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1559Y1 - 편백향을 방출하는 가습기 - Google Patents
편백향을 방출하는 가습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91559Y1 KR200491559Y1 KR2020190002556U KR20190002556U KR200491559Y1 KR 200491559 Y1 KR200491559 Y1 KR 200491559Y1 KR 2020190002556 U KR2020190002556 U KR 2020190002556U KR 20190002556 U KR20190002556 U KR 20190002556U KR 200491559 Y1 KR200491559 Y1 KR 200491559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pace
- cypress
- water
- fountain
- groov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1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forming water dispersions in the air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61L9/013—Deodorant compositions containing animal or plant extracts, or vegetable material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5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odorisation
-
- F24F2003/1689—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3—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using a decorative fountai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8—Air-humidifier with water reservoir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
- Y02B30/8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pidem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Zoology (AREA)
- Botany (AREA)
- Special Spraying Apparatu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인테리어 기능 및 가습기능을 할 수 있는 가습기에 관련되는 기술로서, 오목한 빈 공간을 갖되, 격벽에 의해 제1공간과 제2공간으로 구분되고 상기 제2공간을 이루는 외면에는 복수의 배출홀이 형성되는 몸체; 상기 제1공간에 삽입되는 물저장조; 상기 몸체 상면을 덮도록 설치되는 덮개; 상기 덮개 위에 결합되며, 상면으로부터 오목한 홈이 형성되고, 상기 홈의 바닥부에 상기 제1공간 내부로 연통되게 형성되는 복수의 관통구를 갖는 분수대; 상기 홈에 삽입되며 복수의 배수구멍이 형성되고 편백큐브들이 담기게 되는 큐브용기; 상기 관통구 중 어느 하나에 끼워져 설치되되, 하단에 수중펌프가 결합되고 상단에는 분출량을 조절하는 조절레버가 형성되어 상기 물저장조에 담긴 물을 끌어올려 분출되게 하는 분수장치; 상기 분수대의 홈에 설치되며 초음파진동을 이용하여 안개를 만드는 무화장치; 상기 제2공간에 투입되는 다수의 편백조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백향을 방출하는 가습기이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인테리어 기능 및 가습기능을 할 수 있는 가습기에 관련되는 기술이다.
가습기는 실내에 적당한 습도를 유지시켜 호흡장애 및 질병을 예방할 수 있는 동시에 쾌적한 실내분위기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 주로 병원이나 건조한 실내에 설치되어 사용된다.
이러한 가습기는 습도를 조절하기 위한 장치구조로서 다양한 형태로 구성되어 제공되고 있는데, 그 종류로는 원심분무식(遠心噴霧式:흡입한 물을 원심력으로 날려서 부딪치게 하여 입자화한다) 가습기, 초음파 가습기, 전열식(電熱式) 가습기, 필터기화식 가습기 등이 있다.
상기한 가습기 중에서도 최근에는 전열식 가습기가 가장 널리 보급되어 사용되고 있는데, 상기 전열식 가습기는 물을 전열에 의해 가열시켜 수증기를 발생하게 됨에 따라 전기소모가 큰 단점이 있어 주로 겨울철 이외에는 잘 사용이 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최소한의 전력으로 가습이 가능한 가습기의 필요성이 대두되는데, 이같은 요구조건을 충족시키기 위한 구성으로서 실내에 배치되는 도자기에 가습장치를 구성하여 심미감의 제공과 진동자 내구성의 확보, 그리고 가습의 기능을 동시에 충족할 수 있도록 구성된 고안이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출원 제 1993-12416호가 제안된 바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가습 분수기의 분해사시도를 보여준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서는 수중모터(2)가 내설된 수장부(4) 상부에 원판(6)을 안치하고 지지구(8)에 진동자(10)와 연결관(12)을 내설하되 연결관(12)을 수중모터(2)의 연결관(12)과 결합하고 지지구(8)를 원판(6)의 통공(14)상부에 안치한 가습 분수도자 기에 있어서, 수중모터(2)의 상부 연결관(12)에 물감지스위치(16)를 설치하고, 전자장치부(18)에 타이머(20)를 설치하여 물감지스위치(16)와 타이머(20)의 신호에 의하여 제어부(22)가 전원장치부(24)의 전원을 제어하고 전원장치부(24)의 전원을 변압기(26)를 거쳐 시간지연부(28)에서 지연을 한다음 발진부(30)를 통하여 진동자(10)로 인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도자기형 가습기는 진동자의 내구성을 확보하면서 가습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기는 하나, 그 구성이 매우 복잡하여 제조원가가 상승하며 시각적으로 보여지는 형상은 단순한 도자기의 형태만이 보여지게 됨에 따라, 가습기의 기능 이외에 사용자에게 특별히 심미감을 제공할 수 있는 수단이 없어 다양한 변화와 볼거리를 선호하는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소비자들에게 보다 큰 선택의 폭과 만족감 및 가습기능 외의 다양한 유익함을 제공할 수 있는 고품질의 편백향을 방출하는 가습기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 고안의 과제 달성을 위한 방안으로서, 오목한 빈 공간을 갖되, 격벽에 의해 제1공간과 제2공간으로 구분되고 상기 제2공간을 이루는 외면에는 복수의 배출홀이 형성되는 몸체; 상기 제1공간에 삽입되는 물저장조; 상기 몸체 상면을 덮도록 설치되는 덮개; 상기 덮개 위에 결합되며, 상면으로부터 오목한 홈이 형성되고, 상기 홈의 바닥부에 상기 제1공간 내부로 연통되게 형성되는 복수의 관통구를 갖는 분수대; 상기 홈에 삽입되며 복수의 배수구멍이 형성되고 편백큐브들이 담기게 되는 큐브받침; 상기 관통구 중 어느 하나에 끼워져 설치되되, 하단에 수중펌프가 결합되고 상단에는 분출량을 조절하는 조절레버가 형성되어 상기 물저장조에 담긴 물을 끌어올려 분출되게 하는 분수장치; 상기 분수대의 홈에 설치되며 초음파진동을 이용하여 안개를 만드는 무화장치; 상기 제2공간에 투입되는 다수의 편백조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백향을 방출하는 가습기를 개시한다.
그리고 상기 덮개에는 상기 제1공간으로 연통되게 개구되는 제1보충홀과 상기 제2공간으로 연통되게 개구되는 제2보충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분수장치는, 길다란 중공관과, 상기 중공관 하단에 결합되는 수중펌프와, 상기 중공관 상단에 연결되는 조절레버와, 상기 조절레버 하방으로 상기 중공관에 결합되는 물받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분수대는, 편백나무편을 집성하여 가공한 것이며, 상기 물받이는 원판상이되, 상기 중공관에 편심되게 결합되고, 상기 물받이 하부에 상기 무화장치가 위치되고, 상기 제1보충홀과 상기 제2보충홀에는 식물을 심을 수 있는 마개겸화분이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한 편백향을 방출하는 가습기는 기본 소재를 편백나무를 사용함으로써 가습기능외에 편백향을 반영구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사용자들에게 보다 다양한 볼거리와 활용 가능성을 제공함으로써 만족도를 높여줄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가습 분수기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편백향을 방출하는 가습기의 사시도.
도 3은 분수대에 분수장치가 설치되는 경우의 예시도.
도 4는 도 2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분수장치 및 무화장치의 설치 예시도.
도 6은 관통구의 형성 예시도.
도 7은 제2공간에 편백조각이 투입된 예시도.
도 8은 분수장치를 구성하는 수중펌프의 설치 예시도.
도 9는 또 다른 형태의 큐브받침을 보여주는 예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편백향을 방출하는 가습기의 사시도.
도 3은 분수대에 분수장치가 설치되는 경우의 예시도.
도 4는 도 2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분수장치 및 무화장치의 설치 예시도.
도 6은 관통구의 형성 예시도.
도 7은 제2공간에 편백조각이 투입된 예시도.
도 8은 분수장치를 구성하는 수중펌프의 설치 예시도.
도 9는 또 다른 형태의 큐브받침을 보여주는 예시도.
이하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본 기술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하며,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편백향을 방출하는 가습기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분수대에 분수장치가 설치되는 경우의 예시도이며, 도 4는 도 2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분수장치 및 무화장치의 설치 예시도이며, 도 6은 관통구의 형성 예시도이며, 도 7은 제2공간에 편백조각이 투입된 예시도이고, 도 8은 분수장치를 구성하는 수중펌프의 설치 예시도이고, 도 9는 또 다른 형태의 큐브받침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시된 것처럼, 본 고안의 편백향을 방출하는 가습기는 기본적으로 실내에 설치되어 가습기로 사용되는 것이며, 더불어 조명, 인테리어, 방향 기능 등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고안의 가습기를 이루는 구성요소로는 몸체(100), 물저장조(200), 덮개(300), 분수대(400), 큐브받침(500), 분수장치(600), 무화장치(700), 편백조각(80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몸체(100)는 직육면체의 박스와 같은 형상을 이루는 것으로 하며, 오목한 빈 공간이 형성되는데, 격벽(101)에 의해 제1공간(110)과 제2공간(120)으로 구분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몸체(100) 자체를 편백나무를 이용하여 제작하도록 하였으며, 격벽(101)에 의해 구분되는 제1공간(110)과 제2공간(120) 중 제1공간(110)이 제2공간(120) 보다 크도록 한다.
특히, 제2공간(120)을 이루는 몸체(100)의 외면에는 복수의 배출홀(121)이 형성되며, 제2공간(120)에는 다수의 편백조각(800)들이 투입된다. 편백조각(800)은 특별히 그 형상이 특정될 필요는 없으며, 길다란 막대형상이나 큐브 형상일 수 있으며, 편백조각(800)은 물에 함침되게 한 후 사용하거나 사용 중 물을 투입시켜서 배출홀(121)을 통해 편백향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제1공간(110)에는 소정량의 물이 담기는 물저장조(200)가 설치되며, 몸체(100) 상면에 덮개(300)가 설치된다.
특히, 덮개(300)에는 제1공간(110)으로 연통되게 개구되는 제1보충홀(310)과 제2공간(120)으로 연통되는 제2보충홀(320)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제1보충홀(310)을 통해서 물저장조(200)로 물을 공급할 수 있으며, 제2보충홀(320)을 통해서도 물을 뿌려서 내장된 편백조각(800)들에 물이 함침되게 할 수 있다. 즉, 물 보충을 위해 매번 덮개(300)를 여닫지 않도록 함으로써 사용상의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덮개(300) 또한 편백나무를 이용하여 제작할 수 있다.
한편, 제1보충홀(310)과 제2보충홀(320)은 인테리어 효과를 배가할 수 있는 소형 마개겸화분(330)을 올려두는 용도로도 활용할 수 있으며, 마개겸화분(330)에는 다육식물과 같은 작은 식물을 심어 키울 수 있고, 물 보충을 하고자 할 때에는 마개겸화분(330)을 제거함으로써 제1보충홀(310) 및 제2보충홀(320)이 오픈되게 하면 된다.
마개겸화분(330)이 제1보충홀(310) 및 제2보충홀(320)에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마개겸화분(330)의 하단 외면 일부가 제1보충홀(310) 및 제2보충홀(320) 내경 속으로 끼워질 수 있도록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덮개(300) 위 대략 중간부위에 분수대(400)가 설치되는데, 분수대(400)는 상면이 오목하게 함몰되어 홈(410)이 형성되는 항아리 형상을 이룰 수 있으며, 분수대의 외형은 그 외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분수대(400)의 상면으로부터 오목하게 형성되는 홈(410)은 소정의 깊이와 내경을 갖도록 가공된 것이며, 홈(410)의 바닥부에는 복수의 관통구(420)가 상하로 형성되는데, 이들 관통구(420)는 제1공간(110) 내부로 연통되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3개의 관통구(420)가 홈(410)의 바닥부에 형성되게 하며, 제1관통구(420a)는 후술될 분수장치(600)의 중공관(610)이 설치되는 곳이며, 제2관통구(420b)는 물이 제1공간(110)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곳이며, 제3관통구(420c)는 후술될 무화장치(700)로 전기공급을 위한 전선이 배설되는 곳이다.
한편, 본 고안의 분수대(400)는 편백나무를 이용하여 제작되도록 하며, 방수 및 갈라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자 편백나무편을 집성하여 가공한 것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편백나무로 분수대를 만들기 위해 소정규격의 직사각 단면상의 편백나무편들을 집성한 후 외관 가공후 홈 가공을 하여 제작하도록 한다.
그리고 바람직하게 관통구(420)에는 합성수지재의 튜브(421)를 끼워서 관통구(42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분수대(400)의 홈(410)에는 편백큐브(C)를 담을 수 있는 큐브받침(500)이 삽입되게 하는데, 큐브받침(500)에는 복수의 배수구멍(510)이 형성되어 분수장치(600)에 의해 끌어올려진 물이 다시 제1공간(110)으로 배수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큐브받침(500)은 오목한 그릇형상이거나 판상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큐브받침 위에 복수의 편백큐브(C)를 적당량 담아둘 수 있도록 하며, 편백큐브(C)에 물이 적셔짐으로써 편백향이 자연스럽게 방출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큐브받침(500)에는 배수구멍(510)들이 형성되기 때문에 분출된 물이 편백큐브(C)를 적신 후 배수구멍(510)을 통해 하방으로 빠질 수 있도록 한다.
도 5에서는 큐브받침으로 오목한 용기 형상인 경우를 보여주는 것이며, 도 9는 큐브받침으로 판상 형태인 경우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그리고 바람직하게 큐브받침(500)에는 배수구멍(510) 외에 후술될 초음파진동자설치대(710)의 설치를 위한 상하 관통되는 장착구(520)가 형성되도록 하며, 장착구(520)를 통해 초음파진동자설치대(710)를 꽂아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도록 한다.
분수대(400)에 설치되는 분수장치(600)는 길다란 중공관(610)과 중공관(610) 하단에 결합되는 수중펌프(620), 중공관(610) 상단에 연결되는 조절레버(630) 그리고 조절레버(630) 하측에 중공관(610)에 끼워져 결합되는 물받이(640)로 이루어진다.
중공관(610)이 제1관통구(420a)에 끼워져 덮개(300)를 관통하여 제1공간(110) 속으로 향하게 되며, 중공관(610) 하단에 결합되는 수중펌프(620)는 제1공간(110)에 채워지는 물속에 잠긴 채 물을 펌핑하게 된다. 수중펌프(620)에 의해 펌핑되는 물은 중공관(610)을 따라 상승하여 중공관(610) 상단을 통해 분출되는데, 이때 분출되는 물의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중공관(610) 상단에 조절레버(630)가 마련되게 한다.
그리고 중공관(610)에는 물받이(640)가 더 결합되는데, 물받이(640)의 설치 위치는 조절레버(630) 하측에 배치되고, 바람직하게 물받이(640)는 원판상의 형상을 이루되 물받이(640) 일측 가장자리에 끼움홀(641)을 뚫어 중공관(610)에 편심되게 결합되게 한다.
한편, 분수대(400)의 홈(410) 속에 무화장치(700)가 설치되는데, 무화장치(700)는 초음파진동자를 이용하여 안개가 형성되게 하는 것이며, 무화장치(700)는 물받이(640) 하방에 위치되게 한다.
무화장치(700)의 설치를 위해 초음파진동자 설치대(710)를 마련하도록 하며, 홈(410) 바닥 일측에 초음파진동자 설치대(710)의 하단을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안착홈(430)을 두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초음파진동자 설치대(710) 상단면은 오목하게 함몰되어 초음파진동자(720)가 놓여질 수 있도록 하고, 초음파진동자(720)로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전선은 제3관통구(420c)를 통해 배선되게 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편백향을 방출하는 가습기는 분수장치(600)에 의해 물이 상방으로 끌어올려져 분출되며, 동시에 무화장치(700)에 의해 형성되는 안개(수증기)로 인해 효과적인 가습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특히 분수장치(600)에 의해 물이 중공관(610)을 따라 상승된 후 조절레버(630)의 조작에 의해 360도 방향으로 고르게 낙하되고, 이때 무화장치(700)에 의해 생성된 안개가 우산 형태로 분출되어 낙하되는 물속에 갇히면서 단속적으로 동시에 분출되어 독특한 분위기를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본 고안에서는 편백나무를 주재료로 하여 편백향이 자연스럽게 방출되게 함으로써 사용자들에게 큰 만족감을 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고안은 다목적 가습기로 활용될 수 있는 기술이다.
100 : 몸체 101 : 격벽
110 : 제1공간 120 : 제2공간
121 : 배출홀
200 : 물저장조
300 : 덮개 310 : 제1보충홀
320 : 제2보충홀 330 : 마개겸화분
400 : 분수대 410 : 홈
420 : 관통구 420a: 제1관통구
420b: 제2관통구 420c: 제3관통구
421 : 튜브 430 : 안착홈
500 : 큐브받침 510 : 배수구멍
520 : 장착구
600 : 분수장치 610 : 수중펌프
630 : 조절레버 640 : 물받이
641 : 끼움홀
700 : 무화장치 710 : 초음파진동자 설치대
720 : 초음파진동자
800 : 편백조각
C : 편백큐브
110 : 제1공간 120 : 제2공간
121 : 배출홀
200 : 물저장조
300 : 덮개 310 : 제1보충홀
320 : 제2보충홀 330 : 마개겸화분
400 : 분수대 410 : 홈
420 : 관통구 420a: 제1관통구
420b: 제2관통구 420c: 제3관통구
421 : 튜브 430 : 안착홈
500 : 큐브받침 510 : 배수구멍
520 : 장착구
600 : 분수장치 610 : 수중펌프
630 : 조절레버 640 : 물받이
641 : 끼움홀
700 : 무화장치 710 : 초음파진동자 설치대
720 : 초음파진동자
800 : 편백조각
C : 편백큐브
Claims (4)
- 오목한 빈 공간을 갖되, 격벽에 의해 제1공간과 제2공간으로 구분되고 상기 제2공간을 이루는 외면에는 복수의 배출홀이 형성되는 몸체;
상기 제1공간에 삽입되는 물저장조;
상기 몸체 상면을 덮도록 설치되는 덮개;
상기 덮개 위에 결합되며, 상면으로부터 오목한 홈이 형성되고, 상기 홈의 바닥부에 상기 제1공간 내부로 연통되게 형성되는 복수의 관통구를 갖는 분수대;
상기 홈에 삽입되며 복수의 배수구멍이 형성되고 편백큐브들이 담기게 되는 큐브받침;
상기 관통구 중 어느 하나에 끼워져 설치되되, 하단에 수중펌프가 결합되고 상단에는 분출량을 조절하는 조절레버가 형성되어 상기 물저장조에 담긴 물을 끌어올려 분출되게 하는 분수장치;
상기 분수대의 홈에 설치되며 초음파진동을 이용하여 안개를 만드는 무화장치;
상기 제2공간에 투입되는 다수의 편백조각;을 포함하되,
상기 덮개에는 상기 제1공간으로 연통되게 개구되는 제1보충홀과 상기 제2공간으로 연통되게 개구되는 제2보충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1보충홀과 상기 제2보충홀에는 식물을 심을 수 있는 마개겸화분이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분수장치는 길다란 중공관과, 상기 중공관 하단에 결합되는 상기 수중펌프와, 상기 중공관 상단에 연결되는 상기 조절레버와, 상기 조절레버 하방으로 상기 중공관에 결합되는 물받이를 포함하고,
상기 분수대는 편백나무편을 집성하여 가공한 것이며, 상기 물받이는 원판상이되, 상기 중공관에 편심되게 결합되고, 상기 물받이 하부에 상기 무화장치가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백향을 방출하는 가습기.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90002556U KR200491559Y1 (ko) | 2019-06-20 | 2019-06-20 | 편백향을 방출하는 가습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90002556U KR200491559Y1 (ko) | 2019-06-20 | 2019-06-20 | 편백향을 방출하는 가습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91559Y1 true KR200491559Y1 (ko) | 2020-04-29 |
Family
ID=704551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90002556U KR200491559Y1 (ko) | 2019-06-20 | 2019-06-20 | 편백향을 방출하는 가습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91559Y1 (ko)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60006990Y1 (ko) * | 1993-06-28 | 1996-08-16 | 윤문도 | 가습 분수 도자기 |
JP2002168486A (ja) * | 2000-12-02 | 2002-06-14 | Tadashi Fukamizu | 噴水を活用したユニットタイプの室内雰囲気快適化装置 |
KR101075498B1 (ko) * | 2011-03-15 | 2011-10-21 | 장근호 | 공기 청정기 |
KR101263833B1 (ko) * | 2012-12-10 | 2013-05-13 | (주)밀레펫 | 다용도 수족관 |
KR101327364B1 (ko) * | 2012-09-04 | 2013-11-11 | 박상복 | 편백나무칩 가습기 |
-
2019
- 2019-06-20 KR KR2020190002556U patent/KR200491559Y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60006990Y1 (ko) * | 1993-06-28 | 1996-08-16 | 윤문도 | 가습 분수 도자기 |
JP2002168486A (ja) * | 2000-12-02 | 2002-06-14 | Tadashi Fukamizu | 噴水を活用したユニットタイプの室内雰囲気快適化装置 |
KR101075498B1 (ko) * | 2011-03-15 | 2011-10-21 | 장근호 | 공기 청정기 |
KR101327364B1 (ko) * | 2012-09-04 | 2013-11-11 | 박상복 | 편백나무칩 가습기 |
KR101263833B1 (ko) * | 2012-12-10 | 2013-05-13 | (주)밀레펫 | 다용도 수족관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634138B2 (en) | Self-sustaining indoor waterfall planter | |
KR20130007210U (ko) | 휴대용 가습기 | |
JP2010017153A (ja) | 植物栽培装置 | |
KR200491559Y1 (ko) | 편백향을 방출하는 가습기 | |
KR20130130200A (ko) | 공기 청정 분수 화분 | |
KR200479586Y1 (ko) | 가습기 | |
US9744501B1 (en) | Artificial plant humidifier | |
KR101329784B1 (ko) | 화분 수납형 가습기 | |
JPS6125426A (ja) | 植物給水器 | |
KR200405849Y1 (ko) | 어항과 가습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는 실내조경물 | |
JP2001078595A (ja) | 植木鉢の自動給水装置及びその部品 | |
JPH11192031A (ja) | 自動給水植木鉢 | |
KR200347848Y1 (ko) | 화분형 가습기 | |
JP3144816U (ja) | 水分誘導体とそれを用いた植木鉢 | |
KR101523945B1 (ko) | 친환경 가습기 | |
KR200422949Y1 (ko) | 가습용 도자기 | |
JP6158599B2 (ja) | 自然気化式加湿具 | |
KR200406156Y1 (ko) | 항아리를 이용한 가습기 | |
JP2707243B2 (ja) | 水 鈴 | |
KR20190002206U (ko) | 피톤치드 기능을 최적화시킨 구조를 구비한 목재 블럭 | |
KR20160042732A (ko) | 천연 가습기 | |
JP2022182201A (ja) | 植栽容器 | |
JP5843320B2 (ja) | 花器用潅水装置 | |
TWI840667B (zh) | 強制氣流去濕和/或氣流漾動的水霧機 | |
KR200297189Y1 (ko) | 장식 가습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