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3924B1 - 가습 기능 겸용 음이온 발생기 - Google Patents

가습 기능 겸용 음이온 발생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3924B1
KR102043924B1 KR1020190021098A KR20190021098A KR102043924B1 KR 102043924 B1 KR102043924 B1 KR 102043924B1 KR 1020190021098 A KR1020190021098 A KR 1020190021098A KR 20190021098 A KR20190021098 A KR 20190021098A KR 102043924 B1 KR102043924 B1 KR 1020439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unit
plate
tank unit
water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10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영진
Original Assignee
최영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영진 filed Critical 최영진
Priority to KR10201900210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39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39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39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1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forming water dispersions in the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3/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13/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13/06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pump being electrically driven
    • F24F3/1603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17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wet filt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3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ionisation
    • F24F2003/1617
    • F24F2003/1682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8Air-humidifier with water reservo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심력에 의해 물을 펌핑하여 분사함으로써, 분사된 물이 폭포수 효과에 의해 음이온이 발생되도록 하고, 미스트 형태의 물과 음이온이 흡입된 외기와 함께 배출되도록 하는 가습 기능 겸용 음이온 발생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가습 기능 겸용 음이온 발생기는 물을 저장하는 수조유닛과, 수조유닛의 상부에 지지되는 구동케이스와, 구동케이스에 구비되고 외기가 구동케이스를 통과하여 수조유닛에 전달되었다가 수조유닛에서 생성되는 음이온과 함께 외부로 배출되도록 외기를 흡입하는 흡기팬과, 원심력으로 수조유닛에 저장된 물을 빨아올려 수조유닛의 내측벽에 분사하는 물분사유닛 및 수조유닛의 내측벽에 구비되고 물분사유닛에서 분사되는 물의 충돌에 따라 수조유닛의 내부에 음이온을 생성하는 음이온발생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가습 기능 겸용 음이온 발생기{ANIONIC GENERATOR WITH HUMIDITY FUNCTION}
본 발명은 가습 기능 겸용 음이온 발생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원심력에 의해 물을 펌핑하여 분사함으로써, 분사된 물이 폭포수 효과에 의해 음이온이 발생되도록 하고, 미스트 형태의 물과 음이온이 흡입된 외기와 함께 배출되도록 하는 가습 기능 겸용 음이온 발생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습기는 건조한 곳에 습기를 제공하여 실내 상태를 쾌적하게 유지하도록 습도 조절을 위해서 사용되는 장치이다. 가습기에는 수증기를 만들어 내는 방식에 따라, 물을 초음파로 진동시켜 미세 입자화하여 분무하는 초음파식, 가열에 의하여 물을 수증기화하여 분무하는 히터식, 초음파식과 히터식을 병행하는 복합식 등의 형태가 있다.
초음파식 가습기의 경우에는, 가습 시에 비산되는 입자의 크기가 커서 물의 입자가 실내에서 대류가 잘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가 있으며, 가열식 가습기의 경우에는, 전력소모가 크고 분무되는 수증기가 눈에 잘 보이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물을 일정한 온도까지 가열한 다음 초음파 진동자를 이용하여 증기화시켜서 배출하는 복합식 가습기가 출시되고 있다.
한편, 음이온은 혈액 중의 미네랄성분 등의 이온화율을 상승시켜서 알칼리 화시키는 혈액정화의 기능과, 세포막에서 전기적 물질교류를 촉진시켜 신진대사가 왕성하도록 유도하여 체내의 노폐물을 빠르게 배출시키는 세포활성화의 기능과, 혈청 중에 면역성분의 양을 증가시켜 저항력을 증가시키는 기능과, 혈액 또는 세포 또는 임파액 등을 활성화시키는 기능 등 유익한 기능을 구현하는 것으로 유해한 기체들을 분해하는데 아주 효과적이다.
하지만, 종래의 가습기는 단순히 물을 수증기로 기화시켜 분무시켜주는 역할만을 하고 있으므로, 가정이나 병실 등에서의 실내 습도 조절에는 용이하지만, 실내의 세균 및 오염물질제거는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위해 종래에는 인공적으로 공기 중에 음이온을 증대시키는 음이온 발생기를 별도로 설치하여 공기를 중화시켜 사용하고 잇었다. 이러한 경우에는 실내의 습도 조절과 공기 정화를 위해서는 가습기와 음이온 발생기를 각각 별도로 구비하여야 하기 때문에 구입비용이 많이 들고, 점유공간이 증가되며, 유지 관리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598942호 (발명의 명칭 : 폭포수 음이온 발생 가습기 겸용 선풍기, 2006. 07. 13. 공고)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원심력에 의해 물을 펌핑하여 분사함으로써, 분사된 물이 폭포수 효과에 의해 음이온이 발생되도록 하고, 미스트 형태의 물과 음이온이 흡입된 외기와 함께 배출되도록 하는 가습 기능 겸용 음이온 발생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가습 기능 겸용 음이온 발생기는 물을 저장하는 수조유닛; 상기 수조유닛의 상부에 지지되는 구동케이스; 상기 구동케이스에 구비되고, 외기가 상기 구동케이스를 통과하여 상기 수조유닛에 전달되었다가 상기 수조유닛에서 생성되는 음이온과 함께 외부로 배출되도록 상기 외기를 흡입하는 흡기팬; 원심력으로 상기 수조유닛에 저장된 물을 빨아올려 상기 수조유닛의 내측벽에 분사하는 물분사유닛; 및 상기 수조유닛의 내측벽에 구비되고, 상기 물분사유닛에서 분사되는 물의 충돌에 따라 상기 수조유닛의 내부에 상기 음이온을 생성하는 음이온발생유닛;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구동케이스는, 중공의 케이스바디; 상기 외기가 통과하도록 상기 케이스바디의 바닥을 형성하는 하부지지판; 상기 외기가 통과하도록 상기 케이스바디의 하단부에서 상기 케이스바디의 외주면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수조유닛의 상단부에 지지되는 케이스지지판; 상기 케이스지지판의 상측으로 이격되어 상기 케이스바디의 외주면에 돌출 형성되는 가이드날개; 및 상기 케이스바디의 천정을 형성하는 상부지지판;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바디와 상기 상부지지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는, 상기 흡기팬의 동작에 의해 상기 외기가 흡입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날개는, 탄성을 가지고 상하로 구부러진다.
여기서, 상기 물분사유닛은, 상기 구동케이스에 구비되고,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케이스의 하측에서 상기 구동모터와 결합되고,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력에 의해 생성되는 상기 원심력에 의해 상기 수조유닛에 저장된 물을 빨아올려 상기 수조유닛의 내측벽에 분사하는 분사판유닛; 및 상기 원심력에 의해 상기 수조유닛에 저장된 물이 상기 분사판유닛에 전달되도록 일측은 상기 수조유닛에 저장된 물에 침지되고, 타측은 상기 분사판유닛의 회전 중심에 연결되는 중공의 흡수관;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분사판유닛은, 상기 구동케이스의 하측에 구비되고, 상기 구동모터에 고정되는 제1분사판; 상기 제1분사판에 이격 배치되고, 상기 흡수관이 결합되는 제2분사판; 및 상기 제1분사판과 상기 제2분사판의 이격 상태를 유지시키는 간격부재;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간격부재는, 상기 제1분사판과 상기 제2분사판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간격돌부; 및 상기 간격돌부와 끼움 결합되도록 상기 제1분사판과 상기 제2분사판 중 다른 하나에 구비되는 간격홈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간격부재는, 상기 제1분사판과 상기 제2분사판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부재결합부; 상기 제1분사판과 상기 제2분사판 중 다른 하나에 구비되는 부재관통부; 상기 제1분사판과 상기 제2분사판 사이에 삽입되는 간격재; 및 상기 부재관통부를 통과하여 상기 부재결합부에 나사 결합되는 간격결합부재;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흡수관에는, 상기 분사판유닛의 회전에 따라 상기 수조유닛에 저장된 물을 끌어올리는 흡수나선부;가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습기능 겸용 음이온 발생기는 상기 흡수관의 일측 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관지지유닛;을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관지지유닛은, 상기 흡수관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관지지판; 및 상기 관지지판에서 돌출되어 상기 수조유닛의 바닥에 지지되는 판이격다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습 기능 겸용 음이온 발생기에 따르면, 원심력에 의해 물을 펌핑하여 분사함으로써, 분사된 물이 폭포수 효과에 의해 음이온이 발생되도록 하고, 미스트 형태의 물과 음이온이 흡입된 외기와 함께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조유닛에서 지지날개를 통해 구동케이스와, 흡기팬과 구동모터의 하중에 의해 수조유닛에서 구동케이스를 안정되게 지지하고, 수조유닛의 상부를 간편하게 개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구동케이스의 세부 구성을 통해 흡기팬과 구동모터를 안정되게 지지함은 물론 공기의 순환을 안정화시키고, 가습된 공기를 설치 공간에 안정되게 배출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이드날개의 세부 구성을 통해 가습된 공기의 배출을 안정화시키고, 가습된 공기의 배출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물분사유닛의 세부 구성을 통해 원심력에 의한 물의 펌핑을 안정화시키고, 물분사유닛에서 분사되는 물의 입자를 작게 하여 음이온발생유닛과의 충돌시 물의 입자가 원활하게 쪼개져 음이온 발생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분사판유닛의 세부 구성을 통해 제1분사판과 제2분사판 사이에 상대적인 음압이 발생되도록 하여 흡수관으로부터 물이 빨아올려지도록 하고, 빨아올려진 물이 수조유닛의 내측벽으로 안정되게 분사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간격부재의 세부 구성을 통해 물분사유닛의 결합을 간편하게 함은 물론 물분사유닛으로 물이 안정되게 흡입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간격부재의 세부 구성을 통해 물의 흡입을 위한 제1분사판과 제2분사판의 사이의 간격을 간편하게 조절하고, 물분사유닛에서 물의 분사량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흡수나선부를 통해 물분사유닛에서 발생되는 원심력에 의해 흡수관에서의 물의 상승 작용을 활성화시키고, 수조유닛의 물이 안정되게 물분사유닛에 공급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관지지유닛 및 관지지유닛의 세부 구성을 통해 구동모터에 의해 발생된 회전력에 따라 분사판유닛 및 흡수관의 유동을 방지함은 물론, 구동모터의 동작에 따른 소음을 최소화하고, 흡수관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 기능 겸용 음이온 발생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 기능 겸용 음이온 발생기에서 구동케이스의 하부 구조를 나타내는 평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 기능 겸용 음이온 발생기에서 분사판유닛을 도시한 분해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습 기능 겸용 음이온 발생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습 기능 겸용 음이온 발생기에서 분사판유닛을 구성하는 제1분사판의 평면도(a)과 제2분사판의 저면도(b)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습 기능 겸용 음이온 발생기에서 분사판유닛을 도시한 분해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습 기능 겸용 음이온 발생기에서 관지지유닛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가습 기능 겸용 음이온 발생기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때, 본 발명은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해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 생략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 기능 겸용 음이온 발생기는 수조유닛(10)과, 구동케이스(20)와, 흡기팬(30)과, 물분사유닛과, 음이온발생유닛(70)을 포함한다.
수조유닛(10)은 물을 저장한다. 수조유닛(10)에는 물이 저장되는 저수공간(101)이 형성된다. 수조유닛(10)의 상부에는 구동케이스(20)가 결합된다.
수조유닛(10)의 측면에는 물의 공급을 위한 급수구(11)가 구비되고, 급수구(11)에는 물의 공급 경로를 형성하는 급수라인(111)이 연결된다.
수조유닛(10)의 바닥에는 물의 배수를 위한 배수구(12)가 구비되고, 배수구(12)에는 물의 배수 경로를 형성하는 배수라인(121)이 연결된다.
수조유닛(10)의 상단부에는 구동케이스(20)의 하단부 가장자리를 지지하는 지지날개(13)가 구비될 수 있다.
구동케이스(20)는 수조유닛(10)의 상부에 지지된다.
구동케이스(20)는 케이스바디(21)와, 하부지지판(22)과, 케이스지지판(23)과, 가이드날개(24)와, 상부지지판(25)을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바디(21)는 상부와 하부가 개구된 중공의 함체로 이루어진다.
케이스바디(21)의 상부 둘레에는 외기가 흡입되는 흡입홀(미도시)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하부지지판(22)은 외기가 통과하도록 케이스바디(21)의 바닥을 형성한다.
하부지지판(22)에는 케이스바디(21)의 둘레를 따라 외기가 통과하는 송풍홀부(221)가 관통 형성된다. 송풍홀부(221)는 케이스바디(21)의 내부와 수조유닛(10)의 저수공간을 연통시켜 케이스바디(21)의 내부로 흡입된 외기가 수조유닛(10)의 저수공간(101)에 전달되도록 한다.
하부지지판(22)에는 물분사유닛에 포함되는 구동모터(40)의 구동축(41)이 통과하는 축통과부(222)가 관통 형성된다. 축통과부(222)는 구동축(41)과 동축을 이루도록 한다.
하부지지판(22)에는 축통과부(222)에 결합되어 물분사유닛에 포함되는 구동모터(40)의 구동축(41)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축지지베어링부(223)가 구비된다.
케이스지지판(23)은 외기가 통과하도록 케이스바디(21)의 하단부에서 케이스바디(21)의 외주면에 돌출 형성된다. 케이스지지판(23)의 가장자리는 수조유닛(10)의 상단부에 지지된다.
케이스지지판(23)에는 케이스바디(21)의 둘레를 따라 외기가 통과하는 배기홀부(231)가 관통 형성된다. 배기홀부(231)는 수조유닛(10)의 저수공간(101)과 외부를 연통시켜 수조유닛(10)의 저수공간(101)에 전달된 외기가 배출되도록 한다.
가이드날개(24)는 케이스지지판(23)의 상측으로 이격되어 케이스바디(21)의 외주면에 링 형상으로 돌출 형성된다. 가이드날개(24)는 케이스지지판(23)의 배기홀부(231)에서 배출되는 외기를 외부에 분산시킨다.
상부지지판(25)은 케이스바디(21)의 천정을 형성한다. 상부지지판(25)에는 외기가 흡입되는 흡입홀(미도시)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다른 표현으로, 케이스바디(21)와 상부지지판(25)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는 흡기팬(30)의 동작에 의해 외기가 흡입되는 흡입홀(미도시)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흡기팬(30)은 상부지지판(25)에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여기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케이스바디(21)와 하부지지판(22)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흡입홀(미도시)은 흡기팬(30)을 기준으로 구동케이스(20)의 상부에 구비되어 흡기팬(30)의 동작에 따라 흡입홀(미도시)에서 외기가 흡입되도록 한다.
흡기팬(30)은 구동케이스(20)의 상부지지판(25)에 구비된다. 여기서, 흡기팬(30)의 설치 위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구동케이스(20)의 내부로 외기를 흡입할 수 있으면, 충분하다.
흡기팬(30)은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외기를 흡입한다. 흡기팬(30)에서 흡입된 외기는 구동케이스(20)를 통과하여 수조유닛(10)의 저수공간(101)에 전달되었다가 수조유닛(10)의 저수공간(101)에서 생성되는 음이온과 함께 배기홀부(231)를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물분사유닛은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생성되는 원심력으로 수조유닛(10)에 저장된 물을 빨아올려 수조유닛(10)의 내측벽에 분사한다.
물분사유닛은 구동모터(40)와, 분사판유닛(50)과, 흡수관(60)을 포함할 수 있다.
구동모터(40)는 구동케이스(20)의 하부지지판(22)에 구비된다. 여기서, 구동모터(40)의 설치 위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구동케이스(20)의 내부에 구비되고, 수조유닛(10)의 내부에 구비되는 분사판유닛(50)을 회전시켜 분사판유닛(50)에서 원심력이 생성되도록 할 수 있으면, 충분하다.
구동모터(40)는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분사판유닛(50)의 회전을 위한 회전력을 발생시킨다. 구동모터(40)에는 회전력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축(41)이 구비된다.
분사판유닛(50)은 구동케이스(20)의 하측에서 수조유닛(10)의 내부에 구비된다. 분사판유닛(50)은 구동모터(40)와 결합된다. 분사판유닛(50)은 구동모터(40)의 회전력에 의해 생성되는 원심력으로 수조유닛(10)에 저장된 물을 빨아올려 수조유닛(10)의 내측벽에 분사한다.
분사판유닛(50)은 제1분사판(51)과, 제2분사판(52)과, 간격부재(5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분사판(51)은 구동케이스(20)의 하측에서 수조유닛(10)의 내부에 구비된다. 제1분사판(51)은 구동모터(40)에 고정되어 구동모터(40)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되도록 한다.
제1분사판(51)은 판 형상의 제1흡수판부(511)와, 제1흡수판부(511)의 회전 중심을 형성하여 구동모터(40)의 구동축(41)과 끼움 결합되는 축고정부(5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분사판(51)은 구동모터(40)의 구동축(41)에 축고정부(512)를 고정시키는 축결합부재(5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분사판(52)은 제1분사판(51)에서 이격 배치된다. 제2분사판(52)은 흡수관(60)이 결합된다.
제2분사판(52)은 제1흡수판부(511)와 마주보도록 이격 배치되는 판 형상의 제2흡수판부(521)와, 축고정부(512)와 동축을 이루어 흡수관(60)이 연결되는 물인입부(522)를 포함할 수 있다.
간격부재(53)는 제1분사판(51)과 제2분사판(52)의 이격 상태를 유지시킨다. 간격부재(53)는 제1분사판(51)에서 제2분사판(52)이 이격된 상태로 제1분사판(51)과 제2분사판(52)을 상호 결합시킨다.
간격부재(53)는 제1분사판(51)과 제2분사판(52)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간격돌부(531)와, 간격돌부(531)와 끼움 결합되도록 제1분사판(51)과 제2분사판(52) 중 다른 하나에 구비되는 간격홈부(532)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간격돌부(531)는 제1분사판(51)에서 돌출 형성되고, 간격홈부(532)는 간격돌부(531)에 대응하여 제2분사판(52)에 돌출 형성된 가이드돌부에 함몰 형성되어 제1분사판(51)과 제2분사판(52)의 이격 상태를 유지시키고 있다.
흡수관(60)은 분사판유닛(50)에서 생성되는 원심력에 의해 수조유닛(10)에 저장된 물이 분사판유닛(50)에 전달되도록 한다. 흡수관(60)은 분사판유닛(50)의 회전에 따라 원심력이 생성될 때, 수조유닛(10)에 저장된 물이 제1분사판(51)과 제2분사판(52) 사이의 이격공간으로 전달되는 경로를 형성한다.
흡수관(60)의 일측은 수조유닛(10)에 저장된 물에 침지되고, 흡수관(60)의 타측은 분사판유닛(50)의 회전 중심에 연결된다. 흡수관(60)의 타측은 제2분사판(52)의 물인입부(522)와 연결되어 수조유닛(10)에 저장된 물을 제1분사판(51)과 제2분사판(52) 사이의 이격공간에 공급할 수 있다.
음이온발생유닛(70)은 수조유닛(10)의 내측벽에 구비된다. 음이온발생유닛(70)은 물분사유닛의 분사판유닛(50)에서 분사되는 물의 충돌에 따라 수조유닛(10)의 내부에 음이온을 생성한다. 음이온발생유닛(70)은 분사판유닛(50)에서 분사되는 물이 충돌할 때, 폭포수 효과를 나타내어 음이온이 생성되도록 한다.
지금부터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 기능 겸용 음이온 발생기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흡기팬(30)이 동작되면, 흡입홀(미도시)을 통해 외기가 구동케이스(20)의 내부로 흡입되고, 구동케이스(20)의 내부로 흡입된 외기는 송풍홀부(221)를 통과하여 수조유닛(10)의 내부로 전달되었다가 수조유닛(10)의 내부에 생성된 음이온과 함께 배기홀부(231)를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여기서, 배기홀부(231)를 통과한 외기는 가이드날개(24)를 거치면서 외부에서 분산되도록 한다.
이때, 구동모터(40)가 동작되면, 분사판유닛(50)이 회전됨에 따라 분사판유닛(50)에 원심력이 생성되고, 제1분사판(51)과 제2분사판(52) 사이의 이격공간은 상대적으로 압력이 낮아지므로, 흡수관(60)을 통해 수조유닛(10)에 저장된 물을 빨아올릴 수 있다. 흡수관(60)을 통해 빨아올려진 물은 제1분사판(51)과 제2분사판(52) 사이의 이격공간에서 퍼지면서 수조유닛(10)의 내측벽으로 분사된다. 그리고 분사판유닛(50)에서 분사되는 물은 음이온발생유닛(70)에 충돌하면서 폭포수 효과를 나타냄으로써, 수조유닛(10)의 내부에 음이온을 생성한다.
이렇게 생성된 음이온은 수조유닛(10)에 전달되는 외기와 함께 배기홀부(231)를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분사판유닛(50)에서 분사되는 물은 음이온발생유닛(70)에 충돌하면서 미스트 형태로 쪼개지고, 미스트 형태의 물은 외기와 함께 배기홀부(231)를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외부를 가습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습 기능 겸용 음이온 발생기는 수조유닛(10)과, 구동케이스(20)와, 흡기팬(30)과, 물분사유닛과, 음이온발생유닛(70)을 포함한다.
수조유닛(10)은 물을 저장한다. 수조유닛(10)에는 물이 저장되는 저수공간(101)이 형성된다. 수조유닛(10)의 상부에는 구동케이스(20)가 결합된다.
수조유닛(10)의 측면에는 물의 공급을 위한 급수구(11)가 구비되고, 급수구(11)에는 물의 공급 경로를 형성하는 급수라인(111)이 연결된다.
수조유닛(10)의 바닥에는 물의 배수를 위한 배수구(12)가 구비되고, 배수구(12)에는 물의 배수 경로를 형성하는 배수라인(121)이 연결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수조유닛(10)의 바닥에는 후술하는 관지지유닛(80)이 결합 지지되는 저수홈부(14)가 구비될 수 있다. 저수홈부(14)는 수조유닛(10)의 바닥에서 함몰 형성되어 흡수관(60)을 통해 흡수되는 물을 확보할 수 있다. 이때, 저수홈부(14)에는 배수구(12)가 구비되어 수조유닛(10)에 저장된 물의 배출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구동케이스(20)는 수조유닛(10)의 상부에 지지된다.
구동케이스(20)는 케이스바디(21)와, 하부지지판(22)과, 케이스지지판(23)과, 가이드날개(24)와, 상부지지판(25)을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바디(21)는 상부와 하부가 개구된 중공의 함체로 이루어진다.
케이스바디(21)의 상부 둘레에는 외기가 흡입되는 흡입홀(미도시)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하부지지판(22)은 외기가 통과하도록 케이스바디(21)의 바닥을 형성한다.
하부지지판(22)에는 케이스바디(21)의 둘레를 따라 외기가 통과하는 송풍홀부(221)가 관통 형성된다. 송풍홀부(221)는 케이스바디(21)의 내부와 수조유닛(10)의 저수공간(101)을 연통시켜 케이스바디(21)의 내부로 흡입된 외기가 수조유닛(10)의 저수공간(101)에 전달되도록 한다.
하부지지판(22)에는 물분사유닛에 포함되는 구동모터(40)의 구동축(41)이 통과하는 축통과부(222)가 관통 형성된다. 축통과부(222)는 구동축(41)과 동축을 이루도록 한다.
하부지지판(22)에는 축통과부(222)에 결합되어 물분사유닛에 포함되는 구동모터(40)의 구동축(41)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축지지베어링부(223)가 구비된다.
케이스지지판(23)은 외기가 통과하도록 케이스바디(21)의 하단부에서 케이스바디(21)의 외주면에 돌출 형성된다. 케이스지지판(23)의 가장자리는 수조유닛(10)의 상단부에 지지된다.
케이스지지판(23)에는 케이스바디(21)의 둘레를 따라 외기가 통과하는 배기홀부(231)가 관통 형성된다. 배기홀부(231)는 수조유닛(10)의 저수공간(101)과 외부를 연통시켜 수조유닛(10)의 저수공간(101)에 전달된 외기가 배출되도록 한다.
가이드날개(24)는 케이스지지판(23)의 상측으로 이격되어 케이스바디(21)의 외주면에 돌출 형성된다. 가이드날개(24)는 케이스지지판(23)의 배기홀부(231)에서 배출되는 외기를 외부에 분산시킨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가이드날개(24)는 탄성을 가지고, 상하로 구부러짐으로써, 케이스지지판(23)의 배기홀부(231)에서 배출되는 외기가 외부에서 분산되는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상부지지판(25)은 케이스바디(21)의 천정을 형성한다. 상부지지판(25)에는 외기가 흡입되는 흡입홀(미도시)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다른 표현으로, 케이스바디(21)와 상부지지판(25)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는 흡기팬(30)의 동작에 의해 외기가 흡입되는 흡입홀(미도시)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흡기팬(30)은 상부지지판(25)에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여기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케이스바디(21)와 하부지지판(22)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흡입홀(미도시)은 흡기팬(30)을 기준으로 구동케이스(20)의 상부에 구비되어 흡기팬(30)의 동작에 따라 흡입홀(미도시)에서 외기가 흡입되도록 한다.
흡기팬(30)은 구동케이스(20)의 상부지지판(25)에 구비된다. 여기서, 흡기팬(30)의 설치 위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구동케이스(20)의 내부로 외기를 흡입할 수 있으면, 충분하다.
흡기팬(30)은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외기를 흡입한다. 흡기팬(30)에서 흡입된 외기는 구동케이스(20)를 통과하여 수조유닛(10)의 저수공간(101)에 전달되었다가 수조유닛(10)의 저수공간(101)에서 생성되는 음이온과 함께 배기홀부(231)를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물분사유닛은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생성되는 원심력으로 수조유닛(10)에 저장된 물을 빨아올려 수조유닛(10)의 내측벽에 분사한다.
물분사유닛은 구동모터(40)와, 분사판유닛(50)과, 흡수관(60)을 포함할 수 있다.
구동모터(40)는 구동케이스(20)의 하부지지판(22)에 구비된다. 여기서, 구동모터(40)의 설치 위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구동케이스(20)의 내부에 구비되고, 수조유닛(10)의 내부에 구비되는 분사판유닛(50)을 회전시켜 분사판유닛(50)에서 원심력이 생성되도록 할 수 있으면, 충분하다.
구동모터(40)는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분사판유닛(50)의 회전을 위한 회전력을 발생시킨다. 구동모터(40)에는 회전력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축(41)이 구비된다. 또한, 구동모터(40)에는 흡기팬(30)과 연결되는 연동축(42)이 구비될 수 있다. 연동축(42)은 구동축(41)과 동축으로 형성되고, 구동모터(40)에서 발생되는 회전력으로 흡기팬(30)을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 연동축(42)에는 구동모터(40)에서 발생되는 회전력을 조절하여 흡기팬(30)에 전달하는 회전력조절부(미도시)가 구비되어 외기의 흡입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
분사판유닛(50)은 구동케이스(20)의 하측에서 수조유닛(10)의 내부에 구비된다. 분사판유닛(50)은 구동모터(40)와 결합된다. 분사판유닛(50)은 구동모터(40)의 회전력에 의해 생성되는 원심력으로 수조유닛(10)에 저장된 물을 빨아올려 수조유닛(10)의 내측벽에 분사한다.
분사판유닛(50)은 제1분사판(51)과, 제2분사판(52)과, 간격부재(5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분사판(51)은 구동케이스(20)의 하측에서 수조유닛(10)의 내부에 구비된다. 제1분사판(51)은 구동모터(40)에 고정되어 구동모터(40)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되도록 한다.
제1분사판(51)은 판 형상의 제1흡수판부(511)와, 제1흡수판부(511)의 회전 중심을 형성하여 구동모터(40)의 구동축(41)과 끼움 결합되는 축고정부(5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분사판(51)은 구동모터(40)의 구동축(41)에 축고정부(512)를 고정시키는 축결합부재(5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분사판(52)은 제1분사판(51)에서 이격 배치된다. 제2분사판(52)은 흡수관(60)이 결합된다.
제2분사판(52)은 제1흡수판부(511)와 마주보도록 이격 배치되는 판 형상의 제2흡수판부(521)와, 축고정부(512)와 동축을 이루어 흡수관(60)이 연결되는 물인입부(52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흡수판부(521)와 마주보는 제1흡수판부(511)의 하부면과, 제1흡수판부(511)와 마주보는 제2흡수판부(521)의 상부면은 각각 분사판유닛(50)의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가장자리를 향해 상향 경사를 이루어 분사판유닛(50)에서 분사되는 물의 크기를 작게 하여 비산시킬 수 있고, 분사판유닛(50)에서 생성되는 원심력을 증대시켜 음이온발생유닛(70)에서 음이온의 생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제1흡수판부(511)의 상부면은 축고정부(512)로부터 가장자리를 향해 하향 경사를 이루어 송풍홀부(221)를 통과하는 외기를 배기홀부(231)로 안내할 수 있다. 또한, 제1흡수판부(511)의 상부면에는 제1바람날개(514)가 구비되어 분사판유닛(50)의 회전에 따라 외기를 배기홀부(231)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제2흡수판부(521)의 하부면은 분사판유닛(50)의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가장자리를 향해 상향 경사를 이루어 생성된 음이온의 저장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2흡수판부(521)의 하부면에는 제2바람날개(524)가 구비되어 분사판유닛(50)의 회전에 따라 음이온의 저장공간으로부터 음이온을 배기홀부(231)로 전달할 수 있다.
간격부재(53)는 제1분사판(51)과 제2분사판(52)의 이격 상태를 유지시킨다. 간격부재(53)는 제1분사판(51)에서 제2분사판(52)이 이격된 상태로 제1분사판(51)과 제2분사판(52)을 상호 결합시킨다.
간격부재(53)는 제1분사판(51)과 제2분사판(52)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부재결합부(533)와, 제1분사판(51)과 제2분사판(52) 중 다른 하나에 구비되는 부재관통부(534)와, 제1분사판(51)과 제2분사판(52) 사이에 삽입되는 간격재(535)와, 부재관통부(534)를 통과하여 부재결합부(533)에 나사 결합되는 간격결합부재(536)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부재결합부(533)는 제1분사판(51)의 하부면에 함몰 형성되고, 부재관통부(534)는 제2분사판(52)에 관통 형성되며, 간격재(535)는 부재결합부(533)와 부재관통부(534) 사이에 배치되고, 간격결합부재(536)는 제2분사판(52)에 지지된 상태에서 부재관통부(534)와 간격재(535)를 차례로 통과하여 부재결합부(533)에 나사 결합되도록 하고 있다. 이에 따라, 간격재(535)를 통해 제1분사판(51)과 제2분사판(52)의 이격 상태를 유지시키고 있다.
흡수관(60)은 분사판유닛(50)에서 생성되는 원심력에 의해 수조유닛(10)에 저장된 물이 분사판유닛(50)에 전달되도록 한다. 흡수관(60)은 분사판유닛(50)의 회전에 따라 원심력이 생성될 때, 수조유닛(10)에 저장된 물이 제1분사판(51)과 제2분사판(52) 사이의 이격공간으로 전달되는 경로를 형성한다.
흡수관(60)의 일측은 수조유닛(10)에 저장된 물에 침지되고, 흡수관(60)의 타측은 분사판유닛(50)의 회전 중심에 연결된다. 흡수관(60)의 타측은 제2분사판(52)의 물인입부(522)와 연결되어 수조유닛(10)에 저장된 물을 제1분사판(51)과 제2분사판(52) 사이의 이격공간에 공급할 수 있다.
흡수관(60)의 내벽에는 물분사유닛의 분사판유닛(50)의 회전에 따라 수조유닛(10)에 저장된 물을 끌어올리는 흡수나선부(61)가 구비될 수 있다. 흡수나선부(61)는 분사판유닛(50)이 회전에 따라 흡수관(60)이 회전될 때, 흡수관(60)에서 빨아올려지는 물을 지지하여 끌어올림으로써, 최소한의 원심력으로 수조유닛(10)에 저장된 물이 분사판유닛(50)의 제1분사판(51)과 제2분사판(52) 사이에 안정되게 공급되도록 하여 분사판유닛(50)에서 물 분사를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음이온발생유닛(70)은 수조유닛(10)의 내측벽에 구비된다. 음이온발생유닛(70)은 물분사유닛의 분사판유닛(50)에서 분사되는 물의 충돌에 따라 수조유닛(10)의 내부에 음이온을 생성한다. 음이온발생유닛(70)은 분사판유닛(50)에서 분사되는 물이 충돌할 때, 폭포수 효과를 나타내어 음이온이 생성되도록 한다.
음이온발생유닛(70)에는 수조유닛(10)의 내측벽으로부터 물분사유닛의 분사판유닛(50)을 향해 상향 경사를 이루는 발생경사부(71)가 구비될 수 있다. 발생경사부(71)는 분사판유닛(50)에서 분사되는 물이 충돌됨으로써, 음이온의 생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음이온발생유닛(70)에는 수조유닛(10)의 내측벽으로부터 물분사유닛의 분사판유닛(50)을 향해 하향 경사를 이루는 배출경사부(72)를 구비될 수 있다. 배출경사부(72)는 수조유닛(10)의 내부로 유입된 외기를 배기홀부(231)로 안내함으로써, 외기를 외부로 안정되게 배출시킬 수 있고, 소음을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습 기능 겸용 음이온 발생기는 관지지유닛(8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관지지유닛(80)은 수조유닛(10)에 저장된 물에 침지된 흡수관(60)의 일측 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관지지유닛(80)은 흡수관(60)이 회전될 때, 수조유닛(10)에 저장된 물에서 흡수관(60)의 유동을 억제 또는 방지하고, 흡수관(60)의 회전에 따른 소음을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다.
관지지유닛(80)은 흡수관(60)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관지지판(81)과, 관지지판(81)에서 돌출되어 수조유닛(10)의 바닥에 지지되는 둘 이상의 판이격다리(82)를 포함할 수 있다.
관지지판(81)에는 흡수관(60)이 통과하는 관통부(811)가 관통 형성된다. 관통부(811)는 구동축(41) 및 흡수관(60)과 동축을 이루도록 한다.
관지지판(81)에는 관통부(811)에 결합되어 흡수관(6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관지지베어링부(812)가 구비된다.
판이격다리(82)가 구비됨에 따라 관지지판(81)의 하부에는 물순환부(821)가 형성되어 흡수관(60)의 일측 단부가 수조유닛(10)에 저장된 물에 안정되게 침지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판이격다리(82)는 수조유닛(10)의 바닥에 구비되는 저수홈부(14)에 지지되어 흡수관(60)의 회전에 대응하여 수조유닛(10)에서 관지지유닛(80)의 유동을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다.
지금부터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습 기능 겸용 음이온 발생기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흡기팬(30)이 동작되면, 흡입홀(미도시)을 통해 외기가 구동케이스(20)의 내부로 흡입되고, 구동케이스(20)의 내부로 흡입된 외기는 송풍홀부(221)를 통과하여 수조유닛(10)의 내부로 전달된다. 수조유닛(10)의 내부로 전달된 외기는 분사판유닛(50)의 상부면과 음이온발생유닛(70)의 배출경사부(72)에 의해 배기홀부(231)로 안내되고, 수조유닛(10)의 내부에 생성된 음이온과 함께 배기홀부(231)를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여기서, 배기홀부(231)를 통과한 외기는 가이드날개(24)를 거치면서 외부에서 분산되도록 한다.
이때, 구동모터(40)가 동작되면, 분사판유닛(50)이 회전됨에 따라 분사판유닛(50)에 원심력이 생성되고, 제1분사판(51)과 제2분사판(52) 사이의 이격공간은 상대적으로 압력이 낮아지므로, 흡수관(60)을 통해 수조유닛(10)에 저장된 물을 빨아올릴 수 있다. 흡수관(60)을 통해 빨아올려진 물은 제1분사판(51)과 제2분사판(52) 사이의 이격 공간에서 퍼지면서 수조유닛(10)의 내측벽으로 분사된다. 여기서, 흡수관(60)의 내벽에는 흡수나선부(61)가 구비되므로, 흡수관(60)에서 수조유닛(10)에 저장된 물을 안정되게 빨아올릴 수 있다.
그리고 분사판유닛(50)에서 분사되는 물은 음이온발생유닛(70)에 충돌하면서 폭포수 효과를 나타냄으로써, 수조유닛(10)의 내부에 음이온을 생성한다.
이렇게 생성된 음이온은 분사판유닛(50)의 회전에 따라 배기홀부(231)로 안내되고, 수조유닛(10)에 전달되는 외기와 함께 배기홀부(231)를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분사판유닛(50)에서 분사되는 물은 음이온발생유닛(70)에 충돌하면서 미스트 형태로 쪼개지고, 미스트 형태의 물은 외기와 함께 배기홀부(231)를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외부를 가습할 수 있다.
상술한 가습 기능 겸용 음이온 발생기에 따르면, 원심력에 의해 물을 펌핑하여 분사함으로써, 분사된 물이 폭포수 효과에 의해 음이온이 발생되도록 하고, 미스트 형태의 물과 음이온이 흡입된 외기와 함께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수조유닛(10)에서 지지날개(13)를 통해 구동케이스(20)와, 흡기팬(30)과, 구동모터(40)의 하중에 의해 수조유닛(10)에서 구동케이스(20)를 안정되게 지지하고, 수조유닛(10)의 상부를 간편하게 개폐할 수 있다.
또한, 구동케이스(20)의 세부 구성을 통해 흡기팬(30)과 구동모터(40)를 안정되게 지지함은 물론 공기의 순환을 안정화시키고, 가습된 공기를 설치 공간에 안정되게 배출시킬 수 있다.
또한, 가이드날개(24)의 세부 구성을 통해 가습된 공기의 배출을 안정화시키고, 가습된 공기의 배출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물분사유닛의 세부 구성을 통해 원심력에 의한 물의 펌핑을 안정화시키고, 물분사유닛에서 분사되는 물의 입자를 작게 하여 음이온발생유닛(70)과의 충돌시 물의 입자가 원활하게 쪼개져 음이온 발생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분사판유닛(50)의 세부 구성을 통해 제1분사판(51)과 제2분사판(52) 사이에 상대적인 음압이 발생되도록 하여 흡수관(60)으로부터 물이 빨아올려지도록 하고, 빨아올려진 물이 수조유닛(10)의 내측벽으로 안정되게 분사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간격부재(53)의 세부 구성을 통해 물분사유닛의 결합을 간편하게 함은 물론 물분사유닛으로 물이 안정되게 흡입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간격부재(53)의 세부 구성을 통해 물의 흡입을 위한 제1분사판(51)과 제2분사판(52)의 사이의 간격을 간편하게 조절하고, 물분사유닛에서 물의 분사량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흡수나선부(61)를 통해 물분사유닛에서 발생되는 원심력에 의해 흡수관(60)에서의 물의 상승 작용을 활성화시키고, 수조유닛(10)의 물이 안정되게 물분사유닛에 공급되도록 한다.
또한, 관지지유닛(80) 및 관지지유닛(80)의 세부 구성을 통해 구동모터(40)에 의해 발생된 회전력에 따라 분사판유닛(50) 및 흡수관(60)의 유동을 방지함은 물론, 구동모터(40)의 동작에 따른 소음을 최소화하고, 흡수관(6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경시킬 수 있다.
10: 수조유닛 11: 급수구 111: 급수라인
12: 배수구 121: 배수라인 13: 지지날개
14: 저수홈부 20: 구동케이스 21: 케이스바디
22: 하부지지판 221: 송풍홀부 222: 축통과부
223: 축지지베어링부 23: 케이스지지판 231: 배기홀부
24: 가이드날개 25: 상부지지판 30: 흡기팬
40: 구동모터 41: 구동축 42: 연동축
50: 분사판유닛 51: 제1분사판 511: 제1흡수판부
512: 축고정부 513: 축결합부재 514: 제1바람날개
52: 제2분사판 521: 제2흡수판부 522: 물인입부
524: 제2바람날개 53: 간격부재 531: 간격돌부
532: 간격홈부 533: 부재결합부 534: 부재관통부
535: 간격재 536: 간격결합부재 60: 흡수관
61: 흡수나선부 70: 음이온발생유닛 71: 발생경사부
72: 배출경사부 80: 관지지유닛 81: 관지지판
811: 관통부 812: 관지지베어링부 82: 판이격다리
821: 물순환부

Claims (10)

  1. 물을 저장하는 수조유닛;
    상기 수조유닛의 상부에 지지되는 구동케이스;
    상기 구동케이스에 구비되고, 외기가 상기 구동케이스를 통과하여 상기 수조유닛에 전달되었다가 상기 수조유닛에서 생성되는 음이온과 함께 외부로 배출되도록 상기 외기를 흡입하는 흡기팬;
    원심력으로 상기 수조유닛에 저장된 물을 빨아올려 상기 수조유닛의 내측벽에 분사하되, 상기 구동케이스에 구비되고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케이스의 하측에서 상기 구동모터와 결합되고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력에 의해 생성되는 상기 원심력에 의해 상기 수조유닛에 저장된 물을 빨아올려 상기 수조유닛의 내측벽에 분사하는 분사판유닛과, 상기 원심력에 의해 상기 수조유닛에 저장된 물이 상기 분사판유닛에 전달되도록 일측은 상기 수조유닛에 저장된 물에 침지되고 타측은 상기 분사판유닛의 회전 중심에 연결되는 중공의 흡수관을 포함하는 물분사유닛;
    상기 수조유닛의 내측벽에 구비되고, 상기 물분사유닛에서 분사되는 물의 충돌에 따라 상기 수조유닛의 내부에 상기 음이온을 생성하는 음이온발생유닛; 및
    상기 흡수관의 일측 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관지지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분사판유닛은,
    상기 구동케이스의 하측에 구비되고, 상기 구동모터에 고정되는 제1분사판;
    상기 제1분사판에 이격 배치되고, 상기 흡수관이 결합되는 제2분사판; 및
    상기 제1분사판과 상기 제2분사판의 이격 상태를 유지시키는 간격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관지지유닛은,
    상기 흡수관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관지지판; 및
    상기 관지지판에서 돌출되어 상기 수조유닛의 바닥에 지지되는 판이격다리;를 포함하고,
    상기 관지지판에는, 상기 흡수관이 통과하는 관통부;가 관통 형성되며,
    상기 수조유닛의 바닥에는, 상기 판이격다리가 지지되는 저수홈부;가 구비되고,
    상기 판이격다리가 상기 저수홈부에 지지됨에 따라 상기 관지지판의 하부에는 물순환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 기능 겸용 음이온 발생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케이스는,
    중공의 케이스바디;
    상기 외기가 통과하도록 상기 케이스바디의 바닥을 형성하는 하부지지판;
    상기 외기가 통과하도록 상기 케이스바디의 하단부에서 상기 케이스바디의 외주면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수조유닛의 상단부에 지지되는 케이스지지판;
    상기 케이스지지판의 상측으로 이격되어 상기 케이스바디의 외주면에 돌출 형성되는 가이드날개; 및
    상기 케이스바디의 천정을 형성하는 상부지지판;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바디와 상기 상부지지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는, 상기 흡기팬의 동작에 의해 상기 외기가 흡입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 기능 겸용 음이온 발생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날개는,
    탄성을 가지고 상하로 구부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 기능 겸용 음이온 발생기.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부재는,
    상기 제1분사판과 상기 제2분사판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간격돌부; 및
    상기 간격돌부와 끼움 결합되도록 상기 제1분사판과 상기 제2분사판 중 다른 하나에 구비되는 간격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 기능 겸용 음이온 발생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부재는,
    상기 제1분사판과 상기 제2분사판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부재결합부;
    상기 제1분사판과 상기 제2분사판 중 다른 하나에 구비되는 부재관통부;
    상기 제1분사판과 상기 제2분사판 사이에 삽입되는 간격재; 및
    상기 부재관통부를 통과하여 상기 부재결합부에 나사 결합되는 간격결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 기능 겸용 음이온 발생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관에는,
    상기 분사판유닛의 회전에 따라 상기 수조유닛에 저장된 물을 끌어올리는 흡수나선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 기능 겸용 음이온 발생기.
  9. 삭제
  10. 삭제
KR1020190021098A 2019-02-22 2019-02-22 가습 기능 겸용 음이온 발생기 KR1020439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1098A KR102043924B1 (ko) 2019-02-22 2019-02-22 가습 기능 겸용 음이온 발생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1098A KR102043924B1 (ko) 2019-02-22 2019-02-22 가습 기능 겸용 음이온 발생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3924B1 true KR102043924B1 (ko) 2019-11-12

Family

ID=685772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1098A KR102043924B1 (ko) 2019-02-22 2019-02-22 가습 기능 겸용 음이온 발생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392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37552A (zh) * 2020-05-20 2020-09-08 浙江维度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纳米水离子发生装置及其自适应控制系统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00238A (ja) * 1998-04-20 1999-11-02 Nec Home Electron Ltd 微細水滴発生装置
KR20020090624A (ko) * 2001-05-28 2002-12-05 이용백 습식 음이온 공기청정기
KR20040024506A (ko) * 2002-09-12 2004-03-20 에코트로닉스(주) 유지보수가 용이한 음이온 발생장치
KR100598942B1 (ko) 2004-09-06 2006-07-13 주식회사 엔아이티 폭포수 음이온 발생 가습기 겸용 선풍기
KR100640727B1 (ko) * 2004-11-08 2006-11-01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습식 음이온 발생장치가 구비된 공기청정기
JP2011089676A (ja) * 2009-10-21 2011-05-06 Corona Corp ナノミストとマイナスイオン発生装置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00238A (ja) * 1998-04-20 1999-11-02 Nec Home Electron Ltd 微細水滴発生装置
KR20020090624A (ko) * 2001-05-28 2002-12-05 이용백 습식 음이온 공기청정기
KR20040024506A (ko) * 2002-09-12 2004-03-20 에코트로닉스(주) 유지보수가 용이한 음이온 발생장치
KR100598942B1 (ko) 2004-09-06 2006-07-13 주식회사 엔아이티 폭포수 음이온 발생 가습기 겸용 선풍기
KR100640727B1 (ko) * 2004-11-08 2006-11-01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습식 음이온 발생장치가 구비된 공기청정기
JP2011089676A (ja) * 2009-10-21 2011-05-06 Corona Corp ナノミストとマイナスイオン発生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37552A (zh) * 2020-05-20 2020-09-08 浙江维度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纳米水离子发生装置及其自适应控制系统
CN111637552B (zh) * 2020-05-20 2021-05-14 浙江维度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纳米水离子发生装置及其自适应控制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9119685A (ja) ヒータ式超音波加湿器
CN103261803B (zh) 浴室干燥机
US8070138B2 (en) Sauna apparatus
KR20160012796A (ko) 가습청정기
KR101403960B1 (ko) 자연 기화 가습기
KR100990679B1 (ko) 천장매립형 기화식 가습기
KR102425844B1 (ko) 청정기
KR102054286B1 (ko) 회전형 가습필터를 구비하는 가습기
KR102043924B1 (ko) 가습 기능 겸용 음이온 발생기
KR20090048240A (ko) 천정 부착형 가습기
KR19990087226A (ko) 공기 가습 및 공기 세정을 위한 장치.
JP2011058728A (ja) 液体微細化ユニットおよび液体微細化装置とそれを用いたサウナ装置
CN211084332U (zh) 一种高加湿量的加湿结构及加湿设备
KR101261157B1 (ko) 하방향 수증기 배출 방식의 초음파 가습기
JP2004101123A (ja) 加湿機
JP2011033293A (ja) 空気調和機
KR101902788B1 (ko) 피스톤 운동을 이용한 기화식 가습기
JP2016188723A (ja) 加湿空調システム
KR20130055187A (ko) 가습 장치
KR20170040162A (ko) 가습청정기
JP2008064433A (ja) 加湿装置
JP2014188023A (ja) 液体微細化装置及びサウナ装置
KR20170040161A (ko) 가습청정기
WO2019188534A1 (ja) 液体微細化装置
KR20130063351A (ko) 유도 가열 방식 가습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