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0938B1 - 면진장치 - Google Patents

면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0938B1
KR102270938B1 KR1020200063723A KR20200063723A KR102270938B1 KR 102270938 B1 KR102270938 B1 KR 102270938B1 KR 1020200063723 A KR1020200063723 A KR 1020200063723A KR 20200063723 A KR20200063723 A KR 20200063723A KR 102270938 B1 KR102270938 B1 KR 1022709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ion
vibration plate
rubber pad
suspender
inclin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37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하정
Original Assignee
양하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하정 filed Critical 양하정
Priority to KR10202000637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0938B1/ko
Priority to KR1020210066893A priority patent/KR1023754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09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09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4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24/00Materials; Material properties
    • F16F2224/02Materials; Material properties solids
    • F16F2224/025Elastom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면진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면진장치는 구조물의 설치 바닥면에 접하도록 위치되며, 하나의 층으로 이루어지는 제1 하부 방진플레이트; 상기 제1 하부 방진플레이트의 상부면의 적어도 일부분에 배치되는 제1 상부 방진플레이트; 및 상기 제1 상부 방진플레이트의 상부 전체면에 배치되는 제1 슬라이딩시트;를 포함하는 제1 면진테이블;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상부 방진플레이트는 상기 제1 방진플레이트의 제1 중심점으로부터 제1 간격으로 이격되어 복수개로 구성되는 제1 방진고무패드와, 상기 제1 방진고무패드 사이의 상기 제1 간격에 대응하여 상기 제1 방진고무패드와 측면결합되는 제1 서스펜더;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면진장치 {SEISMIC ISOLATION DEVICE}
본 발명은 지진발생시 수직 방향 및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의 진동을 감쇠 및 흡수하여 구조물을 보호할 수 있는 면진장치에 관한 것이다.
지진에 대한 내진 설계는 일반적으로 대상 구조물이 지진발생시 일부 또는 전체가 파괴되어 그 기능을 상실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런데 이러한 내진 설계가 적용된 건물이라 하더라도 지진이 발생하게 되면 구조물이 흔들리게 되며, 구조물 내부의 각종 컴퓨터 서버, 통신장비, 전시대, 자판기, 의료 장비 등 고가의 장비나 기기는 전도 등에 의한 피해가 발생한다.
이러한 각종 장비의 지진피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장비나 기기의 하부에 진동을 격리시키는 면진시스템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면진시스템은 변형능력이 크고, 구조물의 하부에 설치되어 지진, 지면의 진동 등으로부터 구조물의 손상을 최소화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면진시스템은 수직 방향 및 수평 방향의 진동을 감쇠시키는 역할을 하며, 지진하중 전달경로를 차단하는 방식 또는 지진 에너지를 흡수하는 방식을 취할 수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2109285호, 2020.05.04.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지진 발생시 구조물에 가해지는 진동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는 면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진장치는, 구조물의 설치 바닥면에 접하도록 위치되며, 하나의 층으로 이루어지는 제1 하부 방진플레이트; 상기 제1 하부 방진플레이트의 상부면의 적어도 일부분에 배치되는 제1 상부 방진플레이트; 및 상기 제1 상부 방진플레이트의 상부 전체면에 배치되는 제1 슬라이딩시트;를 포함하는 제1 면진테이블;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상부 방진플레이트는 상기 제1 방진플레이트의 제1 중심점으로부터 제1 간격으로 이격되어 복수개로 구성되는 제1 방진고무패드와, 상기 제1 방진고무패드 사이의 상기 제1 간격에 대응하여 상기 제1 방진고무패드와 측면결합되는 제1 서스펜더;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상부 방진플레이트는 상기 제1 중심점을 중심으로 상기 제1 방진고무패드의 개수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제1 진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방진고무패드의 개수는 상기 제1 서스펜더 개수와 동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방진고무패드는 상기 제1 진공부 측으로 경사진 제1 기울기를 갖는 양측 내측면과, 상기 양측 내측면 중 적어도 하나의 내측면과 연결되어 상기 제1 기울기와 상이한 제2 기울기를 갖는 서로 상이한 기울기를 갖는 제1 외측면과, 상기 1 외측면과 상기 나머지 내측면과 연결되어 상기 제1 기울기 및 상기 제2 기울기와 상이한 제3 기울기를 갖는 제2 외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기울기는 상기 제2 기울기 및 상기 제3 기울기보다 큰 기울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서스펜더는 상기 제1 간격에 대응하여 상기 제1 방진고무패드와 동일한 층에 위치하는 제1 평탄부와, 상기 제1 평탄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제1 면진테이블의 외측면으로 노출되는 제1 노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의 하부면에 접하도록 위치되며, 상기 제1 면진테이블의 상부면에 배치되는 제2 면진테이블;을 포함하되, 상기 제2 면진테이블은, 상기 제1 슬라이딩시트의 상부면에 대응하여 하나의 층으로 이루어지는 제2 슬라이딩시트; 상기 제2 슬라이딩시트의 상부면의 적어도 일부분에 배치되는 제2 상부 방진플레이트; 및 상기 제2 상부 방진플레이트 상부면에 배치되어 하나의 층으로 이루어지는 제2 하부 방진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상부 방진플레이트는 상기 제2 방진플레이트의 제2 중심점으로부터 제2 간격으로 이격되어 복수개로 구성되는 제2 방진고무패드와, 상기 제2 방진고무패드 사이의 상기 제2 간격에 대응하여 상기 제2 방진고무패드와 측면결합되는 제2 서스펜더;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방진고무패드는 상기 제1 방진고무패드와 동일한 구조를 갖고, 상기 제2 서스펜더는 상기 제1 서스펜더와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서스펜더는 상기 제2 간격에 대응하여 상기 제2 방진고무패드와 동일한 층에 위치하는 제2 평탄부와, 상기 제2 평탄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제2 면진테이블의 외측면으로 노출되는 제2 노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서스펜더의 상기 제1 노출부의 상부면과 상기 제2 서스펜더의 상기 제2 노출부의 하부면 사이에 접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상부 방진플레이트는 상기 제2 중심점을 중심으로 상기 제2 방진고무패드의 개수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제2 진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진공부는 상기 제1 진공부와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진공부 내부에 탄력 부재가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면진장치는, 동일한 형상 및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한쌍의 슬라이딩시트; 상기 한쌍의 슬라이딩시트를 기준으로 상기 한쌍의 슬라이딩시트 양측면에 각각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제1 방진플레이트와 제2 방진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방진플레이트는 중심부에 팔각형상의 진공부와, 상기 진공부를 중심으로 측면이 소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방진고무패드와 상기 방진고무패드 사이에 측면결합되는 서스펜더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컴퓨터 서버, 전기통신장비, 전시대, 자판기, 의료기 등과 같이 건물이나 구조물의 내부 혹은 외부에 독립적으로 설치되는 각종 장비 및 기기에 대해 지진 발생시 피해가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감쇠율과 주기조정이 용이하고, 대규모 지진 발생시에도 각종 장비가 전도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면진장치 사이에 복수개의 서스펜더를 구비함으로써, 지진 발생시 슬라이드시트 사이의 상대 변위량을 제한하여 빠르게 원점으로 복귀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진으로부터 각종 장비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면진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면진장치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면진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면진장치의 저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면진장치의 제1 면진테이블을 설명하기 위한 상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면진장치의 제2 면진테이블을 설명하기 위한 상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면진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면진장치의 상세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면진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면진장치의 정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면진장치의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면진장치의 저면도이며,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면진장치의 제1 면진테이블을 설명하기 위한 상세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면진장치의 제2 면진테이블을 설명하기 위한 상세 사시도이다. 여기서 도 5(a)는 제1 면진테이블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b)는 제1 면진테이블에 포함된 제1 하부 방진플레이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5(c)는 제1 하부 방진플레이트에 포함된 제1 방진고무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d)는 제1 하부 방진플레이트에 포함된 제1 서스펜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6(a)는 제2 면진테이블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b)는 제2 면진테이블에 포함된 제2 상부 방진플레이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6(c)는 제2 상부 방진플레이트에 포함된 제2 방진고무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d)는 제2 상부 방진플레이트에 포함된 제2 서스펜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우선, 본 실시예에서, 면진장치(1)는 구조물(A)과 지반의 수평이동 격리를 위한 설치된 것으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조물(A)의 수직방향 하중을 견디지는 지점에 설치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면진장치(1)가 연결부재(미도시)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구조물(A)의 다리 또는 기둥의 하단 부분에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면진장치(1)의 형상이 팔각형을 갖는 모양으로 개시하였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팔각형 이상 또는 이하의 다각형 또는 원형, 타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면진장치(1)는 제1 면진테이블(10) 및 제1 면진테이블(10)의 상부면에 위치하는 제2 면진테이블(20)로 구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1 면진테이블(10)의 하부면과 제2 면진테이블(20)의 상부면에 별도의플레이트가 구성될 수도 있다. 제1 면진테이블(10)의 하부면에 위치하는 플레이트는 구조물(A)의 설치 장소의 바닥면에 접하도록 위치되어야 하므로, 유연성 및 방수에 용이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제1 면진테이블(10)의 하부면에 위치하는 플레이트는 설치 장소의 바닥면과 밀착하여 설치되도록 유연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며, 설치 장소의 바닥면으로부터 발생할 수 있는 수분침투 등의 이물질 오염을 막기 위해 방수를 갖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1 면진테이블(10)의 하부면에 위치하는 플레이트는 외부의 충격시 발생하는 흔들림에 의한 움직임을 방지하기 위해 내구성이 용이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2 면진테이블(20)의 상부면에 위치하는 플레이트는 구조물(A)의 하부면에 접하도록 위치하여야 하므로, 구조물(A)의 하중으로 인한 부하를 분산시키기 위해 강도가 높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제2 면진테이블(20)의 상부면에 위치하는 플레이트는 휨 강도가 우수한 철판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제1 면진테이블(10)의 하부면과 제2 면진테이블(20)의 상부면에 위치하는 플레이트는 면진장치(1)의 외형과 동일한 팔각형상을 갖도록 외곽모양이 형성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 제1 면진테이블(10)은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하부 방진플레이트(12), 제1 상부 방진플레이트(14) 및 제1 슬라이딩시트(16)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하부 방진플레이트(12)는 팔각형상으로 하나의 단일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제1 하부 방진플레이트(12)는 균일한 제1 두께(D1)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하부 방진플레이트(12)는 지진 또는 외부 충격에 의해 발생하는 수직방향의 진동을 흡수시킬 수 있는 고무 등의 진동 흡수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하부 방진플레이트(12)는 고무나 폴리우레탄으로 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서, 일정한 면적과 두께를 가지게 형성되어 탄성적으로 수직 방향의 진동을 흡수하게 될 수 있다.
제1 상부 방진플레이트(14)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방진고무패드(140), 제1 서스펜더(142) 및 제1 진공부(14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방진고무패드(140)는 제1 상부 방진플레이트(14)의 제1 중심축(14a)을 중심으로 제1 간격(G1)으로 이격되어 복수개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방진고무패드(140)는 8개의 다각형으로 동일한 형상으로 제1 하부 방진플레이트(12)와 동일한 제1 두께(D1)를 가지며 동일한 제1 간격(G1)으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 방진고무패드(140)는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진공부(144)를 향해 제1 기울기를 갖는 제1 내측면(1400)과, 제1 내측면(1400)과 연결되며 제1 내측면(1400)의 제1 기울기와 동일한 제2 기울기를 갖는 제2 내측면(1401)과, 제2 내측면(1401)과 연결되며, 제1 및 제2 기울기와 상이한 제3 기울기를 갖는 제1 외측면(1402)과, 제1 외측면(1402)과 연결되며 제1 내지 제3 기울기와 상이한 제4 기울기를 갖는 제2 외측면(1403)으로 구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1 및 제2 기울기가 제3 및 제4 기울기보다 클 수 있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방진고무패드(140)는 지진 또는 외부 충격에 의해 발생하는 수직 방향의 진동을 흡수시킬 수 있는 고무 등의 진동 흡수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제1 방진고무패드(140)는 제1 하부 방진플레이트(12)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에 따라, 제1 하부 방진플레이트(12)의 상부면에 적층되는 제1 방진고무패드(140)가 모두 고무나 폴리우레탄으로 형성됨으로써, 수직 방향의 진동을 더욱 효과적으로 흡수하게 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1 방진고무패드(140)의 하부면과 제1 하부 방진플레이트(12)의 상부면 사이에 접착층이 형성되어 제1 방진고무패드(140)와 제1 하부 방진플레이트(12)를 고정 결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하부 방진플레이트(12)와 제1 상부 방진플레이트(14)의 분리 또는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서스펜더(142)는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방진고무패드(140) 사이의 제1 간격(G1)에 대응하여 제1 방진고무패드(140)와 측면결합하는 제1 평탄부(1420)과 제1 평탄부(1420)와 일체로 연결되어 제1 면진테이블(10)의 외측면으로 노출되는 제1 노출부(14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평탄부(1420)는 제1 방진고무패드(140)의 제1 두께(D1)와 동일한 높이를 갖고, 제1 방진고무패드(140) 사이의 제1 간격(G1)과 동일한 너비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노출부(1422)는 제1 평탄부(1420)의 일측 끝단에 형성되어 제1 높이(H1)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노출부(1422)는 제1 방진고무패드(140)의 제1 외측면(1402) 및 제2 외측면(1403)의 끝단에서 외부로 누출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1 노출부(1422)의 상부면에 점착성 쪼는 접착성을 갖는 필름 또는 테이프 등의 접착물질로 이루어진 접착층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서스펜더(142)는 복귀 기능이 있는 탄성 결합 소재로 이루질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1 서스펜더(142)의 하부면과 제1 하부 방진플레이트(12)의 상부면 사이에 접착층이 형성되어 제1 서스펜더(142)와 제1 하부 방진플레이트(12)를 고정 결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하부 방진플레이트(12)와 제1 상부 방진플레이트(14)의 분리 또는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의 제1 방진고무패드(140)와 제1 서스펜더(142)의 측면은 서로 고정결합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제1 방진고무패드(140)와 제1 서스펜더(142)의 측면이 고정결합되지 않음으로써, 지진 또는 외부 충격에 의해 면진장치(1)가 구조물(A)로부터 이탈이 발생하는 경우 원래 위치 또는 형상으로의 복귀 기능이 있는 제1 서스펜더(142)의 원활한 복귀 동작에 의해 수평 방향의 진동을 감쇠 및 흡수할 수 있다.
제1 진공부(144)는 제1 하부 방진플레이트(12)와 제1 슬라이딩시트(16) 사이의 진공 공간을 유지함으로써, 제1 서스펜더(142)의 탄성 작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져 진동 또는 외부 충격시 발생하는 수평 방향의 진동을 더욱 용이하게 흡수 및 감쇠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1 진공부(144) 내부에 탄성 부재가 포함될 수 있다.
제1 슬라이딩시트(16)는 제1 상부 방진플레이트(14)의 상부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슬라이딩시트(16)는 팔각형상으로 하나의 단일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제1 슬라이딩시트(16)는 제1 하부 방진플레이트(12) 및 제1 방진고무패드(140)와 동일한 제1 두께(D1)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슬라이딩시트(16)는 저마찰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1 슬라이딩시트(16)의 하부면과 제1 상부 방진플레이트(14)의 상부면 사이에 접착층이 형성되어 제1 상부 방진플레이트(14)와 제1 슬라이딩시트(16)를 고정 결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상부 방진플레이트(14)와 제1 슬라이딩시트(16)의 분리 또는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의 제1 면진테이블(10)은 지진 또는 외부 충격이 발생하는 경우, 진동을 흡수하는 소재로 이루어져 순서대로 적층되는 제1 하부 방진플레이트(12) 및 제1 상부 방진플레이트(14)의 제1 방진고무패드(140)에 의해 수직 방향의 진동을 감쇠 및 흡수하고, 제1 방진고무패드(140)의 사이에 배치된 제1 서스펜더(142)의 복귀 기능에 의해 수평 방향의 진동을 감쇠 및 흡수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면진테이블(20)은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하부 방진플레이트(22), 제2 상부 방진플레이트(24) 및 제2 슬라이딩시트(26)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2 면진테이블(20)의 구조는 제1 면진테이블(10)의 구조에 대하여 반전된 구조일 수 있다. 이때, 제1 면진테이블(10)의 제1 하부 방진플레이트(12)와 제2 면진테이블(20)의 제2 하부 방진플레이트(22)의 구조 및 기능이 서로 동일하고, 제1 면진테이블(10)의 제1 상부 방진플레이트(14)와 제2 면진테이블(20)의 제2 상부 방진플레이트(24)의 구조 및 기능이 서로 동일하며, 제1 면진테이블(10)의 제1 슬라이딩시트(16)와 제2 면진테이블(20)의 제2 슬라이딩시트(26)의 구조 및 기능이 서로 동일할 수 있다.
우선, 제2 슬라이딩시트(26)는 제1 슬라이딩시트(16)의 상부면 전체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슬라이딩시트(26)는 하나의 단일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제2 슬라이딩시트(26)는 제1 슬라이딩시트(16)의 제1 두께(D1)와 동일한 제2 두께(D2)로 형성되고, 동일한 팔각형상 및 동일한 저마찰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슬라이딩시트(16)의 전체면에 맞대응하여 적층되는 제2 슬라이딩시트(26)가 동일한 저마찰 소재로 이루어짐으로써, 지진 또는 외부 충격이 발생하는 경우, 수평 방향에 대한 움직임을 최소화하여 제2 면진테이블(20) 및/또는 구조물(A)에 전달되는 진동을 감쇠시킬 수 있다.
제2 상부 방진플레이트(24)는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방진고무패드(240), 제2 서스펜더(242) 및 제2 진공부(244)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방진고무패드(240)는 제2 슬라이딩시트(26)의 제2 중심축(26a)을 중심으로 제2 간격(G2)으로 이격되어 복수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제2 간격(G2)은 제1 간격(G1)과 동일한 간격으로 설정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에서, 제2 방진고무패드(240)는 8개의 다각형으로 동일한 형상으로 제2 슬라이딩시트(26)와 동일한 제2 두께(D2)를 가지며 동일한 제2 간격(G2)으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2 방진고무패드(240)는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진공부(244)를 향해 제5 기울기를 갖는 제3 내측면(2400)과, 제3 내측면(2400)과 연결되며 제3 내측면(2400)의 제5 기울기와 동일한 제6 기울기를 갖는 제4 내측면(2401)과, 제4 내측면(2401)과 연결되며, 제5 및 제6 기울기와 상이한 제7 기울기를 갖는 제3 외측면(2402)과, 제3 외측면(2402)과 연결되며 제5 내지 제6 기울기와 상이한 제7 기울기를 갖는 제4 외측면(2403)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제2, 제5, 제6 기울기는 서로 동일하고, 제3 및 제7 기울기는 서로 동일하며, 제4 및 제8 기울기는 서로 동일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실시예에 따라, 제1 및 제2 기울기가 제3 및 제4 기울기보다 클 수 있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에서, 제2 방진고무패드(240)는 지진 또는 외부 충격에 의해 발생하는 수직 방향의 진동을 흡수시킬 수 있는 고무 등의 진동 흡수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2 방진고무패드(240)의 하부면과 제2 슬라이딩시트(26)의 상부면 사이에 접착층이 형성되어 제2 방진고무패드(240)와 제2 슬라이딩시트(26)를 고정 결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상부 방진플레이트(24)와 제2 슬라이딩시트(26)의 분리 또는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서스펜더(242)는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방진고무패드(240) 사이의 제2 간격(G2)에 대응하여 제2 방진고무패드(240)와 측면결합하는 제2 평탄부(2420)과 제2 평탄부(2420)와 일체로 연결되어 제2 면진테이블(20)의 외측면으로 노출되는 제2 노출부(24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평탄부(2420)는 제2 방진고무패드(240)의 제2 높이(D2)와 동일한 높이를 갖고, 제2 방진고무패드(240) 사이의 제2 간격(G2)과 동일한 너비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노출부(2422)는 제2 평탄부(2420)의 일측 끝단에 형성되어 제2 높이(H2)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 노출부(2422)는 제2 방진고무패드(240)의 제3 외측면(2402) 및 제4 외측면(2403)의 끝단에서 외부로 누출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서스펜더(242)는 복귀 기능이 있는 탄성 결합 소재로 이루질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2 노출부(2422)의 상부면에 점착성 쪼는 접착성을 갖는 필름 또는 테이프 등의 접착물질로 이루어진 접착층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접착층에 의해 탄성결합소재로 이루어진 제1 노출부(1422)와 제2 노출부(2422)가 서로 고정 결합됨으로써, 뒤틀림을 방지하면서 수평 방향의 진동을 흡수 및 감쇠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2 슬라이딩시트(26)의 상부면과 제2 서스펜더(142)의 하부면 사이에 접착층이 형성되어 제2 서스펜더(242)와 제2 슬라이딩시트(26)를 고정 결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상부 방진플레이트(24)와 제2 슬라이딩시트(26)의 분리 또는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의 제2 방진고무패드(240)와 제2 서스펜더(242)의 측면은 서로 고정결합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제2 방진고무패드(240)와 제2 서스펜더(242)의 측면이 고정결합되지 않음으로써, 지진 또는 외부 충격에 의해 면진장치(1)가 구조물(A)로부터 이탈이 발생하는 경우 원래 위치 또는 형상으로의 복귀 기능이 있는 제2 서스펜더(242)의 원활한 복귀 동작에 의해 수평 방향의 진동을 감쇠 및 흡수할 수 있다.
제2 진공부(244)는 제2 하부 방진플레이트(22)와 제2 슬라이딩시트(26) 사이의 진공 공간을 유지함으로써, 제2 서스펜더(242)의 탄성 작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져 진동 또는 외부 충격시 발생하는 수평 방향의 진동을 더욱 용이하게 흡수 및 감쇠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2 진공부(244) 내부에 탄성 부재가 포함될 수 있다.
제2 하부 방진플레이트(22)는 팔각형상으로 하나의 단일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제2 하부 방진플레이트(22)는 제2 방진고무패드(240)의 제2 두께(D1)와 동일한 높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2 하부 방진플레이트(22)는 제2 방진고무패드(240)와 동일한 재질 예를 들어, 지진 또는 외부 충격에 의해 발생하는 수직방향의 진동을 흡수시킬 수 있는 고무 등의 진동 흡수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에 따라, 제2 방진고무패드(240)의 상부면에 적층되는 제2 하부 방진플레이트(22)가 모두 고무나 폴리우레탄으로 형성됨으로써, 수직 방향의 진동을 더욱 효과적으로 흡수하게 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2 상부 방진플레이트(24)의 상부면과 제2 하부 방진플레이트(22)의 하부면 사이에 접착층이 형성되어 제2 상부 방진플레이트(24)와 제2 하부 방진플레이트(22)를 고정 결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상부 방진플레이트(24)와 제2 하부 방진플레이트(22)의 분리 또는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의 제1 면진테이블(20)은 지진 또는 외부 충격에 의해 발생하는 경우, 진동을 흡수하는 소재로 이루어져 순서대로 적층되는 제2 상부 방진플레이트(24)의 제2 방진고무패드(240) 및 제2 하부 방진플레이트(22)에 의해 수직 방향의 진동을 감쇠 및 흡수하고, 제2 방진고무패드(240)의 사이에 배치된 제2 서스펜더(242)의 복귀 기능에 의해 수평 방향의 진동을 감쇠 및 흡수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면진테이블(10) 및 제2 면진테이블(20)을 포함하는 면진장치(1)는 지진 또는 외부충격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을 수직 방향 뿐만 아니라 수평 방향의 진동을 감쇠 및 흡수함으로써, 면진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즉, 구조물(A)의 변형과 파손을 최소화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저마찰 소재로 이루어지는 제1 슬라이딩시트(16) 및 제2 슬라이딩시트(26)가 별도의 접착제없이 맞대응하여 위치함으로써, 수평 방향의 진동을 흡수 및 감쇠할 수 있다.
또한, 제1 노출부(1422)와 제2 노출부(2422)가 서로 고정 결합됨으로써, 진동 또는 외부 충격에 의해 뒤틀림을 방지하여 면진장치(1)의 분리 또는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 면진장치(1)는 제1 면진테이블(10) 및 제2 면진테이블(20)이 교대로 반복 적층된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면진장치(1)의 생성 방법은 다음과 같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면진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면진장치의 상세 분해사시도이다.
우선, 도 7을 참조하면, 면진장치(1)는 구조물(A)의 설치 장소의 바닥면에 접하도록 순차적으로 제1 하부 방진플레이트(12), 제1 상부 방진플레이트(14), 제1 슬라이딩시트(16)가 적층될 수 있다. 이때, 제1 하부 방진플레이트(12)와 제1 상부 방진플레이트(14) 사이 및/또는 제1 상부 방진플레이트(14)와 제1 슬라이딩시트(16) 사이에 접착층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상부 방진플레이트(14)는 도 8을 참조하면, 제1 서스펜더(142) 및 제1 방진고무패드(140)가 순차적으로 적층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서스펜더(142) 및 제1 방진고무패드(140)는 순서에 상관없이 제1 하부 방진플레이트(12)의 적어도 일부분 위에 적층될 수 있다.
다음, 제1 슬라이딩시트(16)의 전체면에 제2 슬라이딩시트(26)가 맞대응하여 적층될 수 있다. 이때, 제1 슬라이딩시트(16)와 제2 슬라이딩시트(26) 사이에는 접착층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다음, 제2 슬라이딩시트(26)의 적어도 일부분 위에 제2 상부 방진플레이트(24)가 적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상부 방진플레이트(24)는 도 8을 참조하면, 제2 방진고무패드(240) 및 제2 서스펜더(242)가 순차적으로 적층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방진고무패드(240) 및 제2 서스펜더(242)는 순서에 상관없이 제2 슬라이딩시트(26)의 적어도 일부분 위에 적층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제2 상부 방진플레이트(24) 위에 제2 하부 방진플레이트(22)가 적층될 수 있다. 이때, 제2 하부 방진플레이트(22)와 제2 상부 방진플레이트(24)사이에 접착층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상주할 수도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 면진장치
10 : 제1 면진테이블 20 : 제2 면진테이블

Claims (12)

  1. 구조물의 설치 바닥면에 접하도록 위치되며, 하나의 층으로 이루어지는 제1 하부 방진플레이트;
    상기 제1 하부 방진플레이트의 상부면의 적어도 일부분에 배치되는 제1 상부 방진플레이트; 및
    상기 제1 상부 방진플레이트의 상부 전체면에 배치되는 제1 슬라이딩시트;를 포함하는 제1 면진테이블;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상부 방진플레이트는 상기 제1 상부 방진플레이트의 제1 중심점으로부터 제1 간격으로 이격되어 복수개로 구성되는 제1 방진고무패드와, 상기 제1 방진고무패드 사이의 상기 제1 간격에 대응하여 상기 제1 방진고무패드와 측면결합되는 제1 서스펜더;를 포함하는, 면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부 방진플레이트는 상기 제1 중심점을 중심으로 상기 제1 방진고무패드의 개수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제1 진공부;를 포함하는, 면진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진고무패드의 개수는 상기 제1 서스펜더 개수와 동일한, 면진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진고무패드는 상기 제1 진공부 측으로 경사진 제1 기울기를 갖는 제1 및 제2 내측면과, 상기 제2 내측면과 연결되어 상기 제1 기울기와 상이한 제2 기울기를 갖는 제1 외측면과, 상기 제1 외측면 및 상기 제1 내측면과 연결되어 상기 제1 기울기 및 상기 제2 기울기와 상이한 제3 기울기를 갖는 제2 외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기울기는 상기 제2 기울기 및 상기 제3 기울기보다 큰 기울기를 갖는, 면진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서스펜더는 상기 제1 간격에 대응하여 상기 제1 방진고무패드와 동일한 층에 위치하는 제1 평탄부와, 상기 제1 평탄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제1 면진테이블의 외측면으로 노출되는 제1 노출부;를 포함하는, 면진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의 하부면에 접하도록 위치되며, 상기 제1 면진테이블의 상부면에 배치되는 제2 면진테이블;을 포함하되,
    상기 제2 면진테이블은,
    상기 제1 슬라이딩시트의 상부면에 대응하여 하나의 층으로 이루어지는 제2 슬라이딩시트;
    상기 제2 슬라이딩시트의 상부면의 적어도 일부분에 배치되는 제2 상부 방진플레이트; 및
    상기 제2 상부 방진플레이트 상부면에 배치되어 하나의 층으로 이루어지는 제2 하부 방진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면진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상부 방진플레이트는 상기 제2 상부 방진플레이트의 제2 중심점으로부터 제2 간격으로 이격되어 복수개로 구성되는 제2 방진고무패드와, 상기 제2 방진고무패드 사이의 상기 제2 간격에 대응하여 상기 제2 방진고무패드와 측면결합되는 제2 서스펜더;를 포함하는, 면진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방진고무패드는 상기 제1 방진고무패드와 동일한 구조를 갖고, 상기 제2 서스펜더는 상기 제1 서스펜더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 면진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서스펜더는 상기 제2 간격에 대응하여 상기 제2 방진고무패드와 동일한 층에 위치하는 제2 평탄부와, 상기 제2 평탄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제2 면진테이블의 외측면으로 노출되는 제2 노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서스펜더의 상기 제1 노출부의 상부면과 상기 제2 서스펜더의 상기 제2 노출부의 하부면 사이에 접촉부;를 더 포함하는, 면진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상부 방진플레이트는 상기 제2 중심점을 중심으로 상기 제2 방진고무패드의 개수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제2 진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진공부는 상기 제1 진공부와 동일한 형상을 갖는, 면진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진공부 내부에 탄력 부재가 위치하는, 면진장치.
  12. 동일한 형상 및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한쌍의 슬라이딩시트;
    상기 한쌍의 슬라이딩시트를 기준으로 상기 한쌍의 슬라이딩시트 양측면에 각각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제1 방진플레이트와 제2 방진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방진플레이트는 중심부에 팔각형상의 진공부와, 상기 진공부를 중심으로 측면이 소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방진고무패드와 상기 방진고무패드 사이에 측면결합되는 서스펜더를 포함하는, 면진장치.
KR1020200063723A 2020-05-27 2020-05-27 면진장치 KR1022709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3723A KR102270938B1 (ko) 2020-05-27 2020-05-27 면진장치
KR1020210066893A KR102375460B1 (ko) 2020-05-27 2021-05-25 면진장치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면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3723A KR102270938B1 (ko) 2020-05-27 2020-05-27 면진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6893A Division KR102375460B1 (ko) 2020-05-27 2021-05-25 면진장치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면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0938B1 true KR102270938B1 (ko) 2021-06-30

Family

ID=7660186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3723A KR102270938B1 (ko) 2020-05-27 2020-05-27 면진장치
KR1020210066893A KR102375460B1 (ko) 2020-05-27 2021-05-25 면진장치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면진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6893A KR102375460B1 (ko) 2020-05-27 2021-05-25 면진장치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면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27093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55827A (ja) * 2009-04-28 2010-11-11 Bridgestone Corp 防振装置
JP2018179193A (ja) * 2017-04-17 2018-11-15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滑り支承装置
KR20190036675A (ko) * 2017-09-28 2019-04-05 주식회사 씨엔씨알 서버랙의 면진장치
JP2019173764A (ja) * 2018-03-26 2019-10-10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防振装置
KR102109285B1 (ko) 2018-11-30 2020-05-11 주식회사 포스코 면진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17331B2 (ja) * 1999-08-19 2001-10-09 本州四国連絡橋公団 ケーブル又は管状体若しくは棒状体の制振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5102141A (ja) * 2013-11-25 2015-06-04 ヘルツ株式会社 免震装置及び免震装置用低摩擦シート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55827A (ja) * 2009-04-28 2010-11-11 Bridgestone Corp 防振装置
JP2018179193A (ja) * 2017-04-17 2018-11-15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滑り支承装置
KR20190036675A (ko) * 2017-09-28 2019-04-05 주식회사 씨엔씨알 서버랙의 면진장치
JP2019173764A (ja) * 2018-03-26 2019-10-10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防振装置
KR102109285B1 (ko) 2018-11-30 2020-05-11 주식회사 포스코 면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6812A (ko) 2021-12-06
KR102375460B1 (ko) 2022-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9580B1 (ko) 내진장치가 구비된 수배전반
KR102253617B1 (ko) 케이블 트레이의 내진 구조
KR20200100990A (ko) 볼과 스프링을 이용하여 향상된 복원력을 가지는 면진 장치
KR20190036675A (ko) 서버랙의 면진장치
KR102270938B1 (ko) 면진장치
KR102191280B1 (ko) 볼과 스프링을 이용하는 면진 장치
KR101863327B1 (ko) 내진성이 향상되는 원추형 내진 모듈장치
KR102182414B1 (ko) 마찰방식에 의한 면진장치
JP2015168997A (ja) 建造物の防震基礎構造
JPH11200661A (ja) 連結構造物の制振方法
JP2016205413A (ja) 免震構造
KR20120128523A (ko) 구체의 진자운동을 이용한 지진 격리장치
KR101285236B1 (ko) 장치 구조물의 면진 장치
JP3187018B2 (ja) 免震装置
KR102440477B1 (ko) 지진억제장치 일체형 방진 앵커 브라켓
KR20160120119A (ko) 횡변위와 수직변위 제어 및 수직하중 지지성능을 갖는 지진저감용 면진 모듈
KR101393095B1 (ko) 바닥 충격 감쇄 구조
JP7141638B2 (ja) 除振構造
JP2018025297A (ja) 免震装置
JP4891195B2 (ja) 床の架構構造
JP3326421B2 (ja) 免震装置
JPH02236354A (ja) 床免震構造
JP3343037B2 (ja) 免震装置
JPH02248550A (ja) 軽量建造物用免震装置
JPH03244767A (ja) 構造物の免震・除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Z031 Request for patent cancellation [new post grant opposition system introduced on 1 march 2017]

Free format text: CASE NUMBER: 2021106000101

Z072 Maintenance of patent after cancellation proceedings: certified copy of decision transmitted [new post grant opposition system as of 20170301]
Z131 Decision taken on request for patent cancellation [new post grant opposition system as of 201703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