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2751B1 - 의료용 침대 - Google Patents

의료용 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2751B1
KR101822751B1 KR1020160092653A KR20160092653A KR101822751B1 KR 101822751 B1 KR101822751 B1 KR 101822751B1 KR 1020160092653 A KR1020160092653 A KR 1020160092653A KR 20160092653 A KR20160092653 A KR 20160092653A KR 101822751 B1 KR101822751 B1 KR 1018227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part
mat
frame
patient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26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훈
Original Assignee
김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훈 filed Critical 김훈
Priority to KR10201600926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27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27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27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02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 A61G7/012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raising or lowering of the whole mattress fram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005Means for bathing bedridden pers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02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 A61G7/005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tiltable around transverse horizontal axis, e.g. for Trendelenburg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01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거동이 불편한 환자를 위한 의료용 침대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침대의 구성은 베이스 프레임부(10); 상기 베이스 프레임부(10)에 구비되어 환자가 눕게 되는 매트(20); 상기 매트(20) 위에서 승강되도록 상기 베이스 프레임부(10)에 결합되며 환자가 상기 매트(20)에 누운 상태에서 상기 환자의 신체 전체를 상기 매트(20) 위로 승강되도록 지지하는 승강 프레임부(30); 상기 승강 프레임부(30)의 코너부에 구비되어 상기 승강 프레임부(30)의 승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승강 작동부(40);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 프레임부(10)와 상기 승강 프레임부(30)는 전면과 후면 및 좌우 측면을 구비한 틀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부(10)의 네 군데 코너부에 상기 승강 작동부(40)가 구비되며, 상기 승강 프레임부(30)의 네 군데 승강 지지 코너부가 상기 승강 작동부(40)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의료용 침대{Medical bed}
본 발명은 거동이 불편한 환자를 위한 의료용 침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스로 몸을 움직이지 못하는 거동이 불편한 환자를 고통 없이 승강부에 의해 부양을 시키되 신체 전체를 부양시켜 줌으로써 시트의 교체가 용이하고 목욕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의료용 침대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의료용 침대는 누워있는 환자의 상체만을 들어올리도록 구성되어, 간병인 등이 환자를 목욕시킬 때에도 불편하고 침대의 시트를 갈아줄 때에도 불편한 등의 문제가 있으나, 본 발명은 기존의 이러한 의료용 침대의 문제를 해결하도록 환자의 상체뿐만 아니라 하체도 위로 부양시킬 수 있어서 기존의 의료용 침대가 가지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의료용 침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환자용 침대는 단순히 환자가 누워 휴식을 취하거나 치료를 받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프레임의 상면에 설치되는 매트리스와, 환자가 매트리스로부터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난간이 설치된 구조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기술에 의한 환자용 침대는 단순히 환자가 누워서 휴식을 취하거나 치료를 받도록 구성되어 있었기 때문에, 몸을 스스로 움직이지 못하는 거동이 불편한 환자를 목욕시킬 경우 시트를 갈아끼우거나 샤워실로 일일이 이동하기에는 여러 명의 간호사 또는 간병인이 침대로부터 환자를 샤워실에 구비된 목욕용 욕조로 옮겨야 하는 불편함이나 또는 간병인 혼자 환자를 이동시에 힘이 부족하여 환자에게 고통을 수반시켜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기술에 의한 환자용 침대는 몸을 스스로 움직이지 못하는 중환자의 대소변을 처리하기 위하여 환자의 하체를 들어올린 후 휴대용 소변기 또는 대변기를 그 하부에 설치하여 대소변을 받아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을 뿐만 아니라, 이 경우에는 환자의 몸을 여러 방향으로 강제 움직이게 함으로써, 환자가 고통스러워하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즉, 종래기술에 의한 환자용 침대는 단순히 누워서 휴식을 취하거나 치료를 받도록 구성되었기 때문에, 스스로 몸을 움직이지 못하는 환자가 목욕을 하기 곤란하였고, 환자로부터 대소변의 처리가 용이하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또한, 종래기술에 의한 환자용 침대는 환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하기 위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가의 장비로 제작되어 제작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그에 대한 유지보수도 용이하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환자의 상체를 위로 부양시켜 시트의 교체가 용이하도록 하고 목욕도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의료용 침대가 개발된 바 있다.
그런데, 상기 의료용 침대는 환자의 상체만 들어올리는 프레임 구조가 구비되어, 환자의 신체 전체를 들어올리지 못함으로 인하여 목욕 등의 작업을 하는데 다소 불편하다는 문제가 있고, 침대 시트를 매트리스 위에서 들어내고자 할 때에도 침대 시트가 매트리스 중간쯤에 있는 프레임의 다리나 프레임을 들어올리는 실린더 등이 걸리게 되므로, 침대 시트를 교체하는데에도 다소 불편한 단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침대는 스스로 몸을 움직이지 못하는 거동이 불편한 환자를 고통 없이 간병인 혼자서도 시트의 교체나 목욕의 실시가 가능하며, 이에 더 나아가서 환자의 신체 전체를 부양시켜주고 환자를 위로 부양시키는 승강 프레임부의 부양 작동부가 침대의 매트리스의 중간에는 배치되지 않고 매트리스의 둘레부 끝에 배치되도록 구성되어 환자를 보다 안전하고 편안하게 부양시키면서도 시트를 교체할 때에도 보다 편리성을 기할 수 있는 새로운 의료용 침대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침대는 베이스 프레임부; 상기 베이스 프레임부에 구비되어 환자가 눕게 되는 매트; 상기 매트 위에서 승강되도록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결합되며 환자가 상기 매트에 누운 상태에서 상기 환자의 신체 전체를 상기 매트 위로 승강되도록 지지하는 승강 프레임부; 상기 승강 프레임부의 코너부에 구비되어 상기 승강 프레임부의 승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승강 작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부와 상기 승강 프레임부는 전면과 후면 및 좌우 측면을 구비한 틀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부의 네 군데 코너부에 상기 승강 작동부가 구비되며, 상기 승강 프레임부의 네 군데 승강 코너부가 상기 승강 작동부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승강 작동부는 실린더로 구성되어, 상기 승강 프레임부에 네 군데 승강 코너부에 네 개의 실린더의 피스톤 로드가 각각 연결되며, 상기 실린더의 상기 피스톤 로드의 승강에 따라 상기 승강 프레임부가 상기 베이스 프레임 위쪽에서 승강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스로 몸을 움직이지 못하는 거동이 불편한 환자의 신체 전체를 고통 없이 승강 작동부와 승강 프레임부에 의해 부양시킬 수 있으므로, 환자가 눕게 되는 매트 위의 침대 시트를 갈아주거나 침대 시트 매트 위에 설치할 때에 신속하고 편리하다. 즉, 본 발명에서는 환자의 상체만 부양하였던 기존과 달리, 승강 프레임부의 사이즈를 환자의 신체 전체의 사이즈와 동일하게 하거나 더 크게 구성하고, 복수개의 실린더를 승강 프레임부의 코너부에 연결함으로써 환자의 신체 전체를 부양시킬 수 있으며, 위로 부양된 환자의 아래와 매트 사이에는 중간에 걸리는 부분이 생기지 않게 되어서, 침대 시트를 승강 프레임부 아래에서 집어넣어서 매트 위에 깔아주거나 매트 위에 깔린 침대 시트를 들어낼 때에 침대 시트가 걸리지 경우가 없게 되므로, 침대 시트를 매트 위에 깔아주거나 매트 위에서 들어낼 때에 기존에 비하여 매우 편리하고 침대 시트를 교체시나 깔아줄 때에 번거로움이 해소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효과 이외에 여러 가지 효과가 있으며, 상기의 효과는 본 발명의 주요 효과 중의 하나라는 점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도 1 내지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침대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과 특징 및 장점은 첨부도면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더욱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면에서 동일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사용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침대는 베이스 프레임부(10), 매트(20), 승강 프레임부(30), 승강 작동부(40)를 포함한다. 상기 승강 작동부(40)의 구동 제어를 위한 컨트롤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부(10)는 매트 프레임(12)과 헤드부 프레임(14)과 풋트부 프레임(16)을 포함한다. 바퀴(18)도 베이스 프레임부(10)에 포함될 수 있다. 헤드부 프레임(14)과 풋트부 프레임(16)의 하단부에 구비된 바퀴(18)가 베이스 프레임부(10)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매트 프레임(12)은 내부에 상면으로 개방된 오목한 홈 형태의 매트 수용홈을 구비한 판형상으로 구성된다. 매트 프레임(12)은 사각판 형상이며, 이러한 매트 프레임(12)에 상기 매트 수용홈이 구비된다. 매트 수용홈은 직사각형 홈 구조이다.
상기 헤드부 프레임(14)는 지면과 수직으로 배치되며, 승강프레임(310)의 일단이 삽입되어 승강 가능하도록 수직길이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장홈(113)이 천공 형성된다. 장홈은 헤드부 프레임(14)의 좌우 양쪽에 인접한 전면에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되어 있다.
상기 풋트부 프레임(16)은 헤드부 프레임(14)과 수평 길이방향으로 소정거리 이웃하게 구비되며, 지면에 수직 배치된 헤드부 프레임(14)의 안쪽면과 풋트부 프레임(16)의 안쪽면이 서로 마주하게 된다. 이때, 헤드부 프레임(14)과 풋트부 프레임(16)의 서로 마주보는 안쪽면에는 각각 판 형상의 플레이트가 구비되어 환자가 목욕시에 매트(20)에 발생하는 폐수가 외부로 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매트 프레임(12)은 서로 마주보도록 구비되는 헤드부 프레임(14)과 풋트부 프레임(16)의 서로 마주보는 안쪽면과 이어지도록 구비되어 폐수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헤드부 프레임(14)과 풋트부 프레임(16)의 하단부에 바퀴(18)가 구비될 수 있다. 헤드부 프레임(14) 및 풋트부 프레임(16)의 하부 또는 베이스 프레임(131) 하부에 다수개 구비되어 상기 베이스 프레임부(10)가 지면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때 바퀴(18)는 회전 및 고정가능한 바퀴(18)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매트 프레임(12)에 구비된 매트 수용홈에 매트(20)가 안착된다. 상기 매트(20)는 상술한 매트 프레임(12)의 매트(20) 수용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환자가 누울 수 있는 것은 물론, 승강 작동부(40)에 의해 환자가 부양된 상태에서 목욕시에 폐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배수로 및 배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트(20)는 전체적으로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며, 환자가 편안함을 가질 수 있도록 솜이나 스프링 등의 탄력재질로 구성된다. 이때, 매트(20)에는 배수로가 구비되고, 배수로에는 배출구가 구비되어, 배수로로 이동하는 폐수가 배출구를 통해 용이하게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매트 프레임(12)의 바텀부에 상기 매트(20)의 배출구와 연통된 물배출홀이 구비되어, 매트(20)의 배수로를 이동하는 페수가 매트(20)의 배출구와 매트 프레임(12)의 물배출홀을 통해 베이스 프레임부(1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베이스 프레임부(10)의 구성인 매트 프레임(12)의 매트 수용홈의 바텀부 상면에서 저면으로 물배출홀이 연통되어, 폐수가 매트 프레임(12)의 아래로 빠지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매트(20)는 외피가 감싼다. 외피는 방수 가능하고, 외피 내부에는 환자가 편안함을 가질 수 있도록 솜이나 스프링 등의 탄력재질의 매트(20)가 내장된다. 한편, 상기 매트(20)의 배수로는 상기 배출구 방향으로 하향되게 소정각도의 경사각을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우, 매트(20)의 배수로를 이동하는 폐수가 자연스럽게 배출구 쪽으로 흘러서 매트 프레임(12)의 물배출홀을 통해 매트 프레임(12) 외부로 배출된다. 즉, 매트(20)의 배출구는 매트(20)의 둘레부 안쪽 영역에 연속되어 이어지도록 형성되어, 배수로를 통해 이동하는 폐수를 배출홀과 매트 프레임(12)의 물배출홀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이때, 매트 프레임(12)의 물배출홀 아부에는 외부로 배출되는 폐수를 수용할 수 있는 물받이함(미도시)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승강 프레임부(30)는 매트(20) 위에서 승강되도록 베이스 프레임에 결합된다. 승강 프레임부(30)는 환자가 매트(20)에 누운 상태에서 환자의 신체 전체를 매트(20) 위로 승강되도록 지지한다. 즉, 승강 프레임부(30)는 베이스 프레임부(10)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베이스 프레임부(10)와 매트(20)는 제위치에 고정된 상태에서 매트(20)에 누워있는 환자의 신체 전체를 부양시켜 목욕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승강 프레임부(30)는 로워 승강 프레임부(32)와 어퍼 승강 프레임부(34) 및 서포트 밴드(36)를 포함한다.
상기 로워 승강 프레임부(32)는 틀 형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부(10)의 매트 프레임(12)이 직사각판 형상으로 구성되므로, 상기 로워 승강 프레임부(32)는 베이스 프레임부(10)의 매트 프레임(12)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사각틀 형상으로 구성된다. 상하 좌우 로워 프레임 바아(24)가 사각틀 형태로 연결되어 로워 승강 프레임부(32)를 형성한다. 로워 승강 프레임부(32)의 상단부와 하단부에는 결합편이 구비된다. 결합편은 로워 승강 프레임부(32)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각각 두 개씩 구비된다. 로워 승강 프레임부(32)의 상단부에 구비된 결합편은 헤드부 프레임(14)에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장공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고, 로워 승강 프레임부(32)의 하단부에 결합편은 풋트부 프레임(16)에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장공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다. 풋트부 프레임(16)의 측면에 배치되도록 로워 승강 프레임부(32)의 하단부에 결합편이 구비될 수도 있다. 물론, 로워 승강 프레임부(32)의 좌우 로워 프레임 바아(24) 자체의 상단부와 하단부가 헤드부 프레임(14)의 상하 방향 장공과 풋트부 프레임(16)의 상하 방향 장공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어퍼 승강 프레임부(34)는 로워 승강 프레임부(32) 위에 구비된다. 이때, 어퍼 승강 프레임부(34)는 중간의 힌지부를 매개로 연결된 제1어퍼 승강 프레임부(34A)와 제2어퍼 승강 프레임부(34B)로 구성된다.
상기 제1어퍼 승강 프레임부(34A)는 상기 헤드부 프레임(14)에서부터 풋트부 프레임(16) 쪽으로 연장된 일정 면적의 틀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즉, 제1어퍼 승강 프레임부(34A)는 상단 프레임 바아(24)의 양단부에 좌우 프레임 바아(24)가 연결되고, 좌우 프레임 바아(24)와 상단 프레임 바아(24)의 안쪽면에는 받침 프레임이 구비된다. 제1어퍼 승강 프레임부(34A)는 매트 프레임(12)의 상하단부 사이의 면적의 반에 대항하는 반절 승강 프레임부(30)라 할 수 있다. 상기 받침 프레임은 상기 좌우 프레임 바아(24)의 안쪽면에 양단부가 연결된 보강 받침 프레임 바아(34SB)와, 상기 제1어퍼 승강 프레임부(34A)의 상단 프레임 바아(24)와 보강 받침 프레임 바아(34SB) 사이에 연결된 복수개의 받침 프레임 바아(34SF)로 구성된다. 상기 받침 프레임 위에 환자의 머리를 아래에서 받쳐주는 베개를 올려놓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어퍼 승강 프레임부(34A)의 상단부에는 손잡이(34HB)가 구비된다. 제1어퍼 승강 프레임부(34A)를 구성하는 상단 보강 받침 프레임 바아(34SB)에 손잡이(34HB)가 구비된다. 상기 제1어퍼 승강 프레임부(34A)는 로워 승강 프레임부(32)의 위에 얹혀진다.
상기 제2어퍼 승강 프레임부(34B)는 상기 제1어퍼 승강 프레임부(34A)의 하단부에서 풋트부 프레임(16) 쪽으로 연장된 일정 면적의 틀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즉, 제2어퍼 승강 프레임부(34B)는 좌우 프레임 바아의 상단부가 상기 중간의 힌지부에 의해 제1어퍼 승강 프레임부(34A)의 좌우 프레임 바아의 하단부에 연결된다. 상기 제1어퍼 승강 프레임부(34A)는 매트 프레임(12)의 상하단부 사이의 면적의 한쪽 반에 대항하는 반절 승강 프레임부라 할 수 있고, 제2어퍼 승강 프레임부(34B)는 매트 프레임(12)의 상하단부 사이의 면적의 나머지 반에 대항하는 반절 승강 프레임부라 할 수 있다. 상기 제2어퍼 승강 프레임부(34B)는 로워 승강 프레임부(32)에 고정된다. 제2어퍼 승강 프레임부(34B)가 로워 볼트 등의 체결구나 용접 등에 의해 로워 승강 프레임부(32)의 위에 고정된다. 즉, 제2어퍼 승강 프레임부(34B)의 좌우 프레임 바아(24)가 볼트 등의 체결구나 용접 등에 의해 로워 승강 프레임부(32)의 위에 고정된다. 반면, 상기 제1어퍼 승강 프레임부(34A)는 로워 승강 프레임부(32) 위에 얹혀져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중간의 힌지부를 기준으로 로워 승강 프레임부(32)의 위로 회동될 수 있다.
상기 서포트 밴드(36)는 어퍼 승강 프레임부(34)에 구비되어 환자의 신체를 아래에서 받쳐주기 위한 것이다. 어퍼 승강 프레임부(34)의 구성인 좌우 어퍼 프레임 바아(24)에 서포트 밴드(36)의 양단부가 연결된다. 어퍼 승강 프레임부(34)의 상단부와 하단부 사이의 길이 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폭 방향으로 서포트 밴드(36)가 배치된다. 복수개의 서포트 밴드(36)가 어퍼 승강 프레임부(34)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구비된다. 상기 서포트 밴드(36)는 환자의 상체를 아래에서 받쳐주는 상체용 서포트 밴드(36)와, 환자의 하체를 아래에서 받쳐주는 하체용 서포트 밴드(36)를 포함한다. 상기 제1어퍼 승강 프레임부(34A)에 연결된 서포트 밴드(36)가 상체용 서포트 밴드(36)이고, 제2어프 승강 프레임부(30)에 연결된 서포트 밴드(36)가 하체용 서포트 밴드(36)이다. 이때, 상기 서포트 밴드(36)는 전후 방향의 폭이 있는 섬유 밴드로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섬유 밴드 이외에 탄력 고무와 같이 환자의 신체를 아래에서 편안하게 받쳐줄 수 있는 재질은 모두 서포트 밴드(36)로 채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승강 프레임부(30)의 구성인 로워 승강 프레임부(32)는 매트 프레임(12)의 상부에 위치하되 후술할 실린더에 의해 최하단으로 하강시에 매트(20)에 간섭되지 않도록 매트(20)의 사이즈보다 더 큰 사이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승강 프레임부(30)의 코너부에는 승강 작동부(40)가 구비되어, 상기 승강 작동부(40)의 구동에 따라 승강 프레임부(30)의 승강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부(10)와 승강 프레임부(30)가 전면과 후면 및 좌우 측면을 구비한 틀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부(10)의 네 군데 코너부에 각각 승강 작동부(40)가 구비되며, 상기 승강 프레임부(30)의 네 군데 승강 지지 코너부가 승강 작동부(40)에 연결된다. 즉, 상기 베이스 프레임부(10)의 구성인 로워 승강 프레임부(32)의 네 군데 승강 지지 코너부가 상기 헤드부 프레임(14)과 풋트부 프레임(16)에 내장되어 있는 네 개의 승강 작동부(40)에 각각 연결된다.
이때, 상기 승강 작동부(40)는 실린더로 구성되어, 상기 승강 프레임부(30)의 네 군데 승강 지지 코너부에 네 개의 실린더의 피스톤 로드가 각각 연결되며, 상기 실린더의 피스톤 로드의 승강에 따라 승강 프레임부(30)가 베이스 프레임부(10) 위쪽에서 승강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제1어퍼 승강 프레임부(34A)와 로워 승강 프레임부(32) 사이에 상향 회동 지지체(50)가 연결되어, 상기 제1어퍼 승강 프레임부(34A)가 힌지부를 기준으로 상향 회동된 상태를 상향 회동 지지체(50)에 의해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상향 회동 지지체(50)는 제1어퍼 승강 프레임부(34A)와 로워 승강 프레임부(32) 사이에 연결된 실린더로 구성된다. 상기 실린더의 하단부는 힌지부에 의해 로워 승강 프레임부(32)에 연결되고, 실린더의 피스톤 로드는 제1어퍼 승강 프레임부(34A)에 연결된다. 실린더의 피스톤 로드는 제1어퍼 승강 프레임부(34A)의 상단 프레임 바아(24)에 연결된다. 상기 실린더는 제1어퍼 승강 프레임부(34A)가 로워 승강 프레임부(32) 위로 접혀졌을 때에 제1어퍼 승강 프레임부(34A)와 나란한 방향으로 배열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컨트롤부는 승강 프레임의 승강을 위한 승강 작동부(40)인 실린더와 제1어퍼 승강 프레임부(34A)의 회동 작동을 위한 상향 회동 지지체(50)인 실린더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승강 프레임용 실린더 컨트롤부와 제1어퍼 승강 프레임부(34A) 회동용 실린더 컨트롤부로 구성된다. 상기 승강 프레임용 실린더 컨트롤부와 제1어퍼 승강 프레임부(34A) 회동용 실린더 컨트롤부는 미도시된 압축기와 스위치, 미도시된 체크밸브와 조절밸브 및 연결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승강 프레임용 실린더 컨트롤부와 제1어퍼 승강 프레임부(34A) 회동용 실린더 컨트롤부의 구성과 작동은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상기 승강 프레임용 실린더 컨트롤부와 제1어퍼 승강 프레임부(34A) 회동용 실린더 컨트롤부를 통틀어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압축기는 콤프레서로 구성될 수 있다. 압축기는 베이스 프레임의 내부 또는 베이스 프레임의 외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공압을 스위치에 의해 실린더로 제공하여 승강 프레임(30)을 승강시킨다.
또한, 스위치는 베이스 프레임부(10)의 헤드부 프레임(14)에 고정되며, 압축기와 실린더 사이에 구비되어 압축기를 통해 실린더로 제공되는 공압을 온/오프(ON/OFF) 작동시킨다. 이때, 스위치는 양방향으로 회동 가능한 레버(LB)를 포함하며, 상기 레버(LB)는 승강 작동부(40) 구동용 레버(LB)와 상향 회동 지지체(50) 구동용 레버(LB)로 구성된다. 상기 승강 작동부(40) 구동용 레버(LB)를 시계방향으로 회동시에 압축기의 공압이 승강 프레임부(30)용 실린더에 제공되어 승강 프레임부(30)을 상승시키고, 상기 레버(LB)가 반 시계방향으로 회동시에는 압축기의 공압이 승강 프레임부(30)용 실린더에서 배출되어 승강 프레임부(30)가 하강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상향 회동 지지체(50) 구동용 레버(LB)를 시계방향으로 회동시에 압축기의 공압이 상향 회동 지지체(50)용 실린더에 제공되어 승강 프레임부(30)를 구성하는 제1어퍼 승강 프레임부(34A)를 제2어퍼 승강 프레임부(34B)와 연결된 힌지부를 기준으로 상향 회동시키고, 상기 레버(LB)가 반 시계방향으로 회동시에는 압축기의 공압이 상향 회동 지지체(50)용 실린더에서 배출되어 제1어퍼 승강 프레임부(34A)가 상기 제2어퍼 승강 프레임부(34B)에 연결된 힌지부를 기준으로 하강하도록 한다.
상기 연결관은 탄력적인 고무 또는 합성수지재질의 것을 사용하며, 압축기, 스위치 및 실린더 간의 사이에 연결되며, 공압이 연결관 내부를 통하여 이동가능하도록 관 형상으로 형성된다. 연결관은 스위치와 각각의 실린더에 연결되어 압축기의 공압이 입/출입할 수 있도록 복수의 연결관이 결합하거나 또는 공압이 하나의 연결관을 통해 입/출입할 수 있도록 결합한다.
또한, 체크밸브는 압축기를 통해 실린더에 제공되는 공압이 역으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체크밸브는 상술한 연결관이 복수로 결합하는 경우에는 공압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연결관 중 어느 하나에 결합하거나 또는 스위치와 압축기 사이의 연결관에 구비된다.
아울러, 체크밸브는 스위치 또는 압축기 내부에 구비되어 공압이 역으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조절밸브는 연결관 또는 스위치에 구비되어 압축기를 통해 실린더로 제공되는 공압의 양을 조절하여 상기 실린더의 승강 속도를 조절한다.
상기 제1어퍼 승강 프레임부(34A)와 로워 승강 프레임부(32) 사이에는 서포트 스프링(60)이 개재된다. 서포트 스프링(60)은 코일부의 양단부에 각각 한 쌍의 탄성 스프링 바아(24)가 연장된 토션 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서포트 스프링(60)은 제1어프 승강 프레임부(30)와 로워 승강 프레임부(32) 사이에 좌우 양쪽 방향으로 적어도 두 개 이상 나란하게 배치된다.
또한, 상기 제1어퍼 승강 프레임부(34A)와 로워 승강 프레임부(32) 사이에는 보조 회동 지지체가 연결될 수 있다. 보조 회동 지지체의 상단부는 제1어퍼 승강 프레임부(34A)에 힌지부를 매개로 연결되고, 상기 로워 승강 프레임부(32)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거치 지지홈이 구비되어, 상기 제1어퍼 승강 프레임부(34A)가 제2어퍼 승강 프레임부(34B)와 연결된 힌지부를 기준으로 상향 회동된 상태에서 보조 회동 지지체가 힌지부를 기준으로 펼쳐져서 거치 지지홈에 보조 회동 지지체의 하단부가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1어퍼 승강 프레임부(34A)의 상향 회동 각도에 따라 보조 회동 지지체의 하단부를 복수개의 거치 지지홈 중에서 적당한 거치 지지홈을 선택하여 결합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보조 회동 지지체가 제1어퍼 승강 프레임부(34A)가 상향 회동된 상태에서 지지하는 각도가 달라질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베이스 프레임부(10)에 수용(정확하게는, 매트 프레임(12)의 매트(20) 수용부에 수용)된 매트(20) 위를 덮어주는 침대 시트(22)를 더 포함하고, 상기 침대 시트(22)는 상체용 침대 시트(22)와 하체용 침대 시트(22)로 분할되고, 상기 상체용 침대 시트(22)와 하체용 침대 시트(22)의 상단부와 하단부에는 각각 바아 삽입부(22A)가 구비되고, 상기 바아 삽입부(22A)에는 바아(24)가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상체용 침대 시트(22)와 하체용 침대 시트(22)를 각각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 매트(20) 위에 상체용 침대 시트(22)와 하체용 침대 시트(22)를 깔아주도록 구성된다. 다시 말해, 상기 상체용 침대 시트(22)의 상단부와 하단부의 상기 바아 삽입부(22A)에 삽입된 각각의 상단 바아(24)와 하단 바아(24)를 사용자가 파지하여 상체용 침대 시트(22)를 펼친 상태에서 상체용 침대 시트(22)를 베이스 프레임부(10)에 수용된 매트(20)의 위를 덮어주도록 깔아주고, 상기 하체용 침대 시트(22)의 상단부와 하단부의 바아 삽입부(22A)에 삽입된 각각의 상단 바아(24)와 하단 바아(24)를 사용자가 파지하여 하체용 침대 시트(22)를 펼친 상태에서 하체용 침대 시트(22)도 베이스 프레임부(10)에 수용된 매트(20)의 위를 덮어주도록 깔아준다. 상체용 침대 시트(22)를 매트(20)에서 환자의 상체가 얹혀지는 상체지지 매트(20) 위를 깔아주도록 덮어주고, 하체용 침대 시트(22)를 매트(20)에서 환자의 하체가 얹혀지는 하체지지 매트(20) 위를 깔아주도록 덮어줄 수 있다.
한편, 상기 베이스 프레임부(10)에는 바아(24)를 거치하기 위한 바아 거치부가 더 구비된다. 바아 거치부는 베이스 프레임부(10)에서 헤드부 프레임(14)에 폭방향으로 연장된 바아 삽입관을 구비하여, 상기 바아 삽입관이 바아 거치부가 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는 헤드부 프레임(14)에 바아(24) 거치 행거를 구비하여, 바아(24) 거치 행거를 바아 거치부로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상체지지 매트(20)와 하체지지 매트(20)의 바아 삽입부(22A)에 끼워져서 사용되었던 바아(24)를 끼워 넣어서 상기 바아(24)를 보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바아 삽입관의 한쪽 단부는 막아주고 다른 쪽 단부는 개방하되, 바아 삽입관의 길이가 상기 바아(24)의 길이보다 짧게 하여, 바아 삽입관에 바아(24)를 삽입할 때에 바아(24)의 일부가 바아 삽입관 외부로 항시 나와 있도록 하면, 바아(24)를 사용하기 위해 꺼낼 때 편하다.
또한, 상기 바아(24) 거치 행거에 상기 바아(24)를 걸어주면 바아(24)를 걸어놓았다가 필요시 바아(24)를 꺼내서 쓸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베이스 프레임부(10)의 헤드부 프레임(14)에 기단부가 힌지부를 매개로 연결된 한 쌍의 앵글 서포트 바아(72)와, 상기 한 쌍의 앵글 서포트 바아(72)에 힌지부를 매개로 양단부가 연결된 앵글 연결 서포트 바아(74)와, 상기 앵글 서포트 바아(72)와 앵글 연결 서포트 바아(74)가 힌지부를 기준으로 접혀진 상태에서 수용되도록 상기 헤드부 프레임(14)에 구비된 수납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한 쌍의 앵글 서포트 바아(72)의 기단부가 베이스 프레임부(10)의 헤드부 프레임(14) 안쪽면에 형성된 오목한 수납부에 힌지부를 매개로 연결된다. 또한, 상기 수납부에는 어느 한쪽 앵글 서포트 바아(72)의 일측면과 맞닿게 되는 스톱퍼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한쪽 앵글 서포트 바아(72)의 선단부에는 레버(LB)가 구비된다.
상기 앵글 연결 서포트 바아(74)의 양단부는 힌지부에 의해 좌우 양쪽 한 쌍의 앵글 서포트 바아(72)에 연결된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부(10)의 헤드부 프레임(14) 위에서 볼 때에 상기 힌지부를 기준으로 한 쌍의 앵글 서포트 바아(72)가 베이스 프레임부(10)의 매트 프레임(12)의 길이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펼쳐진 상태에서 한쪽의 앵글 서포트 바아(72)의 일측면이 스톱퍼에 접촉되므로, 한 쌍의 앵글 서포트 바아(72)가 베이스 프레임부(10)의 매트 프레임(12)의 길이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펼쳐진 상태로 유지되며, 상기 앵글 연결 서포트 바아(74)는 한 쌍의 앵글 서포트 바아(72)와는 직교하는 폭 방향으로 배치된다.
한편, 상기 한 쌍의 앵글 서포트 바아(72)와 앵글 연결 서포트 바아(74)는 상기 힌지부들에 의해 일자형 바아(24) 형태로 접혀진 상태(접이식 자처럼 일자형으로 접혀진 상태)에서 상기 헤드부 프레임(14) 안쪽면의 수납부에 들어가게 된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한 의료용 침대는 베이스 프레임부(10)에 안착하는 매트(20)에 의해 거동이 불편한 환자가 누워서 쉴 수 있도록 통상의 침대 역할을 함과 동시에 환자가 사용한 시트의 교체, 대소변의 처리 및 목욕(또는 머리 감기)시에는 스위치를 시계방향 또는 반 시계방향으로 작동시켜 압축기의 공압을 연결관을 통해 다수의 실린더로 각각 제공하여 상기 베이스 프레임부(10)와 매트(20)가 고정된 상태에서도 간편하게 승강 프레임부(30)을 승강시키게 된다.
따라서, 승강하는 승강 프레임부(30)에 결합된 서포트 밴드(36)가 동시에 승강하여 환자의 상체를 공중으로 부양하도록 하여 목욕의 실시가 용이하게 되고, 매트(20)에 형성된 배수로와 매트(20)에 천공된 배출구 및 베이스 프레임부(10)의 매트 프레임(12)에 형성된 물배출홀을 통해 목욕 후에 발생하는 폐수가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환자의 상체만 부양하였던 기존과 달리, 승강 프레임부(30)의 사이즈를 환자의 신체 전체의 사이즈와 동일하게 하거나 더 크게 구성하고, 복수개의 실린더를 승강 프레임부(30)의 코너부에 연결함으로써 환자의 신체 전체를 부양시킬 수 있으며, 위로 부양된 환자의 아래와 매트(20) 사이에는 중간에 걸리는 부분이 생기지 않게 되어서, 침대 시트(22)를 승강 프레임부(30) 아래에서 집어넣어서 매트(20) 위에 깔아주거나 매트(20) 위에 깔린 침대 시트(22)를 들어낼 때에 침대 시트(22)가 걸리지 경우가 없게 되므로, 침대 시트(22)를 매트(20) 위에 깔아주거나 매트(20) 위에서 들어낼 때에 기존에 비하여 매우 편리하고 침대 시트(22)를 교체시나 깔아줄 때에 번거로움이 해소될 수 있다.
또한, 승강 프레임과 서포트 밴드(36)가 환자의 신체 전체를 아래에서 받쳐준 상태에서 환자의 신체 전체를 부양시킬 수 있으므로, 환자를 부양시킬 때에 환자를 보다 편안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상체용 침대 시트(22)에 한 쌍의 바아(24)를 끼워서 상체용 침대 시트(22)를 펼친 상태에서 부양된 승강 프레임의 아래에서 매트(20) 위쪽으로 집어 넣은 다음, 상체용 침대 시트(22)를 매트(20) 위에 깔아주고, 하체용 침대 시트(22)에도 한 쌍의 바아(24)를 끼워서 하체용 침대 시트(22)를 펼친 상태에서 승강 프레임의 아래에서 매트(20) 위쪽으로 집어 넣은 다음, 하체용 침대 시트(22)를 매트(20) 위에 깔아주면 되므로, 침대 시트(22)를 매트(20)에 깔아줄 때에 보다 편리하고 신속하다. 상체용 침대 시트(22)와 하체용 침대 시트(22)를 양쪽의 바아(24)를 잡고 먼저 잘 펼친 상태에서 매트(20) 위에 깔아주면 되는 것이어서, 침대 시트(22)를 매트(20) 위에 깔고나서 다시 침대 시트(22)를 고르게 펼쳐주는 작업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기존에 비하여 대 시트를 매트(20)에 깔아줄 때에 보다 편리하고 신속한 효과를 가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 상체용 침대 시트(22)와 하체용 침대 시트(22)를 나누어서 매트(20) 위에 깔아주므로, 침대 시트(22)를 깔아줄 때에 보다 편리하다. 사람이 양손을 벌릴 수 있는 만큼의 사이즈로 된 상체용 침대 시트(22)와 하체용 침대 시트(22)를 따로따로 매트(20) 위에 깔아주므로, 침대 시트(22)를 깔아줄 때에 실제로 사람이 더욱더 편리함을 느끼게 된다. 상체용 침대 시트(22)와 하체용 침대 시트(22)를 매트(20)에서 따로따로 들어낼 수 있으므로, 침대 시트(22)를 매트(20)로부터 빼낼 때에도 보다 편리함을 느낄 수 있다.
또한, 상기 상체용 침대 시트(22)와 하체용 침대 시트(22)를 팽팽하게 펼치도록 사용된 바아(24)는 베이스 프레임부(10)에 구비된 상기 바아 거치부에 넣어서 보관하면 되므로, 바아(24)의 분실 등을 방지하고 바아(24)를 찾아서 다시 쓸 때에도 편리하다.
또한, 상기 제1어퍼 승강 프레임부(34A)가 매트 프레임(12)과 나란한 수평 방향으로 눕혀져 있으면, 초기에 실린더의 피스톤 로드를 펼쳐주는데 있어서 곤란한 경우가 발생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제1어퍼 승강 프레임부(34A)에 구비된 손잡이(34HB)를 사람이 손으로 잡고 제1어퍼 승강 프레임부(34A)를 힌지부를 기준으로 약간 위로 들어주면, 실린더의 피스톤 로드가 초기에 실린더에서 공압에 의해 원활하게 전진하고, 이후에 사람이 손잡이(34HB)를 놓더라도 실린더에 공급되는 공압이 제1어퍼 승강 프레임부(34A)와 환자의 상체 체중을 이길 수 있는 충분한 압력으로 실린더의 피스톤 로드를 전진시키므로, 제1어퍼 승강 프레임부(34A)의 상향 회동에 의해 환자의 상체를 일으켜 세우는데 있어서 원활한 기능을 발휘하게 된다.
또한, 상기 헤드부 프레임(14)에는 적어도 한 쌍의 앵글 서포트 바아(72)와, 이 앵글 서포트 바아(72)에 양단부가 힌지부를 통해 연결된 앵글 연결 서포트 바아(74)가 구비되고, 상기 제1어퍼 승강 프레임부(34A)과 로워 승강 프레임부(32) 사이에는 서포트 스프링(60)이 개재되어, 상기 앵글 서포트 바아(72)와 앵글 연결 서포트 바아(74)는 제1어퍼 승강 프레임부(34A)이 로워 프레임에서 위로 회동된 상태에서 헤드부 프레임(14)에서 인출되어 제1어퍼 승강 프레임부(34A)을 아래에서 받쳐줄 수 있고, 상기 제1어퍼 승강 프레임부(34A)이 로워 승강 프레임부(32) 위로 상향 회동된 상태에서 다시 로워 승강 프레임부(32) 위로 접혀지도록 하향 회동되는 도중에 갑자기 급속도로 제1어퍼 승강 프레임부(34A)이 내려와서 로워 승강 프레임부(32)에 부딪히는 경우는 서포트 스프링(60)이 방지하므로, 환자에게 충격이 가는 경우를 방지하게 된다.
상기 제1어퍼 승강 프레임부(34A)이 환자의 상체를 일으켜 세워서 받쳐준 상태에서는 앵글 서포트 바아(72)와 앵글 연결 서포트 바아(74)를 헤드부 프레임(14)에 구비된 수납부로부터 바깥으로 회동시켜서 제1어퍼 승강 프레임부(34A)의 아래에 배치되도록 한다. 적어도 한 쌍의 상기 앵글 서포트 바아(72)와 앵글 연결 서포트 바아(74)를 헤드부 프레임(14)에서 바깥으로 당겨주면, 앵글 서포트 바아(72)와 앵글 연결 서포트 바아(74)가 상기 헤드부 프레임(14)과 연결된 힌지부들을 기준으로 헤드부 프레임(14)에서 바깥으로 회동되어 나오게 된다. 헤드부 프레임(14)의 수납부에서 앵글 서포트 바아(72)와 앵글 연결 서포트 바아(74)가 바깥으로 회동되어 나온다. 상기 앵글 서포트 바아(72)와 앵글 연결 서포트 바아(74)를 헤드부 프레임(14)에서 바깥으로 회동시켜서 제1어퍼 승강 프레임부(34A)의 아래에 배치되도록 하면, 상기 헤드부 프레임(14)의 위에서 볼 때에 한 쌍의 앵글 서포트 바아(72)는 상기 로워 승강 프레임부(32)의 길이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앵글 연결 서포트 바아(74)는 한 쌍의 앵글 서포트 바아(72)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어퍼 승강 프레임부(34A)가 로워 승강 프레임부(32) 위로 상향 회동된 상태에서 제1어퍼 승강 프레임부(34A)를 다시 로워 승강 프레임부(32) 쪽으로 하향 회동시켜서 환자를 누운 상태로 전환하는데, 상기 제1어퍼 승강 프레임부(34A)이 로워 승강 프레임부(32) 쪽으로 거의 근접하도록 하향 회동된 각도(대략 제1어퍼 승강 프레임부(34A)과 수평 방향의 로워 승강 프레임부(32) 사이가 대략 10°에서 15°정도가 된 각도)에서 제1어퍼 승강 프레임부(34A)이 급속도로 로워 승강 프레임부(32) 쪽으로 하향 회동되어 로워 승강 프레임부(32)에 강하게 충돌할 여지가 있고, 로워 승강 프레임부(32)에 제1어퍼 승강 프레임부(34A)이 강하게 충돌하면 환자에게 충돌시의 충격이 그대로 가해져서 환자의 머리에 충격이 가거나 상체에 충격이 가해지는 것과 같이 좋지 않는 현상이 생긴다.
그런데,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어퍼 승강 프레임부(34A)와 로워 승강 프레임부(32) 사이에는 서포트 스프링(60)이 개재되어 있어서, 상기 제1어퍼 승강 프레임부(34A)이 로워 승강 프레임부(32) 쪽으로 급속하게 하강할 때에도 서포트 스프링(60)이 제1어퍼 승강 프레임부(34A)을 받쳐주게 되므로, 상기 로워 승강 프레임부(32)에 제1어퍼 승강 프레임부(34A)이 너무 강하게 충돌하는 경우를 방지하며, 상기 제1어퍼 승강 프레임부(34A)과 환자의 상체 체중에 의해 제1어퍼 승강 프레임부(34A)과 함께 환자의 상체가 서포트 스프링(60)의 힘을 이기고 서서히 내려갈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제1어퍼 승강 프레임부(34A)가 상향 회동되어 있을 때에 상기 앵글 서포트 바아(72)와 앵글 연결 서포트 바아(74)를 헤드부 프레임(14)에서 회동 인출시켜서 제1어퍼 승강 프레임부(34A)을 아래에서 받쳐줄 수 있는 상태로 전환한 다음, 상기 제1어퍼 승강 프레임부(34A)을 로워 승강 프레임부(32) 쪽으로 다시 서서히 내려준다. 즉, 제1어퍼 승강 프레임부(34A)을 로워 승강 프레임부(32) 쪽으로 하향 회동시킨다.
이때, 상기 앵글 서포트 바아(72)와 앵글 연결 서포트 바아(74)를 제1어퍼 승강 프레임부(34A)의 아래로 미리 인출한 상태에서는 상기 제1어퍼 승강 프레임부(34A)이 로워 승강 프레임부(32) 쪽으로 하강할 때에 앵글 서포트 바아(72)와 앵글 연결 서포트 바아(74)가 제1어퍼 승강 프레임부(34A)을 받쳐주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앵글 서포트 바아(72)와 앵글 연결 서포트 바아(74)에 제1어퍼 승강 프레임부(34A)이 받쳐진 상태에서는 제1어퍼 승강 프레임부(34A)의 각도가 환자가 약을 먹기에 좋은 각도(대략 30°에서 35° 정도의 각도)로 유지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환자에게 약을 잘 먹일 수 있게 된다. 환자가 약을 편하게 먹을 수 있도록 환자의 상체를 적당한 각도로 제1어퍼 승강 프레임부(34A)이 받쳐주도록 지지하는 것이 상기 앵글 서포트 바아(72)와 앵글 연결 서포트 바아(74)이다. 한편, 상기 앵글 서포트 바아(72)와 앵글 연결 서포트 바아(74)에 제1어퍼 승강 프레임부(34A)이 받쳐진 상태에서는 환자를 돌보는 보호자 등이 제1어퍼 승강 프레임부(34A)에 구비된 손잡이(34HB)를 손을 잡고 제1어퍼 승강 프레임부(34A)을 앵글 서포트 바아(72)와 완충 연결 프레임 위로 살짝 들어올린 다음, 상기 앵글 서포트 바아(72)와 완충 연결 프레임을 헤드부 프레임(14) 쪽으로 다시 접혀지도록 수납(즉, 헤드부 프레임(14)에 구비된 수납부에 수납)한 다음, 상기 제1어퍼 승강 프레임부(34A)을 로워 승강 프레임부(32) 위에 얹혀지도록 서서히 하향 회동시켜 준다. 앵글 서포트 바아(72)와 앵글 연결 서포트 바아(74)가 앵글 서포터(70)를 구성하는데, 이러한 앵글 서포터(70) 위에 제1어퍼 승강 프레임부(34A)이 받쳐져서 환자가 먹기 좋은 각도로 환자의 상체를 제1어퍼 승강 프레임부(34A)이 받쳐주게 된다. 즉, 제1어퍼 승강 프레임부(34A)이 로워 승강 프레임부(32)에서 위로 올라온 각도를 환자가 약을 먹기 좋은 각도로 유지하도록 앵글 서포터(70)가 제1어퍼 승강 프레임부(34A)을 아래에서 받쳐주고, 제1어퍼 승강 프레임부(34A)은 환자의 상체를 아래에서 받쳐줌으로써 환자가 약을 먹을 때에 목에 걸리지 않고 잘 넘어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앵글 서포터(70)가 제1어퍼 승강 프레임부(34A)을 아래에서 받쳐주고 있어서, 환자가 비교적 장시간 동안 상체를 세우고 있을 때에 제1어퍼 승강 프레임부(34A)이 환자의 상체 체중에 의해 아래로 하강하는 경우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헤드부 프레임(14)에는 스톱퍼가 구비되어, 상기 한 쌍의 앵글 서포트 바아(72)가 헤드부 프레임(14)에서 펼쳐져서 인출된 상태에서는 스톱퍼가 적어도 한쪽의 앵글 서포트 바아(72)의 옆을 받쳐주므로, 한 쌍의 앵글 서포트 바아(72)가 헤드부 프레임(14)에서 정상적으로 인출되어 펼쳐진 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상기 앵글 서포트 바아(72)의 선단부에는 레버(LB)가 구비되어, 사용자가 레버(LB)를 잡고 앵글 서포트 바아(72)와 앵글 연결 서포트 바아(74)를 상기 힌지부들을 기준으로 헤드부 프레임(14)에서 바깥으로 펼치거나 헤드부 프레임(14) 쪽으로 접어줄 수 있으므로, 앵글 서포트 바아(72)와 앵글 연결 서포트 바아(74)를 헤드부 프레임(14)에서 펼치거나 헤드부 프레임(14) 쪽으로 접어주는 조작이 보다 수월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로워 승강 프레임부(32) 위로 상향 회동되어 있던 제1어퍼 승강 프레임부(34A)이 다시 로워 승강 프레임부(32) 쪽으로 하향 회동되는 도중에 로워 승강 프레임부(32)에 너무 강하게 충돌하는 경우를 상기 서포트 스프링(60)에 의해서 방지하는 효과가 있으며, 이로 인하여 로워 승강 프레임부(32)에 제1어퍼 승강 프레임부(34A)의 충돌로 인해 환자에게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를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환자의 안전한 보호에 있어서 더욱 도움이 되는 것이 서포트 스프링(60)이라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경우, 제1어퍼 승강 프레임부(34A)을 상하 회동시키는 회동 작동 실린더가 제1어퍼 승강 프레임부(34A)이 로워 승강 프레임부(32) 위로 상향 회동된 상태에서는 제1어퍼 승강 프레임부(34A)과 교차되는 각도로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제1어퍼 승강 프레임부(34A)의 로워 승강 프레임부(32)에서 상향 회동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회동 작동 실린더에 공급되는 공압이 상기한 실시예의 경우보다 더 낮아도 되므로, 실린더 용량을 더 낮출 수 있다. 상기 회동 작동 실린더 용량을 더 낮출 수 있다는 것은 상기 압축기 등의 용량을 더 낮출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처럼 용량이 더 낮아지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제1어퍼 승강 프레임부(34A)을 상하 회동시키는 회동 작동 실린더를 볼스크류와 볼스크류 너트로 대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힌지부에 의해 제1어퍼 승강 프레임부(34A)에 연결된 볼스크류 브라켓과, 이 볼스크류 브라켓에 공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볼스크류와, 상기 볼스크류에 결합된 볼스크류 너트와, 상기 볼스크류 너트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됨과 동시에 상기 로워 승강 프레임부(32)에 힌지부를 매개로 연결된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에 장착됨과 동시에 로테이션 전달기구에 의해 볼스크류 너트에 모터축이 연결되어 상기 모터축의 회전에 따라 상기 볼스크류 너트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로테이션 전달기구는 예를 들어 구동모터의 모터축에 동축적으로 연결된 구동기어와, 상기 볼스큐 너트에 동축적으로 결합됨과 동시에 구동기어에 치합된 종동기어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에 구비된 부싱에 볼스크류 너트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부싱에 볼스크류 너트가 베어링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또한, 상기 볼스크류 브라켓에 구비된 부싱에 볼스크류가 공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때에도 볼스크류 브라켓의 부싱과 볼스크류 사이에는 베어링이 개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구동모터의 모터축의 정역회전에 따라 로테이션 전달기구에 의해 상기 볼스크류 너트가 정역회전하고, 볼스크류 너트가 정역회전함에 따라 볼스크류가 볼스크류 너트를 따라 전후진함과 동시에 볼스크류 너트와 볼스크류는 각각 브라켓의 힌지부와 상단부의 힌지부에 의해 회동되므로, 상기 볼스크류가 상단 힌지부를 매개로 연결된 제1어퍼 승강 프레임부(34A)이 로워 승강 프레임부(32)에서 위로 상향 회동되거나 로워 승강 프레임부(32) 쪽으로 하향 회동될 수 있다. 상기 볼스크류 너트가 회전하면, 볼스크류는 회전하면서 볼스크류 너트를 따라 길이 방향으로 전후진하고, 동시에 볼스크류 브라켓은 힌지부를 기준으로 제1어퍼 승강 프레임부(34A)에서 회동하고, 상기 구동모터가 장착되고 볼스크류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상기 브라켓도 힌지부를 기준으로 로워 승강 프레임부(32)에서 회동되므로, 상기 볼스크류가 볼스크류 너트를 따라 회전 및 전후진되면서 동시에 상기 제1어퍼 승강 프레임부(34A)은 제2어퍼 승강 프레임과 연결된 중간 힌지부를 기준으로 상기 로워 승강 프레임부(32) 위로 상향 회동되거나 로워 승강 프레임부(32) 쪽으로 하향 회동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1어퍼 승강 프레임부(34A)을 볼스크류와 볼스크류 너트 및 구동모터에 의해 로워 승강 프레임부(32)에서 상하 회동시키므로, 상기한 회동 작동 실린더에 의해 제1어퍼 승강 프레임부(34A)을 상하 회동시키는 실시예들에 비하여 구동모터의 용량은 훨씬 작게 하면서도 제1어퍼 승강 프레임부(34A)을 상하 회동시키는 힘은 충분히 나올 수 있으며, 실린더의 공압이 세거나 빠져나가서 제1어퍼 승강 프레임부(34A)을 상향 회동시켰을 때에 이를 받쳐주는 기능이 실린더를 사용하는 경우에 비하여 완벽하게 발휘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제1어퍼 승강 프레임부(34A)과 로워 승강 프레임부(32)에 연결된 가림판(80)이 구비된다. 상기 가림판(80)의 상단부는 제1어퍼 승강 프레임부(34A)에 볼트 등의 고정수단에 의해 연결되고, 가림판(80)의 하단부는 로워 승강 프레임부(32)에 볼트 등의 고정수단에 의해 연결된다. 바람직하게, 가림판(80)은 접혀지거나 펼쳐질 수 있는 자바라형 판으로 구성된다. 한 쌍의 가림판(80)의 상단부는 제1어퍼 승강 프레임부(34A)의 양쪽에 상기 고정수단을 매개로 연결되고, 한 쌍의 가림판(80)의 하단부는 로워 승강 프레임부(32)의 양쪽에 상기 고정수단을 매개로 연결된다.
상기 제1어퍼 승강 프레임부(34A)이 로워 승강 프레임부(32) 쪽으로 접혀져 있을 때에는 가림판(80)이 콤팩트한 사이즈로 접혀 있다가 제1어퍼 승강 프레임부(34A)이 로워 승강 프레임부(32)에서 위로 상향 회동된 상태에서는 가림판(80)이 펼쳐지면서 제1어퍼 승강 프레임부(34A)과 로워 승강 프레임부(32) 사이의 양쪽 측면 공간을 막아주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1어퍼 승강 프레임부(34A)과 로워 승강 프레임부(32) 사이로 어린아이들의 신체가 들어가거나 일반 성인의 신체가 들어가는 경우를 방지하여, 제1어퍼 승강 프레임부(34A)이 로워 승강 프레임부(32) 위쪽으로 상향 회동된 상태에서 혹시라도 제1어퍼 승강 프레임부(34A)과 로워 승강 프레임부(32) 사이의 측면 공간부로 사람의 신체 일부가 들어가게 됨으로 인한 각종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즉, 상기 가림판(80)은 제1어퍼 승강 프레임부(34A)이 로워 승강 프레임부(32) 위쪽으로 일정 각도 상향 회동된 상태에서 제1어퍼 승강 프레임부(34A)과 로워 승강 프레임부(32) 사이의 공간부로 사람의 신체가 들어가는 경우를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가 있으며, 나아가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제1어퍼 승강 프레임부(34A)이 로워 승강 프레임부(32)에서 위로 상향 회동된 상태에서는 가림판(80)이 펼쳐지면서 제1어퍼 승강 프레임부(34A)과 로워 승강 프레임부(32) 사이의 양쪽 측면 공간을 막아주면서 제1어퍼 승강 프레임부(34A)과 로워 승강 프레임부(32) 사이에 배치된 실린더 등의 각종 부품이 외부로 들어나는 것을 방지하므로, 제품의 미관상으로 좋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10. 베이스 프레임부 12. 매트 프레임
14. 헤드부 프레임 16. 풋트부 프레임
20. 매트 22. 침대 시트
22A. 바아 삽입부 24. 바아
30. 승강 프레임부 32. 로워 승강 프레임부
34. 어퍼 승강 프레임부 34A. 제1어퍼 승강 프레임부
34B. 제2어퍼 승강 프레임부 34SB. 보강 받침 프레임 바아
34SF. 받침 프레임 바아 36. 서포트 밴드
40. 승강 작동부 50. 상향 회동 지지체
60. 서포트 스프링 70. 앵글 서포터
72. 앵글 서포트 바아 74. 앵글 연결 서포트 바아
80. 가림판

Claims (11)

  1. 베이스 프레임부(10);
    상기 베이스 프레임부(10)에 구비되어 환자가 눕게 되는 매트(20);
    상기 매트(20) 위에서 승강되도록 상기 베이스 프레임부(10)에 결합되며 환자가 상기 매트(20)에 누운 상태에서 상기 환자의 신체 전체를 상기 매트(20) 위로 승강되도록 지지하는 승강 프레임부(30);
    상기 승강 프레임부(30)의 코너부에 구비되어 상기 승강 프레임부(30)의 승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승강 작동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부(10)와 상기 승강 프레임부(30)는 전면과 후면 및 좌우 측면을 구비한 틀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부(10)의 네 군데 코너부에 상기 승강 작동부(40)가 구비되며, 상기 승강 프레임부(30)의 네 군데 승강 지지 코너부가 상기 승강 작동부(40)에 연결되고,
    상기 승강 작동부(40)는 실린더로 구성되어, 상기 승강 프레임부(30)에 네 군데 승강 지지 코너부에 네 개의 실린더의 피스톤 로드가 각각 연결되며, 상기 실린더의 상기 피스톤 로드의 승강에 따라 상기 승강 프레임부(30)가 상기 베이스 프레임부(10) 위쪽에서 승강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승강 프레임부(30)는,
    상기 실린더의 상기 피스톤 로드에 연결된 로워 승강 프레임부(32);
    상기 로워 승강 프레임부(32) 위에 구비된 어퍼 승강 프레임부(34);
    상기 어퍼 승강 프레임부(34)에 구비되어 환자의 신체를 아래에서 받쳐주는 서포트 밴드(36);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서포트 밴드(36)는 환자의 상체를 아래에서 받쳐주는 상체용 서포트 밴드(36)와, 환자의 하체를 아래에서 받쳐주는 하체용 서포트 밴드(36)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어퍼 승강 프레임부(34)는 힌지부를 매개로 연결된 제1어퍼 승강 프레임부(34A)와 제2어퍼 승강 프레임부(34B)를 포함하며, 상기 제1어퍼 승강 프레임부(34A)와 상기 로워 승강 프레임부(32) 사이에는 상향 회동 지지체(50)가 연결되어, 상기 제1어퍼 승강 프레임부(34A)가 상기 힌지부를 기준으로 상향 회동된 상태를 상기 상향 회동 지지체(50)에 의해 유지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상향 회동 지지체(50)는 실린더로 구성되며,
    상기 베이스 프레임부(10)의 헤드부 프레임(14)에 기단부가 힌지부를 매개로 연결된 한 쌍의 앵글 서포트 바아(72);
    상기 한 쌍의 앵글 서포트 바아(72)에 힌지부를 매개로 양단부가 연결된 앵글 연결 서포트 바아(74);
    상기 앵글 서포트 바아(72)와 상기 앵글 연결 서포트 바아(74)가 상기 힌지부를 기준으로 접혀진 상태에서 수용되도록 상기 헤드부 프레임(14)에 구비된 수납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침대.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 회동 지지체(50)는 상기 제1어퍼 승강 프레임부(34A)와 상기 로워 승강 프레임부(32) 사이에 연결된 실린더로 구성되며, 상기 제1어퍼 승강 프레임부(34A)와 상기 로워 승강 프레임부(32) 사이에는 서포트 스프링(60)이 개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침대.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부(10)에 수용된 매트(20) 위를 덮어주는 침대 시트(22)를 더 포함하고, 상기 침대 시트(22)는 상체용 침대 시트(22)와 하체용 침대 시트(22)로 분할되고, 상기 상체용 침대 시트(22)와 상기 하체용 침대 시트(22)의 상단부와 하단부에는 각각 바아 삽입부(22A)가 구비되고, 상기 바아 삽입부(22A)에는 바아(24)가 삽입되어, 상기 상체용 침대 시트(22)와 상기 하체용 침대 시트(22)를 각각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 매트(20) 위에 상기 상체용 침대 시트(22)와 하체용 침대 시트(22)를 깔아주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침대.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부(10)에는 상기 바아(24)를 거치하기 위한 바아 거치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침대.
  10. 삭제
  11. 삭제
KR1020160092653A 2016-07-21 2016-07-21 의료용 침대 KR1018227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2653A KR101822751B1 (ko) 2016-07-21 2016-07-21 의료용 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2653A KR101822751B1 (ko) 2016-07-21 2016-07-21 의료용 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2751B1 true KR101822751B1 (ko) 2018-03-08

Family

ID=617255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2653A KR101822751B1 (ko) 2016-07-21 2016-07-21 의료용 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275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50396A (zh) * 2018-11-13 2019-02-19 普宁市思迪实业有限公司 一种肛肠科术后用医疗病床
KR20210031130A (ko) * 2019-09-11 2021-03-19 이광덕 침대형 재활운동기구
KR20210043786A (ko) * 2019-10-11 2021-04-22 이광덕 침대형 재활운동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5259B1 (ko) * 2013-04-02 2014-04-14 김훈 의료용 침대
KR101630381B1 (ko) 2015-03-31 2016-06-14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리프트를 구비한 욕창방지용 침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5259B1 (ko) * 2013-04-02 2014-04-14 김훈 의료용 침대
KR101630381B1 (ko) 2015-03-31 2016-06-14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리프트를 구비한 욕창방지용 침대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50396A (zh) * 2018-11-13 2019-02-19 普宁市思迪实业有限公司 一种肛肠科术后用医疗病床
KR20210031130A (ko) * 2019-09-11 2021-03-19 이광덕 침대형 재활운동기구
KR102241730B1 (ko) 2019-09-11 2021-04-19 이광덕 침대형 재활운동기구
KR20210043786A (ko) * 2019-10-11 2021-04-22 이광덕 침대형 재활운동장치
KR102263658B1 (ko) 2019-10-11 2021-06-11 이광덕 침대형 재활운동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90831B1 (ko) 다기능 휠체어
US8419124B2 (en) Chair with movable arms and tables sections
TWI450712B (zh) 翻身移位機
KR100842565B1 (ko) 환자용 침대의 배변 처리장치
KR20180059516A (ko) 다목적, 다기능 및 재조직 가능한 안락의자 침대
US4221009A (en) Bathing or shower apparatus
JP5258883B2 (ja) 患者用便器付きベッド兼車椅子
US7234178B2 (en) Electromotive bed
KR101822751B1 (ko) 의료용 침대
JP2017144032A (ja) 患者の自力排便を可能にする多機能介護ベッド
US20210106477A1 (en) Bed
JP2008136622A (ja) ベッド型多用途介護装置
JP2006175181A (ja) 療養ベッド
DE3805431A1 (de) Liege fuer die kranken- und altenpflege
TW201316976A (zh) 坐臥兩用之安寧病床椅
JP2000279454A (ja) 自助介護用ベッド装置
KR20080101508A (ko) 환자용 침대
KR101953467B1 (ko) 배변 자세 교정용 변기 조립체
US6647571B2 (en) Bed assembly with an insert for invalids
KR101753760B1 (ko) 환자용 변기 조립체
KR101403524B1 (ko) 다기능성 침대겸용 목욕대
CN220735686U (zh) 一种便盆架
KR200359358Y1 (ko) 환자용 기능성 침대
JP2020075084A (ja) 肢体不自由者用の用便介助トイレ
CN111839922B (zh) 一种人工智能护理一体化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