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3945B1 - 친환경 가습기 - Google Patents

친환경 가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3945B1
KR101523945B1 KR1020130003656A KR20130003656A KR101523945B1 KR 101523945 B1 KR101523945 B1 KR 101523945B1 KR 1020130003656 A KR1020130003656 A KR 1020130003656A KR 20130003656 A KR20130003656 A KR 20130003656A KR 101523945 B1 KR101523945 B1 KR 1015239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case
water channel
purifi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36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91409A (ko
Inventor
김영문
Original Assignee
김영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문 filed Critical 김영문
Priority to KR10201300036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3945B1/ko
Publication of KR201400914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14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39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39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1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forming water dispersions in the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0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Special Spraying Apparatus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친환경 가습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측면에 최소한 하나 이상의 폭포장식과 증기를 발생시킬 수 있는 초음파진동자 및 음이온발생기가 구비되어 겨울철 실내 가습 및 공기정화의 역학을 하고, 발생된 수증기를 조명할 수 있는 조명장치가 구비되어 장식기능을 할 수 있음은 물론, 상부에는 화분 등을 올려놓을 수도 있는 친환경 가습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서의 본 발명은, 일측면에 조망창이 구비되어 있는 케이스부; 배경판과 상기 배경판의 후면 상부에 구비되는 임시저수통 및 상기 임시저수통에 연결되도록 구비되는 펌프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케이스부의 일측면의 내측에 대면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케이스부에 수용된 물을 상기 임시저수통으로 끌어올려 상기 배경판의 전면으로 흘러내려 보내는 폭포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친환경 가습기{ECO-FRIENDLY HUMIDIFIER}
본 발명은 친환경 가습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측면에 최소한 하나 이상의 폭포장식과 증기를 발생시킬 수 있는 초음파진동자 및 음이온발생기가 구비되어 겨울철 실내 가습 및 공기정화의 역학을 하고, 발생된 수증기를 조명할 수 있는 조명장치가 구비되어 장식기능을 할 수 있음은 물론, 상부에는 화분 등을 올려놓을 수도 있는 친환경 가습기에 관한 것이다.
겨울철에는 실내가 건조하기 때문에 가습기가 필수적이다. 특히 면역력이 약한 어르신이나 어린아이들은 물론 건강한 성인들도 적절한 실내습도를 유지하지 않으면, 감기 등과 같은 호흡기 질환에 걸리기 쉽다. 이러한 이유로, 겨울철에는 대부분의 가정이나 사무실 등에서 가습기 등과 같은 가습효과를 주는 다양한 도구나 장치들이 사용되고 있다.
종래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가습기는 크게 3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첫 번째로는 초음파 진동자를 이용하여 수증기를 발생시키는 것이고, 두 번째는 물을 끓여서 수증기를 발생시키는 가열식 가습기이며, 세 번째는 증발식 가습기이다. 초음파진동자를 이용한 가습기의 경우에는 가습효과가 뛰어나다는 장점이 있지만, 세균의 증식에 매우 취약하고, 가열식 가습기는 세균증식에는 매우 안전하지만 어린아이들이 있는 가정에서 자칫 아이들이 뛰어놀다가 가습기를 넘어뜨리기라도 하면 화상을 입을 수도 있는 문제점이 있다. 마지막으로 증발식 가습기의 경우에는 세균이 공기 중으로 퍼져나가는 것을 항균물질 등을 이용하여 다양하게 제어할 수 있지만 가습능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종래기술에 따른 가습기는 대부분 가습기능만을 충실히 수행하도록 만들어 진 것이 일반적이며, 가습용량 또한 매우 제한적이기 때문에 비교적 규모가 큰 사무실 등에서 필요한 가습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여러 대의 가습기를 구비하여야 한다. 그리고 겨울철이 지나면 아무런 역할을 하지 못하기 때문에 모두 치워지게 되므로, 보관에도 상당히 불편함이 있다. 따라서 사무실 등과 같이 큰 공간에서 효과적으로 가습능력을 발휘할 수 있으며, 가습기가 사용되지 않는 계절에도 화분 등을 올려놓는 받침대로 사용할 수 있는 다용도 친환경 가습기가 필요하다.
KR 10-0982629 A1 KR 10-2011-0108173 A1 KR 20-0453688 A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일측면에 폭포기능과 초음파진동자가 구비되어 실내의 건조 정도가 심하지 않은 경우에는 증발식 가습기로 사용할 수 있고, 건도 정도가 심한 경우에는 초음파 가습기로 활용할 수 있으며, 다양한 조명이 구비되어 장식기능을 가지는 동시에 상부에는 화분이나 간단한 용품을 올려놓을 수 있는 친환경적인 가습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서의 본 발명은, 일측면에 조망창이 구비되어 있는 케이스부; 배경판과 상기 배경판의 후면 상부에 구비되는 임시저수통 및 상기 임시저수통에 연결되도록 구비되는 펌프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케이스부의 일측면의 내측에 대면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케이스부에 수용된 물을 상기 임시저수통으로 끌어올려 상기 배경판의 전면으로 흘러내려 보내는 폭포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배경판의 양측에는 상하방향으로 각각 하나씩 두 개의 수로판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조망창은 상기 수로판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수로판의 사이에는 음이온발생기가 더 구비되며, 상기 음이온발생기에 대응되는 케이스부에는 상기 음이온발생기에서 발생된 음이온은 방출하는 음이온방출구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배경판의 하부로, 상기 수로판의 사이에는 제1 초음파진동자가 더 구비되어 상기 제1 초음파진동자에서 발생된 수증기가 상기 수로판을 통하여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제1 초음파진동자는, 최소한 둘레방향의 측면이 가려진 제2 수납공간에 구비되고, 상기 제2 수납공간의 양측면에는 내부가 중공이고 외측면의 일부가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된 증기조절봉이 구비되어 상기 증기조절봉을 좌우측으로 이동시키면서 상기 수로판으로 배출되는 수증기의 양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배경판의 상부 또는 하부 중 최소한 어느 한쪽에는 조명램프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배경판의 상부에는 제2 초음파진동자가 더 구비되어 상기 제2 초음파진동자에서 발생된 수증기가 상기 배경판의 양측에 구비된 수로판을 따라 흘러내리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케이스부의 하부면에는 이동바퀴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수로판과 대응되는 케이스부의 하부에는 정화통이 더 구비되되, 상기 정화통은 상기 케이스부에 구비된 수납홀을 통하여 삽입된 후 상기 정화통의 외측에 구비된 걸림턱이 상기 수납홀의 하부에 걸리면서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케이스부의 상판 중 어느 한 부분에는 배수공이 더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케이스부의 내부에는 상기 배수공에 대응되는 위치에 수집통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적 가습기에 의하면, 일측면에 상하방향으로 물이 흘르내리도록 하는 폭포기능이 구비되어 실내공기가 비교적 덜 건조한 경우에는 증발식 가습기로 사용할 수 있고, 실내의 건조도가 심한 경우에는 초음파진동자를 가동시켜 다량의 수증기를 발생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폭포기능에 의하여 물이 흘러내리면서 발생하는 물소리는 주변 사람들의 심리를 안정시키고, 다양한 외관과 조명장치를 구비할 수 있기 때문에 장식효과를 더할 수 있다. 또한, 상부에는 화분 등을 얹어 둘 수 있기 때문에 여름철에 따로 치워두지 않더라도 주변환경에 전혀 영향을 끼치지 않으며, 오히려 여름철 등과 같이 가습기를 사용하지 않는 계절에도 상당한 장식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가습기의 후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가습기의 전면 사시도.
도 3은 도 1,2에 도시된 배경판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가습기의 측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가습기의 후면 사시도 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가습기의 전면 사시도 이고, 도 3은 도 1,2에 도시된 배경판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가습기의 측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가습기는 케이스부(100)와 상기 케이스부(100)의 내측에 구비되는 폭포유닛(2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케이스부(100)는 육면체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일측면(전명)에는 조망창(110)이 구비되어 있고, 일측면을 제외한 나머지 측면 중 어느 한 부분에는 컨트롤박스(13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컨트롤박스(130)는 여닫이문(135)의 내측면에 결합되도록 구비되어 유지 및 보수가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닫이문(135) 및 컨트롤박스(130)는 시야가 잘 닫지 않도록 조망창(110)이 구비된 일측면의 타측면(후면)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이러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례를 나타내는 것으로, 케이스부(100)의 형상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으며, 여닫이문(135) 또는 컨트롤박스(130)도 필요에 따라 다양한 위치에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일례로, 조망창(110)은 전면으로 볼록하거나 후면방향으로 오목하게 유선형으로 구성되어 후술하여 설명할 폭포유닛(200)의 배경판(210)도 케이스부(100)의 조망창(110) 형상에 대응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컨트롤박스(130)는 조망창(110)이 구비된 일측면의 좌우측면에 구비될 수도 있고, 여닫이문(135)이 아니라 판상의 커버를 볼트를 이용하에 케이스부(100)에 부착시키는 방법이 사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케이스부(100)의 일측면에 구비된 조망창(110)은 상기 케이스부(100)의 일부가 내부가 보이도록 절개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조망창(110)의 전부 또는 일부에는 내부를 조망할 수 있는 재질의 투명·반투명의 필름이나 플라스틱 또는 유리 등으로 가려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조망창(110)의 구체적인 형상은 장식효과를 극대화하고, 주변환경과 어울릴 수 있는 다양한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조망창(110)은 후술하여 설명할 수로판(215)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가습기는 케이스부(100)의 상부면을 상부덮개(150)로 덮어서 가릴 수 있는데, 상부덮개(150)의 위에는 후술하여 설명하는 바와 같이 화분 등이 안착될 수 있다(도 4 참조). 따라서 상부덮개(150) 중 어느 한 부분(바람직하게는 모서리 부분의 어느 한 부분)에 배수공(153)을 구비하고, 상기 배수공(153)에는 배수관(155)이 소정의 길이로 케이스부(100)의 내측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케이스부(100)의 내부로 상기 배수관(155)에 대응되는 위치의 하부에는 수집통(157)이 더 구비될 수 있다. 그리하여 케이스부(100)의 상부덮개(150)에 올려진 화분에 물을 줄 경우에, 화분의 밑으로 유출되는 물이 배수공(153)을 따라 케이스부(100)의 내부로 흘러 내려가서 수집통(157)에 저장되도록 할 수 있다. 수집통(157)은 서랍형식으로 구성되어 일정간격으로 상기 수집통(157)을 분리하여 내부에 수집된 물을 버릴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화분을 통과한 물은 일정부분 흙과 유기물 찌꺼기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수집통(157)으로 유입되도록 하여 케이스부(100)의 내부에 저장된 물과 섞이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케이스부(100)의 외측면 중 어느 한 부분에는 후술하여 설명할 초음파진동자, 조명장치, 음이온발생기 등을 조절할 수 있는 조절부(137)가 구비될 수 있으며, 조절부(137)는 컨트롤박스(1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케이스부(100)의 하부면에는 이동바퀴(190)가 더 구비되어,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가습기를 원하는 위치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동바퀴(190)에는 필요에 따라 고정장치(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이동바퀴 및 고정장치 등은 공지의 다양한 종류가 사용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폭포유닛(200)은 몸체를 구성하는 배경판(210)과 상기 배경판(210)의 후면(도 3을 기준으로한 방향표시임, 이하 동일) 상부에 구비되는 임시저수통(230) 및 상기 임시저수통(230)에 연결되도록 구비되는 펌프유닛(2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배경판(210)은 전술하여 설명한 케이스부(100)의 내측에 삽입되어 결합되며, 상기 배경판(210)의 전면이 조망창(110)이 구비된 일측면에 대면되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배경판(210)의 폭과 길이는 케이스부(100)의 일측면에 대응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경판(210)의 양측에는 상하방향으로 각각 하나씩 두 개의 수로판(215)이 구비되어 있다. 이때, 전술하여 설명한 조망창(110)은 수로판(215)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어 외측에서 바라볼 때 상기 수로판(215)을 따라 흘러내리는 물이나 수증기가 보이거나 상기 수로판(215)에서 증발된 수증기가 외측으로 유출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수로판(215)의 폭은 다양하게 설계될 수 있으며, 수로판(215)에는 다양한 장식문양 또는 작은 돌 등을 이용한 요철문양 등이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하여 수로판(215)을 따라 흘러내리는 물이 소정의 물흐름소리를 발생시킬 수 있고, 수증기의 증발량도 증가시킬 수 있다. 다만, 배경판(210)의 양측에 2개의 수로판(215)이 구비되는 것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례를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 배경판(210)의 전면은 전체가 수로판(215)의 역할을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수로판(215)의 양측 가장자리에는 상기 수로판(215)이 케이스부(100)의 일측면으로부터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하고, 상기 수로판(215)을 따라 흘러내리는 물이 측면으로 유출되도록 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격벽(217)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배경판(210)에 2개의 수로판(215)이 구비되는 경우에, 상기 수로판(215)의 사이에는 다수개의 수납공간이 구비되어 후술하여 설명할 음이온발생기, 초음파진동자 또는 조명장치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음이온발생기 또는 초음파진동자 등에 관해서는 후술하여 설명한다.
임시저수통(230)은 배경판(210)의 후면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임시저수통(230)에는 펌프유닛(250)이 구비된다. 펌프유닛(250)은 배관(253)과 펌프(255)로 구성되며, 배관(253)은 일단이 임시저수통(230)의 바닥면에 연결되고, 타단은 케이스부(100)의 바닥면까지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배관(253)의 타단에는 펌프(255)가 구비되어 있다. 케이스부(100)의 내측에는 물이 저장되어 있는데, 펌프(255)는 케이스부(100)의 바닥에 구비되어 물에 완전히 잠긴 상태로 설치된다. 그리하여 펌프(255)에서 임시저수통(230)으로 물을 끌어올려서 상기 임시저수통(230)의 채우고, 상기 임시저수통(230)이 가득 차면 배경판(210)의 전면으로 넘쳐서 흘러내려 가게 된다. 따라서 임시저수통(230)의 상단 테두리는 배경판(210)과 결합된 면이 다른 면에 비하여 다소 낮게 형성되어 상기 배경판(210) 방향으로 자연스럽게 물이 흘러내려 가도록 한다(도 4 참조).
배경판(210)의 상부 또는/및 하부에는 조명장치(26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그리하여 배경판(210)의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또는 하부에서 상부방향으로 다양한 색상의 조명을 줄 수 있다. 조명장치(260)는 배경판(210)의 벽면에 구비되거나 배경판(210)의 상부에 가림판(265)을 구비하고 상기 가림판(265)에 LED램프 등과 같은 조명장치를 구비할 수도 있다.
한편, 수로판(215)의 사이에 구비된 제1 수납공간(270)에는 음이온발생기(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음이온발생기에 대응되는 케이스부(100)에는 상기 음이온발생기에서 발생된 음이온이 방출되는 음이온방출구(170)가 더 구비될 수 있다(도 2 및 도 3 참조). 음이온발생기는 공지의 기술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수로판(215)의 사이에 구비된 제2 수납공간(280)에는 제1 초음파진동장치(283)가 더 구비되어 상기 제1 초음파진동자(283)에서 발생된 수증기가 수로판(215)을 통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초음파진동장치(283)는 케이스부(100)에 저장되어 있는 물에 소정의 깊이로 잠긴 상태로 구성되어야 한다. 따라서 제1 초음파진동자(283) 및 제2 수납공간(280)은 배경판(210)의 하부로, 전술하여 설명한 음이온발생기가 구비된 제2 수납공간(270)의 하부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초음파진동장치(283)가 구비된 제2 수납공간(280)은 둘레방향이 격벽으로 가려져서 격실을 구성하고, 양측면에는 내부가 중공이고 외측면의 일부가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된 증기조절봉(285)이 구비되어 있다. 그리하여 증기조절봉(285)을 좌우측으로 이동시키면서 수로판(215)으로 배출되는 수증기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증기조절봉(285)은 절개부(287)가 수로판(215)의 상부를 향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증기조절봉(285)의 외측면 중 어느 한 부분에는 스탑돌기(289)가 구비되어 상기 증기조절봉(285)이 외측면으로 완전히 빠지지 않고, 일정한 길이의 범위 내에서만 좌우측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경판(210)의 상부에는 제2 초음파진동자(293)가 더 구비될 수 있다. 그리하여 제2 초음파진동자(293)에서 수증기를 발생시켜 배경판(210)의 양측에 구비된 수로판(215)을 따라 흘러내리도록 할 수 있다. 제2 초음파진동자(293) 또한 물에 잠긴 상태로 구비되어야 수증기를 발생시킬 수 있기 때문에, 배경판(210)에 구비된 임시저수통(230)에 구비되거나 수로판(215)의 사이에 상기 임시저수통(230)에서 물이 유입되어 저수되는 제3 수납공간(290)을 만들어 제2 초음파진동자(293)를 설치할 수도 있다. 이때, 수로판(215)의 사이에 제2 초음파진동자(293)가 구비되는 경우에는 전술하여 설명한 증기조절봉(285)도 함께 설치되어 수증기의 유입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배경판(210)의 상부에 증기조절봉(미도시)이 구비되는 경우에는 절개부(287)가 하부를 향하도록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로판(215)의 하부에는 정화통(240)이 더 구비되어 케이스부(100)에 저장되어 수로판(215)을 통하여 흘러내린 물을 정화하도록 할 수 있다. 정화통(240)은 케이스부(100)에 수납홀(140)을 구비하여 상기 수납홀(140)에 서랍 형태의 정화통(240)을 삽입하여 장착할 수 있다. 이때, 정화통(240)의 외측(도 4를 기준으로 왼쪽)에는 걸림턱(245)이 고리모양으로 구비되어 수납홀(140)의 하부에 걸리면서 장착되도록 할 수 있다. 걸림턱(245)은 케이스부(100)의 두께에 대응되는 폭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화통(240)에는 숯이나 맥반석 등 물을 정화하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지 공지의 다양한 재료가 저장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서,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가습기의 작동과정을 살펴보면, 케이스부(100)의 내측에는 미리 소정 양의 물이 저장되어 있다. 케이스부(100)에 저장된 물은 펌프유닛(250)을 통하여 임시저수통(230)으로 지속적으로 끌어올려지게 된다.
배경판(210)의 후면 상부에 구비된 임시저수통(230)에 물이 가득 차면 상기 임시저수통(230)의 물이 배경판(210)의 전면으로 넘쳐흐르게 된다. 이때, 배경판(210)의 전면에 수로판(215)이 구비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수로판(215)을 따라 물이 흘러내린다. 수로판(215)을 따라 흘러내리는 과정에서 물소리가 발생하면서 주변사람들에게 편안한 감정을 느끼게 함은 물론, 일부 수분이 증발되면서 실내의 습도를 유지시켜주게 된다.
한편, 케이스부(100)의 내측에 수용된 물에 잠겨있는 제1 초음파진동자(283)가 구동되면, 수증기가 발생하여 수로판(215)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수로판으로 공급되는 수증기의 양은 증기조절봉(285)에 의하여 조절된다. 즉, 증기조절봉(285)을 좌우측으로 이동시키면 수로판(215)에 노출되는 절개부(287)의 길이가 달라져서 상기 수로판(215)에 공급되는 수증기의 양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가습기는 폭포유닛(200)의 상부에도 제2 초음파진동자(293)가 더 구비될 수 있다. 그리하여 제2 초음파진동자(293)에서 발생된 수증기가 수로판(215)을 따라 흘르내리게 할 수 있다.
수로판(215)의 하부에는 정화통(240)이 구비되어 상기 수로판(215)을 따라 흘러내린 물이 정화되어 다시 케이스부(100)로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가습기의 상부면에는 상부덮개(150)가 구비되어 있어서, 상부덮개(150) 위에 화분을 올려놓을 수도 있다. 상부덮개(150)에 올려진 화분에 물을 줄 경우에 화분을 통과한 일부 물이 상부덮개(150)에 구비된 배수공(153)을 통하여 흘러 내려가서 수집통(157)에 저장되게 된다. 수집통(157)으로 유입된 물은 사용자가 정기적으로 분리하여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가습기는 내측 상하부 또는 외측상부 등에 다양한 조명장치를 구비하여 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고, 특히 수로판(215)의 상하부에 조명장치를 구비할 경우에 수증기 또는 흐르는 물의 색채를 변화시켜 조명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배경판(210)에 구비된 음이온발생기는 공기정화를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케이스부 110: 조망창
130: 컨트롤박스 135: 여닫이문
137: 조절부 140: 수납홀
150: 상부덮개 153: 배수공
155: 배수관 157: 수집통
170: 음이온방출구 190: 이동바퀴
200: 폭포유닛 210: 배경판
215: 수로판 230: 임시저수통
240: 정화통 245: 걸림턱
250: 펌프유닛 253: 배관
255: 펌프 260: 조명장치
265: 가림판 270: 제1 수납공간
280: 제2 수납공간 283: 제1 초음파진동자
285: 증기조절봉 287: 절개부
289: 스탑돌기 290: 제3 수납공간
293: 제2 초음파진동자

Claims (10)

  1. 일측면에 조망창이 구비되어 있는 케이스부;
    배경판과 상기 배경판의 후면 상부에 구비되는 임시저수통 및 상기 임시저수통에 연결되도록 구비되는 펌프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케이스부의 일측면의 내측에 대면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케이스부에 수용된 물을 상기 임시저수통으로 끌어올려 상기 배경판의 전면으로 흘러내려 보내는 폭포유닛;를 구비하고,
    상기 배경판의 상부에는 제2 초음파진동자가 더 구비되어 상기 제2 초음파진동자에서 발생된 수증기가 상기 배경판의 양측에 구비된 수로판을 따라 흘러내리도록 하는 가습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망창은 상기 수로판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수로판의 사이에 구비된 제1 수납공간에는 음이온발생기가 더 구비되며, 상기 음이온발생기에 대응되는 케이스부에는 상기 음이온발생기에서 발생된 음이온은 방출하는 음이온방출구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배경판의 하부로, 상기 수로판의 사이에는 제1 초음파진동자가 더 구비되어 상기 제1 초음파진동자에서 발생된 수증기가 상기 수로판을 통하여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 초음파진동자는,
    최소한 둘레방향의 측면이 가려진 제2 수납공간에 구비되고, 상기 제2 수납공간의 양측면에는 내부가 중공이고 외측면의 일부가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된 증기조절봉이 구비되어 상기 증기조절봉을 좌우측으로 이동시키면서 상기 수로판으로 배출되는 수증기의 양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
  6. 청구항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경판의 상부 또는 하부 중 최소한 어느 한쪽에는 조명램프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
  7. 삭제
  8. 청구항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부의 하부면에는 이동바퀴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
  9.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수로판과 대응되는 케이스부의 하부에는 정화통이 더 구비되되, 상기 정화통은 상기 케이스부에 구비된 수납홀을 통하여 삽입된 후 상기 정화통의 외측에 구비된 걸림턱이 상기 수납홀의 하부에 걸리면서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
  10.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부의 상판 중 어느 한 부분에는 배수공이 더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케이스부의 내부에는 상기 배수공에 대응되는 위치에 수집통이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
KR1020130003656A 2013-01-11 2013-01-11 친환경 가습기 KR1015239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3656A KR101523945B1 (ko) 2013-01-11 2013-01-11 친환경 가습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3656A KR101523945B1 (ko) 2013-01-11 2013-01-11 친환경 가습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1409A KR20140091409A (ko) 2014-07-21
KR101523945B1 true KR101523945B1 (ko) 2015-06-10

Family

ID=517386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3656A KR101523945B1 (ko) 2013-01-11 2013-01-11 친환경 가습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394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932311B (zh) * 2021-09-26 2023-04-14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一种空调器室内机及其水洗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9738B1 (ko) * 2002-11-25 2005-11-17 주식회사 청우네이처 음이온 발생 및 습도조절 기능을 가지는 공기청정기
KR20090000927U (ko) * 2007-07-25 2009-02-02 김영문 친환경 식물가습기
KR20090002958U (ko) * 2007-09-20 2009-03-25 김선기 실내장식 분수대
KR20100007897U (ko) * 2009-01-30 2010-08-09 김시남 실내 가습 및 공기정화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9738B1 (ko) * 2002-11-25 2005-11-17 주식회사 청우네이처 음이온 발생 및 습도조절 기능을 가지는 공기청정기
KR20090000927U (ko) * 2007-07-25 2009-02-02 김영문 친환경 식물가습기
KR20090002958U (ko) * 2007-09-20 2009-03-25 김선기 실내장식 분수대
KR20100007897U (ko) * 2009-01-30 2010-08-09 김시남 실내 가습 및 공기정화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1409A (ko) 2014-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85930B1 (ko) 실내공기 정화를 위한 자동 온실시스템
KR200464819Y1 (ko) 실내녹화 겸 공기청정장치
KR101074931B1 (ko) 벽면 녹화 및 공기정화를 위한 버티칼 가든
KR101316013B1 (ko) 벽면 녹화용 식생장치
JP6279362B2 (ja) 植物栽培ユニット及び植物栽培施設
KR20210108647A (ko) 식물과 미스트를 결합한 공기정화장치
KR101652488B1 (ko) 실내 조경용 수경 재배기의 바디
KR100971307B1 (ko) 조경 겸 공기정화장치
USD540453S1 (en) Tower humidifier
KR101429337B1 (ko) 공기 청정 분수 화분
KR101523945B1 (ko) 친환경 가습기
KR200441334Y1 (ko) 공기정화 및 가습 기능을 가지는 화분집합 구조물
KR20170071764A (ko) 식물환경복원기술을 적용한 자연 정화 흡연부스
KR200452079Y1 (ko) 음이온발생 및 가습기효능을 갖춘 수족관을 구비한 기능성 탁자
KR101012174B1 (ko) 제단용 화환대
KR20090087193A (ko) 초음파 관수 새싹재배기
KR102059831B1 (ko) 자연가습이 가능한 버섯재배장치
KR200477015Y1 (ko) 화분 기능을 구비한 가습기
KR20130005612U (ko) 가습기능을 구비한 도자기
KR200347848Y1 (ko) 화분형 가습기
KR20090000927U (ko) 친환경 식물가습기
KR20160002476U (ko) 폭포 화병을 구비한 조명 파티션
KR200491559Y1 (ko) 편백향을 방출하는 가습기
KR101574079B1 (ko) 송풍펜을 이용하여 가습량을 조절하는 부직포가습기
KR20130123898A (ko) 식물 재배가 가능한 한지공예 액자형 공기청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8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