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9552B1 - 보차도블록 성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보차도블록 - Google Patents

보차도블록 성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보차도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9552B1
KR102269552B1 KR1020190048007A KR20190048007A KR102269552B1 KR 102269552 B1 KR102269552 B1 KR 102269552B1 KR 1020190048007 A KR1020190048007 A KR 1020190048007A KR 20190048007 A KR20190048007 A KR 20190048007A KR 102269552 B1 KR102269552 B1 KR 1022695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molding
blocks
mortar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80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24543A (ko
Inventor
원 옥 백
Original Assignee
백원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원옥 filed Critical 백원옥
Priority to KR10201900480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9552B1/ko
Publication of KR202001245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45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95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95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23/00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production of shaped articles with elements wholly or partly embedded in the moulding material; Production of reinforced objects
    • B28B23/005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production of shaped articles with elements wholly or partly embedded in the moulding material; Production of reinforced objects with anchoring or fastening elements for the shap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00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 B28B1/08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vibrating or jol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0002Auxiliary parts or elements of the mou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24Unitary mould structures with a plurality of moulding spaces, e.g. moulds divided into multiple moulding spaces by integratable partitions, mould part structures providing a number of moulding spaces in mutual co-oper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06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made of units with cement or like bin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도 또는 차도에 깔리는 보차도블록이 성형틀에서 낱개로 성형되는 과정에서 각 블록들의 하부가 부분적으로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성형틀에서 분리된 각 보차도블록들이 건조 후 하나의 묶음으로 연결되므로 노면에 낱개로 시공할 때보다 빠르고 블록과 블록 사이의 줄눈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어 시공정밀도가 향상되는 보차도블록 성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보차도블록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상,하측이 개방되고 격자형으로 놓인 다수의 격벽을 통하여 내부에 다수의 성형공간이 만들어지는 성형틀이 구비되고; 상기 각 격벽의 하부에는 서로 이웃한 성형공간으로 통하는 연결통로가 구비되며; 상기 각 성형공간으로 블록성형에 필요한 몰탈이 채워진 뒤 진동다짐과정에서 상기 각 성형공간의 몰탈이 상기 연결통로에서 연결되고; 상기 진동다짐 뒤 상기 각 성형공간에서 만들어진 블록들이 상기 성형틀에서 분리되고, 건조과정 중 상기 연결통로에서 연결된 몰탈들이 연결구로 성형되어 각 블록들이 하나의 묶음으로 동시에 들리도록 한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보차도블록 성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보차도블록{Block molding apparatus and its block}
본 발명은 보차도블록 성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보차도블록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보도 또는 차도에 깔리는 보차도블록이 성형틀에서 낱개로 성형되는 과정에서 각 블록들의 하부가 부분적으로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성형틀에서 분리된 각 보차도블록들이 건조 후 하나의 묶음으로 연결되므로 노면에 낱개로 시공할 때보다 빠르고 블록과 블록 사이의 줄눈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어 시공정밀도가 향상되는 보차도블록 성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보차도블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차도블록은 굵은골재로 기초층을 만들고 그 위에 작은골재를 덮어 미장층을 만들었다. 특허 제863197호, 특허 제960955호 및 특허 제1020633호에서 기초층과 미장층은 건식공법으로 제작되는데, 먼저 형틀에 기초층을 깔고 가압 및 진동을 실시하여 다짐한 뒤 기초층 위에 미장층을 씌우고 가압 및 진동을 실시하는 이중의 다짐으로 생산되었다. 건식공법은 주로 진동 가압방식의 성형틀을 이용하여 만드는데, 소량의 물을 넣어 시멘트와 골재를 반죽하므로 물기가 거의 없는 특성으로 인해 불량품이 생산되더라도 파쇄 후 골재를 다시 재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자는 공개특허 제10-2019-0027504에서 결속력이 강화된 투수블록을 제안한 바 있다. 이는 기초층과 중간층 및 미장층이 한번의 진동다짐에 의해 블록으로 성형되도록 하되, 상기 중간층과 미장층은 경계면에 요철이 형성되어서 수평적인 경계면에서 벗어나 입체적이고 접촉면적이 증가되도록 함으로써,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은 미장층이 외부충격으로 인하여 중간층에서 이탈되지 않는 결속력이 강화된 투수블록을 생산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생산되는 블록들은 성형틀 내부에서 가로×세로 200mm × 100mm 또는 200mm × 200mmm의 크기로 다수가 동시에 생산되고 성형틀에서 분리된 각 블록들은 건조과정을 거쳐 낱개로 완성된다. 이처럼 블록들이 낱개로 생산되기 때문에 노면에 시공할때 작업자가 블록들을 하나씩 들어서 줄눈이 유지되도록 서로 맞대어 깔기 때문에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었다.
특히 차도에 블록을 시공할 경우 수작업으로 넓은 면적에 블록들을 깔 수 없으므로 다수의 블록을 동시에 집어 들어올릴 수 있는 전용장비가 필요한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개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블록들이 성형되는 과정에서 하부가 부분적으로 연결되어 건조 후 다수의 블록들이 하나의 묶음이 되도록 함으로써, 블록들 하부의 연결구에 고리를 걸어 끈으로 매달면 포크레인 처럼 자주 사용하는 장비로 묶음 된 다수 블록을 동시에 들어 운반할 수 있으므로 노면에 낱개로 시공할 때보다 빠르고 전용장비를 구입할 필요가 없으며, 특히 블록과 블록 사이의 줄눈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어 시공정밀도가 향상되는 보차도블록 성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보차도블록을 제공함에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상,하측이 개방되고 격자형으로 놓인 다수의 격벽을 통하여 내부에 다수의 성형공간이 만들어지는 성형틀이 구비되고; 상기 각 격벽의 하부에는 서로 이웃한 성형공간으로 통하는 연결통로가 구비되며; 상기 각 성형공간으로 블록성형에 필요한 몰탈이 채워진 뒤 진동다짐과정에서 상기 각 성형공간의 몰탈이 상기 연결통로에서 연결되고; 상기 진동다짐 뒤 상기 각 성형공간에서 만들어진 블록들이 상기 성형틀에서 분리되고, 건조과정 중 상기 연결통로에서 연결된 몰탈들이 연결구로 성형되어 각 블록들이 하나의 묶음으로 동시에 들리도록 한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성형틀 내부를 구획하는 다수 격벽들의 하부에 연결통로가 형성되어 각 격벽들로 구획된 성형공간의 하부가 서로 연결되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성형틀 내부로 기초층이 투입되어 진동 가압되는 과정에서 기초층의 일부가 상기 연결통로를 따라 다른 성형공간으로 흘러들어 각 성형공간에 채워진 기초층들의 하부가 서로서로 연결된다.
이처럼 만들어진 블록들은 성형틀에서 분리된 뒤 건조장에서 건조되는 과정에서 상기 연결된 부분을 통하여 각 블록들이 하나의 묶음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노면에 시공하는 과정에서 각 블록들 사이 틈새로 고리를 끼워 연결구에 걸고 고리에 끈을 묶어 포크레인 같은 장비로 들어올리면 다수의 블록들이 한 번에 들어 올려지므로 차도에 블록을 시공할 때 편리한 이점이 있다.
특히 별도 전용장비를 사용하지 않고 자주 사용하는 포크레인으로 블록들이 운반되므로 장비 사용비용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각 블록들이 연결구를 통하여 일정 간격 유지되므로 블록과 블록 사이 줄눈이 변하지 않아 시공 정밀도가 향상되는 등의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 한 실시예의 성형장치의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 한 실시예의 성형장치에 사용되는 성형틀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한 실시예의 성형틀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한 실시예의 성형틀로 만들어진 블록들의 묶음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한 실시예의 성형틀로 만들어진 블록들의 평면도
도 6은 도 5의 A - A선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 한 실시예의 블록들의 시공개념도
도 1 내지 도 6에서 본 발명 한 실시예의 성형장치는 상하측으로 개방된 성형틀(10)의 내부에 격자형으로 다수의 격벽(11)이 설치되어 성형틀(10)의 내부가 다수의 독립된 성형공간(12)으로 구획된다. 상기 각 성형공간(12)은 블록들이 만들어지는 공간으로써, 블록의 크기에 따라 가로×세로가 200mm × 100mm 또는 200mm × 200mm의 크기를 갖는다. 상기 격벽(11)들의 하부에는 상기 각 성형공간(12)의 하부를 연결하는 연결통로(13)가 구비되는데, 바람직하게는 200mm 폭일 경우 두 곳에 만들어지고 100mm 폭에는 중앙 한곳에 만들어진다.
상기 각 연결통로(13)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폭이 증가되는 포물선형으로 하여서 블록들이 성형 후 성형틀(10)에서 쉽게 빠져나올 수 있도록 구성되고, 또한 상기 각 연결통로(13)의 상부 중앙은 상부 양측보다 높이가 낮은 잘록부(13a)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각 격벽(11)을 감싸는 성형틀(10)의 내주면에는 성형중인 블록(30)들의 측면에 간격유지구(32)를 형성시키는 간격유지홈(10a)이 구비된다.
상기 성형틀(10)의 개방된 밑면에 밑판(20)이 놓인 상태에서 상부에는 좌측에 기초층몰탈이 채워진 기초층운반체(21)가 구비되고, 우측에 미장층몰탈이 채워진 미장층운반체(22)가 구비되며, 상기 성형틀(10)의 상부에는 누름판(23)이 구비된다. 따라서 성형틀(10) 내부로 기초층운반체(21)가 이동하여 기초층몰탈이 각 성형공간(12)으로 채워지도록 한 뒤 상기 미장층운반체(22)가 이동하여 기초층몰탈 위쪽에 미장층이 쌓이도록 한다. 이후 누름판(23)이 하강되고 성형틀(10)에 진동이 가해지면 기초층과 미장층이 한번의 누름공정을 통하여 층분리 없이 블록(30)으로 만들어진다.
상기 누름공정에서 각 성형공간(12)에 채워진 기초층몰탈의 일부가 각 격벽(11) 하부의 연결통로(13)를 따라 이동되어 연결된다. 이처럼 연결통로(13)에서 섞여 하나로 연결된 연결구(31)가 만들어진 뒤 밑판(20)이 하강되어 각 블록(30)들이 성형틀(10)에서 분리되면 상기 연결구(31)의 상부 중앙에는 잘록부(13a)로 인하여 홈(31a)이 만들어진다. 또한 성형틀(10)의 내측벽에 형성된 간격유지홈(10a)으로 인하여 외곽쪽 블록(30)들의 측면에 간격유지구(32)가 형성된다. 이후 블록(30)들이 건조장으로 이동되어 건조되면 상기 각 블록(30)들이 연결구(31)를 통하여 하나의 묶음으로 만들어진다.
이처럼 구성된 본 발명 한 실시예의 성형장치는 기초층몰탈과 미장층몰탈의 2층으로 블록(30)이 구성된 것이나, 이에 국한되지 않고 기초층몰탈, 중간층몰탈 및 미장층몰탈의 3개층으로 블록이 구성될 수 있다. 2개층의 경우 기초층몰탈로 연결구(31)가 형성되고, 3개층의 경우 상기 연결구(31)는 기초층몰탈과 중간층몰탈로 구성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같이 블록(30)과 블록(30) 사이 하부에 연결구(31)가 형성되어 각 블록(30)들이 서로 연결된다. 특히 상기 연결구(31)로 인하여 블록(30)과 블록(30) 사이 줄눈이 자동으로 만들어지고 또한 일정하게 유지되므로 시공정밀도가 향상된다. 상기 연결구(31)는 성형과정에서 성형틀(10)에서 쉽게 빠져나오도록 하부로 갈수록 폭이 증가되는 유선형으로 만들어진다. 또한 연결구(31)의 폭과 높이는 블록(30)들이 서로 떨어지지 않는 강도가 나오는 범위내에서 결정된다.
도 7에서와 같이 "T"자형 고리(32)를 블록(30)과 블록(30) 사이 줄눈으로 넣어 블록(30)들의 밑면에 걸리도록 하고, 고리(33)의 상단에 끈을 연결한다. 상기 고리(33)에 연결된 끈을 포크레인 처럼 자주 사용하는 장비에 걸어서 포크레인을 운전하면 연결구(31) 때문에 한 묶음이 된 블록들이 한 번에 들린다. 따라서 넓은 폭을 갖는 차도에서 블록들을 빠르게 시공할 수 있으며, 블록과 블록 사이 줄눈이 자동으로 형성되므로 시공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
특히 묶음된 블록들의 외곽 블록들에는 줄눈 형성용 간격유지구(32)가 블록 성형과정에서 만들어지므로 묶음된 블록과 다른 묶음된 블록들의 경계에 상기 간격유지구(32)로 인하여 줄눈이 자연스럽게 형성된다. 그리고 블록시공 후 차량의 통행과정에서 블록들에 하중이 가해지면 상기 각 연결구(31)들 상단의 홈(31a)에서 균열이 발생되어 연결구(31)들의 중앙이 절단되고 각 블록(30)들이 낱개로 분리된다. 이처럼 블록(30)들이 낱개로 분리되더라도 블록과 블록 사이에 연결구(31)가 계속 남아 있고 또한 이들 사이에 줄눈재인 모래가 채워져 있으므로 블록들의 간격에 변화가 발생되지 않는다. 따라서 차량의 하중이 각 블록들에 개별적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하중이 분산되는 이점이 있다.
10 : 성형틀 11 : 격벽
12 : 성형공간 13 : 연결통로
20 : 밑판 30 : 블록
31 : 연결구

Claims (5)

  1. 상,하측이 개방되고 격자형으로 놓인 다수의 격벽을 통하여 내부에 다수의 성형공간이 만들어지는 성형틀이 구비되고; 상기 각 격벽에는 서로 이웃한 성형공간으로 통하는 연결통로가 구비되며; 상기 각 성형공간으로 블록성형에 필요한 몰탈이 채워진 뒤 진동다짐과정에서 상기 각 성형공간의 몰탈 일부가 상기 연결통로에서 이어져 연결구로 형성되도록 한 보차보들록 성형장치에 있어서,
    상기 몰탈은 기초층몰탈과 미장층몰탈 또는 기초층몰탈, 중간층몰탈 및 미장층몰탈로 구성되고, 상기 각 성형공간의 기초층몰탈 또는 기초층몰탈과 중간층몰탈이 상기 연결통로에서 상기 연결구로 형성되어서 각 성형공간의 블록들이 건조후 하나의 묶음블록으로 동시에 들리도록 구성되고;
    상기 각 격벽을 감싸는 성형틀의 내주면에 다수의 간격유지홈이 형성되어서 몰탈 일부가 상기 간격유지홈에 채워지면 하나의 묶음으로 된 블록들 중 외곽 블록들의 측면에 간격유지구가 만들어지고, 이들 간격유지구로 인하여 보차도에 깔리는 묶음블록과 묶음블록들의 경계가 줄눈 만큼 떨어지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보차도블록 성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연결구는 상부 중앙에 양측보다 낮은 홈이 구비되어서, 블록 시공 후 차량 통행에 따른 충격으로 상기 홈에서 상기 연결구가 양분되어 블록들이 낱개로 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차도블록 성형장치.
  3. 제 1 항 또는 제2 항의 성형장치를 이용하여 다수의 블록들이 연결구를 통하여 하나의 묶음으로 만들어진 보차도블록.
  4. 삭제
  5. 삭제
KR1020190048007A 2019-04-24 2019-04-24 보차도블록 성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보차도블록 KR1022695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8007A KR102269552B1 (ko) 2019-04-24 2019-04-24 보차도블록 성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보차도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8007A KR102269552B1 (ko) 2019-04-24 2019-04-24 보차도블록 성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보차도블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4543A KR20200124543A (ko) 2020-11-03
KR102269552B1 true KR102269552B1 (ko) 2021-06-24

Family

ID=731977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8007A KR102269552B1 (ko) 2019-04-24 2019-04-24 보차도블록 성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보차도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955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70985A (zh) * 2021-03-30 2021-07-06 青岛腾远设计事务所有限公司 用于预制混凝土夹心保温外墙正打式生产的模具及其使用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59413A (ja) * 2000-08-21 2002-02-26 Fumio Ito 平形ブロック類の製造方法および成形型
JP2003181823A (ja) 2001-12-21 2003-07-02 Daiken Concrete Kk 目地割りコンクリート製パネルとその製造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12008A (ko) * 2010-04-06 2011-10-12 권화숙 투수 보도블록 성형장치
KR101464212B1 (ko) * 2013-05-06 2014-11-21 우성세라믹스공업 주식회사 투수 및 식생용 바닥벽돌, 그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59413A (ja) * 2000-08-21 2002-02-26 Fumio Ito 平形ブロック類の製造方法および成形型
JP2003181823A (ja) 2001-12-21 2003-07-02 Daiken Concrete Kk 目地割りコンクリート製パネルとその製造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4543A (ko) 2020-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7134B1 (ko) 건축 블록, 벽 구조물 및 바닥 또는 벽의 구성 방법
KR101713632B1 (ko) 튜브형 고무몰드를 활용한 중공 피씨슬래브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97314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 및 이를 이용한 급속 보수와 포장 공법
US10322525B1 (en) Universal mold for fabricating revetment blocks
US11958211B2 (en) Block, block system and method of making a block
KR101887635B1 (ko) 벽체용 블록 줄눈대 및 이를 이용한 블록 조적 공법
JP6442358B2 (ja) ブロック製造方法及びブロック製造装置
KR102269552B1 (ko) 보차도블록 성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보차도블록
US3427936A (en) Method for paving a street
JP6966853B2 (ja) 傾斜面のコンクリート打設方法、及び、移動式型枠装置
EP2657423B1 (en) A concrete slab
KR101228642B1 (ko) 일체성 향상을 위해 가장자리 단차 접합부를 갖는 중공슬래브
CN109252434A (zh) 一种沥青路面结构及其施工方法
KR101502029B1 (ko) 래티스 철근을 갖는 중공슬래브 및 상기 중공슬래브의 제조방법
KR102512349B1 (ko) 공동구 덮개 및 그 제조 방법
JP2647016B2 (ja) 階段の施工方法
JPH0611980B2 (ja) 自然石を用いた護岸の施工方法
CN111088865A (zh) 一种空心楼板的施工方法
CN116290078B (zh) 一种预制装配式挡墙
AU2020200837A1 (e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concrete block mats
KR20190044457A (ko) 노면 포장용 돌 문양 pc 패널과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노면 포장 공법
AU757289B2 (en) Foundation void former unit
JP3166923U (ja) スリップフォーム工法の機械搭載型遮蔽板装置。
JPH0925706A (ja) 溝付き水平床、その形成方法、その形成に用いる材料
CN115711005A (zh) 一种装配箱密肋楼盖及其施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