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8142B1 - 좌변기가 마련된 환자용 보조 침대 - Google Patents

좌변기가 마련된 환자용 보조 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8142B1
KR101478142B1 KR20130159910A KR20130159910A KR101478142B1 KR 101478142 B1 KR101478142 B1 KR 101478142B1 KR 20130159910 A KR20130159910 A KR 20130159910A KR 20130159910 A KR20130159910 A KR 20130159910A KR 101478142 B1 KR101478142 B1 KR 1014781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bed
patient
lower body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599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성숙
Original Assignee
강성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성숙 filed Critical 강성숙
Priority to KR201301599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81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81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81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2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with toilet conveniences,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toil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 A61G7/065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bstract

본 발명은 좌변기가 마련된 침대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좌변기와 인접된 베이스상에는 하체받침 시트의 연동에 의해 길이 방향을 따라 연동되는 상부가 개방된 사각 박스 형태의 보강 프레임이 위치되며, 보강 프레임의 하부 네모서리부에는 베이스 상면을 따라 연동되도록 바퀴가 마련되고, 좌변기와 인접된 보강 프레임의 전면에는 좌변기와 간섭이 배제되도록 가이드 홈이 형성되며, 보강 프레임의 후면은 하체받침 시트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서,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침대의 효과를 그대로 갖는 것은 물론이고, 침대 하부에 좌변기가 배치됨으로써 발생될 수 있는 침대 전체의 강성 저하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됨으로써 침대에 대한 소비자의 만족감을 더 한층 충족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좌변기가 마련된 환자용 보조 침대{Patient beds equipped with chamber pot}
본 발명은 좌변기가 마련된 환자용 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침대 내부에 좌변기를 마련함으로서 발생되는 침대 전체의 강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좌변기가 마련된 환자용 보조 침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생활환경과 의료수준의 향상으로 인구의 고령화가 진행되면서 이에 비례하여 노인성 환자가 급격히 늘어나고 있으며, 도시화와 환경공해로 인한 각종 사고나 질환이 증가되면서 다른 사람의 도움 없이는 생활이 불가능할 정도의 중증 심신장애 환자도 늘어나는 추세이다.
따라서, 중증환자를 돌볼 사람이 절실히 요구되면서 경제적으로 사각지대에 있는 사람들을 위해 복지차원에서 국가가 지원을 해줘야 한다는 요구가 제기되고 있으나, 복지정책에서 우리나라보다 앞섰다고 평가되는 일본의 경우에도 재정적인 부담으로 인하여 현재 38만 개 정도의 요양 병상 수를 2012년까지 약 15만 개로 대폭 줄일 방침이라는 정책(출처 : 조선일보 2006. 10. 21 기사)으로 전환되고 있다.
더욱이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일본에 비해 인구의 노령화가 급속히 진행되고 있으므로 복지정책을 뒷받침하기 위한 재원조달로 인하여 각 가정과 사회 전체에 경제적인 부담을 가중케 하고 있으며, 많은 이들이 이를 해결하기 위해 다각도로 노력하고 있는 추세이다.
상기 거동이 불편한 중증 환자를 간병할 때 가장 큰 어려움은 증상의 종류를 불문하고 환자가 용변을 보기 위해 부축하거나 환자가 배설한 변을 치울 때 느끼는 불편 등 용변을 여하히 처리하느냐 하는 점에 집중되었고, 그 해결책으로 환자에게 기저귀를 채워 용변을 받아내도록 한 방법이 가장 보편적이었으나, 배설물이 묻은 기저귀를 즉시 갈아주지 않을 경우에는 옷이나 이불이 오손되면서 악취를 유발할 뿐 아니라 배설물이 접촉되는 피부가 오염되어 2차 질환이 발생되었다.
또한 간병인이 기저귀를 교체하고 오염부위를 닦아내는 등의 과정에 환자의 체중을 감당해야 되는 육체적인 어려움과 함께 배설물로 인한 혐오스러운 감정을 배제할 수 없었고, 이러한 간병을 받고 있는 환자가 의식이 있는 경우에는 환자 본인도 심적인 부담과 함께 수치심을 느끼게 하는 등 여러 가지의 어려움이 있었다.
한편, 중증 환자의 배변처리를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환자용 침대에 관하여 여러 종류의 선행기술이 공개되었으며, 이에 관련한 선행기술들로서 실용신안등록 제222921호의 변기가 부착된 환자용 자동침대 등이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실용신안등록 제222921호의 변기가 부착된 환자용 자동침대는, 침대의 대퇴부 하측에 결합된 변기의 개구부가 항상 개방된 상태인데다 개구부 전면에 소변의 비산을 방지하는 방지턱이 돌출되어 있으므로 침대로서의 기능이 저하되었으며, 또한 침대에 누웠을 때 수평상태가 유지되지 않으므로 환자에게 불편함을 주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출원인은 특허출원?-?를 통해 개선된 침대를 제안한바 있다.
즉, 도 1 및 도 2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침대를 보면, 정상상태에서 환자가 배변의 욕구를 느끼는 경우 자신이 누워있던 침대에서 시트(110)로 옮겨 누워, 첨부한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상태에서 도 2에 도시되어진 상태로 전환하기 위해 도시하지 않은 스위치를 조작하게 된다.
이에 따라, 하체받침 시트 이송 지지대(130)는 스크류 구동모터(M)의 회전운동에 따라 환자의 발쪽으로 수평이동하여 결국 하체받침 시트(112)가 이송되어진다.
또한, 상체받침 시트 경사제공수단(140) 역시 동작하여 환자의 머리쪽에 해당하는 상체받침 시트(113)의 일측을 상승시키게 됨에 따라 환자의 둔부 부분을 받쳐주던 시트들이 사라지며 자연스럽게 환자의 둔부 부분이 아래로 내려가게 된다.
이때 좌변기(120)는 참조번호 121로 지칭되는 좌변기받침대에 의해 받쳐진 상태에서 좌변기(120)의 시트(도시하지 않았음)가 환자의 둔부를 받쳐주게 된다.
따라서 환자는 상체받침 시트(113)가 등받이의 역활을 하게 되어 특별히 상태를 받쳐 세우기 위해 힘을 줄 필요가 없게 된다.
이후 환자가 배변의 욕구를 모두 해소한 이후에는 비데 혹은 통상의 뒤처리 방식을 통해 배변의 뒤처리를 수행한 이후에 상기 스위치를 조작하여 첨부한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상태에서 도 1에 도시되어진 상태로 전환하기 위해 상기 스위치를 역으로 조작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체받침 시트 경사제공수단(140) 역시 동작하여 환자의 머리쪽에 해당하는 상체받침 시트(113)의 일측을 하강시키 평평하게 유지하도록 하는데 이때 환자는 상체받침 시트(113)에 등을 기대고 있는 상태만을 유지하게 되면 자연스럽게 둔부가 좌변기(120)의 시트로부터 이탈하게 된다.
더욱이, 하체받침 시트 이송 지지대(130)는 스크류 구동모터(M)의 역회전운동에 따라 환자의 발쪽에서 허리쪽으로 수평이동하여 결국 하체받침 시트(112)가 이송되어 환자의 둔부를 받쳐주게 된다.
이와같이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침대의 경우, 침실 혹은 병실 침대 곁에 구비되며 환자가 침대에서 손쉽게 이동하여 용변을 보기 쉽도록 통상의 침대와 동일 높이를 가지며 환자의 몸을 지지하는 시트를 이용해 내부에 장착되는 좌변기의 개폐구조 및 이에 따른 승강 구조를 제안함으로서 환자가 본인 스스로 상기 승강 개폐구조에 의해 보다 간편한 조작에 따른 좌변기의 사용 및 청결한 사용을 가능케 한다.
그러나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침대에 있어서는, 환자가 침대에서 손쉽게 이동하여 용변을 보는 효과를 갖는 것이지만, 침대 하부에 좌변기를 마련함으로써 전체적으로 침대 전체적인 강성 저하가 초래되는 문제점이 내재되어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침대의 하부에 좌변기를 마련하여 환자의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고, 좌변기를 마련함에 의해 발생되는 침대의 강성 저하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좌변기가 마련된 환자용 침대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좌변기가 마련된 환자용 보조 침대는, 환자의 상,하체를 받쳐주는 시트와, 환자의 대소변을 처리하는 변기 및 좌변기를 받쳐주는 좌변기 받침대와, 상기 좌변기를 통한 배변의 처리를 위한 급수시설과 정화조측으로 배출하기 위한 배수시설 및 상기 좌변기받침대가 안착되어 있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일측 상단부에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로 설치되며, 스크류 구동모터와 연결되는 스크류와, 상기 스크류 구동모터의 동작에 따라 회전하는 스크류에 나사결합되어 스크류를 따라 수평 이송되며 상기 스크류의 회전방향에 따라 이송방향이 결정되는 하체받침 시트 이송 지지대와, 상기 베이스의 타측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좌변기측이 소정의 경사각을 갖도록 상기 상체받침 시트의 일측을 상승시키거나 원상태로 복귀하도록 하는 상체받침 시트 경사제공수단, 및 상기 각 구성요소들이 설치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격벽구조의 침대 하우징과, 상기 상체받침 시트 경사제공수단은 모터의 회전력을 감속기를 이용해 제1기어에 제공하면, 제1기어는 초기상태에서 15° 내지 45°의 각도 범위를 회전하고, 체인에 의해 연결되어진 제2기어가 상기 제1기어의 회전각도에 대응하여 회동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2기어의 중심축에 일단이 고정되어져 있는 지지대는 제2기어의 회전에 따라 제2기어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제1기어의 회전각도에 대응하여 회동하되 상기 상체받침 시트에 상기 지지대의 타단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지지대의 회동에 따라 상기 상체받침 시트의 일측이 상기 제1기어의 회전각도에 대응하여 들려지도록 구성되는 환자용 보조 침대에 있어서, 상기 좌변기와 인접된 베이스상에는 하체받침 시트의 연동에 의해 길이 방향을 따라 연동되는 상부가 개방된 사각 박스 형태의 보강 프레임이 위치되며, 상기 보강 프레임의 하부 네모서리부에는 베이스 상면을 따라 연동되도록 바퀴가 마련되고, 상기 좌변기와 인접된 보강 프레임의 전면에는 좌변기와 간섭이 배제되도록 가이드 홈이 형성되며, 상기 보강 프레임의 후면은 하체받침 시트에 고정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한 특징은, 상기 보강 프레임의 후면이 고정되는 하체받침 시트의 전면에는 좌변기의 상면을 선택적으로 개방 및 밀폐시키는 덮개가 마련되며, 상체받침 시트와 하체받침 시트의 측면부에는 사용자가 모터의 제어를 행할 수 있는 콘트롤 패널이 마련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한 특징은, 상기 보강 프레임의 각 측면부에는 전체 강성을 보강하기 위한 보강판이 더 마련되는 것에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특징으로 인해 기대되는 효과로는,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침대의 효과를 그대로 갖는 것은 물론이고, 침대 하부에 좌변기가 배치됨으로써 발생될 수 있는 침대 전체의 강성 저하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됨으로써 침대에 대한 소비자의 만족감을 더 한층 충족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침대를 나타낸 사시도들.
도 3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좌변기가 구비된 침대의 예시도들.
발명의 상술한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 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그리고 이하에서는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침대를 기준으로 설명하며 동일 부호에는 동일한 부호를 채용하였다.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정상상태에서 환자가 배변의 욕구를 느끼는 경우 자신이 누워있던 침대에서 시트(110)로 옮겨 누워, 첨부한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상태에서 도 2에 도시되어진 상태로 전환하기 위해 도시하지 않은 스위치를 조작하게 된다.
이에 따라, 하체받침 시트 이송 지지대(130)는 스크류 구동모터(M)의 회전운동에 따라 환자의 발쪽으로 수평이동하여 결국 하체받침 시트(112)가 이송되어진다.
또한, 상체받침 시트 경사제공수단(140) 역시 동작하여 환자의 머리쪽에 해당하는 상체받침 시트(113)의 일측을 상승시키게 됨에 따라 환자의 둔부 부분을 받쳐주던 시트들이 사라지며 자연스럽게 환자의 둔부 부분이 아래로 내려가게 된다.
이때 좌변기(120)는 참조번호 121로 지칭되는 좌변기받침대에 의해 받쳐진 상태에서 좌변기(120)의 시트(도시하지 않았음)가 환자의 둔부를 받쳐주게 된다.
따라서 환자는 상체받침 시트(113)가 등받이의 역활을 하게 되어 특별히 상태를 받쳐 세우기 위해 힘을 줄 필요가 없게 된다.
이후 환자가 배변의 욕구를 모두 해소한 이후에는 비데 혹은 통상의 뒤처리 방식을 통해 배변의 뒤처리를 수행한 이후에 상기 스위치를 조작하여 첨부한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상태에서 도 1에 도시되어진 상태로 전환하기 위해 상기 스위치를 역으로 조작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체받침 시트 경사제공수단(140) 역시 동작하여 환자의 머리쪽에 해당하는 상체받침 시트(113)의 일측을 하강시키 평평하게 유지하도록 하는데 이때 환자는 상체받침 시트(113)에 등을 기대고 있는 상태만을 유지하게 되면 자연스럽게 둔부가 좌변기(120)의 시트로부터 이탈하게 된다.
도시한 예에서 참조번호 140으로 지칭되는 상체받침 시트 경사제공수단은 첨부한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모터(141)의 회전력을 감속기(142)를 이용해 회전각은 최소화하고 토오크는 극대화시켜 제1기어(G1)에 제공하면, 제1기어(G1)는 초기상태에서 15° 내지 45°의 각도 범위를 저속으로 회전한다.
이에 따라 체인(C)에 의해 연결되어진 제2기어(G2)역시 상기 제1기어(G1)의 회전각도에 대응하여 초기상태에서 15° 내지 45°의 각도 범위를 저속으로 회전한다.
이때 상기 제1기어(G1)와 제2기어(G2)는 모두 체인(C)에 내접하기 때문에 동일 회전반향을 갖는다.
따라서 첨부한 제2기어(G2)의 중심축에 일단이 고정되어져 있는 지지대(143)는 자체가 제2기어(G2)의 회전에 따라 제2기어(G2)의 중심을 기준으로 역시 15° 내지 45°의 각도 범위를 저속으로 회동한다.
그러므로, 상기 지지대(143)의 타단에 힌지 결합되어진 상기 상체받침 시트(113)는 상기 지지대(143)의 회동에 따라 15° 내지 45°의 각도 범위를 갖도록 환자의 두상이 있는 일단이 들려지게 된다.
이때 상술한 저속회전 및 회전각은 최소화 하고 토오크는 극대화 시킨다는 것은 사용하고 있는 사용자의 몸에 부담을 주지 않는 상태 정도를 의미한다.
즉, 가변적으로 속도 조절은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라면 주지할 수 있는 사실일 것이다.
또한, 부가적으로 상기 좌변기(120)에는 비데을 설치하여 환자의 청결등의 문제를 해소 할 수도 있다.
더욱이, 하체받침 시트 이송 지지대(130)는 스크류 구동모터(M)의 역회전운동에 따라 환자의 발쪽에서 허리쪽으로 수평이동하여 결국 하체받침 시트(112)가 이송되어 환자의 둔부를 받쳐주게 된다.
이때 상술한 좌변기(120)와 인접된 베이스(B)상에는 실질적으로 본 발명의 특징적인 요소를 갖는 것으로서, 하체받침 시트(112)의 연동에 의해 길이 방향을 따라 연동되는 상부가 개방된 사각 박스 형태의 보강 프레임(補强 frame;10)이 위치된다.
이 보강 프레임(10)의 하부 네모서리부에는 베이스(B)의 상면을 따라 부드럽게 연동 가능하도록 바퀴(11)가 마련된다.
또한 좌변기(120)와 인접된 보강 프레임(10)의 전면에는 상호간의 간섭이 배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가이드 홈(12)이 형성된다.
이에 더하여 전체 보강 프레임(10)이 하체받침 시트(112)의 연동에 의해 함께 연동될 수 있도록 보강 프레임(10)의 후면은 하체받침 시트(112)에 고정수단 예컨대 볼트나 너트 기타 나사등에 의해 상호 고정된다.
그리고 보강 프레임(10)의 측면부에는 좀더 큰 강성을 갖도록 하기 위하여 보강판(13)을 고정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보강 프레임(10)의 후면이 고정되는 하체받침 시트(112)의 전면에는 좌변기(120)의 상면을 선택적으로 개방 및 밀폐시키는 덮개(20)가 마련되며, 특히 상체받침 시트(113)와 하체받침 시트(112)의 측면부에는 사용자가 모터의 제어를 행할 수 있는 콘트롤 패널(30)이 마련된다
즉, 환자나 기타 사용자가 콘트롤 패널(30)을 조작하여 상체받침 시트(113)나 하체받침 시트(112)를 효율적으로 연동시킬 수 있어 사용상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게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하체받침 시트(112)의 연동에 따라 사각 박스 형태의 보강 프레임(10)이 베이스(B)를 따라 이동되면서 좌변기(120)를 개방하게 되며, 특히 이동과정에서 가이드 홈(12)에 의해 좌변기(120)와의 간섭이 배제된채 안정되게 이동된다.
또한 좌변기(120)가 개방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침대하부에서 보강판(13)을 통해 전체적인 하중 지지능력이 향상된 보강 프레임(10)이 전체적으로 하중을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침대의 전체 강성을 보강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하체받침 시트(112)상에 마련된 덮개(20)는 좌변기(120)를 차단하고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냄새등을 차단하고 좀더 안전한 위생을 도모할 수 있게된다.
한편, 이러한 보조 침대는 환자의 침대로도 사용 가능하지만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의 침대(1)를 마련한 상태에서 보조적으로 즉, 오직 변기사용만으로도 사용 가능하다.
이상의 설명에서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Claims (3)

  1. 환자의 상,하체를 받쳐주는 시트와, 환자의 대소변을 처리하는 변기 및 좌변기를 받쳐주는 좌변기 받침대와, 상기 좌변기를 통한 배변의 처리를 위한 급수시설과 정화조측으로 배출하기 위한 배수시설 및 상기 좌변기받침대가 안착되어 있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일측 상단부에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로 설치되며, 스크류 구동모터와 연결되는 스크류와, 상기 스크류 구동모터의 동작에 따라 회전하는 스크류에 나사결합되어 스크류를 따라 수평 이송되며 상기 스크류의 회전방향에 따라 이송방향이 결정되는 하체받침 시트 이송 지지대와, 상기 베이스의 타측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좌변기측이 소정의 경사각을 갖도록 상체받침 시트의 일측을 상승시키거나 원상태로 복귀하도록 하는 상체받침 시트 경사제공수단, 및 상기 각 구성요소들이 설치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격벽구조의 침대 하우징과, 상기 상체받침 시트 경사제공수단은 모터의 회전력을 감속기를 이용해 제1기어에 제공하면, 제1기어는 초기상태에서 15° 내지 45°의 각도 범위를 회전하고, 체인에 의해 연결되어진 제2기어가 상기 제1기어의 회전각도에 대응하여 회동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2기어의 중심축에 일단이 고정되어져 있는 지지대는 제2기어의 회전에 따라 제2기어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제1기어의 회전각도에 대응하여 회동하되 상기 상체받침 시트에 상기 지지대의 타단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지지대의 회동에 따라 상기 상체받침 시트의 일측이 상기 제1기어의 회전각도에 대응하여 들려지도록 구성되는 환자용 보조 침대에 있어서,
    상기 좌변기와 인접된 베이스상에는 하체받침 시트의 연동에 의해 길이 방향을 따라 연동되는 상부가 개방된 사각 박스 형태의 보강 프레임이 위치되며,
    상기 보강 프레임의 하부 네모서리부에는 베이스 상면을 따라 연동되도록 바퀴가 마련되고,
    상기 좌변기와 인접된 보강 프레임의 전면에는 좌변기와 간섭이 배제되도록 가이드 홈이 형성되며,
    상기 보강 프레임의 후면은 하체받침 시트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가 마련된 환자용 보조 침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프레임의 후면이 고정되는 하체받침 시트의 전면에는 좌변기의 상면을 선택적으로 개방 및 밀폐시키는 덮개가 마련되며,
    상체받침 시트와 하체받침 시트의 측면부에는 사용자가 모터의 제어를 행할 수 있는 콘트롤 패널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가 마련된 환자용 보조 침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프레임의 각 측면부에는 전체 강성을 보강하기 위한 보강판이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가 마련된 환자용 보조 침대.
KR20130159910A 2013-12-20 2013-12-20 좌변기가 마련된 환자용 보조 침대 KR1014781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59910A KR101478142B1 (ko) 2013-12-20 2013-12-20 좌변기가 마련된 환자용 보조 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59910A KR101478142B1 (ko) 2013-12-20 2013-12-20 좌변기가 마련된 환자용 보조 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8142B1 true KR101478142B1 (ko) 2015-01-02

Family

ID=525875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59910A KR101478142B1 (ko) 2013-12-20 2013-12-20 좌변기가 마련된 환자용 보조 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814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9333U (ja) * 1993-07-16 1995-02-10 財木 享治 スライド式ベッド
JPH11226060A (ja) * 1998-02-10 1999-08-24 Tadao Kurata 介護支援用寝台
JP2006000233A (ja) 2004-06-15 2006-01-05 Chest M I Inc 介護用ベッド
KR101158484B1 (ko) 2008-09-19 2012-06-20 강성숙 환자용 침대 형 좌변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9333U (ja) * 1993-07-16 1995-02-10 財木 享治 スライド式ベッド
JPH11226060A (ja) * 1998-02-10 1999-08-24 Tadao Kurata 介護支援用寝台
JP2006000233A (ja) 2004-06-15 2006-01-05 Chest M I Inc 介護用ベッド
KR101158484B1 (ko) 2008-09-19 2012-06-20 강성숙 환자용 침대 형 좌변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56669B1 (ko) 환자용 침대
CN203244525U (zh) 多功能护理病床
CN111671587B (zh) 护理用辅助翻身装置
CN202409329U (zh) 瘫痪病人专用护理床
JP2008136622A (ja) ベッド型多用途介護装置
JP5870351B2 (ja) 敷布団自動ベッド尻部開閉トイレ伸縮装置
KR101661068B1 (ko) 중증 장애인 배변ㆍ목욕용 침대
CN108498251A (zh) 一种防侧滑、防下滑的多功能护理床
JP7121379B2 (ja) 便器付ベッド
KR101364405B1 (ko) 다기능의 의료용 침대
KR101478142B1 (ko) 좌변기가 마련된 환자용 보조 침대
CN203234935U (zh) 多功能护理床
KR101822751B1 (ko) 의료용 침대
KR20080101508A (ko) 환자용 침대
KR101158484B1 (ko) 환자용 침대 형 좌변기
JP2008272400A (ja) 患者を車椅子からベットに乗り移らせたり、、入浴、排便させる介護を一人で行えるように組み合わせた、床ずれ防止機能を備えた介護ベッド
CN203303271U (zh) 可拆分式护理病床
CN1183949A (zh) 带免水冲便器的医疗床
US7836525B2 (en) Comfort seat and commode device for a wheel chair and the like
KR200251954Y1 (ko) 환자용 침대
US6948201B2 (en) Care bed used commonly for bathing and toileting
CN210447406U (zh) 一种老年病人大小便用医疗康复多功能电动推车
KR101403524B1 (ko) 다기능성 침대겸용 목욕대
KR100256926B1 (ko) 환자용 침대
US20180353363A1 (en) Maryed healthcare solution be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