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27952A - 벽천 - Google Patents

벽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27952A
KR20120027952A KR1020100089836A KR20100089836A KR20120027952A KR 20120027952 A KR20120027952 A KR 20120027952A KR 1020100089836 A KR1020100089836 A KR 1020100089836A KR 20100089836 A KR20100089836 A KR 20100089836A KR 20120027952 A KR20120027952 A KR 201200279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water
tank
fall
downf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98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50938B1 (ko
Inventor
김지은
Original Assignee
김지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지은 filed Critical 김지은
Priority to KR10201000898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0938B1/ko
Publication of KR201200279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79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09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09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7/00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 B05B17/08Fountains
    • B05B17/085Fountains designed to produce sheets or curtains of liquid, e.g. water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9/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 B05B9/03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05B9/04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 pressurised or compressible container; with pump
    • B05B9/0403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 pressurised or compressible container; with pump with pumps fo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0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 F24F6/06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moving unheated wet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2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decorative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 F21W2121/02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decorative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for founta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3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using a decorative fountain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면, 상측의 낙수조에서 하측의 담수조까지 낙수벽을 따라 물이 낙하되는 구조를 가지는 벽천구조물; 상기 담수조에 저장된 물을 낙수조에 순환시키는 펌핑수단; 및 상기 낙수벽에 빛을 조사시키는 조명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낙수벽은, 낙수벽의 가로방향으로 특정 배열 또는 일정 배열을 가지면서 형성되는 오목한 형상의 복수개의 낙수로를 포함하는 벽천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벽천{Wall fountain}
본 발명은 벽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물의 내외에 설치되는 벽천에 있어서 낙수벽에 오목한 형상을 가지는 낙수로가 낙수벽의 가로방향으로 형성되어 낙수로를 따라 낙하되는 물이 물결치는 것을 방지하고 물결의 형상이 투명하게 보이도록 할 수 있는 벽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벽천은, 건물의 내외에 설치되어 상부로부터 낙수벽을 따라 물이 흐르도록 설치되어 공간의 색다른 분위기를 일으키도록 하여 실내외 장식 효과를 극대화하고 동시에 물을 순환시켜 가습효과를 제공하는 조형물이다.
도 1은 종래의 벽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벽천은, 지면에 설치되는 하부수조(1) 상부로 직립되어 설치되는 낙수벽(2)이 구비되며, 순환펌프(미도시)에 의하여 하부수조(1)의 물이 낙수벽(2) 상부로 공급되어 낙수벽(2)에 형성된 낙수로(2a)를 따라 낙하되어 다시 하부수조(1)로 담수되게 되는 구조를 가지며, 하부수조(1) 상하부 전면에 설치되는 조명수단(3)에서 낙수벽(2)에 빛이 조명되어 물의 흐름이 심미감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벽천은, 상기 낙수로(2a)가 낙수벽(2)의 가로방향으로 볼록한 형상을 가지면서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낙수로(2a)를 따라 물의 낙하시 물튀김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낙수로(2a)를 따라 물이 얇은 두께로 낙하되기 때문에, 조명이 없는 경우 물의 표면이 낙수로(2a)에 대하여 올라갔다 내려갔다를 반복하는 불규칙한 물결이 잘 보이지 않게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설치되는 조명에 의해 낙수벽(2)에 그림자가 발생되어 그 그림자와 다른 부분의 조도 차이로 인하여 불규칙한 물결이 보이게 된다. 그러나 이것은 그림자 부분과 그림자가 없는 부분 사이의 조도차이를 이용하기 때문에 가까운 거리에서만 시각적 효과를 가지게 되는 단점이 있으며 물결 자체가 파도처럼 투명한 느낌을 가지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종래의 벽천은, 상기 낙수벽(2)이 기본적으로 친수성을 갖는 석재를 사용하게 되고, 유리나 아크릴 등의 재질은 물을 뱉어내는 배수성 때문에 물결이나 물방울 무늬가 쉽게 생기지 않아 높은 심미감을 가질 수 없고 친수성을 가지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재질의 낙수벽(2) 표면에 별도의 나노처리 또는 기스처리가 이루어져야 하나 사용시간이 경과하면 그 친수성이 쉽게 사라지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낙수벽에 오목(凹 형상)한 형상을 가지는 낙수로가 낙수벽의 가로방향으로 형성되어 낙수로를 따라 낙하되는 물이 물결을 치지 않아 물튀김 현상을 최소화하면서도 심미적인 물결 무늬를 제공할 수 있는 벽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배수성을 갖는 유리나 아크릴 같은 재료로 낙수벽을 만들 경우에도 낙수로의 특별한 형태에 의하여 물결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투명 또는 색을 가지는 낙수벽의 내측 또는 외측에서 빛이 조사되도록 하여 그림자 생성 대신 물결 자체에 조명이 반사되도록 하여 투명한 물결 혹은 투명한 물방울이 흐르는 느낌을 주어 심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벽천을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하면, 상측의 낙수조에서 하측의 담수조까지 낙수벽을 따라 물이 낙하되는 구조를 가지는 벽천구조물; 상기 담수조에 저장된 물을 낙수조에 순환시키는 펌핑수단; 및 상기 낙수벽에 빛을 조사시키는 조명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낙수벽은, 낙수벽의 가로방향으로 특정 배열 또는 일정 배열을 가지면서 형성되는 오목한 형상의 복수개의 낙수로를 포함하는 벽천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측의 낙수조에서 하측의 담수조까지 낙수벽을 따라 물이 낙하되는 구조를 가지는 벽천구조물; 상기 담수조에 저장된 물을 낙수조에 순환시키는 펌핑수단; 및 상기 낙수벽에 빛을 조사시키는 조명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낙수벽은, 낙수벽의 가로방향으로 볼록한 형상으로 낙수로가 형성되되, 상기 볼록한 형상의 낙수로의 상측 모서리가 라운드 형성되거나 모따기 형성되고, 상기 상측 모서리에 낙수로의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의 분산홈이 형성되는 벽천이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낙수벽은, 직육면체의 형상 또는 원통의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낙수조는, 상기 낙수벽의 낙수로가 형성된 일면과 그 타면에 물이 동시에 또는 어느 한 면에만 선택적으로 흐르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조명수단은, 상기 낙수벽의 낙수로가 일면과 그 타면에 빛이 동시에 또는 어느 한 면에만 선택적으로 조사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낙수벽은, 투명 또는 색상을 가지는 불투명한 재질의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낙수벽에 오목(凹 형상)한 형상 혹은 반원형 형상을 가지는 낙수로가 낙수벽의 가로방향으로 형성되어 낙수로를 따라 낙하되는 물에 의한 물튀김 현상을 방지하고 자연스러운 물결 형성이 이루어져 심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투명 또는 색을 가지는 낙수벽의 내측 또는 외측에서 빛이 조사되도록 하여 물결을 투명하게 보이게 함으로써 심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낙수벽의 표면에 별도의 나노처리 또는 기스처리 작업 없이도 낙수벽이 친수성을 가지도록 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향상된 물결의 흐름을 가능하게 하여 보다 향상된 심미감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벽천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벽천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벽천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4 내지 도 6은 각각 도 2의 벽천에 있어서 낙수벽을 나타낸 정면도, 평면도 및 측단면도;
도 7 내지 도 9는 각각 도 2의 벽천에 있어서 낙수벽에 형성되는 낙수로를 다양하게 나타낸 실시예;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벽천을 나타낸 측단면도; 및
도 11과 도 12는 각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 따른 벽천에 있어서 배수성을 갖는 재질을 이용하는 경우의 낙수벽을 나타낸 측단면도와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벽천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벽천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4 내지 도 6은 각각 도 2의 벽천에 있어서 낙수벽을 나타낸 정면도, 평면도 및 측단면도이고, 도 7 내지 도 9는 각각 도 2의 벽천에 있어서 낙수벽에 형성되는 낙수로를 다양하게 나타낸 실시예이다.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벽천은, 상측의 낙수조(110)에서 하측의 담수조(120)까지 낙수벽(130)을 따라 물이 낙하되는 구조를 가지는 벽천구조물(140), 상기 담수조(120)에 저장된 물을 낙수조(110)에 순환시키는 펌핑수단(150) 및 상기 낙수조(110) 또는 담수조(120) 일측에 구비되어 낙수벽(130)에 빛을 조사시키는 조명수단(160)을 포함한다.
상기 벽천구조물(140)은, 도 2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은 형상 이외에 상부에서 하부로 물이 낙하되는 구조를 가지는 다양한 형상과 장식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실내 또는 실외의 벽면에 걸리거나 실내 또는 실외의 바닥에 스탠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벽천구조물(140)의 낙수조(110)는, 수조 형상 대신에 펌핑수단(150)에 의해 공급되는 물이 낙수벽(130)의 전부위에 고르게 흐를 수 있도록 하는 파이프 등과 같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낙수조(110) 또는 담수조(120)에는 수위감지센서(미도시)가 부착되어 낙수조(110) 또는 담수조(120)의 수위가 낮아 물의 순환의 용이하지 않을 경우 물저장용기(미도시)로부터 낙수조(110) 또는 담수조(120)에 물이 유입되도록 하여 적정 수위를 유지하도록 하거나 경광램프(미도시) 또는 스피커(미도시)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시각/청각으로 확인하도록 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담수조(120)에는 정수필터수단(미도시)이 더 구비되어 담수조(120)로 낙수되는 물이 이온 살균되게 하거나 물분자에 부착된 외부 먼지 등을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낙수벽(130)은, 벽천구조물(140)의 낙수조(110)와 담수조(120) 사이에 위치되어 낙수조(110)로부터 물이 심미감을 가지면서 낙하되도록 하는 것으로, 낙수벽(130)을 세로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구획하도록 낙수벽(130)의 가로방향에 평행한 오목한 홈을 가지면서 낙수벽(130)에 특정 배열 또는 일정 배열을 가지면서 형성되는 복수개의 낙수로(131)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낙수로(131)는, 상기 낙수벽(130)의 가로방향에 오목한 형성을 가지면서 오목 형성됨으로써, 낙수조(110)로부터 낙하되는 물이 낙수벽(130)의 외부로 물튀김 현상을 발생시키지 않으면서도 두꺼운 두께를 가지면서 낙하되어 낙수로(131)를 따라 흐르는 물의 표면이 올라갔다 내려갔다를 반복하는 물결이 잘 보이도록 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후술된 조명수단(160)이 낙수벽(130)을 조사하는 경우 낙수벽(130)에 흐르는 물결 자체에 조명이 비쳐짐으로써 투명한 물결이 형성되어 먼 거리에서도 상기 물결에 대한 시각적 효과를 줄 수 있어 심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낙수로(131)는, 상기 낙수벽(130)에 복수개가 일정한 배열 또는 특정한 배열을 가지면서 형성됨으로써, 보는 이의 호기심을 유발하는 시각 효과를 나타낼 수 있고 이를 통하여, 낙수벽(130)에 위치되는 광고 문구 등의 광고 효과를 최대화 할 수 있다.
즉,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일의 폭을 가지는 낙수로(131)가 낙수벽(130)의 넓이방향으로 배열되거나, 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폭을 가지는 복수개의 낙수로(131)가 일정한 간격으로 낙수벽(130)의 넓이방향으로 배열되거나, 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폭을 가지는 복수개의 낙수로(131)가 낙수벽(130)의 넓이방향으로 랜덤한 간격으로 특정하게 배열됨으로써,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낙수벽(130)에 흐르는 물결 무늬를 인위적으로 제한할 수 있어 보다 향상된 심미감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펌핑수단(150)은, 상기 벽천구조물(140)의 담수조(120) 내부에 구비되는 워터펌프(151)와, 상기 워터펌프(151)에 연결되어 워터펌프(151)의 동작시 담수조(120)의 물을 낙수조(110)에 공급되도록 하는 호스(152)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워터펌프(151)에 의해 담수조(120)로부터 낙수조(110)에 펌핑된 물이 낙수조(110)의 한계 수위를 넘게 되면서 낙수벽(130)을 따라 천천히 낙하(또는 분수)되고, 상기 낙하된 물은 다시 워터펌프(151)에 의해 담수조(120)로부터 낙수조(110)로 순환되는 과정이 반복된다.
여기서, 상기 호스(152)는 낙수조(110)와 담수조(120) 사이에 연결되는 별도의 프레임이나 케이싱 등의 내부에 구비되거나, 또는 상기 낙수벽(130)의 낙수로(131)가 형성되지 않은 일면을 경유하거나, 또는 상기 낙수벽(130)을 관통하는 관통공에 경유되어 눈에 보이지 않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명수단(160)은, 상기 벽천구조물(140)의 낙수조(110) 또는 담수조(120)의 일측에 설치되어 낙수벽(130)을 조명하는 조명램프(161)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조명램프(161)는, 낙수벽(130)의 심미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조사각도를 가지면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낙수벽의 재질에 따라 낙수벽의 이면에 설치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벽천의 작용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낙수조(110) 또는 담수조(120)에 충분한 수위의 물이 공급되고 낙수조(110)로부터 담수조(120)까지 낙수벽(130)을 따라 물이 낙하된다.
이후, 또는 이와 동시에, 상기 펌핑수단(150)에 의해 담수조(120)에 낙하 저장된 물이 낙수조(110)에 공급 순환된다.
이후, 또는 이와 동시에, 상기 조명수단(160)의 조명램프(161)에 의해 낙수벽(130)에 빛이 조사된다.
이때, 상기 낙수조(110)로부터 낙수벽(130)을 따라 낙하되는 물은 낙수벽(130)의 가로방향으로 오목하게 낙수로(131)를 따라서 흐른 뒤 담수조(120)에 담수되기 때문에, 낙수벽(130)의 외부로 물튀김 현상을 발생시키지 않으면서도 두꺼운 두께를 가지면서 낙하되어 낙수로(131)를 따라 흐르는 물의 표면이 올라갔다 내려갔다를 반복하는 물결이 잘 보이도록 할 수 있고, 조명수단(160)이 낙수벽(130)을 조사하는 경우 낙수벽이 투명 혹은 반투명이므로 물결 자체에 빛이 조사되므로 투명한 형태의 물결이 먼 거리에서도 인식되어 상기 물결에 대한 시각적 효과를 줄 수 있어 심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벽천에 의하면, 낙수벽(130)에 오목(凹 형상)한 형상을 가지는 낙수로(131)가 낙수벽(130)의 가로방향으로 형성됨으로써, 낙수로(131)를 따라 낙하되는 물이 물튀김 현상을 발생시키지 않으면서도 두꺼운 두께를 가지면서 흐를 수 있어 물결이 잘 보이도록 할 수 있고, 보다 향상된 심미감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벽천을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벽천은, 상기 낙수벽(130)의 낙수로(131)를 따라서 낙수조(110)로부터 물이 흐르고 상기 낙수로(131)가 형성된 낙수벽(130)의 일면에만 조명수단(160)의 빛이 조사되도록 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벽천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낙수벽(130)의 낙수로(131)가 형성된 일면과 그 타면에 물이 동시에 또는 어느 한 면에만 선택적으로 흐르도록 하고 이와 동시에, 상기 낙수벽(130)의 낙수로(131)가 일면과 그 타면에 조명수단(160)의 빛이 동시에 또는 어느 한 면에만 선택적으로 조사되도록 하여 심미감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낙수벽(130)의 낙수로(131)는, 바람직한 제1실시예와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투명 또는 색상을 가지는 반투명한 아크릴 등의 재질을 가지도록 하여 낙수벽(130)에 그림자가 생성되는 대신에 물결 자체에 조명이 반사되도록 하여 투명한 물결 또는 투명한 물방울이 흐르는 느낌을 가지도록 하여 심미감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낙수벽(130)에 물이 낙하될 수 있도록 저장하는 낙수조(110)는, 상기 낙수벽(130)의 일면과 타면에 동시에 또는 어느 한 면에만 선택적으로 물이 흐르도록 하기 위하여, 제어수단(미도시)에 의해 물의 공급 방향이 제어되도록 하는 구성들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공지의 기술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적용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낙수벽(130)에 빛을 조사시키는 조명수단(160)은, 상기 낙수로(131)가 형성된 낙수벽(130)의 일면에 대응되는 낙수조(110) 또는 담수조(120)의 일측에 조명램프(161)가 설치되거나 또는, 상기 낙수로(131)가 형성되지 않은 낙수벽(130)의 타면에 대응되는 낙수조(110) 또는 담수조(120)의 일측에 조명램프(161)가 설치되어, 제어수단(미도시)에 의해 빛의 조사가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벽천에 의하면, 낙수벽(130)의 낙수로(131)가 형성된 일면과 그 타면에 물이 동시에 또는 어느 한 면에만 선택적으로 흐르게 하거나, 상기 낙수벽(130)의 낙수로(131)가 일면과 그 타면에 조명수단(160)의 빛이 동시에 또는 어느 한 면에만 선택적으로 조사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벽천이 예를 들어 건물의 창문 등에 대응되도록 설치되는 경우 외부에서는 실내가 보이지 않도록 하거나 그 반대로 할 수 있어 보는 이의 호기심을 유발하는 시각 효과를 나타낼 수 있고 낙수벽(130)의 색상 유무를 통하여 심미감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와 제2실시예에 따른 벽천은, 상기 낙수벽(130)의 낙수로(131)가 형성된 일면 또는 상기 낙수로(131)가 형성된 일면과 그 타면에 투명한 투광창(200)이 패키지로 더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낙수벽(130)에 충격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미적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11과 도 12는 각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 따른 벽천에 있어서 배수성을 갖는 재질을 이용하는 경우의 낙수벽을 나타낸 측단면도와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와 제2실시예에 따른 벽천은, 상기 낙수벽(130)이 낙수벽(130)의 가로방향으로 오목한 홈을 가지면서 오목하게 형성되는 낙수로(131)를 포함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 따른 벽천은, 도 11과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낙수벽(130)이 종래에서와 같이, 낙수벽(130)의 가로방향으로 볼록한 형상으로 낙수로(131)가 형성되되, 상기 볼록한 형상의 낙수로(131)의 상측 모서리(131a)가 라운드 형성되거나 모따기(Chamfer) 형성되고, 상기 상측 모서리(131a)에 낙수로(131)의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분산홈(131b)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라운드 또는 모따기 처리된 상측 모서리(131a)를 통하여 물의 낙하시 물튀김 현상을 방지함과 동시에 상기 분산홈(131b)을 통하여 물이 고였다가 퍼지게 되도록 함으로써, 배수성을 갖는 유리나 아크릴에서도 보다 향상된 심미감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낙수벽(130)의 가로방향으로 오목(凹 형상)한 형상을 가지는 낙수로(131)가 형성됨으로써, 낙수로(131)를 따라 낙하되는 물이 물튀김이 발생하지 않으면서도 두꺼운 두께를 가지면서 흐르도록 하여 자연스러운 물결 형성이 이루어져 심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투명 또는 색을 가지는 낙수벽(130)의 내측 또는 외측에서 빛이 조사되도록 하여 심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낙수벽(130)의 표면에 별도의 나노처리 또는 기스처리 작업 없이도 낙수벽(130)이 친수성을 가지도록 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향상된 물결의 흐름을 가능하게 하여 보다 향상된 심미감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따른 벽천은, 상기 낙수벽(130)이 길이가 길고 폭이 좁은 직육면체의 형상을 가지도록 하고 있으나, 상기 낙수벽(130)이 원통의 형상을 가질 수도 있음은 자명한 사실이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6)

  1. 상측의 낙수조(110)에서 하측의 담수조(120)까지 낙수벽(130)을 따라 물이 낙하되는 구조를 가지는 벽천구조물(140);
    상기 담수조(120)에 저장된 물을 낙수조(110)에 순환시키는 펌핑수단(150); 및
    상기 낙수벽(130)에 빛을 조사시키는 조명수단(160)을 포함하며,
    상기 낙수벽(130)은,
    낙수벽(130)의 가로방향으로 특정 배열 또는 일정 배열을 가지면서 형성되는 오목한 형상의 복수개의 낙수로(13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천.
  2. 상측의 낙수조(110)에서 하측의 담수조(120)까지 낙수벽(130)을 따라 물이 낙하되는 구조를 가지는 벽천구조물(140);
    상기 담수조(120)에 저장된 물을 낙수조(110)에 순환시키는 펌핑수단(150); 및
    상기 낙수벽(130)에 빛을 조사시키는 조명수단(160)을 포함하며,
    상기 낙수벽(130)은,
    낙수벽(130)의 가로방향으로 볼록한 형상으로 낙수로(131)가 형성되되,
    상기 볼록한 형상의 낙수로(131)의 상측 모서리(131a)가 라운드 형성되거나 모따기(Chamfer) 형성되고,
    상기 상측 모서리(131a)에 낙수로(131)의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분산홈(131b)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낙수벽(130)은,
    직육면체의 형상 또는 원통의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낙수조(110)는,
    상기 낙수벽(130)의 낙수로(131)가 형성된 일면과 그 타면에 물이 동시에 또는 어느 한 면에만 선택적으로 흐르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천.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수단(160)은,
    상기 낙수벽(130)의 낙수로(131)가 일면과 그 타면에 빛이 동시에 또는 어느 한 면에만 선택적으로 조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천.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낙수벽(130)은,
    투명 또는 색상을 가지는 반투명한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천.
KR1020100089836A 2010-09-14 2010-09-14 벽천 KR1012509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9836A KR101250938B1 (ko) 2010-09-14 2010-09-14 벽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9836A KR101250938B1 (ko) 2010-09-14 2010-09-14 벽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7952A true KR20120027952A (ko) 2012-03-22
KR101250938B1 KR101250938B1 (ko) 2013-04-04

Family

ID=461330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9836A KR101250938B1 (ko) 2010-09-14 2010-09-14 벽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093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74569A (zh) * 2016-10-14 2018-08-07 李英茂 具备可实现植物生长的屋顶构造的移动住宅
CN115095200A (zh) * 2022-07-19 2022-09-23 浙江广厦建设职业技术大学 一种小型景观雨水循环设备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1013B1 (ko) * 2002-10-16 2005-07-18 장석환 정교하게 조각된 석재판 표면에 물이 흐르는 분수장치와조명장치가 구비된 복합 기능 벽천 분수 수경조형물
KR100893551B1 (ko) * 2007-06-28 2009-04-17 정태용 열용융 적층접합유리판, 열용융 적층접합유리판을 이용한벽천 및 벽천의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74569A (zh) * 2016-10-14 2018-08-07 李英茂 具备可实现植物生长的屋顶构造的移动住宅
CN115095200A (zh) * 2022-07-19 2022-09-23 浙江广厦建设职业技术大学 一种小型景观雨水循环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50938B1 (ko) 2013-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22103B2 (en) Decorative waterfall
US7861942B2 (en) Sealed waterfall assembly
US20060023469A1 (en) Device for viewing media through falling liquid
JP2012039969A (ja) 緑化ディスプレイ装置
US6447137B1 (en) Illuminated waterfall lamp
KR101250938B1 (ko) 벽천
KR100912143B1 (ko) 공기청정 및 가습기능을 강화한 벽형 실내분수
KR101743813B1 (ko) 조명 폭포 화병을 구비한 바 테이블
US8292195B2 (en) Water panel
KR100591923B1 (ko) 인테리어 기능을 갖는 망형 가습기
KR101726035B1 (ko) 조명 폭포 화병을 구비한 벽체구조물
KR100840623B1 (ko) 수중공기방울유도장치
US20220023907A1 (en) Three dimensional shadow box with water flow
KR100884428B1 (ko) 액자형 벽천
KR200460352Y1 (ko) 장식용 분수대
KR20160002476U (ko) 폭포 화병을 구비한 조명 파티션
KR200381041Y1 (ko) 관상용수조를 갖춘 칸막이
JP4954817B2 (ja) 装飾テーブル
JP3185232U (ja) 水循環型観賞用水槽
KR200456046Y1 (ko) 유리 가습 분수대
JPH0339844Y2 (ko)
KR101363043B1 (ko) Led조명과 분수를 지닌 스탠드 기구
CN201335478Y (zh) 壁式水波光雾观景灯加湿器
KR200246348Y1 (ko) 분수대
KR200421138Y1 (ko) 어항 겸용 화분받침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