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6348B1 - 접착성 수지 조성물, 그 조성물을 이용한 시트, 뚜껑재, 밀봉 용기용 부재 세트 및 용기 - Google Patents

접착성 수지 조성물, 그 조성물을 이용한 시트, 뚜껑재, 밀봉 용기용 부재 세트 및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6348B1
KR102266348B1 KR1020210047050A KR20210047050A KR102266348B1 KR 102266348 B1 KR102266348 B1 KR 102266348B1 KR 1020210047050 A KR1020210047050 A KR 1020210047050A KR 20210047050 A KR20210047050 A KR 20210047050A KR 102266348 B1 KR102266348 B1 KR 1022663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thylene
mass
resin composition
adhesive resin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70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토모노리 야마다
타이스케 아카기
Original Assignee
토요잉크Sc홀딩스주식회사
토요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토요잉크Sc홀딩스주식회사, 토요켐주식회사 filed Critical 토요잉크Sc홀딩스주식회사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63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6348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2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23/02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9J1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9J123/08Copolymers of ethene
    • C09J123/0846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containing other atoms than carbon or hydrogen atoms
    • C09J123/0853Vinylacet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22Boxes or like containers with side walls of substantial depth for enclosing contents
    • B65D1/26Thin-walled containers, e.g. formed by deep-drawing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1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 B65D77/2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by applying separate lids or covers, i.e. flexible membrane or foil-like covers
    • B65D77/2024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by applying separate lids or covers, i.e. flexible membrane or foil-like covers the cover being welded or adhered to the container
    • B65D77/2028Means for opening the cover other than, or in addition to, a pull tab
    • B65D77/2032Means for opening the cover other than, or in addition to, a pull tab by peeling or tearing the cover from the container
    • B65D77/2044Means for opening the cover other than, or in addition to, a pull tab by peeling or tearing the cover from the container whereby a layer of the container or cover fails, e.g. cohesive failure
    • B65D77/2048Means for opening the cover other than, or in addition to, a pull tab by peeling or tearing the cover from the container whereby a layer of the container or cover fails, e.g. cohesive failure whereby part of the container or cover has been weakened, e.g. perforated or precut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8Macromolecular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2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23/02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9J1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9J123/08Copolymers of ethene
    • C09J123/0807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only containing more than three carbon atoms
    • C09J123/0815Copolymers of ethene with aliphatic 1-olef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9Laminated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2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3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hree or more polymers in a blen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3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hree or more polymers in a blend
    • C08L2205/035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hree or more polymers in a blend containing four or more polymers in a blend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parameters being the characterizing featur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Wrappers (AREA)
  • Adhesive Tap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성막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용기에 대해서 용이 개봉성이 우수하고, 또한 노킹 박리가 억제되어 양호한 박리감을 갖는, 폴리에스테르 계 수지 용기용 덮개재에 최적의 접착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트, 덮개재, 밀봉 용기용 부재 세트 및 용기를 제공한다.
상기 과제는, 밀도가 0.80~0.95g/㎤ 또한 용융 유량이 20~40g/10분의 에틸렌 -α올레핀 공중합체(A) 10~45질량%, 초산비닐 함유율이 5~15질량% 또한 용융 유량이 1~10g/10분의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B) 35~65질량%, 및 점착 부여 수지(C) 10~30질량%를 함유하는, 접착성 수지 조성물에 의해 해결된다.

Description

접착성 수지 조성물, 그 조성물을 이용한 시트, 뚜껑재, 밀봉 용기용 부재 세트 및 용기{ADHESIVE RESIN COMPOSITION AND SHEET, LID MATERIAL, SEALING CONTAINER MEMBER SET AND CONTAINER USING THE COMPOSITION}
본 발명은, 접착성 수지 조성물, 그 접착성 수지 조성물을 이용한 시트, 뚜껑재(蓋材), 밀봉 용기용 부재 세트 및 용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아이스, 요구르트, 젤리 등의 플라스틱 용기의 뚜껑재에 있어서는 용이(易) 개봉성이 요구되고 있어 밀봉성과 용이 개봉성이 우수한 뚜껑재용의 접착성 수지 조성물로서, 예를 들면,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 또는/및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와, 점착 부여 수지를 포함한 접착성 수지 조성물이 알려져 있다. 그리고, 내한성, 투명성, 내수성, 보향성(保香性) 등이 뛰어난 용기로서,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특히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이하, PET)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용기의 이용이 증대하고 있다.
플라스틱 용기 뚜껑재에 있어서의 접착성 수지 조성물로서, 예를 들면, 일본 특허공개공보 평10-147672호에는, 용융 유량(Melt Flow Rate, 이하, MFR)이 5미만의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와,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와 점착 부여 수지를 포함한, 다양한 재료에 대해서 열 실링성이 뛰어나고 끈적거림이 적은 용이 개봉성 실링재로 이용 가능한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 특허공개공보 평10-147672호
그러나, 일본 특허공개공보 평10-147672호에 기재된 실링재는, 폴리에스테르 계 수지 용기에 적용했을 때에, 개봉시에 저항감을 수반한 노킹(소리) 박리라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성막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용기에 대해서 용이 개봉성이 뛰어나고, 그리고 또한 노킹박리가 억제되어 양호한 박리감을 갖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용기용 뚜껑재에 최적의 접착성 수지 조성물, 그리고 이를 이용한 시트, 뚜껑재, 밀봉 용기용 부재 세트 및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밀도가 0.80~0.95g/㎤, 또한 MFR이 20~40g/10분의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A) 10~45질량%, 초산비닐 함유율이 5~15질량%이며, 또한 MFR이 1~10g/10분의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B) 35~65질량%, 및 점착 부여 수지(C) 10~30질량%를 갖는 접착성 수지 조성물의 피막이 적층된 시트를 제공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하기 [1]~[10]의 발명에 관한 것이다.
[1]밀도가 0.80~0.95g/㎤ 또한 용융 유량이 20~40g/10분의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A) 10~45질량%, 초산비닐 함유율이 5~15질량% 또한 용융 유량이 1~10g/10 분의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B) 35~65질량%, 및 점착 부여 수지(C) 10~30질량%를 함유하는, 접착성 수지 조성물.
[2]용융 유량이 10~30g/10분인, 상기[1]에 기재된 접착성 수지 조성물.
[3]상기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A)의 시차 주사형 열량계로 측정한 녹는점(融點)이 75~90℃인, 상기 [1] 또는 [2]에 기재된 접착성 수지 조성물.
[4]상기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B)의 시차 주사형 열량계로 측정한 녹는점이 90~110℃인, 상기[1]~[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접착성 수지 조성물.
[5]상기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A)의 함유량이 20~45질량%인, 상기[1]~[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접착성 수지 조성물.
[6]상기 점착 부여 수지(C)가, 지환족 탄화수소 수지 및 테르펜 수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상기[1]~[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접착성 수지 조성물.
[7]기재 상에, 상기[1]~[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접착성 수지 조성물의 피막(被膜)이 적층된 시트.
[8]상기[7]에 기재된 시트에 의해 형성된 뚜껑재.
[9]폴리에스테르계 수지제의 용기 본체 또는 내면이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로 덮인 용기 본체와, 상기[8]에 기재된 뚜껑재로 이루어지는, 개봉 가능한 밀봉 용기용 부재 세트.
[10]폴리에스테르계 수지제의 용기 본체 또는 내면이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로 덮인 용기 본체의 개구부가, 상기[8]에 기재된 뚜껑재에 의해 밀봉된, 개봉 가능한 용기.
본 발명에 의하면, 성막성(成膜性)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용기에 대해서 용이 개봉성이 우수하고 또한 노킹박리가 억제되어 양호한 박리감을 갖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용기용 뚜껑재에 가장 적합한 접착성 수지 조성물, 그리고 이를 이용한 시트, 뚜껑재, 밀봉 용기용 부재 세트 및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접착성 수지 조성물은, 밀도가 0.80~0.95g/㎤ 또한 용융 유량이 20~40g/10분의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A) 10~45질량%, 초산 비닐 함유율이 5~15 질량% 또한 용융 유량이 1~10g/10분의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B) 35~65질량%, 및 점착 부여 수지(C) 10~30질량%를 함유한다. 이하에, 본 발명에 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A)>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A)는, 밀도가 0.80~0.95g/㎤, 용융 유량이 20~40g/10분의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이며, 상기를 충족하는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를 사용함으로써,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용기에 대해서 접착성이 뛰어난 것이 된다. 이러한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A)는,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좋고, 2종 이상을 병용해도 좋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밀도란, JIS.K7112에 피크노미터법에 준거해서 측정한 값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용융 유량(Melt Flow Rate)이란, JIS.K7210에 준거해서 측정한 190℃, 21.168N에서의 값이며,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A)의 용융 유량은, 바람직하게는 25~35g/10분이다.
에틸렌과 공중합 가능한 α올레핀으로서는, 탄소수가 3~20인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1-부텐, 1-펜텐, 1-헥센, 1-옥텐을 들 수 있다. 이들 α올레핀 중에서도 1-부텐 또는 1-옥텐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옥텐이다.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A)의 함유량은, 접착성 수지 조성물을 기준으로서, 10~45질량%이며, 바람직하게는 20~45질량%이다.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A)가 10질량%이상이면,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용기에 충분히 접착할 수 있다.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A)의 함유량은, 성막성의 관점에서 보다 바람직하게는 30~45질량%이며, 성막성, 용이 개봉성, 박리감의 관점에서, 한층 더 바람직하게는 35~40질량%이다.
또한,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A)의, 시차 주사형 열량계로 측정한 녹는점 (이하, DSC녹는점)은, 바람직하게는 75~90℃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75~85℃이다. 상기의 범위내이면,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용기로의 밀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B)>
본 발명에서의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B)는, 초산비닐 함유율이 5~15질량% 또한 용융 유량이 1~10g/10분이며, 상기를 충족하는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B)를 이용함으로써, 성막성이 뛰어나고,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용기에 대해서 용이 개봉성이 뛰어난 것이 된다.
이러한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B)는,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좋고, 2종 이상을 병용해도 좋다.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B)의 함유량은, 접착성 수지 조성물을 기준으로서, 35~65질량%이며, 바람직하게는 40~60질량%이다.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B)가 35질량%이상이면, 개봉 강도를 손상시키지 않고,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제 용기에 충분히 접착한다. 또한, 65질량%이하이면, 칠가공(塗加工) 적성과 접착성의 밸런스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용기의 플랜지에서의 수지 잔존이나 예사(曳絲)가 발생하지 않는다.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B)의 함유량은, 성막성의 관점에서 보다 바람직하게는 40~55질량%이며, 성막성, 용이 개봉성, 박리감의 관점에서, 더욱 바람직하게는 40~45질량%이다.
또한,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B)의, DSC 녹는점은, 바람직하게는 85~110℃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90~100℃이다. 상기의 범위 내이면,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A)와의 상용성(相溶性)이 향상하고, 칠가공 적성이 향상할 뿐만 아니라 개봉 강도를 손상시키지 않고 충분히 접착할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점착 부여 수지(C)>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점착 부여 수지(C)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실런트 수지 분야에 있어서 공지의 점착 부여 수지에서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으며,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좋고, 2종 이상을 병용해도 좋다.
이러한 점착 부여 수지(C)로서는, 예를 들면, 지방족 탄화수소 수지, 지환 족 탄화수소 수지, 방향족계 탄화수소 수지, 폴리테르펜계 수지(테르펜 수지), 로진류를 들 수 있다. 테르펜 수지로서는 α-피넨, β-피넨 등의 단독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 및 이들을 수소 첨가한 수첨(水添) 테르펜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점착 부여 수지(C)는, 지환족 탄화수소 수지, 방향족 탄화수소 수지 및 테르펜 수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지환족 탄화수소 수지 및 테르펜 수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것이다.
점착 부여 수지(C)의 함유량은, 접착성 수지 조성물을 기준으로서 10~30질량 %의 범위이며, 바람직하게는 15~25질량%의 범위이다. 점착 부여 수지(C)가 10질량 %이상이면, 개봉 강도를 손상시키지 않고,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제 용기에 충분히 접착할 수 있다. 또한, 30질량%이하이면, 성막성이 양호해진다. 점착 부여 수지(C)의 함유량은, 성막성, 용이 개봉성, 박리감의 관점에서, 보다 바람직하게는 15~20질량%이다.
점착 부여 수지(C)는, 열 실링시의 접착성, 즉 용이 개봉성의 관점에서, 연화점이 120℃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연화점(軟化点)이란, JIS.K6863에 준거해서 구할 수 있다. 또한, 점착 부여 수지(C)의 DSC 녹는점은, 바람직하게는 50~95℃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50~70℃이다.
<접착성 수지 조성물>
본 발명의 접착성 수지 조성물은, 전술한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A),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B), 및 점착 부여 수지(C)를 공지의 방법으로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이러한 제조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각 성분을 헨쉘 믹서, 텀블러 믹서 등의 혼합 장치에 투입하고 블랜딩 시간 5~20분 동안 혼합한 후, 압출기에 넣고 가열 혼련한 뒤, 압출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압출 공정은, 통상 150~200℃에서 행해진다. 압출물은 통상 펠릿(pellet) 형태로 만들어져 후공정에서 이용된다. 압출기로서는, 이축(二軸) 압출기가 적합하게 이용되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접착성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의,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A),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B), 및 점착 부여 수지(C)의 합계량은, 접착성 수지 조성물을 기준으로서, 바람직하게는 95질량%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98질량%이상이다.
접착성 수지 조성물의 용융 유량은, 바람직하게는 10~30g/10분의 범위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5~25g/10분의 범위이다. 상기 범위이면,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제 용기에 대해서 접착성이 뛰어난 점에서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접착성 수지 조성물에는, 본 발명의 효과를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A),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B) 및 점착 부여 수지(C) 이외 수지나 첨가제를 배합할 수 있다.
더 함유해도 좋은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고밀도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폴리올레핀 수지, 그 폴리올레핀 수지의 산화물, 혹은 그 폴리올레핀 수지의 말레산 변성물;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에틸렌-(메타)아크릴산 공중합체와 같은 에틸렌-불포화 모노 카복실산 공중합체 및 그 금속염; 고밀도 폴리에틸렌 왁스, 폴리프로필렌 왁스, 피셔 트로프슈 왁스, 파라핀 왁스, 산화 왁스, 말레산 변성 왁스와 같은 왁스류;를 들 수 있다. 이러한 수지는,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좋고, 2종 이상을 병용해도 좋다.
더 함유해도 좋은 첨가제는, 예를 들면, 열 열화, 열 분해, 블로킹 등을 방지할 목적, 및 필름 가공, 압출 라미네이트 가공 등의 가공 적정을 확보할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로서는, 예를 들면, 에루크산 아미드 등의 유기 활제, 탄산 칼슘 등의 무기 활제, 힌더드 페놀 등의 산화 방지제, 기타 블로킹 방지제, 대전 방지제, 충전제, 방담제(김서림 방지제), 비정질 알루미노규산염, 이산화 규소를 들 수 있다.
이들 수지 및 첨가제는,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A),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B) 및 점착 부여 수지(C)를 혼합할 때에 배합해도 좋고, 미리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A),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B) 또는 점착 부여 수지(C) 중 어느 것에 배합해도 좋다.
<시트>
이어서, 기재 위에 본 발명의 접착성 수지 조성물의 피막(이하, 접착제층이라고도 함)이 적층된 시트에 관해서 설명한다. 접착성 수지 조성물의 기재로의 적층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전술한 바와 같이 펠릿화된 접착성 수지 조성물을 인플레이션법 또는 캐스트법 등에 의해 필름화 하고, 얻어진 필름과 기재를 적층하는 방법, 또는 혼련된 접착성 수지 조성물을 직접 기재에 피복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필름과 기재의 적층은, 다른 접착제층을 통해서 적층되어 있어도 좋다.
기재로서는, 장척(長尺) 및 절단된 단척(短尺)의 필름, 시트를 포함하고, 폴리에스테르 필름, 폴리아미드 필름, 폴리프로필렌 필름 등의 연신 또는 미연신 필름 등의 단층(單層) 필름 외에, 수지 라미네이트된 것 같은 복수의 층을 갖는 적층물이어도 좋다.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계 수지를 미리 라미네이트되어 있는 기재를 이용하는 경우, 접착성 수지 조성물을 다이렉트로 압출 라미네이트해서 시트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접착성 수지 조성물을,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 등과의 공압출(共壓出)로 다층 필름으로 하고, 드라이 라미네이션 또는 샌드 라미네이션에 의해, 기재 필름과 적층함으로써 시트를 얻을 수 있다.
기재와 접착성 수지 조성물의 피막과의 접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기재 표면에 화염 처리, 오존 처리, 코로나 방전 처리 또는 앵커 코팅제와 같은 처리가 행해져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의 접착성 수지 조성물의 피막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5μm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0μm이상이다.
본 발명의 시트는, 후술하는 뚜껑재로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실런트 필름으로서 접착성 수지 조성물의 피막을 내면으로 해서 실링하는 제대품(bag making)에도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뚜껑재>
기재 상에 접착성 수지 조성물의 피막이 적층된 본 발명의 시트는, 밀봉 대상인 용기 본체의 개구 형상에 맞춰서 재단되어 뚜껑재로서 적합하게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시트를 뚜껑재로서 사용하는 경우, 기재로서는 다양한 기재를 사용할 수 있다. 사용되는 기재로서는, 예를 들면, 종이, 알루미늄,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알루미늄 증착 폴리에스테르, 알루미늄 증착 폴리프로필렌 또는 실리카 증착 폴리에스테르를 들 수 있다. 이러한 기재는, 단층일 필요는 없고, 두층 이상의 적층물이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의 시트에 의해 뚜껑재을 형성하는 경우, 기재로서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면 5~20μm의 PET와 5~30μm의 폴리에틸렌의 적층물이며, 상기 적층물의 폴리에틸렌 면에, 본 발명의 접착성 수지 조성물로 형성되는 두께 5~40μm의 피막을 적층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뚜껑재를 사용하는 경우, 실링할 상대 재료로서는 폴리스티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로 대표되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등을 이용한 용기나 시트를 들 수 있다. 특히, 내한성, 투명성, 내수성, 보향성 등이 뛰어난 점에서, 바람직하게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이며, 본 발명의 접착성 수지 조성물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에 대해서 뛰어난 접착 강도(용이 개봉성) 및 박리감을 발휘하기 때문에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밀봉 용기용 부재 세트>
본 발명의 밀봉 용기용 부재 세트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제의 용기 본체 또는 내면이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로 덮인 용기 본체와, 개봉 가능한 본 발명의 뚜껑재를 갖는다.
<용기>
본 발명의 용기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제의 용기 본체 또는 내면이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로 덮인 용기 본체의 개구부가, 본 발명의 뚜껑재에 의해 밀봉되어 이루어진다. 뚜껑재는, 용기에 대해서 개봉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실시 예]
이하에, 본 발명을 실시 예에 따라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실시 예 중, 「부」 및 「%」는, 각각 「질량부」 및 「질량%」를 나타낸다.
[용융 유량(MFR)]
MFR은 JIS.K7210에 준거하여 멜트 인덱서 L244(타카라코교 가부시키가이샤 제품)의 내경 9.55mm, 길이 162mm의 실린더에 샘플을 충전하고, 190℃에서 용융한 후, 무게 2160g, 직경 9.48mm의 플런저를 사용해서 균등하게 하중을 걸어, 실린더의 중앙에 설치한 지름 2.1mm의 오리피스에서 단위 시간당 압출되는 수지량(g/10 분)에서 구하였다.
<접착성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
[실시 예 1~8 및 비교 예 1~6]
(접착성 수지 조성물(S-1)~(S-14)의 제조)
표 1에 기재된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A),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B), 점착 부여 수지(C) 및 첨가제를, 헨쉘 믹서로 5분간 프리블랜드(preblend)하였다. 호퍼에 프리블랜드물을 투입하고 스크류 피더를 이용하여 하기 압출기에 공급하여 펠릿 형태의 접착성 수지 조성물(S-1)~(S-14)를 제조하였다.
≪압출기 조건≫
압출기: 아이·케이·지사 제품 동방향 회전 동축 2축 압출기 PMT32-40.5
배럴온도: 160℃(공급구 150℃)
스크류 회전 속도: 200rpm
공급속도: 10kg/hr
<접착성 수지 조성물의 평가>
얻어진 접착성 수지 조성물에 관해서 이하의 성막성을 평가했다. 또한, 하기에 따라 적층된 시트(뚜껑재)를 제작하고, 그 시트를 이용하여 다음의 접착강도(용이 개봉성), 노킹 박리의 유무를 평가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또한, 접착 성 수지 조성물의 MFR를 표 1에 나타낸다.
[성막성]
접착성 수지 조성물의 성막성은, 하기 가공 조건에 있어서, 접착제층의 두께가 20μm가 되도록, 수지 온도를 200~260℃의 어느 것으로 조정했을 경우에 있어서의 도공의 여부와, 얻어진 도공물에서 막 두께 측정계기(막후계)를 이용하여 무작위로 선택한 10개소의 피막 두께로부터 하기 기준으로 평가했다.
≪가공 조건≫
압출 라미네이터 : 무사시노키카이 제품 400M/M 테스트 EXT 라미네이터다이 직하
수지 온도: 200~260℃
가공 속도: 30m/분
T 다이 폭: 400mm
냉각 롤 표면 온도: 20℃
기재: PET 12μm/폴리에틸렌(PE) 25μm기재의 PE면에 도공
A: 도공 가능하며, 접착제층의 두께가 20±3μm의 범위 내: 양호
B: 도공 가능하며, 접착제층의 두께가 20±6μm의 범위 내: 사용 가능
C: 막 균열이나 혹은 막 조각의 어느 것이 발생하여 도공 불가, 또는 도공 가능하지만 접착제층의 두께가 20±6μm를 넘음: 불량
[시트(뚜껑재)의 제작 방법]
얻어진 접착성 수지 조성물을 압출 라미네이터를 이용하여 PET 12μm/PE 25μm의 기재의 PE면에 적층해서 시트를 제작했다. 접착제층의 두께는 20μm였다. 이하에 가공 조건을 나타낸다.
압출 라미네이터 : 무사시노키카이 제품 400M/M 테스트 EXT 라미네이터다이 직하
수지 온도: 200℃~250℃(접착성 수지 조성물의 MFR 등에 의해 적절히 조정했다).
가공 속도: 30m/분
T다이 폭: 400mm
냉각 롤 표면 온도: 20℃
[용이 개봉성]
얻어진 적층 시트(뚜껑재)를 90mm×90mm의 크기로 자른 후, 게이지압 0.3MPa, 150℃, 1초에서 71ΦPET 용기에, 접착성 수지 조성물의 피막 면을 열 접착하여 밀봉을 행하였다. 온도 23℃ 습도 65%의 항온 항습실에 24시간 방치하고, 동 항온 항습실에서 90°각박리, 인장 속도 200mm/분의 조건에서 박리 강도의 측정을 행하였다. 박리 강도의 최대값을 개봉 강도로 하고, 용이 개봉을 하기 기준으로 평가했다.
A: 박리 강도의 최대값이, 10N이상 15N미만: 양호
B: 박리 강도의 최대값이, 5N이상 10N미만: 사용 가능
C: 박리 강도의 최대값이, 5N미만: 불량
[노킹 박리의 유무]
상기 박리 강도의 측정에 있어서의 박리음에 관해서, 다음의 기준으로 관능 평가했다.
A: 노킹 없음
C: 노킹 있음
[표 1]
Figure 112021042282218-pat00001
표 1의 약칭은 이하에 나타낸다.
A1: ENGAGE8401(DOW사 제품, 에틸렌-1-옥텐 공중합체, 밀도 0.885g/㎤, DSC 녹는점 80℃, MFR30g/10분)
A2: ENGAGE8402(DOW사 제품, 에틸렌-1-옥텐 공중합체, 밀도 0.900g/㎤, DSC 녹는점 96℃, MFR30g/10분)
A3: ENGAGE8440(DOW사 제품, 에틸렌-1-옥텐 공중합체, 밀도 0.900g/㎤, DSC 녹는점 93℃, MFR1.6g/10분)
B1: 울트라센515(도소사 제품,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초산비닐 함유율 6%), 밀도 0.925g/㎤, DSC 녹는점 99℃, MFR2.5g/10분)
B2: 울트라센540(도소사 제품,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초산비닐 함유율 10%), 밀도 0.929g/㎤, DSC 녹는점 94℃, MFR3.0g/10분)
B3: 울트라센537(도소사 제품,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초산비닐 함유율 6%), 밀도 0.925g/㎤, DSC 녹는점 98℃, MFR8.5g/10분)
C1: 아콘M-115(아라카와카가쿠코교사 제품, 부분 수첨 지환족 탄화수소 수지, 연화점 115℃, DSC 녹는점 69℃)
C2: 아콘M-100(아라카와카가쿠코교사 제품, 완전 수첨 지환족 탄화수소 수지, 연화점 115℃, DSC 녹는점 56℃)
C3: SYLBARES TRM1115(KRATON사 제품, 테르펜 수지, 연화점 115℃, DSC 녹는점 79℃)
C4: SYLBARES TP2019(KRATON사 제품, 테르펜 수지, 연화점 124℃, DSC 녹는점 85℃)
블로킹 방지제: 인크로스립C(쿠로다사 제품,에루크산 아미드, DSC 녹는점 80 ℃)
산화 방지제: IRGANOX1010(BASF사 제품, 힌더드 페놀계 산화 방지제)
실리카: 사이리시아550(후지시리시아카가쿠사 제품, 합성 실리카)
표 1의 결과에 의해, 본 발명의 접착성 수지 조성물은, 우수한 성막성과 용이 개봉성, 노킹이 없는 양호한 박리감을 나타내었다. 특히,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A) 30~45질량%,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B) 40~55질량%, 및 점착 부여 수지(C) 10~30질량%이면 성막성이 우수했다. 또한,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A) 35~40질량%,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B) 40~45질량%, 및 점착 부여 수지(C) 15~20질량%이면, 성막성이 우수하고 또 PET용기에 대해서 용이 개봉성과 박리감이 우수했다. 따라서, 특정의 수지(A)~(C)를 특정 비율로 포함한 본원 발명의 접착성 수지 조성물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로 이루어진 용기형 뚜껑재용으로서 가장 적합하다.

Claims (9)

  1. 밀도가 0.80~0.95g/㎤, 시차 주사형 열량계로 측정한 녹는점(融點)이 75~90℃, 또한 용융 유량(Melt Flow Rate)이 20~40g/10분의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A) 10~45질량%, 초산비닐 함유율이 5~15질량% 또한 용융 유량이 1~10g/10분의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B) 35~65질량%, 및 점착 부여 수지(C) 10~30질량%를 함유하는, 접착성 수지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용융 유량이 10~30g/10분인 접착성 수지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B)의 시차 주사형 열량계로 측정한 녹는점이 90~110℃ 인 접착성 수지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A)의 함유량이, 20~45질량%인 접착성 수지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 부여 수지(C)가, 지환족 탄화수소 수지 및 테르펜 수지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포함한 접착성 수지 조성물.
  6. 기재(基材) 상에,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접착성 수지 조성물의 피막이 적층된 시트.
  7. 제6항에 기재된 시트에 의해 형성된 뚜껑재(蓋材)
  8.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제의 용기 본체 또는 내면이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로 덮인 용기 본체와, 제7항에 기재된 뚜껑재로 이루어지는, 개봉 가능한 밀봉 용기용 부재 세트.
  9.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제의 용기 본체 또는 내면이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로 덮인 용기 본체의 개구부가, 제7항에 기재된 뚜껑재에 의해 밀봉된, 개봉 가능한 용기.
KR1020210047050A 2020-04-15 2021-04-12 접착성 수지 조성물, 그 조성물을 이용한 시트, 뚜껑재, 밀봉 용기용 부재 세트 및 용기 KR1022663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0073019A JP6791420B1 (ja) 2020-04-15 2020-04-15 接着性樹脂組成物、該組成物を用いたシート、蓋材、部材セット及び容器
JPJP-P-2020-073019 2020-04-1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6348B1 true KR102266348B1 (ko) 2021-06-17

Family

ID=734529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7050A KR102266348B1 (ko) 2020-04-15 2021-04-12 접착성 수지 조성물, 그 조성물을 이용한 시트, 뚜껑재, 밀봉 용기용 부재 세트 및 용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791420B1 (ko)
KR (1) KR102266348B1 (ko)
CN (1) CN112920743B (ko)
TW (1) TWI76018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305096B1 (ja) 2022-06-16 2023-07-10 東洋インキSc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接着性樹脂組成物、該組成物を用いたシート、蓋材、部材セット及び容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72191A (ja) * 1994-09-02 1996-03-19 Nippon Unicar Co Ltd 表面保護用フィルム
JPH10147672A (ja) 1996-11-19 1998-06-02 Du Pont Mitsui Polychem Co Ltd エチレン共重合体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易開封性シール材料
KR20180051389A (ko) * 2016-11-07 2018-05-16 도소 가부시키가이샤 실런트용 접착제 및 덮개재용 필름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200427760A (en) * 2003-01-31 2004-12-16 Mitsui Du Pont Polychemical Resin composition having easy-to-open property and use thereof
US7892391B2 (en) * 2004-01-29 2011-02-22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Compositions of 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s for heat-sealable easy opening packaging
JP5036145B2 (ja) * 2004-06-29 2012-09-26 三井化学東セロ株式会社 粘着剤組成物とそれを用いた積層フィルム及びその用途
CN103314067B (zh) * 2011-01-18 2015-05-06 三井化学株式会社 粘合性树脂组合物及由该粘合性树脂组合物得到的热熔粘合剂
WO2013042727A1 (ja) * 2011-09-22 2013-03-28 東ソー株式会社 接着性樹脂組成物及び易剥離性フィルム
JP6763146B2 (ja) * 2016-01-22 2020-09-30 東洋インキSc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熱溶融性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てなる蓋材ならびに食品容器
JP6922590B2 (ja) * 2016-09-30 2021-08-18 東洋インキSc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接着性樹脂組成物、それを用いたシート、蓋材、密封容器用部材セット、および開封可能な容器
WO2018062390A1 (ja) * 2016-09-30 2018-04-05 住友化学株式会社 押出しラミネート用樹脂組成物、多層フィルム、蓋および多層フィルム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72191A (ja) * 1994-09-02 1996-03-19 Nippon Unicar Co Ltd 表面保護用フィルム
JPH10147672A (ja) 1996-11-19 1998-06-02 Du Pont Mitsui Polychem Co Ltd エチレン共重合体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易開封性シール材料
KR20180051389A (ko) * 2016-11-07 2018-05-16 도소 가부시키가이샤 실런트용 접착제 및 덮개재용 필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1169564A (ja) 2021-10-28
CN112920743A (zh) 2021-06-08
TWI760183B (zh) 2022-04-01
JP6791420B1 (ja) 2020-11-25
CN112920743B (zh) 2022-03-08
TW202140659A (zh) 2021-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70361B2 (en) Sealable and peelable film structure
JPWO2004067626A1 (ja) 易開封性樹脂組成物及びその用途
KR102266348B1 (ko) 접착성 수지 조성물, 그 조성물을 이용한 시트, 뚜껑재, 밀봉 용기용 부재 세트 및 용기
JP7305096B1 (ja) 接着性樹脂組成物、該組成物を用いたシート、蓋材、部材セット及び容器
JP6473009B2 (ja) 積層フィルム、包装材料及び包装容器
KR102494474B1 (ko) 접착성 수지 조성물, 그 조성물을 이용한 시트, 뚜껑재, 용기용 부재 세트 및 용기
JP6471017B2 (ja) 接着性樹脂組成物、積層フィルム、包装材料及び包装容器
JP6958135B2 (ja) 接着性樹脂組成物、それを用いたシート、容器用蓋材及び容器
CN113614168A (zh) 树脂组合物和盖材用膜
JP6922590B2 (ja) 接着性樹脂組成物、それを用いたシート、蓋材、密封容器用部材セット、および開封可能な容器
JP2019099769A (ja) 接着性樹脂組成物、それを用いたシート、容器用蓋材及び容器
JP4904770B2 (ja) ポリエチレン用易剥離性接着剤及びその構造物
JP4438108B2 (ja) エチレン重合体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易開封性シール材料
JP2003145694A (ja) シールフィルム及び積層体
JP3581013B2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7240067B2 (ja) 接着性樹脂組成物、シート、蓋材、密封容器用部材セット及び容器
EP1116744A2 (en) Easily-tearable film
WO2024111558A1 (ja) 蓋材用積層体及び包装容器
JP6531444B2 (ja) 易開封性包装材料
JP7124256B2 (ja) 接着性樹脂組成物、それを用いたシート、蓋材、密封容器用部材セット、及び開封可能な容器
JP3349947B2 (ja) 積層フィルム、蓋材及び容器
JP2009035646A (ja) ポリオレフィン用易剥離性接着剤及びその構造物
JPS5837037A (ja) 樹脂組成物
JP2022133554A (ja) 熱可塑性樹脂ペレット、易剥離性接着剤、積層体及び容器用蓋材
JP2023007021A (ja) 接着性樹脂組成物、該組成物を用いた積層シート及び蓋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