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2476U - 폭포 화병을 구비한 조명 파티션 - Google Patents

폭포 화병을 구비한 조명 파티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2476U
KR20160002476U KR2020150000084U KR20150000084U KR20160002476U KR 20160002476 U KR20160002476 U KR 20160002476U KR 2020150000084 U KR2020150000084 U KR 2020150000084U KR 20150000084 U KR20150000084 U KR 20150000084U KR 20160002476 U KR20160002476 U KR 2016000247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per frame
vase
water
waterfall
collecting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00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석배
최현배
Original Assignee
최석배
최현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석배, 최현배 filed Critical 최석배
Priority to KR20201500000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02476U/ko
Publication of KR2016000247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2476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6Natural ornaments; Imitation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8Leaded ligh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폭포 화병을 구비한 조명 파티션에 관한 것으로서, 공간을 구획하기 위하여, 서로 연결된 하부 프레임과 상부 프레임을 갖는 파티션에 있어서, 상기 하부 프레임의 전방측에 마련된 집수조; 상기 하부 프레임의 후방측에 마련된 기계실; 상기 상부 프레임의 상단부와 상기 상부 프레임의 바닥부의 사이에 설치된 화병부; 상기 화병부의 전방쪽 상단 테두리에서 관통하게 돌출된 폭포부; 상기 하부 프레임 또는 상기 상부 프레임에 배치되고, 상기 집수조의 물을 흡입하고, 상기 화병부를 통해 폭포부 쪽으로 상기 흡입한 물을 공급하는 물순환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폭포 화병을 구비한 조명 파티션{MOVABLE LIGHTING PARTITION HAVING WATERFALL FLOWER VASE}
본 고안은 폭포 화병을 구비한 조명 파티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레스토랑, 카페, 식당, 사무실, 실내 공간의 인테리어 조형물로서 공간을 구획하는데 사용되는 폭포 화병을 구비한 조명 파티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티션은 공간을 구획 또는 분리하는 역할을 하는 건축 자재이다.
예컨대, 사무실에 적용되는 파티션은 개인의 업무능률을 향상시키며 집중력과 창의적인 사무환경 구축에 효과적이다.
또한, 카페, 식당 등에 적용되는 파티션은 인테리어 공간의 다양한 구성과 연출을 구현하면서, 고전적 이미지 또는 현대적인 이미지 혹은 친환경적인 이미지를 연출하여 인테리어 효과를 극대화하는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파티션 또는 고안의 배경이 되는 특허문헌들의 파티션은 특정 장소에 고정된 상태로 설치될 뿐만 아니라, 통일감있는 공간 연출로 인하여 자칫 식상한 분위기 또는 이미지를 연출하는 단점을 갖는다.
또한, 종래의 기술은 파티션 사용처에 단순히 공간을 구획하는 용도로만 사용될 뿐, 포인트 부재로서 실내 공간을 생동감 있게 바꿀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습도 조절 능력이 거의 없고, 화병, 폭포, 조명 기구 등과 별도로 설치되어 상호 일체감 또는 균형감이 떨어지고, 공간 활용도가 상대적으로 작은 단점이 있다.
[특허문헌]
(특허문헌1)한국공개특허 제10-2014-0132592호(2014.11.18)
(특허문헌2)한국등록실용 제20-0292867호(2002.10.09)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하부 프레임, 상부 프레임, 폭포부, 화병부, 조명부로 일체화된 파티션을 제공하여, 파티션 설치 시공에 따른 공간 활용도를 극대화할 수 있는 폭포 화병을 구비한 조명 파티션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공간을 구획하기 위하여, 서로 연결된 하부 프레임과 상부 프레임을 갖는 파티션에 있어서, 상기 하부 프레임의 전방측에 마련된 집수조; 상기 하부 프레임의 후방측에 마련된 기계실; 상기 상부 프레임의 상단부와 상기 상부 프레임의 바닥부의 사이에 설치된 화병부; 상기 화병부의 전방쪽 상단 테두리에서 관통하게 돌출된 폭포부; 및 상기 하부 프레임 또는 상기 상부 프레임에 배치되고, 상기 집수조의 물을 흡입하고, 상기 화병부를 통해 폭포부 쪽으로 상기 흡입한 물을 공급하는 물순환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폭포 화병을 구비한 조명 파티션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프레임은, 상기 상부 프레임의 상단부 저면에 설치된 조명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명부의 불빛이 상기 화병부에 구비된 관상 식물, 꽃, 화초, 조화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조형물을 비출 수 있다.
또한, 상기 집수조에는 자갈, 수초, 석상, 인테리어 소품, 물고기 중 어느 하나가 더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프레임은, 상기 상부 프레임의 상단부와 상기 상부 프레임의 바닥부의 양측단 사이를 연결하고 중공 단면을 각각 갖는 한 쌍의 기둥부; 상기 화병부와 상기 상부 프레임의 바닥부의 사이에 마련된 유지보수실; 상기 유지보수실의 전방 또는 후방을 덮도록 상기 유지보수실의 체적 또는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상부 프레임의 테두리에 결합되고, 패널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개구부를 구비한 패널부; 및 상기 개구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프레임은, 상기 하부 프레임의 저면부; 상기 저면부의 외곽에 세워진 벽체; 및 상기 벽체의 내측면과 상기 저면부에 연결되고, 상기 집수조와 상기 기계실을 구획하는 격벽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물순환장치는, 상기 기계실에 구비된 순환펌프; 상기 순환펌프의 입수구로부터 상기 격벽을 기밀하게 관통하도록 연장되어 상기 집수조의 내부까지 연장된 입수라인; 상기 입수라인의 끝단에 마련된 걸음망; 상기 순환펌프의 출수구로부터 상기 상부 프레임의 바닥부의 통로와 상기 유지보수실과 상기 기둥부의 내부 공간을 지나 상기 화병부까지 연장된 출수라인; 및 상기 유지보수실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출수라인에 설치되어 있는 밸브를 포함한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른 폭포 화병을 구비한 조명 파티션에 의하면, 집수조와 기계실을 구비한 하부 프레임과, 이러한 하부 프레임의 기계실의 위쪽에 설치된 상부 프레임이 제공되어 기본적으로는 공간을 구획하는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특히, 상부 프레임의 좌측부 또는 우측부는 실내 공간에 기 설치되어 있는 기존의 파티션 부재와 연결될 수 있도록 볼트구멍이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기 설치된 기존의 파티션 부재에 비하여 포인트 부재로서 실내 공간을 생동감 있게 바꿀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실내 공간을 생동감 있게 바꾸기 위하여, 본 고안은 상부 프레임의 상단부와 상부 프레임의 바닥부의 사이에 화병부를 설치하고, 상부 프레임의 상단부 저면에 조명부를 배치하여서, 조명부의 불빛을 화병부의 관상 식물, 꽃, 화초, 조화 등에 비추어서 빛과 함께 꽃, 화초, 또는 조화의 화려한 색상 연출을 극대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하부 프레임의 집수조에서 끌어 올린 물을 상부 프레임의 화병부의 위쪽에 형성된 폭포부로부터 집수조까지 낙수시키는 폭포를 연출함으로써, 인테리어 효과와 함께 실내 공간 내의 공기 중에 수분을 공급할 수 있고, 아로마 향을 물에 더 첨가할 경우, 방향 요법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고, 불빛에 반짝이는 화려한 꽃과 폭포 물방울이 환상적으로 어울리는 포인트 부재로서 인테리어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고, 친환경적인 공간을 연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상부 프레임의 저부 내측에는 유지보수실이 더 구비되고, 유지보수실과 연통하는 커버를 열고, 유지보수실 내에 마련된 밸브의 개폐량을 조절함으로써, 폭포부에서 낙수되는 물의 양과 낙수 형상을 임의로 변경하여, 더욱 다양한 폭포 형상을 연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폭포 화병을 구비한 조명 파티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폭포 화병을 구비한 조명 파티션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선 A-A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폭포 화병을 구비한 조명 파티션의 작동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아울러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고안의 설명에서 조명 파티션이란 일측 공간과 타측 공간을 구획하는 건축 부재이거나, 혹은 건물의 벽면 또는 건물 내부의 실내 공간의 테이블에 부착하여 사용될 수 있는 건축 부재일 수 있다.
도면에서,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폭포 화병을 구비한 조명 파티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폭포 화병을 구비한 조명 파티션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1 또는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는 공간을 구획하기 위하여, 서로 연결된 하부 프레임(110)과 상부 프레임(120)을 갖는 프레임(100)을 통해서 파티션의 역할을 수행함과 동시에, 프레임(100)을 기반으로 폭포 및 화병의 역할과, 꽃, 화초, 조화 내지 폭포수를 비추기 위한 조명의 역할을 담당한다.
이를 위해서, 본 실시예는 집수조(111), 기계실(112), 화병부(200), 폭포부(210), 물순환장치(300), 조명부(400)를 포함한다.
집수조(111)는 하부 프레임(110)의 전방측에 마련된다. 집수조(111)는 상부가 개구되어 있는 직사각형 박스 형상으로 제작되어 있다.
즉, 집수조(111)를 형성하기 위한 하부 프레임(110), 상부 프레임(120) 등의 프레임(100)의 재질은 알루미늄 프로파일 재질, 아크릴 재질, 부식 방지 코팅 처리된 철재 재질,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재질을 갖는 해당 구성품이 서로 겹치거나 연접하는 곳, 혹은 모서리 또는 틈새 부위에는 실리콘, 수밀재 등에 의해 밀폐 처리 또는 수밀 처리가 되어 있다.
기계실(112)은 하부 프레임(110)의 후방측에 마련된다. 특히, 기계실(112)을 형성하는 부위에는 전선이 통과하는 통과구멍 또는 홈이 형성되어 있거나, 기계실(112)을 개폐시키기 위한 개폐부(미 도시)가 더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집수조(111)와 기계실(112)은 격벽(113)을 기준으로 하부 프레임(110)의 전방 또는 후방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하부 프레임(110)은 하부 프레임(110)의 저면 바닥을 이루는 저면부(114)와, 상기 저면부(114)의 외곽에 세워진 벽체(115); 및 상기 벽체(115)의 내측면과 상기 저면부(114)에 연결되고, 상기 집수조(111)와 상기 기계실(112)을 구획하는 격벽(113)을 포함한다.
화병부(200)는 상부 프레임(120)의 상단부(121)와 상기 상부 프레임(120)의 바닥부(122)의 사이에 배치 또는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화병부(200)는 접착제를 통해서 상부 프레임(120)에 고정되거나, 혹은 미 도시된 지지용 브래킷을 통해서 상부 프레임(120)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화병부(200)는 상부가 개구된 직사각형 박스 구조물로서, 투명 아크릴, 색상 또는 반투명 코팅된 플라스틱, 혹은 스테인레스 재질로 제작되어 있을 수 있고, 재질의 특성에 의해 투명, 반투명 또는 불투명 특성을 가질 수 있다.
화병부(200)는 관상 식물, 꽃, 화초, 조화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조형물(10)을 보관하거나, 상기 조형물 중 하나를 박거나 찔러심기 위한 오아시스(20)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오아시스(20)는 스폰지, 다공성 폼 부재 등의 외표면을 망사로 덮어서 화초 등을 쉽게 꽂아 보관할 수 있는 역할을 담당하고, 화병부(200)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는 체적을 갖는다.
화병부(200)의 전방쪽 상단 테두리에는 화병부(200)의 전후 방향으로 관통된 홈 또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그 관통된 구멍의 테두리를 기준으로 폭포부(210)가 형성된다.
즉, 폭포부(210)는 화병부(200)의 전방쪽 상단 테두리에서 관통하게 돌출되어 있다. 예컨대, 폭포부(210)는 평활하거나 굴곡면을 갖고 화병부(200)의 관통된 구멍의 테두리에서 수직하게 절곡되어 있는 수평판재(211)와, 수평판재(211)의 양측 부위를 밀폐하도록 상기 수평판재(211)와 화병부(200)의 외표면에 용접된 한 쌍의 삼각형 수직판재(212)로 이루어져 있을 수 있다.
여기서, 화병부(200)에 대한 수평판재(211)의 높이는 화병부(200)의 내부의 물이 월류되는 위치를 고려하여 정해질 수 있다.
특히, 수평판재(211)의 평활도, 굴곡 등에 의해서 폭포부(210)에서 떨어지는 낙수의 형상, 형태 등이 좌우될 수 있으므로, 수평판재(211)의 표면 형상은 다양한 형태나 매우 매끈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물순환장치(300)는 하부 프레임(110)에 배치되거나, 경우에 따라 상부 프레임(120)의 내부 공간을 이용하여 배치될 수 있되, 집수조(111)의 물을 흡입하고, 상기 화병부(200)를 통해 폭포부(210) 쪽으로 상기 흡입한 물을 공급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조명부(400)는 상부 프레임(120)에 더 포함 또는 결합되는 구성품일 수 있다.
즉, 조명부(400)는 상부 프레임(120)의 상단부(121) 저면에 설치된 것으로서, 조명부(400)에서 발광된 불빛, 즉 조명부(400)의 불빛이 화병부(200)에 구비된 관상 식물, 꽃, 화초, 조화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조형물(10)을 비추기 때문에, 물과 화초가 조화를 이루면서 환상적인 인테리어 연출을 극대화하는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순환펌프(310) 또는 조명부(400)에 전원(P/W)을 공급하기 위한 전선도 상부 프레임(120) 또는 하부 프레임(110)의 내부 공간과 전선 통과 구멍을 통해서 조명부(400)의 입력단에 접속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집수조(111)에는 자갈, 수초, 석상, 인테리어 소품, 물고기(예: 금붕어, 열대어 등)중 어느 하나가 더 마련되어 있어서, 친환경적인 자연 생태 환경이 집수조(111)에 모사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집수조(111)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가 개방된 박스 구조물일 수 있다. 이때, 물은 집수조(111) 쪽으로 최초로 공급되어 집수조(111)에 채워진 저장수일 수 있다.
또는 미 도시되어 있지만, 집수조(111)는 좌, 우 측면 방향이 개방된 수로 구조물로 형성되어서, 기존의 인테리어용으로 실내에 설치된 기존의 수로(미 도시)와 연결될 수도 있다.
또는 집수조(111)에서 사용되는 물은 별도의 파이프 배관(미 도시)을 통해서 집수조(111) 쪽으로 공급되거나, 집수조(111)로부터 외부의 집수 및 살균 처리 설비(미 도시) 쪽으로 회수되는 물일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선 A-A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부 프레임(120)은 상부 프레임(120)의 상단부(121)와 상부 프레임(120)의 바닥부(122)의 양측단 사이를 연결하고 중공 단면을 각각 갖는 한 쌍의 기둥부(123,124)와, 상기 화병부(200)와 상기 상부 프레임(120)의 바닥부(122)의 사이에 마련된 유지보수실(125)을 포함한다.
또한, 상부 프레임(120)은 유지보수실(125)의 전방 또는 후방을 덮도록 상기 유지보수실(125)의 체적 또는 위치에 대응하여 상부 프레임(120)의 테두리에 결합되고, 패널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개구부(131)를 구비한 패널부(130)를 포함한다.
또한, 상부 프레임(120)은 화병부(200)와 상부 프레임(120)의 상단부의 사이에는 개방된 공간이 형성되고, 그 개방된 공간을 통해서, 관상 식물, 꽃, 화초, 조화 등과 같은 조형물(10)이 놓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상부 프레임(120)은 패널부(130)의 개구부(131)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140)를 포함한다.
이러한 상부 프레임(120)을 갖는 본 실시예는 단독적인 파티션의 역할과, 기존의 파티션(30)과의 연결 또는 확장을 통한 시스템 파티션의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시스템 파티션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기존의 파티션(30)의 체결 구멍과 동일한 규격 및 위치를 갖도록, 상부 프레임(120)의 기둥부(123,124)에는 복수개의 볼트구멍(125)이 형성되어 있다.
해당 볼트구멍(125)과 기존의 파티션(30)의 체결구멍에는 볼트 및 너트 조립체가 결합될 수 있다.
도 2 또는 도 3에 보이듯이, 상부 프레임(120)의 바닥부(122)와 일측 기둥부(123)의 내측면에는 출수라인(340)의 연장 방향을 기준으로 통로구멍(126,127,128)이 형성되어 있다.
물순환장치(300)는 기계실(112)에 구비된 순환펌프(310)와, 순환펌프(310)의 입수구로부터 격벽(113)을 기밀하게 관통하도록 연장되어 집수조(111)의 내부까지 연장된 입수라인(320)과, 상기 입수라인(320)의 끝단에 마련된 걸음망(330)을 포함한다.
여기서, 입수라인(320) 또는 하기의 출수라인(340)은 호스, 파이프, 튜브 등과 같이 물을 이송하기 위한 배관 부재일 수 있다.
또한, 물순환장치(300)는 순환펌프(310)의 출수구로부터 상기 상부 프레임(120)의 바닥부(122)의 통로구멍(126), 상기 유지보수실(125)의 내부 공간, 상기 기둥부(123)의 하측 통로구멍(127), 상기 기둥부(123)의 내부 공간, 상기 기둥부(123)의 상측 통로구멍(127)을 지나 상기 화병부(200)까지 연장된 출수라인(340)를 포함한다.
여기서, 출수라인(340)의 끝은 화병부(200)의 내부까지 연장되도록 역 U자 형태로 절곡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물순환장치(300)는 유지보수실(125)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출수라인(340)에 설치되어 있는 밸브(350)를 포함할 수 있다.
밸브(350)는 수동 조작 밸브, 자동 조작 밸브, 솔레노이드 형식의 전자 밸브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특히, 밸브(350)가 자동 조작 밸브 또는 전자 밸브일 경우, 밸브(350)는 조명부(400)의 발광을 조절하는 회로 구성과 밸브(350)의 개폐량을 제어하는 회로 구성을 갖는 콘트롤러(미 도시)에 접속되어 있을 수 있다. 즉, 밸브(350)가 전자 밸브 구조로 구성되는 경우, 상기 콘트롤러의 제어 신호에 의해서 밸브(350)의 개폐량이 반자동 또는 자동으로 조절될 수도 있다.
예컨대, 콘트롤러에 미리 정해진 폭포 수량 제어 알고리듬에 따라 시간 또는 타이밍별로 밸브(350)의 개폐량이 조절되고, 결국 폭포부(210)에서 떨어지는 낙수량 또는 낙수 형상이 시시각각 변화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의 작동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폭포 화병을 구비한 조명 파티션의 작동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3 또는 도 4의 조명부(400) 또는 순환펌프(310)는 각각의 스위치(401,311)의 온 또는 오프를 통해서 외부 전원에 통전 또는 단전될 수 있고, 전원을 공급받을 때 발광 작동 또는 펌핑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순환펌프(310)에 전원이 인가될 경우, 순환펌프(310)는 집수조(111)의 물을 펌핑력으로 흡입한다.
이렇게 흡입된 물은 집수조(111)로부터 걸음망(330)을 통과하여, 입수라인(320), 순환펌프(310), 출수라인(340), 밸브(350)를 지나서 화병부(200)에 도달하고, 화병부(200)의 내부 공간에 채워진다.
계속된 공급된 물은 화병부(200)의 상부 테두리보다 낮은 위치에 마련된 폭포부(210)에서 월류한 후 집수조(111) 쪽으로 낙수된다.
이와 같이 물은 집수조(111)와 화병부(200) 및 폭포부(210) 사이를 순환하면서 폭포수가 될 수 있다.
이때, 조명부(400)의 불빛은 폭포수 또는 폭포수에서 발생되는 물방물에 반사되어 환상적인 연출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파티션 주변을 은은하게 비추면서도, 화병부(200)에 위치한 각종 화초 등을 비추어서, 인테리어 효과와 함께 실내 공간 내의 공기 중에 수분을 공급할 수 있고 불빛에 반짝이는 화려한 꽃과 폭포 물방울이 환상적으로 어울리는 포인트 부재로서 인테리어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고, 친환경적인 공간을 연출하게 된다.
아울러, 사용자는 패널부(130)의 커버(140)를 열고, 손을 유지보수실(125) 안쪽으로 집어넣은 후, 손으로 밸브(350)의 개폐량을 조절할 수 있고, 밸브(350)의 개폐량에 비례하게 화병부(200) 쪽으로의 물의 공급량을 조절함으로써, 폭포수의 유동량 또는 폭포수의 형상에 변화를 줄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밸브(350)를 모두 개방시킬 경우, 다량의 물이 폭포부(210)에서 집수조(111) 쪽으로 아치를 그리면서 낙수되는 역동적인 폭포가 연출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밸브(350)를 중간 정도 개방시킬 경우, 물이 폭포부(210)에서 역삼각형 형태로 낙수되는 자연스러운 폭포가 연출되고, 밸브(350)를 거의 잠가서 소량의 물이 화병부(200) 쪽으로 공급되도록 할 경우, 폭포부(210)에서 서로 연결된 물방울 형태로 물이 낙수되는 깜찍한 폭포가 연출될 수 있다.
또한, 조명부(400)가 디밍 제어가 가능한 장치일 경우, 미도시된 콘트롤러에 의해서 조명부(400)의 불빛이 밝아졌다가 어둡게 되듯이 다양한 빛의 연출이 가능할 수 있다.
110 : 하부 프레임 111 : 집수조
112 : 기계실 113 : 격벽
120 : 상부 프레임 130 : 패널부
140 : 커버 200 : 화병부
210 : 폭포부 300 : 물순환장치
310 : 순환펌프 320 : 입수라인
330 : 걸음망 340 : 출수라인
350 : 밸브 400 : 조명부

Claims (6)

  1. 공간을 구획하기 위하여, 서로 연결된 하부 프레임과 상부 프레임을 갖는 파티션에 있어서,
    상기 하부 프레임의 전방측에 마련된 집수조;
    상기 하부 프레임의 후방측에 마련된 기계실;
    상기 상부 프레임의 상단부와 상기 상부 프레임의 바닥부의 사이에 설치된 화병부;
    상기 화병부의 전방쪽 상단 테두리에서 관통하게 돌출된 폭포부; 및
    상기 하부 프레임 또는 상기 상부 프레임에 배치되고, 상기 집수조의 물을 흡입하고, 상기 화병부를 통해 폭포부 쪽으로 상기 흡입한 물을 공급하는 물순환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폭포 화병을 구비한 조명 파티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프레임은,
    상기 상부 프레임의 상단부 저면에 설치된 조명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명부의 불빛이 상기 화병부에 구비된 관상 식물, 꽃, 화초, 조화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조형물을 비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폭포 화병을 구비한 조명 파티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집수조에는 자갈, 수초, 석상, 인테리어 소품, 물고기 중 어느 하나가 더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폭포 화병을 구비한 조명 파티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프레임은,
    상기 상부 프레임의 상단부와 상기 상부 프레임의 바닥부의 양측단 사이를 연결하고 중공 단면을 각각 갖는 한 쌍의 기둥부;
    상기 화병부와 상기 상부 프레임의 바닥부의 사이에 마련된 유지보수실;
    상기 유지보수실의 전방 또는 후방을 덮도록 상기 유지보수실의 체적 또는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상부 프레임의 테두리에 결합되고, 패널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개구부를 구비한 패널부; 및
    상기 개구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폭포 화병을 구비한 조명 파티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프레임은,
    상기 하부 프레임의 저면부;
    상기 저면부의 외곽에 세워진 벽체; 및
    상기 벽체의 내측면과 상기 저면부에 연결되고, 상기 집수조와 상기 기계실을 구획하는 격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폭포 화병을 구비한 조명 파티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물순환장치는,
    상기 기계실에 구비된 순환펌프;
    상기 순환펌프의 입수구로부터 상기 격벽을 기밀하게 관통하도록 연장되어 상기 집수조의 내부까지 연장된 입수라인;
    상기 입수라인의 끝단에 마련된 걸음망;
    상기 순환펌프의 출수구로부터 상기 상부 프레임의 바닥부의 통로와 상기 유지보수실과 상기 기둥부의 내부 공간을 지나 상기 화병부까지 연장된 출수라인; 및
    상기 유지보수실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출수라인에 설치되어 있는 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폭포 화병을 구비한 조명 파티션.
KR2020150000084U 2015-01-06 2015-01-06 폭포 화병을 구비한 조명 파티션 KR2016000247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0084U KR20160002476U (ko) 2015-01-06 2015-01-06 폭포 화병을 구비한 조명 파티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0084U KR20160002476U (ko) 2015-01-06 2015-01-06 폭포 화병을 구비한 조명 파티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2476U true KR20160002476U (ko) 2016-07-14

Family

ID=564989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0084U KR20160002476U (ko) 2015-01-06 2015-01-06 폭포 화병을 구비한 조명 파티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02476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0687B1 (ko) * 2021-02-10 2021-11-02 한양석 식물재배를 이용한 수족관 물 정화시스템을 갖춘 관상용 파티션구조물
KR20230063567A (ko) * 2021-11-02 2023-05-09 (주)일로종합건축사사무소 미세먼지 저감용 플랜트 파티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2867Y1 (ko) 2002-07-08 2002-10-25 이준한 절첩과 이동이 가능한 게시판 겸용 조립식 파티션
KR20140132592A (ko) 2013-05-08 2014-11-18 최진선 실내 구획용 파티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2867Y1 (ko) 2002-07-08 2002-10-25 이준한 절첩과 이동이 가능한 게시판 겸용 조립식 파티션
KR20140132592A (ko) 2013-05-08 2014-11-18 최진선 실내 구획용 파티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0687B1 (ko) * 2021-02-10 2021-11-02 한양석 식물재배를 이용한 수족관 물 정화시스템을 갖춘 관상용 파티션구조물
KR20230063567A (ko) * 2021-11-02 2023-05-09 (주)일로종합건축사사무소 미세먼지 저감용 플랜트 파티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072835A1 (en) Combined pot and aquarium
KR101726035B1 (ko) 조명 폭포 화병을 구비한 벽체구조물
KR101743813B1 (ko) 조명 폭포 화병을 구비한 바 테이블
KR102074951B1 (ko) 공기환경개선장치
KR20160002476U (ko) 폭포 화병을 구비한 조명 파티션
KR100591923B1 (ko) 인테리어 기능을 갖는 망형 가습기
KR100837381B1 (ko) 장식용 수조
KR101076210B1 (ko) 인테리어 구조물
KR102296750B1 (ko) 습식 공기청정 기능을 갖는 어항파티션
US6915762B2 (en) Wall-mountable aquarium
KR20080006304U (ko) 벽걸이형 화분
KR20170011425A (ko) 벽분수기
KR200452079Y1 (ko) 음이온발생 및 가습기효능을 갖춘 수족관을 구비한 기능성 탁자
KR101263833B1 (ko) 다용도 수족관
KR200389947Y1 (ko) 어항이 구비된 실내조경물
KR200386972Y1 (ko) 장식용 인조 수중생물체 및 그 수족관
KR20140018507A (ko) 인테리어 구조물
KR200424238Y1 (ko) 실내조경장치
KR101523945B1 (ko) 친환경 가습기
KR101363043B1 (ko) Led조명과 분수를 지닌 스탠드 기구
KR101162722B1 (ko) 벽체형 실내분수 장치
KR20120027952A (ko) 벽천
KR20180002505U (ko) 다단 분리 가능한 화분
JPH09271289A (ja) 水循環式の鑑賞用水槽
KR100884428B1 (ko) 액자형 벽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