치고 있는 다리부분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실내의 상황에 맞게 적절한 가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미처 증발하지 못한 물안개에 의한 바닥면 적심을 해결하는 초음파 가습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폭포수 음이온 발생 가습기 겸용 선풍기는,
뚜껑이 없는 수조를 갖는 초음파 가습기에 있어서,
초음파 발생부를 무개수조형 가습기 수조의 바닥에 설치하고, 외부로부터 물을 공급하는 유입관이 상기 수조의 내부에 설치되어 물을 공급하며, 상기 수조내의 수위가 소정 높이로 상승하면 다시 수조의 외부로 물을 유출시키는 회수관이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유입관과 회수관은 외부에 별도로 설치된 외부수조에 연결되어 그 외부수조로부터 상기 수조로 물을 공급하거나 회수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외부수조 또는 유입관의 관로 상에는 펌프가 구비되고, 상기 수조의 하부에는 수조를 지지하는 지지다리가 입설되어 구비되어 그 내부로 상기 유입관과 회수관이 배관되며, 상기 지지다리는 고정체와 이동체로 구비되어 고정체의 내부에서 이동체가 이동하게 되고, 잠금수단에 의하여 이동체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아울러, 지지 다리의 측부에는 돌출된 지지대가 설치되고, 그 지지대의 단부에 팬이 설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을 첨부한 도 2 및 도 3 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 1 분무 통제부(340)는 수조 바닥에 설치된 다리부(341)상에 설치되는 분화구 형태 또는 모자 형태의 중앙부가 개구되어, 수조(320) 바닥에 설치된 초음파 발생부로부터의 물튀김을 방지하는 작용을 하며, 물튀김 및 낙수 경로 전환에 의해 낙수소음을 방지하고, 물안개의 수평방향 확산을 도모하여 가습량의 증대효과를 가져온다.
제 2 분무 통제부(350)는 제 1 분무 통제부(340)의 상면상에 형성된 다리부(351)에 지지되도록 구성하며, 상기 제 1 분무 통제부(340)와 마찬가지로 하면은 아치형의 곡선구조를 이루어 물튀김을 방지한다.
상기 제 1 분무 통제부(340)의 중앙 개구부를 통해 치솟은 물방울이 상기 제 2 분무 통제부(3500의 표면을 따라 흘러 다리부(351)를 따라 흘러 내리게 하기 때문에 물이 떨어지는 낙수의 소음을 현저히 줄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수조(320)의 바닥에는 물을 공급받기 위한 유입관(360)이 설치되고, 그 유입관(360)은 고정 다리(300)와 이동 다리(310)의 내부를 통해 대용량의 외부 수조(380)에 연결되어 있게 된다.
상기 외부 수조(380)에는 펌프(390)가 구비되어 있어, 이의 펌핑 작용에 의하여 외부 수조(380)내에 저수된 물이 유입관(360)을 통하여 상부로 이동하여 수조(320)에 물이 공급되는 것이다.
수조(320)에 물이 계속적으로 공급되는 경우 수조(320)의 외부로 물이 넘치는 경우가 발생하므로 적당한 수위에서 물을 다시 상기 외부 수조(380)로 회수하기 위한 회수관(370)이 설치된다.
상기 회수관(370)의 단부는 수조(320)의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상측으로 돌출되어 설치되는데, 분무량의 변함이 없는 수위에 회수관(370)의 단부가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회수관(370)의 단부는 그 넓이가 관의 직경보다 넓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이로 인해 수조(320)내의 물의 회수가 용이하게 된다.
상기 회수관(370)은 상기 유입관(360)과 마찬가지로 고정 다리(300)와 이동 다리(310)의 내부를 통하여 외부 수조(380)에 연결되어 수조(320) 내부의 물을 외부 수조(380)로 회수하게 된다.
그러므로, 수조(320)는 항상 일정한 수위가 유지되어 안개의 분무량의 변화가 안정화된다.
한편, 수조(320)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하여 고정 다리(300)와 이동 다리(310)에 의하여 그 높낮이가 조절되는데, 고정 다리(300)는 그 하부가 넓게 형성되어 바닥으로부터 안정되게 입설되고, 그 고정 다리(300)의 상부에는 이동 다리(310)가 삽입된다.
물론, 상기 고정 다리(300)와 이동 다리(310)의 내부는 비어있어 상기 유입관(360), 회수관(370) 및 전원 공급선(331)에 이의 내부를 통하여 수조(320)와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이동 다리(310)는 고정 다리(300)의 내부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수조(320)의 높낮이를 조절하게 된다.
높낮이가 결정되면 이동 다리(310)는 고정 다리(300)의 내측에서 고정되어야 하는데, 고정 다리(300)의 상부 측면에는 조임 볼트(302)가 삽입되는 볼트 구멍(301)이 형성되어 이에 조임 볼트(302)가 삽입됨으로써 이동 다리(310)의 측면을 조이면서 압박하게 된다.
그러므로, 이동 다리(310)의 높낮이 위치가 고정된다.
또한, 이동 다리(310)의 측면에는 상하 방향 일정 간격으로 걸림홈(311)이 다수개 형성되어 있어, 상기 조임 볼트(302)가 이의 걸림홈(311)에 걸리게 됨으로써 좀 더 안정적인 위치 고정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이동 다리(310)의 측면부로는 지지대(400)가 돌출되어 그 단부에 팬(410)이 구비되어 있어, 그 팬(410)의 동작 시에 분무된 안개를 넓은 범위로 확산시키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상기 지지대(400)는 플렉서블한 재질의 파이프로 되어 있어 그 내부로 전원선이 연결됨으로써 팬(410)에 전원을 공급하며, 지지대를 위치 고정하기 위하여 파이프에는 철사심이 들어있어 손쉽게 원하는 방향과 위치를 갖도록 조정이 가능하다.
팬(410)의 경우 EVA(Ethylene Vinyl Acetate) 스폰지 재질로 구성되어 안전망이 없이도 다칠 염려가 없다.
또한, 전원선에 가변 저항 등의 팬의 강약을 조절할 수 있는 조절 수단이 더 구비될 수 있어, 여름에는 선풍기로, 겨울에는 분무된 안개의 확산 팬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수조내의 물의 수위를 자동으로 항상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분무량이 균일하게 되고, 물을 자주 보충하여 주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해결된다.
또한, 수조의 높낮이가 조절됨으로써 실내의 분위기에 맞는 상황 연출이 가능하고, 수조가 일정 높이 이상 유지되므로 분무되는 안개가 미처 증발하지 못하여 바닥으로 떨어져 바닥면을 적시는 경우가 발생하지 않는다.

Claims (4)

  1. 뚜껑이 없는 수조를 갖는 초음파 가습기에 있어서,
    초음파 발생부를 무개수조형 가습기 수조의 바닥에 설치하고, 외부로부터 물을 공급하는 유입관이 상기 수조의 내부에 설치되어 물을 공급하며, 상기 수조내의 수위가 소정 높이로 상승하면 다시 수조의 외부로 물을 유출시키는 회수관이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유입관과 회수관은 외부에 별도로 설치된 외부수조에 연결되어 그 외부수조로부터 상기 수조로 물을 공급하거나 회수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폭포수 음이온 발생 가습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외부수조 또는 유입관의 관로 상에는 펌프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폭포수 음이온 발생 가습기 겸용 선풍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조의 하부에는 수조를 지지하는 지지다리가 입설되어 구비되어 그 내부로 상기 유입관과 회수관이 배관되고, 상기 지지다리는 고정체와 이동체로 구비되어 고정체의 내부에서 이동체가 이동하게 되고, 잠금수단에 의하여 이동체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폭포수 음이온 발생 가습기 겸용 선풍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지지 다리의 측부에는 돌출된 지지대가 설치되고, 그 지지대의 단부에 팬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폭포수 음이온 발생 가습기 겸용 선풍기.
KR1020040070925A 2004-09-06 2004-09-06 폭포수 음이온 발생 가습기 겸용 선풍기 KR1005989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0925A KR100598942B1 (ko) 2004-09-06 2004-09-06 폭포수 음이온 발생 가습기 겸용 선풍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0925A KR100598942B1 (ko) 2004-09-06 2004-09-06 폭포수 음이온 발생 가습기 겸용 선풍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5399U Division KR200369090Y1 (ko) 2004-09-03 2004-09-03 폭포수 음이온 발생 가습기 겸용 선풍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1783A true KR20060021783A (ko) 2006-03-08
KR100598942B1 KR100598942B1 (ko) 2006-07-13

Family

ID=371285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0925A KR100598942B1 (ko) 2004-09-06 2004-09-06 폭포수 음이온 발생 가습기 겸용 선풍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9894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57485A (zh) * 2020-03-19 2020-07-28 安徽天达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智慧温湿度环境控制装置及其系统
WO2021017146A1 (zh) * 2019-08-01 2021-02-04 广东美的环境电器制造有限公司 盒盖、水盒、加湿装置及吹风设备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4294B1 (ko) 2009-07-17 2011-05-16 (주)태백산업 편백나무(히노끼)를 이용한 가습기 겸용 장식대
CN104033401A (zh) * 2013-05-27 2014-09-10 昆山夏福特五金电子科技有限公司 多功能办公桌小风扇
KR102043924B1 (ko) 2019-02-22 2019-11-12 최영진 가습 기능 겸용 음이온 발생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7359Y1 (ko) * 1991-04-04 1996-08-28 안병희 가습기 겸용 실내분수장치
KR200211835Y1 (ko) 2000-08-23 2001-01-15 황정연 분수를 갖는 장식용 스탠드
KR100549474B1 (ko) * 2003-11-18 2006-02-08 주식회사 엔아이티 뚜껑이 없는 수조에 분무통제부를 갖는 초음파 가습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17146A1 (zh) * 2019-08-01 2021-02-04 广东美的环境电器制造有限公司 盒盖、水盒、加湿装置及吹风设备
CN111457485A (zh) * 2020-03-19 2020-07-28 安徽天达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智慧温湿度环境控制装置及其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98942B1 (ko) 2006-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499877B (zh) 一种离子蒸汽美容器
KR20150090843A (ko) 부유식 가습기
KR20140115491A (ko) 가습기
KR100598942B1 (ko) 폭포수 음이온 발생 가습기 겸용 선풍기
US6824126B2 (en) Evaporative humidifier with water distribution system
KR200369090Y1 (ko) 폭포수 음이온 발생 가습기 겸용 선풍기
CN202442438U (zh) 自然蒸发式空气加湿器
JP5870300B2 (ja) 架台
KR100549474B1 (ko) 뚜껑이 없는 수조에 분무통제부를 갖는 초음파 가습기
CN101827982B (zh) 一种使用储存能量作为能源的除味坐便器
US7117905B2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filling a liquid receptacle
US5121770A (en) Hydraulically controlled valve for a cool tower and the like
JP2004008100A (ja) 大量の貯水機能及び給水量の制御機能を具有するブロー成型による植木鉢の構造
KR100322809B1 (ko) 액자형 가습기
CN111023536A (zh) 一种水箱及加湿器
KR20000004826U (ko) 자연증발식 액자형 가습기
KR200491559Y1 (ko) 편백향을 방출하는 가습기
JPH04145974A (ja) 高射噴水装置
CN215723832U (zh) 加湿器
CN108571794A (zh) 一种湿帘的浇湿机构及其加湿器
CN218096386U (zh) 一种可调控加湿范围的加湿器
CN217685729U (zh) 一种聚能装置及加湿器
KR102478597B1 (ko) 부유형 초음파 가습기
CN210921684U (zh) 加湿器
KR101784924B1 (ko) 복수개의 산소 노즐형 산소 공급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0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