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3612B1 - 용변 보조 장치 - Google Patents

용변 보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3612B1
KR102263612B1 KR1020190160143A KR20190160143A KR102263612B1 KR 102263612 B1 KR102263612 B1 KR 102263612B1 KR 1020190160143 A KR1020190160143 A KR 1020190160143A KR 20190160143 A KR20190160143 A KR 20190160143A KR 102263612 B1 KR102263612 B1 KR 1022636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support
guide rail
disposed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01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혁준
Original Assignee
파프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프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파프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601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36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36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36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10Devices for raising and lowering, e.g. tilting or lifting mechanisms; Collapsible or rotating seats or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31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3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31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34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including a leg-rest or foot-rest
    • A47C1/034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including a leg-rest or foot-rest in combination with movable backrest-seat unit or back-res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24Parts or details not covered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A47K13/02 - A47K13/22, e.g. devices imparting a swinging or vibrating motion to the seats
    • A47K13/28Adjustably-mounted seats or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2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with toilet conveniences,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toile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Dentistry (AREA)
  • Nurs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질(치핵) 환자의 증상을 완화시킬 목적으로 누운 자세에서 배변 가능하게 하는 장치를 구비한 용변 보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 상에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 제 1 및 제 2 가이드 레일; 상기 제 1 및 제 2 가이드 레일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지지 프레임; 및 상기 지지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시트를 포함하며, 상기 시트는 등받이부와 상기 등받이부에서 벤딩된 좌석부를 포함하고, 상기 시트는 상기 등받이부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좌석부의 적어도 일부에 배치된 홀을 갖는다.

Description

용변 보조 장치{TOILET ASSIST}
본 발명은 용변 보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치질(치핵) 환자의 증상을 완화시킬 목적으로 누운 자세에서 배변 가능하게 하는 장치를 구비한 용변 보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각 건축물에 필수적으로 구비되어 있는 화장실 변기에는 다리를 쪼그리고 앉아 용변을 보는 재래식 변기와 엉덩이를 의자에 앉듯이 걸터앉아 용변을 보는 좌변기가 있다. 변기의 사용에 있어 좀더 편리하고 원활한 배변을 돕기 위해 여러 방안이 고안되어 있으며 하나의 예로서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 20-2018-0004317호는 용변을 볼 때 발을 올려놓을 수 있는 발판부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은 치질환자의 증상을 완화하는데 있어서 본 발명이 제시하는 누운 자세 방식에 비해 덜 효과적이고 편안하지 않는 한계가 있다. 현대인 특히 고령인구의 상당한 비율은 변비와 치질(치핵 (Hemorrhoid))에 고통받고 있는 실정이다. 치핵이란 항문 및 하부직장 주위의 혈관벽이 약해져 확장되고 부풀어 오른 정맥류(혈관 덩어리)로서 배변을 위해 화장실에서 쪼그려 앉거나 좌변기에 앉아 장시간 있을 경우 항문혈관의 혈류량과 압력을 증가시켜 출혈을 발생시키거나 치질의 증상을 악화시키게 된다. 이처럼 앉은 자세는 누운 자세에 비해 항문 혈압이 3배정도나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누운 자세로의 배변이 치핵의 증상을 크게 완화시킬 수 있음을 실험으로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항문혈압이 감소되는 누운 자세로 치질환자들이 용변을 보게 함으로서 치질 증상의 악화를 방지할 수 있는 용변 보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용변 보조 장치는, 지지 프레임; 상기 지지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시트 지지부; 및 상기 시트 지지부상에 장착되는 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시트는 등받이부와 상기 등받이부에서 벤딩된 좌석부를 포함하고 상기 등받이부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좌석부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된 홀을 갖는다.
상기 시트 지지부는 상기 등받이부를 지지하는 제 1 시트 지지부 및 상기 좌석부를 지지하는 제 2 시트 지지부를 포함한다.
상기 홀은 상기 제 1 시트 지지부와 상기 제 2 시트 지지부 사이에 위치한다.
상기 지지 프레임의 하부에 배치된 베이스 프레임; 및 상기 지지 프레임 상에 배치된 제 1 및 제 2 가이드 레일을 더 포함한다.
상기 등받이부에 안마 장치를 더 포함한다.
상기 시트의 일측 단부에 결합된 보조 시트를 더 포함한다.
상기 시트의 하부에 배치된 양변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양변조는 이동식 양변조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변 보조 장치는 지지 프레임; 상기 지지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시트 지지부; 및 상기 시트 지지부상에 장착되는 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시트는 좌석부 및 상기 좌석부에 대하여 회동 가능한 등받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등받이부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좌석부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된 홀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용변 보조 장치에 따르면, 사용자가 누운 자세로 편안하게 용변을 해결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치질환자들에게는 항문혈압을 낮추어 줌으로서 치질증상의 악화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용변 보조 장치의 제 1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용변 보조 장치의 제 2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상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조작부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변 보조 장치의 시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변 보조 장치의 시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는 도 1의 용변 보조 장치를 사용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변 보조 장치의 제 1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변 보조 장치의 제 2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0의 측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다른 측면도이다.
도 14는 도 10의 보조 시트에 대한 상세 구성도이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 다른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소자를 뒤집을 경우, 다른 소자의 "아래(below)"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소자는 다른 소자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소자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제 1, 제 2, 제 3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들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제 1 구성 요소가 제 2 또는 제 3 구성 요소 등으로 명명될 수 있으며, 유사하게 제 2 또는 제 3 구성 요소도 교호적으로 명명될 수 있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도 1 내지 도 14를 참조로 본 발명에 따른 용변 보조 장치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용변 보조 장치의 제 1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용변 보조 장치의 제 2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측면도이며, 그리고 도 4는 도 1의 상면도이며, 그리고 도 5는 도 1의 조작부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용변 보조 장치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가이드 레일(201), 제 2 가이드 레일(202), 지지 프레임(100), 시트(300), 보조 시트(350), 제 1 피니언 기어(191), 제 2 피니언 기어(192), 제 1 구동 모터(501), 제 2 구동 모터(502) 및 조작부(900)를 포함할 수 있다.
양변조(10)는 대소변과 같은 오물을 담을 수 있다. 양변조는 바닥의 배수관에 길이 가변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양변조(10)는 제 1 가이드 레일(201)과 제 2 가이드 레일(20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이 양변조(10)는 이동 가능한 이동식 양변조일 수 있다. 이를 위해, 예를 들어, 양변조(10)의 하측에 복수의 바퀴들이 배치될 수 있다.
제 1 가이드 레일(201)은 X축 방향을 따라 연장된 바(bar)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 2 가이드 레일(202)은 X축 방향을 따라 연장된 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 2 가이드 레일(202)은 제 1 가이드 레일(201)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 2 가이드 레일(202)과 제 1 가이드 레일(201)은 Y축 방향으로 마주본다.
지지 프레임(100)은 제 1 가이드 레일(201) 및 제 2 가이드 레일(202)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시트(300)는 양변조(10) 상에 배치된다. 시트(300)는 지지 프레임(1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시트(300)는 등받이부(301) 및 그 등받이부(301)에서 벤딩(bending)된 좌석부(30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시트(300)는 등받이부(301)의 적어도 일부 및 좌석부(302)의 적어도 일부에 배치되는 홀(390)을 가질 수 있다.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변 보조 장치의 시트(300)는 좌석부 및 그 좌석부에서 분리되어 회동가능한 등받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도 시트(300)는 등받이부(301)의 적어도 일부 및 좌석부(302)의 적어도 일부에 배치되는 홀(390)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전술된 지지 프레임(100)을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지지 프레임(100)은 제 1 지지부(111), 제 2 지지부(112) 및 시트 지지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지지부(111)는 제 1 가이드 레일(20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 1 지지부(111)는 제 1 가이드 레일(201)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 1 지지부(111)는 제 1 가이드 레일(201)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지지부(111)는 그 제 1 가이드 레일(201)을 따라 X축 방향 또는 그 X축의 역방향(이하, -X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 2 지지부(112)는 제 2 가이드 레일(202)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 2 지지부(112)는 제 2 가이드 레일(202)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 2 지지부(112)는 제 2 가이드 레일(202)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지지부(112)는 그 제 2 가이드 레일(202)을 따라 X축 방향 또는 -X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 2 지지부(112)와 제 1 지지부(111)는 Y축 방향으로 마주본다.
시트 지지부(180)는 양변조(10) 상에서 제 1 지지부(111)와 제 2 지지부(11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시트 지지부(180)의 일부는 양변조(10)와 시트(300) 사이에 배치되어 그 시트(300)를 지지할 수 있다. 시트 지지부(180)는 제 1 지지부(111) 및 제 2 지지부(11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트 지지부(180)의 일측은 제 1 지지부(11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그리고 그 시트 지지부(180)의 타측은 제 2 지지부(11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전술된 지지 프레임(100)의 제 1 지지부(111), 제 2 지지부(112) 및 시트 지지부(180)에 대하여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 지지부(111)는 제 1 슬라이더(121), 제 1 거치부(131), 제 1 회전부(141), 제 1 회전체(151), 제 1 롤러(161) 및 제 1 렉 기어(171)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슬라이더(121)는 제 1 가이드 레일(20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 1 슬라이더(121)는 X축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제 1 슬라이더(121)는 제 1 가이드 레일(201)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 1 슬라이더(121)는 제 1 가이드 레일(201)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슬라이더(121)는 그 제 1 가이드 레일(201)을 따라 X축 방향 또는 -X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 1 롤러(161)는 제 1 슬라이더(121)의 하부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 1 롤러(161)는 제 1 가이드 레일(201)과 제 1 슬라이더(12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 1 롤러(161)는 제 1 가이드 레일(201)의 제 1 가이드 홈(211)에 배치될 수 있다. 제 1 가이드 홈(211)은 X축 방향을 따라 제 1 가이드 레일(201)의 상부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 1 가이드 레일(201)의 상부면은 제 1 슬라이더(121)의 하부면을 마주볼 수 있다. 제 1 롤러(161)는 그 제 1 가이드 홈(211)을 따라 X축 방향 또는 -X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 1 렉 기어(171)는 제 1 슬라이더(121)의 상부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 1 렉 기어(171)는 제 1 슬라이더(121)의 상부면 중 일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 1 거치부(131)는 제 1 슬라이더(12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 1 거치부(131)는 제 1 슬라이더(121)의 상부면으로부터 Y축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제 1 거치부(131)는 제 1 슬라이더(121)에 연결될 수 있다. 제 1 거치부(131)는 제 1 슬라이더(121)와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 1 거치부(131)는 2개의 기둥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회전부(141)는 제 1 거치부(13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 1 회전부(141)는 제 1 거치부(131)에 연결된다. 제 1 회전부(141)는 내부에 제 1 구동 모터(501)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구동 모터(501)의 구동 축(511)은 외부로 노출된다.
제 1 회전체(151)는 시트(300)와 제 1 회전부(14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 1 회전체(151)는 제 1 회전부(141)의 제 1 구동 모터(501)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회전체(151)는 제 1 구동 모터(501)의 구동 축(511)에 연결될 수 있다. 제 1 회전체(151)는 제 1 구동 모터(501)의 구동력에 의해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제 1 회전체(151)는 제 1 구동 모터(501)의 구동 축(511)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제 2 지지부(112)는 제 2 슬라이더(122), 제 2 거치부(132), 제 2 회전부(142) 및 제 2 회전체(152), 제 2 롤러(162) 및 제 2 렉 기어(17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슬라이더(122)는 제 2 가이드 레일(202)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 2 슬라이더(122)는 X축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제 2 슬라이더(122)는 제 2 가이드 레일(202)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 2 슬라이더(122)는 제 2 가이드 레일(202)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슬라이더(122)는 그 제 2 가이드 레일(202)을 따라 X축 방향 또는 -X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 2 롤러(162)는 제 2 슬라이더(122)의 하부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 2 롤러(162)는 제 2 가이드 레일(202)과 제 2 슬라이더(12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 2 롤러(162)는 제 2 가이드 레일(202)의 제 2 가이드 홈(212)에 배치될 수 있다. 제 2 가이드 홈(212)은 X축 방향을 따라 제 2 가이드 레일(202)의 상부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 2 가이드 레일(202)의 상부면은 제 2 슬라이더(122)의 하부면을 마주볼 수 있다. 제 2 롤러(162)는 그 제 2 가이드 홈(212)을 따라 X축 방향 또는 -X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 2 렉 기어(172)는 제 2 슬라이더(122)의 상부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 2 렉 기어(172)는 제 2 슬라이더(122)의 상부면 중 일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 2 거치부(132)는 제 2 슬라이더(122)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 2 거치부(132)는 제 2 슬라이더(122)로부터 Y축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제 2 거치부(132)는 제 2 슬라이더(122)에 연결될 수 있다. 제 2 거치부(132)는 제 2 슬라이더(122)와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 2 거치부(132)는 2개의 기둥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 회전부(142)는 제 2 거치부(132)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 2 회전부(142)는 제 2 거치부(132)에 연결된다. 제 2 회전부(142)는 시트(300)를 향해 돌출된 연결 축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 회전체(152)는 시트(300)와 제 2 회전부(14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 2 회전체(152)는 제 2 회전부(14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회전체(152)는 그 제 2 회전부(142)의 연결 축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 2 회전체(152)는 제 1 구동 모터(501)의 구동력에 의해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때, 제 2 회전체(152)는 연결 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시트 지지부(180)는 시트(300)를 지지함과 아울러, 제 1 지지부(111)와 제 2 지지부(112)를 서로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트 지지부(180)는 제 1 지지부(111)의 제 1 회전체(151)와 제 2 지지부(112)의 제 2 회전체(152)를 서로 연결시킬 수 있다. 이 시트 지지부(180)에 의해 제 1 회전부(141)의 제 1 구동 모터(501)로부터 생성된 구동력이 제 2 회전체(152)에 전달될 수 있다. 이러한 시트 지지부(180)는 제 1 시트 지지부(181) 및 제 2 시트 지지부(18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시트 지지부(181)는 양변조(10)와 시트(3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 1 시트 지지부(181)의 일측 단부는 제 1 회전체(151)에 연결되고, 그 제 1 시트 지지부(181)의 타측 단부는 제 2 회전체(152)에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제 1 시트 지지부(181)는 시트(300)의 하부면에 부착될 수 있다.
제 2 시트 지지부(182)는 제 1 시트 지지부(181)로부터 이격되어 양변조(10)와 시트(3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 2 시트 지지부(182)의 일측 단부는 제 1 회전체(151)에 연결되고, 그 제 2 시트 지지부(182)의 타측 단부는 제 2 회전체(152)에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제 2 시트 지지부(182)는 시트(300)의 하부면에 부착될 수 있다.
시트(300)의 홀(390)은,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시트 지지부(181)와 제 2 시트 지지부(18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홀(390)은 제 1 시트 지지부(181)와 제 2 시트 지지부(182) 사이의 시트(300) 부분을 관통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300)는 곡선 형상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시트(300)의 홀(390)은 그 시트(300)의 곡선 부분에 배치될 수 있는 바, 그 홀(390)의 내벽 역시 곡선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 1 구동 모터(501)가 구동될 때, 제 1 회전체(151), 제 1 시트 지지부(181), 제 2 시트 지지부(182) 및 제 2 회전체(152)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그 제 1 시트 지지부(181) 및 제 2 시트 지지부(182)에 부착된 시트(300)도 그 제 1 구동 모터(501)의 회전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제 2 구동 모터(502)는 전술된 제 1 렉 기어(171) 및 제 2 렉 기어(172)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구동 모터(502)는 2개의 구동 축들(이하, 제 1 구동 축(521) 및 제 2 구동 축(522))을 포함할 수 있는 바, 제 2 구동 모터(502)의 제 1 구동 축(521)에 연결된 제 1 피니언 기어(191)가 제 1 렉 기어(171)에 연결되고, 그리고 그 제 2 구동 모터(502)의 제 2 구동 축(522)에 연결된 제 2 피니언 기어(192)가 제 2 렉 기어(172)에 연결될 수 있다. 제 2 구동 모터(502)의 제 1 구동 축(521) 및 제 2 구동 축(522)은 함께 구동될 수 있다. 제 2 구동 모터(502)가 구동됨에 따라, 그 제 2 구동 모터(502)의 제 1 구동 축(521)에 연결된 제 1 피니언 기어(191) 및 그 제 2 구동 모터(502)의 제 2 구동 축(522)에 연결된 제 2 피니언 기어(192)가 회전하며, 제 1 및 제 2 피니언 기어들(191, 192)이 회전함에 따라 그 제 1 피니언 기어(191)에 연결된 제 1 렉 기어(171) 및 그 제 2 피니언 기어(192)에 연결된 제 2 렉 기어(172)가 직선 운동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렉 기어(171) 및 제 2 렉 기어(172)는 X축 방향 또는 -X축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렉 기어(171)에 연결된 제 1 슬라이더(121) 및 제 2 렉 기어(172)에 연결된 제 2 슬라이더(122)가 X축 방향 또는 -X축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지 프레임(100) 및 그 지지 프레임(100)에 연결된 시트(300)가 X축 방향 또는 -X축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 1 구동 모터(501)에 의해 시트(300)의 회전 방향이 제어되며, 그리고 제 2 구동 모터(502)에 의해 그 시트(300)의 전진 및 후진 방향이 제어될 수 있다.
한편, 제 2 렉 기어(172)는 별도의 제 3 구동 모터에 연결될 수도 있다. 다시 말하여, 제 1 렉 기어(171)와 제 2 렉 기어(172)가 서로 별개의 구동 모터들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렉 기어(172)는 제 3 구동 모터의 구동 축에 결합된 피니언 기어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 2 구동 모터(502)와 제 3 구동 모터는 제어부에 이해 동일하게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구동 모터(502)와 제 3 구동 모터는 동일 시점에 온 및 오프되며, 또한 동일한 회전 속도로 회전할 수 있다.
보조 시트(350)는 시트(300)의 일측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조작부(900)는 제 1 구동 모터(501) 및 제 2 구동 모터(502)를 제어할 수 있다. 조작부(900)는, 도 4에 도시된 예와 같이, 제 1 회전체(151) 및 제 2 회전체(152)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제 1 구동 모터(501)의 회전을 제어하기 위한 조작 버튼들(예를 들어, 시계 방향 회전 제어 버튼(912) 및 반시계 방향 회전 제어 버튼(911))은 제 1 회전체(151)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 2 구동 모터(502) 및 제 3 구동 모터(503)의 회전을 제어하기 위한 조작 버튼들(예를 들어, 전진 제어 버튼(921) 및 후진 제어 버튼(922))은 제 2 회전체(152)에 배치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변 보조 장치의 시트(300)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용변 보조 장치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커버(600)는 시트(300)의 홀(390)과 중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버(600)는 홀(390)에 근접한 시트(300) 부분으로부터 돌출되어 홀(390)의 적어도 일부분을 가릴 수 있다. 이 커버(600)는,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용변기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소변이 외부로 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변 보조 장치의 시트(300)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용변 보조 장치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마 장치(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안마 장치(700)는 시트(30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마 장치(700)는 시트(300)의 등받이부(301)에 배치될 수 있다.
안마 장치(700)는 공지된 안마 장치 또는 공지된 안마 의자의 안마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조작부(900)는 안마 장치(700)를 작동시키기 위한 조작 버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는 도 1의 용변 보조 장치를 사용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용변 보조 장치의 시트(300)에 앉을 수 있다. 이후 사용자는 조작부(900)를 조작하여 시트(300)를 도 9와 같은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시트(300)에 누운 상태로 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의 머리는 시트(300)의 상측에 대응되게 배치되며, 사용자의 다리는 시트(300)의 하측 및 그 하측에 부착된 보조 시트(350)에 대응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의 둔부는 시트(300)의 홀(390)을 통해 양변조(10)를 마주볼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시트(300)에 누운 상태로 배소변을 용이하게 해결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변 보조 장치의 제 1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변 보조 장치의 제 2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0의 측면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다른 측면도이고, 그리고 도 14는 도 10의 보조 시트에 대한 상세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변 보조 장치는, 도 10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프레임(800), 제 1 가이드 레일(201), 제 2 가이드 레일(202), 지지 프레임(100), 시트(300), 보조 시트(350), 제 1 피니언 기어(191), 제 2 피니언 기어(192), 제 1 구동 모터(501), 제 2 구동 모터(502), 제 3 구동 모터 및 조작부(900)를 포함할 수 있다.
양변조(10)는 대소변과 같은 오물을 담을 수 있다. 양변조(10)는 정화조에 연결될 수 있다. 양변조(10)는 제 1 가이드 레일(201)과 제 2 가이드 레일(20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이 양변조(10)는 이동 가능한 이동식 양변조일 수 있다. 이를 위해, 예를 들어, 양변조(10)의 하측에 복수의 바퀴들이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 프레임(800)은 제 1 가이드 레일(201) 및 제 2 가이드 레일(202)을 지지한다. 제 1 가이드 레일(201) 및 제 2 가이드 레일(202)은 베이스 프레임(80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 프레임(800)은 제 1 내지 제 4 수직 지지부들(801, 802, 803, 804) 및 제 1 내지 제 4 수평 지지부들(811, 812, 813, 814)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내지 제 4 수평 지지부들(811, 812, 813, 814)은 제 1 내지 제 4 수직 지지부들(801, 802, 803, 804)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평면적인 관점에서, 제 1 내지 제 4 수평 지지부들(811, 812, 813, 814)은 양변조(10)를 둘러싸는 사각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제 1 내지 제 4 수평 지지부들(811, 812, 813, 814)에 의해 정의된 개구부(850)는 시트(300)의 홀(390) 및 양변조(10)와 중첩할 수 있다.
제 1 수평 지지부(811)는 제 1 수직 지지부(801)와 제 2 수직 지지부(802) 상에 배치되며, 제 2 수평 지지부(812)는 제 3 수직 지지부(803)와 제 4 수직 지지부(804) 상에 배치되며, 제 3 수평 지지부(813)는 제 2 수직 지지부(802)와 제 4 수직 지지부(804) 상에 배치되며, 그리고 제 4 수평 지지부(814)는 제 1 수직 지지부(801)와 제 3 수직 지지부(803)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 1 가이드 레일(201)은 제 1 수평 지지부(811) 상에 배치되며, 제 2 가이드 레일(202)은 제 2 수평 지지부(812)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300)가 뒤쪽으로 회전할 경우, 시트(300)의 일측은 제 3 수평 지지부(813)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이때, 시트(300)의 일측과 제 3 수평 지지부(813)는 서로 접촉할 수 있다.
제 1 가이드 레일(201)은 X축 방향을 따라 연장된 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 2 가이드 레일(202)은 X축 방향을 따라 연장된 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 2 가이드 레일(202)은 제 1 가이드 레일(201)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 2 가이드 레일(202)과 제 1 가이드 레일(201)은 Y축 방향으로 마주본다.
지지 프레임(100)은 제 1 가이드 레일(201) 및 제 2 가이드 레일(202)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시트(300)는 양변조(10) 상에 배치된다. 시트(300)는 지지 프레임(1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시트 지지부(180)는 양변조(10)에 대응되게 배치된 홀(390)을 갖는다. 시트(300)는 등받이부(301) 및 그 등받이부(301)에서 벤딩된 좌석부(302)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된 홀(390)은 등받이부(301)의 적어도 일부 및 좌석부(302)의 적어도 일부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전술된 안마 장치(700)가 시트(300)에 더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마 장치(700)는 시트(300)의 등받이부(301)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전술된 지지 프레임(100)을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지지 프레임(100)은 제 1 지지부(111), 제 2 지지부(112) 및 시트 지지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지지부(111)는 제 1 가이드 레일(20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 1 지지부(111)는 제 1 가이드 레일(201)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 1 지지부(111)는 제 1 가이드 레일(201)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지지부(111)는 그 제 1 가이드 레일(201)을 따라 X축 방향 또는 -X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 2 지지부(112)는 제 2 가이드 레일(202)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 2 지지부(112)는 제 2 가이드 레일(202)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 2 지지부(112)는 제 2 가이드 레일(202)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지지부(112)는 그 제 2 가이드 레일(202)을 따라 X축 방향 또는 -X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 2 지지부(112)와 제 1 지지부(111)는 Y축 방향으로 마주본다.
시트 지지부(180)는 양변조(10) 상에서 제 1 지지부(111)와 제 2 지지부(11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시트 지지부(180)의 일부는 양변조(10)와 시트(300) 사이에 배치되어 그 시트(300)를 지지할 수 있다. 시트 지지부(180)는 제 1 지지부(111) 및 제 2 지지부(11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트 지지부(180)의 일측은 제 1 지지부(11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그리고 그 시트 지지부(180)의 타측은 제 2 지지부(11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전술된 지지 프레임(100)의 제 1 지지부(111), 제 2 지지부(112) 및 시트 지지부(180)에 대하여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 지지부(111)는 제 1 슬라이더(121), 제 1 회전부(141), 제 1 회전체(151), 제 1 롤러(161) 및 제 1 렉 기어(171)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슬라이더(121)는 제 1 가이드 레일(20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 1 슬라이더(121)는 X축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제 1 슬라이더(121)는 제 1 가이드 레일(201)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 1 슬라이더(121)는 제 1 가이드 레일(201)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슬라이더(121)는 그 제 1 가이드 레일(201)을 따라 X축 방향 또는 -X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 1 롤러(161)는 제 1 슬라이더(121)의 하부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 1 롤러(161)는 제 1 가이드 레일(201)과 제 1 슬라이더(12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 1 롤러(161)는 제 1 가이드 레일(201)의 제 1 가이드 홈(211)에 배치될 수 있다. 제 1 가이드 홈(211)은 X축 방향을 따라 제 1 가이드 레일(201)의 상부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 1 가이드 레일(201)의 상부면은 제 1 슬라이더(121)의 하부면을 마주볼 수 있다. 제 1 롤러(161)는 그 제 1 가이드 홈(211)을 따라 X축 방향 또는 -X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 1 렉 기어(171)는 제 1 슬라이더(121)의 상부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 1 렉 기어(171)는 제 1 슬라이더(121)의 상부면 중 일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 1 회전부(141)는 제 1 슬라이더(12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 1 회전부(141)는 제 1 슬라이더(121)에 연결 또는 부착될 수 있다. 다시 말하여, 제 1 회전부(141)는 제 1 슬라이더(121)에 고정될 수 있다. 제 1 회전부(141)는 내부에 제 1 구동 모터(도 4의 501)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구동 모터(501)의 구동 축(511)은 외부로 노출된다.
제 1 회전체(151)는 시트(300)와 제 1 회전부(14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 1 회전체(151)는 제 1 회전부(141)의 제 1 구동 모터(501)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회전체(151)는 제 1 구동 모터(501)의 구동 축(511)에 연결될 수 있다. 제 1 회전체(151)는 제 1 구동 모터(501)의 구동력에 의해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제 1 회전체(151)는 제 1 구동 모터(501)의 구동 축(511)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제 2 지지부(112)는 제 2 슬라이더(122), 제 2 회전부(142) 및 제 2 회전체(152), 제 2 롤러(162) 및 제 2 렉 기어(17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슬라이더(122)는 제 2 가이드 레일(202)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 2 슬라이더(122)는 X축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제 2 슬라이더(122)는 제 2 가이드 레일(202)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 2 슬라이더(122)는 제 2 가이드 레일(202)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슬라이더(122)는 그 제 2 가이드 레일(202)을 따라 X축 방향 또는 -X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 2 롤러(162)는 제 2 슬라이더(122)의 하부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 2 롤러(162)는 제 2 가이드 레일(202)과 제 2 슬라이더(12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 2 롤러(162)는 제 2 가이드 레일(202)의 제 2 가이드 홈(212)에 배치될 수 있다. 제 2 가이드 홈(212)은 X축 방향을 따라 제 2 가이드 레일(202)의 상부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 2 가이드 레일(202)의 상부면은 제 2 슬라이더(122)의 하부면을 마주볼 수 있다. 제 2 롤러(162)는 그 제 2 가이드 홈(212)을 따라 X축 방향 또는 -X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 2 렉 기어(172)는 제 2 슬라이더(122)의 상부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 2 렉 기어(172)는 제 2 슬라이더(122)의 상부면 중 일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 2 회전부(142)는 제 2 슬라이더(122)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 2 회전부(142)는 제 2 슬라이더(122)에 연결 또는 부착될 수 있다. 다시 말하여, 제 2 회전부(142)는 제 2 슬라이더(122)에 고정될 수 있다. 제 2 회전부(142)는 시트(300)를 향해 돌출된 연결 축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 회전체(152)는 시트(300)와 제 2 회전부(14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 2 회전체(152)는 제 2 회전부(14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회전체(152)는 그 제 2 회전부(142)의 연결 축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 2 회전체(152)는 제 1 구동 모터(501)의 구동력에 의해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때, 제 2 회전체(152)는 연결 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시트 지지부(180)는 시트(300)를 지지함과 아울러, 제 1 지지부(111)와 제 2 지지부(112)를 서로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트 지지부(180)는 제 1 지지부(111)의 제 1 회전체(151)와 제 2 지지부(112)의 제 2 회전체(152)를 서로 연결시킬 수 있다. 이 시트 지지부(180)에 의해 제 1 회전부(141)의 제 1 구동 모터(501)로부터 생성된 구동력이 제 2 회전체(152)에 전달될 수 있다. 이러한 시트 지지부(180)는 제 1 시트 지지부(181) 및 제 2 시트 지지부(18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시트 지지부(181)는 양변조(10)와 시트(3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 1 시트 지지부(181)의 일측 단부는 제 1 회전체(151)에 연결되고, 그 제 1 시트 지지부(181)의 타측 단부는 제 2 회전체(152)에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제 1 시트 지지부(181)는 시트(300)의 하부면에 부착될 수 있다.
제 2 시트 지지부(182)는 제 1 시트 지지부(181)로부터 이격되어 양변조(10)와 시트(3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 2 시트 지지부(182)의 일측 단부는 제 1 회전체(151)에 연결되고, 그 제 2 시트 지지부(182)의 타측 단부는 제 2 회전체(152)에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제 2 시트 지지부(182)는 시트(300)의 하부면에 부착될 수 있다.
시트(300)의 홀(390)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시트 지지부(181)와 제 2 시트 지지부(18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홀(390)은 제 1 시트 지지부(181)와 제 2 시트 지지부(182) 사이의 시트(300) 부분을 관통할 수 있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300)는 곡선 형상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시트(300)의 홀(390)은 그 시트(300)의 곡선 부분에 배치될 수 있는 바, 그 홀(390)의 내벽 역시 곡선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 1 구동 모터(501)가 구동될 때, 제 1 회전체(151), 제 1 시트 지지부(181), 제 2 시트 지지부(182) 및 제 2 회전체(152)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그 제 1 시트 지지부(181) 및 제 2 시트 지지부(182)에 부착된 시트(300)도 그 제 1 구동 모터(501)의 회전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제 2 구동 모터(502)는 전술된 제 1 렉 기어(171)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구동 모터(502)는 구동 축을 포함할 수 있는 바, 제 2 구동 모터(502)의 구동 축(521)에 연결된 제 1 피니언 기어(191)가 제 1 렉 기어(171)에 연결된다. 제 2 구동 모터(502)가 구동됨에 따라, 그 제 2 구동 모터(502)의 구동 축(521)에 연결된 제 1 피니언 기어(191)가 회전하며, 제 1 피니언 기어(191)가 회전함에 따라 그 제 1 피니언 기어(191)에 연결된 제 1 렉 기어(171)가 직선 운동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렉 기어(171)는 X축 방향 또는 -X축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렉 기어(171)에 연결된 제 1 슬라이더(121)가 X축 방향 또는 -X축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제 3 구동 모터(503)는 전술된 제 2 렉 기어(172)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3 구동 모터(503)는 구동 축을 포함할 수 있는 바, 제 3 구동 모터(503)의 구동 축(522)에 연결된 제 2 피니언 기어(192)가 제 2 렉 기어(172)에 연결된다. 제 2 구동 모터(502)가 구동됨에 따라, 그 제 2 구동 모터(502)의 구동 축(522)에 연결된 제 2 피니언 기어(192)가 회전하며, 제 2 피니언 기어(192)가 회전함에 따라 그 제 2 피니언 기어(192)에 연결된 제 2 렉 기어(172)가 직선 운동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렉 기어(172)는 X축 방향 또는 -X축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제 2 렉 기어(172)에 연결된 제 2 슬라이더(122)가 X축 방향 또는 -X축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지 프레임(100) 및 그 지지 프레임(100)에 연결된 시트(300)가 X축 방향 또는 -X축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 1 구동 모터(501)에 의해 시트(300)의 회전 방향이 제어되며, 그리고 제 2 구동 모터(502) 및 제 3 구동 모터(503)에 의해 그 시트(300)의 전진 및 후진 방향이 제어될 수 있다.
보조 시트(350)는 시트(300)의 일측 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보조 시트(350)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300)에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예를 들어, 시트(300)의 일측 단부에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 제 1 결합홈(311) 및 제 2 결합홈(312)이 배치되고, 보조 시트(350)의 일측 단부에 제 1 대향 결합부(351) 및 제 2 대향 결합부(352)가 배치될 수 있다.
제 1 결합홈(311)은 시트(300)의 일측 단부로부터 Z축 방향의 역방향(이하, -Z축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 1 결합홈(311)은 제 1 고정 홀(331)을 가질 수 있다. 제 1 고정 홀(331)은 그 제 1 결합홈(311)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 2 결합홈(312)은 제 1 결합홈(311)와 소정 간격 이격되게 그 시트(300)의 일측 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 2 결합홈(312)은 제 2 고정 홀(332)을 가질 수 있다. 제 2 고정 홀(332)은 그 제 2 결합부(312)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 1 대향 결합부(351)는 보조 시트(350)의 일측 단부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대향 결합부(351)는 Z축 방향을 따라 돌출될 수 있다. 제 1 대향 결합부(351)는 이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된 제 1 고정 돌기(361)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고정 돌기(361)에 외력이 가해질 경우 제 1 고정 돌기(361)는 제 1 대향 결합부(351)의 내부로 이동하며, 그 외력이 제거될 경우 제 1 고정 돌기(361)는 돌출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예를 들어, 제 1 대향 결합부(351) 내부에 제 1 고정 돌기(361)가 이동할 수 있는 이동 통로 및 그 이 동 통로 상에 배치된 스프링이 배치될 수 있다. 외력이 없을 때, 제 1 고정 돌기(361)는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제 1 대향 결합부(351)로부터 돌출된 상태로 유지된다. 반면, 외력이 가해질 경우, 그 외력에 의해 눌려진 제 1 고정 돌기(361)는 제 1 대향 결합부(351)의 이동 통로를 따라 이동한다. 이에 따라, 제 1 고정 돌기(361)에 외력이 가해질 경우, 제 1 고정 돌기(361)는 돌출되지 않은 상태로 유지된다. 예를 들어, 제 1 고정 돌기(361)에 외력이 가해질 경우, 제 1 고정 돌기(361)는 제 1 대향 결합부(351)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로 유지된다.
제 2 대향 결합부(352)는 제 1 대향 결합부(351)와 소정 간격 이격되게 그 보조 시트(350)의 일측 단부에 배치된다. 제 2 대향 결합부(352)는 보조 시트(350)의 일측 단부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대향 결합부(352)는 Z축 방향을 따라 돌출될 수 있다. 제 2 대향 결합부(352)는 이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된 제 2 고정 돌기(36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고정 돌기(362)에 외력이 가해질 경우 제 2 고정 돌기(362)는 제 2 대향 결합부(352)의 내부로 이동하며, 그 외력이 제거될 경우 제 2 고정 돌기(362)는 돌출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예를 들어, 제 2 대향 결합부(352) 내부에 제 2 고정 돌기(362)가 이동할 수 있는 이동 통로 및 그 이 동 통로 상에 배치된 스프링이 배치될 수 있다. 외력이 없을 때, 제 2 고정 돌기(362)는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제 2 대향 결합부(352)로부터 돌출된 상태로 유지된다. 반면, 외력이 가해질 경우, 그 외력에 의해 눌려진 제 2 고정 돌기(362)는 제 2 대향 결합부(352)의 이동 통로를 따라 이동한다. 이에 따라, 제 2 고정 돌기(362)에 외력이 가해질 경우, 제 2 고정 돌기(362)는 돌출되지 않은 상태로 유지된다. 예를 들어, 제 2 고정 돌기(362)에 외력이 가해질 경우, 제 2 고정 돌기(362)는 제 2 대향 결합부(352)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로 유지된다.
제 1 대향 결합부(351)는 제 1 결합홈(311)에 삽입될 수 있다. 제 1 대향 결합부(351)가 제 1 결합홈(311)에 삽입될 경우, 그 제 1 대향 결합부(351)의 제 1 고정 돌기(361)가 제 1 결합홈(311)의 내벽에 의해 눌려진 상태로, 제 1 대향 결합부(351)가 제 1 결합홈(311)에 삽입된다. 제 1 대향 결합부(351)가 제 1 결합홈(311)에 더 삽입됨에 따라 제 1 고정 돌기(361)와 제 1 고정 홀(331)이 정렬될 수 있다. 그러면, 제 1 고정 돌기(361)에 가해진 외력이 제거되면서 그 제 1 고정 돌기(361)가 제 1 고정 홀(331)을 통해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보조 시트(350)의 제 1 대향 결합부(351)가 시트(300)의 제 1 결합홈(311)에 고정될 수 있다. 반면, 제 1 대향 결합부(351)와 제 1 결합홈(311)이 고정되었을 때, 제 1 대향 결합부(351)의 제 1 고정 돌기(361)가 눌려진 상태에서 제 1 대향 결합부(351)가 삽입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당겨지면 제 1 대향 결합부(351)가 제 1 결합홈(311)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제 2 대향 결합부(352)는 제 2 결합홈(312)에 삽입될 수 있다. 제 2 대향 결합부(352)가 제 2 결합홈(312)에 삽입될 경우, 그 제 2 대향 결합부(352)의 제 2 고정 돌기(362)가 제 2 결합홈(312)의 내벽에 의해 눌려진 상태로, 제 2 대향 결합부(352)가 제 2 결합홈(312)에 삽입된다. 제 2 대향 결합부(352)가 제 2 결합홈(312)에 더 삽입됨에 따라 제 2 고정 돌기(362)와 제 2 고정 홀(332)이 정렬될 수 있다. 그러면, 제 2 고정 돌기(362)에 가해진 외력이 제거되면서 그 제 2 고정 돌기(362)가 제 2 고정 홀(332)을 통해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보조 시트(350)의 제 2 대향 결합부(352)가 시트의 제 2 결합홈(312)에 고정될 수 있다. 반면, 제 2 대향 결합부(352)와 제 2 결합홈(312)이 고정되었을 때, 제 2 대향 결합부(352)의 제 2 고정 돌기(362)가 눌려진 상태에서 제 2 대향 결합부(352)가 삽입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당겨지면 제 2 대향 결합부(352)가 제 2 결합홈(312)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조작부(900)는 제 1 구동 모터(501), 제 2 구동 모터(502) 및 제 3 구동 모터(503)를 제어할 수 있다. 조작부(900)는, 도 10에 도시된 예와 같이, 제 1 회전체(151) 및 제 2 회전체(152)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제 1 구동 모터(501)의 회전을 제어하기 위한 조작 버튼들(예를 들어, 시계 방향 회전 제어 버튼(912) 및 반시계 방향 회전 제어 버튼(911))은 제 1 회전체(151)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 2 구동 모터(502) 및 제 3 구동 모터(503)의 회전을 제어하기 위한 조작 버튼들(예를 들어, 전진 제어 버튼(921) 및 후진 제어 버튼(922))은 제 2 회전체(152)에 배치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00: 지지 프레임 111: 제 1 지지부
112: 제 2 지지부 201: 제 1 가이드 레일
202: 제 2 가이드 레일 521: 제 1 구동 축
522: 제 2 구동 축 180: 시트 지지부
181: 제 1 시트 지지부 182: 제 2 시트 지지부
300: 시트 350: 보조 시트
390: 홀 131: 제 1 거치부
132: 제 2 거치부 141: 제 1 회전부
142: 제 2 회전부 151: 제 1 회전체
152: 제 2 회전체 121: 제 1 슬라이더
122: 제 2 슬라이더 161: 제 1 롤러
162: 제 2 롤러 171: 제 1 렉 기어
172: 제 2 렉 기어 191: 제 1 피니언 기어
192: 제 2 피니언 기어 502: 제 2 구동 모터
521: 제 1 구동 축 800: 베이스 프레임
801: 제 1 수직 지지부 802: 제 2 수직 지지부
803: 제 3 수직 지지부 804: 제 4 수직 지지부
811: 제 1 수평 지지부 812: 제 2 수평 지지부
813: 제 3 수평 지지부 814: 제 4 수평 지지부

Claims (8)

  1. 서로 마주보게 이격되어 배치된 제 1 가이드 레일 및 제 2 가이드 레일;
    상기 제 1 가이드 레일 및 상기 제 2 가이드 레일을 지지하는 베이스 프레임;
    상기 제 1 가이드 레일 및 상기 제 2 가이드 레일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지지 프레임;
    상기 지지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시트 지지부; 및
    상기 시트 지지부 상에 장착되는 시트를 포함하고,상기 시트는 등받이부와 상기 등받이부에서 벤딩된 좌석부를 포함하고 상기 등받이부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좌석부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된 홀을 가지며,
    상기 제 1 가이드 레일 및 상기 제 2 가이드 레일에서의 상기 지지 프레임의 위치에 따라, 양변조에 대한 상기 좌석부의 홀의 위치가 조절되는 용변 보조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지지부는 상기 등받이부를 지지하는 제 1 시트 지지부 및 상기 좌석부를 지지하는 제 2 시트 지지부를 포함하는 용변 보조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홀은 상기 제 1 시트 지지부와 상기 제 2 시트 지지부 사이에 위치한 용변 보조 장치.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부에 안마 장치를 더 포함하는 용변 보조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의 일측 단부에 결합된 보조 시트를 더 포함하는 용변 보조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의 하부에 배치된 양변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양변조는 이동식 양변조인 용변 보조 장치.
  8. 삭제
KR1020190160143A 2019-12-04 2019-12-04 용변 보조 장치 KR1022636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0143A KR102263612B1 (ko) 2019-12-04 2019-12-04 용변 보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0143A KR102263612B1 (ko) 2019-12-04 2019-12-04 용변 보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3612B1 true KR102263612B1 (ko) 2021-06-10

Family

ID=763778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0143A KR102263612B1 (ko) 2019-12-04 2019-12-04 용변 보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3612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16454A (ja) * 1998-10-09 2000-04-25 Marutaka Co Ltd リクライニングシート
JP2000334004A (ja) * 1999-05-28 2000-12-05 Wing:Kk 介護用ベッド
KR100699027B1 (ko) * 2006-05-22 2007-03-23 신현권 신체 교정용 안마의자장치
KR101332926B1 (ko) * 2013-01-03 2013-11-26 매직라이프코리아(주) 슬라이드식 안마의자
KR20150002467U (ko) * 2013-12-16 2015-06-25 주식회사이지무브 장애인 또는 노인용 목욕 의자
KR200478004Y1 (ko) * 2013-10-02 2015-08-27 미키코리아(주) 목욕의자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16454A (ja) * 1998-10-09 2000-04-25 Marutaka Co Ltd リクライニングシート
JP2000334004A (ja) * 1999-05-28 2000-12-05 Wing:Kk 介護用ベッド
KR100699027B1 (ko) * 2006-05-22 2007-03-23 신현권 신체 교정용 안마의자장치
KR101332926B1 (ko) * 2013-01-03 2013-11-26 매직라이프코리아(주) 슬라이드식 안마의자
KR200478004Y1 (ko) * 2013-10-02 2015-08-27 미키코리아(주) 목욕의자
KR20150002467U (ko) * 2013-12-16 2015-06-25 주식회사이지무브 장애인 또는 노인용 목욕 의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56669B1 (ko) 환자용 침대
JP4257929B1 (ja) 移動式自動水洗トイレ
US7234178B2 (en) Electromotive bed
KR102263612B1 (ko) 용변 보조 장치
JP3209782U (ja) 介護用ベッド
CN211213974U (zh) 一种辅助康复治疗床
JP2019076630A (ja) 便器付ベッド
US7836525B2 (en) Comfort seat and commode device for a wheel chair and the like
KR200251954Y1 (ko) 환자용 침대
US20180353363A1 (en) Maryed healthcare solution bed
JP3183626B2 (ja) 介護用ベット
JP2969557B2 (ja) 介護用浴槽
KR102640421B1 (ko) 이동 및 높이조절 리프트 의자
JP3145606B2 (ja) ベッド装置
JP3115087U (ja) 便器付き療養ベッド
JPH0716265A (ja) 介護用ベット
JP2002017796A (ja) 介護補助具
JP2512855B2 (ja) 便器付電動ベッド
JP3076664U (ja) 介護用水洗トイレ装置
KR101478142B1 (ko) 좌변기가 마련된 환자용 보조 침대
JP4596574B2 (ja) リクライニング式入浴椅子
JP3531851B2 (ja) 浴 槽
JPH10211117A (ja) 簡易便器装置
JP2023064020A (ja) 介護軽減車椅子
CN110584912A (zh) 一种辅助康复治疗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